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본리지) |
(→정조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임원경제 사전== | ==임원경제 사전== | ||
+ | |||
+ | 데이터 입력 작업중 | ||
===인물=== | ===인물=== | ||
27번째 줄: | 29번째 줄: | ||
==임원경제지 텍스트== | ==임원경제지 텍스트== | ||
− | + | 임원경제지(총 113권) 16지 명칭의 뜻과 그 내용 | |
+ | |||
1. 본리지(本利志)<br> | 1. 본리지(本利志)<br> | ||
봄에 밭 갈아 가을에 수확하는 작물에 관한 기록. <br> | 봄에 밭 갈아 가을에 수확하는 작물에 관한 기록. <br> | ||
54번째 줄: | 57번째 줄: | ||
6. 위선지(魏鮮志). <br> | 6. 위선지(魏鮮志). <br> | ||
− | 위선이 | + | 위선이 점후를 예측한 일과 관련된 기록.<br> |
氛祲之察,候占之稽,其來尙矣.裨梓著異於前,魏鮮踵名於後.「魏鮮志引」<br> | 氛祲之察,候占之稽,其來尙矣.裨梓著異於前,魏鮮踵名於後.「魏鮮志引」<br> | ||
− | 기상·천문을 보고 풍흉 예측. 4권 | + | 기상·천문을 보고 풍흉 예측. 4권 <br> |
7. 전어지(佃漁志)<br> | 7. 전어지(佃漁志)<br> | ||
79번째 줄: | 82번째 줄: | ||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br> |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br> | ||
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可謂仁乎?’子曰:‘何事於仁!必也聖乎!’論語 「雍也」<br> | 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可謂仁乎?’子曰:‘何事於仁!必也聖乎!’論語 「雍也」<br> | ||
− | 의학백과사전. 28권 | + | 의학백과사전. 28권 <br> |
12. 향례지(鄕禮志)<br> | 12. 향례지(鄕禮志)<br> | ||
향촌의 의례에 관련된 기록.<br> | 향촌의 의례에 관련된 기록.<br> | ||
此志中略敍飮射之禮,兼以冠婚喪祭,而以鄕禮目之,何也?爲其簡而忽之也. 「鄕禮志引」<br> | 此志中略敍飮射之禮,兼以冠婚喪祭,而以鄕禮目之,何也?爲其簡而忽之也. 「鄕禮志引」<br> | ||
− | 마을 행사 치르는 법 및 마을공동체 윤리.<br> | + | 마을 행사 치르는 법 및 마을공동체 윤리. 3권.<br> |
13.유예지(游藝志)<br> | 13.유예지(游藝志)<br> | ||
108번째 줄: | 111번째 줄: | ||
其云倪圭,取計倪白圭之術也.「倪圭志引」<br> | 其云倪圭,取計倪白圭之術也.「倪圭志引」<br> | ||
상업 활동. 5권<br> | 상업 활동. 5권<br> | ||
− | |||
114번째 줄: | 116번째 줄: | ||
===본리지=== | ===본리지=== | ||
− | 본리지(本利志) | + | |
− | :농사 백과(곡식) | + | 본리지(本利志):농사 백과(곡식) 목차<br> |
+ | |||
권1(총1) | 권1(총1) | ||
722번째 줄: | 725번째 줄: | ||
===관휴지=== | ===관휴지=== | ||
+ | 관휴지(灌畦志):농사 백과(채소·약초) 목차 <br> | ||
+ | |||
+ | |||
+ | 권1(총14) | ||
+ | Ⅰ. 총서【總敍】 | ||
+ | 1. 농지 만들기【營治】 | ||
+ | 1) 두렁밭(휴전, 두렁으로 에워 싼 밭) 만드는 법【治畦法】 | ||
+ | 2) 구덩이 만드는 법【治區法】 | ||
+ | 3) 채소밭 만드는 법【治圃法】 | ||
+ | 4) 약초밭 만드는 법【治藥圃法】 | ||
+ | 5) 두렁밭(휴전) 만들어 약초 재배하는 법【治畦種藥法】 | ||
+ | |||
+ | 2. 심기【種蒔】 | ||
+ | 1) 종자 고르는 법【擇種法】 | ||
+ | 2) 종자 보관하는 법【藏種法】 | ||
+ | 3) 종자 담그는 법【漬種法】 | ||
+ | 4) 채소 재배법【種蔬法】 | ||
+ | 5) 싹으로 심는 법【芽種法】 | ||
+ | 6) 종자 위의 흙을 덜어내는 법【種頃刻菜法】 | ||
+ | 7) 씨앗에 물대주어 발아 촉진하는 법【沃子催芽法】 | ||
+ | 8) 종자를 덮어 발아 촉진하는 법【覆種催芽法】 | ||
+ | |||
+ | 3. 거름주기【澆壅】 | ||
+ | 1) 거름 저장법【儲肥壅法】 | ||
+ | 2) 벌레 물리치는 법【辟蟲法】 | ||
+ | 3) 똥가루 만드는 법【糞餠法】 | ||
+ | |||
+ | 4. 보관하기【收藏】 | ||
+ | 1) 채소 보관법【藏菜法】 | ||
+ | |||
+ | |||
+ | |||
+ | 권2(총15) | ||
+ | Ⅰ. 채소류【蔬類】 | ||
+ | 1. 아욱【葵】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2. 파【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쓰임새【功用】 | ||
− | + | 3. 자총이【紫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부추【韭】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쓰임새【功用】 | ||
− | + | 5. 염교【薤】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알맞은 토양【土宜】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쓰임새【功用】 | ||
− | + | 6. 마늘과 달래 (부록) 산마늘【蒜 (附)澤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6) 쓰임새【功用】 | ||
+ | 7) 산마늘 재배법【種澤蒜法】 | ||
− | + | 7. 생강【薑】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기후 예상【占候】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7) 보관하기【收藏】 | ||
+ | 8) 종자 보관하기【藏種】 | ||
+ | 9) 쓰임새【功用】 | ||
− | + | 8. 갓【芥 (附)靑芥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보관하기【收藏】 | ||
+ | 7) 쓰임새【功用】 | ||
+ | 8) 동갓 재배법【種靑芥法】 | ||
− | + | 9. 개람【芥藍】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6) 쓰임새【功用】 | ||
+ | 10. 순무【蕪菁】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두기【收採】 | ||
+ | 7) 보관하기【收藏】 | ||
+ | 8) 쓰임새【功用】 | ||
+ | 11. 무 (부록) 당근【萊菔 (附) 胡蘿蔔】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보관하기【收藏】 | ||
+ | 7) 종자 거두기【收種】 | ||
+ | 8) 땅광에서 어린 싹 기르는 법【窖養芽法】 | ||
+ | 9) 쓰임새【功用】 | ||
+ | 10) 당근 재배법【種胡蘿葍法】 | ||
− | + | 12. 배추【菘】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7) 노란싹나물(황아채) 기르는 법【養黃牙法】 | ||
− | + | 13. 쑥갓【茼蒿】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종자 거두기【收種】 | ||
+ | 6) 쓰임새【功用】 | ||
− | + | 14. 유채(평지)【蕓薹】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쓰임새【功用】 | ||
− | 1. | + | 15. 시금치【菠薐】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2. | + | 4) 쓰임새【功用】 |
− | + | ||
− | + | 16. 옹채【壅菜】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3.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 | + | 17. 근대【蓁菜】 | |
− | 4.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종자 거두기【收種】 | |
− | + | ||
− | + | 18. 상추【萵苣】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5.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 | 5) 심고 가꾸기【種藝】 | |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 | 7) 상추순 기르는 법【養萵筍法】 | |
− | 6. | + | 8) 쓰임새【功用】 |
− | + | ||
− | + | 19. 거여목【苜蓿】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 | + | 20. 비름【莧】 | |
− | 7.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 | + | 21. 고추【番椒】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8.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 | 9. | + | 22. 양하【蘘荷】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보관하기【收藏】 | |
− | + | 5) 쓰임새【功用】 | |
− | 10. | + | |
− | + | 23. 호유【胡荽】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온실 재배법【炕養法】 | |
− | + | 6) 쓰임새【功用】 | |
− | 11. | + | 7) 잔소리【瑣言】 |
− | + | ||
− | + | 24. 난향【蘭香】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종자 얻는 법【取種法】 | |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 | 6) 거두기【收採】 | |
− | + | 7) 쓰임새【功用】 | |
− | + | ||
− | + | 25. 흰나리(백합)【百合】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 | + | 26. 감로자【甘露子】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거두기【收採】 | |
− | + | 6) 종자 거두기【收種】 | |
+ | 7) 쓰임새【功用】 | ||
+ | |||
+ | 27. 차조기【紫蘇】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두기【收採】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28. 회향【茴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29. 미나리【芹】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
+ | 30. 순채【蓴】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쓰임새【功用】 | ||
+ | |||
+ | 31. 여뀌【蓼】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새싹 기르는 법【養芽法】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32. 버섯【菌】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쓰임새【功用】 | ||
+ | |||
+ | 33. 두릅【木頭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
+ | 34. (부록 1) 아울러 살필만한 채소【(附)互考蔬品】 | ||
+ | 구기자나물甜菜 오가피순五加苗 참깨싹靑蘘 죽대나물筆頭菜 지황순地黃苗 쇠무릎나물對節菜 삽주나물霎周菜 결명자순決明苗 산호나물珊瑚菜 정가순(형개순)荊芥苗 영생이순(박하순)薄荷苗 우엉순牛蒡苗 원추리나물忘憂菜 승검초나물(당귀나물)辛甘菜 느티나물槐芽菜 콩나물黃豆芽菜 숙주나물菉豆芽菜 둥글레순萎蕤苗 잇꽃나물(홍화나물)紅花菜 질경이순車輪菜 궁궁이순蘼蕪 노야기나물(향유나물)香菜 들녹두순鹿藿 잔대순과 잔대뿌리薺苨苗根 접시꽃순蜀葵苗 죽순竹筍 부들순蒲筍 갈대나물馬尾菜 | ||
+ | |||
+ | |||
+ | 35. (부록 2) 산과 들의 푸성귀【(附)山野蔌品】 | ||
+ | 냉이薺 말냉이馬薺 고사리蕨 들완두薇 소소채小巢菜 회적灰藋 명아주藜 멸蕺 산갓山芥 꽈리酸醬草 물쑥蔞蒿 다북쑥香蒿 고들빼기苦菜 닭의장풀繁縷 소루쟁이羊蹄 묵응이나물墨應耳菜 송이松茸 맥심麥蕈 석이石耳 곰취熊蔬 동소冬蔬 말가리淸兒菜 머위白菜 적겨자紫芥 수소水蘇 청옥채靑玉菜 씀바귀黃花菜 | ||
+ | |||
+ | |||
+ | 36. (부록 3) 바닷가와 바다의 푸성귀【(附)浦海菜品】 | ||
+ | 김紫菜 미역海藻 가사리海蘊 다시마海帶 곤포昆布 우뭇가사리鹿角菜 청각靑角菜 톳土衣菜 우모초海凍草 파래乾苔 납작파래常思苔 홑파래羹苔 매생이莓山苔 | ||
+ | |||
+ | |||
+ | |||
+ | 권3(총16) | ||
+ | Ⅰ. 풀열매류【蓏類】 | ||
+ | 1. 오이【黃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보관하기【收藏】 | ||
+ | 7) 쓰임새【功用】 | ||
+ | |||
+ | 2. 동아【冬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보관하기【收藏】 | ||
+ | 4) 종자 거두기【收種】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3. 호박【南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6) 종자 거두기【收種】 | ||
+ | |||
+ | 4. 쥐참외(땅외)【王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쓰임새【功用】 | ||
+ | |||
+ | 5. 수세미외【絲瓜】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쓰임새【功用】 | ||
+ | |||
+ | 6. 박 (부록) 호리병박【瓠 (附)扁蒲】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구획 나눠 박 심는 법【區種瓠法】 | ||
+ | 5) 접붙이는 법【接莖法】 | ||
+ | 6) 큰박 만드는 법【種大葫盧法】 | ||
+ | 7) 여러 모양의 박 만드는 법【種異撲葫盧法】 | ||
+ | 8) 목이 긴 박 만드는 법【種長頸葫盧法】 | ||
+ | 9) 거름주기【澆壅】 | ||
+ | 10) 주의사항【宜忌】 | ||
+ | 11) 쓰임새【功用】 | ||
+ | 12) 호리병박 재배법【種扁蒲法】 | ||
+ | |||
+ | 7. 가지【茄】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시집보내는 법【嫁法】 | ||
+ | 6) 보관하기【收藏】 | ||
+ | 7) 종자거두기【收種】 | ||
+ | 8) 쓰임새【功用】 | ||
+ | |||
+ | 8. 토란【芋】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기후 예상【占候】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7) 주의사항【宜忌】 | ||
+ | 8) 거두기【收採】 | ||
+ | 9) 종자 보관하기【藏種】 | ||
+ | 10) 쓰임새【功用】 | ||
+ | 11) 잔소리【瑣言】 | ||
+ | |||
+ | |||
+ | 권4(총17) | ||
+ | Ⅰ. 약류【藥類】 | ||
+ | 1. 인삼【人蔘】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인삼은 쉽게 나지 않는다【論蔘不易生】 | ||
+ | 6) 인삼은 쉽게 자라지 않는다【論蔘不易長】 | ||
+ | 7) 보호하고 기르기【護養】 | ||
+ | 8) 치료【醫法】 | ||
+ | 9) 주의사항【宜忌】 | ||
+ | 10) 거두기【收採】 | ||
+ | 11) 보관하기【收藏】 | ||
+ | 12) 종자 거두기【收種】 | ||
+ | 13) 종자 보관하기【藏種】 | ||
+ | 14) 잔소리【瑣言】 | ||
+ | |||
+ | 2. 죽대【黃精】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자 고르기【擇種】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제조【製造】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3. 둥굴레【萎蕤】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쓰임새【功用】 | ||
+ | |||
+ | 4. 지황【地黃】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시기와 기후【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두기【收採】 | ||
+ | |||
+ | 5. 승검초(당귀)【當歸】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6. 도라지【桔梗】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7. 잔대【薺苨】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8. 삽주【朮】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9. 쇠무릎【牛膝】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두기【收採】 | ||
+ | 7) 제조【製造】 | ||
+ | 8) 쓰임새【功用】 | ||
+ | |||
+ | 10. 천문동【天門冬】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11. 맥문동【麥門冬】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제조【製造】 | ||
+ | |||
+ | 12. 결명자【決明】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자 고르기【擇種】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13. 더덕【沙蔘】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14. 궁궁이【芎藭】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거두기【收採】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15. 노야기(향유)【香薷】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종자 고르기【擇種】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16. 정가(형개)【荊芥】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두기【收採】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17. 영생이(박하)【薄荷】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거두기【收採】 | ||
+ | 4) 제조【製造】 | ||
+ | 5) 쓰임새【功用】 | ||
+ | |||
+ | 18. 병풍나물(방풍)【防風】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자 고르기【擇種】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19. 우엉【牛蒡】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20. 질경이【車前】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예원지=== | ||
+ | |||
+ | 예원지(藝畹志):농사 백과(화훼) 목차 <br> | ||
+ | |||
+ | |||
+ | 권1(총18) | ||
+ | Ⅰ. 총서 | ||
+ | |||
+ | 1. 파종과 옮겨심기【種栽】 | ||
+ | 1) 씨 뿌리는 법 【子種法】 | ||
+ | 2) 꺾꽂이법 【扦插法】 | ||
+ | 3) 옮겨심는 법 【移栽法】 | ||
+ | 4) 뿌리 나누는 법【隔根分栽法】 | ||
+ | |||
+ | 2. 접붙이기【接換】 | ||
+ | 1) 접붙이기 총론【接樹総訣】 | ||
+ | 2) 2가지 꽃 접붙이는 법【接花兩般色法】 | ||
+ | |||
+ | 3. 물주기와 북주기【澆壅】 | ||
+ | 1) 북주는 법 【壅培法】 | ||
+ | 2) 물 주는 법 【灌澆法】 | ||
+ | |||
+ | 4. 관리하기【葺理】 | ||
+ | 1) 굽은 나무 손질법 【治曲樹法】 | ||
+ | 2) 나무를 늙고 기이하게 하는 법【治樹令老奇法】 | ||
+ | 3) 분에 심는 법 【登盆法】 | ||
+ | 4) 분 두는 법 【安盆法】 | ||
+ | 5) 관병법(병풍처럼 엮는 법) 【綰屛法】 | ||
+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1) 꽃 기르는 법 【養花法】 | ||
+ | 2) 서리 막는 법 【拒霜法】 | ||
+ | 3) 벌레 쫓는 법 【辟蟲法】 | ||
+ | 4) 주의사항【宜忌】 | ||
− | + | 6. 배치【鋪置】 | |
− | + | 1) 훌륭한 정원의 고아한 화훼 배치【名園雅稱】 | |
− | + | 2) 분 배치법【排盆法】 | |
− | |||
− | |||
− | |||
− | |||
− | |||
− | |||
+ | 7. 품평【品第】 | ||
+ | 1) 화훼 8종의 최고품들【八種上品】 | ||
+ | 2) 정자 주변에 심는 꽃에 대한 논평【花榭詮評】 | ||
+ | 3) 화훼의 세 품등【草花三品】 | ||
+ | 4) 꽃의 아홉 품등【花九命】 | ||
+ | 5) 화병의 꽃 아홉 품등 【甁花九命】 | ||
+ | 6) 꽃 친구 10가지【花十友】 | ||
+ | 7) 꽃 손님 12가지【花十二客】 | ||
+ | 8) 꽃 손님 30가지 【花三十客】 | ||
+ | 8. 절기 맞추기【時令】 | ||
+ | 1) 파종과 접붙이기 시기【種接時候】 | ||
+ | 2) 사계절의 재배법 【四時變接法】 | ||
+ | 3) 꽃의 월령 【花月令】 | ||
− | + | 9. 잔소리【瑣言】 | |
− | + | 1) 꽃 재촉하는 법【催花法】 | |
− | + | 2) 꽃색 바꾸는 법 【幻花法】 | |
− | + | ||
+ | 10. 보관하기【收藏】 | ||
+ | 1) 땅광에 보관하는 법 【窖藏法】 | ||
+ | 2) 옷 입히는 법【着裘法】 | ||
+ | |||
+ | |||
+ | |||
+ | 권2(총19) | ||
+ | |||
+ | Ⅰ. 꽃류(상)【花類 上】 | ||
+ | |||
+ | 1. 모란【牧丹】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접붙이기【接換】 | ||
+ | 6) 거름주기 【澆壅】 | ||
+ | 7) 보호하기【護養】 | ||
+ | 8) 치료하기【醫治】 | ||
+ | 9) 주의사항【宜忌】 | ||
+ | 10) 거두기【收採】 | ||
+ | 11) 잔소리【瑣言】 | ||
+ | |||
+ | 2. 서향【瑞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거름주기【澆甕】 | ||
+ | 4) 보호하기【護養】 | ||
+ | 5) 주의사항【宜忌】 | ||
+ | 6) 치료하기【醫治】 | ||
+ | 7) 보관하기【收藏】 | ||
+ | 8) 잔소리【瑣言】 | ||
− | 1. | + | 3. 동백【山茶】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접붙이기【接換】 | |
− | + | 5) 거름주기【澆甕】 | |
− | 2. | + | 6) 관리【葺理】 |
− | + | 7) 보호하기【護養】 | |
− | + | 8) 보관하기【收藏】 | |
− | + | 9) 품평【品第】 | |
− | 3. | + | |
− | + | 4. 치자【巵子】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3) 거름주기【澆壅】 | |
+ | 4) 거두기【收採】 | ||
+ | |||
+ | 5. 매화【梅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접붙이기【接換】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6) 치료하기【醫治】 | ||
+ | 7) 보관하기【收藏】 | ||
+ | 8) 품평【品第】 | ||
+ | |||
+ | 6. 납매【蠟梅】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7. 석류화【石榴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거름주기【澆壅】 | ||
+ | 3) 품평【品第】 | ||
+ | 4) 보호하기【護養】 | ||
+ | |||
+ | 8. 해당화【海棠】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접붙이기【接換】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7) 관리【葺理】 | ||
+ | 8) 치료하기【醫治】 | ||
+ | |||
+ | 9. 장미【薔薇】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甕】 | ||
+ | 5) 관리【葺理】 | ||
+ | 6) 치료하기【醫治】 | ||
+ | |||
+ | 10. 백일홍【紫薇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거름주기【澆甕】 | ||
+ | 4) 보관하기【收藏】 | ||
+ | |||
+ | 11. 사계화【四季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보호하기【護養】 | ||
+ | 4) 치료하기【醫治】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
+ | 12. 월계화【月季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9 | ||
+ | 3) 관리【葺理】 | ||
+ | 4) 보호하기【護養】 | ||
+ | 5) 치료하기【醫治】 | ||
+ | |||
+ | 13. 정향(새발사향)【丁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14. 목향(파초향)【木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15. 매괴【玫瑰】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甕】 | ||
+ | 5) 치료하기【醫治】 | ||
+ | 6) 품평【品第】 | ||
+ | |||
+ | 16. 자형【紫荊】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거름주기【澆甕】 | ||
+ | |||
+ | 17. 목부용【木芙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품평【品第】 | ||
+ | 5) 잔소리【瑣言】 | ||
+ | |||
+ | 18. 진달래【杜鵑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심고 가꾸기【種藝】 | ||
+ | 4) 물주고 북돋우기【澆壅】 | ||
+ | |||
+ | 19. 철쭉【躑躅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왜철쭉 기르는 법 【養倭躑躅法】 | ||
+ | |||
+ | 20. 영산홍【映山紅】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보관하기【收藏】 | ||
+ | 4) 잔소리【瑣言】 | ||
+ | |||
+ | 21. 영춘화(개나리)【迎春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품평【品第】 | ||
+ | |||
+ | 22. 무궁화【木槿】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권3(총20) | |
− | + | Ⅰ. 꽃류(하)【花類 下】 | |
+ | 1. 난화【蘭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7) 보호하기【護養】 | ||
+ | 8) 사계절 난 재배 비결【四時培蘭訣】 | ||
+ | 9) 열두 달 난 기르는 비결【十二月養蘭訣】 | ||
+ | 10) 치료하기【醫治】 | ||
+ | 11) 보관하기【收藏】 | ||
+ | 12) 잔소리【瑣言】 | ||
− | + | 2. 국화【菊】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종자 퍼트리기【傳種】 | |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6) 접붙이기【接換】 | |
− | + | 7) 거름주기【澆壅】 | |
− | + | 8) 관리【葺理】 | |
− | + | 9) 보호하기【護養】 | |
− | + | 10) 치료하기【醫治】 | |
− | + | 11) 주의사항【宜忌】 | |
− | + | 12) 보관하기【收藏】 | |
− | + | 13) 잔소리【瑣言】 | |
− | + | ||
− | + | 3. 함박꽃(작약)【芍藥】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 | 6) 관리【葺理】 | |
− | + | 7) 보호하기【護養】 | |
− | + | 8) 잔소리【瑣言】 | |
− | + | ||
+ | 4. 연꽃【荷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분에 재배하는 법【盆種法】 | ||
+ | 5) 소련 재배하는 법【賞小蓮法】 | ||
+ | 6) 꽃을 푸르게 물들이는 법【染碧花法】 | ||
+ | |||
+ | 5. 수선화【水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6) 품평【品第】 | ||
+ | |||
+ | 6. 옥잠화【玉簪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옮겨심기【種栽】 | ||
+ | 5) 품평【品第】 | ||
+ | |||
+ | 7. 원추리【萱】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품평【品第】 | ||
+ | |||
+ | 8. 접시꽃【蜀葵】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자 거두기【收種】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6) 품평【品第】 | ||
+ | 7) 쓰임새【功用】 | ||
+ | |||
+ | 9. 당아욱【錦葵】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10. 추규【秋葵】 | |
− | 2.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 | + | 11. 참나리【山丹】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 | ||
− | + | 12. 옥미인【玉美人】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3. | + | |
− | + | 13. 금전화【金錢花】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3) 품평【品第】 | |
− | + | ||
− | + | 14. 적적금【滴滴金】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
− | + | 15. 봉선화【鳳仙】 | |
− | 4.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관리【葺理】 | |
− | + | ||
− | + | 16. 양귀비【罌粟】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적합한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품평【品第】 | |
− | + | ||
− | + | 17. 개양귀비【麗春】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
− | + | 18. 전춘라【剪春羅】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관리【葺理】 | |
− | + | ||
− | + | 19. 전추라【剪秋羅】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관리【葺理】 | |
− | + | 6) 거름주기【澆壅】 | |
− | 6. | + | 7) 보관하기【收藏】 |
− | + | ||
− | + | 20. 맨드라미【鷄冠花】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 | ||
− | + | 21. 과꽃【秋牡丹】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품평【品第】 | |
− | + | ||
− | + | 22. 메꽃【纏枝牡丹】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파종 시기【時候】 | |
− | + | 3) 품평【品第】 | |
− | + | ||
− | + | 23. 베고니아(추해당)【秋海棠】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품평【品第】 | |
− | + | ||
− | + | 24. 패랭이꽃【石竹】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 | 6) 품평【品第】 | |
− | + | ||
− | + | 25. 범부채【射干】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 | ||
− | + | 26. 여주【錦荔枝】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관리【葺理】 | |
+ | 3) 품평【品第】 | ||
+ | |||
+ | 27. 수국【繡毬】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접붙이기【接換】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보호하기【護養】 | ||
+ | 7) 관리【葺理】 | ||
+ | |||
+ | 28. 한련【旱蓮】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관리【葺理】 | ||
+ | |||
+ | |||
+ | |||
+ | 권4(총21) | ||
+ | Ⅰ. 훼류【卉類】 | ||
+ | 1. 석창포【石菖蒲】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창포 재배 총론【種蒲總訣】 | ||
+ | 5) 분에 창포 키우는 법【養盆蒲法】 | ||
+ | 6) 돌에 창포 키우는 법【養石上蒲法】 | ||
+ | 7) 호수창포 키우는 법【養虎鬚蒲法】 | ||
+ | 8) 용전창포 키우는 법【養龍錢蒲法】 | ||
+ | 9) 치료하기【醫治】 | ||
+ | 10) 품평【品第】 | ||
+ | |||
+ | 2. 길상초【吉祥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품평【品第】 | ||
+ | |||
+ | 3. 지초【芝】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관리【葺理】 | ||
+ | |||
+ | 4. 파초【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거름주기【澆壅】 | ||
+ | 4) 치료하기【醫治】 | ||
+ | 5) 보관하기【收藏】 | ||
+ | 6) 분에 파초 재배하는 법【種盆蕉法】 | ||
+ | 7) 홍파초 재배하는 법【種紅蕉法】 | ||
+ | |||
+ | 5. 서대초【書帶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품평【品第】 | ||
+ | |||
+ | 6. 취운초【翠雲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품평【品第】 | ||
+ | |||
+ | 7. 노소년【老少年】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5) 거름주기【澆壅】 | ||
+ | 6) 관리【葺理】 | ||
+ | |||
+ | 8. 운향【芸香】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품평【品第】 | ||
+ | 4) 쓰임새【功用】 | ||
+ | |||
+ | 9. 만년송 (부록) 분에 노송 재배하는 법【萬年松 (附) 盆種老松】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거름주기【澆壅】 | ||
+ | 4) 보호하기【護養】 | ||
+ | 5) 품평【品第】 | ||
+ | 6) 분에 노송 재배하는 법【盆種老松法】 | ||
+ | |||
+ | 10. 초송【草松】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쓰임새【功用】 | ||
+ | |||
+ | 11. 종죽【棕竹】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시기【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6) 우리나라에서 분에 대나무 재배하는 법【東國盆竹法】 | ||
+ | |||
+ | 12. 난천죽【闌天竹】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관리【葺理】 | ||
+ | |||
+ | 13. 호자【虎刺】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4) 거름주기【澆壅】 | ||
+ | 5) 보호하기【護養】 | ||
+ | 6) 주의사항【宜忌】 | ||
+ | |||
+ | 14. 소철【鐵蕉】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거름주기【澆壅】 | ||
+ | 3) 관리【葺理】 | ||
+ | 4) 보호하기【護養】 | ||
+ | 5) 치료하기【醫治】 | ||
+ | 6) 쓰임새【功用】 | ||
+ | 7) 잔소리【瑣言】 | ||
+ | |||
+ | 15. 종려【椶櫚】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3) 관리【葺理】 | ||
+ | 4) 쓰임새【功用】 | ||
+ | |||
+ | |||
+ | |||
+ | 권5(총22) | ||
+ | Ⅰ. 꽃 이름 고찰【花名攷】 | ||
+ | 1. 모란【牡丹】 | ||
+ | 1) 황색류【黃類】(20) | ||
+ | 요황姚黃 우황牛黃 감초황甘草黃 승요황勝姚黃 천심황千心黃 단주황丹州黃 민황閔黃 여진황女眞黃 사두황絲頭黃 어포황御袍黃 금원황禁院黃 경운황慶雲黃 청심황靑心黃 황기구黃氣毬 대황大黃 소황小黃 과양황瓜瓤黃 마노반瑪瑙盤 담아황淡鵞黃 태평누각太平樓閣 | ||
+ | |||
+ | 2) 홍색류【紅類】(158) | ||
+ | 위가화魏家花 정홍鞓紅 헌래홍獻來紅 학령홍鶴翎紅 세엽수안細葉壽安,추엽수안麤葉壽安 단주홍丹州紅,연주홍延州紅 연화악蓮花萼 주사홍朱砂紅 장원홍壯元紅 승위勝魏,도승都勝 서운홍瑞雲紅 악산홍岳山紅 간금間金 유사각劉師閣 세장홍洗妝紅 축금구蹙金毬 탐춘구探春毬 척금루자蹙金樓子 동운홍彤雲紅 전지홍轉枝紅 승로홍承露紅 옥루홍玉樓紅 상운홍祥雲紅 소흥춘紹興春 연지루胭脂樓 쌍두홍雙頭紅 부귀홍富貴紅 일척홍一尺紅 문공홍文公紅 영일홍迎日紅 채하彩霞 첩라叠羅 승첩라勝叠羅 천향일품天香一品 만화일품萬花一品 적주의赤朱衣 각홍覺紅 은홍교銀紅嬌 수의홍繡衣紅 연판은홍軟瓣銀紅 벽사롱碧紗籠 신홍교염新紅嬌艷 궁금宮錦 화홍수구花紅繡毬 은홍수구銀紅繡毬 양비수구楊妃繡毬,투교홍妬嬌紅 화홍췌반花紅萃盤 천기원금天機圓錦 은홍범銀紅犯 비연장飛燕妝 비연홍장飛燕紅妝 해당홍海棠紅 신은홍구新銀紅毬 매주홍梅州紅 승교용勝嬌容 투류홍妬榴紅 유화홍榴花紅 화홍첩취花紅疊翠 노은홍구老銀紅毬 양비심취楊妃深醉 화홍신품花紅神品 화홍평두花紅平頭 화홍무청예花紅舞靑猊 두견홍杜鵑紅 화고홍花膏紅 봉미화홍鳳尾花紅 추엽도홍縐葉桃紅 태진만장太眞晚妝 평실홍平實紅 은홍금수銀紅錦繡 연분루烟粉樓 건막교홍褰幕嬌紅 화홍전융花紅翦絨 화홍영락花紅纓絡 염노교念奴嬌 한궁춘漢宮春 유병관주琉甁灌朱 교가서과양喬家西瓜瓤 진궁포進宮袍 교홍누대嬌紅樓臺 합환교合歡嬌 비하非霞 옥루춘노玉樓春老 산호루珊瑚樓 천고홍蒨膏紅 대화주大火珠 의란교倚欄嬌 대교홍大嬌紅 탈자류주脫紫留朱 취성성醉猩猩 쇄금도홍灑金桃紅 도홍누자桃紅樓子 노승모老僧帽 누금의縷金衣 화홍독승花紅獨勝 염양교艷陽嬌 삼촌괴三春魁 은홍묘품銀紅妙品,은홍염장銀紅艷妝,은홍절창銀紅絕唱 채하초采霞綃 산호봉두珊瑚鳳頭 석류홍石榴紅 조현장원홍曹縣壯元紅 영일홍映日紅 왕가대홍王家大紅 대홍서과양大紅西瓜瓤 대홍무청예大紅舞靑猊 도홍무청예桃紅舞靑猊 칠보관七寶冠 취연지醉臙脂 대엽도홍大葉桃紅 전춘방殿春芳 미인홍美人紅 연예홍蓮蕊紅 취홍장翠紅妝 진주홍陳州紅 금포홍錦袍紅 도홍서과양桃紅西瓜瓤 대홍전융大紅翦絨 양혈홍羊血紅 석가홍石家紅 수춘홍壽春紅 채하홍彩霞紅 해천하海天霞 소엽대홍小葉大紅 매홍평두梅紅平頭 서자홍西子紅 해운홍海雲紅 도홍선桃紅線 도홍봉두桃紅鳳頭 천교홍淺嬌紅 경라홍輕羅紅 천홍교淺紅嬌 취교홍醉嬌紅 출경도홍出莖桃紅 서자西子 대홍수구大紅繡毬 앵속홍罌粟紅 승정홍勝鞓紅 매홍누자梅紅樓子 교홍嬌紅 도홍서번두桃紅西番頭 사면경四面鏡 | ||
+ | |||
+ | 3) 분홍색류【粉紅類】(22) | ||
+ | 구악홍九萼紅 월산홍누자越山紅樓子 자사선심紫絲旋心 불훈홍不暈紅,수장홍壽妝紅,옥반홍玉盤紅 취서시醉西施 수학선睡鶴仙 니분홍膩粉紅 정화춘政和春 서로선瑞露蟬 건화乾花 대천엽大千葉,소천엽小千葉 경천향慶天香 육서肉西 수홍구水紅毬 합환화合歡花 관음면觀音面 분아교粉娥嬌 취양비醉楊妃 적옥반赤玉盤 회회분서回回粉西 서천향西天香 백엽선인百葉仙人 | ||
+ | |||
+ | 4) 자색류【紫類】(27) | ||
+ | 좌화左花 엽저자葉底紫 다엽자多葉紫 좌자左紫 자수구紫繡毬 안승자安勝紫 대송자大宋紫 순성順聖 진주자陳州紫,원가자袁家紫 건도자乾道紫 갈건자葛巾紫 복엄자福嚴紫 조천자朝天紫 자무청예紫舞靑猊 자루자紫樓子 서향자瑞香紫 평두자平頭紫 서가자徐家紫 자라포紫羅袍 자중루紫重樓 자홍방紫紅芳 연롱자烟籠紫 자금하紫金荷 금단록錦團綠 포금자包金紫 자운방紫雲芳 봉래상공蓬萊相公 | ||
+ | |||
+ | 5) 흰색류【白類】 (51) | ||
+ | 옥판백玉板白 옥천엽玉千葉 옥루춘玉樓春 옥증병玉蒸餠 일백오一百五 옥루자玉樓子 유사가劉師哥 옥복분玉覆盆 만첩설봉萬疊雪峯 쇄판무하옥碎瓣無瑕玉 청심무하옥靑心無瑕玉 대소大素 소소小素 벽옥루碧玉樓 옥잠백玉簪白 앵무백鸚鵡白 백학정白鶴頂 심가백沈家白 옥미인玉美人 백련화白蓮花 옥루관음현玉樓觀音現 결백潔白 초소군楚素君,백옥공白屋公,경련성옥卿連城玉 요대옥로瑶臺玉露 운소雲素 왕가대백王家大白 옥부용玉芙蓉 소만교素鸞嬌 옥중루玉重樓 양지옥羊脂玉 백무청예白舞靑猊 취옥루醉玉樓 백전융白翦絨 옥반우玉盤㿻 연향백蓮香白 분서시粉西施 만권서萬卷書 수정구水晶毬 경천향慶天香 옥천선玉天仙 옥선장玉仙妝 단심옥봉檀心玉鳳 옥수구玉繡毬 청심백靑心白 복가백伏家白 봉미백鳳尾白 금사백金絲白 평두백平頭白 지래백遲來白 취춘용醉春容 옥완백玉盌白 옥천향玉天香 | ||
+ | |||
+ | 6) 녹색류【綠類】(1) | ||
+ | 팔염장록화八艷妝綠花 | ||
+ | |||
+ | 7) 흑색류【黑類】(6) | ||
+ | 흑규黑葵 유홍油紅 묵전융墨翦絨 흑수구墨繡毬 발묵자潑墨紫 즉흑자卽墨子 | ||
+ | |||
+ | 8) 갈색 【褐色】 (1) | ||
+ | 타갈구駝褐裘 | ||
+ | |||
+ | 9) 밀랍색【蜜色】(1) | ||
+ | 밀교密嬌 | ||
+ | |||
+ | 10) 우색(옅은 회색에 붉은 빛이 감도는 색)【藕色】(1) | ||
+ | 담우사淡藕絲 | ||
+ | |||
+ | 11) 특이한 종류【異色類】(30) | ||
+ | 첨색홍添色紅 도훈단심倒暈檀心 일압홍一擫紅 구예진주홍九蘂眞珠紅 녹태화鹿胎花 이색홍二色紅 쇄금홍碎金紅 옥루홍玉樓紅 쌍두홍雙頭紅,쌍두자雙頭紫 순성順聖 금요루金腰樓,옥요루玉腰樓 녹태홍鹿胎紅 취서시醉西施 해당홍海棠紅 추수장秋水妝 승서시勝西施 교용삼변嬌容三變 취옥환醉玉環 계파옥界破玉 전지轉枝 회면교靧面嬌 관음현觀音現 연지계분臙脂界粉 금정설랑金精雪浪 오운루五雲樓 금화장원홍金花壯元紅 금사대홍金絲大紅 옥토천향玉兔天香 악록화萼綠華 요금자腰金紫 | ||
+ | |||
+ | 12) 우리나라 모란【東國牡丹】(1) | ||
+ | 황모란黃牡丹,백모란白牡丹,정홍모란頳紅牡丹,낙양홍洛陽紅 | ||
+ | |||
+ | 2. 함박꽃(작약)【芍藥】 | ||
+ | 1) 황색류【黃類】(7) | ||
+ | 어의황御衣黃 황루자黃樓子 원황관자袁黃冠子 협석황관자峽石黃冠子 포황관자鮑黃冠子 도장성道妝成 투아황妬鵝黃 | ||
+ | |||
+ | 2) 홍색류【紅類】(21) | ||
+ | 관군방冠群芳 새군방賽群芳 진천공盡天工 점장홍點粧紅 적교홍積嬌紅 취서시醉西施 소장잔素妝殘 천장균淺妝勻 취교홍醉嬌紅 투교홍妬嬌紅 누금양縷金囊 원춘홍怨春紅 시농장試濃妝 적홍사簇紅絲 취차장取次妝 효은홍效殷紅 합환방合歡芳 회삼영會三英 | ||
+ | 의수천擬繡韉 호힐湖缬 민지黽池 | ||
+ | |||
+ | 3) 자색류【紫類】(6) | ||
+ | 보장성寶妝成 첩향영疊香英 잠금향蘸金香 숙장은宿妝殷 취향사聚香絲 의향영擬香英 | ||
+ | |||
+ | 4) 흰색류【白類】(5) | ||
+ | 양화관자楊花冠子 국향경掬香瓊 효장신曉妝新 시매장試梅妝 은함릉銀含稜 | ||
+ | |||
+ | 5) 우리나라 작약【東國芍藥】(1) | ||
+ | 백작약白芍藥,홍작약紅芍藥,분홍작약粉紅芍藥 | ||
+ | |||
+ | |||
+ | 3. 난꽃【籣】 | ||
+ | 1) 자색류【紫類】(17) | ||
+ | 진몽량陳夢良 오란吳蘭 반화潘花 조십사趙十四 하란何蘭 금릉변金稜邊 대장청大張靑 포송령蒲統領 진팔사陳八斜 순감량淳監糧 허경초許景初 석문홍石門紅 소중홍蕭仲紅 하수좌何首座 임중례林仲禮 분장성粉妝成 서란芧籣 | ||
+ | |||
+ | 2) 흰색류【白類】(24) | ||
+ | 제노濟老 조산竈山 황전강黃殿講 이통판李通判 엽대시葉大施 혜지객惠知客 마대동馬大同 정소거鄭少擧 황팔형黃八兄 주량화周梁花 석양홍夕陽紅 관당주觀堂主 명제名弟 약각弱脚 어타란魚鮀籣 시란施籣 정백양鄭白羊 선하仙霞 주란朱籣 운교雲嶠 임군마林郡馬 청련靑蒲 벽란碧籣 건란建籣 | ||
+ | |||
+ | 3) 잡종들【雜種類】(14) | ||
+ | 항란杭籣 세란歲蘭 흑란黑籣 남경란南京籣 백란白籣 외란隈籣 춘란春籣 혜란蕙籣 은란銀籣 청란靑籣 봉란棒籣 풍란風蘭 내오란奈吾籣 유구풍란琉球風籣 | ||
+ | |||
+ | 4) 우리나라 난꽃【東國籣花】(1) | ||
+ | 자란紫籣 | ||
+ | |||
+ | 4. 국화【菊】 | ||
+ | 1) 황색류【黃類】(105) | ||
+ | 감국甘菊 도승都勝 어애御愛 금작약金芍藥 황학령黃鶴翎 대금황大金黃 소금황小金黃 승금황勝金黃 황라산黃羅繖 보군지報君知 금쇄구金鎻口 은쇄구銀鎻口 원앙면鴛鴦錦 어포황御袍黃 청경어포황靑梗御袍黃 측금잔側金盞 장원황壯元黃 전금구翦金毬 황수구黃繡毬 만황구晚黃毬 십채구十采毬 대금구大金毬 소금구小金毬 구자毬子 금령국金鈴菊 금만령金萬鈴 대금령大金鈴 소금령小金鈴 하금령夏金鈴 추금령秋金鈴 봉령蜂鈴 금전金錢 천엽대금전千葉小金錢 단엽소금전單葉小金錢 소금전小金錢 대금전大金錢 여지국荔枝菊 금여지金荔枝 여지홍荔枝紅 체당棣棠 금추자金䭔子 구련금九煉金 황이색黃二色 등국橙菊 소어포황小御袍黃 황만권黃萬卷 등주황鄧州黃 금사국金絲菊 수사국垂絲菊 금모란錦牡丹 단향구檀香毬 사향황麝香黃 황한국黃寒菊 장미薔薇 아모鵝毛 금공작金孔雀 황오구국黃五九菊 구일황九日黃 전추황殿秋黃 소전추황小殿秋黃 첩라황疊羅黃 산개황繖蓋黃 소금안小金眼 태진황太眞黃 황목향黃木香 황전융黃翦羢 황분단黃粉團 황랍판黃蠟瓣 금작설錦雀舌 금영롱金玲瓏 금사도錦絲桃 황모란黃牡丹 금뉴사金紐絲 금서시錦西施 황서시黃西施 마노서시瑪瑙西施 이색마노二色瑪瑙 금포사錦褒姒 원앙국鴛鴦菊 파사국波斯菊 말리국茉莉菊 자분단紫粉團 은기린錦麒麟 앵우황鶯羽黃 누자불두樓子佛頭 황불정黃佛頂 황불두黃佛頭 불두국佛頭菊 소황불정小黃佛頂 토색황兔色黃 야국野菊 금숙국金塾菊 밀우密友은대銀臺 등국藤菊 사자국樝子菊 지정국枝亭菊 봉아국蜂兒菊 만당금滿堂金 은황국銀黃菊 송국松菊 능풍국凌風菊 감자국柑子菊 양기국楊妃菊 천금국川金菊 | ||
+ | |||
+ | 2) 홍색류【紅類】(37) | ||
+ | 홍이색紅二色 연지국臙脂菊 하월불정국夏月佛頂菊 건홍국乾紅菊 장원홍狀元紅 금심수구錦心繡口 자포금대紫袍金帶 대홍포大紅袍 자하상紫霞觴 홍라산紅羅繖 경운홍慶雲紅 해운홍海雲紅 루금장縷金妝 출로금出爐金 화련금火煉金 목홍구木紅毬 자골타紫骨朶 취양비醉楊妃 태진홍太眞紅 누자홍樓子紅 홍만권紅萬卷 일념홍一捻紅 홍전융紅翦絨 금수구錦繡毬 학정홍鶴頂紅 계관홍鷄冠紅 성성홍猩猩紅 수부용繡芙蓉 금여지錦荔枝 홍모란紅牡丹 홍말리紅茉莉 부용국芙蓉菊 이색련二色蓮 양양홍襄陽紅 빈주홍賓州紅 토주홍土硃紅 동국冬菊 | ||
+ | |||
+ | 3) 분홍색류【粉紅類】(22) | ||
+ | 수사분홍垂絲粉紅 양비楊妃 합선合蟬 도화桃花 분학령粉鶴翎 분납판粉蠟瓣 분서시粉西施 쇄금홍灑金紅 홍분단紅粉團 누자분서시樓子粉西施 취서시醉西施 승비도勝緋桃 분포사粉褒姒 대양비大楊妃 새양비賽楊妃 분영롱粉玲瓏 팔보마노八寶瑪瑙 자부용紫芙蓉 분만권粉萬卷 분수구粉繡毬 불견소佛見笑 홍부분紅傅粉 | ||
+ | |||
+ | 4) 자색류【紫類】(32) | ||
+ | 순성천자順聖淺紫 하만령夏萬鈴 추만령秋萬鈴 수구繡毬 여지자荔枝紫 해아국孩兒菊 자말리紫茉莉 조천자朝天紫 장원자壯元紫 자모란紫牡丹 벽강하碧江霞 쌍비연雙飛燕 전하초翦霞綃 불좌련佛座蓮 서향자瑞香紫 자사도紫絲桃 묵국墨菊 자포사紫褒姒 새서시賽西施 자작약紫芍藥 자학령紫鶴翎 자옥련紫玉蓮 마노반瑪瑙盤 자장미紫薔薇 자라산紫羅繖 자수구紫繡毬 자전융紫翦絨 금사국金絲菊 수홍련水紅蓮 계관자鷄冠紫 복주자福州紫소 금자국銷金紫菊 | ||
+ | |||
+ | 5) 흰색류【白類】(76) | ||
+ | 구화국九華菊 희용喜容 금배옥반金杯玉盤 분단粉團 신라新羅 용뇌龍腦 옥구玉毬 옥령玉鈴 도미酴釄 옥분玉盆 등주백鄧州白 백국白菊 은분銀盆 오월국五月菊 어의황御衣黃 만령국萬鈴菊 연화국蓮花菊 부용국芙蓉菊 말리국茉莉菊 목향국木香菊 애엽국艾葉菊 백사향白麝香 은행국銀杏菊 백려지白荔枝 파사국波斯菊 출로은出爐銀 백수구白繡毬 옥모란玉牧丹 옥부용玉芙蓉 은뉴사銀紐絲 일익설一搻雪 옥보상玉寶相 납판서시蠟瓣西施 백첩라白疊羅 일단설一團雪 옥영롱玉玲瓏 월하백月下白 수정구水晶毬 상아구象牙毬 벽파옥劈破玉 대소국大笑菊 배회국徘徊菊 옥루춘玉樓春 백서시白西施 은반銀盤 금잔은대金盞銀臺 불정국佛頂菊 소백불정小白佛頂 회남국淮南菊 옥반국玉盤菊 분장미粉薔薇 옥구국玉甌菊 백포사白褒姒 백오구국白五九菊 팔선국八仙菊 납판분서시蠟瓣粉西施 백장단白壯丹 노사국鷺鷥菊 잠금백蘸金白 경영롱瓊玲瓏 벽예영롱碧蕊玲瓏 백융구白絨毬 백전융白翦絨 은려지銀荔枝 벽도국碧桃菊 백학정白鶴頂 백학령白鶴翎 분호접粉蝴蝶 백판랍白瓣蠟 전추백殿秋白 한국寒菊 첨색희용添色喜容 단심국單心菊 누자국樓子菊 뇌자국腦子菊 수정국水晶菊 | ||
+ | 6) 독특한 품종들【異品類】(17) | ||
+ | 주자국珠子菊 단국丹菊 만천성滿天星 이색서시二色西施 이색양비二色楊妃 적금반赤金盤 금정향錦丁香 단향국檀香菊 매화국梅花菊 해당국海棠菊 밀서시蜜西施 밀학령蜜鶴翎 밀수구蜜繡毬 자융구紫絨毬 승의갈僧衣褐 자위국剌蝟菊 십양금十樣錦 | ||
+ | 7) 우리나라 국화【東國菊品】(26) | ||
+ | 감국甘菊 황학령黃鶴翎 백학령白鶴翎 홍학령紅鶴翎 대설백大雪白 오홍烏紅 금원황禁苑黃 취양비醉楊妃 왜황倭黃 왜백倭白 노인홍老人紅 통주홍通州紅 통주백通州白 취서시醉西施 백운타白雲朶 자하총紫霞叢 황금루黃金縷 연홍蓮紅 별홍別紅,도홍桃紅, 선금사홍仙金絲紅 대판분홍大瓣粉紅 소판분홍小瓣粉紅 왜별홍倭別紅,왜진홍倭眞紅,왜대홍倭大紅,왜별황倭別黃 별황別黃 조개황早開黃 대설황大雪黃,대감국大甘菊,승금황勝金黃 소설백掃雪白,별백別白,노인백老人白,당백唐白 | ||
+ | ===만학지=== | ||
+ | 만학지(晩學志):농사 백과(과실·나무) 목차 <br> | ||
+ | 권1(총23) | ||
+ | Ⅰ. 총서 【總敍】 | ||
+ | 1. 씨 뿌리고 심기 【種栽】 | ||
+ | 1) 파종 시기【時候】 | ||
+ | 2) 종자 보관하는 법 【藏種法】 | ||
+ | 3) 씨로 심는 법 【子種法】 | ||
+ | 4) 옮겨심는 법 【移栽法】 | ||
+ | 5) 뿌리 나누는 법 【分根法】 | ||
+ | 6) 휘묻이 【壓條法】 | ||
+ | 7) 뿌리를 잘라내고 옮기는 법 【脫枝法】 | ||
+ | 8) 꺾꽂이 【扦插法】 | ||
− | + | 2. 접붙이기 【接換】 | |
− | + | 1) 총론 【總論】 | |
− | + | 2) 신접법(몸체에 접붙이는 법) 【身接法】 | |
+ | 3) 근접법(몸체에 접붙여 뿌리가 되게 하는 법)【根接法】 | ||
+ | 4) 피접법(거죽에 접붙이는 법)【皮接法】 | ||
+ | 5) 지접법(가지 접붙이는 법【枝接法】 | ||
+ | 6) 엽접법(눈 접붙이는 법) 【靨接法】 | ||
+ | 7) 탑접법(말귀 모양으로 만들어 접붙이는 법) 【搭接法】 | ||
+ | 8) 과접법(한쪽 씩 깎아 접붙이는 법) 【過接法】 | ||
+ | 9) 행접법(옮겨심을 때 접붙이는 법)【行接法】 | ||
+ | 10) 접화교법(꽃을 과일나무에 접붙이는 법) 【接花膠法】 | ||
+ | 11) 먼 곳에서 접순을 가져오는 법 【遠地取接枝法】 | ||
+ | |||
+ | 3. 물주기와 북주기 【澆壅】 | ||
+ | 1) 물주는 법 【灌澆法】 | ||
+ | 2) 북주는 법 【培壅法】 | ||
+ | |||
+ | 4. 손질하기 【葺理】 | ||
+ | 1) 가지 쳐주는 법 【剝樹法】 | ||
+ | 2) 가지 비트는 법 【捩枝法】 | ||
+ | 3) 중심 뿌리 제거법 【去宗根法】 | ||
+ | 4) 나무 거세법 【騸樹法】 | ||
+ | 5) 김매는 법 【鋤薉法】 | ||
+ | |||
+ | 5. 보호하고 기르기 【䕶養】 | ||
+ | 1) 나무를 태워 보호하는 법 【炙樹法】 | ||
+ | 2) 나무 시집보내는 법 【嫁樹法】 | ||
+ | 3) 과일나무 대전법(代田法) 【代果法】 | ||
+ | 4) 새와 벌레 물리치는 법 【辟禽蟲法】 | ||
+ | 5) 치료하기와 푸닥거리 【醫禳法】 | ||
+ | 6) 주의사항 【宜忌】 | ||
+ | 7) 바람 막는 법 【禦風法】 | ||
+ | 8) 서리 막는 법 【拒霜法】 | ||
+ | 9) 울타리 만드는 법 (부록) 울타리 만드는 나무의 종류 【作園籬法 (附)作籬諸品】(30종) | ||
+ | 사철나무冬靑 작매爵梅 오가피五加皮 석류金櫻子 매화나무梅 구기자나무枸杞 비래자飛來子 산초나무椒 수유나무茱萸 치자나무梔子 묘잉자猫仍子 개나리迎春花 멧대추酸棗 목련木筆 뽕나무桑 탱자枳 무궁화槿 들장미野薔薇 곡수穀樹 멀구슬나무楝 느릅나무楡 황철나무白楊 가시삼나무剌杉 쥐엄나무皂莢 산반山礬 금은화〔인동(忍冬)〕金銀花 참죽나무椿樹 비파나무枇杷 소엽수小葉樹 목룡木龍 | ||
+ | |||
+ | 6. 거두기 【收採】 | ||
+ | 1) 과일 따는 법 【摘果法】 | ||
+ | 2) 나무 베는 법 【伐木法】 | ||
+ | 3) 과일 저장하는 법 【藏果法】 | ||
+ | |||
+ | |||
+ | |||
+ | 권2(총24) | ||
+ | Ⅰ. 과일류 【菓類】 | ||
+ | 1. 자두 【李】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5) 시집보내는 법 【嫁法】 | ||
+ | 6) 치료하기 【醫治】 | ||
+ | |||
+ | 2. 살구 【杏】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 | 3. 매실 【梅】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 | 5) 거름주기 【澆壅】 | |
− | + | 6) 제조 【製造】 | |
− | + | 7) 잔소리 【瑣言】 | |
− | |||
− | |||
− | |||
− | |||
− | |||
− | 2. | + | 4. 복숭아 【桃】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종자 고르기 【擇種】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 | 5) 치료하기 【醫治】 | |
− | + | 6) 보관하기 【收藏】 | |
− | + | ||
− | + | 5. 밤 【栗】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기후 예상 【占候】 | |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6) 접붙이기 【接換】 | |
− | + | 7) 거름주기 【澆壅】 | |
− | + | 8) 주의사항 【宜忌】 | |
− | + | 9) 거두기 【收採】 | |
− | + | 10) 보관하기 【收藏】 | |
+ | 11) 제조 【製造】 | ||
+ | |||
+ | 6. 대추 【棗】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종자 고르기 【擇種】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접붙이기 【接換】 | ||
+ | 6) 시집보내는 법 【嫁法】 | ||
+ | 7) 손질하기 【葺治】 | ||
+ | 8)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9) 거두기 【收採】 | ||
+ | 10) 보관하기 【收藏】 | ||
+ | 11) 제조 【製造】 | ||
+ | |||
+ | 7. 배 【梨】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기후 예상 【占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접붙이기 【接換】 | ||
+ | 6) 거름주기 【澆壅】 | ||
+ | 7) 치료하기 【醫治】 | ||
+ | 8) 주의사항 【宜忌】 | ||
+ | 9) 보관하기 【收藏】 | ||
+ | 10) 제조 【製造】 | ||
+ | 11) 쓰임새 【功用】 | ||
+ | |||
+ | 8. 팥배 【棠梨】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9. 내(능금의 일종) 【柰】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4) 치료하기【醫治】 | ||
+ | |||
+ | 10. 사과 【蘋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접붙이기 【接換】 | ||
+ | 3) 치료하기【醫治】 | ||
+ | 4) 보관하기 【收藏】 | ||
+ | |||
+ | 11. 능금 【林檎】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4) 시집보내는 법 【嫁法】 | ||
+ | 5) 치료하기 【醫治】 | ||
+ | 6) 보관하기 【收藏】 | ||
− | + | 12. 감 【柹】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 | 5) 치료하기 【醫治】 | |
− | + | 6) 보관하기 【收藏】 | |
+ | 7) 제조 【製造】 | ||
+ | 8) 쓰임새 【功用】 | ||
− | 4. | + | 13. 고욤(군천자) 【君遷子】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거두기 【收採】 | |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 | + | 14. 번시 【蕃柹】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종자의 유래 【傳種】 | |
− | + | ||
− | + | 15. 석류 【安石榴】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3) 거름주기 【澆壅】 | |
− | + | 4) 손질하기 【葺治】 | |
− | + | 5) 보호하기 【護養】 | |
− | + | 6) 치료하기 【醫治】 | |
− | + | 7) 보관하기 【收藏】 | |
− | + | ||
− | + | 16. 앵두 【櫻桃】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 | 4) 거름주기 【澆壅】 | |
− | + | 5) 보호하기 【護養】 | |
− | + | 6) 치료하기 【醫治】 | |
− | + | 7) 잔소리 【瑣言】 | |
− | + | ||
− | + | 17. 모과 【木瓜】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 | ||
− | + | 18. 아가위(산사) 【山樝】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종자 고르기 【擇種】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 | + | 19. 은행 【銀杏】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4) 거두기 【收採】 | ||
+ | |||
+ | 20. 호두 【胡桃】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접붙이기 【接換】 | ||
+ | 4) 보관하기 【收藏】 | ||
+ | 5) 종자 거두기 【收種】 | ||
+ | |||
+ | 21. 개암 【榛】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22. 잣 【海松子】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23. 상수리 【橡】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24. 산초 【蜀椒】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4) 거두기 【收採】 | ||
+ | 5) 보관하기 【收藏】 | ||
+ | 6) 종자 보관하기 【藏種】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25. 후추 【胡椒】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종자의 전래 【傳種】 | ||
+ | |||
+ | 26. 수유(쉬) 【食茱萸】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거름주기 【澆壅】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쓰임새 【功用】 | ||
+ | |||
+ | 27. 귤 【橘】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5) 거름주기 【澆壅】 | ||
+ |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7) 치료하기 【醫治】 | ||
+ | 8) 귤은 재배하기 어렵다 【論橘難種】 | ||
+ | 9) 거두기 【收採】 | ||
+ | 10) 보관하기 【收藏】 | ||
+ | 11) 쓰임새 【功用】 | ||
+ | |||
+ | 28. 홍귤(감자) 【柑】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치료하기 【醫治】 | ||
+ | 4) 보관하기 【收藏】 | ||
+ | |||
+ | 29. 유자 【柚】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
+ | 30. 비자 【榧子】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보관하기 【收藏】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31. 무화과 【無花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32. (부록) 산과 들의 과일류 【(附) 山野菓品】(6종) | ||
+ | 지분자地盆子 두을죽豆乙粥 보리실菩提實 영주실瀛洲實 녹각실鹿角實 연복자燕覆子 | ||
+ | |||
+ | |||
+ | 권3(총25) | ||
+ | Ⅰ. 풀열매류 【蓏類】 | ||
+ | 1. 참외 【甛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참외 구종법 【區種瓜法】 | ||
+ |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7) 치료하기 【醫治】 | ||
+ | 8) 주의사항 【宜忌】 | ||
+ | 9) 거두기 【收採】 | ||
+ | 10) 종자 거두기 【收種】 | ||
+ | 2. 수박 (부록) 북과 【西瓜 (附)北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7) 주의사항 【宜忌】 | ||
+ | 8) 보관하기 【收藏】 | ||
+ | 9) 북과 재배하는 법 【種北瓜法】 | ||
− | + | 3. 포도 【葡萄】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5) 거름주기 【澆壅】 | |
− | + |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 | 7) 주의사항 【宜忌】 | |
− | + | 8) 보관하기 【收藏】 | |
− | + | ||
− | + | 4. 머루 【山葡萄】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 | + | 5. 다래 【獼猴桃】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 | + | 6. 오미자 【五味子】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
− | |||
− | |||
− | |||
− | |||
− | |||
+ | 7. 산딸기(복분자) 【覆盆子】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8. 마 【薯蕷】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6) 종자 거두기 【收種】 | ||
+ | 7) 종자 보관하기 【藏種】 | ||
+ | 8) 제조 【製造】 | ||
+ | 9) 잔소리 【瑣言】 | ||
+ | |||
+ | 9. 고구마 【甘藷】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종자의 전래 【傳種】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6) 거름주기 【澆壅】 | ||
+ | 7) 옮겨심기 【移揷】 | ||
+ | 8) 덩굴 자르기 【剪藤】 | ||
+ | 9) 치료하기 【醫治】 | ||
+ | 10) 거두기 【收採】 | ||
+ | 11) 제조 【製造】 | ||
+ | 12) 쓰임새 【功用】 | ||
+ | 13) 구황 【救荒】 | ||
+ | 14) (부록) 감자 【(附)北藷】 | ||
+ | 15) (부록) 땅콩 【(附)落花生】 | ||
+ | |||
+ | 10. 연밥 【蓮子】 | ||
+ | 1) 이름과 품종 【各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치료하기 【醫治】 | ||
+ | 5) 주의사항 【宜忌】 | ||
+ | 6) 보관하기 【收藏】 | ||
+ | 7) 쓰임새 【功用】 | ||
+ | 8) 잔소리 【瑣言】 | ||
+ | |||
+ | 11. 마름 【菱】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종자 고르기 【擇種】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거름주기 【澆壅】 | ||
+ | 6) 주의사항 【宜忌】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12. 가시연 【芡】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보관하기 【收藏】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13. 올방개 【烏芋】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6) 거름주기 【澆壅】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14. 소귀나물 【慈姑】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제조 【製造】 | ||
+ | 6) 쓰임새 【功用】 | ||
+ | |||
+ | |||
+ | |||
+ | 권4(총26) | ||
+ | Ⅰ. 나무류 【木類】 | ||
+ | 1. 소나무 【松】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종자 거두기 【收種】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2. 측백나무 【柏】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거름주기 【澆壅】 | ||
+ | 4) 거두기 【收採】 | ||
+ | |||
+ | 3. 전나무 【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4. 삼나무 【杉】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5. 노송 【栝】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6. 느릅나무 【楡】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거두기 【收採】 | ||
+ | 5) 제조 【製造】 | ||
+ | 6) 쓰임새 【功用】 | ||
+ | |||
+ | 7. 버드나무 (부록) 고리버들, 갯버들 【柳 (附)箕柳水楊】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쓰임새 【功用】 | ||
+ | 6) 고리버들 재배법 【種箕柳法】 | ||
+ | 7) 갯버들 재배법 【種水楊法】 | ||
+ | |||
+ | 8. 사시나무 【白楊】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9. 회화나무(느티나무) 【槐】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치료하기 【醫治】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10. 오동나무 【桐】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손질하기 【葺治】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쓰임새 【功用】 | ||
+ | |||
+ | 11. 옻나무 【漆】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6) 주의사항 【宜忌】 | ||
+ | 7) 즙 얻는 법 【取汁法】 | ||
+ | 8) 잔소리 【瑣言】 | ||
+ | |||
+ | 12. 가죽나무 【春樗】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13. 자작나무(봇나무) 【樺】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손질하기 【葺治】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14. 닥나무 【楮】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6) 거름주기 【澆壅】 | ||
+ | 7) 손질하기 【葺治】 | ||
+ | 8) 종자 거두기 【收種】 | ||
+ | 9) 쓰임새 【功用】 | ||
+ | |||
+ | 15. 개오동나무 【楸梓】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16. 붉나무 【膚木】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쓰임새 【功用】 | ||
+ | |||
+ | 17. 회양목 【黃楊木】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거두기 【收採】 | ||
+ | 3) 쓰임새 【功用】 | ||
+ | 4) 잔소리 【瑣言】 | ||
+ | |||
+ | 18. 물푸레나무 【梣】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쓰임새 【功用】 | ||
+ | |||
+ | 19. 광나무 【女貞】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납충 놓는 법 【放蠟法】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20. 오구나무 【烏臼】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접붙이기 【接換】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기름 얻는 법 【取油法】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21. 명자나무 【楂】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거두기 【收採】 | ||
+ | 4) 기름 얻는 법 【取油法】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22. 멀구슬나무 【楝】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쓰임새 【功用】 | ||
+ | |||
+ | 23. 쥐엄나무 【皀莢】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치료하기 【醫治】 | ||
+ | 4) 거두기 【收採】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24. 오가피나무 【五加】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25. 구기자나무 【枸杞】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쓰임새 【功用】 | ||
+ | 5) 잔소리 【瑣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권5(총27) |
− | + | Ⅰ. 기타 초목류 【雜植】 | |
− | + | 1. 차 【茶】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5)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 | 6) 주의사항 【宜忌】 | |
− | + | 7) 거두기 【收採】 | |
− | + | 8) 찌고 말리기 【蒸焙】 | |
− | + | 9) 보관하기 【收藏】 | |
− | + | 10) 종자 보관하기【藏種】 | |
− | + | ||
− | + | 2. 대나무 【竹】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 | 4) 종자 고르기 【擇種】 | |
− | + |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 |
− | + | 7) 치료하기 【醫治】 | |
− | + | 8) 주의사항 【宜忌】 | |
− | + | 9) 거두기 【收採】 | |
− | + | ||
− | + | 3. 잇꽃(홍화) 【紅藍】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5) 가을 재배법 【秋種法】 | |
− | + | 6) 거두기 【收採】 | |
− | + | 7) 종자 거두기 【收種】 | |
− | + | 8) 제조 【製造】 | |
− | + | 9) 쓰임새 【功用】 | |
− | + | ||
− | + | 4. 쪽(청대) 【菘藍】 | |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제조 【製造】 | ||
+ | 6) 쓰임새 【功用】 | ||
+ | |||
+ | 5. 요람 【蓼藍】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치료하기 【醫治】 | ||
+ | 6) 종자 거두기 【收種】 | ||
+ | 7) 제조 【製造】 | ||
+ | |||
+ | 6. 지치(자초) 【紫草】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 시기 【時候】 | ||
+ |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보관하기 【收藏】 | ||
+ | 7) 종자 거두기 【收種】 | ||
+ | |||
+ | 7. 아주까리(피마자) 【蓖麻】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제조 【製造】 | ||
+ | 3) 쓰임새 【功用】 | ||
+ | |||
+ | 8. 부들 【香蒲】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쓰임새 【功用】 | ||
+ | 4) 잔소리 【瑣言】 | ||
+ | |||
+ | 9. 갈대 【葦】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
+ | 10. 왕골 【龍鬚】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거름주기 【澆壅】 | ||
+ | |||
+ | 11. 골풀(등심초) 【燈心草】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알맞은 토양 【土宜】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거두기 【收採】 | ||
+ | 5) 보관하기 【收藏】 | ||
+ | 6) 제조 【製造】 | ||
+ | 7) 쓰임새 【功用】 | ||
+ | |||
+ | 12. 매자기(형삼릉) 【荊三稜】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3) 거름주기 【澆壅】 | ||
+ | 4) 제조 【製造】 | ||
+ | 5) 쓰임새 【功用】 | ||
+ | |||
+ | 13. 담배 【烟草】 | ||
+ | 1) 이름과 품종 【名品】 | ||
+ | 2) 파종 시기 【時候】 | ||
+ |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 ||
+ | 4) 치료하기 【醫治】 | ||
+ | 5) 거두기 【收採】 | ||
+ | 6) 종자 거두기 【收種】 | ||
+ | 7) 제조 【製造】 | ||
+ | |||
+ | ===전공지=== | ||
+ | |||
+ | 전공지(展功志):농사 백과(의류) 목차 <br> | ||
+ | |||
+ | 권1(총28) | ||
+ | Ⅰ. 누에치기와 길쌈(상)【蠶績 上】 | ||
+ | 1. 뽕나무 재배【栽桑】 | ||
+ | 1) 뽕나무【桑】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오디 파종【種椹】 | ||
+ | 6) 옮겨심기【移栽】 | ||
+ | 7) 휘묻이와 꽂이【壓揷】 | ||
+ | 8) 접붙이기【接換】 | ||
+ | 9) 지상(나지막하게 가꾸는 뽕나무)【地桑】 | ||
+ | 10) 수시(관리하기)【修蒔】 | ||
+ | 11) 가지치기와 뽕따기【科斫】 | ||
+ | 12) 효율적인 뽕나무 재배법【義桑法】 | ||
+ | 13) 구황용 뽕나무 관리법【治荒桑法】 | ||
+ | 14) 부가사항【附餘】 | ||
− | + | 2. 꾸지뽕나무 재배【栽柘】 | |
− | + | 1) 꾸지뽕나무【柘】 | |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 | 3)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 | 4) 따고 쳐내기【採剝】 | |
− | + | 5) 쓰임새【功用】 | |
− | + | 6) 부가사항【附餘】 | |
− | |||
− | |||
+ | 권2(총29) | ||
+ | Ⅰ. 누에치기와 길쌈(하)【蠶績 下】 | ||
+ | 1. 누에치기【養蠶】 | ||
+ | 1) 누에【蠶】 | ||
+ | 2) 누에씨 거두기【收種】 | ||
+ | 3) 누에씨 씻기【浴連】 | ||
+ | 4) 누에 보호【飾庇】 | ||
+ | 5) 잠실【蠶室】 | ||
+ | 6) 잠실 보온하기【火倉】 | ||
+ | 7) 잠박 기둥【安槌】 | ||
+ | 8) 누에 빛깔의 변화【變色】 | ||
+ | 9) 개미누에의 부화(생아)【生蛾】 | ||
+ | 10) 개미누에 잠박으로 내리기(하아)【下蛾】 | ||
+ | 11) 온도 총론【凉暖總論】 | ||
+ | 12) 누에치기 총론【飼養總論】 | ||
+ | 13) 잠박에 나누기와 똥갈이 총론【分擡總論】 | ||
+ | 14) 개미누에 처음 먹이기【初飼蛾】 | ||
+ | 15) 개미누에 나누기【擘黑】 | ||
+ | 16) 첫잠 뒤 먹이기【頭眠擡飼】 | ||
+ | 17) 두잠 뒤 먹이기【停眠擡飼】 | ||
+ | 18) 막잠 뒤 먹이기【大眠擡飼】 | ||
+ | 19) 누에섶에 올리기(입족)【入簇】 | ||
+ | 20) 삼광(누에 빛깔 3가지)·삼희(드물어야 할 3가지)·오광(넓어야 할 5가지)【三光三稀五廣】 | ||
+ | 21) 팔의(해주어야 할 8가지)·십체(몸의 상태 10가지)【八宜十軆】 | ||
+ | 22) 삼가야 할 일들【戒忌】 | ||
+ | 23) 누에농사 풍년 기원【祈禳】 | ||
+ | 24) 올누에와 늦누에의 이로움과 해로움【早晩蠶利害】 | ||
+ | 25) 넉잠누에 기르기【養四眠蠶】 | ||
+ | 26) 여름누에 기르는 법【養夏蠶法】 | ||
+ | 27) 가을누에 기르는 법【養秋蠶法】 | ||
+ | 28) 부록 : 야생누에 기르는 법【附 養山蠶法】 | ||
+ | 2. 고치 고르기와 실켜기【繰繭】 | ||
+ | 1) 고치 고르기【擇治】 | ||
+ | 2) 고치 찌는 법【蒸餾繭法】 | ||
+ | 3) 실켜기 총결【繰絲摠訣】 | ||
+ | 4) 실머리 물리기(위두)【餵頭】 | ||
+ | 5) 뜨거운 솥(열부)으로 실켜는 법【熱釜繰法】 | ||
+ | 6) 찬 동이(냉분)로 실켜는 법【冷盆繰法】 | ||
+ | 7) 찬 동이를 연이어 실켜는 법【連冷盆繰法】 | ||
− | + | 3. 길쌈【織紝】 | |
+ | 1) 사·라·릉·단 총론【紗羅綾緞緫法】 | ||
+ | 2) 사·라·릉·단 각론【紗羅綾緞分名】 | ||
+ | 3) 사·라·릉·단에 꽃무늬 넣기【紗緞花本】 | ||
+ | 4) 비단을 곱게 가공하는 법【熟練法】 | ||
+ | 5) 동주(우리나라 명주) 짜는 법【東紬織法】 | ||
+ | 6) 토주(두터운 바탕에 누르스름한 명주) 짜는 법【吐紬織法】 | ||
+ | 7) 숙초(가공한 명주) 짜는 법【熟綃織法】 | ||
+ | |||
+ | 4. 염색【湅染】 | ||
+ | 1) 대홍색【大紅色】 | ||
+ | 2) 소홍색【小紅色】 | ||
+ | 3) 연홍·도홍·은홍·수홍 4색【蓮紅桃紅銀紅水紅四色】 | ||
+ | 4) 다홍색【多紅色】 | ||
+ | 5) 번홍색【番紅色】 | ||
+ | 6) 정홍색【丁紅色】 | ||
+ | 7) 목홍색【木紅色】 | ||
+ | 8) 천홍색【茜紅色】 | ||
+ | 9) 규홍색【葵紅色】 | ||
+ | 10) 적색【赤色】 | ||
+ | 11) 토홍색【土紅色】 | ||
+ | 12) 금황색【金黃色】 | ||
+ | 13) 선황색【鮮黃色】 | ||
+ | 14) 아황색【鵝黃色】 | ||
+ | 15) 당리황색【棠梨黃色】 | ||
+ | 16) 주황색【朱黃色】 | ||
+ | 17) 두록색【豆綠色】 | ||
+ | 18) 대홍관록색【大紅官綠色】 | ||
+ | 19) 유록색【油綠色】 | ||
+ | 20) 압두록색【鴨頭綠色】 | ||
+ | 21) 천청색【天靑色】 | ||
+ | 22) 포도청색【葡萄靑色】 | ||
+ | 23) 단청색【蛋靑色】 | ||
+ | 24) 남색【藍色】 | ||
+ | 25) 취람·천람 2색【翠藍天藍二色】 | ||
+ | 26) 아청색【鵝靑色】 | ||
+ | 27) 포두청색【包頭靑色】 | ||
+ | 28) 청조색【靑早色】 | ||
+ | 29) 현색【玄色】 | ||
+ | 30) 자색【紫色】 | ||
+ | 31) 다갈색【茶褐色】 | ||
+ | 32) 우갈색【藕褐色】 | ||
+ | 33) 호도갈색【胡桃褐色】 | ||
+ | 34) 조갈색【棗褐色】 | ||
+ | 35) 초갈색【椒褐色】 | ||
+ | 36) 명다갈색【明茶褐色】 | ||
+ | 37) 형갈색【荊褐色】 | ||
+ | 38) 전갈색【甎褐色】 | ||
+ | 39) 침향색【沈香色】 | ||
+ | 40) 타색【駝色】 | ||
+ | 41) 상아색【象牙色】 | ||
+ | 42) 유록색【黝綠色】 | ||
+ | 43) 월백·초백 2색【月白艸白二色】 | ||
+ | 44) 회색【灰色】 | ||
+ | |||
+ | |||
+ | |||
+ | 권3(총30) | ||
+ | Ⅰ. 삼베류 길쌈【麻績】 | ||
+ | 1. 삼 재배 (부록) 저마(삼 암크루)【藝大麻 (附) 苴麻栽法】 | ||
+ | 1) 삼(대마)【大麻】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재배하기【種蒔】 | ||
+ | 5) 종자 거두기【收子】 | ||
+ | 6) 저마 재배법【種苴麻法】 | ||
+ | |||
+ | 2. 모시 재배【藝苧麻】 | ||
+ | 1) 모시(저마)【苧麻】 | ||
+ | 2) 재배하기【種蒔】 | ||
+ | 3) 종자 거두기【收種】 | ||
+ | 4) 쓰임새【功用】 | ||
+ | |||
+ | 3. 어저귀 재배【藝禜麻】 | ||
+ | 1) 어저귀【檾麻】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관리하기【修蒔】 | ||
+ | 5) 거두기【收採】 | ||
+ | 6) 쓰임새【功用】 | ||
+ | |||
+ | 4. 칡 채취【採葛】 | ||
+ | 1) 칡【葛】 | ||
+ | 2) 거두기【收採】 | ||
+ | 3) 부가사항【附餘】 | ||
+ | |||
+ | 5. 길쌈(방직)【紡織】 | ||
+ | 1) 물에 담고 짜기【漚績】 | ||
+ | 2) 첨운경(詹雲卿)의 베 짜는 법【詹雲卿造布法】 | ||
+ | 3) 우리나라의 베 짜는 법【東布織法】 | ||
+ | |||
+ | Ⅱ. 면 길쌈【綿績】 | ||
+ | 1. 목화 재배【種木綿】 | ||
+ | 1) 목화【木綿】 | ||
+ | 2) 알맞은 토양【土宜】 | ||
+ | 3) 파종 시기【時候】 | ||
+ | 4) 종자 고르기【擇種】 | ||
+ | 5) 파종과 가꾸기【種藝】 | ||
+ | 6) 거름주기【糞壅】 | ||
+ | 7) 그루 간의 거리【科苗】 | ||
+ | 8) 병폐 4가지【四病】 | ||
+ | 9) 요점 4가지【四要】 | ||
+ | 10) 장마와 가뭄 대비【弭備】 | ||
+ | 11) 사이짓기는 금물이다【禁間種】 | ||
+ | 12) 구덩이에 재배하는 법(감종법)【坎種法】 | ||
+ | 13) 거두기【收採】 | ||
+ | 14) 쓰임새【功用】 | ||
+ | |||
+ | 2. 길쌈【紡織】 | ||
+ | 1) 씨아와 무명활의 제작【碾彈法】 | ||
+ | 2) 땅광에서 길쌈하는 법【穿窖紡織法】 | ||
+ | 3) 길쌈법【織法】 | ||
+ | 4) 우리나라 길쌈법【東國織法】 | ||
+ | 5) (부록) 빨래하는 여러 방법【(附) 洗澣雜方】(46가지) | ||
+ | 나견 빨래洗羅絹 비단 빨래洗錦 북견 빨래洗北絹 저포 빨래洗苧布 생마포 삶기煮生麻布 흰옷 빨래洗白衣 갈옷 빨래洗葛衣 홍포 빨래洗紅布 청저사 빨래洗靑紵絲 검은옷 빨래洗皀衣 다갈색 옷감에 핀 흰 꽃점 처리治茶褐衣段 段_규 叚 | ||
+ | 發白花點 | ||
+ | 모전의 빨래洗毛氊衣 갖옷 빨래洗皮襖 먹물 든 옷 빨래洗墨汚衣 기름 묻은 옷 빨래洗油汚衣 칠 묻은 옷 빨래洗漆汚衣 양기름 묻은 옷 빨래洗羊脂汚衣 돼지기름 묻은 옷 빨래洗猪油汚衣 쇠기름 묻은 옷 빨래洗牛脂汚衣 동유 묻은 옷 빨래洗桐油汚衣 녹반과 각종 약에 물든 옷 빨래洗綠礬百藥汚衣 담배진액에 물든 옷 빨래洗烟膏汚衣 누른 진흙 묻은 옷 빨래洗黃泥汚衣 게장 묻은 옷 빨래洗蟹黃汚衣 피 묻은 옷 빨래洗血汚衣 고름 묻은 옷 빨래洗瘡膿汚衣 채색 묻은 옷 빨래洗彩色汚衣 청대 묻은 옷 빨래洗靑黛汚衣 고약 묻은 옷 빨래洗膏藥汚衣 똥 묻은 옷 빨래洗糞汚衣 벼룩 똥 묻은 옷 빨래洗蚤屎汚衣 회화나무 꽃에 물든 옷 빨래洗槐花汚衣 소방색에 물든 옷 빨래洗蘇方汚衣 양매 묻은 옷 빨래洗楊梅汚衣 철장 묻은 옷 빨래洗鐵漿汚衣 낙수물에 물든 옷 빨래洗屋漏水汚衣 감이나 배에 물든 옷 빨래洗柹梨汚衣 식초나 간장 묻은 옷 빨래洗醋醬汚衣 술 묻은 옷 빨래洗酒汚衣 | ||
+ | 습기로 누진 옷 빨래洗濕蒸變浥汚衣 흑공단 빨래洗黑貢緞汚 | ||
+ | 홍단 빨래洗紅緞汚 대홍주 빨래洗大紅紬 갓의 기름때 빨래洗笠子油汚 두건의 기름때 빨래洗油頭巾汚 두건의 기름때 빨래退染色布帛 | ||
+ | |||
+ | |||
+ | 권4(총31) | ||
+ | Ⅰ. 그림으로 보는 누에치기와 뽕나무 재배 (부록) 모시 재배【蠶桑圖譜 (附) 苧麻】 | ||
+ | 1) 잠실【蠶室】 | ||
+ | 2) 화창【火倉】 | ||
+ | 3) 대로【擡爐】 | ||
+ | 4) 잠추【蠶槌】 | ||
+ | 5)잠박【蠶箔】 | ||
+ | 6)잠연【蠶椽】 | ||
+ | 7) 잠비【蠶篚】 | ||
+ | 8)잠반【蠶槃】 | ||
+ | 9)잠가【蠶架】 | ||
+ | 10)잠망【蠶網】 | ||
+ | 11)잠표【蠶杓】 | ||
+ | 12)잠족【蠶簇】 | ||
+ | 단족團簇 마두족馬頭簇 공원치족空院置簇 | ||
+ | 13)견옹【繭甕】 | ||
+ | 14)견롱【繭籠】 | ||
+ | 15)견련【蠶連】 | ||
+ | 16) 상궤【桑几】 | ||
+ | 17)상제【桑梯】 | ||
+ | 18)작부【䂨斧】 | ||
+ | 19)상구【桑鉤】 | ||
+ | 20)상롱【桑籠】 | ||
+ | 21)상망【桑網】 | ||
+ | 22)참도【劖刀】 | ||
+ | 23)절도【切刀】 | ||
+ | 24)상침【桑碪】 | ||
+ | 25)상협【桑夾】 | ||
+ | 26)구지【漚池】 | ||
+ | 27)증석【蒸石】 | ||
+ | 28)예도【刈刀】 | ||
+ | 29) 저괄도【苧刮刀】 | ||
+ | 30)저증방【苧蒸房】 | ||
− | |||
− | |||
− | + | 권5(총32) | |
+ | Ⅰ. 그림으로 보는 길쌈【紡織圖譜】 | ||
+ | 1) 사확【絲籰】 | ||
+ | 2) 죽통【竹筒】 | ||
+ | 사통絲筒 사단絲團 | ||
+ | 3) 소차【繅車】 | ||
+ | 남소차南繅車 북소차北繅車 | ||
+ | 4)소사녹로【繅絲轆轤】 | ||
+ | 5)소저【繅筯】 | ||
+ | 6)사변【絲匾】 | ||
+ | 7) 열부【熱釜】 | ||
+ | 8)냉분【冷盆】 | ||
+ | 9)경가【經架】 | ||
+ | 10) 위차【緯車】 | ||
+ | 11)낙차【絡車】 | ||
+ | 12)직기【織機】 | ||
+ | 13)요기【腰機】 | ||
+ | 14)사【梭】 | ||
+ | 15)저【杼】 | ||
+ | 16) 성【筬】 | ||
+ | 17) 구광【簆框】 | ||
+ | 18) 복【椱】 | ||
+ | 19) 승【榺】 | ||
+ | 20)종【綜】 | ||
+ | 21) 중통【中筒】 | ||
+ | 22)침검【枕檢】 | ||
+ | 23)서차【絮車】 | ||
+ | 24) 연【撚】 | ||
+ | 25)면구【綿矩】 | ||
+ | 26)목면씨아【木綿攪車】 | ||
+ | 27)작은씨아【小攪車】 | ||
+ | 28)목면탄궁【木綿彈弓】 | ||
+ | 29)목면권정【木綿捲筳】 | ||
+ | 30)면통【綿筒】 | ||
+ | 31)목면물레【木綿紡車】 | ||
+ | 32) 왜물레【倭紡車】 | ||
+ | 33)과[정]【鍋[鋌]】 | ||
+ | 34)목면발차【木棉撥車】 | ||
+ | 35) 목면광상【木棉軖牀】 | ||
+ | 36)목면선가【木棉線架】 | ||
+ | 37)목면연석【木棉碾石】 | ||
+ | 38)면판【棉板】 | ||
+ | 39)적축【績(筑/虫)】 | ||
+ | 40)작은물레【小紡車】 | ||
+ | 41)큰물레【大紡車】 | ||
+ | 42)반차【蟠車】 | ||
+ | 43)노차【纑車】 | ||
+ | 44)노쇄【纑刷】 | ||
+ | 45)포기【布機】 | ||
− | === | + | ===위선지=== |
− | + | 위선지:농업과 기상 점후서 목차 <b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권1(총33) | ||
+ | Ⅰ. 일년의 예측 (상) 【候歲】 | ||
+ | |||
+ | 1. 정월점 【正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입춘의 일진 【立春日辰】 | ||
+ | 5) 입춘의 징후 【立春日候】 | ||
+ | 6) 입춘의 여러 점 【立春雜占】 | ||
+ | 7) 우수의 여러 점 【雨水雜占】 | ||
+ | 8) 정월 초하루의 천간 【元朝日干】 | ||
+ | 9) 정월 초하루의 징후 【元朝日候】 | ||
+ | 10) 정월 초하루의 여러 점 【元朝雜占】 | ||
+ | 11) 정월 보름의 징후 【上元日候】 | ||
+ | 12) 정월 보름의 여러 점 【上元雜占】 | ||
+ | 13) 갑(甲)이 든 날 【得甲】 | ||
+ | 14) 신(申)이 든 날 【得申】 | ||
+ | 15) 자(子)가 든 날 【得子】 | ||
+ | 16) 인(寅)이 든 날 【得寅】 | ||
+ | 17) 묘(卯)가 든 날 【得卯】 | ||
+ | 18) 진(辰)이 든 날 【得辰】 | ||
+ | 19) 신(申)이 든 날 【得申】 | ||
+ | 20) 유(酉)가 든 날 【得酉】 | ||
+ | 21) 자‧묘‧해가 3번씩 들면 【三子三卯三亥】 | ||
+ | 22) 밭의 운세 【田本命】 | ||
+ | 23) 초사흘 바람 【初三風】 | ||
+ | 24) 정월 초파일 맑음 【上八晴】 | ||
+ | 25) 해와 달의 그림자 【日月影】 | ||
+ | 26) 삼성 살피기 【看參星】 | ||
+ | 27) 꽃의 날 맑음【花朝晴】 | ||
+ | 28) 등불 떼는 밤 【落燈夜】 | ||
+ | 29) 문으로 들어오는 바람 【入門風】 | ||
+ | 30) 추수하는 날 【秋收日】 | ||
+ | 31) 갑일과 경일의 바람 【甲庚日風】 | ||
+ | 32) 비오는 횟수 헤아리기 【比數雨】 | ||
+ | 33) 눈(삼백) 【三白】 | ||
+ | 34) 뽕의 풍흉 【桑貴賤】 | ||
+ | 35) 물을 잰다 【秤水】 | ||
+ | |||
+ | 2. 2월점 【二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경칩의 징후 【驚蟄日候】 | ||
+ | 5) 춘분의 징후 【春分日候】 | ||
+ | 6) 사일(社日)의 징후 【社日日候】 | ||
+ | 7) 상공일 【上工日】 | ||
+ | 8) 상하산기 【上下山旗】 | ||
+ | 9) 두려운 밤비 【怕夜雨】 | ||
+ | 10) 권농일【勸農日】 | ||
+ | 11) 황고가 씨앗 담그는 날 【黃姑浸種日】 | ||
+ | 12) 관음보살의 생일 【觀音生日】 | ||
+ | 13) 소분룡 【小分龍】 | ||
+ | |||
+ | 3. 3월점 【三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청명의 징후 【淸明日候】 | ||
+ | 5) 곡우의 일진 【穀雨日辰】 | ||
+ | 6) 곡우의 징후 【穀雨日候】 | ||
+ | 7) 한식의 징후 【寒食日候】 | ||
+ | 8) 삼짇날 징후 【三日日候】 | ||
+ | 9)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 ||
+ | 10) 보리의 생일 【麥生日】 | ||
+ | 11) 황고가 씨앗 담그는 날 【黃姑浸種日】 | ||
+ | |||
+ | 4. 4월점 【四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입하의 일진 【立夏日辰】 | ||
+ | 5) 입하의 징후 【立夏日候】 | ||
+ | 6) 소만의 징후 【小滿日候】 | ||
+ | 7)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 ||
+ |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 ||
+ | 9) 벼의 생일 【稻生日】 | ||
+ | 10) 초파일 날씨 【初八陰晴】 | ||
+ | 11) 해와 달의 대조 【日月對照】 | ||
+ | 12) 16일의 청우 【十六晴雨】 | ||
+ | 13) 뜨는 달 살피기 【看月上】 | ||
+ | 14) 달그림자 측량 【量月影】 | ||
+ | 15) 소분룡 【小分龍】 | ||
+ | |||
+ | 5. 5월점 【五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달의 크기 【月大小】 | ||
+ | 5) 망종의 일진 【芒種日辰】 | ||
+ | 6) 망종의 징후【芒種日候】 | ||
+ | 7) 망종의 여러 점 【芒種雜占】 | ||
+ | 8) 하지의 일진 【夏至日辰】 | ||
+ | 9) 하지의 징후 【夏至日候】 | ||
+ | 10) 하지의 여러 점 【夏至雜占】 | ||
+ | 11) 단오의 징후 【端午日候】 | ||
+ | 12) 진(辰)이 든 날 【得辰】 | ||
+ | 13)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 ||
+ | 14) 벼의 운세 【禾本命】 | ||
+ | 15) 대분룡 【大分龍】 | ||
+ | 16) 쇄룡문【鎖龍門】 | ||
+ | 17) 삼시의 바람과 비【三時風雨】 | ||
+ | 18) 금뢰천 【禁雷天】 | ||
+ | |||
+ | 6. 6월점 【六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초하루의 간지 【朔日干】 | ||
+ | 5) 소서의 징후 【小暑日候】 | ||
+ | 6) 삼복의 징후【三伏日候】 | ||
+ | 7) 초사흘의 청우 【初三晴雨】 | ||
+ | 8) 담록이비 【湛轆耳】 | ||
+ | 9) 유두날의 우레 【流頭日雷】 | ||
+ | |||
+ | 7. 7월점 【七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입추의 일진 【立秋日辰】 | ||
+ | 5) 입추의 징후 【立秋日候】 | ||
+ | 6) 입추의 여러 점 【立秋雜占】 | ||
+ | 7) 처서의 징후 【處暑日候】 | ||
+ | 8) 칠석의 징후 【七夕日候】 | ||
+ | 9)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 ||
+ | 10) 하늘에 별 총총【滿斗】 | ||
+ | 11) 교간의 생일【簥竿生日】 | ||
+ | 12) 발우 씻는 비(세발우) 【洗鉢盂】 | ||
+ | 13) 달이 언제 뜨나 【月上早遲】 | ||
+ | |||
+ | 8. 8월점 【八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다 채운 달 (대진월) 【月大盡】 | ||
+ | 5) 백로의 일진 【白露日辰】 | ||
+ | 6) 추분의 일진 【秋分日辰】 | ||
+ | 7) 추분의 징후 【秋分日候】 | ||
+ | 8) 추석의 징후 【中秋日候】 | ||
+ | 9) 추사일의 비 【社日雨】 | ||
+ | 10) 묘일(卯日)과 경일(庚日)이 3번 들면 【三卯三庚】 | ||
+ | 11) 초하루의 청우 【朔日晴雨】 | ||
+ | 12) 달빛으로 징후 살피기 【候月色】 | ||
+ | 13) 횡항의 비 【橫降雨】 | ||
+ | 14) 소금의 생일 【鹽生日】 | ||
+ | 15) 16일 밤의 달 【十六夜月】 | ||
+ | 16) 볏짚의 생일【稻藳生日】 | ||
+ | |||
+ | 9. 9월점 【九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중양절의 징후 【九日日候】 | ||
+ | 5) 조의 풍흉 【粟貴賤】 | ||
+ | 6)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 ||
+ | 7) 볏단의 생일 【稻蘿生日】 | ||
+ | 8) 상묘일 바람 【上卯風】 | ||
− | + | 10. 10월점 【十月占】 | |
− | 1)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2) | + | 2) 총점 【總占】 |
− | 3)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4) | + | 4) 입동의 징후 【立冬日候】 |
− | 5) | + | 5) 입동의 여러 점 【立冬雜占】 |
− | 6) | + | 6) 소설의 징후 【小雪日候】 |
− | 7) | + | 7) 묘일(卯日) 3번과 임자(壬子)일 【三卯壬子】 |
− | 8) | + |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
− | 9) | + | 9) 오풍의 신호 【五風信】 |
− | 10) | + | 10) 추위할미의 생일 【寒婆生日】 |
− | 11) | + | 11) 액우 【液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1월점 【十一月占】 |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 2) 총점 【總占】 |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 4) 동지의 징후 【冬至日候】 | ||
+ | 5) 동지의 여러 점 【冬至雜占】 | ||
+ | 6) 임(壬)이 든 날 【得壬】 | ||
+ | 7) 세로 【歲露】 | ||
+ | 8) 아미타불의 생일 【彌陀生日】 | ||
− | + | 12. 12월점 【十二月占】 | |
− | 1) | + |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
− | 2) | + | 2) 총점 【總占】 |
− | 3) | + |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
− | 4) | + | 4) 대한과 소한의 징후 【大小寒日候】 |
− | 5) | + | 5) 섣달 그믐날의 징후 【除日日候】 |
− | 6) | + | 6) 섣달 그믐날의 여러 점 【除日雜占】 |
− | 7) | + | 7) 일년을 마치기 전에 입춘이 들면 【殘年立春】 |
− | 8) | + |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
− | 9) | + | 9) 누에 비추어 살피기(조전잠)【照田蠶】 |
− | 10) | + | 10) 대금월 【大禁月】 |
− | + | 권2(총34) | |
+ | ⅠI. 일년의 예측 (중) 【候歲】 | ||
+ | 1. 하늘로 점치다 【占天】 | ||
+ | 1) 하늘 빛깔 【天色】 | ||
+ | 2) 하늘 기운 【天氣】 | ||
+ | 3) 하늘 울림 【天鳴】 | ||
+ | 4) 하늘 갈라짐 【天裂】 | ||
+ | 5) 하늘 웃음 【天笑】 | ||
− | 1. | + | 2. 땅으로 점치다 【占地】 |
− | 1) | + | 1) 땅의 이상현상 【地異】 |
− | 2) | + | 3. 해로 점치다 【占日】 |
− | 3) | + | 1) 일식 【日食】 |
− | 4) | + | 2) 햇무리 【日暈】 |
− | 5) | + | 3) 해고리(일이) 【日珥】 |
− | 6) | + | 4) 해의 빛깔 【日色】 |
− | + | 5) 해 주위의 구름 【日旁雲氣】 | |
− | + | 6) 해의 이상현상 【日異】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달로 점치다 【占月】 | |
− | 1) | + | 1) 월식 【月食】 |
− | 2) | + | 2) 달무리 【月暈】 |
− | 3) | + | 3) 달고리(월이) 【月珥】 |
− | 4) | + | 4) 달의 빛깔 【月色】 |
− | 5) | + | 5) 달의 능범 【凌犯】 |
− | 6) | + | 6) 달 주위의 구름 【月傍雲氣】 |
− | 7) | + | 7) 달의 이상현상 【月異】 |
− | |||
− | |||
− | |||
− | |||
− | |||
− | |||
− | |||
− | 4. | + | 5. 바람으로 점치다 【占風】 |
− | 1) | + | 1) 8방위의 바람 【八風】 |
− | 2) | + | 2) 해로운 바람 【賊風】 |
− | 3) | + | 3) 바람 불어오는 방위 【風起方】 |
− | 4) | + | 4) 바람 부는 날의 일진 【風起日辰】 |
− | 5) | + | |
− | 6) | + | 6. 비로 점치다 【占雨】 |
− | 7) | + | 1) 갑자일의 비 【甲子雨】 |
− | 8) | + | 2) 사묘일의 비 【四卯雨】 |
− | + | 3) 임자일의 비 【壬子雨】 | |
+ | 4) 신(申)이 든 날의 비 【申日雨】 | ||
+ | 5) 사계절의 비 【四時雨】 | ||
+ | 6) 다섯달 초하루의 비 【五朔雨】 | ||
+ | 7) 밤비 【夜雨】 | ||
+ | 8) 기이한 비 【雨異】 | ||
+ | |||
+ | 7. 구름으로 점치다 【占雲】 | ||
+ | 1) 초하루의 구름 【月朔雲】 | ||
+ | 2) 구름의 모양 【雲形】 | ||
+ | 3) 구름의 빛깔 【雲色】 | ||
+ | 4) 별자리에 드는 구름 【雲入星宿】 | ||
+ | |||
+ | 8. 안개와 노을로 점치다 【占霧霞】 | ||
+ | 1) 자년(子年)의 안개 【子年霧】 | ||
+ | 2) 사계절의 안개 【四時霧】 | ||
+ | 3) 여섯 천간이 든 날의 안개 【六干日霧】 | ||
+ | 4) 종일 끼는 안개 【終日霧】 | ||
+ | 5) 호수의 안개 【湖中霧】 | ||
+ | 6) 천지의 흙비【天地霾】 | ||
+ | 7) 된서리(무송) 【霧淞】 | ||
+ | 8) 노을의 모양 【霞形】 | ||
+ | |||
+ | 9. 무지개로 점치다 【占虹】 | ||
+ | 1) 다섯 무지개 【五虹】 | ||
+ | 2) 각 절기의 무지개 【節氣虹】 | ||
+ | 3) 사계절의 무지개 【四時虹】 | ||
+ | 4) 무지개 뜨는 방위 【虹出方】 | ||
+ | 5) 무지개의 모양 【虹形】 | ||
+ | 6) 무지개의 빛깔 【虹色】 | ||
+ | |||
+ | 10. 우레와 번개로 점치다 【占雷電】 | ||
+ | 1) 사계절의 우레 【四時雷】 | ||
+ | 2) 우레 소리 【雷聲】 | ||
+ | 3) 우레 치는 방위 【雷起方】 | ||
+ | 4) 우레 치는 날의 일진 【雷起日辰】 | ||
+ | 5) 맑은 날의 우레 【晴雷】 | ||
+ | 6) 여름 번개 【夏電】 | ||
− | + | 11. 서리와 이슬로 점치다 【占霜露】 | |
− | 1) | + | 1) 봄과 겨울 서리 【春冬霜】 |
− | 2) | + | 2) 홀로 내린 서리(고상) 【孤霜】 |
− | 3) | + | 3) 때아닌 서리 【非時霜】 |
+ | 4) 서리가 안 내리면 【霜不降】 | ||
+ | 5) 서리의 징후 【霜候】 | ||
+ | 6) 만물을 적시는 이슬 【露潤物】 | ||
− | + | 12. 눈으로 점치다 【占雪】 | |
− | 1) | + | 1) 눈(삼백) 【三白】 |
− | 2) | + | 2) 한 척 넘는 눈【盈尺雪】 |
− | 3) | + | 3) 봄과 가을의 눈 【春秋雪】 |
− | 4) | + | 4) 눈이 녹지 않으면 【雪不消】 |
− | |||
+ | 13. 우박으로 점치다 【占雹】 | ||
+ | 1) 사계절의 우박 【四時雹】 | ||
+ | 14. 얼음으로 점치다 【占氷】 | ||
+ | 1) 사계절의 얼음 【四時氷】 | ||
+ | 2) 늘어나는 얼음과 줄어드는 얼음 【長水退水氷】 | ||
+ | 3) 얼음이 세 차례 녹으면 【氷三泮】 | ||
− | + | 15. 은하수로 점치다 【占天河】 | |
+ | 1) 은하수의 별 【漢中星】 | ||
+ | 2) 은하수의 구름 【漢中雲】 | ||
− | + | 16. 초목으로 점치다 【占草木】 | |
+ | 1) 먼저 나온 풀 【草先生】 | ||
+ | 2) 다섯 나무 【五木】 | ||
+ | 3) 오곡초 【五穀草】 | ||
+ | 4) 줄풀(교초) 【茭草】 | ||
+ | 5) 간과초 【看窠草】 | ||
+ | 6) 들장미 【野薔薇】 | ||
+ | 7) 봉선화 【鳳仙花】 | ||
+ | 8) 물꽃 우두머리(연꽃) 【水花魁】 | ||
+ | 9) 끼무릇(반하) 【半夏】 | ||
+ | 10) 우레버섯(뇌심) 【雷蕈】 | ||
+ | 11) 모시 【苧】 | ||
+ | 12) 아욱 【葵】 | ||
+ | 13) 사철나무(동청) 【冬靑】 | ||
+ | 14) 복숭아와 자두 【桃李】 | ||
+ | 15) 살구와 대추 【杏棗】 | ||
+ | 16) 밤나무 【栗】 | ||
+ | 17) 개오동나무 【楸】 | ||
+ | 18) 버드나무 【楊柳】 | ||
+ | 19) 회화나무【槐】 | ||
+ | 20) 오동나무 【梧桐】 | ||
+ | 21) 구기자나무 【杞】 | ||
+ | 22) 박달나무 【檀】 | ||
+ | 23) 익지 【益智】 | ||
+ | 24) 영산홍 【映山紅】 | ||
+ | 25) 대나무 【竹】 | ||
+ | 26) 나무에 꽃이 다시 피면 【木再花】 | ||
+ | 17. 곡식으로 점치다 【占穀】 | ||
+ | 1) 그 해의 알맞은 곡식 【歲所宜】 | ||
+ | 2) 벼 【稻】 | ||
+ | 3) 맥류 【麥】 | ||
+ | 4) 납작콩 【扁豆】 | ||
+ | 5) 수수 【蜀黍】 | ||
− | + | 18. 금수로 점치다 【占禽獸】 | |
− | 1. | + | 1) 까치 【鵲】 |
− | 1) | + | 2) 소쩍새【鼎小鳥】 |
− | 2) | + | 3) 제비【燕】 |
− | 3) | + | 4) 사다새【鵜鶘】 |
− | 4 | + | 5) 물새【水鳥】 |
− | 5) | + | 6) 기이한 새【異鳥】 |
− | 6) | + | 7) 쥐【鼠】 |
− | + | 8) 들쥐【野鼠】 | |
− | + | 9) 수달【獺】 | |
− | + | ||
− | + | 19. 곤충과 물고기로 점치다 【占蟲魚】 | |
+ | 1) 개구리【蛙】 | ||
+ | 2) 파리【蠅】 | ||
+ | 3) 누에【蠶】 | ||
+ | 4) 개똥벌레【螢】 | ||
+ | 5) 매미【蟬】 | ||
+ | 6) 메뚜기와 잠자리【蚱蜢蜻蜓】 | ||
+ | 7) 뱀【蛇】 | ||
+ | 8) 물고기가 뿌리는 이리【魚散子】 | ||
+ | 9) 잉어【鯉】 | ||
+ | 10) 붕어【鯽】 | ||
+ | 11) 전어【鱄魚】 | ||
+ | 12) 나어【鸁魚】 | ||
+ | 13) 문요어【文鰩】 | ||
+ | 14) 가오리와 백대어 【海鷂白袋】 | ||
+ | 15) 용【龍】 | ||
+ | |||
+ | 20. 역일로 점치다 【占曆日】 | ||
+ | 1) 한 해에 초하루 천간이 3번 같으면【歲干三朔】 | ||
+ | 2) 삼만두【三滿斗】 | ||
+ | 3) 금신【金神】 | ||
+ | |||
+ | 21. (부록) 곡식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附) 耕播宜忌日】 | ||
+ | 21-1. 밭일 좋은 날과 피할 날 【田事宜忌日】 | ||
+ | 21-2. 밭갈이 좋은 날과 피할 날【耕田宜忌日】 | ||
+ | 21-3. 밭거름주기 좋은 날과 피할 날【壅田宜忌日】 | ||
+ | 21-4. 밭사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燒田宜忌日】 | ||
+ | 21-5. 황무지 개간 좋은 날과 피할 날【開荒宜忌日】 | ||
+ | 21-6. 종자 담그기 좋은 날【浸種吉日】 | ||
+ | 21-7. 씨뿌리기 좋은 날과 피할 날【播種宜忌日】 | ||
+ | 21-8. 육갑에 따른 심고 기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六甲種作宜忌日】 | ||
+ | 21-9. 달에 따른 심고 기르기 좋은 날 【遂月種作吉日】 | ||
+ | 21-10. 심고 기를 때 짐승 벌레 안 먹는 날 【種作禽蟲不食日】 | ||
+ | 21-11. 심고 기를 때 벌레 없는 날 【種作無蟲日】 | ||
+ | 21-12. 거두지 않는 날 【不收日】 | ||
+ | 21-13. 성숙하지 않는 날【不成日】 | ||
+ | 21-14. 좀벌레 드는 날【蛀日】 | ||
+ | 21-15. 황폐해지는 날【荒蕪日】 | ||
+ | 21-16. 밭 흔적 남는 날【田痕日】 | ||
+ | 21-17. 구초일【九焦日】 | ||
+ | 21-18. 농가에서 두루 피할 날【田家通忌日】 | ||
+ | 21-19. 벼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稻宜忌日】 | ||
+ | 21-20. 기장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黍宜忌日】 | ||
+ | 21-21. 검은기장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穄宜忌日】 | ||
+ | 21-22. 조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粟宜忌日】 | ||
+ | 21-23. 맥류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麥宜忌日】 | ||
+ | 21-24. 메밀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蕎麥宜忌日】 | ||
+ | 21-25. 콩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豆宜忌日】 | ||
+ | 21-26. 마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麻宜忌日】 | ||
+ | 21-27. 마당 널기 좋은 날과 피할 날【置場宜忌日】 | ||
+ | 21-28. 곡간 수리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修倉宜忌日】 | ||
+ | 21-29. 곡간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入倉宜忌日】 | ||
+ | 21-30. 곡식 찧기 좋은 날과 피할 날【礱變宜忌日】 | ||
+ | |||
+ | 22. (부록) 채소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治圃宜忌日】 | ||
+ | 22-1. 채소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 【種蔬宜忌日】 | ||
