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LDC(2022)Research2

red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2) 강의 페이지로 가기


조선시대 성북동의 누정들

-三人臺, 日休堂, 泉石亭, 城樂園, 飮碧亭에 관한 기록을 중심으로-




목차

Contents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데이터 연구결과 참고자료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성북동의 누정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공간들에 대해 써진 한문학 텍스트 (에 나오는 개념어, 표현, 사람이나 자연물, 또는 누정의 이름), 관련된 사람이나 이벤트 등을 분석하여, 이 공간들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공간의 이면을 발견함으로서, 세 누정이라는 공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분석과 아카이빙을 동시에 진행하나, 둘 중에서는 아카이빙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하였다. 성북동에 있는 누정들을 데이터와 네트워크 맵이라는 매개체로 시각화하고 나타내는 데 주력하였다.


한문학 텍스트의 분석의 경우, 누정을 다룬 한문학 텍스트에서 특정 개념어들이 어떤 방식으로 설명되는지 비교하며 분석하였다.


누정들의 분석의 경우, 누정들의 속성, 누정들의 목적이나 관련 이벤트 등을 비교 분석하며 어떻게 비슷하고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특히 조선시대를 넘어서 남아 있던 누정은 시간과 시대 변화에 따른 누정의 변화 역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성북동의 누정들이라는 공간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아카이빙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사람들이 간편하게 그 공간의 의미와 역사를 되새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문학과 데이터라는 두 분야의 융합과 시각화으로서 일반인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고자 하며, 데이터를 통한 분석에도 힘을 써 분석 면에서의 학술적 가치 역시 추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성북동에 있는 다섯 누정들 일휴당(日休堂), 천석정(泉石亭), 삼인대(三人臺), 성락원(城樂園), 음벽정(飮碧亭) 과 그에 관련된 텍스트들을 연구 대상으로서 삼았다.



일휴당(日休堂)

다음 작품 (일휴당기, 일휴당기 2, 일휴당기 3)은 모두 똑같은 누정인 일휴당에 대해서 이야기하나, 각자 두는 초점이 다르다. 쉼(休) 이라는 개념어와, 누정의 주인인 용암 김상국에 대한 언급이 모두 나온다. 다만, 같은 개념어를 두고서도 서로 다른 방법을 활용해 설명한다.

日休堂記

華嶽之下, 多淸邃之境, 城北洞其一. 洞有一小亭, 背巖臨流, 卽蓉庵金相國舊庄別業也. 相國扁之曰:‘日休堂’, 相公早歲立揚, 歷踐內外, 位躋將相, 民憂國計, 一念憧憧, 有可休之日乎?

북한산(華嶽)아래에, 맑고 깊은 경계가 많은데, 성북동城北洞이 그중에 하나이다. 동네에 작은 누정樓亭이 하나 있는데, 큰 바위를 등뒤로 하고 앞으로는 개울이 흐르니, 바로 용암蓉庵 김金 상국相國의 옛 전장田庄의 별업別業이다. 상국相國께서 편액을 써서 걸기를 ‘일휴당日休堂’이라 하였는데, 상공相公이 이른 나이에 과거에 급제해 내직과 외직을 두루 거치면서 장상將相의 자리까지 올라, 민생에 대한 걱정과 국가를 위한 계책에 있어 일관되게 마음을 놓지 않으셨으니, 이제는 쉬실 때가 된 것인가? 坐於草樹招提之裏, 而私意馳騖則身逸而心勞, 處於牒訴倥傯之中, 而公心周徧則身勞而心逸. 身雖逸而心勞則非所謂休也, 身雖勞而心逸則乃所謂休也. 服食器用, 適可而止, 不役於物, 辭受取予, 隨幾而行, 惟當於理, ‘無入而不自得’, 此心常休.

초수草樹가 초제招提한 속에 앉아 있으면서 사사로운 마음이 분주하게 치달으면, 몸은 편안한데 마음이 수고롭고, 첩소牒訴가 공총倥傯한 중에 처해 있으면서 공변된 마음이 두루 퍼지면, 몸은 수고로운데 마음이 편안하다. 몸은 편안한데 마음이 수고로우면 소위 ‘쉼(休)’이 아니고, 몸은 수고롭다 하더라도 마음이 편안해야 이른바 ‘쉼(休)’이라 할 것이다. 의복과 음식과 그릇과 사용하는 물건(服食器用)은 적당한 정도로 그쳐 외물에 휘둘리지 않으시며, 사양하고 받고 취하고 주는 것(辭受取予)은 기미를 따라 행하여 이치에서 벗어나지 않으시니, ‘어떤 상황에서도 자득하지 않음이 없음(無入而不自得)’[15], 이런 마음이야말로 늘 쉼이다.


(일휴당기 1은 쉼(休) 이라는 개념어의 의의에 집중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득하지 않음이 없음(無入而不自得)" 이라는 말을 사용해 쉼 이 어떤 것인지 설명한다. ) (또한, 일휴당기 2의 정의와 비슷하게 쉼과 그렇지 않음의 구분이 비교적 명확하다. 다만 일휴당기 2처럼 동의어(美)나 일휴당기 3처럼 반의어 (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동양 고전 (중용)의 말을 끌어다 개념어를 설명했다는 것에 특이점이 있다.



日休堂記2

勞思休情也。有莫之然而爲者。有有所爲而爲者。有不可已而爲者。君子勞心。小人勞力。萬物勞於氣。心無休時。力有時而休。氣有休有不休。希有鳥摶扶搖九萬里而以六月息。鳶傅于天而或止於林樊。川之流不舍晝夜。不至海則不止。其在於人也。農休于秋。行旅休于夕。士之學也。俛焉日有孶孶。其仕也鞠躬盡瘁。皆畢其生而後已。然冥行者有鍾漏之譏。勇退者有江湖之憂。是知所休者力。所不能休者心也。

수고로우면 쉴 생각을 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해도 그렇게 되는 경우도 있고,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되는 경우도 있다. 군자는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소인은 힘을 수고롭게 하며, 만물은 기를 수고롭게 한다. 마음은 쉬는 때가 없으나, 힘은 쉬는 때가 있고, 기는 쉴 때가 있고 쉬지 않을 때가 있다. 드물지만 새 중에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구만 리나 가며 6개월을 가서야 쉬는 것이 있다. 솔개는 하늘로 날아오르지만 때로 숲에서 멈추기도 한다. 시냇물이 흐르는 것은 낮과 밤을 쉬지 아니하며, 바다에 이르지 아니하면 멈추지 않는다. (이런 것은 사람에도 있는데,) 농부는 가을에 쉬고, 나그네는 저녁에 쉬고, 선비는 날마다 부지런히 배움에 힘쓰고, 벼슬할 때에는 마음과 몸을 다하여 나랏일에 이바지하다, 그 생을 다 마친 후에야 그친다. 그러하니, 벼슬길에 나가 어두운 길 가는 자들은 벼슬살이를 한다는 비웃음이 있으며, 용감히 물러난 자에게는 강호의 근심이 있으니, 이에 쉬는 것이 힘이고, 쉬지 못하는 것은 마음임을 알겠다.

丞相蓉庵公枚卜數月。力辭去位。退居于東墅舊築。有泉一絃。有峰數笏。有書一束。怡然有出塵之想。以書命章錫曰吾日日休於此。以是名吾堂。子其記之。 승상 용암공 (金炳始)은 몇 달간 매복(枚卜)되어 있었으나, 애써 사양하고 그 자리를 떠나고 물러서서 동쪽의 옛 별장에서 지냈다. 한 줄기 샘이 있고, 몇 개의 홀처럼 생긴 산봉우리가 있고, 한 묶음의 책이 있었기에, 기쁘게 세속 세계를 벗어난 생각이 있었으니, 이에 편지글을 써서 나에게 명령하시기를, "내가 날마다 이곳에서 쉬고 있으니, 이것으로서 내 집 이름으로 하고자 하네. 자네가 기문을 써 주게." 라 하시었다.

嗚呼。公契合明良。身都將相。憂虞之會。百責埤益。盖未甞一日休也。而亦未甞一日忘退也。今几舃少暇而戀主之心。如川流之赴海。憂世之志。如農夫之望秋。顧安能浩然若行旅之得歸乎。況公之不宜休者有五。年未至矣。時方艱矣。用未究矣。主知隆矣。蒼生之望切矣。將恐謝傅之棊局。未了於東山。而君實之手板。蹶然於中夜。心之勞矣。休於何有。 하아. 공께서는 자신을 알아주시는 어진 임금을 만나서 몸소 장수와 재상을 다 하시어, 근심과 걱정이 모이며 많은 책임이 더해졌으니 대개 일찍이 하루도 쉰 날이 없었지만, 또한 일찍이 하루도 물러날 생각을 잊은 적이 없으셨다. 지금 궤석(정승 벼슬아치가 신는 신발)에서도 잠깐 한가할 때가 있을 때에도 임금님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시냇물이 흘러 바다로 향해 가는 것과 같고, 세상에 대해 걱정하는 뜻은 농부가 가을때(추수)를 바라는 것과 같으니, 생각컨데 어찌 능히 호연하게 나그네가 집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을 수 있겠는가? 하물며(게다가) 공께서 쉬시기가 마땅하지 않은 이유가 다섯이 있다. 나이가 아직 때(물러나야 할 때)에 다다르지 않았고, 시국이 바야흐로 어려우며, 자신의 도를 다 쓰지 못하였으며, 임금님으로부터 대우를 성대하게 받고 계시고, 백성들이 거는 기대가 간절하기 때문이다. 장차 아마도 사부의 바둑이, 동산에서 끝나기도 전에, 군실의 수판이 한밤중에 뛰어 벌떡 일어날 것인데, 마음을 수로곱게 하심에 쉼이 어디 있으시겠는가?

