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탑파의 연구(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새 문서: __NOTOC__ <font face="함초롬돋움"> {{버튼클릭|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버튼클릭|XML 문서 다운받기}} <br...)
 
잔글
46번째 줄: 46번째 줄:
 
----
 
----
 
{{Layout1
 
{{Layout1
|목차1원문1번= {{TagSpage|59}}筆者는 前稿의 第一項에서 朝鮮의 木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고, 第二項에서 朝鮮의 塼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다. 다시 이여 이곳에서 朝鮮의 石造 塔婆를 말하려 하거니와, 前稿와 이 續稿와의 사이엔 於焉 1年 以上  近 2年이란 間隔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期間인 듯하나 그 간에 扶餘郡 內의 邑軍守里와 窺岩面外里에서는 稀貴한 百濟 寺跡이 發掘되여 學界의 一驚異틀 끼친 中, 特히 軍守里寺址예선 木造 塔婆의 基地와 佛菩薩의 發見이 있어, 朝鮮에 흔치 아니한 {{TagRef|번호}} 木造 塔婆 研究에 一新資料를 提供한 바 있었고<ref>朝鮮古蹟研究會 發行 昭和 11年 度古蹟調査報告 參照</ref>, 昨年 11月 中旬에 들어 筆者가 慶州에 놀다가 그곳 同好의 某友로부터 漆谷 東明松林寺에서 壞造 5重塔을 目睹하였다는 逍息을 듣고 塼造 塔婆에도 資料가 불어가는 것을 느낄 때, 拙稿의 이 發表가 너무 急하지 아니하였던가하고 後悔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石塔의 問題에 關하여서도 그 資料를 充分히 내 마음껏 蒐集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時日을 기다린대야 突然한 歲月만 보낼 뿐이요 所望의 完全한 蒐集이 期必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에 믿어움이 넓어지매 不充分한 現狀대로나마 所見의 程度를 披攊 {{TagPage|60-1}}하자는 것이다.
+
|목차1원문1번= {{TagSpage|59}}筆者는 前稿의 第一項에서 朝鮮의 木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고, 第二項에서 朝鮮의 塼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다. 다시 이여 이곳에서 朝鮮의 石造 塔婆를 말하려 하거니와, 前稿와 이 續稿와의 사이엔 於焉 1年 以上  近 2年이란 間隔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期間인 듯하나 그 간에 扶餘郡 內의 邑軍守里와 窺岩面外里에서는 稀貴한 百濟 寺跡이 發掘되여 學界의 一驚異틀 끼친 中, 特히 軍守里寺址예선 木造 塔婆의 基地와 佛菩薩의 發見이 있어, 朝鮮에 흔치 아니한 {{TagRef|1}} 木造 塔婆 研究에 一新資料를 提供한 바 있었고<ref>朝鮮古蹟研究會 發行 昭和 11年 度古蹟調査報告 參照</ref>, 昨年 11月 中旬에 들어 筆者가 慶州에 놀다가 그곳 同好의 某友로부터 漆谷 東明松林寺에서 壞造 5重塔을 目睹하였다는 逍息을 듣고 塼造 塔婆에도 資料가 불어가는 것을 느낄 때, 拙稿의 이 發表가 너무 急하지 아니하였던가하고 後悔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石塔의 問題에 關하여서도 그 資料를 充分히 내 마음껏 蒐集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時日을 기다린대야 突然한 歲月만 보낼 뿐이요 所望의 完全한 蒐集이 期必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에 믿어움이 넓어지매 不充分한 現狀대로나마 所見의 程度를 披攊 {{TagPage|60-1}}하자는 것이다.
|목차1원문2번= {{TagSpage|60-2}}前稿에서 나는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으로, 一曰 建築 材料의 生産 經濟의 關係, 二曰 手法工技의 難易 問題, 三曰 願成供納의 時急  問題, 四曰 保存時日의 長久永續 問題 等, 諸般 外面的 理由를 羅列하였지만, 이러한 外面的 動機 以外에 다시 그 內面的 動機를 보더라도 爲先 {{TagRef|2}}敎理上, 大小와 및 材料에 何等의 制限과 差別이 없었던 듯하며 <ref>造塔功德經 一節에 「爾時 世尊告觀世音菩薩言 善男子 若此現在諸天眾等及未來世一切眾生 隨所在方 未有塔處 能於其中建立之者 其狀高妙 出過三界 乃至至小如菴羅果 所有表刹 上至梵天 乃至至小猶如針等 所有輪蓋覆彼大千 乃至小猶如棗葉 於彼塔內 藏掩如來所有舍利髮牙髭爪 下至一分 或置如來所有法藏十二部經 下至於一四句偈 其人功德 如彼梵天 命終之後生於梵世 於彼壽盡生五淨居 與彼諸天等 無有異」라 하였고 또 毗婆娑論 一節에는「若入起大塔 如來轉法輪處 若人取小石為塔 其福德 等前大塔 所爲尊 故若爲如 來大梵 起大塔 或起小塔 以所爲同 故其福無量」云云이라 있다.</ref>(주석2), 또 造型的 意味에서 보더라도 塔婆는 要컨댄 {{TagRef|3}}<cite no="01">『封樹遺靈 扁針法藏 冀表河砂之德 庶酬塵却之勢』</cite><ref>造塔功德經 序.</ref>키 爲한 記念的 建物(Monumentalische Architektur)이라 印度 自體에 있어서도 原始 塔婆는 모두 內部가 充塞된 塊體 建物(Massen Bau)임을 볼때 內塞된 塊體 建物의 樣式을 畢竟코 잡고 나선 朝鮮의 石塔이야말로 結局은 原意의 塔婆로 回歸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即 이 點에서도 內塞된 塊體로서의 石造 塔婆(이곳에 內塞이라함은 內室 樣式의 空間을 갖지 아니한 것을 뜻함이니 舍利를 兩菘키 爲한 塔身의 蟒穴은 問題가 아니다)가 盛行될 原因이 있다 하겠다. 勿論 이 點만은 혹 讀者─있어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도 될 수 없거니와 促進시킨 根機도 될 수 없다고 反對할 사람이 있으리라. 그 反對의 理由는 반드시 이러하리라─{{TagRef|4}}卽 朝鮮의 一般 石塔이 그 結果에 있어선 비록 內塞된 塊體 建物이라하나 그 外樣에 나타난 全般的 特色은 끝끝내 內空 形式을 固執한 <ref>神尾弌春 著 契丹佛教文化史考 第三項.</ref> 中華 傳統의 木造 塔婆 樣式을 模倣함에 汲汲하여 甚至於 塔身의 門戶櫶窓의 彫飾까지도 이러한 意欲을 表示하여있고, 印度古塔의, 事實로 內塞된 塊體 樣式이란 僧侶의 墓塔 形式(特히 石鍾形式) 以外에 朝鮮의 一般 石塔에선 볼 수 없는 點이 아니냐고─勿論 이것은 事實다운 理由일 뿐 아니라 筆者 역시 知悉하고 있는 바이며, 筆者가 또 朝鮮 石塔의 出發을 짓고 있는 것으로 認定하고 있는 谷山의 廢彌勒寺 石塔까지도 眞實로 곧 內空된 木造 塔婆 樣式을 그대로 直譯하고 있는 것이매 이 事實에 何等 反對는 없으나, 그렇다고하여 이것이 朝鮮 石塔의 發生의 動機, 促進의 動機가 아{{TagPage|61-1}}니 되었으리라고도 反對할 수 없는 것으로 믿나니, 왜 그러냐하면 朝鮮 石塔婆가 事實에 있어 저 內空된 木造 塔婆의 形式을 再現함에서 出發하였고, 또 再現함에서 發展되었다 하더라도 塔婆 그 自體가 가지고 있는 歷史的 社會的 性格이라든지 敎理上 內面的 性格이라든지 作家의 意識 無意識 乃至 要求 不要求를 無視하고 造型的인 것으로의 藝術 類型上, 塔婆는 한 개의 "記念的인 것"에 뻔한 것이고 보매, 時代가 意識했건 못했건 藝術的 原則이 그곳에도 있었는 것으로 認定치 아니할 수 없는 까닭이다. 塔婆가 高度로 높아지는 것도 敎理上으론 "積聚의 功德"의 所致라 說明할 수 있겠지만, 藝術 原 則으로 말하면 그것이 "記念的인 것"인 까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點에서 볼제 塔婆나 Obalisque나 Pyramid나 紀功碑 等이 다름이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해서 木造 塔婆에서 石造 塔婆로 넘어가매 그 必然性을 볼 수 있는 것이요 (塼造 塔婆로 넘어버리지 못한 것은 오직 生産經濟 關係로 돌릴 수 있다)石造 塔婆로 넘고보매 다시 內塞된 塊體 建物로 急變될 수 있는 것도 理解되는 것이라 하겠다.
+
|목차1원문2번= {{TagSpage|60-2}}前稿에서 나는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으로, 一曰 建築 材料의 生産 經濟의 關係, 二曰 手法工技의 難易 問題, 三曰 願成供納의 時急  問題, 四曰 保存時日의 長久永續 問題 等, 諸般 外面的 理由를 羅列하였지만, 이러한 外面的 動機 以外에 다시 그 內面的 動機를 보더라도 爲先 {{TagRef|2}}敎理上, 大小와 및 材料에 何等의 制限과 差別이 없었던 듯하며 <ref>造塔功德經 一節에 「爾時 世尊告觀世音菩薩言 善男子 若此現在諸天眾等及未來世一切眾生 隨所在方 未有塔處 能於其中建立之者 其狀高妙 出過三界 乃至至小如菴羅果 所有表刹 上至梵天 乃至至小猶如針等 所有輪蓋覆彼大千 乃至小猶如棗葉 於彼塔內 藏掩如來所有舍利髮牙髭爪 下至一分 或置如來所有法藏十二部經 下至於一四句偈 其人功德 如彼梵天 命終之後生於梵世 於彼壽盡生五淨居 與彼諸天等 無有異」라 하였고 또 毗婆娑論 一節에는「若入起大塔 如來轉法輪處 若人取小石為塔 其福德 等前大塔 所爲尊 故若爲如 來大梵 起大塔 或起小塔 以所爲同 故其福無量」云云이라 있다.</ref>, 또 造型的 意味에서 보더라도 塔婆는 要컨댄 {{TagRef|3}}<cite no="01">『封樹遺靈 扁針法藏 冀表河砂之德 庶酬塵却之勢』</cite><ref>造塔功德經 序.</ref>키 爲한 記念的 建物(Monumentalische Architektur)이라 印度 自體에 있어서도 原始 塔婆는 모두 內部가 充塞된 塊體 建物(Massen Bau)임을 볼때 內塞된 塊體 建物의 樣式을 畢竟코 잡고 나선 朝鮮의 石塔이야말로 結局은 原意의 塔婆로 回歸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即 이 點에서도 內塞된 塊體로서의 石造 塔婆(이곳에 內塞이라함은 內室 樣式의 空間을 갖지 아니한 것을 뜻함이니 舍利를 兩菘키 爲한 塔身의 蟒穴은 問題가 아니다)가 盛行될 原因이 있다 하겠다. 勿論 이 點만은 혹 讀者─있어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도 될 수 없거니와 促進시킨 根機도 될 수 없다고 反對할 사람이 있으리라. 그 反對의 理由는 반드시 이러하리라─{{TagRef|4}}卽 朝鮮의 一般 石塔이 그 結果에 있어선 비록 內塞된 塊體 建物이라하나 그 外樣에 나타난 全般的 特色은 끝끝내 內空 形式을 固執한 <ref>神尾弌春 著 契丹佛教文化史考 第三項.</ref> 中華 傳統의 木造 塔婆 樣式을 模倣함에 汲汲하여 甚至於 塔身의 門戶櫶窓의 彫飾까지도 이러한 意欲을 表示하여있고, 印度古塔의, 事實로 內塞된 塊體 樣式이란 僧侶의 墓塔 形式(特히 石鍾形式) 以外에 朝鮮의 一般 石塔에선 볼 수 없는 點이 아니냐고─勿論 이것은 事實다운 理由일 뿐 아니라 筆者 역시 知悉하고 있는 바이며, 筆者가 또 朝鮮 石塔의 出發을 짓고 있는 것으로 認定하고 있는 谷山의 廢彌勒寺 石塔까지도 眞實로 곧 內空된 木造 塔婆 樣式을 그대로 直譯하고 있는 것이매 이 事實에 何等 反對는 없으나, 그렇다고하여 이것이 朝鮮 石塔의 發生의 動機, 促進의 動機가 아{{TagPage|61-1}}니 되었으리라고도 反對할 수 없는 것으로 믿나니, 왜 그러냐하면 朝鮮 石塔婆가 事實에 있어 저 內空된 木造 塔婆의 形式을 再現함에서 出發하였고, 또 再現함에서 發展되었다 하더라도 塔婆 그 自體가 가지고 있는 歷史的 社會的 性格이라든지 敎理上 內面的 性格이라든지 作家의 意識 無意識 乃至 要求 不要求를 無視하고 造型的인 것으로의 藝術 類型上, 塔婆는 한 개의 "記念的인 것"에 뻔한 것이고 보매, 時代가 意識했건 못했건 藝術的 原則이 그곳에도 있었는 것으로 認定치 아니할 수 없는 까닭이다. 塔婆가 高度로 높아지는 것도 敎理上으론 "積聚의 功德"의 所致라 說明할 수 있겠지만, 藝術 原 則으로 말하면 그것이 "記念的인 것"인 까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點에서 볼제 塔婆나 Obalisque나 Pyramid나 紀功碑 等이 다름이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해서 木造 塔婆에서 石造 塔婆로 넘어가매 그 必然性을 볼 수 있는 것이요 (塼造 塔婆로 넘어버리지 못한 것은 오직 生産經濟 關係로 돌릴 수 있다)石造 塔婆로 넘고보매 다시 內塞된 塊體 建物로 急變될 수 있는 것도 理解되는 것이라 하겠다.
 
