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무과 단회방목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무과 단회방목

무과방목은 문과방목처럼 종합방목으로 집성되지 않았고, 사마방목처럼 影印[1] 되지도 않았다. 개개의 단회방목으로 여러 도서관에 산재되어 있다.[2] 종합방목처럼 재정리도 되지 않았고, 사마방목 영인본처럼 인쇄도 안 되었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진행된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으로 전산화[3]가 진행 되었다.
정해은이 2002년에 학계에 소개한 132회분[4]의 무과방목(2회분 미구축)과 새로 발견한 28회분을 추가해서 총 158회분의 무과방목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방목의 신규 추가는 集團知性[5]의 도움이 매우 컸다. 도서관 등에서 방목을 검색하면 소장하고 있는 榜目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은 검색어 “pangmok”으로 검색을 하면 344건이 검색된다. 좀 더 세분해서 “Sama pangmok”(사마방목)으로 검색하면 198건, “Munmu pangmok”(문무과방목)으로 하면 96건이 검색된다.[6]그중 “蓮桂榜目[7]: 萬暦丙辰, 天啓丁卯, 崇楨壬午(Yŏnʾgye pangmok: Mallyŏk Pyŏngjin, Chʻŏnʾgye Chŏngmyo, Sunjŏng Imo)”[8]은 3종의 방목이 모아져 있다. 이 방목에는 1616년 “萬曆四十四年丙辰三月初七日增廣司馬榜目” 뿐만 아니라, 1627년 “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과 1642년 “崇禎十五年壬午式年文科榜目”이 함께 실려 있다.

한 책에 여러 시험이 수록되어 있는 방목
표제 소장처[청구기호] 연도 왕년 시험명 방목 방목
1 司馬榜目 장서각[B13LB-6] 1504 연산 10 式年試 사마방목 弘治十七年(燕山十年)甲子榜目
1513 중종 8 式年試 사마방목 正德八年(中廟八年)癸酉榜目
1531 중종 26 式年試 사마방목 嘉靖十年(中廟二十六年)辛卯八月榜目
1543 중종 38 式年試 사마방목 (일부) 嘉靖二十二年(中廟三十八年)癸卯榜目(일부)
2 嘉精二十五年重試式年榜目 중앙대[C1241774] 1546 명종 1 重試 문무과방목 嘉靖二十五年丙午十月十一日文(武)科重試榜
1546 명종 1 式年試 문무과방목 嘉靖二十五年丙午十月初八日文(武)科式年榜
1546 명종 1 式年試 잡과방목 榜目(譯科‧醫科‧陰陽科‧律科)
3 國初文科榜目 충남대[고서 史.記錄類 179] 1564 명종 19 式年試 문무과방목 嘉靖四十三年甲子九月初四日文(武)科榜目
1564 명종 19 式年試 잡과방목 잡과(榜目)(譯科‧醫科‧陰陽科‧律科)
1585 선조 18 式年試 생원시방목 生員試
1602 선조 35 別試 문무과방목 萬曆三十年壬寅年十月二十二日文(武)科榜目
4 蓮桂榜 국중도[古6024-145] 1570 선조 3 式年試 문무과방목 隆慶四年庚午式四月十六日文(武)科覆試榜目
1558 명종 13 式年試 사마방목 嘉靖三十七年戊午式年秋司馬榜目
1642 인조 20 式年試 문과방목 崇禎十五年壬午式年文科榜目
5 丙辰增廣司馬榜 고려대[만송 B8 A1 1616B] 1573 선조 6 式年試 사마방목 萬曆元年癸酉二月二十四日司馬榜目
1576 선조 9 式年試 문무과방목 (萬曆四年丙子式年)文(武)科(榜目)
1576 선조 9 式年試 잡과방목 榜目(譯科‧醫科‧陰陽科‧律科)
1616 광해 8 增廣試 사마방목 萬曆四十四年丙辰三月初七日增廣司馬榜目
1624 인조 2 增廣試 문무과방목 天啓四年九月十五日會試(榜目)
6 蓮桂榜目 하버드옌칭[TK 2291.7 1746 (1616)] 1616 광해 8 增廣試 사마방목 萬曆四十四年丙辰三月初七日增廣司馬榜目
1627 인조 5 式年試 문과방목 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
1642 인조 20 式年試 문과방목 崇禎十五年壬午式年文科榜目
7 嘉靖辛卯司馬榜目 국편[MF A지수208] 1531 중종 26 式年試 사마방목 嘉靖十年辛卯八月日司馬榜目
1509 중종 4 別試 문과방목 正德四年己巳四月初八日別試榜
1532 중종 27 別試 문과방목 嘉靖十一年壬辰二月初九日庭試榜
8 崇禎癸酉司馬榜目 국편[MF A지수208] 1633 인조 11 增廣試 사마방목 崇禎六年癸酉三月二十日增廣別試司馬榜目
1635 인조 13 謁聖試 문무과방목 崇禎八年乙亥九月初四日謁聖文科榜目


