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성

North Korea Humanities

최지원(CNU2024-2)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17:33 판 (독립운동과 예술의 결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최지원)이 작성했습니다.




이여성(李如星)
출처 :
 
한글명 이여성 한자명 李如星 영문명 Lee Yeo Seung 가나명 이칭 청정(靑汀)
성별 생년 1901년 몰년 미상년 출신지 경상북도 칠곡 전공 정경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사회주의 운동가. 독립운동가. 작가.[1] 1901년 태어나 일본 동경 입교대 정경과 학사를 취득하고, 1943년 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였으며 역사화를 주제로 하였다. 역사화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미술분야에서 조선학운동의 기운을 보여준다. 조선의 정신을 역사의 재현을 통해 되살리고자 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높은 가치의 작품을 그렸다.[2]


생애


이여성의 예술

이여성 인물은 1923년 일본 유학시절, 대구 노동공제회관에서 열린 제2회 교남서화연구회전에 서양화 작품을 출품하며 본격적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했다.[3] 그의 예술적 기여는 한국 현대 미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독립운동과 예술 활동을 병행하며, 민족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여성의 작품은 민족 정체성과 독립운동의 메시지를 담고 있고, 그의 예술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민족이 아픔과 독립에 대한 열망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가능했다. 그는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정물화와 풍경화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4]


독립운동 및 사회적 기여

이여성은 독립투사이자 지성인으로서, 반골의 민족주의자로서의 길을 걸었다. 시인 이상화의 친형 이상정과 함께 대구에서 서양화 운동을 이끌었다.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기관를 졸업하고 만주로 망명하여 길림성(吉林省)에서 둔전병(屯田兵)을 계획하였다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귀국하여 대구로 돌아왔다. 대구에서 혜성단(彗星團)을 창립하고 만세운동을 계획하였으나 발각되어 수감되었다. 출감 후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立敎]대학기관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하였다. 동경에서 1922년 북성회(北星會), 1925년 사회주의 사상단체 일월회단체를 조직하였다. 기관지 『척후대』를 편집하였으며, 『숫자조선연구』를 저술하였다. 1945년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조선인민공화국 선전부 차장을 지냈고, 1946년 사회노동당단체을 조직하여 중앙상임위원‧사무국장 등을 지냈다. 1948년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에서 제1기 최고인민회단체의 대의원, 1957년 제2기 최고인민회단체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교육자 및 문화 전파자

이여성은 1909년 보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대구에서 성장하였으며, 이후 일본과 상하이에서 신교육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이여성이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5] 이여성은 자신의 예술적 경험을 바탕으로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는 여러 예술 학교에서 강의하며, 젊은 예술가들에게 한국의 전통과 현대 미술의 중요성을 가르쳤다. 또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전시회를 주최하여 한국의 예술과 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연구


독립운동과 예술의 결합

이여성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예술가로, 그의 생애와 업적은 독립운동과 예술의 결합을 잘 보여준다. 이여성은 예술을 통해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알리고, 민족 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작품은 독립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민족 정체성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예술가로서의 활동 외에도 정치적활동에 참여하며, 한국의 민주화와 사회적 정의를 위한 노력에 기여했다.[6]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여성 Person: 이쾌대 이여성 hasBrother 이쾌대
Person: 이여성 Institution: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이여성 Institution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Person: 이여성 Institution: 일본 동경 입교대학교 이여성 Institution 일본 동경 입교대학
Person: 이여성 Group: 민주주의민족전선 이여성 isMemberOf 민주주의민족전선
Person: 이여성 Group: 조선인민당 이여성 isMemberOf 조선인민당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이여성(李如星)]",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online, 작성일

이중희, 「민족주의 화가 이여성, 이쾌대 형제의 예술 『한국학연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박진,) 「[[인물로 보는 대구문화 아카이브 .12] 이여성(下)…미술·복식·건축분야 평론가로서 발자취]」, 『영남일보』online, 기관명, 작성일: 2021년 06월 14일.

(박중엽,) 「[[내 이름은 이여성-잊혀진 경북의 독립운동가]」, 『뉴스민』online, 기관명, 작성일: 2019년 10월 14일.

(박중엽,) 「[[내 이름은 이여성] (3) 남에서도, 북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민족적 사회주의자]」, 『뉴스민』online, 기관명, 작성일: 2019년 10월 8일.

"[이여성]", 『위키백과』online.


주석


  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이여성(李如星)]",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online
  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이여성(李如星)]",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online
  3. (박진,) 「[[인물로 보는 대구문화 아카이브 .12] 이여성(下)…미술·복식·건축분야 평론가로서 발자취]」, 『영남일보』online, 기관명, 작성일: 2021년 06월 14일.
  4. (박중엽,) 「[[내 이름은 이여성-잊혀진 경북의 독립운동가]」, 『뉴스민』online, 기관명, 작성일: 2019년 10월 14일.
  5. (박중엽,) 「[[내 이름은 이여성-잊혀진 경북의 독립운동가]」, 『뉴스민』online, 기관명, 작성일: 2019년 10월 14일.
  6. (박중엽,) 「[[내 이름은 이여성] (3) 남에서도, 북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민족적 사회주의자]」, 『뉴스민』online, 기관명, 작성일: 2019년 10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