|목차1원문3번= {{TagSpage|61-2}}이리하여 朝鮮 石塔婆는 發生되었고 또 發展되었나니, 그러면 어떠한 樣式的 系列을 이룸으로써 展開되었는가를 우리는 이로부터 章을 바꾸어 考察할까한다.  
 
|목차1원문3번= {{TagSpage|61-2}}이리하여 朝鮮 石塔婆는 發生되었고 또 發展되었나니, 그러면 어떠한 樣式的 系列을 이룸으로써 展開되었는가를 우리는 이로부터 章을 바꾸어 考察할까한다.  
 
|목차1원문4번= {{TagSpage|62}}이미지
 
|목차1원문4번= {{TagSpage|62}}이미지
 
 
(二)
 
(三)
 
(四)
 
 
 
  
 
|목차1해독문1번= 필자는 전고의 제 1항에서 조선의 목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고, 제 2항에서 조선의 전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다. 다시 이어 이곳에서 조선의 석조 탑파를 말하려 하거니와, 전고와 이 속고와의 사이엔 어언 1년 이상 근 2년이란 간격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기간인 듯하나 그 간에 부여군 내의 읍군수리와 규암면외리에서는 희귀한 백제 사적이 발굴되어 학계의 일경이틀 끼친 중, 특히 군수리사지에선 목조탑파의 기지와 불보살의 발견이 있어, 조선에 흔치 아니한 {{TagRefT|1}}목조 탑파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 바 있었고<ref group="a">조선고적연구회 발행 소화 11년 도고적조사보고 참조</ref>, 작년 11월 중순에 들어 필자가 경주에 놀다가 그곳 동호의 모우로부터 칠곡 동명송림사에서 괴조 5중탑을 목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전조 탑파에도 자료가 늘어가는 것을 느낄 때, 졸고의 이 발표가 너무 급하지 아니하였던가 하고 후회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석탑의 문제에 관하여서도 그 자료를 충분히 내 마음껏 수집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시일을 기다린다 해도 돌연한 세월만 보낼 뿐이요 소망의 완전한 수집이 기필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 미더움이 넓어지니 불충분한 현상대로나마 소견의 정도를 피력하자는 것이다.
 
|목차1해독문1번= 필자는 전고의 제 1항에서 조선의 목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고, 제 2항에서 조선의 전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다. 다시 이어 이곳에서 조선의 석조 탑파를 말하려 하거니와, 전고와 이 속고와의 사이엔 어언 1년 이상 근 2년이란 간격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기간인 듯하나 그 간에 부여군 내의 읍군수리와 규암면외리에서는 희귀한 백제 사적이 발굴되어 학계의 일경이틀 끼친 중, 특히 군수리사지에선 목조탑파의 기지와 불보살의 발견이 있어, 조선에 흔치 아니한 {{TagRefT|1}}목조 탑파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 바 있었고<ref group="a">조선고적연구회 발행 소화 11년 도고적조사보고 참조</ref>, 작년 11월 중순에 들어 필자가 경주에 놀다가 그곳 동호의 모우로부터 칠곡 동명송림사에서 괴조 5중탑을 목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전조 탑파에도 자료가 늘어가는 것을 느낄 때, 졸고의 이 발표가 너무 급하지 아니하였던가 하고 후회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석탑의 문제에 관하여서도 그 자료를 충분히 내 마음껏 수집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시일을 기다린다 해도 돌연한 세월만 보낼 뿐이요 소망의 완전한 수집이 기필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 미더움이 넓어지니 불충분한 현상대로나마 소견의 정도를 피력하자는 것이다.
66번째 줄: 59번째 줄: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본문2: 제목@'''===
+
==='''본문2: 1-1.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事情과 그 始源樣式들'''===
 
