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신고(부 화간고)

North Korea Humanities

심현지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11일 (월) 15:09 판 (새 문서: __NOTOC__ <font face="함초롬돋움"> {{버튼클릭|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버튼클릭|XML 문서 다운받기}} <br...)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XML 문서 다운받기

풍신고(부 화간고)
Icon article.png
출처 :
 
원제목 風神考(附禾竿考) 학술지 진단학보 수록권호 1 발행기관 震檀學會
저자 宋錫夏 역자 @ 집필일자 19341100 게재연월 @
시작쪽 156쪽 종료쪽 166쪽 전체쪽 011쪽 연재여부 단독 범주 논문 분야 민속학



항목

차례


해제 목차 본문 데이터 주석




해제


내용을 입력합니다.@




목차







본문


본문1: 梗槪(경개)


본고에 풍신(風神)이라 함은 주로 남조선 지방 일대에 전승하여오는 구 2월의 『영동할머니』 또는 그와 유사한 명칭으로 부르는 민속 신앙을 지칭하는 것에 한정하노라.
쪽수▶P156-1本稿에 風神이라 함은 主로 南朝鮮 地方 一帶에 傳承하여오는 舊 2月의 『영동할머니』 又는 그와 類似한 名稱으로 부르는 民俗信仰을 指稱하는 것에 限定하노라.
이를 학적 연구 대상으로 한 학자가 고금으로 통하여 수 3인 있었으나, 오히려 전적으로 빙석(氷釋)할 만한 설명을 한 전례가 없어, 이제까지 민속학적 숙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필자가 졸고를 시도하려는 것도 군맹무상지격(群盲撫象之格)에 지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것이며, 이 점에 대하여는 독자 제언의 관대한 양해가 있기 바라는 바다.
쪽수▶P156-2이를 學的 硏究 對象으로 한 學者가 古今으로 通하야 數3人 있었으나, 오히려 全的으로 氷釋할 만한 說明을 한 前例가 없어, 이제까지 民俗學的 宿題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 筆者가 拙考를 試하려는 것도 群盲撫象之格에 지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것이며, 이 點에 對하여는 讀者 諸彦의 寬大한 諒解가 있기 바라는 바다.
『영동풍신』에 대한 경개(梗槪)를 약술하면, 그 명칭은 『영동할만네·영동할맘·영동할마니 ·영동할마시·할마시·영동·바람·풍신·할만네·영등·연등·마고할마니』 등의 여러가지 명칭이 있다. 지금 편의상 3개 지방의 대표적 의식을 예거하면 다음과 같다. 남조선의 동부 지방에서는 정월 회일(晦日, 그믐날)에 황토를 문 앞에 깔고 좌도승(左綯繩)을 대문 혹는 삽작에 걸고 그 금줄에는 청엽(靑葉)이 붙은 죽지를 세 가지(枝)쯤 꽂아두어 부정을 피한다. 그리고 계명(鷄鳴) 후에 우물에서 정화수를 급취하여 장독간이나 주간에 두었다가 다음날 아침(翌朝)에 섬밥(淨飯)을 한 후에 그것을 『볏가리』에 갖다 두고 주부가 기도(손 비빈다고 함)를 드린 다음, 청죽 3개를 교차하여 상부에서 1척허쯤 되는 곳을 결박하고 색사‧오색포편‧백지를 달고 새 표주박(新瓢)에 담은 정화수를 그 위에 둔다. 도의는 농사의 풍요 및 가내의 안태를 주로 하며, 초10일 15일 20일에 개수하며, 『영동할만네』는 초10일에 상칭(부?) 15일에 중칭 20일에 하칭이 올라가고, 여양(찌꺼기)는 그믐날까지 맥전(麥田)에 남는다고 한다. 현대문주1▶『영동할만네』가 딸을 데리고 하강(내려오면)하면 바람이 불고, 며느리를 데리고 하강하면 비가 온다고 한다.[a 1]
쪽수▶P157-1『영동風神』에 對한 梗槪를 略述하면, 그 名稱은 『영동할만네·영동할맘·영동할마니 ·영동할마시·할마시·영동·바람·風神·할만네·영등·연등·麻姑할마니』 等의 여러가지 名稱이 있다. 只今 便宜上 3個 地方의 代表的 儀式을 例擧하면 다음과 같다. 南朝鮮의 東部 地方에서는 正月 晦日에 黃土를 門前에 깔고 左綯繩을 大門 叉는 삽작에 걸고 그 금줄에는 靑葉이 붙은 竹枝를 數3枝 꽂아두어 不淨을 避한다. 그리고 鷄鳴 後에 우물에서 淨華水를 汲取하여 장독간이나 廚間에 두었다가 翌朝에 섬밥(淨飯)을 한 後에 그것을 『볏가리』에 갖다 두고 主婦가 祈禱(손 비빈다고 함)를 드린 다음, 靑竹 3個를 交叉하여 上部에서 1尺許쯤 되는 곳을 結縛하고 色絲‧五色布片‧白紙를 달고 新瓢에 담은 淨華水를 그 위에 둔다. 禱意는 農事의 豊饒 及 家內의 安泰를 主로 하며, 初十日 15日 20日에 改水하며, 『영동할만네』는 初十日에 上칭(府?) 15日에 中칭 20日에 下칭이 올라가고, 餘洋(찌꺼기)는 晦日까지 麥田에 남는다고 한다. 원문주1▶『영동할만네』가 딸을 데리고 下降(내려오면)하면 바람이 불고, 며느리를 데리고 下降하면 비가 온다고 한다. [1]
@
@
@
@



































본문2: 제목@


@
@
@
@
@
@
@
@
@
@





































본문3: 제목@


@
@
@
@
@
@
@
@
@
@



































































































본문4: 제목@


@
@
@
@
@
@
@
@
@
@












































본문5: 제목@


@
@
@
@
@
@
@
@
@
@












































데이터


TripleData




Data Network






주석







원문주


  1. 蔚山郡 下廂面 伴鷗里 金正福氏 談






현대문주


  1. 울산군 하상면 반구리 김정복씨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