조선시대 무과는 1402년(태종 2) 임오 식년시부터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이 말은 1402년 이전에 실시된 4번[9]의 과거에서는 문과만 설행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文武對擧로 문과가 804회 실시되었는데, 무과는 총 800회가 설행되었다. 무과방목은 항상 앞부분에 문과방목이 먼저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문무과방목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과거가 문과만 설행되었거나 무과만 실시된 경우이다.
1402년 처음 무과가 실시되기 전의 4번의 문과와 최초의 문과 중시인 1407년(태종 7) 정해 중시 문과와 최초의 무과 중시인 1410년(태종 10) 경인 중시 무과가 그러한 경우이다. 1402년 무과가 실시되고, 1410년 중시 무과가 실시됨으로써 文武對擧와 重試對擧로 과거가 완벽해졌다. 이 시험들의 단회방목이 현전한다면 그것은 모두 單獨榜目이라고 불러야 한다. 물론 임진왜란 중에 무과만 단독으로 실시된 경우도 있다. 現傳하는 158회 문무과방목을 왕대별로 살펴보려고 한다.

왕대별 무과 실시 회수와 현전 방목수
왕대 실시회수 현전 비고 왕대 실시회수 현전 비고
1 太宗 10 13 仁祖 52 18 34.60%
2 世宗 21 14 孝宗 15 5 33.30%
3 文宗 2 15 顯宗 24 9 37.50%
4 端宗 3 1 33.30% 16 肅宗 78 39 50.00%
5 世祖 23 17 景宗 9 2 22.20%
6 睿宗 1 18 英祖 126 20 15.90%
7 成宗 29 1 3.40% 19 正祖 41 12 29.30%
8 燕山君 13 20 純祖 51 8 15.70%
9 中宗 57 7 12.30% 21 憲宗 23 3 13.00%
10 明宗 26 4 15.40% 22 哲宗 26 1 3.80%
11 宣祖 61 21 34.40% 23 高宗 81 3 3.70%
12 光海君 28 4 14.30% 800 158 19.80%


현재 무과 단회방목은 158회분이 전하고 있다. 1402년(태종 2)부터 1621년(광해군 13)까지 220년 동안 총 274회 과거가 설행되었는데, 현전하는 방목은 40회(1회는 임란 때 단독방목[10]) 뿐이다. 약 14.6% 정도만 전해지고 있다. 兩亂의 영향으로 조선전기 방목은 극히 적은 수가 현전하고 있다.
1623년(인조 1)부터 1673년(현종 14)까지 51년 동안 총 91회 과거가 실시되었는데, 현전하는 방목은 32회분으로 약 35.2% 정도가 전해지고 있다.
1675년(숙종 1)부터 1723년(경종 3)까지 49년 동안 총 87회 과거가 진행되었는데, 현전하는 방목은 41회분이다. 약 47.1% 정도가 현전하고 있다.
1725년(영조 1)부터 1800년(정조 24)까지 76년 동안 총 167회 과거가 설행되었는데, 현전하는 방목은 32회분으로 약 19.2% 정도가 전해지고 있다.
1801년(순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94년 동안 총 181회 과거가 설행되었는데, 현전하는 방목은 15회 뿐이다. 가장 가까운 시기임에도 약 8.3% 정도만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현전하는 무과방목과 소장처를 기록한 “조선시대 문무과방목 목록”[11]을 만들어서 위키(wiki) 사이트에 올려두었다.