+ | 22-2. 오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瓜宜忌日】 | ||
+ | 22-3. 생강 심기 좋은 날【種薑吉日】 | ||
+ | 22-4. 토란 심기 좋은 날【種芋吉日】 | ||
+ | 22-5. 파 심기 좋은 날【種葱吉日】22-6. 마늘 심기 좋은 날【種蒜吉日】 | ||
+ | |||
+ | 23. (부록) 나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種植宜忌日】 | ||
+ | 23-1. 나무 심기 좋은 절기【種植吉節】 | ||
+ | 23-2. 나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植宜忌日】 | ||
+ | 23-3.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날벌레 안 먹는 날【種花果飛蟲不食日】 | ||
+ | 23-4.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좀벌레 피하는 날【種花果避蛀日】 | ||
+ | |||
+ | 24. (부록) 누에치기 좋은 날과 피할 날【(附) 養蠶宜忌日】 | ||
+ | 24-1. 누에씨 담그기, 누에 털기, 잠박기둥 세우기, 누에광주리에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浴蠶出蠶安搥入筐宜忌日】 | ||
+ | 24-2. 누에집 피할 방위【蠶室忌方】 | ||
+ | 24-3. 누에똥 털기 좋은 방위【出蠶沙吉方】 | ||
+ | |||
+ | 25. (부록) 가축 기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畜牧宜忌日】 | ||
+ | 25-1. 소우리 짓기 좋거나 흉한 년월일【作牛牢吉凶年月日】 | ||
+ | 25-2. 소 사고 팔기,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牛取牛出納牛宜忌日】 | ||
+ | 25-3. 소 코뚜레하기, 길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穿牛敎牛宜忌日】 | ||
+ | 25-4. 마구간 짓기 좋은 날과 피할 날【作馬枋宜忌日】 | ||
+ | 25-5. 말 사고 팔기,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馬取馬出納馬宜忌日】 | ||
+ | 25-6. 말과 망아지 훈련시키기 좋은 날【伏馬習駒吉日】 | ||
+ | 25-7. 말 방혈하기 좋은 날 【放馬血宜吉日】 | ||
+ | 25-8. 돼지우리 짓고 수리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修作猪牢宜忌日】 | ||
+ | 25-9. 돼지 사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猪宜忌日】 | ||
+ | 25-10. 돼지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出納猪宜忌日】 | ||
+ | 25-11. 양우리 짓기 좋은 날【作羊棧吉日】 | ||
+ | 25-12. 양 사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羊納羊宜忌日】 | ||
+ | 25-13. 고양이 데려오기 좋은 날【取猫吉日】 | ||
+ | 25-14. 개 사고 데려오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犬取犬宜忌日】 | ||
+ | 25-15. 닭, 거위, 오리 축사 짓거나 수리하기 좋은 날【修作鷄鵝鴨棲吉日】 | ||
+ | 25-16. 닭, 거위, 오리 사기, 닭 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鷄鵝鴨出鷄宜忌日】 | ||
+ | 25-17. 육축을 사기, 고르기, 들이고 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買六畜調六畜出納六畜宜忌日】 | ||
+ | |||
+ | 26. (부록) 사냥과 고기잡이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佃漁宜忌日】 | ||
+ | 26-1. 고기잡이와 사냥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 【漁獵宜忌日】 | ||
+ | 26-2. 짐승 사냥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 【張捕宜忌日】 | ||
+ | 26-3. 고기잡이 좋은 날과 피할 날【捉魚宜忌日】 | ||
+ | |||
+ | 권3(총35)- | ||
+ | Ⅰ. 일년의 예측 (하) 【候歲】 | ||
+ | |||
+ | 1. 별로 점치다 【占星】 | ||
+ | 1) 총론 【總論】 | ||
+ | 2) 자미원의 별자리 【紫微垣】 | ||
+ | 2-1) 천일(1)【天一一星】 | ||
+ | 2-2) 태일(1) 【太一一星】 | ||
+ | 2-3) 육갑(6) 【六甲六星】 | ||
+ | 2-4) 팔곡(8) 【八穀八星】 | ||
+ | 2-5) 북두칠성 【北斗七宿】 | ||
+ | |||
+ | 3) 태미원의 별자리 【太微垣】 | ||
+ | 3-1) 서번(5)과 동번(5) 【西藩五星東藩五星】 | ||
+ | 3-2) 영대(3) 【靈臺三星】 | ||
+ | 3-3) 삼대(6) 【三台六星】 | ||
− | 2 | + | 4) 천시원의 별자리 【天市垣】 |
− | 1) | + | 4-1) 백도(2) 【帛度二星】 |
− | 2) | + | 4-2) 열사(2) 【列肆二星】 |
− | 3) | + | 4-3) 두성(5)과 곡성(4) 【斗五星斛四星】 |
− | + | ||
− | 4) | + | 5) 동쪽의 각·항·저 3수 【東方角亢氐三宿】 |
− | + | 5-1) 각수(2) 【角宿二星】 | |
− | + | 5-2) 천전(2) 【天田二星】 | |
− | 5) | + | 5-3) 항수(4) 【亢宿四星】 |
− | 6) | + | 5-4) 저수(4) 【氐宿四星】 |
− | + | 5-5) 항지(6) 【亢池六星】 | |
− | 7) | + | |
− | 8) | + | 6) 동쪽의 방·심·미·기 4수 【東方房心尾箕四宿】 |
− | 9) | + | 6-1) 방수(4) 【房宿四星】 |
− | 10) | + | 6-2) 심수(3) 【心宿三星】 |
− | 11) | + | 6-3) 미수(9) 【尾宿九星】 |
− | 12) | + | 6-4) 귀성(5) 【龜五星】 |
− | 13) | + | 6-5) 천강(4) 【天江四星】 |
− | 14) | + | 6-6) 어성(1) 【魚一星】 |
− | 15) | + | 6-7) 기수(4) 【箕宿四星】 |
− | 16) | + | 6-8) 저성(3) 【杵三星】 |
− | + | 6-9) 강성(1) 【糠一星】 | |
− | + | ||
− | + | 7) 북쪽의 두·우·여 3수 【北方斗牛女三宿】 | |
− | + | 7-1) 두수(6) 【斗宿六星】 | |
− | + | 7-2) 건성(6) 【建六星】 | |
− | + | 7-3) 천변(9) 【天弁九星】 | |
− | + | 7-4) 별십(13) 【鼈十三星】 | |
− | + | 7-5) 천계(2) 【天鷄二星】 | |
+ | 7-6) 천연(10) 【天淵十星】 | ||
+ | 7-7) 농장인(1) 【農丈人一星】 | ||
+ | 7-8) 우수(6) 【牛宿六星】 | ||
+ | 7-9) 천전(9) 【天田九星】 | ||
+ | 7-10) 구감(9) 【九坎九星】 | ||
+ | 7-11) 직녀(3) 【織女三星】 | ||
+ | 7-12) 나언(2) 【羅堰二星】 | ||
+ | 7-13) 여수(4) 【女宿四星】 | ||
+ | 7-14) 호과(5)와 패과(5) 【瓠瓜五星敗瓜五星】 | ||
+ | 7-15) 천진(9) 【天津九星】 | ||
+ | 7-16) 부광(7) 【扶筐七星】 | ||
+ | |||
+ | 8) 북쪽의 허·위·실·벽 4수 【北方虛危室壁四宿】 | ||
+ | 8-1) 허수(2) 【虛宿二星】 | ||
+ | 8-2) 패아(4) 【敗臼四星】 | ||
+ | 8-3) 위수(3) 【危宿三星】 | ||
+ | 8-4) 인성(5) 【人星五星】 | ||
+ | 8-5) 저성(3)과 구성(4) 【杵三星臼四星】 | ||
+ | 8-6) 실수(2) 【室宿二星】 | ||
+ | 8-7) 등사(22) 【騰蛇二十二星】 | ||
+ | 8-8) 벽수(2) 【壁宿二星】 | ||
+ | 8-9) 운우(4) 【雲雨四星】 | ||
+ | |||
+ | 9) 서쪽의 규·누·위 3수 【西方奎婁胃三宿】 | ||
+ | 9-1) 규수(16) 【奎宿十六星】 | ||
+ | 9-2) 토사공(1) 【土司空一星】 | ||
+ | 9-3) 누수(3) 【婁宿三星】 | ||
+ | 9-4) 부질(5) 【鈇鑕五星】 | ||
+ | 9-5) 천창(6) 【天倉六星】 | ||
+ | 9-6) 천유(3) 【天庾三星】 | ||
+ | 9-7) 위수(3) 【胃宿三星】 | ||
+ | 9-8) 천름(4) 【天廩四星】 | ||
+ | 9-9) 천균(13) 【天囷十三星】 | ||
+ | 9-10) 천항(9) 【天船九星】 | ||
+ | 9-11) 적수(1) 【積水一星】 | ||
+ | 9-12) 추고(6) 【芻藁六星】 | ||
+ | |||
+ | 10) 서쪽의 묘·필·삼·자 4수 【西方昴畢參觜四宿】 | ||
+ | 10-1) 묘수(7) 【昴宿七星】 | ||
+ | 10-2) 천원(16) 【天苑十六星】 | ||
+ | 10-3) 필수(8) 【畢宿八星】 | ||
+ | 10-4) 천가(2) 【天街二星】 | ||
+ | 10-5) 오차(5)와 삼주(9) 【五車五星三柱九星】 | ||
+ | 10-6) 천황(5) 【天潢五星】 | ||
+ | 10-7) 천원(13) 【天園十三星】 | ||
+ | 10-8) 삼수(7)와 벌성(3) 【參宿七星伐三星】 | ||
+ | 10-9) 옥정(4) 【玉井四星】 | ||
+ | 10-10) 병성(2) 【屛二星】 | ||
+ | 10-11) 천측(4) 【天廁四星】 | ||
+ | 10-12) 시성(1) 【屎一星】 | ||
+ | 10-13) 자수(3) 【觜宿三星】 | ||
− | + | 11) 남쪽의 정·귀·유 3수 【南方井鬼柳三宿】 | |
+ | 11-1) 정수(8) 【井宿八星】 | ||
+ | 11-2) 남하(3)와 북하(3) 【南河三星北河三星】 | ||
+ | 11-3) 천준(3) 【天罇三星】 | ||
+ | 11-4) 오제후(5) 【五諸候五星】 | ||
+ | 11-5) 적수(1) 【積水一星】 | ||
+ | 11-6) 적신(1) 【積薪一星】 | ||
+ | 11-7) 수위(4) 【水位四星】 | ||
+ | 11-8) 수부(4) 【水府四星】 | ||
+ | 11-9) 사독(4) 【四瀆四星】 | ||
+ | 11-10) 노인(1) 【老人一星】 | ||
+ | 11-11) 귀수(4) 【鬼宿四星】 | ||
+ | 11-12) 유수(8) 【柳宿八星】 | ||
+ | 12) 남쪽의 성·장·익·진 4수 【南方星張翼軫四宿】 | ||
+ | 12-1) 성수(7) 【星宿七星】 | ||
+ | 12-2) 헌원(17) 【軒轅十七星】 | ||
+ | 12-3) 천직(5) 【天稷五星】 | ||
+ | 12-4) 장수(6) 【張宿六星】 | ||
+ | 12-5) 익수(22) 【翼宿二十二星】 | ||
+ | 12-6) 진수(4) 【軫四星】 | ||
+ | 13) 세성 【歲星】 | ||
+ | 14) 형혹 【熒惑】 | ||
+ | 15) 전성 【塡星】 | ||
+ | 16) 태백 【太白】 | ||
+ | 17) 진성 【辰星】 | ||
+ | 18) 별의 빛깔 【星色】 | ||
+ | 19) 별의 운행 【星行】 | ||
+ | 20) 별의 만남 【星合】 | ||
+ | 21) 별의 머뭄 【星守】 | ||
+ | 22) 별의 침범 【星犯】 | ||
+ | 23) 별의 다툼 【星鬪】 | ||
+ | 24) 요성 【妖星】 | ||
+ | 25) 객성 【客星】 | ||
+ | 26) 유성 【流星】 | ||
+ | 27) 혜성 【彗星】 | ||
− | + | 2. 운기로 점치다 【占運氣】 | |
− | 1) | + | 1) 총론 【總論】 |
− | 2) | + | 2) 갑자와 갑오 【甲子甲午】 |
− | 3) | + | 3) 을축과 을미 【乙丑乙未】 |
− | 4) | + | 4) 병인과 병신 【丙寅丙申】 |
− | 5) | + | 5) 정묘와 정유 【丁卯丁酉】 |
− | 6) | + | 6) 무진과 무술 【戊辰戊戌】 |
− | 7) | + | 7) 기사와 기해 【己巳己亥】 |
− | 8) | + | 8) 경오와 경자 【庚午庚子】 |
− | 9) | + | 9) 신미와 신축 【辛未辛丑】 |
− | 10) | + | 10) 임신과 임인 【壬申壬寅】 |
− | 11) | + | 11) 계유와 계묘 【癸酉癸卯】 |
− | 12) | + | 12) 갑술과 갑진 【甲戌甲辰】 |
− | 13) | + | 13) 을해와 을사 【乙亥乙巳】 |
− | 14) | + | 14) 병자와 병오 【丙子丙午】 |
− | 15) | + | 15) 정축과 정미 【丁丑丁未】 |
− | 16) | + | 16) 무인과 무신 【戊寅戊申】 |
− | 17) | + | 17) 기묘와 기유 【己卯己酉】 |
− | 18) | + | 18) 경진과 경술 【庚辰庚戌】 |
− | 19) | + | 19) 신사와 신해 【辛巳辛亥】 |
− | 20) | + | 20) 임오와 임자 【壬午壬子】 |
− | 21) | + | 21) 계미와 계축 【癸未癸丑】 |
− | 22) | + | 22) 갑신과 갑인 【甲申甲寅】 |
− | 23) | + | 23) 을유와 을묘 【乙酉乙卯】 |
− | 24) | + | 24) 병술과 병진 【丙戌丙辰】 |
− | 25) | + | 25) 정해와 정사 【丁亥丁巳】 |
− | 26) | + | 26) 무자와 무오 【戊子戊午】 |
− | 27) | + | 27) 기축과 기미 【己丑己未】 |
− | 28) | + | 28) 경인과 경신 【庚寅庚申】 |
− | 29) | + | 29) 신묘와 신유 【辛卯辛酉】 |
− | 30) | + | 30) 임진과 임술 【壬辰壬戌】 |
+ | 31) 계사와 계해 【癸巳癸亥】 | ||
+ | 32) 태세 총점 【太歲總占】 | ||
+ | 33) 오간 【五干】 | ||
+ | 34) 삼표 【三表】 | ||
+ | 35) 운기는 늘 변한다 【論運氣常變】 | ||
+ | |||
+ | |||
+ | 권4(총36) | ||
+ | I . 비와 바람의 예측 【候風雨】 | ||
+ | 1. 총론 【總論】 | ||
+ | 1) 가결 【歌訣】 | ||
+ | 2. 하늘로 점치다 【占天】 | ||
+ | 1) 하늘 빛깔 【天色】 | ||
+ | 2) 하늘 기운 【天氣】 | ||
+ | 3. 땅으로 점치다 【占地】 | ||
+ | 1) 땅의 습기 【地濕】 | ||
+ | |||
+ | 4. 해로 점치다 【占日】 | ||
+ | 1) 햇무리 【日暈】 | ||
+ | 2) 해고리(일이) 【日珥】 | ||
+ | 3) 해의 빛깔 【日色】 | ||
+ | 4) 해가 뜨는 시각 【日出早晏】 | ||
+ | 5) 해의 운행이 어긋나면 【日行失度】 | ||
+ | 6) 반조 【返照】 | ||
+ | 7) 청백로 【靑白路】 | ||
+ | 8) 햇발 【日脚】 | ||
+ | 9) 해 질 무렵 구름 【日落雲】 | ||
+ | 10) 해 주위의 구름 【日傍雲氣】 | ||
− | + | 5. 달로 점치다 【占月】 | |
+ | 1) 월식 【月蝕】 | ||
+ | 2) 달무리 【月暈】 | ||
+ | 3) 달고리 【月珥】 | ||
+ | 4) 달의 빛깔 【月色】 | ||
+ | 5) 달이 기울면 【月偃】 | ||
+ | 6) 달이 별자리에서 멀어지면 【月離星】 | ||
+ | 7) 달 주위의 구름 【月傍雲】 | ||
− | + | 6. 별로 점치다 【占星】 | |
− | + | 1) 별의 흔들림 【星動】 | |
− | 1) | + | 2) 별이 흘러가면 【星流】 |
− | 2) | + | 3) 별이 떨어지면 【星墜】 |
− | 3) | + | 4) 여름의 별 【夏星】 |
− | 4) | + | 5) 빗속의 별 【雨中星】 |
− | 5) | + | 6) 북두칠성의 구름 【斗罡雲】 |
− | 6) | + | |
− | 7 | + | 7. 바람으로 점치다 【占風】 |
− | + | 1) 바람이 부는 방위 【風起方】 | |
− | + | 2) 바람이 일다 잦아들면 【風作息】 | |
− | + | 3) 바람의 빠르고 느림【風緩急】 | |
− | + | 4) 봄바람 【春風】 | |
− | + | 5) 겨울바람 【冬風】 | |
− | + | 6) 구풍 【颶風】 | |
− | + | 7) 늪새바람(영해풍) 【嶺海風】 | |
− | + | ||
− | + | 8. 비로 점치다 【占雨】 | |
− | + | 1) 수면에 뜬 거품 【水面浮泡】 | |
− | + | 2) 밝은 하늘은 두렵다 【怕天亮】 | |
− | + | 3) 낮 보내기 【遣晝】 | |
− | + | 4) 황혼의 비 【黃昏雨】 | |
− | + | 5) 오경 무렵의 비 【五更雨】 | |
− | + | 6) 소낙비 【驟雨】 | |
− | + | 7) 밭 하나 사이의 청우 【隔田晴】 | |
− | + | 8) 빗속에 내리는 눈(진눈깨비) 【雨夾雪】 | |
− | |||
− | |||
− | |||
− | |||
− | |||
− | + | 9. 구름으로 점치다 【占雲】 | |
− | 1) | + | 1) 구름의 흐름 【雲行】 |
− | 2) | + | 2) 구름의 모양 【雲形】 |
− | 3) | + | 3) 구름의 빛깔 【雲色】 |
− | 4) | + | 4) 구름이 이는 방위 【雲起方】 |
− | 5) | + | 5) 아침과 저녁의 구름 【朝暮雲】 |
− | 6) | + | 6) 여름과 가을 구름 【夏秋雲】 |
− | 7) | + | 7) 은하수의 구름 【天河雲】 |
− | 8) | + | 8) 해에 근접한 구름 【接日雲】 |
− | 9) | + | 9) 늙은 잉어 모양 구름 【老鯉雲】 |
− | 10) | + | 10) 육순의 구름 【六旬雲】 |
− | 11) | + | |
− | 12) | + | 10. 안개로 점치다 【占霧】 |
+ | 1) 짙은 안개 【重霧】 | ||
+ | 2) 아침안개 【朝霧】 | ||
+ | 3) 안개의 빛깔 【霧色】 | ||
+ | |||
+ | 11. 노을로 점치다 【占霞】 | ||
+ | 1) 아침놀과 저녁놀 【朝霞暮霞】 | ||
+ | 2) 노을의 모양과 빛깔 【霞形色】 | ||
+ | |||
+ | 12. 무지개로 점치다 【占虹】 | ||
+ | 1) 동서 방향의 무지개 【東西虹】 | ||
+ | 2) 물 무지개와 바람 무지개 【水虹風虹】 | ||
+ | 3) 무지개와 비가 서로 먹으면 【虹雨相食】 | ||
+ | |||
+ | 13. 우레와 번개로 점치다 【占雷電】 | ||
+ | 1) 비 오기 전의 우레 【雨前雷】 | ||
+ | 2) 눈 속의 우레 【雪中雷】 | ||
+ | 3) 밤의 우레 【夜雷】 | ||
+ | 4) 우레 소리 【雷聲】 | ||
+ | 5) 번개의 빛깔 【電色】 | ||
+ | 6) 남북의 섬광 【南北閃】 | ||
+ | |||
+ | 14. 서리와 눈으로 점치다 【占霜雪】 | ||
+ | 1) 봄서리 【春霜】 | ||
+ | 2) 털 같은 서리(모두상) 【毛頭霜】 | ||
+ | 3) 눈 오기 전에는 따듯하다 【將雪先溫】 | ||
+ | 4) 안 녹는 눈(등반)【等伴】 | ||
+ | |||
+ | 15. 산수로 점치다 【占山水】 | ||
+ | 1) 산의 빛깔 【山色】 | ||
+ | 2) 구름이 일거나 들어가면 【起雲收雲】 | ||
+ | 3) 산 중턱의 구름 【半山雨】 | ||
+ | 4) 물에 이끼가 끼면 【水生苔靛】 | ||
+ | 5) 물에서 향기가 나면 【水有香】 6) 강물에 벼이삭이 뜨면 【河浮稻】 | ||
+ | |||
+ | 16. 초목으로 점치다 【占草木】 | ||
+ | 1) 지붕 위의 버섯 【屋上菌】 | ||
+ | 2)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 【橡槲】 | ||
+ | 17. 금수로 점치다 【占禽獸】 | ||
+ | 1) 바람과 비(풍상우무) 【風翔雨舞】 | ||
+ | 2) 비둘기 【鳩】 | ||
+ | 3) 까마귀와 까치 【鴉鵲】 | ||
+ | 4) 솔개 【鳶】 | ||
+ | 5) 황새 【鸛】 | ||
+ | 6) 해오라기 【鷺】 | ||
+ | 7) 닭 【鷄】 | ||
+ | 8) 제비 【鷰】 | ||
+ | 9) 참새 【雀】 | ||
+ | 10) 큰 백로 【𪃮】 | ||
+ | 11) 뱁새 【喫鷦】 | ||
+ | 12) 귀거조 【鬼車鳥】 | ||
+ | 13) 구소요조 【九逍遙鳥】 | ||
+ | 14) 참개구리 【田鷄】 | ||
+ | 15) 초명【焦明】 | ||
+ | 16) 개 【狗】 | ||
+ | 17) 고양이 【貓】 | ||
+ | 18) 소와 양 【牛羊】 | ||
+ | 19) 돼지 【豬】 | ||
+ | 20) 두더지(철서) 【鐵鼠】 | ||
+ | 18. 곤충과 물고기로 점치다 【占蟲魚】 | ||
+ | 1) 개미 【蟻】 | ||
+ | 2) 잠자리 【蜻蜓】 | ||
+ | 3) 거미 【蜘蛛】 | ||
+ | 4) 하루살이 【蠓】 | ||
+ | 5) 하늘소 【天牛】 | ||
+ | 6) 나비 【蛺蝶】 | ||
+ | 7) 파리와 모기, 장구벌레, 매미【蠅蚋蠉蜟】 | ||
+ | 8) 지렁이 【蚯蚓】 | ||
+ | 9) 크고 작은 두꺼비 【蝦蟆石蛤】 | ||
+ | 10) 청개구리 【靑蛙】 | ||
+ | 11) 우렁이 【螺螄】 | ||
+ | 12) 자라 【鱉】 | ||
+ | 13) 뱀 【蛇】 | ||
+ | 14) 물뱀 【水蛇】 | ||
+ | 15) 물고기 【魚】 | ||
+ | 16) 용 【龍】 | ||
+ | 19. 여러 점 【雜占】 | ||
+ | 1) 아궁이 연기 【竈烟】 | ||
+ | 2) 아궁이 재 【竈灰】 | ||
+ | 3) 등불 【燈火】 | ||
+ | 4) 금과 비파, 기둥과 벽 【琴瑟柱壁】 | ||
+ | 5) 사람소리 【人聲】 | ||
+ | 20. 시후로 점치다. 【占時候】 | ||
+ | 1) 봄추위 【春寒】 | ||
+ | 2) 화신풍 【花信風】 | ||
+ | 3) 요초풍 【料峭風】 | ||
+ | 4) 사나운 바람 【猛風】 | ||
+ | 5) 봄의 물 【春水】 | ||
+ | 6) 손님 청하는 바람과 손님 보내는 비 【請客風送客雨】 | ||
+ | 7) 쟁기질 한 번 할 비 【一犁雨】 | ||
+ | 8) 사공우 【社公雨】 | ||
+ | 9) 서리와 눈 끊어질 때 【斷霜雪】 | ||
+ | 10) 보리꽃 추위 【麥秀寒】 | ||
+ | 11) 장맛비(황매우) 【黃梅雨】 | ||
+ | 12) 곡우풍 【哭雨風】 | ||
+ | 13) 입추의 아침과 저녁 【立秋朝暮】 | ||
+ | 14) 횡항의 물 【橫港水】 | ||
+ | 15) 상강의 신호【霜降信】 | ||
+ | 16) 가을 물 【秋水】 | ||
+ | 17) 입동의 신호 【立冬信】 | ||
+ | 18) 각 하늘의 회합 【各天會合】 | ||
+ | |||
+ | 21. 역일로 점치다 【占曆日】 | ||
+ | 1) 월건과 월삭 【月建月朔】 | ||
+ | 2) 열흘 내의 상응현상【旬中克應】 | ||
+ | 3) 날의 간지 【日干支】 | ||
+ | 4) 열수가 만나는 날의 간지 【列宿直日】 | ||
+ | 5) 학신 【鶴神】 | ||
− | ==== | + | ===전어지=== |
− | |||
+ | 전어지(佃漁志):목축·양어·양봉·사냥·어로 백과 <br> | ||
− | + | 권1(총37) | |
+ | Ⅰ. 목축·양어·양봉(상)【牧養 上】 | ||
+ | 1. 총론【總論】 | ||
+ | 1) 다섯 가축의 암컷 기르기【論畜五牸】 | ||
+ | 2) 마소는 본성에 맞게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論養牛馬貴適性】 | ||
+ | 3) 나귀·말·소·양에게서 새끼 거두는 법【驢馬牛羊收犢子駒羔法】 | ||
+ | 4) 물과 풀이 풍부한 곳에서 가축을 길러야 한다【論饒水草宜牧養】 | ||
+ | 5) 중국과 조선의 목축법이 다르다【論華東牧養之異】 | ||
+ | 2. 말【馬】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보는 법【相法】 | ||
+ | 3) 기르기 총론【調養總論】 | ||
+ | 4) 종마 얻는 법【取種法】 | ||
+ | 5) 먹이는 법【餵法】 | ||
+ | 6) 숫말이 싸우지 않게 기르는 법【飼父馬令不鬪法】 | ||
+ | 7) 군마를 튼튼하게 기르는 법【飼征馬令硬實法】 | ||
+ | 8) 코 째는 법【劃鼻法】 | ||
+ | 9) 군살 빼는 법【去臕法】 | ||
+ | 10) 거세법【騸馬法】 | ||
+ | 11) 방목법【放牧法】 | ||
+ | 12) 피 빼는 법【放血法】 | ||
+ | 13) 말 모는 법【御法】 | ||
+ | 14) 주의사항【宜忌】 | ||
+ | 15) 병을 확인하는 법【驗病有無法】 | ||
+ | 16) 5가지 피로【論五勞】 | ||
+ | 17) 치료하기【醫治】(처방 93종) | ||
+ | 말의 음신황 치료법治馬陰腎黃方 | ||
+ | 말의 심황 치료법治馬患心黃方 | ||
+ | 말의 편신황 치료법治馬患遍身黃方 | ||
+ | 말의 만장황 치료법治馬患慢腸黃方 | ||
+ | 말의 속상황 치료법治馬患束顙黃方 | ||
+ | 말의 혼정충 치료법治馬患混睛蟲方 | ||
+ | 말의 골안 치료법治馬患骨眼方 | ||
+ | 말의 내장안 치료법治馬患內障眼方 | ||
+ | 말의 간경풍열 치료법治馬患肝經風熱方 | ||
+ | 말의 간열전안 치료법治馬患肝熱傳眼方 | ||
+ | 말의 간 막힘증 치료법治馬肝壅方 | ||
+ | 말이 반위에 걸려 구토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翻胃吐草方 | ||
+ | 말의 냉통 치료법治馬患冷痛方 | ||
+ | 말의 비기통 치료법治馬患脾氣痛方 | ||
+ | 말의 지라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傷脾方 | ||
+ | 말의 위가 차가워져 침 흘리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胃冷吐涎方 | ||
+ | 말의 묵은 물이 배꼽에 머무른 증상 치료법治馬患宿水停臍方 | ||
+ | 말의 위가 차서 풀을 먹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胃寒不食草方 | ||
+ | 말이 결열로 누웠다 일어났다 몸을 떨며 물과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馬結熱起臥戰不食水草方 | ||
+ | 말이 물을 잘못 먹어 일어났다 앉았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傷水起臥方 | ||
+ | 말이 물을 잘못 마셔 탈 난 증상 치료법治馬錯水方 | ||
+ | 말의 기운을 치료하는 약 처방治馬氣藥方 | ||
+ | 말이 흥분하여 일어났다 누웠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急起臥方 | ||
+ | 말이 구유의 풀을 먹고 체한 증상 치료법治馬食槽內草結方 | ||
+ | 말의 콩팥이 당기는 증상 치료법治馬腎搐方 | ||
+ | 말의 횡격막 통증 치료법治馬膈痛方 | ||
+ | 말이 장이 차가워져서 설사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冷腸瀄瀉方 | ||
+ | 갓난 망아지가 젖 먹고 설사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新駒嬭瀉方 | ||
+ | 말의 직장 점막 또는 직장 벽이 탈장한 증상 치료법治馬脫肛方 | ||
+ | 말의 강아 증상 치료법治馬患薑芽方 | ||
+ | 말의 열통 치료법治馬患熱痛方 | ||
+ | 말의 심경이 뜨거워져 혓바닥 위에 창이 생기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心經熱舌上生瘡方 | ||
+ | 말의 염통증 치료법治馬患心痛方 | ||
+ | 말이 안장을 걷어내 바람 맞은 증상 치료법治馬患揭鞍風方 | ||
+ | 말이 폐에 바람 들어 털이 마르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肺風毛燥方 | ||
+ | 늙은 말이 혈기가 약해지고 마르며 몸이 가려워지는 증상 치료법治老馬血弱瘦瘞方 | ||
+ | 말이 목과 척추를 움직이기 어려운 증상 치료법治馬患項脊恡方 | ||
+ | 말의 파상풍 치료법治馬患破傷風方 | ||
+ | 말이 너무 살쪄 풍이 생긴 증상 치료법治馬患胡骨肥胯方 | ||
+ | 말이 심장에 열 받아 중풍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心熱風邪方 | ||
+ | 말이 추위에 상해 허리와 뒷다리가 아픈 증상 치료법治馬患寒傷腰胯痛方 | ||
+ | 말의 하원이 차서 넓적다리가 장대처럼 뻗뻗한 증상 치료법治馬患冷拖竿方 | ||
+ | 말의 콩팥이 차서 허리를 당기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腎冷腰拖方 | ||
+ | 말이 지라가 허해 풍증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脾虛濕邪方 | ||
+ | 말이 폐가 차가워서 거품을 토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肺寒吐沫方 | ||
+ | 말이 폐가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患肺敗方 | ||
+ | 말의 폐독 치료법治馬肺毒方 | ||
+ | 말이 기침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啌嗽方 | ||
+ | 말의 협골이 붓는 증상 치료법治馬頰骨脹方 | ||
+ | 말의 후골이 붓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喉骨脹方 | ||
+ | 말의 콧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 치료법治馬鼻內出濃方 | ||
+ | 말이 피가 통하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馬黑汗方 | ||
+ | 말이 땀나고 오한이 든 증상 치료법治馬汗凌方 | ||
+ | 말이 나쁜 피가 발에 엉긴 증상 치료법治馬敗血凝蹄方 | ||
+ | 말의 가슴과 어깨뼈 통증 치료법治馬患胸膊痛方 | ||
+ | 말의 콩팥이 허한 증상 치료법治馬患腎虛方 | ||
+ | 말의 신경통 치료법治馬腎經痛方 | ||
+ | 말의 포전 치료법治馬患胞轉方 | ||
+ | 말이 피오줌 싸는 증상 치료법治馬患溺血方 | ||
+ | 말의 음경이 실처럼 드리우고 거두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垂縷不收方 | ||
+ | 말이 오줌이 뭉치는 증상 치료법治馬結尿方 | ||
+ | 말이 풀을 먹다 목이 메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草噎方 | ||
+ | 말이 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肚脹方 | ||
+ | 말이 사료에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患傷料方 | ||
+ | 말의 대장 앞쪽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前結方 | ||
+ | 말의 대장 중간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中結方 | ||
+ | 말의 대장 뒤쪽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後結方 | ||
+ | 말이 태 안의 기운이 불순하거나 새끼를 낳은 후에 풍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胎氣胎風方 | ||
+ | 말이 태가 움직거려 편안하지 않은 증상 치료법治馬胎動不安方 | ||
+ | 새끼 밴 말이 배가 아픈 증상 치료법治孕馬腹痛方 | ||
+ | 작은 벌레가 말의 수대를 깨문 증상 치료법治馬患蜱蟲咬袖方 | ||
+ | 말의 악성 부스럼 치료법治馬疔毒方 | ||
+ | 말이 폐의 열로 온몸에 옴과 부스럼이 난 증상 치료법治馬肺熱渾身疥瘙方 | ||
+ | 말의 옴과 종기 치료법治馬疥瘡方 | ||
+ | 말이 여러 가지 붓는 독과 근육과 뼈가 부풀어 커진 증상 치료법治馬諸般腫毒及筋骨脹大方 | ||
+ | 말의 수구와 불알이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袖口陰腫方 | ||
+ | 말의 화창 치료법治馬花瘡方 | ||
+ | 말의 발굽 종기 치료법治馬瘙蹄方 | ||
+ | 말 등에 종기가 터진 증상 치료법治馬打破脊梁方 | ||
+ | 말의 발굽이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傷蹄方 | ||
+ | 말의 부골저(골막염이나 골수염 또는 뼈의 한쪽이 썩는 병) 치료법治馬附骨疽方 | ||
+ | 말의 노서창 치료법治馬老鼠瘡方 | ||
+ | 말이 후비(목구멍에 종기가 나거나 목구멍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병)를 앓아 죽으려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喉痺欲死方 | ||
+ | 말이 혀가 단단해진 증상 치료법治馬舌硬方 | ||
+ | 말이 곡물로 탈 난 증상 치료법治馬中穀方 | ||
+ | 말이 대소변을 누지 못하고 자다가 일어나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大小便不通眠起欲死方 | ||
+ | 말이 갑자기 배가 터질 듯 부풀어 누워 자다가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卒腹脹眠臥欲死方 | ||
+ | 말의 온역(급성 전염병의 일종) 치료법治馬瘟疫方 | ||
+ | 말의 살가죽이 들뜬 증상 치료법治馬皮浮方 | ||
+ | 말의 뒷발 마디가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後脚節腫方 | ||
+ | 말의 잇몸이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上齶腫方 | ||
+ | 말이 더위 먹은 증상 치료법治馬中暑方 | ||
+ | 말이 자주 열병을 앓는 증상 치료법治馬尋常患熱方 | ||
+ | 말의 잡다한 병 치료하는 민간요법治馬雜病俗方 | ||
− | + | ||
− | + | 권2(총38) | |
− | + | Ⅰ. 목축·양어·양봉(하)【牧養 下】 | |
− | + | 1. 소【牛】 | |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 | 2) 보는 법【相法】 | |
− | + | 3) 기르기 총론【調養總論】 | |
− | + | 4) 먹이는 법【餵法】 | |
− | + | 5) 밭 가는 법【耕法】 | |
− | + | 6) 소는 자주 목욕시켜야 한다【論牛宜數浴】 | |
− | + | 7) 치료하기【醫治】(처방 28종) | |
− | + | 총론總論 | |
− | + | 소의 역병(疫病) 치료법治牛疫方 | |
− | + | 소의 역병 예방법預防牛疫方 | |
− | + | 소의 역병 고치는 비방治牛疫秘方 | |
− | + | 소의 배가 부풀어올라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牛腹脹欲死方 | |
− | + | 소의 습병(濕病) 치료법治牛濕病方 | |
− | + | 소의 중열(中熱) 치료법治牛中熱方 | |
− | + | 소가 피오줌을 싸는 증상 치료법治牛尿血方 | |
− | + | 소가 흰 막이 눈에 끼는 증상 치료법治牛患白膜遮眼方 | |
− | + | 소가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氣噎方 | |
− | + | 소의 꼬리가 말라비틀어지고 물과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牛尾焦不食水草方 | |
− | + | 소의 어깨가 상하여 문드러진 증상 치료법治牛肩爛方 | |
− | + | 소의 발굽에 틈이 벌어진 증상 치료법治牛漏蹄方 | |
− | + | 소의 피부에 좁쌀 같은 것이 돋아나서 가렵고 아픈 증상 치료법治牛沙疥方 | |
− | + | 소가 이에게 물린 증상 치료법治牛蝨方 | |
− | + | 소의 몸에 벌레가 생긴 증상 치료법治牛身上生蟲方 | |
+ | 소의 기침 치료법治牛咳嗽方 | ||
+ | 소의 똥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치료법治牛糞血方 | ||
+ | 소가 병 난 후 장이 꼬여 똥을 누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病後腸結不得放糞方 | ||
+ | 소가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牛不吃草方 | ||
+ | 소가 귀신 기운 때문에 몸이 떨리고 땀이 나며 입·코가 차가워지는 증상 치료법治牛以鬼氣身戰汗出口鼻冷方 | ||
+ | 소의 혀가 부르터 입밖으로 나와 거두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舌腫脹伸出口外不收方 | ||
+ | 소가 천연두에 걸려 몸에 반점이 생긴 증상 치료법治牛發痘斑方 | ||
+ | 소가 마른 증상 치료법治牛瘦方 | ||
+ | 물소의 열병 치료법治水牛患熱病方 | ||
+ | 물소의 설사 치료법治水牛水瀉方 | ||
+ | 소와 말의 온갖 병 치료법治牛馬百病方 | ||
+ | 소가 사람을 들이받는 증상 치료법治牛觸人方 | ||
+ | |||
+ | |||
+ | 2. 당나귀와 노새【驢騾】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자 얻는 법【取種法】 | ||
+ | 3) 먹이는 법【飼法】 | ||
+ | 4) 당나귀는 짐 싣고 물 긷는 일을 해야 한다【論驢宜馱汲】 | ||
+ | 5) 치료하기【醫治】(처방 3종) | ||
+ | 당나귀 발굽이 갈라져 틈새가 생긴 증상 치료법治驢漏蹄方 | ||
+ | 당나귀나 말의 발굽이 닳아 깨지고 문드러진 증상 치료법治驢馬磨打破潰方 | ||
+ | 당나귀나 말이 바싹 마른 증상 치료법治驢馬瘦瘠方 | ||
+ | |||
+ | 6) 잔소리【瑣言】 | ||
+ | |||
+ | 3. 양【羊】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기르기 총론【飼養總論】 | ||
+ | 3) 우리 만드는 법【作棚法】 | ||
+ | 4) 기르는 법【餵法】 | ||
+ | 5) 방목법【放牧法】 | ||
+ | 6) 털 깍는 법【鉸法】 | ||
+ | 7) 주의사항【宜忌】 | ||
+ | 8) 병을 확인하는 법【驗病法】 | ||
+ | 9) 치료하기【醫治】(처방 6종) | ||
+ | 양의 옴 치료법治羊疥方 | ||
+ | 옴을 제거하여 전염시키지 않는 법去疥不傳染法 | ||
+ | 양의 중수 치료법治羊中水方 | ||
+ | 양이 코에서 고름을 흘리는 증상 치료법治羊膿鼻方 | ||
+ | 양의 협제 치료법治羊夾蹄方 | ||
+ | 양의 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치료법治羊腹脹方 | ||
+ | |||
+ | 4. 돼지【豕】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기르기 총론【飼養總論】 | ||
+ | 3) 쉽게 살찌게 하는 법【飼猪易肥法】 | ||
+ | 4) 땅광에서 기르는 법【窖養法】 | ||
+ | 5) 주의사항【宜忌】 | ||
+ | 6) 치료하기【醫治】(처방 2종) | ||
+ | 돼지의 온역(전염병) 치료법治豬瘟疫方 | ||
+ | 돼지가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豬不吃食方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상상]] | + | 5. 개【狗】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귀결]]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분영]] | + | 2) 보는 법【相法】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체화]] | + | 3) 기르는 법【餵法】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강홍]] | + | 4) 길들이는 법【馴法】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집권]] | + | 5) 치료하기【醫治】(처방 8종)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단풍]] | + | 개의 병 치료법治狗病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녹진]] | + | 개가 갑자기 죽으려하는 증상 치료법治狗猝死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정불]] | + | 개의 옴 치료법治狗癩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주춘]] | + | 강아지의 옴 치료법治兒狗疥蟲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봉]] | + | 등에 따위 벌레가 물어 생긴 상처 치료법治蠅蟲咬傷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감둔]] | + | 개가 맞아서 죽으려는 증상 치료법救狗打死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철향]] | + | 개가 수척한 증상 치료법治狗瘦方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요운]] | + | 작은 개가 끊임없이 짖는 증상 멈추는 법止小狗吠不絶聲方 |
+ | |||
+ | |||
+ | 6. 고양이【猫】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보는 법【相法】 | ||
+ | 3) 새끼 배게 하는 법【令孕子法】 | ||
+ | 4) 고양이를 집에 들여오는 법【納猫法】 | ||
+ | 5) 치료하기【醫治】(처방 3종) | ||
+ | 고양이의 병 치료법治猫病方 | ||
+ | 고양이의 옴 치료법治猫癩方 | ||
+ | 고양이 태아가 배 안에서 죽은 증상 치료법治猫胎死腹中方 | ||
+ | |||
+ | |||
+ | 7. 닭【鷄】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종계 얻기【取種】 | ||
+ | 3) 닭장 만들기【制居】 | ||
+ | 4) 기르는 법【養法】 | ||
+ | 5) 병아리 키우기【孶養】 | ||
+ | 6) 빨리 살찌게 기르는 법【養鷄速肥法】 | ||
+ | 7) 무정란 얻는 법【穀産法】 | ||
+ | 8) 닭의 양생법【養生鷄法】 | ||
+ | 9) 치료하기【醫治】(처방 5종) | ||
+ | 닭의 병 치료법治雞病方 | ||
+ | 닭의 역병 치료법治雞疫方 | ||
+ | 닭이 지네 독에 중독된 증상 치료법治雞中蜈蚣毒方 | ||
+ | 싸움닭의 병 치료법治鬪雞病方 | ||
+ | 닭이 큰 소리 내는 증상 치료법治雞哮方 | ||
+ | |||
+ | 10) 잔소리【瑣言】 | ||
+ | |||
+ | 8. 거위와 오리【鵝鴨】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보는 법【相法】 | ||
+ | 3) 종자 얻기【取種】 | ||
+ | 4) 새끼 기르기【孶養】 | ||
+ | 5) 거위를 우리에 가두어 쉽게 살찌우는 법【棧鵝易肥法】 | ||
+ | 6) 무정란 얻는 법【穀産法】 | ||
+ | |||
+ | 9. 물고기【魚】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잉어 기르는 법【養鯉法】 | ||
+ | 3) 물고기 기르는 여러 방법【育魚雜法】 | ||
+ | 4) 종자 얻는 법【取秧法】 | ||
+ | 5) 보호하기【防護】 | ||
+ | 6) 치료하기【醫治】(처방 2종) | ||
+ | 물고기가 중독으로 뒤집어져 하얗게 된 증상 치료법【治魚翻白方】 | ||
+ | 물고기의 마름증 치료법【治魚瘦方】 | ||
+ | |||
+ | 10. 꿀벌【蜜蜂】 | ||
+ | 1) 이름과 품종【名品】 | ||
+ | 2) 양봉 총론【畜蜂總法】 | ||
+ | 3) 여왕벌 나누는 법【分蜂王法】 | ||
+ | 4) 벌떼 맞이하는 법【接蜂法】 | ||
+ | 5) 벌통 설치하는 법【安窶法】 | ||
+ | 6) 꿀 따는 법【割蜜法】 | ||
+ | 7) 꿀 확인하는 법【驗蜜法】 | ||
+ | 8) 주의사항【宜忌】 | ||
+ | 9) 벌 보호하기【關防】 | ||
+ | |||
+ | 권3(총39) | ||
+ | Ⅰ. 사냥【弋獵】 | ||
+ | 1. 매와 사냥개【鷹犬】 | ||
+ | 1) 매【鷹】 | ||
+ | 2) 매 잡는 법【取鷹法】 | ||
+ | 3) 매 보는 법【相鷹法】 | ||
+ | 4) 매 길들이는 법【馴鷹法】 | ||
+ | 5) 매에게 먹이주는 법【陳鷹法】 | ||
+ | 6) 매로 사냥하는 법【鷹獵法】 | ||
+ | 7) 매의 병 치료법【治鷹病方】 | ||
+ | 8) 새매【鸇鷂】 | ||
+ | 9) 새매 길들이는 법【馴鸇鷂法】 | ||
+ | 10) 사냥개【獵狗】 | ||
+ | 11) 사냥개 보는 법【相獵狗法】 | ||
+ | 12) 사냥개 사육법【飼獵狗法】 | ||
+ | 13) 사냥개 길들이는 법【馴獵狗法】 | ||
+ | |||
+ | 2. 총과 활【砲矢】 | ||
+ | 1) 총알 제조법【造彈丸法】 | ||
+ | 2) 나는 새 쏘는 법【射飛禽法】 | ||
+ | 3) 물새 쏘는 법【射水禽法】 | ||
+ | 4) 참새 쏘는 법【射雀法】 | ||
+ | 5) 꿩 쏘는 법【射雉法】 | ||
+ | 6) 썰매 타고 짐승 찌르는 법【雪馬刺獸法】 | ||
+ | 7) 호랑이 사냥법【獵虎法】 | ||
+ | 8) 곰 사냥법【獵熊法】 | ||
+ | 9) 사슴 사냥법【獵鹿法】 | ||
+ | 10) 멧돼지 사냥법【獵山猪法】 | ||
+ | 11) 수달 쏘는 법【射水獺法】 | ||
+ | 12) 물개 잡는 법【取海狗法】 | ||
+ | 13) 두더지 찌르는 법【刺鼹鼠法】 | ||
+ | 14) 토끼 사냥법【獵兎法】 | ||
+ | |||
+ | 3. 그물과 함정【羅穽】 | ||
+ | 1) 그물【網羅】 | ||
+ | 2) 그물 염색법【染網法】 | ||
+ | 3) 그물 쳐서 참새 잡는 법【張羅捕雀法】 | ||
+ | 4) 그물 끌어당겨 메추라기 잡는 법【曳網掩鶉法】 | ||
+ | 5) 미끼로 새 잡는 법【繫媒取鳥法】 | ||
+ | 6) 호랑이 잡는 그물【虎網】 | ||
+ | 7) 함정과 덫【阱擭】 | ||
+ | 8) 기계낫【機鎌】 | ||
+ | 9) 창애【弶】 | ||
+ | 10) 사슴 사로잡는 법【擒鹿法】 | ||
+ | 11) 여우 사로잡는 법【擒狐法】 | ||
+ | 12) 대나무 함정으로 여우 사로잡는 법【竹穽捕狐法】 | ||
+ | 13) 담비 사로잡는 법【擒貂法】 | ||
+ | 14) 다람쥐 사로잡는 법【擒黃鼠法】 | ||
+ | 15) 청설모 사로잡는 법【捕靑鼠法】 | ||
+ | 16) 족제비 사로잡는 법【擒鼬鼠法】 | ||
+ | 17) 살쾡이 사로잡는 법【擒貍法】 | ||
+ | 18) 쥐덫【棝斗】 | ||
+ | 19) 쥐 사로잡는 법【擒鼠法】 | ||
+ | |||
+ | 4. 기타 사냥법【雜方】 | ||
+ | 1) 그림자를 쳐서 새 떨어트리는 법【擊影落鳥法】 | ||
+ | 2) 끈끈이 덫으로 새 사로잡는 법【黐擌捕鳥法】 | ||
+ | 3) 끈끈이 발라 호랑이 사로잡는 법【傅黐捕虎法】 | ||
+ | |||
+ | |||
+ | Ⅱ. 고기잡이【漁釣】 | ||
+ | 1. 그물【罟罾】 | ||
+ | 1) 촉고(촘촘한 그물)【數罟】 | ||
+ | 2) 후릿그물(당망)【塘網】 | ||
+ | 3) 반두(작망)【綽網】 | ||
+ | 4) 좽이(투망)【撒網】 | ||
+ | 5) 잠방이(간망)【趕網】 | ||
+ | 6) 당망(삼각그물)【攩網】 | ||
+ | 7) 차망(갈래그물)【扠網】 | ||
+ | 8) 통그물(주망)【注網】 | ||
+ | 9) 좌증【坐罾】 | ||
+ | 10) 제증【提罾】 | ||
+ | 11) 어조망(큰 배 밑에 설치하는 안강망)【漁條網】 | ||
+ | 12) 문망(기둥으로 고정시킨 안강망)【門網】 | ||
+ | 13) 주박망(빙 둘러 설치한 그물)【注朴網】 | ||
+ | 14) 잉어 잡는 법【捕鯉法】 | ||
+ | 15) 숭어 잡는 법【捕鯔法】 | ||
+ | 16) 준치 잡는 법【捕鰣魚法】 | ||
+ | 17) 청어 잡는 법【捕靑魚法】 | ||
+ | 18) 조기 잡는 법【捕石首魚法】 | ||
+ | 19) 멸치 잡는 법【捕杏魚法】 | ||
+ | 20) 빙어 잡는 법【捕氷魚法】 | ||
+ | 21) 가는 새우 잡는 법【取細鰕法】 | ||
+ | |||
+ | 2. 통발【笱筌】 | ||
+ | 1) 어량의 통발【梁笱】 | ||
+ | 2) 통발의 여러 형태【筌】 | ||
+ | 3) 걸추(장대 끝에 조리 모양을 단 통발)로 물고기 잡기【打(竹/乞)箒】 | ||
+ | 4) 삼(섶나무를 물에 넣어 물고기를 잡는 장치)【槮】 | ||
+ | 5) 어살【滬】 | ||
+ | 6) 단(어살의 일종)【籪】 | ||
+ | |||
+ | 3. 낚시와 작살【釣簎】 | ||
+ | 1) 낚시【釣】 | ||
+ | 2) 먹이 던져 물고기 모으는 법【投餌聚魚法】 | ||
+ | 3) 유조법(얕은 여울에서의 견지낚시)【流釣法】 | ||
+ | 4) 파조법(낚시 바늘을 연이어 낚는 법)【擺釣法】 | ||
+ | 5) 주낙질(만등조법)【萬燈釣法】 | ||
+ | 6) 삼봉조법(낚싯바늘 3개로 낚는 법)【三鋒釣法】 | ||
+ | 7) 압조법(낚싯바늘 2개로 숭어 낚는 법)【鴨釣法】 | ||
+ | 8) 작살【簎】 | ||
+ | 9) 고기 쏘는 주살【射魚繳】 | ||
+ | 10) 작살로 고래 잡는 법【刺鯨法】 | ||
+ | 11) 상어 잡는 법【捕沙魚法】 | ||
+ | 12) 붕어 낚는 법【釣鯽法】 | ||
+ | 13) 돌고래 낚는 법【釣江豚法】 | ||
+ | 14) 철갑상어 낚는 법【釣鱣法】 | ||
+ | 15) 복어 잡는 법【捕河豚法】 | ||
+ | 16) 작살로 잉어 잡는 법【刺鯉法】 | ||
+ | 17) 뱀장어 잡는 법【捕鰻鱺魚法】 | ||
+ | 18) 가물치 잡는 법【捕鱧法】 | ||
+ | 19) 견어 낚는 법【釣堅魚法】 | ||
+ | 20) 고등어 잡는 법【捕古刀魚法】 | ||
+ | 21) 오징어 잡는 법【捕烏賊魚法】 | ||
+ | 22) 전복 따는 법【採鰒法】 | ||
+ | 23) 홍합 따는 법【採淡菜法】 | ||
+ | 24) 해삼 채취하는 법【採海蔘法】 | ||
+ | 25) 자라 잡는 법【捕鼈法】 | ||
+ | 26) 작살로 큰 자라 잡는 법【刺黿法】 | ||
+ | 27) 게 낚는 법【釣蟹法】 | ||
+ | |||
+ | 4. 기타 고기잡이법【雜方】 | ||
+ | 1) 약으로 잡는 법【藥魚法】 | ||
+ | 2) 보자기 덮어 잡는 법【羃袱取魚法】 | ||
+ | 3) 이불 펼쳐 잡는 법【張衾取魚法】 | ||
+ | 4) 배 잇대어 잡는 법【聯舠取魚法】 | ||
+ | 5) 거적 띄워 잡는 법【浮苫取魚法】 | ||
+ | 6) 모래 밟으며 잡는 법【踏沙取魚法】 | ||
+ | 7) 물고기는 원숭이털을 좋아한다【魚喜猢猻毛】 | ||
+ | 8) 물고기는 사슴의 태를 좋아한다【魚喜鹿胎】 | ||
+ | 9) 낭(桹) 두드려 고기 모는 법【鳴桹驅魚法】 | ||
+ | 10) 수달 길러 고기 잡는 법【養獺捕魚法】 | ||
+ | 11) 목달(木獺)로 잡는 법【木獺捕魚法】 | ||
+ | 12) 노자(鸕鷀) 길들여 고기 잡는 법【馴鸕鷀獵魚法】 | ||
+ | 13) 항아리 넣어 낙지 잡는 법【投壺取章魚法】 | ||
+ | 14) 미끼 묶어 쏘가리 잡는 법【繫媒取鱖法】 | ||
+ | 15) 수수 매달아 게 잡는 법【懸蜀黍捕蟹法】 | ||
+ | 16) 이름 불러 자라 잡는 법【呼名取鼈法】 | ||
+ | |||
+ | 5. 기타 어구【雜具】 | ||
+ | 1) 어암【漁庵】 | ||
+ | 2) 낚시터【釣磯】 | ||
+ | 3) 도롱이【蓑衣】 | ||
+ | 4) 대삿갓【篛笠】 | ||
+ | 5) 등덮개(배봉)【背蓬】 | ||
+ | 6) 낚싯배(책맹)【舴艋】 | ||
+ | 7) 종다래끼【笭箵】 | ||
+ | |||
+ | |||
+ | 권4(총40) | ||
+ | Ⅰ. 물고기 이름 고찰【魚名攷】 | ||
+ | 1. 민물고기【江魚】 | ||
+ | 1) 비늘 있는 종류【鱗類】(29종) | ||
+ | 잉어鯉 숭어鯔 농어鱸 송어鱒 붕어鮒 납자루䲙 피라미鰷 모래무지鯊 두보어杜父魚 쏘가리鱖 | ||
+ | 위어鱭魚 까나리細魚 누치訥魚 은구어銀口魚 열목어餘項魚 미수감미어眉叟甘味魚 날피리飛𩺷魚 불거지赤鰓魚 눈검정이眼黑魚 꺽정이 斤過木皮魚 살치箭魚 야회어也回魚 돈어豚魚 영어迎魚 치리𩺲魚 버들치柳魚 둑지게堰負魚 가사어袈裟魚 국식어菊息魚 | ||
+ | |||
+ | 2) 비늘 없는 종류【無鱗類】(14종) | ||
+ | 메기鮎 가물치鱧 뱀장어鰻鱺魚 드렁허리鱓 미꾸라지泥鰌 복河豚 자가사리黃顙魚 동자개(魚+盎)絲魚 빙어氷魚 침어鱵魚 승어僧魚 그리채文鞭魚 망둥이望瞳魚 밀어麳魚 | ||
+ | |||
+ | 3) 껍질이 있는 종류【介類】(9종) | ||
+ | 거북龜 자라鼈 큰자라黿 게蟹 가장작은조개蚌 말씹조개馬刀 가막조개蜆 우렁이田蠃 달팽이蝸蠃 | ||
+ | |||
+ | 2. 바닷물고기【海魚】 | ||
+ | 1) 비늘 있는 종류【鱗類】(34종) | ||
+ | 조기石首魚 황석어黃石首魚 민어鰵魚 준치鰣 밴댕이勒魚 도미禿尾魚 청어靑魚 가자미鰈 서대舌魚 넙치華臍魚 병어鯧 방어魴 연어秊魚 송어松魚 전어錢魚 황어黃魚 선비鮮白魚 범고기虎魚 물치水魚 삼치麻魚 중고기和尙魚 횟대膾代魚 보굴대寶窟帶魚 우럭鬱抑魚 꽁치貢魚 열기어悅嗜魚 나적어羅赤魚 가어加魚 이면수林延壽魚 쇠코뚜리고기牛拘奏魚 잠뱅이潛方魚 굴노고기軍牢魚 일애昵睚魚 묘침어錨枕魚 | ||
+ | |||
+ | 2) 비늘 없는 종류【無鱗類】(30종) | ||
+ | 고래鯨 장수피長須平魚 내인魶魜魚 상어沙魚 돌고래海豚魚 증어蒸魚 인어人魚 날치文鰩魚 뱀장어海鰻鱺 갈치葛魚 승어升魚 대구㕦魚 명태明鮐魚 고등어古刀魚 쥐치鼠魚 짱뚱어彈塗魚 은어銀魚 가오리海魚 홍어洪魚 청다래靑障泥魚 수거리繡䱟魚 멸치鮧䲡 오징어烏賊魚 꼴뚜기柔魚 문어章魚 낙지石距 쭈꾸미望潮魚 물알水母 해삼海參 새우鰕 | ||
+ | |||
+ | 3) 껍질이 있는 종류【介類】(13종) | ||
+ | 대모玳瑁 전복鰒 바다긴조개海蚌 대합조개文蛤 모시조개白蛤 참조개蛤蜊 함진조개𧍧䗯 가장큰조개車螯 강요주蚶 홍합淡菜 가리맛蟶 굴牡蠣 해라海蠃 | ||
+ | |||
+ | 3. 물고기에 관한 기타 논설【雜纂】 | ||
+ | 1) 낙랑의 일곱 물고기를 분변한다【辨樂浪七魚】(8개) | ||
+ | 머리말題語 첫째 사어一曰魦 둘째 첩어二曰鯜 셋째 국어三曰䱡 넷째 시어四曰䰽 다섯째 옹어五曰鰅 여섯째 역어, 일곱째 노어六曰鱳,七曰䲐 꼬리말跋尾 | ||
+ | 2) 확인 못한 바닷물고기【論海魚未驗】(10개) | ||
+ | 총론總論 전어鱣 심어鱘 유어鮪 우어牛魚 외어鮠 마교어馬鮫魚 견어堅魚 회잔어鱠殘魚 해마海馬 | ||
+ | |||
+ | 3) 중국산으로 우리나라에 나지 않는 물고기【論華産未見】(12개) | ||
+ | 총론總論 연어鱮 전어鱅 환어鯇 청어靑魚 백어白魚 종어鯼 감어鱤 황고어黃鯝魚 금어金魚 조어鯛 후어鱟 | ||
+ | |||
+ | 4) 우리나라산으로 자세한 정보가 없는 물고기【論東産未詳】(1개) | ||
+ | 담라擔羅 | ||
+ | |||
+ | ===정조지=== | ||
+ | 정조지 목차 | ||
+ | |||
+ | 정조지 권제1 鼎俎志 卷第一 | ||
+ | |||
+ | |||
+ | 음식재료 요점 정리(식감촬요) 食鑑撮要 | ||
+ | |||
+ | 1. 물(수류) 水類 | ||
+ | |||
+ | 1) 물에 대한 총론 總水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우물물 井水 | 흐르는 물 流水 | 바위산 샘물 山巖泉水 | 음지에 흐르는 샘물 陰地流泉 | 못 안에 고인 물 澤中停水 | 모래사장의 물 沙河中水 | 두 산 사이의 물 兩山夾水 | 온천수 溫泉水 | 유혈수 乳穴水 | 빗물 雨水 | 여름 얼음 夏氷 | ||
+ | |||
+ | 2. 곡식(곡류) 穀類 | ||
+ | |||
+ | 1) 곡식에 대한 총론 總穀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멥쌀 粳米 | 찹쌀 糯米 | 조 粟米 | 차조 秫米 | 황량미 黃粱米 | 백량미 白粱米 | 청량미 靑粱米 | 찰기장 稷米 | 메기장 黍米 | 수수 蜀黍 | 옥수수 玉蜀黍 | 돌피 穇子 | 패미 稗米 | 줄 菰米 | 망미 菵米 | 봉초미 蓬草米 | 사초미 蒒草米 | 낭미미 狼尾米 | 율무 薏苡米 | 비미 粃米 | 밀 小麥 | 보리 大麥 | 메밀 蕎麥 | 귀리 雀麥 | 흑대두 黑大豆 | 황대두 黃大豆 | 팥 赤小豆 | 녹두 綠豆 | 완두 豌豆 | 누에콩 蠶豆 | 동부 豇豆 | 까치콩 藊豆 | 작두콩 刀豆 | 여두 黎豆 | 참깨 胡麻 | 흰참깨 白油麻 | 들깨 荏子 | ||
+ | |||
+ | 3. 채소(채류) 菜類 | ||
+ | |||
+ | 1) 채소에 대한 총론 總菜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파 蔥 | 소산 小蒜 | 대산 大蒜 | 부추 韭 | 염교 薤 | 운대 蕓薹 | 생강 薑 | 겨자 芥 | 고추 番椒 | 배추 菘 | 순무 蔓菁 | 무 蘿蔔 | 쑥갓 茼蒿 | 고수풀 胡荽 | 사호 邪蒿 | 회향 蘹香 | 나륵 羅勒 | 산갓 蔊 | 시금치 菠薐 | 옹채 蕹菜 | 근대 莙薘 | 냉이 薺 | 석명 菥蓂 | 번루 繁縷 | 계장초 鷄腸草 | 거여목 苜蓿 | 비름 莧 | 쇠비름 馬齒莧 | 고거 苦苣 | 백거 白苣 | 상추 萵苣 | 삼백초 蕺 | 고사리 蕨 | 고비 薇 | 교요 翹搖 | 녹곽 鹿藿 | 회조 灰藋 | 명아주 藜 | 토란 芋 | 감로자 甘露子 | 죽순 竹筍 | 소루쟁이 羊蹄 | 아욱 葵 | 망우채 忘憂菜 | 우엉 牛蒡 | 가지 茄 | 박 瓠 | 동아 冬瓜 | 호박 南瓜 | 오이 胡瓜 | 수세미 絲瓜 | 쥐참외 王瓜 | 울외 越瓜 | 목이버섯 木耳 | 삼나무버섯 杉菌 | 향심버섯 香蕈 | 송이버섯 松蕈 | 갈화채 葛花菜 | 마고 蘑菰 | 토균 土菌 | 석이버섯 石耳 | 지이 地耳 | 자채 紫菜 | 녹각채 鹿角菜 | 해조 海藻 | 해온 海蘊 | 해대 海帶 | 곤포 昆布 | 건태 乾苔 | 순채 蓴 | 수조 水藻 | 행채 莕菜 | 네가래 蘋 | 평봉초 萍蓬草 | ||
+ | |||
+ | 4. 과일(과류) 菓類 | ||
+ | |||
+ | 1) 과일에 대한 총론 總菓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자두 李 | 살구 杏 | 매실 梅 | 복숭아 桃 | 밤 栗 | 대추 棗 | 배 梨 | 모과 木瓜 | 아가위 山柤 | 내 柰 | 능금 林檎 | 감 柹 | 고욤 君遷子 | 석류 石榴 | 귤 橘 | 감자 柑子 | 유자 柚 | 앵두 櫻桃 | 은행 銀杏 | 호두 胡桃 | 개암 榛 | 도토리 橡 | 여지 荔枝 | 용안 龍眼 | 비자 榧子 | 잣 海松子 | 촉초 蜀椒 | 후추 胡椒 | 식수유 食茱萸 | 차 茗 | 사당 沙糖 | 참외 甛瓜 | 수박 西瓜 | 포도 葡萄 | 고구마 甘藷 | 참마 薯蕷 | 백합 百合 | 황정 黃精 | 오미자 五味子 | 복분자 覆盆子 | 머루 蘡薁 | 다래 獼猴桃 | 연자 蓮子 | 연근 藕 | 세발마름 芰實 | 가시연밥 芡實 | 오우 烏芋 | 자고 慈姑 | ||
+ | |||
+ | 5. 짐승(수류) 獸類 | ||
+ | |||
+ | 1) 짐승에 대한 총론 總獸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소 牛 | 돼지 猪 | 개 狗 | 양 羊 | 멧돼지 野猪 | 곰 熊 | 산양 山羊 | 사슴 鹿 | 큰사슴 麋 | 노루 麞 | 토끼 兔 | ||
+ | |||
+ | 6. 새(금류) 禽類 | ||
+ | |||
+ | 1) 새에 대한 총론 總禽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닭 鷄 | 꿩 雉 | 메추라기 鶉 | 비둘기 鴿 | 참새 雀 | 촉새 蒿雀 | 멧비둘기 斑鳩 | 거위 鵝 | 집오리 家鴨 | 들오리 野鴨 | 능에 鴇 | 백조 天鵝 | 기러기 雁 | ||
+ | |||
+ | 7. 물고기(어류) 魚類 | ||
+ | |||
+ | 1) 물고기에 대한 총론 總魚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잉어 鯉 | 붕어 鯽 | 숭어 鯔 | 쏘가리 鱖 | 농어 鱸 | 준치 鰣 | 가물치 鱧 | 메기 鮎 | 조기 石首魚 | 복어 河豚 | 상어 沙魚 | 갑오징어 烏賊魚 | 문어 章魚 | 낙지 石距 | 뱀장어 鰻鱺魚 | 북고어 北薧魚 | 대구 夻魚 | 송어 松魚 | 연어 鰱魚 | 뱅어 白魚 | 미꾸라지 鰍魚 | 가자미 鰈魚 | 가오리 鱝魚 | 대홍하 大紅鰕 | 새우 鰕 | 자라 鼈 | 게 蟹 | 굴 牡蠣 | 전복 鰒 | 조개 蛤蜊 | 대합 文蛤 | 맛조개 蟶 | 홍합 淡菜 | 소라 螺 | 해삼 海蔘 | ||
+ | |||
+ | 8. 양념(미류) 味類 | ||
+ | |||
+ | 1) 양념에 대한 총론 總味 | ||
+ | 2) 세부 항목 條開 | ||
+ | 소금 鹽 | 장 醬 | 식초 醋 | 참기름 麻油 | 벌꿀 蜂蜜 | 술 酒 | 조청과 엿 飴餹 | 수유 酥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2 鼎俎志 卷第二 | ||
+ | |||
+ | |||
+ | 익히거나 찌는 음식(취류지류) 炊餾之類 | ||
+ | |||
+ | 1. 밥 飯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여러 가지 밥 짓는 법(자반잡법) 煮飯雜法 | ||
+ | 3) 밥은 부드럽게 해야 한다 炊飯宜軟 | ||
+ | 4) 햅쌀밥의 독 제어하기(취신도제독법) 炊新稻制毒法 | ||
+ | 5) 보리밥 잘 익히기(취맥이숙법) 炊麥易熟法 | ||
+ | 6) 밥 쉬지 않게 하기(반불수법) 飯不法 | ||
+ | 7) 청정반(靑精飯) 짓기(청정반방) 靑精飯方 | ||
+ | 8) 유반(飯) 짓기(유반방) 飯方 | ||
+ | 9) 혼돈반(渾沌飯) 짓기(혼돈반방) 渾沌飯方 | ||
+ | 10) 반도반(蟠桃飯) 짓기(반도반방) 蟠桃飯方 | ||
+ | 11) 조고반(凋菰飯) 짓기(조고반방) 凋菰飯方 | ||
+ | 12) 금반(金飯) 짓기(금반방) 金飯方 | ||
+ | 13) 옥정반(玉井飯) 짓기(옥정반방) 玉井飯方 | ||
+ | 14) 저반(藷飯, 고구마밥) 짓기(저반방) 藷飯方 | ||
+ | 15) 죽실반(竹實飯) 짓기(죽실반방) 竹實飯方 | ||
+ | |||
+ | 2. 떡 餠餌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시루떡 쉽게 찌는 법(취증병이숙법) 炊甑餠易熟法 | ||
+ | 3) 과일떡(잡과고) 만들기(잡과고방) 雜果餻方 | ||
+ | 4) 무떡(내복병) 만들기(내복병방) 萊葍餠方 | ||
+ | 5) 차고(撦糕) 만들기(차고방) 撦糕方 | ||
+ | 6) 복숭아떡(도병)과 살구떡(행병) 만들기(도행병방) 桃、 杏餠方 | ||
+ | 7) 불떡(화병) 만들기(화병방) 火餠方 | ||
+ | 8) 옥관폐(玉灌肺) 만들기(옥관폐방) 玉灌肺方 | ||
+ | 9) 쑥떡(봉연고) 만들기(봉연고방) 蓬糕方 이상은 이류(餌類) | ||
+ | 10) 인절미(인절병) 만들기(인절병방) 引切餠方 | ||
+ | 11) 과일찰떡(잡과점병) 만들기(잡과점병방) 雜果黏餠方 | ||
+ | 12) 소나무껍질떡(송피병) 만들기(송피병방) 松皮餠方 | ||
+ | 13) 감떡(시고) 만들기(시고방) 柹糕方 | ||
+ | 14) 지짐떡(유전병) 만들기(유전병방) 油煎餠方 | ||
+ | 15) 송편지짐떡(조각병) 만들기(조각병방) 糙角餠方 | ||
+ | 16) 얇은설탕떡(당박취) 만들기(당박취방) 糖薄脆方 | ||
+ | 17) 풍소병(風消餠) 만들기(풍소병방) 風消餠方 | ||
+ | 18) 동물성기름떡(육유병) 만들기(육유병방) 肉油餠方 | ||
+ | 19) 식물성기름떡(소유병) 만들기(소유병방) 素油餠方 | ||
+ | 20) 설화병(雪花餠) 만들기(설화병방) 雪花餠方 | ||
+ | 21) 진감병(천연으로 달콤해진 떡) 만들기(진감병방) 眞甘餠方 | ||
+ | 22) 토란떡(토지병) 만들기(토지병방) 土芝餠方 | ||
+ | 23) 산삼떡(산삼병) 만들기(산삼병방) 山蔘餠方 | ||
+ | 24) 수아화[수유(酥油)로 지진 꽃떡] 만들기(수아화방) 酥兒花方 | ||
+ | 25) 토란떡(우병) 만들기(우병방) 芋餠方 | ||
+ | 26) 권전병 만들기(권전병방) 捲煎餠方 | ||
+ | 27) 회회권전병 만들기(회회권전병방) 回回捲煎餠方 | ||
+ | 28) 칠보권전병 만들기(칠보권전병방) 七寶捲煎餠方 | ||
+ | 29) 고기떡(육병) 만들기(육병방) 肉餠方 | ||
+ | 30) 유협아 만들기(유협아방) 油𩛩兒方 | ||
+ | 31) 잣떡(송자병) 만들기(송자병방) 松子餠方 | ||
+ | 32) 수유떡(수병) 만들기(수병방) 酥餠方 | ||
+ | 33) 오랑캐마떡(산약호병) 만들기(산약호병방) 山藥胡餠方 | ||
+ | 34) 도구수(到口酥) 만들기(도구수방) 到口酥方 | ||
+ | 35) 광소병(光燒餠) 만들기(광소병방) 光燒餠方 | ||
+ | 36) 복로소병(화로에 2번 구운 떡) 만들기(복로소병방) 復爐燒餠方 | ||
+ | 37) 타봉각아(낙타등모양 송편) 만들기(타봉각아방) 駝峯角兒方 | ||
+ | 38) 제라각아(고운 눈썹모양 송편) 만들기(제라각아방) 饠角兒方 이상은 유병류(油餠類) | ||
+ | 39) 팥고물꿀떡(함밀병) 만들기(함밀병방) 餡蜜餠方 | ||
+ | 40) 두텁떡(후병) 만들기(후병방) 厚餠方 | ||
+ | 41) 당귀떡(당귀병) 만들기(당귀병방) 當歸餠方 | ||
+ | 42) 도토리떡(상자병) 만들기(상자병방) 橡子餠方 | ||
+ | 43) 생강계피떡(노랄병) 만들기(노랄병방) 老辣餠方 | ||
+ | 44) 금강산석이버섯떡(풍악석이병) 만들기(풍악석이병방) 楓嶽石耳餠方 | ||
+ | 45) 고려밤떡(고려율고) 만들기(고려율고방) 高麗栗糕方 | ||
+ | 46) 백출창포떡(신선부귀병) 만들기(신선부귀병방) 神仙富貴餠方 | ||
+ | 47) 연잎귤잎떡(동정의) 만들기(동정의방) 洞庭饐方 | ||
+ | 48) 과증(댓잎에 싼 찰떡) 만들기(과증방) 裹蒸方 | ||
+ | 49) 황옥떡(황옥병) 만들기(황옥병방) 黃玉餠方 | ||
+ | 50) 양갱병 만들기(양갱병방) 羊羹餠方 | ||
+ | 51) 외랑병(外郞餠) 만들기(외랑병방) 外郞餠方 | ||
+ | 52) 전병(煎餠) 만들기(전병방) 煎餠方 | ||
+ | 53) 송풍병 만들기(송풍병방) 松風餠方 | ||
+ | 54) 혼돈병 만들기(혼돈병방) 渾沌餠方 이상은 당궤류(餹饋類) | ||
+ | 55) 단자 만들기(단자방) 團餈方 | ||
+ | 56) 경단 만들기(경단방) 瓊團方 | ||
+ | 57) 춘근혼돈(참죽나무뿌리혼돈) 만들기(춘근혼돈방) 椿根餛飩方 | ||
+ | 58) 죽순고사리혼돈(순궐혼돈) 만들기(순궐혼돈방) 筍蕨餛飩方 | ||
+ | 59) 대내고(생토란에 소를 넣은 떡) 만들기(대내고방) 大耐糕方 | ||
+ | 60) 자사단(설탕과 함께 소를 만든 단자) 만들기(자사단방) 煮沙團方 | ||
+ | 61) 수명송편(수명각아) 만들기(수명각아방) 水明角兒方 이상은 혼돈류(餛飩類) | ||
+ | 62) 증편(증병) 만들기(증병방) 蒸餠方 | ||
+ | 63) 밀가루발효떡(백숙병자) 만들기(백숙병자방) 白熟餠子方 | ||
+ | 64) 옥수수떡(옥고량병) 만들기(옥고량병방) 玉高粱餠方 이상은 부투류(餢類) | ||
+ | |||
+ | |||
+ | 달이거나 고는 음식(전오지류) 煎熬之類 | ||
+ | |||
+ | 1. 죽 鬻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갱미죽(粳米粥, 쌀죽) 쑤기(갱미죽방) 粳米粥方 | ||
+ | 3) 양원죽(養元粥, 원기보양죽) 쑤기(양원죽방) 養元粥方 | ||
+ | 4) 청량죽(靑粱粥, 차조죽) 쑤기(청량죽방) 靑粱粥方 | ||
+ | 5) 삼미죽(三米粥) 쑤기(삼미죽방) 三米粥方 | ||
+ | 6) 녹두죽(綠豆粥) 쑤기(녹두죽방) 綠豆粥方 | ||
+ | 7) 삼두음(三豆飮) 쑤기(삼두음방) 三豆飮方 | ||
+ | 8) 의이죽(薏苡粥, 율무죽) 쑤기(의이죽방) 薏苡粥方 | ||
+ | 9) 어미죽(御米粥, 양귀비죽) 쑤기(어미죽방) 御米粥方 | ||
+ | 10) 청모죽(靑麰粥, 푸른쌀보리죽) 쑤기(청모죽방) 靑麰粥方 | ||
+ | 11) 거승죽(巨勝粥, 흑임자죽) 쑤기(거승죽방) 巨勝粥方 | ||
+ | 12) 산우죽(山芋粥, 마죽) 쑤기(산우죽방) 山芋粥方 | ||
+ | 13) 복령죽(茯苓粥, 풍냉이죽) 쑤기(복령죽방) 茯苓粥方 | ||
+ | 14) 백합죽(百合粥) 쑤기(백합죽방) 百合粥方 | ||
+ | 15) 조미죽(棗米粥, 대추죽) 쑤기(조미죽방) 棗米粥方 | ||
+ | 16) 율자죽(栗子粥, 밤죽) 쑤기(율자죽방) 栗子粥方 | ||
+ | 17) 진군죽(眞君粥, 살구죽) 쑤기(진군죽방) 眞君粥方 | ||
+ | 18) 연자죽(蓮子粥, 연밥죽) 쑤기(연자죽방) 蓮子粥方 | ||
+ | 19) 우분죽(藕粉粥, 연근가루죽) 쑤기(우분죽방) 藕粉粥方 | ||
+ | 20) 검인죽(芡仁粥, 가시연밥죽) 쑤기(검인죽방) 芡仁粥方 | ||
+ | 21) 능실죽(菱實粥, 마름죽) 쑤기(능실죽방) 菱實粥方 | ||
+ | 22) 육선죽(六仙粥, 여섯재료죽) 쑤기(육선죽방) 六仙粥方 | ||
+ | 23) 해송자죽(海松子粥, 잣죽) 쑤기(해송자죽방) 海松子粥方 | ||
+ | 24) 매죽(梅粥, 매화죽) 쑤기(매죽방) 梅粥方 | ||
+ | 25) 도미죽(荼蘼粥, 궁궁이죽) 쑤기(도미죽방) 荼蘼粥方 | ||
+ | 26) 방풍죽(防風粥, 병풍나물죽) 쑤기(방풍죽방) 防風粥方 | ||
+ | 27) 갈분죽(葛粉粥, 칡가루죽) 쑤기(갈분죽방) 葛粉粥方 | ||
+ | 28) 상자죽(橡子粥, 도토리죽) 쑤기(상자죽방) 橡子粥方 | ||
+ | 29) 강분죽(薑粉粥, 생강가루죽) 쑤기(강분죽법) 薑粉粥法 | ||
+ | 30) 호도죽(胡桃粥, 호두죽) 쑤기(호도죽방) 胡桃粥方 | ||
+ | 31) 진자죽(榛子粥, 개암죽) 쑤기(진자죽방) 榛子粥方 | ||
+ | 32) 황정죽(黃精粥, 죽대뿌리죽) 쑤기(황정죽방) 黃精粥方 | ||
+ | 33) 지황죽(地黃粥) 쑤기(지황죽방) 地黃粥方 | ||
+ | 34) 구기죽(枸杞粥, 구기자죽) 쑤기(구기죽방) 枸杞粥方 | ||
+ | 35) 계죽(鷄粥, 닭죽) 쑤기(계죽방) 鷄粥方 | ||
+ | 36) 즉어죽(鯽魚粥, 붕어죽) 쑤기(즉어죽방) 鯽魚粥方 | ||
+ | 37) 담채죽(淡菜粥, 홍합죽) 쑤기(담채죽방) 淡菜粥方 | ||
+ | 38) 하추죽(河樞粥, 말린생선죽) 쑤기(하추죽방) 河樞粥方 | ||
+ | 39) 우유죽(牛乳粥) 쑤기(우유죽방) 牛乳粥方 | ||
+ | 40) 녹각죽(鹿角粥, 사슴뿔죽) 쑤기(녹각죽방) 鹿角粥方 | ||
+ | 41) 부록 여러 죽의 효능(제죽식치) | ||
+ | 附 諸粥食治 | ||
+ | 적소두죽(赤小豆粥, 팥죽) | 녹두죽(綠豆粥) | 어미죽(御米粥) | 의이인죽(薏苡仁粥, 율무죽) | 연자분죽(蓮子粉粥, 연밥가루죽) | 검실분죽(芡實粉粥, 가시연밥가루죽) | 율자죽(栗子粥, 밤죽) | 서여죽(薯蕷粥, 마죽) | 우죽(芋粥, 토란죽) | 백합분죽(百合粉粥) | 나복죽(蘿葍粥,무죽) | 호라복죽(胡蘿葍粥, 당근죽) | 마치현죽(馬齒莧粥, 쇠비름죽) | 유채죽(油菜粥) | 군달채죽(莙薘菜粥, 근대죽) | 파릉채죽(菠薐菜粥, 시금치죽) | 제채죽(薺菜粥, 냉이죽) | 근채죽(芹菜粥, 미나리죽) | 개채죽(芥菜粥, 갓죽) | 규채죽(葵菜粥, 아욱죽) | 구채죽(韭菜粥, 부추죽) | 총시죽(蔥豉粥, 파된장죽) | 복령분죽(茯苓粉粥, 복령가루죽) | 송자인죽(松子仁粥, 잣죽) | 산조인죽(酸棗仁粥, 멧대추죽) | 구기자죽(枸杞子粥) | 해백죽(薤白粥, 염교죽) | 생강죽(生薑粥) | 화초죽(花椒粥, 산초죽) | 회향죽(茴香粥) | 호초죽(胡椒粥, 후추죽)·수유죽(茱萸粥, 산수유죽)·날미죽(辣米粥, 산갓죽) | 마자죽(麻子粥, 삼씨죽)·호마죽(胡麻粥, 참깨죽)·욱리인죽(郁李仁粥, 이스라지씨죽) | 소자죽(蘇子粥, 차조기씨죽) | 죽엽탕죽(竹葉湯粥) | 저신죽(猪腎粥, 돼지콩팥죽)·양신죽(羊腎粥, 양콩팥죽) | 양간죽(羊肝粥)·계간죽(鷄肝粥, 닭간죽) | 양즙죽(羊汁粥, 양죽)·계즙죽(鷄汁粥, 닭죽) | 압즙죽(鴨汁粥, 오리죽)·이즙죽(鯉汁粥, 잉어죽) | 우유죽(牛乳粥) | 수밀죽 | ||
+ | (酥蜜粥, 수유꿀죽) | ||
+ | |||
+ | 2. 조청과 엿(이당) 飴餳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조청[飴, 이] 고기(이방) 飴方 | ||
+ | 3) 엿[餳, 당] 만들기(당방) 餳方 | ||
+ | 4) 흑두당(黑豆餹, 검은콩엿) 만들기(흑두당방) 黑豆餹方 | ||
+ | 5) 무술당(戊戌餹, 수수엿) 만들기(무술당방) 戊戌餹方 | ||
+ | |||
+ | |||
+ | 볶거나[糗] 가루 내어[麪] 만든 음식(구면지류) 糗麪之類 | ||
+ | |||
+ | 1. 미숫가루[麨, 초] 麨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나미초(糯米麨, 찹쌀미숫가루) 만들기(나미초방) 糯米麨方 | ||
+ | 3) 완두초(豌豆麨, 완두미숫가루) 만들기(완두초방) 豌豆麨方 | ||
+ | 4) 유초[乳麨, 유충(乳蟲)미숫가루] 만들기(유초방) 乳麨方 | ||
+ | 5) 육향초(六香麨, 6향미숫가루) 만들기(육향초방) 六香麨方 | ||
+ | 6) 백엽초(柏葉麨, 측백나뭇잎미숫가루) 만들기(백엽초방) 柏葉麨方 | ||
+ | 7) 천금초(千金麨, 천금미숫가루) 만들기(천금초방) 千金麨方 | ||
+ | 8) 운영초(雲英麨, 운영미숫가루) 만들기(운영초방) 雲英麨方 | ||
+ | 9) 내초(柰麨, 능금미숫가루) 만들기(내초방) 柰麨方 | ||
+ | 10) 행초(杏麨, 살구미숫가루) 만들기(행초방) 杏麨方 | ||
+ | 11) 이초(李麨, 자두미숫가루) 만들기(이초방) 李麨方 | ||
+ | 12) 임금초(林檎麨, 능금미숫가루) 만들기(임금초방) 林檎麨方 | ||
+ | 13) 조유(棗油, 대추미숫가루) 만들기(조유방) 棗油方 | ||
+ | 14) 복분자초(覆盆子麨, 복분자미숫가루) 만들기(복분자초방) 覆盆子麨方 | ||
+ | |||
+ | 2. 면 麪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교맥면(蕎麥麪, 메밀국수) 만들기(교맥면방) 蕎麥麪方 | ||
+ | 3) 난면(卵麪, 계란국수) 만들기(난면방) 卵麪方 | ||
+ | 4) 사면(絲麪, 실국수) 만들기(사면방) 絲麪方 | ||
+ | 5) 갈분면(葛粉麪, 칡가루국수) 만들기(갈분면방) 葛粉麪方 | ||
+ | 6) 창면(暢麪, 녹두국수) 만들기(창면방) 暢麪方 | ||
+ | 7) 노분면(蘆粉麪, 갈대가루국수) 만들기(노분면방) 蘆粉麪方 | ||
+ | 8) 천화면(天花麪, 하눌타리국수) 만들기(천화면방) 天花麪方 | ||
+ | 9) 율면(栗麪, 밤국수) 만들기(율면방) 栗麪方 | ||
+ | 10) 나화(剌花, 나화국수) 만들기(나화방) 剌花方 | ||
+ | 11) 별작면(別作麪) 만들기(별작면방) 別作麪方 | ||
+ | 12) 진주면(眞珠麪) 만들기(진주면방) 眞珠麪方 | ||
+ | 13) 서면(黍麪, 기장국수) 만들기(서면방) 黍麪方 | ||
+ | 14) 과면(瓜麪, 오이국수) 만들기(과면방) 瓜麪方 | ||
+ | 15) 나단탕병(糯團湯餠, 찹쌀새알심국) 끓이기(나단탕병방) 糯團湯餠方 | ||
+ | 16) 화면(花麪, 진달래국수) 만들기(화면방) 花麪方 | ||
+ | 17) 백합병(百合餠, 백합칼국수) 만들기(백합병방) 百合餠方 | ||
+ | 18) 옥연삭병(玉延索餠, 마국수) 만들기(옥연삭병방) 玉延索餠方 | ||
+ | 19) 석류분(石榴粉, 석류면) 만들기(석류분방) 石榴粉方 | ||
+ | 20) 수활면(水滑麪, 손국수) 만들기(수활면방) 水滑麪方 | ||
+ | 21) 삭면(索麪, 기름손국수) 만들기(삭면방) 索麪方 | ||
+ | 22) 경대면(經帶麪) 만들기(경대면방) 經帶麪方 | ||
+ | 23) 탁장면(托掌麪) 만들기(탁장면방) 托掌麪方 | ||
+ | 24) 산약면(山藥麪, 마칼국수) 만들기(산약면방) 山藥麪方 | ||
+ | 25) 구면(句麪, 무칼국수) 만들기(구면방) 句麪方 | ||
+ | 26) 취루면(翠縷麪, 회화나무잎칼국수) 만들기(취루면방) 翠縷麪方 | ||
+ | 27) 홍사면(紅絲麪, 새우국수) 만들기(홍사면방) 紅絲麪方 | ||
+ | 28) 우박탁(芋餺飥) 만들기(우박탁방) 芋餺飥方 | ||
+ | 29) 영롱박탁(玲瓏餺飥) 만들기(영롱박탁방) 玲瓏餺飥方 | ||
+ | 30) 영롱발어(玲瓏撥魚) 만들기(영롱발어방) 玲瓏撥魚方 | ||
+ | 31) 산약발어(山藥撥魚) 만들기(산약발어방) 山藥撥魚方 | ||
+ | |||
+ | 3. 만두 饅頭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숭채만두(菘菜饅頭, 절인배추만두) 빚기(숭채만두방) 菘菜饅頭方 | ||
+ | 3) 변씨만두(卞氏饅頭) 빚기(변씨만두방) 卞氏饅頭方 | ||
+ | 4) 치만두(雉饅頭, 꿩만두) 빚기(치만두방) 雉饅頭方 | ||
+ | 5) 어만두(魚饅頭, 생선만두) 빚기(어만두방) 魚饅頭方 | ||
+ | 6) 평좌대만두(平坐大饅頭, 발효만두) 빚기(평좌대만두방) 平坐大饅頭方 | ||
+ | 7) 박만두(薄饅頭, 피가 얇은 만두) 빚기(박만두방) 薄饅頭方 | ||
+ | 8) 어포자(魚包子, 생선포자) 빚기(어포자방) 魚包子方 | ||
+ | 9) 아두자(鵝兜子, 거위고기만두) 빚기(아두자방) 鵝兜子方 | ||
+ | 10) 잡함두자(雜餡兜子, 양의 부속물만두) 빚기(잡함두방) 雜餡兜子方 | ||
+ | 11) 해황두자(蟹黃兜子, 게살만두) 빚기(해황두자방) 蟹黃兜子方 | ||
+ | 12) 산해두(山海兜, 산나물생선만두) 빚기(산해두방) 山海兜方 | ||
+ | 13) 황작만두(黃雀饅頭, 참새고기만두) 빚기(황작만두방) 黃雀饅頭方 | ||
+ | 14) 조만두(糟饅頭, 술지게미만두) 빚기(조만두방) 糟饅頭方 | ||
+ | 15) 하연두자(荷蓮兜子, 연만두) 빚기(하연두자방) 荷蓮兜子方 | ||
+ | 16) 연방어포(蓮房魚包, 연밥생선만두) 빚기(연방어포방) 蓮房魚包方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3 鼎俎志 卷第三 | ||
+ | |||
+ | |||
+ | 음료(음청지류) 飮淸之類 | ||
+ | |||
+ | 1. 탕 湯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암향탕(暗香湯, 매화탕) 만들기(암향탕방) 暗香湯方 | ||
+ | 3) 숙매탕(熟梅湯, 매실탕) 만들기(숙매탕방) 熟梅湯方 | ||
+ | 4) 수문탕(須問湯) 만들기(수문탕방) 須問湯方 | ||
+ | 5) 행락탕(杏酪湯, 살구탕) 만들기(행락탕방) 杏酪湯方 | ||
+ | 6) 봉수탕(鳳髓湯, 잣호두탕) 만들기(봉수탕방) 鳳髓湯方 | ||
+ | 7) 수지탕(水芝湯, 연밥탕) 만들기(수지탕방) 水芝湯方 | ||
+ | 8) 건모과탕(乾木瓜湯, 말린 모과탕) 만들기(건모과탕방) 乾木瓜湯方 | ||
+ | 9) 무진탕(無塵湯) 만들기(무진탕방) 無塵湯方 | ||
+ | 10) 선출탕(仙朮湯, 창출탕) 만들기(선출탕방) 仙朮湯方 | ||
+ | 11) 여지탕(荔枝湯, 오매탕) 만들기(여지탕방) 荔枝湯方 | ||
+ | 12) 온조탕(溫棗湯, 대추탕) 만들기(온조탕방) 溫棗湯方 | ||
+ | 13) 향소탕(香蘇湯, 차조기탕) 만들기(향소탕방) 香蘇湯方 | ||
+ | 14) 금분탕(金粉湯) 만들기(금분탕방) 金粉湯方 | ||
+ | 15) 지황고자탕(地黃膏子湯, 지황탕) 만들기(지황고자탕방) 地黃膏子湯方 | ||
+ | 16) 녹운탕(綠雲湯, 형개수탕) 만들기(녹운탕방) 綠雲湯方 | ||
+ | 17) 경소탕(輕素湯, 마탕) 만들기(경소탕방) 輕素湯方 | ||
+ | 18) 옥설탕(沃雪湯) 만들기(옥설탕방) 沃雪湯方 | ||
+ | 19) 백탕(柏湯, 측백탕) 만들기(백탕방) 柏湯方 | ||
+ | |||
+ | 2. 장 漿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장수(漿水) 만들기(장수방) 漿水方 | ||
+ | 3) 제수(虀水, 배추장) 만들기(제수방) 虀水方 | ||
+ | 4) 계장(桂漿, 계피장) 만들기(계장방) 桂漿方 | ||
+ | 5) 여지장(荔枝漿) 만들기(여지장방) 荔枝漿方 | ||
+ | 6) 모과장(木瓜漿) 만들기(모과장방) 木瓜漿方 | ||
+ | 7) 유장(柚漿, 유자장) 만들기(유장방) 柚漿方 | ||
+ | 8) 매장(梅漿, 매실장) 만들기(매장방) 梅漿方 | ||
+ | |||
+ | 3. 차 茶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뇌차(擂茶, 가루차) 만들기(뇌차방) 擂茶方 | ||
+ | 3) 족미차(足味茶) 만들기(족미차방) 足味茶方 | ||
+ | 4) 해아향차(孩兒香茶) 만들기(해아향차방) 孩兒香茶方 | ||
+ | 5) 누영춘(漏影春) 만들기(누영춘방) 漏影春方 | ||
+ | 6) 청천백석차(淸泉白石茶) 만들기(청천백석차방) 淸泉白石茶方 | ||
+ | 7) 구기차(枸杞茶, 구기자차) 만들기(구기차방) 枸杞茶方 | ||
+ | 8) 국화차(菊花茶) 만들기(국화차방) 菊花茶方 | ||
+ | 9) 기국차(杞菊茶, 구기자국화차) 만들기(기국차방) 杞菊茶方 | ||
+ | 10) 강죽차(薑竹茶, 생강죽력차) 만들기(강죽차방) 薑竹茶方 | ||
+ | 11) 강귤차(薑橘茶, 생강귤차) 만들기(강귤차방) 薑橘茶方 | ||
+ | 12) 유자차(柚子茶) 만들기(유자차방) 柚子茶方 | ||
+ | 13) 포도차(葡萄茶) 만들기(포도차방) 葡萄茶方 | ||
+ | 14) 당귀차(當歸茶方) 만들기(당귀차방) 當歸茶方 | ||
+ | 15) 순차(蓴茶, 순채차) 만들기(순차방) 蓴茶方 | ||
+ | 16) 녹두차(綠豆茶) 만들기(녹두차방) 綠豆茶方 | ||
+ | 17) 백엽차(柏葉茶, 측백잎차) 만들기(백엽차방) 柏葉茶方 | ||
+ | |||
+ | 4. 갈수(渴水, 청량음료) 渴水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어방갈수(御方渴水) 만들기(어방갈수방) 御方渴水方 | ||
+ | 3) 임금갈수(林檎渴水, 능금갈수) 만들기(임금갈수방) 林檎渴水方 | ||
+ | 4) 모과갈수(木瓜渴水) 만들기(모과갈수방) 木瓜渴水方 | ||
+ | 5) 오미갈수(五味渴水, 오미자갈수) 만들기(오미갈수방) 五味渴水方 | ||
+ | 6) 포도갈수(葡萄渴水) 만들기(포도갈수방) 葡萄渴水方 | ||
+ | 7) 향당갈수(香糖渴水) 만들기(향당갈수방) 香糖渴水方 | ||
+ | |||
+ | 5. 숙수(熟水, 달인 음료) 熟水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숙수 총법 熟水總法 | ||
+ | 3) 자소숙수(紫蘇熟水) 만들기(자소숙수방) 紫蘇熟水方 | ||
+ | 4) 두구숙수(荳蔻熟水, 백두구숙수) 만들기(두구숙수방) 荳蔻熟水方 | ||
+ | 5) 침향숙수(沈香熟水) 만들기(침향숙수방) 沈香熟水方 | ||
+ | 6) 향화숙수(香花熟水, 향기로운 꽃 숙수) 만들기(향화숙수방) 香花熟水方 | ||
+ | 7) 정향숙수(丁香熟水) 만들기(정향숙수방) 丁香熟水方 | ||
+ | 8) 율추숙수(栗皺熟水, 밤송이숙수) 만들기(율추숙수방) 栗皺熟水方 | ||
+ | |||
+ | |||
+ | 과줄(과정지류) 菓飣之類 | ||
+ | |||
+ | 1. 밀전과(蜜煎菓, 과일꿀조림) 蜜煎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밀전과자(蜜煎菓子, 과일꿀조림) 총법 蜜煎菓子總法 | ||
+ | 3) 밀전행(蜜煎杏, 살구꿀조림) 만들기(밀전행방) 蜜煎杏方 | ||
+ | 4) 밀전도(蜜煎桃, 복숭아꿀조림) 만들기(밀전도방) 蜜煎桃方 | ||
+ | 5) 밀전앵도(蜜煎櫻桃, 앵두꿀조림) 만들기(밀전앵도방) 蜜煎櫻桃方 | ||
+ | 6) 건포도(乾葡萄, 포도꿀조림) 만들기(건포도방) 乾葡萄方 | ||
+ | 7) 밀건조(蜜乾棗, 대추꿀조림) 만들기(밀건조방) 蜜乾棗方 | ||
+ | 8) 밀전리(蜜煎梨, 배꿀조림) 만들기(밀전리방) 蜜煎梨方 | ||
+ | 9) 밀전산사(蜜煎山査, 아가위꿀조림) 만들기(밀전산사방) 蜜煎山査方 | ||
+ | 10) 밀전모과(蜜煎木瓜, 모과꿀조림) 만들기(밀전모과방) 蜜煎木瓜方 | ||
+ | 11) 밀전복분자(蜜煎覆盆子, 복분자꿀조림) 만들기(밀전복분자방) 蜜煎覆盆子方 | ||
+ | 12) 밀전감자(蜜煎柑子, 홍귤꿀조림) 만들기(밀전감자방) 蜜煎柑方 | ||
+ | 13) 밀전유(蜜煎柚, 유자꿀조림) 만들기(밀전유방) 蜜煎柚方 | ||
+ | 14) 밀전우(蜜煎藕, 연근꿀조림) 만들기(밀전우방) 蜜煎藕方 | ||
+ | 15) 밀전강(蜜煎薑, 생강꿀조림) 만들기(밀전강방) 蜜煎薑方 | ||
+ | 16) 밀전오미자(蜜煎五味子, 오미자꿀조림) 만들기(밀전오미자방) 蜜煎五味子方 | ||
+ | 17) 밀전죽순(蜜煎竹荀, 죽순꿀조림) 만들기(밀전죽순방) 蜜煎竹荀方 | ||
+ | 18) 밀전맥문동(蜜煎麥門冬, 맥문동꿀조림) 만들기(밀전맥문동방) 蜜煎麥門冬方 | ||
+ | 19) 밀전길경(蜜煎桔梗, 도라지꿀조림) 만들기(밀전길경방) 蜜煎桔梗方 | ||
+ | 20) 밀전동과(蜜煎冬瓜, 동아꿀조림) 만들기(밀전동과방) 蜜煎冬瓜方 | ||
+ | 21) 밀전서과(蜜煎西瓜, 수박꿀조림) 만들기(밀전서과방) 蜜煎西瓜方 | ||
+ | |||
+ | 2. 당전과(糖纏菓, 과일설탕절임) 糖纏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당취매(糖脆梅, 매실설탕절임) 만들기(당취매방) 糖脆梅方 | ||
+ | 3) 산사고(山査膏, 아가위설탕절임) 만들기(산사고방) 山査膏方 | ||
+ | 4) 연자전(蓮子纏, 연밥설탕절임) 만들기(연자전방) 蓮子纏方 | ||
+ | 5) 당전우(糖煎藕, 연근설탕절임) 만들기(당전우방) 糖煎藕方 | ||
+ | 6) 당소모과(糖蘇木瓜, 차조기·모과설탕절임) 만들기(당소모과방) 糖蘇、木瓜方 | ||
+ | 7) 형개당(荊芥糖, 형개설탕절임) 만들기(형개당방) 荊芥糖方 | ||
+ | 8) 당전비(糖纏榧, 비자설탕절임) 만들기(당전비방) 糖纏榧方 | ||
+ | 9) 당전감(糖纏柑, 유감설탕절임) 만들기(당전감방) 糖纏柑方 | ||
+ | 10) 당두(糖豆, 콩설탕절임) 만들기(당두방) 糖豆方 | ||
+ | 11) 사당원(砂糖元, 약용설탕) 만들기(사당원방) 砂糖元方 | ||
+ | 12) 부록 첨식(甜食, 단 음식) 附 甜食 | ||
+ | 12-1) 당로(糖滷) 만들기(기당로법) 起糖滷法 | ||
+ | 12-2) 초면(炒麪, 볶은 밀가루) 만들기(초면법) 炒麪法 | ||
+ | 12-3) 설화수(雪花酥, 눈처럼 흰 밀떡) 雪花酥 | ||
+ | 12-4) 송자해라간(松子海囉, 잣밀떡) 松子海囉 | ||
+ | 12-5) 백윤(白閏, 백밀떡) 白閏 | ||
+ | 12-6) 황윤(黃閏, 황밀떡) 黃閏 | ||
+ | 12-7) 흑윤(黑閏, 흑밀떡) 黑閏 | ||
+ | 12-8) 와사(窩絲, 꿀타래) 窩絲 | ||
+ | 12-9) 교맥화(蕎麥花, 메밀강정) 蕎麥花 | ||
+ | 12-10) 구비당求肥糖 | ||
+ | 12-11) 가수저라(加須底羅, 카스테라) 加須底羅 | ||
+ | 12-12) 아류평당 阿留平糖 | ||
+ | 12-13) 인삼당 人蔘糖 | ||
+ | 12-14) 발석당 浡石糖 | ||
+ | 12-15) 당화 糖花 | ||
+ | |||
+ | 3. 포과(脯菓, 말린과일) 脯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행포(杏脯, 살구포) 만들기(행포방) 杏脯方 | ||
+ | 3) 이건(李乾, 자두말랭이) 만들기(이건방) 李乾方 | ||
+ | 4) 매포(梅脯, 매실포) 만들기(매포방) 梅脯方 | ||
+ | 5) 도포(桃脯, 복숭아포) 만들기(도포방) 桃脯方 | ||
+ | 6) 조포(棗脯, 대추포) 만들기(조포방) 棗脯方 | ||
+ | 7) 이화(梨花, 배말랭이) 만들기(이화방) 梨花方 | ||
+ | 8) 내포(奈脯, 사과포) 만들기(내포방) 奈脯方 | ||
+ | 9) 시건(柹乾, 곶감) 만들기(시건방) 柹乾方 | ||
+ | 10) 유포(柚脯, 유자포) 만들기(유포방) 柚脯方 | ||
+ | 11) 율건(栗乾, 밤말랭이) 만들기(율건방) 栗乾方 | ||
+ | 12) 매화포(梅花脯, 산밤포·감람포) 만들기(매화포방) 梅花脯方 | ||
+ | 13) 건율다식(乾栗茶食) 만들기(건율다식방) 乾栗茶食方 | ||
+ | 14) 송황다식(松黃茶食, 송화가루다식) 만들기(송황다식방) 松黃茶食方 | ||
+ | 15) 거승다식(巨勝茶食, 흑임자다식) 만들기(거승다식방) 巨勝茶食方 | ||
+ | 16) 상자다식(橡子茶食, 도토리다식) 만들기(상자다식방) 橡子茶食方 | ||
+ | 17) 녹두분다식(綠豆粉茶食, 녹두가루다식) 만들기(녹두분다식방) 綠豆粉茶食方 | ||
+ | 18) 산약다식(山藥茶食, 마다식) 만들기(산약다식방) 山藥茶食方 | ||
+ | 19) 강분정(薑粉錠, 생강가루떡) 만들기(강분정방) 薑粉錠方 | ||
+ | 20) 조유정(棗油錠, 조유떡) 만들기(조유정방) 棗油錠方 | ||
+ | 21) 방검병(防儉餠, 구황떡) 만들기(방검병방) 防儉餠方 | ||
+ | 22) 황정병(黃精餠, 죽대떡) 만들기(황정병방) 黃精餠方 | ||
+ | |||
+ | 4. 외과(煨菓, 과일구이) 煨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소리(燒梨, 배구이) 만들기(소리방) 燒梨方 | ||
+ | 3) 외율(煨栗, 밤구이) 만들기(외율방) 煨栗方 | ||
+ | 4) 토지단(土芝丹, 토란구이) 만들기(토지단방) 土芝丹方 | ||
+ | 5) 외모과(煨木瓜, 모과구이) 만들기(외모과방) 煨木瓜方 | ||
+ | 6) 외감저(煨甘藷, 고구마구이) 만들기(외감저방) 煨甘藷方 | ||
+ | |||
+ | 5. 법제과(法製菓, 법제과일) 法製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상단(爽團, 영약) 만들기(상단방) 爽團方 | ||
+ | 3) 냉금단(冷金丹, 능금단) 만들기(냉금방) 冷金丹方 | ||
+ | 4) 법제모과(法製木瓜) 만들기(법제모과방) 法製木瓜方 | ||
+ | 5) 법제강(法製薑, 법제생강) 만들기(법제강방) 法製薑方 | ||
+ | 6) 법제귤피(法製橘皮) 만들기(법제귤피방) 法製橘皮方 | ||
+ | 7) 법제비자(法製榧子) 만들기(법제비자방) 法製榧子方 | ||
+ | 8) 법제과자(法製瓜子, 법제오이씨) 만들기(법제과자방) 法製瓜子方 | ||
+ | 9) 승련옥로상(升煉玉露霜, 법제콩가루) 만들기(승련옥로상방) 升煉玉露霜方 | ||
+ | |||
+ | 6. 점과(䴴菓, 유과) 黏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산자(饊子) 만들기(산자방) 饊子方 | ||
+ | 3) 교맥산자(蕎麥饊子, 메밀산자) 만들기(교맥산자방) 蕎麥饊子方 | ||
+ | 4) 매화산자(梅花饊子, 매화모양 찹쌀튀밥 입힌 산자) 만들기(매화산자방) 梅花饊子方 | ||
+ | 5) 감저자(甘藷子, 고구마산자)·갱자(粳子, 멥쌀산자) 만들기(감저갱자방) 甘藷、粳子方 | ||
+ | 6) 당비(糖榧, 비자모양 산자) 만들기(당비방) 糖榧方 | ||
+ | 7) 약과(藥果) 만들기(약과방) 藥果方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4 鼎俎志 卷第四 | ||
+ | |||
+ | |||
+ | 채소음식(교여지류) 咬茹之類 | ||
+ | |||
+ | 1. 채소 절이기(엄장채) 醃藏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항아리에 물기 적게 절인 채소 담아 밀폐하여 저장하기(건폐옹채방) 乾閉甕菜方 | ||
+ | 3) 채소 절여 저장하기(저장채방) 菹藏菜方 | ||
+ | 4) 오향채(五香菜) 절이기(엄오향채방) 醃五香菜方 | ||
+ | 5) 겨울채소 절이기(엄동채방) 醃冬菜方 | ||
+ | 6) 술지게미에 채소 저장하기(조장채방) 糟藏菜方 | ||
+ | 7) 소금에 부추 절이기(엄염구방) 醃鹽韭方 | ||
+ | 8) 술지게미에 생강 절이기(조강방) 糟薑方 | ||
+ | 9) 갓 저장하기(장개방) 藏芥方 | ||
+ | 10) 술지게미에 무 절이기(조나복방) 糟蘿菔方 | ||
+ | 11) 술지게미에 오이나 가지 절이기(조과가방) 糟瓜茄方 | ||
+ | 12) 상추 절이기(엄와거방) 醃萵苣方 | ||
+ | 13) 술지게미에 마늘 절이기(조산방) 糟蒜方 | ||
+ | 14) 술지게미에 배추 절이기(엄조백채방) 醃糟白菜方 | ||
+ | 15) 곰취 절여 저장하기(엄장웅소방) 醃藏熊蔬方 | ||
+ | |||
+ | 2. 채소 말리기(건채) 乾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채소 쪄서 말리기(증건채방) 烝乾菜方 | ||
+ | 3) 약채(藥菜, 약채소) 말리기(건약채방) 乾藥菜方 | ||
+ | 4) 납채(臘菜) 바람에 말리기(풍채방) 風菜方 | ||
+ | 5) 납채 삶아 말리기(자건납채방) 煮乾臘菜方 | ||
+ | 6) 마늘 볕에 말리기(쇄산방) 曬蒜方 | ||
+ | 7) 갓 말리기(건개방) 乾芥方 | ||
+ | 8) 무청(蕪菁, 순무) 쪄서 말리기(증건무청방) 蒸乾蕪菁方 | ||
+ | 9) 무 말리기(건나복방) 乾蘿菔方 | ||
+ | 10) 누호(蔞蒿, 물쑥) 말리기(건누호방) 乾蔞蒿方 | ||
+ | 11) 유채(蕓薹, 운대) 볕에 말리기(쇄운대방) 曬蕓薹方 | ||
+ | 12) 죽순(竹筍) 말리기(건죽순방) 乾竹筍方 | ||
+ | 13) 고사리 말리기(건궐방) 乾蕨方 | ||
+ | 14) 쇠비름(馬齒莧, 마치현) 말리기(건마현방) 乾馬莧方 | ||
+ | 15) 명아주 말리기(건려방) 乾藜方 | ||
+ | 16) 우엉포(牛蒡脯, 우방포) 만들기(우방포방) 牛蒡脯方 | ||
+ | 17) 파초포(蕉脯, 초포) 만들기(초포방) 蕉脯方 | ||
+ | 18) 연방포(蓮房脯) 만들기(연방포방) 蓮房脯方 | ||
+ | 19) 물이끼포(水苔脯, 수태포) 만들기(수태포방) 水苔脯方 | ||
+ | 20) 봉선화포(鳳仙脯, 봉선포) 만들기(봉선포방) 鳳仙脯方 | ||
+ | 21) 오이 말리기(건과방) 乾瓜方 | ||
+ | 22) 호로(葫蘆)와 가지 말리기(호로가건방) 葫蘆、茄乾方 | ||
+ | 23) 우백(芋白) 말리기(건우백방) 乾芋白方 | ||
+ | 24) 송이 말리기(건송이방) 乾松茸方 | ||
+ | |||
+ | 3. 식향채(食香菜, 식향을 가미한 채소) 食香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채상(菜鯗, 식향을 가미한 채소포) 만들기(채상방) 菜鯗方 | ||
+ | 3) 식향나복(食香蘿菔, 식향을 가미한 무) 만들기(식향나복방) 食香蘿菔方 | ||
+ | 4) 식향숭개(食香菘芥, 식향을 가미한 배추와 갓) 만들기(식향숭개방) 食香菘、芥方 | ||
+ | 5) 식향곡채(食香穀菜, 식향을 가미한, 곡식모양의 채소) 만들기(식향곡채방) 食香、穀菜方 | ||
+ | 6) 식향과(食香瓜, 식향을 가미한 오이) 만들기(식향과방) 食香瓜方 | ||
+ | 7) 식향가(食香茄, 식향을 가미한 가지) 만들기(식향가방) 食香茄方 | ||
+ | |||
+ | 4. 자채(鮓菜, 담금 채소) 鮓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호라복자(胡蘿菔鮓, 당근담금) 만들기(호라복자방) 胡蘿菔鮓方 | ||
+ | 3) 삼백자(三白鮓, 3가지 흰 채소 담그기) 만들기(삼백자방) 三白鮓方 | ||
+ | 4) 교백자(茭白鮓, 줄풀줄기담금) 만들기(교백자방) 茭白鮓方 | ||
+ | 5) 죽순자(竹筍鮓, 죽순담금) 만들기(죽순자방) 竹筍鮓方 | ||
+ | 6) 포순자(蒲筍鮓, 포순담금) 만들기(포순자방) 蒲筍鮓方 | ||
+ | 7) 우초자(藕梢鮓, 우초담금) 만들기(우초자방) 藕梢鮓方 | ||
+ | 8) 담복자(薝菔鮓, 치자꽃담금) 만들기(담복자방) 薝菔鮓方 | ||
+ | |||
+ | 5. 제채(虀菜, 절임채소) 虀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절임채소 만들기(조제법) 造虀法 | ||
+ | 3) 상공제[相公韲, 절임상공(相公)] 만들기(상공제방) 相公韲方 | ||
+ | 4) 개제(芥虀, 절임갓) 만들기(개제방) 芥虀方 | ||
+ | 5) 숭제(菘虀, 절임배추) 만들기(숭제방) 菘虀方 | ||
+ | 6) 호유제(胡荽虀, 절임고수) 만들기(호유제방) 胡荽虀方 | ||
+ | 7) 호라복제(胡蘿菔虀, 절임당근) 만들기(호라복제방) 胡蘿菔虀方 | ||
+ | 8) 과제(瓜虀, 절임참외) 만들기(과제방) 瓜虀方 | ||
+ | 9) 망우제[忘憂虀, 절임망우초(忘憂草)] 만들기(망우제방) 忘憂虀方 | ||
+ | 10) 불한제(不寒虀, 춥지 않은 계절의 발효절임배추) 만들기(불한제방) 不寒虀方 | ||
+ | 11) 경지제(瓊芝虀, 절임경지) 만들기(경지제방) 瓊芝虀方 | ||
+ | 12) 장과가(醬瓜茄, 간장절임오이와 간장절임가지) 만들기(장과가방) 醬瓜、茄方 | ||
+ | 13) 장강순(醬薑筍, 간장절임생강순) 만들기(장강순방) 醬薑筍方 | ||
+ | 14) 장만초(醬蠻椒, 간장절임만초) 만들기(장만초방) 醬蠻椒方 | ||
+ | 15) 장사삼(醬沙參, 간장절임사삼) 만들기(장사삼방) 醬沙參方 | ||
+ | 16) 장자총(醬紫蔥, 간장절임자총) 만들기(장자총방) 醬紫蔥方 | ||
+ | 17) 초강(醋薑, 식초절임생강) 만들기(초강방) 醋薑方 | ||
+ | 18) 초산(醋蒜, 식초절임마늘) 만들기(초산방) 醋蒜方 | ||
+ | 19) 초과(醋瓜, 식초절임오이) 만들기(초과방) 醋瓜方 | ||
+ | 20) 산과(蒜瓜, 마늘절임오이) 만들기(산과방) 蒜瓜方 | ||
+ | 21) 산동과(蒜冬瓜, 마늘절임동아) 만들기(산동과방) 蒜冬瓜方 | ||
+ | 22) 산가(蒜茄, 마늘절임가지) 만들기(산가방) 蒜茄方 | ||
+ | 23) 산매(蒜梅, 마늘절임매실) 만들기(산매방) 蒜梅方 | ||
+ | 24) 개말가(芥末茄, 겨자가루절임가지) 만들기(개말가방) 芥末茄方 | ||
+ | 25) 개자장숭(芥子醬菘, 겨자장절임배추) 만들기(개자장숭방) 芥子醬菘方 | ||
+ | 26) 개자장과(芥子醬瓜, 겨자장절임오이) 만들기(개자장과방) 芥子醬瓜方 | ||
+ | 27) 개자장동과(芥子醬冬瓜, 겨자장절임동아) 만들기(개자장동과방) 芥子醬冬瓜方 | ||
+ | 28) 혜즙동과(醯汁冬瓜, 혜즙절임동아) 만들기(혜즙동과방) 醯汁冬瓜方 | ||
+ | |||
+ | 6. 김치[菹菜, 저채] 菹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무김치(나복저) 담그기(나복저방) 蘿菔菹方 | ||
+ | 3) 배추김치(菘菹, 숭저) 담그기(숭저방) 菘菹方 | ||
+ | 4) 오이김치(胡瓜菹, 호과저) 담그기(호과저방) 胡瓜菹方 | ||
+ | 5) 가지김치(茄菹, 가저) 담그기(가저방) 茄菹方 | ||
+ | 6) 미나리김치(芹菹, 근저) 담그기(근저방) 芹菹方 | ||
+ | 7) 산갓김치(산개저) 담그기(산개저방) 山芥菹方 | ||
+ | 8) 부들김치(향포저) 담그기(향포저방) 香蒲菹方 | ||
+ | 9) 석화김치(석화저) 담그기(석화저방) 石花菹方 | ||
+ | 10) 전복김치(복저) 담그기(복저방) 鰒菹方 | ||
+ | 11) 생강싹김치(강아저) 담그기(강아저방) 薑芽菹方 | ||
+ | |||
+ | 7. 자잡채(煮煠菜, 삶거나 데친 채소) 煮煠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삼취갱(三脆羹, 3가지 부드러운 재료 넣은 국) 끓이기(삼취갱방) 三脆羹方 | ||
+ | 3) 죽순 삶기(자순방) 煮筍方 | ||
+ | 4) 버섯 삶기(자심방) 煮蕈方 | ||
+ | 5) 옥삼근갱(玉糝根羹, 쌀가루 뿌린 무국) 끓이기(옥삼근갱방) 玉糝根羹方 | ||
+ | 6) 압각갱(鴨脚羹, 아욱국) 끓이기(압각갱방) 鴨脚羹方 | ||
+ | 7) 벽간갱(碧澗羹, 미나리국) 끓이기(벽간갱방) 碧澗羹方 | ||
+ | 8) 냉이 삶기(자제방) 煮薺方 | ||
+ | 9) 갓 삶기(자개방) 煮芥方 | ||
+ | 10) 설하갱(雪霞羹, 목부용꽃국) 끓이기(설하갱방) 雪霞羹方 | ||
+ | 11) 소채(巢菜) 삶기(자소채방) 煮巢菜方 | ||
+ | 12) 국화싹 삶기(자국묘방) 煮菊苗方 | ||
+ | 13) 삼화채(三和菜, 3가지 채소국) 끓이기(삼화채방) 三和菜方 | ||
+ | 14) 가지 삶기(자가방) 煮茄方 | ||
+ | 15) 동과갱(冬瓜羹, 동아국) 끓이기(동과갱방) 冬瓜羹方 | ||
+ | 16) 토란 삶기(자우방) 煮芋方 | ||
+ | 17) 고구마잎 삶기(자저엽방) 煮藷葉方 | ||
+ | 18) 와순채(萵筍菜, 상추꽃대나물) 만들기(와순채방) 萵筍菜方 | ||
+ | 19) 동호채(茼蒿菜, 쑥갓나물) 만들기(동호채방) 茼蒿菜方 | ||
+ | 20) 황화채(黃花菜, 넘나물) 만들기(황화채방) 黃花菜方 | ||
+ | 21) 구기채(枸杞菜, 구기자나물) 만들기(구기채방) 枸杞菜方 | ||
+ | 22) 목숙채(苜蓿菜, 거여목나물) 만들기(목숙채방) 苜蓿菜方 | ||
+ | 23) 양제갱(羊蹄羹, 소루쟁이국) 끓이기(양제갱방) 羊蹄羹方 | ||
+ | 24)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만들기(목두채방) 木頭菜方 | ||
+ | 25) 유엽구(柳葉韭, 버들잎부추나물) 만들기(유엽구방) 柳葉韭方 | ||
+ | 26) 상루여(蔏蔞茹, 물쑥나물) 만들기(상루여방) 蔏蔞茹方 | ||
+ | 27) 능과채(菱科菜, 마름나물) 만들기(능과채방) 菱科菜方 | ||
+ | 28) 순여(蓴茹, 순채나물) 만들기(순여방) 蓴茹方 | ||
+ | 29) 결명자(決明, 긴강남차의 종자) 삶기(자결명방) 煮決明方 | ||
+ | 30) 개람(芥藍, 밋갓) 삶기(자개람방) 煮芥藍方 | ||
+ | 31) 감포여(甘蒲茹, 부들나물) 만들기(감포여방) 甘蒲茹方 | ||
+ | 32) 납두채(臘豆菜, 12월의 콩과 채소) 삶기(자납두채방) 煮臘豆菜方 | ||
+ | 33) 소금 넣고 콩 삶기(자염두방) 煮鹽豆方 | ||
+ | |||
+ | 8. 외증채(煨烝菜, 굽거나 찐 채소) 煨烝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외죽순(煨竹筍, 죽순구이) 만들기(외죽순방) 煨竹筍方 | ||
+ | 3) 와순자(萵筍炙, 와순구이) 만들기(와순자방) 萵筍炙方 | ||
+ | 4) 송이자(松茸炙, 송이구이) 만들기(송이자방) 松茸炙方 | ||
+ | 5) 총자(蔥炙, 파구이) 만들기(총자방) 蔥炙方 | ||
+ | 6) 산대자(蒜薹炙, 마늘종구이) 만들기(산대자방) 蒜薹炙方 | ||
+ | 7) 삼자(蔘炙, 더덕구이)·길자(桔炙, 도라지구이) 만들기(삼길자방) 蔘、桔炙方 | ||
+ | 8) 남과자(南瓜炙, 호박구이) 만들기(남과자방) 南瓜炙方 | ||
+ | 9) 설암채(雪盦菜, 눈 덮힌 봄채소의구이) 만들기(설암채방) 雪盦菜方 | ||
+ | 10) 호증(壺烝, 박찜) 만들기(호증방) 壺烝方 | ||
+ | 11) 숭증(菘烝, 배추찜) 만들기(숭증방) 菘烝方 | ||
+ | 12) 만청증(蔓菁烝, 순무찜) 만들기(만청증방) 蔓菁烝方 | ||
+ | 13) 산행증궐(山行烝蕨, 산에 가서 만드는 고사리찜) 만들기(산행증궐방) 山行烝蕨方 | ||
+ | 14) 소가(燒茄, 가지구이) 만들기(소가방) 燒茄方 | ||
+ | |||
+ | 9. 유전채(油煎菜, 기름에 지진 채소) 油煎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전천초(煎川椒, 천초지짐) 만들기(전천초방) 煎川椒方 | ||
+ | 3) 수행인(酥杏仁, 행인지짐) 만들기(수행인방) 酥杏仁方 | ||
+ | 4) 수호도(酥胡桃, 호두지짐) 만들기(수호도방) 酥胡桃方 | ||
+ | 5) 흑두초(黑豆炒, 콩자반) 만들기(흑두초방) 黑豆炒方 | ||
+ | 6) 마방전(麻房煎, 들깨지짐) 만들기(마방전방) 麻房煎方 | ||
+ | 7) 송초전(松椒煎, 잣후추지짐) 만들기(송초전방) 松椒煎方 | ||
+ | 8) 남초초(南椒炒, 고춧잎볶음) 만들기(남초초방) 南椒炒方 | ||
+ | 9) 해대전(海帶煎, 다시마지짐) 만들기(해대전방) 海帶煎方 | ||
+ | 10) 녹각초(鹿角炒, 청각지짐) 만들기(녹각초방) 鹿角炒方 | ||
+ | 11) 박금(煿金, 황금색죽순구이) 만들기(박금방) 煿金方 | ||
+ | 12) 통신병(通神餠, 생강지짐) 만들기(통신병방) 通神餠方 | ||
+ | 13) 가전육(假煎肉, 가짜고기전) 만들기(가전육방) 假煎肉方 | ||
+ | 14) 수황우(酥黃芋, 수황토란지짐) 만들기(수황우방) 酥黃芋方 | ||
+ | |||
+ | 10. 수채 酥菜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두부 만들기(두부방) 豆腐方 | ||
+ | 3) 행주두부(行廚豆腐, 여행 중의 간편한 두부) 만들기(행주두부방) 行廚豆腐方 | ||
+ | 4) 청포[靑泡, 묵] 만들기(청포방) 靑泡方 | ||
+ | 5) 경지교(璚枝膠, 우묵) 만들기(경지교방) 璚枝膠方 | ||
+ | 6) 수정회(水晶膾) 만들기(수정회방) 水晶膾方 | ||
+ | 7) 앵유어(罌乳魚, 물고기모양의 양귀비치즈) 만들기(앵유어방) 罌乳魚方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5 鼎俎志 卷第五 | ||
+ | |||
+ | |||
+ | 가르거나 삶아서 조리하는 음식(할팽지류) 割烹之類 | ||
+ | |||
+ | 1. 갱확(羹臛, 고깃국)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고기 삶는 전반적인 법(자육총법) 煮肉總法 | ||
+ | 3) 질긴 고기 쉽게 무르게 삶는 법(자경육이연법) 煮硬肉易軟法 | ||
+ | 4) 묵은 고기 누린내 나지 않게 삶는 법(자진육불염법) 煮陳肉不蘝法 | ||
+ | 5) 묵은 고기 삶기(자진육방) 煮陳肉方 | ||
+ | 6) 생선 삶는 전반적인 법(자어총법) 煮魚總法 | ||
+ | 7) 단단한 생선 쉽게 연해지게 삶는 법(자경어이연법) 煮硬魚易軟法 | ||
+ | 8) 쇠고기 삶기(자우육방) 煮牛肉方 | ||
+ | 9) 양고기 삶기(자양육방) 煮羊肉方 | ||
+ | 10) 양의 폐에 양념 넣어 삶기(관폐방) 灌肺方 | ||
+ | 11) 양의 폐 삶기(탕폐방) 湯肺方 | ||
+ | 12) 양의 내장에 선지를 부어 삶기(관장방) 灌腸方 | ||
+ | 13) 양갈비탕(골삽갱) 만들기(골삽갱방) 骨插羹方 | ||
+ | 14) 양고기무국(나복갱) 만들기(나복갱방) 蘿菔羹方 | ||
+ | 15) 주발에 양고기 찌기(완증양방) 碗蒸羊方 | ||
+ | 16) 돼지고기 삶기(자저육방) 煮猪肉方 | ||
+ | 17) 개고기 삶기(자견육방) 煮犬肉方 | ||
+ | 18) 사슴고기 삶기(자녹육방) 煮鹿肉方 | ||
+ | 19) 토끼고기 삶기(자토육방) 煮兔肉方 | ||
+ | 20) 곰발바닥 삶기(자웅장법) 煮熊掌法 | ||
+ | 21) 당나귀고기 삶기(자려마육방) 煮驢馬肉方 | ||
+ | 22) 닭고기 삶기(자계방) 煮鷄方 | ||
+ | 23) 거위나 오리 삶기(자아압방) 煮鵝鴨方 | ||
+ | 24) 기러기 삶기(자안방) 煮鴈方 | ||
+ | 25) 잉어 삶기(자리방) 煮鯉方 | ||
+ | 26) 붕어 삶기(자즉방) 煮鯽方 | ||
+ | 27) 준치 삶기(증시방) 蒸鰣方 | ||
+ | 28) 복어국(하돈갱) 만들기(하돈갱방) 河豚羹方 | ||
+ | 29) 게 삶기(자해방) 煮蟹方 | ||
+ | 30) 향을 낸 우렁이국(가향라갱) 만드는 법(가향라갱법) 假香螺羹法 | ||
+ | 31) 전복맛을 낸 우렁이국(가복어갱) 만들기(가복어갱방) 假鰒魚羹方 | ||
+ | 32) 완자탕(碗子湯) 만들기(완자탕방) 碗子湯方 | ||
+ | 33) 열구자탕(悅口子湯) 만들기(열구자탕방) 悅口子湯方 | ||
+ | |||
+ | 2. 번자(燔炙, 불에 구워 조리하는 음식) 燔炙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고기 굽는 전반적인 방법(소육총법) 燒肉總法 | ||
+ | 3) 노구솥에 고기 굽기(과소육방) 鍋燒肉方 | ||
+ | 4) 잔(剗)에 고기 굽기(잔소육방) 剗燒肉方 | ||
+ | 5) 생선 굽는 전반적인 방법(자어총법) 炙魚總法 | ||
+ | 6) 쇠고기 굽기(자우육방) 炙牛肉方 | ||
+ | 7) 양고기 굽기(자양육방) 炙羊肉方 | ||
+ | 8) 양뼈 굽기(양골적방) 羊骨炙方 | ||
+ | 9) 돼지고기 굽기(자저육방) 炙猪肉方 | ||
+ | 10) 사슴고기 굽기(자녹육방) 炙鹿肉方 | ||
+ | 11) 노루고기 굽기(자장육방) 炙獐肉方 | ||
+ | 12) 토끼고기 굽기(자토육방) 炙兔肉方 | ||
+ | 13) 닭고기 굽기(자계방) 炙鷄方 | ||
+ | 14) 꿩고기 굽기(자치방) 炙雉方 | ||
+ | 15) 메추라기고기 굽기(자순방) 炙鶉方 | ||
+ | 16) 참새고기 굽기(자마작방) 炙麻雀方 | ||
+ | 17) 오리고기나 기러기고기 굽기(자압안방) 炙鴨、雁方 | ||
+ | 18) 계란이나 오리알 굽기(자계압란방) 炙鷄、鴨卵方 | ||
+ | 19) 붕어 굽기(자즉방) 炙鯽方 | ||
+ | 20) 청어 굽기(자청어방) 炙靑魚方 | ||
+ | 21) 전복 굽기(자복방) 炙鰒方 | ||
+ | 22) 대합 굽기(자합방) 炙蛤方 | ||
+ | 23) 게 굽기(자해방) 炙蟹方 | ||
+ | |||
+ | 3. 회생(膾生, 육회와 생선회) 膾生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육회(肉膾) 만들기(육생방) 肉生方 | ||
+ | 3) 쇠고기육회(우육회) 만들기(우육회방) 牛肉膾方 | ||
+ | 4) 양고기육회(양육회) 만들기(양육회방) 羊肉膾方 | ||
+ | 5) 돼지고기수정회(저육수정회) 만들기(저육수정회방) 猪肉水晶膾方 | ||
+ | 6) 생선회(어생회) 만들기(어생회방) 魚生膾方 | ||
+ | 7) 금제옥회(金虀玉膾) 만들기(금제옥회방) 金虀玉膾方 | ||
+ | 8) 법주붕어 숙회(법즉) 만들기(법즉방) 法鯽方 | ||
+ | 9) 얼린 숭어회(동치회) 만들기(동치회방) 凍鯔膾方 | ||
+ | 10) 잉어수정회 만들기(잉어수정회방) 鯉魚水晶膾方 | ||
+ | 11) 취팔선(聚八仙) 만들기(취팔선방) 聚八仙方 | ||
+ | 12) 드렁허리회처럼 썬 양고기찜(가초선) 만들기(가초선방) 假炒鱔方 | ||
+ | 13) 수정냉도회 만들기(수정냉도회방) 水晶冷淘膾方 | ||
+ | 14) 전복회(복회) 만들기(복회방) 鰒膾方 | ||
+ | 15) 대합회(합회) 만들기(합회방) 蛤膾方 | ||
+ | 16) 얼린 꿩회(동치회) 만들기(동치회방) 凍雉膾方 | ||
+ | 17) 게회(해생) 만들기(해생방) 蟹生方 | ||
+ | |||
+ | 4. 포석(脯腊, 육포와 어포) 脯腊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육포(肉脯) 만드는 전반적인 방법(육포총방) 肉脯總方 | ||
+ | 3) 천리포(千里脯) 만들기(천리포방) 千里脯方 | ||
+ | 4) 쇠고기육포(우육포) 만들기(우육포방) 牛肉脯方 | ||
+ | 5) 돼지고기육포(저육포) 만들기(저육포방) 猪肉脯方 | ||
+ | 6) 사슴고기육포(녹육포) 만들기(녹육포방) 鹿肉脯方 | ||
+ | 7) 양홍간(羊紅肝) 만들기(양홍간방) 羊紅肝方 | ||
+ | 8) 천리육(千里肉) 만들기(천리육방) 千里肉方 | ||
+ | 9) 건함시(乾醎豉) 만들기(건함시방) 乾醎豉方 | ||
+ | 10) 첨취포(甜脆脯) 만들기(첨취포방) 甜脆脯方 | ||
+ | 11) 꿩고기육포(치건) 만들기(치건방) 雉乾方 | ||
+ | 12) 아안석(鵝雁腊, 거위나 기러기육포) 만들기(아안석방) 鵝、雁腊方 | ||
+ | 13) 오미포(五味脯) 만들기(오미포방) 五味脯方 | ||
+ | 14) 취포(脆脯) 만들기(취포방) 脆脯方 | ||
+ | 15) 생선포(풍어) 만들기(풍어방) 風魚方 | ||
+ | 16) 술에 절인 생선포(주어포) 만들기(주어포방) 酒魚脯方 | ||
+ | 17) 전복포(건복) 만들기(건복방) 乾鰒方 | ||
+ | 18) 새우를 붉은색이 변하지 않게 볕에 말리기(쇄하불변홍색방) 曬蝦不變紅色方 | ||
+ | |||
+ | 5. 해자(醢鮓, 젓갈과 식해) 醢鮓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고기식해(육자) 만들기(육자방) 肉鮓方 | ||
+ | 3) 생선식해(어자) 만들기(어자방) 魚鮓方 | ||
+ | 4) 여름에 생선식해 만들기(하월작어자방) 夏月作魚鮓方 | ||
+ | 5) 잉어식해(鯉鮓, 이자) 만들기(이자방) 鯉鮓方 | ||
+ | 6) 청어젓갈(청어해) 만들기(청어해방) 靑魚醢方 | ||
+ | 7) 대합젓갈(합해) 만들기(합해방) 蛤醢方 | ||
+ | 8) 굴젓갈(석화해) 만들기(석화해방) 石花醢方 | ||
+ | 9) 새우젓갈(자하해) 만들기(자하해방) 紫蝦醢方 | ||
+ | 10) 맛조개식해(정자) 만들기(정자방) 蟶鮓方 | ||
+ | 11) 참새식해(황작자) 만들기(황작자방) 黃雀鮓方 | ||
+ | 12) 거위식해(아자) 만들기(아자방) 鵝鮓方 | ||
+ | 13) 육장(肉醬) 만들기(육장방) 肉醬方 | ||
+ | 14) 메추라기장(암장)·참새장(작장)·토끼장(토장)·생선장(어장) 만들기(암작토어장방) 鵪、雀、兔、魚醬方 | ||
+ | 15) 생선장(어장) 만들기(어장방) 魚醬方 | ||
+ | 16) 어육장(魚肉醬) 만들기(어육장방) 魚肉醬方 | ||
+ | 17) 홍색의 참조개장(홍합리장) 만들기(홍합리장방) 紅蛤蜊醬方 | ||
+ | 18) 계란장(계란장)·오리알장(압란장) 만들기(계압 란장방) 鷄、鴨卵醬方 | ||
+ | 19) 어장(魚醬) 담그는 여러 가지 법(양어잡법) 釀魚雜法 | ||
+ | 20) 게장 담는 여러 가지 법(양해잡법) 釀蟹雜法 | ||
+ | 21) 술에 새우 절이기(주엄하방) 酒醃蝦方 | ||
+ | |||
+ | 6. 생선이나 고기 절여 저장하기 (엄장어육) 醃藏魚肉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납육(臘肉, 12월의 고기) 만들기(납육방) 臘肉方 | ||
+ | 3) 절인 돼지고기(오육) 만들기(오육방) 奧肉方 | ||
+ | 4) 포육(苞肉, 풀로 싸놓은 고기) 만들기(포육방) 苞肉方 | ||
+ | 5) 여름에 고기 거두는 법(하월수육법) 夏月收肉法 | ||
+ | 6) 소금에 오리알 절이기(엄함압란방) 醃醎鴨卵方 | ||
+ | 7) 생선 절이기(엄어방) 醃魚方 | ||
+ | |||
+ | 7. 고기의 기타 요리법(임육잡법) 餁肉雜法 | ||
+ | |||
+ | 1) 우육과제(牛肉瓜虀) 만들기(우육과제방) 牛肉瓜虀方 | ||
+ | 2) 만능요리(일료백당) 만들기(일료백당방) 一了百當方 | ||
