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희

North Korea Humanities

오서연(C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1일 (수) 21:20 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오서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홍명희(洪命憙)
출처 :
 
한글명 홍명희 한자명 洪命憙 영문명 Hong Myeong Hee 가나명 이칭 가인, 벽초
성별 남성 생년 1888년 몰년 1968년 출신지 충청도 괴산군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장편소설 『임꺽정』서적을 저술한 소설가이자 언론인, 사회운동가, 정치인.[1] 1920년대 초부터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의 결합에 관심을 갖고 각종 민족 해방 운동 단체에 참여하였으며 3·1 운동으로 1년여, 신간회 관계로 2년여 투옥되는 등 간난신고의 삶을 살았다.[2]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좌익운동에 가담하고,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장이 되기도 하였으나, 곧 바로 월북하여 북한 공산당정권 수립을 도우면서 부수상 등 요직을 거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3]


생애


그의 출생과 도쿄 유학

홍명희(洪命憙, 1888~1968)는 1888년 7월 3일 충청북도 괴산군(槐山郡) 괴산면(槐山面) 인산리(人山里)에서 부친 홍범식(洪範植)인물과 모친 은진 송씨(恩津 宋氏)인물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4] 1906년 초 일본 유학길에 올라 우선 도쿄의 토오요오(東洋) 상업학교기관 예과 2학년에 편입한 뒤, 1907년 타이세이(大成) 중학교기관 3학년에 편입하여 1909년 말까지 그곳에서 수학했다.[5] 이 시기 홍명희는 재일조선인 유학생단체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기관에서 활동하며 그 기관지 『대한흥학보』에 몇 편의 글을 기고하였다.[6] 홍명희는 유학 생활 중 점차 학업에 열의를 잃고 사상적인 번민에 빠져 들어, 마침내 타이세이 중학교기관 졸업을 앞둔 시점에 학업을 중단한 뒤 1910년 봄 귀국하였다.[7]


3·1운동 주도

부친 홍범식(洪範植)인물의 순국 자결 이후 해외에서의 오랜 방랑생활을 청산하고 귀국한 홍명희는 1919년 3월 괴산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면서부터 고난에 찬 독립운동의 여정에 들어서게 되었다.[8] 3월 15일 귀향한 홍명희는 괴산 군내 뜻있는 인사로서 평소 친분이 있던 이재성, 김인수를 비롯한 수십 명과 접촉하여 독립만세운동에 대한 의견을 나누어 3월 19일 괴산 장날에 만세시위를 벌이기로 결의하였고, 스스로 선언서를 집필하였다.[9] 수천 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던 홍명희는 이날 시위로 체포되어 출판법과 보안법 위반으로 1년 6개월 동안 수감되었다.[10]


신간회 활동

1927년 2월 결성된 신간회기관는 민족주의세력과 사회주의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일제하 최대의 민족운동 단체이다.[11] 신간회(新幹會)기관란 명칭은 홍명희가 제안한 “죽은 나무에서 새 가지가 돋는다”(新幹出枯木)에서 유래했다.[12] 홍명희는 신간회기관를 대표하는 직책을 맡은 적은 없었지만 신간회기관 결성과 그 전반기 운영을 주도했던 핵심 인물이었다.[13] 1기 조직부 총무간사를 맡아 신간회기관 활동을 주도하던 중 광주학생운동을 전국적인 반일시위로 확대하기 위해 추진한 1929년 12월 민중대회 사건으로 간부 40명이 검거됐고, 홍명희를 포함한 11명이 보안법 혐의로 구속됐다.[14] 이 사건으로 간부들이 대거 검거·구속되면서 신간회기관는 본부와 지회, 좌우익 사이의 갈등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고, 홍명희가 감옥에 있을 때인 1931년 5월16일 해소되고 말았다.[15]