周書曰作德心逸日休。名其在玆乎。公曰否否。公雖不自居。其指有相近者。休之爲美。取義乎安息。心苟安矣。安往而不休。安之如何。物來順應。事去則已。金革百萬。飮水曲肱。隨遇而一致。則是金門黃閣。亦猶綠野平泉。用舍行藏。無所處而不休休矣。用是爲公祝。

주서에 이르시길, "덕을 베풀고 행하면 마음이 편안해져 나날이 아름다워진다"고 하였으니, 그(이 집의) 이름이 아마도 이 말에서 온 것인가. 공께서는 "아니다, 아니야."라고 하셨다. 공께서 비록 자처하지는 않으시지만, 그 취지가 서로 가까운 점이 있다. 쉰다 (休)라는 글자가 아름답다(美)라는 의미가 되는 것은, 안식(安息)에서 뜻을 취하여서이다. 마음이 참으로 편안하다면, 어디를 간들 쉬지 못하겠는가? 편안한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물이 다가오면 순응하고, 일이 지나가면 곧 그만두어서, 병사 백만을 거느리는 것과 홀로 물을 마시고 팔뚝을 베고 자는 것을 각각 처하게 되는 경우를 따라 하나의 이치로 실천하면, 이는 즉 금문과 황각이 녹야와 평천 같으리니, 용사행장 (벼슬에 나아가 도를 행하거나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함)에 있어 처하는 곳마다 아름답고 평온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일휴당기 2의 전반부는 쉼(休) 이라는 개념어의 의의에 집중하며. 쉬는 때가 있다는 서술에서 '쉬는 것과 쉬지 않는 것'의 대비를 새, 시냇물, 농부, 선비 등의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중반부는 앞에서 이야기했던 쉼의 개념을 이어서, 누정의 주인인 용암 김상국이 지금 쉬시기에 마땅하지 않음을 주장한다. 후반부는 일휴당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 설명하며, 아름답다(美)라는 개념어를 등장시켜 이와 같은 뜻임을 설명하며 쉼의 뜻을 제공한다.)

일휴당기2 에서 보이는 독특한 쉼(休) 이라는 개념어의 설명 방식은, 동의어가 되는 개념어(美)를 사용해 설명하며, 쉼과 쉬지 않음의 대비를 명확하게 하여 설명하였다는 것이다.

日休堂記3

日休堂記3

人之恒言曰:“老則休”. 此以休身而言, 非休其心之謂也. 心之休, 何待乎老, 而苟得其休, 亦可以樂而忘老矣. 傳云:‘仁者壽’, 又云:‘愷悌君子, 求福不回’, 其道未嘗不由於休其心, 而其身之休不休, 固不足論也.

사람들은 늘 말하기를, “늙으면 쉰다”고들 한다. 그것은 몸을 쉬는 것에 대한 말이지 마음을 쉼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마음의 쉼이 어찌 늙음을 기다리겠으며, 진실로 그 쉼을 얻으면 또한 즐기면서 늙음을 잊어버릴 수 있다. 전하는 말로, ‘인자한 사람은 오래 산다’고 했고, 또 『시경』에 이르기를 ‘용모와 기상이 화평하고 단아한 군자는, 복을 구하는 것이 간사하지 않다’고 하였으니, 그 도는 일찍이 마음을 쉬게 하는 데서 연유하지 않은 적이 없으며, 그 몸의 쉼과 쉬지 않음은 진실로 (도를) 논하기에 부족하다.


蓉庵傅相於東山別墅, 新搆小堂, 顔之以日休. 或疑之曰:“今吾君待公而爲政, 吾民恃公而爲生, 使公而年已至, 尙不可以言休, 况年未至乎? 且以公體國之誠, 處調元之地, 宜其急病讓夷, 以光世篤之業, 而乃反謙退不居, 以休爲志, 甚非朝野所望於公者也.”

재상 용암(蓉庵) 김병시는 동쪽 산의 별서에 작은 집을 새로 짓고, 그 이름을 ‘일휴(日休)’라고 하였다. 혹자는 의구심이 들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금 우리 임금께서는 공을 의지해 정사를 펼치고 계시며, 우리나라 백성들은 공에게 기대어 살아가기에, 공이 연세가 이미 많음에도 오히려 쉰다는 말을 못하게 하였으니, 하물며 연세가 지극하지 않았을 때에라야? 장차 나라를 제 몸처럼 여기는 정성에 공변됨과 국정을 주관하는 재상의 위치에 처함으로, 의당 그 어려운 일을 해소하고 쉬운 일은 남에게 양보하여 대대로 두터운 업적을 빛냈음에도, 곧 도리어 겸손히 물러나 거하지 않고 쉬는 것으로 그 뜻을 삼았으니, 조야(朝野)가 공에게 바라는 바는 절대 아니다.”


昌煕曰: “否. 今夫晝而作者夕而休, 春而作者冬而休, 作與休相爲循環. 其作也勞, 其休也怠, 而不得其節, 皆凡民也. 賢士大夫亦多不能免焉, 惟公則不然, 其平居無日而不休, 亦無日而不作也. 進思贊襄, 而自守恬靜, 故有至淸不撓之德, 退思調養, 而常存憂愛, 故有至誠無息之功. 凡所以彌綸默運, 匡濟時艱者, 其爲術莫不本之於作與休爲一致也. 是以銓衡絲綸金穀卒乘之泛應曲當, 而未嘗爲勞, 則公雖作焉而其休固自在也. 圖書琴尊園林泉石之隨境取適, 而亦不足爲佚, 則公雖休焉而其作尙未已也. 且公之優閒於此堂, 晩節淸福之所由完也, 可以模楷一世而坐鎭雅俗矣. 公之安慮於此堂, 嘉猷碩畫之所由得也, 可以膏澤斯民而對揚聖化矣. 噫, 子之謂公志已决於釋負而已者, 淺之乎知公之日休也夫。

나(창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렇지 않다. 지금 대저 낮에 일하는 자는 저녁이 되어 쉬고, 봄에 일하는 자는 겨울이 되어 쉬니, 무언가를 하는 것과 쉬는 것은 서로 순환한다. 일함은 수고로움이고 쉼은 게으름인데, 그 알맞은 정도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평범한 인민들이다. 현사와 대부 역시 대부분 그것을 면치 못하는데, 오직 공께서는 그렇지 않아서, 그 평소 거처하심에 쉬지 않으시는 날이 없으며, 또한 일하지 않으시는 날이 없다. 조정에 나아가서는 임금을 보좌함에 여념 없으면서도 평온함과 고요함으로 스스로를 지켰기에, 지극히 맑고 흔들리지 않는 덕이 있었으며, 조정에서 물러나서는 자신의 몸을 보살피는 데 여념 없으면서도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아끼는 마음을 늘 품었으므로, 끊임없는 지극한 정성과 쉼 없는 공이 있다. 무릇 미륜(彌綸)하고 묵운(默運)하여 세상의 어려움을 바로잡고 구제하는 것은, 그 방술됨이 일함과 쉼이 일치가 되는 것으로부터 근본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조정에 계시면서) 이조(銓衡)와 승정원(絲綸)과 호조(金穀)와 병조(卒乘)의 업무에 널리 응하고 세세히 잘 대처하시면서도 일찍이 수고롭게 여기지 않으셨으니, 공께서 비록 일을 하시는 와중에도 그 쉼은 참으로 자유자재했던 것이다. (조정에서 나와) 도서(圖書)와 금준(琴尊)과 원림(園林)과 천석(泉石) 사이에서 선경을 따라 유유자적하시면서도 또한 편안히 여기시기에 충분치 않았으니, 공께서 비록 쉬시는 와중에도 그 일함이 오히려 그치지 않으셨던 것이다. 장차 공께서 이 집에서 한가로이 지내심은 만년의 청복이 완연할 연유라, 당세의 모범으로 가만히 앉아서 아속을 진정 시키실만 하다. 공께서 이 집에 편안히 계시면서도 세속을 걱정하심은 훌륭한 계책을 터득하실 연유라, 백성들에게 은택을 내려 성상의 교화를 널리 알리실만 하다. 아! 그대가 공의 뜻이 의정(議政)의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으로 이미 결정된 것처럼 이야기한 것은, 공이 의도하신 ‘일휴(日休)’의 뜻을 겉핥기 정도로 아는 것일 뿐이다.”


