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초여진무역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본문2: 제목@)
(본문2-1: 제목@)
72번째 줄: 72번째 줄: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본문2-1: 제목@'''====
+
===='''본문2-1: 세조수'''====
 
----
 
----
 
{{Layout2-1
 
{{Layout2-1
|목차2-1원문1번= @
+
|목차2-1원문1번= {{TagSpage|3-4}}女眞人 來朝에 關한 規定을 살펴보면 經國大典<sup>卷三</sup> 禮典待使客條에는 「倭人到浦 邊將考書契·圖書·路引 依勢朝數上{{TagPage|4-1}}送」이라 한 註에
|목차2-1원문2번= @
+
|목차2-1원문2번= {{TagSpage|4-2}}<blockquote no="01">野人亦依歲朝數上送</blockquote>
|목차2-1원문3번= @
+
|목차2-1원문3번= {{TagSpage|4-3}}이라 하였을 뿐으로 그 內容을 記錄치 않었다. 그러나 世宗實錄<sup>卷一○一</sup> 二十七年 十一月 壬申條를 보면,
|목차2-1원문4번= @
+
|목차2-1원문4번= {{TagSpage|4-4}}<blockquote no="02">議政府 據禮曹啟 諸種野人 每年往來頻數 驛路凋弊 若禁其來朝 有乖撫之義 自今定每歲來朝之數 兀良哈十行 骨看及吾都里七行 每行酋長則正官一·伴人四 其餘則正官一·伴人二 以爲恒式 母使人每年上來 量其數踈數 待滿三年 輸番上送 且忽刺溫地壤隔絶 眞亐直介親朝者罕有之 女真人詐稱子弟姪 冒名來朝 以要賞賜 其所來朝 非出於誠 義當不納 然不可遽絕 一歲來朝 不過五行 其近居邊境林阿·亐未車·大小居節·南納(訥)·高說·高漆等諸種亏知介來朝者 一歲不過二行 正官·伴人之數如上其 餘眞女眞人 或詐稱亐知介來朝 都節制使拒以不納 若稱會長使送 受文引來者 都節制使厚慰 仍遺物遣還 若諸種一時上來 則驛路受弊 量其多少  必待農隙 分運上送 從之</blockquote>
|목차2-1원문5번= @
+
|목차2-1원문5번= {{TagSpage|4-5}}라 하야 女眞人 歲朝에 關한 比較的 詳細한 記事가 있다. 世祖 十年 十月 咸吉道 都節制使 康純의 啓本에도 {{TagRef|1}}「臣考禮曹受敎 野人等一時出 來則必貽驛路之弊 不聽入朝 則乖撫綏之義 宜定數遺詣京師 每一年 兀良哈十行 骨看七 斡朵里七 火刺溫五 會長則正官一·兼從四 其餘正官一·兼從二 云云」<ref>世祖實錄 卷三十四, 十年十月己酉.</ref>이란 것을 보면, 위에 말한 經國大典에 「野人亦依歲朝數上送」이라 함은 이러한 規定을 가리킨 것에 틀림없다. 그러면 이 記事 內容을 檢討하기 前에 이 같은 規定이 成立되기까지의 過程을 考察할 必要가 있다.
 +
|목차2-1원문6번= {{TagSpage|4-6}}麗末에 있어 朝鮮 太祖 李成桂와 女眞과의 關係가 얼마나 緊密하였던가는 太祖實錄<sup>卷八</sup>四年 十二月 癸卯條에
 +
|목차2-1원문7번= {{TagSpage|5-1}}<blockquote no="03">東北一道 本肇之地 畏威懷德久矣 野人酋長 {{TagRef|2}}遠至移蘭豆漫<ref>移蘭豆漫은 龍飛御天歌 卷七, 第五十三章 註에 「斡朶里·兒阿홀아·托溫타온三城 其俗謂之移蘭豆漫 猶三萬戶也 蓋以萬戶三人分領其地 故名之 自慶源府西北 行一月而至라 하였으니, 三萬戶의 位置를 滿洲 三姓 附近에 比定할 것은 일즉 日本 箭內亘이 滿洲歷史地理(第二 卷四 一二頁)에 論證한 바와 같다.</ref> 皆來服事 常佩弓劒 入衛潜邸 昵待左右 東征西伐 靡不從焉</blockquote>
 +
|목차2-1원문8번= {{TagSpage|5-2}}이라 한 一節을 보아도 짐작할 수 있지만, 開國功臣 青海 伯李之蘭 같은 이는 本名을 豆蘭帖木兒이라는 女眞酋長의 一人이었던 것은 다 같이 아는 바로, 太祖가 그 即位 前後에 南으로 倭寇를 물러치고 北으로 國疆을 넓임에 있어 그들을 厚待 利用한 것은 事實이다. 그러나 안으로 국초가 確立하고 行政組織이 整備되야 國庫의 費用이 限定되며, 밖으로 事大 交隣의 關係가 漸次 平和狀態에 도라감에 따라, 從來 物質的 優待를 目標로 한 對野人策은 早晚間 改良될 수밖에는 없었다. 따라서 南으로 日本 使客의 上京을 制限하는 同時에, 北으로 女眞人의 來朝를 限定함은 自然的 趨勢이다. 더구나 倭人, 野人의 朝鮮 境內에 來往하는 費用은 明使의 그것과 같이 一切 朝鮮이 負擔하는 바로, 萬一 野人의 上京路인 咸鏡道나 江原道가 凶年을 맛났을 때 그 來朝를 制限함은 勿論 必要한 일이다. 그럼으로 世宗 五年 九月에는 禮曹가 啓하야
 +
|목차2-1원문9번= {{TagSpage|5-3}}<blockquote no="04">咸吉·江原 近年失農 驛路凋弊 兀良哈·兀狄哈等朝京往返 未能支當 其弊莫甚 自今野人欲朝京者 今邊將母輕上送 厚待送還 如有不得己而朝京者 只送會長 以除驛路之弊</blockquote>
 +
