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활란

North Korea Humanities

성주현(G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2일 (목) 19:07 판 (Network Graph)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성주현(G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활란(金活蘭)
김활란.png
출처 :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글명 김활란 한자명 金活蘭 영문명 Kim Hwal-lan 가나명 이칭 우월(又月),Helen
성별 여자 생년 1899년 몰년 1970년 출신지 경기도 인천 전공 철학, 교육학, 웅변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김활란인물은 일제강점기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 재단이사장, 대한기독교교육자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개신교인이다.[1] 교육자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이기도 하다.[2] 한국 최초의 여성 대학졸업자이며 미국에 유학해 석사학위를 받았다.[3] 3·1운동 비밀결사에 참여하고 YWCA를 창설했으며 여성운동과 개신교 활동에 전념했다.[4]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친일활동에 가담하여 각종 단체를 결성하거나 발기인으로 참석하는 등 일제의 조선인 동원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5] 해방 후에는 교육자·여성운동가·종교활동가로 활약했다.[6]


생애


출생과 유년기

1899년 1월 18일 인천 출생으로, 초명(初名)은 기득(己得), 호는 우월(又月), 세례명은 헬렌(Helen)이다.[7] 부친은 평안북도 철산에서 농업에 종사하다가 개항 후 제물포로 이주해 창고업자가 된 김진연(金鎭淵)인물이며, 모친은 박도라(朴萄羅)인물이다.[8] 기독교 신앙이 깊었던 모친의 영향으로 7세 때 전 가족이 세례를 받았다.[9] 학교에 입학하면서 헬렌이라는 세례명을 한자식으로 고쳐 '활란'이라 했다.[10] 1907년 인천 영화학당(永化學堂)기관에 입학했으며, 1908년 부친의 사업 실패로 서울로 이사해 이화학당(梨花學堂)기관에서 초등, 중등,고등과를 졸업했다.[11] 이후 1916년 이화학당 대학부에 입학하였다.[12]


미국 유학과 사회활동

1922년 조선감리교 감독이었던 웰치(H. Welch)인물 선교사의 추천을 받아 미국 오하이오주 웨슬리언대학교기관에 편입 후 철학, 교육학, 웅변학 등을 공부했다.[13] 1924년 6월 졸업했고, 10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대학교 대학원기관 철학과에 입학해, 1925년 6월 석사 학위를 받았다.[14] 또한 김활란은 1923년 초, 경성부로 돌아와 김필례인물, 유각경인물 등과 함께 중앙기독교청년회(YMCA) 단체에서 독립하여 여자들의 YMCA인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단체를 창설하였다.[15] 김활란은 이 당시 학업과 병행해서 YWCA에서 활동하며 조선여성의 권익을 옹호하는 운동에 동참했고 각종 계몽, 강연, 전도활동에도 참여했다.[16] 당시 그녀가 주장한 것은 여자 기독교인 선교사업의 활성화, 여자들의 문맹 퇴치, 여자 교육 활성화, 여자의 사회활동 참여, 남존여비의 인습 타파 등이었다.[17]


일제강점기 활동

1932년 9월부터 1939년 8월까지 이화여자전문학교기관 학감 및 부교장을 지내며, 농촌교육을 통한 문맹퇴치와 여성 계몽활동에 주력했다.[18] 1936년부터 가중된 일제의 기독교학교 탄압과 신사참배의 강요로 이화학당은 외국인 교장이 물러나고 김활란은 1939년 4월 제7대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장으로 취임하였다.[19] 이어 유각경인물, 이숙종인물, 임영신인물, 박순천인물, 노천명인물, 모윤숙인물·황선덕인물 등과 함께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단체 간부가 되어 정신대 참여 선전 독려, 학도병 지원을 선전, 독려하고 황국부인으로서 지녀야 할 자질연마와 각성을 촉구하는 강연활동에 나섰다.[20] 뿐만 아니라 그녀는 부인궐기촉구 강연, 결전부인대 강연, 방송 등을 통해 일제의 침략정책을 미화하고 내선일체·황민화시책을 선전하며 일반여성이나 여학생들에게 '어머니나 딸·동생으로서' 징병·징용·학병 동원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였다.[21]


해방 이후 활동

해방 후 김활란은 1946년부터 정치 무대 일선에서 독립촉성부인단단체 결성, 국제연합 파리 회의 참석, 1948년 제헌의회 국회의원 출마 및 낙선 등으로 자유민주주의와 반공주의에 기초한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참여했다.[22] 한국전쟁기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을 받아들여 잠시 전시 내각 공보처장직을 맡았고, 영자 신문을 발행하여 한국 소식을 외국인에게 알렸으며, 이화 동문을 중심으로 낙랑클럽단체 등의 위문단을 조직하여 민간외교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23] 이후 대한여학사협회(1950)단체, 한국여성단체협의회(1959)단체의 창설자이자 회장이 되었다.[24] 그리고 다섯 차례(1956-1959, 1965) UN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해 국가 승인을 요청했고, 유네스코 총회에도 세 차례(1962-1964-1965) 참석했다.[25] 1961년 9월에 이화여대에서 정년퇴직한 후에는 명예총장 및 재단이사장에 취임했다.[26] 1965년 9월에는 대한민국 순회대사에 임명되어 1970년에 사망할 때까지 활약했다.[27]


