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조선백자 요지

songy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_도자유물_메타아카이브

조선시대 왕실자기 가마터: 관요 설립 이전

세종실록 지리지 자기소2.png

내용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1432년 이전의 운영되었던 184개의 자기소가 군현 별로 기록되어 있다. 「지리지」에 기록된 자기소는 자기를 생산하고 공납하는 의무를 지닌 곳이다.
경기도 광주지역에서 관요가 설치되기 전까지 조선시대의 어용을 비롯한 왕실용과 국정 운영에 필요한 자기의 진헌⦁공헌을 담당하였다.

조선시대 왕실자기 가마터: 관요 설립 이후


내용

토산품으로 공납되었던 백자는 1467년경 궁중 주방인 사옹원의 분원 가마가 광주에 설치되면서 관영수공업체제를 갖추고 직접 생산, 조달하게 되었다. 분원에서는 전국에서 차출되어 부역을 하던 1140명의 사기장沙器匠이 380명씩 3개조로 나뉘어 돌아가며 일했고, 사옹원에서 파견된 감관(낭청)이 봄, 가을로 제작된 그릇을 배에 실어 한양으로 수송했다. 약 10년을 주기로 수목(땔감)이 무성한 곳을 찾아 옮겨 다녔던 분원가마는 1752년(영조 28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물자를 수송하기에 유리한 분원리에 정착하여 이후 130여년간 요업을 지속하였다. 현재까지 광주시 전역에는 340여개소에 이르는 분원가마터 유적이 고스라니 남아있다. 그 가운데 약 22개소의 분원 가마터가 여러 기관에 의해 발굴조사보고·연구되어 조선전기에서 후기까지 시대에 따라 발전된 제작기술과 도자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1467년경 광주에 사옹원의 분원이 설치되고 왕실과 관청에 소용되는 백자를 직접 조달하게 되면서 광주 백자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분원설립 이후, 우산리, 도마리, 번천리, 관음리를 중심으로 화원이 그린 기품있는 청화백자와 함꼐 '천 지 현 황', '좌 우 별'명문을 새긴 고품격의 백자가 생산되었다. 왜란과 호란을 겪는 17세기에는 철화백자가 등장하는 동시에 진상백자에 간지를 새겨 관리 효율을 높였으며, 수목이 무성한 곳을 찾아 정지리, 탄벌동, 학동리, 상림리, 선동리, 송정동, 유사리, 신대리, 지월리 순으로 가마가 약 10년 주기로 이동하였다. 18세기에 들어, 오향리, 금사리 등지에서 활동하던 분원가마는 한강을 지나던 선박에 세금을 거둬 땔나무를 구입하면서 더 이상 이전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며 분원리에 정착하여 130여 년간 운영하였다.

참고문헌

경기도자박물관,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 2016,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가마터 발굴, 그 10년의 여정>, 2014, 경기도자박물관
본 연구자는 <세종실록> 「지리지」 기록을 바탕으로 15세기 전국에 소재하였던 자기소 분포현황에 관한 역사지도를 제작하였다. 역사지도 제작에 필요한 지형도 등의 기본 자료는 김종혁선생님에게 전달 받아 김종혁선생님의 지도 하에 오픈소스 지리정보체계 응용프로그램인 QGIS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