|목차2-1원문10번= {{TagSpage|5-4}}라 하였으므로 {{TagRef|3}}王도 이에 따라 野人의 上京을 될 수 있는 대로 制限하고, 不得已한 境遇에는 다만 그 酋長만을 上送하게 하는 方針을 取하게 되었다.<ref>世宗實錄 卷二十一, 五年 九月 壬寅.</ref> 그 後 或은 {{TagRef|4}}明朝의 指揮(朝鮮  正四品 待遇)<ref>同書 卷五十一, 十三年 正月 乙酉.</ref> 以上의 官職을 가진 女眞人의 上京은 制限치 않으나, 그 外는 每年 上京 百人을 넘지 않게 하며, 或은 그中 頭目가는 者만 選擇하여 每年 上京 四五十人에 지나지 않게 하며, 或은 酋長의 親來라도 그 隨從者는 二三人에 不過하게 하고, 萬酋의 {{TagRef|5}}書契<ref>書契는 酋長의 證明을 兼한 遣使紹介狀이니, 여기에 使用하는 酋長의 印信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었다. 하나는 朝鮮이 所賜한 것이며, 또 하나는 明朝의 衛指揮使印이다. 이 두 印信은 어떤 것이나 通用된 것 같다. 朝鮮의 印信을 最初로 받은 酋長은 太宗 五年 二月 斡朶里의 童猛哥帖木兒이니, 太宗實錄 卷九, 五年 二月 己丑條 에 「遣議政府知印金尙琦于東北面 賜童猛哥帖木兒慶源等處管軍萬戶印信一顆…」란 것이 그것이다. 그 後 世宗 二十五年 正月에는 斡朶里童所老加茂(童速魯帖木兒)에게 酋長印信을 주게 한 것이 世宗實錄卷十九, 二十五年 正月 己亥條에 보이나, 其外 酋長에게 印信을 준 記事는 보이지 않는다. 생각하건대 그 餘의 酋長은 明朝所賜의 衛印을 使用하였겠지만, 如何間 酋長의 證明의 없는 女眞人의 來朝는 接待하지 않는 方針을 取하였다.</ref>를 가진 者면 다만 그 사람만 上送하고, {{TagRef|6}}其餘는 咸吉道 都節制使가 權宜開諭하여 厚待送還케 한 적도 있으나, 어떤 것이나 다 如意치 못하였다.<ref>世宗實錄 卷三十六, 九年 四月 丙子. 同書 卷六十三, 十六年 正月 庚寅. 同書 卷八 十七, 二十一年 十月 己丑.</ref>如何튼 그들은 {{TagPage|6-1}}賞賜를 바라고 上京肅拜를 願하였지만은 朝鮮서는 그 支持에 弊害가 많었음으로 可及的 制限을 加할랴고 한 것만은 事實이니 前揭 世宗 二十七年 十一月의 議政府啓는 이러한 目的에서 나온 것이다. 이제 그 要點을 列擧하면 다음과 같다.
 +
|목차2-1원문11번= {{TagSpage|6-2}}{{TagRef|7}}一, 每歲來朝數</br>兀良哈(五郞哈)  十行
 +
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吾都里(斡朶里)  七行</br>忽刺溫亐眞介(火刺溫兀狄哈)  五行</br>林阿車(尼麻車)·亐未車(兀未車)·大小居節·南訥(南突)·高說·高漆等亐知介(亐直介, 兀狄哈) 二行<ref>當時 兀良哈(吾郎哈 오랑캐 明毛憐衛) 吾都里(斡朶里 오도리) 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 콜칸우디거 明喜樂溫衛) 等 朝鮮과 關係 깊은 諸部落의 分布狀態를 앎에는, 端宗實錄 卷十三, 三年 三月 己巳條에 揭載된 咸吉道都體察使 李思哲啓本과, 旗田巍紹介論文 「吾都里族의 部落構成」(歷史學硏究 第二號)를 參照할 것이다.</ref></br>{{TagRef|8}}其餘 野人은 接待치 않으나 但 酋長 使送으로 文引있는 者는 都節制使가 그 土物을 받고 厚慰遣還식힐 것<ref>婆猪江(佟佳江) 方面에 있는 李滿住의 建州衛는 兀良哈族에, 童山의 建州는 左衛와 凡察의 建州右衛 吾都里族에 算入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確實하지 않다.</ref>
 +
|목차2-1원문12번= {{TagSpage|6-3}}一, 隨從者</br>酋長 正官 一名, 伴人四名</br>其餘 正官 一名, 伴人二名</br>一, 同 一人은 每年 上京을 不許하고 滿 三年 만에 輪番上送할 것</br>一, 諸種 野人 一時에 上送치 말고 農隙을 기다려 分運할 것
 +
|목차2-1원문13번= {{TagSpage|6-4}}{{TagRef|9}}이 規定은 勿論 例外도 많었으나 成宗까지 大體로 遵守되었다.<ref>成宗實錄 卷四十七, 五年 九月 己卯條에 「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遣評事朴孟智問安…朴孟智啟曰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 沿路官站 不勝其弊 今分運一年母過十二 一運無過六七人 八月始上送甚便易 然遠地野人等 八九月間 方秋收田獵 無暇出來 至十月後 一時至 若取禀後 許令上京 則有違分運除弊之意 請遠地野人隨其來朝 與城底野人和會 依前分運上送 命議于院相 鄭麟趾議 依所啓施行 鄭昌孫·申叔舟·韓明澮·洪允成·曹錫文·尹子雲議 前者運數不定 不可歲終一時沓至 故酌定運數 八月爲始 跦運上送 而今年自八月之初 陸續入朝 有違立法分運之意 請今後自八月晦時秋收已畢後始上送 每一月 母過二三運 以除一路館待之弊 上從昌孫等議」이라 하고, 同書 卷四十八, 五年 十月 己丑條에는 「諭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曰 前者諭卿 以預定野人運數 八月爲始上送者 慮其冬月沓至 道路轉送 館穀至待有弊耳 然八月之初收穫末畢 轉送之弊亦不背 自今待秋收 每朔無過二三運上送」이라 하였다. 朴孟智가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云云」이라 한 것은 認識不足이라 할지나, 成宗 五年 九月에는 野人歲朝에 關한 規定이 多少 變更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後에도 數次 變動이 있으니, 攷事撮要 卷下, 接待野人事例에 「豐年 會寧四運 鍾城四運 穩城三運 慶源三運 慶興三運 以上共一百二十八 凶年 會寧三運 鍾城三運 穩城二運 慶源二運 慶興二運 以上共九十八云云」이란 規定은, 中宗 初年으로부터 淸朝의 興起를 契機로 女眞人 接待가 弊止되기 直前까지 施行하였다.</ref> 여기에 依하면 가장 많은 兀良哈 十行은 一行 平均 五人으로 假定하드라도 不過 五十人이니,  {{TagRef|10}}이것을 그들의 明國에 入朝하는 人員 建州衛·建州左衛·建州右衛·毛憐衛 等 每年 每衛 一百人<ref>大明會典卷九十九, 禮部朝貢海西女眞條.</ref>에 比하면, 一衛 人員의 約 半數에 不過하니 그 規模의 大略을 推察할 수도 있다.
  
