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7일 (화) 17:33 패도 (역사) [3,26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기타 장신구 - 패도(佩刀)</strong>는 옷이나 허리띠 등에 차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작은 칼이다. ==Semantic Data== ===N...)
- 2020년 10월 27일 (화) 17:27 초혜집 (역사) [3,25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초혜집</strong>은 이쑤시개나 귀이개 등을 담아 휴대할 수 있게 만든 통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
- 2020년 10월 27일 (화) 17:17 주머니 (역사) [3,2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기타 장신구 - 주머니(佩囊)</strong>는 몸에 지니고 다닐 만한 물건을 담아 허리에 차도록 만든 물건이다. ==Semantic...)
- 2020년 10월 27일 (화) 17:07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겹분합문 (역사) [1,21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7:07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발 (역사) [2,53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7:06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병풍이나 방장을 보관하는 법 (역사) [1,82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7:0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방장걸이 (역사) [1,07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7:03 접부채 (역사) [3,66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기타 장신구 - 접부채(摺疊扇)</strong>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서 가지고 다니기 간편한 부채이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7일 (화) 16:54 모선 (역사) [3,13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기타 장신구 - 모선(毛扇)</strong>은 추운 겨울날에 얼굴을 가리던 방한구로 비단과 가죽으로 만든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7일 (화) 16:47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모기장 (역사) [99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47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방장 (역사) [3,67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4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병풍 (역사) [3,42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04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방석 (역사) [2,27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0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탁자 (역사) [1,62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02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연궤 (역사) [74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01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장의자(긴걸상) (역사) [65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6:00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걸상 (역사) [83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5:59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교의 엮는 법 (역사) [2,55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5:58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앉을 때 필요한 도구:의자 (역사) [1,57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0월 27일 (화) 15:48 활쏘기-전반적인 결점 (역사) [3,94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전반적인 결점[總病])</strong>은 활쏘기할 때 범하기 쉬운 잘못된 자세를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 2020년 10월 27일 (화) 15:12 화살 뽑기 (역사) [4,26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깃을 어루만지며 화살을 뽑는다[抹羽取箭]</strong>는 줌손의 검지와 중지로 화살대를 잡아 고정시키고...)
- 2020년 10월 27일 (화) 15:04 활쏘기-전반적인 비결 (역사) [3,57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전반적인 비결[總訣]</strong>은 활쏘기에서 명심해야 할 자세의 전반적인 비법이다. 서유구(徐有榘)의 <...)
- 2020년 10월 27일 (화) 14:27 과녁 겨누기 (역사) [4,81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활을 쥐어 과녁을 겨누고 몸을 굳힌다[持弓審固]</strong>는 활을 쥐고 과녁을 겨누는 올바른 자세를 말...)
- 2020년 10월 27일 (화) 10:57 함지박 (역사) [2,63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함지박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함지박</strong>은 체를 쳐낸 가루를 받거나, 반죽을 할 때 쓰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
- 2020년 10월 27일 (화) 10:25 독 고르는 법 (역사) [2,522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독 고르는 법</strong>은 좋은 품질의 독을 고르는 법을 소개하였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
- 2020년 10월 26일 (월) 17:55 여행 도구 어깨짐 (역사) [3,47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여행 도구 어깨짐</strong>는 여행 도구를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과정과 방법이다. 옷, 음식, 문방사우 등 상자를 분리하여...)
- 2020년 10월 26일 (월) 16:34 박접회 (역사) [3,61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화조(花朝, 2월 15일)의 박접회(撲蝶會, 나비 잡기 모임)</strong>는 음력 2월 15일 전후에 꽃구경을 하면서 나비를 잡...)
- 2020년 10월 26일 (월) 16:29 한식 (역사) [3,6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한식(寒食)의 들놀이</strong>는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에 성묘도 하고 여러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는 세시풍속...)
- 2020년 10월 26일 (월) 16:00 하짓날 (역사) [3,44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__NOTOC__ <strong>하짓날의 전파(田婆, 토지와 곡식의 신)에 제사 지내기</strong>는 하짓날 술과 고기로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
- 2020년 10월 26일 (월) 15:50 하원 (역사) [3,55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하원(10월 15일)의 달 감상</strong>은 음력 10월 15일 하원절에 등불을 달고 달을 감상하는 세시풍속이다. ==Semantic Da...)
- 2020년 10월 26일 (월) 15:02 칠석 (역사) [3,5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칠석(7월 7일)의 걸교(乞巧, 길쌈과 바느질 잘하도록 빌기)</strong>는 음력 7월 7일에 젊은 여자들이 과일ㆍ술ㆍ산적...)