----
 
----
 
{{Layout2
 
{{Layout2
|목차2원문1번= @
+
|목차2원문1번= {{TagSpage|63-1}}一.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으로부터 그 定型의 成立까지<br/> (1)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事情과 그 始源樣式들<br/>本稿에서 累述한 바와 같이 朝鮮의 塔婆가 方形 木造 高樓 建物에서 發足되었고 그 樣式이 朝鮮 塔婆 樣式의 根流를 이루고 있음을 볼 때 우리는 樣式 發展의 順序上 木造 塔婆 樣式을 가장 忠實히 具顯하고 있는 遺構에서 그 時代까지 高古한 것을 認定한다. 前稿에서 朝鮮 石塔婆의 高古한 記錄 例로 金官城 婆娑石塔이란 것과 高句麗 靈塔寺의 石塔이란 것이 三國遺事에 나타나 있음을 말하였으나 現物이 있는 바 아니니 다시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며 現存한 作例 中 가장 高古한 作品으로 定立시킬 수 있는 것은 益山 龍華山 下에 있는 彌勒寺址의 石塔 뿐일까 한다.
|목차2원문2번= @
+
|목차2원문2번= {{TagSpage|63-2}}이 彌勒寺址의 遺塔은 現今 朝鮮에 남아있는 石塔으로선 가장 忠實히 木造 塔婆의 樣式을 再現하고있는 唯一의 것이니 지금은 東面 一角만이 남아 있고 다른 三面은 거의 다 헐어졌을 뿐더러 層級도 六層의 東北 一角만이 남아있고 그 우가 모두 없어진 까닭에 形態는 매우 不完全한 것이나 그러나 塔의 樣式은 이만으로써도 十分 理解할 수 있을만치 되어있다. 即 第一로 注目되는 것은 特히 基壇이라 할 만한 基壇을 갖지 아니하고(塔婆의 地盤이 周圍의 地平보다 높기는 하나 이것은 토대라 할 것에 끝이고 基壇으로써 부를 만한 것은 못 된다.) 2, 3尺 前後의 距離를 두고서 地産長石이 남아있음이요, 다음에 注目되는 것은 그 屋身의 經營이니 屋身은 一面이 三間壁을 이루었으되 {{TagRef|2-1}}「엔터시스」(Enthusis)」<ref>원문주석1</ref>를 가진 長石柱가 角形 礎石 위에 각기 서 있고 三間壁의 左右兩壁은 地覆地枋 위에선 一小柱로 다시 烟分되어 있으되 中央區만은 楣棖框閾이 제법 模型된 通口가 있어 內部로 通路가 通케 되었으니 이 通門과 通路는 四方이 同一하였을 것으로 平面(Plan)에서 보자면 內部 中心에 四角形 石製 心柱가 있어 이곳에서 正十 {{TagPage|64-1}}字 通路가 交叉되여 外部 四方으로 通케 된 形式이다. 다시 外壁의 列柱 上部에는 額枋과 平板枋이 놓여있고 그 위에 桁間 小壁이 있어 다시 角形 三段의 {{TagRef|2-2}}層級形 「발임」<ref>원문주석2</ref>이 있어 平薄長大한 屋蓋石을 떠받고 있다. 屋蓋石은 轉角의 尖端에서 多小 輕快히 翻仰되어있고 轉角의 三角 斷面(Section)은 後代 新羅의 諸石塔에서와 같이 뚜렷한 銳角尖端을 이루지 아니하였다. 第二層은 極히 短縮된 三間小壁이(間壁의 名區 안에는下層 左右壁에서와 같은 小柱가 있었는 모양이다) 長臺石 「피임」 위에 놓여있어, 위로 三段層級形 「발임」을 받고 이 「발임」으로써 屋蓋石을 또 받고 있다. 同一한 手法의 屋身과 屋蓋石이 重覆되여 三層四層 至于六層하였으되 屋身 「괴임」의 長臺石이 第三層에서부터 重段으로 늘어있고 層段 「발임」 第五層으로부터 一段이 늘어있으니 이와 같이 塔身 「괴임」과 屋蓋石「발임」이 上層에서 增加한다는 것은 이 塔로서는 그 瞻仰에 있어 高度의 調和를 얻기 爲한 特別한 配案일 것이로되 筆者는 다른 石塔에서 이와 같은 用意가 表現된 것을 보지 못하였다.
|목차2원문3번= @
+
|목차2원문3번= {{TagSpage|64-2}}이와 같이 이 塔婆는 純全히 石材로써 造築된 것인만큼 石塔에는 틀림없으나 그러나 그 全體 樣式에 있어서는 우리가 一般히 가지고 있는 石塔의 概念과는 아주 다른 點이 있나니, 이는 마치 慶州 芬皇寺의 塔이 石材로써 造築된 것이라 하나 우리는 그것을 石塔으로서 부를 수 없고 樣式的으론 塼塔의 部類에 編入시키지 아니 할 수 없음과 같아서 이것도 石材를 使用하였달 뿐이지 樣式的으론 곧 純全한 木造 塔婆의 形式임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外形的 樣式뿐에서가 아니라 다시 그 造成 意態에서도 읽을 수 있는 點이니 例컨댄 그 石材의 架構築成의 手法이 다른 諸塔에서 볼 수 있음과 같은 秩序와 整頓이 있는 調用이아니요 아모런 統一 調節의 意思가 없이 다만 한 개의 樣式, ─即 傳來의 木造 塔婆의 樣式을 移模하여 그것을 再現하려함에 汲汲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換言하면 {{ruby|이것은|●●●}} {{ruby|石塔樣式이라는|●●●●●●●}} {{ruby|한|●}} {{ruby|개의|●●}} {{ruby|새로운|●●●}} {{ruby|樣式을|●●●}} {{ruby|내|●}} {{TagPage|65-1}}{{ruby|기|●}} {{ruby|爲한|●●}} {{ruby|創意의|●●●}} {{ruby|造型이|●●●}} {{ruby|아니요|●●●}} {{ruby|다만|●●}} {{ruby|舊來의|●●●}} {{ruby|樣式을|●●●}} {{ruby|忠實히|●●●}} {{ruby|다른|●●}} {{ruby|材料로써|●●●●}} ({{ruby|即|●}} {{ruby|朝鮮에|●●●}} {{ruby|가장|●●}} {{ruby|豊富한|●●●}} {{ruby|石材로서|●●●●}}) {{ruby|飜譯|●●}} ({{ruby|그것도|●●●}} {{ruby|直譯|●●}}) {{ruby|한데|●●}} {{ruby|지나지|●●●}} {{ruby|아니한|●●●}} {{ruby|純模倣的|●●●●}} {{ruby|意味에|●●●}} {{ruby|끝이는|●●●}} {{ruby|作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한 가지 問題되는 것은 木造 建物에서 볼 수 없는 屋裏의 層段形「발임」이지만 이것을 暫時 保留한다면 朝鮮 石塔으로서 木造 塔婆의 樣式을 가장 忠賞히 直譯하고 있는 塔婆는 이 外에 다시 없다. 그러므로 筆者는 樣式的 順次에 있어 이 塔을 爲先 第一位에 둔다.
|목차2원문4번= @
+
|목차2원문4번= {{TagSpage|65-2}}다음에 樣式的으로 이 彌勒塔과 가장 同一한 것으로 알려 있는 것으론 同 益山郡 王宮面 王宮坪에 있는 五重石塔이다.  지금 이 王宮坪塔의 樣式을 보면 第一로 注目되는 것은 그 土臺 樣式으로 그것은 周圍의 地盤에서 이 塔婆만을 爲하여 孤立된 土臺이요 또 이 塔의 重力과 重心의 保障을 爲하여 必要한 臺일 뿐더러 이것은 반드시 石壇 形式을 形成하였던 것으로 推測까지 되는 것이나 지금은 그 石材가 散逸되어 確定的으로 말할 수 없이 되어 있다. 다음에 屋身의 手法을 보건대 {{TagRef|2-3}}第一層屋身은 一面 三枚板石으로 方形이 짜여있으되(全體로는8個 長石으로 짜힌 것이 된다.) 四隅에 太細의 變化(即「엔터시스」)<ref>원문주석3</ref>가 없는 柱形이 彫出되어 있고 屋身엔 다시 1介 柱形이 삭여있어 全體로 二間壁의 意態를 表現하여 있다. 屋蓋石은 三層까지가 八枚板石으로 되어있고 四五層은 四枚板石으로 되어 있으며 三段層級의 「발임」은 各層이 面枚石으로 째여있다. 二層 以上의 屋身을 形成한 石片 數는 不一하나 一間壁을 表示함에 一致되어 있다.
|목차2원문5번= @
+
|목차2원문5번= {{TagSpage|65-3}}이제 우리가 이王宮坪塔과 彌勒塔과를 比較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그 屋蓋石의 形式과 層段「발임」의 類似에서 兩者의 氣魄이 同一함을 볼 수 있고 다시 그 外樣의 類似에서 世代(年代가 아니다)의 同一할 것이 推想된다. 實로 누가 否 {{TagPage|66-1}}定하랴 否定할 수 없는 樣式 感情의 類似를 본다. 이것이 누구나 이 兩塔을 時代的으로 同一視케 하는 가장 큰 特點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이 兩塔의 類似함을 우리는 認定할 수 있는 同時에 우리는 다시 이 兩塔 間의 差異를 볼 수 있다. 第一로 王宮坪塔은 彌勒塔에 없는 基壇의 性質에 屬할 높은 基臺를 가졌고, 第二로 初層屋身이 彌勒塔과 같이 木造 塔婆의 三間壁을 忠實히 形成한 것이 아니라 한 塊體로 略式的 凝結을 보였으되 二間의 區別은 實際 木造 塔婆의 構造的 意味를 떠났고, 第三으로 二層 以上의 屋身은 全혀 彌勒塔에서와 같은 끝까지 三間壁을 보이려는 誠意를 버리고 一間壁으로써 公約시켰으며, 第四로 屋身의 各 柱形이 彌勒塔에서와 같이 各個 獨立된 別石으로 忠實히 木造 建物의 柱形에서 볼 수 있는 「엔터시스」를 이루지 않고 壁面石의 끝에 簡單한 便化的 手法으로 柱形의 意態만 보였고, 第五로 屋蓋石과 屋身과의 連接部面의「괴임」이 彌勒塔에서와 같이 別石으로 結構되어 있음이 아니라 다만 便宜的인 造出로만 되었고, 第六으로 段形 「발임」이 上層으로 갈수록에 何等 그 數爻에 變化가 없을 뿐더러 彌勒塔에서는 三段「발임」이 一段과 二段의 區別, 四段「발임」이 二段과 二段의 分離가 있어 아주 統一 意識이 없는데 이 王宮坪塔은 三段이 一體로 凝結되어 形式化의 傾向이 있으며, 最終으로 石村의 利用이 王宮坪塔에선 제법 整齊된 秩序를 갖고 있다 하겠다.