|목차2-1해독문1번= @
+
|목차2-1해독문1번= 여진인 내조(來朝)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면 {{TagBook|[[경국대전]]}}<sup>권3</sup> 예전 대사객조에는 <cite no="01">“倭人到浦 邊將考書契·圖書·路引 依勢朝數上送”</cite>이라 한 주에
|목차2-1해독문2번= @
+
|목차2-1해독문2번= <blockquote no="01">野人亦依歲朝數上送</blockquote>
|목차2-1해독문3번= @
+
|목차2-1해독문3번= 이라 하였을 뿐으로 그 내용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러나 {{TagBook|[[세종실록]]}}<sup>권101</sup> 27년 11월 임신조를 보면,
|목차2-1해독문4번= @
+
|목차2-1해독문4번= <blockquote no="02">議政府 據禮曹啟 諸種野人 每年往來頻數 驛路凋弊 若禁其來朝 有乖撫之義 自今定每歲來朝之數 兀良哈十行 骨看及吾都里七行 每行酋長則正官一·伴人四 其餘則正官一·伴人二 以爲恒式 母使人每年上來 量其數踈數 待滿三年 輸番上送 且忽刺溫地壤隔絶 眞亐直介親朝者罕有之 女真人詐稱子弟姪 冒名來朝 以要賞賜 其所來朝 非出於誠 義當不納 然不可遽絕 一歲來朝 不過五行 其近居邊境林阿·亐未車·大小居節·南納(訥)·高說·高漆等諸種亏知介來朝者 一歲不過二行 正官·伴人之數如上其 餘眞女眞人 或詐稱亐知介來朝 都節制使拒以不納 若稱會長使送 受文引來者 都節制使厚慰 仍遺物遣還 若諸種一時上來 則驛路受弊 量其多少  必待農隙 分運上送 從之</blockquote>
|목차2-1해독문5번= @
+
|목차2-1해독문5번= 라 하여 여진인 세조에 관한 비교적 상세한 기사가 있다. {{TagPerson|[[세조]]}} 10년 10월 함길도 도절제사 {{TagPerson|[[강순]]}}의 계본에도 {{TagRef|1}}<cite no="02">“臣考禮曹受敎 野人等一時出 來則必貽驛路之弊 不聽入朝 則乖撫綏之義 宜定數遺詣京師 每一年 兀良哈十行 骨看七 斡朵里七 火刺溫五 會長則正官一·兼從四 其餘正官一·兼從二 云云”</cite><ref>{{TagBook|[[세조실록]]}} 권34, 10년 10월 기유.</ref>이란 것을 보면, 위에 말한 {{TagBook|[[경국대전]]}}에 <cite no="03">“野人亦依歲朝數上送”</cite>이라 함은 이러한 규정을 가리킨 것에 틀림없다. 그러면 이 기사 내용을 검토하기 전에 이 같은 규정이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
|목차2-1해독문6번= 고려 말에 있어 조선 태조 {{TagPerson|[[이성계]]}}와 여진과의 관계가 얼마나 긴밀하였던가는 {{TagBook|[[태조실록]]}}<sup>권8</sup>4년 12월 계묘조에
 +
|목차2-1해독문7번= <blockquote no="03">東北一道 本肇之地 畏威懷德久矣 野人酋長 {{TagRef|2}}遠至移蘭豆漫<ref>{{TagPerson|[[이란두만]]}}(移蘭豆漫)은 {{TagBook|[[용비어천가]]}} 권7, 제53장 주에 “斡朶里·兒阿홀아·托溫타온三城 其俗謂之移蘭豆漫 猶三萬戶也 蓋以萬戶三人分領其地 故名之 自慶源府西北 行一月而至”라 하였으니, 삼만호의 위치를 만주 삼성 부근에 비정할 것은 일직 일본 {{TagPerson|[[전내긍]]}}(箭內亘)이 {{TagJournal|[[만주역사지리]]}}({{TagVolume|[[만주역사지리 2-4|제2 권4]]}} 12쪽)에 논증한 바와 같다.</ref> 皆來服事 常佩弓劒 入衛潜邸 昵待左右 東征西伐 靡不從焉</blockquote>
 +
|목차2-1해독문8번= 이라 한 일절을 보아도 짐작할 수 있지만, 개국공신 청해백 {{TagPerson|[[이지란]]}}(李之蘭) 같은 이는 본명을 두란첩목아(豆蘭帖木兒)라는 여진 추장의 한 사람이었던 것은 다 같이 아는 바로, {{TagPerson|[[이성계|태조]]}}가 그 즉위 전후에 남으로 왜구를 물리치고 북으로 국강(國疆)을 넓힘에 있어 그들을 후대 이용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안으로 국초가 확립하고 행정조직이 정비되어 국고의 비용이 한정되며, 밖으로 사대 교린의 관계가 점차 평화 상태에 돌아감에 따라, 종래 물질적 우대를 목표로 한 대야인책은 조만간 개량될 수밖에는 없었다. 따라서 남으로 일본 사객의 상경을 제한하는 동시에, 북으로 여진인의 내조를 한정함은 자연적 추세이다. 더구나 왜인, 야인의 조선 경내에 내왕하는 비용은 명사의 그것과 같이 일절 조선이 부담하는 바로, 만일 야인의 상경로인 함경도나 강원도가 흉년을 만났을 때 그 내조를 제한함은 물론 필요한 일이다. 그럼으로 {{TagPerson|[[세종]]}} 5년 9월에는 예조가 계하여
 +
|목차2-1해독문9번= <blockquote no="04">咸吉·江原 近年失農 驛路凋弊 兀良哈·兀狄哈等朝京往返 未能支當 其弊莫甚 自今野人欲朝京者 今邊將母輕上送 厚待送還 如有不得己而朝京者 只送會長 以除驛路之弊</blockquote>
 +
|목차2-1해독문10번= 라 하였으므로 {{TagRef|3}}왕도 이에 따라 야인의 상경을 될 수 있는 대로 제한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다만 그 추장만을 상송(上送)하게 하는 방침을 취하게 되었다.<ref>{{TagBook|[[세종실록]]}} 권21, 5년 9월 임인.</ref> 그 후 혹은 {{TagRef|4}}명조의 지휘(조선 정4품 대우)<ref>{{TagBook|[[세종실록|같은 책]]}} 권51, 13년 정월 을유.</ref> 이상의 관직을 가진 여진인의 상경은 제한치 않으나, 그 외는 매년 상경 100인을 넘지 않게 하며, 혹은 그중 두목 가는 자만 선택하여 매년 상경 4, 50인에 지나지 않게 하며, 혹은 추장의 친래라도 그 수종자(隨從者)는 2, 3인에 불과하게 하고, 만추(萬酋)의 {{TagRef|5}}서계<ref>서계는 추장의 증명을 겸한 견사(遣使) 소개장이니, 여기에 사용하는 추장의 인신(印信)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조선이 소사(所賜)한 것이며, 또 하나는 명조의 위지휘사인(衛指揮使印)이다. 이 두 인신은 어떤 것이나 통용된 것 같다. 