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희

North Korea Humanities

정은재(C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1일 (수) 22:55 판 (참고자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정은재(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최승희(崔承喜)
최승희.jpg
출처 : 최승희online, 한국무용사전.
 
한글명 최승희 한자명 崔承喜 영문명 Choi Seung-hee 가나명 이칭
성별 여성 생년 1911년 몰년 1969년 출신지 강원도 홍천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한국 최초의 현대 무용가이자 안무가. 한국 근대무용의 여명을 열고 신무용(新舞踊)이라는 새로운 춤의 사조를 창출한 선구적 인물이다.[1] 한국 춤의 문화적 우수성을 세계 무대에 떨쳐 동양의 진주라 불리며 전 세계적인 찬사와 명성을 얻었다.[2]대표작으로는 <영산춤>, <에헤라 노아라>, <달밤의 곡>, <반야월성곡>, <보살춤> 등이 있다.[3] 대표 저서로 {조선민족무용기본서적, {조선아동무용기본서적 등이 있다.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1911년, 강원도 홍천에서 태어났다. 최준현인물(崔濬鉉)의 딸이며, 어머니는 박용자인물(朴容子), 최승일인물(崔承一)의 동생이다.[4] 1926년 숙명여학교기관를 졸업한 재원이다.[5] 소학교 시절 뛰어난 성적으로 두 번이나 월반할 만큼 영특했고, 노래와 음악에도 자질이 있어 동경음악학교에 진학할 예정이었다.[6]


무용 입문과 성장

16세가 되어 접한 일본 근대무용의 선구자인 이시이 바쿠인물의 내한공연은 최승희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이시이에게 무용을 배우기로 결심한 최승희는 3년간 일본 유학 생활을 통해 빠른 속도로 무용을 익혔다.[7] 그렇게 1927년과 1928년 이시이 바쿠의 조선공연에 참가하며 호평을 받았고 1929년 귀국하여 경성에 무용연구소를 설립했다. 그해 12월에는 찬영회가 주최하는 ‘무용·극·영화 밤’에 출연하면서 점차 무용가로서의 입지를 다져갔다.[8]


1930년대 활동

1930년부터 본격적인 무용공연을 시작했다. 1930년 2월 개성에서 무용대회, 3월 창작무용공연회, 10월 제2회 공연회, 11월 대전에서는 무용대회를 각각 가졌다.[9] 이듬해인 1931년에는 사회주의 문학 운동가인 안막인물과 결혼했다.[10] 1933년 3월 이시이 문하로 재입문하여 약 1년 만에 청년회관에서 전통과 현대무용을 접목하여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에헤야 노아라>를 발표했다.[11] 1934년에 일본에서 선보인 승무, 칼춤, 부채춤 등 우리 전통춤을 현대화한 춤은 대중과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12] 1936년 영화 「반도(半島)의 무희」에 출연했으며, 이해 말부터 4년간 세계무대로 진출하여 유럽에서는 「초립동」·「화랑무」·「신로심불로」·「장구춤」·「춘향애사」·「즉흥무」·「옥저의 곡」·「보현보살」·「천하대장군」 등 공연했다.[13] 193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간 최승희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하우스를 경영하는 메트로 폴리탄 뮤직 컴퍼니와 전속계약을 맺고 6개월간 미국 전역에서 순회공연을 가졌다.[14] 1938년에 개최된 세계무용경연대회에서는 마리 비그만(Mary Wigman),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 등과 함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15]


1940년대 활동

1937년 발발한 중일전쟁이 끝나고 전시체제기가 형성되면서 일제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1941년 10월에는 오사카 회관에서 위문공연을 했으며, 11월에는 내선일체와 지원병을 선전하는 영화 시사회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그해 11월에는 공연 수익금을 일본 육군성 휼병부에 헌금했다. 이후에도 일본에서의 공연을 이어가며 일본 전통예능인 노(能)·가부끼(歌舞伎) 등에서 소재를 얻어 「부콘(武魂)」·「오이와케(追分)」·「이케니에(生贄)」·「시즈고젠(靜御前)」 등을 발표했다.[16]