(일휴당기 3은 쉼(休)의 의미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서술한다. 개념어를 설명할 때, 일휴당기 3은 독특하게 반의어(作)를 제공하여 설명한다. 일하다(作)라는 글자와의 대비를 통해 그 두 개가 서로 순환되는 것(作與休相爲循環)이라고 서술하며 쉼의 의미를 더욱 이야기한다.

일휴당기2와는 설명의 유사점이 있는데, 일휴당기 2의 첫 번째 단락과 일휴당기 3에서 쉼(休) 개념어를 설명할 때, 쉼과 일함의 대비를 한다는 면에서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다. 다만, 설명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과, 쉼이라는 개념어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에서 차이가 있다.

일휴당기 2는 김병시가 쉬기 마땅치 않음을 설명하기 위해 쉼(休) 개념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쉬는 때', '쉬기에 적합한 때' 와 그렇지 않은 때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쉼과 쉬지 않음(일함)을 분리된 개념으로 생각한다. 쉬는 '때' 나 그 때가 되는 조건에 집중한다는 것은 일휴당기 3의 두 번째 단락에서 인용된 사람의 주장에도 비슷하게 나타나 있다. 그 반대로, 일휴당기 3은 반의어(作)를 제공함으로써 쉼(休) 이라는 개념어의 의미 자체에 집중한다. 쉼과 일함이 대비가 되며 서로 순환하는 것은 맞으나, 서로 완벽히 떨어진 것은 아니며 알맞은 정도를 얻는다면(得其節) 두 가지가 공존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그 예시로서 김병시를 든다(其平居無日而不休, 亦無日而不作也). 그렇게 하며, 두 번째 단락에서 이야기하는 개념어의 정의를 반박한다.




城北洞泉石亭 幷引

城北洞泉石亭 幷引

城北洞泉石亭, 謁容齋尹議政告退. 相公挽執携筇, 同翫泉石之勝, 指點景槩. 亭之北扁萬松窩, 水閣曰不盈閣. 閣之前, 大石平舖, 可十餘間. 石之南, 詎巖特立, 高數丈, 廣可六七間. 巖之上, 老松二株大可數抱, 長亦數十丈, 枝幹廣達, 全覆石面. 杜鵑躑躅之屬, 雜錯於萬松之間, 閣下溪流, 水通石罅. 鏦錚之韻, 與松籟合奏笙簧琵琶之聲, 眞別洞天也。

성북동(城北洞) 천석정(泉石亭)에서 조정에서 물러난 용재(容齋) 윤 의정(尹議政, 윤용선)을 배알하였다. 상공은 지팡이를 짚는 것을 만류하고, 전원의 승경을 함께 완상하며 그림 같은 경치를 손으로 가리켜 보였다. 정자의 북쪽 편액은 만송와(萬松窩)이고, 물가의 누각은 불영각(不盈閣)이라 이름 하였다. 누각 앞에는 큰 돌이 평평하게 펼쳐져 있는데, 10여 칸 즈음 된다. 돌 남쪽에는 얼마큼의 바위가 우뚝 서 있는데, 높이는 몇 장이며 넓이는 6~7칸 즈음 된다. 바위 위에는 늙은 소나무가 두 그루 있는데 크기가 몇 아름은 되고 길이도 수십 장은 되며, 가지와 줄기가 넓게 뻗어 돌 표면을 모조리 덮고 있다. 두견과 척촉 따위가 온갖 소나무 사이에 섞여 있고, 누각 아래로는 시내가 흐르며 물은 돌 틈으로 통한다. 잘그랑 잘그랑대는 울림과 함께 소나무 사이를 스치는 바람이 생황과 비파와 합주하는 소리는, 그야말로 별세계 그 자체다.

城闉咫尺闢桃源。丞相菟裘爰處爰。 一道飛泉松底出。千羣啼鳥石頭喧。 桑楡縱趁懸車限。葵藿猶應戀闕恩。 爲賀玆區遭遇盛。偏因卜築世知尊。

성곽의 지척에 무릉도원이 열렸으니, 승상이 은거해 여기 산다네 한 줄기 폭포아래 소나무 돋아났는데, 뭇 모여 우는 새들은 돌머리에 지저귀네 뽕나무와 느릅나무 현거(懸車)의 경계를 좇는데, 해바라기 오히려 연궐(戀闕)의 은덕에 응하네 (*해석: 늙어버린 몸뚱이는 은거하길 바라는데, 임금님 향한 마음은 대궐로 향하도록 하네)

이 터를 만나 성대해질 것을 경하드리니, 여기 집을 지었기에 세상이 높일 줄 알게 되리라.



題三人臺 幷序

題三人臺 幷序

臺在城北洞品石山房之後, 壁鐫三人臺三字, 傍有辛亥二字. 傳說正廟時有新進學士三人, 讀書于此, 各欲占宅於此, 末乃以三人名臺而刻之云. 園今爲宜石金尙書別業. 壬戌秋。宜石公邀海藏及冕, 徜徉泉石之間, 冕率題焉.

삼인대(三人臺)는 성북동 품석산방 뒤에 있는데, 벽에 ‘삼인대(三人臺)’ 세 글자를 새기고, 옆에는 ‘신해(辛亥, 1791)’ 두 글자를 새겨 놓았다. 전하는 말로는, 정조 임금 때 새로 벼슬에 오른 학사 세 사람이 여기서 글을 읽다가 각자 이곳에 집을 마련하고 싶어 했는데, 나중에는 세 사람의 이름을 가지고 대(臺)로 삼아 새겼다고 한다. 지금은 의석(宜石) 김 상서(金尙書, 김응근)의 별업이다. 임술년(1862) 가을, 의석공이 해장(海藏, 신석우)과 나(조면호)를 맞이해 이곳 전원에서 노닐었는데, 내가 삼인대로 다음과 같이 글을 지었다.

近廓塵無到, 入山境愈新. 主翁與海叟, 對我成三人.

가까이에 먼지조차 닿지 않는데, 산 속이라 경계가 더욱 새롭구나.

주인옹과 해장옹 그리고, 나까지 마주하니 딱 세 사람이 되었구나.



성락원 (城樂園)

성락원은 이름부터 어떻게 불러야 할 지 주장이 다양해, 다양한 이름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칭: 서울 성북동 별서 (이 이름으로 명승으로 재지정됨) 1921년에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지형도에 ‘이강공별저(李堈公別邸)라고 표기되어 있음, 이해경 선생(이강공의 5녀)의 저서에 '성북동별장' , '이강공별저' 라고 불렀다고 함 춘파유고에는 쌍괴당(雙槐堂), 쌍괴누옥(雙槐陋屋), 쌍괴실(雙槐室)이라고 언급이 됨


조선시대의 정원이며, 경관이 아름답다.

안에 시냇물이 있는데, 이 시냇물을 기준으로 앞뜰, 안뜰, 바깥뜰로 나뉘어진다.

입구(앞뜰)에는 두 줄기의 계곡이 있는데, 앞뜰에서 그 두 줄기가 하나로 모이며, 그 계곡의 암벽에는 雙流洞天(쌍류동천)이라는 한자가 새겨져 있다.

그 안에는 안뜰{내원(內園)} 이 있고, 안뜰은 용두가산(龍頭假山)이 감싸고 있는데, 이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산이며 안뜰을 감싸서 깊이를 주기 위한 목적이며, 오래된 각종 나무들이 심어져 있어 숲이 울창하다. 다만, 1921년의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 지형도에 표시되어 있지 않아, 그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뜰에는 계곡의 암벽 아래에 작은 소(沼)(웅덩이)를 조성하였는데, 이름은 영벽지(影碧池)이다. 영벽지 안에는 괴석 하나가 물 안에 있다. 그 주위의 바위에는 청산일조(靑山壹條), 장외가(檣外家), 인수위소지(引水爲小池) 등 글씨가 새겨져 있다. 16미터*12미터 크기에 깊이는 약 1.5미터이며, 북쪽 암벽에는 물이 흘러내리는데, 그곳에 수로를 인공적으로 파고 3단 폭포를 만들었다. 폭포의 물들은 다 석구(돌절구)로 떨어지는데, 밑 폭포의 낙차가 제일 크다.