+ | 3) 회회(回回) 해라시(海螺厮) 만들기(회회해라시방) 回回海螺廝方 | ||
+ | 4) 대붕란(大鵬卵) 만들기(대붕란방) 大鵬卵方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6 鼎俎志 卷第六 | ||
+ | |||
+ | 조미료(미료지류) 味料之類 | ||
+ | |||
+ | 1. 소금 鹽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해염 졸이기(자해염방) 煮海鹽方 | ||
+ | 3) 꽃소금(화염)과 굵은소금(인염) 만들기(화염방·인염방) 花鹽、印鹽方 | ||
+ | 4) 늘 가득 찬 소금(상만염) 만들기(상만염방) 常滿鹽方 | ||
+ | 5) 정염(錠鹽) 만들기(정염방) 錠鹽方 | ||
+ | 6) 벽돌모양 소금(염격) 만들기(염격방) 鹽墼方 | ||
+ | 7) 소금 저장하기(장염방) 藏鹽方 | ||
+ | |||
+ | 2. 장(醬) 醬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우리나라 장 담그는 법(동국장법) 東國醬法 | ||
+ | 3) 물료(物料, 특별한 재료) 섞어 장 담그기(조장물료방) 造醬物料方 | ||
+ | 4) 청대두장(청두장) 담그기(청두장방) 靑豆醬方 | ||
+ | 5) 고추장(남초장) 담그기(남초장방) 南椒醬方 | ||
+ | 6) 10일 내에 되는 장(순일장) 담그기(순일장방) 旬日醬方 | ||
+ | 7) 빨리 완성되는 장(준순장) 담그기(준순장방) 逡巡醬方 | ||
+ | 8) 담수장(淡水醬) 담그기(담수장방) 淡水醬方 | ||
+ | 9) 고구마장(감저장) 담그기(감저장방) 甘藷醬方 | ||
+ | 10) 맛이 간 장 고치기(의장실미방) 醫醬失味方 | ||
+ | 11) 중국장 담그기(중국장방) 中國醬方 | ||
+ | 12) 숙황장(熟黃醬) 담그기(숙황장방) 熟黃醬方 | ||
+ | 13) 생황장(生黃醬) 담그기(생황장방) 生黃醬方 | ||
+ | 14) 팥장(소두장) 담그기(소두장방) 小豆醬方 | ||
+ | 15) 완두장(豌豆醬) 담그기(완두장방) 豌豆醬方 | ||
+ | 16) 두유(豆油) 만들기(두유방) 豆油方 | ||
+ | 17) 밀가루장(소맥면장) 담그기(소맥면장방) 小麥麪醬方 | ||
+ | 18) 보리장(대맥장) 담그기(대맥장방) 大麥醬方 | ||
+ | 19) 밀기울장(부장) 담그기(부장방) 麩醬方 | ||
+ | 20) 참깨장(지마장) 담그기(지마장방) 芝麻醬方 | ||
+ | 21) 깻묵장(마재장) 담그기(마재장방) 麻滓醬方 | ||
+ | 22) 느릅나무열매장(유인장) 담그기(유인장방) 楡仁醬方 | ||
+ | 23) 무이장(蕪荑醬) 담그기(무이장방) 蕪荑醬方 | ||
+ | 24) 장 담글 때 소금 다루는 법(조장치염법) 造醬治鹽法 | ||
+ | 25) 장 담글 때 벌레 막기(조장금충방) 造醬禁蟲方 | ||
+ | 26) 장 담글 때 금기사항(조장의기) 造醬宜忌 | ||
+ | |||
+ | 3. 두시(豆豉) 豉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싱거운 두시(담두시) 만들기(담시방) 淡豉方 | ||
+ | 3) 짠 두시(함두시) 만들기(함시방) 鹹豉方 | ||
+ | 4) 금산사(金山寺) 두시(금산사시) 만들기(금산사시방) 金山寺豉方 | ||
+ | 5) 술 섞은 두시(주두시) 만들기(주두시방) 酒豆豉方 | ||
+ | 6) 소금물 섞은 두시(수두시) 만들기(수두시방) 水豆豉方 | ||
+ | 7) 10가지 향료 넣은 두시(십향두시) 만들기(십향두 시방) 十香豆豉方 | ||
+ | 8) 성도부(成都府) 시즙(豉汁, 두시즙) 만들기(성도 부시즙방) 成都府豉汁方 | ||
+ | 9) 밀기울두시 만들기(부시방) 麩豉方 | ||
+ | 10) 채과두시(과시) 만들기(과시방) 瓜豉方 | ||
+ | 11) 두황(豆黃) 만들기(두황방) 豆黃方 | ||
+ | 12) 홍염두(紅鹽豆) 만들기(홍염두방) 紅鹽豆方 | ||
+ | |||
+ | 4. 식초 醋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대초(大酢) 빚기(대초방) 大酢方 | ||
+ | 3) 차좁쌀신초(출미신초) 빚기(출미신초방) 秫米神酢方 | ||
+ | 4) 쌀식초(미초) 빚기(미초방) 米醋方 | ||
+ | 5) 찹쌀식초(나미초) 빚기(나미초방) 糯米醋方 | ||
+ | 6) 민간의 식초(속초) 빚기(속초방) 俗醋方 | ||
+ | 7) 7초(七醋) 빚기(칠초방) 七醋方 | ||
+ | 8) 삼황초(三黃醋) 빚기(삼황초방) 三黃醋方 | ||
+ | 9) 쌀보리식초(미맥초) 빚기(미맥초방) 米麥醋方 | ||
+ | 10) 보리식초(대맥초) 빚기(대맥초방) 大麥酢方 | ||
+ | 11) 밀식초(소맥초) 빚기(소맥초방) 小麥醋方 | ||
+ | 12) 사계절병오식초(사절병오초) 빚기(사절병오초방) 四節丙午醋方 | ||
+ | 13) 누룩 없는 식초(무국초) 빚기(무국초방) 無麴醋方 | ||
+ | 14) 신선식초(선초) 빚기(선초방) 仙醋方 | ||
+ | 15) 술지게미식초(조초) 빚기(조초방) 糟醋方 | ||
+ | 16) 밀기울식초(부초) 빚기(부초방) 麩醋方 | ||
+ | 17) 쌀겨식초(강초) 빚기(강초방)造糠醋方 | ||
+ | 18) 대소두천년식초(대소두천세고주) 빚기(대소두천세고주방) 大小豆千歲苦酒方 | ||
+ | 19) 복숭아식초(도초) 빚기(도초방) 桃酢方 | ||
+ | 20) 매실식초(매초) 빚기(매초방) 梅酢方 | ||
+ | 21) 감식초(시초) 빚기(시초방) 柹醋方 | ||
+ | 22) 대추식초(조초) 빚기(조초방) 棗醋方 | ||
+ | 23) 연꽃식초(연화초) 빚기(연화초방) 蓮花醋方 | ||
+ | 24) 창포식초(창포초) 빚기(창포초방) 菖蒲醋方 | ||
+ | 25) 도라지식초(길경초) 빚기(길경초방) 桔梗醋方 | ||
+ | 26) 꿀식초(밀초) 빚기(밀초방) 蜜醋方 | ||
+ | 27) 엿식초(이당초) 빚기(이당초방) 餳餹醋方 | ||
+ | 28) 만년초(萬年醋) 빚기(만년초방) 萬年醋方 | ||
+ | 29) 천리초(千里醋) 빚기(천리초방) 千里醋方 | ||
+ | 30) 식초 저장하는 법(수장초법) 收藏醋法 | ||
+ | 31) 맛이 간 식초 고치는 법(의초실미법) 醫醋失味法 | ||
+ | 32) 식초 만들 때 금해야 할 것(조초의기) 造醋宜忌 | ||
+ | |||
+ | 5. 기름과 타락(駝酪) 油酪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참기름(지마유) 짜기(착지마유방) 榨脂麻油方 | ||
+ | 3) 급히 참기름(마유) 얻기(급취마유방) 急取麻油方 | ||
+ | 4) 음식 무칠 때 쓰는 기름양념(살반유료) 만들기(살반유료방) 撒拌油料方 | ||
+ | 5)부록 여러 종류의 식물에서 기름짜기 附 取油諸種 | ||
+ | 콩기름(황백대두유) 黃白大豆油 | 삼씨기름(마분유) 麻蕡油 | 순무씨기름(만청자유) 蔓菁子油 | 유채씨기름(운대유) 蕓薹油 | 차조기씨기름(자소자유) 紫蘇子油 | 홍화씨기름(홍람자유) 紅藍子油 | 도꼬마리씨기름(창이자유) 蒼耳子油 | 하눌타리씨기름(과루자유) 瓜蔞子油 | 수박씨기름(서과자유) 西瓜子油 | 박씨기름(호서유) 瓠犀油 | 참외씨기름(첨과자유) 甜瓜子油 | 산초씨기름(초자유) 椒子油 | 봉숭아씨기름(봉선자유) 鳳仙子油 | 개암씨기름(진자유) 榛子油 | 잣기름(해송자유) 海松子油 | 호두기름(호도인유) 胡桃仁油 | 비자기름(비자유) 榧子油 | ||
+ | 6) 타락 만드는 방법(조락방) 造酪方 | ||
+ | 7) 말린 타락(치즈) 만드는 법(건락법) 乾酪法 | ||
+ | 8) 녹락(漉酪) 만들기(녹락방) 漉酪方 | ||
+ | 9) 마락효(馬酪酵) 만들기(馬酪酵方) 馬酪酵方 | ||
+ | 10) 수유(酥油)를 휘저어 버터 만드는 법(평수법) 抨酥法 | ||
+ | 11) 수유(酥油) 만들기(수유방) 酥油方 | ||
+ | 12) 제호(醍醐) 만들기(제호방) 醍醐方 | ||
+ | 13) 치즈(유부) 만들기(유부방) 乳腐方 | ||
+ | |||
+ | 6. 누룩과 엿기름 麴、 糱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맥류누룩(맥국) 만들기(맥국법) 麥麴法 | ||
+ | 3) 밀가루누룩(면국) 만들기(면국방) 麪麴方 | ||
+ | 4) 백국(白麴) 만들기(백국방) 白麴方 | ||
+ | 5) 쌀누룩(미국) 만들기(미국방) 米麴方 | ||
+ | 6) 내부(內府, 궁중) 비전국(秘傳麴) 만들기(내부비전 국방) 內府秘傳麴方 | ||
+ | 7) 연꽃누룩(연화국) 만들기(연화국방) 蓮花麴方 | ||
+ | 8) 금경로(金莖露)를 빚는 누룩(금경로국) 만들기(금경로국방) 金莖露麴方 | ||
+ | 9) 양릉국(襄陵麴) 만들기(양릉국방) 襄陵麴方 | ||
+ | 10) 여뀌누룩(요국) 만들기(요국방) 蓼麴方 | ||
+ | 11) 여국(女麴) 만들기(여국방) 女麴方 | ||
+ | 12) 맥혼(밀누룩) 만들기(맥혼법) 【일명 ‘황자’, 일명 ‘황의’】 麥䴷法 【一名“黃子”, 一名“黃衣”】 | ||
+ | 13) 황증(黃烝) 만들기(황증방) 【일명 ‘맥황(麥黃)’】 黃烝方 【一名“麥黃”】 | ||
+ | 14) 홍국(紅麴) 만들기(홍국방) 紅麴方 | ||
+ | 15) 납조(臘糟, 12월의 술지게미) 거두는 법(수납조법) 收臘糟法 | ||
+ | 16) 엿기름 만드는 법(조얼방) 造糱方 | ||
+ | 17) 조청(가밀) 만들기(가밀방) 假蜜方 | ||
+ | |||
+ | 7. 양념[飪料, 임료] 飪料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대료물(大料物, 큰 조미료) 만들기(대료물방) 大料物方 | ||
+ | 3) 손 더는 양념 만들기(생력료물방) 省力料物方 | ||
+ | 4) 만산향(滿山香) 만들기(만산향방) 滿山香方 | ||
+ | 5) 향두(香頭) 만들기(향두방) 香頭方 | ||
+ | 6) 초저(椒菹) 만들기(초저방) 椒菹方 | ||
+ | 7) 천초 가는 법(연초법) 硏椒法 | ||
+ | 8) 무이(蕪荑) 만드는 법(조무이법) 造蕪荑法 | ||
+ | 9) 겨자장(개자장) 만들기(개자장방) 芥子醬方 | ||
+ | 10) 오랄초(五辣醋) 만들기(오랄초방) 五辣醋方 | ||
+ | 11) 양념홍화씨(홍화자) 만들기(홍화자방) 紅花子方 | ||
+ | 12) 육조(六條) 만들기(육조방) 六條方 | ||
+ | 13) 깨소금(배염마설) 만들기(배염마설방) 配鹽麻屑方 | ||
+ | |||
+ | |||
+ | |||
+ | 정조지 권제7 鼎俎志 卷第七 | ||
+ | |||
+ | |||
+ | 술(온배지류) 醞醅之類 | ||
+ | |||
+ | 1. 주례(酒醴, 술과 단술) 총서 酒醴總敍 | ||
+ | |||
+ | 1) 술의 기원 緣起 | ||
+ | 2) 총론 總論 | ||
+ | |||
+ | 2. 술 빚는 여러 방법 釀造雜法 | ||
+ | |||
+ | 1) 누룩의 품질 論麴品 | ||
+ | 2) 누룩 다루는 법(치국법) 治麴法 | ||
+ | 3) 술 재료 다루는 법(치주재법) 治酒材法 | ||
+ | 4) 물 가리는 법(택수법) 擇水法 | ||
+ | 5) 술밑[酒本] 만들기(조주본방) 造酒本方 | ||
+ | 6) 석임[腐本] 만들기(조부본방) 造腐本方 | ||
+ | 7) 밀봉하여 빚는 법(봉양법) 封釀法 | ||
+ | 8) 물속에서 빚는 법(수중양법) 水中釀法 | ||
+ | 9) 술주자[槽]에 올리는 법(상조법) 上槽法 | ||
+ | 10) 술 거두는 법(수주법) 收酒法 | ||
+ | 11) 술 달이는 법(자주법) 煮酒法 | ||
+ | |||
+ | 3. 이류 酏類 | ||
+ | |||
+ | 1) 백하주(白霞酒) 빚기(백하주방) 白霞酒方 | ||
+ | 2) 향온주(香醞酒) 빚기(향온주방) 香醞酒方 | ||
+ | 3) 녹파주(綠波酒) 빚기(녹파주방) 綠波酒方 | ||
+ | 4) 벽향주(碧香酒) 빚기(벽향주방) 碧香酒方 | ||
+ | 5) 유하주(流霞酒) 빚기(유하주방) 流霞酒方 | ||
+ | 6) 소국주(少麴酒) 빚기(소국주방) 少麴酒方 | ||
+ | 7) 부의주(浮蟻酒) 빚기(부의주방) 浮蟻酒方 | ||
+ | 8) 동정춘(洞庭春) 빚기(동정춘방) 洞庭春方 | ||
+ | 9) 경액춘(瓊液春) 빚기(경액춘방) 瓊液春方 | ||
+ | 10) 죽엽춘(竹葉春) 빚기(죽엽춘방) 竹葉春方 | ||
+ | 11) 인유향(麟乳香) 빚기(인유향방) 麟乳香方 | ||
+ | 12) 석탄향(惜呑香) 빚기(석탄향방) 惜呑香方 | ||
+ | 13) 벽매주(辟霾酒) 빚기(벽매주방) 辟霾酒方 | ||
+ | 14) 오호주(五壺酒) 빚기(오호주방) 五壺酒方 | ||
+ | 15) 하향주(荷香酒) 빚기(하향주방) 荷香酒方 | ||
+ | 16) 향설주(香雪酒) 빚기(향설주방) 香雪酒方 | ||
+ | 17) 벽향주(碧香酒) 빚기(벽향주방) 碧香酒方 | ||
+ | |||
+ | 4. 주류(酎類, 여러 번 빚은 술) | ||
+ | |||
+ | 1) 호산춘(壺山春) 빚기(호산춘방) 壺山春方 | ||
+ | 2) 잡곡주(雜穀酒) 빚기(잡곡주방) 雜穀酒方 | ||
+ | 3) 두강춘(杜康春) 빚기(두강춘방) 杜康春方 | ||
+ | 4) 무릉도원주(武陵桃源酒) 빚기(무릉도원주방) 武陵桃源酒方 | ||
+ | 5) 동파주(東坡酒) 빚기(동파주방) 東坡酒方 | ||
+ | |||
+ | 5. 시양류 時釀類 | ||
+ | |||
+ | 1) 약산춘(藥山春) 빚기(약산춘방) 藥山春方 | ||
+ | 2) 삼해주(三亥酒) 빚기(삼해주방) 三亥酒方 | ||
+ | 3) 춘주(春酒) 빚기(춘주방) 春酒方 | ||
+ | 4) 속미주(粟米酒, 좁쌀술) 빚기(속미주방) 粟米酒方 | ||
+ | 5) 법주(法酒) 빚기(법주방) 法酒方 | ||
+ | 6) 청명주(淸明酒) 빚기(청명주방) 淸明酒方 | ||
+ | 7) 삼구주(三九酒) 빚기(삼구주방) 三九酒方 | ||
+ | 8) 서미법주(黍米法酒) 빚기(서미법주방) 黍米法酒方 | ||
+ | 9) 당량주(當梁酒) 빚기(당량주방) 當梁酒方 | ||
+ | 10) 멥쌀술(갱미주) 빚기(갱미주방) 秔米酒方 | ||
+ | 11) 12월에 빚는 술(납주) 빚기(납주방) 臘酒方 | ||
+ | 12) 7월 7일에 빚는 술(칠석주) 빚기(칠석주방) 七夕酒方 | ||
+ | 13) 분국상락주(笨麴桑落酒) 빚기(분국상락주방) 笨麴桑落酒方 | ||
+ | 14) 동미명주(冬米明酒) 빚기(동미명주방) 冬米明酒方 | ||
+ | |||
+ | 6. 향양류 香釀類 | ||
+ | |||
+ | 1) 도화주(桃花酒) 빚기(도화주방) 桃花酒方 | ||
+ | 2) 송로양(松露釀) 빚기(송로양방) 松露釀方 | ||
+ | 3) 송화주(松花酒) 빚기(송화주방) 松花酒方 | ||
+ | 4) 송순주(松筍酒) 빚기(송순주방) 松筍酒方 | ||
+ | 5) 죽엽청(竹葉淸) 빚기(죽엽청방) 竹葉淸方 | ||
+ | 6) 하엽청(荷葉淸) 빚기(하엽청방) 荷葉淸方 | ||
+ | 7) 연엽양(蓮葉釀) 빚기(연엽양방) 蓮葉釀方 | ||
+ | 8) 영주(酃酒) 빚기(영주방) 酃酒方 | ||
+ | 9) 국화주(菊花酒) 빚기(국화주방) 菊花酒方 | ||
+ | 10) 만전향주(滿殿香酒) 빚기(만전향주방) 滿殿香酒方 | ||
+ | 11) 밀온투병향(蜜醞透甁香) 빚기(밀온투병향방) 蜜醞透甁香方 | ||
+ | 12) 밀주(蜜酒, 꿀술) 빚기(밀주방) 蜜酒方 | ||
+ | 13) 술에 꽃향기 들이는 법(화향입주법) 花香入酒法 | ||
+ | |||
+ | 7. 과라양류(菓蓏釀類, 과실주) | ||
+ | |||
+ | 1) 잣술(송자주) 빚기(송자주방) 松子酒方 | ||
+ | 2) 호두술(핵도주) 빚기(핵도주방) 核桃酒方 | ||
+ | 3) 도토리술(상실주) 빚기(상실주방) 橡實酒方 | ||
+ | 4) 아가위술(산사주, 山査酒) 빚기(산사주방) 山査酒方 | ||
+ | 5) 포도주(葡萄酒) 빚기(포도주방) 葡萄酒方 | ||
+ | 6) 고구마술(감저주) 빚기(감저주방) 甘藷酒方 | ||
+ | |||
+ | 8. 이양류 異釀類 | ||
+ | |||
+ | 1) 청서주(淸暑酒) 빚기(청서주방) 淸暑酒方 | ||
+ | 2) 봉래춘(蓬萊春) 빚기(봉래춘방) 蓬萊春方 | ||
+ | 3) 신선벽도춘(神仙碧桃春) 빚기(신선벽도춘방) 神仙碧桃春方 | ||
+ | 4) 죽통주(竹筒酒) 빚기(죽통주방) 竹筒酒方 | ||
+ | 5) 지주(地酒) 빚기(지주방) 地酒方 | ||
+ | 6) 술독을 안아주어 빚는 법(포양방) 抱釀方 | ||
+ | |||
+ | 9. 순내양류(旬內釀類, 10일 내에 익는 술) | ||
+ | |||
+ | 1) 일일주(一日酒) 빚기(일일주방) 一日酒方 | ||
+ | 2) 계명주(鷄鳴酒) 빚기(계명주방) 鷄鳴酒方 | ||
+ | 3) 삼일주(三日酒) 빚기(삼일주방) 三日酒方 | ||
+ | 4) 하삼청(夏三淸) 빚기(하삼청방) 夏三淸方 | ||
+ | 5) 백화춘(白花春) 빚기(백화춘방) 白花春方 | ||
+ | 6) 두강주(杜康酒) 빚기(두강주방) 杜康酒方 | ||
+ | 7) 칠일주(七日酒) 빚기(칠일주방) 七日酒方 | ||
+ | 8) 사절칠일주(四節七日酒) 빚기(사절칠일주방) 四節七日酒方 | ||
+ | 9) 급수청(急需淸) 빚기(급수청방) 急需淸方 | ||
+ | 10) 계명주(鷄鳴酒) 빚기(계명주방) 鷄鳴酒方 | ||
+ | |||
+ | 10. 제차류 醍醝類 | ||
+ | |||
+ | 1) 천태(天台) 홍주(紅酒) 빚기(천태홍주방) 天台紅酒方 | ||
+ | 2) 건창(建昌) 홍주(紅酒) 빚기(건창홍주방) 建昌紅酒方 | ||
+ | 3) 하동(河東) 이백주(頤白酒) 빚기(하동이백주방) 河東頤白酒方 | ||
+ | 4) 백주(白酒) 빚기(백주방) 白酒方 | ||
+ | 5) 왜백주(倭白酒) 빚기(왜백주방) 倭白酒方 | ||
+ | |||
+ | 11. 앙료류(醠醪類, 탁주류) | ||
+ | |||
+ | 1) 이화주(梨花酒) 빚기(이화주방) 梨花酒方 | ||
+ | 2) 집성향(集聖香) 빚기(집성향방) 集聖香方 | ||
+ | 3) 가을보리술(추모주) 빚기(추모주방) 秋麰酒方 | ||
+ | 4) 백료주(白醪酒) 빚기(백료주방) 白醪酒方 | ||
+ | 5) 분국(笨麴) 백료주(白醪酒) 빚기(분국백료주방) 笨麴白醪酒方 | ||
+ | |||
+ | 12. 예류(醴類, 단술류) | ||
+ | |||
+ | 1) 감주(甘酒) 빚기(감주방) 甘酒方 | ||
+ | 2) 청감주(淸甘酒) 빚기(청감주방) 淸甘酒方 | ||
+ | 3) 왜예주(倭醴酒) 빚기(왜예주방) 倭醴酒方 | ||
+ | 4) 왜미림주(倭美淋酒) 빚기(왜미림주방) 倭美淋酒方 | ||
+ | |||
+ | 13. 소로류(燒露類, 소주류) | ||
+ | |||
+ | 1) 소주 빚기 총론(소주총방) 燒酒總方 | ||
+ | 2) 내국홍로(內局紅露) 빚기(내국홍로방) 內局紅露方 | ||
+ | 3) 노주(露酒) 20승 빚기(노주이두방) 露酒二斗方 | ||
+ | 4) 절주(切酒) 빚기(절주방) 切酒方 | ||
+ | 5) 관서(關西) 감홍로(甘紅露) 빚기(관서감홍로방) 關西甘紅露方 | ||
+ | 6) 관서 계당주(桂糖酒) 빚기(관서계당주방) 關西桂糖酒方 | ||
+ | 7) 죽력고(竹瀝膏) 빚기(죽력고방) 竹瀝膏方 | ||
+ | 8) 이강고(梨薑膏) 빚기(이강고방) 梨薑膏方 | ||
+ | 9) 적선소주(謫仙燒酒) 빚기(적선소주방) 謫仙燒酒方 | ||
+ | 10) 삼일노주(三日露酒) 빚기(삼일노주방) 三日露酒方 | ||
+ | 11) 보리소주(모미소주) 빚기(모미소주방) 麰米燒酒方 | ||
+ | 12) 밀소주(소맥노주) 빚기(소맥노주방) 小麥露酒方 | ||
+ | 13) 메밀소주(교맥노주) 빚기(교맥노주방) 蕎麥露酒方 | ||
+ | 14) 귀리소주(이모노주) 빚기(이모노주방) 耳麰露酒方 | ||
+ | 15) 송순주(松筍酒) 빚기(송순주방) 松筍酒方 | ||
+ | 16) 과하주(過夏酒) 빚기(과하주방) 過夏酒方 | ||
+ | 17) 오향소주(五香燒酒) 빚기(오향소주방) 五香燒酒方 | ||
+ | 18) 포도소주(葡萄燒酒) 빚기(포도소주방) 葡萄燒酒方 | ||
+ | 19) 고구마소주(감저소주) 빚기(감저소주방) 甘藷燒酒方 | ||
+ | 20) 천리주(千里酒) 빚기(천리주방) 千里酒方 | ||
+ | 21) 왜소주(倭燒酒) 빚기(왜소주방) 倭燒酒方 | ||
+ | 22) 소주 많이 얻는 법(소주다취로법) 燒酒多取露法 | ||
+ | 23) 소주 내리는 여러 방법(소로잡법) 燒露雜法 | ||
+ | 24) 맛이 간 황주(黃酒)로 소주 고는 법(소번황주법) 燒翻黃酒法 | ||
+ | |||
+ | 14. 술 고치는 여러 방법 醫酒諸法 | ||
+ | |||
+ | 1) 술이 괴지 않는 상태를 고치는 법(치주불배법) 治酒不醅法 | ||
+ | 2) 시어진 술맛을 바로잡는 법(요산주법) 拗酸酒法 | ||
+ | 3) 백주(白酒) 신맛 풀어주는 법(해백주산법) 解白酒酸法 | ||
+ | 4) 맛이 변한 술 고치기(치주미변방) 治酒味變方 | ||
+ | 5) 시어진 박주 좋은 술로 고치는 법(치산박주작호주방) 治酸薄酒作好酒方 | ||
+ | 6) 탁주를 청주로 바꾸기(변탁주위청주방) 變濁酒爲淸酒方 | ||
+ | 7) 묽은 술 고치는 법(치다수주법) 治多水酒法 | ||
+ | 8) 불 붙은 노주(露酒) 고치는 법(치노주화염법) 治露酒火焰法 | ||
+ | |||
+ | 15. 술 보관할 때 주의사항 收酒宜忌 | ||
+ | |||
+ | 1) 술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법(수주불훼법) 收酒不毁法 | ||
+ | 2) 노주 보관하는 법(수노주법) 收露酒法 | ||
+ | 3) 여러 술 보관하는 법(수잡주법) 收雜酒法 | ||
+ | 4) 기타 금기(잡기) 雜忌 | ||
+ | |||
+ | 16. 부록 약재로 빚는 술(약양제품)附 藥釀諸品 | ||
+ | |||
+ | 1) 도소주 屠蘇酒 | ||
+ | 2) 장춘주 長春酒 | ||
+ | 3) 신선주 神仙酒 | ||
+ | 4) 고본주 固本酒 | ||
+ | 5) 오수주 烏鬚酒 | ||
+ | 6) 신선고본주 神仙固本酒 | ||
+ | 7) 준순주 逡巡酒 | ||
+ | 8) 유학주(학질 치료하는 술) 愈瘧酒 | ||
+ | 9) 홍국주 紅麴酒 | ||
+ | 10) 흑임자술(거승주) 巨勝酒 | ||
+ | 11) 오가피주 五加皮酒 | ||
+ | 12) 음양곽술(선령비주) 仙靈脾酒 | ||
+ | 13) 율무술(의이인주) 薏苡仁酒 | ||
+ | 14) 천문동주 天門冬酒 | ||
+ | 15) 백령등주 百靈藤酒 | ||
+ | 16) 차조기술(소자주) 蘇子酒 | ||
+ | 17) 백출주 白朮酒 | ||
+ | 18) 지황주 地黃酒 | ||
+ | 19) 쇠무릎술(우슬주) 牛膝酒 | ||
+ | 20) 당귀주 當歸酒 | ||
+ | 21) 창포주 菖蒲酒 | ||
+ | 22) 구기자술(구기주) 枸杞酒 | ||
+ | 23) 인삼주 人蔘酒 | ||
+ | 24) 마술(서여주) 薯蕷酒 | ||
+ | 25) 복령주 茯苓酒 | ||
+ | 26) 국화주 菊花酒 | ||
+ | 27) 황정주 黃精酒 | ||
+ | 28) 오디술(상심주) 桑椹酒 | ||
+ | 29) 꿀술(밀주) 蜜酒 | ||
+ | 30) 여뀌술(요주) 蓼酒 | ||
+ | 31) 생강술(강주) 薑酒 | ||
+ | 32) 장송주 長松酒 | ||
+ | 33) 회향주 茴香酒 | ||
+ | 34) 축사주 縮砂酒 | ||
+ | 35) 향부자술(사근주) 莎根酒 | ||
+ | 36) 인진쑥술(인진주) 茵蔯酒 | ||
+ | 37) 개똥쑥술(청호주) 靑蒿酒 | ||
+ | 38) 백부주 百部酒 | ||
+ | 39) 바닷말술(해조주) 海藻酒 | ||
+ | 40) 선묘주 仙茆酒 | ||
+ | 41) 으름술(통초주) 通草酒 | ||
+ | 42) 마가목술(남등주) 南藤酒 | ||
+ | 43) 붉나무술(천금주) 千金酒 | ||
+ | 44) 송진술(송액주) 松液酒 | ||
+ | 45) 송절주 松節酒 | ||
+ | 46) 측백잎술(백엽주) 柏葉酒 | ||
+ | 47) 송지주 松脂酒 | ||
+ | 48) 초백주 椒柏酒 | ||
+ | 49) 댓잎술(죽엽주) 竹葉酒 | ||
+ | 50) 괴지주 槐枝酒 | ||
+ | 51) 우엉술(우방주) 牛蒡酒 | ||
+ | 52) 마인주 麻仁酒 | ||
+ | 53) 산뽕나무뿌리술(자근주) 柘根酒 | ||
+ | 54) 산무애뱀술(화사주) 花蛇酒 | ||
+ | 55) 호골주(호랑이정강이뼈술) 虎骨酒 | ||
+ | 56) 미골주(고라니뼈술) 麋骨酒 | ||
+ | 57) 녹두주(사슴대가리술) 鹿頭酒 | ||
+ | 58) 녹용주 鹿茸酒 | ||
+ | 59) 무술주 戊戌酒 | ||
+ | 60) 양고주 羊羔酒 | ||
+ | 61) 해구신술(올눌제주) 膃肭臍酒 | ||
+ | 62) 백화주(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은 술) 百花酒 | ||
+ | 63) 술에 약재 담그는 법 酒中漬藥法 | ||
+ | |||
+ | 17. 술 마시는 여러 방법(상음잡법) 觴飮雜法 | ||
+ | |||
+ | 1) 음주로 인한 병 막는 법(음주방병법) 飮酒防病法 | ||
+ | 2) 술 마시고 취하지 않는 법(음주불취법) 飮酒不醉法 | ||
+ | 3) 술 마시고 바로 취하는 법(음주즉취법) 飮酒卽醉法 | ||
+ | 4) 중국과 우리나라의 음주법(논화동음법) 論華東飮法 | ||
+ | 5) 음저(飮儲, 안주) 論飮儲 | ||
+ | |||
+ | |||
+ | 절식(절식지류) 節食之類 | ||
+ | |||
+ | 1. 설날[元朝]의 절식 元朝節食 | ||
+ | |||
+ | 1) 떡국[湯餠, 탕병] 만들기(탕병방) 湯餠方 | ||
+ | 2) 강정(𩝽飣) 만들기(강정방) 𩝽飣方 | ||
+ | 3) 밀양시병(蜜釀柹餠, 수정과의 일종) 만들기(밀양시병방) 蜜釀柹餠方 | ||
+ | |||
+ | 2. 입춘(立春)의 절식 立春節食 | ||
+ | |||
+ | 1) 오신반(五辛盤) 만들기(오신반방) 五辛盤方 | ||
+ | |||
+ | 3. 정월대보름[上元, 상원]의 절식 上元節食 | ||
+ | |||
+ | 1) 잡과반(雜果飯, 약밥) 만들기(잡과반방) 雜果飯方 | ||
+ | 2) 원소병 元宵餠 | ||
+ | 3) 작율(嚼栗, 밤 깨물기) 방법(작율방) 嚼栗方 | ||
+ | |||
+ | 4. 중화절(中和節, 음력 2월 1일)의 절식 中和節節食 | ||
+ | |||
+ | 1) 송엽병(松葉餠, 솔잎떡) 만들기(송엽병방) 松葉餠方 | ||
+ | |||
+ | 5. 중삼절(重三節, 음력 3월 3일 삼짇날)의 절식 重三節食 | ||
+ | |||
+ | 1) 진달래지짐이(두견화고) 만들기(두견화고방) 杜鵑花糕方 | ||
+ | 2) 향애단자(香艾團餈) 만들기(향애단자방) 香艾團餈方 | ||
+ | 3) 탕평채(蕩平菜) 만들기(탕평채방) 蕩平菜方 | ||
+ | |||
+ | 6. 등석(燈夕, 석가탄신일)의 절식 燈夕節食 | ||
+ | |||
+ | 1) 느티떡[楡葉餠, 유엽병] 만들기(유엽병방) 楡葉餠方 | ||
+ | 2) 자두(煮豆, 삶은 콩) 만들기(자두방) 煮豆方 | ||
+ | |||
+ | 7. 단오(端午)의 절식 端午節食 | ||
+ | |||
+ | 1) 수릿떡[車輪餠] 만들기(차륜병방) 車輪餠方 | ||
+ | 2) 제호탕(醍醐湯) 만들기(제호탕방) 醍醐湯方 | ||
+ | |||
+ | 8. 유두(流頭, 음력 6월 15일)의 절식 流頭節食 | ||
+ | |||
+ | 1) 수단(水團) 만들기(수단방) 水團方 | ||
+ | 2) 상화병(霜花餠) 만들기(상화병방) 霜花餠方 | ||
+ | 3) 오이채만두(과사두) 만들기(과사두방) 瓜絲兜方 | ||
+ | |||
+ | 9. 삼복(三伏)의 절식 三伏節食 | ||
+ | |||
+ | 1) 개장국(구장) 만들기(구장방) 狗醬方 | ||
+ | |||
+ | 10. 중구(重九, 9월 9일)의 절식 重九節食 | ||
+ | |||
+ | 1) 국화떡(국화고) 만들기(국화고방) 菊花糕方 | ||
+ | 2) 꿀밤과자(밀오율니) 만들기(밀오율니방) 蜜熬栗泥方 | ||
+ | 3) 국화주(菊花酒) 빚기(국화주방) 菊花酒方 | ||
+ | |||
+ | 11. 동지(冬至)의 절식 冬至節食 | ||
+ | |||
+ | 1) 팥죽[赤豆粥] 만들기(적두죽방) 赤豆粥方 | ||
+ | 2) 전약(煎藥) 만들기(전약방) 煎藥方 | ||
+ | |||
+ | 12. 납평(臘平, 납일)의 절식 臘平節食 | ||
+ | |||
+ | 1) 납일고기[臘肉] 만들기(납육방) 臘肉方 | ||
+ | 2) 참새전[黃雀煎] 만들기(황작전방) 黃雀煎方 | ||
+ | |||
+ | 13. 부록 절식 보유(補遺, 빠진 것을 보충함)附 節食補遺 | ||
+ | |||
+ | 1) 설날의 초백주(椒柏酒, 후추측백잎주) 元朝椒柏酒 | ||
+ | 2) 매화주 梅花酒 | ||
+ | 3) 교아당(膠牙餳, 물엿) 膠牙餳 | ||
+ | 4) 인일(人日)의 칠종채갱(七種菜羹, 칠채국) 人日七種菜羹 | ||
+ | 5) 상원(上元)의 고죽(膏粥, 고기 얹은 죽) 上元膏粥 | ||
+ | 6) 보당퇴(寶糖䭔)·오니당(烏膩糖) 寶糖䭔、烏膩糖 | ||
+ | 7) 춘사반(春社飯, 춘사일 고기덮밥) 春社飯 | ||
+ | 8) 한식의 도화죽(桃花粥, 복숭아꽃죽) 寒食桃花粥 | ||
+ | 9) 당죽 餳粥 | ||
+ | 10) 조고(棗糕, 대추떡) 棗糕 | ||
+ | 11) 한구 寒具 | ||
+ | 12) 중사(重四, 음력 4월 4일)의 맥병(麥餠, 밀가루 등으로 만든 떡) 重四麥餠 | ||
+ | 13) 중오(重五, 음력 5월 5일)의 창포주(菖蒲酒) 重五菖蒲酒 | ||
+ | 14) 각서(角黍, 주악) 角黍 | ||
+ | 15) 적분단(滴粉團, 오색수단) 滴粉團 | ||
+ | 16) 하지의 건종(健粽) 夏至健粽 | ||
+ | 17) 중육(重六, 음력 6월 6일)의 은묘채(銀苗菜, 연뿌리싹) 重六銀苗菜 | ||
+ | 18) 복날 떡국(탕병) 伏日湯餠 | ||
+ | 19) 녹하포자 綠荷包子 | ||
+ | 20) 칠석의 서미(黍糜, 기장미음) 七夕黍糜 | ||
+ | 21) 화과 花瓜 | ||
+ | 22) 중원(中元)의 우란분병(盂蘭盆餠) 中元盂蘭盆餠 | ||
+ | 23) 추사반(秋社飯, 추사일의 고기덮밥) 秋社飯 | ||
+ | 24) 중추(中秋, 음력 8월 15일)의 월병(月餠, 둥근 과병) 中秋月餠 | ||
+ | 25) 중구(重九, 음력 9월 9일 중양절)의 마갈고(麻葛糕, 참깨칡가루떡) 重九麻葛糕 | ||
+ | 26) 춘란추국 春蘭秋菊 | ||
+ | 27) 진세수(秦歲首, 진나라 설날) 서확(黍臛) 秦歲首黍臛 | ||
+ | 28) 증과 蒸裹 | ||
+ | 29) 개로병 開爐餠 | ||
+ | 30) 동지의 서고(黍糕, 기장떡) 冬至黍糕 | ||
+ | 31) 혼돈 餛飩 | ||
+ | 32) 납오(臘五, 12월 5일)의 오두죽(五豆粥) 臘五五豆粥 | ||
+ | 33) 욕불일(浴佛日)의 납팔죽(臘八粥) 浴佛日臘八粥 | ||
+ | 34) 입오(卄五, 25일)의 잠화죽(蠶花粥) 卄五蠶花粥 | ||
+ | |||
+ | ===섬용지=== | ||
+ | |||
+ | |||
+ | |||
+ | 섬용지(贍用志) 목차 <br> | ||
+ | |||
+ | 섬용지 권제 1 贍用志 卷第一 <br> | ||
+ | |||
+ | 건물 짓는 제도 營造之制 <br> | ||
+ | |||
+ | 1. 몸채와 곁채의 배치 堂屋、 廂寮位置 <br> | ||
+ | 1) 중국의 제도 華制 <br> | ||
+ |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 ||
+ | |||
+ | 2. 건물의 기초 基址 <br> | ||
+ | 1) 중국의 제도 華制 <br> | ||
+ |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 ||
+ | |||
+ | 3. 척도 尺度 <br> | ||
+ | 1) 건물의 세 부분 屋三分 <br> | ||
+ | 2) 칸살 間架 | ||
+ | |||
+ | 4. 지붕 얹기 蓋覆 <br> | ||
+ | 1) 중국의 제도 華制 <br> | ||
+ |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br> | ||
+ | 3) 초가 지붕 草蓋 <br> | ||
+ | 4) 돌 지붕 石蓋 <br> | ||
+ | 5) 회 지붕 灰蓋 | ||
+ | |||
+ | 5. 방과 캉 房、 炕 <br> | ||
+ | 1) 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房炕異制 <br> | ||
+ | 2) 캉 제도 炕制 <br> | ||
+ | 3) 온돌 제도 堗制 <br> | ||
+ | 4) 이중 온돌 까는 법 複窯法 | ||
+ | |||
+ | 6. 흙손질 圬墁 <br> | ||
+ | 1) 치받이(앙벽) 仰壁 <br> | ||
+ | 2) 장벽 墻壁 <br> | ||
+ | 3) 벽돌 쌓는 법 甃甎法 <br> | ||
+ | 4) 벽돌 쌓는 시기 砌甎時候 <br> | ||
+ | 5) 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 砌甎須塡陷 <br> | ||
+ | 6) 장생옥 짓는 법 長生屋法 <br> | ||
+ | 7) 영벽 影壁 <br> | ||
+ | 8) 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 磚縫中草不生法 | ||
+ | |||
+ | 7. 창 牕牖 | ||
+ | 1) 창 제도 牕制 | ||
+ | 2) 영창 映牕 | ||
+ | 3) 원창 圓牕 | ||
+ | 4) 장지문 粧子 | ||
+ | 5) 분합문 分閤 | ||
+ | 6) 가장지 假粧子 | ||
+ | |||
+ | 8. 마루 軒樓 | ||
+ | 1) 마룻널 廳板 | ||
+ | 2) 마루 밑에는 담 쌓기를 금한다 廳底禁築墻 | ||
+ | 3) 누마루 제도 樓制 | ||
+ | |||
+ | 9. 부엌과 부뚜막 廚竈 | ||
+ | 1) 부엌 廚屋 | ||
+ | 2) 부뚜막 제도 竈制 | ||
+ | 3) 여러 솥 이어 거는 법 連珠鍋法 | ||
+ | 4) 개미 막는 법 辟蟻法 | ||
+ | |||
+ | 10. 마당 庭除 | ||
+ | 1) 세 가지 좋은 곳 三善 | ||
+ | 2) 객토하는 법 換土法 | ||
+ | 3) 진창 막는 법 禦淖法 | ||
+ | 4) 습기 막는 법 辟濕法 | ||
+ | 5) 차양 지붕(붕가) 棚架 | ||
+ | 6) 화단(화계) 花階 | ||
+ | |||
+ | 11. 곡간 庫廩 | ||
+ | 1) 곡간 제도 庫制 | ||
+ | 2) 지하 곡간(음고) 蔭庫 | ||
+ | 3) 토고(흙 곡간) 土庫 | ||
+ | 4) 이동곡간(반고) 搬庫 | ||
+ | |||
+ | 12. 외양간 廐閑 | ||
+ | 1) 외양간 제도 廐制 | ||
+ | 2) 구유 제도 槽制 | ||
+ | 3) 소와 말은 외양간을 달리해야 한다 牛馬宜異廐 | ||
+ | |||
+ | 13. 변소와 도랑 溷廁、 溝渠 | ||
+ | 1) 욕실 浴室 | ||
+ | 2) 변소 廁室 | ||
+ | 3) 소변 저장고 溺庫 | ||
+ | 4) 잿간 灰屋 | ||
+ | 5) 도랑 제도 溝制 | ||
+ | |||
+ | 14. 담장 墻垣 | ||
+ | 1) 담장 기초 墻址 | ||
+ | 2) 토담 쌓기 土築 | ||
+ | 3) 돌담 쌓기 石築 | ||
+ | 4) 가요담(가요문을 띤 담) 哥窯墻 | ||
+ | 5) 영롱담 玲瓏墻 | ||
+ | 6) 담장 덮기 蓋墻 | ||
+ | 7) 판장 板障 | ||
+ | |||
+ | 15. 우물【부록 물 저장고】 井 【附 水庫】 | ||
+ | 1) 깊은 우물 쌓는 법 甃深井法 | ||
+ | 2) 얕은 우물 쌓는 법 甃淺井法 | ||
+ | 3) 평지 우물 쌓는 법 甃平地井法 | ||
+ | 4) 기타 우물 파는 법 鑿井雜法 | ||
+ | 5) 나무를 가설하여 샘물을 끌어오는 법 架木引泉法 | ||
+ | 6) 단정 뚫는 법 鑿丹井法 | ||
+ | 7) 우물의 부글거림을 없애는 법 禳井沸法 | ||
+ | 8) 수고(물 저장고) 水庫 | ||
+ | |||
+ | |||
+ | |||
+ | 섬용지 권제 2 贍用志 卷第二 | ||
+ | |||
+ | |||
+ | 건물 짓는 재료 營造之具 | ||
+ | |||
+ | 1. 목재 木料 | ||
+ | 1) 목재의 등급 品第 | ||
+ | 2) 벌목하는 법 伐材法 | ||
+ | 3) 목재 모아 두는 법 聚材法 | ||
+ | 4) 주의사항 禁忌 | ||
+ | |||
+ | 2. 석재 石料 | ||
+ | 1) 석재의 등급 品第 | ||
+ | 2) 석재 다듬기 治材 | ||
+ | |||
+ | 3. 흙반죽 재료 土料 | ||
+ | 1) 석회 石灰 | ||
+ | 2) 여회(굴껍데기 회) 蠣灰 | ||
+ | 3) 백토 白土 | ||
+ | 4) 새벽흙(사벽토) 沙壁土 | ||
+ | |||
+ | |||
+ | 4. 기와와 벽돌 瓦、 甎 | ||
+ | 1) 기와 굽는 법 燔瓦法 | ||
+ | 2) 벽돌 굽는 법 燒甎法 | ||
+ | 3) 가마 제도 窰制 | ||
+ | 4) 기와와 벽돌 고르는 법 選瓦、 甎法 | ||
+ | 5) 갓 구운 벽돌의 건조한 성질 제거법 去新甎燥性法 | ||
+ | 6) 계를 맺어 기와 굽는 법 結社燔瓦法 | ||
+ | 7) 벽돌의 이로움 論甓利 | ||
+ | |||
+ | 5. 도배 재료 塗料 | ||
+ | 1) 벽 도배 壁塗 | ||
+ | 2) 창 도배 牕塗 | ||
+ | 3) 공부방 창문에 기름 먹이는 법 油書牕法 | ||
+ | 4) 천장널 도배 天板塗 | ||
+ | 5) 온돌바닥 도배 堗上塗 | ||
+ | 6) 풀 糊 | ||
+ | |||
+ | |||
+ | 나무하거나 물 긷는 도구 樵汲之具 | ||
+ | |||
+ | 1. 나무하는 도구 樵器 | ||
+ | 1) 도끼 斧斨 | ||
+ | 2) 벌낫 釤 | ||
+ | 3) 갈퀴 荊耙 | ||
+ | 4) 섶망태기(시망) 柴網 | ||
+ | |||
+ | 2. 물 긷는 도구 汲器 | ||
+ | 1) 유권(버들두레박) 柳棬 | ||
+ | 2) 표주박 瓢 | ||
+ | 3) 나무통 木桶 | ||
+ | 4) 나귀로 물 긷는 법 驢汲法 | ||
+ | 5) 물동이 陶缶 | ||
+ | 6) 나무물동이 木缶 | ||
+ | 7) 유관(키버들물동이) 柳罐 | ||
+ | 8) 장군 長桶 | ||
+ | 9) 쇠항아리 鐵缸 | ||
+ | 10) 돌항아리 石缸 | ||
+ | 11) 부엌에는 물항아리 둘은 놓아야 한다 論廚中宜置二缸 | ||
+ | |||
+ | |||
+ | 불로 요리하는 도구 炊爨之具 | ||
+ | |||
+ | |||
+ | 1. 불 때고 뜸 들이고 삶고 데치는 여러 도구 炊餾烹瀹諸器 | ||
+ | 1) 가마솥 釜 | ||
+ | 2) 가마솥 시험하는 법 試釜法 | ||
+ | 3) 가마솥을 길들여 검게 변하지 않게 하는 법 治釜不渝法 | ||
+ | 4) 작은 솥을 길들이는 법 馴鍋法 | ||
+ | 5) 작은 솥 때우는 법 補鍋法 | ||
+ | 6) 양숙과(두 가지 요리를 하는 솥) 兩熟鍋 | ||
+ | 7) 뚝배기 陶鍋 | ||
+ | 8) 돌솥 石鼎 | ||
+ | 9) 청석 굽는 법 燔靑石法 | ||
+ | 10) 시루 甑 | ||
+ | 11) 언(솥과 시루의 기능을 겸비한 시루) 甗 | ||
+ | 12) 노구솥 鏀口 | ||
+ | 13) 새옹 䤬用 | ||
+ | 14) 놋 노구솥 銅鏀口 | ||
+ | 15) 솥솔 鍋刷 | ||
+ | 16) 시루밑 箅 | ||
+ | 17) 이남박 淘米瓢 | ||
+ | 18) 조리 淅米蒭 | ||
+ | 19) 욱(중국 조리) 䉛 | ||
+ | 20) 대바구니 | ||
+ | 21) 주걱 鍋鏟 | ||
+ | 22) 밥소라 飯鑼 | ||
+ | 23) 놋동이 銅盆 | ||
+ | 24) 놋국자 銅杓 | ||
+ | |||
+ | |||
+ | 2. 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 도구 溫熨、 炒煿、 燔炙諸器 | ||
+ | 1) 쟁개비(냄비) 銚 | ||
+ | 2) 양푼 鏇 | ||
+ | 3) 완자탕기 卍字湯器 | ||
+ | 4) 삼발이솥(쟁) 鐺 | ||
+ | 5) 사라 䤬鑼 | ||
+ | 6) 볶음판(초반) 炒槃 | ||
+ | 7) 튀김판(자철) 炙鐵 | ||
+ | 8) 석자(누표) 漏杓 | ||
+ | 9) 벙거짓골(전립과, 전립투) 氊笠鍋 | ||
+ | 10) 번가(일자석쇠) 燔架 | ||
+ | 11) 번망(그물석쇠) 燔網 | ||
+ | 12) 석쇠받침(노교) 爐橋 | ||
+ | |||
+ | 3. 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 釀造諸器 | ||
+ | 1) 독 甕 | ||
+ | 2) 독 고르는 법 選甕法 | ||
+ | 3) 독에 기름 바르는 법 塗甕法 | ||
+ | 4) 독 때우는 법 補甕法 | ||
+ | 5) 중두리 中圓伊 | ||
+ | 6) 바탱이 田缸伊 | ||
+ | 7) 고내기 高犖伊 | ||
+ | 8) 소래기 盆 | ||
+ | 9) 용수 篘 | ||
+ | |||
+ | 4. 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 粉麪諸器 | ||
+ | 1) 쇠절굿공이 鐵杵 | ||
+ | 2) 콩맷돌 豆磨 | ||
+ | 3) 보리맷돌 麥磨 | ||
+ | 4) 중국의 맷돌 돌리는 법 中國轉磨法 | ||
+ | 5) 우리나라에서 인력으로 맷돌 돌리는 방법 東國人轉法 | ||
+ | 6) 체 篩 | ||
+ | 7) 사롱(체를 설치하는 상자) 篩籠 | ||
+ | 8) 사면차(밀가루 체 치는 기계) 篩麪車 | ||
+ | 9) 함지박 木瓢 | ||
+ | |||
+ | 5. 짜거나 누르는 여러 도구 榨壓諸器 | ||
+ | 【부록 찍어 내는 여러 도구】 【 附 模印諸器】 | ||
+ | 1) 기름틀 油榨 | ||
+ | 2) 기름 짜는 법 榨油法 | ||
+ | 3) 철판으로 깨 볶는 법 鐵炕炒麻法 | ||
+ | 4) 물로 끓여 기름 얻는 법 水煮取油法 | ||
+ | 5) 술주자 酒榨 | ||
+ | 6) 국수틀 麪榨 | ||
+ | 7) 속성국수틀(급수면자) 急須麪榨 | ||
+ | 8) 떡판(병안) 餠案 | ||
+ | 9) 떡밀개 餠槌 | ||
+ | 10) 다식판 茶食模 | ||
+ | 11) 떡살 餠範 | ||
+ | 12) 밀개 麪碾 | ||
+ | |||
+ | 6. 익힐 식재료를 다듬는 여러 도구 割飪諸器 | ||
+ | 1) 식칼 饌刀 | ||
+ | 2) 도마 俎 | ||
+ | 3) 가위 翦刀 | ||
+ | 4) 병도(떡뜨개) 餠刀 | ||
+ | 5) 강판 磨薑板 | ||
+ | 6) 잣집게 鐵叉碓 | ||
+ | 7) 철침(건포 모루) 鐵椹 | ||
+ | |||
+ | 7. 밥상에 올리는 여러 그릇 登槃諸器 | ||
+ | 1) 자기 瓷器 | ||
+ | 2) 중국에서 만든 자기 華造瓷器 | ||
+ | 3) 자기 때우는 법 補瓷器法 | ||
+ | 4) 유기(놋그릇) 鍮器 | ||
+ | 5) 숟가락과 젓가락(수저) 匙箸 | ||
+ | 6) 상아젓가락 쓰는 법 用象箸法 | ||
+ | 7) 실수로 불에 떨어져 검게 그을린 놋수저 등의 물건을 갈아 광내는 법 磨光鍮匙箸等物失落火灰焦黑法 | ||
+ | 8) 밥상 槃 | ||
+ | 9) 일본쟁반 倭槃 | ||
+ | 10) 중국쟁반 華槃 | ||
+ | 11) 쟁반 錚槃 | ||
+ | |||
+ | 8. 여러 저장 용기 儲藏諸器 | ||
+ | 1) 찬합 饌盒 | ||
+ | 2) 등합(등나무합) 藤盒 | ||
+ | 3) 죽합(대나무합) 竹盒 | ||
+ | 4) 사기합(사기찬합) 瓷盒 | ||
+ | 5) 목합 木盒 | ||
+ | 6) 놋합 鍮盒 | ||
+ | 7) 병 甁 | ||
+ | 8) 단지 缸 | ||
+ | 9) 단지나 물장군의 악취 씻어 내는 법 洗缸、 缾臭法 | ||
+ | 10) 새는 술병 수리하는 법 治酒甁漏法 | ||
+ | 11) 사기꿀단지 瓷樽 | ||
+ | 12) 죽상자 竹箱 | ||
+ | 13) 광거(대바구니) 筐筥 | ||
+ | 14) 바구니 籃 | ||
+ | 15) 쌀독 甔 | ||
+ | 16) 뒤주 斗廚 | ||
+ | 17) 찬장 饌橱 | ||
+ | 18) 나무궤짝 木櫃 | ||
+ | 19) 곡갑 穀匣 | ||
+ | 20) 일계체(30칸짜리 쌀서랍) 日計屉 | ||
+ | |||
+ | |||
+ | |||
+ | |||
+ | |||
+ | |||
+ | 섬용지 권제 3 贍用志 卷第三 | ||
+ | |||
+ | 복식 도구 服飾之具 | ||
+ | |||
+ | 1. 쓰개 冠巾 | ||
+ | 1) 갓 笠 | ||
+ | 2) 갓 때 벗기는 법 洗笠汚法 | ||
+ | 3) 삿갓 蓑笠 | ||
+ | 4) 망건 網巾 | ||
+ | 5) 망건의 때를 제거하는 법 網巾去垢法 | ||
+ | 6) 복건 幅巾 | ||
+ | 7) 치관(치포관) 緇冠 | ||
+ | 8) 와룡관 臥龍冠 | ||
+ | 9) 동파건(동파관) 東坡巾 | ||
+ | 10) 방관 方冠 | ||
+ | 11) 털모자 毳帽 | ||
+ | |||
+ | |||
+ | 2. 옷과 갖옷 衣、 裘 | ||
+ | 1) 도포 道袍 | ||
+ | 2) 심의 제도 深衣制度 | ||
+ | 3) 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 深衣辨證 | ||
+ | 4) 학창의 鶴氅衣 | ||
+ | 5) 편복 便服 | ||
+ | 6) 갖옷 裘 | ||
+ | 7) 전구 氈裘 | ||
+ | 8) 배자 褙子 | ||
+ | 9) 등배자(등등거리) 䕨褙子 | ||
+ | 10) 토시 手套 | ||
+ | 11) 휘항(휘양) 揮項 | ||
+ | 12) 풍차 風遮 | ||
+ | 13) 털버선 毛韤 | ||
+ | 14) 가죽 제품 皮貨 | ||
+ | 15) 가죽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皮物不蛀法 | ||
+ | 16) 전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氈物不蛀法 | ||
+ | 17) 모전으로 만든 옷 세탁법 洗毛氈衣法 | ||
+ | |||
+ | |||
+ | 3. 이부자리 衾褥 | ||
+ | 1) 이불 衾 | ||
+ | 2) 두 채의 이불을 나누고 합치는 법 兩衾分合法 | ||
+ | 3) 작은 이불 褡 | ||
+ | 4) 요 褥 | ||
+ | 5) 베개 枕 | ||
+ | |||
+ | |||
+ | 4. 띠와 신발 帶、 屨 | ||
+ | 1) 띠 帶 | ||
+ | 2) 갖신 屨 | ||
+ | 3) 비(풀로 만든 신발) 屝 | ||
+ | 4) 나막신 屐 | ||
+ | 5) 신발 사용법 用鞋法 | ||
+ | |||
+ | 5. 기타 장신구 雜飾 | ||
+ | 1) 패도 佩刀 | ||
+ | 2) 초혜집 抄舌 | ||
+ | 3) 주머니 佩囊 | ||
+ | 4) 접부채 摺疊扇 | ||
+ | 5) 모선 毛扇 | ||
+ | |||
+ | |||
+ | 6. 여자의 복식 女服 | ||
+ | 1) 족두리 簇頭伊 | ||
+ | 2) 비녀 釵 | ||
+ | 3) 저고리와 치마 衣裳 | ||
+ | 4) 당의 唐衣 | ||
+ | 5) 원삼 圓衫 | ||
+ | 6) 신 鞋 | ||
+ | |||
+ | 7.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裁縫諸具 | ||
+ | 1) 바늘 針 | ||
+ | 2) 바늘을 녹슬지 않게 보관하는 법 藏針不銹法 | ||
+ | 3) 골무 指套 | ||
+ | 4) 가위 翦刀 | ||
+ | 5) 인두 熨刀 | ||
+ | 6) 다리미 熨斗 | ||
+ | 7) 자 尺 | ||
+ | 8)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砧杵 | ||
+ | 9) 빨랫줄 桁繩 | ||
+ | 10) 항간(빨래 너는 장대) 桁竿 | ||
+ | |||
+ | 8. 의복의 보관 儲藏 | ||
+ | 1) 횃대 椸 | ||
+ | 2) 채상 彩箱 | ||
+ | 3) 버들고리 柳箱 | ||
+ | 4) 옷농 衣籠 | ||
+ | 5) 옷장 衣欌 | ||
+ | 6) 옷 보관법 藏衣法 | ||
+ | |||
+ | |||
+ | 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 盥櫛之具 | ||
+ | |||
+ | 1. 몸 씻는 여러 도구 頮洮諸器 | ||
+ | 1) 놋대야 銅盆 | ||
+ | 2) 사기대야 瓷盆 | ||
+ | 3) 질그릇대야 陶盆 | ||
+ | 4) 나무대야 木盆 | ||
+ | 5) 가죽대야 革盆 | ||
+ | 6) 양칫물사발 漱水碗 | ||
+ | 7) 조두합(가루비누합) 澡豆盒 | ||
+ | 8) 세숫대야깔개 頮盆藉 | ||
+ | 9) 세수치마 盥裳 | ||
+ | 10) 수건 帨 | ||
+ | 11) 목욕통 浴盆 | ||
+ | 12) 유황이(뒷물용 유황대야) 硫黃匜 | ||
+ | 13) 탕관 湯罐 | ||
+ | |||
+ | 2. 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櫛總諸器 | ||
+ | 1) 얼레빗 梳 | ||
+ | 2) 참빗 笓 | ||
+ | 3) 소추(빗솔) 梳帚 | ||
+ | 4) 소쇄(빗솔) 梳刷 | ||
+ | 5) 빗치개 笓挑齒 | ||
+ | 6) 족집게 鑷子 | ||
+ | 7) 민자 刡子 | ||
+ | 8) 살쩍밀이 斂鬢簽 | ||
+ | 9) 빗접 梳匣 | ||
+ | 10) 구리거울 銅鏡 | ||
+ | 11) 거울 닦는 법 磨鏡法 | ||
+ | 12) 유리거울 玻瓈鏡 | ||
+ | 13) 화장대 奩 | ||
+ | |||
+ | |||
+ |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 起居之具 | ||
+ | |||
+ | 1. 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 臥具 | ||
+ | 1) 침대 臥牀 | ||
+ | 2) 방로 氆氌 | ||
+ | 3) 양탄자 氍毹 | ||
+ | 4) 종전(말총모전) 鬃毡 | ||
+ | 5) 융과 모전 毧氈 | ||
+ | 6) 모전에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氈不蛀法 | ||
+ | 7) 몽고전 蒙古氈 | ||
+ | 8) 등나무자리 籘簟 | ||
+ | 9) 왕골자리 龍鬚席 | ||
+ | 10) 부들자리 香蒲席 | ||
+ | 11) 비단자리 繭絲席 | ||
+ | 12) 수숫대자리 薥稭簟 | ||
+ | 13) 오소리가죽요 土猪皮褥 | ||
+ | 14) 산양가죽요 山羊皮褥 | ||
+ | 15) 개가죽요 狗皮褥 | ||
+ | 16) 등침(등베개) 籘枕 | ||
+ | 17) 접베개 摺疊枕 | ||
+ | 18) 완침(왕골베개) 莞枕 | ||
+ | 19) 퇴침 退枕 | ||
+ | 20) 대자리베개 竹簟枕 | ||
+ | 21) 나전베개 螺鈿枕 | ||
+ | 22) 소가죽베개 牛皮枕 | ||
+ | 23) 죽부인 竹夫人 | ||
+ | |||
+ | 2. 앉을 때 필요한 도구 坐具 | ||
+ | 1) 의자 椅 | ||
+ | 2) 교의 엮는 법 穿交椅法 | ||
+ | 3) 걸상 杌 | ||
+ | 4) 장의자(긴걸상) 橙 | ||
+ | 5) 연궤(상) 燕几 | ||
+ | 6) 탁자 檯 | ||
+ | 7) 탁자 씻는 법 洗檯法 | ||
+ | 8) 방석 方席 | ||
+ | |||
+ | 3. 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 障護諸具 | ||
+ | 1) 병풍 屛 | ||
+ | 2) 방장 帳 | ||
+ | 3) 모기장 辟蚊帳 | ||
+ | 4) 방장걸이 帳鉤 | ||
+ | 5) 병풍이나 방장을 보관하는 법 藏屛、 帳法 | ||
+ | 6) 발 簾 | ||
+ | 7) 겹분합문 複閤 | ||
+ | |||
+ | 4. 기타 도구 雜具 | ||
+ | 1) 구장(비둘기지팡이) 鳩杖 | ||
+ | 2) 전수장(논물지팡이) 田水杖 | ||
+ | 3) 등긁개 麻姑手 | ||
+ | 4) 비 箒 | ||
+ | 5) 쓰레받기 承塵 | ||
+ | 6) 먼지떨이 無塵子 | ||
+ | 7) 요강 溺缸 | ||
+ | 8) 호자(타구) 虎子 | ||
+ | 9) 담뱃대 煙杯 | ||
+ | 10) 담뱃갑 煙草匣 | ||
+ | 11) 재떨이 煙灰槃 | ||
+ | |||
+ | 색을 내는 도구 設色之具 | ||
+ | |||
+ | 1. 채색 彩色 | ||
+ | 1) 분 胡粉 | ||
+ | 2) 백악(백토) 白堊 | ||
+ | 3) 주사 硃砂 | ||
+ | 4) 왜주(일본주사) 倭朱 | ||
+ | 5) 연지 燕脂 | ||
+ | 6) 대자석 代赭石 | ||
+ | 7) 석간주 石間朱 | ||
+ | 8) 자분 紫粉 | ||
+ | 9) 황단 黃丹 | ||
+ | 10) 자황 雌黃 | ||
+ | 11) 석중황(석황) 石中黃 | ||
+ | 12) 등황 䕨黃 | ||
+ | 13) 도황 桃黃 | ||
+ | 14) 석청 石靑 | ||
+ | 15) 쪽물 靛花 | ||
+ | 16) 압척청(닭의장풀 물감) 鴨跖靑 | ||
+ | 17) 석록 石綠 | ||
+ | 18) 동청 銅靑 | ||
+ | 19) 하엽록 荷葉綠 | ||
+ | 20) 송연 松煙 | ||
+ | 21) 유금(가루금) 乳金 | ||
+ | 22) 유은(가루은) 乳銀 | ||
+ | 23) 가짜 금색 假金色 | ||
+ | |||
+ | 2. 기름과 옻 油、 漆 | ||
+ | 1) 옻 漆 | ||
+ | 2) 옻칠 위에 금가루 뿌리는 법 髹漆上灑金法 | ||
+ | 3) 옻칠 위에 색칠하는 법 髹漆上設彩法 | ||
+ | 4) 칠기 광내는 법 光漆器法 | ||
+ | 5) 가짜 옻칠 방법 假漆方 | ||
+ | 6) 시칠(감물칠) 柹漆 | ||
+ | 7) 황칠 黃漆 | ||
+ | 8) 야생 쇠귀나물로 칠하는 법 野慈菇漆法 | ||
+ | 9) 동유 桐油 | ||
+ | 10) 법제들기름 法煉荏油 | ||
+ | 11) 나무그릇에 기름칠하는 법 油木器法 | ||
+ | 12) 집 지은 재목에 기름칠하는 법 油屋材法 | ||
+ | 13) 종이 바른 기물에 칠하는 법 漆紙糊器法 | ||
+ | |||
+ | 3. 훈염(스며들게 하여 물들이기) 熏染 | ||
+ | 1) 목기 물들이는 법 染木器法 | ||
+ | 2) 오동나무 지지는 법 烙桐法 | ||
+ | 3) 대나무에 점 찍는 법 點竹法 | ||
+ | 4) 선지에 물들이는 법 染扇紙法 | ||
+ | 5) 가죽에 물들이는 법 染革法 | ||
+ | |||
+ | |||
+ | |||
+ | ====건물 짓는 제도[營造之制, 영조지제]==== | ||
+ | |||
+ | |||
+ | |||
+ | ====건물 짓는 재료[營造之具, 영조지구]==== | ||
+ | |||
+ | ===보양지=== | ||
+ | |||
+ | ===인제지=== | ||
+ | |||
+ | 인제지(仁濟志):의학 백과 목차 <br> | ||
+ | (소표제어는 권1과 권22-28에만 소표제어를 수록. 나머지 권2-21은 권1과 형식이 유사하므로 생략. 차후 추가 및 수정 필요)<br> | ||
+ | |||
+ | |||
+ | |||
+ | -권1(총60)- | ||
+ | Ⅰ. 내인【內因】 | ||
+ | 1. 내상(음식·술·과로에 몸이 상함)【內傷】 | ||
+ | 1) 형증【形證】(10개) | ||
+ | 원인因起 음식에 상한 것食傷 술에 상한 것酒傷 노권상勞倦傷 내상과 외감의 구분辨內外傷 비위허실脾胃虛實 밥맛이 없는 이유不嗜飮食 식후에 노곤한 것食後昏困 내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병증內傷變病 맥 보는 법脈度 | ||
+ | 2) 치료법【治法】(13개) | ||
+ |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식상을 치료하는 법治食傷 식상에 소화시키는 법食傷消導 식상에 보하여야 할 경우食傷宜補 식상에 토하게 할 경우食傷宜吐 식상에 설사시켜야 할 경우食傷宜下 식궐의 치료법治食厥 주상의 치료법治酒傷 먹은 술을 깨고 취하지 않는 법醒酒不醉 노권상의 치료법治勞倦傷 내외상을 가려서 치료하는 방법辨內外傷治法 입맛이 없는 병증의 치료治不嗜飮食 식후 노곤함의 치료治食後昏困 | ||
+ | 3) 탕액【湯液】(141개) | ||
+ | 응신산凝神散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삼보지출환三補枳朮丸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 수중금원守中金元 지출환枳朮丸 귤피지출환橘皮枳朮丸 목향지출환木香枳朮丸 반하지출환半夏枳朮丸 국얼지출환麴櫱枳朮丸 귤반지출환橘半枳朮丸 귤련지출환橘連枳朮丸 삼황지출환三黃枳朮丸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내소산內消散 소체환消滯丸 가감보화원加減保和丸 칠향원七香元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향각환香殼丸 이황환二黃丸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곡신원穀神元 대화중음大和中飮 배기음排氣飮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칠진산七珍散 팔진산八珍散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양비환養脾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자비환滋脾丸 건비환健脾丸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음양탕陰陽湯 제원산除源散 자황환煮黃丸 지실대황탕枳實大黃湯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인삼음人蔘飮 평위산平胃散 이공산異功散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생위단生胃丹 계비원啓脾元 이국원二麴元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인삼개위탕人蔘開胃湯 안위산安胃散 곡신탕穀神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 사미회양음四味回陽飮 위관전胃關煎 소화중음小和中飮 보진환補眞丸 삼출탕蔘朮湯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창출고蒼朮膏 백출고白朮膏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삼력음蔘瀝飮 후박전환厚朴煎丸 인삼고人蔘膏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태화환太和丸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보진고補眞膏 삼출조원고蔘朮調元膏 사탕원砂糖元 천진원天眞元 조원산助元散 서련환瑞蓮丸 환원단還元丹 오출환烏朮丸 출하환朮芐丸 이호환二虎丸 상골산象骨散 갈화해정탕葛花解酲湯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갈황환葛黃丸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삼두해정탕三豆解酲湯 인삼산人蔘散 익비환益脾丸 백배환百杯丸 대금음자對金飮子 해주화독산解酒化毒散 용뇌탕龍腦湯 갈화산葛花散 만배불취단萬杯不醉丹 신선불취단神仙不醉丹 취향보설醉鄕寶屑 양식환養食丸 생지황生地黃 초두구草豆蔻 창이蒼耳 국화菊花 필징가畢澄茄 갈근葛根 건강乾薑 회향茴香 신국神麴 감柿 오매烏梅 명사榠樝 배梨 감피柑 청피靑皮 뽕나무桑 죽여竹茹 고둥螺 붕어鯽魚 게蟹 모려牡蠣 닭鷄 가마우지鸕鶿 개狗 벽해수碧海水 납설수臘雪水 죽상로竹上露 정중초井中草 주사朱砂 | ||
+ | 4) 침과 뜸【砭焫】(2개) | ||
+ | 침 놓는 법針法 뜸 뜨는 법灸法 | ||
+ | 5) 몸조리하는 법【調將】(3개) | ||
+ | 음식금기飮食禁忌 음주금기飮酒禁忌 약물금기藥物禁忌 | ||
+ | |||
+ | 2. 허로(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해진 증상)【虛勞】 | ||
+ | 1) 형증【形證】(13개) | ||
+ | 원인因起 5로증五勞證 6극증六極證 7상증七傷證 허로잡증虛勞雜證 기혈허와 음양허를 구분하는 법辨氣血虛陰陽虛 허손같아 보이지만 허손이 아닌 것을 분변함辨似損非損 전궐증煎厥證 해역증解㑊證 주하병注夏病 2양병二陽病 허로생사증虛勞生死證 맥 보는 법脈度 | ||
+ | 2) 치료법【治法】(10개) | ||
+ |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음허를 치료하는 법治陰虛 양허를 치료하는 법治陽虛 음양이 모두 허한 경우를 치료하는 법治陰陽俱虛 심허를 치료하는 법治心虛 간허를 치료하는 법治肝虛 비허를 치료하는 법治脾虛 폐허를 치료하는 법治肺虛 신허를 치료하는 법治腎虛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 ||
+ | 3) 탕액【湯液】(144개) | ||
+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고진음자固眞飮子 팔물탕八物湯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신기환腎氣丸 대보음환大補陰丸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호잠환虎潛丸 제음환濟陰丸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계부탕桂附湯 용부탕茸附湯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삼향산蔘香散 삼선단三仙丹 사신단四神丹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쌍화탕雙和湯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이지환二至丸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보신환補腎丸 온신산溫腎散 팔미원八味元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대오보환大五補丸 흑원黑元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귤피전원橘皮煎元 오출환烏朮丸 윤신환潤腎丸 대산우환大山芋丸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태극환太極丸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냉보환冷補丸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소토사자원小兔絲子元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소안신환小安腎丸 용주환茸珠丸 오보원五補元 소건중탕小建中湯 대건중탕大建中湯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황기익손탕黃芪益損湯 진교별갑산秦艽鼈甲散 침향별갑산沈香鼈甲散 황기별갑산黃芪鼈甲散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천지전天地煎 보정고補精膏 보수고補髓膏 위생탕衛生湯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보진탕保眞湯 보화탕保和湯 태평환太平丸 소화환消化丸 윤폐고潤肺膏 백봉고白鳳膏 보수단補髓丹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 환소단還少丹 상단上丹 보음산補陰散 서련환瑞蓮丸 이의환二宜丸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고암심신원古庵心腎元 귀용원歸茸元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공진단拱辰丹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오정환五精丸 팔진탕八珍湯 대보원전大補元前 오복음五福飮 좌귀음左歸飮 좌귀환左歸丸 우귀음右歸飮 우귀환右歸丸 육기전六氣煎 이음전理陰煎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 일기단一氣丹 온위음溫胃飮 오물전五物煎 우로탕愚魯湯 수지단水芝丹 유전산油煎散 삼황환三黃丸 삼건탕三建湯 양혈반정환養血返精丸 청목향환靑木香丸 초과인환草果仁丸 보골지환補骨脂丸 계봉백화사고鷄峯白花蛇膏 주작탕朱雀湯 흑석단黑錫丹 접기단接氣丹 양정단養正丹 양기단養氣丹 어구금수방御溝金水方 진교秦艽 모향茅香 청호靑蒿 지황地黃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사상자蛇牀子 토사자兔絲子 오미자五味子 복분자覆盆子 육종용肉蓯蓉 금앵자金櫻子 나마蘿藦 마인麻仁 찹쌀稬米 산약山藥 보골지補骨脂 칠漆 오가피五加皮 자초화紫稍花 새우鰕 닭鷄 까마귀鴉 돼지猪 양羊 소牛 사슴鹿 자석慈石 | ||
+ | 4) 침과 뜸【砭焫】(2개) | ||
+ | 침 놓는 법針法 뜸 뜨는 법灸法 | ||
+ | |||
+ | 3. 자한(절로 나는 땀)【自汗】 | ||
+ | 1) 형증【形證】(11개) | ||
+ | 원인因起 두한頭汗 심한心汗 수족한手足汗 음한陰汗 절한絶汗 유한柔汗 도한盜汗 누풍증漏風證 망양증亡陽證 맥보는 법脈度 | ||
+ | 2) 치료법【治法】(9개) | ||
+ |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두한의 치료법治頭汗 심한의 치료법治心汗 수족한의 치료법治手足汗 음한의 치료법治陰汗 도한의 치료법治盜汗 누풍의 치료법治漏風 망양증의 치료법治亡陽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 ||
+ | 3) 탕액【湯液】(46개) | ||
+ | 조위탕調衛湯 옥병풍산玉屛風散 이감탕二甘湯 황기탕黃芪湯 삼귀요자蔘歸腰子 모려산牡蠣散 소건중탕小建中湯 삼기탕蔘芪湯 출령탕朮苓湯 진액단鎭液丹 삼부탕蔘附湯 기부탕芪附湯 계부탕桂附湯 진애탕陳艾湯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대산원大蒜元 백출산白朮散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삼음전三陰煎 오음전五陰煎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정기탕正氣湯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용담산龍膽散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 모려산牡蠣散 삼기탕蔘芪湯 삼귀환蔘歸丸 출朮 방풍防風 초룡담草龍膽 마황麻黃 쑥艾 백지白芷 지황地黃 소맥부小麥麩 찹쌀糯米 부추韭 산조인山棗仁 도노桃奴 오배자五倍子 모려牡蠣 우양지牛羊脂 석고石膏 운모雲母 양기석陽起石 | ||
+ |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9개) | ||
+ | 독승산獨勝散 육물산六物散 모려산牡蠣散 온분溫粉 홍분紅粉 하수오何首烏 마황근麻黃根 오배자五倍子 소시장토燒尸場土 | ||
+ | 5) 침과 뜸【砭焫】(1개) | ||
+ | 침법針法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2개) | ||
+ | 계절에 따른 금기時令戒忌 약물금기藥物禁忌 | ||
+ | |||
+ | |||
+ | |||
+ | 권2(총61) | ||
+ | Ⅰ. 내인【內因】 | ||
+ | 1. 정액이 새는 증상(유설)【遺泄】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문지르는 약【塗擦】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경계)【驚悸】부록: 정충증과 건망증【附 怔忡健忘】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5) 푸닥거리(양법)【禳法】 | ||
+ | |||
+ | 3. 간질(전간)【癲癎】부록: 전광증(정신이상)【癲狂】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4. 잠이 적은 증상(소수)【少睡】부록: 잠이 많은 증상(다수)과 꿈을 많이 꾸는 증상(다몽)【多睡多夢】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는 법【蒸熨】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5. 벙어리(음아)【瘖瘂】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6. 담음【痰飮】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3(총62) | ||
+ | Ⅰ. 내인【內因】 | ||
+ | 1. 여러 가지 기병【諸氣】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찜질하는 법【熨塞】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피가 나는 증상에 대한 전반적인 처방(실혈총방)【失血總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5) 몸조리 하는 법【調將】 | ||
+ | |||
+ | 3. 피를 토하는 증상(토혈)【吐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14 | ||
+ | |||
+ | 4. 코피가 나는 증상(육혈)【衄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막는 법【塗塞】 | ||
+ | 5) 약을 떨어뜨리거나 불어넣는 법【點吹】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5. 기침할 때 피가 나오는 증상(해혈)【咳血】부록: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수혈)·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타혈)·핏덩이를 뱉어내는 증상(각혈)【嗽血·唾血·咯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
+ | 6. 이에서 피가 나는 증상(치뉵)【齒衄】부록: 혀에서 피가 나는 증상(설뉵)·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혈한)·사람 몸의 아홉 구멍 눈(2)·코(2)·입(1)·귀(2)·생식기(1)·항문(1)의 아홉 군데 구멍을 말한다. | ||
+ | 에서 피가 나오는 증상(9규출혈)【舌衄·血汗·九竅出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 | ||
+ | |||
+ | 7. 오줌에 피가 나오는 증상(요혈)【尿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8. 똥에 피가 나오는 증상(변혈)【便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9. 적취【積聚】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10. 여러 가지 충【諸蟲】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4(총63) | ||
+ | Ⅰ. 외인【外因】1 | ||
+ | 1. 중풍【中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塗】 | ||
+ | 5) 코로 들이마시거나 불어넣는 법【㗜吹】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2. 풍으로 몸이 마비되는 증상(풍비)【風痹】부록: 뼈마디가 붓고 아픈 증(역절풍)과 감각마비증(마목)【歷節風·麻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푸닥거리【禳法】 | ||
+ | 7)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
+ | |||
+ | 권5(총64) | ||
+ | Ⅰ. 외인【外因】 | ||
+ | 1. 상한【傷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상한잡증의 치료법【傷寒雜證治法】 | ||
+ | 4) 상한이 나은 후 나타나는 전변증의 치료법【傷寒差後變證治法】 | ||
+ | 5) 부인상한의 치료법【婦人傷寒治法】 | ||
+ | 6) 탕액【湯液】 | ||
+ | 7)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8) 침과 뜸【砭焫】 | ||
+ | 9)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중한【中寒】부록:감한․고랭【感寒․痼冷】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 중서【中暑】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 산람장기(山嵐瘴氣)와 습병(장습)【瘴濕】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5) 푸닥거리【辟禳】 | ||
+ | |||
+ | |||
+ | |||
+ | 권6(총65) | ||
+ | Ⅰ. 외인【外因】 | ||
+ | 1. 피부가 마르고 깔깔해지는 증상(조삽)【燥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2. 화열【火熱】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3. 학질(해학)【痎瘧】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 다리병(각기)【脚氣】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5. 온역【溫疫】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고 묶는 법【傅紝】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6. 헛것에 들린 증상(사수)【師祟】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
+ | 권7(총66) | ||
+ |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 ||
+ | 1. 두통【頭痛】부록: 어지럼증(현훈)【眩暈】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쏘이거나 콧속에 넣는 법【熏搐】 | ||
+ | 5)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2. 눈병(안질)【眼疾】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눈에 넣거나 씻는 법【點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
+ | |||
+ | 권8(총67) | ||
+ |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 ||
+ | 1. 귀먹음(이롱)【耳聾】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귀에 넣거나 막는 법【點塞】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코 막힘(비색)【鼻塞】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고 막는 법【糝塞】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 치아의 통증(치통)【齒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양치질하는 법【噙漱】 | ||
+ | 5) 바르고 문지르는 법【塗擦】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 목덜미와 등의 통증(항배통)【項背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5. 허리와 다리의 통증(요각통)【腰脚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6. 어깻죽지와 옆구리의 통증(비협통)【臂脇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는 법【熨法】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7. 힘줄과 뼈의 통증(근골통)【筋骨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8. 가슴과 배의 통증(심복통)【心腹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9(총68) | ||
+ |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 ||
+ | 1. 갑자기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곽란)【霍亂】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트림(희애)【噫噯】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3. 구토【嘔吐】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4. 설사【泄瀉】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고 바르는 법【傅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5. 이질【痢疾】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6. 변비【便秘】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10(총69) | ||
+ |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 ||
+ | 1. 오줌이 방울져 나오는 증상(임병)과 오줌이 붉거나 희며 탁한 증상(적백탁)【淋病·赤白濁】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소변불통(융폐)【癃閉】 부록 : 오줌을 지리는 증상(유뇨)【附遺尿】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찜질하거나 씻는 법【熨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 기침(해수)【咳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흡입하는 법【熏吸】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 딸꾹질(해역)【咳逆】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불어넣는 법【熏吹】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11(총70) | ||
+ |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 ||
+ | 1. 고환과 배가 아픈 증상(산기)【疝氣】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부종【浮腫】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3. 배가 불러오르는 증상(창만)【脹滿】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 소갈(당뇨)【消渴】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5. 황달【黃疸】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불어 넣는 법【塗吹】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12(총71) | ||
+ | Ⅰ. 부과【婦科】 | ||
+ | 1. 자궁에 발생하는 병증(포혈)【胞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싸매거나 막는 법【紝塞】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젖과 관련한 병증(유즙)【乳汁】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
+ | 3. 임신【妊娠】 | ||
+ | 1) 형증【形證】 | ||
+ | 2) 출산 전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치료하는 법【産前諸證治法】 | ||
+ | 3) 출산 후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치료하는 법【産後諸證治法】 | ||
+ | 4) 탕액【湯液】 | ||
+ | 5)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푸닥거리(양법)【禳法】 | ||
+ | |||
+ | 4. 여성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병증【雜證】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
+ | |||
+ | 권13(총72) | ||
+ | Ⅰ. 유과【幼科】 | ||
+ | 1. 소아 경기로 몸이 오그라드는 증상(경축)【驚搐】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불어넣는 법【點吹】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여러 가지 감병【諸疳】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씻는 법【糝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 여러 가지 열병【諸熱】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 젖이나 밥으로 인한 속병【內傷乳食】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문지르거나 붙이는 법【摩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5. 부록 갓난아기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병증【附 雜證】 | ||
+ | 1) 갓난아이의 구급법【初生救急】 | ||
+ | 2) 소아잡병【小兒雜病】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14(총73) | ||
+ | Ⅰ. 유과【幼科】 | ||
+ | 1. 천연두(두창)【痘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반이 돋아나기 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瘢前諸證治法】 | ||
+ | 4) 반이 돋아난 뒤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瘢後諸證治法】 | ||
+ | 5) 부인의 두창 치료법【婦人痘瘡治法】 | ||
+ | 6) 탕액【湯液】 | ||
+ | 7)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 ||
+ | 8) 연기를 쏘이는 법【熏燒】 | ||
+ | 9)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10) 종두법【種痘方】 | ||
+ | |||
+ | 2. 부록 수두【附 水痘】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
+ | |||
+ | 권15(총74) | ||
+ | Ⅰ. 유과【幼科】 | ||
+ | 1. 홍역(마진)【麻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반이 돋아나기 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癍前諸證治法】 | ||
+ | 4) 반이 돋아난 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癍後諸症治法】 | ||
+ | 5) 부인의 마진을 치료하는 방법【婦人麻疹治法】 | ||
+ | 6) 탕액【湯液】 | ||
+ | 7) 뿌리거나 불어넣는 법【糝吹】 | ||
+ | 8)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부록 소진․조두진․운두진【附 瘙疹․罩頭疹․雲頭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
+ | |||
+ | 권16(총75) | ||
+ | Ⅰ. 외과【外科】 | ||
+ | 1. 옹저총방【癰疽總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전변된 증상의 치료법【變證治法】 | ||
+ | 4) 탕액【湯液】 | ||
+ | 5)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 ||
+ | 6)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7) 침과 뜸【砭焫】 | ||
+ | 8)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창절총방【瘡癤總方】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 ||
+ |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5) 푸닥거리【양법】【禳法】 | ||
+ | |||
+ | |||
+ | |||
+ | 권17(총76) | ||
+ | Ⅰ. 외과【外科】 | ||
+ | 1. 반진총방【㿀疹總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2. 백회혈 부위에 생긴 저(백회저)【百會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 신문혈 가장자리에 생긴 저(투뇌저)【透腦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 오처혈(五處穴) 오처혈(五處穴)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혈자리로, 정중선상에서 앞머리카락 경계로부터 1치 올라가서 옆으로 1치 반 되는 곳이다. | ||
+ | 부위에 생긴 저(침뇌저)【侵腦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5. 상성혈 부위에 생긴 저(불정저)【佛頂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 이마에 생긴 저(액저)【額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 태양혈 부위에 생긴 저(용저)【勇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8. 살쩍에 생긴 저(빈저)【鬢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고 붙이는 법【傅貼】 | ||
+ | |||
+ | 9. 귀 뒤쪽에 생긴 저(요저(좌) 예독(우))【夭疽銳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0. 귓불 사이에 생긴 저(이후저)【耳後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1. 귓바퀴 뒤에 생긴 옹저(이발)【耳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2. 귀 뒤쪽 솔기부분에 생긴 옹저(이근독)【耳根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3. 뇌호혈 부위에 생긴 저(옥침저)【玉枕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14. 목덜미의 털난 경계 부위에 생긴 저(뇌후발)【腦後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15. 풍부혈 부위에 생긴 저(뇌삭)【腦鑠】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6. 머리카락이 말라비틀어져 빠지는 증상(유풍)【油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17. 살갗에 비듬이 생기는 증상(백설풍)【白屑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18. 머리가 헐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독창)【禿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고 씻는 법【傅洗】 | ||
+ | |||
+ | 19. 소아의 머리에 생기는 부스럼(누고절)【螻蛄癤】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20. 머리털이 난 경계 부위에 생기는 창(발제창)【髮際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21. 피부에 포도빛깔의 반점이 생기는 증상(포도창)【葡萄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2. 머리털이 빠지는 증상(발락)【髮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23. 얼굴에 생기는 종기와 창(면종면창)【面腫面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5) 찜질하거나 지지는 법【熨烙】 | ||
+ | |||
+ | 24. 광대뼈 부위에 생기는 종양과 저(관양 관저 양의 자리【陽分】에 생기는 것을 관양이라 하고, 음의 자리【陰分】에 생기는 것을 관저라 한다. | ||
+ | )【顴瘍顴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5. 광대뼈 사이에 생기는 정(疔)(관정)【顴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6. 뺨에 생긴 옹저(면발독)【面發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 ||
+ | |||
+ | 27. 얼굴에 생기는 피부병(면유풍)【面遊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28. 뺨에 생기는 종기(자시)【痄顋】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 ||
+ | |||
+ | 29. 아래턱 부위가 헌 증상(협양)【頰瘍】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30. 아래턱뼈와 그 부위의 살갗이 붓고 아픈 증상(골조풍)【骨槽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31. 아래턱에 생긴 발저(發疽)(발이)【發頤】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2. 목·뺨·턱 부위에 생긴 종기(시독)【時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3. 미릉골 부위에 생긴 옹저(봉미저)【鳳眉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4. 양미간에 생긴 저(미심저)【眉心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5. 인중에 생긴 저(용천저)【龍泉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6. 아랫입술 밑 오목한 곳에 생긴 옹저(호자독)【虎髭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7. 아래턱 부위가 헌 증상(연와창)【燕窩瘡】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바르는 법【傅搽】 | ||
+ | |||
+ | 38. 기미와 주근깨(작반 간증)【雀斑皯䵳】 부록 : 얼굴에 바르는 기름과 약(면지약방)【附 : 面脂藥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 ||
+ | |||
+ | 39. 검은 사마귀(흑지)【黑痣】 부록 : 흉터 없애는 처방【附 : 滅瘢痕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붙이고 씻는 법【點洗】 | ||
+ | 4) 찜질하는 법【熨法】 | ||
+ | |||
+ | 40. 얼굴이 뜨겁거나 차가운 증상(면열 면한)【面熱面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1. 목덜미의 털 난 부위에 생긴 저(편뇌저)【偏腦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2. 천주골에 생긴 저(천주저)【天柱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고 뿌리는 법【塗摻】 | ||
+ | |||
+ | 43. 어미혈 부위에 생긴 옹저(어미독)【魚尾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4. 목 주위에 둘러가면서 생긴 저(백맥저)【百脈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5. 후두 앞 갑상연골 부위에 생긴 옹(결후옹)【結喉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6. 갑상연골 부위의 양 옆에 생긴 옹(협후옹)【夾喉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7. 임파절에 생긴 멍울(나력)【瘰癧】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 ||
+ | 5)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8. 목 양쪽에 생긴 석저 석저_ 목, 자개미, 무릎 등 온 몸에 돌처럼 뜬뜬하게 생긴 저. | ||
+ | (상석저)【上石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 ||
+ | |||
+ | 49. 목에 단단한 멍울이 생기고 살갗에 윤기가 없는 증상(실영증)【失榮證】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고 붙이는 법【敷貼】 | ||
+ | |||
+ | 50. 천돌혈 부위에 생긴 풍창(유구풍)【鈕扣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 ||
+ | |||
+ | 51. 목에 앵두같이 생긴 창(앵도창)【櫻桃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
+ | |||
+ | 권18(총77) | ||
+ | Ⅰ. 외과【外科】 | ||
+ | 1. 등창(발배)【發背】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 폐수혈, 고황혈, 신수혈 부위에 생긴 등창(상중하탑수)【上中下搭手】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 잔등에 생기는 연꽃씨 모양의 옹저(연자발)【蓮子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 벌집처럼 구멍이 여럿 뚫린 옹저(봉와발)【蜂窩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고 붙이는 법【塗貼】13 | ||
+ | |||
+ | 5. (척추 주변에 단단하다가 물러지고, 농이 생겼다가 없어지는 저)음양이기저【陰陽二氣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 (등과 옆구리에 창두 없이 속으로 관통하는 저)관저【串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 술독으로 인한 옹저(주독발)【酒毒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8. 구슬을 꿰어놓은 모양의 발저(연주발)【連珠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9. 단독발【丹毒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0. 등에 주먹자국처럼 붉게 생긴 저(금저)【禽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1. 등에 담으로 생긴 종기(담주발)【痰注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12. 오이 모양의 옹저(황과옹)【黃瓜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3. 뱀 모양의 옹저(용창)【龍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 ||
+ | |||
+ | 14. 신수혈 부위에 생긴 옹저(신수 ‘兪’ 자가 혈자리를 나타낼 경우에는 남한에서는 ‘수’라고 읽고, 북한에서는 ‘유’라고 읽는다. | ||
+ | 발)【腎兪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5. 허리와 사타구니 사이에 생긴 저(중석저)【中石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6. 대상포진(帶狀疱疹, 전요화단)【纏腰火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 ||
+ | |||
+ | 17. 눈꺼풀에 버섯 같은 군살이 생기는 증상(안포균독)【眼胞菌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4)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18. 눈꺼풀이 벌겋게 붓고 아픈 증상(안단)【眼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9. 눈가죽과 눈썹 사이가 벌겋게 붓고 곪는 증상(침안)【鍼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20. 눈꺼풀 속에 알갱이가 맺히는 증상(안포담핵)【眼胞痰核】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21. 산초알갱이처럼 생긴 창과 기장쌀처럼 생긴 창(초창 속창)【椒瘡粟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2. 눈꺼풀이 뒤집어진 증상(피번증)【皮翻證】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23. 눈구석 부위가 벌겋게 붓고 곪는 증상(누정창)【漏睛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4. 눈구석과 눈초리에 생긴 궂은살(목중노육)【目中努肉】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5. 콧등에 생긴 저(비저)【鼻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6. 콧속에 생긴 정창(비정)【鼻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7. 코 밑이 헌 증상(비닉창)【鼻䘌瘡】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 ||
+ | |||
+ | 28. 코가 부어오르고 헌 증상(비창)【鼻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막는 법【塗塞】 | ||
+ | |||
+ | 29. 콧속에 군살이 생기는 증상(비치)【鼻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약을 떨어뜨려 넣고 막는 법【點塞】 | ||
+ | 5)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 ||
+ | |||
+ | 30. 여드름(폐풍분자)【肺風粉刺】 | ||
+ | 1) 형증【形證】 | ||
+ | 2)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 ||
+ | |||
+ | 31. 술로 인하여 코가 붉어진 증상(주사비)【酒齄鼻】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 ||
+ | |||
+ | 32. 귓구멍에 생긴 정창(흑정)【黑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3. 귓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이감)【耳疳】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싸매는 법【糝紝】 | ||
+ | |||
+ | 34. 이치․이심․이정【耳痔耳蕈耳挺】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약물을 떨어뜨리는 법【點滴】 | ||
+ | |||
+ | 35. 귓바퀴 뒤쪽이 헌 증상(선이창)【旋耳瘡】 | ||
+ | 1) 형증【形證】 | ||
+ | 2) 바르고 뿌리는 법【傅搽】 | ||
+ | |||
+ | 36. 입이 헌 증상(구창)【口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입 속에 머금거나 뿌리는 법【噙糝】 | ||
+ | 5) 겉에 붙이는 법【外貼】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37. 입 속이 헌 증상(구미)【口糜】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입안에 머금거나 바르는 방법【噙搽】 | ||
+ | |||
+ | 38. 입냄새(구취)【口臭】 부록 : 병증에 따라 입맛이 달라지는 증상(구미)【口味】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39. 입 언저리에 생긴 정창과 입아귀에 생긴 정창(반순정 쇄구정)【反脣疔鎖口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0. 입술에 생긴 저(순저)【脣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1. 입술이 당기고 조여들어 벌리지도 다물지도 못하는 증상(견순)【繭脣】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2. 입술이 헐고 아픈 증상(순풍)【脣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씻거나 붙이는 법【洗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푸닥거리(양법)【禳法】 | ||
+ | |||
+ | 43. 잇몸에 좁쌀 같은 것이 생겨 아픈 증상(아정)【牙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4. 잇몸에 생긴 옹(아옹)【牙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5. 혀가 부어오르는 증상(자설창)【紫舌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김을 쏘이는 법【傅熏】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6. 혀 아래에 박 같은 종기가 생기는 증상(담포)【痰包】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7. 혀 밑에 작은 혀가 생기는 증상(중설)【重舌】 부록 : 중악․설정【重齶舌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 ||
+ | 4) 겉에 붙이는 법【外貼】 | ||
+ | |||
+ | 48. 혀에 생긴 종기(설감)【舌疳】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입에 머금어 녹여 먹거나 바르는 방법【噙塗】 | ||
+ | 5) 겉에 바르는 법【外貼】 | ||
+ | |||
+ | 49. 목구멍이 붓는 증상(후비)【喉痺】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고 불어넣는 법【糝吹】 | ||
+ | 5) 연기를 쏘이고 마시게 하는 법【熏吸】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50. 목구멍이 헌 증상(후감)【喉疳】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뿌리거나 불어넣는 법【糝吹】 | ||
+ | |||
+ | 51. 목구멍이 이끼 모양으로 헌 증상(후선)【喉癬】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뿌리고 불어넣는 법【糝吹】 | ||
+ | |||
+ | 52. 갑상선 연골부위에 생긴 옹저(쇄후독)【鎖喉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3. 양쪽 가슴 근육 부위에 생긴 저(감저)【甘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4. 단중혈 부위에 생긴 저(단중저)【膻中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5. 명치 아래에 생긴 저(비발저)【脾發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56. 명치의 중정혈 부위에 생긴 저(정저)【井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7. 가슴 옆과 젖에 벌집 모양으로 생긴 저(봉와저)【蜂窩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8. 목 아래 결분혈 부위에 생긴 저(두저)【蠹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9. 젖 가에 생긴 옹(기력옹)【𤷍癧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0. 유옹【乳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찜질하는 법【傅熨】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61. 배에 생긴 옹(유옹)【幽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2. 중완혈 부위에 생긴 저(중완저)【中脘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3. 하완혈 부위에 생긴 저(충저)【衝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4. 배꼽에 생긴 옹(제옹)【臍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뿌리는 법【搽摻】 | ||
+ | |||
+ | 65. 아랫배에 생긴 저(소복저)【少腹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6. 뱃가죽 사이에 생긴 옹(복피옹)【腹皮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7. 아랫배 양쪽에 생긴 저(완저)【緩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8. 겨드랑이에 생긴 옹(액옹)【腋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9. 겨드랑이에 생긴 저(액저)【腋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0. 겨드랑이 아래에 생긴 정창(암정)【黯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1. 겨드랑이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액취)【腋臭】 | ||
+ | 1) 형증【形證】 | ||
+ | 2)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 ||
+ | |||
+ | 72. 옆구리에 생긴 저(늑저)【肋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3. 옆구리 아래에 생긴 저(연저)【淵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74. 가슴과 배 부위에 생기는 단독(내발단독)【內發丹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75. 옆구리에 생긴 옹(협옹)【脅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
+ | 권19(총78) | ||
+ | Ⅰ. 외과【外科】 | ||
+ | 1. 장부 또는 홍복 부위에 생긴 모든 옹(내옹총방)【內癰總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싸매는 법【傅紝】 | ||
+ | |||
+ | 2. 폐옹【肺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3. 대소장옹【大小腸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고 붙이는 법【傅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 위옹【胃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
+ | 5. 비옹【脾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6. 간옹【肝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 심옹【心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8. 신옹【臂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9. 삼초옹【三焦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0. 어깨 부위에 생기는 옹저(견중저)【肩中疽】부록:건저․과견저【附 乾疽․過肩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1. 어깨나 겨드랑이에 생기는 옹저(요저)【髎疽】 부록 : 견풍독【附 肩風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2. 어깨 앞 겨드랑이에 생기는 옹저(악저)【樂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3. 팔꿈치 위쪽에 생기는 옹저(노옹)【臑癰】 부록 : 우포독【附 藕包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4. 팔꿈치 뒤쪽 청령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어두발)【魚肚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5. 팔꿈치 위쪽 천정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석류저)【石榴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6. 팔꿈치 부위에 생기는 옹저(주옹)【肘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7. 팔의 수양명경 부위에 생기는 옹저(비옹)【臂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8. 손목 뒤쪽에 생기는 옹저(완옹)【腕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9. 손목 안쪽 태연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태저)【兌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0. 팔의 간사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천골저)【穿骨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1. 팔의 바깥측면 대골 부위에 생기는 옹저(골루저)【骨螻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2. 팔 안쪽에 생기는 옹저(누고관)【螻蛄串】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3. 손등에 생기는 옹저(수발배)【手發背】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4. 손바닥 가운데 생기는 옹저(장심독)【掌心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5. 엄지와 검지 사이 합곡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호구저)【虎口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6. 손등에 새우 모양으로 생기는 옹저(병하)【病鰕】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7.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사이에 생기는 옹저(수아발)【手丫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8. 엄지에 생기는 옹저(조저)【調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9.손가락 끝에 생기는 옹저(사두정)【蛇頭疔】 부록 : 천사독【附 天蛇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塗】 | ||
+ | |||
+ | 30. 손톱 모서리에 박혀있는 뱀눈처럼 붉은 빛의 옹저(사안정)【蛇眼疔】 부록 : 사배정․와절정․사복정․이추저【附 蛇背疔․蛙節疔․蛇腹疔․泥鰌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1. 손톱 속살에 생기는 옹저(대지)【代指】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32. 손가락 뼈마디에 생기는 옹저(강랑주)【蜣蜋蛀】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3. 양 손바닥에 생기는 옹저(과창)【瘑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 ||
+ | |||