시기별 현전하는 무과방목
범위 연한 실시회수 현전 비고
1402년(태종 2)~1621년(광해 13) 220 274 40 14.60%
1623년(인조 1)~1673년(현종 14) 51 91 32 35.20%
1675년(숙종 1)~1723년(경종 3) 49 87 41 47%
1725년(영조 1)~1800년(정조 24) 76 167 32 19.20%
1801년(순조 1)~1894년(고종 31) 94 181 15 8.30%
전체 800 160 20%


▷ 1. 무과 단회방목
▷ 2. 임진왜란 중 무과 설행
▷ 3. 무과 급제자수


▷ 1. 문헌 자료 아카이브의 구현 목적
▷ 2. 과거의 由來
▷ 3. 고려문과방목 조사 분석
▷ 4. 문과방목 조사 분석
▷ 5. 무과방목 조사 분석
▷ 6. 사마방목 조사 분석
▷ 7. 잡과방목 조사 분석

  1. 사마방목 영인은 國學資料院에 의해서 1990년에 단회방목을 모아 『司馬榜目』 17책으로 집성되었고, 2008년에 『朝鮮時代 生進試榜目』 28책으로 신규 발견된 단회방목을 추가하여 증보 영인 되었다.
  2. 이재옥, 「조선시대 무과 재급제 현황과 재급제자 조사」, 『장서각』 35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241쪽.
  3.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연도별 무과방목 전산화 내용
    연도 사업명 및 방목명 무과 급제자
    2005 전근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10,000여 명(58회)
    2008 장서각 소장 인물자료 DB 구축사업 10,000여 명(54회)
    2009 장서각 소장 인물자료 DB 구축사업 2,500여 명(14회)
    2010 장서각 소장 인물자료 DB 구축사업 1,500여 명(17회)
    2013 1599년 기해춘정시용호방목
    1599년 기해추별시방목
    1679년 기미정시방
    377명(3회)
    2014 1525년 가정4년을유3월26일문무과방목
    1546년 가정25년병오10월초8일문[무]과식년방
    1546년 가정25년병오10월11일문[무]과중시방
    1577년 만력5년정축10월초6일무과별시방목
    1603년 계묘춘별시방
    1635년 숭정8년을해9월초4일알성문과방목
    1665년 강희4년10월25일별시문과방목
    1795년 숭정3을묘추합6경경과정시문무과전시방목
    868명(8회)
    2015 1705년 을유증광별시문무과방목
    1710년 경인춘당대정시방목
    1798년 숭정3무오식년문무과전시방목
    133명(3회)
    2017 1687년 정묘식년무과방목 108명(1회)
  4. 정해은, 「조선시대 武科榜目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軍史』 第47號,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2002. 논문 부록에 무과 단독방목 1회와 문무과방목 131회(중시방목 6회 포함), 총132회의 현전하는 문무과방목이 소장처와 함께 정리되어 있다.(1594년 “萬曆二十二年甲午正月日別試武科榜目”은 임진왜란 중에 경상좌도 지방에서 무과만 단독으로 설행된 방목이다.) 미구축 2회분은 1522년 고려대학교 소장본과 1549년 山氣文庫 소장본이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소장 여부가 확인이 안 되었고, 산기문고는 고서점 通文館을 운영했던 山氣 李謙魯(1909~2006)의 개인 문고이다. 통문관에 연락한 결과 『山氣文庫目錄』(國學資料保存會, 1974.)에 나오는 이 방목은 소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매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5. 양창진,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정보화 사례 연구 - 집단지성에 의한 사료의 복원」, 『東洋古典硏究』 제56집, 동양고전학회, 2014. 9.
  6. HOLLIS Classic(http://lms01.harvard.edu/F/45MMT4E27GUFJI53DLN9V9YGASKJI54X94MRL6GJJVJ7VJKTJB-50686?RN=184345841&pds_handle=GUEST, 2016.9.11.)
  7. 蓮桂: 蓮榜은 사마방목, 桂榜은 문과방목을 뜻한다. 또 문과방목을 龍榜, 무과방목을 虎榜이라고 稱하여 문무과방목을 龍虎榜目이라고 부른다.
  8. 『蓮桂榜目』(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 (1616)])
  9. 1393년(태조 2) 癸酉 式年試, 1396년(태조 5) 丙子 式年試, 1399년(정종 1) 己卯 式年試, 1401년(태종 1) 辛巳 增廣試.
  10. 1594년(선조 27) 萬曆二十二年甲午正月日別試武科榜目은 임진왜란 중 병력 충원을 위한 지방(경상좌도)에서 무과만 실시된 單獨榜目이다. 현재 무과 단독방목으로 유일본이다.
  11. 조선시대 문무과방목 목록(http://dh.aks.ac.kr/~sonamu5/wiki/index.php/SEDB:무과_단회방목_소장처_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