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B:잡과 종합방목 및 단과방목

sonamu5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잡과 종합방목 및 단과방목

기술관을 선발하는 잡과는 문과처럼 일찍부터 방목을 집성하였다. 종합방목인 雜科榜目 뿐만 아니라 각 과목의 종합방목인 單科榜目을 만들었다. 또한 단회방목도 존재하고 있다. 물론 단회방목은 별도로 작성된 것은 아니고, 식년시 또는 증광시 문무과방목 뒤에 붙어서 존재하고 있다.

잡과 종합방목 및 단과방목
과목 방목명 소장처 수록 연한
1 잡과 雜科榜目 규장각 권마다 다름
2 역과 譯科榜目 국중도 1498(연산 4)~1891(고종 28)
3 象院榜目 국편 1568(선조 1)~1740(영조 16)
4 司譯院榜目 규장각 1498(연산 4)~1867(고종 4)
5 譯科榜目 규장각 1498(연산 4)~1891(고종 28)
6 譯科榜目 규장각 1498(연산 4)~1891(고종 28)
7 譯科榜目 장서각 1498(연산 4)~1870(고종 7)
8 象院科榜[司譯院榜目] 하버드옌칭 1498(연산 4)~1880(고종 17)
9 의과 醫科榜目 고려대학교 1498(연산 4)~1885(고종 22)
10 醫科榜目 고려대학교 1756(영조 32)~1885(고종 22)
11 醫科榜目 국중도 1498(연산 4)~1874(고종 11)
12 醫科榜目 국편 ?~1891(고종 28)
13 醫科榜目 규장각 1498(연산 4)~1870(고종 7)
14 醫榜 규장각 1498(연산 4)~1870(고종 7)
15 醫科榜目 천리대학 1498(연산 4)~1894(고종 31)
16 醫科榜目 하버드옌칭 1498(연산 4)~1880(고종 17)
17 醫科榜目 하버드옌칭 1498(연산 4)~1894(고종 31)
18 음양과 雲科榜目 국중도 1713(숙종 39)~1879(고종 16)
19 雲觀榜目 규장각 1713(숙종 39)~1885(고종 22)
20 觀象監榜目 규장각 1713(숙종 39)~1867(고종 4)
21 雲科榜目 하버드옌칭 1713(숙종 39)~1874(고종 11)
22 율과 律榜 규장각 ?~1827(순조 27)
23 律科榜目 규장각 ?~1861(철종 12)
24 律科榜目 하버드옌칭 1609(광해 1)~1861(철종 12)


단과방목은 동일한 서명 또는 다른 이름으로 여러 소장처에 산재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단과방목들을 종합해서 1990년에 『朝鮮時代 雜科合格者 總覽』이란 책으로 간행하였다. 이것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방목 전산화의 시초이다.

▷ 1. 잡과 종합방목 및 단과방목
▷ 2. 잡과 단회방목
▷ 3. 잡과 설행회수
▷ 4. 잡과 합격자수


▷ 1. 문헌 자료 아카이브의 구현 목적
▷ 2. 과거의 由來
▷ 3. 고려문과방목 조사 분석
▷ 4. 문과방목 조사 분석
▷ 5. 무과방목 조사 분석
▷ 6. 사마방목 조사 분석
▷ 7. 잡과방목 조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