조선의 인신을 최초로 받은 추장은 {{TagPerson|[[태종]]}} 5년 2월 알타리의 {{TagPerson|[[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이니, {{TagBook|[[태종실록]]}} 권9, 5년 2월 기축조에 “遣議政府知印金尙琦于東北面 賜童猛哥帖木兒慶源等處管軍萬戶印信一顆…”란 것이 그것이다. 그 후 {{TagPerson|[[세종]]}} 25년 정월에는 알타리 {{TagPerson|[[동소로가무]]}}(童所老加茂)(동속로첩목아(童速魯帖木兒))에게 추장 인신을 주게 한 것이 {{TagBook|[[세종실록]]}} 권19, 25년 정월 기해조에 보이나, 그 외 추장에게 인신을 준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생각하건대 그 나머지 추장은 명조 소사의 위인을 사용하였겠지만, 여하간 추장의 증명이 없는 여진인의 내조는 접대하지 않는 방침을 취하였다.</ref>를 가진 자면 다만 그 사람만 상송하고, {{TagRef|6}}그 나머지는 함길도 도절제사가 권의, 개유하여 후대 송환케 한 적도 있으나, 어떤 것이나 다 여의치 못하였다.<ref>{{TagBook|[[세종실록]]}} 권36, 9년 4월 병자. {{TagBook|[[세종실록|같은 책]]}} 권63, 16년 정월 경인. {{TagBook|[[세종실록|같은 책]]}} 권8 17, 21년 10월 기축.</ref>여하튼 그들은 상사(賞賜)를 바라고 상경숙배를 원하였지만은 조선서는 그 지지에 폐해가 많았으므로 가급적 제한을 가하려고 한 것만은 사실이니 앞서 언급한 {{TagPerson|[[세종]]}} 27년 11월의 의정부계는 이러한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이제 그 요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목차2-1해독문11번= {{TagRef|7}}一, 每歲來朝數</br>兀良哈(五郞哈)  十行</br>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吾都里(斡朶里)  七行</br>忽刺溫亐眞介(火刺溫兀狄哈)  五行</br>林阿車(尼麻車)·亐未車(兀未車)·大小居節·南訥(南突)·高說·高漆等亐知介(亐直介, 兀狄哈) 二行<ref>당시 올량합(오량합 오랑캐, 명 모련위), 오도리(알타리 오도리), 골간직개(활아간올적합 콜칸우디거 명 희락온위) 등 조선과 관계 깊은 부락의 분포 상태를 앎에는, {{TagBook|[[단종실록]]}} 권13, 3년 3월 기사조에 게재된 함길도 도체찰사 {{TagPerson|[[이사철]]}}(李思哲) 계본과, {{TagPerson|[[기전외]]}}(旗田巍) 소개 논문 「{{TagArticle|[[오도리족의 부락구성]]}}」({{TagJournal|[[역사학연구]]}} {{TagVolume|[[역사학연구 2|제2호]]}})를 참조할 것이다.</ref></br>{{TagRef|8}}그 외 야인은 접대치 않으나 단 추장 사송(使送)으로 문인(文引)있는 자는 도절제사가 그 토물을 받고 후위견환(厚慰遣還)시킬 것<ref>파저강(동가강) 방면에 있는 {{TagPerson|[[이만주]]}}(李滿住)의 건주위는 올량합족에, 동산의 건주는 좌위와 범찰의 건주우위 오도리족에 산입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확실하지 않다.</ref>
 +
|목차2-1해독문12번= 1. 수종자</br>추장 정관 1명, 반인(伴人) 4명</br>그 외 정관 1명, 반인 2명</br>1. 동 1인은 매년 상경을 불허하고 만 3년 만에 윤번 상송할 것</br>1. 제종 야인 일시에 상송치 말고 농사의 여가를 기다려 분운(分運)할 것
 +
|목차2-1해독문13번= {{TagRef|9}}이 규정은 물론 예외도 많았으나 {{TagPerson|[[성종]]}}까지 대체로 준수되었다.<ref>{{TagBook|[[성종실록]]}} 권47, 5년 9월 기묘조에 “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遣評事朴孟智問安…朴孟智啟曰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 沿路官站 不勝其弊 今分運一年母過十二 一運無過六七人 八月始上送甚便易 然遠地野人等 八九月間 方秋收田獵 無暇出來 至十月後 一時至 若取禀後 許令上京 則有違分運除弊之意 請遠地野人隨其來朝 與城底野人和會 依前分運上送 命議于院相 鄭麟趾議 依所啓施行 鄭昌孫·申叔舟·韓明澮·洪允成·曹錫文·尹子雲議 前者運數不定 不可歲終一時沓至 故酌定運數 八月爲始 跦運上送 而今年自八月之初 陸續入朝 有違立法分運之意 請今後自八月晦時秋收已畢後始上送 每一月 母過二三運 以除一路館待之弊 上從昌孫等議”이라 하고, {{TagBook|[[성종실록|같은 책]]}} 권48, 5년 10월 기축조에는 “諭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曰 前者諭卿 以預定野人運數 八月爲始上送者 慮其冬月沓至 道路轉送 館穀至待有弊耳 然八月之初收穫末畢 轉送之弊亦不背 自今待秋收 每朔無過二三運上送”이라 하였다. {{TagPerson|[[박맹지]]}}(朴孟智)가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云云”이라 한 것은 인식 부족이라 할지나, {{TagPerson|[[성종]]}} 5년 9월에는 야인 세조에 관한 규정이 다소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에도 수차 변동이 있으니, {{TagBook|[[고사촬요]]}} 권하, 접대야인사례에 “豐年 會寧四運 鍾城四運 穩城三運 慶源三運 慶興三運 以上共一百二十八 凶年 會寧三運 鍾城三運 穩城二運 慶源二運 慶興二運 以上共九十八云云”이란 규정은, {{TagPerson|[[중종]]}} 초년으로부터 청조의 흥기를 계기로 여진인 접대가 폐지되기 직전까지 시행하였다.</ref> 여기에 의하면 가장 많은 올량합 10행은 일행 평균 5인으로 가정하드라도 불과 50인이니,  {{TagRef|10}}이것을 그들의 명국에 입조하는 인원 건주위·건주좌위·건주우위·모련위 등 매년 매위 100인<ref>{{TagBook|[[대명회전]]}} 권99, 예부 조공 해서 여진조.</ref>에 비하면, 1위 인원의 약 반수에 불과하니 그 규모의 대략을 추찰할 수도 있다.
 
