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문제의 신고찰(6) -진국 및 삼한고-

North Korea Humanities

곽한나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0월 14일 (월) 19:40 판 (본문1: 6. 변진(변한)문제)

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XML 문서 다운받기

삼한문제의 신고찰(6) -진국 및 삼한고-
Icon article.png
출처 :
 
원제목 三韓問題의 新考察(六) -辰國 及 三韓考- 학술지 진단학보 수록권호 진단학보 7 발행기관 진단학회
저자 이병도 역자 집필일자 게재연월 1937년07월
시작쪽 099쪽 종료쪽 147쪽 전체쪽 049쪽 연재여부 연재 범주 논문 분야 역사학



항목

차례


해제 목차 본문 데이터 주석




해제


내용을 입력합니다.@




목차







본문


본문1: 6. 변진(변한)문제


이상은 마한 및 진한 문제에 대하여 우견을 (좀 장황하게) 설술하였으므로 이로부터는 나머지 변진(변한)문제에 들어가 오로지 논난하려고 하거니와 서술이 역시 번거로울 듯하므로 아래와 같이 2, 3항에 나누어 순차로 말하려 한다.
쪽수▶P99-1 以上은 馬韓 及 辰韓問題에 就하야 愚見을 (좀 장황하게) 說述하였으므로 일로부터는 남어지 弁辰(弁韓)問題에 들어가 오로지 論難하려고 하거니와 敍述이 역시 번거러울 듯하므로 아래와 같이 二, 三項에 나노아 順次로 말하려 한다.
(갑) 변진의 명칭 강역 및 그 지리
쪽수▶P99-2 (甲) 弁辰의 名稱 疆域 및 그 地理
(을) 변진 20여국에 관한 위지기사의 해석과 제국(諸國)의 위치 비정
쪽수▶P99-3 (乙) 弁辰 二十餘國에 關한 魏志記事의 解釋과 諸國의 位置比定
(병) 신라의 발흥과 변진 제국(諸國)의 변천
쪽수▶P99-4 (丙) 新羅의 勃興과 弁辰諸國의 變遷
(갑) 변진의 명칭 강역 및 그 지리
쪽수▶P99-5 (甲) 弁辰의 名稱 疆域 및 그 地理
변진은 변한이라고도 하지만 변한은 전에도 말한 바와 같이 변진한의 약칭이거나 그러치 않으면 전혀 한의 칭이 진을 극복하여 그것에 대신한 소이거나 할 것이며, 어떤 편으로 하던지 그 일명(一名)은 한의 칭호가 확대되어 변진을 역시 한의 일종으로 보던 때에 생긴 것이었을 것이다. 또 변진 변한의 변(弁)을 서에 따라 변(卞) 혹은 변(辨)으로도 적은 곳이 있고 지금도 사람에 따라 그러케 쓰는 이가 있으나, 그것은 마치 진한의 진을 秦, 마한의 馬를 慕로도 씀과 같이 음상사로 인한 이외에는 다른 이유가 없으며, 그러나 그 원래의 정칭은 변진이므로 우리는 될 수 있는 대로 변자를 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변진의 변은 무엇을 의미한 것인가? 弁辰의 辰은 (그것이) 辰人의 一種인 所以로서의 稱이려니와, 弁은 어떠한 理由로 附與된 것인가? 이에 對하여는 이미 先輩의 所論도 있고 또 나의 所見도 있으므로 그것을 말하여 볼까 한다.
쪽수▶P99-6 弁辰은 一云 弁韓이라고도 하지만 弁韓은 前에도 말한 바와 같이 弁辰韓의 略稱이거나 그러치 않으면 全혀 韓의 稱이▶P100-1 辰을 克服하야 그것에 대신한 所以거나 할 것이며, 어떤 편으로 하던지 그 一名은 韓의 稱號가 擴大되어 弁辰을 역시 韓의 一種으로 보든 때에 생긴 것이었을 것이다. 또弁辰弁韓의 弁을 書에 따라 卞 혹은 辨으로도 적은 곳이 있고 지금도 사람에 따라 그러케 쓰는 이가 있으나, 그것은 마치 辰韓의 辰을 秦, 馬韓의 馬를 慕로도 씀과 같이 音相似로 因한 以外에는 他理由가 없으며, 그러나 그 元來의 正稱은 弁辰이므로 우리는 될 수 있는 대로 弁字를 쓰는 것이 올타고 생각한다. 그러면 弁辰의 弁은 무엇을 意味한 것인가? 弁辰의 辰은 (그것이) 辰人의 一種인 所以로서의 稱이려니와, 弁은 어떠한 理由로 附與된 것인가? 이에 對하여는 이미 先輩의 所論도 있고 또 나의 所見도 있으므로 그것을 말하야 볼까한다.
현대문주1▶먼저 선배의 설을 소개하면 일즉이 다산 정약용 선생은 변진고 [a 1]란 논문 中에 말하되
쪽수▶P100-2 원문주1▶먼저 先輩의 說을 紹介하면 일즉이 茶山 丁若鏞先生은 弁辰考[1]란 論文 中에 말하되

鏞按弁者駕洛也 駕洛者伽耶也 東俗 凡冠幘之尖頂者 通謂之駕那 今禁府皀隸稱羅將 及郡縣侍奴(稱及唱) 猶戴尖頂之幘名之曰駕那 亦謂之金駕那 方言流傳 必有所本也 新羅時 駕洛國在今金海 或稱加羅 或稱伽耶 此乃弁辰之總王也 必其巾幘特爲尖頂之制 故號之曰驾羅國 而中國之人譯之以文 則謂之弁辰也 及其末王仇亥投降新羅之後 名其國曰金官金官者金冠也 金冠者金駕那也 駕那之爲弁辰 尙足疑乎

