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윤규리(GNU2024)

North Korea Humanities

윤규리(G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15:21 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윤규리GNU2024)이 작성했습니다.




[[file:
김홍도사진
|270px|thumb|center]]
출처 :
 
한글명 김홍도 한자명 金弘道 영문명 Kim Hong-do 가나명 이칭 호(號): 단원(檀園), 단구(丹邱)
성별 남자 생년 1745년(영조 21)년 몰년 1806년(순조 6)년 출신지 김해 전공 예술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김홍도는 조선후기 「군선도병」·「단원풍속화첩」·「무이귀도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이다. 1745년(영조 21)에 태어났고 사망일은 미상이다. 강세황의 천거로 도화서 화원이 되었다. 29세 때 영조와 왕세자의 어진을 그렸고, 정조의 명으로 금강산 일대를 기행하고 명승지를 그려 바치기도 했다. 50세 이후로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짙게 밴 실경 산수화를 즐겨 그리면서 단원법이라 불리는 세련된 화풍을 이룩했다. 서민들의 생활상을 해학적 감성으로 표현한 독창적인 풍속화도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조선회화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화가다.[1]


생애


출생

경기도 안산에서 아버지 김석무(金錫武)와 어머니 인동 장씨(仁同 張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해 김씨 삼현파 17세손이며, 탁영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이다. 7대조부 김수원(金秀源)은 조선 선조 때 내금위장을, 6대조부 김흥상(金興祥)은 어모장군을, 5대조부 김득남(金得男)은 수문장을, 고조부 김중현(金重鉉)은 별제를, 증조부 김진창(金震昌)이 만호 벼슬을 지냈다. 김홍도는 1745년 김해(金海) 김씨(金氏)의 한 평범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김홍도의 집안은 중인 (中人)이었다. 중인은 의사, 통역사, 서리나 아전과 같은 하급벼슬을 맡은 계층으로 양반처럼 높은 벼슬에 오르지는 못하지만, 한편으로는 가난한 백성들보다는 나은 위치에 있었다. 김홍도의 고향이 어디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대체로 경기도 안산 (安山) 부근 이었을 것으로 생각되고있다.이는 김홍도는 코흘리개 시절부터 유명한 문인화가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에게 학문과 그림을 배웠다고 기록되어진 사료를 통하여 알수 있다.[2]


유년시절

당시에는 화원세계는 무척 폐쇄적이었다. 그런데 김홍도의 가계로 보면 김홍도 집안에는 화원이나 사자관(寫字官) 출신이 없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그가 어떻게 강세황과 교제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다. 그러나 《화사양가보록》(畵寫兩家譜錄)을 참고하면 김홍도의 부친인 김석무(金錫武)의 장인, 즉 김홍도의 외조부는 장필주(張弼周)이고, 그가 속하는 인동장씨(仁同張氏) 집안은 대대로 화원을 낸 화원사회의 명문거족이다. 따라서 김홍도는 외가에 드나들다 자신의 화재(畵才)가 돋보여 강세황을 비롯한 화원세계에 소개되었다.


유년시절 김홍도는 강세황을 만났고, 강세황은 시(詩), 서(書), 화(畵)에 능했으며 당시 최고의 감식안으로서 김홍도의 화업에 많은 도움과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강세황은 정조의 신임을 두텁게 받아 김홍도가 정조의 어진(御瞋)을 제작하는 명예를 누리도록 해주었는데, 이것은 화원으로서 최고의 영광을 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5] 또한 강세황은 말년에 이르러 김홍도를 가리켜 "우리나라 금세(今世)의 신필(神筆)"[9]이라고 극찬하고 화제(畵題)를 써주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들의 관계가 매우 밀접했을 것이라 학자들은 짐작하고 있다[3]


전기생애

'영조의 어진을 그리다' 이처럼 강세황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한 김홍도는 20대에서부터 이미 화명(畵名)이 높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것은 대략 1773년(영조 49년)경에 29세의 나이로 영조 어진 및 왕세손 이산의 초상화 제작에 동참화사로 참여하여 그렸다고 생각되는 것인데, 이것은 화원으로서의 재능이 여간 인정받지 않고서는 하기 어렵고 그만큼 명예로운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무예도보통지》를 보면 정조의 말씀으로 "김홍도는 그림에 교묘한 자로 그 이름은 안지 오래이다. 30년 전 초상을 그렸는데 이로부터 무릇 회사(繪事)에 속한 일은 모두 홍도로써 주장하게 하였다." 고 하였으니 일찍이 화단에 자신의 이름을 날렸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정조와의 인연'

김홍도는 영조 말년에 세손(정조)의 초상화를 제작한 것을 계기로, 자신의 재능을 알아본 정조로부터 많은 배려와 관심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4] 김홍도와 정조와의 관계는 조희룡의 《호산외사》 속에 "정조 때에는 화원의 공봉(供奉)으로 관내에서 그림을 그려 올릴 때마다 매번 칭찬을 받고 곧 왕지(王旨)에 맞았다." 또는 "임금께서 금강산 사군(四郡)의 산수를 김홍도에게 그리라고 명하고 관용으로 조석(朝夕)을 받들게 하니, 이는 이수(異數)의 대접이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정조는 자신의 문집인 《홍재전서》에서 김홍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김홍도는 그림에 솜씨 있는 자로서 그 이름을 안 지가 오래다. 삼십 년쯤 전에 나의 초상을 그렸는데, 이로부터 무릇 그림에 관한 일은 모두 홍도를 시켜 주관케 하였다." [4]


후기생애


제목5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Person: 홍아무개 A hasSon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Book: ○○○ Person: 홍길동 A creator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안산시 문화관광
  3. 위키백과-김홍도
  4. 위키백과-김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