}}
 
}}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2024년 11월 10일 (일) 14:52 판

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XML 문서 다운받기

선초여진무역고
Icon article.png
출처 :
 
원제목 朝初女眞貿易考 학술지 진단학보 수록권호 진단학보 8 발행기관 진단학회
저자 이인영 역자 집필일자 게재연월 1937년 11월
시작쪽 001쪽 종료쪽 030쪽 전체쪽 030쪽 연재여부 단독 범주 논문 분야 역사학



항목

차례


해제 목차 본문 데이터 주석




해제


내용을 입력합니다.@




목차







본문


본문1: 서언


무릇 국가의 새 영토 획득에는 군사상, 경제상 두 방면의 의미가 포함될 것이니, 군사상으로는 그 지방의 방어를 견고히 하여 국방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며, 경제상으로는 그 토지를 경작하고 천산물을 채취함으로써 국가의 부력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씨 조선은 세종대왕인물 말년에 이르러 필경 함경도에 육진(경흥·경원·온성·종성·회령·부령)과 평안도에 사군(여연·무창·우예·자성)을 두어, 압록·두만 양강의 자연적 경계에까지 국토를 확장하고, 곧 그 혜택을 향유하였다. 그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동북면(함경도) 각지의 채금일 것이나, 그 원주민인 여진족―조선서는 보통 야인이라고 불렀다―의 초무(招撫)에는 적지 않는 고심이 있었던 것이다.
쪽수▶P1-1무릇 國家의 新領土 獲得에는 軍事上 經濟上 두 方面의 意味가 包含될 것이니, 軍事上으로는 그 地方의 防禦를 堅固히 하야 國防의 安全을 圖謀하는 것이며, 經濟上으로는 그 土地를 耕作하고 天産物을 採取함으로써 國家의 富力을 增進▶P2-1하는 것이다. 李氏 朝鮮은 世宗大王 末年에 이르러 畢竟 咸鏡道에 六鎭(慶興·慶源·穩城·鍾城·會寧·富寧)과 平安道에 四郡(閭延·茂昌·虞芮·慈城)을 두어, 鴨綠·豆滿 兩江의 自然的 境界에까지 國土를 擴張하고, 곧 그 惠澤을 享有하였다. 그中 特히 注目할 만한 것은 東北面(咸鏡道) 各地의 採金일 것이나, 그 原住民인 女眞族―朝鮮서는 普通 野人이라고 불렀다―의 招撫에는 적지 않는 苦心이 있었던 것이다.
조선서는 그들에 대한 회유책으로, 한편으로는 그 유력자의 향화 재경시위(在京侍衛)를 장려하여 의복·안마(鞍馬)·가사(家舍)·노비·양료(粮料)를 사여(賜與)하고 취처(娶妻)케 하며, 또 한편으로는 두만강 내외와 압록강 외에 거주하는 추장에게 혹은 도만호·만호·부만호·천호·백호, 혹은 중추원 지사(정2품) 이하 호군·사직·사정 등 조선의 관직에 임명하여, 거기에 상당한 대우를 받게 하며, 예에 의하여 봉록을 내리기도 하였다. 그것은 마치 명조가 만주 각처에 위소(衛所)를 설치하여, 그들을 그 도독·도지휘·천호·백호 등에 임명하여 그 지위에 따라 조공의 대우와 권리를 차별케 한 것과 다름이 없다. 여진인의 조선에 대한 조공은 이것을 진상숙배라는 명목으로 불러왔지만, 진상숙배는 명국에 대한 조공과 전혀 그 성질을 같이하는 것으로, 그것은 곧 여진인의 이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진상숙배는 그들의 원하는 바이며, 또한 조선으로서는 그들을 물질적으로 회유하는 평화적 방식이다. 그렇지만 1년에 몇 회라는 규정이 있는 진상숙배만으로는 그들의 경제적 욕망을 전면적으로 만족시킬 수 없었으므로, 당시 명국이 여진인을 위하여 요동에 마시(馬市)를 세웠던 것과 같이, 조선도 역시 경성과 경원에 무역소를 두어 물자 교환의 편의를 돕게 하였다.
쪽수▶P2-2朝鮮서는 그들에 對한 懷柔策으로, 한편으로는 그 有力者의 向化 在京侍衛를 獎勵하야 衣服·鞍馬·家舍·奴婢·粮料를 賜與하고 娶妻케 하며, 또 한편으로는 豆滿江 內外와 鴨綠江 外에 居住하는 酋長에게 或은 都萬戶·萬戶·副萬戶·千戶·百戶, 或은 中樞院 知事(正二品) 以下 護軍·司直·司正 等 朝鮮의 官職에 任命하야, 거기에 相當한 待遇를 받게 하며, 例에 依하야 俸祿을 내리기도 하였다. 그것은 마치 明朝가 滿洲 各處에 衛所를 設置하야, 그들을 그 都督·都指揮·千戶·百戶 等에 任命하야 그 地位에 따라 朝貢의 待遇와 權利를 差別케 한 것과 다름이 없다. 女眞人의 朝鮮에 對한 朝貢은 이것을 進上肅拜라는 名目으로 불러왔지만, 進上肅拜는 明國에 對한 朝貢과 全혀 그 性質을 같이하는 것으로, 그것은 곧 女眞人의 利得을 意味한다. 그럼으로 進上肅拜는 그들의 願하는 바이며, 또한 朝鮮으로서는 그들을 物質的으로 懷柔하는 平和的 方式이다. 그러치만은 一年에 몇 回라는 規定이 있는 進上肅拜만으로는 그들의 經濟 的 欲望을 全面的으로 滿足시킬 수 없었음으로, 當時 明國이 女眞 人을 爲하야 遼東에 馬市를 세웠던 것과 같이, 朝鮮도 역시 鏡城과 慶源에 貿易所를 두어 物資交換의 便宜를 돕게 하였다.
여기에 이른바 선초는 태조 이성계인물의 즉위(명 홍무 25년 1392 A.D.)로부터 경국대전서적이 반포된 성종인물 초년(명 성화 6년 1470 A.D.)에 이르는 약 80년간을 가르침이니, 그간에 있어 동서 양북면의 개척은 훈민정음의 제정과 아울러 이씨 조선 500년을 통하여 가장 광휘 있는 위업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한 대사업이 성취된 것은 때가 마침 대원제국이 이미 쇠미하고 명조의 신세력이 아직 요동 방면에 확립치 못하였다는 시대적 배경을 무시할 수는 없으나, 태조인물 그가 동북면 출신이었음에도 또한 중대한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또 한번 돌이켜 이것을 우리 조선사회의 내부적 문제로서 관찰할 때, 그것은 실로 고려 건국 이래로 배양되어 온 북방 발전에 대한 욕구의 결실이며 연장이라고 믿는다.
쪽수▶P2-3여기에 이른바 鮮初는 太祖 李成桂의 卽位(明 洪武二十五年 1392 A.D.)로부터 經國大典이 頒布된 成宗 初年(明成化六年 1470 A.D.)에 이르는 約 八十年間을 가르침이니, 그間에 있어 東西 兩北面의 開拓은 訓民正音의 制定과 아울러 ▶P3-1李氏 朝鮮 五百年을 通하야 가장 光輝 있는 偉業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한 大事業이 成就된 것은 때가 마침 大元帝國이 임이 衰微하고 明朝의 新勢力이 아직 遼東 方面에 確立치 못하였다는 時代的 背景을 無視할 수는 없으나, 太祖 그가 東北面 出身이었음에도 또한 重大한 要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또 한번 도리켜 이것을 우리 朝鮮社會의 內部的 問題로서 觀察할 때, 그것은 實로 高麗建國 以來로 培養되어온 北方 發展에 對한 欲求의 結實이며 延長이라고 믿는다.
이제 여진과의 평화적 관계를 규약한 진상숙배의 본질을 밝히고, 경성과 경원의 무역소 설치의 유래를 고찰하며, 피아 교역품의 대략을 설명코자 함은, 종래 이 방면에 관한 선각의 논고가 없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고래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 우리 조선과 여진인과의 교섭이, 주로 경제적 관계에 입각하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명백히 하려 함에 있다.
쪽수▶P3-2이제 女眞과의 平和的 關係를 規約한 進上肅拜의 本質을 밝히고, 鏡城과 慶源의 貿易所 設置의 由來를 考察하며, 彼我 交易品의 大略을 說明코저 함은, 從來 이 方面에 關한 先覺의 論攷가 없었다는 것뿐만 아니라, 古來로 密接한 關係를 가진 우리 朝鮮과 女眞人과의 交涉이, 主로 經濟的 關係에 立脚하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明白히 하려 함에 있다.



































본문2: 진상숙배의 본질


여진인이 명조의 새서(璽書)를 받고, 또다시 조선의 직첩(職帖)을 겸수(兼受)하여 양속적 태도를 취한 것은, 이것을 경제적으로 관찰할 때 곧 그들의 경제생활을 풍부히 하려는 것이니, 진상숙배의 본질이 명국에 대한 조공과 같이 그들의 상경 무역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먼저 지적하고자 한다.
쪽수▶P3-3女眞人이 明朝의 璽書를 받고, 또다시 朝鮮의 職帖을 兼受하여 兩屬的 態度를 取한 것은, 이것을 經濟的으로 觀察할 때 곧 그들의 經濟生活을 豐富히 하려는 것이니, 進上肅拜의 本質이 明國에 對한 朝貢과 같이 그들의 上京貿易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먼저 指摘하고저 한다.







































본문2-1: 세조수


여진인 내조(來朝)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면 경국대전서적권3 예전 대사객조에는 “倭人到浦 邊將考書契·圖書·路引 依勢朝數上送”이라 한 주에
쪽수▶P3-4女眞人 來朝에 關한 規定을 살펴보면 經國大典卷三 禮典待使客條에는 「倭人到浦 邊將考書契·圖書·路引 依勢朝數上▶P4-1送」이라 한 註에

野人亦依歲朝數上送

쪽수▶P4-2

野人亦依歲朝數上送

이라 하였을 뿐으로 그 내용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러나 세종실록서적권101 27년 11월 임신조를 보면,
쪽수▶P4-3이라 하였을 뿐으로 그 內容을 記錄치 않었다. 그러나 世宗實錄卷一○一 二十七年 十一月 壬申條를 보면,

