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89번째 줄: 89번째 줄:
 
열한 번째 단독 무과는 6월 2일에 濟州에서 실시되었다.<ref>『선조실록』 52권, 선조 27년(1594) 6월 2일.</ref> 열두 번째 무과는 1596년(선조 29) 7월에 제주에서 설행되었다.<ref>『선조실록』 77권, 선조 29년(1596) 7월 24일.</ref> 열세 번째는 윤8월 16일에 이순신의 부탁으로 體察副使 韓孝純의 주도하에 한산도에서 실시되었다.<ref>『선조수정실록』 30권, 선조 29년(1596) 윤8월 1일.</ref> 이로써 임진왜란 중 단독 무과는 열세 차례, 19회 설행되었다. 空名紅牌<ref>空名紅牌: 성명 쓰는 곳을 비워 놓고 미리 작성된 홍패이다.</ref>를 발행했기 때문에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다만 현재까지 실록 기록, 단독 무과방목, 홍패 등을 참고로 하여 조사한 회수이다.<br/>
 
열한 번째 단독 무과는 6월 2일에 濟州에서 실시되었다.<ref>『선조실록』 52권, 선조 27년(1594) 6월 2일.</ref> 열두 번째 무과는 1596년(선조 29) 7월에 제주에서 설행되었다.<ref>『선조실록』 77권, 선조 29년(1596) 7월 24일.</ref> 열세 번째는 윤8월 16일에 이순신의 부탁으로 體察副使 韓孝純의 주도하에 한산도에서 실시되었다.<ref>『선조수정실록』 30권, 선조 29년(1596) 윤8월 1일.</ref> 이로써 임진왜란 중 단독 무과는 열세 차례, 19회 설행되었다. 空名紅牌<ref>空名紅牌: 성명 쓰는 곳을 비워 놓고 미리 작성된 홍패이다.</ref>를 발행했기 때문에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다만 현재까지 실록 기록, 단독 무과방목, 홍패 등을 참고로 하여 조사한 회수이다.<br/>
 
<br/>
 
<br/>
 +
 
:'''▷ 1. [[SEDB:무과 단회방목 | 무과 단회방목]]'''
 
:'''▷ 1. [[SEDB:무과 단회방목 | 무과 단회방목]]'''
 +
 +
:'''▷ 2. [[SEDB: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 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 3. [[SEDB:무과 급제자수 | 무과 급제자수]]'''
 
:'''▷ 3. [[SEDB:무과 급제자수 | 무과 급제자수]]'''
 
<br/>
 
<br/>

2017년 8월 13일 (일) 12:58 판

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임진왜란 중에 무과만 단독으로 실시된 시험들은 약 20차례 있었다고 한다.[1] 송준호(1995)와 심승구(1997)의 논문[2]을 근거로 임진왜란 중에 시행된 무과를 표로 정리하였다.

임진왜란 중 설행된 무과 단독 시험과 선발 인원(이탤릭체는 文武對擧)
연도 왕년 시명 문과장원 선발 무과장원 선발 장소 시험관 출전
1 1592 6 26 宣祖 25 龍灣別試 - 田齊安 義州 左議政 尹斗壽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1592) 6월 26일
1592 7 2 龍灣別試 鄭宗溟 4 ■■■ 168 義州 行在所 『선조실록』 28권, 선조 25년(1592) 7월 2일
2 1592 9 21 別試 - ■■■ ? 義州 行在所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3 1592 9 21 別試 - ■■■ 500 順安 都元帥 金命元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4 1592 9 21 別試 - ■■■ ? 成川 世子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5 1592 9 21 別試 - ■■■ ? 陽德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6 1592 9 21 別試 - ■■■ ? 江東 左防禦使 李鎰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7 1592 9 21 別試 - ■■■ ? 永柔 右防禦使 金應瑞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8 1592 10 0 別試 - ■■■ 100 長津 咸鏡監司 尹卓然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1592) 10월 16일
9 1593 4 17 宣祖 26 別試 - ■■■ 353 永柔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 4월 17일
10 1593 7 0 別試 - ■■■ ? 中和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1593) 7월 28일
11 1593 9 25 別試 - 徐應斗 6 延安 行在所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1593) 9월 25일
12 1593 12 0 別試 - ■■■ 貞陵洞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1593) 12월 23일
1593 12 27 全州別試 尹{日+吉} 9 承蓂秀 1,785 全州 分朝
13 1593 12 27 別試 - ■■■ 900 陜川 都元帥 權慄 『亂中雜錄』 권3, 甲午年 10월 13일
14 1594 1 25 宣祖 27 別試 - 沈彦孝 418 慶州 巡察使 韓孝純 『萬曆二十二年甲午正月日別試武科榜目』(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고서(Ⅱ) 353.003 6])
15 1594 1 25 別試 - ■■■ ? 陜川 都元帥 權慄 「紅牌」(柳珩,吳愼男,朱義壽)
1594 2 29 庭試 朴東說 13 趙諄 174 貞陵洞
16 1594 4 6 別試 - ■■■ 100 閑山島 三道水軍統制使 李舜臣 『亂中日記』 甲午年 9월 13일
17 1594 6 2 濟州別試 - ■■■ 50 濟州 『선조실록』 52권, 선조 27년(1594) 6월 2일
1594 10 19 庭試2 柳潭 10 尹彦諶 195 貞陵洞
1594 11 23 別試 宋駿 19 卞懷寶 107 貞陵洞
1595 11 6 宣祖 28 海州別試 趙庭堅 3 洪允先 574 海州 承旨
1595 12 28 別試 成以敏 15 徐惟一 201 貞陵洞
18 1596 7 0 宣祖 29 濟州別試 - ■■■ 8 濟州 御史 『선조실록』 77권, 선조 29년(1596) 7월 24일
19 1596 윤8 16 別試 - ■■■ ? 閑山島 體察副使 韓孝純 『선조수정실록』 30권, 선조 29년(1596) 윤8월 1일
1596 10 26 庭試 安宗祿 19 崔景春 55 貞陵洞
1597 3 17 宣祖 30 別試 趙守寅 19 吳男 478 貞陵洞 重試對擧
1597 4 2 重試 許筠 5 張士行 36 貞陵洞
1597 4 4 庭試 李好義 9 朴天生 69 貞陵洞 北路軍人親試
1597 4 8 謁聖試 尹繼善 8 李君彦 1,073 貞陵洞


