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이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
(TripleData)
 
109번째 줄: 109번째 줄:
 
|-
 
|-
 
| Person: 홍이섭 || Group: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 A isMemberOf B
 
| Person: 홍이섭 || Group: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 A isMemberOf B
 +
|-
 +
| Book: 조선과학사 || Institution: 삼성출판사 || A publisher B
 
|-
 
|-
 
| Book: 조선과학사 || Institution: 정음사 || A publisher B
 
| Book: 조선과학사 || Institution: 정음사 || A publisher B

2024년 12월 2일 (월) 02:04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신수민(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홍이섭(洪以燮)
홍이섭.jpg
출처 : 퇴직교수 홍이섭online,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한글명 홍이섭 한자명 洪以燮 영문명 Hong Yi-sup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4년 몰년 1974년 출신지 서울 종로구 사직동 전공 문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학자, 역사학자. 홍이섭(1914~1974)은 해방 이후 한국 사학계의 대표적인 역사가로 역사학회단체 초대 회장과 학술원 회원을 역임하였다.[1] 한국 과학사의 체계를 처음으로 세운 뒤 민족사관을 바탕으로 한국 정신사를 개척하였고 실학과 서학을 중심으로 한 근세 사상사와 항일 독립운동사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2] 1953년 4월 연희대학교기관에 부임한 이후 사학과의 교수로서 후진양성에 힘쓰는 한편 국학 진흥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3] 그는 『조선과학사』서적,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서적 등 10여 권의 단행본과 6백여 편의 글을 남겼다.[4]


생애


출생과 사상의 형성배경

1914년 12월 6일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서 목사였던 홍병선(洪秉琁)인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5] 홍병선은 한국 기독교계의 지도적 인사였을 뿐 아니라 덴마크식의 농업입국을 도모하며 한국의 농촌부흥운동에 진력하였다.[6] 홍이섭이 지닌 학자적 자질과 성실함은 일찍이 다방면의 연구업적을 쌓았던 부친 홍병선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다.[7]


학창 시절

1928년 서울 축첨학교(지금의 금화초등학교)기관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보통학교에서 수업하였다.[8] 재학시절 홍이섭은 특히 한글학의 태두 이윤재(李允宰)인물 선생으로부터 '조선어'와 '조선문학' 과목을, 문일평(文一平)인물 선생으로부터 '동양사' 수업을 받으면서 한국사(韓國史)와 한국학(韓國學)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공부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9] 1933년 배재고등보통학교기관를 졸업한 뒤, 1938년 연희전문학교기관 문과를 졸업하고 서울기독교청년회학교기관에 부임하여 교육자로서의 첫발을 디뎠다.[10]


광복 이후

8·15 광복 이후 국학대학기관과 고려대학교기관 문과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고, 1953년부터 연희대학교 문과대학 교수가 되었다.[11] 그 뒤 사학과장·문과대학장·동방학연구소장·출판부장 등 교내 보직을 맡기도 하였다.[12] 1966년에는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를 논고로 하여, 연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13] 광복 이후 줄곧 교수직에 있으면서, 학계와 사회 각 분야의 학술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14]


활동사항

서울특별시 문화위원회 학술부위원, 해군본부 전사편찬실편수관, 역사학회회장, 고시위원회 보통고시위원,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위원,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단체 한국위원회위원, 국민사상연구원 전문위원회위원, 사법고등고시위원,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이사,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단체 이사, 민족문화협의회위원, 문화공보부 문화재보존위원회위원, 원호처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위원, 재단법인 외솔회 회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여 관공서나 사회 각계의 편집회·강연회·좌담회 및 언론매체를 통해 민족사학을 확대·보급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15] 그뿐만 아니라 영어와 불어로 논문과 저서를 발표해 일제 식민사가들이 왜곡·날조하여 국제사회에 소개한 한국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데 힘썼다.[16] 1967년에는 대한민국학술원기관 회원이 되었다.[17] 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한편으로 한국사 연구에 몰두,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냄으로써 한국사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18]





연구


연구 경향

홍이섭은 올바른 주체적 민족사관과 민족사학을 확립하기 위해 문헌고증사학보다 앞선 진보적인 역사인식 방법으로 일생 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주목할 만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19] 그의 한국사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대체로 1940년대 전반에 한국과학사, 해방 이후 1940년대 후반에 대외교섭사(對外交涉史), 1950년대에 실학사상과 기독교사, 그리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에는 한국 근·현대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20] 연구 경향에 나타난 특징으로는 현실 의식이 강렬하여 현재에서 가장 가까운 근·현대사를 실증을 통해 복원된 역사적 사실 등의 배후에 흐르는 그 시대의 지배적 사회의식 내지 정신을 구명하는 데 치중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21]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

1946년 역사학자 홍이섭이 한국의 과학을 시대순으로 개괄적으로 서술한 개론서.[22] 1944년 일본 동경(東京)에 있는 삼성출판사기관에서 일본어로 출판되었으며, 1946년 한글로 번역, 정음사기관에서 출판되었다.[23] 이 책은 한국의 과학기술 및 과학사상의 통사(通史)로 처음 나온 개척적 연구서이다.[24] 첫째 지표를 ‘일반과학사에서 본 조선과학의 역사적 발전의 변천 도정을 규시(窺視)’하는 데 두었고, ‘일반적인 생활사 · 과학 · 기술의 역사’라는 인식을 가지고 문헌과 함께 유물을 중요시하여 엮어내는 데 힘썼다.[25] 그래서 이 책에는 그때까지 알려진 사료와 고문헌, 그리고 여러 분야에서 빼낸 과학기술 관련자료와 연구업적을 거의 망라하고 있다.[26] 이 책이 지금까지도 그러하였고 앞으로도 한국과학사 연구의 중요한 결집으로서 살아 있게 될 까닭이 여기에 있다.[27]