쪽수▶P100-3

鏞按弁者駕洛也 駕洛者伽耶也 東俗 凡冠幘之尖頂者 通謂之駕那 今禁府皀隸稱羅將 及郡縣侍奴(稱及唱) 猶戴尖頂之幘名之曰駕那 亦謂之金駕那 方言流傳 必有所本也 新羅時 駕洛國在今金海 或稱加羅 或稱伽耶 此乃弁辰之總王也 必其巾幘特爲尖頂之制 故號之曰驾羅國 而中國之人譯之以文 則謂之弁辰也 及其末王仇亥投降新羅之後 名其國曰金官金官者金冠也 金冠者金駕那也 駕那之爲弁辰 尙足疑乎

라 하여, 즉 변진의 변은 한자 그대로의 뜻으로서 동속(東俗)에 관책(冠幘)의 뾰족(尖頂)한 것을 통칭 변이라 또는 ‘駕那’(가나)라 하고, 변진의 일국이었던 駕洛(가락, 駕羅(가라) 伽耶(가야)라고도 함)은 변진의 총왕처(總王處)로 반드시 그때 그 관책의 양식이 첨정의 특색을 가졌던 소이의 득칭(得稱)이었을 것인즉, 변진의 변은 곧 駕那(가나) 駕洛(가락) 加羅(가라) 伽耶(가야)의 한역(漢譯)임이 무의(無疑)하다고 보았다. 현대문주2▶속해동역사의 저자 한진서 선생도 다산의 이 설을 찬동하여 此可謂發前人之所末發而理固然矣 [a 2]라고 稱揚(칭양)하였다. 그리하여 다산의 설은 우리 학계에 큰 권위를 가지고 내려왔었다. 현대문주3▶그런데 이에 대하여 일본 문학박사 백조고길(白鳥庫吉) 씨는 한 이 설을 제창하되[a 3] 변은 한자 그대로의 뜻이 아니라 토어(土語)의 대음(對音)으로, 변한의 위치가 진한과 마한 사이에 개재하여 낙랑군으로부터는-12지수 중의-정히 巳(蛇, 사)방에 당하고 변의 음은 사(蛇)의 말인 paiyam암과 근사한즉 그것은 사를 의미한 말일 것이라 하고 그 밖에 진한의 진, 마한의 마도 이러한 12지수의 이름에 인한 것이라고 하였다-즉 진한은 낙랑군으로부터 진(龍, 용)방에 당하고 진의 음은 鷄林類事(계림유사)의 고려방언 중 ‘龍曰稱(용왈칭)’(彌(미)?)이라 한 칭과 거의 일치함으로 보아 진한은 토어 C'ing-han稱韓(칭한, 즉 용한)의 대음인 듯하고, 또 마한은 낙랑의 午(오, 馬(마))방에 당함으로써 그것은 토어 Mal-han(즉 마한)의 음역이리라고 하였다. 백조 씨의 설은 其著(기저) 한의조선4군 강역고 및 만주역사지리 제1권 제1편 한 대의 조선 중 「지명의 鮮釋(선석)」이라고 題(제)한 부론 중에 자세히 보이어 있거니와 중국의 辭源(사원, 진한 변한 마한조)에도 이 설을 취하여 놓았다. 백조 박사는 정다산의 설을 일종의 부회로 돌리어 자기는 거기서 일보를 내킨 거와 같이 말하였지만, 나로써 보면 백조 씨의 설이야말로 일종의 견강부회라고 생각한다. 물론 다산의 설 가운데도 다소의 무리한 점이 없지 아니하지만, 백조 씨의 설은 그 보다도 더 심하여 전부가 억설(臆說)투성이다. 다산의 설을 평하기 전에 먼저 백조 씨의 설을 논난하면-씨는 진한은 즉 진국으로서 조선왕 우거(右渠)의 치세(한무제 때)에 반도의 일부를 거유(據有)하였는즉 변한 마한의 2국도 또한 당시에 존재하였을 것이라 추측하고 따라 12지수의 제(制)가 당시 한인 간에 행하였던 소이라고 하니, 이것이 첫째 씨의 설을 크게 곤란케 만드는 바이라고 생각된다. 진국의 존재가 우거의 시대에는 물론이요 이미 그 이전부터 나타난 반도의 한 옛 나라으로서 진한의 '진'이 이에서 유래된 것은 의심없는 사실이지만, 진국이 곧 진한이란 설과 변한마한의 칭호가 이미 우거 시대에 있었다는 것은 다 나의 앞서 고설(考說)한 바와는 상위(相違)되는 설이며, 또 이들 칭호가 12지수의 제(制)인한 것이라 함은 더욱 일대의문이다. 12지수의 기원에 취하여는 백조씨도 인설(引說)한 바와 같이 청의 조익(趙翼)의 저인 陔餘叢考(해여총고, 권34)의 「12상속기어후한」이란 논문에 한 개의 考說(고설)이 보이어 있거니와, 조익의 고증한 바에 의하면 12相屬(상속)에 관한 문자는 후한 시대의 기록-특히 왕충의 論衡(논형, 物勢編(물세편))-에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그 이전에는 이에 언급한 자가 없으므로 그 기원은 후한 시대에서 더 올라갈 수 없다는 것이며, 그리하여 그는 이 사상의 유래를 북속(北俗)에 구하여 흉노 호한사선우(呼韓邪單于)가 오원(五原)의 쌔(塞)에 입거하였을 때(哀帝(애제) 시)에 제인(齊人)이 이와 상잡(相雜)하여 그 습속을 중국에 유전(流傳)한 것이었으리라고 하였다. 현대문주4▶조익의 12상속 흉노유래설은 다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는 문제지만 백조씨는 조익의 설에 반대하여 12지수의 기원을 전한시대에 구하는 동시에 이 사상은 태초력(太初曆)과 한가지 서역의 Bactria 즉 한의 소위 대하국 변으로부터 중국에 수입된 것이 아닌가라고 하였다.[a 4] 그러나 이 역시 막연한 추측에 불과하고 근래, 혹 학자는 그 기원을 우량(右兩)씨의 설보다도 일층 구원(久遠)한 옛적에 구하는 이가 있지만 그건 어찌했든 진국 내지 삼한의 칭호가 12지수에 인한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진'이란 말이 조선어로 무엇인가는 연구를 요할 문제지만 씨의 설과 같이 용의 방어(方語)의 음역이라고는 볼 수 없다. 