1592년 6월 26일에 義州에서 처음으로 무과만을 설행하는 시험이 실시되었다. 장원은 田齊安으로 선발 인원은 어떤 기록에도 나오지 않는다. 다만 이 무과의 실시로 의주 성내가 조금 든든해졌다고 실록에서 기록하고 있다.[3] 7월 2일(종합방목 등의 기록에는 3일)에 문무대거가 실시되어서 문과에서는 鄭宗溟 등 4인을 선발하였고, 무과에서 무사를 선발하였다.[4] 그러나 장원과 선발 인원을 알 수 없다. 『武科摠要』(표제는 武科總要)에는 초시 합격자만 168명으로 기록하고 있다(초시만으로 급제자를 선발하였다면 168명이고, 다시 회시나 전시를 보았다면 168명보다 적은 급제자가 나왔을 것이다.).
두 번째 단독 무과는 9월 21일에 6곳에서 실시되었다.[5] 이번 무과는 각 陣營에서 실시하는 初試로서 會試를 대신하고, 초시 합격자들을 한 곳에 모아서 殿試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전시 상황에 한 곳에 모으는 것이 여의치가 않아서 초시로 최종 급제를 주고, 紅牌도 각 진영에서 授與하기로 하였다. 무과가 실시된 6곳은 행재소가 있는 義州, 都元帥(金命元)가 있던 順安, 分朝(世子)가 있던 成川, 陽德, 左防禦使(李鎰)의 江東, 右防禦使(金應瑞)의 永柔였다. 세 번째 단독 무과는 10월 16일 이전에 실시되었다. 실록을 보면 10월에 長津에서 함경감사 尹卓然이 무사 100명을 시취하였다고 나온다.[6]
네 번째 단독 무과는 1593년(선조 26) 4월 17일에 실시하였다. 永柔에서 353명을 선발하였다.[7] 다섯 번째는 7월 28일 이전에 설행하였다. 6월 29일에 晉州城이 함락되었고, 7월 16일에 함락 소식이 江西 행재소에 도착하였다. 그 와중에 中和 무과 실시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실록에 신급제자들에게 홍패를 주고, 조속히 싸움터로 보내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8] 여섯 번째는 서울로 가는 길에 延安에 도착해서 9월 2일 延安城 수성에 공을 세운 군사들을 대상으로 9월 25일에 무과를 실시해서 徐應斗 등 6명에게 급제를 주었다.[9]
선조가 10월 1일에 서울로 돌아와서 일곱 번째 단독 무과를 12월에 貞陵洞 행궁에서 실시하였다.[10] 12월 27일에 全州에서 세자(光海君)가 문·무과를 실시하여 문과에서는 尹{日+吉} 등 9명을, 무과에서는 承蓂秀 등 1,000여 명을 선발하였다.[11] 무과 선발 인원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국중도본에서는 1,985명, 『武科摠要』에는 1,785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덟 번째 단독 무과는 전주별시가 실시된 때에 도원수 權慄이 陜川에서 900명을 뽑았다.[12] 이는 영남의 將士들이 과거를 보기 위해 전주까지 오기가 힘들기 때문에 나눠서 선발한 것이다.
아홉 번째 단독 무과는 1594년(선조 27) 1월 25일 경상좌도에서 巡察使 韓孝純의 주도하에 실시되었다.[13] 이 무과에 대한 기록은 실록에서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이 무과 단독방목이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에 소장[14]되어 現傳하고 있다. 甲科一等 1명·乙科二等 10명·丙科三等 407명으로 도합 418명을 선발하였다. 아울러 이 무과 급제자의 홍패(安瑾[15]·崔震立[16])도 전해지고 있다.