 +
|목차2원문6번= {{TagSpage|66-2}}即 이 兩塔의 이러한 異同을 樣式的 見地에서 比較 評價하자면 彌勒塔과 王宮坪塔이 다같이 方形平面의 木造 塔婆 樣式의 再現 形式이면서 彌勒塔은 架構에 置重된 作品이요 王宮坪塔은 凝集結晶으로의 傾向을 보이기 시작한 作品이라 하겠다. 彌勒塔은 純架構的 建築的 階段에 머물러 있고 王宮坪塔은 凝集的 彫刻的 傾向으로 기울어져 있다. 彌勒塔 舊樣式(即 木造 塔婆 樣式)을 忠實히 再現하고 模倣하였기 때문에 全體로 形式上 破端을 보이지 아니한, 即 舊樣式의 末端에 가라앉은 無難된 形式이요, 王宮坪塔은 舊樣式의 羈縡으로부터 벗어나와 새로운 形式을 보이려다가 아직 보이지 {{TagPage|67-1}}못한─即 新形式의 始初에 올라서서 아주 그 理想의 達成을 얻지 못하여 많은 破端을 내인 難色의 作品이다.
 +
|목차2원문7번= {{TagSpage|67-2}}이리하여 王宮坪塔과 彌勒塔이 서로 같다 하나 같지 아니함을 본다. 같지 않다 하나 그 範疇가 또한 아주 다른 것도 아니다. 같지 않은 듯하되 같고, 같은 듯하되 같지 아니함은 結局에 있어 서로 같은 類型의 範疇에 屬하여, 하나는 樣式史的으로 그 上限에 處하여 있고 다른 하나는 그 下限에 處하여 있는 까닭이다. 이 兩限의 사이에는 勿論 歲月의 差란 것도 끼워있는 것이지만 이 歲月의 差라는것은 그러나 樣式論的으로 이 兩塔만의 比較에서는 나오지 아니하니 우리는 다시 第三의 作品을 끌어올 必要가 있다. 그것은 即 扶餘邑 南에 있는 大唐平百濟塔이란 것이다.
 +
|목차2원문8번= {{TagSpage|67-3}}大唐平百濟塔은 우리가 오히려 {{TagRef|2-4}}廢定林寺塔으로 부름이 나을 듯한 것이므로 해서<ref>원문주석4</ref> 앞으로는 定林塔이란 稱號로써 指稱하겠지만 이 亦 王宮塔과 같이 外樣만은 五重石塔에 屬하는 것이나 모든 手法 形式에 있어서는 一見 特異한 形態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爲先 單層基壇도 整然하거니와 基壇底臺石 아래 臺盤石이 끼여있음이 오히려 이 塔으로 하여금 時代를 疑心케 할 만한 用意周到處라 하겠다. 低平廣大한 單層基壇은 中間의 「벌임기둥」이 上促下寬의 形式을 이루었을 뿐으로, 左右 兩邊의 「벌임기둥」은 變化가 없고, 屋身은 全體로 一間 面壁을 構成하였으나 一面壁을 兩枚板石이 形成하고 隅柱는 「엔터시스」가 있는 別製石柱로 形成하고 있다. 第二層 以上의 屋身은 高가 極히 短促되어 隅柱에 特別한 收縮 變化(即 「엔터시스」)가 없이 處決되었으나 間壁의 處理는 初層屋身과 다름이 없고, 다만 四五層에 올라가서 屋身壁이 一石으로 되었을 뿐이다. 二層 以上의 屋身의 「괴임」은 勿論 別石으로 整然히 째워있다. 屋蓋石도 平薄廣大한 板石으로 規則整然하게 째여있으되 四隅轉角의 簷端裏面이 깎여 略干 들리는 듯한 感을 내었을 뿐, 全體는 直線的으로 뻗어 {{TagPage|68-1}}있고 屋蓋〿角은 四注隅棟形式의 突起가 제법 表現되어있다. 屋蓋石의「발임」은 彌勒塔이나 王宮坪塔에서와 같이 層段形「발임」이 아니요 長方橫石이 額枋兼平板枋의 意味로 一段 놓이고 그 위에 斜菱形長石이 包作橫面의 意味로 놓이었으니 이는 다른 塔에서 볼 수 없는 獨特한 手法이다. 屋蓋石 第四層까지 囲形으로 째여있고 第五層만이 田字形이며, 斜菱形「발임」도 初層과 二層이 九石, 三層四層이 四石, 五層이 一石으로 모두 整然히 째워있다. 우리는 이 塔에서 무엇보다도 그 石材 結合에 너무나 整頓됨을 보고 둘째로 그 「발임」의 特殊形式을 보고 셋째로 그 基壇의 成型的임을 본다. 即 이 塔은 무엇보다도 먼저 彌勒塔과 같이 純全한 木造 塔婆의 形式 그대로 充實히 再現한 것이 아니요 王宮坪塔과 같이 벌써 그 樣式을 公約시켜 써새로운 樣式의 産出을 꾀한 것으로 構式 發展史 上 이것은 彌勒塔에 다음 가는 것으로 設定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細部 手法으로 말하더라도 彌勒塔의 純「架構的」 築造 手法과 定林塔의 「精構的」 手法(例컨댄 定林塔의 斜菱形「발임」下의 長方石이 全體 四枚로 되었으되 全平面이 四分派된 田字形이라든지 口字形의 配置가 아니라 回形 配置로 서로 엇물리게 되었으니 前者「架構的」이라 形言한다면 後者는「結構的」이라 할 수 있다) 이 發生史的 差異를 또한 말한다 할 수 있다. 이 外에도 部分的 形式, 樣式的 手法 等에서 兩者의 先後를 立證할 要素를 많이 보나, 一一히 擧論치 아니하겠고 以下의 叙述을 따라 漸次 說明될 줄로 믿는다.
 +
|목차2원문9번= {{TagSpage|68-2}}그러면 爲先 定林塔이 樣式的으로 彌勒塔의 下風에 든다 하고 다음에 定林塔이 彌勒塔에 대한 順次的 距離와 王宮坪塔이 彌勒塔에 대한 順次的 距離와의 相互差는 어떠한 것일가─即 彌勒塔, 定林塔, 王宮坪塔, 三者의 樣式史的 順位의 問題이다. 이때 筆者는 樣式 發展史的으로보아 定林塔이 王宮坪塔보다 앞선 것으로, 따라서 이 三者의 順次를 定한다{{TagPage|69-1}}면 彌勒塔이 第一位, 定林塔이 第二位, 王宮坪塔이 第三位로 羅立케 된다. 이것은 어떠한 理由에서이냐─이것을 設明하기 爲하여 다음에 우리는 定林塔과 王宮坪塔과의 比較를 꾀하지 아니할 수 없다.
 +
|목차2원문10번= {{TagSpage|69-2}}우리는 이 兩者를 比較할제 무엇보다도 먼저 눈 띄는 것은 그 屋板石들의 平薄廣大한 類似點이지만 그보다도 屋蓋接式의 結構手法이 兩者가 全然 同一한 點이다. 即 九枚板石을 整然히 架構하여 있는 手法의 類似이니 다만 差異가 있다면 定林塔에선 四層까지 同一한 手法으로 되어있는데 王宮坪塔에선 三層까지로 되어있다. 이 架構의 手法은 번대 彌勒塔에서 發生한 것으로 彌勒塔의 四隅轉角石이 그냥 그대로 傅하여지고 中間의 많은 板石이 公約된 形式이니 王宮坪塔에서의 手法은 定林塔으로 아마 公約된 形式을 다시 더 한層 略化시킨 것으로 解釋된다. 定林塔과 王宮坪塔이 屋蓋 形式이 全혀 同一하면서 架構에 草略意思가 벌써 王宮塔에 現著하다. 그뿐 아니라 基壇의 異同은 問題할 수 없다손 치더라도 그래도 王宮坪塔에서의 地臺의 秀高함은 定林塔은 基壇의 低平함에 比하여 樣式史的 順位에 있어 뒤떨어짐을 暗示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屋身構成에있어 定林塔은 最終까지 整然한 架構로 되어 있지만 整頓되어 있지 않고 各層 各面이 不一하여 오직 全體의 外樣만을 要約하려는 意思가 濃厚하다. {{ruby|말하자면|●●●●}} {{ruby|定林塔은|●●●●}} {{ruby|彌勒塔의|●●●●}} {{ruby|架構的|●●●}} {{ruby|特質을|●●●}} {{ruby|最大公約數로|●●●●●●}} {{ruby|簡化하려하여|●●●●●●}} {{ruby|그에|●●}} {{ruby|成功하였고|●●●●●}} {{ruby|王宮坪塔은|●●●●●}} {{ruby|이|●}} {{ruby|架構形式의|●●●●●}} {{ruby|完結이라기보다|●●●●●●}} {{ruby|어떻게|●●●}} {{ruby|그곳에서|●●●●}} {{ruby|벗어나서|●●●●}} {{ruby|彫刻的인|●●●●}} {{ruby|凝集形式으로|●●●●●}} {{ruby|넘어설까를|●●●●●}} {{ruby|苦心한|●●●}} {{ruby|作品이라|●●●●}} {{ruby|하겠으니|●●●●}} 이 彫刻的인 意思의 萌芽는 그 塔身의 隅柱가 公式的으로 彫出되어 있는 것과 屋蓋 上部에 屋身 「괴임」이 彫出되어있는 點에서도 넉넉히 읽을 수 있는 點이다. 隅柱의 樣式만해도 定林塔에선 彈力的인 生氣를 띄웠고 王宮坪塔에선 便化的인 頹廢에 떨어졌다. 定林塔의 隅柱는 彌勒塔의 隅柱를 그대로 이어 받았고 王宮坪堵의 隅柱는 그것을 背叛하였다. 定林塔의 隅柱는 舊樣式에 젖어있고, {{TagPage|70-1}}
 +
|목차2원문11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2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3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4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5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6번= {{TagSpage|XXX}} {{TagPage|XXX}}
 +
|목차2원문17번= {{TagSpage|XXX}} {{TagPage|XXX}}
  