이 폭포 옆의 바위에는 전서체로 ‘靑山壹條(청산일조)’ 라고 새겨져 있으며, 웅덩이의 서쪽에 있는 암벽에는 ‘檣氷家 阮堂(장빙가 완당)’이라고 해서체로 새겨져 있는데, 이는 김정희(金正喜)가 쓴 것으로, 장빙가란 겨울에 고드름이 매달린 집이라는 뜻이다. 그 암벽 위에 “影碧池 海生(영벽지 해생)”, “百泉會不流 爲沼碧闌頭 自吾得此水 少作江湖遊 癸卯五月 孫文鶴書(온갖 샘물을 모아 고이게 하니 푸른 난간머리에 소가 되었네. 내가 이 물을 얻은 뒤부터 약간의 강호놀이를 하네. 계묘(1843년, 헌종9년) 5월 손문학 씀).” 이라고 새겨져 있는데, 해생(海生)이라는 호를 가진 사람(황윤명)이 쓴 것이다. 그 바로 위에는 “明月松間照 靑泉石上流 靑山數疊 吾愛吾盧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에 비치고 맑은 샘물은 돌 위에 흐르며 푸른 산이 몇 겹 싸여 나는 내 농막을 사랑한다).” 이라고 새겨져 있다.

영벽지의 동쪽 언덕에는 오래된 집 한 채가 남아 있는데, 농막 (농지 옆에 건설하는 작은 주택)의 본채이며,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이 살았다.

이 집으로부터, 숲 속에 돌계단이 하나 있는데, 그 계단을 올라가면 또 하나의 못이 있다. 그 못의 동쪽에는 최근에 지어진 ‘송석정(松石亭)’이라는 누각이 있으며, 못의 북쪽의 시냇물 곁에는 ‘松石(송석)’ 이라고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못 바위 사이에 큰 소나무들이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못으로 흘러내리는 계곡물은 중간에 작은 폭포들을 이루며, 그 계곡물의 상류에는 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물을 집수하는 목적으로 못이 하나 더 있다. 성락원 안에는 이렇게 총 3개의 못이 있으며,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활용하였다.


성락원은 주로 경승지로 오랫동안 이용되었다. 별서로 조성한 것은 조선 고종 때의 내관인 황윤명(黃允明, 1844∼1916)이며, 육교시사(六橋詩社) 시회(詩會)가 열리기도 하고, 갑신정변 당시 명성황후가 피난을 오기도 하며, 의친왕 이강(李堈, 1877~1955) 이 별궁으로도 사용하였다. 다만, 1927년 화재로 상당 부분이 손실되어서 현재는 그 별궁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 현재의 모습은 1961년 사실상 재탄생된 정원이다.


명승 제35호였던 성락원을 지정 해제하고, 서울 성북동 별서라는 새 이름으로 재지정이 되었다.



인수위소지(引水爲小池)

성락원 영벽지 주위에 새겨져 있는 글씨이자, 춘파유고에 수록된 시

百川會不流, 爲沼碧欄頭.

自吾得此水, 少作江湖遊.


온 시냇물 모아 흐르지 못하게 막고서, 연못 만들어 푸른 난간 둘렀어라.

나는 이 연못 생긴 후로, 강호 유람 발길 뜸해졌네.

북저유경 이수(北渚幽景 二首)

一首

洛陽城北卜新居, 十里無多五里餘
(번역문 입력)
林壑西南朝暮雨, 樓臺左右古今書
(번역문 입력)
舖石溪邊通路斷, 移花檻外補窓虛
(번역문 입력)
莫道名園無定主, 至今珍重愛吾廬
(번역문 입력)


二首

高峯萬丈正巖巖, 陋室深園遠世凡
(번역문 입력)
斷路難容遊客馬, 小溪不受釣郞帆
(번역문 입력)
十年拖几機中隱, 半世蒙恩口裡啣
(번역문 입력)
出處敢忘明主戀, 秋來多感淚盈衫
(번역문 입력)




한거부회 삼수(閒居賦懷 三首)

三首

三可樓前數曲溪, 茶煙水氣暗相携
삼가루(三可樓) 앞 여러 갈래 굽은 물줄기, 차 끓이는 증기와 수면 아지랑이가 몰래 서로를 이끄네
秋風自動籬花落, 谷霧初生岸樹低
(번역문 입력)
日晏鳴蟬無定所, 林深幽鳥不移棲
(번역문 입력)
心香一炷悠悠夢, 半在分明半在迷
(번역문 입력)



음벽정(飮碧亭)

https://archive.sb.go.kr/isbcc/home/u/story/view/849.do

민영환(閔泳煥) (1861~ 1905)의 별장이다. 민영환은 19세기 말부터 관료로 활동하였으며, 명성황후의 조카이며, 을사늑약에 반대하며 자결한 순국지사이다. 음벽정은 민영환이 많은 명사들과 교류하는 데 쓰였으며, 당시 청나라의 위안스카이(袁世凱)(1859~1916)도 음벽정을 방문하였다. 위안스카이는 민영환과의 교류뿐 아니라 외교 또한 목적으로 음벽정을 방문하였다고 한다. 위안스카이는 민영환 사망 후 음벽정에 다시 찾아와 추도시를 읊기도 하였다. 민영환 사망 후, 그의 동생이 소유하다가 1931년 일본인(五味安太郞)에게 소유권이 넘어간 후 1934년 한택수(韓澤洙)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그때부터(1935년) 요정으로 운영되었는데,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많았다.(1936년 8월 6일, 성북동 주민들이 음벽정의 요정 운영에 대해 진정 접수) 1939년 화재가 있었으나 한옥 건물 한 채가 타서 없어지는 데 그쳤다. 한국전쟁 이후, 온돌불을 너무 과하게 때다 화재가 나서 없어졌고, 현재는 연화사라는 사찰이 그 터에 있다.

사방이 숲과 나무로 둘려 있으며, 99칸 양옥과 한옥이 두루 지어진 곳이다. 마당과 정원에는 정원석과 괴석이 여러 개 놓여 있고, 숲에서 내려오는 물로 연못도 있었다고 한다. 안의 언덕 쪽에는 양옥들이 지여 있었다고 한다.

이름의 유래는 푸르름(碧)을 마시는(飮) 누정이라고 한다.



다음의 자료는 음벽정에 관한 근대 신문기사를 모아 추린 것이다.

다음 기사들에서 눈에 띄는 포인트를 하나 꼽자면 음벽정의 탈바꿈이다. 음벽정은 본디 고위 관료이자 순국지사 민영환의 별장으로, 정치적으로 유명한 사람들이 방문하며 국가의 정치와 외교를 논하는 곳이었으나, 1935년 이후 요정으로 운영되면서 깨끗하지 못하고 주변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문란한 요리점으로 전락하였다. 소유권이 이전되며 음벽정의 목적 자체가 바뀐 것이 큰 이유로 보인다. 이러한 음벽정의 모습은, 벼슬아치들이 드나들며 고상한 취미를 즐기던 성북구에 있는 다른 누정들과도 현격한 대비를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의 시대상 역시 보여 준다.



음벽정입구에서 자동차 전복곡예

조선일보 1937.04.27

닷도산과 충돌하고 얼떨떨해 땅재주, 운전수승객은 안면에 찰과상

이십륙일 오후령시이십분경에 조선료리점 음벽정 압 성북정 팔십번지 압길에서 경화탁시운전수 모석천이가 김윤석과 긔생하나를 태우고 전긔음벽정으로 올러가든 경제일천삼백삼십질호 '닷도산' 과 음벽정에 손님을 태여다주고 도라오든 안국탁시 경제구천이백팔십삼호가 정면충돌하야 닷도산이 대파하엿다 격동과유리조각에 전긔모석천과 승객정능리 김윤석은 안면기타에 중상을 입엇음으로 민대옷은 곳 자기차에 태여가지고 병원으로기든길애 성북정륙십번지의 삼십사호서 수옥 음식점압급 '카-부'에서 '부레-기'에 고장이생겨 그냥놉히두 '메-타' 가량되는개천으로 뛰여들이가 자동차는 한번뒤처 그냥 개천바닥에 떠러젓스나 기적적으로 전기부상자와 운전수는 더 부상은 안되엇스며 자동차도 그리 손상은되지안헛다 부상자두사람은 종로삼정목 정구충 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바덧스며 삼주일가량의 중상이라고하는 근래에 보기드문 진사고이다


(음벽정이 조선요리점으로 바뀐 이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기사이다. 음벽정을 목적지로 하고 가던 택시 안에 기생이 타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며, 간접적으로 음벽정이 기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음을 알려줌으로서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요리점이 아닌, 기생과 함께 노는 요리점(요정)임을 알 수 있다.)

