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항림

North Korea Humanities

한승현(G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17:00 판 (참고자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한승현(G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유항림(兪恒林)
출처 :
 
한글명 유항림 한자명 兪恒林 영문명 Yu Hang-rim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4년 몰년 1980년 출신지 평양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북한의 소설가. 1937년 ≪단층≫의 동인으로 활동한 것을 시작으로 해방 후에 평양에서 문단 활동을 하였다. [1] 대표적인 작품으로 <구구(區區)>, <부호(符號)>, <롱담(弄談)> 등이 있다.[2]


생애


출생 및 『단층』 발간

평양 출생. 평양에서 소학교와 광성중학교기관를 마친 후 고서점에서 일하면서 많은 책을 접했다.[3] 그의 작품 활동은 1937년 최정익(崔正翊)인물·구연묵(具然默)인물·김이석(金利錫)인물·김조규(金朝奎)인물 등과 『단층』을 발간하면서 시작되었다.[4] 종합문예지 『단층』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불안과 자의식을 반영한 모더니즘 성향의 소설들이 많이 발표되었다.[5] 이곳에 실린 유항림의 단편소설 「마권(馬券)」과 「구구(九九)」 또한 사회적 의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표출할 수 없었던 당시 인텔리의 고뇌와 자의식이 심리소설의 형식으로 그려지고 있다.[6]


본격적인 작가 활동

이후 「부호(符號)」(1940)를 『인문평론』에, 「농담」(1941)을 『문장』에 발표하였다.[7] 광복 후에는 재북 작가로 평양에서 계속 활동하였다.[8] 「개」(1946)·「와샤」(1948)·「부득이」(1949)·「아들을 만나리」(1949)·「형제」(1949) 등이 이 당시 발표한 단편소설들이다.[9]


한국전쟁 종군작가 활동

한국전쟁 중에는 다른 재북 작가들과 함께 종군작가로 활동하였다.[10] 낙동강까지 남진하는 인민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최후의 피 한방울까지」(1950)를 발표하였다.[11] 그리고 전쟁 체험에 관련된 여러 편의 단편과 중편소설을 내놓았다.[12] 인민군 정찰조를 도와 미군을 생포하는 내용을 담은 「누가 모르랴」(1951)·「소년통신병」(1954) 등이 이에 속한다.[13]





연구


30년대 후반 유항림의 소설의 특성

유항림은 30년대 후반의 절망적 상황을 보여주는 작가였을 뿐 아니라, 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여주는 작가이기도 했다.[14] 그의 소설은 사회적 모더니티에 대응하는 미학적 모더니티의 한 반응을 보여준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15] 시대 현실을 작품에 전면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객관적 사실의 묘사를 중심으로 하기보다는 개인의 심리에 중심을 두었으며, 무엇보다 근대를 체험하는 주체의 특수성을 제재로 한 작품을 창작하였다.[16] 문체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패러독스나 모호성, 그리고 불확실성을 드러낸다는 점도 유사하다.[17]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유항림 Person: 최정익 A hasColleague B
Person: 유항림 Person: 구연묵 A hasColleague B
Person: 유항림 Person: 김이석 A hasColleague B
Person: 유항림 Person: 김조규 A hasColleague B
Person: 유항림 Institution: 광성중학교 A gradutes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online, 위키백과.





주석


  1.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영구원.
  3.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4.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15.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16.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17.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