|목차2해독문1번= @
+
|목차2해독문1번= 1. 조선 석탑양식의 발생으로부터 그 정형의 성립까지<br/> (1) 조선 석탑양식의 발생사정과 그 시원양식들<br/>본고에서 누술한 바와 같이 조선의 탑파가 방형 목조 고루 건물에서 발족되었고 그 양식이 조선 탑파 양식의 근류를 이루고 있음을 볼 때 우리는 양식 발전의 순서상 목조 탑파 양식을 가장 충실히 구현하고 있는 유구에서 그 시대까지 고고한 것을 인정한다. 전고에서 조선 석탑파의 고고한 기록 예로 금관성 파사석탑이란 것과 고구려 영탑사의 석탑이란 것이 삼국유사에 나타나 있음을 말하였으나 현물이 있는 바 아니니 다시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며 현존한 작례 중 가장 고고한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는 것은 익산 용화산 아래에 있는 미륵사지의 석탑 뿐일까 한다.
|목차2해독문2번= @
+
|목차2해독문2번= 이 미륵사지의 유탑은 현금 조선에 남아있는 석탑으로선 가장 충실히 목조 탑파의 양식을 재현하고있는 유일의 것이니 지금은 동면(東面) 일각만이 남아 있고 다른 삼면은 거의 다 헐어졌을 뿐더러 층급도 육층의 동북 일각만이 남아있고 그 우가 모두 없어진 까닭에 형태는 매우 불완전한 것이나 그러나 탑의 양식은 이만으로써도 십분 이해할 수 있을만치 되어있다. 즉 제일로 주목되는 것은 특히 기단이라 할 만한 기단을 갖지 아니하고(탑파의 지반이 주위의 지평보다 높기는 하나 이것은 토대라 할 것에 끝이고 기단으로써 부를 만한 것은 못 된다.) 2, 3척 전후의 거리를 두고서 지산장석이 남아있음이요, 다음에 주목되는 것은 그 옥신의 경영이니 옥신은 일면이 삼간벽을 이루었으되 {{TagRefT|2-1}}「엔터시스」(Enthusis)」<ref group="a">원문주석1</ref>를 가진 장석주가 각형 초석 위에 각기 서 있고 삼간벽의 좌우양벽은 지복지방 위에선 소주 하나로 다시 연분되어 있으되 중앙구만은 미정광역(楣棖框閾)이 제법 모형된 통구가 있어 내부로 통로가 통케 되었으니 이 통문과 통로는 사방이 동일하였을 것으로 평면(Plan)에서 보자면 내부 중심에 사각형 석제 심주가 있어 이곳에서 정십자 통로가 교차되여 외부 사방으로 통케 된 형식이다. 다시 외벽의 렬주 상부에는 액방과 평판방이 놓여있고 그 위에 항간 소벽이 있어 다시 각형 삼단의 {{TagRefT|2-2}}층급형 「발임」<ref group="a">원문주석2</ref>이 있어 평박장대한 옥개석을 떠받고 있다. 옥개석은 전각의 첨단에서 다소 경쾌히 번앙되어있고 전각의 삼각 단면(Section)은 후대 신라의 제석탑에서와 같이 뚜렷한 예각첨단을 이루지 아니하였다. 제이층은 극히 단축된 삼간소벽이(간벽의 명구 안에는하층 좌우벽에서와 같은 소주가 있었는 모양이다) 장대석 「피임」 위에 놓여있어, 위로 삼단층급형 「발임」을 받고 이 「발임」으로써 옥개석을 또 받고 있다. 동일한 수법의 옥신과 옥개석이 중복되여 삼층사층 지우륙층하였으되 옥신 「괴임」의 장대석이 제삼층에서부터 중단으로 늘어있고 층단 「발임」 제오층으로부터 일단이 늘어있으니 이와 같이 탑신 「괴임」과 옥개석「발임」이 상층에서 증가한다는 것은 이 탑로서는 그 첨앙에 있어 고도의 조화를 얻기 위한 특별한 배안일 것이로되 필자는 다른 석탑에서 이와 같은 용의가 표현된 것을 보지 못하였다.
|목차2해독문3번= @
+
|목차2해독문3번= 이와 같이 이 탑파는 순전히 석재로써 조축된 것인만큼 석탑에는 틀림없으나 그러나 그 전체 양식에 있어서는 우리가 일반히 가지고 있는 석탑의 개념과는 아주 다른 점이 있나니, 이는 마치 경주 분황사의 탑이 석재로써 조축된 것이라 하나 우리는 그것을 석탑으로서 부를 수 없고 양식적으론 전탑의 부류에 편입시키지 아니 할 수 없음과 같아서 이것도 석재를 사용하였다 뿐이지 양식적으론 곧 순전한 목조 탑파의 형식임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외형적 양식 뿐에서가 아니라 다시 그 조성 의태에서도 읽을 수 있는 점이니 예컨대 그 석재의 가구축성의 수법이 다른 제탑에서 볼 수 있음과 같은 질서와 정돈이 있는 조용이아니요 아무런 통일 조절의 의사가 없이 다만 한 개의 양식, ─즉 전래의 목조 탑파의 양식을 이모하여 그것을 재현하려함에 급급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환언하면 {{ruby|이것은|●●●}} {{ruby|석탑양식이라는|●●●●●●●}} {{ruby|한|●}} {{ruby|개의|●●}} {{ruby|새로운|●●●}} {{ruby|양식을|●●●}} {{ruby|내|●}}{{ruby|기|●}} {{ruby|위한|●●}} {{ruby|창의의|●●●}} {{ruby|조형이|●●●}} {{ruby|아니요|●●●}} {{ruby|다만|●●}} {{ruby|구래의|●●●}} {{ruby|양식을|●●●}} {{ruby|충실히|●●●}} {{ruby|다른|●●}} {{ruby|재료로써|●●●●}} ({{ruby|즉|●}} {{ruby|조선에|●●●}} {{ruby|가장|●●}} {{ruby|풍부한|●●●}} {{ruby|석재로서|●●●●}}) {{ruby|번역|●●}} ({{ruby|그것도|●●●}} {{ruby|직역|●●}}) {{ruby|한데|●●}} {{ruby|지나지|●●●}} {{ruby|아니한|●●●}} {{ruby|순모방적|●●●●}} {{ruby|의미에|●●●}} {{ruby|끝이는|●●●}} {{ruby|작품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한가지 문제되는 것은 목조 건물에서 볼 수 없는 옥리의 층단형「발임」이지만 이것을 잠시 보류한다면 조선 석탑으로서 목조 탑파의 양식을 가장 충상히 직역하고 있는 탑파는 이 외에 다시 없다. 그러므로 필자는 양식적 순차에 있어 이 탑을 위선 제 1위에 둔다.
|목차2해독문4번= @
+
|목차2해독문4번= 다음에 양식적으로 이 미륵탑과 가장 동일한 것으로 알려 있는 것으론 같은 익산군 왕궁면 왕궁평에 있는 오중석탑이다.  지금 이 왕궁평탑의 양식을 보면 제일로 주목되는 것은 그 토대 양식으로 그것은 주위의 지반에서 이 탑파만을 위하여 고립된 토대이요 또 이 탑의 중력과 중심의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대일 뿐더러 이것은 반드시 석단 형식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추측까지 되는 것이나 지금은 그 석재가 산일되어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이 되어 있다. 다음에 옥신의 수법을 보건대 {{TagRefT|2-3}}제1층옥신은 일면 삼매판석으로 방형이 짜여있으되(전체로는 8개 장석으로 짜인 것이 된다.) 사우에 태세의 변화(즉「엔터시스」)<ref group="a">해독문주석3</ref>가 없는 주형이 조출되어 있고 옥신엔 다시 1개 주형이 삭여있어 전체로 이간벽의 의태를 표현하여 있다. 옥개석은 삼층까지가 팔매판석으로 되어있고 사오층은 사매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삼단층급의 「발임」은 각층이 면매석으로 째여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을 형성한 석편 수는 같지 않으나 일간벽을 표시함에 일치되어 있다.
|목차2해독문5번= @
+
|목차2해독문5번= 이제 우리가 이 왕궁평탑과 미륵탑을 비교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그 옥개석의 형식과 층단「발임」의 유사에서 양자의 기백이 동일함을 볼 수 있고 다시 그 외양의 유사에서 세대(연대가 아니다)의 동일할 것이 추상된다. 실로 누가 부정하랴 부정할 수 없는 양식 감정의 유사를 본다. 이것이 누구나 이 양탑을 시대적으로 동일시케 하는 가장 큰 특점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이 양탑의 유사함을 우리는 인정할 수 있는 동시에 우리는 다시 이 양탑 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제1로 왕궁평탑은 미륵탑에 없는 기단의 성질에 속할 높은 기대를 가졌고, 제2로 초층옥신이 미륵탑과 같이 목조 탑파의 삼간벽을 충실히 형성한 것이 아니라 한 괴체로 약식적 응결을 보였으되 이간의 구별은 실제 목조 탑파의 구조적 의미를 떠났고, 제3으로 이층 이상의 옥신은 전혀 미륵탑에서와 같은 끝까지 삼간벽을 보이려는 성의를 버리고 일간벽으로써 공약시켰으며, 제4로 옥신의 각 주형이 미륵탑에서와 같이 각개 독립된 별석으로 충실히 목조 건물의 주형에서 볼 수있는 「엔터시스」를 이루지 않고 벽면석의 끝에 간단한 편화적 수법으로 주형의 의태만 보였고, 제5로 옥개석과 옥신과의 연접부면의「괴임」이 미륵탑에서와 같이 별석으로 결구되어 있음이 아니라 다만 편의적인 조출로만 되었고, 제6으로 단형 「발임」이 상층으로 갈수록 하등 그 수효에 변화가 없을 뿐더러 미륵탑에서는 삼단「발임」이 일단과 이단의 구별, 사단「발임」이 이단과 이단의 분리가 있어 아주 통일 의식이 없는데 이 왕궁평탑은 삼단이 일체로 응결되어 형식화의 경향이 있으며, 최종으로 석촌의 이용이 왕궁평탑에선 제법 정제된 질서를 갖고 있다 하겠다.
