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녹차)
(전통차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116번째 줄: 116번째 줄:
 
한국에는 전통차와 관련돤 문화콘텐츠가 [[보성다향대축제]], [[보성녹차마라톤대회]], [[보성차밭빛축제]] 등 있다.
 
한국에는 전통차와 관련돤 문화콘텐츠가 [[보성다향대축제]], [[보성녹차마라톤대회]], [[보성차밭빛축제]] 등 있다.
  
===축제===
+
 
 
<gallery>
 
<gallery>
 
파일:2016050913154121024_1.jpg|[[보성다향대축제]]
 
파일:2016050913154121024_1.jpg|[[보성다향대축제]]
 
파일:5G5T8fgdsT1.jpg|[[보성차밭빛축제]]
 
파일:5G5T8fgdsT1.jpg|[[보성차밭빛축제]]
</gallery>
 
 
===이벤트===
 
<gallery>
 
 
파일:M_vi.jpg|[[보성녹차마라톤대회]]
 
파일:M_vi.jpg|[[보성녹차마라톤대회]]
 
</gallery>
 
</gallery>

2016년 6월 10일 (금) 22:37 판

TEA-42.jpg

한국 전통차란?

전통-차(傳統茶)

전통적인 방식대로 만들거나 마시는 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네이버 국어사전

전통차의 역사

삼국시대의 차 문화

고려시대의 차 문화

조선시대의 차 문화

근대 한국의 차 문화

현대 한국의 차 문화

전통차의 종류

전통녹차

  • 녹차
  • 찻잎의 채취 시기에 따른 분류

찻잎의 채취 시기에 따라서 분류하면 크게 우전차, 곡우차, 입하차, 하차, 추차로 나눌 수 있다.

  • 찻잎의 크기에 따른 분류

찻잎의 크기에 따라서 분류하면 크게 세작, 중작, 대작으로 나눌 수 있다.

대용차

한국의 대용차에는 오미자차, 유자차, 대추차, 메밀차, 매실차, 둥굴레차, 감잎차, 국화차, 수국차 등 있다.

전통차 브랜드

한국의 전통차 브랜드에는 오설록, 티젠, 쌍계명차, 녹차원, 매실차, 화개제다, 담터 등 있다.

전통차 찻집

한국의 전통 차집이 많다. 인사동에 47번가 찻집, 아름다운 차 박물관, 경인미술관, 차사랑, 목향] 등 찻집이 있다.

삼청동에 문향재, 차 마시는 뜰, 가화당 등 찻집이 있다.

건대 주변에 감성다방 등 찻집이 있다.

인사동

삼청동

건대주변

전통차의 원산지

한국에는 대한다원, 봇재다원,제주다원, 도순다원, 서광다원 등 다원이 있다.

보성

제주도

전통차와 관련된 문화콘텐츠

한국에는 전통차와 관련돤 문화콘텐츠가 보성다향대축제, 보성녹차마라톤대회, 보성차밭빛축제 등 있다.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