- 2020년 10월 26일 (월) 14:53 사반 (역사) [4,36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춘사일(春社日)의 사반(社飯)</strong>은 입춘 후 5번째 되는 무일(戊日)에 사단(社壇)에서 제사를 지내고 제사 지낸...)
- 2020년 10월 26일 (월) 14:35 진나라 설날 (역사) [3,31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진나라 설날(秦歲首, 10월 1일)의 햇곡식 맛보기</strong>는 음력 10월 1일에 농사일을 마치고 햇곡식으로 떡을 해 먹...)
- 2020년 10월 26일 (월) 14:27 중화절 (역사) [4,03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중화절(中和節, 2월 1일)의 풍년 기원</strong>은 음력 2월 1일에 농사철의 시작과 풍년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이다. ==...)
- 2020년 10월 26일 (월) 14:19 찬앵회 (역사) [3,28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중하(仲夏, 5월)의 찬앵회(餐櫻會, 앵두 먹기 모임)</strong>는 음력 5월에 앵두를 종묘에 천신하고 남은 앵두로 손님...)
- 2020년 10월 26일 (월) 14:07 중추절 (역사) [4,13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중추절(中秋節)의 달 구경</strong>은 음력 8월 15일에 길쌈대회를 하고 음주가무를 즐기며 달을 구경하는 세시풍속...)
- 2020년 10월 26일 (월) 13:58 우란분회 (역사) [3,44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중원(7월 15일)의 우란분회(盂蘭盆會, 온갖 음식 공양하고 즐기는 모임)</strong>는 음력 7월 15일에 여러가지 음식을...)
- 2020년 10월 26일 (월) 13:52 중양절 (역사) [3,86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중양절(重陽節)</strong>은 음력 9월 9일에 높은 곳에 오르고 <font color="blue">국화주</font>와 <font color="blue">국화떡</font...)
- 2020년 10월 26일 (월) 13:44 전중양절 (역사) [3,16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전중양절(展重陽節)</strong>은 음력 9월 19일에 중양절을 연장하여 국화를 감상하는 세시풍속이다. ==Semantic Data== =...)
- 2020년 10월 26일 (월) 13:37 입춘 (역사) [3,60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입춘(立春)</strong>은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 절기로,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다. 파의 싹, 산...)
- 2020년 10월 26일 (월) 11:32 활쏘기-추위와 더위 (역사) [3,32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추위와 더위[論寒暖]</strong>는 활쏘기 할 때 날씨의 추위나 더위에 따라 대처하는 요령과 주의사항을...)
- 2020년 10월 26일 (월) 11:28 활쏘기-바람과 기후 (역사) [3,45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바람과 기후[論風候]</strong>는 계절과 기후의 변화에 따라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세기가 다르고 공...)
- 2020년 10월 26일 (월) 10:50 인일 (역사) [3,54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인일(人日, 정월 7일)</strong>은 정월 7일에 벗들과 함께 높은 곳에 올라 이날을 기념하는 세시풍속이다. ==Semantic Da...)
- 2020년 10월 26일 (월) 10:17 탕병회 (역사) [3,03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월조탕병회(月朝湯餠會, 매월 초하루 탕병 모임)</strong>는 매월 초하루에 친족들이 모여 술과 탕병 등을 먹으며...)
- 2020년 10월 24일 (토) 16:43 호로합 (역사) [3,27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호로합(葫蘆盒, 호리병 모양의 합)</strong>은 호리병 모양의 합(상자)이다. 여행 중에 사용할 바리때·접시·사발·종지 등...)
- 2020년 10월 24일 (토) 16:41 향구 (역사) [4,55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향구(香具, 휴대용 향 도구)</strong>는 향을 피울 때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 일체를 가리킨다. 향 관련 모든 물품을 보관하...)
- 2020년 10월 24일 (토) 16:22 행장 (역사) [3,29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행장(行帳, 여행용 장막)</strong>은 여행 중에 산사(山寺)나 야외의 자리에서 모기나 바람을 피하기 위해 설치하는 도구이...)
- 2020년 10월 24일 (토) 16:17 좌전 (역사) [3,82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좌전(坐氈, 털방석)</strong>은 바닥에 깔고 앉기 위하여 만든 자리 중 털로 만든 방석. 솜방석·왕골방석·꽃방석 등 재료나...)
- 2020년 10월 24일 (토) 16:15 의갑 (역사) [3,90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의갑(衣匣, 옷 상자)</strong>은 여행 중에 계절과 기후에 따라 입을 옷을 수납할 수 있는 상자를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 2020년 10월 24일 (토) 16:12 비구갑 (역사) [4,19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비구갑(備具匣, 여행 상비품 상자)</strong>은 여행 중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는 납작한 상자이다. 가벼운 나무로 만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