연구


대한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 창설

김필례, 김활란, 유각경에 의하여 한국YWCA가 창립되었다.[28] 이들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기독교 신앙에 입각한 기독여성단체의 조직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판단하고 뜻을 모았다.[29] 창립과 동시에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한국YWCA는 계몽, 교육, 생활개선, 여권신장, 민족운동 등에 힘을 쏟았는데 초기에는 계몽사업과 생활개선운동에 주력했다.[30] 공민학교를 운영하며 문맹퇴치운동사건을 전개했으며 요리강습, 흰옷 염색하기, 부엌 및 화장실 개조 등 생활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31] 또한 한국YWCA는 여성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당시 여성들을 괴롭히던 조혼/공창제도 폐지운동과 축첩제도 반대운동을 펼쳤으며 민족의 경제를 위협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애국운동 차원에서 물산장려운동사건에도 앞장섰다.[32] 한국YWCA가 펼친 이 같은 계몽, 교육운동은 농촌운동에서 심화되었다.[33] 민족이 힘을 갖기 위해서는 농촌이 튼튼해져야 한다는 일념아래 농촌을 위한 각종활동을 전개하였다.[34]


일제협력자의 삶

김활란이 일제에 협력하기 시작한 시기는 중일전쟁 이전인 1936년경이었다.[35] 김활란은 1936년 조선총독부기관가 주관한‘가정의 개선과 조선인 교화운동의 촉진을 위한 간담회’에 참여하였고 1937년 1월 13일에는 ‘방송선전협의회 부인강좌’에 강사 자격으로 참여하였다.[36] 또한 같은 해 역시 1월에 조선총독부가 주관하는 조선부인문제연구회단체에 상무이사로 참여하였다.[37] 또한 김활란은 중일전쟁 직후 결성된 애국금차회단체에 발기인으로 참가하면서 본격적으로 일본에 친일행위를 하였고 특히나 일본이 벌인 전쟁이 적극 협력하였다.[38] 1941년 8월에는 임전대책협의회단체에 참여하였다.[39] 이 단체는 미국과의 전쟁을 앞두고 각계 인사들이 결성한 전쟁선전단체였다.[40]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김활란은 조선인들을 전쟁에 동원하는 데 적극 나섰다.[41]


김활란의 여성인권 사상

김활란은 여성 인권 문제의 원인을 여성의 교육권과 재산권 부재에서 그원인을 찾았다.[42] 여권 향상을 위해 김활란이 할 수 있는 일은 여성교육이었다.[43] 김활란의 남녀관은 가정과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반자이자 동업자, 동등한 협력관계라고 보았다.[44] 김활란은 가정에서 남녀동등은 주부의 역할과 기여를 인정하고 여성이 직업과 경제력을 가지고 결혼비용을 분담하는데서 시작된다고 보았다.[45] 이러한 의미에서 여성의 직업은 남녀동등한 가정을 준비하는 단계였다.[46] 나아가 김활란은 여성들에게 결혼을 얽매이지 말고 사회에 진출하여 이제까지 남성의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직업들에 과감히 도전할 것을 촉구했다.[47] 한편 사회가 여성에게 남성과 동등한 교육과 취업의 기회를 줌으로써 여성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4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진연 Person: 김활란 A hasDaughter B
Person: 박도라 Person: 김활란 A hasDaughter B
Person: 김활란 Institution: 영화학당 A graduates B
Person: 김활란 Institution: 이화학당 A graduates B
Person: 김활란 Person: 웰치 A hasMet B
Person: 김활란 Institution: 웨슬리언대학교 A graduates B
Person: 김활란 Institution: 보스턴대학교 대학원 A graduates B
Person: 김활란 Group: 한국YWCA A isMemberOf B
Person: 김필례 Group: 한국YWCA A isMemberOf B
Person: 유각경 Group: 한국YWCA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Institution: 이화여자전문학교 A worksAt B
Person: 김활란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유각경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이숙종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임영신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박순천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노천명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모윤숙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황선덕 Group: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독립촉성부인단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낙랑클럽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대한여학사협회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한국여성단체협의회 A isMemberOf B
Event: 문맹퇴치운동 Person: 김활란 A isRelatedTo B
Event: 물산장려운동 Person: 김활란 A isRelatedTo B
Person: 김활란 Group: 조선부인문제연구회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애국금차회 A isMemberOf B
Person: 김활란 Group: 임전대책협의회 A isMemberOf B



Timeline




참고자원







주석


  1.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12.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13.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17.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18. 이동 김활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이동 김활란online, 기독교대한감리회역사정보자료실
  20.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21. 이동 김활란online, 위키백과
  22.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3.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4.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5.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6.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7. 이동 (이재근) "김활란:한국 근대 여성 기독 지식인의 초상",『복음과 상황』online, 복음과상황, 2024년 8월.
  28.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29.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0.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1.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2.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3.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4. 이동 한국YWCA역사online, 한국YWCA연합회.
  35.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36.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37.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38.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39.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40.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41. 이동 김활란online, 우리역사넷.
  42.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3.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4.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5.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6.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7.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
  48. 이동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역사와 경계』제79집, 부산경남사확회, 2011, 183~2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