"김서방 도깨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특징==
 
==특징==
전형적인 우리나라의 도깨비이다.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40대의 순박한 농촌아저씨처럼 생겼으며, 시원시원하고 원만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도깨비는 음습한 지역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서 비가 내리는 곳에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흔히 사람들은 비가 쏟아질 것 같은 날씨를 '도깨비 올 것 같은 날씨'라고 하며 다른말로는 '김서방 올 것 같은 날씨'라고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김서방은 도깨비를 지칭한다. 하지만 도깨비의 본질과 사람의 그것은 다르기 때문에, 도깨비는 부모도 없고 자식도 없으며, 성별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깨비가 '김서방'이라는 말과 연결되는 이유는 김씨가 가장 흔한 성씨이기 때문에, 도깨비는 스스로를 '김서방'이라고 지칭하고는 했다고 한다. 그로 인해 사람들은 도깨비를 김서방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주도에서는 도깨비를 허씨라고 부르는 경우도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 주요 속성 ===
+
== 관련 설화 ==
1. 물가에 산다.  
+
한 처녀가 도깨비에 홀려 집 뒤 앵두나무에 발가벗고 드러누워 있었다. 이를 본 식구들이 소문 날 것이 두려워하여 조용히 해결하기로 하고 처녀를 불러 누구를 만나는지 물었다. 처녀는 이웃집 김도령을 만났다고 하였는데 이를 들은 가족들은 그 김도령이 도깨비임을 알아 차렸다. 그래서 도깨비가 좋아하는 메밀묵을 한판 차려서 딸에게 주며 김도령에게 무서워하는 것을 물어보게 하였다. 딸은 부모님의 말 대로 메밀묵을 가지고 김도령에게 가서 아양을 떨어 물어보니 김도령은 백말 피를 무서워한다고 알려주었다. 처녀의 부모가 이 말을 듣고 흰 노새를 구해다가 잡아서 피를 집 주변에 뿌리고 그 가죽을 담에 널어놓았다. 그날 밤 도깨비로 변한 김도령이 처녀를 만나러 왔다가 그 집에 백말 피가 뿌려져 있는 것으로 보고 처녀에게 속은 자신을 탓하며 멀리 달아나버렸다고 한다.
  
2. 사람에게 밥상이나 그릇을 빌려주며 물고기를 선물하기도 한다.
+
== 공간 ==
+
미상.
3. 사람에게 달라붙어서 병에 걸리게 한다.  
+
  
4. 말을 물 속으로 끌어들이려 한다.  
+
== 시대 ==
 +
미상.
  
5. 사람에게 달라붙어서 병에 걸리게 한다.  
+
== 상품•작품 ==
 +
아직 활용된 바 없음.
  
6. 사람에게 스모를 겨루자고 덤빈다.
+
== 노드관계표 ==
  
7. 오이를 좋아한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60%; text-align:center;"
 +
!노드!!관계!!노드
 +
|-
 +
|처녀||는 -과 합방했다.||김도령
 +
|-
 +
|김도령||은 사실 -였다.||도깨비
 +
|-
 +
|백말피||를 본 -은 도망쳤다.||김도령
 +
|}
  
8. 불교의 상징물을 두려워 한다.
 
  
 +
== 기여 ==
 +
최초작성 : [[김대영]]
  
== 관련 설화 ==
+
[[분류: 인문정보학입문2017]]
 +
[[분류: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분류: 문헌]]
 +
[[분류: 김대영]]
  
<[[도노 모노가타리]]>
 
  
제55화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하천에는 [[갓파]]가 많이 살았다. 사루가이시천에는 특히 많이 살았다. 마쓰자키촌에 사는 가와바타 집안에 이대에 걸쳐 갓파의 자식을 낳은 사람이 있었다. 태어난 아이는 잘게 잘라서 한 대들이 통에 넣어서 땅속에 파묻었다. 그 생김새가 매우 추했다.
+
여자의 남편은 니이바리촌에 사는 아무개로 이 사람도 가와바타 집안이었다. 남편이 다른 사람들에게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다. 어느 날 집안사람들이 모두 밭일을 끝내고 저녁에 집으로 돌아가려던 차에, 여자가 하천가에 우두커니 서서 싱글벙글 웃고 있었다.
+
다음 날에는 낮에 같은 일이 벌어졌다. 이런 일이 거듭되었다. 마침내 그 여자의 거처로 같은 마을의 아무개가 밤마다 드나든다는 소문이 퍼졌다. 처음에는 그 남편이 해변 쪽으로 짐바리꾼 일을 하러 간 사이에만 찾아왔으나, 나중에는 남편이 있는 밤에도
+
찾아왔따. 갓파의 소행이라는 소문이 점점 퍼지게 되었다. 집안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지키고자 했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다. 시어머니도 가서 며느리 옆에서 함께 잤으나, 심야에 며느리가 웃는 소리를 듣고서 '갓파가 찾아왔구나...' 하고 알아차릴 뿐 어찌
+
할 수가 없었다. 사람들이 어찌해 볼 방도가 없었다. 아주 난산이었는데, 어떤 사람이 일러주기를 "말구유에 물을 채워서 그 안에서 애를 낳으면 쉽게 낳을 수 있다"고 했다. 일러준 대로 했더니 과연 그대로였다. 태어난 아이는 손에 물갈퀴가 있었다.
+
이 여자의 어머니도 일찍이 갓파의 자식을 낳은 적이 있다고 한다. 이삼 대에 걸친 인연만이 아니라는 사람도 있다. 이 집안도 격식 있는 집안으로 아무개라는 사족이다. 촌회의 원을 한 적도 없다.
+
 
