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기치마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Mujigi.jpg

<사진 1>[1]


무지기치마는 조선시대 상류층 부녀들이 입던 속치마다.

한자로는 무족상(無足裳), 계상(繫裳), 무죽이(無竹伊) 등으로 썼다.

모시 12폭으로 지어 길이가 서로 다른 치마 여러 개를 한 허리에 달아 층이 지도록 했는데 층의 수는 홀수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3합, 5합, 7합 등의 종류가 있다.

약 5cm간격을 두고 층층이로 되어 있는데 층마다 가는 주름을 잡아 항아리를 엎어 놓은 듯한 실루엣을 이루었으며 오늘날의 페티코트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각 단 밑부분에 분홍, 노랑 등을 물들였는데 나이 든 사람은 단색으로 하고 젊은 층에서는 매 층의 단에다 갖가지 채색을 하여 명절이나 잔치 등의 예절을 차릴 때 입었다.

밑단에 분홍색을 물들인 것을 특히 ‘연봉무지기’라고 하였다.

이덕무(李德懋)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와 이능화(李能和)의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 등에 무지기치마와 관련된 기록이 보이는데, <조선여속고>에는 “5합, 7합이란 치마 길이의 차이에 따라 붙이는 이름이고 합은 되의 홉과 같으며 단은 5, 6번 접어 겹치게 하는데 길이는 무릎에 겨우 닿을 정도로 하여 겉치마를 버티게 한다.”고 하였다. [2]


관련 지식

관계 대상 문서 설명
기본구성 여자 한복 여자 한복의 기본 구성
관련구성 기본 속옷, 예장용 속옷 여자 한복의 속옷 구성


연관 복식

가슴가리개, 속적삼, 속속곳, 속바지, 단속곳, 대슘치마, 저고리, 치마



Writer : 김현승


  1. 박윤미(2012), 조선시대 여성의 층층 속옷, 네이버캐스트
  2. 문화콘텐츠닷컴(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