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동

North Korea Humanities

허준혁(PNU20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일 (일) 14:25 판 (시의 성향)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양주동(梁柱東)
양주동 시인.jpg
출처 : 조선일보
 
한글명 양주동 한자명 梁柱東 영문명 가나명 이칭 호:무애(無涯)
성별 생년 1903년 몰년 1977년 출신지 경기도 개성 전공 영어영문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양주동(梁柱東) : 1903-1977, 호는 무애(无涯). 시인, 국·영문학자, 동국대· 연대교수 역임, 신라 향가 등 한국 고가를 연구하여 초기 국어학계에 큰 업적을 남겼다.[1]


생애


어린시절 및 학력

아버지는 양원장(梁元章)이며 어머니는 강릉김씨(江陵金氏)이다.[2] 6세 때 아버지, 12세 때 어머니를 여의었다.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고향에 돌아가 5~6년간 한학에 몰두했다. 1920년 상경해 중동학교기관 고등속성과를 졸업한 후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기관 예과에 입학하면서 문학에 뜻을 두었다. 1923년 잠시 귀국하여 유엽·백기만·이장희 등과 함께 〈금성〉을 발간하고 본격적인 문학활동을 시작했다.[3]



대학 교육 이후

1918년에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영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평양 숭실전문학교(崇實專門學校)기관 교수로 부임하였다가 일제말 이 학교의 폐쇄로 그 자리를 물러나 1940년부터 경신학교(儆新學校)기관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가 광복을 맞았다. 광복 후에는 동국대학교기관 교수로 부임하여(1947), 중간에 수년간 연세대학교기관 교수로 옮겨 있었던 것(1958∼1961)을 빼고는 종신토록 동국대학교에 헌신하였다. 1957년 연세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54년부터 타계할 때까지 학술원 회원으로 있었다. 젊었을 때에는 영문학을 강의하면서 한편으로는 시인 및 문학이론가로서 문단에서의 활약이 화려하였으나, 향가 해독에 몰입하면서부터는 주로 고시가(古詩歌)의 주석에 전념하는 국학자로 전신하였다.[4]


성향

《금성(金星)》 동인으로 등장하여(1923) 민족주의적 성향의 시를 주로 썼다. 시집 《조선의 맥박(脈搏)》(1930)은 그의 대표작이기도 한데, 그의 시들이 가지는 성격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염상섭(廉想涉)과 함께 《문예공론(文藝公論)》(1919)을 발간하며 시작된 양주동의 평론은 문학사가들에 의하여 절충론이라고 불린다. 염상섭과 박영희(朴英熙) 사이의 문학논쟁을 이어받아 경향파(傾向派)의 기수였던 김기진(金基鎭)과의 사이에 폈던 논전은 특히 유명하다. [5]





연구


조선의 맥박

시집. 1930년 발간. 네 연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먼저 "조선(임)"과 "나"의 관계 해명에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나는 임의 모세관 그의 맥박이로다" "나는 임의 기관이요 그의 숨결이로다"로 표현된 소박한 은유는 사실 그의 표현기법만으로 따질 경우에는 "~이로다" 류의 구투적 감탄어법 때문에, 매우 성공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자극적인 표현 속에 담겨져 있는 민족과의 연결은, 어떤 이념적인 것이거나 정신적인 것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맥박"과 "숨결" 등 생명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라리 숙명적이고 근원적인 생명과의 연대성을 지닌 건전한 민족주의의 것이다. 그리고 또 1연에서 3연까지의 시간성의 변화와 전개가 제각기 다른 표상을 지니는 것도 이 작품의 특성이다. "한밤" "새벽" "이른 아침"으로의 시간적인 흐름에서 "맥박"을 짚어보는 진단자는 점차적으로 "힘없는 맥박"에서 "희망"으로, 다시 "활기"로 상황을 바꾸어 나가고 있는 것이다. 한밤에 불꺼진 재와 같은 냉기와 사멸에서 활기로 이끌어 가는 여기에서 민족의 기사회생(起死回生)의 갱생의 길을 신념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근거를 시인은 바로 유년 및 소년과 청년에 발견하고 있다. "아아 조선의 대동맥, 조선의 폐는 아기야/너에게만 있도다"[6]


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研究)

신라향가 해독 · 주석서. 1942년 발간. 이 책은 한국학자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방대한 향가연구저서로서 향가연구의 집대성이다. 일인학자 오쿠라(小倉進平)가 1929년에 《향가와 이두의 연구(鄕歌及び吏讀の研究)》를 낸 지 12년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최초의 해독가인 오쿠라교수의 연구보다 훨씬 보정의 진경을 보인 명저로 평가되고 있다. 《삼국유사》에 실린 14편과 《균여전(均如傳)》에 실린 11편 등 현존하는 25편의 신라향가를 해독 · 주석하고 있는 이 책의 특징은 15세기까지의 한국어의 문헌조사를 철저히 한 점, 또 인명 · 지명 · 관직명의 풀이를 새롭게 한 점, 시가를 시가답게 풀이한 점에 있다. 그리고 이 저서의 출간에 의해서 향가의 시가로서의 면모가 어느 정도 명료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뒤 향가의 어학적 연구의 진전은 물론, 이 책을 토대로 하거나 선행조건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향가의 문학적인 해석과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책의 학계에 대한 기여는 실로 큰 것이다. 그 뒤 이 책은 《고가연구(古歌研究)》란 표제로 증보 · 개정판이 이루어졌다.[7]


여요전주(麗謠箋注)

전기 《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研究)》의 속편으로 1946년에 발간한 것. 따라서 전자가 우리고전문학으로서의 신라향가에 대한 해독임에 비해서, 이 책은 그 향가의 중세적 계승이요 발전인 고려가요를 석주(釋注)한 것이다. 이의 학구적 태도와 방법은 거의 전적으로 어학적이고 고증적이다. 이 책은 크게 구분해서 3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이 서설로서, 여기에는 여대가요(麗代歌謠)의 일반(一斑)과 여요개관(麗謠槪觀)이 실려있고, 제2편에 해당하는 석주(釋注)에는 《정읍사(井邑詞)》 · 《동동(動動)》 · 《처용가(處容歌)》 · 《정과정(鄭瓜亭)》 · 《한림별곡(翰林別曲)》 · 《쌍화점(雙花店)》 · 《서경별곡(西京別曲)》 · 《청산별곡(青山別曲)》 · 《정석가(鄭石歌)》 · 《이상곡(履霜曲)》 · 《사모곡(思母曲)》 · 《가시리》 ·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 《도이장가(悼二將歌)》 · 《관동별곡(關東別曲)》 ·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모두 16편의 작품이 주석되어 있다. 그리고 3편에 해당하는 평설(評說)에는 특히 고려가요의 백미(白眉)를 이루는 《가시리》와 《서경별곡》의 문학적 가치가 평가되어 있다. 이 《여요전주》는 800내외의 어구(語句)를 주석하고 있으며, 어디까지나 그 주석이 문헌 고증에 의해 확정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주석에 주안을 두었으면서도 문학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많이 시사했다.[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5?brdType=R&thisPage=11&bbIdx=8599&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2.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5758
  3.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5a1180b
  4.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5.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6.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7.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8.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