진의 고음이 Cin이요 계림유사의 고려방언 중에 용을 칭 (Cing)이라 하였다고 하여 진을 용의 뜻이라고 함은 씨의 그릇된 관찰이다.현대문주5▶계림유사의 「용왈칭」의 칭자는 이미 전간공작(前間恭作)씨의 간파[a 5]한 바와 같이 미(彌)자의 오(誤)로 용의 고훈(古訓)은 「칭」이 아니라 「미리」 혹은 「미-ㄹ」이라고 하였던 소이다. 또 마한의 마도 마의 말인 「말」의 대음이 아니라 즉 「고마」(古馬, 고마) 혹은 「개마」(蓋馬, 개마)-이는 신성의 뜻인 듯하지만-의 약칭이라고 함은 이미 앞서 屢說(누설)한 바이다. 그런즉 진국 진한의 「진」과 마한의 「마」는 조선어의 용 또는 마의 訓義(훈의)와는 상관이 없는 말이며, 따라서 변진의 「변」도 조선어의 배얌(蛇, 사)의 寫音(사음)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또 가령 진국 내지 삼한의 칭호가 12지수의 이름에 인하여 낙랑 한인의 명명한 바이었을 것 같으면 변진도 알기 쉽게 巳(사, 蛇(사))진이라든지 혹은 巳(사, 蛇(사))한이라든가 할 것이거늘 왜 하필-군색하게-변자를 취하여 변진이라 변한이라 할 까닭이 있는가 하는 말이다. 변과 배얌과의 語音的(어음적) 비정도 썩 긴밀하지 못하지만, 한인이 이렇게까지 친절하게 씨의 해석과 같이 동방어를 고려하여 명명하였을까 하는 의문이다. 그리고 자래(자래)로 12지수의 제에 의하여 (혹 방위는 지칭하는 일은 있지만) 저명한 地處(지처)를 명명한 예가 중국에나 조선 일본에 일찍이 있었는지 나의 과문으로는 듣지 못하였다. 백조씨는 동방 한사군의 하나인 玄菟郡(현토군)의 칭호도 그러한 방위의 獸名(수명)에 인한 것의 일례로 말하였으나, 원문주6▶이는 내가 이미 玄菟郡考(현토군고) 중[2]에 논박하였던 바와 같이-설사 그때 그런 習制(습제)가 행하였다손 치더라도-타 3군의 이름이 대개 고유 土稱(토칭)에 인한 것이 분명한 이상 현토군만이 12지수의 제에 의할 리가 만무하며 인하여 현토도 역시 토어에 의한 雅稱(아칭)으로 실상은 後(후)의 고구려국의 수도의 하나이었던 「丸都(환도)」와 동음동의의 말로 바로 이것의 前稱(전칭)이라고 늘 확신하여 마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백조씨의 12지수는 여간 많은 결함과 견강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거기에는 일일이 좇을 수 없는 것뿐임을 유감으로 여긴다.
쪽수▶P100-4라 하야, 즉 弁辰의 弁은 漢字 그대로의 義로서 東俗에 冠幘의 尖頂(뾰족)한 者를 통칭 弁이라 또는 󰡔駕那󰡕(가나)라 하고, 弁辰의 一國이었든 駕洛(駕羅 一云伽耶)은 弁辰의 總王處로 반듯이 그때 그 冠幘의 樣式이 尖頂의 特色을 가졌든 所以의 得稱이었을 것인즉, 弁辰의 弁은 곧 駕那 駕洛 加羅 伽耶의 漢譯임이 無疑하다고 보았다. 원문주2▶續海東繹史의 著者 韓鎭書先生도 茶山의 이 說을 贊同하야 󰡔此可謂發前人之所末發而理固然矣󰡕[3]라고 稱揚하였다. 그리하야 茶山의 說▶P101은 우리 學界에 큰 權威를 가지고 내려왔었다. 원문주3▶그런데 이에 對하야 日本 文學博士 白鳥庫吉氏는 한 異說을 提唱하되[4] 弁은 漢字 그대로의 義가 아니라 土語의 對音으로, 弁韓의 位置가 辰韓과 馬韓 사이에 介在하야 樂浪郡으로부터는-十二支獸中의-正히 巳(蛇)方에 當하고 弁의 音은 蛇의 語인 paiyam암과 近似한즉 그것은 蛇를 意味한 말일 것이라 하고 그 밖에 辰韓의 辰, 馬韓의 馬도 이러한 十二支獸의 名에 因한 것이라고 하였다-卽 辰韓은 樂浪郡으로부터 辰(龍)方에 當하고 辰의 音은 鷄林類事의 高麗方言 中 「龍曰稱」(彌?)이라 한 稱과 거이 一致함으로 보아 辰韓은 土語 C'ing-han稱韓(卽 龍韓)의 對音인 듯하고, 또 馬韓은 樂浪의 午(馬)方에 當함으로써 그것은 土語 Mal-han(卽 馬韓)의 音譯이리라고 하였다. 白鳥氏의 說은 其著 漢の朝鮮四郡疆域考 及 滿洲歷史地理 第一卷 第一編 漢代の朝鮮 中 「地名の鮮釋」이라고 題한 附論 中에 자세히 보이어 있거니와 中國의 辭源(辰韓 弁韓 馬韓條)에도 이 說을 取하야 노았다. 白鳥博士는 丁茶山의 說을 一種의 附會로 돌리어 自己는 거긔서 一步를 내킨 거와 같이 말하였지만, 나로써 보면 白鳥氏의 설이야말로 一種의 牽强附會라고 생각한다. 勿論 茶山의 說 가운데도 多少의 無理한 點이 없지 아니하지만, 白鳥氏의 說은 그 보다도 더 심하야 全部가 臆說투성이다. 茶山의 說을 評하기 전에 먼저 白鳥氏의 說을 論難하면-氏는 辰韓은 卽 辰國으로서 朝鮮王 右渠의 治世(漢武帝時)에 半島의 一部를 據有하였은즉 弁韓 馬韓의 二國도 또한 當時에 存在하였을 것이라 推測하고 따라 十二支獸의 制가 當時 漢人間에 行하였든 所以라고 하니, 이것이 첫재 氏의 說을 크게 困難케 맨드는 바이라고 생각된다. 辰國의 存在가 右渠의 時代에는 勿論이요 이미 그 以前부터 나타난 半島의 一古國으로서 辰韓의 󰡔辰󰡕이 이에서 由來된 것은 의심없는 事實이지만, 辰國이 곧 辰韓이란 說과 弁韓馬韓의 稱號가 이미 右渠時代에 있었다는 것은 다 나의 앞서 考說한 바와는 相違되는 說이며, 또 이들 稱號가 十二支獸의 制에▶P102因한 것이라 함은 더욱 一大疑問이다. 