+ | 34. 사마귀 독에 생기는 상처(호뇨자)【狐尿刺】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5. 매독의 여독으로 손바닥 껍질이 벗겨지는 증상(아장풍)【鵝掌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6. 항문의 주위에 생기는 옹저(현옹)【懸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싸매는 법【傅紝】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7. 회음혈에 생기는 발저(천당발)【穿檔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8. 사타구니에 생기는 옹저(과마옹)【跨馬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9. 서혜부에 생기는 옹저(변독)【便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0. 음경에 생긴 창(감창)【疳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고 씻는 법【傅洗】 | ||
+ | |||
+ | 41. 음모에 사는 사면발니로 인한 창(음슬창)【陰蝨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5)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2. 음낭에 생기는 옹(신낭옹)【腎囊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 ||
+ | |||
+ | 43. 음낭에 생긴 풍창(신낭풍)【腎囊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문지르는 법【塗擦】 | ||
+ | |||
+ | 44. 꼬리뼈 부위에 생기는 저(관구저)【鸛口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5. 꼬리뼈에 생기는 옹(좌마옹)【坐馬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6. 볼기에 생기는 옹(둔옹)【臀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47. 볼기와 허벅지 간에 생기는 옹(상마옹 하마옹)【上馬癰․下馬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8. 꼬리뼈 장강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용천저)【涌泉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9. 볼기와 허벅지 사이에 생기는 창(좌판창)【坐板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0. 항문 안팎에 생기는 종기(장독)【臟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1. 치질(치창)【痔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뿌리는 법【傅搽】 | ||
+ |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묶거나 막는 법【紝塞】 | ||
+ | 7) 침과 뜸【砭焫】 | ||
+ | 8) 몸조리 하는 법【調將】 | ||
+ | |||
+ | 52. 항문이 빠지는 증상(탈항)【脫肛】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뿌리는 법【傅糝】 | ||
+ |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
+ | |||
+ | 권20(총79) | ||
+ | Ⅰ. 외과【外科】 | ||
+ | 1. 허벅지 바깥쪽에 생기는 저(부골저)【附骨疽】부록 : 허벅지 안쪽에 생기는 저(교골저)【咬骨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김을 쏘이거나 붙이는 법【熏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 서혜부와 음낭 사이에 생기는 저(고음저)【股陰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3. 서혜부 좌측과 우측에 생기는 저(횡현저 음저)【橫痃疽·陰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 무릎 위쪽 허벅지 복토혈에 생기는 저(복토저)【伏兎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5. 허벅지 바깥쪽 고관절 부위에 생기는 저(고양저)【股陽疽】부록:환도혈 부위에 생기는 저(환도저)【附 環跳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6. 허벅지 위쪽에 생기는 옹(두문옹)【肚門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7. 양 허벅지 앞뒤에 생기는 풍창(퇴유풍)【腿遊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8. 신이 허하여 정강이에 생기는 풍창(신풍창)【腎風瘡】부록:정강이에 생기는 창(하주창)【附 下疰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5) 몸조리 하는 법【調將】 | ||
+ | |||
+ | 9. 슬개골 부위에 생기는 옹(슬옹)【膝癰】부록:비저【附 疪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0. 슬안풍【膝眼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1. 이질 후유증으로 학의 무릎처럼 야위는 증상(학슬풍)【鶴膝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12. 슬개골 부위에 생기는 저(하석저)【下石疽】부록:완저【附 緩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3. 무릎 안쪽 위중혈에 생긴 종기(위중독)【委中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침과 뜸【砭焫】 | ||
+ | |||
+ | 14. 오금의 양 끝이 붓는 증상(상수어)【上水魚】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5. 무릎이나 팔꿈치에 사람 얼굴처럼 이목구비가 보이는 창(인면창)【人面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6. 무릎 아래 족삼리혈에 생기는 발저(삼리발)【三里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7. 장딴지에 생기는 발저(비천발)【腓腨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8. 장딴지에 미꾸라지 모양으로 생기는 발저(황추옹)【黃鰍癰】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9. 장딴지 아래 생기는 뱀 대가리 모양의 종기(청사독)【靑蛇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0. 경골과 발꿈치뼈(종골)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발저(접골발)【接骨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1. 삼음교혈 부위에 생기는 저(부음저)【附陰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2. 안쪽 복사뼈 근처에 생기는 저(내과저 과저)【內踝疽·踝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3. 복사뼈에 생기는 저(천과저)【穿踝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4. 정강이에 생겨서 돌아다니는 창(습독유주)【濕毒流注】부록:과등전【附 瓜藤纏】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 ||
+ | |||
+ | 25. 정강이에 생기는 창(염창)【臁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糝】 | ||
+ |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몸조리 하는 법【調將】 | ||
+ | |||
+ | 26. 장딴지에 생기는 습창(선루)【鱔漏】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27. 정강이나 오금에 생기는 저(풍저)【風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지지는 법【塗烙】 | ||
+ | |||
+ | 28. 발등에 생기는 저(족발배)【足發背】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29. 발바닥 용천혈 부위에 생기는 저(용천저)【涌泉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0.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저(탈저)【脫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摻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31. 발가락에 생기는 저(돈저)【敦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32. 발톱에 생기는 저(갑저)【甲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33. 발꿈치에 생기는 저(족근저)【足跟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4. 발 옆에 생기는 옹저(여옹)【厲癰】부록:발 아래위로 생긴 옹저(사음)【附 四淫】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35. 발가락이 짓무르는 증상(취전라)【臭田螺】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 | ||
+ | |||
+ | 36. 발꿈치와 발닥이 부어 걸을 수 없는 증상(우정건)【牛程蹇】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찜질하는 법【傅熨】 | ||
+ | |||
+ | 37. 발꿈치 옆에 밤처럼 생긴 종기(토율)【土栗】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38. 발꿈치 밑에 생긴 정창(냉정)【冷疔】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는 법【傅搽】 | ||
+ | |||
+ | 39. 티눈(육자)【肉刺】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는 법【傅搽】 | ||
+ | |||
+ | 40. 정창【疔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 ||
+ | 5) 찜질하거나 씻는 법【熨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7)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1. 몸의 여러 부위에 돌아다니는 골저(유주골저)【流注骨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 ||
+ |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42. 오래된 창이 아물지 않고 뼈가 드러나는 증삳(다골저)【多骨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비벼넣거나 붙이는 법【紝貼】 | ||
+ | 4)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43. 팥알같은 것이 줄지어 있는 저(표저)【瘭疽】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 ||
+ |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44. 기혈이 몰리고 뭉쳐 생긴 멍울(영류)【癭瘤】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貼】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 하는 법【調將】 | ||
+ | |||
+ | 45. 화열이 뭉쳐 단단해진 증상(결핵)【結核】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46. 사지가 접하는 부분에 생기는 발저(고발)【痼發】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47. 창에 구멍이 뚫리고 고름이 나오는 증상(누창)【瘻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
+ | |||
+ | 권21(총80) | ||
+ | Ⅰ. 외과【外科】 | ||
+ | 1. 옴과 버짐(개선)【疥癬】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는 법【傅搽】 | ||
+ |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6) 침과 뜸【砭焫】 | ||
+ | |||
+ | 2. 매독(양매창)【楊梅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 ||
+ | 5) 연기를 쏘이거나 등불을 쪼이는 법【熏照】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3. 나병(나풍)【癩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6)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4. 검은색 나풍과 흰색 나풍(오백라)【烏白癩】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
+ | 5. 페열과 풍독으로 생기는 나풍의 일종(폐풍창)【肺風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는 법【傅搽】 | ||
+ | |||
+ | 6. 삼음경에 풍열이 들어와 울화된 증상(혈풍창)【血風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7. 열독으로 생긴 붉은색 창(열표창)【熱熛瘡】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8. 한 곳에서 몸 전체로 번지는 창(침음창)【浸淫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9. 여름에 땀이 흘러 생긴 창(땀띠, 좌비창)【痤疿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뿌리거나 씻는 법【糝洗】 | ||
+ | |||
+ | 10. 좁쌀처럼 생긴 가려운 창(속창)【粟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11. 헝겊조각 같이 생긴 가려운 창(배뢰)【㾦癗】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2. 좁쌀같이 생긴데서 노란물이 터져 나오는 창(황수창)【黃水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는 법【傅搽】 | ||
+ | |||
+ | 13. 고양이 눈 모양으로 광채가 나는 창(묘안창)【貓眼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4. 물고기 등 모양의 창(어척창)【魚脊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5. 피부를 긁으면 흰 껍질이 일어나는 창(백비창)【白疕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
+ | 16. 꽃잎이 뒤집어진 모양의 창(번화창)【飜花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묶는 법【傅紝】 | ||
+ | |||
+ | 17. 뱀 모양의 창과 물고기 모양의 창(사전창 어목창)【蛇纏瘡魚目瘡】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바르는 법【傅搽】 | ||
+ | |||
+ | 18. 뺨과 정수리가 짓무르는 창(추창)【㿐瘡】 | ||
+ | 1) 형증【形證】 | ||
+ | 2)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
+ | 19. 화상(탕화창)【湯火瘡】부록:뜸으로 생긴 창(구창)【附 灸瘡】 | ||
+ | 1) 치료법【治法】 | ||
+ | 2) 탕액【湯液】 | ||
+ |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 ||
+ | |||
+ | 20. 동상(동창)【凍瘡】부록:준창【附 皴瘡】 | ||
+ | 1) 형증【形證】 | ||
+ | 2)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 ||
+ | |||
+ | 21. 칠창【漆瘡】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4) 금기【禁忌】 | ||
+ | |||
+ | 22. 장창【杖瘡】 | ||
+ | 1) 치료법【治法】 | ||
+ | 2) 탕액【湯液】 | ||
+ |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 ||
+ | 4) 침과 뜸【砭焫】 | ||
+ | 5)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3. 파상풍【破傷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연기를 쏘이는 법【傅熏】 | ||
+ | |||
+ | 24. 두드러기(은진)【癮疹】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5) 몸조리하는 법【調將】 | ||
+ | |||
+ | 25. 피부에 적색 또는 백색의 구름처럼 돌아다니는 증상(적백유풍)【赤白遊風】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
+ | 26. 피부에 동전같은 붉은 반점이 보이는 증상(단독)【丹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 ||
+ | 5) 침과 뜸【砭焫】 | ||
+ | |||
+ | 27. 가려움증(소양)【瘙痒】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탕액【湯液】 | ||
+ | 4) 비비거나 씻는 법【摩洗】 | ||
+ | |||
+ | 28. 몸에 희거나 보라색의 반점이 생기는 증상(역양전풍)【癧瘍癜風】 | ||
+ | 1) 형증【形證】 | ||
+ | 2) 탕액【湯液】 | ||
+ | 3) 비비거나 씻는 법【擦洗】 | ||
+ | 4) 침과 뜸【砭焫】 | ||
+ | |||
+ | 29. 사마귀(우지)【疣痣】 | ||
+ | 1) 형증【形證】 | ||
+ | 2) 치료법【治法】 | ||
+ | 3) 뿌리거나 씻는 법【點洗】 | ||
+ | 4) 침과 뜸【砭焫】 | ||
+ | 5) 푸닥거리(양법)【禳法】 | ||
+ | |||
+ | |||
+ | -권22(총81)- | ||
+ | Ⅰ. 비급【備急】 | ||
+ | 1. 제상【諸傷】 | ||
+ | 1) 금촉【金鏃】(15개) | ||
+ | 상맥도傷脈度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難治 장과 배를 다쳐 밖으로 나온 것腸肚傷出外 어혈을 풀어주고 피를 멎게 하는 법逐瘀止血 통증을 진정시키고 새살이 돋게하고 창구를 아물게 함定痛生肌合瘡 내루內漏 민절오심悶絶惡心 중풍중습中風中濕 깊은 속을 침범하여 피가 나는 것犯內血出 힘줄을 잇고 뼈를 붙이는 법續筋接骨 혀를 붙이고 목을 꿰매는 법接舌縫頸 쇠화살촉이 살이 뼈에 박혀 나오지 않는 것金鏃中肉中骨不出 화살의 독을 풀어주는 약解藥箭毒 침창針瘡 금기禁忌 | ||
+ | 2) 넘어지고 맞거나 떨어지고 눌려서 생긴 상처【跌撲墮壓傷】(11개) | ||
+ | 맥 보는 법脈度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과 쉬운 증상難易治 떨어지거나 눌려서 갑자기 죽게 된 것墮壓卒死 피가 나오지 않은 경우와 이미 나온 경우를 구분해서 치료하는 법治分未出血已出血 어혈을 몰아내고 혈을 고르게 하는 법逐瘀調血 출혈을 멎게 하고 통증을 진정시키는 법止血定痛 붓기를 가라앉히고 흉터를 없애는 법消腫滅痕 뼈를 맞추고 근육을 잇는 법接骨續筋 손으로 뼈를 맞추는 법正骨手法 귀․눈․코․혀의 상처를 치료하는 법療傷損耳目鼻舌 금기禁忌 | ||
+ | 3) 대나무와 나무가시가 살에 들어간 것【竹木骨刺傷】(2개) | ||
+ | 대나무가 살 속으로 들어간 것竹木入肉 뼛조각이 살에 박힌 것骨刺入肉 | ||
+ | 4) 온갖 동물에게 다친 것【諸獸傷】부록: 사람에게 물린 상처【人咬傷附見】(8개) | ||
+ | 곰이나 호랑이에게 다친 것熊虎傷 말이나 나귀에게 상한 것馬驢傷 소나 돼지에게 다친 것牛猪傷 고양이나 쥐에게 다친 것貓鼠傷 미친개에게 물린 상처猘犬傷 개에게 물리면 뜸을 떠야 한다犬咬宜灸 개에게 물렸을 때의 금기사항犬咬禁忌 사람에게 물린 상처人咬傷 | ||
+ | 5) 벌레에게 물린 상처【諸蟲傷】(13개) | ||
+ | 뱀에게 물린 상처蛇虺傷 독사가 몸은 감은 것毒蛇纏身 전갈에게 쏘인 것蝎螫傷 지네에게 물린 것蜈蚣傷 거미에게 물린 것蜘蛛傷 지렁이의 독이 오른 것蚯蚓傷 그리마의 오줌에 중독된 것蠼螋傷 벌이나 전갈에 쏘인 것蜂蠆傷 누에의 독이 오른 것蠶咬傷 달팽이의 독이 오른 것蝸牛傷 땅강아지에게 물린 것螻蛄傷 납거미에게 물린 것壁鏡傷 각종 벌레에게 물린 것을 두루 치료하는 법通治諸蟲傷 | ||
+ | 6) 잘못해서 이물질을 삼킨 경우【誤呑諸物】(5개) | ||
+ | 잘못해서 금․은․동․철을 삼킨 것誤呑金銀銅鐵 잘못해서 대나무나 나무가시를 삼킨 것誤呑竹木 잘못해서 뼈나 생선가시를 삼킨 것誤呑骨鯁 잘못해서 거머리를 삼켰을 때誤呑水蛭 각종 이물질이 목에 걸린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物哽喉 | ||
+ | 7)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諸物入竅】(3개) | ||
+ | 온갖 것들이 눈에 들어간 것諸物入目 이물질이 귀에 들어간 것諸物入耳 뱀이 일곱 구멍으로 들어간 것蛇入七竅 | ||
+ | |||
+ | 2. 해독【解毒】 | ||
+ | 1) 각종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毒】(2개) | ||
+ | 독에 중독되었을 때는 토하거나 설사하게 해야 한다中毒宜吐下 각종 약으로 인한 독을 풀어주는 법解諸藥毒 | ||
+ | 2) 쇠와 돌의 독【金石毒】(15개) | ||
+ | 생금의 독生金毒 생은의 독生銀毒 구리와 주석의 독銅錫毒 비상의 독砒石毒 여석의 독礜石毒 노사의 독硇砂毒 유황의 독硫黃毒 웅황의 독雄黃毒 단사의 독丹砂毒 수은과 경분의 독水銀輕粉毒 석영의 독石英毒 종유석의 독鍾乳毒 석탄의 독石炭毒 소금물의 독鹽滷毒 쇠나 돌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金石毒 | ||
+ | 3) 초목의 독【草木毒】(24개) | ||
+ | 구문의 독鉤吻毒 사망의 독射罔毒 오두․부자․천웅의 독烏頭․附子․天雄毒 서망의 독鼠莽毒 양척촉의 독羊躑躅毒 낭독의 독狼毒毒 방규의 독防葵毒 낭탕의 독莨菪毒 산우의 독山芋毒 대극의 독大戟毒 감수의 독甘遂毒 원화의 독芫花毒 선모의 독仙茅毒 여로의 독藜蘆毒 반하와 천남성의 독半夏․南星毒 쑥잎의 독艾葉毒 연초의 독煙草毒 파두의 독巴豆毒 계수나무의 독桂毒 동유의 독桐油毒 고련의 독苦練毒 상백피의 독桑白皮毒 촉초의독蜀椒毒 매탄의독煤炭毒 | ||
+ | 4) 과일과 채소의 독【菓蓏蔬菜毒】(17개) | ||
+ | 배의 독梨毒 복숭아의 독桃毒 석류의 독石榴毒 행인의 독杏仁毒 은행의 독銀杏毒 수박의 독西瓜毒 고호의 독苦瓠毒 참외꼭지의 독瓜蔕毒 길경의 독桔梗毒 미나리의 독水芹毒 수낭탕의 독水莨菪毒 상추의 독萵苣毒 번초의 독番椒毒 야우의 독野芋毒 야생 버섯의 독野菌毒 해초의 독海菜毒 과일과 채소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菓蓏․蔬菜毒 | ||
+ | 5) 벌레와 생선의 독【蟲魚毒】(15개) | ||
+ | 반모․원청․메뚜기의 독斑蝥․芫靑․樗鷄毒 지네의 독蜈蚣毒 쥐며느리의 독䗪蟲毒 물벌레의 독水蟲毒 남사 머리의 독藍蛇頭毒 하마의 독蝦蟆毒 복어의 독河豚毒 황상어의 독黃鱨魚毒 선어의 독鱓魚毒 후이어의 독鯸鮧魚毒 새우의 독鰕毒 말조개의 독馬刀毒 자라의 독鼈毒 게의 독蟹毒 각종 생선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魚毒 | ||
+ | 6) 짐승의 독【禽獸毒】(13개) | ||
+ | 짐새의 독鴆毒 꿩고기의 독雉肉毒 산비둘기의 독斑鳩毒 닭고기의 독鷄肉毒 계란의 독鷄子毒 거위와 오리고기의 독鵝鴨肉毒 무소뿔의 독犀角毒 쇠고기의 독牛肉毒 개고기의 독狗肉毒 돼지고기의 독猪肉毒 말고기의 독馬肉毒 말땀의 독馬汗毒 날짐승과 들짐승의 고기를 먹고 중독된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禽獸肉毒 | ||
+ | 7) 음료수와 음식의 독【飮饌毒】(5개) | ||
+ | 술독酒毒 술독을 푸는 법解酒毒 면독麪毒 두부의 독豆腐毒 음료수와 음식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飮饌毒 | ||
+ | 8) 고독【蠱毒】(12개) | ||
+ | 맥 보는 법脈度 원인緣起 고독을 시험하는 방법驗蠱法 고독에는 토하는 것이 좋다蠱毒宜吐下 고를 내보내는 법送蠱法 고를 피하는 법辟蠱法 고독에 중독되었을 때 뜸뜨는 법灸蠱法 금기禁忌 금잠의 고독金蠶蠱毒 도생독挑生毒 사공과 계온의 독射工溪溫毒 사슬의 독沙蝨毒 | ||
+ | |||
+ | -권23(총82)- | ||
+ | Ⅰ. 비급【備急】 | ||
+ | 1. 기질【奇疾】 | ||
+ | 1) 여러 가지 급성병【諸般暴病】(11개) | ||
+ | 중악객오中惡客忤 귀염鬼魘 귀격鬼擊 시궐尸厥 궐역졸사厥逆卒死 혈궐血厥 탈양脫陽 교장사絞腸沙 우물과 무덤에 들어갔을 때 갑자기 죽는 증상入井塚卒死 선훈船暈 탈함脫頷 | ||
+ | 2) 여러 가지 괴이한 증상【諸般怪證】(43개) | ||
+ | 절장증截腸證 맥일증脈溢證 이가 생겨 살이 허물어짐蝨出肉壞 콧속에서 털이 나오는 증상鼻中出毛 간창증肝漲證 혈궤증血潰證 미모요동眉毛搖動 온 몸에 반점이 생기는 증상渾身發斑 사지가 돌 같이 굳는 증상肢堅如石 화생하어化生鰕魚 손가락을 봉합한 곳에 벌레가 생기는 증상指縫生蟲 피부에서 지렁이 울음소리가 나는 증상皮膚蚓鳴 손바닥에서 살이 일어나는 증상掌中肉起 내추증內錐證 화생금수化生禽獸 복여철석腹如鐵石 편신작성遍身作聲 혈옹증血壅證 혈여증血餘證 피하유충皮下有蟲 기출반선氣出盤旋 혼신료포渾身燎疱 인신작양人身作兩 근해증筋解證 신종여사身腫如蛇 신유광색身有光色 비사전음飛絲纏陰 두종시소頭腫視小 안견묘귀眼見貓鬼 시물도식視物倒植 안견오색眼見五色 합정질蛤精疾 견수기색見水氣塞 토장증吐腸證 흡시증吸匙證 흡고증吸藁證 주양증走陽證 서격병鼠膈病 오절자액사五絶自縊死 익수사溺水死 동사凍死 갈사暍死 아사餓死 | ||
+ | |||
+ | 2. 벽양【辟禳】 | ||
+ | 1) 온병을 쫓아내는 법【辟瘟】(5개) | ||
+ | 복이服餌 불양祓禳 훈소熏燒 부주符呪 입역가불전염법入疫家不傳染法 | ||
+ | 2) 학질을 쫓아내는 법【辟瘧】(3개) | ||
+ | 복이服餌 불양祓禳 부주符呪 | ||
+ | 3) 삼시를 쫓아내는 법【辟三尸】(2개) | ||
+ | 불양祓禳 부주符呪 | ||
+ | 4) 사매를 쫓아내는 법【辟邪魅】(9개) | ||
+ | 복이服餌 불양祓禳 훈소熏燒 벽호매辟狐魅 벽수매辟水魅 벽망량작괴辟魍魎作怪 벽몽염辟夢魘 벽저주치사수辟咀呪致邪祟 벽범태세병辟犯太歲病 | ||
+ | 5) 벌레들을 쫓아내는 법【辟諸蟲】(15개) | ||
+ | 이를 쫓는 법辟蝨 머릿니를 쫓는 법辟頭蝨 개에 사는 이를 쫓는 법辟狗蝨 빈대를 쫓는법辟壁蝨 모기를 쫓는 법辟蚊 파리를 쫓는 법辟蠅 지네를 쫓는 법辟蜈蚣 그리마를 쫓는 법辟蚰蜒 땅강아지와 개미를 쫓는 방법辟螻蟻 개구리를 쫓는 법辟蛙 잡벌레를 쫓는 법辟雜蟲法 부엌에 사는 여러 벌레들을 쫓는 법辟廚間諸蟲 우물 속 여러 벌레들을 쫓는 법辟井中諸蟲 여러 벌레들이 등불에 날아드는 것을 쫓는 법辟諸蟲撲燈 뱀과 살모사를 쫓는 법辟蛇虺 | ||
+ | 6) 짐승들을 쫓아내는 법【辟鳥獸】(4개) | ||
+ | 제비를 쫓는 법辟燕 올빼미와 부엉이를 쫓는 법辟梟鵂 쥐를 쫓는 법辟鼠 호랑이와 표범을 쫓는 법辟虎豹 | ||
+ | |||
+ | |||
+ | |||
+ | -권24(총83)- | ||
+ | Ⅰ. 부여【附餘】 | ||
+ | 1. 약 만들기【炮製序例】 | ||
+ | 1) 약의 품질【論藥品】(2개) | ||
+ | 진짜와 가짜 판별법辨眞僞 신선한 것과 묵은 것선택하기擇新陳 | ||
+ | 2) 약의 성질【論藥性】(3개) | ||
+ | 뿌리․잔뿌리․꽃․열매의 차이根梢花實之異 함께 사용하는 약들諸藥相須 여러 가지 상반약諸藥相反 | ||
+ | 3) 약을 손질하는 방법【論修製】(3개) | ||
+ | 생 것을 쓰는 것과 익힌 것을 쓰는것生用熟用 불과물을 사용하여 수치하는방법火製水製 수치하는 방법諸藥修製法 | ||
+ | 4) 약의 분량을 재는 방법【論分劑】(4개) | ||
+ | 무게를 재는 법秤輕重 부피를 재는 법量多少 부피와 무게를 환산하여 바르게 내는 법秤量互用得正 도규와 방촌시를 구별하는 방법辨刀圭方寸匕諸法 | ||
+ | 5) 약을 합하는 방법【論合藥】(4개) | ||
+ | 탕제․산제․환제의 차이湯散丸之異 탕제를 만드는 법製湯劑法 산제를 만드는 방법製散劑法 환제를 만드는 방법製丸劑法 | ||
+ | 6) 약을 달이는 방법【論煮藥】(8개) | ||
+ | 물의 종류擇水品 불을 살피는 방법調火候 기구를 선택하기選器具 약을 달이는 기준煎藥准則 약에는 먼저 달이는 약과 뒤에 넣는 약이 있다藥有先煎後調 재탕에 대한 생각辨藥渣再煎 고약을 달이는 법煎膏藥法 약을 술에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 ||
+ | 7) 약을 복용하는 방법【論服藥】(3개) | ||
+ | 탕제를 복용하는 방법服湯劑法 산제복용방법服散劑法 환제복용법服丸劑法 | ||
+ | 8) 여러 가지 금기【禁忌諸法】(4개) | ||
+ |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忌煙火藥 약을 복용할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약을 만들거나 복용할 때의 금기사항合藥服藥雜忌 | ||
+ | 9) 그 밖의 제조 방법【製造雜方】(31개) | ||
+ | 건지황乾地黃 숙지황熟地黃 남성국南星麴 우담남성牛膽南星 반하병半夏餠 반하분半夏粉 반하국半夏麴 천화분天花粉 대두황권大豆黃卷 두시豆豉 두황豆黃 신국神麴 홍국紅麴 건강乾薑 죽력竹瀝 연밀煉蜜 주자랍酒煮蠟 백약전百藥煎 소酥 유부乳腐 아교阿膠 녹각교상鹿角膠霜 녹각분鹿角粉 섬소蟾酥 귀뇨龜尿 해분海粉 인중황人中黃 연상鉛霜 철화분鐵華粉 풍화초風化硝 현명분玄明粉 | ||
+ | 10) 점성이 있거나 단단한 약재들을 가는 방법【硏粘硬諸藥法】(7개) | ||
+ | 등심燈心 봉출蓬朮 토사자兎絲子 침향沈香 유향乳香 맥문동麥門冬 서각犀角 | ||
+ | |||
+ | 2. 채취하는 시기【收採時令】<상편> | ||
+ | 1) 총론【總論】(2개) | ||
+ | 정해진 시기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는 이유論不拘時月 햇볕에말리는것,그늘에말리는것,불에말리는것의 다른 점論曝乾陰乾火乾之異 | ||
+ | 2) 초부【草部】(231개) | ||
+ | 감초甘草 황기黃芪 인삼人蔘 사삼沙蔘 제니薺苨 길경桔梗 장송長松 황정黃精 위유萎蕤 지모知母 천마天麻 출朮 구척狗脊 관중貫衆 파극천巴戟天 원지遠志 음양곽淫羊藿 현삼玄蔘 지유地楡 자초紫草 백두옹白頭翁 백급白及 황련黃連 황금黃芩 진교秦艽 시호柴胡 전호前胡 방풍防風 독활獨活 승마升麻 고삼苦蔘 백선白鮮 현호색玄胡索 패모貝母 산자고山慈姑 모근茅根 용담龍膽 세신細辛 마제향馬蹄香 급기及己 서장경徐長卿 백미白薇 백전白前 당귀當歸 천궁芎藭 사상자蛇牀子 고본藁本 백지白芷 작약芍藥 목단牡丹 청목향靑木香 울금鬱金 삼릉三稜 향부자香附子 모향화茅香花 난초蘭草 택란澤蘭 마란馬蘭 향유香薷 형개荊芥 박하薄荷 적설초積雪草 자소紫蘇 계소鷄蘇 감국甘菊 고의苦薏 암려자菴䕡子 애艾 인진호茵蔯蒿 청호靑蒿 백호白蒿 각호角蒿 모호牡蒿 익모초益母草 하고초夏枯草 유기노초劉寄奴草 선복화旋覆花 청상靑葙 계관鷄冠 홍람화紅藍花 대계大薊․소계小薊 속단續斷 누로漏蘆 저근苧根 경마苘麻 대청大靑 여실蠡實 악실惡實 창이蒼耳 지숭地菘 학슬鶴蝨 희렴豨薟 약箬 노근蘆根 파초芭蕉 양하蘘荷 마황麻黃 목적木賊 등초燈草 지황地黃 우슬牛膝 자완紫菀 맥문동麥門冬 훤초萱草 촉규蜀葵 황촉규黃蜀葵 용규龍葵 산장酸漿 패장敗漿 관동화款冬花 서국초鼠麴草 마제결명馬蹄決明 지부자地膚子 구맥瞿麥 왕불류행王不留行 정력葶藶 차전車前 마편초馬鞭草 사함蛇含 여청女靑 서미초鼠尾草 한련초旱蓮草 연교連翹 삭조蒴藋 남실藍實 숭람菘藍 남전藍澱 청대靑黛 여뀌蓼 수료水蓼 마료馬蓼 홍초葒草 호장근虎杖根 편축萹蓄 질려蒺藜 곡정초穀精草 해금사海金沙 지오공초地蜈蚣草 자화지정紫花地丁 독용장군獨用將軍 견종소見腫消 대황大黃 상륙商陸 낭독狼毒 낭아狼牙 여여䕡茹 대극大戟 택칠澤漆 속수자續隨子 낭탕자莨菪子 비마蓖麻 상산常山 여로藜蘆 백부자白附子 초오두草烏頭 천남성天南星 반하半夏 자하거紫河車 귀구鬼臼 사간射干 옥잠화玉簪花 봉선화鳳仙花 양척촉羊躑躅 망초莽草 모랑毛莨 토사자菟絲子 오미자五味子 봉류蓬虆 복분자覆盆子 사매蛇苺 마두령馬兜鈴 견우자牽牛子 선화旋花 능소화凌霄花 영실營實 월계화月季花 과루栝樓 왕과王瓜 갈葛 천문동天門冬 하수오何首烏 비해萆薢 발계菝葜 토복령土茯苓 백렴白蘞 여위女萎 위령선威靈仙 천근茜根 통초通草 나마蘿藦 오렴매烏蘞苺 율초葎草 양도羊桃 낙석絡石 벽려薜荔 인동忍冬 남등南藤 택사澤瀉 양제근羊蹄根 산모酸模 창포菖蒲 포황蒲黃 과菰 수평水萍 행채莕菜 순蓴 해조海藻 해대海帶 곤포昆布 석곡石斛 골쇄보骨碎補 석위石韋 금성초金星草 경천景天 석호유石胡荽 경면초鏡面草 초장초酢漿草 지금地錦 백용수白龍鬚 정중태井中苔 선저태船底苔 지의초地衣草 환의垣衣 와의瓦衣 와송瓦松 오구烏韭 토마종土馬騣 권백卷柏 상화桑花 마발馬勃 | ||
+ | |||
+ | -권25(총84)- | ||
+ | Ⅰ. 부여【附餘】 | ||
+ | 1. 채취하는 시기【收採時令】<하편> | ||
+ | 1) 곡부(곡식)【穀部】(42개) | ||
+ | 호마胡麻 지마脂麻 대마大麻 소맥小麥 대맥大麥 작맥雀麥 교맥蕎麥 나미糯米 갱미粳米 직稷 서黍 촉서蜀黍 옥촉서玉蜀黍 량粱 속미粟米 출미秫米 의이薏苡 앵자속罌子粟 아부용阿芙蓉 대두大豆 소두小豆 녹두綠豆 완두豌豆 변두藊豆 두시豆豉 두황豆黃 두부豆腐 진름미陳廩米 한구寒具 증병蒸餠 맥국麥麴 신국神麴 홍국紅麴 도얼稻糱 맥얼麥糱 이당飴糖 장醬 초醋 주酒 소주燒酒 조糟 저두당杵頭糖 | ||
+ | 2) 채부(채소)【菜部】(55개) | ||
+ | 구韭 총葱 호총胡葱 해薤 산蒜 호葫 운대芸薹 숭菘 개芥 백개白芥 무청蕪菁 래복萊菔 생강生薑 건강乾薑 호유胡荽 근芹 근채堇菜 자근紫堇 마근馬芹 회향茴香 시라蒔蘿 나륵羅勒 동규冬葵 파릉菠薐 군달莙薘 번루繁縷 계장초鷄腸草 목숙苜蓿 현莧 마치현馬齒莧 고채苦菜 백거白苣 와거萵苣 번백초翻白草 포공영蒲公英 즙蕺 교요翹搖 회조灰藋 려藜 제薺 석명菥蓂 서여薯蕷 백합百合 우芋 죽순竹筍 가茄 호로壺盧 고호苦瓠 패표敗瓢 동과冬瓜 호과胡瓜 사과絲瓜 목이木耳 토균土菌 석이石耳 | ||
+ | 3) 과부(과일)【果部】(40개) | ||
+ | 리李 행杏 매梅 도桃 율栗 조棗 리梨 녹리鹿梨 당리棠梨 목과木瓜 산사山樝 임금林檎 시柿 석류石榴 귤피橘皮 감柑 등橙 유柚 앵도櫻桃 은행銀杏 호도胡桃 진榛 상실橡實 곡槲 비실榧實 해송자海松子 진초秦椒 촉초蜀椒 식수유食茱萸 명茗 첨과甜瓜 서과西瓜 포도葡萄 영욱蘡薁 미후도獼猴桃 연蓮 기실芰實 검실芡實 오우烏芋 자고慈姑 | ||
+ | 4) 목부(나무)【木部】(53개) | ||
+ | 백柏 송松 삼杉 정향丁香 자단紫檀 안식향安息香 황벽黃檗 춘저椿樗 칠漆 재梓 추楸 백동白桐 오동梧桐 앵자동罌子桐 해동海桐 괴槐 진피秦皮 합환목合歡木 조협皂莢 비조협肥皂莢 무환자無患子 거欅 류柳 정류檉柳 수양水楊 백양白楊 유楡 무이蕪荑 소방목蘇方木 화피樺皮 상桑 자柘 저楮 지枳 구귤枸橘 치자梔子 산조酸棗 백극白棘 산수유山茱萸 욱리郁李 서리鼠李 여정女貞 위모衛矛 오가五加 구기枸杞 모형牡荊 만형실蔓荊實 자형紫荊 목근木槿 목부용木芙蓉 복령茯苓 호박琥珀 죽竹 | ||
+ | 5) 복기부(의복과 기물)【服器部】(25개) | ||
+ | 금錦 견絹 백帛 포布 면綿 곤당褌襠 의대衣帶 두건頭巾 피건자皮巾子 패천공敗天公 전체氈屜 피화皮靴 마혜麻鞋 초혜草鞋 지紙 전箭 궁노현弓弩弦 소비梳篦 포석蒲席 칠기漆器 패선여敗船茹 증甑 폐추弊帚 우비권牛鼻牶 측주廁籌 | ||
+ | 6) 고부(벌레)【蠱部】(52개) | ||
+ | 봉밀蜂蜜 밀랍蜜蠟 밀봉蜜蜂 토봉자土蜂子 노봉방露蜂房 열옹蠮螉 충백랍蟲白蠟 오배자五倍子 백약전百藥煎 상표초桑螵蛸 작옹雀甕 누에蠶 원잠原蠶 저계樗鷄 조묘棗貓 반모斑蝥 원청芫靑 갈상정장葛上亭長 지담地膽 지주蜘蛛 초지주草蜘蛛 벽전壁錢 수질水蛭 저蛆 우슬牛蝨 인슬人蝨 제조蠐螬 상두충桑蠹蟲 류두충 도두충桃蠹蟲 죽두충竹蠹蟲 창이두충蒼耳蠹蟲 책선蚱蟬 강랑蜣蜋 천우天牛 누고螻蛄 형화螢火 의어衣魚 서부鼠婦 자충蟅蟲 맹충蝱蟲 죽슬竹蝨 섬여蟾蜍 하마蝦蟆 와蛙 과두蝌蚪 오공蜈蚣 구인蚯蚓 와우蝸牛 활유蛞蝓 연상라緣桑蠃 회충蚘蟲 | ||
+ | 7) 인부(물고기)【鱗部】(45개) | ||
+ | 용龍 능리鯪鯉 석룡자石龍子 수궁守宮 사태蛇蛻 백화사白花蛇 오사烏蛇 수사水蛇 황함사黃頷蛇 적련사赤楝蛇 복사蝮蛇 훼虺 잉어鯉魚 준어鱒魚 치어鯔魚 석수어石首魚 륵어勒魚 제어鱭魚 시어鰣魚 창어鯧魚 즉어鯽魚 방어魴魚 노어鱸魚 궐어鱖魚 예어鱧魚 만려어鰻鱺魚 선어鱓魚 추어鰌魚 이어鮧魚 황상어黃顙魚 하돈河豚 비목어比目魚 교어鮫魚 오적어烏賊魚 장어章魚 해요어海鷂魚 문요어文鰩魚 하鰕 해마海馬 축이鱁鮧 어회魚鱠 어자魚鮓 어지魚脂 어린魚鱗 어자魚子 | ||
+ | 8) 개부(단단한 껍질을 가진 동물)【介部】(20개) | ||
+ | 귀龜 대모玳瑁 별鼈 게蟹 모려牡蠣 방蚌 마도馬刀 현蜆 진주眞珠 석결명石決明 해합海蛤 문합文蛤 합리蛤蜊 정蟶 거오車螯 패자貝子 자패紫貝 담채淡菜 전라田蠃 와라蝸蠃 | ||
+ | 9) 금부(날짐승)【禽部】(31개) | ||
+ | 학鶴 관鸛 독추鵚鶖 제호鵜鶘 아鵝 안雁 곡鵠 목鶩 부鳧 비오리 원앙鴛鴦 로鷺 닭鷄 꿩雉 순鶉 합鴿 작雀 호작蒿雀 교부조巧婦鳥 연燕 복익伏翼 반구斑鳩 청초靑鷦 탁목조啄木鳥 오아烏鴉 작鵲 응鷹 치鴟 치휴鴟鵂 효鴞 | ||
+ | 10) 수부(길짐승)【獸部】(46개) | ||
+ | 돼지豕 개狗 양羊 소牛 말馬 당나귀驢 낙타駝 낙酪 연유酥 제호醍醐 유부乳腐 아교阿膠 황명교黃明膠 우황牛黃 구보狗寶 온갖 썩은 뼈諸朽骨 낡은 북가죽敗鼓皮 모전氈 호랑이虎 표범豹 멧돼지野猪 산돼지豪猪 곰熊 산양羚羊 사슴鹿 큰사슴麋 노루麞 작은노루麂 사향노루麝 무소뿔犀角 고양이貓 삵貍 여우狐 담비貉 오소리猯 너구리獾 승냥이豺 이리狼 토끼兎 망가진 붓敗筆 수달水獺 물개膃肭獸 집쥐鼠 두더지鼴鼠 족제비鼬鼠 고슴도치猬 | ||
+ | 11) 인부(사람의 부속물)【人部】(25개) | ||
+ | 발피髮髲 난발亂髮 머리때頭垢 귀지耳塞 손톱爪甲 치아牙齒 인분人屎 인뇨人尿 오줌버캐溺白垽 추석秋石 임석淋石 벽석癖石 유즙乳汁 부인월수婦人月水 사람의 피人血 사람의 정액人精 타액口津唾 치은齒垽 인백人魄 음모陰毛 인골人骨 천령개天靈蓋 태반人胞 포의수胞衣水 막 태어난 아이의 탯줄初生臍帶 | ||
+ | 12) 수부(물)【水部】(27개) | ||
+ | 빗물雨水 장마비潦水 이슬露水 명수明水 서리冬霜 납설臘雪 여름철얼음夏氷 신수神水 반천하수半天河水 옥루수屋漏水 유수流水 정천수井泉水 절기수節氣水 예천醴泉 온천溫泉 벽해수碧海水 염담수鹽膽水 산암천수山岩泉水 지장地漿 열탕熱湯 생숙탕生熟湯 장수漿水 증기수甑氣水 마도수磨刀水 침람수浸藍水 손과 발을 씻은 물洗手足水 아이를 씻긴 물洗兒湯 | ||
+ | 13) 화부(불)【火部】(6개) | ||
+ | 상시화桑柴火 숯불炭火 노화·죽화蘆火․竹火 등불燈火 등화燈花 촉신燭燼 | ||
+ | 14) 토부(흙)【土部】(38개) | ||
+ | 백토白堊 적토赤土 황토黃土 동벽토東壁土 도중열토道中熱土 거련토車輦土 시문토市門土 문지방 아래의 흙戶限下土 신발바닥의 흙鞋底下土 기둥 밑의 흙柱下土 시체를 태운 곳의 흙燒尸場上土 무덤위의 흙塚上土 뽕나무뿌리 아래의 흙桑根下土 제비집의 흙胡燕窠土 나나니벌집土蜂窠 쇠똥구리가 굴리는 흙蜣蜋轉丸 서양토鼠壤土 두더지가 파헤친 흙鼢鼠壤土 개미집흙蟻垤土 지렁이가 배설한 진흙蚯蚓泥 우렁이흙螺螄泥 돼지 여물통 위에 낀 흙猪槽上垢土 개가 오줌 싼 흙犬尿泥 똥구덩이 밑바닥의 흙糞坑底泥 처마 밑 물이 떨어진 곳의 흙簷溜下泥 우물 밑바닥의 흙井底泥 복룡간伏龍肝 토격土墼 하얀 사기그릇白瓷器 오래된 까만 기와烏古瓦 오래된 벽돌古塼 연교煙膠 먹墨 가마솥 밑의 검댕釜臍墨 백초상百草霜 들보위의 먼지梁上塵 단조회鍛竈灰 매운재冬灰 | ||
+ | 15) 금석부(광물)【金石部】(63개) | ||
+ | 금金 은銀 붉은구리赤銅 자연동自然銅 구리의 녹銅靑 납鉛 연상鉛霜 분석粉錫 연단鉛丹 밀타승蜜陀僧 주석錫 오래된 거울古鏡 석동경비錫銅鏡鼻 고문전古文錢 모든 구리그릇諸銅器 생철生鐵 숙철熟鐵 강철鋼鐵 철분鐵粉 침사鍼砂 철락鐵落 철정鐵精 철화분鐵華粉 철수鐵鏽 철열鐵爇 철장鐵漿 쇠로 만든 기물諸鐵器 유리琉璃 운모雲母 백석영白石英 자석영紫石英 석고石膏 옥화석玉火石 이석理石 장석長石 방해석方解石 활석滑石 종유석石鍾乳 석탄石炭 석회石灰 부석浮石 자석慈石 대자석代赭石 우여량禹餘糧 월지越砥 강석薑石 맥반석麥飯石 물속의 하얀 돌水中白石 하사河砂 벽력침霹靂碪 식염食鹽 박초朴消 망초芒消 마아초馬牙消 풍화초風化消 현명분玄明粉 초석消石 석유황石硫黃 석유적石硫赤 반석礬石 녹반綠礬 탕병내감湯甁內鹼 화약火藥 | ||
+ | |||
+ | -권26(총85)- | ||
+ | Ⅰ. 부여【附餘】 | ||
+ | 1. 침구수혈【鍼灸腧穴】 | ||
+ | 1) 몸의 각 부위의 명칭과 위치 그리고 골도법【周身名位骨度】(109개) | ||
+ | 두頭 뇌腦 전顚 신顖 면面 안顏 액로額顱 두각頭角 빈골鬢骨 목目 목포目胞 목강目綱 목내자目內眥 목외자目外眥 목주目珠 목계目系 목광골目眶骨 졸䪼 알頞 비鼻 구頄 관顴 함顑 이耳 폐蔽 이곽耳郭 협頰 곡협曲頰 협거頰車 인중人中 구口 순脣 문吻 이頤 해頦 함頷 치齒 설舌 설본舌本 항상頏顙 현옹수懸雍垂 회염會厭 인咽 후喉 후롱喉嚨 익嗌 결후結喉 흉응胸膺 갈우𩩲 우유乳 구미鳩尾 격膈 복腹 제臍 모제毛際 찬篡 고환睪丸 상횡골上橫骨 주골拄骨 견해肩解 우골髃骨 견갑肩胛 비臂 완腕骨 장골掌骨 어魚 수手 수심手心 수배手背 지골指骨 조갑爪甲 기골岐骨 노臑 액腋 협륵脅肋 계협季脅 묘䏚 뇌후골腦後骨 침골枕骨 완골完骨 경항頸項 경골頸骨 항골項骨 배背 려膂 척골脊骨 요골腰骨 신胂 둔臀 고골尻骨 항肛 하횡골·과골·건골下橫骨·髁骨·楗骨 고股 비골髀骨 행골胻骨 복토伏兎 슬해膝解 빈골臏骨 연해連骸 괵膕 천腨 과골踝骨 족足 부골跗骨 족심足心 근골跟骨 지趾 삼모三毛 종踵 | ||
+ | 2) 수태음폐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太陰肺經流注腧穴】(11개) | ||
+ | 소상 2혈少商二穴 어제 2혈魚際二穴 태연 2혈太淵二穴 경거 2혈經渠二穴 열결 2혈列缺二穴 공최 2혈孔最二穴 척택 2혈尺澤二穴 협백 2혈俠白二穴 천부 2혈天府二穴 운문 2혈雲門二穴 중부 2혈中府二穴 | ||
+ | 3) 수양명대장경의 흐름과 혈자리【手陽明大腸經流注腧穴】(20개) | ||
+ | 상양 2혈商陽二穴 이간 2혈二間二穴 삼간 2혈三間二穴 합곡 2혈合谷二穴 양계 2혈陽谿二穴 편력 2혈偏歷二穴 온류 2혈溫留二穴 하렴 2혈下廉二穴 상렴 2혈上廉二穴 삼리 2혈三里二穴 곡지 2혈曲池二穴 주료 2혈肘髎二穴 오리 2혈五里二穴 비노 2혈臂臑二穴 견우 2혈肩髃二穴 거골 2혈巨骨二穴 천정 2혈天鼎二穴 영향 2혈迎香二穴 부돌 2혈扶突二穴 화료 2혈禾髎二穴 | ||
+ | 4) 족양명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陽明胃經流注腧穴】(45개) | ||
+ | 여태 2혈厲兌二穴 내정 2혈內庭二穴 함곡 2혈陷谷二穴 충양 2혈衝陽二穴 해계 2혈解谿二穴 풍륭 2혈豐隆二穴 하거허 2혈下巨虛二穴 조구 2혈條口二穴 상거허 2혈上巨虛二穴 삼리 2혈三里二穴 독비 2혈犢鼻二穴 양구 2혈梁丘二穴 음시 2혈陰市二穴 비관 2혈髀關二穴 복토 2혈伏兔二穴 기충 2혈氣衝二穴 귀래 2혈歸來二穴 수도 2혈水道二穴 대거 2혈大巨二穴 외릉 2혈外陵二穴 천추 2혈天樞二穴 활육문 2혈滑肉門二穴 태일 2혈太一二穴 관문 2혈關門二穴 양문 2혈梁門二穴 승만 2혈承滿二穴 불용 2혈不容二穴 유근 2혈乳根二穴 유중 2혈乳中二穴 응창 2혈膺窓二穴 옥예 2혈屋翳二穴 고방 2혈庫房二穴 기호 2혈氣戶二穴 결분 2혈缺盆二穴 기사 2혈氣舍二穴 수돌 2혈水突二穴 인영 2혈人迎二穴 대영 2혈大迎二穴 지창 2혈地倉二穴 거료 2혈巨髎二穴 사백 2혈四白二穴 승읍 2혈承泣二穴 협거 2혈頰車二穴 하관 2혈下關二穴 두유 2혈頭維二穴 | ||
+ | 5) 족태음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太陰脾經流注腧穴】(21개) | ||
+ | 은백 2혈隱白二穴 대도 2혈大都二穴 태백 2혈太白二穴 공손 2혈公孫二穴 상구 2혈商丘二穴 삼음교 2혈三陰交二穴 누곡 2혈漏谷二穴 지기 2혈地機二穴 음릉천 2혈陰陵泉二穴 혈해 2혈血海二穴 기문 2혈箕門二穴 충문 2혈衝門二穴 부사 2혈府舍二穴 복결 2혈腹結二穴 대횡 2혈大橫二穴 복애 2혈腹哀二穴 식두 2혈食竇二穴 천계 2혈天谿二穴 흉향 2혈胷鄕二穴 주영 2혈周榮二穴 대포 2혈大包二穴 | ||
+ | 6) 수소음심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少陰心經流注腧穴】(9개) | ||
+ | 소충 2혈少衝二穴 소부 2혈少府二穴 신문 2혈神門二穴 음극 2혈陰郤二穴 통리 2혈通里二穴 영도 2혈靈道二穴 소해 2혈少海二穴 청령 2혈靑靈二穴 극천 2혈極泉二穴 | ||
+ | 7) 수태양소장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太陽小腸經流注腧穴】(19개) | ||
+ | 소택 2혈少澤二穴 전곡 2혈前谷二穴 후계 2혈後谿二穴 완골 2혈腕骨二穴 양곡 2혈陽谷二穴 양로 2혈養老二穴 지정 2혈支正二穴 소해 2혈小海二穴 견정 2혈肩貞二穴 노수 2혈臑腧二穴 천종 2혈天宗二穴 병풍 2혈秉風二穴 곡원 2혈曲垣二穴 견외수 2혈肩外腧二穴 견중수 2혈肩中腧二穴 천용 2혈天容二穴 천창 2혈天窓二穴 관료 2혈顴髎二穴 청궁 2혈聽宮二穴 | ||
+ | 8) 족태양방광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太陽膀胱經流注腧穴】(63개) | ||
+ | 지음 2혈至陰二穴 통곡 2혈通谷二穴 속골 2혈束骨二穴 금문 2혈金門二穴 경골 2혈京骨二穴 신맥 2혈申脈二穴 복참 2혈僕參二穴 곤륜 2혈崑崙二穴 부양 2혈付陽二穴 비양 2혈飛陽二穴 승산 2혈承山二穴 승근 2혈承筋二穴 합양 2혈合陽二穴 위중 2혈委中二穴 위양 2혈委陽二穴 부극 2혈浮郄二穴 은문 2혈殷門二穴 승부 2혈承扶二穴 질변 2혈秩邊二穴 포황 2혈胞肓二穴 지실 2혈志室二穴 황문 2혈肓門二穴 위창 2혈胃倉二穴 의사 2혈意舍二穴 양강 2혈陽綱二穴 혼문 2혈魂門二穴 격관 2혈膈關二穴 의의 2혈譩譆二穴 신당 2혈神堂二穴 고황수 2혈膏肓腧二穴 백호 2혈魄戶二穴 부분 2혈附分二穴 회양 2혈會陽二穴 하료 2혈下髎二穴 중료 2혈中髎二穴 차료 2혈次髎二穴 상료 2혈上髎二穴 백환수 2혈白環腧二穴 중려내수 2혈中膂內腧二穴 방광수 2혈膀胱腧二穴 소장수 2혈小腸腧二穴 대장수 2혈大腸腧二穴 신수 2혈腎腧二穴 삼초수 2혈三焦腧二穴 위수 2혈胃腧二穴 비수 2혈脾腧二穴 담수 2혈膽腧二穴 간수 2혈肝腧二穴 격수 2혈膈腧二穴 심수 2혈心腧二穴 궐음수 2혈厥陰腧二穴 폐수 2혈肺腧二穴 풍문 2혈風門二穴 대저 2혈大杼二穴 천주 2혈天柱二穴 옥침 2혈玉枕二穴 낙각 2혈絡却二穴 통천 2혈通天二穴 승광 2혈承光二穴 오처 2혈五處二穴 곡차 2혈曲差二穴 찬죽 2혈攢竹二穴 정명 2혈睛明二穴 | ||
+ | 9) 족소음신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少陰腎經流注腧穴】(26개) | ||
+ | 용천 2혈湧泉二穴 연곡 2혈然谷二穴 태계 2혈太谿二穴 태종 2혈太鍾二穴 조해 2혈照海二穴 수천 2혈水泉二穴 부류 2혈復溜二穴 교신 2혈交信二穴 축빈 2혈築賓二穴 음곡 2혈陰谷二穴 횡골 2혈橫骨二穴 대혁 2혈大赫二穴 기혈 2혈氣穴二穴 사만 2혈四滿二穴 중주 2혈中注二穴 황수 2혈肓腧二穴 상곡 2혈商谷二穴 석관 2혈石關二穴 음도 2혈陰都二穴 통곡 2혈通谷二穴 보랑 2혈步郞二穴 신봉 2혈神封二穴 영허 2혈靈墟二穴 신장 2혈神藏二穴 욱중 2혈彧中二穴 수부 2혈腧府二穴 | ||
+ | 10) 수궐음심포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厥陰心包經流注腧穴】(9개) | ||
+ | 중충 2혈中衝二穴 노궁 2혈勞宮二穴 대릉 2혈大陵二穴 내관 2혈內關二穴 간사 2혈間使二穴 극문 2혈郄門二穴 곡택 2혈曲澤二穴 천천 2혈天泉二穴 천지 2혈天池二穴 | ||
+ | 11) 수소양삼초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少陽三焦經流注腧穴】(23개) | ||
+ | 관충 2혈關衝二穴 액문 2혈液門二穴 중저 2혈中渚二穴 양지 2혈陽池二穴 외관 2혈外關二穴 지구 2혈支溝二穴 회종 2혈會宗二穴 삼양락 2혈三陽絡二穴 사독 2혈四瀆二穴 천정 2혈天井二穴 청냉연 2혈淸冷淵二穴 소락 2혈消濼二穴 노회 2혈臑會二穴 견료 2혈肩髎二穴 천료 2혈天髎二穴 천유 2혈天牖二穴 예풍 2혈翳風二穴 계맥 2혈瘈脈二穴 노식 2혈顱息二穴 사죽공 2혈絲竹空二穴 각손 2혈角孫二穴 화료 2혈和髎二穴 이문 2혈耳門二穴 | ||
+ | 12) 족소양담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少陽膽經流注腧穴】(45개) | ||
+ | 규음 2혈竅陰二穴 협계 2혈俠谿二穴 지오회 2혈地五會 임읍 2혈臨泣二穴 구허 2혈丘墟二穴 현종 2혈懸鍾二穴 양보 2혈陽輔二穴 광명 2혈光明二穴 외구 2혈外丘二穴 양교 2혈陽交二穴 양릉천 2혈陽陵泉二穴 양관 2혈陽關二穴 중독 2혈中瀆二穴 풍시 2혈風市二穴 환도 2혈環跳二穴 거료 2혈居髎二穴 유도 2혈維道二穴 오추 2혈五樞二穴 대맥 2혈帶脈二穴 경문 2혈京門二穴 일월 2혈日月二穴 첩근 2혈輒筋二穴 연액 2혈淵腋二穴 견정 2혈肩井二穴 풍지 2혈風池二穴 뇌공 2혈腦空二穴 승령 2혈承靈二穴 정영 2혈正營二穴 목창 2혈目窓二穴 임읍 2혈臨泣二穴 양백 2혈陽白二穴 본신 2혈本神二穴 완골 2혈完骨二穴 규음 2혈竅陰二穴 부백 2혈浮白二穴 각손 2혈角孫二穴 천충 2혈天衝二穴 솔곡 2혈率谷二穴 곡빈 2혈曲鬚二穴 현리 2혈懸釐二穴 현로 2혈懸顱二穴 함염 2혈頷厭二穴 객주인 2혈客主人二穴 청회 2혈聽會二穴 동자료 2혈瞳子髎二穴 | ||
+ | 13) 족궐음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厥陰肝經流注腧穴】(13개) | ||
+ | 대돈 2혈大敦二穴 행간 2혈行間二穴 태충 2혈太衝二穴 중봉 2혈中封二穴 여구 2혈蠡溝二穴 중도 2혈中都二穴 슬관 2혈膝關二穴 곡천 2혈曲泉二穴 음포 2혈陰包二穴 오리 2혈五里二穴 음렴 2혈陰廉二穴 장문 2혈章門二穴 기문 2혈期門二穴 | ||
+ | 14) 독맥의 흐름과 혈자리【督脈流注孔穴】(27개) | ||
+ | 소료 1혈素髎一穴 수구 1혈水溝一穴 태단 1혈兌端一穴 은교 1혈齗交一穴 신정 1혈神庭一穴 상성 1혈上星一穴 신회 1혈顖會一穴 전정 1혈前頂一穴 백회 1혈百會一穴 후정 1혈後頂一穴 강간 1혈强間一穴 뇌호 1혈腦戶一穴 풍부 1혈風府一穴 아문 1혈瘂門一穴 대추 1혈大顀一穴 도도 1혈陶道一穴 신주 1혈身柱一穴 신도 1혈神道一穴 영대 1혈靈臺一穴 지양 1혈至陽一穴 근축 1혈筋縮一穴 척중 1혈脊中一穴 현추 1혈懸樞一穴 명문 1혈命門一穴 양관 1혈陽關一穴 요수 1혈腰腧一穴 장강 1혈長强一穴 | ||
+ | 15) 임맥의 흐름과 혈자리【任脈流注孔穴】(24개) | ||
+ | 승장 1혈承漿一穴 염천 1혈廉泉一穴 천돌 1혈天突一穴 선기 1혈璇璣一穴 화개 1혈華蓋一穴 자궁 1혈紫宮一穴 옥당 1혈玉堂一穴 전중 1혈膻中一穴 중정 1혈中庭一穴 구미 1혈鳩尾一穴 거궐 1혈巨闕一穴 상완 1혈上脘一穴 중완 1혈中脘一穴 건리 1혈建里一穴 하완 1혈下脘一穴 수분 1혈水分一穴 신궐 1혈神闕一穴 음교 1혈陰交一穴 기해 1혈氣海一穴 석문 1혈石門一穴 관원 1혈關元一穴 중극 1혈中極一穴 곡골 1혈曲骨一穴 회음 1혈會陰一穴 | ||
+ | 16) 별도의 혈자리 (별혈)【別穴】(40개) | ||
+ | 신총 4혈神聰四穴 슬안 4혈膝眼四穴 방정 2혈旁廷二穴 장곡 2혈長谷二穴 하요 1혈下腰一穴 장요 2혈腸遶二穴 환강 2혈環罔二穴 팔관 8혈八關八穴 난문 2혈闌門二穴 독음 2혈獨陰二穴 포문과 자호 각 1혈胞門子戶各一穴 금진옥액 2혈金津玉液二穴 대골공 2혈大骨空二穴 소골공 2혈小骨空二穴 태양 2혈太陽二穴 명당 1혈明堂一穴 미충 2혈眉衝二穴 영지 2혈榮池二穴 누음 2혈漏陰二穴 중괴 2혈中魁二穴 혈극 2혈血郄二穴 요안 2혈腰眼二穴 통관 2혈通關二穴 갑봉 2혈胛縫二穴 이백 2혈二白二穴 회기 1혈廻氣一穴 기단 10혈氣端十穴 학정 2혈鶴頂二穴 용현 2혈龍玄二穴 음독 8혈陰獨八穴 통리 2혈通理二穴 기문 2혈氣門二穴 음양 2혈陰陽二穴 누음 2혈漏陰二穴 정궁 2혈精宮二穴 직골 2혈直骨二穴 교의 2혈交儀二穴 당양 2혈當陽二穴 어요 2혈魚腰二穴 탈명 2혈奪命二穴 | ||
+ | 17) 특이한 혈자리 (기혈)【奇穴】(3개) | ||
+ | 고황수혈膏肓腧穴 환문혈患門穴 사화혈四花穴 | ||
+ | 18) 혈을 잡는 법【鍼灸取穴法】(2개) | ||
+ | 동신촌법同身寸法 취혈법點穴法 | ||
+ | 19) 침놓는 법 총결【鍼法總訣】(6개) | ||
+ | 구침九鍼 침을 만드는 법製鍼法 침은 시기에 맞게 쓴다用鍼須合天時 침의 보사법行鍼補瀉法 오탈에 침을 쓰면 안 된다五奪勿用鍼瀉 침술을 시행하는 순서와 방법行鍼次第手法 | ||
+ | 20) 뜸뜨는 법 총결【灸法總訣】(6개) | ||
+ | 뜸쑥 만드는 법製艾法 뜸봉 만드는 법作艾炷法 불을 만드는 법取火法 뜸을 뜨는 적당한 때下火必以時 뜸을 뜨는 장수壯數多少 뜸의 보사灸有補瀉 | ||
+ | 21) 침과 뜸의 금기사항【鍼灸禁忌】(2개) | ||
+ | 금침혈禁鍼穴 금구혈禁灸穴 | ||
+ | 22) 침과 뜸의 날 잡기【鍼灸選擇】(4개) | ||
+ | 침구의 길일鍼灸吉日 침구의 기일鍼灸忌日 앉는 방향坐向法 매일의 인신(人神)이 있는 곳逐日人神所在 | ||
+ | |||
+ | 2. 부록 자오유주법【附 子午流注法】 | ||
+ | 1) 총론【總論】(3개) | ||
+ | 유주배합論流注配合 유주개합論流注開闔 유주의 시간과 날짜論流注時日 | ||
+ | 2) 가결【歌訣】(7개) | ||
+ | 십이경납천간가十二經納天干歌 십이경납지지가十二經納地支歌 각불과슬수불과주가脚不過膝手不過肘歌 축일안시정혈가逐日按時定穴歌 십이경의 기혈의 차이에 대한 노래十二經氣血多少歌 십이경의 원혈에 대한 노래十二經之原歌 정형수경합의 오수혈과 원혈에 대한 노래井滎兪原經合歌 | ||
+ | |||
+ | 3. 십이경의 정혈에 침놓는 법【十二經井穴刺法】(12개) | ||
+ | 수태음의 정혈十二經井穴刺法 수양명의 정혈手陽明井 족양명의 정혈足陽明井 족태음의 정혈足太陰井 수소음의 정혈手少陰井 수태양경의 정혈手太陽井 족태양경의 정혈足太陽井 족소음경의 정혈足少陰井 수궐음경의 정혈手厥陰井 수소양경의 정혈手少陽井 족소양경의 정혈足少陽井 족궐음경의 정혈足厥陰井 | ||
+ | 4) 장부에 따른 정형수경합혈의 주치증상【臟腑井滎兪經合主治】(10개) | ||
+ | 담병의 치료治膽病 간병의 치료治肝病 소장병의 치료治小腸病 심병의 치료治心病 위병의 치료治胃病 비병의 치료治脾病 대장병의 치료治大腸病 폐병의 치료治肺病 방광병의 치료治膀胱病 신병의 치료治腎病 | ||
+ | 5) 12경맥 병에서 정기의 허함을 보하고 사기의 실함을 사함【十二經病補虛瀉實】(12개) | ||
+ | 담병의 치료治膽病 간병의 치료治肝病 소장병의 치료治小腸病 심병의 치료治心病 위병의 치료治胃病 비병의 치료治脾病 대장병의 치료治大腸病 폐병의 치료治肺病 방광병의 치료治膀胱病 신병의 치료治腎病 | ||
+ | |||
+ | 3. 부록 영구비등침법【附 靈龜飛騰針法】 | ||
+ | 1) 가결【歌訣】(8개) | ||
+ | 8법가八法歌 8법교회가八法交會歌 8맥교회8혈가八脈交會八穴歌 팔혈배합가八穴配合歌 자법계현가刺法啓玄歌 팔법오호건원일시가八法五虎建元日時歌 팔법축일간지가八法逐日干支歌 팔법임시간지가八法臨時干支歌 | ||
+ | 2) 팔혈주치【八穴主治】(8개) | ||
+ | 충맥공손혈衝脈公孫穴 음유맥내관혈陰維脈內關穴 독맥후계가督脈後谿穴 양교맥신맥혈陽蹻脈申脈穴 대맥임읍혈帶脈臨泣穴 양유맥외관혈陽維脈外關穴 임맥열결혈任脈列缺穴 음교맥조해혈陰蹻脈照海穴 | ||
+ | |||
+ | 4. 약의 분량을 재거나 가공하는 기구(도규기구)【刀圭器具】 | ||
+ | 1) 약을 말리는 도구【曬具】(3개) | ||
+ | 목반木盤 쇄가曬架 배롱焙籠 | ||
+ | 2) 약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도구【貯具】(2개) | ||
+ | 약주머니藥囊 약장藥欌 | ||
+ | 3) 약의 무게나 부피를 계량할 때 사용하는 도구【權量具】(2개) | ||
+ | 약칭藥秤 약승藥升 | ||
+ | 4) 약을 썰 때 사용하는 도구【剉具】(2개) | ||
+ | 약찰藥䥷 동찰銅䥷 | ||
+ | 5) 약을 찧을 때 사용하는 도구【擣具】(5개) | ||
+ | 저구杵臼 약연藥碾 석연石碾 자연磁碾 체篩 | ||
+ | 6) 약을 굽거나 볶을 때 사용하는 도구【炮炙炒製具】(3개) | ||
+ | 초반炒槃 자가炙架 죽첨竹籤 | ||
+ | 7) 약을 달일 때 사용하는 도구【煎具】(3개) | ||
+ | 약탕관罐 화로爐 노교爐橋 | ||
+ | 8) 약로법【藥露法】(2개) | ||
+ | 서례敍例 제법製法 | ||
+ | |||
+ | 5. 부록 뼈를 교정하는 기구【附 正骨器具】 | ||
+ | 1) 총론【總論】(1개) | ||
+ | 타박 손상에는 적절히 기구를 사용해야 함을 논함論跌撲傷損當用器具 | ||
+ | 2) 두부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頭部傷損之具】(3개) | ||
+ | 과렴裹帘 진정振梃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3) 어깨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肩部傷損之具】(2개) | ||
+ | 피견披肩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4) 배 가슴 옆구리 겨드랑이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胸腹腋脅傷損之具】(3개) | ||
+ | 반삭攀索 첩전疊甎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5) 척추와 등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脊背傷損之具】(2개) | ||
+ | 통목通木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6) 허리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腰部傷損之具】(2개) | ||
+ | 요주腰柱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7) 사지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肢體傷損之具】(4개) | ||
+ | 죽렴竹簾 용법석의用法釋義 삼리杉籬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8) 무릎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膝部傷損之具】(2개) | ||
+ | 포슬抱膝 용법석의用法釋義 | ||
+ | |||
+ | |||
+ | -권27(총86)- | ||
+ | Ⅰ. 부여【附餘】 | ||
+ | 1. 탕액운휘【湯液韻彙】 | ||
+ | 1) 동【東】(15개) | ||
+ | 東 通 芎 雄 風 楓 洪 銅 熊 聰 桐 紅 沖 中 葱 | ||
+ | 2) 동【冬】(6개) | ||
+ | 龍 蜂 松 茸 蓯 衝 | ||
+ | 3) 강【江】(3개) | ||
+ | 江 雙 撞 | ||
+ | 4) 지【支】(34개) | ||
+ | 滋 梔 治 追 知 絲 吹 磁 葵 脾 芪 鴟 資 貍 龜 飴 奇 梨 兒 麗 耆 伊 移 時 蘄 離 慈 鈹 蜞 騎 驪 枇 蕤 萆 | ||
+ | 5) 미【微】(6개) | ||
+ | 歸 稀 肥 飛 威 晞 | ||
+ | 6) 어【魚】(9개) | ||
+ | 魚 如 豬 除 疏 袪 舒 樗 諸 | ||
+ | 7) 우【虞】(27개) | ||
+ | 烏 朱 胡 蘇 驅 茱 吳 無 爐 楡 蜈 蘆 扶 芙 蒲 蕪 枯 愚 葫 孤 屠 狐 珠 塗 敷 巫 壺 | ||
+ | 8) 제【齊】(8개) | ||
+ | 鷄 犀 西 藜 泥 提 醍 蠐 | ||
+ | 9) 가【佳】(3개) | ||
+ | 柴 懷 排 | ||
+ | 10) 회【灰】(13개) | ||
+ | 回 茴 廻 開 槐 催 推 煨 來 梅 胎 雷 孩 | ||
+ | 11) 진【眞】(17개) | ||
+ | 眞 人 神 茵 辰 秦 檳 津 醇 春 辛 銀 珍 匀 新 陳 仁 | ||
+ | 12) 문【文】(6개) | ||
+ | 文 分 雲 薰 鄖 蚊 | ||
+ | 13) 원【元】(7개) | ||
+ | 元 溫 礬 奔 恩 豚 門 | ||
+ | 14) 한【寒】(14개) | ||
+ | 寒 安 單 寬 丹 酸 乾 觀 團 蘭 肝 蟠 珊 完 | ||
+ | 15) 산【删】(4개) | ||
+ | 還 山 斑 頑 | ||
+ | 16) 선【先】(24개) | ||
+ | 先 天 千 川 玄 宣 仙 前 延 蟬 錢 全 蠲 牽 綿 淵 旋 甄 蓮 臙 田 穿 顚 蝙 | ||
+ | 17) 숙【蕭】(13개) | ||
+ | 消 調 椒 逍 燒 撩 嘹 貓 朝 腰 硝 窯 螵 | ||
+ | 18) 효【肴】(5개) | ||
+ | 交 膠 茅 鮫 硇 | ||
+ | 19) 호【豪】(3개) | ||
+ | 陶 桃 高 | ||
+ | 20) 가【歌】(14개) | ||
+ | 和 訶 何 磨 阿 河 摩 鵝 莎 蝌 螺 蛇 陀 䴬 | ||
+ | 21) 마【麻】(15개) | ||
+ | 麻 瓜 巴 車 蝸 家 華 嘉 霞 霞 搽 砂 猳 茄 牙 | ||
+ | 22) 양【陽】(25개) | ||
+ | 陽 黃 香 當 防 蒼 涼 薑 桑 王 楊 倉 羊 菖 芒 殭 狼 忘 常 霜 蜣 漿 腸 皇 商 | ||
+ | 23) 경【庚】(16개) | ||
+ | 淸 生 平 荊 明 輕 行 貞 爭 榮 蝱 瓊 罌 檉 更 驚 | ||
+ | 24) 청【靑】(12개) | ||
+ | 靑 寧 丁 靈 羚 醒 星 經 苓 惺 疔 葶 | ||
+ | 25) 증【蒸】(7개) | ||
+ | 升 氷 凝 鵬 凌 澄 燈 | ||
+ | 26) 우【尤】(15개) | ||
+ | 牛 硫 搜 油 薷 舟 浮 秋 流 抽 周 柔 兜 休 蚯 | ||
+ | 27) 침【侵】(16개) | ||
+ | 參 金 沈 鍼 針 尋 陰 滲 覃 甘 蠶 疳 探 藍 含 南 | ||
+ | 28) 담【覃】(8개) | ||
+ | 三 甘 蠶 疳 探 藍 含 南 | ||
+ | 29) 염【鹽】(6개) | ||
+ | 蟾 拈 兼 瞻 潛 蚺 | ||
+ | 30) 함【咸】(1개) | ||
+ | 杉 | ||
+ | 31) 동【董】(1개) | ||
+ | 孔 | ||
+ | 32) 종【腫】(3개) | ||
+ | 涌 拱 鞏 | ||
+ | 33) 강【講】(1개) | ||
+ | 蚌 | ||
+ | 34) 지【紙】(23개) | ||
+ | 枳 紫 水 止 理 芷 李 杞 子 是 痞 比 己 起 鯉 使 梓 里 齒 舐 痔 徙 豕 | ||
+ | 35) 미【尾】(3개) | ||
+ | 鬼 葦 榧 | ||
+ | 36) 어【語】(8개) | ||
+ | 去 煮 禦 鼠 杵 女 呂 擧 | ||
+ | 37) 우【麌】(15개) | ||
+ | 五 補 乳 苦 虎 琥 古 愈 禹 聚 杜 土 腐 普 取 | ||
+ | 38) 제【薺】(4개) | ||
+ | 薺 洗 啓 抵 | ||
+ | 39) 해【蟹】(1개) | ||
+ | 解 | ||
+ | 40) 회【賄】(2개) | ||
+ | 海 倍 | ||
+ | 41) 진【軫】(4개) | ||
+ | 腎 忍 引 陣 | ||
+ | 42) 문【吻】(1개) | ||
+ | 粉 | ||
+ | 43) 완【阮】(4개) | ||
+ | 返 遠 本 滾 | ||
+ | 44) 한【旱】(5개) | ||
+ | 旱 散 斷 款 煖 | ||
+ | 45) 선【銑】(7개) | ||
+ | 軟 翦 轉 選 善 繭 卷 | ||
+ | 46) 소【篠】(2개) | ||
+ | 小 少 | ||
+ | 47) 교【巧】(1개) | ||
+ | 炒 | ||
+ | 48) 호【皓】(12개) | ||
+ | 保 導 草 棗 抱 道 老 倒 藁 燥 皂 掃 | ||
+ | 49) 가【哿】(4개) | ||
+ | 火 左 果 鎖 | ||
+ | 50) 마【馬】(4개) | ||
+ | 馬 瀉 打 賈 | ||
+ | 51) 양【養】(5개) | ||
+ | 養 象 廣 響 蕩 | ||
+ | 52) 경【梗】(5개) | ||
+ | 杏 冷 景 省 靜 | ||
+ | 53) 형【迥】(1개) | ||
+ | 檾 | ||
+ | 54) 유【有】(12개) | ||
+ | 九 厚 右 牡 酒 狗 守 手 丑 壽 韭 藕 | ||
+ | 55) 감【感】(5개) | ||
+ | 感 坎 澹 淡 膽 | ||
+ | 56) 염【琰】(2개) | ||
+ | 點 芡 | ||
+ | 57) 송【送】(2개) | ||
+ | 控 鳳 | ||
+ | 58) 강【絳】(21개) | ||
+ | 絳 降 寘 四 地 祕 至 利 遂 荔 豉 自 類 醉 易 異 備 瑞 翠 薏 墜 | ||
+ | 59) 치【寘】(19개) | ||
+ | 二 四 地 祕 至 利 遂 荔 豉 自 類 醉 易 異 備 瑞 翠 薏 墜 | ||
+ | 60) 미【未】(4개) | ||
+ | 旣 胃 蝟 氣 | ||
+ | 61) 어【御】(3개) | ||
+ | 助 預 御 | ||
+ | 62) 우【遇】(12개) | ||
+ | 遇 固 附 露 醋 駐 護 兎 布 赴 溯 務 | ||
+ | 63) 제【霽】(6개) | ||
+ | 桂 濟 細 衛 替 嚔 | ||
+ | 64) 태【泰】(3개) | ||
+ | 大 太 貝 | ||
+ | 65) 괘【卦】(4개) | ||
+ | 敗 快 薤 疥 | ||
+ | 66) 대【隊】(9개) | ||
+ | 內 退 代 再 肺 賽 艾 潰 對 | ||
+ | 67) 진【震】(4개) | ||
+ | 潤 鎭 順 進 | ||
+ | 68) 원【願】(4개) | ||
+ | 萬 健 寸 褪 | ||
+ | 69) 한【翰】(6개) | ||
+ | 半 換 喚 亂 貫 鸛 | ||
+ | 70) 산【霰】(2개) | ||
+ | 茜 殿 | ||
+ | 71) 소【嘯】(3개) | ||
+ | 妙 釣 尿 | ||
+ | 72) 효【效】(1개) | ||
+ | 罩 | ||
+ | 73) 개【箇】(3개) | ||
+ | 破 佐 糯 | ||
+ | 74) 마【禡】(8개) | ||
+ | 化 麝 樺 亞 灸 射 下 謝 | ||
+ | 75) 양【漾】(9개) | ||
+ | 上 壯 湯 帳 放 瘴 莨 釀 臟 | ||
+ | 76) 경【敬】(3개) | ||
+ | 正 聖 孟 | ||
+ | 77) 경【徑】(4개) | ||
+ | 定 勝 應 瑩 | ||
+ | 78) 유【宥】(11개) | ||
+ | 透 救 漏 豆 戊 臭 走 鱟 繡 究 瘦 | ||
+ | 79) 감【勘】(1개) | ||
+ | 紺 | ||
+ | 80) 염【艶】(3개) | ||
+ | 斂 念 膁 | ||
+ | 81) 함【陷】(1개) | ||
+ | 陷 | ||
+ | 82) 옥【屋】(22개) | ||
+ | 木 六 茯 竹 獨 鹿 熟 伏 哭 谷 麴 菊 復 穀 縮 肉 服 蝮 毓 㗜 速 育 | ||
+ | 83) 옥【沃】(7개) | ||
+ | 沃 玉 綠 續 局 蜀 束 | ||
+ | 84) 각【覺】(15) | ||
+ | 濯 捉 卓 質 實 密 蜜 蓽 失 漆 蒺 七 橘 朮 必 | ||
+ | 85) 질【質】(12개) | ||
+ | 一 實 密 蜜 蓽 失 漆 蒺 七 橘 朮 必 | ||
+ | 86) 물【物】(2개) | ||
+ | 不 鬱 | ||
+ | 87) 월【月】(8개) | ||
+ | 月 蝎 越 發 沒 佛 髮 膃 | ||
+ | 88) 갈【曷】(9개) | ||
+ | 活 葛 撥 奪 拔 達 栝 褐 脫 | ||
+ | 89) 힐【黠】(4개) | ||
+ | 八 殺 滑 擦 | ||
+ | 90) 설【屑】(10개) | ||
+ | 鐵 截 桔 決 鼈 節 結 別 雪 血 | ||
+ | 91) 약【藥】(15개) | ||
+ | 藥 托 芍 藿 却 薄 鶴 雀 鄂 柞 樂 約 鵲 烙 廓 | ||
+ | 92) 맥【陌】(15개) | ||
+ | 白 百 益 石 赤 碧 麥 柏 壁 蘗 澤 辟 隔 鯽 馘 | ||
+ | 93) 석【錫】(5개) | ||
+ | 滌 霹 敵 滴 的 | ||
+ | 94) 직【職】(7개) | ||
+ | 黑 抑 側 國 墨 息 塞 | ||
+ | 95) 집【緝】(4개) | ||
+ | 十 立 集 急 | ||
+ | 96) 합【合】(6개) | ||
+ | 合 蠟 蛤 臘 納 搨 | ||
+ | 97) 엽【葉】(6개) | ||
+ | 葉 接 貼 攝 劫 獵 | ||
+ | 98) 흡【洽】(3개) | ||
+ | 鴨 法 閘 | ||
+ | |||
+ | |||
+ | |||
+ | -권28(총87)- | ||
+ | Ⅰ. 부여【附餘】 | ||
+ | 1. 구황【捄荒】 | ||
+ | 1) 미리 대비하는 일에 대한 총론【備豫總論】(3개) | ||
+ | 사창법社倉法 의창법義倉法 의곡법義穀法 | ||
+ | 2) 구휼 시에는 일정한 값으로 빌려주고 돌려받는다【賑濟均價糶糴】(5개) | ||
+ | 일꾼을 고용하여 토목공사를 일으키다雇傭興修 가재도구를 사들이다收買器用 죽을 쑤어 나누어 주다施粥 약을 공급하다給藥 굶어죽은 사람 매장葬殍 | ||
+ | 3) 벽곡에 대한 총론【辟穀總論】(31개) | ||
+ | 유경선의 제기벽곡방劉景先濟飢辟穀方 허진군의 피난헐식방許眞君避難歇食方 피난대도환避難大道丸 황산곡의 자두방黃山谷煮豆方 등각비의 휴량방鄧覺非休糧方 주헌왕의 구황방周憲王捄荒方 좌자의 구황법左慈救荒法 주렴방의 천금면방周廉訪千金麪方 휴량양도방休糧養道方 왕씨의 휴량방王氏休糧方 차조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秫住食方 노란콩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黃豆住食方 참깨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胡麻住食方 들깨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荏休糧方 청량미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粱休糧方 찹쌀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糯休糧方 멥쌀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粳休糧方 솔잎과 측백나무잎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柏葉休糧方 소나무껍질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皮休糧方 송진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脂休糧方 잣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子休糧方 느릅나무껍질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楡皮休糧方 창출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朮休糧方 황정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黃精休糧方 천문동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天門冬休糧方 작약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芍藥住食方 질려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蒺蔾住食方 마름의 열매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菱實住食方 순무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蔓菁住食方 밀랍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蜜蠟休糧方 여러 번 끓인 물을 먹는 방법服百滾水法 | ||
+ | 4) 기근의 구제에 대한 총론【濟饑總論】(18개) | ||
+ | 초목을 먹는 방법食草木方 절인 채소를 먹는 방법食虀菜方 겨가루를 먹는 방법食粃糝方 잎을 먹을 수 있는 것 128가지葉可食一百二十八種 뿌리를 먹을 수 있는 것 21가지根可食二十一種 열매를 먹을 수 있는 것 37가지實可食三十七種 꽃을 먹을 수 있는 것 4가지花可食四種 줄기를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莖可食三種 순을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筍可食一種 뿌리와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2가지根葉皆可食一十二種 잎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9가지葉實皆可食三十九種 뿌리와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5가지根實皆可食五種 꽃과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花葉皆可食三種 뿌리와 순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根筍皆可食三種 뿌리와 꽃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2가지根花皆可食二種 순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筍實皆可食一種 꽃과 잎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花葉及實皆可食一種 잎과 열매와 껍질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2가지葉實及皮皆可食二種 | ||
+ | |||
+ | ===향례지=== | ||
+ | |||
+ | 향례지(鄕禮志):의례 백과 목차 <br> | ||
+ | |||
+ | 권1(총88) | ||
+ | Ⅰ. 통례 (상)【通禮 上】 | ||
+ | 1. 향음주례【鄕飮酒禮】 | ||
+ | 1) 주나라의 향음주례【周儀】 | ||
+ | 2) 당나라의 향음주례【唐儀】 | ||
+ | 3) 송나라의 향음주례【宋儀】 | ||
+ | 4) 명나라의 향음주례【明儀】 | ||
+ | 5) 우리나라의 향음주례【國朝儀】 | ||
+ | 6) 새로 정한 향음주례【新定儀】 | ||
+ | |||
+ | |||
+ | 권2(총89) | ||
+ | Ⅰ. 통례 (중)【通禮 中】 | ||
+ | 1. 향사례【鄕射禮】 | ||
+ | 1) 주나라의 향사례【周儀】 | ||
+ | 2) 우리나라의 향사례【國朝儀】 | ||
+ | 3) 새로 정한 향사례【新定儀】 | ||
+ | |||
+ | |||
+ | 권3(총90) | ||
+ | Ⅰ. 통례 (하)【通禮 下】 | ||
+ | 1. 향약【鄕約】 | ||
+ | 1) 주자가 더하고 뺀 여씨향약【增損呂氏鄕約】 | ||
+ |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 ||
+ | 2) 사창계의 약속【社倉契約束】 | ||
+ |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입약범례立約凡例 강신의講信儀 | ||
+ | |||
+ | |||
+ | 권4(총91) | ||
+ | Ⅰ. 관례와 혼례【冠婚禮】 | ||
+ | 1. 관례【冠禮】 | ||
+ | 1) 사마광의 서의에 따른 관례와 계례【司馬儀】 | ||
+ | 2) 주자의 가례에 따른 관례와 계례【朱子儀】 | ||
+ | 3) 국조오례의에 따른 관례【國朝儀】 | ||
+ | |||
+ | 2. 혼례【昏禮】 | ||
+ | 1) 사마광의 서의에 따른 혼례【司馬儀】 | ||
+ | 2) 주자의 가례에 따른 혼례【朱子儀】 | ||
+ | 3) 국조오례의에 따른 혼례【國朝儀】 | ||
+ | |||
+ | |||
+ | |||
+ | |||
+ | 권5(총92) | ||
+ | Ⅰ. 상례와 제례【喪祭禮】 | ||
+ | 1. 상례【喪禮】 | ||
+ | 1) 망자의 혼 부르기【復】 | ||
+ | 장례 용구具 부고의 서식訃書式 | ||
+ | 2) 염습【襲】 | ||
+ | 염습 용구具 | ||
+ | 3) 소렴【小斂】 | ||
+ | 소렴 용구具 | ||
+ | 4) 대렴【大斂】 | ||
+ | 대렴 용구具 | ||
+ | 5) 성복【成服】 | ||
+ | 성복 용구具 | ||
+ | 복제도服制圖 | ||
+ | 6) 조석곡과 전【朝夕哭奠】 | ||
+ | 7) 조문과 부의【弔賻】 | ||
+ | 위소 서식慰疏式 조부모상을 위로하는 계장 서식慰人祖父母亡狀式 답장 서식答狀式 | ||
+ | 8) 분상(초상 소식 듣고 집으로 급히 돌아가기)【奔喪】 | ||
+ | 9) 치장(장지 조성)【治葬】 | ||
+ | 치장 용구具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祠土地祝文式 | ||
+ | 10) 발인【發引】 | ||
+ | 발인 용구具 | ||
+ | 11) 하관【窆葬】 | ||
+ | 하관 용구具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祠土地祝文式 제주 후의 축문 서식題主祝文式 | ||
+ | 12) 삼우제【虞祭】 | ||
+ | 우제 용구具 축문 서식祝文式 설찬의設饌儀 설찬도設饌圖 | ||
+ | 13) 졸곡(곡 마치기)【卒哭】 | ||
+ | 위소 답장 서식答慰疏式 | ||
+ | 14) 부제(조상의 신주와 함께 모시는 가묘제)【祔祭】 | ||
+ | 축문 서식祝文式 | ||
+ | 15) 소상(1주기)【小祥】 | ||
+ | 소상 용구具 | ||
+ | 16) 대상(2주기)【大祥】 | ||
+ | 대상 용구具 부묘를 아뢰는 글祔廟告辭 | ||
+ | 17) 담제(대상 후 2개월 뒤의 제사)【禫祭】 | ||
+ | 담제 용구具 | ||
+ | 18) 길제(담제 다음 달의 제사)【吉祭】 | ||
+ | 19) 이장【改葬】 | ||
+ | 묘역을 열 때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開塋域祠土地祝文 묘를 열기 전에 사당에 고하는 글啓墓前祠堂告辭 묘를 열 때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啓墓時祠土地祝文 묘를 여는 것을 고하는 글啓墓告辭 이장 후에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改葬後祠土地祝文 우제 때의 축문虞祭祝文 이장 후에 사당에 고하는 글改葬後祠堂告辭 | ||
+ | 2. 제례【祭禮】 | ||
+ | 1) 사당 세우기【立祠堂】 | ||
+ | 일이 있어 고하는 글有事告辭 신주에 개제한 것을 아뢰는 글改題主告辭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신주를 묻고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埋主祝文式 조부모 이상을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祖以上祝文式 새로운 신주를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新主祝文式 | ||
+ | 2) 시제【時祭】 | ||
+ |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축문 서식祝文式 | ||
+ | 3) 기제【忌祭】 | ||
+ |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축문 서식祝文式 | ||
+ | 4) 묘제【墓祭】 | ||
+ | 축문 서식祝文式 | ||
+ | 5) 복상 기간의 제사【喪服中行祭儀】 | ||
+ | |||
+ | ===유예지=== | ||
+ | |||
+ | 유예지(遊藝志):교양 백과 목차 | ||
+ | |||
+ | 권1(총93) | ||
+ | Ⅰ. 독서법 【讀書法】 | ||
+ | 1. 총론 【總論】 | ||
+ | 1) 처음 공부하는 사람의 독서법 【初學讀書法】 | ||
+ | 2) 독서할 때 집중해야 할 3가지 【讀書三到】 | ||
+ | 3) 독서의 6가지 방법 【讀書六法】 | ||
+ | 4) 독서의 6가지 자세 【讀書六宜】 | ||
+ | 5) 독서의 3가지 요체【讀書三要】 | ||
+ | 6) 독서의 4가지 방법 【讀書四法】 | ||
+ | 7) 책은 숙독해야 한다 【論書宜熟讀】 | ||
+ | 8) 독서할 때 사색이 중요하다 【論書貴思索】 | ||
+ | 9) 한 책을 여러 번 읽어야 한다 【論一書宜數次讀】 | ||
+ | 10) 독서할 때 정밀해야 한다 【論讀書宜精一】 | ||
+ | 11) 독서할 때 철저하게 이해해야 한다 【論讀書須透徹】 | ||
+ | 12) 독서할 때 몰입해야 한다 【論讀書須潛靜】 | ||
+ | 13) 독서할 때 의문을 풀려고 해야 한다 【論讀書須憤悱】 | ||
+ | 14) 글을 볼 때 단락을 나누고 틈을 찾아야 한다 【論看文須分片段尋縫罅】 | ||
+ | 15) 독서할 때 많은 분량을 욕심내지 말아야 한다 【論讀書不宜貪多】 | ||
+ | 16) 독서할 때 급하게 읽는 것을 피한다 【論讀書忌急聲】 | ||
+ | 17) 독서할 때 독음 바꾸고 구절 나누는 일이 중요하다 【論讀書貴轉音破句】 | ||
+ | 18) 독서의 분량과 기한 【論讀書程限】 | ||
+ | 19) 노소의 독서 방식 【論老少工程】 | ||
+ | 20) 독서할 때 먼저 흩어진 마음을 모아야 한다 【論讀書先收放心】 | ||
+ | |||
+ | 2. 경서 읽기 【讀經】 | ||
+ | 1) 여러 경서 읽기 통론 【讀諸經統論】 | ||
+ | 2) 경서 읽기는 체득이 중요하다 【論讀經貴體認】 | ||
+ | 3) 경서는 숙독해야 한다 【論經須熟讀】 | ||
+ | 4) 경서를 이해할 때 명칭이나 제도에 너무 빠지지 말라 【論解經勿太泥名物】 | ||
+ | 5) 주석의 해설 보는 법 【看註解法】 | ||
+ | 6) 구경(아홉 경서) 읽기를 마치는 기간 【九經畢讀年限】 | ||
+ | |||
+ | 3. 역사서 읽기 【讀史】 | ||
+ | 1) 역사서를 보며 시비를 분별한다 【論觀史辨是非】 | ||
+ | 2) 역사서를 보는 6가지 요체 【看史六要】 | ||
+ | 3) 역사서는 자세하게 읽어야 한다 【論讀史宜子細】 | ||
+ | 4) 역사서 쓰는 법 【記史法】 | ||
+ | |||
+ | 4. 독서 순서 【讀書次第】 | ||
+ | 1) 사서 읽는 순서 【四書次第】 | ||
+ | 2) 경서와 역사서 읽는 순서 【經史次第】 | ||
+ | 3) 사부(경·사·자·집) 읽는 순서 【四部次第】 | ||
+ | 4) 역사서 읽는 순서 【看史次第】 | ||
+ | 5) 독서의 단계 【讀書分年程式】 | ||
+ | 6) 독서할 때 배운 것을 되새겨야 한다 【論讀書宜抽繹】 | ||
+ | 7) 날마다 복습하는 법 【分日溫書法】 | ||
+ | |||
+ | Ⅱ. 활쏘는 법 【射訣】 | ||
+ | 1. 처음 배우는 사람의 연습 【初學演習】 | ||
+ | 1) 활쏘기를 배우는 전체적인 방법 【學射總法】 | ||
+ | 2) 풀 과녁으로 연습하는 법 【演艸法】 | ||
+ | 3) 팔 단련하는 법 【練臂法】 | ||
+ | 4) 눈동자 단련하는 법 【練眸法】 | ||
+ | 5) 향 과녁으로 연습하는 법 【演香法】 | ||
+ | |||
+ | 2. 훈련장에서의 법식 【臨場楷式】 | ||
+ | 1) 전반적 원리 【總訣】 | ||
+ | 2) 화살 메기는 법 【搭矢法】 | ||
+ | 3) 시위 당기는 법 【控弦法】 | ||
+ | 4) 앞팔과 뒷팔의 자세 잡는 법 【前後手法】 | ||
+ | 5) 활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잡는다 【持弓審固】 | ||
+ | 6) 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 【擧弝按弦】 | ||
+ | 7) 깃을 누르며 화살을 취한다【抹羽取箭】 | ||
+ | 8) 가슴에서 오늬에 들인다 【當心入筈】 | ||
+ | 9) 어깨를 펴고 시위를 당긴다 【鋪膊牽弦】 | ||
+ | 10) 몸을 숙여 활을 연다 【欽身開弓】 | ||
+ | 11) 힘을 다해 화살을 보낸다 【極力遣箭】 | ||
+ | 12) 시위를 거두고 활고자를 들인다 【捲弦入弰】 | ||
+ | 13) 화살 멀리 날리는 법 【遠箭法】 | ||
+ | 14) 거리에 맞게 과녁 겨냥하는 법 【遠近取的法】 | ||
+ | 15) 서서 활쏘기의 요점 【步射撮要】 | ||
+ | 16) 활쏘는 법의 14가지 요점 【射法十四要】 | ||
+ | 활은 부드러워야 한다弓要軟 화살은 길어야 한다箭要長 가슴 앞에서 마땅히 숨을 들이쉬어야 한다胸前宜[吸] 다리 힘은 일정한 위치를 두어야 한다脚力要方 활을 잡기를 마치 계란을 쥐듯이 하라持弓如握卵 화살을 얹기를 마치 저울을 매달듯이 하라搭箭如懸衡 활은 약간 기울여야 한다弓弰要側 손은 평형이어야 한다手要平 앞쪽 사타구니는 곧아야 한다前膀要轉 뼈마디는 펴야 한다骨節要伸 앞쪽 어깨는 거두어 들여야 한다前肩要藏 뒤쪽 어깨는 떨어뜨려야 한다後肩要擠 화살을 내는 것은 가벼워야 한다出箭要輕 화살을 놓을 때는 빨라야 한다放箭要速 | ||
+ | |||
+ | 3. 잘못 【疵病】 | ||
+ | 1) 전반적 잘못 【總病】 | ||
+ | 2) 앞손의 잘못 【前手病】 | ||
+ | 장張 도挑 탁卓 눈嫩 노老 만彎 잉剩 | ||
+ | 3) 뒷손의 잘못 【後手病】 | ||
+ | 돌突 핍逼 추揪 송鬆 토吐 | ||
+ | |||
+ | 4. 바람과 기온 【風氣】 | ||
+ | 1) 바람과 기후 【論風候】 | ||
+ | 2) 추위와 더위 【論寒暖】 | ||
+ | |||
+ | 5. 도구 【器具】 | ||
+ | 1) 활 만드는 법 【造弓法】 | ||
+ | 2) 시위 거는 법 【上弦法】 | ||
+ | 3) 활 힘 재는 법 【稱弓法】 | ||
+ | 4) 활 보관하는 법 【藏弓法】 | ||
+ | 5) 화살 만드는 법 【造箭法】 | ||
+ | 6) 화살 닦는 법 【擦矢法】 | ||
+ | 7) 화살 보관하는 법 【藏箭法】 | ||
+ | |||
+ | |||
+ | |||
+ | 권2(총94) | ||
+ | Ⅰ. 수학 【算法】 | ||
+ | 1. 수학의 개괄적 정리【九數槪略】 | ||
+ | 1) 사칙연산 총서【乘除總敍】 원문에는 ‘사칙연산 총서’만 표제어로 표기되어 있고 아래의 표제어 21개는 모두 ‘소표제어’로 취급했지만(한 칸 내려쓰고 꺾쇠 기호로 묶음) 내용 상 체계를 알 수 있도록 층차를 더 세분화했다. | ||
+ | |||
+ | 2) 삼재(천문·도량형·길이와 넓이)의 단위환산【三才數位】 | ||
+ | 2-1) 역【曆】 | ||
+ | 2-2) 도량형의 단위환산【度量衡】 | ||
+ | 2-3) 넓이와 길이의 단위환산【田里】 | ||
+ | 3) 구구단【九九數目】 | ||
+ | 4) 사칙연산【加減乘除】 | ||
+ | 4-1) 덧셈【加法】 | ||
+ | 4-2) 뺄셈【減法】 | ||
+ | 4-3) 곱셈【因乘】 | ||
+ | 4-4) 나눗셈【歸除】 | ||
+ | 5) 제곱근과 세제곱근 구하기【平方立方】 | ||
+ | 6) 비례식 이용하여 구하기【四率比例】 | ||
+ | 7) 방전법(토지의 넓이 구하는 법)【方田數法】 | ||
+ | 8) 속포법(물물교환 비율 구하는 법)【粟布數法】 | ||
+ | 9) 쇠분법(등급 따라 녹봉·부역·세금 조정하는 법)【衰分數法】 | ||
+ | 10) 소광법(넓이나 부피에서 변의 길이나 지름 구하는 법)【少廣數法】 | ||
+ | 11) 상공법(토목 공사에서 부피 구하는 법)【商功數法】 | ||
+ | 12) 균수법(운송과 관련하여 계산하는 법)【均輸數法】 | ||
+ | 13) 영육법(나머지와 모자람의 관계에서 미지수 구하는 법)【盈朒數法】 | ||
+ | 14) 방정법(방정식으로 미지수 구하는 법) 【方程數法】 | ||
+ | 15) 구고팔선(구고법(피타고라스 정리)과 삼각함수)【句股八線】 | ||
+ | |||
+ | 권3(총95) | ||
+ | Ⅰ. 글씨 【書筏】 | ||
+ | 1. 총론 【總論】 | ||
+ | 1) 여러 서체의 기원 【各體緣起】 | ||
+ | 2) 진서·예서·팔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論眞隸八分同異】 | ||
+ | 3) 글씨 배울 때는 오로지 부지런해야 한다 【論學書貴專勤】 | ||
+ | 4) 글씨 배울 때는 모든 서첩에서 두루 배워라 【論學書宜博採諸帖】 | ||
+ | 5) 여러 서체의 장단점 【論各體相入】 | ||
+ | 6) 오체(5가지 서체)는 서로 통한다 【論五體相通】 | ||
+ | 7) 사체(4가지 서체)의 요결 【四體要訣】 | ||
+ | |||
+ | 2. 대전과 소전 【大小篆】 | ||
+ | 1) 필봉은 필획 가운데에 있다 【論筆鋒畫中】 | ||
+ | 2) 필묵의 마르고 촉촉함 【論筆墨燥潤】 | ||
+ | |||
+ | 3. 해서와 초서 【楷草】 | ||
+ | 1) 영자팔세(永자의 8가지 모양새)【永字八勢】 | ||
+ | 2) 구양순(歐陽詢)의 글씨 쓰는 비결 【歐陽書訣】 | ||
+ | 3) 동내직(董內直)의 글씨 쓰는 비결 【董氏書訣】 | ||
+ | 4) 칠조필진출입참작도(7가지 점과 획의 부분도) 【七條筆陣出入斬斫圖】 | ||
+ | 5) 붓 쥐는 법 【執筆法】 | ||
+ | 6) 점 찍고 획 긋는 법 【點畫法】 | ||
+ | 7) 굵은 획【肥畫】과 가는 획【瘦畫】 【論肥瘦】 | ||
+ | 8) 용필법(붓 놀리는 법) 【用筆法】 | ||
+ | 9) 글씨에는 법이 있어야 한다 【論書不可無法】 | ||
+ | 10) 결자(글자의 형태 만들기) 【論結字】 | ||
+ | 11) 큰 글자와 작은 글자 【論大小字】 | ||
+ | 12) 골격 【論骨格】 | ||
+ | 13) 글씨는 살아 움직여야 한다 【論書要活動】 | ||
+ | 14) 글자 배치 【論布置】 | ||
+ | 15) 해서를 먼저 배워라 【論先學正書】 | ||
+ | 16) 해서와 초서를 겸해야 한다 【論正草不可不兼】 | ||
+ | 17) 해서와 초서의 체제 【論眞草體製】 | ||
+ | 18) 초서 쓰는 여러 방법 【草書諸法】 | ||
+ | 19) 글자 쓸 때는 전서(篆書)를 대략 살펴야 한다 【論作字宜略攷篆文】 | ||
+ | 20) 성(性)과 공(功) 【論性功】 | ||
+ | |||
+ | 4. 배우는 법 【師法】 | ||
+ | 1) 임모, 경황, 향탑 【論臨摹硬黃·響搨】 | ||
+ | 2) 이름난 글씨를 임서한다 【論臨名書】 | ||
+ | 3) 옛날을 배워 속운(俗韻)을 제거한다 【論師古去俗韻】 | ||
+ | 4) 글씨를 배울 때는 진적(친필)으로 해야 한다 【論學書須眞蹟】 | ||
+ | 5) 임서는 정신의 교감이 중요하다 【論臨書貴神會】 | ||
+ | 6) 임서할 때는 태아가 형체를 갖추듯이 한다 【論臨字如人結胎】 | ||
+ | |||
+ | 5. 기타 【雜纂】 | ||
+ | 1) 붓은 활이나 칼과 같다 【論筆似弓刀】 | ||
+ | 2) 초서용 붓 【論草書筆】 | ||
+ | 3) 옛 사람의 먹 사용법【論古人用墨】 | ||
+ | 4) 붓과 먹 사용법【論用筆墨】 | ||
+ | 5) 벼루 제작 【論硏製】 | ||
+ | 6) 큰 글자 쓸 때 먹 사용하는 법 【書大字用墨法】 | ||
+ | 7) 종이와 붓 【論紙筆】 | ||
+ | 8) 한림구생법(글씨에 살아있게 해야 할 9가지) 【翰林九生法】 | ||
+ | 9) 준순비법(글씨를 짧은 시간에 탑본하는 법) 【逡巡碑法】 | ||
+ | 10) 잘못 쓴 글자 지우는 법 【取錯字法】 | ||
+ | |||
+ | |||
+ | |||
+ | 권4(총96) | ||
+ | Ⅰ. 그림 (상) 【畵筌】 | ||
+ | 1. 총론 【總論】 | ||
+ | 1) 육법(그림의 6가지 법칙) 【六法】 | ||
+ | 2) 일필화 【一筆畵】 | ||
+ | 3) 삼품(3가지 품등) 【三品】 | ||
+ | 4) 삼취(3가지 요소) 【三趣】 | ||
+ | 5) 사병(4가지 병폐) 【四病】 | ||
+ | 6) 육요(6가지 요점) 【六要】 | ||
+ | 7) 육장(6가지 장점) 【六長】 | ||
+ | 8) 사필(반드시 갖춰야 할 4가지) 【四必】 | ||
+ | 9) 팔격(8가지 품격) 【八格】 | ||
+ | 10) 십이기(피해야 할 12가지) 【十二忌】 | ||
+ | |||
+ | 2. 구도 【位置】 | ||
+ | 1) 그림에는 손님과 주인 관계가 있다 【畵有賓主】 | ||
+ | 2) 그림에는 임금과 신하 관계가 있다 【畵有君臣】 | ||
+ | 3) 그림은 구도를 중시한다 【畵貴章法】 | ||
+ | 4) 먼저 뜻을 세워 구도를 정한다 【論先立意以定位置】 | ||
+ | 5) 화폭상의 거리 【論遠近】 | ||
+ | |||
+ | 3. 제목 달기 【命題】 | ||
+ | 1) 제목이 있는 그림과 없는 그림 【論有題無題】 | ||
+ | 2) 제목 달 때 자기 역할을 표현해야 한다 【論命題必拈己分】 | ||
+ | 3) 제목 달기와 필치(용필)는 서로 어울려야 한다 【論命題用筆相發】 | ||
+ | |||
+ | 4. 배우는 법 【師法】 | ||
+ | 1) 여러 대가의 법을 배운다 【師諸名家】 | ||
+ | 2) 한 대가에게서만 배우기를 피해야 한다 【論畵忌專學一家】 | ||
+ | 3) 배울 때는 정신의 교감을 중시한다 【論學貴神會】 | ||
+ | 4) 자연에서 배운다 【論師天地】 | ||
+ | 5) 임모(모사) 【論摹臨】 | ||
+ | |||
+ | 5. 붓과 먹 【筆墨】 | ||
+ | 1) 그림에 붓자국이 없어야 한다 【論畵無筆跡】 | ||
+ | 2) 용필에 대한 여러 기술 【用筆雜述】 | ||
+ | 3) 그림과 글씨는 법이 같다 【論畵書同法】 | ||
+ | 4) 용묵에 대한 여러 기술 【用墨雜述】 | ||
+ | 5) 붓과 먹을 함께 논한다 【合論筆墨】 | ||
+ | 6) 붓과 먹의 만남 【論筆墨相遭】 | ||
+ | 7) 미불의 용묵 【米氏用墨】 | ||
+ | 8) 먹색이 비단에 스며드는 법 【墨色入絹法】 | ||
+ | |||
+ | 6. 채색 【傅染】 | ||
+ | 1) 수묵 【論水墨】 | ||
+ | 2) 채색 【論設色】 | ||
+ | 3) 색 혼합법 【和彩法】 | ||
+ | |||
+ | 7. 낙관 【落款】 | ||
+ | 1) 옛 그림에는 낙관을 쓰지 않았다 【論古畵不用款】 | ||
+ | 2) 그림에는 자연스레 낙관할 곳이 생긴다 【論畵有天生款處】 | ||
+ | 3) 낙관과 제발은 작품에 도움이 된다 【款題有助】 | ||
+ | |||
+ | 8. 인물 【人物】 | ||
+ | 1) 인물은 잘 그리기 어렵다 【論人物難工】 | ||
+ | 2) 인물을 그릴 때 기운과 모습을 분명히 해야 한다 【論人物必分氣貌】 | ||
+ | 3) 얼굴의 용필법 【面部用筆法】 | ||
+ | 4) 여인의 형상 【論婦人形相】 | ||
+ | 5) 눈동자 그리는 법 【點睛法】 | ||
+ | 6) 서양화 【西洋畵】 | ||
+ | |||
+ | 9. 의관 【衣冠】 | ||
+ | 1) 의관의 상이한 제도 【論衣冠異制】 | ||
+ | 2) 옷의 주름 그리기 【論衣紋】 | ||
+ | |||
+ | 10. 산수, 숲, 나무 【山水林木】 | ||
+ | 1) 산수는 모사하기 쉽지 않다 【論山水未易摹寫】 | ||
+ | 2) 산수의 배치 【山水鋪置】 | ||
+ | 3) 6가지 비결과 8가지 법식 【六訣八法】 | ||
+ | 4) 사찰·오두막·다리 그리는 법 【佛宇廬橋點綴法】 | ||
+ | 5) 구름과 안개 그리는 법 【雲烟點綴法】 | ||
+ | 6) 크기 【論大小】 | ||
+ | 7) 물 그리는 법 【畵水法】 | ||
+ | 8) 배와 돗단배 그리는 법 【畵船帆法】 | ||
+ | 9) 산을 그릴 때 윤곽을 먼저 잡고 준법을 나중에 쓴다 【論畵山先郭後皴】 | ||
+ | 10) 먼 산 그리기 【論畵遠山】 | ||
+ | 11) 산 정상의 흙과 바위를 분간해야 한다 【論山頭宜分土石】 | ||
+ | 12) 이끼 그리는 법 【點苔法】 | ||
+ | 13) 멀리서 감상해야 하는 경치 【論平遠景】 | ||
+ | 14) 금벽산수 【論金碧山水】 | ||
+ | 15) 산수를 그릴 때는 살 만한 곳의 품격을 취해야 한다 【論畵山水必取可居品 】 | ||
+ | 16) 무너진 담장에 비단 펴고 그림을 깨닫는 법 【敗墻張絹悟畵法】 | ||
+ | 17) 산과 나무의 상관성과 차이 【論山與樹相關捩】 | ||
+ | 18) 나무 그리는 여러 기법 【畵樹雜法】 | ||
+ | 19) 오류와 병폐 【論疵病】 | ||
+ | 20) 소나무 그리는 법 【畵松法】 | ||
+ | 21) 버드나무 그리는 법 【寫柳法】 | ||
+ | 22) 바위 그리는 여러 기법 【畵石雜法】 | ||
+ | 23) 나무와 바위를 함께 논한다 【合論樹石】 | ||
+ | 24) 준법 【皴法】 | ||
+ | 25) 구륵법 【鉤勒法】 | ||
+ | 26) 구륵법·준법·채색을 함께 논한다 【合論鉤皴點染】 | ||
+ | 27) 바람 불고 비 오는 경치 【論風雨景】 | ||
+ | 28) 아침과 저녁 경치 【論早晩景】 | ||
+ | 29) 네 계절의 경치 【論四時景 】 | ||
+ | |||
+ | 11. 꽃과 열매, 새와 짐승 【花果鳥獸】 | ||
+ | 1) 꽃과 열매, 풀과 나무 그리기 【論畵花果草木】 | ||
+ | 2) 꽃과 풀 채색하는 법 【花卉設色法】 | ||
+ | 3) 점 찍어 꽃 그리는 법 【點花法】 | ||
+ | 4) 꽃과 잎 그리는 법 【寫花葉法】 | ||
+ | 5) 사의(寫意)와 사생(寫生)을 함께 논한다 【合論寫意寫生】 | ||
+ | 6) 영모(새와 짐승) 그리기 【論畵翎毛】 | ||
+ | 7) 가축과 짐승 그리기 【論畵畜獸】 | ||
+ | 8) 짐승과 가축의 털 그리기 【論獸畜畵毛】 | ||
+ | 9) 용 그리는 법 【畵龍法】 | ||
+ | 10) 말 그리기 【論畵馬】 | ||
+ | |||
+ | 12. 계화(건축물을 자로 정교하게 그린 그림) 【界畵】 | ||
+ | 1) 고금의 계화 【論古今界畵】 | ||
+ | 2) 먼저 옛 궁전의 제도를 알아야 한다 【論先識古殿制度】 | ||
+ | 3) 계화는 잘 그리기 어렵다 【論界畵難工】 | ||
+ | 4) 서양화 【論泰西畵】 | ||
+ | |||
+ | 13. 이격(특이한 화법의 그림) 【異格】 | ||
+ | 1) 몰골도(윤곽을 그리지 않는 채색화) 【沒骨圖】 | ||
+ | 2) 점족화(점으로 그린 산수화) 【點簇畵】 | ||
+ | 3) 나선문양의 지두화(손가락으로 그린 그림) 【螺紋指頭畵】 | ||
+ | 4) 공화(손톱이나 침으로 그린 그림) 【㧬畵】 | ||
+ | 5) 발묵화(먹을 부어 그린 그림) 【潑墨畵】 | ||
+ | 6) 백묘화(윤곽선만 그린 그림) 【白描畵】 | ||
+ | 7) 후필(모지라진 붓)로 그린 밑그림 【論朽筆粉本】 | ||
+ | |||
+ | |||
+ | |||
+ | 권5(총97) | ||
+ | Ⅰ. 그림 (하) 【畵筌】 | ||
+ | 1. 매화·대나무·난 그림 정리(매죽난보) (부록) 여러 필묵법 【梅竹蘭譜 (附)描墨諸法】 | ||
+ | 1-1. 대나무 치기 【寫竹】 이곳은 소제목 아래에 제목이 하나 더 추가된 체제를 갖고 있다. | ||
+ | |||
+ | 1) 총론 【總論】 | ||
+ | 2) 가슴에서 대나무가 된다 【胷中成竹】 | ||
+ | 3) 구도 【位置】 | ||
+ | 4) 대줄기 그리기 【畵竿】 | ||
+ | 5) 마디 그리기 【畵節】 | ||
+ | 6) 가지 그리기 【畵枝】 | ||
+ | 7) 잎 그리기 【畵葉】 | ||
+ | 8) 필묵법 【描墨】 | ||
+ | 9) 승염(염색하듯 색 들이기) 【承染】 | ||
+ | 10) 채색 【設色】 | ||
+ | 11) 덧칠(농투) 【籠套】 | ||
+ | 12) 그림으로 보는 대나무 치기【圖式】 | ||
+ | |||
+ | 1-2. 매화 치기 【寫梅】 | ||
+ | 1) 구전되는 비결【口訣】 | ||
+ | 2) 매화나무에서 상(象)을 취하다【取象】 | ||
+ | 3) 1개의 꽃꼭지【一丁】 | ||
+ | 4) 2개의 몸체【二體】 | ||
+ | 5) 3개의 점【三點】 | ||
+ | 6) 4개의 방향【四向】 | ||
+ | 7) 5장의 꽃잎【五出】 | ||
+ | 8) 5개의 꽃받침【五萼】 | ||
+ | 9) 6가지의 가지【六枝】 | ||
+ | 10) 7줄기의 꽃술【七鬚】 | ||
+ | 11) 8가지의 매듭【八結】 | ||
+ | 12) 9가지의 변화【九變】 | ||
+ | 13) 10가지의 종류【十種】 | ||
+ | 14) 36가지의 병폐【三十六病】 | ||
+ | 15) 매화나무의 생김새 그리기【畵梅標格】 | ||
+ | 16) 화광선승이 지적한 폐단【華光指迷】 | ||
+ | 17) 매화 그리는 특별한 이치【畵梅別理】 | ||
+ | 18) 매화에는 4개의 글자가 있다【梅有四字】 | ||
+ | 19) 매화를 그리는 총체적인 방법【寫梅總法】 | ||
+ | 20) 그림으로 보는 매화 치기【圖式】 | ||
+ | |||
+ | |||
+ | 1-3. 난 치기 【寫蘭】 | ||
+ | 1) 총체적인 요결【總結】 | ||
+ | 2) 그림으로 보는 난 치기【圖式】 | ||
+ | |||
+ | |||
+ | |||
+ | 권6(총98) | ||
+ | Ⅰ. 방중악보(실내악 악보)【房中樂譜】 | ||
+ | |||
+ | 1. 거문고 악보【玄琴字譜】 | ||
+ | 1) 지법의 변화를 통한 연주법【以指變通出聲之權】 | ||
+ | 2) 거문고의 여러 음 연주법【琴之眩聲】 | ||
+ | 3) 손가락 표기법【手指之號】 | ||
+ | 4) 거문고 현의 음【琴聲之變】 | ||
+ | 5) 거문고의 자출성(손가락으로 내는 음)【琴之自聲】 | ||
+ | 6) 4가지 청성(淸聲)【四淸之別】 | ||
+ | 7) 거문고 현의 이름【琴絃之名】 | ||
+ | 8) 거문고 소리의 상(相)【琴聲之相】 | ||
+ | 9) 거문고 소리의 형(形)【琴聲之形】 | ||
+ | 10) 거문고 그림【玄琴圖】 | ||
+ | 11) 우중대엽【羽中大葉五章】 | ||
+ | 12) 우초엽【羽初葉五章】 | ||
+ | 13) 우이엽【羽二葉五章】 | ||
+ | 14) 우삼엽【羽三葉初章】 | ||
+ | 15) 계중대엽【界中大葉五章】 | ||
+ | 16) 계초엽【界初葉五章】 | ||
+ | 17) 계이엽【界二葉五章】 | ||
+ | 18) 계삼엽【界三葉初章】 | ||
+ | 19) 농엽【弄葉五章】 | ||
+ | 20) 우락【羽樂五章】 | ||
+ | 21) 계락【界樂初章】 | ||
+ | 22) 편삭대엽【編數大葉五章】 | ||
+ | 23) 평우조【平羽調五章】 | ||
+ | 24) 평계조【平界調五章】 | ||
+ | 25) 삼중대엽【三中大葉五章】 | ||
+ | 26) 후정화【後庭花五章】 | ||
+ | 27) 염불타령【念佛打領】 | ||
+ | 28) 육자염불【六字念佛】 | ||
+ | 29) 타령【打領】 | ||
+ | 30) 군악유입타령【軍樂流入打領】 | ||
+ | 31) 우조타령【羽調打領】 | ||
+ | 32) 군악타령【軍樂打領】 | ||
+ | 33) 삼현회입【三絃回入】 | ||
+ | 34) 삼현회입우조별지【三絃回入羽調別指】 | ||
+ | 35) 삼현회입 2장두【三絃回入二章頭】 | ||
+ | 36) 삼현회입 4장말【三絃回入四章末】 | ||
+ | 37) 영산회상【靈山會上】 | ||
+ | 38) 세령산【細靈山】 | ||
+ | 39) 영산회상이층제지【靈山會上二層除指】 | ||
+ | 40) 영산회상삼층제지【靈山會上三層除指】 | ||
+ | 41) 보허사【步虛詞】 | ||
+ | 42) 대현환입【大絃還入】 | ||
+ | |||
+ | 2. 중국금 악보【唐琴字譜】 | ||
+ | 1) 중국금 악보【唐琴字譜】(3개) | ||
+ | 자호字號 수세手勢 자보字譜 | ||
+ | 2) 5음 정조(正操) 악보【五音正操字譜】(5개) | ||
+ | 궁의宮意 상의商意 각의角意 치의徵意 우의羽意 | ||
+ | 3) 옛날 금 그림【古琴圖】(6개) | ||
+ | 부자금夫子琴 혁자금革子琴 호종금號鍾琴 자기금子期琴 뇌음금雷音琴 초미금焦尾琴 | ||
+ | 4) 현재 금 그림【今琴圖】(3개) | ||
+ | 금면琴面 금복琴腹 금저琴底 | ||
+ | |||
+ | 3. 양금 악보【洋琴字譜】 | ||
+ | 1) 양금 악보【洋琴字譜】 | ||
+ | 2) 양금 그림【洋琴圖】 | ||
+ | 3) 조현곡【調絃】(2개) | ||
+ | 우조조현羽調調絃 | ||
+ | 계면조현界面調絃 | ||
+ | 4) 영산회상【靈山會上】 | ||
+ | 5) 가곡【歌曲】 | ||
+ | 6) 시조【時調】 | ||
+ | |||
+ | 4. 생황 악보【笙簧字譜】 | ||
+ | 1) 생황 악보【笙簧字譜】 | ||
+ | 2) 생황의 소리구멍 그림【笙簧按孔圖】 | ||
+ | 3) 계면대엽【界面大葉】 | ||
+ | 4) 농악【弄樂】 | ||
+ | 5) 낙시조【樂時調】 | ||
+ | |||
+ | ===이운지=== | ||
+ | |||
+ | 이운지(怡雲志) 목차 <br> | ||
+ | <br> | ||
+ | 이운지 권제1 怡雲志 卷第一 임원십육지 99 林園十六志 九十九 <br> | ||
+ | <br> | ||
+ | 은거지[衡泌]의 배치 衡泌舗置<br> | ||
+ | <br> | ||
+ | 1. 총론 總論<br> | ||
+ | 1) 산골 거주지의 7가지 빼어난 경치 山居七勝 <br> | ||
+ | 2) 산골에 사는 4가지 방법 居山四法 <br> | ||
+ | 3) 집 지어 노후 즐기기 卜築娛老 <br> | ||
+ | 4) 매화 심고 학(鶴) 기르기 種梅養鶴說 <br> | ||
+ | 5) 작은 봉래산 小蓬萊 <br> | ||
+ | 6) 고아한 배치와 속된 배치 論位置雅俗 <br><br> | ||
+ | |||
+ | 2. 원림과 연못 園林、 澗沼 <br> | ||
+ | 1) 장취원(將就園, 이상향의 정원) <br> | ||
+ | 2) 용도서[龍圖墅, 하도(河圖)를 본뜬 별장] <br> | ||
+ | 3) 구문원[龜文園, 낙서(洛書)를 본뜬 정원] <br> | ||
+ | 4) 정원에 울타리 치는 법 籬園法 <br> | ||
+ | 5) 구경에 나무 심는 법 九徑種樹法 <br> | ||
+ | 6) 큰 못과 작은 못 大小池塘 <br> | ||
+ | 7) 흙을 구워 못 만드는 법 燔土作池法 <br> | ||
+ | 8) 분지(盆池, 항아리를 이용한 못) 만드는 법 作盆池法 <br> | ||
+ | 9) 못의 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법 池水禁涸法 <br> | ||
+ | 10) 못 주변에 석가산(石假山, 돌로 만든 인공산) 만드는 법 池邊石假山法 <br> | ||
+ | 11) 샘물 끌어들이는 법 引泉法 <br> | ||
+ | 12) 가산으로 뱀을 물리치고 안개 일으키는 방법 假山辟蛇起霧方 <br><br> | ||
+ | |||
+ | |||
+ | 3. 임원 삶터의 여러 건축물과 정자 齋寮亭榭 <br> | ||
+ | 1) 서재 書齋 <br> | ||
+ | 2) 원실 圜室 <br> | ||
+ | 3) 온각 熅閣 <br> | ||
+ | 4) 다료 茶寮 <br> | ||
+ | 5) 약실 藥室 <br> | ||
+ | 6) 금실 琴室 <br> | ||
+ | 7) 장서각(藏書閣, 도서실) <br> | ||
+ | 8) 취진당(聚珍堂, 출판하는 곳) <br> | ||
+ | 9) 영빈관(迎賓館) <br> | ||
+ | 10) 의숙(義塾, 교육기관) <br> | ||
+ | 11) 사정(射亭, 활쏘기 하는 정자)<br> | ||
+ | 12) 망행정(望杏亭, 농사 살피는 정자) <br> | ||
+ | 13) 첨포루(瞻蒲樓, 추수 살피는 누각) <br> | ||
+ | 14) 춘경료(春鶊寮, 누에방)와 추솔와(秋蟀窩, 길쌈방) <br> | ||
+ | 15) 전어사(佃漁社, 가축우리 및 양어장과 고기잡이 시설) | ||
+ | 16) 포정(圃亭, 텃밭 정자) <br> | ||
+ | 17) 계정(溪亭, 시냇가 정자) <br> | ||
+ | 18) 강루(江樓, 강가 누각) <br> | ||
+ | 19) 수사(水榭, 저수지가 정자) <br> | ||
+ | 20) 죽정(竹亭, 대나무 정자) <br> | ||
+ | 21) 회백정(檜柏亭, 향나무 정자) <br> | ||
+ | 22) 모정(茆亭, 띠풀로 만든 정자) <br> | ||
+ | 23) 송헌(松軒, 소나무 사이에 세운 헌) <br> | ||
+ | 24) 택승정(擇勝亭, 이동식 정자) <br> | ||
+ | 25) 관설암 觀雪庵 <br> | ||
+ | 26) 차여택 此予宅<br><br> | ||
+ | |||
+ | |||
+ | 4. 궤(几)와 탑(榻)과 문구(文具)의 배치 几榻、 文具 <br> | ||
+ | 1) 좌궤(坐几, 작은 탁자) <br> | ||
+ | 2) 앉는 데 쓰이는 가구 坐具 <br> | ||
+ | 3) 서가(書架)와 책궤 架橱 <br> | ||
+ | 4) 그림 걸기 懸畫 <br> | ||
+ | 5) 향로(香罏) 배치 置罏 <br> | ||
+ | 6) 꽃병 배치 置缾<br> | ||
+ | 7) 작은 방의 가구 배치 小室位置 <br> | ||
+ | 8) 침실[臥室]의 가구 배치 臥室位置 <br> | ||
+ | 9) 창실의 가구 배치 敞室位置 <br> | ||
+ | 10) 정자의 가구 배치 亭榭位置<br><br> | ||
+ | |||
+ | |||
+ | 휴양(休養)에 필요한 도구 怡養器具<br><br> | ||
+ | |||
+ | 1. 상(牀)과 탑(榻) 牀榻 <br> | ||
+ | 1) 이의상(二宜牀, 여름·겨울에 모두 알맞은 평상) <br> | ||
+ | 2) 죽탑(竹榻, 대나무 평상) <br> | ||
+ | 3) 고배(靠背, 등받이) <br> | ||
+ | 4) 고궤(靠几, 안석) <br> | ||
+ | 5) 의상(欹床, 비스듬히 기대어 책 보는 평상) <br> | ||
+ | 6) 취상(醉床, 술 마시기 좋은 평상) <br> | ||
+ | 7) 단탑(短榻, 길이가 짧은 평상) <br> | ||
+ | 8) 등돈(藤墩, 등나무 걸상) <br> | ||
+ | 9) 포돈(蒲墩, 부들 걸상) <br> | ||
+ | 10) 곤등(滾凳, 발 굴림 걸상) <br> | ||
+ | 11) 선의(仙椅, 명상용 의자) <br> | ||
+ | 12) 은궤(隱几, 기대는 궤) <br> | ||
+ | 13) 나판(懶版, 나른해질 때의 휴식용 평상) <br> | ||
+ | 14) 천연탑(天然榻, 천연 그대로의 평상) <br> | ||
+ | 15) 선의(禪椅, 참선용 의자)<br><br> | ||
+ | |||
+ | 2. 침구류 枕褥 <br> | ||
+ | 1) 베개 枕 <br> | ||
+ | 2) 서침(書枕, 서재용 베개) <br> | ||
+ | 3) 포화욕(蒲花褥, 부들꽃 요) <br> | ||
+ | 4) 노화피(蘆花被, 갈대꽃 이불) <br> | ||
+ | 5) 은낭(隱囊, 몸을 기대는 자루) <br> | ||
+ | 6) 자리[簟] <br> | ||
+ | 7) 좌단(坐團, 둥근 방석) <br><br> | ||
+ | |||
+ | 3. 병풍과 장막 屛、 帳 <br> | ||
+ | 1) 병풍 屛 <br> | ||
+ | 2) 침두병풍(枕頭屛風, 머릿병풍) <br> | ||
+ | 3) 장막 帳 <br> | ||
+ | 4) 무루장(無漏帳, 틈이 없는 장막) <br> | ||
+ | 5) 매화지장(梅花紙帳, 매화를 장식한 종이 장막) <br><br> | ||
+ | |||
+ | 4. 여러 휴대용 도구 動用諸具<br> | ||
+ | 1) 띠쇠[鉤, 물건 거는 고리] 鉤<br> | ||
+ | 2) 불진 拂塵 <br> | ||
+ | 3) 여의 如意 <br> | ||
+ | 4) 단선 團扇<br> | ||
+ | 5) 쟁(鎗, 술을 데우는 그릇) <br> | ||
+ | 6) 편제(偏提, 술 주전자) <br> | ||
+ | 7) 급수(急須, 술 데우는 그릇) <br> | ||
+ | 8) 화호(火壺) <br> | ||
+ | 9) 생황호(笙簧壺, 생황 모양의 휴대용 술통) <br> | ||
+ | |||
+ | 5. 이구 餌具<br> | ||
+ | 1) 찬합 饌盒 <br> | ||
+ | 2) 죽발 竹鉢<br> | ||
+ | 3) 향연반 香櫞盤 <br> | ||
+ | |||
+ | 6. 음주 도구 飮具 <br> | ||
+ | 1) 술그릇 총론 酒器統論<br> | ||
+ | 2) 치이 鴟夷 <br> | ||
+ | 3) 고·준·호·병 觚、 尊、 壺、 甁 <br> | ||
+ | 4) 표 杯杓 배표(杯杓, 여러 형태의 술잔) <br> | ||
+ | |||
+ | |||
+ | <br><br> | ||
+ | |||
+ | 이운지 권제2 怡雲志 卷第二 임원십육지 100 林園十六志 一百 <br> | ||
+ | |||
+ | |||
+ |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 山齋淸供(上)<br> | ||
+ | 1. 차 茶供<br> | ||
+ | 1) 물의 품등 水品 <br> | ||
+ | 2) 땔감의 품등 薪品 <br> | ||
+ | 3) 찻물의 징후 湯候<br> | ||
+ | 4) 끓인 물 붓는 법 點法 <br> | ||
+ | 5) 씻는 법 滌法 <br> | ||
+ | 6) 소금으로 간을 맞추다 論調鹽 <br> | ||
+ | 7) 차와 과일 論茶果 <br> | ||
+ | 8) 차 마시는 법 飮法 <br> | ||
+ | 9) 다구 茶具<br> | ||
+ | 풍로 風爐 │ 광주리 筥 │ 탄과 炭檛 │ 화협 火筴 │ 솥 鍑 │ 교상 交牀 │ 집게 夾 │ 지낭 紙囊 │ 연 碾 │ 나합 羅合 │ 찻숟가락 則 │ 수방 水方 │ 녹수낭 漉水囊 │ 표주박 瓢 │ 죽협 竹夾 │ 차궤 鹺簋 │ 숙우 熟盂 │ 다완 盌 │ 둥구미 畚 │ 찰 札 │ 척방 滌方 │ 재방 滓方 │ 다건 巾 │ 구열 具列 │ 도람 都籃 | ||
+ | |||
+ | 2. 향 香供<br> | ||
+ | 1) 이름과 뜻 名義 <br> | ||
+ | 2) 품등 品第 <br> | ||
+ | 3) 만드는 법 製法 <br> | ||
+ | 강남이왕 장중향 江南李王帳中香 │ 당 화도사 아향 唐化度寺牙香 │ 옹문철랑중 아향 雍文徹郞中牙香 │ 연안군공 예향 延安郡公蕊香 │ 공불 습향 供佛濕香 │ 아향 牙香 │ 인향 印香 │ 매화향 梅花香 │ 구자향 毬子香 │ 신령향 信靈香 │ 설중춘범향 雪中春泛香 │ 춘소식 春消息 │ 독누향 篤耨香 │ 설란향 雪蘭香 │ 납매향 蠟梅香 │ 야화향 野花香 │ 장춘반혼매향 藏春返魂梅香 │ 행화향 杏花香 │ 소룡연향 小龍涎香 │ 옥화향 玉華香 │ 취선향 聚仙香 │ 침속향 沈速香 │ 황향병 黃香餠 │ 인향 印香 │ 만춘향 萬春香 │ 살별란향 撒 蘭香 │ 부용향 芙蓉香 │ 용루향 龍樓香 │ 새룡연병자 賽龍涎餠子 │ 사기향병 四棄香餠 │ 동국부용향 東國芙蓉香<br> | ||