 +
|목차2해독문6번= 즉 이 양탑의 이러한 이동을 양식적 견지에서 비교 평가하자면 미륵탑과 왕궁평탑이 다같이 방형평면의 목조 탑파 양식의 재현 형식이면서 미륵탑은 가구에 치중된 작품이요 왕궁평탑은 응집결정으로의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 작품이라 하겠다. 미륵탑은 순가구적 건축적 계단에 머물러 있고 왕궁평탑은 응집적 조각적 경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미륵탑 구양식(즉 목조 탑파 양식)을 충실히 재현하고 모방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형식상 파단을 보이지 아니한, 즉 구양식의 말단에 가라앉은 무난된 형식이요, 왕궁평탑은 구양식의 기재으로부터 벗어나와 새로운 형식을 보이려다가 아직 보이지 못한─즉 신형식의 시초에 올라서서 아주 그 이상의 달성을 얻지 못하여 많은 파단을 내인 난색의 작품이다.
 +
|목차2해독문7번= 이리하여 왕궁평탑과 미륵탑이 서로 같다 하나 같지 아니함을 본다. 같지 않다 하나 그 범주가 또한 아주 다른 것도 아니다. 같지 않은 듯하되 같고, 같은 듯하되 같지 아니함은 결국에 있어 서로 같은 유형의 범주에 속하여, 하나는 양식사적으로 그 상한에 처하여 있고 다른 하나는 그 하한에 처하여 있는 까닭이다. 이 양한의 사이에는 물론 세월의 차란 것도 끼워있는 것이지만 이 세월의 차라는것은 그러나 양식론적으로 이 양탑만의 비교에서는 나오지 아니하니 우리는 다시 제삼의 작품을 끌어올 필요가 있다. 그것은 즉 부여읍 남에 있는 대당평백제탑이란 것이다.
 +
|목차2해독문8번= 대당평백제탑은 우리가 오히려 {{TagRefT|2-4}}폐정림사탑으로 부름이 나을 듯한 것이므로 해서<ref group="a">해독문주석4</ref> 앞으로는 정림탑이란 칭호로써 지칭하겠지만 이 역 왕궁탑과 같이 외양만은 오중석탑에 속하는 것이나 모든 수법 형식에 있어서는 일견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우선 단층기단도 정연하거니와 기단저대석 아래 대반석이 끼여있음이 오히려 이 탑으로 하여금 시대를 의심케 할 만한 용의주도처라 하겠다. 저평광대한 단층기단은 중간의 「벌임기둥」이 상촉하관의 형식을 이루었을 뿐으로, 좌우 양변의 「벌임기둥」은 변화가 없고, 옥신은 전체로 일간 면벽을 구성하였으나 일면벽을 량매판석이 형성하고 우주는 「엔터시스」가 있는 별제석주로 형성하고 있다. 제이층 이상의 옥신은 고가 극히 단촉되어 우주에 특별한 수축 변화(즉 「엔터시스」)가 없이 처결되었으나 간벽의 처리는 초층옥신과 다름이 없고, 다만 사오층에 올라가서 옥신벽이 일석으로 되었을 뿐이다. 이층 이상의 옥신의 「괴임」은 물론 별석으로 정연히 째워있다. 옥개석도 평박광대한 판석으로 규칙정연하게 째여있으되 사우전각의 첨단리면이 깎여약간 들리는 듯한 감을 내었을 뿐, 전체는 직선적으로 뻗어있고 옥개〿각은 사주우동형식의 돌기가 제법 표현되어있다. 옥개석의 「발임」은 미륵탑이나 왕궁평탑에서와 같이 층단형「발임」이 아니요 장방횡석이 액방겸평판방의 의미로 일단 놓이고 그 위에 사릉형 장석이 포작횡면의 의미로 놓이었으니 이는 다른 탑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수법이다. 옥개석 제사층까지 위형으로 째여있고 제오층만이 전자형이며, 사릉형「발임」도 초층과 이층이 구석, 삼층사층이 사석, 오층이 일석으로 모두 정연히 째워있다. 우리는 이 탑에서 무엇보다도 그 석재 결합에 너무나 정돈됨을 보고 둘째로 그 「발임」의 특수형식을 보고 셋째로 그 기단의 성형적임을 본다. 즉 이 탑은 무엇보다도 먼저 미륵탑과 같이 순전한 목조 탑파의 형식 그대로 충실히 재현한 것이 아니요 왕궁평탑과 같이 벌써 그 양식을 공약시켜 써새로운 양식의 산출을 꾀한 것으로 구식 발전사 상 이것은 미륵탑에 다음 가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세부 수법으로 말하더라도 미륵탑의 순「가구적」 축조 수법과 정림탑의 「정구적」 수법(예컨대 정림탑의 사릉형「발임」하의 장방석이 전체 사매로 되었으되 전평면이 사분파된 전자형이라든지 구자형의 배치가 아니라 회형 배치로 서로 엇물리게 되었으니 전자「가구적」이라 형언한다면 후자는「결구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발생사적 차이를 또한 말한다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부분적 형식, 양식적 수법 등에서 량자의 선후를 입증할 요소를 많이 보나, 일일히 거론치 아니하겠고 이하의 서술을 따라 점차 설명될 줄로 믿는다.
 +
|목차2해독문9번= 그러면 우선 정림탑이 양식적으로 미륵탑의 하풍에 든다 하고 다음에 정림탑이 미륵탑에 대한 순차적 거리와 왕궁평탑이 미륵탑에 대한 순차적 거리와의 상호차는 어떠한 것일가─즉 미륵탑, 정림탑, 왕궁평탑, 삼자의 양식사적 순위의 문제이다. 이때 필자는 양식 발전사적으로보아 정림탑이 왕궁평탑보다 앞선 것으로, 따라서 이 삼자의 순차를 정한다면 미륵탑이 제1위, 정림탑이 제2위, 왕궁평탑이 제3위로 나립하게 된다. 이것은 어떠한 이유에서이냐─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에 우리는 정림탑과 왕궁평탑과의 비교를 꾀하지 아니할 수 없다.
 +
|목차2해독문10번= 우리는 이 양자를 비교할제 무엇보다도 먼저 눈 띄는 것은 그 옥판석들의 평박광대한 유사점이지만 그보다도 옥개접식의 결구수법이 양자가 전연 동일한 점이다. 즉 구매판석을 정연히 가구하여 있는 수법의 유사이니 다만 차이가 있다면 정림탑에선 사층까지 동일한 수법으로 되어있는데 왕궁평탑에선 삼층까지로 되어있다. 이 가구의 수법은 번대 미륵탑에서 발생한 것으로 미륵탑의 사수전각석이 그냥 그대로 부여지고 중간의 많은 판석이 공약된 형식이니 왕궁평탑에서의 수법은 정림탑으로 아마 공약된 형식을 다시 더 한층 약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정림탑과 왕궁평탑이 옥개 형식이 전혀 동일하면서 가구에 초약의식가 벌써 왕궁탑에 현저하다. 그 뿐 아니라 기단의 이동은 문제할 수 없다고 치더라도 그래도 왕궁평탑에서의 지대의 수고함은 정림탑은 기단의 저평함에 비하여 양식사적 순위에 있어 뒤떨어짐을 암시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옥신구성에있어 정림탑은 최종까지 정연한 가구로 되어 있지만 정돈되어 있지 않고 각층 각면이 불일하여 오직 전체의 외양만을 요약하려는 의사가 농후하다. {{ruby|말하자면|●●●●}} {{ruby|정림탑은|●●●●}} {{ruby|미륵탑의|●●●●}} {{ruby|가구적|●●●}} {{ruby|특질을|●●●}} {{ruby|최대공약수로|●●●●●●}} {{ruby|간화하려하여|●●●●●●}} {{ruby|그에|●●}} {{ruby|성공하였고|●●●●●}} {{ruby|왕궁평탑은|●●●●●}} {{ruby|이|●}} {{ruby|가구형식의|●●●●●}} {{ruby|완결이라기보다|●●●●●●}} {{ruby|어떻게|●●●}} {{ruby|그곳에서|●●●●}} {{ruby|벗어나서|●●●●}} {{ruby|조각적인|●●●●}} {{ruby|응집형식으로|●●●●●}} {{ruby|넘어설까를|●●●●●}} {{ruby|고심한|●●●}} {{ruby|작품이라|●●●●}} {{ruby|하겠으니|●●●●}} 이 조각적인 의사의 맹아는 그 탑신의 유주가 공식적으로 조출되어 있는 것과 옥개 상부에 옥신 「괴임」이 조출되어있는 점에서도 넉넉히 읽을 수 있는 점이다. 유주의 양식만해도 정림탑에선 탄력적인 생기를 띄웠고 왕궁평탑에선 편화적인 퇴폐에 떨어졌다. 정림탑의 유주는 미륵탑의 유주를 그대로 이어 받았고 왕궁평두의 유주는 그것을 배반하였다. 정림탑의 유주는 구양식에 젖어있고,
 +
|목차2해독문11번=
 