議政府 據禮曹啟 諸種野人 每年往來頻數 驛路凋弊 若禁其來朝 有乖撫之義 自今定每歲來朝之數 兀良哈十行 骨看及吾都里七行 每行酋長則正官一·伴人四 其餘則正官一·伴人二 以爲恒式 母使人每年上來 量其數踈數 待滿三年 輸番上送 且忽刺溫地壤隔絶 眞亐直介親朝者罕有之 女真人詐稱子弟姪 冒名來朝 以要賞賜 其所來朝 非出於誠 義當不納 然不可遽絕 一歲來朝 不過五行 其近居邊境林阿·亐未車·大小居節·南納(訥)·高說·高漆等諸種亏知介來朝者 一歲不過二行 正官·伴人之數如上其 餘眞女眞人 或詐稱亐知介來朝 都節制使拒以不納 若稱會長使送 受文引來者 都節制使厚慰 仍遺物遣還 若諸種一時上來 則驛路受弊 量其多少 必待農隙 分運上送 從之

쪽수▶P4-4

議政府 據禮曹啟 諸種野人 每年往來頻數 驛路凋弊 若禁其來朝 有乖撫之義 自今定每歲來朝之數 兀良哈十行 骨看及吾都里七行 每行酋長則正官一·伴人四 其餘則正官一·伴人二 以爲恒式 母使人每年上來 量其數踈數 待滿三年 輸番上送 且忽刺溫地壤隔絶 眞亐直介親朝者罕有之 女真人詐稱子弟姪 冒名來朝 以要賞賜 其所來朝 非出於誠 義當不納 然不可遽絕 一歲來朝 不過五行 其近居邊境林阿·亐未車·大小居節·南納(訥)·高說·高漆等諸種亏知介來朝者 一歲不過二行 正官·伴人之數如上其 餘眞女眞人 或詐稱亐知介來朝 都節制使拒以不納 若稱會長使送 受文引來者 都節制使厚慰 仍遺物遣還 若諸種一時上來 則驛路受弊 量其多少 必待農隙 分運上送 從之

라 하여 여진인 세조에 관한 비교적 상세한 기사가 있다. 세조인물 10년 10월 함길도 도절제사 강순인물의 계본에도 원문주1▶“臣考禮曹受敎 野人等一時出 來則必貽驛路之弊 不聽入朝 則乖撫綏之義 宜定數遺詣京師 每一年 兀良哈十行 骨看七 斡朵里七 火刺溫五 會長則正官一·兼從四 其餘正官一·兼從二 云云”[1]이란 것을 보면, 위에 말한 경국대전서적“野人亦依歲朝數上送”이라 함은 이러한 규정을 가리킨 것에 틀림없다. 그러면 이 기사 내용을 검토하기 전에 이 같은 규정이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쪽수▶P4-5라 하야 女眞人 歲朝에 關한 比較的 詳細한 記事가 있다. 世祖 十年 十月 咸吉道 都節制使 康純의 啓本에도 원문주1▶「臣考禮曹受敎 野人等一時出 來則必貽驛路之弊 不聽入朝 則乖撫綏之義 宜定數遺詣京師 每一年 兀良哈十行 骨看七 斡朵里七 火刺溫五 會長則正官一·兼從四 其餘正官一·兼從二 云云」[2]이란 것을 보면, 위에 말한 經國大典에 「野人亦依歲朝數上送」이라 함은 이러한 規定을 가리킨 것에 틀림없다. 그러면 이 記事 內容을 檢討하기 前에 이 같은 規定이 成立되기까지의 過程을 考察할 必要가 있다.
고려 말에 있어 조선 태조 이성계인물와 여진과의 관계가 얼마나 긴밀하였던가는 태조실록서적권84년 12월 계묘조에
쪽수▶P4-6麗末에 있어 朝鮮 太祖 李成桂와 女眞과의 關係가 얼마나 緊密하였던가는 太祖實錄卷八四年 十二月 癸卯條에

東北一道 本肇之地 畏威懷德久矣 野人酋長 원문주2▶遠至移蘭豆漫[3] 皆來服事 常佩弓劒 入衛潜邸 昵待左右 東征西伐 靡不從焉

쪽수▶P5-1

東北一道 本肇之地 畏威懷德久矣 野人酋長 원문주2▶遠至移蘭豆漫[4] 皆來服事 常佩弓劒 入衛潜邸 昵待左右 東征西伐 靡不從焉

이라 한 일절을 보아도 짐작할 수 있지만, 개국공신 청해백 이지란인물(李之蘭) 같은 이는 본명을 두란첩목아(豆蘭帖木兒)라는 여진 추장의 한 사람이었던 것은 다 같이 아는 바로, 태조인물가 그 즉위 전후에 남으로 왜구를 물리치고 북으로 국강(國疆)을 넓힘에 있어 그들을 후대 이용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안으로 국초가 확립하고 행정조직이 정비되어 국고의 비용이 한정되며, 밖으로 사대 교린의 관계가 점차 평화 상태에 돌아감에 따라, 종래 물질적 우대를 목표로 한 대야인책은 조만간 개량될 수밖에는 없었다. 따라서 남으로 일본 사객의 상경을 제한하는 동시에, 북으로 여진인의 내조를 한정함은 자연적 추세이다. 더구나 왜인, 야인의 조선 경내에 내왕하는 비용은 명사의 그것과 같이 일절 조선이 부담하는 바로, 만일 야인의 상경로인 함경도나 강원도가 흉년을 만났을 때 그 내조를 제한함은 물론 필요한 일이다. 그럼으로 세종인물 5년 9월에는 예조가 계하여
쪽수▶P5-2이라 한 一節을 보아도 짐작할 수 있지만, 開國功臣 青海 伯李之蘭 같은 이는 本名을 豆蘭帖木兒이라는 女眞酋長의 一人이었던 것은 다 같이 아는 바로, 太祖가 그 即位 前後에 南으로 倭寇를 물러치고 北으로 國疆을 넓임에 있어 그들을 厚待 利用한 것은 事實이다. 그러나 안으로 국초가 確立하고 行政組織이 整備되야 國庫의 費用이 限定되며, 밖으로 事大 交隣의 關係가 漸次 平和狀態에 도라감에 따라, 從來 物質的 優待를 目標로 한 對野人策은 早晚間 改良될 수밖에는 없었다. 따라서 南으로 日本 使客의 上京을 制限하는 同時에, 北으로 女眞人의 來朝를 限定함은 自然的 趨勢이다. 더구나 倭人, 野人의 朝鮮 境內에 來往하는 費用은 明使의 그것과 같이 一切 朝鮮이 負擔하는 바로, 萬一 野人의 上京路인 咸鏡道나 江原道가 凶年을 맛났을 때 그 來朝를 制限함은 勿論 必要한 일이다. 그럼으로 世宗 五年 九月에는 禮曹가 啓하야

咸吉·江原 近年失農 驛路凋弊 兀良哈·兀狄哈等朝京往返 未能支當 其弊莫甚 自今野人欲朝京者 今邊將母輕上送 厚待送還 如有不得己而朝京者 只送會長 以除驛路之弊

쪽수▶P5-3

咸吉·江原 近年失農 驛路凋弊 兀良哈·兀狄哈等朝京往返 未能支當 其弊莫甚 自今野人欲朝京者 今邊將母輕上送 厚待送還 如有不得己而朝京者 只送會長 以除驛路之弊