+ | 4) 향료 香料 <br> | ||
+ | 용뇌향 龍腦香 │ 사향 麝香 │ 침수향 沈水香 │ 단향 檀香 │ 소합향 蘇合香 │ 안식향 安息香 │ 울금향 鬱金香 │ 정향 丁香 │ 유향 乳香 │ 목향 木香 │ 강진향 降眞香 │ 애납향 艾蒳香 │ 감송 甘松 │ 영릉향 零陵香 │ 감람향 橄欖香 │ 모산세경창출 茅山細梗蒼朮 │ 빈랑태 檳榔苔 │ 철면향·생향 鐵面香、生香 │ 갑향 甲香 │ 기남향 棋楠香 │ 암팔향 唵叭香 │ 운향 芸香 │ 배초향 排草香 │ 방향 芳香 │ 회향 蘹香 │ 난향 蘭香 │ 백교향 白膠香 │ 모향 茅香 │ 백모향 白茅香 │ 작두향 雀頭香 │ 용연 龍涎 | ||
+ | <br> | ||
+ | 5) 향 묻는 법 窨香法<br> | ||
+ | 6) 여러 향 처리하는 법 諸香治法 <br> | ||
+ | 단향 처리하기 治檀香 │ 곽향·감송·영릉과 같은 향류 처리하기 治藿香、 甘松、 零陵之類 │ 모향 처리하기 治茅香 │ 갑향 처리하기 治甲香 │ 비장뇌 飛樟腦<br> | ||
+ | 7) 꿀 졸이는 법 煉蜜法 <br> | ||
+ | 8) 숯 만드는 법 煉炭法 <br> | ||
+ | 9) 보관하는 법 藏法 <br> | ||
+ | 10) 향 연기 잘 모으는 법 聚香煙法 <br> | ||
+ | 11) 향 연기 잘 나누는 법 分香煙法 <br> | ||
+ | 12) 연기 끌어다 호리병에 넣는 법 引煙入葫蘆法 <br> | ||
+ | 13) 향전 만드는 법 香篆法 <br> | ||
+ | 14) 향수 만드는 법 香獸法 <br> | ||
+ | 15) 수부향 만드는 법 水浮香法 <br> | ||
+ | 16) 향병 만드는 법 香餠子法 <br> | ||
+ | 17) 재 만드는 법 灰法 <br> | ||
+ | 18) 향로 香爐 <br> | ||
+ | 19) 향합 香盒<br> | ||
+ | 20 향시(香匙)와 향저(香筯) 匙筯 <br> | ||
+ | 21) 사금파리 격화(隔火)<br> | ||
+ | 22) 향반 香盤 <br> | ||
+ | 23) 향궤(香几) <br> | ||
+ | 24) 향 관련 모든 물품을 보관하는 향갑 香都總匣<br> | ||
+ | |||
+ | |||
+ | 3. 금·검(부록:생황·적·종·경쇠) 琴劍供(附:笙、 笛、 鍾、 磬) <br> | ||
+ | 1) 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 論書室不可無琴 <br> | ||
+ | 2) 재목 고르기 擇材 <br> | ||
+ | 3) 진(軫)의 품등 軫品 <br> | ||
+ | 4) 휘(徽)의 품등 徽品 <br> | ||
+ | 5) 현(絃)의 품등 絃品 <br> | ||
+ | 6) 금 만드는 법 製法 <br> | ||
+ | 7) 금의 양식 樣式 <br> | ||
+ | 8) 현금 玄琴 <br> | ||
+ | 9) 번금 番琴 <br> | ||
+ | 10) 고금(古琴) 판별법 古琴辨 <br> | ||
+ | 11) 9덕(九德, 금의 9가지 덕목) <br> | ||
+ | 12) 백랍금 百衲琴<br> | ||
+ | 13) 금(琴) 보호법 護法 <br> | ||
+ | 14) 금(琴) 보관법 蓄法 <br> | ||
+ | 15) 금(琴) 고치는 법 醫法<br> | ||
+ | 16) 금(琴) 연주할 때 금기사항 彈琴宜忌<br> | ||
+ | 17) 금(琴)의 십우 琴壇十友 <br> | ||
+ | 18) 금갑 琴匣 <br> | ||
+ | 19) 금낭 琴囊 <br> | ||
+ | 20) 금안 琴案 <br> | ||
+ | 21) 금실 琴室<br> | ||
+ | 22) 생황(笙簧)의 이름과 의미 笙簧名義 <br> | ||
+ | 23) 생황 만드는 법 製法 <br> | ||
+ | 24) 생황 보관법 藏法<br> | ||
+ | 25) 적(笛)의 이름과 의미 笛名義 <br> | ||
+ | 26) 적(笛) 만드는 법 製法<br> | ||
+ | 27) 종(鍾) <br> | ||
+ | 28) 경(磬) <br> | ||
+ | 29) 풍경 風磬 <br> | ||
+ | 30) 서재에는 검을 걸어두어야 한다 論齋閣宜掛劍<br><br><br> | ||
+ | |||
+ | |||
+ | |||
+ |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 一百一 <br> | ||
+ | |||
+ |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하) 山齋淸供(下)<br> | ||
+ | 1. 꽃과 돌 花、 石供<br> | ||
+ | 1) 분경(盆景) 총론 盆景統論<br> | ||
+ | 2) 분경의 품등 盆景品第 <br> | ||
+ | 3) 화분의 품등 盆品 <br> | ||
+ | 4) 병 꽃꽂이 총론 甁花統論<br> | ||
+ | 5) 꽃병의 품등 甁品 <br> | ||
+ | 6) 꽃의 품등 花品 <br> | ||
+ | 7) 가지 꺾기 折枝 <br> | ||
+ | 8) 꽃꽂이 插貯<br> | ||
+ | 9) 병에서 꽃 기르기 滋養<br> | ||
+ | 10) 여러 가지 꽃 꽂는 법 諸花插法<br> | ||
+ | 매화 梅花 │ 모란 牡丹 │ 작약 芍藥 │ 연꽃 荷花 │ 치자 梔子 │ 해당화 海棠 │ 접시꽃 蜀葵 │ 수선화 水仙花 │ 봉선화 鳳仙花 │ 부용화 芙蓉花 │ 영지 靈芝 │ 여러 가지 꽃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 諸花總法<br> | ||
+ | 11) 꽃 씻기 沐花<br> | ||
+ | 12) 꽃이 꺼리는 것 花忌<br> | ||
+ | 13) 꽃병 관리 護甁 <br> | ||
+ | 14) 취우호 翠羽壺 <br> | ||
+ | 15) 윤회매 輪回梅 <br> | ||
+ | 16) 종이꽃 紙花 <br> | ||
+ | 17) 납화감 蠟花龕 <br> | ||
+ | 18) 괴석怪石) 살펴보는 법 怪石相法<br> | ||
+ | 19) 돌 위에 이끼 나게 하는 법 石上生苔法<br> | ||
+ | 20) 돌 염색법 染石法 <br> | ||
+ | 21) 수석취미 泉石供<br> | ||
+ | 22) 물로 괴석 기르는 법 水養怪石法 <br> | ||
+ | 23) 겨울에 돌 관리하는 법 冬月護石法 <br> | ||
+ | 24) 괴석 운반하는 법 運怪石法 <br> | ||
+ | 25) 중국 돌의 품등 中國石品<br> | ||
+ | 영벽석 靈壁石 │ 청주석 靑州石 │ 임려석 林慮石 │ 태호석 太湖石 │ 무위군석 無爲軍石 │ 임안석 臨安石 │ 무강석 武康石 │ 곤산석 崑山石 │ 도주석 道州石 │ 사계석 思溪石 │ 개화석 開化石 │ 영석 英石 │ 계천석 桂川石 │ 강주석 江州石 │ 원석 袁石 │ 평천석 平泉石 │ 연주석 兗州石 │ 습경석 襲慶石 │ 역산석 嶧山石 │ 뇌양석 耒陽石 │ 양양석 襄陽石 │ 진강석 鎭江石 │ 청계석 淸溪石 │ 형석 形石 │ 구지석 仇池石 │ 변산석 卞山石 │ 길주석 吉州石 │ 전주석 全州石 │ 소주석 韶州石 │ 융석 融石 │ 천석 川石 │ 소유동 천석 小有洞天石<br> | ||
+ | 26) 우리나라 돌의 품등 小有洞天石 <br> | ||
+ | 경천석 敬天石 │ 신계석 新溪石 │ 안산석 安山石 │ 수락석 水落石 │ 풍천석 豐川石 │ 단양석 丹陽石 │ 덕적석 德積石 │ 금강석 金剛石 │ 낭간석 琅玕石 │ 종유석 鍾乳石 │ 옥순석 玉筍石 │ 물상석 物象石 <br><br> | ||
+ | |||
+ | 2. 조수(鳥獸)와 물고기 禽魚供<br> | ||
+ | 1) 상학법 相鶴法 <br> | ||
+ | 2) 순학법 馴鶴法 <br> | ||
+ | 3) 양학법 養鶴法<br> | ||
+ | 4) 학에게 춤 가르치는 법 敎鶴舞法 <br> | ||
+ | 5) 양계칙법 養鸂鶒法 <br> | ||
+ | 6) 양록법 養鹿法<br> | ||
+ | 7) 사슴의 병 치료법 醫鹿病法<br> | ||
+ | 8) 금붕어 품평 金魚品第<br> | ||
+ | 9) 금붕어 기르는 법 養金魚法<br> | ||
+ | 10) 먹이로 붕어 색깔 바꾸는 법 飼魚變色法 <br> | ||
+ | 11) 유리 어항에 금붕어 기르는 법 玻瓈盒養金魚法<br> | ||
+ | 12) 거북의 등에 녹색 털 나게 하는 방법 養龜生綠毛方<br> | ||
+ | |||
+ | |||
+ | <br> | ||
+ | |||
+ |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一百一 <br> | ||
+ | |||
+ | |||
+ | 서재의 고상한 벗들(상) 文房雅製(上)<br> | ||
+ | 1. 붓 筆<br> | ||
+ | 1) 털의 품등 毫品 <br> | ||
+ | 2) 붓대의 품등 管品 <br> | ||
+ | 3) 붓 만드는 법 製法 <br> | ||
+ | 4) 붓 씻는 법 滌法<br> | ||
+ | 5) 붓 보관하는 법 藏法 <br> | ||
+ | 6) 붓걸이 筆格 <br> | ||
+ | 7) 붓통 筆筒 <br> | ||
+ | 8) 붓받침 筆牀 <br> | ||
+ | 9) 필선 筆船 <br> | ||
+ | 10) 필점 筆覘 <br> | ||
+ | 11) 필세 筆洗 <br> | ||
+ | 12) 필병 筆屛<br> | ||
+ | |||
+ | 2. 먹 墨<br> | ||
+ | 1) 먹은 반드시 우수한 것으로 골라야 한다 論墨必擇精 <br> | ||
+ | 2) 먹의 품질 변별하기 辨品 <br> | ||
+ | 3) 제후 製候 <br> | ||
+ | 4) 송연 얻는 방법 取松煙法<br> | ||
+ | 5) 유연 얻는 방법 取油煙法<br> | ||
+ | 물동이 水盆 │ 기름잔 油 │ 그을음사발 煙盌 │ 등초 燈草 | ||
+ | 6) 체로 그을음 거르기 篩煙 <br> | ||
+ | 7) 아교 녹이기 鎔膠<br> | ||
+ | 어표교 魚鰾膠 | ||
+ | 8) 약 쓰기 用藥<br> | ||
+ | 9) 그을음 반죽하기 搜煙<br> | ||
+ | 10) 그을음반죽 찌기 蒸劑<br> | ||
+ | 11) 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杵擣<br> | ||
+ | 12) 그을음반죽 무게 재기 稱劑<br> | ||
+ | 13) 쇠망치로 두드리기 鎚鍊<br> | ||
+ | 14) 둥근 반죽 늘이기 丸擀<br> | ||
+ | 15) 모양 만들기 樣製<br> | ||
+ | 16) 무늬 만드는 법 紋法<br> | ||
+ | 17) 먹틀로 찍어내기 印脫<br> | ||
+ | 18) 재에 넣기 入灰<br> | ||
+ | 19) 재에서 꺼내기 出灰<br> | ||
+ | 20) 보관법 藏法<br> | ||
+ | 21) 사용법 用法<br> | ||
+ | 22) 우리나라의 먹 만드는 법 東墨法<br> | ||
+ | 23) 묵갑 墨匣<br> | ||
+ | 24) 묵상 墨牀 <br> | ||
+ | 25) 주사(朱砂)로 먹 만드는 법 硃墨法<br> | ||
+ | 26) 주사를 섞어 점 찍거나 글씨 쓰는 법 調硃點書法<br> | ||
+ | 27) 자황(雌黃)으로 먹 만드는 법 雌黃墨法<br> | ||
+ | 28) 소분(韶粉)으로 먹자루 만드는 법 粉錠子法<br> | ||
+ | <br> | ||
+ | |||
+ | |||
+ | 이운지 권제4 怡雲志 卷第四 임원십육지 102 林園十六志一百二<br> | ||
+ | 서재의 고상한 벗들(하) 文房雅製(下)<br> | ||
+ | |||
+ | 1. 벼루 硯<br> | ||
+ | 1) 벼루 품등 총론 硯品統論<br> | ||
+ | 2 단계端溪) 벼루(단계연)의 품등 端硯品<br> | ||
+ | 3) 흡주(歙州) 벼루(흡연)의 품등 歙硯品<br> | ||
+ | 4) 중국 여러 지역 벼루의 품등 諸州硯品<br> | ||
+ | 5) 우리나라 벼루의 품등 東國硯品<br> | ||
+ | 6) 일본 벼루의 품등 倭硯品<br> | ||
+ | 7) 도기벼루[陶硯]의 품등 陶硯品<br> | ||
+ | 8) 특이한 벼루의 품등 異硯品<br> | ||
+ | 9) 모양 樣式<br> | ||
+ | 10) 손질하는 법 治法<br> | ||
+ | 11) 잘 간수하는 법 養法<br> | ||
+ | 12) 깨진 벼루 보수하는 법 補破硯法<br> | ||
+ | 13) 벼룻집(연갑, 硯匣)<br> | ||
+ | 14) 벼루산(연산, 硯山) <br> | ||
+ | 15) 벼루병풍(연병, 硏屛) <br> | ||
+ | 16) 수적(水滴) <br> | ||
+ | 17) 수중승 水中丞<br> | ||
+ | 18) 수우 水盂<br> | ||
+ | |||
+ | 2. 종이 紙<br> | ||
+ | 1) 옛날과 지금의 종이 품등 古今紙品<br> | ||
+ | 2) 죽지(竹紙) 만드는 법 造竹紙法<br> | ||
+ | 3) 주본지(奏本紙) 만드는 법 造奏本紙法<br> | ||
+ | 4) 분지(粉帋) 만드는 법 造粉帋法<br> | ||
+ | 5) 상용지(常用帋) 만드는 법 造常用帋法<br> | ||
+ | 6) 마지(麻帋) 만드는 법 造麻帋法<br> | ||
+ | 7) 고경지(古經紙) 만드는 법 造古經紙法<br> | ||
+ | 8) 송전(宋箋)에 물들이는 법 造宋箋色法<br> | ||
+ | 9) 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 造諸色牋法<br> | ||
+ | 10) 종이 두드리는 법 搥紙法<br> | ||
+ | 11) 우리나라 종이의 품등 東國紙品<br> | ||
+ | 12) 북지(北紙) 만드는 법 造北紙法<br> | ||
+ | 13) 일본 종이의 품등 倭紙品<br> | ||
+ | 14) 다루는 법 治法<br> | ||
+ | 15) 보관법 藏法 <br> | ||
+ | 16) 수간 手簡 <br> | ||
+ | 17) 진지 鎭紙 <br> | ||
+ | 18) 압척 壓尺 <br> | ||
+ | 19) 비각 秘閣 <br> | ||
+ | 20) 패광 貝光 <br> | ||
+ | 21) 재도 裁刀 <br> | ||
+ | 22) 가위 剪刀 <br> | ||
+ | 23) 호두 糊斗 <br> | ||
+ | 24) 납두 蠟斗<br> | ||
+ | |||
+ | |||
+ | 3. 도장 圖章<br> | ||
+ | 1) 도장의 품등 印品 <br> | ||
+ | 2) 인뉴 印鈕 <br> | ||
+ | 3) 전서(篆書) 쓰는 법 篆法<br> | ||
+ | 4) 도장 새기는 법 刻法 <br> | ||
+ | 5) 도장 씻는 법 洗印法 <br> | ||
+ | 6) 인주(印朱) 만드는 방법 印色方<br> | ||
+ | 기름을 햇볕에 쬐는 법 曬油法 오종선(吳從先)의 인주기름 만드는 법 吳從先印油法 | ||
+ | 7) 도서갑 圖書匣 <br> | ||
+ | 8) 인주합 印色池<br> | ||
+ | |||
+ | 4. 서실의 기타 도구 書室雜器<br> | ||
+ | 1) 서상 書牀 <br> | ||
+ | 2) 의안 欹案 <br> | ||
+ | 3) 서등 書燈 <br> | ||
+ | 4) 문갑 文匣 <br> | ||
+ | 5) 안경 靉靆<br> | ||
+ | |||
+ | |||
+ | ====은거지의 배치[衡泌舗置, 형비포치]==== | ||
+ | * [[이운지:은거지의 배치:원림과 연못:가산]] | ||
+ | |||
+ | |||
+ | ====휴양(休養)에 필요한 도구[怡養器具. 이양기구]==== | ||
+ | |||
+ | |||
+ |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山齋淸供, 산채청공] (상)====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풍로]]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광주리]]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탄과]]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화협]]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솥]]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교상]]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집게]]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지낭]]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연(碾, 맷돌)]]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나합]]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찻숟가락]]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방]]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녹수낭]]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표주박]]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죽협]]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차궤]]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숙우]]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다완]]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둥구미]]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찰(札, 다구 닦는 솔)]]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척방]]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재방]]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다건]]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구열]]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도람]]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상상]]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귀결]]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분영]]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체화]]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강홍]]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집권]]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단풍]]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녹진]]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정불]]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주춘]]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봉]]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감둔]]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철향]]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요운]]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납경]]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납경]] |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오]]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오]]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고절군]]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고절군]]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건성]]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건성]]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둔]]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둔]]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오부]]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오부]]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조]]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조]]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기국]]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기국]]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품사] | + |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품사] |
− | + | ||
− |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山齋淸供, 산채청공] (하)==== | + |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山齋淸供, 산채청공] (하)==== |
− | + | ||
− | ===상택지=== | + | ===상택지=== |
+ | |||
+ | 상택지(相宅志):풍수 백과 목차 <br> | ||
+ | |||
+ | 권1(총107) | ||
+ | Ⅰ. 집터 살피기【占基】 | ||
+ | 1. 총론【總論】 | ||
+ | 1) 살 곳 고르는 4가지 요점【卜居四要】 | ||
+ | 2) 살 곳은 잘 살펴 골라야 한다【論卜居須審擇】 | ||
+ | 3) 조건 6가지와 갖추어야 할 6가지【六欲六有】 | ||
+ | 4) 거주지는 인가와 들녘이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한다【論搆居必在人野相近處】 | ||
+ | |||
+ | 2. 지리적 조건【地理】 | ||
+ | 1) 산을 등지고 호수를 마주하는 곳【論背山面湖】 | ||
+ | 2) 주거지는 높고 맑으며 확 트인 곳이어야 한다【論人居宜高淨寬暢】 | ||
+ | 3) 용의 다리 부분이 벌어진 곳과 오무려진 곳【論龍腳收放】 | ||
+ | 4) 평지의 주거지【論平地陽基】 | ||
+ | 5) 산골짜기의 주거지【山谷陽基】 | ||
+ | 6) 사방의 형세(사상)【論四象】 | ||
+ | 7) 사방의 높낮이【論四方高低】 | ||
+ | 8) 특정 방위의 공간이 부족할 때【論方位不足】 | ||
+ | 9) 산의 형세【論山形】 | ||
+ | 10) 들의 형세【論野勢】 | ||
+ | 11) 물과의 호응【論水應】 | ||
+ | 12) 배수에 관한 여러 금기【放水雜忌】 | ||
+ | 13) 집안에서 배수할 때 여러 금기【宅內出水雜忌】 | ||
+ | 14) 배수구(수구)【論水口】 | ||
+ | 15) 모래의 호응【論砂應】 | ||
+ | 16) 바람 들어오는 방향【論風射方】 | ||
+ | 17) 조산【論朝山】 | ||
+ | 18) 조수【論朝水】 | ||
+ | 19) 건조한 곳과 윤택한 곳【論燥潤】 | ||
+ | 20) 집터의 방향【論向背】 | ||
+ | |||
+ | 3. 물과 흙【水土】 | ||
+ | 1)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물과 흙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先看水土】 | ||
+ | 2) 거주지는 땅이 두텁고 물이 깊어야 한다【論人居欲土厚水深】 | ||
+ | 3) 토질 확인하는 법【驗壤法】 | ||
+ | 4) 흙 빛깔【論土色】 | ||
+ | 5) 물과 흙을 함께 논한다【合論水土】 | ||
+ | 6) 산 보고 샘물 살피는 법【看山相泉法】 | ||
+ | 7) 샘물의 품등【論泉品】 | ||
+ | 8) 강물【論江水】 | ||
+ | 9) 우물물【論井水】 | ||
+ | 10) 수질 시험하는 법【試水美惡法】 | ||
+ | 11) 전국의 유명한 샘【域內名泉】 | ||
+ | 12) 전국의 장기(瘴氣)가 있는 땅【域內瘴土】 | ||
+ | |||
+ | 4. 생업 조건【生理】 | ||
+ | 1) 살 곳은 농사와 장사에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論卜居宜便農賈】 | ||
+ | 2)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농지를 보아야 한다【論卜居先看田地】 | ||
+ | 3) 살 곳은 물품을 사고팔기에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論卜居宜便貿遷】 | ||
+ | |||
+ | 5. 좋은 마을 찾기【里仁】 | ||
+ | 1) 살 곳을 고를 때는 마을 인심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必視謠俗】 | ||
+ | 2) 살기 좋지 않은 곳 7군데【七不可居】 | ||
+ | 3) 돈이 모여드는 곳은 살기 좋지 않다【論財利湊集處不可居】 | ||
+ | 4) 팔도의 인심【論八域謠俗】 | ||
+ | |||
+ | 6. 경치 좋은 곳【勝㮣】 | ||
+ | 1) 높은 산의 급한 여울가는 좋은 거주지가 아니다【論高山急湍不宜奠居】 | ||
+ | 2) 명산과 아름다운 물가에는 별장이 좋다【論名山佳水宜置別業】 | ||
+ | |||
+ | 7. 피해야 할 곳【避忌】 | ||
+ | 1) 살지 말아야 할 곳 9군데【九不居】 | ||
+ | 2) 피해야 할 곳 6군데【六忌居】 | ||
+ | 3) 피해야 할 곳 10군데【十忌居】 | ||
+ | 4) 살【箭】이 있는 곳 5가지 유형【五箭地】 | ||
+ | 5) 살 수 없는 곳 6군데【六不可居】 | ||
+ | |||
+ | |||
+ | Ⅱ. 집 가꾸기【營治】 | ||
+ | 1. 황무지 개간【開荒】 | ||
+ | 1) 황무지의 벌목법【荒地伐木法】 | ||
+ | 2) 집터 닦는 법【開基法】 | ||
+ | 3) 용의 맥 뚫기【論龍脈穿鑿】 | ||
+ | 4) 고지대를 깎아 저지대를 높인다【論鋤高益低】 | ||
+ | |||
+ | 2. 나무 심기【種植】 | ||
+ | 1) 나무를 심어 사방의 형세(사상) 대신하는 법【種樹代四象法】 | ||
+ | 2) 거주지에는 수목이 푸르고 무성해야 한다【論人居宜樹木翠茂】 | ||
+ | 3) 나무의 방향【論樹木向背】 | ||
+ | 4) 나무 심기의 주의사항【種樹宜忌】 | ||
+ | 5) 살 곳을 골랐으면 가장 먼저 나무를 심어야 한다【論卜居急先種樹】 | ||
+ | |||
+ | 3. 건물 짓기와 배치【建置】 | ||
+ | 1) 방은 남향이어야 한다【論居室宜向南】 | ||
+ | 2) 방은 바람 들 틈이 없어야 한다【論居室須周密】 | ||
+ | 3) 침실은 매우 깨끗하게 해야 한다【論室宇當令潔盛】 | ||
+ | 4) 방은 화려해서는 안 된다【論居室不宜綺麗】 | ||
+ | 5) 천장은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안 된다【論屋無太高太低】 | ||
+ | 6) 방은 소통이 잘 되도록 지어야 한다【論爲室宜令疏達】 | ||
+ | 7) 집짓기의 여러 기피 사항【造屋雜忌】 | ||
+ | 8) 문을 내는 방향【裝門方向】 | ||
+ | 9) 문을 낼 때 여러 기피 사항【裝門雜忌】 | ||
+ | 10) 길 내는 법【取路法】 | ||
+ | 11) 담장 쌓기의 여러 기피 사항【墻垣雜忌】 | ||
+ | 12) 나무 심어 울타리로 삼는 법【揷籬法】 | ||
+ | 13) 창고의 방향【倉庫方位】 | ||
+ | 14) 방아와 맷돌 놓는 방향【安碓磨方位】 | ||
+ | 15) 측간과 잿간을 배치하는 방위【置糞屋方】 | ||
+ | 16) 외양간 짓는 방위【造廏方】 | ||
+ | |||
+ | 4. 우물, 못, 도랑【井池溝渠】 | ||
+ | 1) 샘 찾아 우물 파는 법【審泉開井法】 | ||
+ | 2) 마을에는 우물이 여러 개 있어야 한다【論人家宜有數井】 | ||
+ | 3) 우물 팔 때의 여러 기피 사항【鑿井雜忌】 | ||
+ | 4) 연못 만들 때의 여러 기피 사항【池塘雜忌】 | ||
+ | 5) 연못 만드는 여러 방법【池塘雜法】 | ||
+ | 6) 도랑【論溝渠】 | ||
+ | 7) 고지대에는 물 저장고(수고)를 만들어야 한다【論高地宜作水庫】 | ||
+ | |||
+ | |||
+ | |||
+ | 권2(총108) | ||
+ | Ⅰ. 전국의 명당【八域名基】 | ||
+ | 1. 전국 총론【八域統論】 | ||
+ | 1) 경기도【京畿】 | ||
+ | 2) 충청도【湖西】 | ||
+ | 3) 전라도【湖南】 | ||
+ | 4) 경상도【嶺南】 | ||
+ | 5) 강원도【關東】 | ||
+ | 6) 황해도【海西】 | ||
+ | 7) 평안도【關西】 | ||
+ | 8) 함경도【關北】 | ||
+ | 2. 전국의 명당들【名基條開】 (233) | ||
+ | |||
+ | 1) 경기도【京畿】(82곳) | ||
+ | 누원촌樓院村 망해촌望海村 청룡동靑龍洞 송산松山 사천의 폐현沙川廢縣 삼가대三佳臺 가정자柯亭子 반곡盤谷 풍양豐壤 토원兔院 석실원촌石室院村 평구역촌平邱驛村 노원蘆原 진벌촌榛伐村 남일원南一原 화산花山 이곡棃谷 수곡樹谷 금수정金水亭 창옥계蒼玉屛 주원周原 백로주白鷺洲 백운동白雲洞 농암農巖 연곡燕谷 화현花峴 용호동龍虎洞 조종朝宗 쳥평천淸平川 만취대晚翠臺 경반鏡盤 비금산秘琴山 능우촌陵隅村 감호鑑湖 귀래정歸來亭 벽계蘗溪 용진龍津 미원迷原 봉황대鳳凰臺 소계巢溪 장생동長生洞 행주幸州 삼성당三聖堂 서촌嶼村 마산역촌馬山驛村 화석정花石亭 우계牛溪 내소정來蘇亭 용산龍山 고랑포高浪浦 정자포亭子浦 기일촌基一村 영통동靈通洞 상수촌湘水村 매화곡梅花谷 징파도澄波渡 삭령읍촌朔寧邑村 삼계정三溪亭 여주읍촌驪州邑村 이호梨湖 천령川寧 시라리蒔蘿里 장해원長海院 안성읍촌安城邑村 금령촌金嶺村 비파호琵琶湖 판교촌板橋村 두현斗峴 석림石林 남자곡藍子谷 장항獐項 학탄鶴灘 압구정狎鷗亭 숙몽정夙夢亭 자하동紫霞洞 월파정月波亭 장항獐項 성고리聲皐里 대부도大阜島 신곡薪谷 십승정十勝亭 선원仙源 | ||
+ | |||
+ | 2) 충청도【湖西】(56곳) | ||
+ | |||
+ | 청라동靑蘿洞 가야동伽倻洞 판교천板橋川 성연부곡聖淵部曲 무릉동武陵洞 함덕제合德堤 화성化城 광천廣川 갈산葛山 화계花溪 성주동聖佳洞 유성儒城 경천촌敬天村 이인역촌利仁驛村 유구촌維鳩村 사송정四松亭 강경포江景浦 시진포巿津浦 진포鎭浦 부여읍촌扶餘邑村 왕진王津 공세창촌貢稅倉村 온양읍촌溫陽邑村 풍세촌豐歲村 구로동九老洞 작천鵲川 산동山東 송면촌松面村 이원진利遠津 황산黃山 안평계安平溪,금계錦溪,용화계龍華溪 이화촌棃花村 물한리物閑里 이원棃院 관대館垈 풍계촌楓溪村 용호龍湖 채하계彩霞溪,구룡계九龍溪 형강荆江 고산정孤山亭 진천읍촌鎭川邑村 초평艸坪 석실石室 후산정候山亭 황강黃江 도화동桃花洞 사인암舍人巖 운암雲巖 금천金遷 가흥嘉興 북창北倉 목계木溪 내창內倉 말마촌秣馬村 대흥향교촌大興鄕校村 수석동水石洞 | ||
+ | |||
+ | 3) 전라도【湖南】(17곳) | ||
+ | 율담栗潭 봉상촌鳳翔村 황산촌黃山村 서지포西枝浦 경양호景陽湖 부흥촌復興村 성원星園 구만촌九灣村 주졸천珠崒川 제원천濟原川 장계長溪 주계朱溪 변산邊山 법성포法聖浦 영산강靈山江 월남촌月南村,구림촌鳩林村 송정松亭 | ||
+ | |||
+ | 4) 경상도【嶺南】(25곳) | ||
+ | |||
+ | 귀래정歸來亭 삼귀정三龜亭 하회河洄 임하臨河 내성奈城 춘양촌春陽村 수동壽洞 옥산玉山 양좌동良佐洞 도산陶山 청송읍촌靑松邑村 죽계竹溪 병천甁川 화개동花開洞 악양동岳陽洞 금호琴湖 밀양읍촌密陽邑村 해평촌海平村 감천甘川 가천伽川 봉계鳳溪 이안부곡利安部曲 가정구기稼亭舊基 월성촌月城村 과담雩潭 | ||
+ | |||
+ | 5) 강원도【關東】(42곳) | ||
+ | 임계역촌臨溪驛村 경포鏡浦 대은동大隱洞 해함지海鹹池 대야평大野坪 여량역촌餘糧驛村 주천고현酒泉古縣 치악雉岳 사자산獅子山 흥원창興原倉 법천法泉 덕은촌德隱村 오상곡五相谷 옥산玉山 귀석정龜石亭 도천桃川 옥계玉溪 월뢰月瀬 산현山峴 단구丹邱 교항橋項 재일촌霽日村 모평리茅坪里 횡성읍촌橫城邑村 분곡粉谷 서석瑞石 호명리虎鳴里 천전泉田 우두촌牛頭村 기린고현麒麟故縣 금곡琴谷 송정松亭 하북점리下北占里 선창촌仙倉村 거성擧城 사견촌四堅村 광복동廣褔洞 가려주佳麗洲 포내浦內 귀당龜塘 고밀운古密雲 정연亭淵 | ||
+ | |||
+ | 6) 황해도【海西】(5곳) | ||
+ | 석담石潭 수회촌水回村 채촌采村 화천동花川洞 주구舟邱 | ||
+ | |||
+ | 7) 평안도【關西】(3곳) | ||
+ | 회산檜山 고향산古香山 당촌唐村 | ||
+ | |||
+ | 8) 함경도【關北】(3곳) | ||
+ | 금수촌錦水村 광포廣浦 합포蛤浦 | ||
+ | |||
+ | |||
+ | 3. 명당 품평【名基品第】 | ||
+ | 1) 강 근처 거주지【論江居】 | ||
+ | 2) 계곡 근처 거주지【論溪居】 | ||
+ | 3) 산골 거주지【論山居】 | ||
+ | 4) 호수 근처 거주지【論湖居】 | ||
+ | 5) 바다 근처 거주지【論海居】 | ||
+ | 6) 계곡·강·바다 근처 거주지를 함께 논하다【合論溪江海居】 | ||
+ | |||
+ | ===예규지=== | ||
+ | |||
+ | 예규지(倪圭志):생활경제 백과 목차<br> | ||
+ | |||
+ | 권1(총109) | ||
+ | Ⅰ. 지출의 조절【制用】 | ||
+ | 1. 수입을 고려하여 지출한다【量入爲出】 | ||
+ | 1) 수입의 7/10만 쓴다【十分用七】 | ||
+ | 2) 펑펑쓰기와 아껴쓰기는 조절법이 다르다【豐儉異制】 | ||
+ | 3) 재산은 지키기가 더욱 어렵다【貴富尤難守成】 | ||
+ | 4) 1년 계획과 1개월 계획【歲月計】 | ||
+ | 5) 하루 계획【日計】 | ||
+ | |||
+ | 2. 절약【節省】 | ||
+ | 1) 사치의 해로움과 검소의 이로움【奢儉利害】 | ||
+ | 2) 절약을 통해 길러지는 4가지【四養】 | ||
+ | 3) 절약을 소홀히 하지 말라【節用毋忽少】 | ||
+ | 4) 절약과 검소로 장수한다【節儉延壽】 | ||
+ | 5) 옷과 음식의 완급 조절【論衣食緩急】 | ||
+ | 6) 접대는 간소해야 한다【讌饌宜從簡】 | ||
+ | 7) 밥 먹을 때 생각하는 3가지【食時三思】 | ||
+ | 8) 밥은 절약해야 한다【飯宜節約】 | ||
+ | 9) 식사 때 두 가지의 고기를 올리지 말라【食勿重肉】 | ||
+ | 10) 오곡을 공경하고 아낀다【敬惜五穀】 | ||
+ | |||
+ | 3. 경계할 일【戒禁】 | ||
+ | 1) 가난하게 하는 허(虛) 5가지, 부귀하게 하는 실(實) 5가지【五虛五實】 | ||
+ | 2) 집안의 도적 10가지【十盜】 | ||
+ | 3) 빚을 경계하라【戒擧債】 | ||
+ | 4) 납부할 세금까지 지출하지 말라【戒侵支國稅】 | ||
+ | 5) 쓸데없이 재물을 낭비 말라【戒抛財無用】 | ||
+ | 6) 망할 집안의 징조들【破家諸兆】 | ||
+ | 7) 목돈 드는 집짓기를 경계하라【戒營造破費】 | ||
+ | 8) 서화나 골동품 구입을 경계하라【戒買玩好】 | ||
+ | 9) 인색함을 경계하라【戒鄙嗇】 | ||
+ | 10) 화재를 조심하는 여러 방법【戒火雜法】 | ||
+ | 11) 불 끄는 여러 방법【救火雜法】 | ||
+ | 12) 도둑에 대처하는 여러 방법【警盜雜法】 | ||
+ | 13) 도둑 막는 여러 기술【弭盜雜述】 | ||
+ | 14) 집안의 경비【宅舍關防】 | ||
+ | 15) 낭비를 경계하라【戒浪費】 | ||
+ | 16) 저당 잡히지 말라【戒質典】 | ||
+ | 17) 임대하여 살지 말라【戒賃屋】 | ||
+ | 18) 놈팡이를 기르지 말라【戒養閑漢】 | ||
+ | |||
+ | 4. 미리 준비하기【備豫】 | ||
+ | 1) 땔감과 쌀은 충분히 갖춰야 한다【柴米宜備足】 | ||
+ | 2) 햇곡식은 쌓아두고 묵은 곡식을 사용하는 법【米穀儲新用舊法】 | ||
+ | 3) 땔감 저장하는 법【儲薪法】 | ||
+ | 4) 제때를 놓치지 않도록 미리 계획을 세우라【預謀不失時】 | ||
+ | |||
+ | 권2(총110) | ||
+ | Ⅰ. 재산 증식(상)【貨殖】 | ||
+ | 1. 운송하여 장사하기【貿遷】 | ||
+ | 1) 먹고살려면 운송하여 장사해야 한다【治生須貿遷】 | ||
+ | 2) 배의 이익【船利】 | ||
+ | 3) 수레의 이익【車利】 | ||
+ | 4) 물건 싹쓸이【榷貨】 | ||
+ | 5) 장사 비법【商販妙法】 | ||
+ | 6) 상인은 공정과 성실이 으뜸이다【商以公誠爲主】 | ||
+ | 7) 속이는 장사는 보탬이 안 된다【僞賈無益】 | ||
+ | |||
+ | 2. 재산 불리기【孳殖】 | ||
+ | 1) 빌려주는 이율은 중용이 중요하다【假貸取息貴得中】 | ||
+ | 2) 돈이나 식량을 너무 많이 빌려주지 말라【錢穀不可多借人】 | ||
+ | 3) 금은보화의 형태로 보관만 하지 말라【金寶莫閒藏】 | ||
+ | |||
+ | 3. 부동산·동산 매입과 재산 관리【置產】 | ||
+ | 1) 논밭이 보물이다【論田土可寶】 | ||
+ | 2) 논밭의 경계는 분명해야 한다【田產界至宜分明】 | ||
+ | 3) 꼭 기름진 논밭을 살 필요는 없다【置田不必膏腴】 | ||
+ | 4) 논밭 매입의 요점 5가지【置田五要】 | ||
+ | 5) 인근 논밭은 값을 더 쳐주고 사야 한다【鄰近田產宜增價買】 | ||
+ | 6) 논밭은 팔아서는 안 된다【田產不宜鬻賣】 | ||
+ | 7) 논밭을 불법으로 사지 않는다【違法田產不可置】 | ||
+ | 8) 거래할 때는 법대로 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交易宜著法絶後患】 | ||
+ | 9) 부동산 매입할 때는 어진 마음을 가져야 한다【置產當存仁心】 | ||
+ | 10) 소작인을 아끼고 사랑하라【存卹佃客】 | ||
+ | 11) 종은 토박이여야 한다【婢僕須宜土人】 | ||
+ | 12) 종을 고용할 때는 거간꾼이 확실한 사람이어야 한다【雇婢僕要牙保分明】 | ||
+ | 13) 계집종이나 첩을 살 때는 동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買婢妾當審可否】 | ||
+ | 14) 방죽이나 저수지 보수 공사【修治陂塘】 | ||
+ | 15) 나무 심기에 때를 놓치지 말라【種樹毋失時】 | ||
+ | 16) 채무자 땅을 술책으로 겸병하는 일은 좋은 계획이 아니다【兼幷用術非悠久計】 | ||
+ | 17) 자손에게 재산을 고루 나눠주도록 힘써야 한다【分析務平均】 | ||
+ | |||
+ | 4. 부지런히 일하기【勤勵】 | ||
+ | 1) 부지런과 검소가 근본이다【勤儉爲根本】 | ||
+ | 2) 부지런의 이익과 게으름의 해로움【勤惰利害】 | ||
+ | 3) 날마다 일찍 일어나라【每日早起】 | ||
+ | 4) 부지런히 농사짓고 길쌈하라【勤耕織】 | ||
+ | 5) 부지런과 검소에도 분별이 있어야 한다【勤儉要有分別】 | ||
+ | |||
+ | 5. 일 맡기기【任使】 | ||
+ | 1) 유사는 순박하고 신중한 사람으로 고른다【幹人擇淳謹】 | ||
+ | 2) 종들을 우대하라【優恤婢僕】 | ||
+ | |||
+ | 권3(총111) | ||
+ | Ⅰ. 재산 증식(중)【貨殖】 | ||
+ | 1. 전국의 생산물【八域物產】 | ||
+ | 1) 총론【總論】 | ||
+ | 2) 경기도【京畿】(39곳) | ||
+ | 한양漢陽 광주廣州 이천利川 양근楊根 지평砥平 죽산竹山 음죽陰竹 양지陽智 과천果川 수원水原 인천仁川 안산安山 안성安城 진위振威 용인龍仁 양천陽川 김포金浦 시흥始興 양성陽城 통진通津 양주楊州 파주坡州 고양高陽 부평富平 남양南陽 장단長湍 교하交河 영평永平 가평加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풍덕豐德 삭령朔寧 마전麻田 연천漣川 개성開城 강화江華 교동喬桐 영종永宗 | ||
+ | |||
+ | 3) 충청도【湖西】(53곳) | ||
+ | 충주忠州 청풍淸風 단양丹陽 영춘永春 제천堤川 괴산槐山 연풍延豐 음성陰城 청주淸州 천안天安 옥천沃川 문의文義 직산稷山 목천木川 회인懷仁 청안淸安 진천鎭川 보은報恩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공주公州 임천林川 한산韓山 전의全義 정산定山 은진恩津 회덕懷德 진잠鎭芩 노성魯城 부여扶餘 석성石城 연기燕岐 홍주洪州 서천舒川 서산瑞山 태안泰安 면천沔川 온양溫陽 평택平澤 홍산鴻山 덕산德山 청양靑陽 대흥大興 비인庇仁 감포藍浦 결성結城 보령保寧 아산牙山 신창新昌 예산禮山 해미海美 당진唐津 | ||
+ | |||
+ | 4) 전라도【湖南】(54곳) | ||
+ | 남원南原 담양潭陽 순창淳昌 용담龍潭 창평昌平 임실任實 무주茂朱 곡성谷城 옥과玉果 운봉雲峰 진안鎭安 장수長水 순천順天 낙안樂安 보성寶城 능주綾州 광양光陽 구례求禮 흥양興陽 동복同福 화순和順 전주全州 익산益山 김제金堤 고부古阜 금산錦山 진산珍山 여산礪山 만경萬頃 임피臨陂 금구金溝 정읍井邑 흥덕興德 부안扶安 옥구沃溝 용안龍安 함열咸悅 고산高山 태인泰仁 나주羅州 광주光州 장성長城 영암靈巖 영광靈光 함평咸平 고창高敞 무장茂長 남평南平 무안務安 장흥長興 진도珍島 강진康津 해남海南 제주濟州 | ||
+ | |||
+ | 5) 경상도【嶺南】(71곳) | ||
+ | 경주慶州 울산蔚山 영천永川 흥해興海 청하淸河 연일延日 장기長鬐 언양彥陽 안동安東 영해寧海 청송靑松 순흥順興 예천醴泉 영천榮川 풍기豐基 의성義城 영덕盈德 봉화奉化 진보眞寶 영양英陽 군위軍威 비안比安 예안禮安 용궁龍宮 대구大丘 밀양密陽 청도淸道 선산善山 금산金山 개령開寧 지례知禮 고령高靈 문경聞慶 함창咸昌 자인慈仁 경산慶山 하양河陽 인동仁同 성주星州 영산靈山 신령新寧 현풍玄風 의흥義興 상주尙州 창령昌寧 진주晉州 거창居昌 사천泗川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동河東 산청山淸 안의安義 초계草溪 함양咸陽 곤양昆陽 남해南海 합천陜川 단성丹城 창원昌原 김해金海 진해鎭海 거제巨濟 칠곡漆谷 동래東萊 고성固城 칠원漆原 함안咸安 웅천熊川 양산梁山 기장機張 | ||
+ | |||
+ | 6) 강원도【關東】(26곳) | ||
+ | 강릉江陵 삼척三陟 양양襄陽 평해平海 간성杆城 고성高城 통천通川 울진蔚珍 흡곡歙谷 원주原州 영월寧越 정선旌善 평창平昌 인제獜蹄 횡성橫城 홍천洪川 철원鐵原 춘천春川 회양淮陽 양구楊口 낭천狼川 금성金城 금화金化 이천伊川 안협安峽 평강平康 | ||
+ | |||
+ | 7) 황해도【海西】(23곳) | ||
+ | 황주黃州 평산平山 서흥瑞興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곡산谷山 신천信川 토산兔山 신계新溪 문화文化 장연長連 해주海州 풍천豐川 연안延安 배천白川 옹진甕津 송화松禾 은율殷栗 강령康翎 장연長淵 금천金川 | ||
+ | |||
+ | 8) 평안도【關西】(42곳) | ||
+ | 평양平壤 중화中和 함종咸從 순안順安 강서江西 용강龍岡 증산甑山 영유永柔 가산嘉山 숙천肅川 안주安州 삼화三和 선천宣川 박천博川 철산鐵山 귀성龜城 정주定州 곽산郭山 용천龍川 창성昌城 성천成川 자산慈山 상원祥原 순천順川 개천价川 덕천德川 삼등三登 강동江東 은산殷山 양덕陽德 맹산孟山 영변寧邊 희천熙川 운산雲山 태천泰川 영원寧遠 벽동碧潼 초산楚山 위원渭原 강계江界 삭주朔州 의주義州 | ||
+ | |||
+ | 9) 함경도【關北】(24곳) | ||
+ | 함흥咸興 영흥永興 정평定平 고원高原 안변安邊 덕원德原 문천文川 북청北靑 이원利原 홍원洪原 갑산甲山 삼수三水 단천端川 경성鏡城 명천明川 길주吉州 임연臨淵 부령富寧 무산茂山 회령會寧 종성鍾城 온성穩城 경원慶源 경흥慶興 | ||
+ | |||
+ | 권4(총112) | ||
+ | Ⅰ. 재산 증식(하)【貨殖】 | ||
+ | 1. 전국의 시장【八域場巿】 | ||
+ | 1) 경기도【京畿】(34곳) | ||
+ | 양주楊州 여주驪州 파주坡州 광주廣州 수원水原 강화江華 교동喬桐 남양南陽 인천仁川 부평富平 죽산竹山 통진通津 장단長湍 이천利川 안성安城 안산安山 양근楊根 김포金浦 고양高陽 가평加平 삭령朔寧 마전麻田 교하交河 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지평砥平 음죽陰竹 과천果川 양성陽城 포천抱川 적성積城 연천漣川 양지陽智 | ||
+ | |||
+ | 2) 충청도【湖西】(53곳) | ||
+ | 공주公州 충주忠州 청주淸州 홍주洪州 전의全義 목천木川 직산稷山 아산牙山 정산定山 청양靑陽 대흥大興 서산瑞山 부여扶餘 홍산鴻山 임천林川 비인庇仁 남포藍浦 결성結城 노성魯城 은진恩津 연산連山 진잠鎭岑 청산靑山 보은報恩 회인懷仁 문의文義 청안淸安 음성陰城 천안天安 예산禮山 보령保寧 회덕懷德 옥천沃川 면천沔川 당진唐津 온양溫陽 태안泰安 한산韓山 연기燕岐 영동永同 청풍淸風 괴산槐山 평택平澤 덕산德山 진천鎭川 황간黃澗 제천堤川 단양丹陽 영춘永春 연풍延豐 해미海美 신창新昌 평신平薪 | ||
+ | |||
+ | 3) 전라도【湖南】(53곳) | ||
+ | 전주全州 나주羅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장성長城 무주茂朱 여산礪山 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靈巖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광양光陽 함열咸悅 부안扶安 강진康津 옥과玉果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용안龍安 함평咸平 태인泰仁 고산高山 | ||
+ | |||
+ | 4) 경상도【嶺南】(71곳) | ||
+ | 대구大邱 경주慶州 안동安東 창원昌原 상주尙州 진주晉州 성주星州 울산蔚山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청송靑松 동래東萊 선산善山 인동仁同 칠곡漆谷 순흥順興 하동河東 거제巨濟 거창居昌 청도淸道 초계草溪 함양咸陽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천榮川 흥해興海 풍기豐基 양산梁山 함안咸安 곤양昆陽 합천陜川 금산金山 영덕盈德 고성固城 의성義城 경산慶山 남해南海 개령開寧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彥陽 진해鎭海 진보眞寶 함창咸昌 지례知禮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청山淸 단성丹城 군위軍威 의흥義興 신령新寧 예안禮安 영일迎日 장기長鬐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삼가三嘉 비안比安 칠원漆原 자인慈仁 문경聞慶 안의安義 영양英陽 웅천熊川 | ||
+ | |||
+ | 5) 강원도【關東】(26곳) | ||
+ | 원주原州 강릉江陵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이천伊川 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금성金城 울진蔚津 흡곡歙谷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 ||
+ | |||
+ | 6) 황해도【海西】(23곳) | ||
+ | 해주海州 황주黃州 연안延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풍천豐川 곡산谷山 옹진甕津 장연長淵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배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신계新溪 문화文化 장연長連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兔山 | ||
+ | |||
+ | 7) 평안도【關西】(42곳) | ||
+ | 평양平壤 안주安州 정주定州 영변寧邊 성천成川 창성昌城 삭주朔州 구성龜城 숙천肅川 강계江界 삼화三和 중화中和 철산鐵山 용천龍川 선천宣川 자산慈山 초산楚山 함종咸從 운산雲山 희천熙川 박천博川 덕천德川 개천价川 순천順川 상원祥原 벽동碧潼 위원渭原 영원寧遠 가산嘉山 곽산郭山 순안順安 용강龍岡 증산甑山 강서江西 영유永柔 삼등三登 태천泰川 양덕陽德 맹산孟山 강동江東 은산殷山 의주義州 | ||
+ | |||
+ | 8) 함경도【關北】(14곳) | ||
+ | 함흥咸興 길주吉州 북청北靑 영흥永興 안변安邊 정평定平 덕원德源 경성鏡城 명천明川 단천端川 고원高原 문천文川 홍원洪原 이원利原 | ||
+ | |||
+ | |||
+ | 권5(총113) | ||
+ | Ⅰ. 전국 거리표(서울 기준)【八域程里表】 | ||
+ | 1. 서북쪽으로 의주까지(제1)【西北抵義州第一】 | ||
+ | 2. 동북쪽으로 경흥·서수라까지(제2)【東北抵慶興西水羅第二】 | ||
+ | 3. 동쪽으로 평해까지(제3)【東抵平海第三】 | ||
+ | 4. 동남쪽으로 부산까지(제4)【東南抵釜山第四】 | ||
+ | 5. 동남쪽으로 태백산까지(제5)【東南抵太白山第五】 | ||
+ | 6. 남쪽으로 통영까지(제6)【南抵統營第六】 | ||
+ | 7. 서쪽으로 강화까지(제7)【西抵江華第七】 | ||
+ | 8. 경기도 각 읍 간의 거리수【京畿列邑相距里數】 | ||
+ | 9. 강원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東列邑相距里數】 | ||
+ | 10. 충청도 각 읍 간의 거리수【湖西列邑相距里數】 | ||
+ | 11. 전라도 각 읍 간의 거리수【湖南列邑相距里數】 | ||
+ | 12. 경상도 각 읍 간의 거리수【嶺南列邑相距里數】 | ||
+ | 13. 황해도 각 읍 간의 거리수【海西列邑相距里數】 | ||
+ | 14. 평안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西列邑相距里數】 | ||
+ | 15. 함경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北列邑相距里數】 | ||
+ | |||
+ | ==전거 텍스트== | ||
+ | |||
+ | ===조선왕조실록=== | ||
+ | |||
+ | * [[태종:기축/03/02]] | ||
+ | * [[정조:을사/08/27]] | ||
+ | |||
+ | ===한국고전종합DB=== | ||
+ | |||
+ | * [[한국고전종합DB:간이집:애산당기]] | ||
+ | |||
+ | == 미디어위키 안내 == | ||
+ | |||
+ |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Help:Contents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 | |||
+ | *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Manual:Configuration_settings 설정하기 목록] | ||
+ | *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Manual:FAQ 미디어위키 FAQ] | ||
+ | * [https://lists.wikimedia.org/mailman/listinfo/mediawiki-announce 미디어위키 릴리스 메일링 리스트] | ||
+ | *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Localisation#Translation_resources 내 언어로 미디어위키 지역화] | ||
+ | * [https://www.mediawiki.org/wiki/Special:MyLanguage/Manual:Combating_spam 당신의 위키에서 스팸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세요] | ||
− | |||
− | |||
− | |||
−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16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0년 10월 28일 (수) 14:15 기준 최신판
목차
임원경제 사전
데이터 입력 작업중
인물
사건
장소
의복
음식
건축
물품
문헌
개념/용어
임원경제지 텍스트
임원경제지(총 113권) 16지 명칭의 뜻과 그 내용
1. 본리지(本利志)
봄에 밭 갈아 가을에 수확하는 작물에 관한 기록.
前志有之:‘春耕爲本,秋穡爲利’,本利者, 耕穡之謂也.「本利志引」
농사 일반, 곡물농사. 13권.
2. 관휴지(灌畦志)
두렁밭에 물 대서 재배하는 작물에 관한 기록.
禦冬而旨蓄,分職而供齏,其有關於生也,顧不切歟!況玆林園雅標,分畦布種,抱瓮灌苗,實是恒需之,不可少者.「灌畦志引」
채소·약초농사. 4권.
3. 예원지(藝畹志)
난초 같은 화훼작물의 재배와 관련한 기록.(밭에 난초를 기른다는 굴원의 시에서 뜻을 취함)
其不中於食而有花葉可供觀玩者別之爲藝畹志,取滋蘭之義也.「藝畹志引」
予旣滋蘭之九畹兮,又樹蕙之百畝.楚辭 「離騷」
화훼농사. 5권
4. 만학지(晩學志)
늘그막에 배워 짓는 나무농사에 관한 기록.
과일·나무농사. 5권.
5. 전공지(展功志)
부녀자의 옷감 짜기와 관련된 기록.
展功者,婦紅之舒也.婦紅者何?績也.績者何?蠶也,麻也,苧也,葛也,棉也.「展功志引」
옷감재료 생산 및 옷감만들기. 5권
6. 위선지(魏鮮志).
위선이 점후를 예측한 일과 관련된 기록.
氛祲之察,候占之稽,其來尙矣.裨梓著異於前,魏鮮踵名於後.「魏鮮志引」
기상·천문을 보고 풍흉 예측. 4권
7. 전어지(佃漁志)
목축, 사냥, 어로에 관련된 기록.
畜牧與佃漁二事也,今同入於一志者,以義從也.「佃漁志引」
가축기르기·양봉·양어·사냥법·물고기잡기. 4권.
8. 정조지(鼎俎志)
솥과 희생(犧牲)을 올리는 그릇에 관련된 기록.
鼎者,和五味之器也.···俎者,升牲之器也.···以鼎俎名之者,擧其大而統之也.「鼎俎志引」
음식요리백과. 7권.
9.섬용지(贍用志)
넉넉하게 쓰여야 할 생활용품에 관련된 기록.
집짓기 및 일용품 만들기. 4권
10. 보양지(葆養志)
몸을 양생(보양)하는 일과 관련된 기록.
건강법. 8권.
11. 인제지(仁濟志)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
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可謂仁乎?’子曰:‘何事於仁!必也聖乎!’論語 「雍也」
의학백과사전. 28권
12. 향례지(鄕禮志)
향촌의 의례에 관련된 기록.
此志中略敍飮射之禮,兼以冠婚喪祭,而以鄕禮目之,何也?爲其簡而忽之也. 「鄕禮志引」
마을 행사 치르는 법 및 마을공동체 윤리. 3권.
13.유예지(游藝志)
늘 보고 익혀야 할 기예에 관한 기록.
藝者,技能也.···其曰游者,言當常目肄習於其中,如魚之游於水.「游藝志引」
士依於德,游於藝. 禮記
依於仁,游於藝. 論語 「述而」
몸공부·마음공부를 위한 교양 지식. 8권.
14. 이운지(怡雲志)
홀로 구름을 즐기는 일에 관한 기록.
其名以怡雲,取陶隱居之意也.「怡雲志引」
山中何所有,嶺上多白雲,只可自怡悅,不堪持寄君.(陶弘景) 산에 뭐가 있어서인가 물으시니/봉우리에 흰 구름 많아서지요/홀로 이를 즐길 뿐/임금께 드리지 못하지요.
고상한 문화생활. 8권.
15. 상택지(相宅志)
집 지을 곳을 살피는 일에 관련된 기록.
志以相宅,述築室之宜者也.「相宅志引」
좋은 집터 잡기. 2권
16. 예규지(倪圭志)
장사에 능했던 백규의 방법을 곁눈질하는 일에 관한 기록.
其云倪圭,取計倪白圭之術也.「倪圭志引」
상업 활동. 5권
본리지
본리지(本利志):농사 백과(곡식) 목차
권1(총1) Ⅰ. 토지제도 【田制】
1. 경묘법과 결부법 【頃畝結負】 1) 과거와 현재의 묘법 【論古今畝法】 2) 우리나라 결부법 【論東國結負法】 3) 중국과 우리 농지 넓이의 환산 【論華東田畝相準】 4) 고금의 보법 【論古今步法】 5) 고금의 척법 【論古今尺法】 6) 역대의 척도 【論歷代尺度】(7개) 한척(漢尺) 후위척後魏尺 후주의 쇠자後周鐵尺 당척唐尺 송척宋尺 원척元尺 명척明尺 7) 우리나라의 척법 【論東國尺法】
2. 토지의 종류 【諸田】 1) 기자의 정전 【箕子井田】 2) 구전 【區田】 3) 대전 【代田】 4) 위전 【圍田】 5) 가전 【架田】 6) 궤전 【櫃田】 7) 다락밭【梯田】 8) 도전【塗田】 9) 언전 【堰田】 10) 사전 【沙田】 11) 보전 【洑田】 12) 번전 【反田】 13) 화전 【火田】 14) 섬전 【苫田】
3. 부록 : 양전법 【附 量田法】
권2(총2) Ⅰ. 수리 【水利】
1. 총서 【總敍】 1) 치수의 이로움에 대한 총론 【統論治水之利】 2) 치수의 방법에 대한 총론 【統論治水之法】 3) 물을 이용하는 5가지 방법 【論用水五法】 4) 남방과 북방 수리의 어렵고 쉬움 【論南北水利之難易】 5) 농지에 물 대는 데는 강이 호수보다 못하다 【論灌田江不如湖】 6) 공사 속도와 순서 【論工役緩急次序】
2. 물길 【河渠】 1) 물길을 준설하는 법 【開濬河渠法】 2) 지세 측량법 【測量地勢法】 3) 방죽을 쌓는 법 【修築圩岸法】 4) 개천 막기【論障川】 5) 수문 설치법 【建閘法】
3. 피당 【陂塘】 1) 피당 만드는 법 【作陂塘法】 2) 피당을 수리하고 복구하는 법 【修復陂塘法】 3) 피당의 수문 만드는 법 【陂塘水門法】 4) 고지대의 물 모으는 법 【高鄕蓄水法】 5) 저지대의 물 저장법 【低鄕積水法】 6) 둑을 쌓아 바닷물 막는 법 【築塘捍海法】 7) 민물 조수 맞아들이는 법 【迎淡潮法】
4. 우물과 샘 【井泉】 1) 농지에 샘물 대는 법 【引泉漑田法】 2) 우물 파서 물 대는 법 【鑿井漑田法】
5. 기타 물 운용법 【行水雜法】 1) 밭의 물 관리법 【旱田治水法】
권3(총3) Ⅰ. 토지 분별법 【辨壤】
1. 총서 【總敍】 1) 흙 살피기 총론 【相土統論】 2) 지역의 풍토 차이【論方域風土之異】 3) 흙의 색과 맛 【論土色味】 4) 흙의 무게 【論土輕重】 5) 흙에 가로나 세로로 결이 있다【論土有橫立】 6) 땅의 비옥도에 따라 다스리는 법이 다르다 【論沃瘠異治】 7) 고지대와 저지대는 다스리는 법이 다르다【論高下異治】 8) 땅을 살펴 변화시켜 다스리는 법 【相土化治法】
2. 우리나라 토질의 등급 【東國土品】 1) 팔도의 토질 총론 【八域總論】
Ⅱ. 시후 살피기 【審時】
1. 총서 【總敍】 1) 천시의 알맞음에 대한 총론 【統論天時之宜】 2) 곡식농사에 제 때를 얻는 것과 잃는 것의 차이 【論禾稼得時失時之異】 3) 농시는 빠른 편이 좋다 【論農時宜及早】
2. 절후 【節候】 1) 24절기와 72후 【論二十四氣七十二候】 2) 쉽게 활용하는 수시도 【授時指掌活法圖】
3. 경도와 위도 【經緯度】 1) 농사의 기후는 경도와 위도를 살펴야 한다 【論農候宜察經緯度】 2) 남북의 절후 차이【論南北節候之差】 3) 우리나라의 경도와 위도【論東國經緯度】(4개) 양곡지 고정 각 도의 북극 고도晹谷志考定各道北極高度 양곡지 고정 각 도의 동서 편도晹谷志考定各道東西偏度 서운관 고정 각 도의 북극고도 書雲觀考定各道北極高度 서운관 고정 각 도의 동서 편도書雲觀考定各道東西偏度 4) 좁은 땅도 경위도를 살펴야 한다 【論褊壤亦察經緯度】
4. 물후 【物候】 1) 풀로 농사철을 안다 【候草爲農時】 2) 풀달력 【草曆】
권4(총4) Ⅰ. 농지 가꾸기 【營治】 1. 총서 【總敍】 1) 농사 총론【治稼統論】 2) 농사는 노동력을 고려해야 한다 【論佃宜量力】 3) 갈고 뿌리는 일은 중국을 본받아야 한다 【論耕種宜倣中國】 4) 농민의 거처는 농지에서 가까워야 한다 【論農居宜近田】 5) 농사는 미리 준비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論農貴立豫】 6) 연장 준비하기 【論備器用】 7) 심을 때는 반드시 뿌리와 싹이 잘 자라도록 해야 한다 【論種蒔必善根苗】 8) 아껴써야 한다 【論節用】 9) 농사는 인력을 다 해야 한다 【農要盡人力】 10) 농사는 양생과 같다 【農如養生】 11) 농사에는 세 가지 수탈이 있다 【農有三奪】
2. 개간 【開墾】 1) 황무지 개간 총론 【墾荒統論】 2) 산과 습지의 황무지 개간법 【開山澤荒地法】 3) 지대가 낮고 습한 황무지 개간법 【墾沮濕荒地法】 4) 버려진 옛논 개간법 【墾舊稲塍法】 5) 황폐한 옛 농지 개간법 【墾舊荒田法】 6) 황무지를 개간할 때 먼저 참깨를 심는다 【開荒先種芝麻】
3. 밭갈이, 써레질, 고무래질 【耕耙勞蓋】 1) 밭갈이 시기 【耕候】 2) 밭갈이법 【耕法】 3) 봄·가을의 밭갈이법과 써레질법 【春秋耕耙法】 4) 남북의 밭갈이법 【南北耕法】 5) 써레질법 【耙法】 6) 써레질과 고무래질 총론【耙勞統論】 7) 남북의 써레질법과 고무래질법 【南北耙勞法】 8) 사람의 힘으로 쟁기질 하는 법【用人犂耕法】
4. 거름 【糞壤】 1) 거름주기 총론 【糞田統論】 2) 거름 주는 시기 【用糞時候】 3) 똥오줌은 거두어 저장해야 한다 【糞宜收儲】 4) 거름을 저장하는 여러 방법 【儲糞雜法】 5) 사람이나 가축의 똥오줌【溷糞】 6) 뒷간 만드는 법 【作糞屋法】 7) 외양간의 답분법 【牛宮踏糞法】 8) 곡식 싹 거름 【苗糞】 9) 저분【底糞】 10) 곡물껍질 거름 【穀皮糞】 11) 풀과 나무 거름 【草木糞】 12) 화분 【火糞】 13) 진흙 거름 【泥土糞】 14) 잡분 【雜糞】 15) 날짐승 깃과 들짐승 털 거름 【禽獸毛羽糞】
권5(총5) Ⅰ. 파종과 가꾸기 (상) 【種藝 上】 1. 종자 선택 【擇種】 1) 종자 선택 【論擇種】 2) 종자를 따로 관리하는 법 【治別種法】 3) 종자 보관하는 법 【藏種法】 4) 종자를 담가서 해충을 물리치는 법 【漬種辟蟲法】 5) 파종법 【下種法】 6) 파종 후 흙 덮는 법 【播種覆土法】
2. 벼류 【稻類】 1) 벼 재배 총론 【種稻總論】 2) 논 관리법 【治田法】 3) 파종하여 모 기르는 법 【下種養苗法】 4) 올벼 재배법 【種早稻法】 5) 모내기법 【移秧法】 6) 모내기법이 위험한 방도인가【論移秧爲危道】 7) 두 차례 모내기법 【再移秧法】 8) 써레로 밀어젖히는 법 【攩耙法】 9) 논 김매는 법 【耘稻田法】 10) 분묘법(모 태우는 법) 【焚苗法】 11) 반종법(되갈아 심는 법) 【反種法】 12) 건파법(마른 논에 파종하는 법) 【乾播法】 13) 밭벼 재배법 【種旱稻法】
3. 기장류 【黍類】 1) 기장 재배 총론 【種黍總論】 2) 기장 파종 시기와 기후 【種黍時候】 3) 기장·조 김매는 법 【耘黍粟法】 4) 메기장 파종법 【種穄法】 5) 수수 파종법 【種蜀黍法】 6) 옥수수 파종법 【種玉蜀黍法】
4. 조류 【粟類】 1) 조가 곡식을 총괄한다 【論粟爲總穀】 2) 조 재배 총론 【種粟總論】 3) 조 파종 시기와 기후 【種粟時候】 4) 북방의 조 재배법 【北土種粟法】 5) 조는 골뿌림해야 한다 【論粟宜畎種】 6) 조(粱) 재배법 【種粱法】
5. 피 【稗】 1) 피 재배법 【種稗法】 2) 피 재배 총론 【種稗總論】
6. 율무 【薏苣】 1) 율무 파종법【種薏苣法】
권6(총6) Ⅰ. 파종과 가꾸기 (하) 【種藝 下】 1. 맥류 【麥類】 1) 맥류 재배 총론 【種麥總論】 2) 보리 재배에 알맞은 토양 【種麥土宜】 3) 보리 파종 시기와 기후 【種麥時候】 4) 밭 손질법 【治田法】 5) 파종법 【下種法】 6) 종자를 단단하게 눌러 덮는 법 【覆種緊壓法】 7) 보리 구종법 【區種麥法】 8) 보리 골뿌림법(견종법) 【畎種麥法】 9) 김매는 법과 거름주는 법 【鋤壅法】 10) 짐승으로 보리싹을 밟게 하는 법 【縱牧踐苗法】 11) 베는 법 【刈取法】 12) 보관하는 법 【收藏法】 13) 논 보리 재배법 【水田種麥法】 14) 쌀보리 재배법 【種靑稞麥法】 15) 봄보리 재배법 【種春麰法】 16) 귀리 재배법 【種雀麥法】 17) 메밀 재배법 【種蕎麥法】 18) 쓴메밀 재배법 【種苦蕎麥法】
2. 콩류 【菽類】 1) 콩 재배법 【種大豆法】 2) 콩 구종법 【區種大豆法】 3) 보리 뒷그루 콩 재배법 【麥底種大豆法】 4) 팥 재배법 【種小豆法】 5) 녹두 재배법 【種菉豆法】 6) 작두콩 재배법 【種刀豆法】 7) 완두 재배법 【種豌豆法】 8) 누에콩 재배법 【種蠶豆法】 9) 동부 재배법 【種豇豆法】 10) 변두 재배법 【種藊豆法】 11) 쥐눈이팥 재배법 【種穭豆法】 12) 여두 재배법 【種黎豆法】
3. 깨류 【荏類】 1) 들깨 재배법 【種荏法】 2) 참깨 재배법 【種胡麻法】 3) 저마 재배법 【種苴麻法】
4. 잡류 【雜類】 1) 줄 재배법 【種菰法】 2) 돌피 재배법 【種穇子法】
Ⅱ. 수확과 저장 【收藏】
1. 베어 거두기 【刈穫】
1) 총론 【總論】
2) 베어 거두는 데에는 때가 있다 【論刈穫有時】
3) 여러 가지 베어 거두는 법 【刈穫諸法】
4) 확루(수확물 보관하는 누대) 【穫樓】
2. 방아찧기 【舂治】
1) 총론 【總論】
2) 불로 낟알 말리는 법 【火乾穀粒法】
3) 곡식은 반드시 겨울에 찧어야 한다 【論穀必冬舂】
4) 낟알 터는 법 【取粒法】
5) 쭉정이 제거법 【去秕法】
6) 탈곡하는 법 【舂碾法】
7) 밀가루 만드는 법 【磨麥法】
8) 보리 찧는 법 【舂麥法】
3. 저장 【蓋藏】
1) 조는 오래 저장 된다 【論粟能耐陳】
2) 쌀은 오래 저장 못한다 【論米不耐陳】
3) 짚에 붙은 곡식 노적법 【連秸露積法】
4) 곡간에 곡식 저장하는 법 【倉囷藏穀法】
5) 땅광에 곡식 저장하는 법 【竇窖藏穀法】
6) 벼 저장법 【藏稻法】
7) 쌀 저장법 【藏米法】
8) 남북의 저장법【論南北蓋藏法】
권7(총7) Ⅰ. 곡식 이름 고찰 【穀名攷】 1. 총론 【總論】 1) 곡식의 이름과 뜻 【論穀名義】 2) 곡식 이름과 종류의 차례 【序穀名品】
2. 논 곡식 【漑種類】 1) 벼【稻】(171종) 빙도冰稻 세도細稻 소도小稻 계명도鷄鳴稻 유도柳稻 마함도馬銜稻 추맥도追麥稻 유두도流頭稻 노인조도老人早稻 정근조도精根早稻 옥조도玉糟稻 장경도長頸稻 앙징도昂徵稻 부어도鮒魚稻 치도雉稻 대궐도大闕稻 독도禿稻 천상도天上稻(이상 올벼 18종) 건도健稻 왜자도倭子稻 철융조도鐵戎早稻 황금자黃金子 청융조도靑戎早稻 중실도中實稻 송자도松子稻 칠승도七升稻 녹두도綠豆稻 익도翼稻(이상 버금올벼 10종) 작도雀稻 흑작도黑雀稻 고작도高雀稻 철도鐵稻 만왜자도晩倭子稻 동아도東阿稻 우득산도牛得山稻 백도白稻 흑도黑稻 동정도銅鼎稻 영산융도靈山戎稻 흑안작도黑眼雀稻 누자도纍子稻 왜수도倭水稻 밀도蜜稻 조도棗稻 융도戎稻 해남도海南稻 합도蛤稻 노인도老人稻 축항도縮項稻 정근도精根稻 탁배도坼背稻 천일도千一稻 청총도靑蔥稻 천교도泉橋稻 천홍도茜紅稻 배탈도裵脫稻(이상 늦벼 28종) 구랑나九郞糯 철나鐵糯 누자나纍子糯 유두나流頭糯 양분나涼盆糯 정근나精根糯 징검나澄黔糯 홍나紅穤 박나駁穤(이상 찰벼 9종) 산도山稻 점산도黏山稻 한조도旱早稻 서양도西洋稻(이상 밭벼 4종) 선명도蟬鳴稻 청우도靑芋稻 누자도累子稻 백막도白漠稻 맥쟁장麥爭場 향갱香秔 향자香子 조백도早白稻 중추도中秋稻 점성도占城稻 오선烏秈 호장도虎掌稻 일장홍一丈紅 오수도烏鬚稻 구공기救公饑 과숙도瓜熟稻 안남조安南早 백산도白散稻(이상 중국의 올벼 18종) 전자箭子 홍련紅蓮 승홍련勝紅蓮 운리간雲裏揀 사고갱師姑秔 자망도紫芒稻 하마간下馬看 만백도晩白稻 삼수자三穗子 오구도烏口稻 소향도小香稻 연지적臙脂赤 석와도石窩稻 해도海稻 백화白禾 관음류觀音柳 육십일六十日 별살천撇殺天 마피갱麻皮秔 박십분薄十分 비파홍枇杷紅 연황갱輭黃稉 백도白稻 심수홍深水紅 백화주白花珠 황갱도黃稉稻 판뢰도辨(禾+畾)稻 고당청도靠塘靑稻 요수백料水白 신선도神仙稻 향자만香秄晩 사도畬稻 백향도白香稻 대동도大冬稻 대화도大禾稻 청만도靑晩稻 오망도烏芒稻 함도鹹稻 대색도大塞稻(이상 중국의 늦벼 39종) 개하백蓋下白 척도摭稻 연간도輭稈稻 어미도御米稻 추풍나秋風穤 간진나趕陳穤 소낭나小娘穤 연지나臙脂穤 왜나矮穤 청간나靑稈穤 금차나金釵穤 양지나羊脂穤 호피나虎皮穤 노황나蘆黃穤 오향나烏香穤 철경나鐵梗穤 적마종나赤馬鬃穤 작불각雀不覺 노화나蘆花穤 왜방건矮方巾 점화黏禾 백금조百金早 화각나花殼穤 밀자나蜜子穤 오금도烏金稻 향자나香滋穤 조자나棗子穤 천갱나川稉穤 세엽나細葉穤 관음나觀音穤 양수나羊鬚穤 아지나鵝脂穤 무석미無錫米 수정나水晶穤 단기나短箕穤 장수홍長水紅 홍나紅穤 금수나金水穤 중양나重陽穤 건화나乾禾穤 반계출半溪秫 대동출大冬秫 향령나響鈴穤 미모홍米耗紅 유나紐穤(이상 중국의 이모작 벼 45종)
3. 밭 곡식 【陸種類】(148종) 1) 기장 【黍】 수서睡黍 과서窠黍 제서梯黍 칠서漆黍 단서丹黍 점서粘黍 소조서小早黍 황죽조黃竹早 강서조江西早 난니조爛泥早 천강조天降早 고수조苦株早 홍근조紅根早 노사조蘆絲早 축경조縮頸早(이상 15종) 2) 조 【稷】 3) 조 【粟】 삼엽속三葉粟 과화속瓜花粟 저제속豬啼粟 단고로속團栲栳粟 혼사삼속渾沙蔘粟 기항속頎項粟 수청속水靑粟 모속暮粟 자작비속刺雀鼻粟 경자추속磬子(木+追)粟 흑속黑粟 가야속伽倻粟 조속蚤粟 풍전속風轉粟 묵속墨粟 편조속鞭條粟 미속米粟 우배월속牛背越粟 조속早粟 신속新粟 석속石粟 패속稗粟(이상 메조 22종) 모점속暮黏粟 사의점속簑衣黏粟 우두점속牛頭黏粟 목추점속木椎黏粟 묘족점속貓足黏粟 패점속貝黏粟 염주점속念珠粘粟 인부지점속鄰不知黏粟 호미점속狐尾黏粟 갱괴점속粳愧黏粟(이상 차조 10종) 간맥황趕麥黃 십리향十里香 대황곡大黃穀 소황곡小黃穀 일파전一把箭 용과곡龍瓜穀 구리향九里香 화리황花裏黃 유월선六月先 칠리향七里香 팔백광八百光 철파치鐵壩齒 구미속狗尾粟 낭미속狼尾粟 철축속鐵軸粟 앵자속罌子粟 노속蘆粟 계두속鷄頭粟 목속木粟 유속乳粟 오라백속烏喇白粟(이상 중국의 조 21종) 4) 조【粱】 청량靑粱 황량黃粱 백량白粱(이상 3종) 5) 수수 【蜀黍】 무응애촉서無應愛蜀黍 미촉서米蜀黍 맹촉서盲蜀黍 용미촉서龍尾蜀黍 목추촉서木椎蜀黍 백촉서白蜀黍 마미촉서馬尾蜀黍(이상 7종) 6) 옥수수 【玉蜀黍】 7) 율무 【薏苡】 8) 피 【稗】 해아패孩兒稗 오십일패五十日稗 장자패長者稗 중조패中早稗 건패乾稗 점패黏稗(이상 6종) 9) 맥류 【麥】 추모秋麰 미모米麰 춘모春麰 양절모兩節麰 승모僧麰 동모凍麰 일과모一顆麰 춘조모春早麰 육릉모六稜麰 오부모烏稃麰(이상 보리 10종) 진맥眞麥 막지맥莫知麥 승맥僧麥(이상 밀 3종) 육릉맥六稜麥 심맥番麥 나맥穤麥 관맥管麥 우맥芋麥 흑룡강맥黑龍江麥 백맥白麥 어맥御麥 양토맥襄土麥 삼월황三月黃(이상 중국의 보리와 밀 10종) 10) 메밀 【蕎麥】 11) 귀리 【耳麥】 12) 콩과 팥 【菽】 흑대두黑大豆 세대두細大豆 황대두黃大豆 백대두白大豆 화대두火大豆 왜대두倭大豆 백승대두百升大豆 유월대두六月大豆 환부두鰥夫豆 흑조대두黑早大豆 흑안대두黑眼大豆 반마대두斑麻大豆 누자대두纍子大豆 청대두靑大豆(이상 콩 14종) 조소두早小豆 생동소두生動小豆 흑소두黑小豆 근소두根小豆 왜두倭豆 산소두山小豆 연자선소두燕子扇小豆 춘소두春小豆 재령소두再寧小豆 오십일소두五十日小豆 용안소두龍眼小豆(이상 팥 11종) 오월두五月豆 육십일六十日 안래고鴈來枯 유월오六月烏 유월포六月爆 유월백六月白 유월황六月黃 하양청河陽靑 마숙두麻熟豆 향주두香珠豆 가정대흑두嘉定大黑豆 하살인嚇殺人 남경황南京黃 수도황隨稻黃 사인두砂仁豆 백향원白香圓 자라두紫羅豆 진주황珍珠黃 오안황烏眼黃 백과두白果豆 백과청白果靑 편보두扁莆豆 교주청膠州靑 골리청骨裏靑 표요청豹腰靑 원주취벽圓珠翠碧 수면백水面白 승의두僧衣豆 연심두蓮心豆 고각황高脚黃 침향두沈香豆 모시적茅柴赤(이상 중국의 콩과 팥 32종) 13) 녹두 【綠豆】 14) 작두콩【刀豆】 15) 변두 【藊豆】 16) 완두 【豌豆】 17) 누에콩 【蠶豆】 18) 동부 【豇豆】 19) 여두【黎豆】 20) 쥐눈이팥 【穭豆】 21) 들깨 【荏】 22) 참깨 【胡麻】
4. 부록 : 야생 곡식 【附 稆生穀名】(17종) 1) 벼류 【稻類】(2종) 줄풀菰 돌피穇子 2) 조류 【粟類】(6종) 유초莠草 야서野黍 낭미초狼尾草 동장東廧 괴초蒯草 앵자속罌子粟 3) 맥류 【麥類】(2종) 망초菵草 사초篩草 4) 콩류 【菽類】 (7종) 산리두山黧豆 산흑두山黑豆 고마두苦馬豆 야녹두野綠 야완두野豌豆 노두((豆+勞)豆 회회두回回豆
권8(총8) Ⅰ. 농사의 5가지 재해 고찰 【五害攷】 1. 총론 【總論】 1) 농사에는 5가지 재해가 있다 【農有五害】 2) 씨를 섞어 재해를 대비한다 【雜種備災害】
2. 홍수나 가뭄 피해 【水旱害】 1) 맥류 재배로 수해를 극복한다 【藝麥救澇】 2) 궤전으로 수해를 막는다 【櫃田捍水】 3) 곡식을 볶아 습기를 다스린다 【炸穀醫濕】 4) 백로 절기의 비 【白露雨】 5) 4월에 8일 동안 밤비가 내리면 【四月八夜雨】 6) 갓심은 모는 잇단 비를 꺼려한다 【插秧忌連雨】 7) 구전으로 가뭄을 대비한다 【區田備旱】 8) 다른 작물을 파종하여 가뭄을 극복한다 【代播救旱】
3. 바람과 안개 피해 【風霧害】 1) 동풍 【東風】 2) 북풍과 남풍 【北南風】 3) 꽃과 열매는 안개를 두려워한다 【花果畏霧】 4) 안개는 맥류를 해친다 【霧傷麥】
4. 서리와 우박 피해 【霜雹害】 1) 서리 쓸어내는 법 【槪霜法】 2) 물기운이 서리를 물리친다 【水氣辟霜】 3) 서리 예측법 【覘霜法】 4) 서리 막는 법 【拒霜法】 5) 우박 예측법 【覘雹法】
5. 벌레 피해 【蟲害】 1) 남풍이 불면 벌레가 생긴다 【南風生蟲】 2) 벌레를 물리치는 여러 방법 【辟蟲雜法】 3) 메뚜기(누리)와 메뚜기 새끼 【蝗蝻】 4) 메뚜기 없애는 법 【除蝗法】 5) 벼대벌레·잎벌레·놀·마디벌레 【螟螣蟊賊】 6) 수수 벌레 【蜀黍蟲】 7) 메밀 벌레 【蕎麥蟲】 8) 콩 벌레 잡는 법 【捕豆蟲法】 9) 참깨 벌레 【脂麻蟲】 10) 들깨 벌레 【荏蟲】 11) 매미충 제거법 【除蟬蟲法】 12) 벼메뚜기 【蜚】 13) 참새의 횡포 【雀暴】 14) 게의 횡포 【蟹暴】 15) 멧돼지 막는 법 【辟野豬法】
6. 기타 재해 【雜害】 1) 도깨비불 【陰火】 2) 벼가 주저앉는 병 【稻蹲】
권9(총9) Ⅰ. 농가 달력표 【田家曆表】 1) 정월령 【正月令】 파종下子 꺾꽂이扦插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접붙이기接換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2) 2월령 【二月令】 파종下子 꺾꽂이扦插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휘묻이壓條 접붙이기接換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3) 3월령 【三月令】 파종下子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옮겨심기移植 접붙이기接換 잡일雜事 4) 4월령 【四月令】 파종下子 꺾꽂이扦插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5) 5월령 【五月令】 파종下子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6) 6월령 【六月令】 꺾꽂이扦插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7) 7월령 【七月令】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8) 8월령 【八月令】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옮겨심기移植 잡일雜事 9) 9월령 【九月令】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갈라심기分栽 옮겨심기移植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10) 10월령 【十月令】 옮겨심기移植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11) 11월령 【十一月令】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옮겨심기移植 수확과 저장收藏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잡일雜事 12) 12월령 【十二月令】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Ⅱ. 새로 정한 농가 달력표 【新定田家曆表】 1) 정월령 【正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재배하기栽種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관리修治 잡일雜事 2) 2월령 【二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접붙이기接換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관리修治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3) 3월령 【三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관리修治 잡일雜事 4) 4월령 【四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옮겨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5) 5월령 【五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옮겨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6) 6월령 【六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옮겨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관리修治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7) 7월령 【七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8) 8월령 【八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접붙이기接換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김매기鋤耨 관리修治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9) 9월령 【九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10) 10월령 【十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관리修治 수확과 저장收藏 잡일雜事 11) 11월령 【十一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잡일雜事 12) 12월령 【十二月令】 갈이와 파종耕播 심기와 모종하기栽蒔 물주기와 북주기澆培 관리修治 수확과 채취收採 잡일雜事
권10(총10)
Ⅰ. 그림으로 보는 농사 연장 (상) 【農器圖譜 上】
1. 갈이 연장과 삶이 연장 【耕耙之具】
1) 보습자루와 보습 【耒耜】
2) 쟁기 【犂】
3) 보습 【鑱】
4) 쌍날삽 【鏵】
5) 볏 【鐴】
6) 물추리막대 【耕槃】
7) 멍에 【牛軛】
8) 우리나라 쟁기 【犂】
9) 대경 【代耕】
10) 따비【踏犂】
11) 잔 【剗】
12) 괭이 【钁】
13) 우리나라 괭이 【钁】
14) 삽 【臿】
15) 봉 【鋒】
16) 쇠스랑 【鐵搭】
17) 가래 【杴】
18) 우리나라 가래 【杴】
19) 써레(파) 【耙】
20) 써레(초) 【耖】
21) 로 【勞】
22) 육독 【磟碡】
23) 역택 【礰礋】
24) 곰방메 【耰】
25) 번지 【平板】
26) 전탕 【田盪】
27) 고무래 【朳】
2. 파종 연장과 김매기 연장 【種藝之具】 1) 누차 【耬車】 2) 누차 보습【劐】 3) 둔차 【砘車】 4) 호종 【瓠種】 5) 끙게 【撻】 6) 누 【耨】 7) 박 【鎛】 8) 호미【耰鉏】 9) 우리나라 호미 【鋤】 10) 누서 【耬鋤】 11) 등자호미 【鐙鋤】 12) 자귀 【鏟】 13) 곤축 【輥軸】 14) 운탕 【耘盪】 15) 부록 : 요맥차(맥류에 오줌 주는 수레) 【附 澆麥車】
권11(총11) Ⅰ. 그림으로 보는 농사 연장 (하) 【農器圖譜 下】 1. 거두기 연장 【收穫之具】 1) 낫(질) 【銍】 2) 낫(애) 【艾】 3) 낫(겸) 【鐮】 4) 밀낫 【推鐮】 5) 속견 【粟鋻】 6) 결 【䥛】 7) 발 【鏺】 8) 얼루기 【笐】 9) 도리깨 【連耞】
2. 찧기 기구와 고르기 농기구 【攻治之具】 1) 디딜방아 【踏碓】 2) 항아리 방아 【堈碓】 3) 우리나라 방아 【碓】 4) 물방아 【槽碓】 5) 기대(기계 물방아) 【機碓】 6) 전대 【轉碓】 7) 토매 【礱】 8) 물토매 【水礱】 9) 연자방아 【輾】 10) 롤러 연자방아 【輥輾】 11) 물연자방아 【水碾】 12) 복합 물바퀴 【水輪三事】 13) 맷돌 【䃺】 14) 자동맷돌 【自行磨】 15) 물맷돌 【水磨】 16) 연마(동시 작동 맷돌) 【連磨】 17) 수전연마(물로 돌리는 연마) 【水轉連磨】 18) 풍차맷돌 【風磑】 19) 우리나라 매 【磨】 20) 풍구 【颺扇】
3. 갈무리 시설 및 기구 【蓋藏之具】 1) 곡간【倉】 2) 벽 없는 곡간 【廩】 3) 노적가리【庾】 4) 둥근 곡간 【囷】 5) 네모 곡간 【京】 6) 뒤주 【穀匣】 7) 통풍관 【穀盅】 8) 땅광 【窖】 9) 움 【竇】
권12(총12) Ⅰ. 그림으로 보는 관개 시설 (상) 【灌漑圖譜 上】 1) 수책 【水栅】 2) 수갑 【水閘】 3) 피당 【陂塘】 4) 수당 【水塘】 5) 준거 【浚渠】 6) 음구(땅 속 물길) 【陰溝】 7) 번차 【翻車】 8) 수전번차(물로 돌리는 번차) 【水轉翻車】 9) 우전번차(소로 돌리는 번차) 【牛轉翻車】 10) 통차 【筒車】 11) 고전통차(높은 곳에 물을 올리는 통차) 【高轉筒車】 12) 위전통차(당나귀로 돌리는 통차) 【衞轉筒車】 13) 수전고차(수력으로 물을 높이 올리는 무자위) 【水轉高車】 14) 연통 【連筒】 15) 가조 【架槽】 16) 맞두레【戽斗】 17) 괄차 【刮車】 18) 길고 【桔槔】 19) 녹로(도르래) 【轆轤】 20) 비륜 【飛輪】 21) 국자 길고 【杓桔槔】 22) 행륜항승차 【行輪恒升車】 23) 성륜【星輪】 24) 홍흡【虹吸】 25) 학음 【鶴飮】 26) 와두 【瓦竇】 27) 석롱 【石籠】 28) 수방 【水篣】
권13(총13) Ⅰ. 그림으로 보는 관개 시설 (하) 【灌漑圖譜 下】(30개) 1) 용미차 【龍尾車】(7개) 굴대軸 칸막이墻 겉통圍 지도리樞 바퀴輪 받침대架 부록: 용미차기 附 龍尾車記 2) 옥형차 【玉衡車】(8개) 쌍통(실린더)雙筩 쌍제(피스톤)雙提 단지壺 중통中筩 대야盤 가로대와 굴대衡軸 받침대架 부록 옥형차기附 玉衡車記 3) 항승차 【恒升車】(5개) 통筩 제주(피스톤)提柱 가로대衡 받침대[架] 부록: 항승차기 附 恒升車記 4) 자승차 (부록 : 판자 잇는 법) 【自升車 附 連板】(10개) 전통과 후통前後筒 칸막이隔板 혀舌 물공이水杵 굴대軸 물부채水箑 쌍륜雙輪 통받침대筒架 누운홈통偃槽 부록: 판을 연결하는 법附 連板
관휴지
관휴지(灌畦志):농사 백과(채소·약초) 목차
권1(총14)
Ⅰ. 총서【總敍】
1. 농지 만들기【營治】
1) 두렁밭(휴전, 두렁으로 에워 싼 밭) 만드는 법【治畦法】
2) 구덩이 만드는 법【治區法】
3) 채소밭 만드는 법【治圃法】
4) 약초밭 만드는 법【治藥圃法】
5) 두렁밭(휴전) 만들어 약초 재배하는 법【治畦種藥法】
2. 심기【種蒔】 1) 종자 고르는 법【擇種法】 2) 종자 보관하는 법【藏種法】 3) 종자 담그는 법【漬種法】 4) 채소 재배법【種蔬法】 5) 싹으로 심는 법【芽種法】 6) 종자 위의 흙을 덜어내는 법【種頃刻菜法】 7) 씨앗에 물대주어 발아 촉진하는 법【沃子催芽法】 8) 종자를 덮어 발아 촉진하는 법【覆種催芽法】
3. 거름주기【澆壅】 1) 거름 저장법【儲肥壅法】 2) 벌레 물리치는 법【辟蟲法】 3) 똥가루 만드는 법【糞餠法】
4. 보관하기【收藏】 1) 채소 보관법【藏菜法】
권2(총15) Ⅰ. 채소류【蔬類】 1. 아욱【葵】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쓰임새【功用】
2. 파【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쓰임새【功用】
3. 자총이【紫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부추【韭】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쓰임새【功用】
5. 염교【薤】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알맞은 토양【土宜】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쓰임새【功用】
6. 마늘과 달래 (부록) 산마늘【蒜 (附)澤蒜】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관하기【收藏】 6) 쓰임새【功用】 7) 산마늘 재배법【種澤蒜法】
7. 생강【薑】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기후 예상【占候】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澆壅】 7) 보관하기【收藏】 8) 종자 보관하기【藏種】 9) 쓰임새【功用】
8. 갓【芥 (附)靑芥 】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보관하기【收藏】 7) 쓰임새【功用】 8) 동갓 재배법【種靑芥法】
9. 개람【芥藍】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관하기【收藏】 6) 쓰임새【功用】
10. 순무【蕪菁】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두기【收採】 7) 보관하기【收藏】 8) 쓰임새【功用】
11. 무 (부록) 당근【萊菔 (附) 胡蘿蔔】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보관하기【收藏】 7) 종자 거두기【收種】 8) 땅광에서 어린 싹 기르는 법【窖養芽法】 9) 쓰임새【功用】 10) 당근 재배법【種胡蘿葍法】
12. 배추【菘】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澆壅】 7) 노란싹나물(황아채) 기르는 법【養黃牙法】
13. 쑥갓【茼蒿】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종자 거두기【收種】 6) 쓰임새【功用】
14. 유채(평지)【蕓薹】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쓰임새【功用】
15. 시금치【菠薐】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쓰임새【功用】
16. 옹채【壅菜】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17. 근대【蓁菜】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종자 거두기【收種】
18. 상추【萵苣】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심고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澆壅】 7) 상추순 기르는 법【養萵筍法】 8) 쓰임새【功用】
19. 거여목【苜蓿】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쓰임새【功用】
20. 비름【莧】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종자 고르기【擇種】 5) 쓰임새【功用】
21. 고추【番椒】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쓰임새【功用】
22. 양하【蘘荷】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보관하기【收藏】 5) 쓰임새【功用】
23. 호유【胡荽】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온실 재배법【炕養法】 6) 쓰임새【功用】 7) 잔소리【瑣言】
24. 난향【蘭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종자 얻는 법【取種法】 5) 거름주기【澆壅】 6) 거두기【收採】 7) 쓰임새【功用】
25. 흰나리(백합)【百合】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쓰임새【功用】
26. 감로자【甘露子】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두기【收採】 6) 종자 거두기【收種】 7) 쓰임새【功用】
27. 차조기【紫蘇】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두기【收採】 6) 쓰임새【功用】
28. 회향【茴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29. 미나리【芹】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관하기【收藏】
30. 순채【蓴】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쓰임새【功用】
31. 여뀌【蓼】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새싹 기르는 법【養芽法】 6) 쓰임새【功用】
32. 버섯【菌】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쓰임새【功用】
33. 두릅【木頭菜】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4. (부록 1) 아울러 살필만한 채소【(附)互考蔬品】
구기자나물甜菜 오가피순五加苗 참깨싹靑蘘 죽대나물筆頭菜 지황순地黃苗 쇠무릎나물對節菜 삽주나물霎周菜 결명자순決明苗 산호나물珊瑚菜 정가순(형개순)荊芥苗 영생이순(박하순)薄荷苗 우엉순牛蒡苗 원추리나물忘憂菜 승검초나물(당귀나물)辛甘菜 느티나물槐芽菜 콩나물黃豆芽菜 숙주나물菉豆芽菜 둥글레순萎蕤苗 잇꽃나물(홍화나물)紅花菜 질경이순車輪菜 궁궁이순蘼蕪 노야기나물(향유나물)香菜 들녹두순鹿藿 잔대순과 잔대뿌리薺苨苗根 접시꽃순蜀葵苗 죽순竹筍 부들순蒲筍 갈대나물馬尾菜
35. (부록 2) 산과 들의 푸성귀【(附)山野蔌品】
냉이薺 말냉이馬薺 고사리蕨 들완두薇 소소채小巢菜 회적灰藋 명아주藜 멸蕺 산갓山芥 꽈리酸醬草 물쑥蔞蒿 다북쑥香蒿 고들빼기苦菜 닭의장풀繁縷 소루쟁이羊蹄 묵응이나물墨應耳菜 송이松茸 맥심麥蕈 석이石耳 곰취熊蔬 동소冬蔬 말가리淸兒菜 머위白菜 적겨자紫芥 수소水蘇 청옥채靑玉菜 씀바귀黃花菜
36. (부록 3) 바닷가와 바다의 푸성귀【(附)浦海菜品】
김紫菜 미역海藻 가사리海蘊 다시마海帶 곤포昆布 우뭇가사리鹿角菜 청각靑角菜 톳土衣菜 우모초海凍草 파래乾苔 납작파래常思苔 홑파래羹苔 매생이莓山苔
권3(총16) Ⅰ. 풀열매류【蓏類】 1. 오이【黃瓜】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보관하기【收藏】 7) 쓰임새【功用】
2. 동아【冬瓜】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보관하기【收藏】 4) 종자 거두기【收種】 5) 쓰임새【功用】
3. 호박【南瓜】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관하기【收藏】 6) 종자 거두기【收種】
4. 쥐참외(땅외)【王瓜】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쓰임새【功用】
5. 수세미외【絲瓜】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쓰임새【功用】
6. 박 (부록) 호리병박【瓠 (附)扁蒲】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구획 나눠 박 심는 법【區種瓠法】 5) 접붙이는 법【接莖法】 6) 큰박 만드는 법【種大葫盧法】 7) 여러 모양의 박 만드는 법【種異撲葫盧法】 8) 목이 긴 박 만드는 법【種長頸葫盧法】 9) 거름주기【澆壅】 10) 주의사항【宜忌】 11) 쓰임새【功用】 12) 호리병박 재배법【種扁蒲法】
7. 가지【茄】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시집보내는 법【嫁法】 6) 보관하기【收藏】 7) 종자거두기【收種】 8) 쓰임새【功用】
8. 토란【芋】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기후 예상【占候】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澆壅】 7) 주의사항【宜忌】 8) 거두기【收採】 9) 종자 보관하기【藏種】 10) 쓰임새【功用】 11) 잔소리【瑣言】
권4(총17)
Ⅰ. 약류【藥類】
1. 인삼【人蔘】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인삼은 쉽게 나지 않는다【論蔘不易生】
6) 인삼은 쉽게 자라지 않는다【論蔘不易長】
7) 보호하고 기르기【護養】
8) 치료【醫法】
9) 주의사항【宜忌】
10) 거두기【收採】
11) 보관하기【收藏】
12) 종자 거두기【收種】
13) 종자 보관하기【藏種】
14) 잔소리【瑣言】
2. 죽대【黃精】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자 고르기【擇種】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제조【製造】 5) 쓰임새【功用】
3. 둥굴레【萎蕤】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쓰임새【功用】
4. 지황【地黃】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시기와 기후【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두기【收採】
5. 승검초(당귀)【當歸】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6. 도라지【桔梗】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종자 고르기【擇種】 5) 거름주기【澆壅】 6) 쓰임새【功用】
7. 잔대【薺苨】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8. 삽주【朮】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쓰임새【功用】
9. 쇠무릎【牛膝】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두기【收採】 7) 제조【製造】 8) 쓰임새【功用】
10. 천문동【天門冬】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11. 맥문동【麥門冬】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제조【製造】
12. 결명자【決明】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자 고르기【擇種】 3) 파종과 가꾸기【種藝】
13. 더덕【沙蔘】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쓰임새【功用】
14. 궁궁이【芎藭】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거두기【收採】 6) 쓰임새【功用】
15. 노야기(향유)【香薷】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종자 고르기【擇種】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쓰임새【功用】
16. 정가(형개)【荊芥】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두기【收採】 5) 쓰임새【功用】
17. 영생이(박하)【薄荷】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두기【收採】 4) 제조【製造】 5) 쓰임새【功用】
18. 병풍나물(방풍)【防風】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자 고르기【擇種】 3) 파종과 가꾸기【種藝】
19. 우엉【牛蒡】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20. 질경이【車前】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예원지
예원지(藝畹志):농사 백과(화훼) 목차
권1(총18)
Ⅰ. 총서
1. 파종과 옮겨심기【種栽】 1) 씨 뿌리는 법 【子種法】 2) 꺾꽂이법 【扦插法】 3) 옮겨심는 법 【移栽法】 4) 뿌리 나누는 법【隔根分栽法】
2. 접붙이기【接換】 1) 접붙이기 총론【接樹総訣】 2) 2가지 꽃 접붙이는 법【接花兩般色法】
3. 물주기와 북주기【澆壅】 1) 북주는 법 【壅培法】 2) 물 주는 법 【灌澆法】
4. 관리하기【葺理】 1) 굽은 나무 손질법 【治曲樹法】 2) 나무를 늙고 기이하게 하는 법【治樹令老奇法】 3) 분에 심는 법 【登盆法】 4) 분 두는 법 【安盆法】 5) 관병법(병풍처럼 엮는 법) 【綰屛法】
5. 보호하기【護養】 1) 꽃 기르는 법 【養花法】 2) 서리 막는 법 【拒霜法】 3) 벌레 쫓는 법 【辟蟲法】 4) 주의사항【宜忌】
6. 배치【鋪置】 1) 훌륭한 정원의 고아한 화훼 배치【名園雅稱】 2) 분 배치법【排盆法】
7. 품평【品第】 1) 화훼 8종의 최고품들【八種上品】 2) 정자 주변에 심는 꽃에 대한 논평【花榭詮評】 3) 화훼의 세 품등【草花三品】 4) 꽃의 아홉 품등【花九命】 5) 화병의 꽃 아홉 품등 【甁花九命】 6) 꽃 친구 10가지【花十友】 7) 꽃 손님 12가지【花十二客】 8) 꽃 손님 30가지 【花三十客】
8. 절기 맞추기【時令】 1) 파종과 접붙이기 시기【種接時候】 2) 사계절의 재배법 【四時變接法】 3) 꽃의 월령 【花月令】
9. 잔소리【瑣言】 1) 꽃 재촉하는 법【催花法】 2) 꽃색 바꾸는 법 【幻花法】
10. 보관하기【收藏】 1) 땅광에 보관하는 법 【窖藏法】 2) 옷 입히는 법【着裘法】
권2(총19)
Ⅰ. 꽃류(상)【花類 上】
1. 모란【牧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접붙이기【接換】 6) 거름주기 【澆壅】 7) 보호하기【護養】 8) 치료하기【醫治】 9) 주의사항【宜忌】 10) 거두기【收採】 11) 잔소리【瑣言】
2. 서향【瑞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름주기【澆甕】 4) 보호하기【護養】 5) 주의사항【宜忌】 6) 치료하기【醫治】 7) 보관하기【收藏】 8) 잔소리【瑣言】
3. 동백【山茶】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접붙이기【接換】 5) 거름주기【澆甕】 6) 관리【葺理】 7) 보호하기【護養】 8) 보관하기【收藏】 9) 품평【品第】
4. 치자【巵子】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름주기【澆壅】 4) 거두기【收採】
5. 매화【梅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접붙이기【接換】 4) 거름주기【澆壅】 5) 보호하기【護養】 6) 치료하기【醫治】 7) 보관하기【收藏】 8) 품평【品第】
6. 납매【蠟梅】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7. 석류화【石榴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거름주기【澆壅】 3) 품평【品第】 4) 보호하기【護養】
8. 해당화【海棠】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접붙이기【接換】 6) 거름주기【澆壅】 7) 관리【葺理】 8) 치료하기【醫治】
9. 장미【薔薇】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甕】 5) 관리【葺理】 6) 치료하기【醫治】
10. 백일홍【紫薇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름주기【澆甕】 4) 보관하기【收藏】
11. 사계화【四季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보호하기【護養】 4) 치료하기【醫治】 5) 보관하기【收藏】
12. 월계화【月季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9 3) 관리【葺理】 4) 보호하기【護養】 5) 치료하기【醫治】
13. 정향(새발사향)【丁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14. 목향(파초향)【木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15. 매괴【玫瑰】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甕】 5) 치료하기【醫治】 6) 품평【品第】
16. 자형【紫荊】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름주기【澆甕】
17. 목부용【木芙蓉】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품평【品第】 5) 잔소리【瑣言】
18. 진달래【杜鵑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심고 가꾸기【種藝】 4) 물주고 북돋우기【澆壅】
19. 철쭉【躑躅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왜철쭉 기르는 법 【養倭躑躅法】
20. 영산홍【映山紅】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보관하기【收藏】 4) 잔소리【瑣言】
21. 영춘화(개나리)【迎春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품평【品第】
22. 무궁화【木槿】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권3(총20) Ⅰ. 꽃류(하)【花類 下】 1. 난화【蘭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澆壅】 7) 보호하기【護養】 8) 사계절 난 재배 비결【四時培蘭訣】 9) 열두 달 난 기르는 비결【十二月養蘭訣】 10) 치료하기【醫治】 11) 보관하기【收藏】 12) 잔소리【瑣言】
2. 국화【菊】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퍼트리기【傳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접붙이기【接換】 7) 거름주기【澆壅】 8) 관리【葺理】 9) 보호하기【護養】 10) 치료하기【醫治】 11) 주의사항【宜忌】 12) 보관하기【收藏】 13) 잔소리【瑣言】
3. 함박꽃(작약)【芍藥】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관리【葺理】 7) 보호하기【護養】 8) 잔소리【瑣言】
4. 연꽃【荷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분에 재배하는 법【盆種法】 5) 소련 재배하는 법【賞小蓮法】 6) 꽃을 푸르게 물들이는 법【染碧花法】
5. 수선화【水仙】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호하기【護養】 6) 품평【品第】
6. 옥잠화【玉簪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옮겨심기【種栽】 5) 품평【品第】
7. 원추리【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품평【品第】
8. 접시꽃【蜀葵】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자 거두기【收種】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보호하기【護養】 6) 품평【品第】 7) 쓰임새【功用】
9. 당아욱【錦葵】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10. 추규【秋葵】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11. 참나리【山丹】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12. 옥미인【玉美人】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13. 금전화【金錢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품평【品第】
14. 적적금【滴滴金】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15. 봉선화【鳳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관리【葺理】
16. 양귀비【罌粟】 1) 이름과 품종【名品】 2) 적합한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품평【品第】
17. 개양귀비【麗春】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18. 전춘라【剪春羅】 1) 이름과 품종【名品】 2) 관리【葺理】
19. 전추라【剪秋羅】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관리【葺理】 6) 거름주기【澆壅】 7) 보관하기【收藏】
20. 맨드라미【鷄冠花】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호하기【護養】
21. 과꽃【秋牡丹】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품평【品第】
22. 메꽃【纏枝牡丹】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 시기【時候】 3) 품평【品第】
23. 베고니아(추해당)【秋海棠】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품평【品第】
24. 패랭이꽃【石竹】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보호하기【護養】 6) 품평【品第】
25. 범부채【射干】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거름주기【澆壅】
26. 여주【錦荔枝】 1) 이름과 품종【名品】 2) 관리【葺理】 3) 품평【品第】
27. 수국【繡毬】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접붙이기【接換】 5) 거름주기【澆壅】 6) 보호하기【護養】 7) 관리【葺理】
28. 한련【旱蓮】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관리【葺理】
권4(총21) Ⅰ. 훼류【卉類】 1. 석창포【石菖蒲】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창포 재배 총론【種蒲總訣】 5) 분에 창포 키우는 법【養盆蒲法】 6) 돌에 창포 키우는 법【養石上蒲法】 7) 호수창포 키우는 법【養虎鬚蒲法】 8) 용전창포 키우는 법【養龍錢蒲法】 9) 치료하기【醫治】 10) 품평【品第】
2. 길상초【吉祥草】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품평【品第】
3. 지초【芝】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관리【葺理】
4. 파초【蕉】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거름주기【澆壅】 4) 치료하기【醫治】 5) 보관하기【收藏】 6) 분에 파초 재배하는 법【種盆蕉法】 7) 홍파초 재배하는 법【種紅蕉法】
5. 서대초【書帶草】 1) 이름과 품종【名品】 2) 품평【品第】
6. 취운초【翠雲草】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품평【品第】
7. 노소년【老少年】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파종과 가꾸기【種藝】 5) 거름주기【澆壅】 6) 관리【葺理】
8. 운향【芸香】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품평【品第】 4) 쓰임새【功用】
9. 만년송 (부록) 분에 노송 재배하는 법【萬年松 (附) 盆種老松】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거름주기【澆壅】 4) 보호하기【護養】 5) 품평【品第】 6) 분에 노송 재배하는 법【盆種老松法】
10. 초송【草松】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쓰임새【功用】
11. 종죽【棕竹】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시기【時候】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보호하기【護養】 6) 우리나라에서 분에 대나무 재배하는 법【東國盆竹法】
12. 난천죽【闌天竹】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관리【葺理】
13. 호자【虎刺】 1) 이름과 품종【名品】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거름주기【澆壅】 5) 보호하기【護養】 6) 주의사항【宜忌】
14. 소철【鐵蕉】 1) 이름과 품종【名品】 2) 거름주기【澆壅】 3) 관리【葺理】 4) 보호하기【護養】 5) 치료하기【醫治】 6) 쓰임새【功用】 7) 잔소리【瑣言】
15. 종려【椶櫚】 1) 이름과 품종【名品】 2) 파종과 가꾸기【種藝】 3) 관리【葺理】 4) 쓰임새【功用】
권5(총22) Ⅰ. 꽃 이름 고찰【花名攷】 1. 모란【牡丹】 1) 황색류【黃類】(20) 요황姚黃 우황牛黃 감초황甘草黃 승요황勝姚黃 천심황千心黃 단주황丹州黃 민황閔黃 여진황女眞黃 사두황絲頭黃 어포황御袍黃 금원황禁院黃 경운황慶雲黃 청심황靑心黃 황기구黃氣毬 대황大黃 소황小黃 과양황瓜瓤黃 마노반瑪瑙盤 담아황淡鵞黃 태평누각太平樓閣
2) 홍색류【紅類】(158) 위가화魏家花 정홍鞓紅 헌래홍獻來紅 학령홍鶴翎紅 세엽수안細葉壽安,추엽수안麤葉壽安 단주홍丹州紅,연주홍延州紅 연화악蓮花萼 주사홍朱砂紅 장원홍壯元紅 승위勝魏,도승都勝 서운홍瑞雲紅 악산홍岳山紅 간금間金 유사각劉師閣 세장홍洗妝紅 축금구蹙金毬 탐춘구探春毬 척금루자蹙金樓子 동운홍彤雲紅 전지홍轉枝紅 승로홍承露紅 옥루홍玉樓紅 상운홍祥雲紅 소흥춘紹興春 연지루胭脂樓 쌍두홍雙頭紅 부귀홍富貴紅 일척홍一尺紅 문공홍文公紅 영일홍迎日紅 채하彩霞 첩라叠羅 승첩라勝叠羅 천향일품天香一品 만화일품萬花一品 적주의赤朱衣 각홍覺紅 은홍교銀紅嬌 수의홍繡衣紅 연판은홍軟瓣銀紅 벽사롱碧紗籠 신홍교염新紅嬌艷 궁금宮錦 화홍수구花紅繡毬 은홍수구銀紅繡毬 양비수구楊妃繡毬,투교홍妬嬌紅 화홍췌반花紅萃盤 천기원금天機圓錦 은홍범銀紅犯 비연장飛燕妝 비연홍장飛燕紅妝 해당홍海棠紅 신은홍구新銀紅毬 매주홍梅州紅 승교용勝嬌容 투류홍妬榴紅 유화홍榴花紅 화홍첩취花紅疊翠 노은홍구老銀紅毬 양비심취楊妃深醉 화홍신품花紅神品 화홍평두花紅平頭 화홍무청예花紅舞靑猊 두견홍杜鵑紅 화고홍花膏紅 봉미화홍鳳尾花紅 추엽도홍縐葉桃紅 태진만장太眞晚妝 평실홍平實紅 은홍금수銀紅錦繡 연분루烟粉樓 건막교홍褰幕嬌紅 화홍전융花紅翦絨 화홍영락花紅纓絡 염노교念奴嬌 한궁춘漢宮春 유병관주琉甁灌朱 교가서과양喬家西瓜瓤 진궁포進宮袍 교홍누대嬌紅樓臺 합환교合歡嬌 비하非霞 옥루춘노玉樓春老 산호루珊瑚樓 천고홍蒨膏紅 대화주大火珠 의란교倚欄嬌 대교홍大嬌紅 탈자류주脫紫留朱 취성성醉猩猩 쇄금도홍灑金桃紅 도홍누자桃紅樓子 노승모老僧帽 누금의縷金衣 화홍독승花紅獨勝 염양교艷陽嬌 삼촌괴三春魁 은홍묘품銀紅妙品,은홍염장銀紅艷妝,은홍절창銀紅絕唱 채하초采霞綃 산호봉두珊瑚鳳頭 석류홍石榴紅 조현장원홍曹縣壯元紅 영일홍映日紅 왕가대홍王家大紅 대홍서과양大紅西瓜瓤 대홍무청예大紅舞靑猊 도홍무청예桃紅舞靑猊 칠보관七寶冠 취연지醉臙脂 대엽도홍大葉桃紅 전춘방殿春芳 미인홍美人紅 연예홍蓮蕊紅 취홍장翠紅妝 진주홍陳州紅 금포홍錦袍紅 도홍서과양桃紅西瓜瓤 대홍전융大紅翦絨 양혈홍羊血紅 석가홍石家紅 수춘홍壽春紅 채하홍彩霞紅 해천하海天霞 소엽대홍小葉大紅 매홍평두梅紅平頭 서자홍西子紅 해운홍海雲紅 도홍선桃紅線 도홍봉두桃紅鳳頭 천교홍淺嬌紅 경라홍輕羅紅 천홍교淺紅嬌 취교홍醉嬌紅 출경도홍出莖桃紅 서자西子 대홍수구大紅繡毬 앵속홍罌粟紅 승정홍勝鞓紅 매홍누자梅紅樓子 교홍嬌紅 도홍서번두桃紅西番頭 사면경四面鏡
3) 분홍색류【粉紅類】(22) 구악홍九萼紅 월산홍누자越山紅樓子 자사선심紫絲旋心 불훈홍不暈紅,수장홍壽妝紅,옥반홍玉盤紅 취서시醉西施 수학선睡鶴仙 니분홍膩粉紅 정화춘政和春 서로선瑞露蟬 건화乾花 대천엽大千葉,소천엽小千葉 경천향慶天香 육서肉西 수홍구水紅毬 합환화合歡花 관음면觀音面 분아교粉娥嬌 취양비醉楊妃 적옥반赤玉盤 회회분서回回粉西 서천향西天香 백엽선인百葉仙人
4) 자색류【紫類】(27) 좌화左花 엽저자葉底紫 다엽자多葉紫 좌자左紫 자수구紫繡毬 안승자安勝紫 대송자大宋紫 순성順聖 진주자陳州紫,원가자袁家紫 건도자乾道紫 갈건자葛巾紫 복엄자福嚴紫 조천자朝天紫 자무청예紫舞靑猊 자루자紫樓子 서향자瑞香紫 평두자平頭紫 서가자徐家紫 자라포紫羅袍 자중루紫重樓 자홍방紫紅芳 연롱자烟籠紫 자금하紫金荷 금단록錦團綠 포금자包金紫 자운방紫雲芳 봉래상공蓬萊相公
5) 흰색류【白類】 (51) 옥판백玉板白 옥천엽玉千葉 옥루춘玉樓春 옥증병玉蒸餠 일백오一百五 옥루자玉樓子 유사가劉師哥 옥복분玉覆盆 만첩설봉萬疊雪峯 쇄판무하옥碎瓣無瑕玉 청심무하옥靑心無瑕玉 대소大素 소소小素 벽옥루碧玉樓 옥잠백玉簪白 앵무백鸚鵡白 백학정白鶴頂 심가백沈家白 옥미인玉美人 백련화白蓮花 옥루관음현玉樓觀音現 결백潔白 초소군楚素君,백옥공白屋公,경련성옥卿連城玉 요대옥로瑶臺玉露 운소雲素 왕가대백王家大白 옥부용玉芙蓉 소만교素鸞嬌 옥중루玉重樓 양지옥羊脂玉 백무청예白舞靑猊 취옥루醉玉樓 백전융白翦絨 옥반우玉盤㿻 연향백蓮香白 분서시粉西施 만권서萬卷書 수정구水晶毬 경천향慶天香 옥천선玉天仙 옥선장玉仙妝 단심옥봉檀心玉鳳 옥수구玉繡毬 청심백靑心白 복가백伏家白 봉미백鳳尾白 금사백金絲白 평두백平頭白 지래백遲來白 취춘용醉春容 옥완백玉盌白 옥천향玉天香
6) 녹색류【綠類】(1) 팔염장록화八艷妝綠花
7) 흑색류【黑類】(6) 흑규黑葵 유홍油紅 묵전융墨翦絨 흑수구墨繡毬 발묵자潑墨紫 즉흑자卽墨子
8) 갈색 【褐色】 (1)
타갈구駝褐裘
9) 밀랍색【蜜色】(1) 밀교密嬌
10) 우색(옅은 회색에 붉은 빛이 감도는 색)【藕色】(1) 담우사淡藕絲
11) 특이한 종류【異色類】(30) 첨색홍添色紅 도훈단심倒暈檀心 일압홍一擫紅 구예진주홍九蘂眞珠紅 녹태화鹿胎花 이색홍二色紅 쇄금홍碎金紅 옥루홍玉樓紅 쌍두홍雙頭紅,쌍두자雙頭紫 순성順聖 금요루金腰樓,옥요루玉腰樓 녹태홍鹿胎紅 취서시醉西施 해당홍海棠紅 추수장秋水妝 승서시勝西施 교용삼변嬌容三變 취옥환醉玉環 계파옥界破玉 전지轉枝 회면교靧面嬌 관음현觀音現 연지계분臙脂界粉 금정설랑金精雪浪 오운루五雲樓 금화장원홍金花壯元紅 금사대홍金絲大紅 옥토천향玉兔天香 악록화萼綠華 요금자腰金紫
12) 우리나라 모란【東國牡丹】(1) 황모란黃牡丹,백모란白牡丹,정홍모란頳紅牡丹,낙양홍洛陽紅
2. 함박꽃(작약)【芍藥】 1) 황색류【黃類】(7) 어의황御衣黃 황루자黃樓子 원황관자袁黃冠子 협석황관자峽石黃冠子 포황관자鮑黃冠子 도장성道妝成 투아황妬鵝黃
2) 홍색류【紅類】(21) 관군방冠群芳 새군방賽群芳 진천공盡天工 점장홍點粧紅 적교홍積嬌紅 취서시醉西施 소장잔素妝殘 천장균淺妝勻 취교홍醉嬌紅 투교홍妬嬌紅 누금양縷金囊 원춘홍怨春紅 시농장試濃妝 적홍사簇紅絲 취차장取次妝 효은홍效殷紅 합환방合歡芳 회삼영會三英 의수천擬繡韉 호힐湖缬 민지黽池
3) 자색류【紫類】(6) 보장성寶妝成 첩향영疊香英 잠금향蘸金香 숙장은宿妝殷 취향사聚香絲 의향영擬香英
4) 흰색류【白類】(5) 양화관자楊花冠子 국향경掬香瓊 효장신曉妝新 시매장試梅妝 은함릉銀含稜
5) 우리나라 작약【東國芍藥】(1) 백작약白芍藥,홍작약紅芍藥,분홍작약粉紅芍藥
3. 난꽃【籣】
1) 자색류【紫類】(17)