十二支獸의 起原에 就하여는 白鳥氏도 引說한 바와 같이 淸의 趙翼의 著인 陔餘叢考(卷卅四)의 「十二相屬起於後漢」이란 論文에 一個의 考說이 보이어 있거니와, 趙翼의 考證한 바에 依하면 十二相屬에 關한 文字는 後漢時代의 記錄-特히 王充의 論衡(物勢編)-에 뚜렷이 나타나기 始作하고 그 以前에는 이에 言及한 자가 없으므로 그 起原은 後漢時代에서 더 올라갈 수 없다는 것이며, 그리하야 그는 이 思想의 由來를 北俗에 求하야 匈奴 呼韓邪單于가 五原의 塞에 入居하였을 때(哀帝時)에 齊人이 이와 相雜하야 그 習俗을 中國에 流傳한 것이었으리라고 하였다. 원문주4▶趙翼의 十二相屬 匈奴由來說은 다시 생각해 볼 餘地가 있는 問題지만 白鳥氏는 趙翼의 설에 反對하야 十二支獸의 起原을 前漢時代에 求하는 同時에 이 思想은 太初曆과 한가지 西域의 Bactria 卽 漢의 所爲 大夏國 邊으로부터 中國에 輸入된 것이 아닌가라고 하였다.[5] 그러나 이 역시 漠然한 推測에 不過하고 近來, 或 學者는 그 起原을 右兩氏의 說보다도 一層 久遠한 옛적에 求하는 이가 있지만 그건 何如했든 辰國 乃至 三韓의 稱號가 十二支獸에 인한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안는다. 「辰」이란 말이 朝鮮語로 무엇인가는 硏究를 要할 問題지만 氏의 說과 같이 龍의 方語의 音譯이라고는 볼 수 없다. 辰의 古音이 Cin이요 鷄林類事의 高麗方言 中에 龍을 稱 (Cing)이라 하였다고 하야 辰을 龍의 義리라고 함은 氏의 그릇된 觀察이다. 원문주5▶鷄林類事의 「龍曰稱」의 稱字는 이미 前間恭作氏의 看破[6]한 바와 같이 彌字의 誤로 龍의 古訓은 「칭」이 아니라 「미리」 혹은 「미-ㄹ」이라고 하였든 所以다. 또 馬韓의 馬도 馬의 語인 「말」의 對音이 아니라 즉 「고마」(古馬) 혹은 「개마」(蓋馬)-이는 神聖의 義인 듯하지만-의 略稱이라고 함은 이미 앞서 屢說한 바이다. 그런즉 辰國 辰韓의 「辰」과 馬韓의 「馬」는 朝鮮語의 龍 또는 馬의 訓義와는 相關이 없는 말이며, 따라서 弁辰의 「弁」도 朝鮮語의 배얌(蛇)의 寫音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또 가령 辰國 乃至 三韓의 稱號가 十二支獸의 名에 因하야 樂浪漢人의 命名한 바이었을 것 같으면 弁辰도 알기 쉽게 巳(蛇)辰이라든지 혹은 巳(蛇)韓이라든가 할 것이어늘 왜 何必-군색하게-弁字를 取하야 弁辰이라 弁韓이라 할 까닭이 있는가 하는 말이다. 弁과 배얌과의 語音的 比定도 썩 緊密하지 못하지만, 漢人이 이러케까지 親切하게 氏의 解釋과 같이 東方語를 考慮하야 命名하였을까 하는 疑問이다. 그리고 自來로 十二支獸의 制에 依하야 (혹 方位는 指稱하는 일은 있지만) 著名한 地處를 命名한 예가 中國에나 朝鮮 日本에 일즉이 있었는지 나의 寡聞으로는 듣지 못하였다. 白鳥氏는 東方 漢四郡의 一인 玄菟郡의 稱號도 그러한 方位의 獸名에 인한 것의 一例로 말하였으나, 원문주6▶이는 내가 이미 玄菟郡考 中[7]에 論駁하였든 바와 같이-설사 그때 그런 習制가 行하였다손 치더라도-他三郡의 名이 대개 固有 土稱에 인한 것이 分明한 以上 玄菟郡만이 十二支獸의 制에 의할 理가 萬無하며 因하야 玄菟도 역시 土語에 依한 雅稱으로 실상은 後의 高句麗國의 首都의 一이었든 「丸都」와 同音同義의 語로 바루 이것의 前稱이라고 늘 確信하야 마지안는다. 이와 같이 白鳥氏의 十二支獸은 여간 만흔 缺陷과 牽强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거긔에는 일일이 좇을 수 없는 것뿐임을 遺憾으로 역인다.
그러면 다산의 설은 어떠하냐? 하면, 씨의 가락 즉 가나, 변 즉 가락의 譯稱(역칭)이란 설은 역시 찬동을 표하기 어렵다. 관책의 方語(방어)인 駕那(가나)와 변진의 일국인 가락(狗邪(구사), 伽耶(가야), 加羅(가라))의 이름이 발음상으로는 물론 서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렇다고 가락(국명)이 곧 관책의 뜻이라고는 속단할 수 없다. 더구나 金官(금관, 가락의 後名(후명))이 곧 金冠(금관)이라 함은 너무도 자음에 拘泥(구니)된 臆斷(억단)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만일 金官(금관)이 金冠(금관)의 뜻일 것 같으면 바로 金冠(금관)이라고 하였을 것이요 구태여 관자와 동음이의인 다른 관자를 취할 리가 만무한 것이다). 원문주7▶금관의 이름은 본시 가락국 내의 一小(일소)[8]지명으로서 후일 신라에 병합된 후 비로소 大名(대명, 郡名(군명)⦁京名(경명))으로 化(화)하여진 것이어니와, 「가락」 「가야」 「가라」란 이름도 원래는 魏志(위지)에 보이는 변진 20여 국 중의 하나인 「狗邪國(구사국)」 그것에 불과하였던 국명이다. 그리고 당시 頭飾衣服(두식의복)의 제와 같은 것은 적어도 변진 제국 간에는 서로 공통된 양식이었을 것이다. 