음벽정에 화재 일동전소

조선일보 1939.02.08 칠일오전한시 부내성복정(성북정) 백십삼번지 조선요리점 음벽정 득설온돌방에서 불이나서 삽시간에 한동을 전소 한시반경에 진화되였는데 손해는약천원 원인은온돌에 불을너무때여 장판에불이단겨 이불에불이 부튼때문인데 다행히사람은상하지안헛다


(일제 시대, 음벽정의 주소가 성북정 백십삼번지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 곳에는 오늘날 연화사라는 사찰이 있다. 또, 음벽정의 역사에서 굵직한 사건 중 하나가 화재 사건인데, 해당 사건을 보도한 기사이다. )

기행 반일청유

조선일보 1940.05.20

(전략)

목교석교도건느고 큰길을 돌진하다. 자동차의 고함에 위협도 당하며 산복에 부튼 별장도 우르로고 석와로 까올린 문화주택도 사오초의 시선을 보내주고 음벽정이란 요리집이 저건너보인다. 음벽정이란 무슨뜻인가 오-라 산간에잇는 정이니 술잔에 파동하는 녹수의 영상을 마시는 고 음벽정인 모양이록군- 그름 봄꼿필때는 음홍정, 가을단풍에는 음란정, 겨을눈에는 음백정이라, 인연먼과리집 옥호연구는 무슨용이냐? 후내객에게 위양하겟다고 길거리에던저두고 다시한번 바라보니 호객승자동차일태 스르륵 전입체 망할것... 여프로 굽어올으니 잔디밧이다. 소슨 노송은 몃번의 한열과 풍상을 격것기에 늙다늙다 못해 말럿다.

(후략)


(음벽정의 이름을 바꿔 가며 서술해, 음벽정 누정 이름의 뜻 (푸르름을 마시는 누정) 에 대해 알 수 있는 기사이다. )

동경의 만주는 갓스나 숙원치부는 춘몽

조선일보 1937.04.10

주범류정호는 경기도 련천군 출생으로 부내제기정 일백 사십질번지에서량친을모시고 오막사리살림을하고잇든독신청년이다

(중략)

지난삼월 이십구일 오후류정호는 조선은행에서 현금이만원을찻자 당연히 대판본사에 부처야할 '송금전보'를 안치고저녁에회사에도라와서는 돈을 본사에 보낸것처럼 보이고 집으로도라갓다

(중략)

이튼날인 삼십일밤에는 일즉부터친교가잇든 천연정질식륙번치의 고중락 신설정팔십일번지에 사는 경성부청고원 조원방 욱정일정목에사는 경성토목협회 사무원 최창렬 아현정일백오십오번지의 려정균등 네명을불르고 동소문외 음벽정으로나가서 호유한다음 다시종로락원회관에가서 호음을하며 동모들에게 자신의범행을공개한다음 송별연을크게열엇다

(후략)


(성북동에 있는 다른 누정들과의 주된 차별점을 보여 주는 기사이자, 요정(요리점)으로의 전환이 음벽정에 어떻게 지대한 전환을 했는지 설명해 준다. 음벽정은 민영환의 별장이었을 때, 위안스카이 등 굵직한 정치가들을 만나 정치를 하며 크고 유명한 사람들이 중요한 일을 하는 공간이었다. 이는 성북동에 있던 다른 누정들도 비슷하여서, 주로 높은 벼슬을 하던 큰 사람이나 벼슬아치들이 자주 방문하였다. 다만 요정으로 전환된 이후의 음벽정은 호유(호화롭게 놈)하는 공간으로 바뀌었으며, 돈만 있으면 누구나 갈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

세리대독직사건

조선일보 1940.06.02

장안의양조업자들로 감시감독검사할입장에 잇는몸으로써도리어 그입장에잇슴을 기화로이들로부터 향응과뇌물을밧고 그들의 편리를보아준 전경성세무서간세꽈장 산전관삼을 비롯하여 동서속과 고원등구명과 양조업자 이십육명에대한대독직사건은 작년 경기도 경참부에 적발되어 경성지방법원검사국에 송국된후 동법원예심에 회부되어이래 엽견예심관사의손에 심리를 바다오던바 사건적발일년만인 이지음취조가끗낫스므로 일일 증수회와 증빙변조와 동교사의 죄명아래 삼십오명 전부를 유조;로결정하여 동법원공판에 회부되엇다

(중략)

부내여러곳의 양조업자들이 자기들의 편리를보아달라는 의미에서청하는 유흥장소에다니며 향음을밧고 또뇌물을바다먹은것인데 향음의회수는 소화십년이래 작년사건이 적발되기까지 사년남아에 전후약삼백회에 걸처서 주로부내 조선요리집 명월관, 천향원, 음벽정등에서 향음을바닷고 또 중원과 연말에는 양조업자들로부터 보내오는 적지안흔백화점상품권등을 바다온것이다

(후략)


(이 역시 음벽정이 옛 민영환의 별장이었다가 요리점으로 바뀌면서 어떻게 바뀌었는지 잘 보여주는 사료이다. 한때 국가의 외교를 하는 장소였던 음벽정이, 부패한 사람들이 향응과 뇌물을 받으러 다니는 고급 요리집으로 전락하였다. )

경성신명승순방 완 선농단피적전

동아일보 1936.04.05

(전략)

오늘은 동쪽으로나서서 새로경성의 명승지노릇을하게된유서깊은곳을찾기로되엇다.

도무포의 유하정, 동서빙고, 사한단, 성북정의선잠단, 음병정(음벽정), 돈암정의활인서 등이 명승고적이안됨은아니로되 그중에도 자미스럽고의미잇는것으로 추린것이 지금찾아든 용두정 선동단이다.

(후략)


(이 기사는 음벽정을 중심으로 한 기사는 아니되, 경성의 명승지 노릇을 하는 명승고적으로서 음벽정이 다른 유명한 곳과 어께를 나란히 하였다는 것이 당시 음벽정의 명승고적으로서의 지위를 보여준다. 요리점으로 바뀐 이후에도 명승고적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가치가 있는 곳이었다는 증명이다. )

(근대 신문기사 중, 음벽정에 대한 긍정적인 스탠스를 가진 몇 안 되는 작품이라 수록하였다)

철야영업이상투

동아일보 1939.03.23

철야영업이상투 동서관내요정에 통봉

작년 가을부터 부내각요리집에유흥하는 손님은 자정이후로는 받아서 안되는동시에 오전한시이후에는 문을닫고 영업을중지하라는당국의 지시로 부내가요정에서 만흔범칙을 하엿다가처벌을당한후로는요사와서이것이매우조흔성적으로실시되고잇는데그중부외한적한곳에잇는요리집과요리집별장등에는 취체경관의 손이잘미치지 안흠인지 이의실시가되어잇지안허 철야토록 영업을하고유흥을하며 심한데서는 기생과더부러 추잡한일까지잇다한다

그중에도 동대문서 관내에잇는 성북정 음벽정 정릉리 천향원 별장에 비난성이 자자한데 늦게까지 무제한으로 유흥할려는손님들은 예사로이곳에모여 철야를하야 당국의지정한 오전일시까지의시간제한을 무시하고잇다한다.

이곳들도 요리조합에 가입하야잇느니만큼 오전 일지까지의 영업이 원칙인데 이를무시하고잇음은 취제경관의 손이 미치지못한데 잇다는데 앞으로는 동서에서철저히취체하야 오전일시까지의영업방침을 엄수하리라는데 만약워반하는 업자는 가차의 용서없이 엄벌에 처하리라한다.


(요리점으로 전락한 음벽정은 주위 주민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여 비난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 정한 영업제한까지 어겨가며 영업을 하는 음벽정의 모습에서, 한때 외교를 위한 높은 공간이었던 음벽정과의 대조가 선명히 보인다. 또한, 기생과 더불어 추잡한 짓을 한다는 서술로서 음벽정이 보통의 요리점이 아닌 풍속업소였음을 알 수 있다. )

성북정요정촌화에 주민이 궐기진정

동아일보 1936.08.09

성북정요정촌화에 주민이 궐기진정 기설된음벽정에 칠개조건제출 도로개수 시간준수

성북정은 이상적 주택지라고 하여서 너도 나도하고 만히 나가살게 되엇는데 최근에 요리점이 생긴이후로 여러가지 불편한점이 만타고 마침내 정회에서 궐기하엿다.

성북정에 음벽정이 생긴이후 도로는 좁은데 자동차의왕래가 심하여 통행상뿐만 아니라 학교, 유치원, 례배당, 야학등이잇고 그외에 천오백여명의학생들이 유하고잇다. 선생 연구가등 팔십여명이 사는데 주야로 풍기상 자미롭지 못한일이만허 우려되며 위생상견지에서도 영향이 적지안허 은근히불만이 만튼중 최근에 들리는바에 의하면 또 료정이 설치된다는풍설을 듣고 성북정정회를열고 다음과같은 대표를 선정하여 지는육일 동대문서에 진정을하는동시에 음벽정측에도 다음과같은 요구를 오일에 제출하엿다한다.