진몽량陳夢良 오란吳蘭 반화潘花 조십사趙十四 하란何蘭 금릉변金稜邊 대장청大張靑 포송령蒲統領 진팔사陳八斜 순감량淳監糧 허경초許景初 석문홍石門紅 소중홍蕭仲紅 하수좌何首座 임중례林仲禮 분장성粉妝成 서란芧籣
2) 흰색류【白類】(24) 제노濟老 조산竈山 황전강黃殿講 이통판李通判 엽대시葉大施 혜지객惠知客 마대동馬大同 정소거鄭少擧 황팔형黃八兄 주량화周梁花 석양홍夕陽紅 관당주觀堂主 명제名弟 약각弱脚 어타란魚鮀籣 시란施籣 정백양鄭白羊 선하仙霞 주란朱籣 운교雲嶠 임군마林郡馬 청련靑蒲 벽란碧籣 건란建籣
3) 잡종들【雜種類】(14) 항란杭籣 세란歲蘭 흑란黑籣 남경란南京籣 백란白籣 외란隈籣 춘란春籣 혜란蕙籣 은란銀籣 청란靑籣 봉란棒籣 풍란風蘭 내오란奈吾籣 유구풍란琉球風籣
4) 우리나라 난꽃【東國籣花】(1) 자란紫籣
4. 국화【菊】 1) 황색류【黃類】(105) 감국甘菊 도승都勝 어애御愛 금작약金芍藥 황학령黃鶴翎 대금황大金黃 소금황小金黃 승금황勝金黃 황라산黃羅繖 보군지報君知 금쇄구金鎻口 은쇄구銀鎻口 원앙면鴛鴦錦 어포황御袍黃 청경어포황靑梗御袍黃 측금잔側金盞 장원황壯元黃 전금구翦金毬 황수구黃繡毬 만황구晚黃毬 십채구十采毬 대금구大金毬 소금구小金毬 구자毬子 금령국金鈴菊 금만령金萬鈴 대금령大金鈴 소금령小金鈴 하금령夏金鈴 추금령秋金鈴 봉령蜂鈴 금전金錢 천엽대금전千葉小金錢 단엽소금전單葉小金錢 소금전小金錢 대금전大金錢 여지국荔枝菊 금여지金荔枝 여지홍荔枝紅 체당棣棠 금추자金䭔子 구련금九煉金 황이색黃二色 등국橙菊 소어포황小御袍黃 황만권黃萬卷 등주황鄧州黃 금사국金絲菊 수사국垂絲菊 금모란錦牡丹 단향구檀香毬 사향황麝香黃 황한국黃寒菊 장미薔薇 아모鵝毛 금공작金孔雀 황오구국黃五九菊 구일황九日黃 전추황殿秋黃 소전추황小殿秋黃 첩라황疊羅黃 산개황繖蓋黃 소금안小金眼 태진황太眞黃 황목향黃木香 황전융黃翦羢 황분단黃粉團 황랍판黃蠟瓣 금작설錦雀舌 금영롱金玲瓏 금사도錦絲桃 황모란黃牡丹 금뉴사金紐絲 금서시錦西施 황서시黃西施 마노서시瑪瑙西施 이색마노二色瑪瑙 금포사錦褒姒 원앙국鴛鴦菊 파사국波斯菊 말리국茉莉菊 자분단紫粉團 은기린錦麒麟 앵우황鶯羽黃 누자불두樓子佛頭 황불정黃佛頂 황불두黃佛頭 불두국佛頭菊 소황불정小黃佛頂 토색황兔色黃 야국野菊 금숙국金塾菊 밀우密友은대銀臺 등국藤菊 사자국樝子菊 지정국枝亭菊 봉아국蜂兒菊 만당금滿堂金 은황국銀黃菊 송국松菊 능풍국凌風菊 감자국柑子菊 양기국楊妃菊 천금국川金菊
2) 홍색류【紅類】(37) 홍이색紅二色 연지국臙脂菊 하월불정국夏月佛頂菊 건홍국乾紅菊 장원홍狀元紅 금심수구錦心繡口 자포금대紫袍金帶 대홍포大紅袍 자하상紫霞觴 홍라산紅羅繖 경운홍慶雲紅 해운홍海雲紅 루금장縷金妝 출로금出爐金 화련금火煉金 목홍구木紅毬 자골타紫骨朶 취양비醉楊妃 태진홍太眞紅 누자홍樓子紅 홍만권紅萬卷 일념홍一捻紅 홍전융紅翦絨 금수구錦繡毬 학정홍鶴頂紅 계관홍鷄冠紅 성성홍猩猩紅 수부용繡芙蓉 금여지錦荔枝 홍모란紅牡丹 홍말리紅茉莉 부용국芙蓉菊 이색련二色蓮 양양홍襄陽紅 빈주홍賓州紅 토주홍土硃紅 동국冬菊
3) 분홍색류【粉紅類】(22) 수사분홍垂絲粉紅 양비楊妃 합선合蟬 도화桃花 분학령粉鶴翎 분납판粉蠟瓣 분서시粉西施 쇄금홍灑金紅 홍분단紅粉團 누자분서시樓子粉西施 취서시醉西施 승비도勝緋桃 분포사粉褒姒 대양비大楊妃 새양비賽楊妃 분영롱粉玲瓏 팔보마노八寶瑪瑙 자부용紫芙蓉 분만권粉萬卷 분수구粉繡毬 불견소佛見笑 홍부분紅傅粉
4) 자색류【紫類】(32) 순성천자順聖淺紫 하만령夏萬鈴 추만령秋萬鈴 수구繡毬 여지자荔枝紫 해아국孩兒菊 자말리紫茉莉 조천자朝天紫 장원자壯元紫 자모란紫牡丹 벽강하碧江霞 쌍비연雙飛燕 전하초翦霞綃 불좌련佛座蓮 서향자瑞香紫 자사도紫絲桃 묵국墨菊 자포사紫褒姒 새서시賽西施 자작약紫芍藥 자학령紫鶴翎 자옥련紫玉蓮 마노반瑪瑙盤 자장미紫薔薇 자라산紫羅繖 자수구紫繡毬 자전융紫翦絨 금사국金絲菊 수홍련水紅蓮 계관자鷄冠紫 복주자福州紫소 금자국銷金紫菊
5) 흰색류【白類】(76) 구화국九華菊 희용喜容 금배옥반金杯玉盤 분단粉團 신라新羅 용뇌龍腦 옥구玉毬 옥령玉鈴 도미酴釄 옥분玉盆 등주백鄧州白 백국白菊 은분銀盆 오월국五月菊 어의황御衣黃 만령국萬鈴菊 연화국蓮花菊 부용국芙蓉菊 말리국茉莉菊 목향국木香菊 애엽국艾葉菊 백사향白麝香 은행국銀杏菊 백려지白荔枝 파사국波斯菊 출로은出爐銀 백수구白繡毬 옥모란玉牧丹 옥부용玉芙蓉 은뉴사銀紐絲 일익설一搻雪 옥보상玉寶相 납판서시蠟瓣西施 백첩라白疊羅 일단설一團雪 옥영롱玉玲瓏 월하백月下白 수정구水晶毬 상아구象牙毬 벽파옥劈破玉 대소국大笑菊 배회국徘徊菊 옥루춘玉樓春 백서시白西施 은반銀盤 금잔은대金盞銀臺 불정국佛頂菊 소백불정小白佛頂 회남국淮南菊 옥반국玉盤菊 분장미粉薔薇 옥구국玉甌菊 백포사白褒姒 백오구국白五九菊 팔선국八仙菊 납판분서시蠟瓣粉西施 백장단白壯丹 노사국鷺鷥菊 잠금백蘸金白 경영롱瓊玲瓏 벽예영롱碧蕊玲瓏 백융구白絨毬 백전융白翦絨 은려지銀荔枝 벽도국碧桃菊 백학정白鶴頂 백학령白鶴翎 분호접粉蝴蝶 백판랍白瓣蠟 전추백殿秋白 한국寒菊 첨색희용添色喜容 단심국單心菊 누자국樓子菊 뇌자국腦子菊 수정국水晶菊
6) 독특한 품종들【異品類】(17) 주자국珠子菊 단국丹菊 만천성滿天星 이색서시二色西施 이색양비二色楊妃 적금반赤金盤 금정향錦丁香 단향국檀香菊 매화국梅花菊 해당국海棠菊 밀서시蜜西施 밀학령蜜鶴翎 밀수구蜜繡毬 자융구紫絨毬 승의갈僧衣褐 자위국剌蝟菊 십양금十樣錦
7) 우리나라 국화【東國菊品】(26) 감국甘菊 황학령黃鶴翎 백학령白鶴翎 홍학령紅鶴翎 대설백大雪白 오홍烏紅 금원황禁苑黃 취양비醉楊妃 왜황倭黃 왜백倭白 노인홍老人紅 통주홍通州紅 통주백通州白 취서시醉西施 백운타白雲朶 자하총紫霞叢 황금루黃金縷 연홍蓮紅 별홍別紅,도홍桃紅, 선금사홍仙金絲紅 대판분홍大瓣粉紅 소판분홍小瓣粉紅 왜별홍倭別紅,왜진홍倭眞紅,왜대홍倭大紅,왜별황倭別黃 별황別黃 조개황早開黃 대설황大雪黃,대감국大甘菊,승금황勝金黃 소설백掃雪白,별백別白,노인백老人白,당백唐白
만학지
만학지(晩學志):농사 백과(과실·나무) 목차
권1(총23) Ⅰ. 총서 【總敍】 1. 씨 뿌리고 심기 【種栽】 1) 파종 시기【時候】 2) 종자 보관하는 법 【藏種法】 3) 씨로 심는 법 【子種法】 4) 옮겨심는 법 【移栽法】 5) 뿌리 나누는 법 【分根法】 6) 휘묻이 【壓條法】 7) 뿌리를 잘라내고 옮기는 법 【脫枝法】 8) 꺾꽂이 【扦插法】
2. 접붙이기 【接換】 1) 총론 【總論】 2) 신접법(몸체에 접붙이는 법) 【身接法】 3) 근접법(몸체에 접붙여 뿌리가 되게 하는 법)【根接法】 4) 피접법(거죽에 접붙이는 법)【皮接法】 5) 지접법(가지 접붙이는 법【枝接法】 6) 엽접법(눈 접붙이는 법) 【靨接法】 7) 탑접법(말귀 모양으로 만들어 접붙이는 법) 【搭接法】 8) 과접법(한쪽 씩 깎아 접붙이는 법) 【過接法】 9) 행접법(옮겨심을 때 접붙이는 법)【行接法】 10) 접화교법(꽃을 과일나무에 접붙이는 법) 【接花膠法】 11) 먼 곳에서 접순을 가져오는 법 【遠地取接枝法】
3. 물주기와 북주기 【澆壅】 1) 물주는 법 【灌澆法】 2) 북주는 법 【培壅法】
4. 손질하기 【葺理】 1) 가지 쳐주는 법 【剝樹法】 2) 가지 비트는 법 【捩枝法】 3) 중심 뿌리 제거법 【去宗根法】 4) 나무 거세법 【騸樹法】 5) 김매는 법 【鋤薉法】
5. 보호하고 기르기 【䕶養】 1) 나무를 태워 보호하는 법 【炙樹法】 2) 나무 시집보내는 법 【嫁樹法】 3) 과일나무 대전법(代田法) 【代果法】 4) 새와 벌레 물리치는 법 【辟禽蟲法】 5) 치료하기와 푸닥거리 【醫禳法】 6) 주의사항 【宜忌】 7) 바람 막는 법 【禦風法】 8) 서리 막는 법 【拒霜法】 9) 울타리 만드는 법 (부록) 울타리 만드는 나무의 종류 【作園籬法 (附)作籬諸品】(30종) 사철나무冬靑 작매爵梅 오가피五加皮 석류金櫻子 매화나무梅 구기자나무枸杞 비래자飛來子 산초나무椒 수유나무茱萸 치자나무梔子 묘잉자猫仍子 개나리迎春花 멧대추酸棗 목련木筆 뽕나무桑 탱자枳 무궁화槿 들장미野薔薇 곡수穀樹 멀구슬나무楝 느릅나무楡 황철나무白楊 가시삼나무剌杉 쥐엄나무皂莢 산반山礬 금은화〔인동(忍冬)〕金銀花 참죽나무椿樹 비파나무枇杷 소엽수小葉樹 목룡木龍
6. 거두기 【收採】 1) 과일 따는 법 【摘果法】 2) 나무 베는 법 【伐木法】 3) 과일 저장하는 법 【藏果法】
권2(총24) Ⅰ. 과일류 【菓類】 1. 자두 【李】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시집보내는 법 【嫁法】 6) 치료하기 【醫治】
2. 살구 【杏】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3. 매실 【梅】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거름주기 【澆壅】 6) 제조 【製造】 7) 잔소리 【瑣言】
4. 복숭아 【桃】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종자 고르기 【擇種】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치료하기 【醫治】 6) 보관하기 【收藏】
5. 밤 【栗】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기후 예상 【占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접붙이기 【接換】 7) 거름주기 【澆壅】 8) 주의사항 【宜忌】 9) 거두기 【收採】 10) 보관하기 【收藏】 11) 제조 【製造】
6. 대추 【棗】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종자 고르기 【擇種】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접붙이기 【接換】 6) 시집보내는 법 【嫁法】 7) 손질하기 【葺治】 8)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9) 거두기 【收採】 10) 보관하기 【收藏】 11) 제조 【製造】
7. 배 【梨】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기후 예상 【占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접붙이기 【接換】 6) 거름주기 【澆壅】 7) 치료하기 【醫治】 8) 주의사항 【宜忌】 9) 보관하기 【收藏】 10) 제조 【製造】 11) 쓰임새 【功用】
8. 팥배 【棠梨】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쓰임새 【功用】
9. 내(능금의 일종) 【柰】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치료하기【醫治】
10. 사과 【蘋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접붙이기 【接換】 3) 치료하기【醫治】 4) 보관하기 【收藏】
11. 능금 【林檎】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시집보내는 법 【嫁法】 5) 치료하기 【醫治】 6) 보관하기 【收藏】
12. 감 【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치료하기 【醫治】 6) 보관하기 【收藏】 7) 제조 【製造】 8) 쓰임새 【功用】
13. 고욤(군천자) 【君遷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거두기 【收採】 4) 쓰임새 【功用】
14. 번시 【蕃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종자의 유래 【傳種】
15. 석류 【安石榴】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거름주기 【澆壅】 4) 손질하기 【葺治】 5) 보호하기 【護養】 6) 치료하기 【醫治】 7) 보관하기 【收藏】
16. 앵두 【櫻桃】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거름주기 【澆壅】 5) 보호하기 【護養】 6) 치료하기 【醫治】 7) 잔소리 【瑣言】
17. 모과 【木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18. 아가위(산사) 【山樝】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종자 고르기 【擇種】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19. 은행 【銀杏】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거두기 【收採】
20. 호두 【胡桃】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접붙이기 【接換】 4) 보관하기 【收藏】 5) 종자 거두기 【收種】
21. 개암 【榛】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22. 잣 【海松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23. 상수리 【橡】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24. 산초 【蜀椒】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4) 거두기 【收採】 5) 보관하기 【收藏】 6) 종자 보관하기 【藏種】 7) 쓰임새 【功用】
25. 후추 【胡椒】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종자의 전래 【傳種】
26. 수유(쉬) 【食茱萸】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거름주기 【澆壅】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27. 귤 【橘】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거름주기 【澆壅】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7) 치료하기 【醫治】 8) 귤은 재배하기 어렵다 【論橘難種】 9) 거두기 【收採】 10) 보관하기 【收藏】 11) 쓰임새 【功用】
28. 홍귤(감자) 【柑】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치료하기 【醫治】 4) 보관하기 【收藏】
29. 유자 【柚】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30. 비자 【榧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보관하기 【收藏】 4) 쓰임새 【功用】
31. 무화과 【無花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32. (부록) 산과 들의 과일류 【(附) 山野菓品】(6종) 지분자地盆子 두을죽豆乙粥 보리실菩提實 영주실瀛洲實 녹각실鹿角實 연복자燕覆子
권3(총25)
Ⅰ. 풀열매류 【蓏類】
1. 참외 【甛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참외 구종법 【區種瓜法】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7) 치료하기 【醫治】
8) 주의사항 【宜忌】
9) 거두기 【收採】
10) 종자 거두기 【收種】
2. 수박 (부록) 북과 【西瓜 (附)北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7) 주의사항 【宜忌】 8) 보관하기 【收藏】 9) 북과 재배하는 법 【種北瓜法】
3. 포도 【葡萄】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거름주기 【澆壅】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7) 주의사항 【宜忌】 8) 보관하기 【收藏】
4. 머루 【山葡萄】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다래 【獼猴桃】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6. 오미자 【五味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7. 산딸기(복분자) 【覆盆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쓰임새 【功用】
8. 마 【薯蕷】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종자 거두기 【收種】 7) 종자 보관하기 【藏種】 8) 제조 【製造】 9) 잔소리 【瑣言】
9. 고구마 【甘藷】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의 전래 【傳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거름주기 【澆壅】 7) 옮겨심기 【移揷】 8) 덩굴 자르기 【剪藤】 9) 치료하기 【醫治】 10) 거두기 【收採】 11) 제조 【製造】 12) 쓰임새 【功用】 13) 구황 【救荒】 14) (부록) 감자 【(附)北藷】 15) (부록) 땅콩 【(附)落花生】
10. 연밥 【蓮子】 1) 이름과 품종 【各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치료하기 【醫治】 5) 주의사항 【宜忌】 6) 보관하기 【收藏】 7) 쓰임새 【功用】 8) 잔소리 【瑣言】
11. 마름 【菱】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종자 고르기 【擇種】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거름주기 【澆壅】 6) 주의사항 【宜忌】 7) 쓰임새 【功用】
12. 가시연 【芡】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보관하기 【收藏】 4) 쓰임새 【功用】
13. 올방개 【烏芋】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거름주기 【澆壅】 7) 쓰임새 【功用】
14. 소귀나물 【慈姑】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제조 【製造】 6) 쓰임새 【功用】
권4(총26) Ⅰ. 나무류 【木類】 1. 소나무 【松】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5) 거두기 【收採】 6) 종자 거두기 【收種】 7) 쓰임새 【功用】
2. 측백나무 【柏】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거름주기 【澆壅】 4) 거두기 【收採】
3. 전나무 【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삼나무 【杉】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5. 노송 【栝】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느릅나무 【楡】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거두기 【收採】 5) 제조 【製造】 6) 쓰임새 【功用】
7. 버드나무 (부록) 고리버들, 갯버들 【柳 (附)箕柳水楊】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쓰임새 【功用】 6) 고리버들 재배법 【種箕柳法】 7) 갯버들 재배법 【種水楊法】
8. 사시나무 【白楊】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9. 회화나무(느티나무) 【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치료하기 【醫治】 5) 쓰임새 【功用】
10. 오동나무 【桐】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손질하기 【葺治】 5) 거두기 【收採】 6) 쓰임새 【功用】
11. 옻나무 【漆】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6) 주의사항 【宜忌】 7) 즙 얻는 법 【取汁法】 8) 잔소리 【瑣言】
12. 가죽나무 【春樗】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쓰임새 【功用】
13. 자작나무(봇나무) 【樺】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손질하기 【葺治】 4) 쓰임새 【功用】
14. 닥나무 【楮】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거름주기 【澆壅】 7) 손질하기 【葺治】 8) 종자 거두기 【收種】 9) 쓰임새 【功用】
15. 개오동나무 【楸梓】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16. 붉나무 【膚木】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쓰임새 【功用】
17. 회양목 【黃楊木】 1) 이름과 품종 【名品】 2) 거두기 【收採】 3) 쓰임새 【功用】 4) 잔소리 【瑣言】
18. 물푸레나무 【梣】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쓰임새 【功用】
19. 광나무 【女貞】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납충 놓는 법 【放蠟法】 5) 쓰임새 【功用】
20. 오구나무 【烏臼】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접붙이기 【接換】 5) 거두기 【收採】 6) 기름 얻는 법 【取油法】 7) 쓰임새 【功用】
21. 명자나무 【楂】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거두기 【收採】 4) 기름 얻는 법 【取油法】 5) 쓰임새 【功用】
22. 멀구슬나무 【楝】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23. 쥐엄나무 【皀莢】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치료하기 【醫治】 4) 거두기 【收採】 5) 쓰임새 【功用】
24. 오가피나무 【五加】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쓰임새 【功用】
25. 구기자나무 【枸杞】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쓰임새 【功用】 5) 잔소리 【瑣言】
권5(총27) Ⅰ. 기타 초목류 【雜植】 1. 차 【茶】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6) 주의사항 【宜忌】 7) 거두기 【收採】 8) 찌고 말리기 【蒸焙】 9) 보관하기 【收藏】 10) 종자 보관하기【藏種】
2. 대나무 【竹】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종자 고르기 【擇種】 5) 파종과 가꾸기 【種藝】 6) 보호하고 기르기 【護養】 7) 치료하기 【醫治】 8) 주의사항 【宜忌】 9) 거두기 【收採】
3. 잇꽃(홍화) 【紅藍】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가을 재배법 【秋種法】 6) 거두기 【收採】 7) 종자 거두기 【收種】 8) 제조 【製造】 9) 쓰임새 【功用】
4. 쪽(청대) 【菘藍】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제조 【製造】 6) 쓰임새 【功用】
5. 요람 【蓼藍】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치료하기 【醫治】 6) 종자 거두기 【收種】 7) 제조 【製造】
6. 지치(자초) 【紫草】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 시기 【時候】 4) 파종과 가꾸기 【種藝】 5) 거두기 【收採】 6) 보관하기 【收藏】 7) 종자 거두기 【收種】
7. 아주까리(피마자) 【蓖麻】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제조 【製造】 3) 쓰임새 【功用】
8. 부들 【香蒲】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쓰임새 【功用】 4) 잔소리 【瑣言】
9. 갈대 【葦】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10. 왕골 【龍鬚】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거름주기 【澆壅】
11. 골풀(등심초) 【燈心草】 1) 이름과 품종 【名品】 2) 알맞은 토양 【土宜】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거두기 【收採】 5) 보관하기 【收藏】 6) 제조 【製造】 7) 쓰임새 【功用】
12. 매자기(형삼릉) 【荊三稜】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과 가꾸기 【種藝】 3) 거름주기 【澆壅】 4) 제조 【製造】 5) 쓰임새 【功用】
13. 담배 【烟草】 1) 이름과 품종 【名品】 2) 파종 시기 【時候】 3) 파종과 가꾸기 【種藝】 4) 치료하기 【醫治】 5) 거두기 【收採】 6) 종자 거두기 【收種】 7) 제조 【製造】
전공지
전공지(展功志):농사 백과(의류) 목차
권1(총28) Ⅰ. 누에치기와 길쌈(상)【蠶績 上】 1. 뽕나무 재배【栽桑】 1) 뽕나무【桑】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오디 파종【種椹】 6) 옮겨심기【移栽】 7) 휘묻이와 꽂이【壓揷】 8) 접붙이기【接換】 9) 지상(나지막하게 가꾸는 뽕나무)【地桑】 10) 수시(관리하기)【修蒔】 11) 가지치기와 뽕따기【科斫】 12) 효율적인 뽕나무 재배법【義桑法】 13) 구황용 뽕나무 관리법【治荒桑法】 14) 부가사항【附餘】
2. 꾸지뽕나무 재배【栽柘】 1) 꾸지뽕나무【柘】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과 가꾸기【種藝】 4) 따고 쳐내기【採剝】 5) 쓰임새【功用】 6) 부가사항【附餘】
권2(총29) Ⅰ. 누에치기와 길쌈(하)【蠶績 下】 1. 누에치기【養蠶】 1) 누에【蠶】 2) 누에씨 거두기【收種】 3) 누에씨 씻기【浴連】 4) 누에 보호【飾庇】 5) 잠실【蠶室】 6) 잠실 보온하기【火倉】 7) 잠박 기둥【安槌】 8) 누에 빛깔의 변화【變色】 9) 개미누에의 부화(생아)【生蛾】 10) 개미누에 잠박으로 내리기(하아)【下蛾】 11) 온도 총론【凉暖總論】 12) 누에치기 총론【飼養總論】 13) 잠박에 나누기와 똥갈이 총론【分擡總論】 14) 개미누에 처음 먹이기【初飼蛾】 15) 개미누에 나누기【擘黑】 16) 첫잠 뒤 먹이기【頭眠擡飼】 17) 두잠 뒤 먹이기【停眠擡飼】 18) 막잠 뒤 먹이기【大眠擡飼】 19) 누에섶에 올리기(입족)【入簇】 20) 삼광(누에 빛깔 3가지)·삼희(드물어야 할 3가지)·오광(넓어야 할 5가지)【三光三稀五廣】 21) 팔의(해주어야 할 8가지)·십체(몸의 상태 10가지)【八宜十軆】 22) 삼가야 할 일들【戒忌】 23) 누에농사 풍년 기원【祈禳】 24) 올누에와 늦누에의 이로움과 해로움【早晩蠶利害】 25) 넉잠누에 기르기【養四眠蠶】 26) 여름누에 기르는 법【養夏蠶法】 27) 가을누에 기르는 법【養秋蠶法】 28) 부록 : 야생누에 기르는 법【附 養山蠶法】
2. 고치 고르기와 실켜기【繰繭】 1) 고치 고르기【擇治】 2) 고치 찌는 법【蒸餾繭法】 3) 실켜기 총결【繰絲摠訣】 4) 실머리 물리기(위두)【餵頭】 5) 뜨거운 솥(열부)으로 실켜는 법【熱釜繰法】 6) 찬 동이(냉분)로 실켜는 법【冷盆繰法】 7) 찬 동이를 연이어 실켜는 법【連冷盆繰法】
3. 길쌈【織紝】 1) 사·라·릉·단 총론【紗羅綾緞緫法】 2) 사·라·릉·단 각론【紗羅綾緞分名】 3) 사·라·릉·단에 꽃무늬 넣기【紗緞花本】 4) 비단을 곱게 가공하는 법【熟練法】 5) 동주(우리나라 명주) 짜는 법【東紬織法】 6) 토주(두터운 바탕에 누르스름한 명주) 짜는 법【吐紬織法】 7) 숙초(가공한 명주) 짜는 법【熟綃織法】
4. 염색【湅染】 1) 대홍색【大紅色】 2) 소홍색【小紅色】 3) 연홍·도홍·은홍·수홍 4색【蓮紅桃紅銀紅水紅四色】 4) 다홍색【多紅色】 5) 번홍색【番紅色】 6) 정홍색【丁紅色】 7) 목홍색【木紅色】 8) 천홍색【茜紅色】 9) 규홍색【葵紅色】 10) 적색【赤色】 11) 토홍색【土紅色】 12) 금황색【金黃色】 13) 선황색【鮮黃色】 14) 아황색【鵝黃色】 15) 당리황색【棠梨黃色】 16) 주황색【朱黃色】 17) 두록색【豆綠色】 18) 대홍관록색【大紅官綠色】 19) 유록색【油綠色】 20) 압두록색【鴨頭綠色】 21) 천청색【天靑色】 22) 포도청색【葡萄靑色】 23) 단청색【蛋靑色】 24) 남색【藍色】 25) 취람·천람 2색【翠藍天藍二色】 26) 아청색【鵝靑色】 27) 포두청색【包頭靑色】 28) 청조색【靑早色】 29) 현색【玄色】 30) 자색【紫色】 31) 다갈색【茶褐色】 32) 우갈색【藕褐色】 33) 호도갈색【胡桃褐色】 34) 조갈색【棗褐色】 35) 초갈색【椒褐色】 36) 명다갈색【明茶褐色】 37) 형갈색【荊褐色】 38) 전갈색【甎褐色】 39) 침향색【沈香色】 40) 타색【駝色】 41) 상아색【象牙色】 42) 유록색【黝綠色】 43) 월백·초백 2색【月白艸白二色】 44) 회색【灰色】
권3(총30) Ⅰ. 삼베류 길쌈【麻績】 1. 삼 재배 (부록) 저마(삼 암크루)【藝大麻 (附) 苴麻栽法】 1) 삼(대마)【大麻】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재배하기【種蒔】 5) 종자 거두기【收子】 6) 저마 재배법【種苴麻法】
2. 모시 재배【藝苧麻】 1) 모시(저마)【苧麻】 2) 재배하기【種蒔】 3) 종자 거두기【收種】 4) 쓰임새【功用】
3. 어저귀 재배【藝禜麻】 1) 어저귀【檾麻】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관리하기【修蒔】 5) 거두기【收採】 6) 쓰임새【功用】
4. 칡 채취【採葛】 1) 칡【葛】 2) 거두기【收採】 3) 부가사항【附餘】
5. 길쌈(방직)【紡織】 1) 물에 담고 짜기【漚績】 2) 첨운경(詹雲卿)의 베 짜는 법【詹雲卿造布法】 3) 우리나라의 베 짜는 법【東布織法】
Ⅱ. 면 길쌈【綿績】 1. 목화 재배【種木綿】 1) 목화【木綿】 2) 알맞은 토양【土宜】 3) 파종 시기【時候】 4) 종자 고르기【擇種】 5) 파종과 가꾸기【種藝】 6) 거름주기【糞壅】 7) 그루 간의 거리【科苗】 8) 병폐 4가지【四病】 9) 요점 4가지【四要】 10) 장마와 가뭄 대비【弭備】 11) 사이짓기는 금물이다【禁間種】 12) 구덩이에 재배하는 법(감종법)【坎種法】 13) 거두기【收採】 14) 쓰임새【功用】
2. 길쌈【紡織】 1) 씨아와 무명활의 제작【碾彈法】 2) 땅광에서 길쌈하는 법【穿窖紡織法】 3) 길쌈법【織法】 4) 우리나라 길쌈법【東國織法】 5) (부록) 빨래하는 여러 방법【(附) 洗澣雜方】(46가지) 나견 빨래洗羅絹 비단 빨래洗錦 북견 빨래洗北絹 저포 빨래洗苧布 생마포 삶기煮生麻布 흰옷 빨래洗白衣 갈옷 빨래洗葛衣 홍포 빨래洗紅布 청저사 빨래洗靑紵絲 검은옷 빨래洗皀衣 다갈색 옷감에 핀 흰 꽃점 처리治茶褐衣段 段_규 叚 發白花點 모전의 빨래洗毛氊衣 갖옷 빨래洗皮襖 먹물 든 옷 빨래洗墨汚衣 기름 묻은 옷 빨래洗油汚衣 칠 묻은 옷 빨래洗漆汚衣 양기름 묻은 옷 빨래洗羊脂汚衣 돼지기름 묻은 옷 빨래洗猪油汚衣 쇠기름 묻은 옷 빨래洗牛脂汚衣 동유 묻은 옷 빨래洗桐油汚衣 녹반과 각종 약에 물든 옷 빨래洗綠礬百藥汚衣 담배진액에 물든 옷 빨래洗烟膏汚衣 누른 진흙 묻은 옷 빨래洗黃泥汚衣 게장 묻은 옷 빨래洗蟹黃汚衣 피 묻은 옷 빨래洗血汚衣 고름 묻은 옷 빨래洗瘡膿汚衣 채색 묻은 옷 빨래洗彩色汚衣 청대 묻은 옷 빨래洗靑黛汚衣 고약 묻은 옷 빨래洗膏藥汚衣 똥 묻은 옷 빨래洗糞汚衣 벼룩 똥 묻은 옷 빨래洗蚤屎汚衣 회화나무 꽃에 물든 옷 빨래洗槐花汚衣 소방색에 물든 옷 빨래洗蘇方汚衣 양매 묻은 옷 빨래洗楊梅汚衣 철장 묻은 옷 빨래洗鐵漿汚衣 낙수물에 물든 옷 빨래洗屋漏水汚衣 감이나 배에 물든 옷 빨래洗柹梨汚衣 식초나 간장 묻은 옷 빨래洗醋醬汚衣 술 묻은 옷 빨래洗酒汚衣 습기로 누진 옷 빨래洗濕蒸變浥汚衣 흑공단 빨래洗黑貢緞汚 홍단 빨래洗紅緞汚 대홍주 빨래洗大紅紬 갓의 기름때 빨래洗笠子油汚 두건의 기름때 빨래洗油頭巾汚 두건의 기름때 빨래退染色布帛
권4(총31)
Ⅰ. 그림으로 보는 누에치기와 뽕나무 재배 (부록) 모시 재배【蠶桑圖譜 (附) 苧麻】
1) 잠실【蠶室】
2) 화창【火倉】
3) 대로【擡爐】
4) 잠추【蠶槌】
5)잠박【蠶箔】
6)잠연【蠶椽】
7) 잠비【蠶篚】
8)잠반【蠶槃】
9)잠가【蠶架】
10)잠망【蠶網】
11)잠표【蠶杓】
12)잠족【蠶簇】
단족團簇 마두족馬頭簇 공원치족空院置簇
13)견옹【繭甕】
14)견롱【繭籠】
15)견련【蠶連】
16) 상궤【桑几】
17)상제【桑梯】
18)작부【䂨斧】
19)상구【桑鉤】
20)상롱【桑籠】
21)상망【桑網】
22)참도【劖刀】
23)절도【切刀】
24)상침【桑碪】
25)상협【桑夾】
26)구지【漚池】
27)증석【蒸石】
28)예도【刈刀】
29) 저괄도【苧刮刀】
30)저증방【苧蒸房】
권5(총32) Ⅰ. 그림으로 보는 길쌈【紡織圖譜】 1) 사확【絲籰】 2) 죽통【竹筒】 사통絲筒 사단絲團 3) 소차【繅車】 남소차南繅車 북소차北繅車 4)소사녹로【繅絲轆轤】 5)소저【繅筯】 6)사변【絲匾】 7) 열부【熱釜】 8)냉분【冷盆】 9)경가【經架】 10) 위차【緯車】 11)낙차【絡車】 12)직기【織機】 13)요기【腰機】 14)사【梭】 15)저【杼】 16) 성【筬】 17) 구광【簆框】 18) 복【椱】 19) 승【榺】 20)종【綜】 21) 중통【中筒】 22)침검【枕檢】 23)서차【絮車】 24) 연【撚】 25)면구【綿矩】 26)목면씨아【木綿攪車】 27)작은씨아【小攪車】 28)목면탄궁【木綿彈弓】 29)목면권정【木綿捲筳】 30)면통【綿筒】 31)목면물레【木綿紡車】 32) 왜물레【倭紡車】 33)과[정]【鍋[鋌]】 34)목면발차【木棉撥車】 35) 목면광상【木棉軖牀】 36)목면선가【木棉線架】 37)목면연석【木棉碾石】 38)면판【棉板】 39)적축【績(筑/虫)】 40)작은물레【小紡車】 41)큰물레【大紡車】 42)반차【蟠車】 43)노차【纑車】 44)노쇄【纑刷】 45)포기【布機】
위선지
위선지:농업과 기상 점후서 목차
권1(총33)
Ⅰ. 일년의 예측 (상) 【候歲】
1. 정월점 【正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춘의 일진 【立春日辰】 5) 입춘의 징후 【立春日候】 6) 입춘의 여러 점 【立春雜占】 7) 우수의 여러 점 【雨水雜占】 8) 정월 초하루의 천간 【元朝日干】 9) 정월 초하루의 징후 【元朝日候】 10) 정월 초하루의 여러 점 【元朝雜占】 11) 정월 보름의 징후 【上元日候】 12) 정월 보름의 여러 점 【上元雜占】 13) 갑(甲)이 든 날 【得甲】 14) 신(申)이 든 날 【得申】 15) 자(子)가 든 날 【得子】 16) 인(寅)이 든 날 【得寅】 17) 묘(卯)가 든 날 【得卯】 18) 진(辰)이 든 날 【得辰】 19) 신(申)이 든 날 【得申】 20) 유(酉)가 든 날 【得酉】 21) 자‧묘‧해가 3번씩 들면 【三子三卯三亥】 22) 밭의 운세 【田本命】 23) 초사흘 바람 【初三風】 24) 정월 초파일 맑음 【上八晴】 25) 해와 달의 그림자 【日月影】 26) 삼성 살피기 【看參星】 27) 꽃의 날 맑음【花朝晴】 28) 등불 떼는 밤 【落燈夜】 29) 문으로 들어오는 바람 【入門風】 30) 추수하는 날 【秋收日】 31) 갑일과 경일의 바람 【甲庚日風】 32) 비오는 횟수 헤아리기 【比數雨】 33) 눈(삼백) 【三白】 34) 뽕의 풍흉 【桑貴賤】 35) 물을 잰다 【秤水】
2. 2월점 【二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경칩의 징후 【驚蟄日候】 5) 춘분의 징후 【春分日候】 6) 사일(社日)의 징후 【社日日候】 7) 상공일 【上工日】 8) 상하산기 【上下山旗】 9) 두려운 밤비 【怕夜雨】 10) 권농일【勸農日】 11) 황고가 씨앗 담그는 날 【黃姑浸種日】 12) 관음보살의 생일 【觀音生日】 13) 소분룡 【小分龍】
3. 3월점 【三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청명의 징후 【淸明日候】 5) 곡우의 일진 【穀雨日辰】 6) 곡우의 징후 【穀雨日候】 7) 한식의 징후 【寒食日候】 8) 삼짇날 징후 【三日日候】 9)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10) 보리의 생일 【麥生日】 11) 황고가 씨앗 담그는 날 【黃姑浸種日】
4. 4월점 【四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하의 일진 【立夏日辰】 5) 입하의 징후 【立夏日候】 6) 소만의 징후 【小滿日候】 7)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벼의 생일 【稻生日】 10) 초파일 날씨 【初八陰晴】 11) 해와 달의 대조 【日月對照】 12) 16일의 청우 【十六晴雨】 13) 뜨는 달 살피기 【看月上】 14) 달그림자 측량 【量月影】 15) 소분룡 【小分龍】
5. 5월점 【五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달의 크기 【月大小】 5) 망종의 일진 【芒種日辰】 6) 망종의 징후【芒種日候】 7) 망종의 여러 점 【芒種雜占】 8) 하지의 일진 【夏至日辰】 9) 하지의 징후 【夏至日候】 10) 하지의 여러 점 【夏至雜占】 11) 단오의 징후 【端午日候】 12) 진(辰)이 든 날 【得辰】 13)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14) 벼의 운세 【禾本命】 15) 대분룡 【大分龍】 16) 쇄룡문【鎖龍門】 17) 삼시의 바람과 비【三時風雨】 18) 금뢰천 【禁雷天】
6. 6월점 【六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초하루의 간지 【朔日干】 5) 소서의 징후 【小暑日候】 6) 삼복의 징후【三伏日候】 7) 초사흘의 청우 【初三晴雨】 8) 담록이비 【湛轆耳】 9) 유두날의 우레 【流頭日雷】
7. 7월점 【七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추의 일진 【立秋日辰】 5) 입추의 징후 【立秋日候】 6) 입추의 여러 점 【立秋雜占】 7) 처서의 징후 【處暑日候】 8) 칠석의 징후 【七夕日候】 9) 묘일(卯日)이 3번 들면 【三卯】 10) 하늘에 별 총총【滿斗】 11) 교간의 생일【簥竿生日】 12) 발우 씻는 비(세발우) 【洗鉢盂】 13) 달이 언제 뜨나 【月上早遲】
8. 8월점 【八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다 채운 달 (대진월) 【月大盡】 5) 백로의 일진 【白露日辰】 6) 추분의 일진 【秋分日辰】 7) 추분의 징후 【秋分日候】 8) 추석의 징후 【中秋日候】 9) 추사일의 비 【社日雨】 10) 묘일(卯日)과 경일(庚日)이 3번 들면 【三卯三庚】 11) 초하루의 청우 【朔日晴雨】 12) 달빛으로 징후 살피기 【候月色】 13) 횡항의 비 【橫降雨】 14) 소금의 생일 【鹽生日】 15) 16일 밤의 달 【十六夜月】 16) 볏짚의 생일【稻藳生日】
9. 9월점 【九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중양절의 징후 【九日日候】 5) 조의 풍흉 【粟貴賤】 6)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7) 볏단의 생일 【稻蘿生日】 8) 상묘일 바람 【上卯風】
10. 10월점 【十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입동의 징후 【立冬日候】 5) 입동의 여러 점 【立冬雜占】 6) 소설의 징후 【小雪日候】 7) 묘일(卯日) 3번과 임자(壬子)일 【三卯壬子】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오풍의 신호 【五風信】 10) 추위할미의 생일 【寒婆生日】 11) 액우 【液雨】
11. 11월점 【十一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동지의 징후 【冬至日候】 5) 동지의 여러 점 【冬至雜占】 6) 임(壬)이 든 날 【得壬】 7) 세로 【歲露】 8) 아미타불의 생일 【彌陀生日】
12. 12월점 【十二月占】 1) 절기를 어길 때의 징후 【愆候】 2) 총점 【總占】 3) 초하루의 절기(삭치절) 【朔値節】 4) 대한과 소한의 징후 【大小寒日候】 5) 섣달 그믐날의 징후 【除日日候】 6) 섣달 그믐날의 여러 점 【除日雜占】 7) 일년을 마치기 전에 입춘이 들면 【殘年立春】 8) 초하루의 바람과 비 【朔日風雨】 9) 누에 비추어 살피기(조전잠)【照田蠶】 10) 대금월 【大禁月】
권2(총34)
ⅠI. 일년의 예측 (중) 【候歲】
1. 하늘로 점치다 【占天】
1) 하늘 빛깔 【天色】
2) 하늘 기운 【天氣】
3) 하늘 울림 【天鳴】
4) 하늘 갈라짐 【天裂】
5) 하늘 웃음 【天笑】
2. 땅으로 점치다 【占地】 1) 땅의 이상현상 【地異】 3. 해로 점치다 【占日】 1) 일식 【日食】 2) 햇무리 【日暈】 3) 해고리(일이) 【日珥】 4) 해의 빛깔 【日色】 5) 해 주위의 구름 【日旁雲氣】 6) 해의 이상현상 【日異】
4. 달로 점치다 【占月】 1) 월식 【月食】 2) 달무리 【月暈】 3) 달고리(월이) 【月珥】 4) 달의 빛깔 【月色】 5) 달의 능범 【凌犯】 6) 달 주위의 구름 【月傍雲氣】 7) 달의 이상현상 【月異】
5. 바람으로 점치다 【占風】 1) 8방위의 바람 【八風】 2) 해로운 바람 【賊風】 3) 바람 불어오는 방위 【風起方】 4) 바람 부는 날의 일진 【風起日辰】
6. 비로 점치다 【占雨】 1) 갑자일의 비 【甲子雨】 2) 사묘일의 비 【四卯雨】 3) 임자일의 비 【壬子雨】 4) 신(申)이 든 날의 비 【申日雨】 5) 사계절의 비 【四時雨】 6) 다섯달 초하루의 비 【五朔雨】 7) 밤비 【夜雨】 8) 기이한 비 【雨異】
7. 구름으로 점치다 【占雲】 1) 초하루의 구름 【月朔雲】 2) 구름의 모양 【雲形】 3) 구름의 빛깔 【雲色】 4) 별자리에 드는 구름 【雲入星宿】
8. 안개와 노을로 점치다 【占霧霞】 1) 자년(子年)의 안개 【子年霧】 2) 사계절의 안개 【四時霧】 3) 여섯 천간이 든 날의 안개 【六干日霧】 4) 종일 끼는 안개 【終日霧】 5) 호수의 안개 【湖中霧】 6) 천지의 흙비【天地霾】 7) 된서리(무송) 【霧淞】 8) 노을의 모양 【霞形】
9. 무지개로 점치다 【占虹】 1) 다섯 무지개 【五虹】 2) 각 절기의 무지개 【節氣虹】 3) 사계절의 무지개 【四時虹】 4) 무지개 뜨는 방위 【虹出方】 5) 무지개의 모양 【虹形】 6) 무지개의 빛깔 【虹色】
10. 우레와 번개로 점치다 【占雷電】 1) 사계절의 우레 【四時雷】 2) 우레 소리 【雷聲】 3) 우레 치는 방위 【雷起方】 4) 우레 치는 날의 일진 【雷起日辰】 5) 맑은 날의 우레 【晴雷】 6) 여름 번개 【夏電】
11. 서리와 이슬로 점치다 【占霜露】 1) 봄과 겨울 서리 【春冬霜】 2) 홀로 내린 서리(고상) 【孤霜】 3) 때아닌 서리 【非時霜】 4) 서리가 안 내리면 【霜不降】 5) 서리의 징후 【霜候】 6) 만물을 적시는 이슬 【露潤物】
12. 눈으로 점치다 【占雪】 1) 눈(삼백) 【三白】 2) 한 척 넘는 눈【盈尺雪】 3) 봄과 가을의 눈 【春秋雪】 4) 눈이 녹지 않으면 【雪不消】
13. 우박으로 점치다 【占雹】 1) 사계절의 우박 【四時雹】
14. 얼음으로 점치다 【占氷】 1) 사계절의 얼음 【四時氷】 2) 늘어나는 얼음과 줄어드는 얼음 【長水退水氷】 3) 얼음이 세 차례 녹으면 【氷三泮】
15. 은하수로 점치다 【占天河】 1) 은하수의 별 【漢中星】 2) 은하수의 구름 【漢中雲】
16. 초목으로 점치다 【占草木】 1) 먼저 나온 풀 【草先生】 2) 다섯 나무 【五木】 3) 오곡초 【五穀草】 4) 줄풀(교초) 【茭草】 5) 간과초 【看窠草】 6) 들장미 【野薔薇】 7) 봉선화 【鳳仙花】 8) 물꽃 우두머리(연꽃) 【水花魁】 9) 끼무릇(반하) 【半夏】 10) 우레버섯(뇌심) 【雷蕈】 11) 모시 【苧】 12) 아욱 【葵】 13) 사철나무(동청) 【冬靑】 14) 복숭아와 자두 【桃李】 15) 살구와 대추 【杏棗】 16) 밤나무 【栗】 17) 개오동나무 【楸】 18) 버드나무 【楊柳】 19) 회화나무【槐】 20) 오동나무 【梧桐】 21) 구기자나무 【杞】 22) 박달나무 【檀】 23) 익지 【益智】 24) 영산홍 【映山紅】 25) 대나무 【竹】 26) 나무에 꽃이 다시 피면 【木再花】
17. 곡식으로 점치다 【占穀】 1) 그 해의 알맞은 곡식 【歲所宜】 2) 벼 【稻】 3) 맥류 【麥】 4) 납작콩 【扁豆】 5) 수수 【蜀黍】
18. 금수로 점치다 【占禽獸】 1) 까치 【鵲】 2) 소쩍새【鼎小鳥】 3) 제비【燕】 4) 사다새【鵜鶘】 5) 물새【水鳥】 6) 기이한 새【異鳥】 7) 쥐【鼠】 8) 들쥐【野鼠】 9) 수달【獺】
19. 곤충과 물고기로 점치다 【占蟲魚】 1) 개구리【蛙】 2) 파리【蠅】 3) 누에【蠶】 4) 개똥벌레【螢】 5) 매미【蟬】 6) 메뚜기와 잠자리【蚱蜢蜻蜓】 7) 뱀【蛇】 8) 물고기가 뿌리는 이리【魚散子】 9) 잉어【鯉】 10) 붕어【鯽】 11) 전어【鱄魚】 12) 나어【鸁魚】 13) 문요어【文鰩】 14) 가오리와 백대어 【海鷂白袋】 15) 용【龍】
20. 역일로 점치다 【占曆日】 1) 한 해에 초하루 천간이 3번 같으면【歲干三朔】 2) 삼만두【三滿斗】 3) 금신【金神】
21. (부록) 곡식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附) 耕播宜忌日】 21-1. 밭일 좋은 날과 피할 날 【田事宜忌日】 21-2. 밭갈이 좋은 날과 피할 날【耕田宜忌日】 21-3. 밭거름주기 좋은 날과 피할 날【壅田宜忌日】 21-4. 밭사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燒田宜忌日】 21-5. 황무지 개간 좋은 날과 피할 날【開荒宜忌日】 21-6. 종자 담그기 좋은 날【浸種吉日】 21-7. 씨뿌리기 좋은 날과 피할 날【播種宜忌日】 21-8. 육갑에 따른 심고 기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六甲種作宜忌日】 21-9. 달에 따른 심고 기르기 좋은 날 【遂月種作吉日】 21-10. 심고 기를 때 짐승 벌레 안 먹는 날 【種作禽蟲不食日】 21-11. 심고 기를 때 벌레 없는 날 【種作無蟲日】 21-12. 거두지 않는 날 【不收日】 21-13. 성숙하지 않는 날【不成日】 21-14. 좀벌레 드는 날【蛀日】 21-15. 황폐해지는 날【荒蕪日】 21-16. 밭 흔적 남는 날【田痕日】 21-17. 구초일【九焦日】 21-18. 농가에서 두루 피할 날【田家通忌日】 21-19. 벼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稻宜忌日】 21-20. 기장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黍宜忌日】 21-21. 검은기장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穄宜忌日】 21-22. 조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粟宜忌日】 21-23. 맥류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麥宜忌日】 21-24. 메밀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蕎麥宜忌日】 21-25. 콩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豆宜忌日】 21-26. 마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麻宜忌日】 21-27. 마당 널기 좋은 날과 피할 날【置場宜忌日】 21-28. 곡간 수리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修倉宜忌日】 21-29. 곡간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入倉宜忌日】 21-30. 곡식 찧기 좋은 날과 피할 날【礱變宜忌日】
22. (부록) 채소 농사에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治圃宜忌日】 22-1. 채소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 【種蔬宜忌日】 22-2. 오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瓜宜忌日】 22-3. 생강 심기 좋은 날【種薑吉日】 22-4. 토란 심기 좋은 날【種芋吉日】 22-5. 파 심기 좋은 날【種葱吉日】22-6. 마늘 심기 좋은 날【種蒜吉日】
23. (부록) 나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種植宜忌日】 23-1. 나무 심기 좋은 절기【種植吉節】 23-2. 나무 심기 좋은 날과 피할 날【種植宜忌日】 23-3.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날벌레 안 먹는 날【種花果飛蟲不食日】 23-4. 꽃과 과일나무 심을 때 좀벌레 피하는 날【種花果避蛀日】
24. (부록) 누에치기 좋은 날과 피할 날【(附) 養蠶宜忌日】
24-1. 누에씨 담그기, 누에 털기, 잠박기둥 세우기, 누에광주리에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浴蠶出蠶安搥入筐宜忌日】 24-2. 누에집 피할 방위【蠶室忌方】 24-3. 누에똥 털기 좋은 방위【出蠶沙吉方】
25. (부록) 가축 기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畜牧宜忌日】 25-1. 소우리 짓기 좋거나 흉한 년월일【作牛牢吉凶年月日】 25-2. 소 사고 팔기,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牛取牛出納牛宜忌日】 25-3. 소 코뚜레하기, 길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穿牛敎牛宜忌日】 25-4. 마구간 짓기 좋은 날과 피할 날【作馬枋宜忌日】 25-5. 말 사고 팔기,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馬取馬出納馬宜忌日】 25-6. 말과 망아지 훈련시키기 좋은 날【伏馬習駒吉日】 25-7. 말 방혈하기 좋은 날 【放馬血宜吉日】 25-8. 돼지우리 짓고 수리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修作猪牢宜忌日】 25-9. 돼지 사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猪宜忌日】 25-10. 돼지 내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出納猪宜忌日】 25-11. 양우리 짓기 좋은 날【作羊棧吉日】 25-12. 양 사고 들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買羊納羊宜忌日】 25-13. 고양이 데려오기 좋은 날【取猫吉日】 25-14. 개 사고 데려오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犬取犬宜忌日】 25-15. 닭, 거위, 오리 축사 짓거나 수리하기 좋은 날【修作鷄鵝鴨棲吉日】 25-16. 닭, 거위, 오리 사기, 닭 내기 좋은 날과 피할 날【買鷄鵝鴨出鷄宜忌日】 25-17. 육축을 사기, 고르기, 들이고 내기 좋은 날과 피할 날 【買六畜調六畜出納六畜宜忌日】
26. (부록) 사냥과 고기잡이 좋은 날과 피할 날 【(附) 佃漁宜忌日】 26-1. 고기잡이와 사냥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 【漁獵宜忌日】 26-2. 짐승 사냥하기 좋은 날과 피할 날 【張捕宜忌日】 26-3. 고기잡이 좋은 날과 피할 날【捉魚宜忌日】
권3(총35)- Ⅰ. 일년의 예측 (하) 【候歲】
1. 별로 점치다 【占星】 1) 총론 【總論】 2) 자미원의 별자리 【紫微垣】 2-1) 천일(1)【天一一星】 2-2) 태일(1) 【太一一星】 2-3) 육갑(6) 【六甲六星】 2-4) 팔곡(8) 【八穀八星】 2-5) 북두칠성 【北斗七宿】
3) 태미원의 별자리 【太微垣】 3-1) 서번(5)과 동번(5) 【西藩五星東藩五星】 3-2) 영대(3) 【靈臺三星】 3-3) 삼대(6) 【三台六星】
4) 천시원의 별자리 【天市垣】 4-1) 백도(2) 【帛度二星】 4-2) 열사(2) 【列肆二星】 4-3) 두성(5)과 곡성(4) 【斗五星斛四星】
5) 동쪽의 각·항·저 3수 【東方角亢氐三宿】 5-1) 각수(2) 【角宿二星】 5-2) 천전(2) 【天田二星】 5-3) 항수(4) 【亢宿四星】 5-4) 저수(4) 【氐宿四星】 5-5) 항지(6) 【亢池六星】
6) 동쪽의 방·심·미·기 4수 【東方房心尾箕四宿】 6-1) 방수(4) 【房宿四星】 6-2) 심수(3) 【心宿三星】 6-3) 미수(9) 【尾宿九星】 6-4) 귀성(5) 【龜五星】 6-5) 천강(4) 【天江四星】 6-6) 어성(1) 【魚一星】 6-7) 기수(4) 【箕宿四星】 6-8) 저성(3) 【杵三星】 6-9) 강성(1) 【糠一星】
7) 북쪽의 두·우·여 3수 【北方斗牛女三宿】 7-1) 두수(6) 【斗宿六星】 7-2) 건성(6) 【建六星】 7-3) 천변(9) 【天弁九星】 7-4) 별십(13) 【鼈十三星】 7-5) 천계(2) 【天鷄二星】 7-6) 천연(10) 【天淵十星】 7-7) 농장인(1) 【農丈人一星】 7-8) 우수(6) 【牛宿六星】 7-9) 천전(9) 【天田九星】 7-10) 구감(9) 【九坎九星】 7-11) 직녀(3) 【織女三星】 7-12) 나언(2) 【羅堰二星】 7-13) 여수(4) 【女宿四星】 7-14) 호과(5)와 패과(5) 【瓠瓜五星敗瓜五星】 7-15) 천진(9) 【天津九星】 7-16) 부광(7) 【扶筐七星】
8) 북쪽의 허·위·실·벽 4수 【北方虛危室壁四宿】 8-1) 허수(2) 【虛宿二星】 8-2) 패아(4) 【敗臼四星】 8-3) 위수(3) 【危宿三星】 8-4) 인성(5) 【人星五星】 8-5) 저성(3)과 구성(4) 【杵三星臼四星】 8-6) 실수(2) 【室宿二星】 8-7) 등사(22) 【騰蛇二十二星】 8-8) 벽수(2) 【壁宿二星】 8-9) 운우(4) 【雲雨四星】
9) 서쪽의 규·누·위 3수 【西方奎婁胃三宿】 9-1) 규수(16) 【奎宿十六星】 9-2) 토사공(1) 【土司空一星】 9-3) 누수(3) 【婁宿三星】 9-4) 부질(5) 【鈇鑕五星】 9-5) 천창(6) 【天倉六星】 9-6) 천유(3) 【天庾三星】 9-7) 위수(3) 【胃宿三星】 9-8) 천름(4) 【天廩四星】 9-9) 천균(13) 【天囷十三星】 9-10) 천항(9) 【天船九星】 9-11) 적수(1) 【積水一星】 9-12) 추고(6) 【芻藁六星】
10) 서쪽의 묘·필·삼·자 4수 【西方昴畢參觜四宿】 10-1) 묘수(7) 【昴宿七星】 10-2) 천원(16) 【天苑十六星】 10-3) 필수(8) 【畢宿八星】 10-4) 천가(2) 【天街二星】 10-5) 오차(5)와 삼주(9) 【五車五星三柱九星】 10-6) 천황(5) 【天潢五星】 10-7) 천원(13) 【天園十三星】 10-8) 삼수(7)와 벌성(3) 【參宿七星伐三星】 10-9) 옥정(4) 【玉井四星】 10-10) 병성(2) 【屛二星】 10-11) 천측(4) 【天廁四星】 10-12) 시성(1) 【屎一星】 10-13) 자수(3) 【觜宿三星】
11) 남쪽의 정·귀·유 3수 【南方井鬼柳三宿】 11-1) 정수(8) 【井宿八星】 11-2) 남하(3)와 북하(3) 【南河三星北河三星】 11-3) 천준(3) 【天罇三星】 11-4) 오제후(5) 【五諸候五星】 11-5) 적수(1) 【積水一星】 11-6) 적신(1) 【積薪一星】 11-7) 수위(4) 【水位四星】 11-8) 수부(4) 【水府四星】 11-9) 사독(4) 【四瀆四星】 11-10) 노인(1) 【老人一星】 11-11) 귀수(4) 【鬼宿四星】 11-12) 유수(8) 【柳宿八星】
12) 남쪽의 성·장·익·진 4수 【南方星張翼軫四宿】 12-1) 성수(7) 【星宿七星】 12-2) 헌원(17) 【軒轅十七星】 12-3) 천직(5) 【天稷五星】 12-4) 장수(6) 【張宿六星】 12-5) 익수(22) 【翼宿二十二星】 12-6) 진수(4) 【軫四星】
13) 세성 【歲星】 14) 형혹 【熒惑】 15) 전성 【塡星】 16) 태백 【太白】 17) 진성 【辰星】 18) 별의 빛깔 【星色】 19) 별의 운행 【星行】 20) 별의 만남 【星合】 21) 별의 머뭄 【星守】 22) 별의 침범 【星犯】 23) 별의 다툼 【星鬪】 24) 요성 【妖星】 25) 객성 【客星】 26) 유성 【流星】 27) 혜성 【彗星】
2. 운기로 점치다 【占運氣】 1) 총론 【總論】 2) 갑자와 갑오 【甲子甲午】 3) 을축과 을미 【乙丑乙未】 4) 병인과 병신 【丙寅丙申】 5) 정묘와 정유 【丁卯丁酉】 6) 무진과 무술 【戊辰戊戌】 7) 기사와 기해 【己巳己亥】 8) 경오와 경자 【庚午庚子】 9) 신미와 신축 【辛未辛丑】 10) 임신과 임인 【壬申壬寅】 11) 계유와 계묘 【癸酉癸卯】 12) 갑술과 갑진 【甲戌甲辰】 13) 을해와 을사 【乙亥乙巳】 14) 병자와 병오 【丙子丙午】 15) 정축과 정미 【丁丑丁未】 16) 무인과 무신 【戊寅戊申】 17) 기묘와 기유 【己卯己酉】 18) 경진과 경술 【庚辰庚戌】 19) 신사와 신해 【辛巳辛亥】 20) 임오와 임자 【壬午壬子】 21) 계미와 계축 【癸未癸丑】 22) 갑신과 갑인 【甲申甲寅】 23) 을유와 을묘 【乙酉乙卯】 24) 병술과 병진 【丙戌丙辰】 25) 정해와 정사 【丁亥丁巳】 26) 무자와 무오 【戊子戊午】 27) 기축과 기미 【己丑己未】 28) 경인과 경신 【庚寅庚申】 29) 신묘와 신유 【辛卯辛酉】 30) 임진과 임술 【壬辰壬戌】 31) 계사와 계해 【癸巳癸亥】 32) 태세 총점 【太歲總占】 33) 오간 【五干】 34) 삼표 【三表】 35) 운기는 늘 변한다 【論運氣常變】
권4(총36)
I . 비와 바람의 예측 【候風雨】
1. 총론 【總論】
1) 가결 【歌訣】
2. 하늘로 점치다 【占天】 1) 하늘 빛깔 【天色】 2) 하늘 기운 【天氣】
3. 땅으로 점치다 【占地】 1) 땅의 습기 【地濕】
4. 해로 점치다 【占日】 1) 햇무리 【日暈】 2) 해고리(일이) 【日珥】 3) 해의 빛깔 【日色】 4) 해가 뜨는 시각 【日出早晏】 5) 해의 운행이 어긋나면 【日行失度】 6) 반조 【返照】 7) 청백로 【靑白路】 8) 햇발 【日脚】 9) 해 질 무렵 구름 【日落雲】 10) 해 주위의 구름 【日傍雲氣】
5. 달로 점치다 【占月】 1) 월식 【月蝕】 2) 달무리 【月暈】 3) 달고리 【月珥】 4) 달의 빛깔 【月色】 5) 달이 기울면 【月偃】 6) 달이 별자리에서 멀어지면 【月離星】 7) 달 주위의 구름 【月傍雲】
6. 별로 점치다 【占星】 1) 별의 흔들림 【星動】 2) 별이 흘러가면 【星流】 3) 별이 떨어지면 【星墜】 4) 여름의 별 【夏星】 5) 빗속의 별 【雨中星】 6) 북두칠성의 구름 【斗罡雲】
7. 바람으로 점치다 【占風】 1) 바람이 부는 방위 【風起方】 2) 바람이 일다 잦아들면 【風作息】 3) 바람의 빠르고 느림【風緩急】 4) 봄바람 【春風】 5) 겨울바람 【冬風】 6) 구풍 【颶風】 7) 늪새바람(영해풍) 【嶺海風】
8. 비로 점치다 【占雨】 1) 수면에 뜬 거품 【水面浮泡】 2) 밝은 하늘은 두렵다 【怕天亮】 3) 낮 보내기 【遣晝】 4) 황혼의 비 【黃昏雨】 5) 오경 무렵의 비 【五更雨】 6) 소낙비 【驟雨】 7) 밭 하나 사이의 청우 【隔田晴】 8) 빗속에 내리는 눈(진눈깨비) 【雨夾雪】
9. 구름으로 점치다 【占雲】 1) 구름의 흐름 【雲行】 2) 구름의 모양 【雲形】 3) 구름의 빛깔 【雲色】 4) 구름이 이는 방위 【雲起方】 5) 아침과 저녁의 구름 【朝暮雲】 6) 여름과 가을 구름 【夏秋雲】 7) 은하수의 구름 【天河雲】 8) 해에 근접한 구름 【接日雲】 9) 늙은 잉어 모양 구름 【老鯉雲】 10) 육순의 구름 【六旬雲】
10. 안개로 점치다 【占霧】 1) 짙은 안개 【重霧】 2) 아침안개 【朝霧】 3) 안개의 빛깔 【霧色】
11. 노을로 점치다 【占霞】 1) 아침놀과 저녁놀 【朝霞暮霞】 2) 노을의 모양과 빛깔 【霞形色】
12. 무지개로 점치다 【占虹】 1) 동서 방향의 무지개 【東西虹】 2) 물 무지개와 바람 무지개 【水虹風虹】 3) 무지개와 비가 서로 먹으면 【虹雨相食】
13. 우레와 번개로 점치다 【占雷電】 1) 비 오기 전의 우레 【雨前雷】 2) 눈 속의 우레 【雪中雷】 3) 밤의 우레 【夜雷】 4) 우레 소리 【雷聲】 5) 번개의 빛깔 【電色】 6) 남북의 섬광 【南北閃】
14. 서리와 눈으로 점치다 【占霜雪】 1) 봄서리 【春霜】 2) 털 같은 서리(모두상) 【毛頭霜】 3) 눈 오기 전에는 따듯하다 【將雪先溫】 4) 안 녹는 눈(등반)【等伴】
15. 산수로 점치다 【占山水】 1) 산의 빛깔 【山色】 2) 구름이 일거나 들어가면 【起雲收雲】 3) 산 중턱의 구름 【半山雨】 4) 물에 이끼가 끼면 【水生苔靛】 5) 물에서 향기가 나면 【水有香】 6) 강물에 벼이삭이 뜨면 【河浮稻】
16. 초목으로 점치다 【占草木】 1) 지붕 위의 버섯 【屋上菌】 2)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 【橡槲】
17. 금수로 점치다 【占禽獸】 1) 바람과 비(풍상우무) 【風翔雨舞】 2) 비둘기 【鳩】 3) 까마귀와 까치 【鴉鵲】 4) 솔개 【鳶】 5) 황새 【鸛】 6) 해오라기 【鷺】 7) 닭 【鷄】 8) 제비 【鷰】 9) 참새 【雀】 10) 큰 백로 【𪃮】 11) 뱁새 【喫鷦】 12) 귀거조 【鬼車鳥】 13) 구소요조 【九逍遙鳥】 14) 참개구리 【田鷄】 15) 초명【焦明】 16) 개 【狗】 17) 고양이 【貓】 18) 소와 양 【牛羊】 19) 돼지 【豬】 20) 두더지(철서) 【鐵鼠】
18. 곤충과 물고기로 점치다 【占蟲魚】 1) 개미 【蟻】 2) 잠자리 【蜻蜓】 3) 거미 【蜘蛛】 4) 하루살이 【蠓】 5) 하늘소 【天牛】 6) 나비 【蛺蝶】 7) 파리와 모기, 장구벌레, 매미【蠅蚋蠉蜟】 8) 지렁이 【蚯蚓】 9) 크고 작은 두꺼비 【蝦蟆石蛤】 10) 청개구리 【靑蛙】 11) 우렁이 【螺螄】 12) 자라 【鱉】 13) 뱀 【蛇】 14) 물뱀 【水蛇】 15) 물고기 【魚】 16) 용 【龍】
19. 여러 점 【雜占】 1) 아궁이 연기 【竈烟】 2) 아궁이 재 【竈灰】 3) 등불 【燈火】 4) 금과 비파, 기둥과 벽 【琴瑟柱壁】 5) 사람소리 【人聲】
20. 시후로 점치다. 【占時候】 1) 봄추위 【春寒】 2) 화신풍 【花信風】 3) 요초풍 【料峭風】 4) 사나운 바람 【猛風】 5) 봄의 물 【春水】 6) 손님 청하는 바람과 손님 보내는 비 【請客風送客雨】 7) 쟁기질 한 번 할 비 【一犁雨】 8) 사공우 【社公雨】 9) 서리와 눈 끊어질 때 【斷霜雪】 10) 보리꽃 추위 【麥秀寒】 11) 장맛비(황매우) 【黃梅雨】 12) 곡우풍 【哭雨風】 13) 입추의 아침과 저녁 【立秋朝暮】 14) 횡항의 물 【橫港水】 15) 상강의 신호【霜降信】 16) 가을 물 【秋水】 17) 입동의 신호 【立冬信】 18) 각 하늘의 회합 【各天會合】
21. 역일로 점치다 【占曆日】 1) 월건과 월삭 【月建月朔】 2) 열흘 내의 상응현상【旬中克應】 3) 날의 간지 【日干支】 4) 열수가 만나는 날의 간지 【列宿直日】 5) 학신 【鶴神】
전어지
전어지(佃漁志):목축·양어·양봉·사냥·어로 백과
권1(총37) Ⅰ. 목축·양어·양봉(상)【牧養 上】 1. 총론【總論】 1) 다섯 가축의 암컷 기르기【論畜五牸】 2) 마소는 본성에 맞게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論養牛馬貴適性】 3) 나귀·말·소·양에게서 새끼 거두는 법【驢馬牛羊收犢子駒羔法】 4) 물과 풀이 풍부한 곳에서 가축을 길러야 한다【論饒水草宜牧養】 5) 중국과 조선의 목축법이 다르다【論華東牧養之異】
2. 말【馬】 1) 이름과 품종【名品】 2) 보는 법【相法】 3) 기르기 총론【調養總論】 4) 종마 얻는 법【取種法】 5) 먹이는 법【餵法】 6) 숫말이 싸우지 않게 기르는 법【飼父馬令不鬪法】 7) 군마를 튼튼하게 기르는 법【飼征馬令硬實法】 8) 코 째는 법【劃鼻法】 9) 군살 빼는 법【去臕法】 10) 거세법【騸馬法】 11) 방목법【放牧法】 12) 피 빼는 법【放血法】 13) 말 모는 법【御法】 14) 주의사항【宜忌】 15) 병을 확인하는 법【驗病有無法】 16) 5가지 피로【論五勞】 17) 치료하기【醫治】(처방 93종) 말의 음신황 치료법治馬陰腎黃方 말의 심황 치료법治馬患心黃方 말의 편신황 치료법治馬患遍身黃方 말의 만장황 치료법治馬患慢腸黃方 말의 속상황 치료법治馬患束顙黃方 말의 혼정충 치료법治馬患混睛蟲方 말의 골안 치료법治馬患骨眼方 말의 내장안 치료법治馬患內障眼方 말의 간경풍열 치료법治馬患肝經風熱方 말의 간열전안 치료법治馬患肝熱傳眼方 말의 간 막힘증 치료법治馬肝壅方 말이 반위에 걸려 구토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翻胃吐草方 말의 냉통 치료법治馬患冷痛方 말의 비기통 치료법治馬患脾氣痛方 말의 지라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傷脾方 말의 위가 차가워져 침 흘리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胃冷吐涎方 말의 묵은 물이 배꼽에 머무른 증상 치료법治馬患宿水停臍方 말의 위가 차서 풀을 먹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胃寒不食草方 말이 결열로 누웠다 일어났다 몸을 떨며 물과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馬結熱起臥戰不食水草方 말이 물을 잘못 먹어 일어났다 앉았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傷水起臥方 말이 물을 잘못 마셔 탈 난 증상 치료법治馬錯水方 말의 기운을 치료하는 약 처방治馬氣藥方 말이 흥분하여 일어났다 누웠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急起臥方 말이 구유의 풀을 먹고 체한 증상 치료법治馬食槽內草結方 말의 콩팥이 당기는 증상 치료법治馬腎搐方 말의 횡격막 통증 치료법治馬膈痛方 말이 장이 차가워져서 설사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冷腸瀄瀉方 갓난 망아지가 젖 먹고 설사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新駒嬭瀉方 말의 직장 점막 또는 직장 벽이 탈장한 증상 치료법治馬脫肛方 말의 강아 증상 치료법治馬患薑芽方 말의 열통 치료법治馬患熱痛方 말의 심경이 뜨거워져 혓바닥 위에 창이 생기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心經熱舌上生瘡方 말의 염통증 치료법治馬患心痛方 말이 안장을 걷어내 바람 맞은 증상 치료법治馬患揭鞍風方 말이 폐에 바람 들어 털이 마르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肺風毛燥方 늙은 말이 혈기가 약해지고 마르며 몸이 가려워지는 증상 치료법治老馬血弱瘦瘞方 말이 목과 척추를 움직이기 어려운 증상 치료법治馬患項脊恡方 말의 파상풍 치료법治馬患破傷風方 말이 너무 살쪄 풍이 생긴 증상 치료법治馬患胡骨肥胯方 말이 심장에 열 받아 중풍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心熱風邪方 말이 추위에 상해 허리와 뒷다리가 아픈 증상 치료법治馬患寒傷腰胯痛方 말의 하원이 차서 넓적다리가 장대처럼 뻗뻗한 증상 치료법治馬患冷拖竿方 말의 콩팥이 차서 허리를 당기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腎冷腰拖方 말이 지라가 허해 풍증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脾虛濕邪方 말이 폐가 차가워서 거품을 토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肺寒吐沫方 말이 폐가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患肺敗方 말의 폐독 치료법治馬肺毒方 말이 기침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啌嗽方 말의 협골이 붓는 증상 치료법治馬頰骨脹方 말의 후골이 붓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喉骨脹方 말의 콧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 치료법治馬鼻內出濃方 말이 피가 통하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馬黑汗方 말이 땀나고 오한이 든 증상 치료법治馬汗凌方 말이 나쁜 피가 발에 엉긴 증상 치료법治馬敗血凝蹄方 말의 가슴과 어깨뼈 통증 치료법治馬患胸膊痛方 말의 콩팥이 허한 증상 치료법治馬患腎虛方 말의 신경통 치료법治馬腎經痛方 말의 포전 치료법治馬患胞轉方 말이 피오줌 싸는 증상 치료법治馬患溺血方 말의 음경이 실처럼 드리우고 거두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垂縷不收方 말이 오줌이 뭉치는 증상 치료법治馬結尿方 말이 풀을 먹다 목이 메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草噎方 말이 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치료법治馬患肚脹方 말이 사료에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患傷料方 말의 대장 앞쪽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前結方 말의 대장 중간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中結方 말의 대장 뒤쪽이 맺힌 증상 치료법治馬患後結方 말이 태 안의 기운이 불순하거나 새끼를 낳은 후에 풍에 걸린 증상 치료법治馬患胎氣胎風方 말이 태가 움직거려 편안하지 않은 증상 치료법治馬胎動不安方 새끼 밴 말이 배가 아픈 증상 치료법治孕馬腹痛方 작은 벌레가 말의 수대를 깨문 증상 치료법治馬患蜱蟲咬袖方 말의 악성 부스럼 치료법治馬疔毒方 말이 폐의 열로 온몸에 옴과 부스럼이 난 증상 치료법治馬肺熱渾身疥瘙方 말의 옴과 종기 치료법治馬疥瘡方 말이 여러 가지 붓는 독과 근육과 뼈가 부풀어 커진 증상 치료법治馬諸般腫毒及筋骨脹大方 말의 수구와 불알이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袖口陰腫方 말의 화창 치료법治馬花瘡方 말의 발굽 종기 치료법治馬瘙蹄方 말 등에 종기가 터진 증상 치료법治馬打破脊梁方 말의 발굽이 상한 증상 치료법治馬傷蹄方 말의 부골저(골막염이나 골수염 또는 뼈의 한쪽이 썩는 병) 치료법治馬附骨疽方 말의 노서창 치료법治馬老鼠瘡方 말이 후비(목구멍에 종기가 나거나 목구멍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병)를 앓아 죽으려는 증상 치료법治馬患喉痺欲死方 말이 혀가 단단해진 증상 치료법治馬舌硬方 말이 곡물로 탈 난 증상 치료법治馬中穀方 말이 대소변을 누지 못하고 자다가 일어나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大小便不通眠起欲死方 말이 갑자기 배가 터질 듯 부풀어 누워 자다가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馬卒腹脹眠臥欲死方 말의 온역(급성 전염병의 일종) 치료법治馬瘟疫方 말의 살가죽이 들뜬 증상 치료법治馬皮浮方 말의 뒷발 마디가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後脚節腫方 말의 잇몸이 부은 증상 치료법治馬上齶腫方 말이 더위 먹은 증상 치료법治馬中暑方 말이 자주 열병을 앓는 증상 치료법治馬尋常患熱方 말의 잡다한 병 치료하는 민간요법治馬雜病俗方
권2(총38)
Ⅰ. 목축·양어·양봉(하)【牧養 下】
1. 소【牛】
1) 이름과 품종【名品】
2) 보는 법【相法】
3) 기르기 총론【調養總論】
4) 먹이는 법【餵法】
5) 밭 가는 법【耕法】
6) 소는 자주 목욕시켜야 한다【論牛宜數浴】
7) 치료하기【醫治】(처방 28종)
총론總論
소의 역병(疫病) 치료법治牛疫方
소의 역병 예방법預防牛疫方
소의 역병 고치는 비방治牛疫秘方
소의 배가 부풀어올라 죽으려 하는 증상 치료법治牛腹脹欲死方
소의 습병(濕病) 치료법治牛濕病方
소의 중열(中熱) 치료법治牛中熱方
소가 피오줌을 싸는 증상 치료법治牛尿血方
소가 흰 막이 눈에 끼는 증상 치료법治牛患白膜遮眼方
소가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氣噎方
소의 꼬리가 말라비틀어지고 물과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牛尾焦不食水草方
소의 어깨가 상하여 문드러진 증상 치료법治牛肩爛方
소의 발굽에 틈이 벌어진 증상 치료법治牛漏蹄方
소의 피부에 좁쌀 같은 것이 돋아나서 가렵고 아픈 증상 치료법治牛沙疥方
소가 이에게 물린 증상 치료법治牛蝨方
소의 몸에 벌레가 생긴 증상 치료법治牛身上生蟲方
소의 기침 치료법治牛咳嗽方
소의 똥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치료법治牛糞血方
소가 병 난 후 장이 꼬여 똥을 누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病後腸結不得放糞方
소가 풀을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牛不吃草方
소가 귀신 기운 때문에 몸이 떨리고 땀이 나며 입·코가 차가워지는 증상 치료법治牛以鬼氣身戰汗出口鼻冷方
소의 혀가 부르터 입밖으로 나와 거두지 못하는 증상 치료법治牛舌腫脹伸出口外不收方
소가 천연두에 걸려 몸에 반점이 생긴 증상 치료법治牛發痘斑方
소가 마른 증상 치료법治牛瘦方
물소의 열병 치료법治水牛患熱病方
물소의 설사 치료법治水牛水瀉方
소와 말의 온갖 병 치료법治牛馬百病方
소가 사람을 들이받는 증상 치료법治牛觸人方
2. 당나귀와 노새【驢騾】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자 얻는 법【取種法】
3) 먹이는 법【飼法】
4) 당나귀는 짐 싣고 물 긷는 일을 해야 한다【論驢宜馱汲】
5) 치료하기【醫治】(처방 3종)
당나귀 발굽이 갈라져 틈새가 생긴 증상 치료법治驢漏蹄方
당나귀나 말의 발굽이 닳아 깨지고 문드러진 증상 치료법治驢馬磨打破潰方
당나귀나 말이 바싹 마른 증상 치료법治驢馬瘦瘠方
6) 잔소리【瑣言】
3. 양【羊】 1) 이름과 품종【名品】 2) 기르기 총론【飼養總論】 3) 우리 만드는 법【作棚法】 4) 기르는 법【餵法】 5) 방목법【放牧法】 6) 털 깍는 법【鉸法】 7) 주의사항【宜忌】 8) 병을 확인하는 법【驗病法】 9) 치료하기【醫治】(처방 6종) 양의 옴 치료법治羊疥方 옴을 제거하여 전염시키지 않는 법去疥不傳染法 양의 중수 치료법治羊中水方 양이 코에서 고름을 흘리는 증상 치료법治羊膿鼻方 양의 협제 치료법治羊夾蹄方 양의 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치료법治羊腹脹方
4. 돼지【豕】 1) 이름과 품종【名品】 2) 기르기 총론【飼養總論】 3) 쉽게 살찌게 하는 법【飼猪易肥法】 4) 땅광에서 기르는 법【窖養法】 5) 주의사항【宜忌】 6) 치료하기【醫治】(처방 2종) 돼지의 온역(전염병) 치료법治豬瘟疫方 돼지가 먹지 않는 증상 치료법治豬不吃食方
5. 개【狗】
1) 이름과 품종【名品】
2) 보는 법【相法】
3) 기르는 법【餵法】
4) 길들이는 법【馴法】
5) 치료하기【醫治】(처방 8종)
개의 병 치료법治狗病方
개가 갑자기 죽으려하는 증상 치료법治狗猝死方
개의 옴 치료법治狗癩方
강아지의 옴 치료법治兒狗疥蟲方
등에 따위 벌레가 물어 생긴 상처 치료법治蠅蟲咬傷方
개가 맞아서 죽으려는 증상 치료법救狗打死方
개가 수척한 증상 치료법治狗瘦方
작은 개가 끊임없이 짖는 증상 멈추는 법止小狗吠不絶聲方
6. 고양이【猫】
1) 이름과 품종【名品】
2) 보는 법【相法】
3) 새끼 배게 하는 법【令孕子法】
4) 고양이를 집에 들여오는 법【納猫法】
5) 치료하기【醫治】(처방 3종)
고양이의 병 치료법治猫病方
고양이의 옴 치료법治猫癩方
고양이 태아가 배 안에서 죽은 증상 치료법治猫胎死腹中方
7. 닭【鷄】
1) 이름과 품종【名品】
2) 종계 얻기【取種】
3) 닭장 만들기【制居】
4) 기르는 법【養法】
5) 병아리 키우기【孶養】
6) 빨리 살찌게 기르는 법【養鷄速肥法】
7) 무정란 얻는 법【穀産法】
8) 닭의 양생법【養生鷄法】
9) 치료하기【醫治】(처방 5종)
닭의 병 치료법治雞病方
닭의 역병 치료법治雞疫方
닭이 지네 독에 중독된 증상 치료법治雞中蜈蚣毒方
싸움닭의 병 치료법治鬪雞病方
닭이 큰 소리 내는 증상 치료법治雞哮方
10) 잔소리【瑣言】
8. 거위와 오리【鵝鴨】 1) 이름과 품종【名品】 2) 보는 법【相法】 3) 종자 얻기【取種】 4) 새끼 기르기【孶養】 5) 거위를 우리에 가두어 쉽게 살찌우는 법【棧鵝易肥法】 6) 무정란 얻는 법【穀産法】
9. 물고기【魚】 1) 이름과 품종【名品】 2) 잉어 기르는 법【養鯉法】 3) 물고기 기르는 여러 방법【育魚雜法】 4) 종자 얻는 법【取秧法】 5) 보호하기【防護】 6) 치료하기【醫治】(처방 2종) 물고기가 중독으로 뒤집어져 하얗게 된 증상 치료법【治魚翻白方】 물고기의 마름증 치료법【治魚瘦方】
10. 꿀벌【蜜蜂】 1) 이름과 품종【名品】 2) 양봉 총론【畜蜂總法】 3) 여왕벌 나누는 법【分蜂王法】 4) 벌떼 맞이하는 법【接蜂法】 5) 벌통 설치하는 법【安窶法】 6) 꿀 따는 법【割蜜法】 7) 꿀 확인하는 법【驗蜜法】 8) 주의사항【宜忌】 9) 벌 보호하기【關防】
권3(총39) Ⅰ. 사냥【弋獵】 1. 매와 사냥개【鷹犬】 1) 매【鷹】 2) 매 잡는 법【取鷹法】 3) 매 보는 법【相鷹法】 4) 매 길들이는 법【馴鷹法】 5) 매에게 먹이주는 법【陳鷹法】 6) 매로 사냥하는 법【鷹獵法】 7) 매의 병 치료법【治鷹病方】 8) 새매【鸇鷂】 9) 새매 길들이는 법【馴鸇鷂法】 10) 사냥개【獵狗】 11) 사냥개 보는 법【相獵狗法】 12) 사냥개 사육법【飼獵狗法】 13) 사냥개 길들이는 법【馴獵狗法】
2. 총과 활【砲矢】 1) 총알 제조법【造彈丸法】 2) 나는 새 쏘는 법【射飛禽法】 3) 물새 쏘는 법【射水禽法】 4) 참새 쏘는 법【射雀法】 5) 꿩 쏘는 법【射雉法】 6) 썰매 타고 짐승 찌르는 법【雪馬刺獸法】 7) 호랑이 사냥법【獵虎法】 8) 곰 사냥법【獵熊法】 9) 사슴 사냥법【獵鹿法】 10) 멧돼지 사냥법【獵山猪法】 11) 수달 쏘는 법【射水獺法】 12) 물개 잡는 법【取海狗法】 13) 두더지 찌르는 법【刺鼹鼠法】 14) 토끼 사냥법【獵兎法】
3. 그물과 함정【羅穽】 1) 그물【網羅】 2) 그물 염색법【染網法】 3) 그물 쳐서 참새 잡는 법【張羅捕雀法】 4) 그물 끌어당겨 메추라기 잡는 법【曳網掩鶉法】 5) 미끼로 새 잡는 법【繫媒取鳥法】 6) 호랑이 잡는 그물【虎網】 7) 함정과 덫【阱擭】 8) 기계낫【機鎌】 9) 창애【弶】 10) 사슴 사로잡는 법【擒鹿法】 11) 여우 사로잡는 법【擒狐法】 12) 대나무 함정으로 여우 사로잡는 법【竹穽捕狐法】 13) 담비 사로잡는 법【擒貂法】 14) 다람쥐 사로잡는 법【擒黃鼠法】 15) 청설모 사로잡는 법【捕靑鼠法】 16) 족제비 사로잡는 법【擒鼬鼠法】 17) 살쾡이 사로잡는 법【擒貍法】 18) 쥐덫【棝斗】 19) 쥐 사로잡는 법【擒鼠法】
4. 기타 사냥법【雜方】 1) 그림자를 쳐서 새 떨어트리는 법【擊影落鳥法】 2) 끈끈이 덫으로 새 사로잡는 법【黐擌捕鳥法】 3) 끈끈이 발라 호랑이 사로잡는 법【傅黐捕虎法】
Ⅱ. 고기잡이【漁釣】
1. 그물【罟罾】
1) 촉고(촘촘한 그물)【數罟】
2) 후릿그물(당망)【塘網】
3) 반두(작망)【綽網】
4) 좽이(투망)【撒網】
5) 잠방이(간망)【趕網】
6) 당망(삼각그물)【攩網】
7) 차망(갈래그물)【扠網】
8) 통그물(주망)【注網】
9) 좌증【坐罾】
10) 제증【提罾】
11) 어조망(큰 배 밑에 설치하는 안강망)【漁條網】
12) 문망(기둥으로 고정시킨 안강망)【門網】
13) 주박망(빙 둘러 설치한 그물)【注朴網】
14) 잉어 잡는 법【捕鯉法】
15) 숭어 잡는 법【捕鯔法】
16) 준치 잡는 법【捕鰣魚法】
17) 청어 잡는 법【捕靑魚法】
18) 조기 잡는 법【捕石首魚法】
19) 멸치 잡는 법【捕杏魚法】
20) 빙어 잡는 법【捕氷魚法】
21) 가는 새우 잡는 법【取細鰕法】
2. 통발【笱筌】 1) 어량의 통발【梁笱】 2) 통발의 여러 형태【筌】 3) 걸추(장대 끝에 조리 모양을 단 통발)로 물고기 잡기【打(竹/乞)箒】 4) 삼(섶나무를 물에 넣어 물고기를 잡는 장치)【槮】 5) 어살【滬】 6) 단(어살의 일종)【籪】
3. 낚시와 작살【釣簎】 1) 낚시【釣】 2) 먹이 던져 물고기 모으는 법【投餌聚魚法】 3) 유조법(얕은 여울에서의 견지낚시)【流釣法】 4) 파조법(낚시 바늘을 연이어 낚는 법)【擺釣法】 5) 주낙질(만등조법)【萬燈釣法】 6) 삼봉조법(낚싯바늘 3개로 낚는 법)【三鋒釣法】 7) 압조법(낚싯바늘 2개로 숭어 낚는 법)【鴨釣法】 8) 작살【簎】 9) 고기 쏘는 주살【射魚繳】 10) 작살로 고래 잡는 법【刺鯨法】 11) 상어 잡는 법【捕沙魚法】 12) 붕어 낚는 법【釣鯽法】 13) 돌고래 낚는 법【釣江豚法】 14) 철갑상어 낚는 법【釣鱣法】 15) 복어 잡는 법【捕河豚法】 16) 작살로 잉어 잡는 법【刺鯉法】 17) 뱀장어 잡는 법【捕鰻鱺魚法】 18) 가물치 잡는 법【捕鱧法】 19) 견어 낚는 법【釣堅魚法】 20) 고등어 잡는 법【捕古刀魚法】 21) 오징어 잡는 법【捕烏賊魚法】 22) 전복 따는 법【採鰒法】 23) 홍합 따는 법【採淡菜法】 24) 해삼 채취하는 법【採海蔘法】 25) 자라 잡는 법【捕鼈法】 26) 작살로 큰 자라 잡는 법【刺黿法】 27) 게 낚는 법【釣蟹法】
4. 기타 고기잡이법【雜方】 1) 약으로 잡는 법【藥魚法】 2) 보자기 덮어 잡는 법【羃袱取魚法】 3) 이불 펼쳐 잡는 법【張衾取魚法】 4) 배 잇대어 잡는 법【聯舠取魚法】 5) 거적 띄워 잡는 법【浮苫取魚法】 6) 모래 밟으며 잡는 법【踏沙取魚法】 7) 물고기는 원숭이털을 좋아한다【魚喜猢猻毛】 8) 물고기는 사슴의 태를 좋아한다【魚喜鹿胎】 9) 낭(桹) 두드려 고기 모는 법【鳴桹驅魚法】 10) 수달 길러 고기 잡는 법【養獺捕魚法】 11) 목달(木獺)로 잡는 법【木獺捕魚法】 12) 노자(鸕鷀) 길들여 고기 잡는 법【馴鸕鷀獵魚法】 13) 항아리 넣어 낙지 잡는 법【投壺取章魚法】 14) 미끼 묶어 쏘가리 잡는 법【繫媒取鱖法】 15) 수수 매달아 게 잡는 법【懸蜀黍捕蟹法】 16) 이름 불러 자라 잡는 법【呼名取鼈法】
5. 기타 어구【雜具】 1) 어암【漁庵】 2) 낚시터【釣磯】 3) 도롱이【蓑衣】 4) 대삿갓【篛笠】 5) 등덮개(배봉)【背蓬】 6) 낚싯배(책맹)【舴艋】 7) 종다래끼【笭箵】
권4(총40)
Ⅰ. 물고기 이름 고찰【魚名攷】
1. 민물고기【江魚】
1) 비늘 있는 종류【鱗類】(29종)
잉어鯉 숭어鯔 농어鱸 송어鱒 붕어鮒 납자루䲙 피라미鰷 모래무지鯊 두보어杜父魚 쏘가리鱖
위어鱭魚 까나리細魚 누치訥魚 은구어銀口魚 열목어餘項魚 미수감미어眉叟甘味魚 날피리飛𩺷魚 불거지赤鰓魚 눈검정이眼黑魚 꺽정이 斤過木皮魚 살치箭魚 야회어也回魚 돈어豚魚 영어迎魚 치리𩺲魚 버들치柳魚 둑지게堰負魚 가사어袈裟魚 국식어菊息魚
2) 비늘 없는 종류【無鱗類】(14종) 메기鮎 가물치鱧 뱀장어鰻鱺魚 드렁허리鱓 미꾸라지泥鰌 복河豚 자가사리黃顙魚 동자개(魚+盎)絲魚 빙어氷魚 침어鱵魚 승어僧魚 그리채文鞭魚 망둥이望瞳魚 밀어麳魚
3) 껍질이 있는 종류【介類】(9종) 거북龜 자라鼈 큰자라黿 게蟹 가장작은조개蚌 말씹조개馬刀 가막조개蜆 우렁이田蠃 달팽이蝸蠃
2. 바닷물고기【海魚】 1) 비늘 있는 종류【鱗類】(34종) 조기石首魚 황석어黃石首魚 민어鰵魚 준치鰣 밴댕이勒魚 도미禿尾魚 청어靑魚 가자미鰈 서대舌魚 넙치華臍魚 병어鯧 방어魴 연어秊魚 송어松魚 전어錢魚 황어黃魚 선비鮮白魚 범고기虎魚 물치水魚 삼치麻魚 중고기和尙魚 횟대膾代魚 보굴대寶窟帶魚 우럭鬱抑魚 꽁치貢魚 열기어悅嗜魚 나적어羅赤魚 가어加魚 이면수林延壽魚 쇠코뚜리고기牛拘奏魚 잠뱅이潛方魚 굴노고기軍牢魚 일애昵睚魚 묘침어錨枕魚
2) 비늘 없는 종류【無鱗類】(30종) 고래鯨 장수피長須平魚 내인魶魜魚 상어沙魚 돌고래海豚魚 증어蒸魚 인어人魚 날치文鰩魚 뱀장어海鰻鱺 갈치葛魚 승어升魚 대구㕦魚 명태明鮐魚 고등어古刀魚 쥐치鼠魚 짱뚱어彈塗魚 은어銀魚 가오리海魚 홍어洪魚 청다래靑障泥魚 수거리繡䱟魚 멸치鮧䲡 오징어烏賊魚 꼴뚜기柔魚 문어章魚 낙지石距 쭈꾸미望潮魚 물알水母 해삼海參 새우鰕
3) 껍질이 있는 종류【介類】(13종) 대모玳瑁 전복鰒 바다긴조개海蚌 대합조개文蛤 모시조개白蛤 참조개蛤蜊 함진조개𧍧䗯 가장큰조개車螯 강요주蚶 홍합淡菜 가리맛蟶 굴牡蠣 해라海蠃
3. 물고기에 관한 기타 논설【雜纂】 1) 낙랑의 일곱 물고기를 분변한다【辨樂浪七魚】(8개) 머리말題語 첫째 사어一曰魦 둘째 첩어二曰鯜 셋째 국어三曰䱡 넷째 시어四曰䰽 다섯째 옹어五曰鰅 여섯째 역어, 일곱째 노어六曰鱳,七曰䲐 꼬리말跋尾 2) 확인 못한 바닷물고기【論海魚未驗】(10개) 총론總論 전어鱣 심어鱘 유어鮪 우어牛魚 외어鮠 마교어馬鮫魚 견어堅魚 회잔어鱠殘魚 해마海馬
3) 중국산으로 우리나라에 나지 않는 물고기【論華産未見】(12개) 총론總論 연어鱮 전어鱅 환어鯇 청어靑魚 백어白魚 종어鯼 감어鱤 황고어黃鯝魚 금어金魚 조어鯛 후어鱟
4) 우리나라산으로 자세한 정보가 없는 물고기【論東産未詳】(1개) 담라擔羅
정조지
정조지 목차
정조지 권제1 鼎俎志 卷第一
음식재료 요점 정리(식감촬요) 食鑑撮要
1. 물(수류) 水類
1) 물에 대한 총론 總水 2) 세부 항목 條開 우물물 井水 | 흐르는 물 流水 | 바위산 샘물 山巖泉水 | 음지에 흐르는 샘물 陰地流泉 | 못 안에 고인 물 澤中停水 | 모래사장의 물 沙河中水 | 두 산 사이의 물 兩山夾水 | 온천수 溫泉水 | 유혈수 乳穴水 | 빗물 雨水 | 여름 얼음 夏氷
2. 곡식(곡류) 穀類
1) 곡식에 대한 총론 總穀 2) 세부 항목 條開 멥쌀 粳米 | 찹쌀 糯米 | 조 粟米 | 차조 秫米 | 황량미 黃粱米 | 백량미 白粱米 | 청량미 靑粱米 | 찰기장 稷米 | 메기장 黍米 | 수수 蜀黍 | 옥수수 玉蜀黍 | 돌피 穇子 | 패미 稗米 | 줄 菰米 | 망미 菵米 | 봉초미 蓬草米 | 사초미 蒒草米 | 낭미미 狼尾米 | 율무 薏苡米 | 비미 粃米 | 밀 小麥 | 보리 大麥 | 메밀 蕎麥 | 귀리 雀麥 | 흑대두 黑大豆 | 황대두 黃大豆 | 팥 赤小豆 | 녹두 綠豆 | 완두 豌豆 | 누에콩 蠶豆 | 동부 豇豆 | 까치콩 藊豆 | 작두콩 刀豆 | 여두 黎豆 | 참깨 胡麻 | 흰참깨 白油麻 | 들깨 荏子
3. 채소(채류) 菜類
1) 채소에 대한 총론 總菜 2) 세부 항목 條開 파 蔥 | 소산 小蒜 | 대산 大蒜 | 부추 韭 | 염교 薤 | 운대 蕓薹 | 생강 薑 | 겨자 芥 | 고추 番椒 | 배추 菘 | 순무 蔓菁 | 무 蘿蔔 | 쑥갓 茼蒿 | 고수풀 胡荽 | 사호 邪蒿 | 회향 蘹香 | 나륵 羅勒 | 산갓 蔊 | 시금치 菠薐 | 옹채 蕹菜 | 근대 莙薘 | 냉이 薺 | 석명 菥蓂 | 번루 繁縷 | 계장초 鷄腸草 | 거여목 苜蓿 | 비름 莧 | 쇠비름 馬齒莧 | 고거 苦苣 | 백거 白苣 | 상추 萵苣 | 삼백초 蕺 | 고사리 蕨 | 고비 薇 | 교요 翹搖 | 녹곽 鹿藿 | 회조 灰藋 | 명아주 藜 | 토란 芋 | 감로자 甘露子 | 죽순 竹筍 | 소루쟁이 羊蹄 | 아욱 葵 | 망우채 忘憂菜 | 우엉 牛蒡 | 가지 茄 | 박 瓠 | 동아 冬瓜 | 호박 南瓜 | 오이 胡瓜 | 수세미 絲瓜 | 쥐참외 王瓜 | 울외 越瓜 | 목이버섯 木耳 | 삼나무버섯 杉菌 | 향심버섯 香蕈 | 송이버섯 松蕈 | 갈화채 葛花菜 | 마고 蘑菰 | 토균 土菌 | 석이버섯 石耳 | 지이 地耳 | 자채 紫菜 | 녹각채 鹿角菜 | 해조 海藻 | 해온 海蘊 | 해대 海帶 | 곤포 昆布 | 건태 乾苔 | 순채 蓴 | 수조 水藻 | 행채 莕菜 | 네가래 蘋 | 평봉초 萍蓬草
4. 과일(과류) 菓類
1) 과일에 대한 총론 總菓 2) 세부 항목 條開 자두 李 | 살구 杏 | 매실 梅 | 복숭아 桃 | 밤 栗 | 대추 棗 | 배 梨 | 모과 木瓜 | 아가위 山柤 | 내 柰 | 능금 林檎 | 감 柹 | 고욤 君遷子 | 석류 石榴 | 귤 橘 | 감자 柑子 | 유자 柚 | 앵두 櫻桃 | 은행 銀杏 | 호두 胡桃 | 개암 榛 | 도토리 橡 | 여지 荔枝 | 용안 龍眼 | 비자 榧子 | 잣 海松子 | 촉초 蜀椒 | 후추 胡椒 | 식수유 食茱萸 | 차 茗 | 사당 沙糖 | 참외 甛瓜 | 수박 西瓜 | 포도 葡萄 | 고구마 甘藷 | 참마 薯蕷 | 백합 百合 | 황정 黃精 | 오미자 五味子 | 복분자 覆盆子 | 머루 蘡薁 | 다래 獼猴桃 | 연자 蓮子 | 연근 藕 | 세발마름 芰實 | 가시연밥 芡實 | 오우 烏芋 | 자고 慈姑
5. 짐승(수류) 獸類
1) 짐승에 대한 총론 總獸 2) 세부 항목 條開 소 牛 | 돼지 猪 | 개 狗 | 양 羊 | 멧돼지 野猪 | 곰 熊 | 산양 山羊 | 사슴 鹿 | 큰사슴 麋 | 노루 麞 | 토끼 兔
6. 새(금류) 禽類
1) 새에 대한 총론 總禽 2) 세부 항목 條開 닭 鷄 | 꿩 雉 | 메추라기 鶉 | 비둘기 鴿 | 참새 雀 | 촉새 蒿雀 | 멧비둘기 斑鳩 | 거위 鵝 | 집오리 家鴨 | 들오리 野鴨 | 능에 鴇 | 백조 天鵝 | 기러기 雁
7. 물고기(어류) 魚類
1) 물고기에 대한 총론 總魚 2) 세부 항목 條開 잉어 鯉 | 붕어 鯽 | 숭어 鯔 | 쏘가리 鱖 | 농어 鱸 | 준치 鰣 | 가물치 鱧 | 메기 鮎 | 조기 石首魚 | 복어 河豚 | 상어 沙魚 | 갑오징어 烏賊魚 | 문어 章魚 | 낙지 石距 | 뱀장어 鰻鱺魚 | 북고어 北薧魚 | 대구 夻魚 | 송어 松魚 | 연어 鰱魚 | 뱅어 白魚 | 미꾸라지 鰍魚 | 가자미 鰈魚 | 가오리 鱝魚 | 대홍하 大紅鰕 | 새우 鰕 | 자라 鼈 | 게 蟹 | 굴 牡蠣 | 전복 鰒 | 조개 蛤蜊 | 대합 文蛤 | 맛조개 蟶 | 홍합 淡菜 | 소라 螺 | 해삼 海蔘
8. 양념(미류) 味類
1) 양념에 대한 총론 總味 2) 세부 항목 條開 소금 鹽 | 장 醬 | 식초 醋 | 참기름 麻油 | 벌꿀 蜂蜜 | 술 酒 | 조청과 엿 飴餹 | 수유 酥
정조지 권제2 鼎俎志 卷第二
익히거나 찌는 음식(취류지류) 炊餾之類
1. 밥 飯
1) 총론 總論 2) 여러 가지 밥 짓는 법(자반잡법) 煮飯雜法 3) 밥은 부드럽게 해야 한다 炊飯宜軟 4) 햅쌀밥의 독 제어하기(취신도제독법) 炊新稻制毒法 5) 보리밥 잘 익히기(취맥이숙법) 炊麥易熟法 6) 밥 쉬지 않게 하기(반불수법) 飯不法 7) 청정반(靑精飯) 짓기(청정반방) 靑精飯方 8) 유반(飯) 짓기(유반방) 飯方 9) 혼돈반(渾沌飯) 짓기(혼돈반방) 渾沌飯方 10) 반도반(蟠桃飯) 짓기(반도반방) 蟠桃飯方 11) 조고반(凋菰飯) 짓기(조고반방) 凋菰飯方 12) 금반(金飯) 짓기(금반방) 金飯方 13) 옥정반(玉井飯) 짓기(옥정반방) 玉井飯方 14) 저반(藷飯, 고구마밥) 짓기(저반방) 藷飯方 15) 죽실반(竹實飯) 짓기(죽실반방) 竹實飯方
2. 떡 餠餌
1) 총론 總論 2) 시루떡 쉽게 찌는 법(취증병이숙법) 炊甑餠易熟法 3) 과일떡(잡과고) 만들기(잡과고방) 雜果餻方 4) 무떡(내복병) 만들기(내복병방) 萊葍餠方 5) 차고(撦糕) 만들기(차고방) 撦糕方 6) 복숭아떡(도병)과 살구떡(행병) 만들기(도행병방) 桃、 杏餠方 7) 불떡(화병) 만들기(화병방) 火餠方 8) 옥관폐(玉灌肺) 만들기(옥관폐방) 玉灌肺方 9) 쑥떡(봉연고) 만들기(봉연고방) 蓬糕方 이상은 이류(餌類) 10) 인절미(인절병) 만들기(인절병방) 引切餠方 11) 과일찰떡(잡과점병) 만들기(잡과점병방) 雜果黏餠方 12) 소나무껍질떡(송피병) 만들기(송피병방) 松皮餠方 13) 감떡(시고) 만들기(시고방) 柹糕方 14) 지짐떡(유전병) 만들기(유전병방) 油煎餠方 15) 송편지짐떡(조각병) 만들기(조각병방) 糙角餠方 16) 얇은설탕떡(당박취) 만들기(당박취방) 糖薄脆方 17) 풍소병(風消餠) 만들기(풍소병방) 風消餠方 18) 동물성기름떡(육유병) 만들기(육유병방) 肉油餠方 19) 식물성기름떡(소유병) 만들기(소유병방) 素油餠方 20) 설화병(雪花餠) 만들기(설화병방) 雪花餠方 21) 진감병(천연으로 달콤해진 떡) 만들기(진감병방) 眞甘餠方 22) 토란떡(토지병) 만들기(토지병방) 土芝餠方 23) 산삼떡(산삼병) 만들기(산삼병방) 山蔘餠方 24) 수아화[수유(酥油)로 지진 꽃떡] 만들기(수아화방) 酥兒花方 25) 토란떡(우병) 만들기(우병방) 芋餠方 26) 권전병 만들기(권전병방) 捲煎餠方 27) 회회권전병 만들기(회회권전병방) 回回捲煎餠方 28) 칠보권전병 만들기(칠보권전병방) 七寶捲煎餠方 29) 고기떡(육병) 만들기(육병방) 肉餠方 30) 유협아 만들기(유협아방) 油𩛩兒方 31) 잣떡(송자병) 만들기(송자병방) 松子餠方 32) 수유떡(수병) 만들기(수병방) 酥餠方 33) 오랑캐마떡(산약호병) 만들기(산약호병방) 山藥胡餠方 34) 도구수(到口酥) 만들기(도구수방) 到口酥方 35) 광소병(光燒餠) 만들기(광소병방) 光燒餠方 36) 복로소병(화로에 2번 구운 떡) 만들기(복로소병방) 復爐燒餠方 37) 타봉각아(낙타등모양 송편) 만들기(타봉각아방) 駝峯角兒方 38) 제라각아(고운 눈썹모양 송편) 만들기(제라각아방) 饠角兒方 이상은 유병류(油餠類) 39) 팥고물꿀떡(함밀병) 만들기(함밀병방) 餡蜜餠方 40) 두텁떡(후병) 만들기(후병방) 厚餠方 41) 당귀떡(당귀병) 만들기(당귀병방) 當歸餠方 42) 도토리떡(상자병) 만들기(상자병방) 橡子餠方 43) 생강계피떡(노랄병) 만들기(노랄병방) 老辣餠方 44) 금강산석이버섯떡(풍악석이병) 만들기(풍악석이병방) 楓嶽石耳餠方 45) 고려밤떡(고려율고) 만들기(고려율고방) 高麗栗糕方 46) 백출창포떡(신선부귀병) 만들기(신선부귀병방) 神仙富貴餠方 47) 연잎귤잎떡(동정의) 만들기(동정의방) 洞庭饐方 48) 과증(댓잎에 싼 찰떡) 만들기(과증방) 裹蒸方 49) 황옥떡(황옥병) 만들기(황옥병방) 黃玉餠方 50) 양갱병 만들기(양갱병방) 羊羹餠方 51) 외랑병(外郞餠) 만들기(외랑병방) 外郞餠方 52) 전병(煎餠) 만들기(전병방) 煎餠方 53) 송풍병 만들기(송풍병방) 松風餠方 54) 혼돈병 만들기(혼돈병방) 渾沌餠方 이상은 당궤류(餹饋類) 55) 단자 만들기(단자방) 團餈方 56) 경단 만들기(경단방) 瓊團方 57) 춘근혼돈(참죽나무뿌리혼돈) 만들기(춘근혼돈방) 椿根餛飩方 58) 죽순고사리혼돈(순궐혼돈) 만들기(순궐혼돈방) 筍蕨餛飩方 59) 대내고(생토란에 소를 넣은 떡) 만들기(대내고방) 大耐糕方 60) 자사단(설탕과 함께 소를 만든 단자) 만들기(자사단방) 煮沙團方 61) 수명송편(수명각아) 만들기(수명각아방) 水明角兒方 이상은 혼돈류(餛飩類) 62) 증편(증병) 만들기(증병방) 蒸餠方 63) 밀가루발효떡(백숙병자) 만들기(백숙병자방) 白熟餠子方 64) 옥수수떡(옥고량병) 만들기(옥고량병방) 玉高粱餠方 이상은 부투류(餢類)
달이거나 고는 음식(전오지류) 煎熬之類
1. 죽 鬻
1) 총론 總論 2) 갱미죽(粳米粥, 쌀죽) 쑤기(갱미죽방) 粳米粥方 3) 양원죽(養元粥, 원기보양죽) 쑤기(양원죽방) 養元粥方 4) 청량죽(靑粱粥, 차조죽) 쑤기(청량죽방) 靑粱粥方 5) 삼미죽(三米粥) 쑤기(삼미죽방) 三米粥方 6) 녹두죽(綠豆粥) 쑤기(녹두죽방) 綠豆粥方 7) 삼두음(三豆飮) 쑤기(삼두음방) 三豆飮方 8) 의이죽(薏苡粥, 율무죽) 쑤기(의이죽방) 薏苡粥方 9) 어미죽(御米粥, 양귀비죽) 쑤기(어미죽방) 御米粥方 10) 청모죽(靑麰粥, 푸른쌀보리죽) 쑤기(청모죽방) 靑麰粥方 11) 거승죽(巨勝粥, 흑임자죽) 쑤기(거승죽방) 巨勝粥方 12) 산우죽(山芋粥, 마죽) 쑤기(산우죽방) 山芋粥方 13) 복령죽(茯苓粥, 풍냉이죽) 쑤기(복령죽방) 茯苓粥方 14) 백합죽(百合粥) 쑤기(백합죽방) 百合粥方 15) 조미죽(棗米粥, 대추죽) 쑤기(조미죽방) 棗米粥方 16) 율자죽(栗子粥, 밤죽) 쑤기(율자죽방) 栗子粥方 17) 진군죽(眞君粥, 살구죽) 쑤기(진군죽방) 眞君粥方 18) 연자죽(蓮子粥, 연밥죽) 쑤기(연자죽방) 蓮子粥方 19) 우분죽(藕粉粥, 연근가루죽) 쑤기(우분죽방) 藕粉粥方 20) 검인죽(芡仁粥, 가시연밥죽) 쑤기(검인죽방) 芡仁粥方 21) 능실죽(菱實粥, 마름죽) 쑤기(능실죽방) 菱實粥方 22) 육선죽(六仙粥, 여섯재료죽) 쑤기(육선죽방) 六仙粥方 23) 해송자죽(海松子粥, 잣죽) 쑤기(해송자죽방) 海松子粥方 24) 매죽(梅粥, 매화죽) 쑤기(매죽방) 梅粥方 25) 도미죽(荼蘼粥, 궁궁이죽) 쑤기(도미죽방) 荼蘼粥方 26) 방풍죽(防風粥, 병풍나물죽) 쑤기(방풍죽방) 防風粥方 27) 갈분죽(葛粉粥, 칡가루죽) 쑤기(갈분죽방) 葛粉粥方 28) 상자죽(橡子粥, 도토리죽) 쑤기(상자죽방) 橡子粥方 29) 강분죽(薑粉粥, 생강가루죽) 쑤기(강분죽법) 薑粉粥法 30) 호도죽(胡桃粥, 호두죽) 쑤기(호도죽방) 胡桃粥方 31) 진자죽(榛子粥, 개암죽) 쑤기(진자죽방) 榛子粥方 32) 황정죽(黃精粥, 죽대뿌리죽) 쑤기(황정죽방) 黃精粥方 33) 지황죽(地黃粥) 쑤기(지황죽방) 地黃粥方 34) 구기죽(枸杞粥, 구기자죽) 쑤기(구기죽방) 枸杞粥方 35) 계죽(鷄粥, 닭죽) 쑤기(계죽방) 鷄粥方 36) 즉어죽(鯽魚粥, 붕어죽) 쑤기(즉어죽방) 鯽魚粥方 37) 담채죽(淡菜粥, 홍합죽) 쑤기(담채죽방) 淡菜粥方 38) 하추죽(河樞粥, 말린생선죽) 쑤기(하추죽방) 河樞粥方 39) 우유죽(牛乳粥) 쑤기(우유죽방) 牛乳粥方 40) 녹각죽(鹿角粥, 사슴뿔죽) 쑤기(녹각죽방) 鹿角粥方 41) 부록 여러 죽의 효능(제죽식치) 附 諸粥食治 적소두죽(赤小豆粥, 팥죽) | 녹두죽(綠豆粥) | 어미죽(御米粥) | 의이인죽(薏苡仁粥, 율무죽) | 연자분죽(蓮子粉粥, 연밥가루죽) | 검실분죽(芡實粉粥, 가시연밥가루죽) | 율자죽(栗子粥, 밤죽) | 서여죽(薯蕷粥, 마죽) | 우죽(芋粥, 토란죽) | 백합분죽(百合粉粥) | 나복죽(蘿葍粥,무죽) | 호라복죽(胡蘿葍粥, 당근죽) | 마치현죽(馬齒莧粥, 쇠비름죽) | 유채죽(油菜粥) | 군달채죽(莙薘菜粥, 근대죽) | 파릉채죽(菠薐菜粥, 시금치죽) | 제채죽(薺菜粥, 냉이죽) | 근채죽(芹菜粥, 미나리죽) | 개채죽(芥菜粥, 갓죽) | 규채죽(葵菜粥, 아욱죽) | 구채죽(韭菜粥, 부추죽) | 총시죽(蔥豉粥, 파된장죽) | 복령분죽(茯苓粉粥, 복령가루죽) | 송자인죽(松子仁粥, 잣죽) | 산조인죽(酸棗仁粥, 멧대추죽) | 구기자죽(枸杞子粥) | 해백죽(薤白粥, 염교죽) | 생강죽(生薑粥) | 화초죽(花椒粥, 산초죽) | 회향죽(茴香粥) | 호초죽(胡椒粥, 후추죽)·수유죽(茱萸粥, 산수유죽)·날미죽(辣米粥, 산갓죽) | 마자죽(麻子粥, 삼씨죽)·호마죽(胡麻粥, 참깨죽)·욱리인죽(郁李仁粥, 이스라지씨죽) | 소자죽(蘇子粥, 차조기씨죽) | 죽엽탕죽(竹葉湯粥) | 저신죽(猪腎粥, 돼지콩팥죽)·양신죽(羊腎粥, 양콩팥죽) | 양간죽(羊肝粥)·계간죽(鷄肝粥, 닭간죽) | 양즙죽(羊汁粥, 양죽)·계즙죽(鷄汁粥, 닭죽) | 압즙죽(鴨汁粥, 오리죽)·이즙죽(鯉汁粥, 잉어죽) | 우유죽(牛乳粥) | 수밀죽 (酥蜜粥, 수유꿀죽)
2. 조청과 엿(이당) 飴餳
1) 총론 總論 2) 조청[飴, 이] 고기(이방) 飴方 3) 엿[餳, 당] 만들기(당방) 餳方 4) 흑두당(黑豆餹, 검은콩엿) 만들기(흑두당방) 黑豆餹方 5) 무술당(戊戌餹, 수수엿) 만들기(무술당방) 戊戌餹方
볶거나[糗] 가루 내어[麪] 만든 음식(구면지류) 糗麪之類
1. 미숫가루[麨, 초] 麨
1) 총론 總論 2) 나미초(糯米麨, 찹쌀미숫가루) 만들기(나미초방) 糯米麨方 3) 완두초(豌豆麨, 완두미숫가루) 만들기(완두초방) 豌豆麨方 4) 유초[乳麨, 유충(乳蟲)미숫가루] 만들기(유초방) 乳麨方 5) 육향초(六香麨, 6향미숫가루) 만들기(육향초방) 六香麨方 6) 백엽초(柏葉麨, 측백나뭇잎미숫가루) 만들기(백엽초방) 柏葉麨方 7) 천금초(千金麨, 천금미숫가루) 만들기(천금초방) 千金麨方 8) 운영초(雲英麨, 운영미숫가루) 만들기(운영초방) 雲英麨方 9) 내초(柰麨, 능금미숫가루) 만들기(내초방) 柰麨方 10) 행초(杏麨, 살구미숫가루) 만들기(행초방) 杏麨方 11) 이초(李麨, 자두미숫가루) 만들기(이초방) 李麨方 12) 임금초(林檎麨, 능금미숫가루) 만들기(임금초방) 林檎麨方 13) 조유(棗油, 대추미숫가루) 만들기(조유방) 棗油方 14) 복분자초(覆盆子麨, 복분자미숫가루) 만들기(복분자초방) 覆盆子麨方
2. 면 麪
1) 총론 總論 2) 교맥면(蕎麥麪, 메밀국수) 만들기(교맥면방) 蕎麥麪方 3) 난면(卵麪, 계란국수) 만들기(난면방) 卵麪方 4) 사면(絲麪, 실국수) 만들기(사면방) 絲麪方 5) 갈분면(葛粉麪, 칡가루국수) 만들기(갈분면방) 葛粉麪方 6) 창면(暢麪, 녹두국수) 만들기(창면방) 暢麪方 7) 노분면(蘆粉麪, 갈대가루국수) 만들기(노분면방) 蘆粉麪方 8) 천화면(天花麪, 하눌타리국수) 만들기(천화면방) 天花麪方 9) 율면(栗麪, 밤국수) 만들기(율면방) 栗麪方 10) 나화(剌花, 나화국수) 만들기(나화방) 剌花方 11) 별작면(別作麪) 만들기(별작면방) 別作麪方 12) 진주면(眞珠麪) 만들기(진주면방) 眞珠麪方 13) 서면(黍麪, 기장국수) 만들기(서면방) 黍麪方 14) 과면(瓜麪, 오이국수) 만들기(과면방) 瓜麪方 15) 나단탕병(糯團湯餠, 찹쌀새알심국) 끓이기(나단탕병방) 糯團湯餠方 16) 화면(花麪, 진달래국수) 만들기(화면방) 花麪方 17) 백합병(百合餠, 백합칼국수) 만들기(백합병방) 百合餠方 18) 옥연삭병(玉延索餠, 마국수) 만들기(옥연삭병방) 玉延索餠方 19) 석류분(石榴粉, 석류면) 만들기(석류분방) 石榴粉方 20) 수활면(水滑麪, 손국수) 만들기(수활면방) 水滑麪方 21) 삭면(索麪, 기름손국수) 만들기(삭면방) 索麪方 22) 경대면(經帶麪) 만들기(경대면방) 經帶麪方 23) 탁장면(托掌麪) 만들기(탁장면방) 托掌麪方 24) 산약면(山藥麪, 마칼국수) 만들기(산약면방) 山藥麪方 25) 구면(句麪, 무칼국수) 만들기(구면방) 句麪方 26) 취루면(翠縷麪, 회화나무잎칼국수) 만들기(취루면방) 翠縷麪方 27) 홍사면(紅絲麪, 새우국수) 만들기(홍사면방) 紅絲麪方 28) 우박탁(芋餺飥) 만들기(우박탁방) 芋餺飥方 29) 영롱박탁(玲瓏餺飥) 만들기(영롱박탁방) 玲瓏餺飥方 30) 영롱발어(玲瓏撥魚) 만들기(영롱발어방) 玲瓏撥魚方 31) 산약발어(山藥撥魚) 만들기(산약발어방) 山藥撥魚方
3. 만두 饅頭
1) 총론 總論 2) 숭채만두(菘菜饅頭, 절인배추만두) 빚기(숭채만두방) 菘菜饅頭方 3) 변씨만두(卞氏饅頭) 빚기(변씨만두방) 卞氏饅頭方 4) 치만두(雉饅頭, 꿩만두) 빚기(치만두방) 雉饅頭方 5) 어만두(魚饅頭, 생선만두) 빚기(어만두방) 魚饅頭方 6) 평좌대만두(平坐大饅頭, 발효만두) 빚기(평좌대만두방) 平坐大饅頭方 7) 박만두(薄饅頭, 피가 얇은 만두) 빚기(박만두방) 薄饅頭方 8) 어포자(魚包子, 생선포자) 빚기(어포자방) 魚包子方 9) 아두자(鵝兜子, 거위고기만두) 빚기(아두자방) 鵝兜子方 10) 잡함두자(雜餡兜子, 양의 부속물만두) 빚기(잡함두방) 雜餡兜子方 11) 해황두자(蟹黃兜子, 게살만두) 빚기(해황두자방) 蟹黃兜子方 12) 산해두(山海兜, 산나물생선만두) 빚기(산해두방) 山海兜方 13) 황작만두(黃雀饅頭, 참새고기만두) 빚기(황작만두방) 黃雀饅頭方 14) 조만두(糟饅頭, 술지게미만두) 빚기(조만두방) 糟饅頭方 15) 하연두자(荷蓮兜子, 연만두) 빚기(하연두자방) 荷蓮兜子方 16) 연방어포(蓮房魚包, 연밥생선만두) 빚기(연방어포방) 蓮房魚包方
정조지 권제3 鼎俎志 卷第三
음료(음청지류) 飮淸之類
1. 탕 湯
1) 총론 總論 2) 암향탕(暗香湯, 매화탕) 만들기(암향탕방) 暗香湯方 3) 숙매탕(熟梅湯, 매실탕) 만들기(숙매탕방) 熟梅湯方 4) 수문탕(須問湯) 만들기(수문탕방) 須問湯方 5) 행락탕(杏酪湯, 살구탕) 만들기(행락탕방) 杏酪湯方 6) 봉수탕(鳳髓湯, 잣호두탕) 만들기(봉수탕방) 鳳髓湯方 7) 수지탕(水芝湯, 연밥탕) 만들기(수지탕방) 水芝湯方 8) 건모과탕(乾木瓜湯, 말린 모과탕) 만들기(건모과탕방) 乾木瓜湯方 9) 무진탕(無塵湯) 만들기(무진탕방) 無塵湯方 10) 선출탕(仙朮湯, 창출탕) 만들기(선출탕방) 仙朮湯方 11) 여지탕(荔枝湯, 오매탕) 만들기(여지탕방) 荔枝湯方 12) 온조탕(溫棗湯, 대추탕) 만들기(온조탕방) 溫棗湯方 13) 향소탕(香蘇湯, 차조기탕) 만들기(향소탕방) 香蘇湯方 14) 금분탕(金粉湯) 만들기(금분탕방) 金粉湯方 15) 지황고자탕(地黃膏子湯, 지황탕) 만들기(지황고자탕방) 地黃膏子湯方 16) 녹운탕(綠雲湯, 형개수탕) 만들기(녹운탕방) 綠雲湯方 17) 경소탕(輕素湯, 마탕) 만들기(경소탕방) 輕素湯方 18) 옥설탕(沃雪湯) 만들기(옥설탕방) 沃雪湯方 19) 백탕(柏湯, 측백탕) 만들기(백탕방) 柏湯方
2. 장 漿
1) 총론 總論 2) 장수(漿水) 만들기(장수방) 漿水方 3) 제수(虀水, 배추장) 만들기(제수방) 虀水方 4) 계장(桂漿, 계피장) 만들기(계장방) 桂漿方 5) 여지장(荔枝漿) 만들기(여지장방) 荔枝漿方 6) 모과장(木瓜漿) 만들기(모과장방) 木瓜漿方 7) 유장(柚漿, 유자장) 만들기(유장방) 柚漿方 8) 매장(梅漿, 매실장) 만들기(매장방) 梅漿方
3. 차 茶
1) 총론 總論 2) 뇌차(擂茶, 가루차) 만들기(뇌차방) 擂茶方 3) 족미차(足味茶) 만들기(족미차방) 足味茶方 4) 해아향차(孩兒香茶) 만들기(해아향차방) 孩兒香茶方 5) 누영춘(漏影春) 만들기(누영춘방) 漏影春方 6) 청천백석차(淸泉白石茶) 만들기(청천백석차방) 淸泉白石茶方 7) 구기차(枸杞茶, 구기자차) 만들기(구기차방) 枸杞茶方 8) 국화차(菊花茶) 만들기(국화차방) 菊花茶方 9) 기국차(杞菊茶, 구기자국화차) 만들기(기국차방) 杞菊茶方 10) 강죽차(薑竹茶, 생강죽력차) 만들기(강죽차방) 薑竹茶方 11) 강귤차(薑橘茶, 생강귤차) 만들기(강귤차방) 薑橘茶方 12) 유자차(柚子茶) 만들기(유자차방) 柚子茶方 13) 포도차(葡萄茶) 만들기(포도차방) 葡萄茶方 14) 당귀차(當歸茶方) 만들기(당귀차방) 當歸茶方 15) 순차(蓴茶, 순채차) 만들기(순차방) 蓴茶方 16) 녹두차(綠豆茶) 만들기(녹두차방) 綠豆茶方 17) 백엽차(柏葉茶, 측백잎차) 만들기(백엽차방) 柏葉茶方
4. 갈수(渴水, 청량음료) 渴水
1) 총론 總論 2) 어방갈수(御方渴水) 만들기(어방갈수방) 御方渴水方 3) 임금갈수(林檎渴水, 능금갈수) 만들기(임금갈수방) 林檎渴水方 4) 모과갈수(木瓜渴水) 만들기(모과갈수방) 木瓜渴水方 5) 오미갈수(五味渴水, 오미자갈수) 만들기(오미갈수방) 五味渴水方 6) 포도갈수(葡萄渴水) 만들기(포도갈수방) 葡萄渴水方 7) 향당갈수(香糖渴水) 만들기(향당갈수방) 香糖渴水方
5. 숙수(熟水, 달인 음료) 熟水
1) 총론 總論 2) 숙수 총법 熟水總法 3) 자소숙수(紫蘇熟水) 만들기(자소숙수방) 紫蘇熟水方 4) 두구숙수(荳蔻熟水, 백두구숙수) 만들기(두구숙수방) 荳蔻熟水方 5) 침향숙수(沈香熟水) 만들기(침향숙수방) 沈香熟水方 6) 향화숙수(香花熟水, 향기로운 꽃 숙수) 만들기(향화숙수방) 香花熟水方 7) 정향숙수(丁香熟水) 만들기(정향숙수방) 丁香熟水方 8) 율추숙수(栗皺熟水, 밤송이숙수) 만들기(율추숙수방) 栗皺熟水方
과줄(과정지류) 菓飣之類
1. 밀전과(蜜煎菓, 과일꿀조림) 蜜煎菓
1) 총론 總論 2) 밀전과자(蜜煎菓子, 과일꿀조림) 총법 蜜煎菓子總法 3) 밀전행(蜜煎杏, 살구꿀조림) 만들기(밀전행방) 蜜煎杏方 4) 밀전도(蜜煎桃, 복숭아꿀조림) 만들기(밀전도방) 蜜煎桃方 5) 밀전앵도(蜜煎櫻桃, 앵두꿀조림) 만들기(밀전앵도방) 蜜煎櫻桃方 6) 건포도(乾葡萄, 포도꿀조림) 만들기(건포도방) 乾葡萄方 7) 밀건조(蜜乾棗, 대추꿀조림) 만들기(밀건조방) 蜜乾棗方 8) 밀전리(蜜煎梨, 배꿀조림) 만들기(밀전리방) 蜜煎梨方 9) 밀전산사(蜜煎山査, 아가위꿀조림) 만들기(밀전산사방) 蜜煎山査方 10) 밀전모과(蜜煎木瓜, 모과꿀조림) 만들기(밀전모과방) 蜜煎木瓜方 11) 밀전복분자(蜜煎覆盆子, 복분자꿀조림) 만들기(밀전복분자방) 蜜煎覆盆子方 12) 밀전감자(蜜煎柑子, 홍귤꿀조림) 만들기(밀전감자방) 蜜煎柑方 13) 밀전유(蜜煎柚, 유자꿀조림) 만들기(밀전유방) 蜜煎柚方 14) 밀전우(蜜煎藕, 연근꿀조림) 만들기(밀전우방) 蜜煎藕方 15) 밀전강(蜜煎薑, 생강꿀조림) 만들기(밀전강방) 蜜煎薑方 16) 밀전오미자(蜜煎五味子, 오미자꿀조림) 만들기(밀전오미자방) 蜜煎五味子方 17) 밀전죽순(蜜煎竹荀, 죽순꿀조림) 만들기(밀전죽순방) 蜜煎竹荀方 18) 밀전맥문동(蜜煎麥門冬, 맥문동꿀조림) 만들기(밀전맥문동방) 蜜煎麥門冬方 19) 밀전길경(蜜煎桔梗, 도라지꿀조림) 만들기(밀전길경방) 蜜煎桔梗方 20) 밀전동과(蜜煎冬瓜, 동아꿀조림) 만들기(밀전동과방) 蜜煎冬瓜方 21) 밀전서과(蜜煎西瓜, 수박꿀조림) 만들기(밀전서과방) 蜜煎西瓜方
2. 당전과(糖纏菓, 과일설탕절임) 糖纏菓
1) 총론 總論 2) 당취매(糖脆梅, 매실설탕절임) 만들기(당취매방) 糖脆梅方 3) 산사고(山査膏, 아가위설탕절임) 만들기(산사고방) 山査膏方 4) 연자전(蓮子纏, 연밥설탕절임) 만들기(연자전방) 蓮子纏方 5) 당전우(糖煎藕, 연근설탕절임) 만들기(당전우방) 糖煎藕方 6) 당소모과(糖蘇木瓜, 차조기·모과설탕절임) 만들기(당소모과방) 糖蘇、木瓜方 7) 형개당(荊芥糖, 형개설탕절임) 만들기(형개당방) 荊芥糖方 8) 당전비(糖纏榧, 비자설탕절임) 만들기(당전비방) 糖纏榧方 9) 당전감(糖纏柑, 유감설탕절임) 만들기(당전감방) 糖纏柑方 10) 당두(糖豆, 콩설탕절임) 만들기(당두방) 糖豆方 11) 사당원(砂糖元, 약용설탕) 만들기(사당원방) 砂糖元方 12) 부록 첨식(甜食, 단 음식) 附 甜食 12-1) 당로(糖滷) 만들기(기당로법) 起糖滷法 12-2) 초면(炒麪, 볶은 밀가루) 만들기(초면법) 炒麪法 12-3) 설화수(雪花酥, 눈처럼 흰 밀떡) 雪花酥 12-4) 송자해라간(松子海囉, 잣밀떡) 松子海囉 12-5) 백윤(白閏, 백밀떡) 白閏 12-6) 황윤(黃閏, 황밀떡) 黃閏 12-7) 흑윤(黑閏, 흑밀떡) 黑閏 12-8) 와사(窩絲, 꿀타래) 窩絲 12-9) 교맥화(蕎麥花, 메밀강정) 蕎麥花 12-10) 구비당求肥糖 12-11) 가수저라(加須底羅, 카스테라) 加須底羅 12-12) 아류평당 阿留平糖 12-13) 인삼당 人蔘糖 12-14) 발석당 浡石糖 12-15) 당화 糖花
3. 포과(脯菓, 말린과일) 脯菓
1) 총론 總論 2) 행포(杏脯, 살구포) 만들기(행포방) 杏脯方 3) 이건(李乾, 자두말랭이) 만들기(이건방) 李乾方 4) 매포(梅脯, 매실포) 만들기(매포방) 梅脯方 5) 도포(桃脯, 복숭아포) 만들기(도포방) 桃脯方 6) 조포(棗脯, 대추포) 만들기(조포방) 棗脯方 7) 이화(梨花, 배말랭이) 만들기(이화방) 梨花方 8) 내포(奈脯, 사과포) 만들기(내포방) 奈脯方 9) 시건(柹乾, 곶감) 만들기(시건방) 柹乾方 10) 유포(柚脯, 유자포) 만들기(유포방) 柚脯方 11) 율건(栗乾, 밤말랭이) 만들기(율건방) 栗乾方 12) 매화포(梅花脯, 산밤포·감람포) 만들기(매화포방) 梅花脯方 13) 건율다식(乾栗茶食) 만들기(건율다식방) 乾栗茶食方 14) 송황다식(松黃茶食, 송화가루다식) 만들기(송황다식방) 松黃茶食方 15) 거승다식(巨勝茶食, 흑임자다식) 만들기(거승다식방) 巨勝茶食方 16) 상자다식(橡子茶食, 도토리다식) 만들기(상자다식방) 橡子茶食方 17) 녹두분다식(綠豆粉茶食, 녹두가루다식) 만들기(녹두분다식방) 綠豆粉茶食方 18) 산약다식(山藥茶食, 마다식) 만들기(산약다식방) 山藥茶食方 19) 강분정(薑粉錠, 생강가루떡) 만들기(강분정방) 薑粉錠方 20) 조유정(棗油錠, 조유떡) 만들기(조유정방) 棗油錠方 21) 방검병(防儉餠, 구황떡) 만들기(방검병방) 防儉餠方 22) 황정병(黃精餠, 죽대떡) 만들기(황정병방) 黃精餠方
4. 외과(煨菓, 과일구이) 煨菓
1) 총론 總論 2) 소리(燒梨, 배구이) 만들기(소리방) 燒梨方 3) 외율(煨栗, 밤구이) 만들기(외율방) 煨栗方 4) 토지단(土芝丹, 토란구이) 만들기(토지단방) 土芝丹方 5) 외모과(煨木瓜, 모과구이) 만들기(외모과방) 煨木瓜方 6) 외감저(煨甘藷, 고구마구이) 만들기(외감저방) 煨甘藷方
5. 법제과(法製菓, 법제과일) 法製菓
1) 총론 總論 2) 상단(爽團, 영약) 만들기(상단방) 爽團方 3) 냉금단(冷金丹, 능금단) 만들기(냉금방) 冷金丹方 4) 법제모과(法製木瓜) 만들기(법제모과방) 法製木瓜方 5) 법제강(法製薑, 법제생강) 만들기(법제강방) 法製薑方 6) 법제귤피(法製橘皮) 만들기(법제귤피방) 法製橘皮方 7) 법제비자(法製榧子) 만들기(법제비자방) 法製榧子方 8) 법제과자(法製瓜子, 법제오이씨) 만들기(법제과자방) 法製瓜子方 9) 승련옥로상(升煉玉露霜, 법제콩가루) 만들기(승련옥로상방) 升煉玉露霜方
6. 점과(䴴菓, 유과) 黏菓
1) 총론 總論 2) 산자(饊子) 만들기(산자방) 饊子方 3) 교맥산자(蕎麥饊子, 메밀산자) 만들기(교맥산자방) 蕎麥饊子方 4) 매화산자(梅花饊子, 매화모양 찹쌀튀밥 입힌 산자) 만들기(매화산자방) 梅花饊子方 5) 감저자(甘藷子, 고구마산자)·갱자(粳子, 멥쌀산자) 만들기(감저갱자방) 甘藷、粳子方 6) 당비(糖榧, 비자모양 산자) 만들기(당비방) 糖榧方 7) 약과(藥果) 만들기(약과방) 藥果方
정조지 권제4 鼎俎志 卷第四
채소음식(교여지류) 咬茹之類
1. 채소 절이기(엄장채) 醃藏菜
1) 총론 總論 2) 항아리에 물기 적게 절인 채소 담아 밀폐하여 저장하기(건폐옹채방) 乾閉甕菜方 3) 채소 절여 저장하기(저장채방) 菹藏菜方 4) 오향채(五香菜) 절이기(엄오향채방) 醃五香菜方 5) 겨울채소 절이기(엄동채방) 醃冬菜方 6) 술지게미에 채소 저장하기(조장채방) 糟藏菜方 7) 소금에 부추 절이기(엄염구방) 醃鹽韭方 8) 술지게미에 생강 절이기(조강방) 糟薑方 9) 갓 저장하기(장개방) 藏芥方 10) 술지게미에 무 절이기(조나복방) 糟蘿菔方 11) 술지게미에 오이나 가지 절이기(조과가방) 糟瓜茄方 12) 상추 절이기(엄와거방) 醃萵苣方 13) 술지게미에 마늘 절이기(조산방) 糟蒜方 14) 술지게미에 배추 절이기(엄조백채방) 醃糟白菜方 15) 곰취 절여 저장하기(엄장웅소방) 醃藏熊蔬方
2. 채소 말리기(건채) 乾菜
1) 총론 總論 2) 채소 쪄서 말리기(증건채방) 烝乾菜方 3) 약채(藥菜, 약채소) 말리기(건약채방) 乾藥菜方 4) 납채(臘菜) 바람에 말리기(풍채방) 風菜方 5) 납채 삶아 말리기(자건납채방) 煮乾臘菜方 6) 마늘 볕에 말리기(쇄산방) 曬蒜方 7) 갓 말리기(건개방) 乾芥方 8) 무청(蕪菁, 순무) 쪄서 말리기(증건무청방) 蒸乾蕪菁方 9) 무 말리기(건나복방) 乾蘿菔方 10) 누호(蔞蒿, 물쑥) 말리기(건누호방) 乾蔞蒿方 11) 유채(蕓薹, 운대) 볕에 말리기(쇄운대방) 曬蕓薹方 12) 죽순(竹筍) 말리기(건죽순방) 乾竹筍方 13) 고사리 말리기(건궐방) 乾蕨方 14) 쇠비름(馬齒莧, 마치현) 말리기(건마현방) 乾馬莧方 15) 명아주 말리기(건려방) 乾藜方 16) 우엉포(牛蒡脯, 우방포) 만들기(우방포방) 牛蒡脯方 17) 파초포(蕉脯, 초포) 만들기(초포방) 蕉脯方 18) 연방포(蓮房脯) 만들기(연방포방) 蓮房脯方 19) 물이끼포(水苔脯, 수태포) 만들기(수태포방) 水苔脯方 20) 봉선화포(鳳仙脯, 봉선포) 만들기(봉선포방) 鳳仙脯方 21) 오이 말리기(건과방) 乾瓜方 22) 호로(葫蘆)와 가지 말리기(호로가건방) 葫蘆、茄乾方 23) 우백(芋白) 말리기(건우백방) 乾芋白方 24) 송이 말리기(건송이방) 乾松茸方
3. 식향채(食香菜, 식향을 가미한 채소) 食香菜
1) 총론 總論 2) 채상(菜鯗, 식향을 가미한 채소포) 만들기(채상방) 菜鯗方 3) 식향나복(食香蘿菔, 식향을 가미한 무) 만들기(식향나복방) 食香蘿菔方 4) 식향숭개(食香菘芥, 식향을 가미한 배추와 갓) 만들기(식향숭개방) 食香菘、芥方 5) 식향곡채(食香穀菜, 식향을 가미한, 곡식모양의 채소) 만들기(식향곡채방) 食香、穀菜方 6) 식향과(食香瓜, 식향을 가미한 오이) 만들기(식향과방) 食香瓜方 7) 식향가(食香茄, 식향을 가미한 가지) 만들기(식향가방) 食香茄方
4. 자채(鮓菜, 담금 채소) 鮓菜
1) 총론 總論 2) 호라복자(胡蘿菔鮓, 당근담금) 만들기(호라복자방) 胡蘿菔鮓方 3) 삼백자(三白鮓, 3가지 흰 채소 담그기) 만들기(삼백자방) 三白鮓方 4) 교백자(茭白鮓, 줄풀줄기담금) 만들기(교백자방) 茭白鮓方 5) 죽순자(竹筍鮓, 죽순담금) 만들기(죽순자방) 竹筍鮓方 6) 포순자(蒲筍鮓, 포순담금) 만들기(포순자방) 蒲筍鮓方 7) 우초자(藕梢鮓, 우초담금) 만들기(우초자방) 藕梢鮓方 8) 담복자(薝菔鮓, 치자꽃담금) 만들기(담복자방) 薝菔鮓方
5. 제채(虀菜, 절임채소) 虀菜