그러면 구사 일국에만 그러한 특색의 관책의 제가 있어 그 이름을 先取(선취) 독점하였으리라고는 해석할 수 없으며, 동시에 변진의 변도 그 국명을 譯稱(역칭)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구사 즉 가라 가야 가락의 뜻에 취하여는 더 신중한 고려를 요할 문제지만 나의 해석은 邪(사) 耶(야) 羅(라) 洛(락)은 다-동음의 異寫(이사)로-國邑(국읍)-(나라)의 뜻이요, 狗(구) 伽(가) 加(가) 駕(가)는-역시 동음으로-邊(변)의 뜻인 「가」 「가」 「가」의 借音字(차음자)인가 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邊國(변국) 혹은 邊邑(변읍)의 뜻인 듯하다. 구사국은 조선의 나일(Nile)강이라고 할 만한 낙동강 하류의 삼각주(delta) 및 그 右岸(우안)에 위치한 금 김해의 땅이었으므로 그러한 해석이 더욱 허용될 줄로 안다. 원문주8▶참고로 고구려의 䢘城軍(수성군, 杆城(간성))의 一稱(일칭)에 加阿忽(가아홀)[9] 원문주9▶혹은 加羅忽(가라홀)[10]의 이름이 있는 것을 보면 사견을 일층 확실케 하여 주는 것이 있다. 䢘(수)은 동국의 俗子(속자)로 중국 字書(자서)에는 없는 자이나 그 자형으로 보면 邊(변)의 속자인 过(과)의 원시형으로 邊防守成(변방수성)의 뜻인 듯하고 실제 䢘城(수성, 羅名(나명) 守成(수성)) 지금의 간성은 일시 고구려 東南界(동남계)의 중심적 重鎭(중진)이었으므로 加阿(가아) 혹은 加羅(가라)의 일명을 얻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이와 같이, 변진의 구사(가라)국도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여) 변진제국 중에 있어 중요한 또는 저명한 邊國(변국, 邊邑(변읍))으로서의 임무를 다하던 까닭에 그러한 칭호가 생긴 것이 아닌가 하는 편이 더 타당할 듯하다. 어떻든 정다산과 같이 가라를 관책의 뜻으로 보고 변진의 변을 가라의 한역으로 해석하는 것은 肯綮(긍계)을 얻은 설이라고 할 수 없다. 정말 변진의 변을 한자 그대로의 뜻으로 解(해)할 것이라면 그러한 不肯綮的(불긍계적) 천착을 요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설명될 도리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즉 다산의 설에 다소의 수정을 가하여 말하면 비단 가락뿐만이 아니라 전 변진인 제부락 간에는 변과 비슷한 양식의 유표(有表)한 冠帽(관모)를 頭戴(두대)하던 풍속이 있어, 그로 인하여 중국인이 이 진인의 일족을 변진이라고 특칭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가 더 훨씬 理順(이순)할 것 같다. 변진인의 관책의 제에 관한 분명한 기사는 사서에 별로 보이는 바가 없으나, 일본사 상에 보이는 任那人(임나인) 蘇那曷叱智(소나갈길지) 즉 都怒我阿羅斯(도노아아라사) 등의 史話(사화)와 또 근래 영남 지방의 고분에서 발굴되는 유물에 의하여 고대 변진인의 관모의 양식이 어떠하던 것을 추리 짐작할 수 있다. 소나갈질지의 사화는 즉 일본서기 垂仁紀(수인기) 2년 「是歲任那人蘇那曷叱智 請之欲歸于國云云」의 기재 하의 分註(분주)와 및 新撰姓氏錄(신찬성씨록)에 실리어 있거니와, 전자(서기 註說(주설))에 「一云御間城天皇之世 額有角人 乘一船 泊于越國笥飯浦 故號其處 曰角鹿也 問之曰 何國人也 對曰意富加羅國王之子 名都怒我阿羅斯等 亦名曰于斯岐阿利叱智干岐云云」이라 함과 후자 즉 성씨록(未定雜姓(미정잡성), 右京(우경), 三間名公條(삼간명공조))에 「崇神天皇御世 額有角人 乘船泊于越國笥飯浦 遣人間曰何國人也 對曰意富加羅國王子 名都怒我阿羅斯等云云」이란 것-전후 기재에 비록 약간의 異同(이동)(이동)이 있으나 동일 사료의 계통에서 나온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都怒我(도노아)는 동 성씨록 他條(타조)에는 「都奴賀(도노하)」 혹은 「都奴加(도노가)」로도 쓰여있으나, 다 蘇那曷(소나갈)의 동음이역임은 이미 학자의 공인하는 바이며 阿羅斯(아라사) 등이니 阿利叱智(아리질지)니 하는 斯等(사등, シト)叱智(질지)는 진인 渠帥(거수)의 칭인 臣智(신지, 秦支(진지)), 阿羅(아라) 阿利(아리)는 「알」의 寫音(사음)으로 신라의 「閼智(알지)」의 閼(알)과 같은 존칭일 것이다. 그리고 「額有角人(액유각인)」이라 함은-역시 세간 학자의 설이 있는 거와 같이-이때 임나인 頭上(두상)에 쓴 관책의 전면에 무슨 角形(각형)의 것이 있어서 그것을 형용해 말함인 것 같고, 또 「蘇那曷(소나갈)」 「都努我(도노아)」 「角鹿(각록)」(ツヌガ) 등은 위 기재에는 인명 혹은 지명으로 되어 있지만, 본시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변진인의 관책의 칭인 보통명사가 아니었든가 한다. 