월북 후 북한에서의 생활

해방 후 홍명희는 좌우 이념대립을 넘어선 통일국가 수립을 염원했고,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했다가 북에 남았다.[16]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함께 홍명희는 일약 부수상에 임명되었다.[17] 북한 정권에서 홍명희가 역임한 직책들 중 중요한 것은 1948년부터 1962년까지 연임한 내각 부수상 직과 이어서 1968년 사망 시까지 연임한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직이다.[18] 이외에도 과학원장,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여러 직책을 겸임하였다.[19] 그는 몇 차례 숙청 바람에도 불구하고 건재하여 사망 시까지 고위직에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사후에는 장남 홍기문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부의장 등의 중책을 계승하였고, 손자 홍석형이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에 발탁되는 등 후손들까지 고위직이 이어지고 있다. [20]





연구


장편소설 『임꺽정(林巨正)』

홍명희(洪命熹)가 지은 장편소설.[21] ≪조선일보≫에 1928년 11월부터 1939년 3월까지 연재되다가, 일제의 ≪조선일보≫ 강제 폐간 조처로 다시 ≪조광 朝光≫에 옮겨 연재했으나 미완성으로 끝났다.[22] 각양각색의 민중들의 생활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양주 지방을 비롯한 우리나라 민간 풍속의 묘사와 전래 설화 및 고유의 인명이나 지명, 토속적인 고어와 속담들이 작중에 풍부하게 유입되어, 조선의 정조(情調)를 잘 살려 냈다.[23] 또한 이 작품은 연산군시대와 명종시대에 이르는 16세기 중반 전후의 조선 중기의 역사적 상황을 광범위하게 수용하면서, 특히 이 시기에 봉건적 질곡을 뚫고 일어선 평민 이하 하층민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우리 근대 역사소설에 새로운 지평을 연 기념비적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24]


『임꺽정(林巨正)』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범식(洪範植) Person: 홍명희 A hasSon B
Person: 은진 송씨(恩津 宋氏) Person: 홍명희 A hasSon B
Person: 홍명희 Institution: 토오요오(東洋) 상업학교 A takesCourseAt B
Person: 홍명희 Institution: 타이세이(大成) 중학교 A takesCourseAt B
Person: 홍명희 Group: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 A isMemberOf B
Person: 홍명희 Group: 신간회 A isMemberOf B
Book: 임꺽정 Person: 홍명희 A creator B



Timeline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참고자원


권영민 "홍명희 (洪命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명찬, "홍명희 거주지",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임영태,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3 홍명희, 북으로 간 <임꺽정> 작가]」, 『매일노동뉴스』online, 매일노동뉴스, 작성일: 2020년 06월 22일.

조남철 "임꺽정 (林巨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영주, "『임꺽정』",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권영민 "홍명희 (洪命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명찬, "[https://www.grandculture.net/dobong/toc/GC04901682 홍명희 거주지]",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권영민 "홍명희 (洪命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1. "신간회",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2. 임영태,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3 홍명희, 북으로 간 <임꺽정> 작가]」, 『매일노동뉴스』online, 매일노동뉴스, 작성일: 2020년 06월 22일.
  13. "홍명희[洪命熹]",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4. 임영태,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3 홍명희, 북으로 간 <임꺽정> 작가]」, 『매일노동뉴스』online, 매일노동뉴스, 작성일: 2020년 06월 22일.
  15. 임영태,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3 홍명희, 북으로 간 <임꺽정> 작가]」, 『매일노동뉴스』online, 매일노동뉴스, 작성일: 2020년 06월 22일.
  16. 임영태,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3 홍명희, 북으로 간 <임꺽정> 작가]」, 『매일노동뉴스』online, 매일노동뉴스, 작성일: 2020년 06월 22일.
  17. "신간회",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8. "신간회",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9. "신간회",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0. "신간회",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1. 조남철 "임꺽정 (林巨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2. 조남철 "임꺽정 (林巨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3. 조영주, "『임꺽정』", 『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4. 조남철 "임꺽정 (林巨正)",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