1) 총론 總論 2) 절임채소 만들기(조제법) 造虀法 3) 상공제[相公韲, 절임상공(相公)] 만들기(상공제방) 相公韲方 4) 개제(芥虀, 절임갓) 만들기(개제방) 芥虀方 5) 숭제(菘虀, 절임배추) 만들기(숭제방) 菘虀方 6) 호유제(胡荽虀, 절임고수) 만들기(호유제방) 胡荽虀方 7) 호라복제(胡蘿菔虀, 절임당근) 만들기(호라복제방) 胡蘿菔虀方 8) 과제(瓜虀, 절임참외) 만들기(과제방) 瓜虀方 9) 망우제[忘憂虀, 절임망우초(忘憂草)] 만들기(망우제방) 忘憂虀方 10) 불한제(不寒虀, 춥지 않은 계절의 발효절임배추) 만들기(불한제방) 不寒虀方 11) 경지제(瓊芝虀, 절임경지) 만들기(경지제방) 瓊芝虀方 12) 장과가(醬瓜茄, 간장절임오이와 간장절임가지) 만들기(장과가방) 醬瓜、茄方 13) 장강순(醬薑筍, 간장절임생강순) 만들기(장강순방) 醬薑筍方 14) 장만초(醬蠻椒, 간장절임만초) 만들기(장만초방) 醬蠻椒方 15) 장사삼(醬沙參, 간장절임사삼) 만들기(장사삼방) 醬沙參方 16) 장자총(醬紫蔥, 간장절임자총) 만들기(장자총방) 醬紫蔥方 17) 초강(醋薑, 식초절임생강) 만들기(초강방) 醋薑方 18) 초산(醋蒜, 식초절임마늘) 만들기(초산방) 醋蒜方 19) 초과(醋瓜, 식초절임오이) 만들기(초과방) 醋瓜方 20) 산과(蒜瓜, 마늘절임오이) 만들기(산과방) 蒜瓜方 21) 산동과(蒜冬瓜, 마늘절임동아) 만들기(산동과방) 蒜冬瓜方 22) 산가(蒜茄, 마늘절임가지) 만들기(산가방) 蒜茄方 23) 산매(蒜梅, 마늘절임매실) 만들기(산매방) 蒜梅方 24) 개말가(芥末茄, 겨자가루절임가지) 만들기(개말가방) 芥末茄方 25) 개자장숭(芥子醬菘, 겨자장절임배추) 만들기(개자장숭방) 芥子醬菘方 26) 개자장과(芥子醬瓜, 겨자장절임오이) 만들기(개자장과방) 芥子醬瓜方 27) 개자장동과(芥子醬冬瓜, 겨자장절임동아) 만들기(개자장동과방) 芥子醬冬瓜方 28) 혜즙동과(醯汁冬瓜, 혜즙절임동아) 만들기(혜즙동과방) 醯汁冬瓜方
6. 김치[菹菜, 저채] 菹菜
1) 총론 總論 2) 무김치(나복저) 담그기(나복저방) 蘿菔菹方 3) 배추김치(菘菹, 숭저) 담그기(숭저방) 菘菹方 4) 오이김치(胡瓜菹, 호과저) 담그기(호과저방) 胡瓜菹方 5) 가지김치(茄菹, 가저) 담그기(가저방) 茄菹方 6) 미나리김치(芹菹, 근저) 담그기(근저방) 芹菹方 7) 산갓김치(산개저) 담그기(산개저방) 山芥菹方 8) 부들김치(향포저) 담그기(향포저방) 香蒲菹方 9) 석화김치(석화저) 담그기(석화저방) 石花菹方 10) 전복김치(복저) 담그기(복저방) 鰒菹方 11) 생강싹김치(강아저) 담그기(강아저방) 薑芽菹方
7. 자잡채(煮煠菜, 삶거나 데친 채소) 煮煠菜
1) 총론 總論 2) 삼취갱(三脆羹, 3가지 부드러운 재료 넣은 국) 끓이기(삼취갱방) 三脆羹方 3) 죽순 삶기(자순방) 煮筍方 4) 버섯 삶기(자심방) 煮蕈方 5) 옥삼근갱(玉糝根羹, 쌀가루 뿌린 무국) 끓이기(옥삼근갱방) 玉糝根羹方 6) 압각갱(鴨脚羹, 아욱국) 끓이기(압각갱방) 鴨脚羹方 7) 벽간갱(碧澗羹, 미나리국) 끓이기(벽간갱방) 碧澗羹方 8) 냉이 삶기(자제방) 煮薺方 9) 갓 삶기(자개방) 煮芥方 10) 설하갱(雪霞羹, 목부용꽃국) 끓이기(설하갱방) 雪霞羹方 11) 소채(巢菜) 삶기(자소채방) 煮巢菜方 12) 국화싹 삶기(자국묘방) 煮菊苗方 13) 삼화채(三和菜, 3가지 채소국) 끓이기(삼화채방) 三和菜方 14) 가지 삶기(자가방) 煮茄方 15) 동과갱(冬瓜羹, 동아국) 끓이기(동과갱방) 冬瓜羹方 16) 토란 삶기(자우방) 煮芋方 17) 고구마잎 삶기(자저엽방) 煮藷葉方 18) 와순채(萵筍菜, 상추꽃대나물) 만들기(와순채방) 萵筍菜方 19) 동호채(茼蒿菜, 쑥갓나물) 만들기(동호채방) 茼蒿菜方 20) 황화채(黃花菜, 넘나물) 만들기(황화채방) 黃花菜方 21) 구기채(枸杞菜, 구기자나물) 만들기(구기채방) 枸杞菜方 22) 목숙채(苜蓿菜, 거여목나물) 만들기(목숙채방) 苜蓿菜方 23) 양제갱(羊蹄羹, 소루쟁이국) 끓이기(양제갱방) 羊蹄羹方 24)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만들기(목두채방) 木頭菜方 25) 유엽구(柳葉韭, 버들잎부추나물) 만들기(유엽구방) 柳葉韭方 26) 상루여(蔏蔞茹, 물쑥나물) 만들기(상루여방) 蔏蔞茹方 27) 능과채(菱科菜, 마름나물) 만들기(능과채방) 菱科菜方 28) 순여(蓴茹, 순채나물) 만들기(순여방) 蓴茹方 29) 결명자(決明, 긴강남차의 종자) 삶기(자결명방) 煮決明方 30) 개람(芥藍, 밋갓) 삶기(자개람방) 煮芥藍方 31) 감포여(甘蒲茹, 부들나물) 만들기(감포여방) 甘蒲茹方 32) 납두채(臘豆菜, 12월의 콩과 채소) 삶기(자납두채방) 煮臘豆菜方 33) 소금 넣고 콩 삶기(자염두방) 煮鹽豆方
8. 외증채(煨烝菜, 굽거나 찐 채소) 煨烝菜
1) 총론 總論 2) 외죽순(煨竹筍, 죽순구이) 만들기(외죽순방) 煨竹筍方 3) 와순자(萵筍炙, 와순구이) 만들기(와순자방) 萵筍炙方 4) 송이자(松茸炙, 송이구이) 만들기(송이자방) 松茸炙方 5) 총자(蔥炙, 파구이) 만들기(총자방) 蔥炙方 6) 산대자(蒜薹炙, 마늘종구이) 만들기(산대자방) 蒜薹炙方 7) 삼자(蔘炙, 더덕구이)·길자(桔炙, 도라지구이) 만들기(삼길자방) 蔘、桔炙方 8) 남과자(南瓜炙, 호박구이) 만들기(남과자방) 南瓜炙方 9) 설암채(雪盦菜, 눈 덮힌 봄채소의구이) 만들기(설암채방) 雪盦菜方 10) 호증(壺烝, 박찜) 만들기(호증방) 壺烝方 11) 숭증(菘烝, 배추찜) 만들기(숭증방) 菘烝方 12) 만청증(蔓菁烝, 순무찜) 만들기(만청증방) 蔓菁烝方 13) 산행증궐(山行烝蕨, 산에 가서 만드는 고사리찜) 만들기(산행증궐방) 山行烝蕨方 14) 소가(燒茄, 가지구이) 만들기(소가방) 燒茄方
9. 유전채(油煎菜, 기름에 지진 채소) 油煎菜
1) 총론 總論 2) 전천초(煎川椒, 천초지짐) 만들기(전천초방) 煎川椒方 3) 수행인(酥杏仁, 행인지짐) 만들기(수행인방) 酥杏仁方 4) 수호도(酥胡桃, 호두지짐) 만들기(수호도방) 酥胡桃方 5) 흑두초(黑豆炒, 콩자반) 만들기(흑두초방) 黑豆炒方 6) 마방전(麻房煎, 들깨지짐) 만들기(마방전방) 麻房煎方 7) 송초전(松椒煎, 잣후추지짐) 만들기(송초전방) 松椒煎方 8) 남초초(南椒炒, 고춧잎볶음) 만들기(남초초방) 南椒炒方 9) 해대전(海帶煎, 다시마지짐) 만들기(해대전방) 海帶煎方 10) 녹각초(鹿角炒, 청각지짐) 만들기(녹각초방) 鹿角炒方 11) 박금(煿金, 황금색죽순구이) 만들기(박금방) 煿金方 12) 통신병(通神餠, 생강지짐) 만들기(통신병방) 通神餠方 13) 가전육(假煎肉, 가짜고기전) 만들기(가전육방) 假煎肉方 14) 수황우(酥黃芋, 수황토란지짐) 만들기(수황우방) 酥黃芋方
10. 수채 酥菜
1) 총론 總論 2) 두부 만들기(두부방) 豆腐方 3) 행주두부(行廚豆腐, 여행 중의 간편한 두부) 만들기(행주두부방) 行廚豆腐方 4) 청포[靑泡, 묵] 만들기(청포방) 靑泡方 5) 경지교(璚枝膠, 우묵) 만들기(경지교방) 璚枝膠方 6) 수정회(水晶膾) 만들기(수정회방) 水晶膾方 7) 앵유어(罌乳魚, 물고기모양의 양귀비치즈) 만들기(앵유어방) 罌乳魚方
정조지 권제5 鼎俎志 卷第五
가르거나 삶아서 조리하는 음식(할팽지류) 割烹之類
1. 갱확(羹臛, 고깃국)
1) 총론 總論 2) 고기 삶는 전반적인 법(자육총법) 煮肉總法 3) 질긴 고기 쉽게 무르게 삶는 법(자경육이연법) 煮硬肉易軟法 4) 묵은 고기 누린내 나지 않게 삶는 법(자진육불염법) 煮陳肉不蘝法 5) 묵은 고기 삶기(자진육방) 煮陳肉方 6) 생선 삶는 전반적인 법(자어총법) 煮魚總法 7) 단단한 생선 쉽게 연해지게 삶는 법(자경어이연법) 煮硬魚易軟法 8) 쇠고기 삶기(자우육방) 煮牛肉方 9) 양고기 삶기(자양육방) 煮羊肉方 10) 양의 폐에 양념 넣어 삶기(관폐방) 灌肺方 11) 양의 폐 삶기(탕폐방) 湯肺方 12) 양의 내장에 선지를 부어 삶기(관장방) 灌腸方 13) 양갈비탕(골삽갱) 만들기(골삽갱방) 骨插羹方 14) 양고기무국(나복갱) 만들기(나복갱방) 蘿菔羹方 15) 주발에 양고기 찌기(완증양방) 碗蒸羊方 16) 돼지고기 삶기(자저육방) 煮猪肉方 17) 개고기 삶기(자견육방) 煮犬肉方 18) 사슴고기 삶기(자녹육방) 煮鹿肉方 19) 토끼고기 삶기(자토육방) 煮兔肉方 20) 곰발바닥 삶기(자웅장법) 煮熊掌法 21) 당나귀고기 삶기(자려마육방) 煮驢馬肉方 22) 닭고기 삶기(자계방) 煮鷄方 23) 거위나 오리 삶기(자아압방) 煮鵝鴨方 24) 기러기 삶기(자안방) 煮鴈方 25) 잉어 삶기(자리방) 煮鯉方 26) 붕어 삶기(자즉방) 煮鯽方 27) 준치 삶기(증시방) 蒸鰣方 28) 복어국(하돈갱) 만들기(하돈갱방) 河豚羹方 29) 게 삶기(자해방) 煮蟹方 30) 향을 낸 우렁이국(가향라갱) 만드는 법(가향라갱법) 假香螺羹法 31) 전복맛을 낸 우렁이국(가복어갱) 만들기(가복어갱방) 假鰒魚羹方 32) 완자탕(碗子湯) 만들기(완자탕방) 碗子湯方 33) 열구자탕(悅口子湯) 만들기(열구자탕방) 悅口子湯方
2. 번자(燔炙, 불에 구워 조리하는 음식) 燔炙
1) 총론 總論 2) 고기 굽는 전반적인 방법(소육총법) 燒肉總法 3) 노구솥에 고기 굽기(과소육방) 鍋燒肉方 4) 잔(剗)에 고기 굽기(잔소육방) 剗燒肉方 5) 생선 굽는 전반적인 방법(자어총법) 炙魚總法 6) 쇠고기 굽기(자우육방) 炙牛肉方 7) 양고기 굽기(자양육방) 炙羊肉方 8) 양뼈 굽기(양골적방) 羊骨炙方 9) 돼지고기 굽기(자저육방) 炙猪肉方 10) 사슴고기 굽기(자녹육방) 炙鹿肉方 11) 노루고기 굽기(자장육방) 炙獐肉方 12) 토끼고기 굽기(자토육방) 炙兔肉方 13) 닭고기 굽기(자계방) 炙鷄方 14) 꿩고기 굽기(자치방) 炙雉方 15) 메추라기고기 굽기(자순방) 炙鶉方 16) 참새고기 굽기(자마작방) 炙麻雀方 17) 오리고기나 기러기고기 굽기(자압안방) 炙鴨、雁方 18) 계란이나 오리알 굽기(자계압란방) 炙鷄、鴨卵方 19) 붕어 굽기(자즉방) 炙鯽方 20) 청어 굽기(자청어방) 炙靑魚方 21) 전복 굽기(자복방) 炙鰒方 22) 대합 굽기(자합방) 炙蛤方 23) 게 굽기(자해방) 炙蟹方
3. 회생(膾生, 육회와 생선회) 膾生
1) 총론 總論 2) 육회(肉膾) 만들기(육생방) 肉生方 3) 쇠고기육회(우육회) 만들기(우육회방) 牛肉膾方 4) 양고기육회(양육회) 만들기(양육회방) 羊肉膾方 5) 돼지고기수정회(저육수정회) 만들기(저육수정회방) 猪肉水晶膾方 6) 생선회(어생회) 만들기(어생회방) 魚生膾方 7) 금제옥회(金虀玉膾) 만들기(금제옥회방) 金虀玉膾方 8) 법주붕어 숙회(법즉) 만들기(법즉방) 法鯽方 9) 얼린 숭어회(동치회) 만들기(동치회방) 凍鯔膾方 10) 잉어수정회 만들기(잉어수정회방) 鯉魚水晶膾方 11) 취팔선(聚八仙) 만들기(취팔선방) 聚八仙方 12) 드렁허리회처럼 썬 양고기찜(가초선) 만들기(가초선방) 假炒鱔方 13) 수정냉도회 만들기(수정냉도회방) 水晶冷淘膾方 14) 전복회(복회) 만들기(복회방) 鰒膾方 15) 대합회(합회) 만들기(합회방) 蛤膾方 16) 얼린 꿩회(동치회) 만들기(동치회방) 凍雉膾方 17) 게회(해생) 만들기(해생방) 蟹生方
4. 포석(脯腊, 육포와 어포) 脯腊
1) 총론 總論 2) 육포(肉脯) 만드는 전반적인 방법(육포총방) 肉脯總方 3) 천리포(千里脯) 만들기(천리포방) 千里脯方 4) 쇠고기육포(우육포) 만들기(우육포방) 牛肉脯方 5) 돼지고기육포(저육포) 만들기(저육포방) 猪肉脯方 6) 사슴고기육포(녹육포) 만들기(녹육포방) 鹿肉脯方 7) 양홍간(羊紅肝) 만들기(양홍간방) 羊紅肝方 8) 천리육(千里肉) 만들기(천리육방) 千里肉方 9) 건함시(乾醎豉) 만들기(건함시방) 乾醎豉方 10) 첨취포(甜脆脯) 만들기(첨취포방) 甜脆脯方 11) 꿩고기육포(치건) 만들기(치건방) 雉乾方 12) 아안석(鵝雁腊, 거위나 기러기육포) 만들기(아안석방) 鵝、雁腊方 13) 오미포(五味脯) 만들기(오미포방) 五味脯方 14) 취포(脆脯) 만들기(취포방) 脆脯方 15) 생선포(풍어) 만들기(풍어방) 風魚方 16) 술에 절인 생선포(주어포) 만들기(주어포방) 酒魚脯方 17) 전복포(건복) 만들기(건복방) 乾鰒方 18) 새우를 붉은색이 변하지 않게 볕에 말리기(쇄하불변홍색방) 曬蝦不變紅色方
5. 해자(醢鮓, 젓갈과 식해) 醢鮓
1) 총론 總論 2) 고기식해(육자) 만들기(육자방) 肉鮓方 3) 생선식해(어자) 만들기(어자방) 魚鮓方 4) 여름에 생선식해 만들기(하월작어자방) 夏月作魚鮓方 5) 잉어식해(鯉鮓, 이자) 만들기(이자방) 鯉鮓方 6) 청어젓갈(청어해) 만들기(청어해방) 靑魚醢方 7) 대합젓갈(합해) 만들기(합해방) 蛤醢方 8) 굴젓갈(석화해) 만들기(석화해방) 石花醢方 9) 새우젓갈(자하해) 만들기(자하해방) 紫蝦醢方 10) 맛조개식해(정자) 만들기(정자방) 蟶鮓方 11) 참새식해(황작자) 만들기(황작자방) 黃雀鮓方 12) 거위식해(아자) 만들기(아자방) 鵝鮓方 13) 육장(肉醬) 만들기(육장방) 肉醬方 14) 메추라기장(암장)·참새장(작장)·토끼장(토장)·생선장(어장) 만들기(암작토어장방) 鵪、雀、兔、魚醬方 15) 생선장(어장) 만들기(어장방) 魚醬方 16) 어육장(魚肉醬) 만들기(어육장방) 魚肉醬方 17) 홍색의 참조개장(홍합리장) 만들기(홍합리장방) 紅蛤蜊醬方 18) 계란장(계란장)·오리알장(압란장) 만들기(계압 란장방) 鷄、鴨卵醬方 19) 어장(魚醬) 담그는 여러 가지 법(양어잡법) 釀魚雜法 20) 게장 담는 여러 가지 법(양해잡법) 釀蟹雜法 21) 술에 새우 절이기(주엄하방) 酒醃蝦方
6. 생선이나 고기 절여 저장하기 (엄장어육) 醃藏魚肉
1) 총론 總論 2) 납육(臘肉, 12월의 고기) 만들기(납육방) 臘肉方 3) 절인 돼지고기(오육) 만들기(오육방) 奧肉方 4) 포육(苞肉, 풀로 싸놓은 고기) 만들기(포육방) 苞肉方 5) 여름에 고기 거두는 법(하월수육법) 夏月收肉法 6) 소금에 오리알 절이기(엄함압란방) 醃醎鴨卵方 7) 생선 절이기(엄어방) 醃魚方
7. 고기의 기타 요리법(임육잡법) 餁肉雜法
1) 우육과제(牛肉瓜虀) 만들기(우육과제방) 牛肉瓜虀方 2) 만능요리(일료백당) 만들기(일료백당방) 一了百當方 3) 회회(回回) 해라시(海螺厮) 만들기(회회해라시방) 回回海螺廝方 4) 대붕란(大鵬卵) 만들기(대붕란방) 大鵬卵方
정조지 권제6 鼎俎志 卷第六
조미료(미료지류) 味料之類
1. 소금 鹽
1) 총론 總論 2) 해염 졸이기(자해염방) 煮海鹽方 3) 꽃소금(화염)과 굵은소금(인염) 만들기(화염방·인염방) 花鹽、印鹽方 4) 늘 가득 찬 소금(상만염) 만들기(상만염방) 常滿鹽方 5) 정염(錠鹽) 만들기(정염방) 錠鹽方 6) 벽돌모양 소금(염격) 만들기(염격방) 鹽墼方 7) 소금 저장하기(장염방) 藏鹽方
2. 장(醬) 醬
1) 총론 總論 2) 우리나라 장 담그는 법(동국장법) 東國醬法 3) 물료(物料, 특별한 재료) 섞어 장 담그기(조장물료방) 造醬物料方 4) 청대두장(청두장) 담그기(청두장방) 靑豆醬方 5) 고추장(남초장) 담그기(남초장방) 南椒醬方 6) 10일 내에 되는 장(순일장) 담그기(순일장방) 旬日醬方 7) 빨리 완성되는 장(준순장) 담그기(준순장방) 逡巡醬方 8) 담수장(淡水醬) 담그기(담수장방) 淡水醬方 9) 고구마장(감저장) 담그기(감저장방) 甘藷醬方 10) 맛이 간 장 고치기(의장실미방) 醫醬失味方 11) 중국장 담그기(중국장방) 中國醬方 12) 숙황장(熟黃醬) 담그기(숙황장방) 熟黃醬方 13) 생황장(生黃醬) 담그기(생황장방) 生黃醬方 14) 팥장(소두장) 담그기(소두장방) 小豆醬方 15) 완두장(豌豆醬) 담그기(완두장방) 豌豆醬方 16) 두유(豆油) 만들기(두유방) 豆油方 17) 밀가루장(소맥면장) 담그기(소맥면장방) 小麥麪醬方 18) 보리장(대맥장) 담그기(대맥장방) 大麥醬方 19) 밀기울장(부장) 담그기(부장방) 麩醬方 20) 참깨장(지마장) 담그기(지마장방) 芝麻醬方 21) 깻묵장(마재장) 담그기(마재장방) 麻滓醬方 22) 느릅나무열매장(유인장) 담그기(유인장방) 楡仁醬方 23) 무이장(蕪荑醬) 담그기(무이장방) 蕪荑醬方 24) 장 담글 때 소금 다루는 법(조장치염법) 造醬治鹽法 25) 장 담글 때 벌레 막기(조장금충방) 造醬禁蟲方 26) 장 담글 때 금기사항(조장의기) 造醬宜忌
3. 두시(豆豉) 豉
1) 총론 總論 2) 싱거운 두시(담두시) 만들기(담시방) 淡豉方 3) 짠 두시(함두시) 만들기(함시방) 鹹豉方 4) 금산사(金山寺) 두시(금산사시) 만들기(금산사시방) 金山寺豉方 5) 술 섞은 두시(주두시) 만들기(주두시방) 酒豆豉方 6) 소금물 섞은 두시(수두시) 만들기(수두시방) 水豆豉方 7) 10가지 향료 넣은 두시(십향두시) 만들기(십향두 시방) 十香豆豉方 8) 성도부(成都府) 시즙(豉汁, 두시즙) 만들기(성도 부시즙방) 成都府豉汁方 9) 밀기울두시 만들기(부시방) 麩豉方 10) 채과두시(과시) 만들기(과시방) 瓜豉方 11) 두황(豆黃) 만들기(두황방) 豆黃方 12) 홍염두(紅鹽豆) 만들기(홍염두방) 紅鹽豆方
4. 식초 醋
1) 총론 總論 2) 대초(大酢) 빚기(대초방) 大酢方 3) 차좁쌀신초(출미신초) 빚기(출미신초방) 秫米神酢方 4) 쌀식초(미초) 빚기(미초방) 米醋方 5) 찹쌀식초(나미초) 빚기(나미초방) 糯米醋方 6) 민간의 식초(속초) 빚기(속초방) 俗醋方 7) 7초(七醋) 빚기(칠초방) 七醋方 8) 삼황초(三黃醋) 빚기(삼황초방) 三黃醋方 9) 쌀보리식초(미맥초) 빚기(미맥초방) 米麥醋方 10) 보리식초(대맥초) 빚기(대맥초방) 大麥酢方 11) 밀식초(소맥초) 빚기(소맥초방) 小麥醋方 12) 사계절병오식초(사절병오초) 빚기(사절병오초방) 四節丙午醋方 13) 누룩 없는 식초(무국초) 빚기(무국초방) 無麴醋方 14) 신선식초(선초) 빚기(선초방) 仙醋方 15) 술지게미식초(조초) 빚기(조초방) 糟醋方 16) 밀기울식초(부초) 빚기(부초방) 麩醋方 17) 쌀겨식초(강초) 빚기(강초방)造糠醋方 18) 대소두천년식초(대소두천세고주) 빚기(대소두천세고주방) 大小豆千歲苦酒方 19) 복숭아식초(도초) 빚기(도초방) 桃酢方 20) 매실식초(매초) 빚기(매초방) 梅酢方 21) 감식초(시초) 빚기(시초방) 柹醋方 22) 대추식초(조초) 빚기(조초방) 棗醋方 23) 연꽃식초(연화초) 빚기(연화초방) 蓮花醋方 24) 창포식초(창포초) 빚기(창포초방) 菖蒲醋方 25) 도라지식초(길경초) 빚기(길경초방) 桔梗醋方 26) 꿀식초(밀초) 빚기(밀초방) 蜜醋方 27) 엿식초(이당초) 빚기(이당초방) 餳餹醋方 28) 만년초(萬年醋) 빚기(만년초방) 萬年醋方 29) 천리초(千里醋) 빚기(천리초방) 千里醋方 30) 식초 저장하는 법(수장초법) 收藏醋法 31) 맛이 간 식초 고치는 법(의초실미법) 醫醋失味法 32) 식초 만들 때 금해야 할 것(조초의기) 造醋宜忌
5. 기름과 타락(駝酪) 油酪
1) 총론 總論 2) 참기름(지마유) 짜기(착지마유방) 榨脂麻油方 3) 급히 참기름(마유) 얻기(급취마유방) 急取麻油方 4) 음식 무칠 때 쓰는 기름양념(살반유료) 만들기(살반유료방) 撒拌油料方 5)부록 여러 종류의 식물에서 기름짜기 附 取油諸種 콩기름(황백대두유) 黃白大豆油 | 삼씨기름(마분유) 麻蕡油 | 순무씨기름(만청자유) 蔓菁子油 | 유채씨기름(운대유) 蕓薹油 | 차조기씨기름(자소자유) 紫蘇子油 | 홍화씨기름(홍람자유) 紅藍子油 | 도꼬마리씨기름(창이자유) 蒼耳子油 | 하눌타리씨기름(과루자유) 瓜蔞子油 | 수박씨기름(서과자유) 西瓜子油 | 박씨기름(호서유) 瓠犀油 | 참외씨기름(첨과자유) 甜瓜子油 | 산초씨기름(초자유) 椒子油 | 봉숭아씨기름(봉선자유) 鳳仙子油 | 개암씨기름(진자유) 榛子油 | 잣기름(해송자유) 海松子油 | 호두기름(호도인유) 胡桃仁油 | 비자기름(비자유) 榧子油 6) 타락 만드는 방법(조락방) 造酪方 7) 말린 타락(치즈) 만드는 법(건락법) 乾酪法 8) 녹락(漉酪) 만들기(녹락방) 漉酪方 9) 마락효(馬酪酵) 만들기(馬酪酵方) 馬酪酵方 10) 수유(酥油)를 휘저어 버터 만드는 법(평수법) 抨酥法 11) 수유(酥油) 만들기(수유방) 酥油方 12) 제호(醍醐) 만들기(제호방) 醍醐方 13) 치즈(유부) 만들기(유부방) 乳腐方
6. 누룩과 엿기름 麴、 糱
1) 총론 總論 2) 맥류누룩(맥국) 만들기(맥국법) 麥麴法 3) 밀가루누룩(면국) 만들기(면국방) 麪麴方 4) 백국(白麴) 만들기(백국방) 白麴方 5) 쌀누룩(미국) 만들기(미국방) 米麴方 6) 내부(內府, 궁중) 비전국(秘傳麴) 만들기(내부비전 국방) 內府秘傳麴方 7) 연꽃누룩(연화국) 만들기(연화국방) 蓮花麴方 8) 금경로(金莖露)를 빚는 누룩(금경로국) 만들기(금경로국방) 金莖露麴方 9) 양릉국(襄陵麴) 만들기(양릉국방) 襄陵麴方 10) 여뀌누룩(요국) 만들기(요국방) 蓼麴方 11) 여국(女麴) 만들기(여국방) 女麴方 12) 맥혼(밀누룩) 만들기(맥혼법) 【일명 ‘황자’, 일명 ‘황의’】 麥䴷法 【一名“黃子”, 一名“黃衣”】 13) 황증(黃烝) 만들기(황증방) 【일명 ‘맥황(麥黃)’】 黃烝方 【一名“麥黃”】 14) 홍국(紅麴) 만들기(홍국방) 紅麴方 15) 납조(臘糟, 12월의 술지게미) 거두는 법(수납조법) 收臘糟法 16) 엿기름 만드는 법(조얼방) 造糱方 17) 조청(가밀) 만들기(가밀방) 假蜜方
7. 양념[飪料, 임료] 飪料
1) 총론 總論 2) 대료물(大料物, 큰 조미료) 만들기(대료물방) 大料物方 3) 손 더는 양념 만들기(생력료물방) 省力料物方 4) 만산향(滿山香) 만들기(만산향방) 滿山香方 5) 향두(香頭) 만들기(향두방) 香頭方 6) 초저(椒菹) 만들기(초저방) 椒菹方 7) 천초 가는 법(연초법) 硏椒法 8) 무이(蕪荑) 만드는 법(조무이법) 造蕪荑法 9) 겨자장(개자장) 만들기(개자장방) 芥子醬方 10) 오랄초(五辣醋) 만들기(오랄초방) 五辣醋方 11) 양념홍화씨(홍화자) 만들기(홍화자방) 紅花子方 12) 육조(六條) 만들기(육조방) 六條方 13) 깨소금(배염마설) 만들기(배염마설방) 配鹽麻屑方
정조지 권제7 鼎俎志 卷第七
술(온배지류) 醞醅之類
1. 주례(酒醴, 술과 단술) 총서 酒醴總敍
1) 술의 기원 緣起 2) 총론 總論
2. 술 빚는 여러 방법 釀造雜法
1) 누룩의 품질 論麴品 2) 누룩 다루는 법(치국법) 治麴法 3) 술 재료 다루는 법(치주재법) 治酒材法 4) 물 가리는 법(택수법) 擇水法 5) 술밑[酒本] 만들기(조주본방) 造酒本方 6) 석임[腐本] 만들기(조부본방) 造腐本方 7) 밀봉하여 빚는 법(봉양법) 封釀法 8) 물속에서 빚는 법(수중양법) 水中釀法 9) 술주자[槽]에 올리는 법(상조법) 上槽法 10) 술 거두는 법(수주법) 收酒法 11) 술 달이는 법(자주법) 煮酒法
3. 이류 酏類
1) 백하주(白霞酒) 빚기(백하주방) 白霞酒方 2) 향온주(香醞酒) 빚기(향온주방) 香醞酒方 3) 녹파주(綠波酒) 빚기(녹파주방) 綠波酒方 4) 벽향주(碧香酒) 빚기(벽향주방) 碧香酒方 5) 유하주(流霞酒) 빚기(유하주방) 流霞酒方 6) 소국주(少麴酒) 빚기(소국주방) 少麴酒方 7) 부의주(浮蟻酒) 빚기(부의주방) 浮蟻酒方 8) 동정춘(洞庭春) 빚기(동정춘방) 洞庭春方 9) 경액춘(瓊液春) 빚기(경액춘방) 瓊液春方 10) 죽엽춘(竹葉春) 빚기(죽엽춘방) 竹葉春方 11) 인유향(麟乳香) 빚기(인유향방) 麟乳香方 12) 석탄향(惜呑香) 빚기(석탄향방) 惜呑香方 13) 벽매주(辟霾酒) 빚기(벽매주방) 辟霾酒方 14) 오호주(五壺酒) 빚기(오호주방) 五壺酒方 15) 하향주(荷香酒) 빚기(하향주방) 荷香酒方 16) 향설주(香雪酒) 빚기(향설주방) 香雪酒方 17) 벽향주(碧香酒) 빚기(벽향주방) 碧香酒方
4. 주류(酎類, 여러 번 빚은 술)
1) 호산춘(壺山春) 빚기(호산춘방) 壺山春方 2) 잡곡주(雜穀酒) 빚기(잡곡주방) 雜穀酒方 3) 두강춘(杜康春) 빚기(두강춘방) 杜康春方 4) 무릉도원주(武陵桃源酒) 빚기(무릉도원주방) 武陵桃源酒方 5) 동파주(東坡酒) 빚기(동파주방) 東坡酒方
5. 시양류 時釀類
1) 약산춘(藥山春) 빚기(약산춘방) 藥山春方 2) 삼해주(三亥酒) 빚기(삼해주방) 三亥酒方 3) 춘주(春酒) 빚기(춘주방) 春酒方 4) 속미주(粟米酒, 좁쌀술) 빚기(속미주방) 粟米酒方 5) 법주(法酒) 빚기(법주방) 法酒方 6) 청명주(淸明酒) 빚기(청명주방) 淸明酒方 7) 삼구주(三九酒) 빚기(삼구주방) 三九酒方 8) 서미법주(黍米法酒) 빚기(서미법주방) 黍米法酒方 9) 당량주(當梁酒) 빚기(당량주방) 當梁酒方 10) 멥쌀술(갱미주) 빚기(갱미주방) 秔米酒方 11) 12월에 빚는 술(납주) 빚기(납주방) 臘酒方 12) 7월 7일에 빚는 술(칠석주) 빚기(칠석주방) 七夕酒方 13) 분국상락주(笨麴桑落酒) 빚기(분국상락주방) 笨麴桑落酒方 14) 동미명주(冬米明酒) 빚기(동미명주방) 冬米明酒方
6. 향양류 香釀類
1) 도화주(桃花酒) 빚기(도화주방) 桃花酒方 2) 송로양(松露釀) 빚기(송로양방) 松露釀方 3) 송화주(松花酒) 빚기(송화주방) 松花酒方 4) 송순주(松筍酒) 빚기(송순주방) 松筍酒方 5) 죽엽청(竹葉淸) 빚기(죽엽청방) 竹葉淸方 6) 하엽청(荷葉淸) 빚기(하엽청방) 荷葉淸方 7) 연엽양(蓮葉釀) 빚기(연엽양방) 蓮葉釀方 8) 영주(酃酒) 빚기(영주방) 酃酒方 9) 국화주(菊花酒) 빚기(국화주방) 菊花酒方 10) 만전향주(滿殿香酒) 빚기(만전향주방) 滿殿香酒方 11) 밀온투병향(蜜醞透甁香) 빚기(밀온투병향방) 蜜醞透甁香方 12) 밀주(蜜酒, 꿀술) 빚기(밀주방) 蜜酒方 13) 술에 꽃향기 들이는 법(화향입주법) 花香入酒法
7. 과라양류(菓蓏釀類, 과실주)
1) 잣술(송자주) 빚기(송자주방) 松子酒方 2) 호두술(핵도주) 빚기(핵도주방) 核桃酒方 3) 도토리술(상실주) 빚기(상실주방) 橡實酒方 4) 아가위술(산사주, 山査酒) 빚기(산사주방) 山査酒方 5) 포도주(葡萄酒) 빚기(포도주방) 葡萄酒方 6) 고구마술(감저주) 빚기(감저주방) 甘藷酒方
8. 이양류 異釀類
1) 청서주(淸暑酒) 빚기(청서주방) 淸暑酒方 2) 봉래춘(蓬萊春) 빚기(봉래춘방) 蓬萊春方 3) 신선벽도춘(神仙碧桃春) 빚기(신선벽도춘방) 神仙碧桃春方 4) 죽통주(竹筒酒) 빚기(죽통주방) 竹筒酒方 5) 지주(地酒) 빚기(지주방) 地酒方 6) 술독을 안아주어 빚는 법(포양방) 抱釀方
9. 순내양류(旬內釀類, 10일 내에 익는 술)
1) 일일주(一日酒) 빚기(일일주방) 一日酒方 2) 계명주(鷄鳴酒) 빚기(계명주방) 鷄鳴酒方 3) 삼일주(三日酒) 빚기(삼일주방) 三日酒方 4) 하삼청(夏三淸) 빚기(하삼청방) 夏三淸方 5) 백화춘(白花春) 빚기(백화춘방) 白花春方 6) 두강주(杜康酒) 빚기(두강주방) 杜康酒方 7) 칠일주(七日酒) 빚기(칠일주방) 七日酒方 8) 사절칠일주(四節七日酒) 빚기(사절칠일주방) 四節七日酒方 9) 급수청(急需淸) 빚기(급수청방) 急需淸方 10) 계명주(鷄鳴酒) 빚기(계명주방) 鷄鳴酒方
10. 제차류 醍醝類
1) 천태(天台) 홍주(紅酒) 빚기(천태홍주방) 天台紅酒方 2) 건창(建昌) 홍주(紅酒) 빚기(건창홍주방) 建昌紅酒方 3) 하동(河東) 이백주(頤白酒) 빚기(하동이백주방) 河東頤白酒方 4) 백주(白酒) 빚기(백주방) 白酒方 5) 왜백주(倭白酒) 빚기(왜백주방) 倭白酒方
11. 앙료류(醠醪類, 탁주류)
1) 이화주(梨花酒) 빚기(이화주방) 梨花酒方 2) 집성향(集聖香) 빚기(집성향방) 集聖香方 3) 가을보리술(추모주) 빚기(추모주방) 秋麰酒方 4) 백료주(白醪酒) 빚기(백료주방) 白醪酒方 5) 분국(笨麴) 백료주(白醪酒) 빚기(분국백료주방) 笨麴白醪酒方
12. 예류(醴類, 단술류)
1) 감주(甘酒) 빚기(감주방) 甘酒方 2) 청감주(淸甘酒) 빚기(청감주방) 淸甘酒方 3) 왜예주(倭醴酒) 빚기(왜예주방) 倭醴酒方 4) 왜미림주(倭美淋酒) 빚기(왜미림주방) 倭美淋酒方
13. 소로류(燒露類, 소주류)
1) 소주 빚기 총론(소주총방) 燒酒總方 2) 내국홍로(內局紅露) 빚기(내국홍로방) 內局紅露方 3) 노주(露酒) 20승 빚기(노주이두방) 露酒二斗方 4) 절주(切酒) 빚기(절주방) 切酒方 5) 관서(關西) 감홍로(甘紅露) 빚기(관서감홍로방) 關西甘紅露方 6) 관서 계당주(桂糖酒) 빚기(관서계당주방) 關西桂糖酒方 7) 죽력고(竹瀝膏) 빚기(죽력고방) 竹瀝膏方 8) 이강고(梨薑膏) 빚기(이강고방) 梨薑膏方 9) 적선소주(謫仙燒酒) 빚기(적선소주방) 謫仙燒酒方 10) 삼일노주(三日露酒) 빚기(삼일노주방) 三日露酒方 11) 보리소주(모미소주) 빚기(모미소주방) 麰米燒酒方 12) 밀소주(소맥노주) 빚기(소맥노주방) 小麥露酒方 13) 메밀소주(교맥노주) 빚기(교맥노주방) 蕎麥露酒方 14) 귀리소주(이모노주) 빚기(이모노주방) 耳麰露酒方 15) 송순주(松筍酒) 빚기(송순주방) 松筍酒方 16) 과하주(過夏酒) 빚기(과하주방) 過夏酒方 17) 오향소주(五香燒酒) 빚기(오향소주방) 五香燒酒方 18) 포도소주(葡萄燒酒) 빚기(포도소주방) 葡萄燒酒方 19) 고구마소주(감저소주) 빚기(감저소주방) 甘藷燒酒方 20) 천리주(千里酒) 빚기(천리주방) 千里酒方 21) 왜소주(倭燒酒) 빚기(왜소주방) 倭燒酒方 22) 소주 많이 얻는 법(소주다취로법) 燒酒多取露法 23) 소주 내리는 여러 방법(소로잡법) 燒露雜法 24) 맛이 간 황주(黃酒)로 소주 고는 법(소번황주법) 燒翻黃酒法
14. 술 고치는 여러 방법 醫酒諸法
1) 술이 괴지 않는 상태를 고치는 법(치주불배법) 治酒不醅法 2) 시어진 술맛을 바로잡는 법(요산주법) 拗酸酒法 3) 백주(白酒) 신맛 풀어주는 법(해백주산법) 解白酒酸法 4) 맛이 변한 술 고치기(치주미변방) 治酒味變方 5) 시어진 박주 좋은 술로 고치는 법(치산박주작호주방) 治酸薄酒作好酒方 6) 탁주를 청주로 바꾸기(변탁주위청주방) 變濁酒爲淸酒方 7) 묽은 술 고치는 법(치다수주법) 治多水酒法 8) 불 붙은 노주(露酒) 고치는 법(치노주화염법) 治露酒火焰法
15. 술 보관할 때 주의사항 收酒宜忌
1) 술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법(수주불훼법) 收酒不毁法 2) 노주 보관하는 법(수노주법) 收露酒法 3) 여러 술 보관하는 법(수잡주법) 收雜酒法 4) 기타 금기(잡기) 雜忌
16. 부록 약재로 빚는 술(약양제품)附 藥釀諸品
1) 도소주 屠蘇酒 2) 장춘주 長春酒 3) 신선주 神仙酒 4) 고본주 固本酒 5) 오수주 烏鬚酒 6) 신선고본주 神仙固本酒 7) 준순주 逡巡酒 8) 유학주(학질 치료하는 술) 愈瘧酒 9) 홍국주 紅麴酒 10) 흑임자술(거승주) 巨勝酒 11) 오가피주 五加皮酒 12) 음양곽술(선령비주) 仙靈脾酒 13) 율무술(의이인주) 薏苡仁酒 14) 천문동주 天門冬酒 15) 백령등주 百靈藤酒 16) 차조기술(소자주) 蘇子酒 17) 백출주 白朮酒 18) 지황주 地黃酒 19) 쇠무릎술(우슬주) 牛膝酒 20) 당귀주 當歸酒 21) 창포주 菖蒲酒 22) 구기자술(구기주) 枸杞酒 23) 인삼주 人蔘酒 24) 마술(서여주) 薯蕷酒 25) 복령주 茯苓酒 26) 국화주 菊花酒 27) 황정주 黃精酒 28) 오디술(상심주) 桑椹酒 29) 꿀술(밀주) 蜜酒 30) 여뀌술(요주) 蓼酒 31) 생강술(강주) 薑酒 32) 장송주 長松酒 33) 회향주 茴香酒 34) 축사주 縮砂酒 35) 향부자술(사근주) 莎根酒 36) 인진쑥술(인진주) 茵蔯酒 37) 개똥쑥술(청호주) 靑蒿酒 38) 백부주 百部酒 39) 바닷말술(해조주) 海藻酒 40) 선묘주 仙茆酒 41) 으름술(통초주) 通草酒 42) 마가목술(남등주) 南藤酒 43) 붉나무술(천금주) 千金酒 44) 송진술(송액주) 松液酒 45) 송절주 松節酒 46) 측백잎술(백엽주) 柏葉酒 47) 송지주 松脂酒 48) 초백주 椒柏酒 49) 댓잎술(죽엽주) 竹葉酒 50) 괴지주 槐枝酒 51) 우엉술(우방주) 牛蒡酒 52) 마인주 麻仁酒 53) 산뽕나무뿌리술(자근주) 柘根酒 54) 산무애뱀술(화사주) 花蛇酒 55) 호골주(호랑이정강이뼈술) 虎骨酒 56) 미골주(고라니뼈술) 麋骨酒 57) 녹두주(사슴대가리술) 鹿頭酒 58) 녹용주 鹿茸酒 59) 무술주 戊戌酒 60) 양고주 羊羔酒 61) 해구신술(올눌제주) 膃肭臍酒 62) 백화주(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은 술) 百花酒 63) 술에 약재 담그는 법 酒中漬藥法
17. 술 마시는 여러 방법(상음잡법) 觴飮雜法
1) 음주로 인한 병 막는 법(음주방병법) 飮酒防病法 2) 술 마시고 취하지 않는 법(음주불취법) 飮酒不醉法 3) 술 마시고 바로 취하는 법(음주즉취법) 飮酒卽醉法 4) 중국과 우리나라의 음주법(논화동음법) 論華東飮法 5) 음저(飮儲, 안주) 論飮儲
절식(절식지류) 節食之類
1. 설날[元朝]의 절식 元朝節食
1) 떡국[湯餠, 탕병] 만들기(탕병방) 湯餠方 2) 강정(𩝽飣) 만들기(강정방) 𩝽飣方 3) 밀양시병(蜜釀柹餠, 수정과의 일종) 만들기(밀양시병방) 蜜釀柹餠方
2. 입춘(立春)의 절식 立春節食
1) 오신반(五辛盤) 만들기(오신반방) 五辛盤方
3. 정월대보름[上元, 상원]의 절식 上元節食
1) 잡과반(雜果飯, 약밥) 만들기(잡과반방) 雜果飯方 2) 원소병 元宵餠 3) 작율(嚼栗, 밤 깨물기) 방법(작율방) 嚼栗方
4. 중화절(中和節, 음력 2월 1일)의 절식 中和節節食
1) 송엽병(松葉餠, 솔잎떡) 만들기(송엽병방) 松葉餠方
5. 중삼절(重三節, 음력 3월 3일 삼짇날)의 절식 重三節食
1) 진달래지짐이(두견화고) 만들기(두견화고방) 杜鵑花糕方 2) 향애단자(香艾團餈) 만들기(향애단자방) 香艾團餈方 3) 탕평채(蕩平菜) 만들기(탕평채방) 蕩平菜方
6. 등석(燈夕, 석가탄신일)의 절식 燈夕節食
1) 느티떡[楡葉餠, 유엽병] 만들기(유엽병방) 楡葉餠方 2) 자두(煮豆, 삶은 콩) 만들기(자두방) 煮豆方
7. 단오(端午)의 절식 端午節食
1) 수릿떡[車輪餠] 만들기(차륜병방) 車輪餠方 2) 제호탕(醍醐湯) 만들기(제호탕방) 醍醐湯方
8. 유두(流頭, 음력 6월 15일)의 절식 流頭節食
1) 수단(水團) 만들기(수단방) 水團方 2) 상화병(霜花餠) 만들기(상화병방) 霜花餠方 3) 오이채만두(과사두) 만들기(과사두방) 瓜絲兜方
9. 삼복(三伏)의 절식 三伏節食
1) 개장국(구장) 만들기(구장방) 狗醬方
10. 중구(重九, 9월 9일)의 절식 重九節食
1) 국화떡(국화고) 만들기(국화고방) 菊花糕方 2) 꿀밤과자(밀오율니) 만들기(밀오율니방) 蜜熬栗泥方 3) 국화주(菊花酒) 빚기(국화주방) 菊花酒方
11. 동지(冬至)의 절식 冬至節食
1) 팥죽[赤豆粥] 만들기(적두죽방) 赤豆粥方 2) 전약(煎藥) 만들기(전약방) 煎藥方
12. 납평(臘平, 납일)의 절식 臘平節食
1) 납일고기[臘肉] 만들기(납육방) 臘肉方 2) 참새전[黃雀煎] 만들기(황작전방) 黃雀煎方
13. 부록 절식 보유(補遺, 빠진 것을 보충함)附 節食補遺
1) 설날의 초백주(椒柏酒, 후추측백잎주) 元朝椒柏酒 2) 매화주 梅花酒 3) 교아당(膠牙餳, 물엿) 膠牙餳 4) 인일(人日)의 칠종채갱(七種菜羹, 칠채국) 人日七種菜羹 5) 상원(上元)의 고죽(膏粥, 고기 얹은 죽) 上元膏粥 6) 보당퇴(寶糖䭔)·오니당(烏膩糖) 寶糖䭔、烏膩糖 7) 춘사반(春社飯, 춘사일 고기덮밥) 春社飯 8) 한식의 도화죽(桃花粥, 복숭아꽃죽) 寒食桃花粥 9) 당죽 餳粥 10) 조고(棗糕, 대추떡) 棗糕 11) 한구 寒具 12) 중사(重四, 음력 4월 4일)의 맥병(麥餠, 밀가루 등으로 만든 떡) 重四麥餠 13) 중오(重五, 음력 5월 5일)의 창포주(菖蒲酒) 重五菖蒲酒 14) 각서(角黍, 주악) 角黍 15) 적분단(滴粉團, 오색수단) 滴粉團 16) 하지의 건종(健粽) 夏至健粽 17) 중육(重六, 음력 6월 6일)의 은묘채(銀苗菜, 연뿌리싹) 重六銀苗菜 18) 복날 떡국(탕병) 伏日湯餠 19) 녹하포자 綠荷包子 20) 칠석의 서미(黍糜, 기장미음) 七夕黍糜 21) 화과 花瓜 22) 중원(中元)의 우란분병(盂蘭盆餠) 中元盂蘭盆餠 23) 추사반(秋社飯, 추사일의 고기덮밥) 秋社飯 24) 중추(中秋, 음력 8월 15일)의 월병(月餠, 둥근 과병) 中秋月餠 25) 중구(重九, 음력 9월 9일 중양절)의 마갈고(麻葛糕, 참깨칡가루떡) 重九麻葛糕 26) 춘란추국 春蘭秋菊 27) 진세수(秦歲首, 진나라 설날) 서확(黍臛) 秦歲首黍臛 28) 증과 蒸裹 29) 개로병 開爐餠 30) 동지의 서고(黍糕, 기장떡) 冬至黍糕 31) 혼돈 餛飩 32) 납오(臘五, 12월 5일)의 오두죽(五豆粥) 臘五五豆粥 33) 욕불일(浴佛日)의 납팔죽(臘八粥) 浴佛日臘八粥 34) 입오(卄五, 25일)의 잠화죽(蠶花粥) 卄五蠶花粥
섬용지
섬용지(贍用志) 목차
섬용지 권제 1 贍用志 卷第一
건물 짓는 제도 營造之制
1. 몸채와 곁채의 배치 堂屋、 廂寮位置
1) 중국의 제도 華制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2. 건물의 기초 基址
1) 중국의 제도 華制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3. 척도 尺度
1) 건물의 세 부분 屋三分
2) 칸살 間架
4. 지붕 얹기 蓋覆
1) 중국의 제도 華制
2) 우리나라의 제도 東制
3) 초가 지붕 草蓋
4) 돌 지붕 石蓋
5) 회 지붕 灰蓋
5. 방과 캉 房、 炕
1) 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房炕異制
2) 캉 제도 炕制
3) 온돌 제도 堗制
4) 이중 온돌 까는 법 複窯法
6. 흙손질 圬墁
1) 치받이(앙벽) 仰壁
2) 장벽 墻壁
3) 벽돌 쌓는 법 甃甎法
4) 벽돌 쌓는 시기 砌甎時候
5) 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 砌甎須塡陷
6) 장생옥 짓는 법 長生屋法
7) 영벽 影壁
8) 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 磚縫中草不生法
7. 창 牕牖
1) 창 제도 牕制 2) 영창 映牕 3) 원창 圓牕 4) 장지문 粧子 5) 분합문 分閤 6) 가장지 假粧子
8. 마루 軒樓
1) 마룻널 廳板 2) 마루 밑에는 담 쌓기를 금한다 廳底禁築墻 3) 누마루 제도 樓制
9. 부엌과 부뚜막 廚竈
1) 부엌 廚屋 2) 부뚜막 제도 竈制 3) 여러 솥 이어 거는 법 連珠鍋法 4) 개미 막는 법 辟蟻法
10. 마당 庭除
1) 세 가지 좋은 곳 三善 2) 객토하는 법 換土法 3) 진창 막는 법 禦淖法 4) 습기 막는 법 辟濕法 5) 차양 지붕(붕가) 棚架 6) 화단(화계) 花階
11. 곡간 庫廩
1) 곡간 제도 庫制 2) 지하 곡간(음고) 蔭庫 3) 토고(흙 곡간) 土庫 4) 이동곡간(반고) 搬庫
12. 외양간 廐閑
1) 외양간 제도 廐制 2) 구유 제도 槽制 3) 소와 말은 외양간을 달리해야 한다 牛馬宜異廐
13. 변소와 도랑 溷廁、 溝渠
1) 욕실 浴室 2) 변소 廁室 3) 소변 저장고 溺庫 4) 잿간 灰屋 5) 도랑 제도 溝制
14. 담장 墻垣
1) 담장 기초 墻址 2) 토담 쌓기 土築 3) 돌담 쌓기 石築 4) 가요담(가요문을 띤 담) 哥窯墻 5) 영롱담 玲瓏墻 6) 담장 덮기 蓋墻 7) 판장 板障
15. 우물【부록 물 저장고】 井 【附 水庫】
1) 깊은 우물 쌓는 법 甃深井法 2) 얕은 우물 쌓는 법 甃淺井法 3) 평지 우물 쌓는 법 甃平地井法 4) 기타 우물 파는 법 鑿井雜法 5) 나무를 가설하여 샘물을 끌어오는 법 架木引泉法 6) 단정 뚫는 법 鑿丹井法 7) 우물의 부글거림을 없애는 법 禳井沸法 8) 수고(물 저장고) 水庫
섬용지 권제 2 贍用志 卷第二
건물 짓는 재료 營造之具
1. 목재 木料
1) 목재의 등급 品第 2) 벌목하는 법 伐材法 3) 목재 모아 두는 법 聚材法 4) 주의사항 禁忌
2. 석재 石料
1) 석재의 등급 品第 2) 석재 다듬기 治材
3. 흙반죽 재료 土料
1) 석회 石灰 2) 여회(굴껍데기 회) 蠣灰 3) 백토 白土 4) 새벽흙(사벽토) 沙壁土
4. 기와와 벽돌 瓦、 甎
1) 기와 굽는 법 燔瓦法 2) 벽돌 굽는 법 燒甎法 3) 가마 제도 窰制 4) 기와와 벽돌 고르는 법 選瓦、 甎法 5) 갓 구운 벽돌의 건조한 성질 제거법 去新甎燥性法 6) 계를 맺어 기와 굽는 법 結社燔瓦法 7) 벽돌의 이로움 論甓利
5. 도배 재료 塗料
1) 벽 도배 壁塗 2) 창 도배 牕塗 3) 공부방 창문에 기름 먹이는 법 油書牕法 4) 천장널 도배 天板塗 5) 온돌바닥 도배 堗上塗 6) 풀 糊
나무하거나 물 긷는 도구 樵汲之具
1. 나무하는 도구 樵器
1) 도끼 斧斨 2) 벌낫 釤 3) 갈퀴 荊耙 4) 섶망태기(시망) 柴網
2. 물 긷는 도구 汲器
1) 유권(버들두레박) 柳棬 2) 표주박 瓢 3) 나무통 木桶 4) 나귀로 물 긷는 법 驢汲法 5) 물동이 陶缶 6) 나무물동이 木缶 7) 유관(키버들물동이) 柳罐 8) 장군 長桶 9) 쇠항아리 鐵缸 10) 돌항아리 石缸 11) 부엌에는 물항아리 둘은 놓아야 한다 論廚中宜置二缸
불로 요리하는 도구 炊爨之具
1. 불 때고 뜸 들이고 삶고 데치는 여러 도구 炊餾烹瀹諸器
1) 가마솥 釜 2) 가마솥 시험하는 법 試釜法 3) 가마솥을 길들여 검게 변하지 않게 하는 법 治釜不渝法 4) 작은 솥을 길들이는 법 馴鍋法 5) 작은 솥 때우는 법 補鍋法 6) 양숙과(두 가지 요리를 하는 솥) 兩熟鍋 7) 뚝배기 陶鍋 8) 돌솥 石鼎 9) 청석 굽는 법 燔靑石法 10) 시루 甑 11) 언(솥과 시루의 기능을 겸비한 시루) 甗 12) 노구솥 鏀口 13) 새옹 䤬用 14) 놋 노구솥 銅鏀口 15) 솥솔 鍋刷 16) 시루밑 箅 17) 이남박 淘米瓢 18) 조리 淅米蒭 19) 욱(중국 조리) 䉛 20) 대바구니 21) 주걱 鍋鏟 22) 밥소라 飯鑼 23) 놋동이 銅盆 24) 놋국자 銅杓
2. 데우거나 볶거나 굽는 여러 도구 溫熨、 炒煿、 燔炙諸器
1) 쟁개비(냄비) 銚 2) 양푼 鏇 3) 완자탕기 卍字湯器 4) 삼발이솥(쟁) 鐺 5) 사라 䤬鑼 6) 볶음판(초반) 炒槃 7) 튀김판(자철) 炙鐵 8) 석자(누표) 漏杓 9) 벙거짓골(전립과, 전립투) 氊笠鍋 10) 번가(일자석쇠) 燔架 11) 번망(그물석쇠) 燔網 12) 석쇠받침(노교) 爐橋
3. 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 釀造諸器
1) 독 甕 2) 독 고르는 법 選甕法 3) 독에 기름 바르는 법 塗甕法 4) 독 때우는 법 補甕法 5) 중두리 中圓伊 6) 바탱이 田缸伊 7) 고내기 高犖伊 8) 소래기 盆 9) 용수 篘
4. 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 粉麪諸器
1) 쇠절굿공이 鐵杵 2) 콩맷돌 豆磨 3) 보리맷돌 麥磨 4) 중국의 맷돌 돌리는 법 中國轉磨法 5) 우리나라에서 인력으로 맷돌 돌리는 방법 東國人轉法 6) 체 篩 7) 사롱(체를 설치하는 상자) 篩籠 8) 사면차(밀가루 체 치는 기계) 篩麪車 9) 함지박 木瓢
5. 짜거나 누르는 여러 도구 榨壓諸器
【부록 찍어 내는 여러 도구】 【 附 模印諸器】 1) 기름틀 油榨 2) 기름 짜는 법 榨油法 3) 철판으로 깨 볶는 법 鐵炕炒麻法 4) 물로 끓여 기름 얻는 법 水煮取油法 5) 술주자 酒榨 6) 국수틀 麪榨 7) 속성국수틀(급수면자) 急須麪榨 8) 떡판(병안) 餠案 9) 떡밀개 餠槌 10) 다식판 茶食模 11) 떡살 餠範 12) 밀개 麪碾
6. 익힐 식재료를 다듬는 여러 도구 割飪諸器
1) 식칼 饌刀 2) 도마 俎 3) 가위 翦刀 4) 병도(떡뜨개) 餠刀 5) 강판 磨薑板 6) 잣집게 鐵叉碓 7) 철침(건포 모루) 鐵椹
7. 밥상에 올리는 여러 그릇 登槃諸器
1) 자기 瓷器 2) 중국에서 만든 자기 華造瓷器 3) 자기 때우는 법 補瓷器法 4) 유기(놋그릇) 鍮器 5) 숟가락과 젓가락(수저) 匙箸 6) 상아젓가락 쓰는 법 用象箸法 7) 실수로 불에 떨어져 검게 그을린 놋수저 등의 물건을 갈아 광내는 법 磨光鍮匙箸等物失落火灰焦黑法 8) 밥상 槃 9) 일본쟁반 倭槃 10) 중국쟁반 華槃 11) 쟁반 錚槃
8. 여러 저장 용기 儲藏諸器
1) 찬합 饌盒 2) 등합(등나무합) 藤盒 3) 죽합(대나무합) 竹盒 4) 사기합(사기찬합) 瓷盒 5) 목합 木盒 6) 놋합 鍮盒 7) 병 甁 8) 단지 缸 9) 단지나 물장군의 악취 씻어 내는 법 洗缸、 缾臭法 10) 새는 술병 수리하는 법 治酒甁漏法 11) 사기꿀단지 瓷樽 12) 죽상자 竹箱 13) 광거(대바구니) 筐筥 14) 바구니 籃 15) 쌀독 甔 16) 뒤주 斗廚 17) 찬장 饌橱 18) 나무궤짝 木櫃 19) 곡갑 穀匣 20) 일계체(30칸짜리 쌀서랍) 日計屉
섬용지 권제 3 贍用志 卷第三
복식 도구 服飾之具
1. 쓰개 冠巾
1) 갓 笠 2) 갓 때 벗기는 법 洗笠汚法 3) 삿갓 蓑笠 4) 망건 網巾 5) 망건의 때를 제거하는 법 網巾去垢法 6) 복건 幅巾 7) 치관(치포관) 緇冠 8) 와룡관 臥龍冠 9) 동파건(동파관) 東坡巾 10) 방관 方冠 11) 털모자 毳帽
2. 옷과 갖옷 衣、 裘
1) 도포 道袍 2) 심의 제도 深衣制度 3) 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 深衣辨證 4) 학창의 鶴氅衣 5) 편복 便服 6) 갖옷 裘 7) 전구 氈裘 8) 배자 褙子 9) 등배자(등등거리) 䕨褙子 10) 토시 手套 11) 휘항(휘양) 揮項 12) 풍차 風遮 13) 털버선 毛韤 14) 가죽 제품 皮貨 15) 가죽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皮物不蛀法 16) 전 제품을 보관할 때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收氈物不蛀法 17) 모전으로 만든 옷 세탁법 洗毛氈衣法
3. 이부자리 衾褥
1) 이불 衾 2) 두 채의 이불을 나누고 합치는 법 兩衾分合法 3) 작은 이불 褡 4) 요 褥 5) 베개 枕
4. 띠와 신발 帶、 屨
1) 띠 帶 2) 갖신 屨 3) 비(풀로 만든 신발) 屝 4) 나막신 屐 5) 신발 사용법 用鞋法
5. 기타 장신구 雜飾
1) 패도 佩刀 2) 초혜집 抄舌 3) 주머니 佩囊 4) 접부채 摺疊扇 5) 모선 毛扇
6. 여자의 복식 女服
1) 족두리 簇頭伊 2) 비녀 釵 3) 저고리와 치마 衣裳 4) 당의 唐衣 5) 원삼 圓衫 6) 신 鞋
7. 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裁縫諸具
1) 바늘 針 2) 바늘을 녹슬지 않게 보관하는 법 藏針不銹法 3) 골무 指套 4) 가위 翦刀 5) 인두 熨刀 6) 다리미 熨斗 7) 자 尺 8)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砧杵 9) 빨랫줄 桁繩 10) 항간(빨래 너는 장대) 桁竿
8. 의복의 보관 儲藏
1) 횃대 椸 2) 채상 彩箱 3) 버들고리 柳箱 4) 옷농 衣籠 5) 옷장 衣欌 6) 옷 보관법 藏衣法
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 盥櫛之具
1. 몸 씻는 여러 도구 頮洮諸器
1) 놋대야 銅盆 2) 사기대야 瓷盆 3) 질그릇대야 陶盆 4) 나무대야 木盆 5) 가죽대야 革盆 6) 양칫물사발 漱水碗 7) 조두합(가루비누합) 澡豆盒 8) 세숫대야깔개 頮盆藉 9) 세수치마 盥裳 10) 수건 帨 11) 목욕통 浴盆 12) 유황이(뒷물용 유황대야) 硫黃匜 13) 탕관 湯罐
2. 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 櫛總諸器
1) 얼레빗 梳 2) 참빗 笓 3) 소추(빗솔) 梳帚 4) 소쇄(빗솔) 梳刷 5) 빗치개 笓挑齒 6) 족집게 鑷子 7) 민자 刡子 8) 살쩍밀이 斂鬢簽 9) 빗접 梳匣 10) 구리거울 銅鏡 11) 거울 닦는 법 磨鏡法 12) 유리거울 玻瓈鏡 13) 화장대 奩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 起居之具
1. 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 臥具
1) 침대 臥牀 2) 방로 氆氌 3) 양탄자 氍毹 4) 종전(말총모전) 鬃毡 5) 융과 모전 毧氈 6) 모전에 좀 쏠지 않게 하는 법 氈不蛀法 7) 몽고전 蒙古氈 8) 등나무자리 籘簟 9) 왕골자리 龍鬚席 10) 부들자리 香蒲席 11) 비단자리 繭絲席 12) 수숫대자리 薥稭簟 13) 오소리가죽요 土猪皮褥 14) 산양가죽요 山羊皮褥 15) 개가죽요 狗皮褥 16) 등침(등베개) 籘枕 17) 접베개 摺疊枕 18) 완침(왕골베개) 莞枕 19) 퇴침 退枕 20) 대자리베개 竹簟枕 21) 나전베개 螺鈿枕 22) 소가죽베개 牛皮枕 23) 죽부인 竹夫人
2. 앉을 때 필요한 도구 坐具
1) 의자 椅 2) 교의 엮는 법 穿交椅法 3) 걸상 杌 4) 장의자(긴걸상) 橙 5) 연궤(상) 燕几 6) 탁자 檯 7) 탁자 씻는 법 洗檯法 8) 방석 方席
3. 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 障護諸具
1) 병풍 屛 2) 방장 帳 3) 모기장 辟蚊帳 4) 방장걸이 帳鉤 5) 병풍이나 방장을 보관하는 법 藏屛、 帳法 6) 발 簾 7) 겹분합문 複閤
4. 기타 도구 雜具
1) 구장(비둘기지팡이) 鳩杖 2) 전수장(논물지팡이) 田水杖 3) 등긁개 麻姑手 4) 비 箒 5) 쓰레받기 承塵 6) 먼지떨이 無塵子 7) 요강 溺缸 8) 호자(타구) 虎子 9) 담뱃대 煙杯 10) 담뱃갑 煙草匣 11) 재떨이 煙灰槃
색을 내는 도구 設色之具
1. 채색 彩色
1) 분 胡粉 2) 백악(백토) 白堊 3) 주사 硃砂 4) 왜주(일본주사) 倭朱 5) 연지 燕脂 6) 대자석 代赭石 7) 석간주 石間朱 8) 자분 紫粉 9) 황단 黃丹 10) 자황 雌黃 11) 석중황(석황) 石中黃 12) 등황 䕨黃 13) 도황 桃黃 14) 석청 石靑 15) 쪽물 靛花 16) 압척청(닭의장풀 물감) 鴨跖靑 17) 석록 石綠 18) 동청 銅靑 19) 하엽록 荷葉綠 20) 송연 松煙 21) 유금(가루금) 乳金 22) 유은(가루은) 乳銀 23) 가짜 금색 假金色
2. 기름과 옻 油、 漆
1) 옻 漆 2) 옻칠 위에 금가루 뿌리는 법 髹漆上灑金法 3) 옻칠 위에 색칠하는 법 髹漆上設彩法 4) 칠기 광내는 법 光漆器法 5) 가짜 옻칠 방법 假漆方 6) 시칠(감물칠) 柹漆 7) 황칠 黃漆 8) 야생 쇠귀나물로 칠하는 법 野慈菇漆法 9) 동유 桐油 10) 법제들기름 法煉荏油 11) 나무그릇에 기름칠하는 법 油木器法 12) 집 지은 재목에 기름칠하는 법 油屋材法 13) 종이 바른 기물에 칠하는 법 漆紙糊器法
3. 훈염(스며들게 하여 물들이기) 熏染
1) 목기 물들이는 법 染木器法 2) 오동나무 지지는 법 烙桐法 3) 대나무에 점 찍는 법 點竹法 4) 선지에 물들이는 법 染扇紙法 5) 가죽에 물들이는 법 染革法
건물 짓는 제도[營造之制, 영조지제]
건물 짓는 재료[營造之具, 영조지구]
보양지
인제지
인제지(仁濟志):의학 백과 목차
(소표제어는 권1과 권22-28에만 소표제어를 수록. 나머지 권2-21은 권1과 형식이 유사하므로 생략. 차후 추가 및 수정 필요)
-권1(총60)- Ⅰ. 내인【內因】 1. 내상(음식·술·과로에 몸이 상함)【內傷】 1) 형증【形證】(10개) 원인因起 음식에 상한 것食傷 술에 상한 것酒傷 노권상勞倦傷 내상과 외감의 구분辨內外傷 비위허실脾胃虛實 밥맛이 없는 이유不嗜飮食 식후에 노곤한 것食後昏困 내상으로 인하여 생기는 병증內傷變病 맥 보는 법脈度 2) 치료법【治法】(13개)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식상을 치료하는 법治食傷 식상에 소화시키는 법食傷消導 식상에 보하여야 할 경우食傷宜補 식상에 토하게 할 경우食傷宜吐 식상에 설사시켜야 할 경우食傷宜下 식궐의 치료법治食厥 주상의 치료법治酒傷 먹은 술을 깨고 취하지 않는 법醒酒不醉 노권상의 치료법治勞倦傷 내외상을 가려서 치료하는 방법辨內外傷治法 입맛이 없는 병증의 치료治不嗜飮食 식후 노곤함의 치료治食後昏困 3) 탕액【湯液】(141개) 응신산凝神散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삼보지출환三補枳朮丸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 수중금원守中金元 지출환枳朮丸 귤피지출환橘皮枳朮丸 목향지출환木香枳朮丸 반하지출환半夏枳朮丸 국얼지출환麴櫱枳朮丸 귤반지출환橘半枳朮丸 귤련지출환橘連枳朮丸 삼황지출환三黃枳朮丸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내소산內消散 소체환消滯丸 가감보화원加減保和丸 칠향원七香元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향각환香殼丸 이황환二黃丸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곡신원穀神元 대화중음大和中飮 배기음排氣飮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칠진산七珍散 팔진산八珍散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양비환養脾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자비환滋脾丸 건비환健脾丸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음양탕陰陽湯 제원산除源散 자황환煮黃丸 지실대황탕枳實大黃湯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인삼음人蔘飮 평위산平胃散 이공산異功散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생위단生胃丹 계비원啓脾元 이국원二麴元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인삼개위탕人蔘開胃湯 안위산安胃散 곡신탕穀神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 사미회양음四味回陽飮 위관전胃關煎 소화중음小和中飮 보진환補眞丸 삼출탕蔘朮湯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창출고蒼朮膏 백출고白朮膏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삼력음蔘瀝飮 후박전환厚朴煎丸 인삼고人蔘膏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태화환太和丸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보진고補眞膏 삼출조원고蔘朮調元膏 사탕원砂糖元 천진원天眞元 조원산助元散 서련환瑞蓮丸 환원단還元丹 오출환烏朮丸 출하환朮芐丸 이호환二虎丸 상골산象骨散 갈화해정탕葛花解酲湯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갈황환葛黃丸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삼두해정탕三豆解酲湯 인삼산人蔘散 익비환益脾丸 백배환百杯丸 대금음자對金飮子 해주화독산解酒化毒散 용뇌탕龍腦湯 갈화산葛花散 만배불취단萬杯不醉丹 신선불취단神仙不醉丹 취향보설醉鄕寶屑 양식환養食丸 생지황生地黃 초두구草豆蔻 창이蒼耳 국화菊花 필징가畢澄茄 갈근葛根 건강乾薑 회향茴香 신국神麴 감柿 오매烏梅 명사榠樝 배梨 감피柑 청피靑皮 뽕나무桑 죽여竹茹 고둥螺 붕어鯽魚 게蟹 모려牡蠣 닭鷄 가마우지鸕鶿 개狗 벽해수碧海水 납설수臘雪水 죽상로竹上露 정중초井中草 주사朱砂 4) 침과 뜸【砭焫】(2개) 침 놓는 법針法 뜸 뜨는 법灸法 5) 몸조리하는 법【調將】(3개) 음식금기飮食禁忌 음주금기飮酒禁忌 약물금기藥物禁忌
2. 허로(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해진 증상)【虛勞】 1) 형증【形證】(13개) 원인因起 5로증五勞證 6극증六極證 7상증七傷證 허로잡증虛勞雜證 기혈허와 음양허를 구분하는 법辨氣血虛陰陽虛 허손같아 보이지만 허손이 아닌 것을 분변함辨似損非損 전궐증煎厥證 해역증解㑊證 주하병注夏病 2양병二陽病 허로생사증虛勞生死證 맥 보는 법脈度 2) 치료법【治法】(10개)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음허를 치료하는 법治陰虛 양허를 치료하는 법治陽虛 음양이 모두 허한 경우를 치료하는 법治陰陽俱虛 심허를 치료하는 법治心虛 간허를 치료하는 법治肝虛 비허를 치료하는 법治脾虛 폐허를 치료하는 법治肺虛 신허를 치료하는 법治腎虛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3) 탕액【湯液】(144개)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고진음자固眞飮子 팔물탕八物湯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신기환腎氣丸 대보음환大補陰丸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호잠환虎潛丸 제음환濟陰丸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계부탕桂附湯 용부탕茸附湯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삼향산蔘香散 삼선단三仙丹 사신단四神丹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쌍화탕雙和湯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이지환二至丸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보신환補腎丸 온신산溫腎散 팔미원八味元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대오보환大五補丸 흑원黑元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귤피전원橘皮煎元 오출환烏朮丸 윤신환潤腎丸 대산우환大山芋丸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태극환太極丸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냉보환冷補丸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소토사자원小兔絲子元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소안신환小安腎丸 용주환茸珠丸 오보원五補元 소건중탕小建中湯 대건중탕大建中湯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황기익손탕黃芪益損湯 진교별갑산秦艽鼈甲散 침향별갑산沈香鼈甲散 황기별갑산黃芪鼈甲散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천지전天地煎 보정고補精膏 보수고補髓膏 위생탕衛生湯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보진탕保眞湯 보화탕保和湯 태평환太平丸 소화환消化丸 윤폐고潤肺膏 백봉고白鳳膏 보수단補髓丹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 환소단還少丹 상단上丹 보음산補陰散 서련환瑞蓮丸 이의환二宜丸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고암심신원古庵心腎元 귀용원歸茸元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공진단拱辰丹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오정환五精丸 팔진탕八珍湯 대보원전大補元前 오복음五福飮 좌귀음左歸飮 좌귀환左歸丸 우귀음右歸飮 우귀환右歸丸 육기전六氣煎 이음전理陰煎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 일기단一氣丹 온위음溫胃飮 오물전五物煎 우로탕愚魯湯 수지단水芝丹 유전산油煎散 삼황환三黃丸 삼건탕三建湯 양혈반정환養血返精丸 청목향환靑木香丸 초과인환草果仁丸 보골지환補骨脂丸 계봉백화사고鷄峯白花蛇膏 주작탕朱雀湯 흑석단黑錫丹 접기단接氣丹 양정단養正丹 양기단養氣丹 어구금수방御溝金水方 진교秦艽 모향茅香 청호靑蒿 지황地黃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사상자蛇牀子 토사자兔絲子 오미자五味子 복분자覆盆子 육종용肉蓯蓉 금앵자金櫻子 나마蘿藦 마인麻仁 찹쌀稬米 산약山藥 보골지補骨脂 칠漆 오가피五加皮 자초화紫稍花 새우鰕 닭鷄 까마귀鴉 돼지猪 양羊 소牛 사슴鹿 자석慈石 4) 침과 뜸【砭焫】(2개) 침 놓는 법針法 뜸 뜨는 법灸法
3. 자한(절로 나는 땀)【自汗】 1) 형증【形證】(11개) 원인因起 두한頭汗 심한心汗 수족한手足汗 음한陰汗 절한絶汗 유한柔汗 도한盜汗 누풍증漏風證 망양증亡陽證 맥보는 법脈度 2) 치료법【治法】(9개) 전반적인 치료법總治 두한의 치료법治頭汗 심한의 치료법治心汗 수족한의 치료법治手足汗 음한의 치료법治陰汗 도한의 치료법治盜汗 누풍의 치료법治漏風 망양증의 치료법治亡陽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3) 탕액【湯液】(46개) 조위탕調衛湯 옥병풍산玉屛風散 이감탕二甘湯 황기탕黃芪湯 삼귀요자蔘歸腰子 모려산牡蠣散 소건중탕小建中湯 삼기탕蔘芪湯 출령탕朮苓湯 진액단鎭液丹 삼부탕蔘附湯 기부탕芪附湯 계부탕桂附湯 진애탕陳艾湯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대산원大蒜元 백출산白朮散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삼음전三陰煎 오음전五陰煎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정기탕正氣湯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용담산龍膽散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 모려산牡蠣散 삼기탕蔘芪湯 삼귀환蔘歸丸 출朮 방풍防風 초룡담草龍膽 마황麻黃 쑥艾 백지白芷 지황地黃 소맥부小麥麩 찹쌀糯米 부추韭 산조인山棗仁 도노桃奴 오배자五倍子 모려牡蠣 우양지牛羊脂 석고石膏 운모雲母 양기석陽起石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9개) 독승산獨勝散 육물산六物散 모려산牡蠣散 온분溫粉 홍분紅粉 하수오何首烏 마황근麻黃根 오배자五倍子 소시장토燒尸場土 5) 침과 뜸【砭焫】(1개) 침법針法 6) 몸조리하는 법【調將】(2개) 계절에 따른 금기時令戒忌 약물금기藥物禁忌
권2(총61) Ⅰ. 내인【內因】 1. 정액이 새는 증상(유설)【遺泄】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문지르는 약【塗擦】 5) 침과 뜸【砭焫】
2.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경계)【驚悸】부록: 정충증과 건망증【附 怔忡健忘】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5) 푸닥거리(양법)【禳法】
3. 간질(전간)【癲癎】부록: 전광증(정신이상)【癲狂】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4. 잠이 적은 증상(소수)【少睡】부록: 잠이 많은 증상(다수)과 꿈을 많이 꾸는 증상(다몽)【多睡多夢】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는 법【蒸熨】 5) 침과 뜸【砭焫】
5. 벙어리(음아)【瘖瘂】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6. 담음【痰飮】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권3(총62) Ⅰ. 내인【內因】 1. 여러 가지 기병【諸氣】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찜질하는 법【熨塞】 5) 침과 뜸【砭焫】
2. 피가 나는 증상에 대한 전반적인 처방(실혈총방)【失血總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5) 몸조리 하는 법【調將】
3. 피를 토하는 증상(토혈)【吐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14
4. 코피가 나는 증상(육혈)【衄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막는 법【塗塞】 5) 약을 떨어뜨리거나 불어넣는 법【點吹】 6) 침과 뜸【砭焫】
5. 기침할 때 피가 나오는 증상(해혈)【咳血】부록: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수혈)·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타혈)·핏덩이를 뱉어내는 증상(각혈)【嗽血·唾血·咯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6. 이에서 피가 나는 증상(치뉵)【齒衄】부록: 혀에서 피가 나는 증상(설뉵)·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혈한)·사람 몸의 아홉 구멍 눈(2)·코(2)·입(1)·귀(2)·생식기(1)·항문(1)의 아홉 군데 구멍을 말한다.
에서 피가 나오는 증상(9규출혈)【舌衄·血汗·九竅出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
7. 오줌에 피가 나오는 증상(요혈)【尿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8. 똥에 피가 나오는 증상(변혈)【便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9. 적취【積聚】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10. 여러 가지 충【諸蟲】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5) 침과 뜸【砭焫】
권4(총63) Ⅰ. 외인【外因】1 1. 중풍【中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塗】 5) 코로 들이마시거나 불어넣는 법【㗜吹】 6) 침과 뜸【砭焫】
2. 풍으로 몸이 마비되는 증상(풍비)【風痹】부록: 뼈마디가 붓고 아픈 증(역절풍)과 감각마비증(마목)【歷節風·麻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푸닥거리【禳法】 7) 몸조리하는 법【調將】
권5(총64) Ⅰ. 외인【外因】 1. 상한【傷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상한잡증의 치료법【傷寒雜證治法】 4) 상한이 나은 후 나타나는 전변증의 치료법【傷寒差後變證治法】 5) 부인상한의 치료법【婦人傷寒治法】 6) 탕액【湯液】 7)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8) 침과 뜸【砭焫】 9) 몸조리하는 법【調將】
2. 중한【中寒】부록:감한․고랭【感寒․痼冷】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3. 중서【中暑】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산람장기(山嵐瘴氣)와 습병(장습)【瘴濕】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5) 푸닥거리【辟禳】
권6(총65) Ⅰ. 외인【外因】 1. 피부가 마르고 깔깔해지는 증상(조삽)【燥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2. 화열【火熱】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3. 학질(해학)【痎瘧】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4. 다리병(각기)【脚氣】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5. 온역【溫疫】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고 묶는 법【傅紝】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6. 헛것에 들린 증상(사수)【師祟】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권7(총66)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1. 두통【頭痛】부록: 어지럼증(현훈)【眩暈】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쏘이거나 콧속에 넣는 법【熏搐】
5)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6) 침과 뜸【砭焫】
2. 눈병(안질)【眼疾】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눈에 넣거나 씻는 법【點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권8(총67)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1. 귀먹음(이롱)【耳聾】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귀에 넣거나 막는 법【點塞】 5) 침과 뜸【砭焫】
2. 코 막힘(비색)【鼻塞】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고 막는 법【糝塞】 5) 침과 뜸【砭焫】
3. 치아의 통증(치통)【齒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양치질하는 법【噙漱】 5) 바르고 문지르는 법【塗擦】 6) 침과 뜸【砭焫】 7) 몸조리하는 법【調將】
4. 목덜미와 등의 통증(항배통)【項背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5. 허리와 다리의 통증(요각통)【腰脚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어깻죽지와 옆구리의 통증(비협통)【臂脇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는 법【熨法】 5) 침과 뜸【砭焫】
7. 힘줄과 뼈의 통증(근골통)【筋骨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8. 가슴과 배의 통증(심복통)【心腹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권9(총68)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1. 갑자기 토하거나 설사하는 증상(곽란)【霍亂】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2. 트림(희애)【噫噯】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3. 구토【嘔吐】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4. 설사【泄瀉】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고 바르는 법【傅貼】 5) 침과 뜸【砭焫】
5. 이질【痢疾】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5) 침과 뜸【砭焫】
6. 변비【便秘】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貼】 5) 침과 뜸【砭焫】
권10(총69)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1. 오줌이 방울져 나오는 증상(임병)과 오줌이 붉거나 희며 탁한 증상(적백탁)【淋病·赤白濁】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5) 침과 뜸【砭焫】
2. 소변불통(융폐)【癃閉】 부록 : 오줌을 지리는 증상(유뇨)【附遺尿】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찜질하거나 씻는 법【熨洗】 5) 침과 뜸【砭焫】
3. 기침(해수)【咳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흡입하는 법【熏吸】 5) 침과 뜸【砭焫】
4. 딸꾹질(해역)【咳逆】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불어넣는 법【熏吹】 5) 침과 뜸【砭焫】
권11(총70) Ⅰ. 내외겸인【內外兼因】 1. 고환과 배가 아픈 증상(산기)【疝氣】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2. 부종【浮腫】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3. 배가 불러오르는 증상(창만)【脹滿】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5) 침과 뜸【砭焫】
4. 소갈(당뇨)【消渴】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몸조리하는 법【調將】
5. 황달【黃疸】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불어 넣는 법【塗吹】 5) 침과 뜸【砭焫】
권12(총71) Ⅰ. 부과【婦科】 1. 자궁에 발생하는 병증(포혈)【胞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싸매거나 막는 법【紝塞】 5) 침과 뜸【砭焫】
2. 젖과 관련한 병증(유즙)【乳汁】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3. 임신【妊娠】 1) 형증【形證】 2) 출산 전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치료하는 법【産前諸證治法】 3) 출산 후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치료하는 법【産後諸證治法】 4) 탕액【湯液】 5)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6) 침과 뜸【砭焫】 7) 푸닥거리(양법)【禳法】
4. 여성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병증【雜證】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권13(총72)
Ⅰ. 유과【幼科】
1. 소아 경기로 몸이 오그라드는 증상(경축)【驚搐】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불어넣는 법【點吹】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2. 여러 가지 감병【諸疳】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씻는 법【糝洗】 5) 침과 뜸【砭焫】
3. 여러 가지 열병【諸熱】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젖이나 밥으로 인한 속병【內傷乳食】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문지르거나 붙이는 법【摩貼】 5) 침과 뜸【砭焫】
5. 부록 갓난아기에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병증【附 雜證】 1) 갓난아이의 구급법【初生救急】 2) 소아잡병【小兒雜病】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5) 침과 뜸【砭焫】
권14(총73) Ⅰ. 유과【幼科】 1. 천연두(두창)【痘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반이 돋아나기 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瘢前諸證治法】 4) 반이 돋아난 뒤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瘢後諸證治法】 5) 부인의 두창 치료법【婦人痘瘡治法】 6) 탕액【湯液】 7)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8) 연기를 쏘이는 법【熏燒】 9) 몸조리하는 법【調將】 10) 종두법【種痘方】
2. 부록 수두【附 水痘】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권15(총74) Ⅰ. 유과【幼科】 1. 홍역(마진)【麻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반이 돋아나기 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癍前諸證治法】 4) 반이 돋아난 후의 여러 증상에 대한 치료법【癍後諸症治法】 5) 부인의 마진을 치료하는 방법【婦人麻疹治法】 6) 탕액【湯液】 7) 뿌리거나 불어넣는 법【糝吹】 8) 몸조리하는 법【調將】
2. 부록 소진․조두진․운두진【附 瘙疹․罩頭疹․雲頭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권16(총75) Ⅰ. 외과【外科】 1. 옹저총방【癰疽總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전변된 증상의 치료법【變證治法】 4) 탕액【湯液】 5)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6)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7) 침과 뜸【砭焫】 8) 몸조리하는 법【調將】
2. 창절총방【瘡癤總方】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4)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5) 푸닥거리【양법】【禳法】
권17(총76) Ⅰ. 외과【外科】 1. 반진총방【㿀疹總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2. 백회혈 부위에 생긴 저(백회저)【百會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신문혈 가장자리에 생긴 저(투뇌저)【透腦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 오처혈(五處穴) 오처혈(五處穴)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혈자리로, 정중선상에서 앞머리카락 경계로부터 1치 올라가서 옆으로 1치 반 되는 곳이다.
부위에 생긴 저(침뇌저)【侵腦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5. 상성혈 부위에 생긴 저(불정저)【佛頂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 이마에 생긴 저(액저)【額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 태양혈 부위에 생긴 저(용저)【勇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8. 살쩍에 생긴 저(빈저)【鬢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고 붙이는 법【傅貼】
9. 귀 뒤쪽에 생긴 저(요저(좌) 예독(우))【夭疽銳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0. 귓불 사이에 생긴 저(이후저)【耳後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1. 귓바퀴 뒤에 생긴 옹저(이발)【耳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2. 귀 뒤쪽 솔기부분에 생긴 옹저(이근독)【耳根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3. 뇌호혈 부위에 생긴 저(옥침저)【玉枕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14. 목덜미의 털난 경계 부위에 생긴 저(뇌후발)【腦後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4) 침과 뜸【砭焫】
15. 풍부혈 부위에 생긴 저(뇌삭)【腦鑠】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6. 머리카락이 말라비틀어져 빠지는 증상(유풍)【油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17. 살갗에 비듬이 생기는 증상(백설풍)【白屑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18. 머리가 헐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독창)【禿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고 씻는 법【傅洗】
19. 소아의 머리에 생기는 부스럼(누고절)【螻蛄癤】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20. 머리털이 난 경계 부위에 생기는 창(발제창)【髮際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21. 피부에 포도빛깔의 반점이 생기는 증상(포도창)【葡萄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2. 머리털이 빠지는 증상(발락)【髮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23. 얼굴에 생기는 종기와 창(면종면창)【面腫面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5) 찜질하거나 지지는 법【熨烙】
24. 광대뼈 부위에 생기는 종양과 저(관양 관저 양의 자리【陽分】에 생기는 것을 관양이라 하고, 음의 자리【陰分】에 생기는 것을 관저라 한다. )【顴瘍顴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5. 광대뼈 사이에 생기는 정(疔)(관정)【顴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6. 뺨에 생긴 옹저(면발독)【面發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27. 얼굴에 생기는 피부병(면유풍)【面遊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28. 뺨에 생기는 종기(자시)【痄顋】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29. 아래턱 부위가 헌 증상(협양)【頰瘍】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30. 아래턱뼈와 그 부위의 살갗이 붓고 아픈 증상(골조풍)【骨槽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31. 아래턱에 생긴 발저(發疽)(발이)【發頤】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2. 목·뺨·턱 부위에 생긴 종기(시독)【時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3. 미릉골 부위에 생긴 옹저(봉미저)【鳳眉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4. 양미간에 생긴 저(미심저)【眉心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5. 인중에 생긴 저(용천저)【龍泉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6. 아랫입술 밑 오목한 곳에 생긴 옹저(호자독)【虎髭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7. 아래턱 부위가 헌 증상(연와창)【燕窩瘡】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바르는 법【傅搽】
38. 기미와 주근깨(작반 간증)【雀斑皯䵳】 부록 : 얼굴에 바르는 기름과 약(면지약방)【附 : 面脂藥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39. 검은 사마귀(흑지)【黑痣】 부록 : 흉터 없애는 처방【附 : 滅瘢痕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붙이고 씻는 법【點洗】 4) 찜질하는 법【熨法】
40. 얼굴이 뜨겁거나 차가운 증상(면열 면한)【面熱面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1. 목덜미의 털 난 부위에 생긴 저(편뇌저)【偏腦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2. 천주골에 생긴 저(천주저)【天柱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고 뿌리는 법【塗摻】
43. 어미혈 부위에 생긴 옹저(어미독)【魚尾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4. 목 주위에 둘러가면서 생긴 저(백맥저)【百脈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5. 후두 앞 갑상연골 부위에 생긴 옹(결후옹)【結喉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6. 갑상연골 부위의 양 옆에 생긴 옹(협후옹)【夾喉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7. 임파절에 생긴 멍울(나력)【瘰癧】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5)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7) 몸조리하는 법【調將】
48. 목 양쪽에 생긴 석저 석저_ 목, 자개미, 무릎 등 온 몸에 돌처럼 뜬뜬하게 생긴 저. (상석저)【上石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49. 목에 단단한 멍울이 생기고 살갗에 윤기가 없는 증상(실영증)【失榮證】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고 붙이는 법【敷貼】
50. 천돌혈 부위에 생긴 풍창(유구풍)【鈕扣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敷貼】
51. 목에 앵두같이 생긴 창(앵도창)【櫻桃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권18(총77) Ⅰ. 외과【外科】 1. 등창(발배)【發背】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2. 폐수혈, 고황혈, 신수혈 부위에 생긴 등창(상중하탑수)【上中下搭手】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잔등에 생기는 연꽃씨 모양의 옹저(연자발)【蓮子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 벌집처럼 구멍이 여럿 뚫린 옹저(봉와발)【蜂窩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고 붙이는 법【塗貼】13
5. (척추 주변에 단단하다가 물러지고, 농이 생겼다가 없어지는 저)음양이기저【陰陽二氣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 (등과 옆구리에 창두 없이 속으로 관통하는 저)관저【串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 술독으로 인한 옹저(주독발)【酒毒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8. 구슬을 꿰어놓은 모양의 발저(연주발)【連珠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9. 단독발【丹毒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0. 등에 주먹자국처럼 붉게 생긴 저(금저)【禽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1. 등에 담으로 생긴 종기(담주발)【痰注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12. 오이 모양의 옹저(황과옹)【黃瓜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3. 뱀 모양의 옹저(용창)【龍瘡】 1) 형증【形證】 2) 찜질하거나 붙이는 법【熨貼】
14. 신수혈 부위에 생긴 옹저(신수 ‘兪’ 자가 혈자리를 나타낼 경우에는 남한에서는 ‘수’라고 읽고, 북한에서는 ‘유’라고 읽는다. 발)【腎兪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5. 허리와 사타구니 사이에 생긴 저(중석저)【中石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6. 대상포진(帶狀疱疹, 전요화단)【纏腰火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17. 눈꺼풀에 버섯 같은 군살이 생기는 증상(안포균독)【眼胞菌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4) 몸조리하는 법【調將】
18. 눈꺼풀이 벌겋게 붓고 아픈 증상(안단)【眼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9. 눈가죽과 눈썹 사이가 벌겋게 붓고 곪는 증상(침안)【鍼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20. 눈꺼풀 속에 알갱이가 맺히는 증상(안포담핵)【眼胞痰核】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21. 산초알갱이처럼 생긴 창과 기장쌀처럼 생긴 창(초창 속창)【椒瘡粟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2. 눈꺼풀이 뒤집어진 증상(피번증)【皮翻證】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23. 눈구석 부위가 벌겋게 붓고 곪는 증상(누정창)【漏睛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4. 눈구석과 눈초리에 생긴 궂은살(목중노육)【目中努肉】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5. 콧등에 생긴 저(비저)【鼻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6. 콧속에 생긴 정창(비정)【鼻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7. 코 밑이 헌 증상(비닉창)【鼻䘌瘡】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28. 코가 부어오르고 헌 증상(비창)【鼻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막는 법【塗塞】
29. 콧속에 군살이 생기는 증상(비치)【鼻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약을 떨어뜨려 넣고 막는 법【點塞】 5)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30. 여드름(폐풍분자)【肺風粉刺】 1) 형증【形證】 2)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31. 술로 인하여 코가 붉어진 증상(주사비)【酒齄鼻】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32. 귓구멍에 생긴 정창(흑정)【黑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3. 귓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이감)【耳疳】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싸매는 법【糝紝】
34. 이치․이심․이정【耳痔耳蕈耳挺】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약물을 떨어뜨리는 법【點滴】
35. 귓바퀴 뒤쪽이 헌 증상(선이창)【旋耳瘡】 1) 형증【形證】 2) 바르고 뿌리는 법【傅搽】
36. 입이 헌 증상(구창)【口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입 속에 머금거나 뿌리는 법【噙糝】 5) 겉에 붙이는 법【外貼】 6) 침과 뜸【砭焫】 7) 몸조리하는 법【調將】
37. 입 속이 헌 증상(구미)【口糜】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입안에 머금거나 바르는 방법【噙搽】
38. 입냄새(구취)【口臭】 부록 : 병증에 따라 입맛이 달라지는 증상(구미)【口味】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39. 입 언저리에 생긴 정창과 입아귀에 생긴 정창(반순정 쇄구정)【反脣疔鎖口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0. 입술에 생긴 저(순저)【脣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1. 입술이 당기고 조여들어 벌리지도 다물지도 못하는 증상(견순)【繭脣】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搽】 5) 침과 뜸【砭焫】
42. 입술이 헐고 아픈 증상(순풍)【脣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씻거나 붙이는 법【洗貼】 5) 침과 뜸【砭焫】 6) 푸닥거리(양법)【禳法】
43. 잇몸에 좁쌀 같은 것이 생겨 아픈 증상(아정)【牙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4. 잇몸에 생긴 옹(아옹)【牙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5. 혀가 부어오르는 증상(자설창)【紫舌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김을 쏘이는 법【傅熏】 5) 침과 뜸【砭焫】
46. 혀 아래에 박 같은 종기가 생기는 증상(담포)【痰包】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47. 혀 밑에 작은 혀가 생기는 증상(중설)【重舌】 부록 : 중악․설정【重齶舌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4) 겉에 붙이는 법【外貼】
48. 혀에 생긴 종기(설감)【舌疳】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입에 머금어 녹여 먹거나 바르는 방법【噙塗】 5) 겉에 바르는 법【外貼】
49. 목구멍이 붓는 증상(후비)【喉痺】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고 불어넣는 법【糝吹】 5) 연기를 쏘이고 마시게 하는 법【熏吸】 6) 침과 뜸【砭焫】
50. 목구멍이 헌 증상(후감)【喉疳】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뿌리거나 불어넣는 법【糝吹】
51. 목구멍이 이끼 모양으로 헌 증상(후선)【喉癬】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뿌리고 불어넣는 법【糝吹】
52. 갑상선 연골부위에 생긴 옹저(쇄후독)【鎖喉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3. 양쪽 가슴 근육 부위에 생긴 저(감저)【甘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4. 단중혈 부위에 생긴 저(단중저)【膻中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5. 명치 아래에 생긴 저(비발저)【脾發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56. 명치의 중정혈 부위에 생긴 저(정저)【井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7. 가슴 옆과 젖에 벌집 모양으로 생긴 저(봉와저)【蜂窩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8. 목 아래 결분혈 부위에 생긴 저(두저)【蠹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9. 젖 가에 생긴 옹(기력옹)【𤷍癧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0. 유옹【乳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찜질하는 법【傅熨】 5) 침과 뜸【砭焫】
61. 배에 생긴 옹(유옹)【幽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2. 중완혈 부위에 생긴 저(중완저)【中脘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3. 하완혈 부위에 생긴 저(충저)【衝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4. 배꼽에 생긴 옹(제옹)【臍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뿌리는 법【搽摻】
65. 아랫배에 생긴 저(소복저)【少腹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6. 뱃가죽 사이에 생긴 옹(복피옹)【腹皮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7. 아랫배 양쪽에 생긴 저(완저)【緩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8. 겨드랑이에 생긴 옹(액옹)【腋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9. 겨드랑이에 생긴 저(액저)【腋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0. 겨드랑이 아래에 생긴 정창(암정)【黯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1. 겨드랑이에서 냄새가 나는 증상(액취)【腋臭】 1) 형증【形證】 2) 바르거나 뿌리는 법【塗糝】
72. 옆구리에 생긴 저(늑저)【肋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3. 옆구리 아래에 생긴 저(연저)【淵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74. 가슴과 배 부위에 생기는 단독(내발단독)【內發丹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75. 옆구리에 생긴 옹(협옹)【脅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권19(총78)
Ⅰ. 외과【外科】
1. 장부 또는 홍복 부위에 생긴 모든 옹(내옹총방)【內癰總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싸매는 법【傅紝】
2. 폐옹【肺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3. 대소장옹【大小腸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고 붙이는 법【傅貼】 5) 침과 뜸【砭焫】
4. 위옹【胃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5. 비옹【脾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6. 간옹【肝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 심옹【心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8. 신옹【臂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9. 삼초옹【三焦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0. 어깨 부위에 생기는 옹저(견중저)【肩中疽】부록:건저․과견저【附 乾疽․過肩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1. 어깨나 겨드랑이에 생기는 옹저(요저)【髎疽】 부록 : 견풍독【附 肩風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2. 어깨 앞 겨드랑이에 생기는 옹저(악저)【樂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3. 팔꿈치 위쪽에 생기는 옹저(노옹)【臑癰】 부록 : 우포독【附 藕包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4. 팔꿈치 뒤쪽 청령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어두발)【魚肚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5. 팔꿈치 위쪽 천정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석류저)【石榴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6. 팔꿈치 부위에 생기는 옹저(주옹)【肘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7. 팔의 수양명경 부위에 생기는 옹저(비옹)【臂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8. 손목 뒤쪽에 생기는 옹저(완옹)【腕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9. 손목 안쪽 태연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태저)【兌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0. 팔의 간사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천골저)【穿骨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1. 팔의 바깥측면 대골 부위에 생기는 옹저(골루저)【骨螻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2. 팔 안쪽에 생기는 옹저(누고관)【螻蛄串】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3. 손등에 생기는 옹저(수발배)【手發背】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4. 손바닥 가운데 생기는 옹저(장심독)【掌心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5. 엄지와 검지 사이 합곡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호구저)【虎口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6. 손등에 새우 모양으로 생기는 옹저(병하)【病鰕】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7.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 사이에 생기는 옹저(수아발)【手丫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8. 엄지에 생기는 옹저(조저)【調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9.손가락 끝에 생기는 옹저(사두정)【蛇頭疔】 부록 : 천사독【附 天蛇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쏘이거나 바르는 법【熏塗】
30. 손톱 모서리에 박혀있는 뱀눈처럼 붉은 빛의 옹저(사안정)【蛇眼疔】 부록 : 사배정․와절정․사복정․이추저【附 蛇背疔․蛙節疔․蛇腹疔․泥鰌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1. 손톱 속살에 생기는 옹저(대지)【代指】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32. 손가락 뼈마디에 생기는 옹저(강랑주)【蜣蜋蛀】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3. 양 손바닥에 생기는 옹저(과창)【瘑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塗】
34. 사마귀 독에 생기는 상처(호뇨자)【狐尿刺】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5. 매독의 여독으로 손바닥 껍질이 벗겨지는 증상(아장풍)【鵝掌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5) 침과 뜸【砭焫】
36. 항문의 주위에 생기는 옹저(현옹)【懸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싸매는 법【傅紝】 5) 침과 뜸【砭焫】
37. 회음혈에 생기는 발저(천당발)【穿檔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8. 사타구니에 생기는 옹저(과마옹)【跨馬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9. 서혜부에 생기는 옹저(변독)【便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40. 음경에 생긴 창(감창)【疳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고 씻는 법【傅洗】
41. 음모에 사는 사면발니로 인한 창(음슬창)【陰蝨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5) 몸조리하는 법【調將】
42. 음낭에 생기는 옹(신낭옹)【腎囊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糝貼】
43. 음낭에 생긴 풍창(신낭풍)【腎囊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문지르는 법【塗擦】
44. 꼬리뼈 부위에 생기는 저(관구저)【鸛口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5. 꼬리뼈에 생기는 옹(좌마옹)【坐馬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6. 볼기에 생기는 옹(둔옹)【臀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7. 볼기와 허벅지 간에 생기는 옹(상마옹 하마옹)【上馬癰․下馬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8. 꼬리뼈 장강혈 부위에 생기는 옹저(용천저)【涌泉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9. 볼기와 허벅지 사이에 생기는 창(좌판창)【坐板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0. 항문 안팎에 생기는 종기(장독)【臟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1. 치질(치창)【痔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뿌리는 법【傅搽】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묶거나 막는 법【紝塞】 7) 침과 뜸【砭焫】 8) 몸조리 하는 법【調將】
52. 항문이 빠지는 증상(탈항)【脫肛】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뿌리는 법【傅糝】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권20(총79) Ⅰ. 외과【外科】 1. 허벅지 바깥쪽에 생기는 저(부골저)【附骨疽】부록 : 허벅지 안쪽에 생기는 저(교골저)【咬骨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김을 쏘이거나 붙이는 법【熏貼】 5) 침과 뜸【砭焫】
2. 서혜부와 음낭 사이에 생기는 저(고음저)【股陰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3. 서혜부 좌측과 우측에 생기는 저(횡현저 음저)【橫痃疽·陰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 무릎 위쪽 허벅지 복토혈에 생기는 저(복토저)【伏兎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5. 허벅지 바깥쪽 고관절 부위에 생기는 저(고양저)【股陽疽】부록:환도혈 부위에 생기는 저(환도저)【附 環跳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6. 허벅지 위쪽에 생기는 옹(두문옹)【肚門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7. 양 허벅지 앞뒤에 생기는 풍창(퇴유풍)【腿遊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8. 신이 허하여 정강이에 생기는 풍창(신풍창)【腎風瘡】부록:정강이에 생기는 창(하주창)【附 下疰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5) 몸조리 하는 법【調將】
9. 슬개골 부위에 생기는 옹(슬옹)【膝癰】부록:비저【附 疪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0. 슬안풍【膝眼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1. 이질 후유증으로 학의 무릎처럼 야위는 증상(학슬풍)【鶴膝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침과 뜸【砭焫】
12. 슬개골 부위에 생기는 저(하석저)【下石疽】부록:완저【附 緩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3. 무릎 안쪽 위중혈에 생긴 종기(위중독)【委中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침과 뜸【砭焫】
14. 오금의 양 끝이 붓는 증상(상수어)【上水魚】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5. 무릎이나 팔꿈치에 사람 얼굴처럼 이목구비가 보이는 창(인면창)【人面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6. 무릎 아래 족삼리혈에 생기는 발저(삼리발)【三里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7. 장딴지에 생기는 발저(비천발)【腓腨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8. 장딴지에 미꾸라지 모양으로 생기는 발저(황추옹)【黃鰍癰】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9. 장딴지 아래 생기는 뱀 대가리 모양의 종기(청사독)【靑蛇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0. 경골과 발꿈치뼈(종골)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발저(접골발)【接骨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1. 삼음교혈 부위에 생기는 저(부음저)【附陰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2. 안쪽 복사뼈 근처에 생기는 저(내과저 과저)【內踝疽·踝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3. 복사뼈에 생기는 저(천과저)【穿踝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4. 정강이에 생겨서 돌아다니는 창(습독유주)【濕毒流注】부록:과등전【附 瓜藤纏】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25. 정강이에 생기는 창(염창)【臁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糝】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7) 몸조리 하는 법【調將】
26. 장딴지에 생기는 습창(선루)【鱔漏】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27. 정강이나 오금에 생기는 저(풍저)【風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지지는 법【塗烙】
28. 발등에 생기는 저(족발배)【足發背】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29. 발바닥 용천혈 부위에 생기는 저(용천저)【涌泉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0. 발가락 사이에 생기는 저(탈저)【脫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摻貼】 5) 침과 뜸【砭焫】
31. 발가락에 생기는 저(돈저)【敦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32. 발톱에 생기는 저(갑저)【甲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33. 발꿈치에 생기는 저(족근저)【足跟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4. 발 옆에 생기는 옹저(여옹)【厲癰】부록:발 아래위로 생긴 옹저(사음)【附 四淫】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5. 발가락이 짓무르는 증상(취전라)【臭田螺】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뿌리는 법【傅摻】
36. 발꿈치와 발닥이 부어 걸을 수 없는 증상(우정건)【牛程蹇】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찜질하는 법【傅熨】
37. 발꿈치 옆에 밤처럼 생긴 종기(토율)【土栗】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38. 발꿈치 밑에 생긴 정창(냉정)【冷疔】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는 법【傅搽】
39. 티눈(육자)【肉刺】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는 법【傅搽】
40. 정창【疔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5) 찜질하거나 씻는 법【熨洗】 6) 침과 뜸【砭焫】 7) 몸조리하는 법【調將】
41. 몸의 여러 부위에 돌아다니는 골저(유주골저)【流注骨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42. 오래된 창이 아물지 않고 뼈가 드러나는 증삳(다골저)【多骨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비벼넣거나 붙이는 법【紝貼】 4) 김을 쏘이거나 찜질하는 법【熏熨】 5) 침과 뜸【砭焫】
43. 팥알같은 것이 줄지어 있는 저(표저)【瘭疽】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뿌리거나 붙이는 법【摻貼】 5) 김을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44. 기혈이 몰리고 뭉쳐 생긴 멍울(영류)【癭瘤】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바르는 법【傅貼】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 하는 법【調將】
45. 화열이 뭉쳐 단단해진 증상(결핵)【結核】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46. 사지가 접하는 부분에 생기는 발저(고발)【痼發】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47. 창에 구멍이 뚫리고 고름이 나오는 증상(누창)【瘻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붙이거나 씻는 법【傅洗】
권21(총80) Ⅰ. 외과【外科】 1. 옴과 버짐(개선)【疥癬】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는 법【傅搽】 5)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6) 침과 뜸【砭焫】