원문주10▶曷(갈), 我(아), 鹿(록, ガ)는 다 관의 뜻으로 고구려 貴人(귀인)의 관인 「蘇骨(소골)」[11]의 骨(골), 원문주11▶신라 冠縣(관현, 문경)의 일명인 「高思曷伊(고사갈이)」[12](고ㅅ갈)의 曷(갈), 現今語(현금어)의 「갓」(관)과 같은 말인 듯하며, 蘇那(소나), 都努(도노), 角(각, ツヌ)는 즉 관을 Modify한 품사로 「蘇骨(소골)」의 蘇(소)와도 관련이 있는 말인 듯하나 분명하지 못하고, 일본서 角(각)자로써 이에 충당한 것은 각의 훈과 그것이 音同(음동)하고 또 관의 형상이 「額有角(액유각)」의 부회를 生(생)케 하였던 까닭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떻든 蘇那曷(소나갈), 都努我(도노아)는 본시 관책의 칭으로 변진인을 표시(represent) 혹은 상징(symbolize)하는 별호가 되고 따라 그들의 頻數(빈삭)히 내왕하던, 또는 이주 식민하던 곳의 별명으로도 化(화)하여진 것이라고 생각되나니, 「蘇那曷叱智(소나갈질지)」 「都努我羅斯(도노아라사)등」의 본명은 실상 于斯岐(우사기)로 전자는 후자의 별명 「角鹿(각록)」 「角國(각국)」 「敦賀(돈하)」의 이름도 이 우사기 이후 변진인의 왕래 이주로 인하여 생긴 별칭이라고 볼 수 있다. 今(금) 石川縣(석천현) 鹿島郡(녹도군) 熊木村(웅목촌)에는 在昔(재석)으로부터 久麻加夫都阿羅加志比古란 신사가 있어, (임나의) 都奴加阿良斯止神 阿良加止比古神을 奉祀(봉사)하여 오거니와 (久麻加夫都阿良加志比古神像의 木造一軀(목조일구)는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음) 여기 「久麻加夫都(구마가부도)」란 말은 즉 熊兜(웅두)로 熊(구마)은 신성 용맹의 표시, 兜(가부도)는 도노아(소나갈)의 對語(대어)임을-그 主神名(주신명, 都奴加阿良斯止(도노가아랑사지))에 의하여-알 수 있는 동시에 도노아⦁소나갈의 뜻이 더욱 명료하여짐을 알게 된다. 환언하면 도노아(소나갈)은 곧 구마가부도요 구마가부도는 곧 도노아니 하나는 가라어(변진어), 하나는 일본어로, 다 변진인의 관책을 지칭한 말들이다.
쪽수▶P103-2 그러면 茶山의 說은 어떠하냐? 하면, 氏의 駕洛 卽駕那, 弁 卽駕洛의 譯稱이란 說은 역시 贊同을 표하기 어렵다. 冠幘의 方語인 駕那(가나)와 弁辰의 一國인 駕洛(狗邪, 伽耶, 加羅)의 名이 發音上으로는 勿論 서루 一致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렇다고 駕洛(國名)이 곧 冠幘의 義라고는 速斷할 수 없다. 더구나 金官(駕洛의 後名)이 곧 金冠이라함은 너무도 字音에 拘泥된 臆斷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만일 金官이 金冠의 義일 것 같으면 바루 金冠이라고 하였을 것이요 구태야 冠字와 同音異義인 다른 官字를 取할 理가 萬無한 것이다). 원문주7▶金官의 名은 본시 駕洛國內의 一小[13]地名으로서 後日 新羅에 倂合된 후 비로소 大名(郡名⦁京名)으로 化하여진 것이어니와, 「駕洛」 「伽耶」 「加羅」란 이름도 원래는 魏志에▶P104보이는 弁辰 二十餘國 中의 一인 「狗邪國」 그것에 不過하였든 國名이다. 그리고 當時 頭飾衣服의 制와 같은 것은 적어도 弁辰諸國間에는 서루 共通된 樣式이었을 것이다. 그러면 狗邪一國에만 그러한 特色의 冠幘의 制가 있어 그 이름을 先取 獨占하였으리라고는 解釋할 수 없으며, 同時에 弁辰의 弁도 그 國名을 譯稱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狗邪 卽加羅 伽耶 駕洛의 義에 就하여는 더 愼重한 考慮를 要할 問題이지만 나의 解釋은 邪 耶 羅 洛은 다-同音의 異寫로-國邑-(나라)의 義요, 狗 伽 加 駕는-역시 同音으로-邊의 義인 「가」 「가」 「가」의 借音字인가 한다. 다시 말하면 그것은 邊國 혹은 邊邑의 義인 듯하다. 狗邪國은 朝鮮의 나일(Nile)江이라고 할 만한 洛東江下流의 三角洲(delta)및 그 右岸에 位置한 今 金海의 地였으므로 그러한 解釋이 더욱 許容될 줄로 안다. 원문주8▶參考로 高句麗의 䢘城軍(杆城)의 一稱에 加阿忽[14] 원문주9▶혹은 加羅忽[15]의 名이 있는것을 보면 私見을 一層 確實케 하야 주는 것이 있다. 䢘은 東國의 俗子로 中國 字書에는 없는 字이나 그 字形으로 보면 邊의 俗字인 过의 原始形으로 邊防守成의 義인 듯하고 실제 䢘城(羅名 守成) 지금의 杆城은 一時 高句麗 東南界의 中心的 重鎭이었으므로 加阿 혹은 加羅의 一名을 얻었든 것이 아닌가 한다. 이와 같이, 弁辰의 狗邪(加羅)國도 (洛東江河口에 位置하야)弁辰諸國 中에 있어 重要한 또는 著名한 邊國(邊邑)으로서의 任務를 다하든 까닭에 그러한 稱號가 생긴 것이 아닌가 하는 편이 더 妥當할 듯하다. 어떠튼 丁茶山과 같이 加羅를 冠幘의 義로 보고 弁辰의 弁을 加羅의 漢譯으로 解釋하는 것은 肯綮을 얻은 설이라고 할 수 없다. 정말 弁辰의 弁을 漢字 그대로의 義로 解할 것이라면 그러한 不肯綮的 穿鑿을 要하지 안트라도 自然스럽게 說明될 道理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즉 茶山의 說에 多少의 修正을 加하야 말하면 비단 駕洛뿐만이 아니라 全弁辰人 諸部落間에는 弁과 비슷한 樣式의 유표(有表)한 冠帽를 頭戴하든 風俗이 있어, 그로 因하야 中國人이 이 辰人의 一族을 弁辰이라고 特稱한 것이 아닌가 하는 見解가 더 훨신 理順할 것 같다. 