(후략)


(이 기사는 음벽정이 주변 주민에게 불편을 주어 주변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였음을 보여 준다. 당시 성북동에 학교, 유치원, 예배당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풍기상 자미롭지 못한 일이 음벽정 때문에 있었다는 서술로서 음벽정이 보통 요리점이 아니라 풍기를 문란하게 하는 곳이었음을 보여 준다. 그 이전까지는 성북동이 이상적인 주택지여서 많은 사람들이 살았음 역시 보여 준다. 또한, '최근'이라는 서술로부터 음벽정이 요리점으로 바뀐 날짜가 1936년 8월 9일의 최근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

더허가치안는다

동아일보 1936.08.09

더허가치안는다 도로의불편은 수리 동대문서보안주임담

이문제에 대하야 소관 동대문서 이 보안게주임은 다음과같이 말한다.

요리점으로 음벽정은 이왕 허가된것이지만 앞으로 다른요리점은 허가하지안할 방 침입니다. 그리고 자동차 통행 도로에 대해서 여러가지 불편 이 잇다는것도 일즉 느껴온바 이지만 음벽정으로서도 다리를 노코 자동차 돌릴수잇는 넓은 마당을 만들은 일도없읍니다.

하여간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하야 수리하기를 가급적 권고는 하겟으나 강제할 수는 없읍니다.


(바로 전 기사에서 설명된 주민들이 제기한 민원에 대해, 소관 정부기관 인원이 답변을 단 내용이다. 정부 쪽에서도 음벽정이 문제가 됨을 인지하였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요정의 허락을 내주지 않기로 하였으나, 음벽정에 대해서는 권고만 할 뿐 강제를 할 수는 없음을 설명한다. )

주식에 실패코 결사적무전음식

조선일보 1938.02.01

주식에실패코 결사적무전음식 독약을품고 요정행각

주식에실패한후 '칼모틴'을가지고 결사의각오로 무전취식한자가 동대문서에붓들렷다 부내태평통이정목이백륙십팔번지 주운성은 최근주식에실패하고 울분을풀려고하엿든지 장곡천정 일백륙번지 황실경외한명을다리고 이십팔일오전한시부터 삼십일오전한시까지만이일간 성북정 음벽정에서 기생네명을부르고 일백오십일원의 무전취식을한후 동대문서에 붓잡혀왓는데 음벽정에가기전에 부내동명관, 명월관에서도 약이백원어치 외상술을먹엇다는데주의 품속에서는 다량의 '칼모틴'이 나왓슴으로 자살할염려가잇서 류치장속에서도 특별감시를 밧고잇다한다


(1930년대의 화폐 가치로, 1000원이면 경성에 살기좋은 기와집 한 채를 살 수 있는 돈이었다고 한다. 음벽정에서 기생을 부르고 술을 마시며 151원의 무전취식을 하였다는 대목에서 음벽정의 호화로움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취중만용

조선일보 1937.10.11 섯물이법률지식을미천으로 변호사사무원의 취중만용부내봉낸정사정목 이백팔십구번지 모변호사사무원 문성봉은 십일새벽다섯시반경 동소문박요리집 음벽정에서 술을 질텅히 마시고 경화탁씨를 타고 도라오든길에 인사정백오십륙번지 삼성조아페와서 운전수에게 요설행패를하다가 제지하는경관에게 달려부텃다가그대로 종로서류치장으로드러갓다


(이 기사 역시 음벽정이 보통의 음식점은 아니었음을 보여 준다. 새벽 다섯시 반까지 술을 팔며 영업을 하였다는 점을 볼 수 있고, 이런 영업이 앞에서 소개했던 많은 민원의 사유 중 하나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 방법


먼저, 연구의 주 목적인 성북동의 누정들의 정보 아카이빙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의 경우, 세 누정이 각각 어떠한 속성/관련/개체 등을 가지는지 분석한 후, 각각 누정들이 가지는 속성/관련/개체를 비교하고 서로 어떤 연관성이 있고 다른 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일부 누정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재와 과거의 차이가 현격하고, 또 다른 누정들과의 차이가 현격하게 나는데, 이런 변화와 차이 역시 데이터와 온톨로지 맵을 통해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라는 주요 이벤트나 소유권의 이전이 누정들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역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 누정을 다룬 문학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중요한 개념어 쉴 휴(休) 역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샘플링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클래스(Class)

클래스
명칭 설명
문집 작품들이 들어 있는 문집
작품 개별 작품들
인물 관계를 맺는 인물들
장소 중요하게 언급되는 장소들
표현 제일 다양한 분류; 어떠한 개체를 언급하거나 설명할 때의 표현
유형(문체) 개별 작품의 유형과 문체
속성 생년이나 목적 등 구체적 속성



관계(Relation)


관계어 명령어 설명
수록하다 contains 문집과 작품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언급하다 mentions 작품에서 언급된 특정 정보를 작품과 연결
작가이다 writer 작품이나 문집을 사람과 작가 관계로 연결
이칭이다 hasAlias 사람의 호나 자와 같이, 같은 개체의 여러 이름을 연결
위치하다 isLocatedIn 공간적 관계로써, 한 공간이나 개체를 그가 위치한 장소와 연결
속성정보 attribute 제일 방대한 정보; 개체를 그의 구체적인 속성과 연결
소유하다 possesses 누정과 그 주인을 소유 관계로서 연결
라는뜻이다 ismeaning 개념어를 풀어 설명한 문구나 동의어와 연결
유형(문체)이다 texttype 작품의 구체적 유형과 문체를 연결
반대말이다 antonym 개념어를 그의 반의어와 연결
새겨져있다 engravedin 특정 작품이 특정 장소에 새겨져서 남아 있는 관계를 연결
방문하다 visits 특정 장소와, 그곳을 방문한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연결



속성(Attributes)


속성
속성 설명
birthYear: 한 사람의 생년을 가지는 속성. 어느 시대 사람인지 알기 위함. : 뒤에 네 자리 년도가 옴
주위에_산과_나무가_있고_연못이_있음 일부 누정(음벽정, 성락원)이 동시에 가지는 속성. 당시 누정의 보편적인 모습을 알 수 있음.
相爲循環(서로_순환되는_것이다) 쉼(休)라는 개념어를 그 반의어(作)와 비교하며 속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문장
贊襄(임금을_도와_치적을_쌓음) 일휴당기 1,2,3이 모두 다루는 용암 김병시의 속성을 한 마디로 표현
선비가_늙어서_은퇴하고_가서_쉬는_곳 천석정과 일휴당이 공통으로 가지는 속성. 두 누정들의 당시 용처와 목적을 보여 줌
외교를_하는_곳 음벽정이 하던 원래 역할. 이후 바뀐 속성과 대비를 이룸.
술_먹고_기생과_호화롭게_노는_곳 음벽정이 팔리고 개조된 이후의 속성.
요정(料亭) 음벽정이 팔리고 개조된 이후의 속성.
관료 음벽정의 옛 주인 민영환의 속성. 이후 음벽정을 찾는 사람의 속성과의 대비를 이룸.
순국지사 음벽정의 옛 주인 민영환의 속성. 이후 음벽정을 찾는 사람의 속성과의 대비를 이룸.


연구 데이터


match (n) return n 명령어로, 입력한 모든 노드와 관계를 출력하였다.


>>> match (n) return n



Hdc wholemapreturn.JPG


데이터 수집 방법

이 연구는 분석보다는 옛 누정들을 데이터와 맵으로 재건축해서 아카이빙하는 데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누정들을 중심으로 그와 관련된 사람, 장소, 문집, 속성 등에서 중요한 정보가 될 만한 것들을 주로 뽑아서 노드와 관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누정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 등이 데이터 분석으로 잘 드러날 수 있는 속성들의 경우 작은 것까지 추가했다.






연구 결과


일휴당기 1, 2, 3에서의 개념어 쉼(休)에 대한 분석

(연구 대상 탭 아래에 적은 코멘트도 참고하면 좋습니다)


쉼(休)이라는 개념어는 세 작품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며 큰 비중을 가지며, 누정 이름에도 들어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어이다.


같은 누정에 대해 이야기하며 같은 개념어 쉼(休)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 설명 방식도 다르고 의미하는 바도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르다.


쉼 이라는 개념어에 대한 설명 방식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으로도 볼 수 있다.

Hdc restcharacter.JPG



개념어 쉼(休)의 설명 방식
작품 설명
일휴당기 1 이미 존재하는 동양 고전 말씀(無入而不自得)을 인용하여 설명
일휴당기 2 동의어(美)를 제시하여 같은 의미라고 설명
일휴당기 3 반의어(作)를 제시하며, 서로 순환되는 것(作與休相爲循環)이라는 설명을 제공하며 설명


개념어 쉼(休) 의 반대 개념에 대한 주장과 설명 방식
작품 설명
일휴당기 1 쉼(休)과 쉬지 않음을 명확히 구분. 마음이 편해야 비로소 쉼(休)이라고 설명
일휴당기 2 쉼(休)을 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예시를 활용해 명확히 구분. 쉼(休)하기 적절치 않은 때를 들어, 김병시가 쉬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으로 논리를 전개.
일휴당기 3 쉼(休) 의 반대 개념어(作)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며, 대부분의 경우는 그 두 가지가 순환한다고 이야기하나, 김병시의 경우 알맞은 정도를 얻어 그렇지 않다고 설명하며 반박

이 부분을 공부하며 데자뷔를 느낀 것이 있는데, 바로 맹자와 한시를 공부할 때 느꼈던 인의(仁義)이다. 맹자께서는 이런 개념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신 적이 거의 없는데, 그러기에 이런 개념어들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를 가진 것인지 설명하기 애매하며 후학들이 정의하는 바도 조금씩 다르다.