『정약용(丁若鏞)의 정치·경제사상(政治經濟思想) 연구』

남한에서 최초로 출판된 정약용인물 연구 단행본.[28] 1953년부터 홍이섭은 한국근세사상의 이해에 유념하면서 다산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고 있었다.[29] 1954년에 비로소 신조선사본 《여유당전서》 완질을 얻었고, 이로써 다산학에 대한 연구에 본격적으로 매진할 수 있게 되었다.[30] 그리고 그 연구결과로 1959년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를 발표하였다.[31] 이는 남한에서 다산의 경세학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성과였다.[32] 그는 이 책이 「경세유표」와 「목민심서」의 형성과정과 그 이념을 가려 뽑아 놓은 것이라고 저술의 성격을 규정하며, 구체적으로는 “국가재정 확립과 농민경제의 안정책을 강구하는 데 있어 제도-기구의 법제사적 내지 현실적인 비판, 이에서 추출되는 개혁안과 방책을 거의 피상적으로 통관하였고, 농민경제 안정에 있어 권귀(權貴), 수령(守令), 이서(吏胥)의 협잡(挾雜), 또 사호(士豪)와 일반민(一般民)의 협잡(挾雜)을 배제하려고 분석비판함과 그것을 배제하기 위한 행정관리방안(行政管理方案)을 적출(摘出) 소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이해한 것이 이 책의 내용이라고 밝힌다.[3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이섭 Group: 역사학회 A isMemberOf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연희대학교 A worksAt B
Book: 조선과학사 Person: 홍이섭 A creator B
Book: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 Person: 홍이섭 A creator B
Person: 홍병선 Person: 홍이섭 A hasSon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서울 축첨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이섭 Person: 이윤재 A hasMaster B
Person: 홍이섭 Person: 문일평 A hasMaster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배재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연희전문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서울기독교청년회학교 A worksAt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국학대학 A worksAt B
Person: 홍이섭 Institution: 고려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이섭 Group: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A isMemberOf B
Person: 홍이섭 Group: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A isMemberOf B
Book: 조선과학사 Institution: 삼성출판사 A publisher B
Book: 조선과학사 Institution: 정음사 A publishe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29쪽.
원유한, 「민족 사학의 영원한 스승, 홍이섭」, 『다산과 현대』3,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0, 32쪽.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윤석호, 「홍이섭洪以燮의 다산학茶山學 연구 - 다산 경세학經世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산학』36, 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50쪽.
원유한, 「홍이섭」, 『한국사 시민강좌』34, 일조각, 2004, 20쪽.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종현, 「'茶山'의 초상과 남·북한의 '實學' 전유 : 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42,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47쪽.
홍이섭online, 두산백과 doopedia.







주석


  1.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0쪽.
  2.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0쪽.
  3.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0쪽.
  4.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0쪽.
  5. 원유한, 「민족 사학의 영원한 스승, 홍이섭」, 『다산과 현대』3,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0, 372쪽.
  6.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1쪽.
  7.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1쪽.
  8. 오영교, 「홍이섭의 역사학 1 홍이섭의 생애와 역사학 연구」, 『학림』36, 연세사학연구회, 2015, 62쪽.
  9. 원유한, 「민족 사학의 영원한 스승, 홍이섭」, 『다산과 현대』3,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0, 374쪽.
  10.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윤석호, 「홍이섭洪以燮의 다산학茶山學 연구 - 다산 경세학經世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산학』36, 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118쪽.
  14.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원유한, 「홍이섭」, 『한국사 시민강좌』34, 일조각, 2004, 190쪽.
  16. 원유한, 「홍이섭」, 『한국사 시민강좌』34, 일조각, 2004, 190쪽.
  17.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원유한, 「홍이섭」, 『한국사 시민강좌』34, 일조각, 2004, 180쪽.
  20. 원유한, 「민족 사학의 영원한 스승, 홍이섭」, 『다산과 현대』3,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0, 382쪽.
  21. 원유한, 「민족 사학의 영원한 스승, 홍이섭」, 『다산과 현대』3,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0, 382쪽.
  22.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3. 홍이섭 (洪以燮)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4.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5.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6.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조선과학사 (朝鮮科學史)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8. 정종현, 「'茶山'의 초상과 남·북한의 '實學' 전유 : 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42,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341쪽.
  29. 윤석호, 「홍이섭洪以燮의 다산학茶山學 연구 - 다산 경세학經世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산학』36, 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120쪽.
  30. 윤석호, 「홍이섭洪以燮의 다산학茶山學 연구 - 다산 경세학經世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다산학』36, 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120쪽.
  31. 홍이섭online, 두산백과 doopedia.
  32. 홍이섭online, 두산백과 doopedia.
  33. 정종현, 「'茶山'의 초상과 남·북한의 '實學' 전유 : 1950년대 최익한과 홍이섭의 정약용 연구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42,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3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