라 하였으므로 원문주3▶왕도 이에 따라 야인의 상경을 될 수 있는 대로 제한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다만 그 추장만을 상송(上送)하게 하는 방침을 취하게 되었다.[5] 그 후 혹은 원문주4▶명조의 지휘(조선 정4품 대우)[6] 이상의 관직을 가진 여진인의 상경은 제한치 않으나, 그 외는 매년 상경 100인을 넘지 않게 하며, 혹은 그중 두목 가는 자만 선택하여 매년 상경 4, 50인에 지나지 않게 하며, 혹은 추장의 친래라도 그 수종자(隨從者)는 2, 3인에 불과하게 하고, 만추(萬酋)의 원문주5▶서계[7]를 가진 자면 다만 그 사람만 상송하고, 원문주6▶그 나머지는 함길도 도절제사가 권의, 개유하여 후대 송환케 한 적도 있으나, 어떤 것이나 다 여의치 못하였다.[8]여하튼 그들은 상사(賞賜)를 바라고 상경숙배를 원하였지만은 조선서는 그 지지에 폐해가 많았으므로 가급적 제한을 가하려고 한 것만은 사실이니 앞서 언급한 세종인물 27년 11월의 의정부계는 이러한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이제 그 요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쪽수▶P5-4라 하였으므로 원문주3▶王도 이에 따라 野人의 上京을 될 수 있는 대로 制限하고, 不得已한 境遇에는 다만 그 酋長만을 上送하게 하는 方針을 取하게 되었다.[9] 그 後 或은 원문주4▶明朝의 指揮(朝鮮 正四品 待遇)[10] 以上의 官職을 가진 女眞人의 上京은 制限치 않으나, 그 外는 每年 上京 百人을 넘지 않게 하며, 或은 그中 頭目가는 者만 選擇하여 每年 上京 四五十人에 지나지 않게 하며, 或은 酋長의 親來라도 그 隨從者는 二三人에 不過하게 하고, 萬酋의 원문주5▶書契[11]를 가진 者면 다만 그 사람만 上送하고, 원문주6▶其餘는 咸吉道 都節制使가 權宜開諭하여 厚待送還케 한 적도 있으나, 어떤 것이나 다 如意치 못하였다.[12]如何튼 그들은 ▶P6-1賞賜를 바라고 上京肅拜를 願하였지만은 朝鮮서는 그 支持에 弊害가 많었음으로 可及的 制限을 加할랴고 한 것만은 事實이니 前揭 世宗 二十七年 十一月의 議政府啓는 이러한 目的에서 나온 것이다. 이제 그 要點을 列擧하면 다음과 같다.
원문주7▶一, 每歲來朝數
兀良哈(五郞哈) 十行
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吾都里(斡朶里) 七行
忽刺溫亐眞介(火刺溫兀狄哈) 五行
林阿車(尼麻車)·亐未車(兀未車)·大小居節·南訥(南突)·高說·高漆等亐知介(亐直介, 兀狄哈) 二行[13]
원문주8▶그 외 야인은 접대치 않으나 단 추장 사송(使送)으로 문인(文引)있는 자는 도절제사가 그 토물을 받고 후위견환(厚慰遣還)시킬 것[14]
쪽수▶P6-2원문주7▶一, 每歲來朝數
兀良哈(五郞哈) 十行 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吾都里(斡朶里) 七行
忽刺溫亐眞介(火刺溫兀狄哈) 五行
林阿車(尼麻車)·亐未車(兀未車)·大小居節·南訥(南突)·高說·高漆等亐知介(亐直介, 兀狄哈) 二行[15]
원문주8▶其餘 野人은 接待치 않으나 但 酋長 使送으로 文引있는 者는 都節制使가 그 土物을 받고 厚慰遣還식힐 것[16]
1. 수종자
추장 정관 1명, 반인(伴人) 4명
그 외 정관 1명, 반인 2명
1. 동 1인은 매년 상경을 불허하고 만 3년 만에 윤번 상송할 것
1. 제종 야인 일시에 상송치 말고 농사의 여가를 기다려 분운(分運)할 것
쪽수▶P6-3一, 隨從者
酋長 正官 一名, 伴人四名
其餘 正官 一名, 伴人二名
一, 同 一人은 每年 上京을 不許하고 滿 三年 만에 輪番上送할 것
一, 諸種 野人 一時에 上送치 말고 農隙을 기다려 分運할 것
원문주9▶이 규정은 물론 예외도 많았으나 성종인물까지 대체로 준수되었다.[17] 여기에 의하면 가장 많은 올량합 10행은 일행 평균 5인으로 가정하드라도 불과 50인이니, 원문주10▶이것을 그들의 명국에 입조하는 인원 건주위·건주좌위·건주우위·모련위 등 매년 매위 100인[18]에 비하면, 1위 인원의 약 반수에 불과하니 그 규모의 대략을 추찰할 수도 있다.
쪽수▶P6-4원문주9▶이 規定은 勿論 例外도 많었으나 成宗까지 大體로 遵守되었다.[19] 여기에 依하면 가장 많은 兀良哈 十行은 一行 平均 五人으로 假定하드라도 不過 五十人이니, 원문주10▶이것을 그들의 明國에 入朝하는 人員 建州衛·建州左衛·建州右衛·毛憐衛 等 每年 每衛 一百人[20]에 比하면, 一衛 人員의 約 半數에 不過하니 그 規模의 大略을 推察할 수도 있다.




























