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작품 특징) |
(→개요)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파일:남강이승훈.jpg|300px|섬네일|남강 이승훈의 모습]] | [[파일:남강이승훈.jpg|300px|섬네일|남강 이승훈의 모습]] | ||
− | [[아버지]]는 | + | [[아버지]]는 1929년 오산중학교 재학 당시 남강 이승훈과의 만남에 대한 황순원의 기억이 묘사되어 있는 단편소설이다. 황순원은 이승훈을 두고 “그 때 이미 선생은 현직 교장으로는 안 계셨는데도 하루 걸러끔은 꼭꼭 학교에 오셨다. 언제나 한복을 입으신 자그마한 키, '''새하얗게 센 머리와 수염, 수염은 구레나룻을 한 치 가량 남기고 짜른 수염이었다.''' 참 예쁘다고 할 정도의 신수시었다. 그때 나는 남자라는 것은 저렇게 늙을수록 아름다워질 수도 있는 것이로구나 하는 걸 한두 번 느낀 것이 아니었다.”<ref>김종희. (1995). 황순원 특집:<거리의 부사>에서 <신들의 주사위>까지 문학적 연대기:문학의 순수성과 완결성, 또는 문학적 삶의 큰 모범-「나의 꿈」에서 「말과 삶과 자유」까지. 작가세계, 7(1), 18-49.</ref>고 묘사하고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인 『문학』에 3·1운동 기념으로 실린 5편의 소설 중 한 편으로, 이 소설들은 모두 10월 인민항쟁을 소재로 하고 있다. <ref>김현구의 「산풍」 , 황순원의 「아버지」 , 전명선의 「방아쇠」 , 박찬모의 「어머니」 , 강형구의 「연락원」이다. </ref> |
====작품 특징==== | ====작품 특징==== |
2020년 7월 1일 (수) 00:33 기준 최신판
개요
아버지는 1929년 오산중학교 재학 당시 남강 이승훈과의 만남에 대한 황순원의 기억이 묘사되어 있는 단편소설이다. 황순원은 이승훈을 두고 “그 때 이미 선생은 현직 교장으로는 안 계셨는데도 하루 걸러끔은 꼭꼭 학교에 오셨다. 언제나 한복을 입으신 자그마한 키, 새하얗게 센 머리와 수염, 수염은 구레나룻을 한 치 가량 남기고 짜른 수염이었다. 참 예쁘다고 할 정도의 신수시었다. 그때 나는 남자라는 것은 저렇게 늙을수록 아름다워질 수도 있는 것이로구나 하는 걸 한두 번 느낀 것이 아니었다.”[1]고 묘사하고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인 『문학』에 3·1운동 기념으로 실린 5편의 소설 중 한 편으로, 이 소설들은 모두 10월 인민항쟁을 소재로 하고 있다. [2]
작품 특징
아버지는 황순원이 1946년의 10월 인민 항쟁[3]을 소재로 한 단편소설이다. 작 중 화자의 아버지는 3.1운동 당시 청년교사로서 항쟁에 적극 참여했다. 그는 이로 인해 1년 반 동안 형무소에서 생활하게 된다. 그와 함께 수감된 죄수로는 같은 일로 들어온 박씨,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붙들려온 청년, 그리고 남도의 젊은 농사꾼이 있었다. 해방 후 '아버지'는 우연히 거리에 나갔다가 함께 수감생활을 했던 남도 사람을 만났다. 남도 사람은 10월 항쟁에 가담했기 때문에 서울로 피신해 와 있는 것이었다. 아버지는 3.1 운동을 소재로 글을 쓰려는 아들에게 남도 사람 이야기를 꺼내며 3.1 운동과 10월 인민 항쟁이 같은 맥락에 있음을 일러준다. 황순원에게 영향을 준 남강 이승훈의 모습은 작 중 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록 · 발표지면
《문학》 (1947.02) [4]
단편집 『목넘이마을의 개』 (1948.12.육문사) [5][6]
『황순원 전집 2』 (1992.04.15. 문학과 지성사)
각주
- ↑ 김종희. (1995). 황순원 특집:<거리의 부사>에서 <신들의 주사위>까지 문학적 연대기:문학의 순수성과 완결성, 또는 문학적 삶의 큰 모범-「나의 꿈」에서 「말과 삶과 자유」까지. 작가세계, 7(1), 18-49.
- ↑ 김현구의 「산풍」 , 황순원의 「아버지」 , 전명선의 「방아쇠」 , 박찬모의 「어머니」 , 강형구의 「연락원」이다.
- ↑ 미군정의 강압적인 식량 공출정책에 불만을 지닌 노동자의 파업과 항거
- ↑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이다. 황순원은 해당 기관지에 단편 「황소들」과 「아버지」를 함께 투고한다.
- ↑ 여기에서 '목넘이 마을'은 황순원의 외가가 있던 평안남도 대동군 재경면 천서리를 뜻한다.
- ↑ 남한 단독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던 12월, 황순원은 해방 후의 단편만을 모은 『목넘이마을의 개』를 간행한다. 《신천지》, 《개벽》등에서 발표되었던 당시의 피폐한 사회와 삶의 모습을 담은 일곱 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현실의 구체성과 자전적 요소들이 잘 드러나는 작품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