弁辰人의 冠幘의 制에 關한 分明한 記事는 史書에 別로 보이는 바가 없으나, 日本史上에 보이는 任那人 蘇那曷叱智 즉 都怒我阿羅斯等의 史話와 또 近來 嶺南地方의 古墳에서 發掘되는 遺物에 依하야 古代 弁辰人의 冠帽의 樣式이 어떠하든 것을 推理 짐작할 수 있다. 蘇那曷叱智의 史話는 즉 日本書紀 垂仁紀 二年 「是歲任那人蘇那曷叱智 請之欲歸于國云云」의 記載下의 分註와 및 新撰姓氏錄에 실리어 있거니와, 前者(書記註說)에 「一云御間城天皇之世 額有角人 乘一船 泊于越國笥飯浦 故號其處 曰角鹿也 問之曰 何國人也 對曰意富加羅國王之子 名都怒我阿羅斯等 亦名曰于斯岐阿利叱智干岐云云」이라 함과 後者 즉 姓氏錄(未定雜姓, 右京, 三間名公條)에 「崇神天皇御世 額有角人 乘船泊于越國笥飯浦 遣人間曰何國人也 對曰意富加羅國王子 名都怒我阿羅斯等云云」이란것-前後 記載에 비록 若干의 異同이 있으나 同一史料의 系統에서 나온 것-에 注意할 必要가 있다. 都怒我는 同姓氏錄 他條에는 「都奴賀」 혹은 「都奴加」로도 쓰여있으나, 다 蘇那曷의 同音異譯임은 이미 學者의 共認하는 바이며 阿羅斯等이니 阿利叱智니 하는 斯等(シト)叱智는 辰人 渠帥의 稱인 臣智(秦支), 阿羅 阿利는 「알」의 寫音으로 新羅의 「閼智」의 閼과 같은 尊稱일 것이다. 그리고 「額有角人」이라 함은-역시 世間學者의 說이 있는 거와 같이-이때 任那人 頭上에 쓴 冠幘의 前面에 무슨 角形의 것이 있어서 그것을 形容해 말함인 것 같고, 또 「蘇那曷」 「都努我」 「角鹿」(ツヌガ) 등은 右記載에는 人名 혹은 地名으로 되여 있지만, 本是는 固有名詞가 아니라 弁辰人의 冠幘의 稱인 普通名詞가 아니었든가 한다. 원문주10▶曷, 我, 鹿(ガ)는 다 冠의 義로 高句麗 貴人의 冠인 「蘇骨」[16]의 骨, 원문주11▶新羅 冠縣(聞慶)의 一名인 「高思曷伊」[17](고ㅅ갈)의 曷, 現今語의 「갓」(冠)과 같은 말인 듯하며, 蘇那, 都努, 角(ツヌ)는 즉 冠을 Modify한 品詞로 「蘇骨」의 蘇와도 關聯이 있는 말인 듯하나 分明하지 못하고, 日本서 角字로써 이에 充當한 것은 角의 訓과 그것이 音同하▶P105고 또 冠의 形相이 「額有角」의 附會를 生케 하였든 까닭에 起因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떠튼 蘇那曷, 都努我는 본시 冠幘의 稱으로 弁辰人을 表示(represent) 혹은 象徵(symbolize)하는 別號가 되고 따라 그들의 頻數히 來往하던, 또는 移住植民하든 곳의 別名으로도 化하여진 것이라고 생각되나니, 「蘇那曷叱智」 「都努我羅斯等」의 本名은 실상 于斯岐로 前者는 後者의 別名 「角鹿」 「角國」 「敦賀」의 名도 이 于斯岐 以後 弁辰人의 往來 移住로 因하야 생긴 別稱이라고 볼 수 있다. 今 石川縣 鹿島郡 熊木村에는 在昔으로부터 久麻加夫都阿羅加志比古란 神社가 있어, (任那의) 都奴加阿良斯止神 阿良加止比古神을 奉祀하야 오거니와 (久麻加夫都阿良加志比古神像의 木造一軀는 日本의 國寶로 指定되었음) 여긔 「久麻加夫都」란 말은 즉 熊兜로 熊(구마)은 神聖 勇猛의 表示, 兜(가부도)는 都努我(蘇那曷)의 對語임을-그 主神名(都奴加阿良斯止)에 依하야-알 수 있는 同時에 都努我⦁蘇那曷의 義가 더욱 明瞭하야짐을 알게 된다. 換言하면 都努我(蘇那曷)은 곧 久麻加夫都요 久麻加夫都는 곧 都努我니 一은 加羅語(弁辰語), 一은 日本語로, 다 弁辰人의 冠幘을 指稱한 말들이다.
변진인의 관책의 특색이 전면에 무슨 각(角)상의 것이 있었던 것은 위의 '額有角人(액유각인)'이란 설화로도 이를 짐작하겠지만, 더욱 실증적으로 그 진상을 우리 눈 앞에 보여주는 것은 근래 영남 지방의 고분에서 나오는 출토품 그것이다. 원문주12▶대정 9년(1920)에 양산군 北亭洞(북정동)의 한 고분에서와 대정 12년 달성군 달서면 고분37호분에서는 별도A의 표시와 같은 형상의 관모가 출토되고[18], 원문주13▶대정 7년 성주군 星山洞(성산동) 제1호고분 및 대정 8년 창녕군 교동의 한 고분에서는 관의 전면에 붙은 부속품(은제의 箭狀部(전상부))만이 발견되었다.[19] 관은 樺皮(화피, 벗나무 껍질)로 제조되어 그 전면에 箭形狀(전상부)의 金具(금구)를 붙인 것인데, 원문주14▶혹은 鳥羽(조우)를 象(상)한 것이 아닌가 하는 설[20]이 있다. 조우 그것을 관식으로 한 것은 평남 용강 雙楹塚(쌍영총) 벽화 중의 인물(B도 참조)에서도 그 예
쪽수▶P106-2 弁辰人의 冠幘의 特色이 前面에 무슨 角狀의 것이 있었든 것은 우의 「額有角人」이란 說話로도 이를 짐작하겠지만, 더욱 實證的으로 그 眞相을 우리 눈 앞에 보여주는 것은 近來 嶺南地方의 古墳에서 나오는 出土品 그것이다. 원문주12▶大正 九年(1920)에 梁山郡 北亭洞의 一古墳에서와 大正 十二年 達城郡 達西面 古墳三十七號墳에서는 別圖A의 表示와 같은 形狀의 冠帽가 出土되고[21], 원문주13▶大正 七年 星州郡 星山洞 第一號古墳 及 大正 八年 昌寧郡 校洞의 一古墳에서는 冠의 前面에 붙은 附屬品(銀製의 箭狀部)만이 發見되였다.[22] 冠은 樺皮(벗나무 껍질)로 製造되어 그 前面에 箭形狀의 金具를 붙인 것인데, 원문주14▶或은 鳥羽를 象한 것이 아닌가 하는 설[23]이 있다. 鳥羽 그것을 冠飾으로 한 것은 平南 龍岡 雙楹塚 壁畵 中의 人物(B圖 叅照)에서도 그 例
































