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황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34번째 줄: 34번째 줄:
 
}}
 
}}
  
==='''제목2'''===
+
==='''중일전쟁 직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7년 8월 전쟁비용에 보태라고 금비녀 등을 헌납하자는 애국금차회(愛國金釵會)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간사를 맡았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38년 6월 무렵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가 세계YWCA협의회에서 탈퇴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며 일본여자기독교청년회동맹 가입을 결의할 때 김활란·유각경·박마리아와 함께 실행위원으로 선임되었고, 9월 조선부인문제연구회가 주최한 순회강연에 전라남북도 지역에서 강연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41년 8월 임전대책협의회 설립에 참석하였고, 9월 임전대책협력회 회원으로 채권가두유격대 서대문대(西大門隊) 대원이 되어 1원짜리 ‘꼬마채권’을 팔았으며, 10월 최대 민간전쟁협력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2월에 부인대 지도위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조선교화단체연합회가 주최한 시국대책순회강연회 강사로 활동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42년 1월 국민총력조선연맹 부인지도위원으로 선임되어 회의에 참석하였고, 5월 임전보국단 부인대 주최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에 참석하였으며, 6월 무렵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參事)에 임명되었고, 12월 국민총력경기도연맹이 주최한 ‘징병제취지부인강연회’ 강사로 활동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사회복지사업을 더 확장하여 1942년 무렵 출옥해서 갈 데가 없는 여성을 정서적으로 교화시키고 한글을 가르치고 경제적 자립교육을 실시하는 여자감화원 가정료와 생후 1개월 미만의 기아를 수용하는 영아원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러 식량난이 극심해지자 무의탁 소녀들을 데리고 철원으로 내려가서 농사를 짓다가 해방을 맞았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7051 고황경 (高凰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제목3'''===
+
==='''해방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2024년 11월 25일 (월) 14:00 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유호림(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고황경(高凰京)
출처 : 고황경online, 위키백과.
 
한글명 고황경 한자명 高凰京 영문명 Go, Hwang Gyeong 가나명 이칭 바롬
성별 여성 생년 1909년 몰년 2000년 출신지 한성부(現 서울특별시) 전공 영문학, 법학, 경제학, 사회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고황경(高凰京, 1909년 3월 6일~2000년 11월 2일)은 한국의 사회학자이며 대학교수이다.[1]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초대총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2] 여성으로서는 우리나라 두 번째 박사 학위소지자인 고 박사는 1970년 국민훈장 동백상, 1985년 5·16민족상을 수상했으며, `인도기행`, `구라파기행` 등 저서를 냈다.[3] 중일전쟁 직후 조선임전보국단 등에서 친일반민족행위를 하였다.[4]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교육/학술과 친일단체 부문에도 선정되었다.[5]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6]


생애


출생 및 학업

1909년 3월 6일 서울에서 1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7] 고황경의 가정은 4대째 개신교를 믿어온 집안이었으며, 비교적 여유 있는 환경이었다.[8] 황해도 은진의숙을 졸업한 후 1920년 관립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24년 졸업하였다.[9]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샤[同志社]여자전문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하여 4년간 영어공부에 매진하여 1928년에 졸업하였다.[10] 다시 도시샤대학 법학부에 들어가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해서 1931년 법학사가 되었다.[11]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미시건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여 1933년 경제학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박사과정에 들어가 사회학을 전공하였다.[12]


중일전쟁 직후

1937년 8월 전쟁비용에 보태라고 금비녀 등을 헌납하자는 애국금차회(愛國金釵會)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간사를 맡았다.[13] 1938년 6월 무렵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연합회(YWCA)가 세계YWCA협의회에서 탈퇴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며 일본여자기독교청년회동맹 가입을 결의할 때 김활란·유각경·박마리아와 함께 실행위원으로 선임되었고, 9월 조선부인문제연구회가 주최한 순회강연에 전라남북도 지역에서 강연하였다.[14] 1941년 8월 임전대책협의회 설립에 참석하였고, 9월 임전대책협력회 회원으로 채권가두유격대 서대문대(西大門隊) 대원이 되어 1원짜리 ‘꼬마채권’을 팔았으며, 10월 최대 민간전쟁협력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2월에 부인대 지도위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조선교화단체연합회가 주최한 시국대책순회강연회 강사로 활동하였다.[15] 1942년 1월 국민총력조선연맹 부인지도위원으로 선임되어 회의에 참석하였고, 5월 임전보국단 부인대 주최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에 참석하였으며, 6월 무렵 국민총력조선연맹 참사(參事)에 임명되었고, 12월 국민총력경기도연맹이 주최한 ‘징병제취지부인강연회’ 강사로 활동하였다.[16] 사회복지사업을 더 확장하여 1942년 무렵 출옥해서 갈 데가 없는 여성을 정서적으로 교화시키고 한글을 가르치고 경제적 자립교육을 실시하는 여자감화원 가정료와 생후 1개월 미만의 기아를 수용하는 영아원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17]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러 식량난이 극심해지자 무의탁 소녀들을 데리고 철원으로 내려가서 농사를 짓다가 해방을 맞았다.[18]


해방 이후


제목4


제목5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Person: 홍아무개 A hasSon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Book: ○○○ Person: 홍길동 A creator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고황경online, 위키백과.
  2.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서울여대 설립자 고황경 박사 별세online, 아카이브조선 소사.
  4. 고황경online, 나무위키.
  5. 고황경online, 위키백과.
  6. 고황경online, 위키백과.
  7.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고황경online, 위키백과.
  9.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고황경 (高凰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