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대표적인 인공지능 사례 살펴보기

red

김태형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3일 (월) 05:36 판

〈인문학과 인공지능〉 강의 페이지로 돌아가기

Netflix의 Cinematch


요구사항
Quote-left.png Netflix의 Cinematch에 대한 내용 및 그와 관련해 다루어진 인공지능 기술의 맥락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할 것. 〔숀 게리시 지음/이수겸 옮김,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지스퍼블리싱, 2019, 103-152쪽.〕을 기본 원고로 하여 기초 정보를 정리하되, 웹에서 추가적인 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를 찾아서 보완할 것. Quote-right.png


과제원고 : 김웅기, 김태형, 장민주

넷플릭스란 무엇인가?

넷플릭스

넷플릭스.png
  • 1997년 설립, 비디오와 DVD 대여 사업으로 시작해 현재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 점유율 30%의 대형 미디어 회사이다.
  • 고객의 이용 패턴 등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한다. 영화 감상 패턴을 분석하여 영화를 추천하는 등의 서비스가 빅데이터 활용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넷플릭스 프라이즈는 무엇인가?

리드 헤이스팅스.jpg

넷플릭스 프라이즈는 넷플릭스에서 2006년부터 3년간 주최한 영화 추천 알고리즘 시네매치의 성능 개선 대회이다. 시네매치는 넷플릭스에서 자체 개발한 것으로, 더이상 성능을 개선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되자 데이터 과학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100만 달러를 걸고 넷플릭스 프라이즈 개최를 공지했다. 해당 대회의 우승 조건은 시네매치의 성능을 1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100만 달러에 달하는 상금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으나, 넷플릭스 CEO 리드 헤이스팅스는 영화 추천 알고리즘이 10% 이상 개선되었을 때 얻을 이익이 상금을 상회할 것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 답변했다.


IBM의 Watson


요구사항
Quote-left.png IBM의 Watson에 대한 내용 및 그와 관련해 다루어진 인공지능 기술의 맥락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할 것. 〔숀 게리시 지음/이수겸 옮김,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지스퍼블리싱, 2019, 268-322쪽.〕을 기본 원고로 하여 기초 정보를 정리하되, 웹에서 추가적인 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를 찾아서 보완할 것. Quote-right.png


과제원고 : 아슈토시, 이만호, 임연

(내용 작성)




DeepMind의 AlphaGo


요구사항
Quote-left.png DeepMind의 AlphaGo에 대한 내용 및 그와 관련해 다루어진 인공지능 기술의 맥락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할 것. 〔숀 게리시 지음/이수겸 옮김,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지스퍼블리싱, 2019, 323-384쪽.〕을 기본 원고로 하여 기초 정보를 정리하되, 웹에서 추가적인 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를 찾아서 보완할 것. Quote-right.png


과제원고 : 길혜빈, 윤석만, 임예찬

(내용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