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준

North Korea Humanities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김승주(JB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철준(金哲埈)
김철준.jpg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한글명 김철준 한자명 金哲埈 영문명 Kim Chul-jun 가나명 이칭 담화산인(曇華山人)
성별 남성 생년 1923년 몰년 1989년 출신지 평안남도 평원 전공 역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한국고대사회 연구」학술지, 「한국문화사론」, 「한국문화전통론」 등을 저술한 역사학자.[1] 이기백과 함께 광복 후 한국고대사학계를 이끌어 온 쌍벽이며 한국 고대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2] 1976년 1월 박사 학위 논문인 「한국고대사회 연구」학술지로 제16회 한국출판문화상(저작 부문)을 수상했고, 1977년 3월 제6회 외솔문화상을 수상하였으며, 국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82년 10월 은관문화훈장, 1983년 9월 학술원상을 수상하였다[3]


생애


출생 및 어린 시절

본관은 당악(唐岳). 호는 일계(一溪). 평안남도 평원 출신이며 목사 김병룡(金炳瓏)}인물의 아들이고, 모친은 이용덕(李龍德)인물이다. [4] 1930년 순안 의명학교(義明學校) 보통과에 입학해 고등과를 졸업했다.[5] 초등학교 3학년 시절 그는 충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구약성경』을 탐독하였고, 『아이생활』, 『별나라』, 『소년』 등의 잡지를 읽고,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는 문학전집을 읽었다고 한다. [6]


월남 이전

1941년일본 교토 도지중학(東寺中學)기관 4학년에 편입, 1943년에 졸업하였다.[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학 졸업 후 일본에서 귀국한 김철준은 1944년 9월부터 고향인 평안남도 평원군에 있는 동송국민학교 교사로 근무 중 광복을 맞이했다. [8] 한국학중앙연구원 처 오숙현은 1948년 10월 북한에서 사망하고, 조부 김두영은 1951년 1월 14일, 伯兄 김길준은 1951년 7월 15일 각각 사망하였다 [9]


월남 이후

1946년 단신으로 서울에 와서 서울대학교기관 사학과에 진학해 1948년 8월 졸업한 뒤, 사학과의 국사연구실 조교가 되었다. 1952년 피난지인 부산에서 역사학회 창립에 동참해 발기 위원회 위원과 간사로 활약하였다.[10] 1963년 11월 서울대학교기관 사학과 전임강사로 자리를 옮겨, 사학과 및 국사학과에서 조교수 · 부교수 · 교수를 거쳐 1988년 8월 정년 퇴임하기까지 25년간 봉직하면서 한국사 연구와 제자 양성에 노력하였다[11]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창립에 관여해 파견 근무, 연구제1부장 및 연구부장을 역임했으며, 1988년 9월 원장으로 취임해 재직하다가 과로로 1989년 1월 17일 순직하였다. [12]






연구


한국사연구회

1967년 한국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킴으로써 한국사의 올바른 체계를 세우려는 목적으로 한국사연구회단체가 창립되었다. [13] 12월 7일 창립 발기위원회가 조직되고, 12월 16일에는 창립 총회가 개최되었다. [14]한국사연구회를 창립 후에는 창립 위원회 위원과 학회 간사, 1972년 12월 대표 간사를 역임하였으며 1970년 6월부터 1988년 7월까지 18년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15]


한국고대사회연구

광복 후 문헌고증사학의 한계성에 반발하며, 인류학의 지식을 한국고대사연구에 적용하여 그 지평을 넓히기 위해 1975년에 종래 자신이 발표한 글을 모아 논문집인 『한국고대사회연구』학술지를 간행하였다. [16] 이 논문은 인류학과 불교학의 이론을 한국고대사연구에 과감히 도입함으로써 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Dual Organization’을 ‘二部體制’ 등으로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영어로 표현한 것도 국사 논문으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일이었다.[17]「한국고대사회연구학술지」로 서울대학교기관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81년 3월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소장을 거쳐 1984년 8월 인문대학장에 취임해 1987년 7월까지 3년간 재임하였다.[1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병룡 Person:김철준 A hasSon B
Person: 이용덕 Person:김철준 A hasSon B
Person: 김철준 Institution: 일본 교토 도지중학 A graduates B
Person: 김철준 Institution: 서울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김철준 Group: 한국사연구회 A isMemberOf B
Journal: 한국고대사회연구 Person: 김철준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최병헌(崔柄憲)『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2.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1쪽.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4.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6. 金哲埈, 「停年退任紀念 告別講演」, 『韓國文化史論』, 1990, 438쪽. 온라인 참조: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3쪽.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8.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李普珩의 발언,「歷史學會 創立當時를 回顧하며」(座談會)『역사학보』 75.76합집, 1977, 388-389쪽. 온라인 참조: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4쪽.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12. 김철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5쪽.
  14.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5쪽.
  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
  16.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7쪽,9쪽
  17. 이영호, 「일계 김철준-광복 후 한국 고대사학 개척기의 역사학자」, 『한국고대사학회』, 2009, 5쪽.
  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online, 한국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