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세중

North Korea Humanities

김지선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8월 1일 (목) 17:27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안치우(JBNU2024)가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윤세중(尹世重)
윤세중.jpg
출처 : 김성수, "윤세중 [Yun Sechung]",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한글명 윤세중 한자명 尹世重 영문명 Yoon, Se-jung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2년 몰년 1965 [1] 출신지 충청남도 논산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창작활동을 한 소설가이다. 단편소설인 <용섭이>(1939), <안골동네>(1948)[2] 등과 장편소설인 <백무선>(1940), <시련 속에서>(1957), <용광로는 숨쉰다>(1960)등 여러 작품을 작성하였다. 북한 뿐만 아니라 소련에서도 '천재 조선 예술가'로 불리며 높게 평가받고 있다.[3]


생애


출생부터 작품활동의 시작까지

충청남도 논산의 가난한 농민가정에서 출생한 그는 어린시절 부모를 따라 함경북도 선봉구역공간에 가 소학교를 마쳤다.[4] 간도공간로 건너가 룡정의 대성중학교에 다니던 그는 반동교원들을 반대하는 동맹휴학에 참가하였다가 퇴학을 당하였다. 후에 그는 반일 운동으로 일제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감금되었다 출옥하였다. 이 시기에 그가 작성한 작품으로는 「그늘밑 사랑서적」(1937), 「명랑(明朗)서적」(1937) 등이 있다. 「그늘밑 사랑」(1937)이 현상문예에서 1등으로 당선된 것을 계기로 그는 창작의 길에 들어섰다. [5]


북한으로 넘어간 후의 작품 활동

일제의 가혹한 탄압속에서도 투쟁의 신념을 가지고 작품 활동을 하던 그는 1940년에는 장편소설 「백무선서적」을 연재하던 도중 중지당하였다.[6] 해방 이후 그는 월북을 선택하여 북한에서 작품 활동을 계속하였다. 그는 단편소설 「선화리서적」(1947)와 「안골동네서적」(1948)를 발표하였다. 이 작품들은 그 당시 북한 농민들의 토지개혁으로 인해 변화된 삶을 실감 나게 묘사하였다. 한국전쟁사건중에는 인민군과 함께 활도아며 종군작가로 나서서 전쟁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을 작성하였다. 이시기의 작품으로는「구대원과 신대원서적」(1951)과 「분조장과 신입대원서적」(1952) 등의 단편소설이 있다. [7]


한국전쟁 이후와 60년대의 작품 활동

한국전쟁 이후 시기에 그는 사회주의의 현실 속에서 노동계급의 투쟁 모습과 고상한 정신 세계를 느끼고 작품을 창작하게 된다. 이 시기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장편소설「시련 속에서서적」(1957)와 「용광로는 숨쉰다서적」(1960) 가 있다. 「시련 속에서」(1957)에서는 전쟁 중에 미군의 폭격에 의해 폐허로 된 제철소를 복구하는 모습을 그리는 작품으로 이 속에서 그는 강철 생산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새것과 낡은 것과의 심각한 투쟁를 보여주고 새 것은 반드시 승리한다는 생활의 법칙을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용광로는 숨쉰다」(1960) 또한 제철소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으로 사회주의 속의 노동계급이 그들 자체의 힘과 기술로 용광로를 만드는 과정을 그려냈다. 이 두 작품은 노동계급과 근로인텔리의 전형을 처음으로 폭넓고 훌륭하게 형상화낸 작품이고 평가 받고있다. [8]





연구


시련속에서

윤세중이 창작한 이 작품은 조선작가동맹출판단체에서 1957년 출간되었다.

이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림태운은 제철소에서 50톤 로를 100톤 로로 확장하는 데 성공하며 고속도 용해법을 도입하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의 반대를 받게된다. 그러나 공장당위원장의 도움으로 성과를 이끌어내며 제철소의 생산능력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중간에 발생한 사고와 고의적인 방해로 고난을 겪지만, 선주의 지원과 함께 T번호 특수강 생산에 성공하여 생산을 정상화시킨다. 그 후 고속도용해법을 도입을 성공함으로써 100톤 로에서 12시간 만에 쇠물을 뽑게된다.

이 작품은 장편소설에서 처음으로 노동계급의 노력투쟁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그리고 전후복구건설시기의 노동자와 인텔리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북한에서는 6.25 전쟁사건으로 파괴된 제철소를 제철소노동자들의 노력투쟁을 통하여 복구하고 이것이 단순한 증산투쟁이 아니라 치열한 계급투쟁, 사상투쟁 과정이었음을 폭넓게 일반화한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9]


용광로는 숨쉰다

1960년 윤세중이 창작한 이 작품은 1974년 문예출판사에서 재출간되었다.

이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용광로를 복구하기 위해서 노동자들은 투자계획을 짜고, 리상범은 자체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책을 제시해본다. 당중앙위원회에서 채택된 이 의견서는 김일성인물의 격려와 함께 용광로 복구건설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장인술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간첩들의 방해공작이 계속되어 어려움이 발생하지만 리상범은 노동자들과의 지혜를 모아 소극성과 보수주의, 기술신비주의에서 벗어나 진정한 노동 계급으로 성장해내고 지배인과 장인술 또한 변화시킨다. 용광로를 조업식 전에 보수를 완료해내어 조업식에서 첫 쇠물을 뽑을수 있게 만들었다.

이 작품은 사회주의건설의 모든 전선에서 혁명적대고조가 일어나고 있던 전후복구 건설기를 시대 배경으로 하여 노동자들의 희생정신과 영웅주의를 형상화하고 있다.

북한은 현실 속에서 노동계급의 영웅적 투쟁모습과 강한 사상투쟁 과정에서 갈등이 해결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박력있는 언어구사와 생동한 묘사를 통하여 주제사상을 천명하고 천리마의 시대정신과 참된 인간들의 사상 정신적 풍모를 진실하게 재현한 작품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1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윤세중 Institution: 대성중학교[11] A graduates B[12]
Person: 윤세중 Group: 조선반일청년회[13] A isMemberOf B
Person: 윤세중 Group: 문학가동맹[14] A isMemberOf B
Person: 윤세중 Book: 구대원과 신대원[15]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1965년 12월 24일로 1966년으로 표기하는 곳도 있다.
  2. 김성수, "윤세중 [Yun Sechung]",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3. 이명재, "윤세중 (尹世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윤세중", 북한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윤세중",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윤세중", 북한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이명재, "윤세중 (尹世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윤세중", 북한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김은정, "시련 속에서 [In the Trials]",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10. 김은정, "용광로는 숨쉰다 [Blast Furnace Breathes]",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11. "윤세중",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2. 정확히 말하면 중퇴이다.
  13. 김성수, "윤세중 [Yun Sechung]",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14. 이명재, "윤세중 (尹世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5. "윤세중",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