또, 문학 작품, 특히 운문의 경우 설명이나 개념어가 구체적이지 않아 이중적인 해석을 하거나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풍부히 존재한다.

일휴당을 다루는 문학 작품들의 쉼(休) 개념어의 정의에서, 이러한 구체적이지 않음이 그대로 있음을 느꼈다. 일휴당기 2에서는 일휴당 주인인 김병시가 의도한 쉼(休)의 의미와 저자의 의미 해석이 다르기도 하고, 일휴당기 3에서는 개념어와 더불어 김병시의 벼슬하지 않음을 분석하는 주장을 제기하는 것을, 저자가 반박하는 내용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누정의 이름, 그 중 특히 특정 개념어에 대한 해석은 저자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기회가 풍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락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

성락원은 이름부터 어떻게 불러야 할 지 주장이 다양해, 다양한 이름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름 설명
성락원 예전, 명승 제35호로 지정되었을 당시의 이름
서울 성북동 별서 현재 명승으로 재지정된 이름임
이강공별저(李堈公別邸) 1921년 조선총독부 발행 지형도 수록 이름
성북동별장, 이강공별저 이해경 선생(이강공의 5녀)의 저서
쌍괴당(雙槐堂), 쌍괴누옥(雙槐陋屋), 쌍괴실(雙槐室) 춘파유고에서 황수연이 부르는 명칭



과거에는, 성락원의 조성자가 조선시대 철종 때의 이조판서를 한 심상응이라는 사람이라고 알려졌었으나, 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사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헌기록으로서는 황윤명의 춘파유고(春坡遺稿, 오횡묵의 총쇄록(叢瑣錄), 명성황후의 일편단충(一片丹忠) (명성황후가 직접 써서 갑신정변 이후 황윤명, 김규복 등에게 나누어 줌)의 김규복 발문이 있다. 문헌기록을 살펴 보면 조선 고종 때의 내관이자 문인인 황윤명이 성북동을 조성하였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갑신정변(1884) 때 명성황후가 황윤명의 별서를 피난처로 활용하였다는 기록이 일편단충의 김규복 발문에 있는데, 이로서 성락원이 1884년 이전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춘파유고(春坡遺稿): 황윤명의 시문을 모아서 황윤명의 차손 안호영이 발간한 문집인데, 춘파유고에 수록된 인수위소지(引水爲小池) 시문이 성락원 내 영벽지에 새겨진 각자와 일치한다.

총쇄록(叢瑣錄): 오횡묵이 자신이 관리로 있던 곳을 일기처럼 기록한 것인데, 황윤명이 조성한 정원을 1887년 방문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일편단충(一片丹忠)의 김규복 발문: 명성황후가 직접 써서 갑신정변 이후 황윤명, 김규복 등에게 나누어 준 것에다 김규복이 발문을 붙인 것인데, 갑신정변 당시 '혜화문으로 나가서 성북동의 황윤명 집으로 향했다, 태후,왕비, 세자께서 이미 어가에 머무르고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춘파유고에 수록된 인수위소지 글씨와, 성락원 영벽지에 새겨진 바위글씨가 일치 == 성락원은 황윤명 소유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특히 인수위소지 시는 다른 조선 문헌이나 중국 문헌에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 마이너한 작품이라, 신빙성이 더욱 올라간다.

누정들의 기능과 사람들 - 음벽정을 중심으로

음벽정은 한 때 외교 등 국가의 대사를 논하던 중요한 곳이었으나, 시간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요리점으로 전락하며, 똑같은 누정인데도 과거의 모습과 명백한 대비를 이룬다.

또, 그러한 음벽정의 변화 이후엔 음벽정은 성북동에 위치한 다른 누정들과도 명백한 대비를 이룬다.


이러한 음벽정의 변화와 다른 성북동 누정과의 대비와 비교를, node4j 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온톨로지 다이어그램을 활용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 시간의 흐름을 제외하고도 이러한 음벽정 변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다른 사건이나 인물을 시각화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소유권 이전 등)


누정들의 기능

먼저, 음벽정을 제외한 다른 누정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온톨로지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해 보자.


Hdc ilhuchunsukforrest.JPG


이 온톨로지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듯이, 일휴당과 천석정은 둘 다 벼슬하던 선비들이 늙은 후 은퇴하여 가서 쉬는 곳이라는 속성정보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일휴당의 경우 일휴당기에서의 개념어 설명에서도 그것이 명확히 드러난다.


이제 음벽정이 온톨로지 다이어그램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자.


Hdc eumbyokproperties.JPG

음벽정에 연결되어 있는 세 속성을 하나하나 살펴보자면, 각각 외교를_하는_곳, 술_먹고_기생과_호화롭게_노는_곳, 요정(料亭) 이 세 가지가 존재한다.


이 속성들은 음벽정의 시간축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음벽정이 원 주인인 민영환의 별장이었을 때에는 '외교를_하는_곳' 속성을 가졌다. 음벽정의 주인인 민영환부터가 고위 관료였고, 타국의 고위 관료들이 와서 외교를 하는 공간이기도 하였다. 외교를 함은 국가의 큰 일을 하는 공간이었다는 뜻이고, 특히 당시의 시대상을 고려해 보면 국가의 큰 결정을 하는 중요한 공간이었음을 보여 준다.


다만, 음벽정은 이후 오미안태랑이라는 일본인에게 팔린 후 한택수에게 소유권이 이전되는데, 이 때 음벽정은 옛날에 가졌던 외교에 관한 속성을 잃고, 요리점 {요정(料亭)} 속성과 술_먹고_기생과_호화롭게_노는_곳 속성을 가지게 된다.


>>> match (a:Diction) - [*1] - (b) return a, b


Hdc courtesan.JPG

Diction을 출력하도록 명령한 후, 그 중 기생이라는 Diction 을 찾아서 그와 연결된 관계들을 찾아 분석하였다.

이 검색결과를 보면, 성북동에 위치한 모든 누정들에 대해 적은 작품들 중, 기생이라는 Diction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 것은 3 작품인데, 이들이 모두 음벽정이라는 한 누정만을 가리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요정(料亭)이라는 속성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알 수 있다. 음벽정은 단순한 조선 요리점이 아니라, 기생이 나오는 건전하지 못한 요리점이라는 것이다.


>>> match (a:Paragraph) where a.originText contains '불편' return a


Hdc uncomfy.JPG

Paragraph 중, 그 원문 (originText) 중에 '불편' 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작품을 보여 주도록 명령하였고, 그 연결된 관계들을 찾아 올라가니 음벽정이 보인다.

이 검색결과를 보면, 성북동에 위치한 누정들 중 주변 주민들에게 불편을 준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누정은 음벽정 하나뿐이다.

나오는 원문은 근대 신문기사로서 총 두 개인데, 둘 다 음벽정의 불건전한 문제를 주변 주민들이 참지 못하고 진정을 제기한 것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한때 백성을 이롭게 하기 위해 국가의 대사를 논하던 음벽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을 끼치는 곳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 준다.

누정들에서 마신 음료

예외는 항상 존재하지만, 보통 차는 불건전한 것과는 거리가 있다. 다만 술의 경우, 격식을 차려서 마실 수도 있지만, 많이 마셔서 취할 경우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술과 차의 특징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면 누정들을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분석을 진행했다.


>>> match (a:Object) - [*1] - (b) return a, b


Hdc wineandtea.JPG


모든 Object (술, 차)들과, 그들과 관계가 있는 노드와 관계를 출력하도록 명령한 후, 누정이 나올 때까지 그 관계를 찾아 올라갔다.

그러자 차(茶)와 관련이 있는 누정은 성락원(이강공별저)가 나왔고, 술과 관련이 있는 누정은 음벽정이 나왔다.


이 검색 결과를 재검증하고 구체적 작품의 관점에서 다시 살펴보기 위해, 이번에는 다른 쿼리를 사용해서 각각 술과 차를 따로 검색하였다.


