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Lecture 2020 Jan 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igerati
8번째 줄: | 8번째 줄: | ||
</center> | </center> | ||
− | [[파일: | + | [[파일:DHLecture2020Jan08QR.png|300px|center]]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
2020년 1월 8일 (수) 00:44 판
제12기 사전편찬교실 2020. 1.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Encyve: Encyclopedic Archive
디지털 큐레이션 / 인문지식 빅데이터 / 인공지능과 인문지식
김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
목차
강의 자료 (PDF Download)
디지털 큐레이션과 인문지식 콘텐츠
디지털 큐레이션이란?
-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전시를 위해 유물 하나 하나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고,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아 그 유물의 문화적 가치를 설명하는 이야기를 만들듯이,
-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자와 학생들은 디지털 세계에서 유의미한 지식의 조각을 탐색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대상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가상 박물관 디지털 큐레이션(예시)
인문지식 데이터의 소통과 확장: 스몰 데이터에서 빅 데이터로(예시)
의미를 담은 작은 데이터
문화유산 | 해설문 | 네트워크 그래프 |
---|---|---|
청주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청주 여산송씨 정려각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청주 충렬사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청주 신항서원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청주 신항서원 묘정비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보물 동래부순절도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보물 부산진순절도 |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 Network Graph |
데이터의 연결 ⇒ 지식의 확장 ⇒ 새로운 지식의 발견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연가’와 ‘Pokarekare Ana’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참고 자료
-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아카이브와 인문학 연구의 통섭」, 『기록인』 2016 가을
- 김현,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인문콘텐츠』 50, 2018. 9.
- 김현,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디지털 인문학 입문』
- 金炫, 「데이터로 疏通하는 동아시아 儒敎文化」, 第6回 21世紀 人文價値 포럼, 2019. 9.
- 金炫, 「데이터 時代의 漢文 古典」, 『전통문화연구회 30년의 회고와 전망』, 2018. 11.
- 金炫, 「新‘大同社會’論」, 『전통문화』 44호, 2018. 4.
- 金炫,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전통문화』 42호, 201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