본문2-2: 제목@


@
@
@
@
@
@
@
@
@
@
































본문2-3: 제목@


@
@
@
@
@
@
@
@
@
@
































본문2-4: 제목@


@
@
@
@
@
@
@
@
@
@
































본문3: 제목@


@
@
@
@
@
@
@
@
@
@












































본문4: 제목@


@
@
@
@
@
@
@
@
@
@












































본문5: 제목@


@
@
@
@
@
@
@
@
@
@












































데이터


TripleData




Data Network






주석







원문주


  1. 세조실록서적 권34, 10년 10월 기유.
  2. 世祖實錄 卷三十四, 十年十月己酉.
  3. 이란두만인물(移蘭豆漫)은 용비어천가서적 권7, 제53장 주에 “斡朶里·兒阿홀아·托溫타온三城 其俗謂之移蘭豆漫 猶三萬戶也 蓋以萬戶三人分領其地 故名之 自慶源府西北 行一月而至”라 하였으니, 삼만호의 위치를 만주 삼성 부근에 비정할 것은 일직 일본 전내긍인물(箭內亘)이 만주역사지리학술지(제2 권4권호 12쪽)에 논증한 바와 같다.
  4. 移蘭豆漫은 龍飛御天歌 卷七, 第五十三章 註에 「斡朶里·兒阿홀아·托溫타온三城 其俗謂之移蘭豆漫 猶三萬戶也 蓋以萬戶三人分領其地 故名之 自慶源府西北 行一月而至라 하였으니, 三萬戶의 位置를 滿洲 三姓 附近에 比定할 것은 일즉 日本 箭內亘이 滿洲歷史地理(第二 卷四 一二頁)에 論證한 바와 같다.
  5. 세종실록서적 권21, 5년 9월 임인.
  6. 같은 책서적 권51, 13년 정월 을유.
  7. 서계는 추장의 증명을 겸한 견사(遣使) 소개장이니, 여기에 사용하는 추장의 인신(印信)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조선이 소사(所賜)한 것이며, 또 하나는 명조의 위지휘사인(衛指揮使印)이다. 이 두 인신은 어떤 것이나 통용된 것 같다. 조선의 인신을 최초로 받은 추장은 태종인물 5년 2월 알타리의 동맹가첩목아인물(童猛哥帖木兒)이니, 태종실록서적 권9, 5년 2월 기축조에 “遣議政府知印金尙琦于東北面 賜童猛哥帖木兒慶源等處管軍萬戶印信一顆…”란 것이 그것이다. 그 후 세종인물 25년 정월에는 알타리 동소로가무인물(童所老加茂)(동속로첩목아(童速魯帖木兒))에게 추장 인신을 주게 한 것이 세종실록서적 권19, 25년 정월 기해조에 보이나, 그 외 추장에게 인신을 준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생각하건대 그 나머지 추장은 명조 소사의 위인을 사용하였겠지만, 여하간 추장의 증명이 없는 여진인의 내조는 접대하지 않는 방침을 취하였다.
  8. 세종실록서적 권36, 9년 4월 병자. 같은 책서적 권63, 16년 정월 경인. 같은 책서적 권8 17, 21년 10월 기축.
  9. 世宗實錄 卷二十一, 五年 九月 壬寅.
  10. 同書 卷五十一, 十三年 正月 乙酉.
  11. 書契는 酋長의 證明을 兼한 遣使紹介狀이니, 여기에 使用하는 酋長의 印信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었다. 하나는 朝鮮이 所賜한 것이며, 또 하나는 明朝의 衛指揮使印이다. 이 두 印信은 어떤 것이나 通用된 것 같다. 朝鮮의 印信을 最初로 받은 酋長은 太宗 五年 二月 斡朶里의 童猛哥帖木兒이니, 太宗實錄 卷九, 五年 二月 己丑條 에 「遣議政府知印金尙琦于東北面 賜童猛哥帖木兒慶源等處管軍萬戶印信一顆…」란 것이 그것이다. 그 後 世宗 二十五年 正月에는 斡朶里童所老加茂(童速魯帖木兒)에게 酋長印信을 주게 한 것이 世宗實錄卷十九, 二十五年 正月 己亥條에 보이나, 其外 酋長에게 印信을 준 記事는 보이지 않는다. 생각하건대 그 餘의 酋長은 明朝所賜의 衛印을 使用하였겠지만, 如何間 酋長의 證明의 없는 女眞人의 來朝는 接待하지 않는 方針을 取하였다.
  12. 世宗實錄 卷三十六, 九年 四月 丙子. 同書 卷六十三, 十六年 正月 庚寅. 同書 卷八 十七, 二十一年 十月 己丑.
  13. 당시 올량합(오량합 오랑캐, 명 모련위), 오도리(알타리 오도리), 골간직개(활아간올적합 콜칸우디거 명 희락온위) 등 조선과 관계 깊은 부락의 분포 상태를 앎에는, 단종실록서적 권13, 3년 3월 기사조에 게재된 함길도 도체찰사 이사철인물(李思哲) 계본과, 기전외인물(旗田巍) 소개 논문 「오도리족의 부락구성원고」(역사학연구학술지 제2호권호)를 참조할 것이다.
  14. 파저강(동가강) 방면에 있는 이만주인물(李滿住)의 건주위는 올량합족에, 동산의 건주는 좌위와 범찰의 건주우위 오도리족에 산입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확실하지 않다.
  15. 當時 兀良哈(吾郎哈 오랑캐 明毛憐衛) 吾都里(斡朶里 오도리) 骨看直介(闊兒看兀狄哈 콜칸우디거 明喜樂溫衛) 等 朝鮮과 關係 깊은 諸部落의 分布狀態를 앎에는, 端宗實錄 卷十三, 三年 三月 己巳條에 揭載된 咸吉道都體察使 李思哲啓本과, 旗田巍紹介論文 「吾都里族의 部落構成」(歷史學硏究 第二號)를 參照할 것이다.
  16. 婆猪江(佟佳江) 方面에 있는 李滿住의 建州衛는 兀良哈族에, 童山의 建州는 左衛와 凡察의 建州右衛 吾都里族에 算入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確實하지 않다.
  17. 성종실록서적 권47, 5년 9월 기묘조에 “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遣評事朴孟智問安…朴孟智啟曰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 沿路官站 不勝其弊 今分運一年母過十二 一運無過六七人 八月始上送甚便易 然遠地野人等 八九月間 方秋收田獵 無暇出來 至十月後 一時至 若取禀後 許令上京 則有違分運除弊之意 請遠地野人隨其來朝 與城底野人和會 依前分運上送 命議于院相 鄭麟趾議 依所啓施行 鄭昌孫·申叔舟·韓明澮·洪允成·曹錫文·尹子雲議 前者運數不定 不可歲終一時沓至 故酌定運數 八月爲始 跦運上送 而今年自八月之初 陸續入朝 有違立法分運之意 請今後自八月晦時秋收已畢後始上送 每一月 母過二三運 以除一路館待之弊 上從昌孫等議”이라 하고, 같은 책서적 권48, 5년 10월 기축조에는 “諭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曰 前者諭卿 以預定野人運數 八月爲始上送者 慮其冬月沓至 道路轉送 館穀至待有弊耳 然八月之初收穫末畢 轉送之弊亦不背 自今待秋收 每朔無過二三運上送”이라 하였다. 박맹지인물(朴孟智)가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云云”이라 한 것은 인식 부족이라 할지나, 성종인물 5년 9월에는 야인 세조에 관한 규정이 다소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에도 수차 변동이 있으니, 고사촬요서적 권하, 접대야인사례에 “豐年 會寧四運 鍾城四運 穩城三運 慶源三運 慶興三運 以上共一百二十八 凶年 會寧三運 鍾城三運 穩城二運 慶源二運 慶興二運 以上共九十八云云”이란 규정은, 중종인물 초년으로부터 청조의 흥기를 계기로 여진인 접대가 폐지되기 직전까지 시행하였다.
  18. 대명회전서적 권99, 예부 조공 해서 여진조.
  19. 成宗實錄 卷四十七, 五年 九月 己卯條에 「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遣評事朴孟智問安…朴孟智啟曰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 沿路官站 不勝其弊 今分運一年母過十二 一運無過六七人 八月始上送甚便易 然遠地野人等 八九月間 方秋收田獵 無暇出來 至十月後 一時至 若取禀後 許令上京 則有違分運除弊之意 請遠地野人隨其來朝 與城底野人和會 依前分運上送 命議于院相 鄭麟趾議 依所啓施行 鄭昌孫·申叔舟·韓明澮·洪允成·曹錫文·尹子雲議 前者運數不定 不可歲終一時沓至 故酌定運數 八月爲始 跦運上送 而今年自八月之初 陸續入朝 有違立法分運之意 請今後自八月晦時秋收已畢後始上送 每一月 母過二三運 以除一路館待之弊 上從昌孫等議」이라 하고, 同書 卷四十八, 五年 十月 己丑條에는 「諭永安北道節度使魚有沼曰 前者諭卿 以預定野人運數 八月爲始上送者 慮其冬月沓至 道路轉送 館穀至待有弊耳 然八月之初收穫末畢 轉送之弊亦不背 自今待秋收 每朔無過二三運上送」이라 하였다. 朴孟智가 「野人等上京之運 本無定數云云」이라 한 것은 認識不足이라 할지나, 成宗 五年 九月에는 野人歲朝에 關한 規定이 多少 變更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後에도 數次 變動이 있으니, 攷事撮要 卷下, 接待野人事例에 「豐年 會寧四運 鍾城四運 穩城三運 慶源三運 慶興三運 以上共一百二十八 凶年 會寧三運 鍾城三運 穩城二運 慶源二運 慶興二運 以上共九十八云云」이란 規定은, 中宗 初年으로부터 淸朝의 興起를 契機로 女眞人 接待가 弊止되기 直前까지 施行하였다.
  20. 大明會典卷九十九, 禮部朝貢海西女眞條.






현대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