>>>match (a:Line) where a.originText contains '茶' return a


Hdc teaonly.JPG


먼저, 이 검색 결과는 성북동의 누정들을 다룬 모든 작품들 중, 운문(Line) 의 원문(originText) 이 차(茶)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작품을 출력하도록 명령한 것이다. 이번에는 Object 가 아닌 원문에서 검색을 진행했는데, 한거부회 삼수(閒居賦懷 三首) 라는 작품에서 차에 관한 언급이 나온다는 결과가 나왔다. 해당 작품은 성락원(이강공별저)의 조성자인 춘파 황윤명의 책인 춘파유고(春坡遺稿)에서 발췌된 작품인데, 茶煙水氣暗相携(차 끓이는 증기와 수면 아지랑이가 몰래 서로를 이끄네)라는 문장에서 차에 대한 언급이 나왔다. 해당 누정에서 차를 즐겼을 뿐만 아니라, 주변 컨텍스트를 보면 차분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 match (a:Paragraph) where a.originText contains '술' return a


Hdc wineonly.JPG


그 반대로, 성북동 누정을 다룬 작품들 중 원문에 술 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작품을 출력하도록 명령한 후 누정이 나올 때까지 관계를 살펴 보니 음벽정이 나왔다. 취중만용이라는 작품부터 살펴 보자면,

십일새벽다섯시반경 동소문박요리집 음벽정에서 술을 질텅히 마시고 경화탁씨를 타고 도라오든길에 인사정백오십륙번지 삼성조아페와서 운전수에게 요설행패를하다가 제지하는경관에게 달려부텃다가그대로 종로서류치장으로드러갓다

건전하게 술을 마신 것이 아님을 명백히 보여 준다. 또, "술을 질텅히 마시고" 라는 대목에서, 음벽정의 술 마시는 분위기를 보여 준다.


또, 주식에실패코결사적무전음식 이라는 작품은 주식에 실패한 사람이 죽을 각오로 칼모틴[1]이라는 약을 가지고 음벽정을 포함한 여러 누정을 다니며 무전취식을 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음벽정에서 기생을 부르고 술을 마시며 151원[2]을 무전취식하였다는 점에서,

1. 음벽정의 호화로움을 알게 해 주고,

2. 음벽정이 기생을 끼고 술을 마시는 불건전한 곳이었다는 것을 알려 준다.


(기행 반일청유는 음벽정 누정 이름의 뜻 (푸르름을 마시는 누정)에 대해 설명하는 근대 신문 기사인데, 이 내용과 관련이 없으므로 생략한다. )

누정들의 사람들

>>> match (a)-[r:visits]->(b) return a,r,b

>>> match (a)-[r:owner]->(b) return a,r,b


Hdc visitandowner.JPG


이 검색은 방문하다 (visits)라는 관계를 가진 누정과 사람들을 전부 보여주도록 명령한 후, 연결을 추가로 찾아서 owner 관계를 가진 사람들까지 추가적으로 보이도록 한 검색 결과이다.


또한, 성락원의 경우 시를 즐기는 문인들인 육교시사(六橋詩社)들이 성락원에 모여, 시를 짓고 감상하고 토론하는 모임인 시회(詩會)를 열었다는 기록이 존재하는데, 이 역시도 고상하고 학술적인 모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삼인대의 경우, 김응근, 조면호, 신석우 세 사람의 이름이 나온다. 이 세 사람의 공통점은 높은 벼슬을 한 벼슬아치라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같이 삼인대에서 노닐었던 친구 같은 관계이다.

성락원의 경우 주인부터가 의친왕 이강으로, 왕족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인 사람이다. 오횡묵은 군수 등을 역임한 고위 벼슬아치, 황수연은 높은 계급의 내관이었으며, 심지어 갑신정변 당시에는 명성황후가 피난을 오기까지 한 곳이다. 김규복 역시 같다. 이 정보로부터, 성락원 역시 높은 사람들이 많이 드나들었던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석정의 경우, 윤용선이 방문자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사람은 내각 총리대신까지 한 사람이라 역시 매우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이다.


다만, 음벽정의 경우 4명의 관계가 나오고, 근대 신문 자료에도 많은 사람들이 나오는데, 이들 역시 시간축을 기준으로 2개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음벽정이 요정이 되기 전의 관련된 사람들부터 살펴보자면, 음벽정의 당시 주인이었던 민영환은 온톨로지 맵에서 '관료'와 '순국지사' 속성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나라를 위해 힘쓴 고위 관료이다. 역시 중국의 고위 관료인 위안스카이 또한 음벽정에 방문하였으며, 특히 이 두 사람은 음벽정에서 외교를 하기 위해 만나기도 하였으나, 친구 관계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민영환이 사망한 이후, 위안스카이는 개인적으로 음벽정에 재방문하여 추도시를 읊기도 하였다는 것에서 이가 잘 드러난다.


음벽정이 요정이 되어가는 과도기에는 오미안태랑이라는 일본인이 음벽정을 매입하여 주인이 되었다가, 다시 한택수라는 한국 사람에게 매입하여 그 사람이 주인이 되었다. 한택수가 음벽정을 매입하여 주인이 되자, 음벽정은 요정으로 전락하고 만다.


요정이 된 음벽정은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였는데, 그 사람들의 질과 하는 행동을 분석하면 예전의 음벽정이나 다른 성북동의 누정들에 방문한 사람들과의 명확한 대비를 볼 수 있다. (음벽정의 대표적으로 불건전한 요소인 기생은 앞에서 이야기했으니 생략하였다. )

"동경의 만주는 갓스나 숙원치부는 춘몽" 작품에서, 류정호라는 범죄자가 등장한다. 이 사람은 횡령을 저질렀는데, 그 후 음벽정을 들러 호유(호화롭게 마시고 놈)하였다고 한다.

'세리대독직사건" 에서는, 다른 누정들이나 예전의 음벽정과 비슷하게 벼슬아치(공무원)들이 방문하였다는 점 까지는 동일하다. 다만, 그 공무원들이 마땅히 양조업자들을 감시하여야 하는 직무에 종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않고, 대접을 받고 수뢰(뇌물을 먹음)를 하였다는 기사이다. 양조업자들이 부패한 공무원들을 대접한 공간 중 하나로 음벽정이 등장한다.


음벽정과 관련된 사람들을 추려 보았을 때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음벽정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요정으로서의 전락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표로 살펴 보면 이렇게 된다.


음벽정의 시간에 따른 대비와 타 누정들과의 비교 분석
누정과 시간 설명
타 누정들 선비의 휴식 공간, 벼슬아치들이 쉬거나 시회를 가지는 공간.
요정 전의 음벽정 외교를 하며 국가 대사를 논하는 공간. 고위 공무원들이 방문하는 공간.
요정이 된 음벽정 술을 많이 마시고 기생과 함께 호화롭게 노는 불건전한 요리점, 주변에 불편을 끼치는 누정

소감 및 보완점

1. 먼저, 관심이 있어 따로 배워 왔던 컴퓨터에 대한 지식과, 전공인 한문학을 융합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해서 정말 재미있었다.

조사에 실수를 해서 실제로 연구에 쓰지는 못했지만, 춘파유고 원문을 자동 다운로드하도록 프로그램을 짜서 돌려 본 경험도 했고, 데이터와 그래프를 한문학 연구에 활용하는 등의 쉽게 하기 어려운 귀중한 경험들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즐거웠다.


2. 타 연구들 대비 노드나 관계의 절대적인 숫자가 비교적 적은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주제의 특징 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데이터와 온톨로지 맵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추가하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혹은, 저번에 교수님이 말씀하셨던 대로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수강생이 만든 데이터 모델을 전부 하나로 합친다면 다른 작업물들과 연계되어서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합친 것을 더 분석하고 보고 싶다.


3. 개인적으로 이 연구를 발전시키는 방법은 총 2가지를 보고 있는데, 첫 번째는 더 깊게 들어가는 것, 두 번째는 더 넓게 확장하는 것이다.

첫 번째 (깊이)로는, 자료 조사를 더 잘 해서, 이번에 미처 찾거나 분석하지 못한 1차 자료들을 더 추가해서 보고 싶다. 음벽정이 요정으로 변하기 전의 1차 자료를 추가적으로 조금 더 확보해 분석한다던지, 춘파유고에 있는 작품들을 번역하고 더 살펴 봐서 재구성하고 싶다.

두 번째 확장으로는, 성북동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 있는 누정도 같이 분석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위에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으로 '음료(차와 술)'를 분석하였는데, 해당 방법으로 분석하니 각각 나오는 결과가 누정 하나씩이어서, 데이터적인 분석의 장점을 더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다양한 누정을 분석하면 좋을 것 같다. 또, 음벽정의 경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전/후의 대비가 극명한데, 다른 누정들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꼭 보고 싶다.


어떻게 발전을 하든, 더 연구를 해서 졸업논문도 이 쪽으로 써 보고 싶다.






참고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성락원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5,00350000,11&pageNo=1_1_2_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락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288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6.2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97516


월간조선 뉴스룸 문화계 이슈 점검 성락원 기사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F&nNewsNumb=201912100060


국회 도서관 -성락원 명승지정,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 자료집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주석


  1. 진정작용이 있는 수면제. 다량 복용하면 사망한다는 점 때문에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2. 1930년 화폐 가치 기준, 1000원이면 경성에 살기좋은 기와집 한 채를 살 수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