광복 이후 활동

해방 직전 중국에서 위문공연을 하다 베이징에서 해방을 맞고 1946년 5월 귀국했다. [17] 이후 남편 안막과 함께 북한으로 가 1946년 평양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무용연구소를 설립해 창작활동을 이어갔다.[18] 1950년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무용가동맹중앙위원회 위원장, 무용학교 교장, 국립무용극장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1952년 공훈배우·1955년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다. 1958년까지 최승희무용학교에서 안무가로 활동했으나 남편 안막이 반당종파분자 혐의로 체포되자, 그 영향을 받아 최승희무용연구소도 폐쇄되었다. 1년간 자숙 후 1959년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을 창작해 조선무용가동맹위원장으로 복귀, 1967년까지 활동했다. 1967년 숙청되어 가택연금의 처벌을 받았으며, 1969년 8월 8일 사망했다.[19]





연구


신무용(新舞踊)

1920년대부터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에서 성행한 근대적 형태의 새로운 춤. 이 용어가 처음 등장한 때는 1926년이었다. 이후 전통춤이 아닌 새로운 예술 춤을 지시하는 용어로 일반화되었다. 신무용은 무용의 관념·형식·내용에서 새로움을 띠었다. 일제강점기에 신무용을 견인한 무용가는 배구자·최승희·조택원·한성준 등이었다. 그중 최승희와 조택원은 창작 레퍼토리로 신무용을 이끌었다. 역사적으로 신무용은 한국에서 근대적 형태의 춤이 창작되는 신기원을 열었다. 또 춤이 예술로서 발돋움하는 역할을 했지만 시대적 한계가 따랐다.[2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최준현 Person: 최승희 A hasDaughter B
Person: 최승희 Person: 안성희 A hasDaughter B
Person: 최승희 Institution: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최승희 Institution: 중국공연예술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최승희 Group: 조선인민대회의 A isMemberOf B
Book: 조선민족무용기본 Person: 최승희 A creator B
Book: 조선아동무용기본 Person: 최승희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전설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 『덴 매거진』, 2012.03.01. 제 42호, 『덴 매거진』online, 덴 매거진.

용인이 품고 있는 근대화의 아픈 상처, 천재 한류 스타 현대무용가 최승희의 자취」, 『용인일보』, 2022.11.11., 『용인일보』online, 용인일보.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석


  1. 용인이 품고 있는 근대화의 아픈 상처, 천재 한류 스타 현대무용가 최승희의 자취」, 『용인일보』, 2022.11.11., 『용인일보』online, 용인일보.
  2. 민족 무용의 세계적 거장, 최승희」, 『아트랙처』, 2019.06.04., 『아트랙처』online, 아트랙처.
  3. 최승희」, 『위키백과』, 위키백과.
  4. [[#cite_ref-4|↑]]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438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cite_ref-5|↑]] 「[http://www.minplu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7 조선무용예술의 1번수 최승희]」, 『민플러스』, 2017.07.13, 『민플러스』online, 민플러스.
  6. 전설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 『덴 매거진』, 2012.03.01. 제 42호, 『덴 매거진』online, 덴 매거진.
  7. 전설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 『덴 매거진』, 2012.03.01. 제 42호, 『덴 매거진』online, 덴 매거진.
  8.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용인이 품고 있는 근대화의 아픈 상처, 천재 한류 스타 현대무용가 최승희의 자취」, 『용인일보』, 2022.11.11., 『용인일보』online, 용인일보.
  11.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전설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 『덴 매거진』, 2012.03.01. 제 42호, 『덴 매거진』online, 덴 매거진.
  13.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전설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 『덴 매거진』, 2012.03.01. 제 42호, 『덴 매거진』online, 덴 매거진.
  15. 최승희 (崔承喜), 한국무용사전.
  16.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최승희 (崔承喜), 한국무용사전.
  19. 최승희 (崔承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신무용 (新舞踊),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