}}
 
}}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상단이동|페이지={{PAGENAME}}}}

2024년 11월 23일 (토) 15:48 판

진단학보 원고(Article) 목록으로 이동하기 XML 문서 다운받기

조선탑파의 연구(2)
Icon article.png
출처 :
 
원제목 朝鮮塔婆의 硏究(二) 학술지 진단학보 수록권호 @ 발행기관 진단학회
저자 @ 역자 @ 집필일자 @ 게재연월 @
시작쪽 59쪽 종료쪽 99쪽 전체쪽 41쪽 연재여부 연재 범주 논문 분야 역사학



항목

차례


해제 목차 본문 데이터 주석




해제


내용을 입력합니다.@




목차







본문


본문1: 三. 石造婆塔


필자는 전고의 제 1항에서 조선의 목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고, 제 2항에서 조선의 전조 탑파 건물을 말하였다. 다시 이어 이곳에서 조선의 석조 탑파를 말하려 하거니와, 전고와 이 속고와의 사이엔 어언 1년 이상 근 2년이란 간격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기간인 듯하나 그 간에 부여군 내의 읍군수리와 규암면외리에서는 희귀한 백제 사적이 발굴되어 학계의 일경이틀 끼친 중, 특히 군수리사지에선 목조탑파의 기지와 불보살의 발견이 있어, 조선에 흔치 아니한 현대문주1▶목조 탑파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 바 있었고[a 1], 작년 11월 중순에 들어 필자가 경주에 놀다가 그곳 동호의 모우로부터 칠곡 동명송림사에서 괴조 5중탑을 목도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전조 탑파에도 자료가 늘어가는 것을 느낄 때, 졸고의 이 발표가 너무 급하지 아니하였던가 하고 후회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석탑의 문제에 관하여서도 그 자료를 충분히 내 마음껏 수집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시일을 기다린다 해도 돌연한 세월만 보낼 뿐이요 소망의 완전한 수집이 기필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 미더움이 넓어지니 불충분한 현상대로나마 소견의 정도를 피력하자는 것이다.
쪽수▶P59筆者는 前稿의 第一項에서 朝鮮의 木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고, 第二項에서 朝鮮의 塼造 塔婆 建物을 말하였다. 다시 이여 이곳에서 朝鮮의 石造 塔婆를 말하려 하거니와, 前稿와 이 續稿와의 사이엔 於焉 1年 以上 近 2年이란 間隔이 생겨, 생각하면 짧은 期間인 듯하나 그 간에 扶餘郡 內의 邑軍守里와 窺岩面外里에서는 稀貴한 百濟 寺跡이 發掘되여 學界의 一驚異틀 끼친 中, 特히 軍守里寺址예선 木造 塔婆의 基地와 佛菩薩의 發見이 있어, 朝鮮에 흔치 아니한 원문주1▶ 木造 塔婆 研究에 一新資料를 提供한 바 있었고[1], 昨年 11月 中旬에 들어 筆者가 慶州에 놀다가 그곳 同好의 某友로부터 漆谷 東明松林寺에서 壞造 5重塔을 目睹하였다는 逍息을 듣고 塼造 塔婆에도 資料가 불어가는 것을 느낄 때, 拙稿의 이 發表가 너무 急하지 아니하였던가하고 後悔도 하여보았으며, 또다시 내가 이곳에 쓰고 있는 石塔의 問題에 關하여서도 그 資料를 充分히 내 마음껏 蒐集하였다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앞으로 時日을 기다린대야 突然한 歲月만 보낼 뿐이요 所望의 完全한 蒐集이 期必되리라고는 날이 갈수록에 믿어움이 넓어지매 不充分한 現狀대로나마 所見의 程度를 披攊 ▶P60-1하자는 것이다.
전고에서 나는 조선 석탑의 발생 원인으로, 1. 건축 재료의 생산 경제의 관계, 2. 수법공기의 난역 문제, 3. 원성공납의 시급 문제, 4. 보존시일의 장구영속 문제 등, 제반 외면적 이유를 나열하였지만, 이러한 외면적 동기 이외에 다시 그 내면적 동기를 보더라도 우선 현대문주2▶교리상, 대소와 및 재료에 하등의 제한과 차별이 없었던 듯하며[a 2], 또 조형적 의미에서 보더라도 탑파는 요컨댄 현대문주3▶『封樹遺靈 扁針法藏 冀表河砂之德 庶酬塵却之勢』[a 3]키 위한 기념적 건물(Monumentalische Architektur)이라 인도 자체에 있어서도 원시 탑파는 모두 내부가 충새된 괴체 건물(Massen Bau)임을 볼때 내새된 괴체 건물의 양식을 필경코 잡고 나선 조선의 석탑이야말로 결국은 원의의 탑파로 회귀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점에서도 내새된 괴체로서의 석조 탑파(이곳에 내새이라함은 내실 양식의 공간을 갖지 아니한 것을 뜻함이니 사리를 양숭키 위한 탑신의 망혈은 문제가 아니다)가 성행될 원인이 있다 하겠다. 물론 이 점만은 혹 독자─있어 조선 석탑의 발생 원인도 될 수 없거니와 촉진시킨 근기도 될 수 없다고 반대할 사람이 있으리라. 그 반대의 이유는 반드시 이러하리라─현대문주4▶즉 조선의 일반 석탑이 그 결과에 있어선 비록 내새된 괴체 건물이라하나 그 외양에 나타난 전반적 특색은 끝끝내 내공 형식을 고집한 [a 4] 중화 전통의 목조 탑파 양식을 모방함에 급급하여 심지어 탑신의 문호헌창의 조식까지도 이러한 의욕을 표시하여있고, 인도고탑의, 사실로 내새된 괴체 양식이란 승려의 묘탑 형식(특히 석종형식) 이외에 조선의 일반 석탑에선 볼 수 없는 점이 아니냐고─물론 이것은 사실다운 이유일 뿐 아니라 필자 역시 지실하고 있는 바이며, 필자가 또 조선 석탑의 출발을 짓고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는 곡산의 폐미륵사 석탑까지도 진실로 곧 내공된 목조 탑파 양식을 그대로 직역하고 있는 것으로 이 사실에 하등 반대는 없으나, 그렇다고 하여 이것이 조선 석탑의 발생의 동기, 촉진의 동기가 아니 되었으리라고도 반대할 수 없는 것으로 믿나니, 왜 그러냐하면 조선 석탑파가 사실에 있어 저 내공된 목조 탑파의 형식을 재현함에서 출발하였고, 또 재현함에서 발전되었다 하더라도 탑파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사회적 성격이라든지 교리상 내면적 성격이라든지 작가의 의식 무의식 내지 요구 불요구를 무시하고 조형적인 것으로의 예술 유형상, 탑파는 한 개의 "기념적인 것"에 뻔한 것이고 보며, 시대가 의식했건 못했건 예술적 원칙이 그곳에도 있었던 것으로 인정치 아니할 수 없는 까닭이다. 탑파가 고도로 높아지는 것도 교리상으론 "적취의 공덕"의 소치라 설명할 수 있겠지만, 예술 원 칙으로 말하면 그것이 "기념적인 것"인 까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보면 탑파나 Obalisque나 Pyramid나 기공비 등이 다름이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해서 목조 탑파에서 석조 탑파로 넘어가매 그 필연성을 볼 수 있는 것이요 (전조 탑파로 넘어버리지 못한 것은 오직 생산경제 관계로 돌릴 수 있다)석조 탑파로 넘고보매 다시 내새된 괴체 건물로 급변될 수 있는 것도 이해되는 것이라 하겠다.
쪽수▶P60-2前稿에서 나는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으로, 一曰 建築 材料의 生産 經濟의 關係, 二曰 手法工技의 難易 問題, 三曰 願成供納의 時急 問題, 四曰 保存時日의 長久永續 問題 等, 諸般 外面的 理由를 羅列하였지만, 이러한 外面的 動機 以外에 다시 그 內面的 動機를 보더라도 爲先 원문주2▶敎理上, 大小와 및 材料에 何等의 制限과 差別이 없었던 듯하며 [2], 또 造型的 意味에서 보더라도 塔婆는 要컨댄 원문주3▶『封樹遺靈 扁針法藏 冀表河砂之德 庶酬塵却之勢』[3]키 爲한 記念的 建物(Monumentalische Architektur)이라 印度 自體에 있어서도 原始 塔婆는 모두 內部가 充塞된 塊體 建物(Massen Bau)임을 볼때 內塞된 塊體 建物의 樣式을 畢竟코 잡고 나선 朝鮮의 石塔이야말로 結局은 原意의 塔婆로 回歸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即 이 點에서도 內塞된 塊體로서의 石造 塔婆(이곳에 內塞이라함은 內室 樣式의 空間을 갖지 아니한 것을 뜻함이니 舍利를 兩菘키 爲한 塔身의 蟒穴은 問題가 아니다)가 盛行될 原因이 있다 하겠다. 勿論 이 點만은 혹 讀者─있어 朝鮮 石塔의 發生 原因도 될 수 없거니와 促進시킨 根機도 될 수 없다고 反對할 사람이 있으리라. 그 反對의 理由는 반드시 이러하리라─원문주4▶卽 朝鮮의 一般 石塔이 그 結果에 있어선 비록 內塞된 塊體 建物이라하나 그 外樣에 나타난 全般的 特色은 끝끝내 內空 形式을 固執한 [4] 中華 傳統의 木造 塔婆 樣式을 模倣함에 汲汲하여 甚至於 塔身의 門戶櫶窓의 彫飾까지도 이러한 意欲을 表示하여있고, 印度古塔의, 事實로 內塞된 塊體 樣式이란 僧侶의 墓塔 形式(特히 石鍾形式) 以外에 朝鮮의 一般 石塔에선 볼 수 없는 點이 아니냐고─勿論 이것은 事實다운 理由일 뿐 아니라 筆者 역시 知悉하고 있는 바이며, 筆者가 또 朝鮮 石塔의 出發을 짓고 있는 것으로 認定하고 있는 谷山의 廢彌勒寺 石塔까지도 眞實로 곧 內空된 木造 塔婆 樣式을 그대로 直譯하고 있는 것이매 이 事實에 何等 反對는 없으나, 그렇다고하여 이것이 朝鮮 石塔의 發生의 動機, 促進의 動機가 아▶P61-1니 되었으리라고도 反對할 수 없는 것으로 믿나니, 왜 그러냐하면 朝鮮 石塔婆가 事實에 있어 저 內空된 木造 塔婆의 形式을 再現함에서 出發하였고, 또 再現함에서 發展되었다 하더라도 塔婆 그 自體가 가지고 있는 歷史的 社會的 性格이라든지 敎理上 內面的 性格이라든지 作家의 意識 無意識 乃至 要求 不要求를 無視하고 造型的인 것으로의 藝術 類型上, 塔婆는 한 개의 "記念的인 것"에 뻔한 것이고 보매, 時代가 意識했건 못했건 藝術的 原則이 그곳에도 있었는 것으로 認定치 아니할 수 없는 까닭이다. 塔婆가 高度로 높아지는 것도 敎理上으론 "積聚의 功德"의 所致라 說明할 수 있겠지만, 藝術 原 則으로 말하면 그것이 "記念的인 것"인 까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點에서 볼제 塔婆나 Obalisque나 Pyramid나 紀功碑 等이 다름이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해서 木造 塔婆에서 石造 塔婆로 넘어가매 그 必然性을 볼 수 있는 것이요 (塼造 塔婆로 넘어버리지 못한 것은 오직 生産經濟 關係로 돌릴 수 있다)石造 塔婆로 넘고보매 다시 內塞된 塊體 建物로 急變될 수 있는 것도 理解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리하여 조선 석탑파는 발생되었고 또 발전되었으니, 그러면 어떠한 양식적 계열을 이룸으로써 전개되었는가를 우리는 이로부터 장을 바꾸어 고찰할까 한다.
쪽수▶P61-2이리하여 朝鮮 石塔婆는 發生되었고 또 發展되었나니, 그러면 어떠한 樣式的 系列을 이룸으로써 展開되었는가를 우리는 이로부터 章을 바꾸어 考察할까한다.
@이미지
쪽수▶P62이미지



































