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정의==
 
==정의==
*'''영화(Film)'''는 순간을 기록한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동영상을 같이 기록한 음성과 함께 편집하여 어떤 내용을 전달하게끔 꾸며서 만든 영상물이다. '''활동사진'''이라고도 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50555&cid=58190&categoryId=58190 <출처> 네이버 영상콘텐츠 제작 사전_드라마]</ref>
+
*'''영화(Film)'''는 순간을 기록한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동영상을 같이 기록한 음성과 함께 편집하여 어떤 내용을 전달하게끔 꾸며서 만든 영상물이다. '''활동사진'''이라고도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D%99%94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사전]</ref>
  
 
==특징==
 
==특징==
9번째 줄: 9번째 줄:
 
*텔레비전 드라마는 방영 방식에 따라 단막극, 일일연속극, 주말연속극, 미니시리즈 등으로 분류되고 주제별로는 홈드라마, 역사극, 멜로드라마, 치정극, 수사극, 사회극, 농촌 드라마 등으로 분류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방영 방식에 따라 단막극, 일일연속극, 주말연속극, 미니시리즈 등으로 분류되고 주제별로는 홈드라마, 역사극, 멜로드라마, 치정극, 수사극, 사회극, 농촌 드라마 등으로 분류된다.
  
==드라마 구성요소==
+
==영화 구성요소==
 
*신(Scene)
 
*신(Scene)
  
 
*시퀀스(Sequence)
 
*시퀀스(Sequence)
 
  
 
==기여==
 
==기여==
25번째 줄: 24번째 줄:
 
*[https://ko.wikipedia.org/wiki/%EB%93%9C%EB%9D%BC%EB%A7%88 <출처> 위키백과 드라마]
 
*[https://ko.wikipedia.org/wiki/%EB%93%9C%EB%9D%BC%EB%A7%88 <출처> 위키백과 드라마]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분류:인문정보학입문2017]][[분류 :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분류 : 도깨비]][[분류:이은정]]
+
[[분류:인문정보학입문2017]][[분류 :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분류 : 도깨비]][[분류:지두찬]]

2017년 6월 13일 (화) 16:43 기준 최신판

정의

  • 영화(Film)는 순간을 기록한 장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동영상을 같이 기록한 음성과 함께 편집하여 어떤 내용을 전달하게끔 꾸며서 만든 영상물이다. 활동사진이라고도 한다.[1]

특징

  • 현실을 다루되 허구적 인물, 공간, 주제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픽션(Fiction)의 성격을 가진다.
  • 드라마에는 동작, 대사, 줄거리의 구성요소가 있으며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국가와의 갈등이나 긴장이 주요 주제로 이용된다.
  • 텔레비전 드라마는 방영 방식에 따라 단막극, 일일연속극, 주말연속극, 미니시리즈 등으로 분류되고 주제별로는 홈드라마, 역사극, 멜로드라마, 치정극, 수사극, 사회극, 농촌 드라마 등으로 분류된다.

영화 구성요소

  • 신(Scene)
  • 시퀀스(Sequence)

기여

각주

  1. 이동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사전

출처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