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종

North Korea Humanities

이나현(JB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00:5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나현(JB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두종(金斗鍾)
김두종 1966.jpg
출처 : [31]online, 위키백과.
 
한글명 김두종 한자명 金斗鍾 영문명 Kim, Doo Jong 가나명 이칭 일산(一山)
성별 남성 생년 1896년 몰년 1988년 출신지 조선 경상도 함안군 전공 의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 시대에서부터 활약한 대한민국의 의학자 겸 고전 의학서 인쇄 서지역사학자이고 대학 교수 겸 의학 교육인이다.[1] 주요 저서로 서지사학 저술집인 《한국고인쇄기술사(韓國古印刷技術史)》서적가 있다.[2] 학술원 저작상·문화훈장 대통령장·한국출판문화상 등을 수상하였다.[3]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일산(一山) 김두종(金斗鍾)은 1896년 경남 함안군에서 구천 김성목인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4] 어릴 때 아버지로부터 한학을 배웠다.[5] 1912년에 고향 칠원국민학교를 졸업하면서 서울로 이주하여 1916년에 휘문의숙기관을 졸업하였다.[6]


대학 재학 시절

국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에 올라와 휘문의숙을 거쳐 1918년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7] 입학한 이듬해인 1919년 선생은 삼일운동에 참가하였고, 이것 때문에 1학년을 마치고 경의전에서 퇴학당하였다.[8]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교토부립의학전문학교기관에 입학하여 1924년에 졸업하였다.[9]


졸업 이후

졸업 후 2년간 동대학병원단체의 내과 부수로 근무하다가 곧 만주로 건너가 봉천에 있는 만주의과대학기관에서 2년간 근무하였으며 1928년 남만주철도회사 할빈병원 내과에서 4년간 근무를 거쳐 1932년 하얼빈시에서 제세의원을 개업하였다.[10] 1939년에는 봉천만주의과대학 동아의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945년에 만주의과대학단체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11] 중국의 고의서(古醫書)를 수집하면서 중국고판본을 감식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기 위해 중국의 서지학에 관한 공부를 하였으며, 이것이 바탕이 되어 우리나라의 고서에 대한 서지학 연구에도 일가를 이를 수 있었다.[12]


광복 이후

광복 후 귀국하여 1947년에 조선적십자사단체 보건부장이 되었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기관 의과대학 교수로 발령받으면서 우리나라 최초로 의사학(醫史學)을 전공하는 교수가 되었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 원장을 1949년까지 역임하였다.[13] 한국전쟁때에는 부산으로 피난하여 1952년부터 전시연합대학 서울대학교 서울분교장으로 일하다가 1953년에 다시 교수직으로 복직하였다.[14] 1953년에 한국의사학회단체 회장으로 피선되었고 1957년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기관 의사학 연구소에 1년간 유학하고 돌아왔다.[15] 1960년에 학술원 회원에 피선되었으며, 같은 해에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으로 취임하였다.[16] 1960년에는 대한적십자사기관 부총재에 선임되었다.[17] 1961년에 한국과학사학회단체 회장으로 피선되었으며 1962년에 서울대학교를 퇴임하면서 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18]


퇴임 이후

1961년부터 1963년까지 대한의학협회단체 회장으로 중책을 수행했으며 1963년에 그 동안의 공적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문화훈장을 수훈하였다.[19] 1963년부터 1965년까지 학교법인 성균관대학교기관 재단 이사장을 맡아 학교 발전에 전념하였다.[20] 1963년에는 중화민국 문교부 초청으로 대만을 시찰한 바 있다.[21] 1966년에는 학술원 임명회원에 피선되었으며, 같은 해 한국의학사서적의 저술로 학술원 저작상을 받았고 1979년에는 5·16 민족상 학술상을 수상했다.[22] 1988년 노환으로 92년의 생을 마감하였다.[23]





연구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

의학자 김두종이 우리나라 의약학사에 관하여 논술한 학술서.[24] 처음에는 한국의학사의 상세와 중세편을 합친 상권만을 1954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25] 그 뒤 12년 만인 1966년 하권을 별도로 간행하지 않고 이에 해당하는 근세·최근세편 등을 상권에 첨부하여 단행본으로 탐구당(探求堂)에서 발간하였다.[26] 내용은 상세·중세·근세·최근세·수난기 및 독립된 한국의학 등 5편으로 시대를 구분하여 수록하였다.[27]


한국고인쇄기술사 (韓國古印刷技術史)

1974년 학자 김두종이 우리나라의 인쇄기술에 관해 저술한 이론서, 과학서.[28] 이 책은 1974년 탐구당(探求堂)에서 간행하였다.[29] 한국의 과거 인쇄술이 걸어온 자취를 종합적으로 총망라해 보려는 의도에서 인쇄술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고 수집하였다.[3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성목 Person: 김두종 A hasSon B
Person: 김두종 Institution: 휘문의숙 A graduates B
Person: 김두종 Institution: 서울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김두종 Group: 한국과학사학회 A isMemberOf B
Book: 한국의학사 Person: 김두종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김병길,) 「[32]」,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김쾌정,) "[33]", (한국의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4]", (명예로운 의학자,) 『대한의학회』online, 대한의학회 사무국.

(김효경,) "[35]", (한국고인쇄기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허정,) "[36]", (김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허정,) "[1]", (김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허정,) "[2]", (김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3]online, 두산.
  4. (김병길,) 「[4]」,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5. (허정,) "[5]", (김두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병길,) 「[6]」,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7. "[7]", (명예로운 의학자,) 『대한의학회』online, 대한의학회 사무국.
  8. "[8]", (명예로운 의학자,) 『대한의학회』online, 대한의학회 사무국.
  9. (김병길,) 「[9]」,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0. (김병길,) 「[10]」,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1. (김병길,) 「[11]」,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2. "[12]", (명예로운 의학자,) 『대한의학회』online, 대한의학회 사무국.
  13. (김병길,) 「[13]」,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4. (김병길,) 「[14]」,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5. (김병길,) 「[15]」,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6. (김병길,) 「[16]」,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7. (김병길,) 「[17]」,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8. (김병길,) 「[18]」,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19. (김병길,) 「[19]」,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20. (김병길,) 「[20]」,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21. (김병길,) 「[21]」,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22. (김병길,) 「[22]」,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23. (김병길,) 「[23]」, 『의사신문』online, 서울특별시의사회, 작성일: 2011년 6월 17일.
  24. (김쾌정,) "[24]", (한국의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5. (김쾌정,) "[25]", (한국의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6. (김쾌정,) "[26]", (한국의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7. (김쾌정,) "[27]", (한국의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8. (김효경,) "[28]", (한국고인쇄기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9. (김효경,) "[29]", (한국고인쇄기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0. (김효경,) "[30]", (한국고인쇄기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