2. 매독(양매창)【楊梅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搽洗】 5) 연기를 쏘이거나 등불을 쪼이는 법【熏照】 6) 몸조리하는 법【調將】
3. 나병(나풍)【癩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연기를 쏘이거나 씻는 법【熏洗】 5) 침과 뜸【砭焫】 6) 몸조리하는 법【調將】
4. 검은색 나풍과 흰색 나풍(오백라)【烏白癩】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5. 페열과 풍독으로 생기는 나풍의 일종(폐풍창)【肺風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는 법【傅搽】
6. 삼음경에 풍열이 들어와 울화된 증상(혈풍창)【血風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7. 열독으로 생긴 붉은색 창(열표창)【熱熛瘡】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8. 한 곳에서 몸 전체로 번지는 창(침음창)【浸淫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9. 여름에 땀이 흘러 생긴 창(땀띠, 좌비창)【痤疿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뿌리거나 씻는 법【糝洗】
10. 좁쌀처럼 생긴 가려운 창(속창)【粟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11. 헝겊조각 같이 생긴 가려운 창(배뢰)【㾦癗】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2. 좁쌀같이 생긴데서 노란물이 터져 나오는 창(황수창)【黃水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는 법【傅搽】
13. 고양이 눈 모양으로 광채가 나는 창(묘안창)【貓眼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4. 물고기 등 모양의 창(어척창)【魚脊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5. 피부를 긁으면 흰 껍질이 일어나는 창(백비창)【白疕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16. 꽃잎이 뒤집어진 모양의 창(번화창)【飜花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묶는 법【傅紝】
17. 뱀 모양의 창과 물고기 모양의 창(사전창 어목창)【蛇纏瘡魚目瘡】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바르는 법【傅搽】
18. 뺨과 정수리가 짓무르는 창(추창)【㿐瘡】 1) 형증【形證】 2)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19. 화상(탕화창)【湯火瘡】부록:뜸으로 생긴 창(구창)【附 灸瘡】 1) 치료법【治法】 2) 탕액【湯液】 3) 바르거나 붙이는 법【傅貼】
20. 동상(동창)【凍瘡】부록:준창【附 皴瘡】 1) 형증【形證】 2) 바르거나 붙이는 법【塗貼】
21. 칠창【漆瘡】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4) 금기【禁忌】
22. 장창【杖瘡】 1) 치료법【治法】 2) 탕액【湯液】 3) 바르거나 씻는 법【傅洗】 4) 침과 뜸【砭焫】 5) 몸조리하는 법【調將】
23. 파상풍【破傷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연기를 쏘이는 법【傅熏】
24. 두드러기(은진)【癮疹】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5) 몸조리하는 법【調將】
25. 피부에 적색 또는 백색의 구름처럼 돌아다니는 증상(적백유풍)【赤白遊風】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26. 피부에 동전같은 붉은 반점이 보이는 증상(단독)【丹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바르거나 씻는 법【塗洗】 5) 침과 뜸【砭焫】
27. 가려움증(소양)【瘙痒】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탕액【湯液】 4) 비비거나 씻는 법【摩洗】
28. 몸에 희거나 보라색의 반점이 생기는 증상(역양전풍)【癧瘍癜風】 1) 형증【形證】 2) 탕액【湯液】 3) 비비거나 씻는 법【擦洗】 4) 침과 뜸【砭焫】
29. 사마귀(우지)【疣痣】 1) 형증【形證】 2) 치료법【治法】 3) 뿌리거나 씻는 법【點洗】 4) 침과 뜸【砭焫】 5) 푸닥거리(양법)【禳法】
-권22(총81)-
Ⅰ. 비급【備急】
1. 제상【諸傷】
1) 금촉【金鏃】(15개)
상맥도傷脈度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難治 장과 배를 다쳐 밖으로 나온 것腸肚傷出外 어혈을 풀어주고 피를 멎게 하는 법逐瘀止血 통증을 진정시키고 새살이 돋게하고 창구를 아물게 함定痛生肌合瘡 내루內漏 민절오심悶絶惡心 중풍중습中風中濕 깊은 속을 침범하여 피가 나는 것犯內血出 힘줄을 잇고 뼈를 붙이는 법續筋接骨 혀를 붙이고 목을 꿰매는 법接舌縫頸 쇠화살촉이 살이 뼈에 박혀 나오지 않는 것金鏃中肉中骨不出 화살의 독을 풀어주는 약解藥箭毒 침창針瘡 금기禁忌
2) 넘어지고 맞거나 떨어지고 눌려서 생긴 상처【跌撲墮壓傷】(11개)
맥 보는 법脈度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과 쉬운 증상難易治 떨어지거나 눌려서 갑자기 죽게 된 것墮壓卒死 피가 나오지 않은 경우와 이미 나온 경우를 구분해서 치료하는 법治分未出血已出血 어혈을 몰아내고 혈을 고르게 하는 법逐瘀調血 출혈을 멎게 하고 통증을 진정시키는 법止血定痛 붓기를 가라앉히고 흉터를 없애는 법消腫滅痕 뼈를 맞추고 근육을 잇는 법接骨續筋 손으로 뼈를 맞추는 법正骨手法 귀․눈․코․혀의 상처를 치료하는 법療傷損耳目鼻舌 금기禁忌
3) 대나무와 나무가시가 살에 들어간 것【竹木骨刺傷】(2개)
대나무가 살 속으로 들어간 것竹木入肉 뼛조각이 살에 박힌 것骨刺入肉
4) 온갖 동물에게 다친 것【諸獸傷】부록: 사람에게 물린 상처【人咬傷附見】(8개)
곰이나 호랑이에게 다친 것熊虎傷 말이나 나귀에게 상한 것馬驢傷 소나 돼지에게 다친 것牛猪傷 고양이나 쥐에게 다친 것貓鼠傷 미친개에게 물린 상처猘犬傷 개에게 물리면 뜸을 떠야 한다犬咬宜灸 개에게 물렸을 때의 금기사항犬咬禁忌 사람에게 물린 상처人咬傷
5) 벌레에게 물린 상처【諸蟲傷】(13개) 뱀에게 물린 상처蛇虺傷 독사가 몸은 감은 것毒蛇纏身 전갈에게 쏘인 것蝎螫傷 지네에게 물린 것蜈蚣傷 거미에게 물린 것蜘蛛傷 지렁이의 독이 오른 것蚯蚓傷 그리마의 오줌에 중독된 것蠼螋傷 벌이나 전갈에 쏘인 것蜂蠆傷 누에의 독이 오른 것蠶咬傷 달팽이의 독이 오른 것蝸牛傷 땅강아지에게 물린 것螻蛄傷 납거미에게 물린 것壁鏡傷 각종 벌레에게 물린 것을 두루 치료하는 법通治諸蟲傷 6) 잘못해서 이물질을 삼킨 경우【誤呑諸物】(5개) 잘못해서 금․은․동․철을 삼킨 것誤呑金銀銅鐵 잘못해서 대나무나 나무가시를 삼킨 것誤呑竹木 잘못해서 뼈나 생선가시를 삼킨 것誤呑骨鯁 잘못해서 거머리를 삼켰을 때誤呑水蛭 각종 이물질이 목에 걸린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物哽喉 7)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諸物入竅】(3개) 온갖 것들이 눈에 들어간 것諸物入目 이물질이 귀에 들어간 것諸物入耳 뱀이 일곱 구멍으로 들어간 것蛇入七竅
2. 해독【解毒】 1) 각종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毒】(2개) 독에 중독되었을 때는 토하거나 설사하게 해야 한다中毒宜吐下 각종 약으로 인한 독을 풀어주는 법解諸藥毒 2) 쇠와 돌의 독【金石毒】(15개) 생금의 독生金毒 생은의 독生銀毒 구리와 주석의 독銅錫毒 비상의 독砒石毒 여석의 독礜石毒 노사의 독硇砂毒 유황의 독硫黃毒 웅황의 독雄黃毒 단사의 독丹砂毒 수은과 경분의 독水銀輕粉毒 석영의 독石英毒 종유석의 독鍾乳毒 석탄의 독石炭毒 소금물의 독鹽滷毒 쇠나 돌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金石毒 3) 초목의 독【草木毒】(24개) 구문의 독鉤吻毒 사망의 독射罔毒 오두․부자․천웅의 독烏頭․附子․天雄毒 서망의 독鼠莽毒 양척촉의 독羊躑躅毒 낭독의 독狼毒毒 방규의 독防葵毒 낭탕의 독莨菪毒 산우의 독山芋毒 대극의 독大戟毒 감수의 독甘遂毒 원화의 독芫花毒 선모의 독仙茅毒 여로의 독藜蘆毒 반하와 천남성의 독半夏․南星毒 쑥잎의 독艾葉毒 연초의 독煙草毒 파두의 독巴豆毒 계수나무의 독桂毒 동유의 독桐油毒 고련의 독苦練毒 상백피의 독桑白皮毒 촉초의독蜀椒毒 매탄의독煤炭毒 4) 과일과 채소의 독【菓蓏蔬菜毒】(17개) 배의 독梨毒 복숭아의 독桃毒 석류의 독石榴毒 행인의 독杏仁毒 은행의 독銀杏毒 수박의 독西瓜毒 고호의 독苦瓠毒 참외꼭지의 독瓜蔕毒 길경의 독桔梗毒 미나리의 독水芹毒 수낭탕의 독水莨菪毒 상추의 독萵苣毒 번초의 독番椒毒 야우의 독野芋毒 야생 버섯의 독野菌毒 해초의 독海菜毒 과일과 채소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菓蓏․蔬菜毒 5) 벌레와 생선의 독【蟲魚毒】(15개) 반모․원청․메뚜기의 독斑蝥․芫靑․樗鷄毒 지네의 독蜈蚣毒 쥐며느리의 독䗪蟲毒 물벌레의 독水蟲毒 남사 머리의 독藍蛇頭毒 하마의 독蝦蟆毒 복어의 독河豚毒 황상어의 독黃鱨魚毒 선어의 독鱓魚毒 후이어의 독鯸鮧魚毒 새우의 독鰕毒 말조개의 독馬刀毒 자라의 독鼈毒 게의 독蟹毒 각종 생선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諸魚毒 6) 짐승의 독【禽獸毒】(13개) 짐새의 독鴆毒 꿩고기의 독雉肉毒 산비둘기의 독斑鳩毒 닭고기의 독鷄肉毒 계란의 독鷄子毒 거위와 오리고기의 독鵝鴨肉毒 무소뿔의 독犀角毒 쇠고기의 독牛肉毒 개고기의 독狗肉毒 돼지고기의 독猪肉毒 말고기의 독馬肉毒 말땀의 독馬汗毒 날짐승과 들짐승의 고기를 먹고 중독된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禽獸肉毒 7) 음료수와 음식의 독【飮饌毒】(5개) 술독酒毒 술독을 푸는 법解酒毒 면독麪毒 두부의 독豆腐毒 음료수와 음식의 독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通治飮饌毒 8) 고독【蠱毒】(12개) 맥 보는 법脈度 원인緣起 고독을 시험하는 방법驗蠱法 고독에는 토하는 것이 좋다蠱毒宜吐下 고를 내보내는 법送蠱法 고를 피하는 법辟蠱法 고독에 중독되었을 때 뜸뜨는 법灸蠱法 금기禁忌 금잠의 고독金蠶蠱毒 도생독挑生毒 사공과 계온의 독射工溪溫毒 사슬의 독沙蝨毒
-권23(총82)- Ⅰ. 비급【備急】 1. 기질【奇疾】 1) 여러 가지 급성병【諸般暴病】(11개) 중악객오中惡客忤 귀염鬼魘 귀격鬼擊 시궐尸厥 궐역졸사厥逆卒死 혈궐血厥 탈양脫陽 교장사絞腸沙 우물과 무덤에 들어갔을 때 갑자기 죽는 증상入井塚卒死 선훈船暈 탈함脫頷 2) 여러 가지 괴이한 증상【諸般怪證】(43개) 절장증截腸證 맥일증脈溢證 이가 생겨 살이 허물어짐蝨出肉壞 콧속에서 털이 나오는 증상鼻中出毛 간창증肝漲證 혈궤증血潰證 미모요동眉毛搖動 온 몸에 반점이 생기는 증상渾身發斑 사지가 돌 같이 굳는 증상肢堅如石 화생하어化生鰕魚 손가락을 봉합한 곳에 벌레가 생기는 증상指縫生蟲 피부에서 지렁이 울음소리가 나는 증상皮膚蚓鳴 손바닥에서 살이 일어나는 증상掌中肉起 내추증內錐證 화생금수化生禽獸 복여철석腹如鐵石 편신작성遍身作聲 혈옹증血壅證 혈여증血餘證 피하유충皮下有蟲 기출반선氣出盤旋 혼신료포渾身燎疱 인신작양人身作兩 근해증筋解證 신종여사身腫如蛇 신유광색身有光色 비사전음飛絲纏陰 두종시소頭腫視小 안견묘귀眼見貓鬼 시물도식視物倒植 안견오색眼見五色 합정질蛤精疾 견수기색見水氣塞 토장증吐腸證 흡시증吸匙證 흡고증吸藁證 주양증走陽證 서격병鼠膈病 오절자액사五絶自縊死 익수사溺水死 동사凍死 갈사暍死 아사餓死
2. 벽양【辟禳】 1) 온병을 쫓아내는 법【辟瘟】(5개) 복이服餌 불양祓禳 훈소熏燒 부주符呪 입역가불전염법入疫家不傳染法 2) 학질을 쫓아내는 법【辟瘧】(3개) 복이服餌 불양祓禳 부주符呪 3) 삼시를 쫓아내는 법【辟三尸】(2개) 불양祓禳 부주符呪 4) 사매를 쫓아내는 법【辟邪魅】(9개) 복이服餌 불양祓禳 훈소熏燒 벽호매辟狐魅 벽수매辟水魅 벽망량작괴辟魍魎作怪 벽몽염辟夢魘 벽저주치사수辟咀呪致邪祟 벽범태세병辟犯太歲病 5) 벌레들을 쫓아내는 법【辟諸蟲】(15개) 이를 쫓는 법辟蝨 머릿니를 쫓는 법辟頭蝨 개에 사는 이를 쫓는 법辟狗蝨 빈대를 쫓는법辟壁蝨 모기를 쫓는 법辟蚊 파리를 쫓는 법辟蠅 지네를 쫓는 법辟蜈蚣 그리마를 쫓는 법辟蚰蜒 땅강아지와 개미를 쫓는 방법辟螻蟻 개구리를 쫓는 법辟蛙 잡벌레를 쫓는 법辟雜蟲法 부엌에 사는 여러 벌레들을 쫓는 법辟廚間諸蟲 우물 속 여러 벌레들을 쫓는 법辟井中諸蟲 여러 벌레들이 등불에 날아드는 것을 쫓는 법辟諸蟲撲燈 뱀과 살모사를 쫓는 법辟蛇虺 6) 짐승들을 쫓아내는 법【辟鳥獸】(4개) 제비를 쫓는 법辟燕 올빼미와 부엉이를 쫓는 법辟梟鵂 쥐를 쫓는 법辟鼠 호랑이와 표범을 쫓는 법辟虎豹
-권24(총83)- Ⅰ. 부여【附餘】 1. 약 만들기【炮製序例】 1) 약의 품질【論藥品】(2개) 진짜와 가짜 판별법辨眞僞 신선한 것과 묵은 것선택하기擇新陳 2) 약의 성질【論藥性】(3개) 뿌리․잔뿌리․꽃․열매의 차이根梢花實之異 함께 사용하는 약들諸藥相須 여러 가지 상반약諸藥相反 3) 약을 손질하는 방법【論修製】(3개) 생 것을 쓰는 것과 익힌 것을 쓰는것生用熟用 불과물을 사용하여 수치하는방법火製水製 수치하는 방법諸藥修製法 4) 약의 분량을 재는 방법【論分劑】(4개) 무게를 재는 법秤輕重 부피를 재는 법量多少 부피와 무게를 환산하여 바르게 내는 법秤量互用得正 도규와 방촌시를 구별하는 방법辨刀圭方寸匕諸法 5) 약을 합하는 방법【論合藥】(4개) 탕제․산제․환제의 차이湯散丸之異 탕제를 만드는 법製湯劑法 산제를 만드는 방법製散劑法 환제를 만드는 방법製丸劑法 6) 약을 달이는 방법【論煮藥】(8개) 물의 종류擇水品 불을 살피는 방법調火候 기구를 선택하기選器具 약을 달이는 기준煎藥准則 약에는 먼저 달이는 약과 뒤에 넣는 약이 있다藥有先煎後調 재탕에 대한 생각辨藥渣再煎 고약을 달이는 법煎膏藥法 약을 술에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7) 약을 복용하는 방법【論服藥】(3개) 탕제를 복용하는 방법服湯劑法 산제복용방법服散劑法 환제복용법服丸劑法 8) 여러 가지 금기【禁忌諸法】(4개)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忌煙火藥 약을 복용할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약을 만들거나 복용할 때의 금기사항合藥服藥雜忌 9) 그 밖의 제조 방법【製造雜方】(31개) 건지황乾地黃 숙지황熟地黃 남성국南星麴 우담남성牛膽南星 반하병半夏餠 반하분半夏粉 반하국半夏麴 천화분天花粉 대두황권大豆黃卷 두시豆豉 두황豆黃 신국神麴 홍국紅麴 건강乾薑 죽력竹瀝 연밀煉蜜 주자랍酒煮蠟 백약전百藥煎 소酥 유부乳腐 아교阿膠 녹각교상鹿角膠霜 녹각분鹿角粉 섬소蟾酥 귀뇨龜尿 해분海粉 인중황人中黃 연상鉛霜 철화분鐵華粉 풍화초風化硝 현명분玄明粉 10) 점성이 있거나 단단한 약재들을 가는 방법【硏粘硬諸藥法】(7개) 등심燈心 봉출蓬朮 토사자兎絲子 침향沈香 유향乳香 맥문동麥門冬 서각犀角
2. 채취하는 시기【收採時令】<상편> 1) 총론【總論】(2개) 정해진 시기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는 이유論不拘時月 햇볕에말리는것,그늘에말리는것,불에말리는것의 다른 점論曝乾陰乾火乾之異 2) 초부【草部】(231개) 감초甘草 황기黃芪 인삼人蔘 사삼沙蔘 제니薺苨 길경桔梗 장송長松 황정黃精 위유萎蕤 지모知母 천마天麻 출朮 구척狗脊 관중貫衆 파극천巴戟天 원지遠志 음양곽淫羊藿 현삼玄蔘 지유地楡 자초紫草 백두옹白頭翁 백급白及 황련黃連 황금黃芩 진교秦艽 시호柴胡 전호前胡 방풍防風 독활獨活 승마升麻 고삼苦蔘 백선白鮮 현호색玄胡索 패모貝母 산자고山慈姑 모근茅根 용담龍膽 세신細辛 마제향馬蹄香 급기及己 서장경徐長卿 백미白薇 백전白前 당귀當歸 천궁芎藭 사상자蛇牀子 고본藁本 백지白芷 작약芍藥 목단牡丹 청목향靑木香 울금鬱金 삼릉三稜 향부자香附子 모향화茅香花 난초蘭草 택란澤蘭 마란馬蘭 향유香薷 형개荊芥 박하薄荷 적설초積雪草 자소紫蘇 계소鷄蘇 감국甘菊 고의苦薏 암려자菴䕡子 애艾 인진호茵蔯蒿 청호靑蒿 백호白蒿 각호角蒿 모호牡蒿 익모초益母草 하고초夏枯草 유기노초劉寄奴草 선복화旋覆花 청상靑葙 계관鷄冠 홍람화紅藍花 대계大薊․소계小薊 속단續斷 누로漏蘆 저근苧根 경마苘麻 대청大靑 여실蠡實 악실惡實 창이蒼耳 지숭地菘 학슬鶴蝨 희렴豨薟 약箬 노근蘆根 파초芭蕉 양하蘘荷 마황麻黃 목적木賊 등초燈草 지황地黃 우슬牛膝 자완紫菀 맥문동麥門冬 훤초萱草 촉규蜀葵 황촉규黃蜀葵 용규龍葵 산장酸漿 패장敗漿 관동화款冬花 서국초鼠麴草 마제결명馬蹄決明 지부자地膚子 구맥瞿麥 왕불류행王不留行 정력葶藶 차전車前 마편초馬鞭草 사함蛇含 여청女靑 서미초鼠尾草 한련초旱蓮草 연교連翹 삭조蒴藋 남실藍實 숭람菘藍 남전藍澱 청대靑黛 여뀌蓼 수료水蓼 마료馬蓼 홍초葒草 호장근虎杖根 편축萹蓄 질려蒺藜 곡정초穀精草 해금사海金沙 지오공초地蜈蚣草 자화지정紫花地丁 독용장군獨用將軍 견종소見腫消 대황大黃 상륙商陸 낭독狼毒 낭아狼牙 여여䕡茹 대극大戟 택칠澤漆 속수자續隨子 낭탕자莨菪子 비마蓖麻 상산常山 여로藜蘆 백부자白附子 초오두草烏頭 천남성天南星 반하半夏 자하거紫河車 귀구鬼臼 사간射干 옥잠화玉簪花 봉선화鳳仙花 양척촉羊躑躅 망초莽草 모랑毛莨 토사자菟絲子 오미자五味子 봉류蓬虆 복분자覆盆子 사매蛇苺 마두령馬兜鈴 견우자牽牛子 선화旋花 능소화凌霄花 영실營實 월계화月季花 과루栝樓 왕과王瓜 갈葛 천문동天門冬 하수오何首烏 비해萆薢 발계菝葜 토복령土茯苓 백렴白蘞 여위女萎 위령선威靈仙 천근茜根 통초通草 나마蘿藦 오렴매烏蘞苺 율초葎草 양도羊桃 낙석絡石 벽려薜荔 인동忍冬 남등南藤 택사澤瀉 양제근羊蹄根 산모酸模 창포菖蒲 포황蒲黃 과菰 수평水萍 행채莕菜 순蓴 해조海藻 해대海帶 곤포昆布 석곡石斛 골쇄보骨碎補 석위石韋 금성초金星草 경천景天 석호유石胡荽 경면초鏡面草 초장초酢漿草 지금地錦 백용수白龍鬚 정중태井中苔 선저태船底苔 지의초地衣草 환의垣衣 와의瓦衣 와송瓦松 오구烏韭 토마종土馬騣 권백卷柏 상화桑花 마발馬勃
-권25(총84)- Ⅰ. 부여【附餘】 1. 채취하는 시기【收採時令】<하편> 1) 곡부(곡식)【穀部】(42개) 호마胡麻 지마脂麻 대마大麻 소맥小麥 대맥大麥 작맥雀麥 교맥蕎麥 나미糯米 갱미粳米 직稷 서黍 촉서蜀黍 옥촉서玉蜀黍 량粱 속미粟米 출미秫米 의이薏苡 앵자속罌子粟 아부용阿芙蓉 대두大豆 소두小豆 녹두綠豆 완두豌豆 변두藊豆 두시豆豉 두황豆黃 두부豆腐 진름미陳廩米 한구寒具 증병蒸餠 맥국麥麴 신국神麴 홍국紅麴 도얼稻糱 맥얼麥糱 이당飴糖 장醬 초醋 주酒 소주燒酒 조糟 저두당杵頭糖 2) 채부(채소)【菜部】(55개) 구韭 총葱 호총胡葱 해薤 산蒜 호葫 운대芸薹 숭菘 개芥 백개白芥 무청蕪菁 래복萊菔 생강生薑 건강乾薑 호유胡荽 근芹 근채堇菜 자근紫堇 마근馬芹 회향茴香 시라蒔蘿 나륵羅勒 동규冬葵 파릉菠薐 군달莙薘 번루繁縷 계장초鷄腸草 목숙苜蓿 현莧 마치현馬齒莧 고채苦菜 백거白苣 와거萵苣 번백초翻白草 포공영蒲公英 즙蕺 교요翹搖 회조灰藋 려藜 제薺 석명菥蓂 서여薯蕷 백합百合 우芋 죽순竹筍 가茄 호로壺盧 고호苦瓠 패표敗瓢 동과冬瓜 호과胡瓜 사과絲瓜 목이木耳 토균土菌 석이石耳 3) 과부(과일)【果部】(40개) 리李 행杏 매梅 도桃 율栗 조棗 리梨 녹리鹿梨 당리棠梨 목과木瓜 산사山樝 임금林檎 시柿 석류石榴 귤피橘皮 감柑 등橙 유柚 앵도櫻桃 은행銀杏 호도胡桃 진榛 상실橡實 곡槲 비실榧實 해송자海松子 진초秦椒 촉초蜀椒 식수유食茱萸 명茗 첨과甜瓜 서과西瓜 포도葡萄 영욱蘡薁 미후도獼猴桃 연蓮 기실芰實 검실芡實 오우烏芋 자고慈姑 4) 목부(나무)【木部】(53개) 백柏 송松 삼杉 정향丁香 자단紫檀 안식향安息香 황벽黃檗 춘저椿樗 칠漆 재梓 추楸 백동白桐 오동梧桐 앵자동罌子桐 해동海桐 괴槐 진피秦皮 합환목合歡木 조협皂莢 비조협肥皂莢 무환자無患子 거欅 류柳 정류檉柳 수양水楊 백양白楊 유楡 무이蕪荑 소방목蘇方木 화피樺皮 상桑 자柘 저楮 지枳 구귤枸橘 치자梔子 산조酸棗 백극白棘 산수유山茱萸 욱리郁李 서리鼠李 여정女貞 위모衛矛 오가五加 구기枸杞 모형牡荊 만형실蔓荊實 자형紫荊 목근木槿 목부용木芙蓉 복령茯苓 호박琥珀 죽竹 5) 복기부(의복과 기물)【服器部】(25개) 금錦 견絹 백帛 포布 면綿 곤당褌襠 의대衣帶 두건頭巾 피건자皮巾子 패천공敗天公 전체氈屜 피화皮靴 마혜麻鞋 초혜草鞋 지紙 전箭 궁노현弓弩弦 소비梳篦 포석蒲席 칠기漆器 패선여敗船茹 증甑 폐추弊帚 우비권牛鼻牶 측주廁籌 6) 고부(벌레)【蠱部】(52개) 봉밀蜂蜜 밀랍蜜蠟 밀봉蜜蜂 토봉자土蜂子 노봉방露蜂房 열옹蠮螉 충백랍蟲白蠟 오배자五倍子 백약전百藥煎 상표초桑螵蛸 작옹雀甕 누에蠶 원잠原蠶 저계樗鷄 조묘棗貓 반모斑蝥 원청芫靑 갈상정장葛上亭長 지담地膽 지주蜘蛛 초지주草蜘蛛 벽전壁錢 수질水蛭 저蛆 우슬牛蝨 인슬人蝨 제조蠐螬 상두충桑蠹蟲 류두충 도두충桃蠹蟲 죽두충竹蠹蟲 창이두충蒼耳蠹蟲 책선蚱蟬 강랑蜣蜋 천우天牛 누고螻蛄 형화螢火 의어衣魚 서부鼠婦 자충蟅蟲 맹충蝱蟲 죽슬竹蝨 섬여蟾蜍 하마蝦蟆 와蛙 과두蝌蚪 오공蜈蚣 구인蚯蚓 와우蝸牛 활유蛞蝓 연상라緣桑蠃 회충蚘蟲 7) 인부(물고기)【鱗部】(45개) 용龍 능리鯪鯉 석룡자石龍子 수궁守宮 사태蛇蛻 백화사白花蛇 오사烏蛇 수사水蛇 황함사黃頷蛇 적련사赤楝蛇 복사蝮蛇 훼虺 잉어鯉魚 준어鱒魚 치어鯔魚 석수어石首魚 륵어勒魚 제어鱭魚 시어鰣魚 창어鯧魚 즉어鯽魚 방어魴魚 노어鱸魚 궐어鱖魚 예어鱧魚 만려어鰻鱺魚 선어鱓魚 추어鰌魚 이어鮧魚 황상어黃顙魚 하돈河豚 비목어比目魚 교어鮫魚 오적어烏賊魚 장어章魚 해요어海鷂魚 문요어文鰩魚 하鰕 해마海馬 축이鱁鮧 어회魚鱠 어자魚鮓 어지魚脂 어린魚鱗 어자魚子 8) 개부(단단한 껍질을 가진 동물)【介部】(20개) 귀龜 대모玳瑁 별鼈 게蟹 모려牡蠣 방蚌 마도馬刀 현蜆 진주眞珠 석결명石決明 해합海蛤 문합文蛤 합리蛤蜊 정蟶 거오車螯 패자貝子 자패紫貝 담채淡菜 전라田蠃 와라蝸蠃 9) 금부(날짐승)【禽部】(31개) 학鶴 관鸛 독추鵚鶖 제호鵜鶘 아鵝 안雁 곡鵠 목鶩 부鳧 비오리 원앙鴛鴦 로鷺 닭鷄 꿩雉 순鶉 합鴿 작雀 호작蒿雀 교부조巧婦鳥 연燕 복익伏翼 반구斑鳩 청초靑鷦 탁목조啄木鳥 오아烏鴉 작鵲 응鷹 치鴟 치휴鴟鵂 효鴞 10) 수부(길짐승)【獸部】(46개) 돼지豕 개狗 양羊 소牛 말馬 당나귀驢 낙타駝 낙酪 연유酥 제호醍醐 유부乳腐 아교阿膠 황명교黃明膠 우황牛黃 구보狗寶 온갖 썩은 뼈諸朽骨 낡은 북가죽敗鼓皮 모전氈 호랑이虎 표범豹 멧돼지野猪 산돼지豪猪 곰熊 산양羚羊 사슴鹿 큰사슴麋 노루麞 작은노루麂 사향노루麝 무소뿔犀角 고양이貓 삵貍 여우狐 담비貉 오소리猯 너구리獾 승냥이豺 이리狼 토끼兎 망가진 붓敗筆 수달水獺 물개膃肭獸 집쥐鼠 두더지鼴鼠 족제비鼬鼠 고슴도치猬 11) 인부(사람의 부속물)【人部】(25개) 발피髮髲 난발亂髮 머리때頭垢 귀지耳塞 손톱爪甲 치아牙齒 인분人屎 인뇨人尿 오줌버캐溺白垽 추석秋石 임석淋石 벽석癖石 유즙乳汁 부인월수婦人月水 사람의 피人血 사람의 정액人精 타액口津唾 치은齒垽 인백人魄 음모陰毛 인골人骨 천령개天靈蓋 태반人胞 포의수胞衣水 막 태어난 아이의 탯줄初生臍帶 12) 수부(물)【水部】(27개) 빗물雨水 장마비潦水 이슬露水 명수明水 서리冬霜 납설臘雪 여름철얼음夏氷 신수神水 반천하수半天河水 옥루수屋漏水 유수流水 정천수井泉水 절기수節氣水 예천醴泉 온천溫泉 벽해수碧海水 염담수鹽膽水 산암천수山岩泉水 지장地漿 열탕熱湯 생숙탕生熟湯 장수漿水 증기수甑氣水 마도수磨刀水 침람수浸藍水 손과 발을 씻은 물洗手足水 아이를 씻긴 물洗兒湯 13) 화부(불)【火部】(6개) 상시화桑柴火 숯불炭火 노화·죽화蘆火․竹火 등불燈火 등화燈花 촉신燭燼 14) 토부(흙)【土部】(38개) 백토白堊 적토赤土 황토黃土 동벽토東壁土 도중열토道中熱土 거련토車輦土 시문토市門土 문지방 아래의 흙戶限下土 신발바닥의 흙鞋底下土 기둥 밑의 흙柱下土 시체를 태운 곳의 흙燒尸場上土 무덤위의 흙塚上土 뽕나무뿌리 아래의 흙桑根下土 제비집의 흙胡燕窠土 나나니벌집土蜂窠 쇠똥구리가 굴리는 흙蜣蜋轉丸 서양토鼠壤土 두더지가 파헤친 흙鼢鼠壤土 개미집흙蟻垤土 지렁이가 배설한 진흙蚯蚓泥 우렁이흙螺螄泥 돼지 여물통 위에 낀 흙猪槽上垢土 개가 오줌 싼 흙犬尿泥 똥구덩이 밑바닥의 흙糞坑底泥 처마 밑 물이 떨어진 곳의 흙簷溜下泥 우물 밑바닥의 흙井底泥 복룡간伏龍肝 토격土墼 하얀 사기그릇白瓷器 오래된 까만 기와烏古瓦 오래된 벽돌古塼 연교煙膠 먹墨 가마솥 밑의 검댕釜臍墨 백초상百草霜 들보위의 먼지梁上塵 단조회鍛竈灰 매운재冬灰 15) 금석부(광물)【金石部】(63개) 금金 은銀 붉은구리赤銅 자연동自然銅 구리의 녹銅靑 납鉛 연상鉛霜 분석粉錫 연단鉛丹 밀타승蜜陀僧 주석錫 오래된 거울古鏡 석동경비錫銅鏡鼻 고문전古文錢 모든 구리그릇諸銅器 생철生鐵 숙철熟鐵 강철鋼鐵 철분鐵粉 침사鍼砂 철락鐵落 철정鐵精 철화분鐵華粉 철수鐵鏽 철열鐵爇 철장鐵漿 쇠로 만든 기물諸鐵器 유리琉璃 운모雲母 백석영白石英 자석영紫石英 석고石膏 옥화석玉火石 이석理石 장석長石 방해석方解石 활석滑石 종유석石鍾乳 석탄石炭 석회石灰 부석浮石 자석慈石 대자석代赭石 우여량禹餘糧 월지越砥 강석薑石 맥반석麥飯石 물속의 하얀 돌水中白石 하사河砂 벽력침霹靂碪 식염食鹽 박초朴消 망초芒消 마아초馬牙消 풍화초風化消 현명분玄明粉 초석消石 석유황石硫黃 석유적石硫赤 반석礬石 녹반綠礬 탕병내감湯甁內鹼 화약火藥
-권26(총85)- Ⅰ. 부여【附餘】 1. 침구수혈【鍼灸腧穴】 1) 몸의 각 부위의 명칭과 위치 그리고 골도법【周身名位骨度】(109개) 두頭 뇌腦 전顚 신顖 면面 안顏 액로額顱 두각頭角 빈골鬢骨 목目 목포目胞 목강目綱 목내자目內眥 목외자目外眥 목주目珠 목계目系 목광골目眶骨 졸䪼 알頞 비鼻 구頄 관顴 함顑 이耳 폐蔽 이곽耳郭 협頰 곡협曲頰 협거頰車 인중人中 구口 순脣 문吻 이頤 해頦 함頷 치齒 설舌 설본舌本 항상頏顙 현옹수懸雍垂 회염會厭 인咽 후喉 후롱喉嚨 익嗌 결후結喉 흉응胸膺 갈우𩩲 우유乳 구미鳩尾 격膈 복腹 제臍 모제毛際 찬篡 고환睪丸 상횡골上橫骨 주골拄骨 견해肩解 우골髃骨 견갑肩胛 비臂 완腕骨 장골掌骨 어魚 수手 수심手心 수배手背 지골指骨 조갑爪甲 기골岐骨 노臑 액腋 협륵脅肋 계협季脅 묘䏚 뇌후골腦後骨 침골枕骨 완골完骨 경항頸項 경골頸骨 항골項骨 배背 려膂 척골脊骨 요골腰骨 신胂 둔臀 고골尻骨 항肛 하횡골·과골·건골下橫骨·髁骨·楗骨 고股 비골髀骨 행골胻骨 복토伏兎 슬해膝解 빈골臏骨 연해連骸 괵膕 천腨 과골踝骨 족足 부골跗骨 족심足心 근골跟骨 지趾 삼모三毛 종踵 2) 수태음폐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太陰肺經流注腧穴】(11개) 소상 2혈少商二穴 어제 2혈魚際二穴 태연 2혈太淵二穴 경거 2혈經渠二穴 열결 2혈列缺二穴 공최 2혈孔最二穴 척택 2혈尺澤二穴 협백 2혈俠白二穴 천부 2혈天府二穴 운문 2혈雲門二穴 중부 2혈中府二穴 3) 수양명대장경의 흐름과 혈자리【手陽明大腸經流注腧穴】(20개) 상양 2혈商陽二穴 이간 2혈二間二穴 삼간 2혈三間二穴 합곡 2혈合谷二穴 양계 2혈陽谿二穴 편력 2혈偏歷二穴 온류 2혈溫留二穴 하렴 2혈下廉二穴 상렴 2혈上廉二穴 삼리 2혈三里二穴 곡지 2혈曲池二穴 주료 2혈肘髎二穴 오리 2혈五里二穴 비노 2혈臂臑二穴 견우 2혈肩髃二穴 거골 2혈巨骨二穴 천정 2혈天鼎二穴 영향 2혈迎香二穴 부돌 2혈扶突二穴 화료 2혈禾髎二穴 4) 족양명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陽明胃經流注腧穴】(45개) 여태 2혈厲兌二穴 내정 2혈內庭二穴 함곡 2혈陷谷二穴 충양 2혈衝陽二穴 해계 2혈解谿二穴 풍륭 2혈豐隆二穴 하거허 2혈下巨虛二穴 조구 2혈條口二穴 상거허 2혈上巨虛二穴 삼리 2혈三里二穴 독비 2혈犢鼻二穴 양구 2혈梁丘二穴 음시 2혈陰市二穴 비관 2혈髀關二穴 복토 2혈伏兔二穴 기충 2혈氣衝二穴 귀래 2혈歸來二穴 수도 2혈水道二穴 대거 2혈大巨二穴 외릉 2혈外陵二穴 천추 2혈天樞二穴 활육문 2혈滑肉門二穴 태일 2혈太一二穴 관문 2혈關門二穴 양문 2혈梁門二穴 승만 2혈承滿二穴 불용 2혈不容二穴 유근 2혈乳根二穴 유중 2혈乳中二穴 응창 2혈膺窓二穴 옥예 2혈屋翳二穴 고방 2혈庫房二穴 기호 2혈氣戶二穴 결분 2혈缺盆二穴 기사 2혈氣舍二穴 수돌 2혈水突二穴 인영 2혈人迎二穴 대영 2혈大迎二穴 지창 2혈地倉二穴 거료 2혈巨髎二穴 사백 2혈四白二穴 승읍 2혈承泣二穴 협거 2혈頰車二穴 하관 2혈下關二穴 두유 2혈頭維二穴 5) 족태음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太陰脾經流注腧穴】(21개) 은백 2혈隱白二穴 대도 2혈大都二穴 태백 2혈太白二穴 공손 2혈公孫二穴 상구 2혈商丘二穴 삼음교 2혈三陰交二穴 누곡 2혈漏谷二穴 지기 2혈地機二穴 음릉천 2혈陰陵泉二穴 혈해 2혈血海二穴 기문 2혈箕門二穴 충문 2혈衝門二穴 부사 2혈府舍二穴 복결 2혈腹結二穴 대횡 2혈大橫二穴 복애 2혈腹哀二穴 식두 2혈食竇二穴 천계 2혈天谿二穴 흉향 2혈胷鄕二穴 주영 2혈周榮二穴 대포 2혈大包二穴 6) 수소음심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少陰心經流注腧穴】(9개) 소충 2혈少衝二穴 소부 2혈少府二穴 신문 2혈神門二穴 음극 2혈陰郤二穴 통리 2혈通里二穴 영도 2혈靈道二穴 소해 2혈少海二穴 청령 2혈靑靈二穴 극천 2혈極泉二穴 7) 수태양소장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太陽小腸經流注腧穴】(19개) 소택 2혈少澤二穴 전곡 2혈前谷二穴 후계 2혈後谿二穴 완골 2혈腕骨二穴 양곡 2혈陽谷二穴 양로 2혈養老二穴 지정 2혈支正二穴 소해 2혈小海二穴 견정 2혈肩貞二穴 노수 2혈臑腧二穴 천종 2혈天宗二穴 병풍 2혈秉風二穴 곡원 2혈曲垣二穴 견외수 2혈肩外腧二穴 견중수 2혈肩中腧二穴 천용 2혈天容二穴 천창 2혈天窓二穴 관료 2혈顴髎二穴 청궁 2혈聽宮二穴 8) 족태양방광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太陽膀胱經流注腧穴】(63개) 지음 2혈至陰二穴 통곡 2혈通谷二穴 속골 2혈束骨二穴 금문 2혈金門二穴 경골 2혈京骨二穴 신맥 2혈申脈二穴 복참 2혈僕參二穴 곤륜 2혈崑崙二穴 부양 2혈付陽二穴 비양 2혈飛陽二穴 승산 2혈承山二穴 승근 2혈承筋二穴 합양 2혈合陽二穴 위중 2혈委中二穴 위양 2혈委陽二穴 부극 2혈浮郄二穴 은문 2혈殷門二穴 승부 2혈承扶二穴 질변 2혈秩邊二穴 포황 2혈胞肓二穴 지실 2혈志室二穴 황문 2혈肓門二穴 위창 2혈胃倉二穴 의사 2혈意舍二穴 양강 2혈陽綱二穴 혼문 2혈魂門二穴 격관 2혈膈關二穴 의의 2혈譩譆二穴 신당 2혈神堂二穴 고황수 2혈膏肓腧二穴 백호 2혈魄戶二穴 부분 2혈附分二穴 회양 2혈會陽二穴 하료 2혈下髎二穴 중료 2혈中髎二穴 차료 2혈次髎二穴 상료 2혈上髎二穴 백환수 2혈白環腧二穴 중려내수 2혈中膂內腧二穴 방광수 2혈膀胱腧二穴 소장수 2혈小腸腧二穴 대장수 2혈大腸腧二穴 신수 2혈腎腧二穴 삼초수 2혈三焦腧二穴 위수 2혈胃腧二穴 비수 2혈脾腧二穴 담수 2혈膽腧二穴 간수 2혈肝腧二穴 격수 2혈膈腧二穴 심수 2혈心腧二穴 궐음수 2혈厥陰腧二穴 폐수 2혈肺腧二穴 풍문 2혈風門二穴 대저 2혈大杼二穴 천주 2혈天柱二穴 옥침 2혈玉枕二穴 낙각 2혈絡却二穴 통천 2혈通天二穴 승광 2혈承光二穴 오처 2혈五處二穴 곡차 2혈曲差二穴 찬죽 2혈攢竹二穴 정명 2혈睛明二穴 9) 족소음신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少陰腎經流注腧穴】(26개) 용천 2혈湧泉二穴 연곡 2혈然谷二穴 태계 2혈太谿二穴 태종 2혈太鍾二穴 조해 2혈照海二穴 수천 2혈水泉二穴 부류 2혈復溜二穴 교신 2혈交信二穴 축빈 2혈築賓二穴 음곡 2혈陰谷二穴 횡골 2혈橫骨二穴 대혁 2혈大赫二穴 기혈 2혈氣穴二穴 사만 2혈四滿二穴 중주 2혈中注二穴 황수 2혈肓腧二穴 상곡 2혈商谷二穴 석관 2혈石關二穴 음도 2혈陰都二穴 통곡 2혈通谷二穴 보랑 2혈步郞二穴 신봉 2혈神封二穴 영허 2혈靈墟二穴 신장 2혈神藏二穴 욱중 2혈彧中二穴 수부 2혈腧府二穴 10) 수궐음심포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厥陰心包經流注腧穴】(9개) 중충 2혈中衝二穴 노궁 2혈勞宮二穴 대릉 2혈大陵二穴 내관 2혈內關二穴 간사 2혈間使二穴 극문 2혈郄門二穴 곡택 2혈曲澤二穴 천천 2혈天泉二穴 천지 2혈天池二穴 11) 수소양삼초경의 흐름과 혈자리【手少陽三焦經流注腧穴】(23개) 관충 2혈關衝二穴 액문 2혈液門二穴 중저 2혈中渚二穴 양지 2혈陽池二穴 외관 2혈外關二穴 지구 2혈支溝二穴 회종 2혈會宗二穴 삼양락 2혈三陽絡二穴 사독 2혈四瀆二穴 천정 2혈天井二穴 청냉연 2혈淸冷淵二穴 소락 2혈消濼二穴 노회 2혈臑會二穴 견료 2혈肩髎二穴 천료 2혈天髎二穴 천유 2혈天牖二穴 예풍 2혈翳風二穴 계맥 2혈瘈脈二穴 노식 2혈顱息二穴 사죽공 2혈絲竹空二穴 각손 2혈角孫二穴 화료 2혈和髎二穴 이문 2혈耳門二穴 12) 족소양담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少陽膽經流注腧穴】(45개) 규음 2혈竅陰二穴 협계 2혈俠谿二穴 지오회 2혈地五會 임읍 2혈臨泣二穴 구허 2혈丘墟二穴 현종 2혈懸鍾二穴 양보 2혈陽輔二穴 광명 2혈光明二穴 외구 2혈外丘二穴 양교 2혈陽交二穴 양릉천 2혈陽陵泉二穴 양관 2혈陽關二穴 중독 2혈中瀆二穴 풍시 2혈風市二穴 환도 2혈環跳二穴 거료 2혈居髎二穴 유도 2혈維道二穴 오추 2혈五樞二穴 대맥 2혈帶脈二穴 경문 2혈京門二穴 일월 2혈日月二穴 첩근 2혈輒筋二穴 연액 2혈淵腋二穴 견정 2혈肩井二穴 풍지 2혈風池二穴 뇌공 2혈腦空二穴 승령 2혈承靈二穴 정영 2혈正營二穴 목창 2혈目窓二穴 임읍 2혈臨泣二穴 양백 2혈陽白二穴 본신 2혈本神二穴 완골 2혈完骨二穴 규음 2혈竅陰二穴 부백 2혈浮白二穴 각손 2혈角孫二穴 천충 2혈天衝二穴 솔곡 2혈率谷二穴 곡빈 2혈曲鬚二穴 현리 2혈懸釐二穴 현로 2혈懸顱二穴 함염 2혈頷厭二穴 객주인 2혈客主人二穴 청회 2혈聽會二穴 동자료 2혈瞳子髎二穴 13) 족궐음간경의 흐름과 혈자리【足厥陰肝經流注腧穴】(13개) 대돈 2혈大敦二穴 행간 2혈行間二穴 태충 2혈太衝二穴 중봉 2혈中封二穴 여구 2혈蠡溝二穴 중도 2혈中都二穴 슬관 2혈膝關二穴 곡천 2혈曲泉二穴 음포 2혈陰包二穴 오리 2혈五里二穴 음렴 2혈陰廉二穴 장문 2혈章門二穴 기문 2혈期門二穴 14) 독맥의 흐름과 혈자리【督脈流注孔穴】(27개) 소료 1혈素髎一穴 수구 1혈水溝一穴 태단 1혈兌端一穴 은교 1혈齗交一穴 신정 1혈神庭一穴 상성 1혈上星一穴 신회 1혈顖會一穴 전정 1혈前頂一穴 백회 1혈百會一穴 후정 1혈後頂一穴 강간 1혈强間一穴 뇌호 1혈腦戶一穴 풍부 1혈風府一穴 아문 1혈瘂門一穴 대추 1혈大顀一穴 도도 1혈陶道一穴 신주 1혈身柱一穴 신도 1혈神道一穴 영대 1혈靈臺一穴 지양 1혈至陽一穴 근축 1혈筋縮一穴 척중 1혈脊中一穴 현추 1혈懸樞一穴 명문 1혈命門一穴 양관 1혈陽關一穴 요수 1혈腰腧一穴 장강 1혈長强一穴 15) 임맥의 흐름과 혈자리【任脈流注孔穴】(24개) 승장 1혈承漿一穴 염천 1혈廉泉一穴 천돌 1혈天突一穴 선기 1혈璇璣一穴 화개 1혈華蓋一穴 자궁 1혈紫宮一穴 옥당 1혈玉堂一穴 전중 1혈膻中一穴 중정 1혈中庭一穴 구미 1혈鳩尾一穴 거궐 1혈巨闕一穴 상완 1혈上脘一穴 중완 1혈中脘一穴 건리 1혈建里一穴 하완 1혈下脘一穴 수분 1혈水分一穴 신궐 1혈神闕一穴 음교 1혈陰交一穴 기해 1혈氣海一穴 석문 1혈石門一穴 관원 1혈關元一穴 중극 1혈中極一穴 곡골 1혈曲骨一穴 회음 1혈會陰一穴 16) 별도의 혈자리 (별혈)【別穴】(40개) 신총 4혈神聰四穴 슬안 4혈膝眼四穴 방정 2혈旁廷二穴 장곡 2혈長谷二穴 하요 1혈下腰一穴 장요 2혈腸遶二穴 환강 2혈環罔二穴 팔관 8혈八關八穴 난문 2혈闌門二穴 독음 2혈獨陰二穴 포문과 자호 각 1혈胞門子戶各一穴 금진옥액 2혈金津玉液二穴 대골공 2혈大骨空二穴 소골공 2혈小骨空二穴 태양 2혈太陽二穴 명당 1혈明堂一穴 미충 2혈眉衝二穴 영지 2혈榮池二穴 누음 2혈漏陰二穴 중괴 2혈中魁二穴 혈극 2혈血郄二穴 요안 2혈腰眼二穴 통관 2혈通關二穴 갑봉 2혈胛縫二穴 이백 2혈二白二穴 회기 1혈廻氣一穴 기단 10혈氣端十穴 학정 2혈鶴頂二穴 용현 2혈龍玄二穴 음독 8혈陰獨八穴 통리 2혈通理二穴 기문 2혈氣門二穴 음양 2혈陰陽二穴 누음 2혈漏陰二穴 정궁 2혈精宮二穴 직골 2혈直骨二穴 교의 2혈交儀二穴 당양 2혈當陽二穴 어요 2혈魚腰二穴 탈명 2혈奪命二穴 17) 특이한 혈자리 (기혈)【奇穴】(3개) 고황수혈膏肓腧穴 환문혈患門穴 사화혈四花穴 18) 혈을 잡는 법【鍼灸取穴法】(2개) 동신촌법同身寸法 취혈법點穴法 19) 침놓는 법 총결【鍼法總訣】(6개) 구침九鍼 침을 만드는 법製鍼法 침은 시기에 맞게 쓴다用鍼須合天時 침의 보사법行鍼補瀉法 오탈에 침을 쓰면 안 된다五奪勿用鍼瀉 침술을 시행하는 순서와 방법行鍼次第手法 20) 뜸뜨는 법 총결【灸法總訣】(6개) 뜸쑥 만드는 법製艾法 뜸봉 만드는 법作艾炷法 불을 만드는 법取火法 뜸을 뜨는 적당한 때下火必以時 뜸을 뜨는 장수壯數多少 뜸의 보사灸有補瀉 21) 침과 뜸의 금기사항【鍼灸禁忌】(2개) 금침혈禁鍼穴 금구혈禁灸穴 22) 침과 뜸의 날 잡기【鍼灸選擇】(4개) 침구의 길일鍼灸吉日 침구의 기일鍼灸忌日 앉는 방향坐向法 매일의 인신(人神)이 있는 곳逐日人神所在
2. 부록 자오유주법【附 子午流注法】 1) 총론【總論】(3개) 유주배합論流注配合 유주개합論流注開闔 유주의 시간과 날짜論流注時日 2) 가결【歌訣】(7개) 십이경납천간가十二經納天干歌 십이경납지지가十二經納地支歌 각불과슬수불과주가脚不過膝手不過肘歌 축일안시정혈가逐日按時定穴歌 십이경의 기혈의 차이에 대한 노래十二經氣血多少歌 십이경의 원혈에 대한 노래十二經之原歌 정형수경합의 오수혈과 원혈에 대한 노래井滎兪原經合歌
3. 십이경의 정혈에 침놓는 법【十二經井穴刺法】(12개) 수태음의 정혈十二經井穴刺法 수양명의 정혈手陽明井 족양명의 정혈足陽明井 족태음의 정혈足太陰井 수소음의 정혈手少陰井 수태양경의 정혈手太陽井 족태양경의 정혈足太陽井 족소음경의 정혈足少陰井 수궐음경의 정혈手厥陰井 수소양경의 정혈手少陽井 족소양경의 정혈足少陽井 족궐음경의 정혈足厥陰井 4) 장부에 따른 정형수경합혈의 주치증상【臟腑井滎兪經合主治】(10개) 담병의 치료治膽病 간병의 치료治肝病 소장병의 치료治小腸病 심병의 치료治心病 위병의 치료治胃病 비병의 치료治脾病 대장병의 치료治大腸病 폐병의 치료治肺病 방광병의 치료治膀胱病 신병의 치료治腎病 5) 12경맥 병에서 정기의 허함을 보하고 사기의 실함을 사함【十二經病補虛瀉實】(12개) 담병의 치료治膽病 간병의 치료治肝病 소장병의 치료治小腸病 심병의 치료治心病 위병의 치료治胃病 비병의 치료治脾病 대장병의 치료治大腸病 폐병의 치료治肺病 방광병의 치료治膀胱病 신병의 치료治腎病
3. 부록 영구비등침법【附 靈龜飛騰針法】 1) 가결【歌訣】(8개) 8법가八法歌 8법교회가八法交會歌 8맥교회8혈가八脈交會八穴歌 팔혈배합가八穴配合歌 자법계현가刺法啓玄歌 팔법오호건원일시가八法五虎建元日時歌 팔법축일간지가八法逐日干支歌 팔법임시간지가八法臨時干支歌 2) 팔혈주치【八穴主治】(8개) 충맥공손혈衝脈公孫穴 음유맥내관혈陰維脈內關穴 독맥후계가督脈後谿穴 양교맥신맥혈陽蹻脈申脈穴 대맥임읍혈帶脈臨泣穴 양유맥외관혈陽維脈外關穴 임맥열결혈任脈列缺穴 음교맥조해혈陰蹻脈照海穴
4. 약의 분량을 재거나 가공하는 기구(도규기구)【刀圭器具】 1) 약을 말리는 도구【曬具】(3개) 목반木盤 쇄가曬架 배롱焙籠 2) 약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도구【貯具】(2개) 약주머니藥囊 약장藥欌 3) 약의 무게나 부피를 계량할 때 사용하는 도구【權量具】(2개) 약칭藥秤 약승藥升 4) 약을 썰 때 사용하는 도구【剉具】(2개) 약찰藥䥷 동찰銅䥷 5) 약을 찧을 때 사용하는 도구【擣具】(5개) 저구杵臼 약연藥碾 석연石碾 자연磁碾 체篩 6) 약을 굽거나 볶을 때 사용하는 도구【炮炙炒製具】(3개) 초반炒槃 자가炙架 죽첨竹籤 7) 약을 달일 때 사용하는 도구【煎具】(3개) 약탕관罐 화로爐 노교爐橋 8) 약로법【藥露法】(2개) 서례敍例 제법製法
5. 부록 뼈를 교정하는 기구【附 正骨器具】 1) 총론【總論】(1개) 타박 손상에는 적절히 기구를 사용해야 함을 논함論跌撲傷損當用器具 2) 두부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頭部傷損之具】(3개) 과렴裹帘 진정振梃 용법석의用法釋義 3) 어깨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肩部傷損之具】(2개) 피견披肩 용법석의用法釋義 4) 배 가슴 옆구리 겨드랑이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胸腹腋脅傷損之具】(3개) 반삭攀索 첩전疊甎 용법석의用法釋義 5) 척추와 등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脊背傷損之具】(2개) 통목通木 용법석의用法釋義 6) 허리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腰部傷損之具】(2개) 요주腰柱 용법석의用法釋義 7) 사지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肢體傷損之具】(4개) 죽렴竹簾 용법석의用法釋義 삼리杉籬 용법석의用法釋義 8) 무릎의 손상을 교정하는 기구【正膝部傷損之具】(2개) 포슬抱膝 용법석의用法釋義
-권27(총86)-
Ⅰ. 부여【附餘】
1. 탕액운휘【湯液韻彙】
1) 동【東】(15개)
東 通 芎 雄 風 楓 洪 銅 熊 聰 桐 紅 沖 中 葱
2) 동【冬】(6개)
龍 蜂 松 茸 蓯 衝
3) 강【江】(3개)
江 雙 撞
4) 지【支】(34개)
滋 梔 治 追 知 絲 吹 磁 葵 脾 芪 鴟 資 貍 龜 飴 奇 梨 兒 麗 耆 伊 移 時 蘄 離 慈 鈹 蜞 騎 驪 枇 蕤 萆
5) 미【微】(6개)
歸 稀 肥 飛 威 晞
6) 어【魚】(9개)
魚 如 豬 除 疏 袪 舒 樗 諸
7) 우【虞】(27개)
烏 朱 胡 蘇 驅 茱 吳 無 爐 楡 蜈 蘆 扶 芙 蒲 蕪 枯 愚 葫 孤 屠 狐 珠 塗 敷 巫 壺
8) 제【齊】(8개)
鷄 犀 西 藜 泥 提 醍 蠐
9) 가【佳】(3개)
柴 懷 排
10) 회【灰】(13개)
回 茴 廻 開 槐 催 推 煨 來 梅 胎 雷 孩
11) 진【眞】(17개)
眞 人 神 茵 辰 秦 檳 津 醇 春 辛 銀 珍 匀 新 陳 仁
12) 문【文】(6개)
文 分 雲 薰 鄖 蚊
13) 원【元】(7개)
元 溫 礬 奔 恩 豚 門
14) 한【寒】(14개)
寒 安 單 寬 丹 酸 乾 觀 團 蘭 肝 蟠 珊 完
15) 산【删】(4개)
還 山 斑 頑
16) 선【先】(24개)
先 天 千 川 玄 宣 仙 前 延 蟬 錢 全 蠲 牽 綿 淵 旋 甄 蓮 臙 田 穿 顚 蝙
17) 숙【蕭】(13개)
消 調 椒 逍 燒 撩 嘹 貓 朝 腰 硝 窯 螵
18) 효【肴】(5개)
交 膠 茅 鮫 硇
19) 호【豪】(3개)
陶 桃 高
20) 가【歌】(14개)
和 訶 何 磨 阿 河 摩 鵝 莎 蝌 螺 蛇 陀 䴬
21) 마【麻】(15개)
麻 瓜 巴 車 蝸 家 華 嘉 霞 霞 搽 砂 猳 茄 牙
22) 양【陽】(25개)
陽 黃 香 當 防 蒼 涼 薑 桑 王 楊 倉 羊 菖 芒 殭 狼 忘 常 霜 蜣 漿 腸 皇 商
23) 경【庚】(16개)
淸 生 平 荊 明 輕 行 貞 爭 榮 蝱 瓊 罌 檉 更 驚
24) 청【靑】(12개)
靑 寧 丁 靈 羚 醒 星 經 苓 惺 疔 葶
25) 증【蒸】(7개)
升 氷 凝 鵬 凌 澄 燈
26) 우【尤】(15개)
牛 硫 搜 油 薷 舟 浮 秋 流 抽 周 柔 兜 休 蚯
27) 침【侵】(16개)
參 金 沈 鍼 針 尋 陰 滲 覃 甘 蠶 疳 探 藍 含 南
28) 담【覃】(8개)
三 甘 蠶 疳 探 藍 含 南
29) 염【鹽】(6개)
蟾 拈 兼 瞻 潛 蚺
30) 함【咸】(1개)
杉
31) 동【董】(1개)
孔
32) 종【腫】(3개)
涌 拱 鞏
33) 강【講】(1개)
蚌
34) 지【紙】(23개)
枳 紫 水 止 理 芷 李 杞 子 是 痞 比 己 起 鯉 使 梓 里 齒 舐 痔 徙 豕
35) 미【尾】(3개)
鬼 葦 榧
36) 어【語】(8개)
去 煮 禦 鼠 杵 女 呂 擧
37) 우【麌】(15개)
五 補 乳 苦 虎 琥 古 愈 禹 聚 杜 土 腐 普 取
38) 제【薺】(4개)
薺 洗 啓 抵
39) 해【蟹】(1개)
解
40) 회【賄】(2개)
海 倍
41) 진【軫】(4개)
腎 忍 引 陣
42) 문【吻】(1개)
粉
43) 완【阮】(4개)
返 遠 本 滾
44) 한【旱】(5개)
旱 散 斷 款 煖
45) 선【銑】(7개)
軟 翦 轉 選 善 繭 卷
46) 소【篠】(2개)
小 少
47) 교【巧】(1개)
炒
48) 호【皓】(12개)
保 導 草 棗 抱 道 老 倒 藁 燥 皂 掃
49) 가【哿】(4개)
火 左 果 鎖
50) 마【馬】(4개)
馬 瀉 打 賈
51) 양【養】(5개)
養 象 廣 響 蕩
52) 경【梗】(5개)
杏 冷 景 省 靜
53) 형【迥】(1개)
檾
54) 유【有】(12개)
九 厚 右 牡 酒 狗 守 手 丑 壽 韭 藕
55) 감【感】(5개)
感 坎 澹 淡 膽
56) 염【琰】(2개)
點 芡
57) 송【送】(2개)
控 鳳
58) 강【絳】(21개)
絳 降 寘 四 地 祕 至 利 遂 荔 豉 自 類 醉 易 異 備 瑞 翠 薏 墜
59) 치【寘】(19개)
二 四 地 祕 至 利 遂 荔 豉 自 類 醉 易 異 備 瑞 翠 薏 墜
60) 미【未】(4개)
旣 胃 蝟 氣
61) 어【御】(3개)
助 預 御
62) 우【遇】(12개)
遇 固 附 露 醋 駐 護 兎 布 赴 溯 務
63) 제【霽】(6개)
桂 濟 細 衛 替 嚔
64) 태【泰】(3개)
大 太 貝
65) 괘【卦】(4개)
敗 快 薤 疥
66) 대【隊】(9개)
內 退 代 再 肺 賽 艾 潰 對
67) 진【震】(4개)
潤 鎭 順 進
68) 원【願】(4개)
萬 健 寸 褪
69) 한【翰】(6개)
半 換 喚 亂 貫 鸛
70) 산【霰】(2개)
茜 殿
71) 소【嘯】(3개)
妙 釣 尿
72) 효【效】(1개)
罩
73) 개【箇】(3개)
破 佐 糯
74) 마【禡】(8개)
化 麝 樺 亞 灸 射 下 謝
75) 양【漾】(9개)
上 壯 湯 帳 放 瘴 莨 釀 臟
76) 경【敬】(3개)
正 聖 孟
77) 경【徑】(4개)
定 勝 應 瑩
78) 유【宥】(11개)
透 救 漏 豆 戊 臭 走 鱟 繡 究 瘦
79) 감【勘】(1개)
紺
80) 염【艶】(3개)
斂 念 膁
81) 함【陷】(1개)
陷
82) 옥【屋】(22개)
木 六 茯 竹 獨 鹿 熟 伏 哭 谷 麴 菊 復 穀 縮 肉 服 蝮 毓 㗜 速 育
83) 옥【沃】(7개)
沃 玉 綠 續 局 蜀 束
84) 각【覺】(15)
濯 捉 卓 質 實 密 蜜 蓽 失 漆 蒺 七 橘 朮 必
85) 질【質】(12개)
一 實 密 蜜 蓽 失 漆 蒺 七 橘 朮 必
86) 물【物】(2개)
不 鬱
87) 월【月】(8개)
月 蝎 越 發 沒 佛 髮 膃
88) 갈【曷】(9개)
活 葛 撥 奪 拔 達 栝 褐 脫
89) 힐【黠】(4개)
八 殺 滑 擦
90) 설【屑】(10개)
鐵 截 桔 決 鼈 節 結 別 雪 血
91) 약【藥】(15개)
藥 托 芍 藿 却 薄 鶴 雀 鄂 柞 樂 約 鵲 烙 廓
92) 맥【陌】(15개)
白 百 益 石 赤 碧 麥 柏 壁 蘗 澤 辟 隔 鯽 馘
93) 석【錫】(5개)
滌 霹 敵 滴 的
94) 직【職】(7개)
黑 抑 側 國 墨 息 塞
95) 집【緝】(4개)
十 立 集 急
96) 합【合】(6개)
合 蠟 蛤 臘 納 搨
97) 엽【葉】(6개)
葉 接 貼 攝 劫 獵
98) 흡【洽】(3개)
鴨 法 閘
-권28(총87)- Ⅰ. 부여【附餘】 1. 구황【捄荒】 1) 미리 대비하는 일에 대한 총론【備豫總論】(3개) 사창법社倉法 의창법義倉法 의곡법義穀法 2) 구휼 시에는 일정한 값으로 빌려주고 돌려받는다【賑濟均價糶糴】(5개) 일꾼을 고용하여 토목공사를 일으키다雇傭興修 가재도구를 사들이다收買器用 죽을 쑤어 나누어 주다施粥 약을 공급하다給藥 굶어죽은 사람 매장葬殍 3) 벽곡에 대한 총론【辟穀總論】(31개) 유경선의 제기벽곡방劉景先濟飢辟穀方 허진군의 피난헐식방許眞君避難歇食方 피난대도환避難大道丸 황산곡의 자두방黃山谷煮豆方 등각비의 휴량방鄧覺非休糧方 주헌왕의 구황방周憲王捄荒方 좌자의 구황법左慈救荒法 주렴방의 천금면방周廉訪千金麪方 휴량양도방休糧養道方 왕씨의 휴량방王氏休糧方 차조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秫住食方 노란콩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黃豆住食方 참깨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胡麻住食方 들깨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荏休糧方 청량미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粱休糧方 찹쌀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糯休糧方 멥쌀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粳休糧方 솔잎과 측백나무잎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柏葉休糧方 소나무껍질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皮休糧方 송진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脂休糧方 잣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松子休糧方 느릅나무껍질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楡皮休糧方 창출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朮休糧方 황정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黃精休糧方 천문동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天門冬休糧方 작약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芍藥住食方 질려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蒺蔾住食方 마름의 열매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菱實住食方 순무를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蔓菁住食方 밀랍을 먹고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服蜜蠟休糧方 여러 번 끓인 물을 먹는 방법服百滾水法 4) 기근의 구제에 대한 총론【濟饑總論】(18개) 초목을 먹는 방법食草木方 절인 채소를 먹는 방법食虀菜方 겨가루를 먹는 방법食粃糝方 잎을 먹을 수 있는 것 128가지葉可食一百二十八種 뿌리를 먹을 수 있는 것 21가지根可食二十一種 열매를 먹을 수 있는 것 37가지實可食三十七種 꽃을 먹을 수 있는 것 4가지花可食四種 줄기를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莖可食三種 순을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筍可食一種 뿌리와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2가지根葉皆可食一十二種 잎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9가지葉實皆可食三十九種 뿌리와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5가지根實皆可食五種 꽃과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花葉皆可食三種 뿌리와 순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3가지根筍皆可食三種 뿌리와 꽃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2가지根花皆可食二種 순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筍實皆可食一種 꽃과 잎과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1가지花葉及實皆可食一種 잎과 열매와 껍질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 2가지葉實及皮皆可食二種
향례지
향례지(鄕禮志):의례 백과 목차
권1(총88) Ⅰ. 통례 (상)【通禮 上】 1. 향음주례【鄕飮酒禮】 1) 주나라의 향음주례【周儀】 2) 당나라의 향음주례【唐儀】 3) 송나라의 향음주례【宋儀】 4) 명나라의 향음주례【明儀】 5) 우리나라의 향음주례【國朝儀】 6) 새로 정한 향음주례【新定儀】
권2(총89)
Ⅰ. 통례 (중)【通禮 中】
1. 향사례【鄕射禮】
1) 주나라의 향사례【周儀】
2) 우리나라의 향사례【國朝儀】
3) 새로 정한 향사례【新定儀】
권3(총90)
Ⅰ. 통례 (하)【通禮 下】
1. 향약【鄕約】
1) 주자가 더하고 뺀 여씨향약【增損呂氏鄕約】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2) 사창계의 약속【社倉契約束】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입약범례立約凡例 강신의講信儀
권4(총91)
Ⅰ. 관례와 혼례【冠婚禮】
1. 관례【冠禮】
1) 사마광의 서의에 따른 관례와 계례【司馬儀】
2) 주자의 가례에 따른 관례와 계례【朱子儀】
3) 국조오례의에 따른 관례【國朝儀】
2. 혼례【昏禮】 1) 사마광의 서의에 따른 혼례【司馬儀】 2) 주자의 가례에 따른 혼례【朱子儀】 3) 국조오례의에 따른 혼례【國朝儀】
권5(총92)
Ⅰ. 상례와 제례【喪祭禮】
1. 상례【喪禮】
1) 망자의 혼 부르기【復】
장례 용구具 부고의 서식訃書式
2) 염습【襲】
염습 용구具
3) 소렴【小斂】
소렴 용구具
4) 대렴【大斂】
대렴 용구具
5) 성복【成服】
성복 용구具
복제도服制圖
6) 조석곡과 전【朝夕哭奠】
7) 조문과 부의【弔賻】
위소 서식慰疏式 조부모상을 위로하는 계장 서식慰人祖父母亡狀式 답장 서식答狀式
8) 분상(초상 소식 듣고 집으로 급히 돌아가기)【奔喪】
9) 치장(장지 조성)【治葬】
치장 용구具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祠土地祝文式
10) 발인【發引】
발인 용구具
11) 하관【窆葬】
하관 용구具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祠土地祝文式 제주 후의 축문 서식題主祝文式
12) 삼우제【虞祭】
우제 용구具 축문 서식祝文式 설찬의設饌儀 설찬도設饌圖
13) 졸곡(곡 마치기)【卒哭】
위소 답장 서식答慰疏式
14) 부제(조상의 신주와 함께 모시는 가묘제)【祔祭】
축문 서식祝文式
15) 소상(1주기)【小祥】
소상 용구具
16) 대상(2주기)【大祥】
대상 용구具 부묘를 아뢰는 글祔廟告辭
17) 담제(대상 후 2개월 뒤의 제사)【禫祭】
담제 용구具
18) 길제(담제 다음 달의 제사)【吉祭】
19) 이장【改葬】
묘역을 열 때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 서식開塋域祠土地祝文 묘를 열기 전에 사당에 고하는 글啓墓前祠堂告辭 묘를 열 때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啓墓時祠土地祝文 묘를 여는 것을 고하는 글啓墓告辭 이장 후에 토지신에게 제사하는 축문改葬後祠土地祝文 우제 때의 축문虞祭祝文 이장 후에 사당에 고하는 글改葬後祠堂告辭
2. 제례【祭禮】
1) 사당 세우기【立祠堂】
일이 있어 고하는 글有事告辭 신주에 개제한 것을 아뢰는 글改題主告辭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신주를 묻고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埋主祝文式 조부모 이상을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祖以上祝文式 새로운 신주를 합제하는 축문 서식合祭新主祝文式
2) 시제【時祭】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축문 서식祝文式
3) 기제【忌祭】
신주를 내가는 것을 아뢰는 글出主告辭 축문 서식祝文式
4) 묘제【墓祭】
축문 서식祝文式
5) 복상 기간의 제사【喪服中行祭儀】
유예지
유예지(遊藝志):교양 백과 목차
권1(총93) Ⅰ. 독서법 【讀書法】 1. 총론 【總論】 1) 처음 공부하는 사람의 독서법 【初學讀書法】 2) 독서할 때 집중해야 할 3가지 【讀書三到】 3) 독서의 6가지 방법 【讀書六法】 4) 독서의 6가지 자세 【讀書六宜】 5) 독서의 3가지 요체【讀書三要】 6) 독서의 4가지 방법 【讀書四法】 7) 책은 숙독해야 한다 【論書宜熟讀】 8) 독서할 때 사색이 중요하다 【論書貴思索】 9) 한 책을 여러 번 읽어야 한다 【論一書宜數次讀】 10) 독서할 때 정밀해야 한다 【論讀書宜精一】 11) 독서할 때 철저하게 이해해야 한다 【論讀書須透徹】 12) 독서할 때 몰입해야 한다 【論讀書須潛靜】 13) 독서할 때 의문을 풀려고 해야 한다 【論讀書須憤悱】 14) 글을 볼 때 단락을 나누고 틈을 찾아야 한다 【論看文須分片段尋縫罅】 15) 독서할 때 많은 분량을 욕심내지 말아야 한다 【論讀書不宜貪多】 16) 독서할 때 급하게 읽는 것을 피한다 【論讀書忌急聲】 17) 독서할 때 독음 바꾸고 구절 나누는 일이 중요하다 【論讀書貴轉音破句】 18) 독서의 분량과 기한 【論讀書程限】 19) 노소의 독서 방식 【論老少工程】 20) 독서할 때 먼저 흩어진 마음을 모아야 한다 【論讀書先收放心】
2. 경서 읽기 【讀經】 1) 여러 경서 읽기 통론 【讀諸經統論】 2) 경서 읽기는 체득이 중요하다 【論讀經貴體認】 3) 경서는 숙독해야 한다 【論經須熟讀】 4) 경서를 이해할 때 명칭이나 제도에 너무 빠지지 말라 【論解經勿太泥名物】 5) 주석의 해설 보는 법 【看註解法】 6) 구경(아홉 경서) 읽기를 마치는 기간 【九經畢讀年限】
3. 역사서 읽기 【讀史】 1) 역사서를 보며 시비를 분별한다 【論觀史辨是非】 2) 역사서를 보는 6가지 요체 【看史六要】 3) 역사서는 자세하게 읽어야 한다 【論讀史宜子細】 4) 역사서 쓰는 법 【記史法】
4. 독서 순서 【讀書次第】 1) 사서 읽는 순서 【四書次第】 2) 경서와 역사서 읽는 순서 【經史次第】 3) 사부(경·사·자·집) 읽는 순서 【四部次第】 4) 역사서 읽는 순서 【看史次第】 5) 독서의 단계 【讀書分年程式】 6) 독서할 때 배운 것을 되새겨야 한다 【論讀書宜抽繹】 7) 날마다 복습하는 법 【分日溫書法】
Ⅱ. 활쏘는 법 【射訣】 1. 처음 배우는 사람의 연습 【初學演習】 1) 활쏘기를 배우는 전체적인 방법 【學射總法】 2) 풀 과녁으로 연습하는 법 【演艸法】 3) 팔 단련하는 법 【練臂法】 4) 눈동자 단련하는 법 【練眸法】 5) 향 과녁으로 연습하는 법 【演香法】
2. 훈련장에서의 법식 【臨場楷式】 1) 전반적 원리 【總訣】 2) 화살 메기는 법 【搭矢法】 3) 시위 당기는 법 【控弦法】 4) 앞팔과 뒷팔의 자세 잡는 법 【前後手法】 5) 활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잡는다 【持弓審固】 6) 줌통을 들고 시위를 당긴다 【擧弝按弦】 7) 깃을 누르며 화살을 취한다【抹羽取箭】 8) 가슴에서 오늬에 들인다 【當心入筈】 9) 어깨를 펴고 시위를 당긴다 【鋪膊牽弦】 10) 몸을 숙여 활을 연다 【欽身開弓】 11) 힘을 다해 화살을 보낸다 【極力遣箭】 12) 시위를 거두고 활고자를 들인다 【捲弦入弰】 13) 화살 멀리 날리는 법 【遠箭法】 14) 거리에 맞게 과녁 겨냥하는 법 【遠近取的法】 15) 서서 활쏘기의 요점 【步射撮要】 16) 활쏘는 법의 14가지 요점 【射法十四要】 활은 부드러워야 한다弓要軟 화살은 길어야 한다箭要長 가슴 앞에서 마땅히 숨을 들이쉬어야 한다胸前宜[吸] 다리 힘은 일정한 위치를 두어야 한다脚力要方 활을 잡기를 마치 계란을 쥐듯이 하라持弓如握卵 화살을 얹기를 마치 저울을 매달듯이 하라搭箭如懸衡 활은 약간 기울여야 한다弓弰要側 손은 평형이어야 한다手要平 앞쪽 사타구니는 곧아야 한다前膀要轉 뼈마디는 펴야 한다骨節要伸 앞쪽 어깨는 거두어 들여야 한다前肩要藏 뒤쪽 어깨는 떨어뜨려야 한다後肩要擠 화살을 내는 것은 가벼워야 한다出箭要輕 화살을 놓을 때는 빨라야 한다放箭要速
3. 잘못 【疵病】 1) 전반적 잘못 【總病】 2) 앞손의 잘못 【前手病】 장張 도挑 탁卓 눈嫩 노老 만彎 잉剩 3) 뒷손의 잘못 【後手病】 돌突 핍逼 추揪 송鬆 토吐
4. 바람과 기온 【風氣】 1) 바람과 기후 【論風候】 2) 추위와 더위 【論寒暖】
5. 도구 【器具】 1) 활 만드는 법 【造弓法】 2) 시위 거는 법 【上弦法】 3) 활 힘 재는 법 【稱弓法】 4) 활 보관하는 법 【藏弓法】 5) 화살 만드는 법 【造箭法】 6) 화살 닦는 법 【擦矢法】 7) 화살 보관하는 법 【藏箭法】
권2(총94) Ⅰ. 수학 【算法】 1. 수학의 개괄적 정리【九數槪略】 1) 사칙연산 총서【乘除總敍】 원문에는 ‘사칙연산 총서’만 표제어로 표기되어 있고 아래의 표제어 21개는 모두 ‘소표제어’로 취급했지만(한 칸 내려쓰고 꺾쇠 기호로 묶음) 내용 상 체계를 알 수 있도록 층차를 더 세분화했다.
2) 삼재(천문·도량형·길이와 넓이)의 단위환산【三才數位】 2-1) 역【曆】 2-2) 도량형의 단위환산【度量衡】 2-3) 넓이와 길이의 단위환산【田里】 3) 구구단【九九數目】 4) 사칙연산【加減乘除】 4-1) 덧셈【加法】 4-2) 뺄셈【減法】 4-3) 곱셈【因乘】 4-4) 나눗셈【歸除】 5) 제곱근과 세제곱근 구하기【平方立方】 6) 비례식 이용하여 구하기【四率比例】 7) 방전법(토지의 넓이 구하는 법)【方田數法】 8) 속포법(물물교환 비율 구하는 법)【粟布數法】 9) 쇠분법(등급 따라 녹봉·부역·세금 조정하는 법)【衰分數法】 10) 소광법(넓이나 부피에서 변의 길이나 지름 구하는 법)【少廣數法】 11) 상공법(토목 공사에서 부피 구하는 법)【商功數法】 12) 균수법(운송과 관련하여 계산하는 법)【均輸數法】 13) 영육법(나머지와 모자람의 관계에서 미지수 구하는 법)【盈朒數法】 14) 방정법(방정식으로 미지수 구하는 법) 【方程數法】 15) 구고팔선(구고법(피타고라스 정리)과 삼각함수)【句股八線】
권3(총95) Ⅰ. 글씨 【書筏】 1. 총론 【總論】 1) 여러 서체의 기원 【各體緣起】 2) 진서·예서·팔분의 같은 점과 다른 점 【論眞隸八分同異】 3) 글씨 배울 때는 오로지 부지런해야 한다 【論學書貴專勤】 4) 글씨 배울 때는 모든 서첩에서 두루 배워라 【論學書宜博採諸帖】 5) 여러 서체의 장단점 【論各體相入】 6) 오체(5가지 서체)는 서로 통한다 【論五體相通】 7) 사체(4가지 서체)의 요결 【四體要訣】
2. 대전과 소전 【大小篆】 1) 필봉은 필획 가운데에 있다 【論筆鋒畫中】 2) 필묵의 마르고 촉촉함 【論筆墨燥潤】
3. 해서와 초서 【楷草】 1) 영자팔세(永자의 8가지 모양새)【永字八勢】 2) 구양순(歐陽詢)의 글씨 쓰는 비결 【歐陽書訣】 3) 동내직(董內直)의 글씨 쓰는 비결 【董氏書訣】 4) 칠조필진출입참작도(7가지 점과 획의 부분도) 【七條筆陣出入斬斫圖】 5) 붓 쥐는 법 【執筆法】 6) 점 찍고 획 긋는 법 【點畫法】 7) 굵은 획【肥畫】과 가는 획【瘦畫】 【論肥瘦】 8) 용필법(붓 놀리는 법) 【用筆法】 9) 글씨에는 법이 있어야 한다 【論書不可無法】 10) 결자(글자의 형태 만들기) 【論結字】 11) 큰 글자와 작은 글자 【論大小字】 12) 골격 【論骨格】 13) 글씨는 살아 움직여야 한다 【論書要活動】 14) 글자 배치 【論布置】 15) 해서를 먼저 배워라 【論先學正書】 16) 해서와 초서를 겸해야 한다 【論正草不可不兼】 17) 해서와 초서의 체제 【論眞草體製】 18) 초서 쓰는 여러 방법 【草書諸法】 19) 글자 쓸 때는 전서(篆書)를 대략 살펴야 한다 【論作字宜略攷篆文】 20) 성(性)과 공(功) 【論性功】
4. 배우는 법 【師法】 1) 임모, 경황, 향탑 【論臨摹硬黃·響搨】 2) 이름난 글씨를 임서한다 【論臨名書】 3) 옛날을 배워 속운(俗韻)을 제거한다 【論師古去俗韻】 4) 글씨를 배울 때는 진적(친필)으로 해야 한다 【論學書須眞蹟】 5) 임서는 정신의 교감이 중요하다 【論臨書貴神會】 6) 임서할 때는 태아가 형체를 갖추듯이 한다 【論臨字如人結胎】
5. 기타 【雜纂】 1) 붓은 활이나 칼과 같다 【論筆似弓刀】 2) 초서용 붓 【論草書筆】 3) 옛 사람의 먹 사용법【論古人用墨】 4) 붓과 먹 사용법【論用筆墨】 5) 벼루 제작 【論硏製】 6) 큰 글자 쓸 때 먹 사용하는 법 【書大字用墨法】 7) 종이와 붓 【論紙筆】 8) 한림구생법(글씨에 살아있게 해야 할 9가지) 【翰林九生法】 9) 준순비법(글씨를 짧은 시간에 탑본하는 법) 【逡巡碑法】 10) 잘못 쓴 글자 지우는 법 【取錯字法】
권4(총96) Ⅰ. 그림 (상) 【畵筌】 1. 총론 【總論】 1) 육법(그림의 6가지 법칙) 【六法】 2) 일필화 【一筆畵】 3) 삼품(3가지 품등) 【三品】 4) 삼취(3가지 요소) 【三趣】 5) 사병(4가지 병폐) 【四病】 6) 육요(6가지 요점) 【六要】 7) 육장(6가지 장점) 【六長】 8) 사필(반드시 갖춰야 할 4가지) 【四必】 9) 팔격(8가지 품격) 【八格】 10) 십이기(피해야 할 12가지) 【十二忌】
2. 구도 【位置】 1) 그림에는 손님과 주인 관계가 있다 【畵有賓主】 2) 그림에는 임금과 신하 관계가 있다 【畵有君臣】 3) 그림은 구도를 중시한다 【畵貴章法】 4) 먼저 뜻을 세워 구도를 정한다 【論先立意以定位置】 5) 화폭상의 거리 【論遠近】
3. 제목 달기 【命題】 1) 제목이 있는 그림과 없는 그림 【論有題無題】 2) 제목 달 때 자기 역할을 표현해야 한다 【論命題必拈己分】 3) 제목 달기와 필치(용필)는 서로 어울려야 한다 【論命題用筆相發】
4. 배우는 법 【師法】 1) 여러 대가의 법을 배운다 【師諸名家】 2) 한 대가에게서만 배우기를 피해야 한다 【論畵忌專學一家】 3) 배울 때는 정신의 교감을 중시한다 【論學貴神會】 4) 자연에서 배운다 【論師天地】 5) 임모(모사) 【論摹臨】
5. 붓과 먹 【筆墨】 1) 그림에 붓자국이 없어야 한다 【論畵無筆跡】 2) 용필에 대한 여러 기술 【用筆雜述】 3) 그림과 글씨는 법이 같다 【論畵書同法】 4) 용묵에 대한 여러 기술 【用墨雜述】 5) 붓과 먹을 함께 논한다 【合論筆墨】 6) 붓과 먹의 만남 【論筆墨相遭】 7) 미불의 용묵 【米氏用墨】 8) 먹색이 비단에 스며드는 법 【墨色入絹法】
6. 채색 【傅染】 1) 수묵 【論水墨】 2) 채색 【論設色】 3) 색 혼합법 【和彩法】
7. 낙관 【落款】 1) 옛 그림에는 낙관을 쓰지 않았다 【論古畵不用款】 2) 그림에는 자연스레 낙관할 곳이 생긴다 【論畵有天生款處】 3) 낙관과 제발은 작품에 도움이 된다 【款題有助】
8. 인물 【人物】 1) 인물은 잘 그리기 어렵다 【論人物難工】 2) 인물을 그릴 때 기운과 모습을 분명히 해야 한다 【論人物必分氣貌】 3) 얼굴의 용필법 【面部用筆法】 4) 여인의 형상 【論婦人形相】 5) 눈동자 그리는 법 【點睛法】 6) 서양화 【西洋畵】
9. 의관 【衣冠】 1) 의관의 상이한 제도 【論衣冠異制】 2) 옷의 주름 그리기 【論衣紋】
10. 산수, 숲, 나무 【山水林木】 1) 산수는 모사하기 쉽지 않다 【論山水未易摹寫】 2) 산수의 배치 【山水鋪置】 3) 6가지 비결과 8가지 법식 【六訣八法】 4) 사찰·오두막·다리 그리는 법 【佛宇廬橋點綴法】 5) 구름과 안개 그리는 법 【雲烟點綴法】 6) 크기 【論大小】 7) 물 그리는 법 【畵水法】 8) 배와 돗단배 그리는 법 【畵船帆法】 9) 산을 그릴 때 윤곽을 먼저 잡고 준법을 나중에 쓴다 【論畵山先郭後皴】 10) 먼 산 그리기 【論畵遠山】 11) 산 정상의 흙과 바위를 분간해야 한다 【論山頭宜分土石】 12) 이끼 그리는 법 【點苔法】 13) 멀리서 감상해야 하는 경치 【論平遠景】 14) 금벽산수 【論金碧山水】 15) 산수를 그릴 때는 살 만한 곳의 품격을 취해야 한다 【論畵山水必取可居品 】 16) 무너진 담장에 비단 펴고 그림을 깨닫는 법 【敗墻張絹悟畵法】 17) 산과 나무의 상관성과 차이 【論山與樹相關捩】 18) 나무 그리는 여러 기법 【畵樹雜法】 19) 오류와 병폐 【論疵病】 20) 소나무 그리는 법 【畵松法】 21) 버드나무 그리는 법 【寫柳法】 22) 바위 그리는 여러 기법 【畵石雜法】 23) 나무와 바위를 함께 논한다 【合論樹石】 24) 준법 【皴法】 25) 구륵법 【鉤勒法】 26) 구륵법·준법·채색을 함께 논한다 【合論鉤皴點染】 27) 바람 불고 비 오는 경치 【論風雨景】 28) 아침과 저녁 경치 【論早晩景】 29) 네 계절의 경치 【論四時景 】
11. 꽃과 열매, 새와 짐승 【花果鳥獸】 1) 꽃과 열매, 풀과 나무 그리기 【論畵花果草木】 2) 꽃과 풀 채색하는 법 【花卉設色法】 3) 점 찍어 꽃 그리는 법 【點花法】 4) 꽃과 잎 그리는 법 【寫花葉法】 5) 사의(寫意)와 사생(寫生)을 함께 논한다 【合論寫意寫生】 6) 영모(새와 짐승) 그리기 【論畵翎毛】 7) 가축과 짐승 그리기 【論畵畜獸】 8) 짐승과 가축의 털 그리기 【論獸畜畵毛】 9) 용 그리는 법 【畵龍法】 10) 말 그리기 【論畵馬】
12. 계화(건축물을 자로 정교하게 그린 그림) 【界畵】 1) 고금의 계화 【論古今界畵】 2) 먼저 옛 궁전의 제도를 알아야 한다 【論先識古殿制度】 3) 계화는 잘 그리기 어렵다 【論界畵難工】 4) 서양화 【論泰西畵】
13. 이격(특이한 화법의 그림) 【異格】 1) 몰골도(윤곽을 그리지 않는 채색화) 【沒骨圖】 2) 점족화(점으로 그린 산수화) 【點簇畵】 3) 나선문양의 지두화(손가락으로 그린 그림) 【螺紋指頭畵】 4) 공화(손톱이나 침으로 그린 그림) 【㧬畵】 5) 발묵화(먹을 부어 그린 그림) 【潑墨畵】 6) 백묘화(윤곽선만 그린 그림) 【白描畵】 7) 후필(모지라진 붓)로 그린 밑그림 【論朽筆粉本】
권5(총97) Ⅰ. 그림 (하) 【畵筌】 1. 매화·대나무·난 그림 정리(매죽난보) (부록) 여러 필묵법 【梅竹蘭譜 (附)描墨諸法】 1-1. 대나무 치기 【寫竹】 이곳은 소제목 아래에 제목이 하나 더 추가된 체제를 갖고 있다.
1) 총론 【總論】 2) 가슴에서 대나무가 된다 【胷中成竹】 3) 구도 【位置】 4) 대줄기 그리기 【畵竿】 5) 마디 그리기 【畵節】 6) 가지 그리기 【畵枝】 7) 잎 그리기 【畵葉】 8) 필묵법 【描墨】 9) 승염(염색하듯 색 들이기) 【承染】 10) 채색 【設色】 11) 덧칠(농투) 【籠套】 12) 그림으로 보는 대나무 치기【圖式】
1-2. 매화 치기 【寫梅】 1) 구전되는 비결【口訣】 2) 매화나무에서 상(象)을 취하다【取象】 3) 1개의 꽃꼭지【一丁】 4) 2개의 몸체【二體】 5) 3개의 점【三點】 6) 4개의 방향【四向】 7) 5장의 꽃잎【五出】 8) 5개의 꽃받침【五萼】 9) 6가지의 가지【六枝】 10) 7줄기의 꽃술【七鬚】 11) 8가지의 매듭【八結】 12) 9가지의 변화【九變】 13) 10가지의 종류【十種】 14) 36가지의 병폐【三十六病】 15) 매화나무의 생김새 그리기【畵梅標格】 16) 화광선승이 지적한 폐단【華光指迷】 17) 매화 그리는 특별한 이치【畵梅別理】 18) 매화에는 4개의 글자가 있다【梅有四字】 19) 매화를 그리는 총체적인 방법【寫梅總法】 20) 그림으로 보는 매화 치기【圖式】
1-3. 난 치기 【寫蘭】
1) 총체적인 요결【總結】
2) 그림으로 보는 난 치기【圖式】
권6(총98) Ⅰ. 방중악보(실내악 악보)【房中樂譜】
1. 거문고 악보【玄琴字譜】 1) 지법의 변화를 통한 연주법【以指變通出聲之權】 2) 거문고의 여러 음 연주법【琴之眩聲】 3) 손가락 표기법【手指之號】 4) 거문고 현의 음【琴聲之變】 5) 거문고의 자출성(손가락으로 내는 음)【琴之自聲】 6) 4가지 청성(淸聲)【四淸之別】 7) 거문고 현의 이름【琴絃之名】 8) 거문고 소리의 상(相)【琴聲之相】 9) 거문고 소리의 형(形)【琴聲之形】 10) 거문고 그림【玄琴圖】 11) 우중대엽【羽中大葉五章】 12) 우초엽【羽初葉五章】 13) 우이엽【羽二葉五章】 14) 우삼엽【羽三葉初章】 15) 계중대엽【界中大葉五章】 16) 계초엽【界初葉五章】 17) 계이엽【界二葉五章】 18) 계삼엽【界三葉初章】 19) 농엽【弄葉五章】 20) 우락【羽樂五章】 21) 계락【界樂初章】 22) 편삭대엽【編數大葉五章】 23) 평우조【平羽調五章】 24) 평계조【平界調五章】 25) 삼중대엽【三中大葉五章】 26) 후정화【後庭花五章】 27) 염불타령【念佛打領】 28) 육자염불【六字念佛】 29) 타령【打領】 30) 군악유입타령【軍樂流入打領】 31) 우조타령【羽調打領】 32) 군악타령【軍樂打領】 33) 삼현회입【三絃回入】 34) 삼현회입우조별지【三絃回入羽調別指】 35) 삼현회입 2장두【三絃回入二章頭】 36) 삼현회입 4장말【三絃回入四章末】 37) 영산회상【靈山會上】 38) 세령산【細靈山】 39) 영산회상이층제지【靈山會上二層除指】 40) 영산회상삼층제지【靈山會上三層除指】 41) 보허사【步虛詞】 42) 대현환입【大絃還入】
2. 중국금 악보【唐琴字譜】 1) 중국금 악보【唐琴字譜】(3개) 자호字號 수세手勢 자보字譜 2) 5음 정조(正操) 악보【五音正操字譜】(5개) 궁의宮意 상의商意 각의角意 치의徵意 우의羽意 3) 옛날 금 그림【古琴圖】(6개) 부자금夫子琴 혁자금革子琴 호종금號鍾琴 자기금子期琴 뇌음금雷音琴 초미금焦尾琴 4) 현재 금 그림【今琴圖】(3개) 금면琴面 금복琴腹 금저琴底
3. 양금 악보【洋琴字譜】 1) 양금 악보【洋琴字譜】 2) 양금 그림【洋琴圖】 3) 조현곡【調絃】(2개)
우조조현羽調調絃 계면조현界面調絃
4) 영산회상【靈山會上】 5) 가곡【歌曲】 6) 시조【時調】
4. 생황 악보【笙簧字譜】 1) 생황 악보【笙簧字譜】 2) 생황의 소리구멍 그림【笙簧按孔圖】 3) 계면대엽【界面大葉】 4) 농악【弄樂】 5) 낙시조【樂時調】
이운지
이운지(怡雲志) 목차
이운지 권제1 怡雲志 卷第一 임원십육지 99 林園十六志 九十九
은거지[衡泌]의 배치 衡泌舗置
1. 총론 總論
1) 산골 거주지의 7가지 빼어난 경치 山居七勝
2) 산골에 사는 4가지 방법 居山四法
3) 집 지어 노후 즐기기 卜築娛老
4) 매화 심고 학(鶴) 기르기 種梅養鶴說
5) 작은 봉래산 小蓬萊
6) 고아한 배치와 속된 배치 論位置雅俗
2. 원림과 연못 園林、 澗沼
1) 장취원(將就園, 이상향의 정원)
2) 용도서[龍圖墅, 하도(河圖)를 본뜬 별장]
3) 구문원[龜文園, 낙서(洛書)를 본뜬 정원]
4) 정원에 울타리 치는 법 籬園法
5) 구경에 나무 심는 법 九徑種樹法
6) 큰 못과 작은 못 大小池塘
7) 흙을 구워 못 만드는 법 燔土作池法
8) 분지(盆池, 항아리를 이용한 못) 만드는 법 作盆池法
9) 못의 물이 마르지 않게 하는 법 池水禁涸法
10) 못 주변에 석가산(石假山, 돌로 만든 인공산) 만드는 법 池邊石假山法
11) 샘물 끌어들이는 법 引泉法
12) 가산으로 뱀을 물리치고 안개 일으키는 방법 假山辟蛇起霧方
3. 임원 삶터의 여러 건축물과 정자 齋寮亭榭
1) 서재 書齋
2) 원실 圜室
3) 온각 熅閣
4) 다료 茶寮
5) 약실 藥室
6) 금실 琴室
7) 장서각(藏書閣, 도서실)
8) 취진당(聚珍堂, 출판하는 곳)
9) 영빈관(迎賓館)
10) 의숙(義塾, 교육기관)
11) 사정(射亭, 활쏘기 하는 정자)
12) 망행정(望杏亭, 농사 살피는 정자)
13) 첨포루(瞻蒲樓, 추수 살피는 누각)
14) 춘경료(春鶊寮, 누에방)와 추솔와(秋蟀窩, 길쌈방)
15) 전어사(佃漁社, 가축우리 및 양어장과 고기잡이 시설)
16) 포정(圃亭, 텃밭 정자)
17) 계정(溪亭, 시냇가 정자)
18) 강루(江樓, 강가 누각)
19) 수사(水榭, 저수지가 정자)
20) 죽정(竹亭, 대나무 정자)
21) 회백정(檜柏亭, 향나무 정자)
22) 모정(茆亭, 띠풀로 만든 정자)
23) 송헌(松軒, 소나무 사이에 세운 헌)
24) 택승정(擇勝亭, 이동식 정자)
25) 관설암 觀雪庵
26) 차여택 此予宅
4. 궤(几)와 탑(榻)과 문구(文具)의 배치 几榻、 文具
1) 좌궤(坐几, 작은 탁자)
2) 앉는 데 쓰이는 가구 坐具
3) 서가(書架)와 책궤 架橱
4) 그림 걸기 懸畫
5) 향로(香罏) 배치 置罏
6) 꽃병 배치 置缾
7) 작은 방의 가구 배치 小室位置
8) 침실[臥室]의 가구 배치 臥室位置
9) 창실의 가구 배치 敞室位置
10) 정자의 가구 배치 亭榭位置
휴양(休養)에 필요한 도구 怡養器具
1. 상(牀)과 탑(榻) 牀榻
1) 이의상(二宜牀, 여름·겨울에 모두 알맞은 평상)
2) 죽탑(竹榻, 대나무 평상)
3) 고배(靠背, 등받이)
4) 고궤(靠几, 안석)
5) 의상(欹床, 비스듬히 기대어 책 보는 평상)
6) 취상(醉床, 술 마시기 좋은 평상)
7) 단탑(短榻, 길이가 짧은 평상)
8) 등돈(藤墩, 등나무 걸상)
9) 포돈(蒲墩, 부들 걸상)
10) 곤등(滾凳, 발 굴림 걸상)
11) 선의(仙椅, 명상용 의자)
12) 은궤(隱几, 기대는 궤)
13) 나판(懶版, 나른해질 때의 휴식용 평상)
14) 천연탑(天然榻, 천연 그대로의 평상)
15) 선의(禪椅, 참선용 의자)
2. 침구류 枕褥
1) 베개 枕
2) 서침(書枕, 서재용 베개)
3) 포화욕(蒲花褥, 부들꽃 요)
4) 노화피(蘆花被, 갈대꽃 이불)
5) 은낭(隱囊, 몸을 기대는 자루)
6) 자리[簟]
7) 좌단(坐團, 둥근 방석)
3. 병풍과 장막 屛、 帳
1) 병풍 屛
2) 침두병풍(枕頭屛風, 머릿병풍)
3) 장막 帳
4) 무루장(無漏帳, 틈이 없는 장막)
5) 매화지장(梅花紙帳, 매화를 장식한 종이 장막)
4. 여러 휴대용 도구 動用諸具
1) 띠쇠[鉤, 물건 거는 고리] 鉤
2) 불진 拂塵
3) 여의 如意
4) 단선 團扇
5) 쟁(鎗, 술을 데우는 그릇)
6) 편제(偏提, 술 주전자)
7) 급수(急須, 술 데우는 그릇)
8) 화호(火壺)
9) 생황호(笙簧壺, 생황 모양의 휴대용 술통)
5. 이구 餌具
1) 찬합 饌盒
2) 죽발 竹鉢
3) 향연반 香櫞盤
6. 음주 도구 飮具
1) 술그릇 총론 酒器統論
2) 치이 鴟夷
3) 고·준·호·병 觚、 尊、 壺、 甁
4) 표 杯杓 배표(杯杓, 여러 형태의 술잔)
이운지 권제2 怡雲志 卷第二 임원십육지 100 林園十六志 一百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 山齋淸供(上)
1. 차 茶供
1) 물의 품등 水品
2) 땔감의 품등 薪品
3) 찻물의 징후 湯候
4) 끓인 물 붓는 법 點法
5) 씻는 법 滌法
6) 소금으로 간을 맞추다 論調鹽
7) 차와 과일 論茶果
8) 차 마시는 법 飮法
9) 다구 茶具
풍로 風爐 │ 광주리 筥 │ 탄과 炭檛 │ 화협 火筴 │ 솥 鍑 │ 교상 交牀 │ 집게 夾 │ 지낭 紙囊 │ 연 碾 │ 나합 羅合 │ 찻숟가락 則 │ 수방 水方 │ 녹수낭 漉水囊 │ 표주박 瓢 │ 죽협 竹夾 │ 차궤 鹺簋 │ 숙우 熟盂 │ 다완 盌 │ 둥구미 畚 │ 찰 札 │ 척방 滌方 │ 재방 滓方 │ 다건 巾 │ 구열 具列 │ 도람 都籃
2. 향 香供
1) 이름과 뜻 名義
2) 품등 品第
3) 만드는 법 製法
강남이왕 장중향 江南李王帳中香 │ 당 화도사 아향 唐化度寺牙香 │ 옹문철랑중 아향 雍文徹郞中牙香 │ 연안군공 예향 延安郡公蕊香 │ 공불 습향 供佛濕香 │ 아향 牙香 │ 인향 印香 │ 매화향 梅花香 │ 구자향 毬子香 │ 신령향 信靈香 │ 설중춘범향 雪中春泛香 │ 춘소식 春消息 │ 독누향 篤耨香 │ 설란향 雪蘭香 │ 납매향 蠟梅香 │ 야화향 野花香 │ 장춘반혼매향 藏春返魂梅香 │ 행화향 杏花香 │ 소룡연향 小龍涎香 │ 옥화향 玉華香 │ 취선향 聚仙香 │ 침속향 沈速香 │ 황향병 黃香餠 │ 인향 印香 │ 만춘향 萬春香 │ 살별란향 撒 蘭香 │ 부용향 芙蓉香 │ 용루향 龍樓香 │ 새룡연병자 賽龍涎餠子 │ 사기향병 四棄香餠 │ 동국부용향 東國芙蓉香
4) 향료 香料
용뇌향 龍腦香 │ 사향 麝香 │ 침수향 沈水香 │ 단향 檀香 │ 소합향 蘇合香 │ 안식향 安息香 │ 울금향 鬱金香 │ 정향 丁香 │ 유향 乳香 │ 목향 木香 │ 강진향 降眞香 │ 애납향 艾蒳香 │ 감송 甘松 │ 영릉향 零陵香 │ 감람향 橄欖香 │ 모산세경창출 茅山細梗蒼朮 │ 빈랑태 檳榔苔 │ 철면향·생향 鐵面香、生香 │ 갑향 甲香 │ 기남향 棋楠香 │ 암팔향 唵叭香 │ 운향 芸香 │ 배초향 排草香 │ 방향 芳香 │ 회향 蘹香 │ 난향 蘭香 │ 백교향 白膠香 │ 모향 茅香 │ 백모향 白茅香 │ 작두향 雀頭香 │ 용연 龍涎
5) 향 묻는 법 窨香法
6) 여러 향 처리하는 법 諸香治法
단향 처리하기 治檀香 │ 곽향·감송·영릉과 같은 향류 처리하기 治藿香、 甘松、 零陵之類 │ 모향 처리하기 治茅香 │ 갑향 처리하기 治甲香 │ 비장뇌 飛樟腦
7) 꿀 졸이는 법 煉蜜法
8) 숯 만드는 법 煉炭法
9) 보관하는 법 藏法
10) 향 연기 잘 모으는 법 聚香煙法
11) 향 연기 잘 나누는 법 分香煙法
12) 연기 끌어다 호리병에 넣는 법 引煙入葫蘆法
13) 향전 만드는 법 香篆法
14) 향수 만드는 법 香獸法
15) 수부향 만드는 법 水浮香法
16) 향병 만드는 법 香餠子法
17) 재 만드는 법 灰法
18) 향로 香爐
19) 향합 香盒
20 향시(香匙)와 향저(香筯) 匙筯
21) 사금파리 격화(隔火)
22) 향반 香盤
23) 향궤(香几)
24) 향 관련 모든 물품을 보관하는 향갑 香都總匣
3. 금·검(부록:생황·적·종·경쇠) 琴劍供(附:笙、 笛、 鍾、 磬)
1) 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 論書室不可無琴
2) 재목 고르기 擇材
3) 진(軫)의 품등 軫品
4) 휘(徽)의 품등 徽品
5) 현(絃)의 품등 絃品
6) 금 만드는 법 製法
7) 금의 양식 樣式
8) 현금 玄琴
9) 번금 番琴
10) 고금(古琴) 판별법 古琴辨
11) 9덕(九德, 금의 9가지 덕목)
12) 백랍금 百衲琴
13) 금(琴) 보호법 護法
14) 금(琴) 보관법 蓄法
15) 금(琴) 고치는 법 醫法
16) 금(琴) 연주할 때 금기사항 彈琴宜忌
17) 금(琴)의 십우 琴壇十友
18) 금갑 琴匣
19) 금낭 琴囊
20) 금안 琴案
21) 금실 琴室
22) 생황(笙簧)의 이름과 의미 笙簧名義
23) 생황 만드는 법 製法
24) 생황 보관법 藏法
25) 적(笛)의 이름과 의미 笛名義
26) 적(笛) 만드는 법 製法
27) 종(鍾)
28) 경(磬)
29) 풍경 風磬
30) 서재에는 검을 걸어두어야 한다 論齋閣宜掛劍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 一百一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하) 山齋淸供(下)
1. 꽃과 돌 花、 石供
1) 분경(盆景) 총론 盆景統論
2) 분경의 품등 盆景品第
3) 화분의 품등 盆品
4) 병 꽃꽂이 총론 甁花統論
5) 꽃병의 품등 甁品
6) 꽃의 품등 花品
7) 가지 꺾기 折枝
8) 꽃꽂이 插貯
9) 병에서 꽃 기르기 滋養
10) 여러 가지 꽃 꽂는 법 諸花插法
매화 梅花 │ 모란 牡丹 │ 작약 芍藥 │ 연꽃 荷花 │ 치자 梔子 │ 해당화 海棠 │ 접시꽃 蜀葵 │ 수선화 水仙花 │ 봉선화 鳳仙花 │ 부용화 芙蓉花 │ 영지 靈芝 │ 여러 가지 꽃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 諸花總法
11) 꽃 씻기 沐花
12) 꽃이 꺼리는 것 花忌
13) 꽃병 관리 護甁
14) 취우호 翠羽壺
15) 윤회매 輪回梅
16) 종이꽃 紙花
17) 납화감 蠟花龕
18) 괴석怪石) 살펴보는 법 怪石相法
19) 돌 위에 이끼 나게 하는 법 石上生苔法
20) 돌 염색법 染石法
21) 수석취미 泉石供
22) 물로 괴석 기르는 법 水養怪石法
23) 겨울에 돌 관리하는 법 冬月護石法
24) 괴석 운반하는 법 運怪石法
25) 중국 돌의 품등 中國石品
영벽석 靈壁石 │ 청주석 靑州石 │ 임려석 林慮石 │ 태호석 太湖石 │ 무위군석 無爲軍石 │ 임안석 臨安石 │ 무강석 武康石 │ 곤산석 崑山石 │ 도주석 道州石 │ 사계석 思溪石 │ 개화석 開化石 │ 영석 英石 │ 계천석 桂川石 │ 강주석 江州石 │ 원석 袁石 │ 평천석 平泉石 │ 연주석 兗州石 │ 습경석 襲慶石 │ 역산석 嶧山石 │ 뇌양석 耒陽石 │ 양양석 襄陽石 │ 진강석 鎭江石 │ 청계석 淸溪石 │ 형석 形石 │ 구지석 仇池石 │ 변산석 卞山石 │ 길주석 吉州石 │ 전주석 全州石 │ 소주석 韶州石 │ 융석 融石 │ 천석 川石 │ 소유동 천석 小有洞天石
26) 우리나라 돌의 품등 小有洞天石
경천석 敬天石 │ 신계석 新溪石 │ 안산석 安山石 │ 수락석 水落石 │ 풍천석 豐川石 │ 단양석 丹陽石 │ 덕적석 德積石 │ 금강석 金剛石 │ 낭간석 琅玕石 │ 종유석 鍾乳石 │ 옥순석 玉筍石 │ 물상석 物象石
2. 조수(鳥獸)와 물고기 禽魚供
1) 상학법 相鶴法
2) 순학법 馴鶴法
3) 양학법 養鶴法
4) 학에게 춤 가르치는 법 敎鶴舞法
5) 양계칙법 養鸂鶒法
6) 양록법 養鹿法
7) 사슴의 병 치료법 醫鹿病法
8) 금붕어 품평 金魚品第
9) 금붕어 기르는 법 養金魚法
10) 먹이로 붕어 색깔 바꾸는 법 飼魚變色法
11) 유리 어항에 금붕어 기르는 법 玻瓈盒養金魚法
12) 거북의 등에 녹색 털 나게 하는 방법 養龜生綠毛方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一百一
서재의 고상한 벗들(상) 文房雅製(上)
1. 붓 筆
1) 털의 품등 毫品
2) 붓대의 품등 管品
3) 붓 만드는 법 製法
4) 붓 씻는 법 滌法
5) 붓 보관하는 법 藏法
6) 붓걸이 筆格
7) 붓통 筆筒
8) 붓받침 筆牀
9) 필선 筆船
10) 필점 筆覘
11) 필세 筆洗
12) 필병 筆屛
2. 먹 墨
1) 먹은 반드시 우수한 것으로 골라야 한다 論墨必擇精
2) 먹의 품질 변별하기 辨品
3) 제후 製候
4) 송연 얻는 방법 取松煙法
5) 유연 얻는 방법 取油煙法
물동이 水盆 │ 기름잔 油 │ 그을음사발 煙盌 │ 등초 燈草
6) 체로 그을음 거르기 篩煙
7) 아교 녹이기 鎔膠
어표교 魚鰾膠
8) 약 쓰기 用藥
9) 그을음 반죽하기 搜煙
10) 그을음반죽 찌기 蒸劑
11) 그을음반죽 절구질하기 杵擣
12) 그을음반죽 무게 재기 稱劑
13) 쇠망치로 두드리기 鎚鍊
14) 둥근 반죽 늘이기 丸擀
15) 모양 만들기 樣製
16) 무늬 만드는 법 紋法
17) 먹틀로 찍어내기 印脫
18) 재에 넣기 入灰
19) 재에서 꺼내기 出灰
20) 보관법 藏法
21) 사용법 用法
22) 우리나라의 먹 만드는 법 東墨法
23) 묵갑 墨匣
24) 묵상 墨牀
25) 주사(朱砂)로 먹 만드는 법 硃墨法
26) 주사를 섞어 점 찍거나 글씨 쓰는 법 調硃點書法
27) 자황(雌黃)으로 먹 만드는 법 雌黃墨法
28) 소분(韶粉)으로 먹자루 만드는 법 粉錠子法
이운지 권제4 怡雲志 卷第四 임원십육지 102 林園十六志一百二
서재의 고상한 벗들(하) 文房雅製(下)
1. 벼루 硯
1) 벼루 품등 총론 硯品統論
2 단계端溪) 벼루(단계연)의 품등 端硯品
3) 흡주(歙州) 벼루(흡연)의 품등 歙硯品
4) 중국 여러 지역 벼루의 품등 諸州硯品
5) 우리나라 벼루의 품등 東國硯品
6) 일본 벼루의 품등 倭硯品
7) 도기벼루[陶硯]의 품등 陶硯品
8) 특이한 벼루의 품등 異硯品
9) 모양 樣式
10) 손질하는 법 治法
11) 잘 간수하는 법 養法
12) 깨진 벼루 보수하는 법 補破硯法
13) 벼룻집(연갑, 硯匣)
14) 벼루산(연산, 硯山)
15) 벼루병풍(연병, 硏屛)
16) 수적(水滴)
17) 수중승 水中丞
18) 수우 水盂
2. 종이 紙
1) 옛날과 지금의 종이 품등 古今紙品
2) 죽지(竹紙) 만드는 법 造竹紙法
3) 주본지(奏本紙) 만드는 법 造奏本紙法
4) 분지(粉帋) 만드는 법 造粉帋法
5) 상용지(常用帋) 만드는 법 造常用帋法
6) 마지(麻帋) 만드는 법 造麻帋法
7) 고경지(古經紙) 만드는 법 造古經紙法
8) 송전(宋箋)에 물들이는 법 造宋箋色法
9) 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 造諸色牋法
10) 종이 두드리는 법 搥紙法
11) 우리나라 종이의 품등 東國紙品
12) 북지(北紙) 만드는 법 造北紙法
13) 일본 종이의 품등 倭紙品
14) 다루는 법 治法
15) 보관법 藏法
16) 수간 手簡
17) 진지 鎭紙
18) 압척 壓尺
19) 비각 秘閣
20) 패광 貝光
21) 재도 裁刀
22) 가위 剪刀
23) 호두 糊斗
24) 납두 蠟斗
3. 도장 圖章
1) 도장의 품등 印品
2) 인뉴 印鈕
3) 전서(篆書) 쓰는 법 篆法
4) 도장 새기는 법 刻法
5) 도장 씻는 법 洗印法
6) 인주(印朱) 만드는 방법 印色方
기름을 햇볕에 쬐는 법 曬油法 오종선(吳從先)의 인주기름 만드는 법 吳從先印油法
7) 도서갑 圖書匣
8) 인주합 印色池
4. 서실의 기타 도구 書室雜器
1) 서상 書牀
2) 의안 欹案
3) 서등 書燈
4) 문갑 文匣
5) 안경 靉靆
은거지의 배치[衡泌舗置, 형비포치]
휴양(休養)에 필요한 도구[怡養器具. 이양기구]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山齋淸供, 산채청공] (상)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풍로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광주리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탄과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화협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솥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교상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집게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지낭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연(碾, 맷돌)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나합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찻숟가락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방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녹수낭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표주박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죽협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차궤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숙우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다완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둥구미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찰(札, 다구 닦는 솔)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척방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재방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다건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구열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도람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상상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귀결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분영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체화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강홍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집권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단풍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녹진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정불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주춘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봉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감둔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철향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요운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납경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오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고절군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건성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운둔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오부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수조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기국
- [[이운지:임원에서_즐기는_청아한_즐길거리(상):차:다구:품사]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山齋淸供, 산채청공] (하)
상택지
상택지(相宅志):풍수 백과 목차
권1(총107) Ⅰ. 집터 살피기【占基】 1. 총론【總論】 1) 살 곳 고르는 4가지 요점【卜居四要】 2) 살 곳은 잘 살펴 골라야 한다【論卜居須審擇】 3) 조건 6가지와 갖추어야 할 6가지【六欲六有】 4) 거주지는 인가와 들녘이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한다【論搆居必在人野相近處】
2. 지리적 조건【地理】 1) 산을 등지고 호수를 마주하는 곳【論背山面湖】 2) 주거지는 높고 맑으며 확 트인 곳이어야 한다【論人居宜高淨寬暢】 3) 용의 다리 부분이 벌어진 곳과 오무려진 곳【論龍腳收放】 4) 평지의 주거지【論平地陽基】 5) 산골짜기의 주거지【山谷陽基】 6) 사방의 형세(사상)【論四象】 7) 사방의 높낮이【論四方高低】 8) 특정 방위의 공간이 부족할 때【論方位不足】 9) 산의 형세【論山形】 10) 들의 형세【論野勢】 11) 물과의 호응【論水應】 12) 배수에 관한 여러 금기【放水雜忌】 13) 집안에서 배수할 때 여러 금기【宅內出水雜忌】 14) 배수구(수구)【論水口】 15) 모래의 호응【論砂應】 16) 바람 들어오는 방향【論風射方】 17) 조산【論朝山】 18) 조수【論朝水】 19) 건조한 곳과 윤택한 곳【論燥潤】 20) 집터의 방향【論向背】
3. 물과 흙【水土】 1)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물과 흙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先看水土】 2) 거주지는 땅이 두텁고 물이 깊어야 한다【論人居欲土厚水深】 3) 토질 확인하는 법【驗壤法】 4) 흙 빛깔【論土色】 5) 물과 흙을 함께 논한다【合論水土】 6) 산 보고 샘물 살피는 법【看山相泉法】 7) 샘물의 품등【論泉品】 8) 강물【論江水】 9) 우물물【論井水】 10) 수질 시험하는 법【試水美惡法】 11) 전국의 유명한 샘【域內名泉】 12) 전국의 장기(瘴氣)가 있는 땅【域內瘴土】
4. 생업 조건【生理】 1) 살 곳은 농사와 장사에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論卜居宜便農賈】 2) 살 곳을 고를 때는 먼저 농지를 보아야 한다【論卜居先看田地】 3) 살 곳은 물품을 사고팔기에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論卜居宜便貿遷】
5. 좋은 마을 찾기【里仁】 1) 살 곳을 고를 때는 마을 인심을 살펴야 한다【論卜居必視謠俗】 2) 살기 좋지 않은 곳 7군데【七不可居】 3) 돈이 모여드는 곳은 살기 좋지 않다【論財利湊集處不可居】 4) 팔도의 인심【論八域謠俗】
6. 경치 좋은 곳【勝㮣】 1) 높은 산의 급한 여울가는 좋은 거주지가 아니다【論高山急湍不宜奠居】 2) 명산과 아름다운 물가에는 별장이 좋다【論名山佳水宜置別業】
7. 피해야 할 곳【避忌】 1) 살지 말아야 할 곳 9군데【九不居】 2) 피해야 할 곳 6군데【六忌居】 3) 피해야 할 곳 10군데【十忌居】 4) 살【箭】이 있는 곳 5가지 유형【五箭地】 5) 살 수 없는 곳 6군데【六不可居】
Ⅱ. 집 가꾸기【營治】
1. 황무지 개간【開荒】
1) 황무지의 벌목법【荒地伐木法】
2) 집터 닦는 법【開基法】
3) 용의 맥 뚫기【論龍脈穿鑿】
4) 고지대를 깎아 저지대를 높인다【論鋤高益低】
2. 나무 심기【種植】 1) 나무를 심어 사방의 형세(사상) 대신하는 법【種樹代四象法】 2) 거주지에는 수목이 푸르고 무성해야 한다【論人居宜樹木翠茂】 3) 나무의 방향【論樹木向背】 4) 나무 심기의 주의사항【種樹宜忌】 5) 살 곳을 골랐으면 가장 먼저 나무를 심어야 한다【論卜居急先種樹】
3. 건물 짓기와 배치【建置】 1) 방은 남향이어야 한다【論居室宜向南】 2) 방은 바람 들 틈이 없어야 한다【論居室須周密】 3) 침실은 매우 깨끗하게 해야 한다【論室宇當令潔盛】 4) 방은 화려해서는 안 된다【論居室不宜綺麗】 5) 천장은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안 된다【論屋無太高太低】 6) 방은 소통이 잘 되도록 지어야 한다【論爲室宜令疏達】 7) 집짓기의 여러 기피 사항【造屋雜忌】 8) 문을 내는 방향【裝門方向】 9) 문을 낼 때 여러 기피 사항【裝門雜忌】 10) 길 내는 법【取路法】 11) 담장 쌓기의 여러 기피 사항【墻垣雜忌】 12) 나무 심어 울타리로 삼는 법【揷籬法】 13) 창고의 방향【倉庫方位】 14) 방아와 맷돌 놓는 방향【安碓磨方位】 15) 측간과 잿간을 배치하는 방위【置糞屋方】 16) 외양간 짓는 방위【造廏方】
4. 우물, 못, 도랑【井池溝渠】 1) 샘 찾아 우물 파는 법【審泉開井法】 2) 마을에는 우물이 여러 개 있어야 한다【論人家宜有數井】 3) 우물 팔 때의 여러 기피 사항【鑿井雜忌】 4) 연못 만들 때의 여러 기피 사항【池塘雜忌】 5) 연못 만드는 여러 방법【池塘雜法】 6) 도랑【論溝渠】 7) 고지대에는 물 저장고(수고)를 만들어야 한다【論高地宜作水庫】
권2(총108) Ⅰ. 전국의 명당【八域名基】 1. 전국 총론【八域統論】 1) 경기도【京畿】 2) 충청도【湖西】 3) 전라도【湖南】 4) 경상도【嶺南】 5) 강원도【關東】 6) 황해도【海西】 7) 평안도【關西】 8) 함경도【關北】 2. 전국의 명당들【名基條開】 (233)
1) 경기도【京畿】(82곳) 누원촌樓院村 망해촌望海村 청룡동靑龍洞 송산松山 사천의 폐현沙川廢縣 삼가대三佳臺 가정자柯亭子 반곡盤谷 풍양豐壤 토원兔院 석실원촌石室院村 평구역촌平邱驛村 노원蘆原 진벌촌榛伐村 남일원南一原 화산花山 이곡棃谷 수곡樹谷 금수정金水亭 창옥계蒼玉屛 주원周原 백로주白鷺洲 백운동白雲洞 농암農巖 연곡燕谷 화현花峴 용호동龍虎洞 조종朝宗 쳥평천淸平川 만취대晚翠臺 경반鏡盤 비금산秘琴山 능우촌陵隅村 감호鑑湖 귀래정歸來亭 벽계蘗溪 용진龍津 미원迷原 봉황대鳳凰臺 소계巢溪 장생동長生洞 행주幸州 삼성당三聖堂 서촌嶼村 마산역촌馬山驛村 화석정花石亭 우계牛溪 내소정來蘇亭 용산龍山 고랑포高浪浦 정자포亭子浦 기일촌基一村 영통동靈通洞 상수촌湘水村 매화곡梅花谷 징파도澄波渡 삭령읍촌朔寧邑村 삼계정三溪亭 여주읍촌驪州邑村 이호梨湖 천령川寧 시라리蒔蘿里 장해원長海院 안성읍촌安城邑村 금령촌金嶺村 비파호琵琶湖 판교촌板橋村 두현斗峴 석림石林 남자곡藍子谷 장항獐項 학탄鶴灘 압구정狎鷗亭 숙몽정夙夢亭 자하동紫霞洞 월파정月波亭 장항獐項 성고리聲皐里 대부도大阜島 신곡薪谷 십승정十勝亭 선원仙源
2) 충청도【湖西】(56곳)
청라동靑蘿洞 가야동伽倻洞 판교천板橋川 성연부곡聖淵部曲 무릉동武陵洞 함덕제合德堤 화성化城 광천廣川 갈산葛山 화계花溪 성주동聖佳洞 유성儒城 경천촌敬天村 이인역촌利仁驛村 유구촌維鳩村 사송정四松亭 강경포江景浦 시진포巿津浦 진포鎭浦 부여읍촌扶餘邑村 왕진王津 공세창촌貢稅倉村 온양읍촌溫陽邑村 풍세촌豐歲村 구로동九老洞 작천鵲川 산동山東 송면촌松面村 이원진利遠津 황산黃山 안평계安平溪,금계錦溪,용화계龍華溪 이화촌棃花村 물한리物閑里 이원棃院 관대館垈 풍계촌楓溪村 용호龍湖 채하계彩霞溪,구룡계九龍溪 형강荆江 고산정孤山亭 진천읍촌鎭川邑村 초평艸坪 석실石室 후산정候山亭 황강黃江 도화동桃花洞 사인암舍人巖 운암雲巖 금천金遷 가흥嘉興 북창北倉 목계木溪 내창內倉 말마촌秣馬村 대흥향교촌大興鄕校村 수석동水石洞
3) 전라도【湖南】(17곳) 율담栗潭 봉상촌鳳翔村 황산촌黃山村 서지포西枝浦 경양호景陽湖 부흥촌復興村 성원星園 구만촌九灣村 주졸천珠崒川 제원천濟原川 장계長溪 주계朱溪 변산邊山 법성포法聖浦 영산강靈山江 월남촌月南村,구림촌鳩林村 송정松亭
4) 경상도【嶺南】(25곳)
귀래정歸來亭 삼귀정三龜亭 하회河洄 임하臨河 내성奈城 춘양촌春陽村 수동壽洞 옥산玉山 양좌동良佐洞 도산陶山 청송읍촌靑松邑村 죽계竹溪 병천甁川 화개동花開洞 악양동岳陽洞 금호琴湖 밀양읍촌密陽邑村 해평촌海平村 감천甘川 가천伽川 봉계鳳溪 이안부곡利安部曲 가정구기稼亭舊基 월성촌月城村 과담雩潭
5) 강원도【關東】(42곳) 임계역촌臨溪驛村 경포鏡浦 대은동大隱洞 해함지海鹹池 대야평大野坪 여량역촌餘糧驛村 주천고현酒泉古縣 치악雉岳 사자산獅子山 흥원창興原倉 법천法泉 덕은촌德隱村 오상곡五相谷 옥산玉山 귀석정龜石亭 도천桃川 옥계玉溪 월뢰月瀬 산현山峴 단구丹邱 교항橋項 재일촌霽日村 모평리茅坪里 횡성읍촌橫城邑村 분곡粉谷 서석瑞石 호명리虎鳴里 천전泉田 우두촌牛頭村 기린고현麒麟故縣 금곡琴谷 송정松亭 하북점리下北占里 선창촌仙倉村 거성擧城 사견촌四堅村 광복동廣褔洞 가려주佳麗洲 포내浦內 귀당龜塘 고밀운古密雲 정연亭淵
6) 황해도【海西】(5곳) 석담石潭 수회촌水回村 채촌采村 화천동花川洞 주구舟邱
7) 평안도【關西】(3곳) 회산檜山 고향산古香山 당촌唐村
8) 함경도【關北】(3곳) 금수촌錦水村 광포廣浦 합포蛤浦
3. 명당 품평【名基品第】
1) 강 근처 거주지【論江居】
2) 계곡 근처 거주지【論溪居】
3) 산골 거주지【論山居】
4) 호수 근처 거주지【論湖居】
5) 바다 근처 거주지【論海居】
6) 계곡·강·바다 근처 거주지를 함께 논하다【合論溪江海居】
예규지
예규지(倪圭志):생활경제 백과 목차
권1(총109) Ⅰ. 지출의 조절【制用】 1. 수입을 고려하여 지출한다【量入爲出】 1) 수입의 7/10만 쓴다【十分用七】 2) 펑펑쓰기와 아껴쓰기는 조절법이 다르다【豐儉異制】 3) 재산은 지키기가 더욱 어렵다【貴富尤難守成】 4) 1년 계획과 1개월 계획【歲月計】 5) 하루 계획【日計】
2. 절약【節省】 1) 사치의 해로움과 검소의 이로움【奢儉利害】 2) 절약을 통해 길러지는 4가지【四養】 3) 절약을 소홀히 하지 말라【節用毋忽少】 4) 절약과 검소로 장수한다【節儉延壽】 5) 옷과 음식의 완급 조절【論衣食緩急】 6) 접대는 간소해야 한다【讌饌宜從簡】 7) 밥 먹을 때 생각하는 3가지【食時三思】 8) 밥은 절약해야 한다【飯宜節約】 9) 식사 때 두 가지의 고기를 올리지 말라【食勿重肉】 10) 오곡을 공경하고 아낀다【敬惜五穀】
3. 경계할 일【戒禁】 1) 가난하게 하는 허(虛) 5가지, 부귀하게 하는 실(實) 5가지【五虛五實】 2) 집안의 도적 10가지【十盜】 3) 빚을 경계하라【戒擧債】 4) 납부할 세금까지 지출하지 말라【戒侵支國稅】 5) 쓸데없이 재물을 낭비 말라【戒抛財無用】 6) 망할 집안의 징조들【破家諸兆】 7) 목돈 드는 집짓기를 경계하라【戒營造破費】 8) 서화나 골동품 구입을 경계하라【戒買玩好】 9) 인색함을 경계하라【戒鄙嗇】 10) 화재를 조심하는 여러 방법【戒火雜法】 11) 불 끄는 여러 방법【救火雜法】 12) 도둑에 대처하는 여러 방법【警盜雜法】 13) 도둑 막는 여러 기술【弭盜雜述】 14) 집안의 경비【宅舍關防】 15) 낭비를 경계하라【戒浪費】 16) 저당 잡히지 말라【戒質典】 17) 임대하여 살지 말라【戒賃屋】 18) 놈팡이를 기르지 말라【戒養閑漢】
4. 미리 준비하기【備豫】 1) 땔감과 쌀은 충분히 갖춰야 한다【柴米宜備足】 2) 햇곡식은 쌓아두고 묵은 곡식을 사용하는 법【米穀儲新用舊法】 3) 땔감 저장하는 법【儲薪法】 4) 제때를 놓치지 않도록 미리 계획을 세우라【預謀不失時】
권2(총110) Ⅰ. 재산 증식(상)【貨殖】 1. 운송하여 장사하기【貿遷】 1) 먹고살려면 운송하여 장사해야 한다【治生須貿遷】 2) 배의 이익【船利】 3) 수레의 이익【車利】 4) 물건 싹쓸이【榷貨】 5) 장사 비법【商販妙法】 6) 상인은 공정과 성실이 으뜸이다【商以公誠爲主】 7) 속이는 장사는 보탬이 안 된다【僞賈無益】
2. 재산 불리기【孳殖】 1) 빌려주는 이율은 중용이 중요하다【假貸取息貴得中】 2) 돈이나 식량을 너무 많이 빌려주지 말라【錢穀不可多借人】 3) 금은보화의 형태로 보관만 하지 말라【金寶莫閒藏】
3. 부동산·동산 매입과 재산 관리【置產】 1) 논밭이 보물이다【論田土可寶】 2) 논밭의 경계는 분명해야 한다【田產界至宜分明】 3) 꼭 기름진 논밭을 살 필요는 없다【置田不必膏腴】 4) 논밭 매입의 요점 5가지【置田五要】 5) 인근 논밭은 값을 더 쳐주고 사야 한다【鄰近田產宜增價買】 6) 논밭은 팔아서는 안 된다【田產不宜鬻賣】 7) 논밭을 불법으로 사지 않는다【違法田產不可置】 8) 거래할 때는 법대로 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交易宜著法絶後患】 9) 부동산 매입할 때는 어진 마음을 가져야 한다【置產當存仁心】 10) 소작인을 아끼고 사랑하라【存卹佃客】 11) 종은 토박이여야 한다【婢僕須宜土人】 12) 종을 고용할 때는 거간꾼이 확실한 사람이어야 한다【雇婢僕要牙保分明】 13) 계집종이나 첩을 살 때는 동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買婢妾當審可否】 14) 방죽이나 저수지 보수 공사【修治陂塘】 15) 나무 심기에 때를 놓치지 말라【種樹毋失時】 16) 채무자 땅을 술책으로 겸병하는 일은 좋은 계획이 아니다【兼幷用術非悠久計】 17) 자손에게 재산을 고루 나눠주도록 힘써야 한다【分析務平均】
4. 부지런히 일하기【勤勵】 1) 부지런과 검소가 근본이다【勤儉爲根本】 2) 부지런의 이익과 게으름의 해로움【勤惰利害】 3) 날마다 일찍 일어나라【每日早起】 4) 부지런히 농사짓고 길쌈하라【勤耕織】 5) 부지런과 검소에도 분별이 있어야 한다【勤儉要有分別】
5. 일 맡기기【任使】 1) 유사는 순박하고 신중한 사람으로 고른다【幹人擇淳謹】 2) 종들을 우대하라【優恤婢僕】
권3(총111) Ⅰ. 재산 증식(중)【貨殖】 1. 전국의 생산물【八域物產】 1) 총론【總論】 2) 경기도【京畿】(39곳) 한양漢陽 광주廣州 이천利川 양근楊根 지평砥平 죽산竹山 음죽陰竹 양지陽智 과천果川 수원水原 인천仁川 안산安山 안성安城 진위振威 용인龍仁 양천陽川 김포金浦 시흥始興 양성陽城 통진通津 양주楊州 파주坡州 고양高陽 부평富平 남양南陽 장단長湍 교하交河 영평永平 가평加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풍덕豐德 삭령朔寧 마전麻田 연천漣川 개성開城 강화江華 교동喬桐 영종永宗
3) 충청도【湖西】(53곳) 충주忠州 청풍淸風 단양丹陽 영춘永春 제천堤川 괴산槐山 연풍延豐 음성陰城 청주淸州 천안天安 옥천沃川 문의文義 직산稷山 목천木川 회인懷仁 청안淸安 진천鎭川 보은報恩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공주公州 임천林川 한산韓山 전의全義 정산定山 은진恩津 회덕懷德 진잠鎭芩 노성魯城 부여扶餘 석성石城 연기燕岐 홍주洪州 서천舒川 서산瑞山 태안泰安 면천沔川 온양溫陽 평택平澤 홍산鴻山 덕산德山 청양靑陽 대흥大興 비인庇仁 감포藍浦 결성結城 보령保寧 아산牙山 신창新昌 예산禮山 해미海美 당진唐津
4) 전라도【湖南】(54곳) 남원南原 담양潭陽 순창淳昌 용담龍潭 창평昌平 임실任實 무주茂朱 곡성谷城 옥과玉果 운봉雲峰 진안鎭安 장수長水 순천順天 낙안樂安 보성寶城 능주綾州 광양光陽 구례求禮 흥양興陽 동복同福 화순和順 전주全州 익산益山 김제金堤 고부古阜 금산錦山 진산珍山 여산礪山 만경萬頃 임피臨陂 금구金溝 정읍井邑 흥덕興德 부안扶安 옥구沃溝 용안龍安 함열咸悅 고산高山 태인泰仁 나주羅州 광주光州 장성長城 영암靈巖 영광靈光 함평咸平 고창高敞 무장茂長 남평南平 무안務安 장흥長興 진도珍島 강진康津 해남海南 제주濟州
5) 경상도【嶺南】(71곳) 경주慶州 울산蔚山 영천永川 흥해興海 청하淸河 연일延日 장기長鬐 언양彥陽 안동安東 영해寧海 청송靑松 순흥順興 예천醴泉 영천榮川 풍기豐基 의성義城 영덕盈德 봉화奉化 진보眞寶 영양英陽 군위軍威 비안比安 예안禮安 용궁龍宮 대구大丘 밀양密陽 청도淸道 선산善山 금산金山 개령開寧 지례知禮 고령高靈 문경聞慶 함창咸昌 자인慈仁 경산慶山 하양河陽 인동仁同 성주星州 영산靈山 신령新寧 현풍玄風 의흥義興 상주尙州 창령昌寧 진주晉州 거창居昌 사천泗川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동河東 산청山淸 안의安義 초계草溪 함양咸陽 곤양昆陽 남해南海 합천陜川 단성丹城 창원昌原 김해金海 진해鎭海 거제巨濟 칠곡漆谷 동래東萊 고성固城 칠원漆原 함안咸安 웅천熊川 양산梁山 기장機張
6) 강원도【關東】(26곳) 강릉江陵 삼척三陟 양양襄陽 평해平海 간성杆城 고성高城 통천通川 울진蔚珍 흡곡歙谷 원주原州 영월寧越 정선旌善 평창平昌 인제獜蹄 횡성橫城 홍천洪川 철원鐵原 춘천春川 회양淮陽 양구楊口 낭천狼川 금성金城 금화金化 이천伊川 안협安峽 평강平康
7) 황해도【海西】(23곳) 황주黃州 평산平山 서흥瑞興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곡산谷山 신천信川 토산兔山 신계新溪 문화文化 장연長連 해주海州 풍천豐川 연안延安 배천白川 옹진甕津 송화松禾 은율殷栗 강령康翎 장연長淵 금천金川
8) 평안도【關西】(42곳) 평양平壤 중화中和 함종咸從 순안順安 강서江西 용강龍岡 증산甑山 영유永柔 가산嘉山 숙천肅川 안주安州 삼화三和 선천宣川 박천博川 철산鐵山 귀성龜城 정주定州 곽산郭山 용천龍川 창성昌城 성천成川 자산慈山 상원祥原 순천順川 개천价川 덕천德川 삼등三登 강동江東 은산殷山 양덕陽德 맹산孟山 영변寧邊 희천熙川 운산雲山 태천泰川 영원寧遠 벽동碧潼 초산楚山 위원渭原 강계江界 삭주朔州 의주義州
9) 함경도【關北】(24곳) 함흥咸興 영흥永興 정평定平 고원高原 안변安邊 덕원德原 문천文川 북청北靑 이원利原 홍원洪原 갑산甲山 삼수三水 단천端川 경성鏡城 명천明川 길주吉州 임연臨淵 부령富寧 무산茂山 회령會寧 종성鍾城 온성穩城 경원慶源 경흥慶興
권4(총112) Ⅰ. 재산 증식(하)【貨殖】 1. 전국의 시장【八域場巿】 1) 경기도【京畿】(34곳) 양주楊州 여주驪州 파주坡州 광주廣州 수원水原 강화江華 교동喬桐 남양南陽 인천仁川 부평富平 죽산竹山 통진通津 장단長湍 이천利川 안성安城 안산安山 양근楊根 김포金浦 고양高陽 가평加平 삭령朔寧 마전麻田 교하交河 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지평砥平 음죽陰竹 과천果川 양성陽城 포천抱川 적성積城 연천漣川 양지陽智
2) 충청도【湖西】(53곳) 공주公州 충주忠州 청주淸州 홍주洪州 전의全義 목천木川 직산稷山 아산牙山 정산定山 청양靑陽 대흥大興 서산瑞山 부여扶餘 홍산鴻山 임천林川 비인庇仁 남포藍浦 결성結城 노성魯城 은진恩津 연산連山 진잠鎭岑 청산靑山 보은報恩 회인懷仁 문의文義 청안淸安 음성陰城 천안天安 예산禮山 보령保寧 회덕懷德 옥천沃川 면천沔川 당진唐津 온양溫陽 태안泰安 한산韓山 연기燕岐 영동永同 청풍淸風 괴산槐山 평택平澤 덕산德山 진천鎭川 황간黃澗 제천堤川 단양丹陽 영춘永春 연풍延豐 해미海美 신창新昌 평신平薪
3) 전라도【湖南】(53곳) 전주全州 나주羅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장성長城 무주茂朱 여산礪山 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靈巖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광양光陽 함열咸悅 부안扶安 강진康津 옥과玉果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용안龍安 함평咸平 태인泰仁 고산高山
4) 경상도【嶺南】(71곳) 대구大邱 경주慶州 안동安東 창원昌原 상주尙州 진주晉州 성주星州 울산蔚山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청송靑松 동래東萊 선산善山 인동仁同 칠곡漆谷 순흥順興 하동河東 거제巨濟 거창居昌 청도淸道 초계草溪 함양咸陽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천榮川 흥해興海 풍기豐基 양산梁山 함안咸安 곤양昆陽 합천陜川 금산金山 영덕盈德 고성固城 의성義城 경산慶山 남해南海 개령開寧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彥陽 진해鎭海 진보眞寶 함창咸昌 지례知禮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청山淸 단성丹城 군위軍威 의흥義興 신령新寧 예안禮安 영일迎日 장기長鬐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삼가三嘉 비안比安 칠원漆原 자인慈仁 문경聞慶 안의安義 영양英陽 웅천熊川
5) 강원도【關東】(26곳) 원주原州 강릉江陵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이천伊川 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금성金城 울진蔚津 흡곡歙谷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6) 황해도【海西】(23곳) 해주海州 황주黃州 연안延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풍천豐川 곡산谷山 옹진甕津 장연長淵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배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신계新溪 문화文化 장연長連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兔山
7) 평안도【關西】(42곳) 평양平壤 안주安州 정주定州 영변寧邊 성천成川 창성昌城 삭주朔州 구성龜城 숙천肅川 강계江界 삼화三和 중화中和 철산鐵山 용천龍川 선천宣川 자산慈山 초산楚山 함종咸從 운산雲山 희천熙川 박천博川 덕천德川 개천价川 순천順川 상원祥原 벽동碧潼 위원渭原 영원寧遠 가산嘉山 곽산郭山 순안順安 용강龍岡 증산甑山 강서江西 영유永柔 삼등三登 태천泰川 양덕陽德 맹산孟山 강동江東 은산殷山 의주義州
8) 함경도【關北】(14곳) 함흥咸興 길주吉州 북청北靑 영흥永興 안변安邊 정평定平 덕원德源 경성鏡城 명천明川 단천端川 고원高原 문천文川 홍원洪原 이원利原
권5(총113)
Ⅰ. 전국 거리표(서울 기준)【八域程里表】
1. 서북쪽으로 의주까지(제1)【西北抵義州第一】
2. 동북쪽으로 경흥·서수라까지(제2)【東北抵慶興西水羅第二】
3. 동쪽으로 평해까지(제3)【東抵平海第三】
4. 동남쪽으로 부산까지(제4)【東南抵釜山第四】
5. 동남쪽으로 태백산까지(제5)【東南抵太白山第五】
6. 남쪽으로 통영까지(제6)【南抵統營第六】
7. 서쪽으로 강화까지(제7)【西抵江華第七】
8. 경기도 각 읍 간의 거리수【京畿列邑相距里數】
9. 강원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東列邑相距里數】
10. 충청도 각 읍 간의 거리수【湖西列邑相距里數】
11. 전라도 각 읍 간의 거리수【湖南列邑相距里數】
12. 경상도 각 읍 간의 거리수【嶺南列邑相距里數】
13. 황해도 각 읍 간의 거리수【海西列邑相距里數】
14. 평안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西列邑相距里數】
15. 함경도 각 읍 간의 거리수【關北列邑相距里數】
전거 텍스트
조선왕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
미디어위키 안내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