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화

North Korea Humanities

최민우(CB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22:34 판 (참고자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최민우(CBNU2024))이 작성했습니다.




한글명(한자명)
출처 :
 
한글명 김동화 한자명 金東華 영문명 가나명 이칭 뇌허(雷虛)
성별 남성 생년 1902년 몰년 1980년 출신지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면 서곡리 전공 불교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김동화(金東華, 1902~1980)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불교학자이며 호는 뇌허(雷虛)이다. 그는 동국대학교 교수와 불교문화연구소 소장을 거치면서 세계적인 불교학의 연구를 학계에 정착시켰으며 많은 후학들을 양성했다.[1] 동국대학교 외에도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불표전파에 힘쓴 불교학자이다.[2] 대표적인 저서로는 『불교학개론』과『삼국시대의 불교사상』,『선종사상사』등이 있다.[3]


생애


출생과 학생시절

김동하는 1902년 경상북도 상주에서 이학수의 아들로 태어났다.[4] 그리고 12세 때인 1913년에 상주동해사로 출가하여 본격적으로 불교를 접하게됐고, 1914년 상주남장사에서 사미계를 받았다.[5] 1916년에는 상주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에 상주남명학원에서 사집과를 수료했다.[6] 1928년 일본 릿쇼대학으로 유학을 가서 종교과를 졸업 후 경성실업전수학교의 교원이 되었다. [7]


일제강점기 시절

김동화는 릿쇼대학 졸업 후 귀국해서 잠시 경성실업전수학교 교원을 지냈다.[8] 이후 1930년 남장사에허 혜봉(慧峰)을 법사(法師)로 법맥을 이어받아 뇌허라는 법호를 받았다.[9] 그리고 다시 유학을 떠나 1932년 릿쇼 대학 종교과를 졸업하고, 불교교리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10] 그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당시 여러 대학들을 돌며 강연을 하면서 전쟁 지원을 독려하거나 돈을 모아 헌병대에 납부하는 등 친일행적을 보이기도 했다. [11]


광복 이후

1945년 일본의 항복 후 돌아와서 1947년에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학과장에, 1948년에는 부학장이 되었다.[12] 그리고 1951년에 학장으로 취임했는데 한국전쟁 중이라 부산에서 취임식을 가졌고, 1953년에는 동국대학교 대학원장이 되었다.[13] 1972년에는 연구자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고, 같은 해 학술원 공로상을 받고 대한민국학술원의 종신회원이 되었다.[14]






연구


김동화가 생각하는 불교

김동화는 한국불교가 조계종 단일 종파로 귀결된 것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15] 그는 한국 불교가 교종, 선종, 염불종 셋으로 분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불교 교설에 관해서는 교종으로 종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종합불교'를 주장했다.[16] 그는 한국의 불교가 조계종이라는 한 종파만의 불교인 것처럼 된 이유를 해방 후 몇몇 정상승들이 교권을 장악하기 위한 속셈에서 독자적으로 한국불교의 광대한 범위를 선종 가운데 일개 종파인 조계종에 국한 시켜놓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7]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학수 Person: 김동화 A hasSon B
Person: 김동화 Institution: 릿슈대학 A graduates B
Person: 김동화 Institution: 동국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김동화 Group: 대한민국학술원 A isMemberOf B
Book: 『불교학개론』 Person: 김동화 A creator B
Book: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Person: 김동화 A creator B
Book: 『선종사상사』 Person: 김동화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9. 김위석, "김동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11.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12.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13.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14. "김동화", 『위키백과』online.
  15. 한자경, "김동화가 본 한국불교의 정체성:일심의 회통", 『한국불교사연구』online,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08.
  16. 한자경, "김동화가 본 한국불교의 정체성:일심의 회통", 『한국불교사연구』online,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08.
  17. 한자경, "김동화가 본 한국불교의 정체성:일심의 회통", 『한국불교사연구』online,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