+
 
+
제58화
+
고가라세천의 오바코 연못 부근에는 신야라는 집이 있었다. 어느 날 연못으로 말을 씻으러 끌고 가서, 마부가 다른 곳에서 놀고 있는 사이에, 갓파가 나타나서 말을 물속으로 끌어들이려 했다. 오히려 말에게 끌려서 마구간 앞까지 와서 말구유를 덮어쓰고 있
+
었다. 이집 사람들이 말구유가 뒤집혀 있는 것을 이상케 여기고 조금 들어서 들여다보았더니 갓파의 손이 나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죽일 것인지 용서해 줄 것인지를 의논했다. 결국 앞으로는 마을의 말들에게 장난을 치지 않겠다고 굳게 언약을 하
+
도록 하고 풀어주었다. 그 갓파는 지금은 마을을 떠나 아이자와 노다키 연못에 살고 있다고 한다.
+
 
+
== 공간 ==
+
[[도노]]
+
 
+
== 시대 ==
+
 
+
== 상품•작품 ==
+
 
+
== 각주 ==
+
 
+
== 기여 ==
+
최초편집자: [[김대영]]
+

2017년 6월 21일 (수) 00:29 기준 최신판

특징

도깨비는 음습한 지역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서 비가 내리는 곳에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흔히 사람들은 비가 쏟아질 것 같은 날씨를 '도깨비 올 것 같은 날씨'라고 하며 다른말로는 '김서방 올 것 같은 날씨'라고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김서방은 도깨비를 지칭한다. 하지만 도깨비의 본질과 사람의 그것은 다르기 때문에, 도깨비는 부모도 없고 자식도 없으며, 성별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깨비가 '김서방'이라는 말과 연결되는 이유는 김씨가 가장 흔한 성씨이기 때문에, 도깨비는 스스로를 '김서방'이라고 지칭하고는 했다고 한다. 그로 인해 사람들은 도깨비를 김서방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주도에서는 도깨비를 허씨라고 부르는 경우도 예외적으로 존재한다.

관련 설화

한 처녀가 도깨비에 홀려 집 뒤 앵두나무에 발가벗고 드러누워 있었다. 이를 본 식구들이 소문 날 것이 두려워하여 조용히 해결하기로 하고 처녀를 불러 누구를 만나는지 물었다. 처녀는 이웃집 김도령을 만났다고 하였는데 이를 들은 가족들은 그 김도령이 도깨비임을 알아 차렸다. 그래서 도깨비가 좋아하는 메밀묵을 한판 차려서 딸에게 주며 김도령에게 무서워하는 것을 물어보게 하였다. 딸은 부모님의 말 대로 메밀묵을 가지고 김도령에게 가서 아양을 떨어 물어보니 김도령은 백말 피를 무서워한다고 알려주었다. 처녀의 부모가 이 말을 듣고 흰 노새를 구해다가 잡아서 피를 집 주변에 뿌리고 그 가죽을 담에 널어놓았다. 그날 밤 도깨비로 변한 김도령이 처녀를 만나러 왔다가 그 집에 백말 피가 뿌려져 있는 것으로 보고 처녀에게 속은 자신을 탓하며 멀리 달아나버렸다고 한다.

공간

미상.

시대

미상.

상품•작품

아직 활용된 바 없음.

노드관계표

노드 관계 노드
처녀 는 -과 합방했다. 김도령
김도령 은 사실 -였다. 도깨비
백말피 를 본 -은 도망쳤다. 김도령


기여

최초작성 : 김대영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노드
도깨비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공간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작품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문헌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문콘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캐릭터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시대 현대, 에도시대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의 등장인물이다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은 -의 캐릭터다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서유기》
은 -지역의 요괴이다 갓파도노, 덴구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중국, 나찰녀중국,
는 -를 만들었다. 여와인간
는 - 관련 설화이다.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구미호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도깨비, 신과 함께(2017)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꼬비꼬비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도깨비 다리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한국의 도깨비,

교토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도깨비,한국곡성, 한국괴물, 한국차우,금석 이야기교토, 금강설화일본, 덴구일본

는 -에 등장한다. 오니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하세오조시, 저승사자신과 함께(2017),저승사자요괴. 구미호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전설의고향 , 걸귀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에도시대, 오니에도시대, 여우에도시대, 오니금강설화, 갓파현대, 입이찢어진여자현대, 도깨비꼬비꼬비
는 -에 속한다. 구미호여우, 여우일본의 요괴, 덴구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방이설화, 도깨비드라마, 요괴인간벰드라마, 전설의고향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덴구 다오시덴구, 덴구 와라이덴구,덴구 쓰부테덴구, 덴구 유스리덴구, 덴구 다이코덴구, 덴구 가쿠시덴구, 덴구 마쓰덴구, 덴구 노히덴구, 입이찢어진여자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일본의 요괴
은 -를 소재로 했다 곡성오니, 곡성덴구, 괴물오니, 괴물갓파, 차우오니, 차우덴구, 천년여우여우비여우,천년여우여우비구미호,꼬비꼬비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야마우바,금석 이야기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오니, 도노 모노가타리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야차, 조롱박형제요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