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明宗)
명종(明宗) | |
---|---|
대표명칭 | 명종 |
한자표기 | 明宗 |
영문명칭 | |
본관 | |
이칭 | |
시호 | 공헌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恭憲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
호 | |
자 | 대양(對陽) |
생년 | 1534년 |
몰년 | 1567년 |
출생지 | |
사망지 | |
시대 | 조선 |
국적 | |
대표저서 | |
대표직함 | 왕 |
배우자 | 인순왕후(仁順王后) |
부 | 조선 중종 |
모 | 문정왕후 |
자녀 | 순회세자(順懷世子) |
전임자 | 조선 인종 |
후임자 | 조선 선조 |
상훈 | |
능묘 | |
성격 | |
유형 |
목차
정의
조선전기 제13대(재위:1545~1567) 왕으로 재위기간은 1545년(명종 즉위년)∼1567년(명종 22)이다.
내용
출생과 즉위
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에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에서 명종을 낳았다. 중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했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죽자, 당시에 12세였던 명종이 즉위하였다. 어린 나이로 임금이 되었으므로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수렴 청정(垂簾聽政)을 하였다.
을사사화와 장경왕후 일파의 대거 숙청
이에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尹元衡)이 득세하여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인종이 세자로 있을 때 문정왕후가 명종을 낳자, 장경왕후의 동생인 윤임(尹任)은 김안로(金安老) 등과 함께 세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문정왕후와 알력이 생겼다. 1537년(중종 32) 김안로가 실각하고 윤원형 등이 등용되자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암투가 더욱 치열해졌다. 이 때 윤임 일파를 대윤(大尹), 윤원형 일파를 소윤(小尹)이라고 하였다. 인종이 즉위하자 한 때 윤임이 득세하여 이언적(李彦迪) 등 사림(士林)의 명사를 많이 등용해 기세를 떨쳤다. 그러나 곧 명종이 즉위하고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사태는 크게 변하였다. 윤원형은 윤임이 조카인 봉성군(鳳城君: 중종의 여덟째아들)에게 왕위를 옮기려 한다고 무고하는 한편, 윤임이 인종이 죽을 당시에 계성군(桂成君: 성종의 셋째아들)을 옹립하려 했다는 소문을 퍼뜨리게 하였다. 이를 구실로 왕과 문정왕후에게 이들의 숙청을 강권, 윤임·유관(柳灌)·유인숙(柳仁淑) 등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이들의 일가와 그 당류(黨流)인 사림을 유배시켰다. 이어서 1547년에는 또다시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을 계기로 그들의 잔당을 모두 숙청하였다. 이로써 외척 전횡의 시대가 전개되자, 명종은 윤원형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이량(李梁)을 등용하였다. 그러나 그 역시 작당하여 정치가 더욱 문란해지고 파쟁이 그칠 사이가 없었다.
나라의 혼란과 비변사 설치
양주의 백정 출신 임꺽정(林巨正)이 1559년부터 1562년 사이에 황해도와 경기도 일대를 횡행하였다. 밖으로는 삼포왜란(三浦倭亂) 이래 세견선(歲遣船)의 감소로 곤란을 받아온 왜인들이 1555년 배 60여 척을 이끌고 전라도에 침입해왔다. 이들은 결국 이준경(李浚慶)·김경석(金慶錫)·남치훈(南致勳) 등에 의해 영암(靈巖)에서 격퇴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비변사의 설치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1510년(중종 5) 삼포왜란 때 일단 설치되어 임시 기구로서 존속되어오다가 1555년 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교의 진흥과 쇄락
명종 때는 문정왕후가 불교를 독실히 믿었기 때문에 불교의 교세가 일어났다. 문정왕후는 보우(普雨)를 신임하여 봉은사(奉恩寺) 주지로 삼았다. 그리고 1550년에 선·교(禪敎) 양종을 부활시키고 이듬해에는 승과(僧科)를 설치하였다. 보우는 뒤에 도대선사(都大禪師)가 되었지만,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잇따른 배불 상소(排佛上疏)와 유림들의 기세에 밀려 승직을 박탈당하고 제주도로 귀양갔다가 변협(邊協)에게 피살되었다. 윤원형은 문정왕후가 죽은 뒤, 관직을 삭탈당하고 강음(江陰)에 안치되어 죽었다.
왕의 단명(短命)과 차기 왕위 계승
명종은 인재를 고르게 등용해 선정을 펴보려고 노력했으나 실패하고 34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인순왕후 심씨와의 사이에 순회세자(順懷世子)를 낳았으나 1563년에 13세로 죽고, 왕위는 덕흥부원군(德興府院君: 중종의 아홉째아들)의 셋째 아들이 계승했으니, 이가 곧 선조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시각자료
영상
주석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명종[ 明宗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5924&cid=46622&categoryId=46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