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활동사항)
41번째 줄: 41번째 줄:
 
==='''경력'''===
 
==='''경력'''===
 
{{글상자|
 
{{글상자|
|내용= {{TagInstitution|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가 생겼을 때 귀국을 희망하였으나 보내주지 않아 무산되었고, 광복 후 {{TagInstitution|경성대학}} 이공학부장을 맡게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TagInstitution|국립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문리과대학 초대학장에 취임하였으나 좌우익투쟁에 환멸을 느껴 1948년 미국으로 갔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1960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고, 1964년에는 자신이 1946년에 만든 대한화학회의 초청으로 귀국해 전국을 순회하며 강의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1973년 귀국하여 {{TagInstitution|한국과학원}} 석좌교수에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고희를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계속하여 20년 동안 70편에 가까운 논문을 발표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내용= {{TagInstitution|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가 생겼을 때 귀국을 희망하였으나 보내주지 않아 무산되었고, 광복 후 {{TagInstitution|경성대학}} 이공학부장을 맡게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TagInstitution|국립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문리과대학 초대학장에 취임하였으나 좌우익투쟁에 환멸을 느껴 1948년 미국으로 가 {{TagInstitution|유타대학교}} 교수가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1960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고, 1964년에는 자신이 1946년에 만든 대한화학회의 초청으로 귀국해 전국을 순회하며 강의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1973년 귀국하여 {{TagInstitution|한국과학원}} 석좌교수에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320]』 <html><online 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
  
==='''포상'''===
+
==='''상훈 및 추모'''===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이태규는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1960년대 노벨상 후보에 올랐었다.<ref>『[https://www.koreascientists.kr/scientists/merit/merit-list/?boardId=bbs_0000000000000028&mode=view&cntId=19&category=2017&pageIdx=]』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1971년 국민훈장 모란장, 1980년 5·16 민족상, 1982년 세종문화상을 받았다.<ref>『[https://www.koreascientists.kr/scientists/merit/merit-list/?boardId=bbs_0000000000000028&mode=view&cntId=19&category=2017&pageIdx=]』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이태규는 미국화학회의 표창을 받았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1960]·국민훈장 무궁화장[1976]·서울특별시문화상[1976] 등을 받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6007&cid=63071&categoryId=63129]』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2003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정 대상자에 선정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6007&cid=63071&categoryId=63129]』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는 한국 현대 화학의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 화학의 초석을 다진 공을 인정받아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ref>『[https://www.koreascientists.kr/scientists/merit/merit-list/?boardId=bbs_0000000000000028&mode=view&cntId=19&category=2017&pageIdx=]』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제목4'''===
 
{{글상자|
 
|내용=
 
}}
 
 
 
==='''제목5'''===
 
{{글상자|
 
|내용=  
 
 
}}
 
}}
  

2024년 12월 13일 (금) 06:30 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위키ID)이 작성했습니다.




이태규(李泰圭)
이태규.jpg
출처 : 이태규online,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한글명 이태규 한자명 李泰圭 영문명 Ree Taikyue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02년년 몰년 1992년년 출신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전공 화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한국 이론화학계의 거장.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초대학장, 유타대학 교수 등을 역임한 과학자


생애


학력

경성고등보통학교기관와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기관를 거쳐 교토제국대학[京都帝國大學]기관 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

1927년 대학을 졸업하고 촉매작용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여 1931년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39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프린스턴대학기관의 연구원으로 연구경험을 쌓았으며, 양자화학의 세계적 권위자 아이링인물 교수와 공동연구를 수행했다. [2]

호리바인물 교수의 은퇴 이후 뒤를 이어 정교수의 자리에 오른 이태규는 해방이 되어 귀국하여 국립서울대학교기관 화학과의 교수이자 문리과대학의 초대학장에 임명되어 화학과와 문리과대학의 기틀을 닦았다. [3]


경력

경성제국대학기관 이공학부가 생겼을 때 귀국을 희망하였으나 보내주지 않아 무산되었고, 광복 후 경성대학기관 이공학부장을 맡게 되었다.[4] 국립서울대학교기관가 출범하면서 문리과대학 초대학장에 취임하였으나 좌우익투쟁에 환멸을 느껴 1948년 미국으로 가 유타대학교기관 교수가 되었다.[5] 1960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고, 1964년에는 자신이 1946년에 만든 대한화학회의 초청으로 귀국해 전국을 순회하며 강의하였다.[6] 1973년 귀국하여 한국과학원기관 석좌교수에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7]


상훈 및 추모

이태규는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1960년대 노벨상 후보에 올랐었다.[8] 1971년 국민훈장 모란장, 1980년 5·16 민족상, 1982년 세종문화상을 받았다.[9] 이태규는 미국화학회의 표창을 받았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1960]·국민훈장 무궁화장[1976]·서울특별시문화상[1976] 등을 받았다.[10] 2003년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정 대상자에 선정되었다.[11] 그는 한국 현대 화학의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 화학의 초석을 다진 공을 인정받아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12]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Person: 홍아무개 A hasSon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Book: ○○○ Person: 홍길동 A creator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 이태규online,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 이태규online,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홈페이지.
  • 이태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석


  1. [1]online
  2. 이태규
  3. 이태규
  4. [2]online
  5. [3]online
  6. [4]online
  7. [5]online
  8. [6]online
  9. [7]online
  10. [8]online
  11. [9]online
  12. [10]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