데이터


TripleData




Data Network






주석


  1. 我邦疆域考(弁辰考).
  2. 史學雜誌(사학잡지) 제41편 제4호.
  3. 續海東繹史卷三(弁辰條).
  4. 東洋學報第二卷 第二號 「漢の朝鮮四郡疆域考」(其中 地名の解釋)及滿洲歷史地理 第一卷 第一編(漢代の朝鮮).
  5. 同上.
  6. 鷄林類事麗言攷四十七面.
  7. 史學雜誌 第四十一編 第四號.
  8. 日本書紀(일본서기) 繼體紀(계체기) 23년조 註(주)에 보임.
  9. 三國史記(삼국사기) 지리지 4.
  10. 고려사 지리지 3 및 輿地勝覽(여지승람) 권45.
  11. 北史高句麗傳(북사고구려전).
  12. 여지승람 권29, 문경현조.
  13. 日本書紀 繼體紀 二十三年條註에 보임.
  14. 三國史記 地理志 四.
  15. 高麗史 地理志 三 及 輿地勝覽 卷四十五.
  16. 北史高句麗傳.
  17. 輿地勝覽卷二十九, 聞慶縣條.
  18. 대정7년도고적조사보고 제1책 제1편 참조.
  19. 동상.
  20. 동상.
  21. 大正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册 第一編 參照.
  22. 同上.
  23. 同上.






현대문주


  1. 아방강역고(변진고).
  2. 속해동역사 권3(변진조).
  3. 동양학보 제2권 제2호 「漢の朝鮮四郡疆域考(한의 조선4군 강역고)」(그 중 지명의 해석) 및 만주역사지리 제1권 제1편(한대의 조선).
  4. 동양학보 제2권 제2호 「漢の朝鮮四郡疆域考」(그 중 지명의 해석) 및 만주역사지리 제1권 제1편(한대의 조선).
  5. 鷄林類事麗言攷四十七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