1594년 무과 단독방목-1 홍패1 1594년 무과 단독방목-2 홍패2


같은 날인 1월 25일에 경상우도에서도 단독 무과가 실시되었다. 설행 증거로 홍패가 발견되었다. 柳珩(을과 16인)[17], 吳愼男(병과 199인)[18], 朱義壽(병과 257인)[19], 吳興祖(병과 893인)[20]의 홍패이다. 시행 일자는 동일하지만, 연세대학교 소장 방목의 급제 등위를 보면 아래의 홍패와 다르다. 방목은 을과를 10위까지만 선발해서 “을과 16위”가 없다. “병과 199위”는 안동인 權忠輔이고, “병과 257위”는 청주인 韓忠元이다. 이것으로 같은 날 두 곳에서 무과가 실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무과는 당시 경상우도 陜川에 머물고 있던 도원수 權慄의 주도하에 실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독 무과는 송준호·심승구의 논문에 언급이 안 되어 있다.


1594년 1월 25일 설행된 무과 단독 시험의 홍패-1 1594년 1월 25일 설행된 무과 단독 시험의 홍패-2 1594년 1월 25일 설행된 무과 단독 시험의 홍패-3 1594년 1월 25일 설행된 무과 단독 시험의 홍패-4


열 번째 단독 무과는 1594년 4월 6일에 三道水軍統制使 李舜臣의 주도로 閑山島에서 실시되었다.[21] 원래는 전주에서 무과를 보려고 하였는데, 무과 실시일 3일 전에 소식을 듣게 되었고, 또 3일 만에 전주까지 가기에는 너무 거리가 멀고 전시 하에 병력을 이동하였다가 만일의 사태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진중에서 무과를 실시하게 되었다.
열한 번째 단독 무과는 6월 2일에 濟州에서 실시되었다.[22] 열두 번째 무과는 1596년(선조 29) 7월에 제주에서 설행되었다.[23] 열세 번째는 윤8월 16일에 이순신의 부탁으로 體察副使 韓孝純의 주도하에 한산도에서 실시되었다.[24] 이로써 임진왜란 중 단독 무과는 열세 차례, 19회 설행되었다. 空名紅牌[25]를 발행했기 때문에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다만 현재까지 실록 기록, 단독 무과방목, 홍패 등을 참고로 하여 조사한 회수이다.

▷ 1. 무과 단회방목
▷ 2. 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 3. 무과 급제자수

  1. 심승구, 「壬辰倭亂중 武科及第者의 身分과 特性」, 『韓國史硏究』 第92號, 한국사연구회, 1996, 112쪽; 심승구, 「壬辰倭亂중 武科의 運營實態와 機能」, 『朝鮮時代史學報』 第1號, 조선시대사학회, 1997, 87~88쪽.
  2. 宋俊浩, 「朝鮮後期의 科擧制度」, 『國史館論叢』 第63輯, 國史編纂委員會, 1995; 심승구, 위의 논문(1997).
  3.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1592) 6월 26일.
  4. 『선조실록』 28권, 선조 25년(1592) 7월 2일.
  5. 『선조실록』 30권, 선조 25년(1592) 9월 21일.
  6.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1592) 10월 16일.
  7.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 4월 17일.
  8. 『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1593) 7월 28일.
  9. 『선조실록』 42권, 선조 26년(1593) 9월 25일.
  10. 『선조실록』 46권, 선조 26년(1593) 12월 23일.
  11. 『선조수정실록』 27권, 선조 26년(1593) 12월 1일.
  12. 『亂中雜錄』 권3, 甲午年 10월 13일.
  13. 심승구는 급제자 중에 경주 출신이 많고, 韓孝純이 경주 감영에 머무르고 있었다는 근거를 들어 과거가 慶州에서 실시되었다고 보고 있다.
  14. 『萬曆二十二年甲午正月日別試武科榜目』(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고서(Ⅱ) 353.003 6]).
  15.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9호.
  16. 『古文書集成』 50책(경주최씨편).
  17. 柳珩 홍패: 육군박물관[085270] 소장.
  18. 吳愼男 홍패: 강진 덕호사 소장.
  19. 朱義壽 홍패: 개인 소장.
  20. 吳興祖 홍패: 국립중앙도서관[우촌貴2102.2-894] 소장.
  21. 『亂中日記』 甲午年 9월 13일.
  22. 『선조실록』 52권, 선조 27년(1594) 6월 2일.
  23. 『선조실록』 77권, 선조 29년(1596) 7월 24일.
  24. 『선조수정실록』 30권, 선조 29년(1596) 윤8월 1일.
  25. 空名紅牌: 성명 쓰는 곳을 비워 놓고 미리 작성된 홍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