본문2: 1-1.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事情과 그 始源樣式들


1. 조선 석탑양식의 발생으로부터 그 정형의 성립까지
(1) 조선 석탑양식의 발생사정과 그 시원양식들
본고에서 누술한 바와 같이 조선의 탑파가 방형 목조 고루 건물에서 발족되었고 그 양식이 조선 탑파 양식의 근류를 이루고 있음을 볼 때 우리는 양식 발전의 순서상 목조 탑파 양식을 가장 충실히 구현하고 있는 유구에서 그 시대까지 고고한 것을 인정한다. 전고에서 조선 석탑파의 고고한 기록 예로 금관성 파사석탑이란 것과 고구려 영탑사의 석탑이란 것이 삼국유사에 나타나 있음을 말하였으나 현물이 있는 바 아니니 다시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며 현존한 작례 중 가장 고고한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는 것은 익산 용화산 아래에 있는 미륵사지의 석탑 뿐일까 한다.
쪽수▶P63-1一.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으로부터 그 定型의 成立까지
(1) 朝鮮 石塔樣式의 發生事情과 그 始源樣式들
本稿에서 累述한 바와 같이 朝鮮의 塔婆가 方形 木造 高樓 建物에서 發足되었고 그 樣式이 朝鮮 塔婆 樣式의 根流를 이루고 있음을 볼 때 우리는 樣式 發展의 順序上 木造 塔婆 樣式을 가장 忠實히 具顯하고 있는 遺構에서 그 時代까지 高古한 것을 認定한다. 前稿에서 朝鮮 石塔婆의 高古한 記錄 例로 金官城 婆娑石塔이란 것과 高句麗 靈塔寺의 石塔이란 것이 三國遺事에 나타나 있음을 말하였으나 現物이 있는 바 아니니 다시 무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며 現存한 作例 中 가장 高古한 作品으로 定立시킬 수 있는 것은 益山 龍華山 下에 있는 彌勒寺址의 石塔 뿐일까 한다.
이 미륵사지의 유탑은 현금 조선에 남아있는 석탑으로선 가장 충실히 목조 탑파의 양식을 재현하고있는 유일의 것이니 지금은 동면(東面) 일각만이 남아 있고 다른 삼면은 거의 다 헐어졌을 뿐더러 층급도 육층의 동북 일각만이 남아있고 그 우가 모두 없어진 까닭에 형태는 매우 불완전한 것이나 그러나 탑의 양식은 이만으로써도 십분 이해할 수 있을만치 되어있다. 즉 제일로 주목되는 것은 특히 기단이라 할 만한 기단을 갖지 아니하고(탑파의 지반이 주위의 지평보다 높기는 하나 이것은 토대라 할 것에 끝이고 기단으로써 부를 만한 것은 못 된다.) 2, 3척 전후의 거리를 두고서 지산장석이 남아있음이요, 다음에 주목되는 것은 그 옥신의 경영이니 옥신은 일면이 삼간벽을 이루었으되 현대문주2-1▶「엔터시스」(Enthusis)」[a 5]를 가진 장석주가 각형 초석 위에 각기 서 있고 삼간벽의 좌우양벽은 지복지방 위에선 소주 하나로 다시 연분되어 있으되 중앙구만은 미정광역(楣棖框閾)이 제법 모형된 통구가 있어 내부로 통로가 통케 되었으니 이 통문과 통로는 사방이 동일하였을 것으로 평면(Plan)에서 보자면 내부 중심에 사각형 석제 심주가 있어 이곳에서 정십자 통로가 교차되여 외부 사방으로 통케 된 형식이다. 다시 외벽의 렬주 상부에는 액방과 평판방이 놓여있고 그 위에 항간 소벽이 있어 다시 각형 삼단의 현대문주2-2▶층급형 「발임」[a 6]이 있어 평박장대한 옥개석을 떠받고 있다. 옥개석은 전각의 첨단에서 다소 경쾌히 번앙되어있고 전각의 삼각 단면(Section)은 후대 신라의 제석탑에서와 같이 뚜렷한 예각첨단을 이루지 아니하였다. 제이층은 극히 단축된 삼간소벽이(간벽의 명구 안에는하층 좌우벽에서와 같은 소주가 있었는 모양이다) 장대석 「피임」 위에 놓여있어, 위로 삼단층급형 「발임」을 받고 이 「발임」으로써 옥개석을 또 받고 있다. 동일한 수법의 옥신과 옥개석이 중복되여 삼층사층 지우륙층하였으되 옥신 「괴임」의 장대석이 제삼층에서부터 중단으로 늘어있고 층단 「발임」 제오층으로부터 일단이 늘어있으니 이와 같이 탑신 「괴임」과 옥개석「발임」이 상층에서 증가한다는 것은 이 탑로서는 그 첨앙에 있어 고도의 조화를 얻기 위한 특별한 배안일 것이로되 필자는 다른 석탑에서 이와 같은 용의가 표현된 것을 보지 못하였다.
쪽수▶P63-2이 彌勒寺址의 遺塔은 現今 朝鮮에 남아있는 石塔으로선 가장 忠實히 木造 塔婆의 樣式을 再現하고있는 唯一의 것이니 지금은 東面 一角만이 남아 있고 다른 三面은 거의 다 헐어졌을 뿐더러 層級도 六層의 東北 一角만이 남아있고 그 우가 모두 없어진 까닭에 形態는 매우 不完全한 것이나 그러나 塔의 樣式은 이만으로써도 十分 理解할 수 있을만치 되어있다. 即 第一로 注目되는 것은 特히 基壇이라 할 만한 基壇을 갖지 아니하고(塔婆의 地盤이 周圍의 地平보다 높기는 하나 이것은 토대라 할 것에 끝이고 基壇으로써 부를 만한 것은 못 된다.) 2, 3尺 前後의 距離를 두고서 地産長石이 남아있음이요, 다음에 注目되는 것은 그 屋身의 經營이니 屋身은 一面이 三間壁을 이루었으되 원문주2-1▶「엔터시스」(Enthusis)」[5]를 가진 長石柱가 角形 礎石 위에 각기 서 있고 三間壁의 左右兩壁은 地覆地枋 위에선 一小柱로 다시 烟分되어 있으되 中央區만은 楣棖框閾이 제법 模型된 通口가 있어 內部로 通路가 通케 되었으니 이 通門과 通路는 四方이 同一하였을 것으로 平面(Plan)에서 보자면 內部 中心에 四角形 石製 心柱가 있어 이곳에서 正十 ▶P64-1字 通路가 交叉되여 外部 四方으로 通케 된 形式이다. 다시 外壁의 列柱 上部에는 額枋과 平板枋이 놓여있고 그 위에 桁間 小壁이 있어 다시 角形 三段의 원문주2-2▶層級形 「발임」[6]이 있어 平薄長大한 屋蓋石을 떠받고 있다. 屋蓋石은 轉角의 尖端에서 多小 輕快히 翻仰되어있고 轉角의 三角 斷面(Section)은 後代 新羅의 諸石塔에서와 같이 뚜렷한 銳角尖端을 이루지 아니하였다. 第二層은 極히 短縮된 三間小壁이(間壁의 名區 안에는下層 左右壁에서와 같은 小柱가 있었는 모양이다) 長臺石 「피임」 위에 놓여있어, 위로 三段層級形 「발임」을 받고 이 「발임」으로써 屋蓋石을 또 받고 있다. 同一한 手法의 屋身과 屋蓋石이 重覆되여 三層四層 至于六層하였으되 屋身 「괴임」의 長臺石이 第三層에서부터 重段으로 늘어있고 層段 「발임」 第五層으로부터 一段이 늘어있으니 이와 같이 塔身 「괴임」과 屋蓋石「발임」이 上層에서 增加한다는 것은 이 塔로서는 그 瞻仰에 있어 高度의 調和를 얻기 爲한 特別한 配案일 것이로되 筆者는 다른 石塔에서 이와 같은 用意가 表現된 것을 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이 탑파는 순전히 석재로써 조축된 것인만큼 석탑에는 틀림없으나 그러나 그 전체 양식에 있어서는 우리가 일반히 가지고 있는 석탑의 개념과는 아주 다른 점이 있나니, 이는 마치 경주 분황사의 탑이 석재로써 조축된 것이라 하나 우리는 그것을 석탑으로서 부를 수 없고 양식적으론 전탑의 부류에 편입시키지 아니 할 수 없음과 같아서 이것도 석재를 사용하였다 뿐이지 양식적으론 곧 순전한 목조 탑파의 형식임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외형적 양식 뿐에서가 아니라 다시 그 조성 의태에서도 읽을 수 있는 점이니 예컨대 그 석재의 가구축성의 수법이 다른 제탑에서 볼 수 있음과 같은 질서와 정돈이 있는 조용이아니요 아무런 통일 조절의 의사가 없이 다만 한 개의 양식, ─즉 전래의 목조 탑파의 양식을 이모하여 그것을 재현하려함에 급급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환언하면 이것은(●●●) 석탑양식이라는(●●●●●●●) () 개의(●●) 새로운(●●●) 양식을(●●●) ()() 위한(●●) 창의의(●●●) 조형이(●●●) 아니요(●●●) 다만(●●) 구래의(●●●) 양식을(●●●) 충실히(●●●) 다른(●●) 재료로써(●●●●) (() 조선에(●●●) 가장(●●) 풍부한(●●●) 석재로서(●●●●)) 번역(●●) (그것도(●●●) 직역(●●)) 한데(●●) 지나지(●●●) 아니한(●●●) 순모방적(●●●●) 의미에(●●●) 끝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한가지 문제되는 것은 목조 건물에서 볼 수 없는 옥리의 층단형「발임」이지만 이것을 잠시 보류한다면 조선 석탑으로서 목조 탑파의 양식을 가장 충상히 직역하고 있는 탑파는 이 외에 다시 없다. 그러므로 필자는 양식적 순차에 있어 이 탑을 위선 제 1위에 둔다.
쪽수▶P64-2이와 같이 이 塔婆는 純全히 石材로써 造築된 것인만큼 石塔에는 틀림없으나 그러나 그 全體 樣式에 있어서는 우리가 一般히 가지고 있는 石塔의 概念과는 아주 다른 點이 있나니, 이는 마치 慶州 芬皇寺의 塔이 石材로써 造築된 것이라 하나 우리는 그것을 石塔으로서 부를 수 없고 樣式的으론 塼塔의 部類에 編入시키지 아니 할 수 없음과 같아서 이것도 石材를 使用하였달 뿐이지 樣式的으론 곧 純全한 木造 塔婆의 形式임을 느끼게 한다. 이것은 外形的 樣式뿐에서가 아니라 다시 그 造成 意態에서도 읽을 수 있는 點이니 例컨댄 그 石材의 架構築成의 手法이 다른 諸塔에서 볼 수 있음과 같은 秩序와 整頓이 있는 調用이아니요 아모런 統一 調節의 意思가 없이 다만 한 개의 樣式, ─即 傳來의 木造 塔婆의 樣式을 移模하여 그것을 再現하려함에 汲汲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換言하면 이것은(●●●) 石塔樣式이라는(●●●●●●●) () 개의(●●) 새로운(●●●) 樣式을(●●●) () ▶P65-1() 爲한(●●) 創意의(●●●) 造型이(●●●) 아니요(●●●) 다만(●●) 舊來의(●●●) 樣式을(●●●) 忠實히(●●●) 다른(●●) 材料로써(●●●●) (() 朝鮮에(●●●) 가장(●●) 豊富한(●●●) 石材로서(●●●●)) 飜譯(●●) (그것도(●●●) 直譯(●●)) 한데(●●) 지나지(●●●) 아니한(●●●) 純模倣的(●●●●) 意味에(●●●) 끝이는(●●●) 作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한 가지 問題되는 것은 木造 建物에서 볼 수 없는 屋裏의 層段形「발임」이지만 이것을 暫時 保留한다면 朝鮮 石塔으로서 木造 塔婆의 樣式을 가장 忠賞히 直譯하고 있는 塔婆는 이 外에 다시 없다. 그러므로 筆者는 樣式的 順次에 있어 이 塔을 爲先 第一位에 둔다.
다음에 양식적으로 이 미륵탑과 가장 동일한 것으로 알려 있는 것으론 같은 익산군 왕궁면 왕궁평에 있는 오중석탑이다. 지금 이 왕궁평탑의 양식을 보면 제일로 주목되는 것은 그 토대 양식으로 그것은 주위의 지반에서 이 탑파만을 위하여 고립된 토대이요 또 이 탑의 중력과 중심의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대일 뿐더러 이것은 반드시 석단 형식을 형성하였던 것으로 추측까지 되는 것이나 지금은 그 석재가 산일되어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이 되어 있다. 다음에 옥신의 수법을 보건대 현대문주2-3▶제1층옥신은 일면 삼매판석으로 방형이 짜여있으되(전체로는 8개 장석으로 짜인 것이 된다.) 사우에 태세의 변화(즉「엔터시스」)[a 7]가 없는 주형이 조출되어 있고 옥신엔 다시 1개 주형이 삭여있어 전체로 이간벽의 의태를 표현하여 있다. 옥개석은 삼층까지가 팔매판석으로 되어있고 사오층은 사매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삼단층급의 「발임」은 각층이 면매석으로 째여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을 형성한 석편 수는 같지 않으나 일간벽을 표시함에 일치되어 있다.
쪽수▶P65-2다음에 樣式的으로 이 彌勒塔과 가장 同一한 것으로 알려 있는 것으론 同 益山郡 王宮面 王宮坪에 있는 五重石塔이다. 지금 이 王宮坪塔의 樣式을 보면 第一로 注目되는 것은 그 土臺 樣式으로 그것은 周圍의 地盤에서 이 塔婆만을 爲하여 孤立된 土臺이요 또 이 塔의 重力과 重心의 保障을 爲하여 必要한 臺일 뿐더러 이것은 반드시 石壇 形式을 形成하였던 것으로 推測까지 되는 것이나 지금은 그 石材가 散逸되어 確定的으로 말할 수 없이 되어 있다. 다음에 屋身의 手法을 보건대 원문주2-3▶第一層屋身은 一面 三枚板石으로 方形이 짜여있으되(全體로는8個 長石으로 짜힌 것이 된다.) 四隅에 太細의 變化(即「엔터시스」)[7]가 없는 柱形이 彫出되어 있고 屋身엔 다시 1介 柱形이 삭여있어 全體로 二間壁의 意態를 表現하여 있다. 屋蓋石은 三層까지가 八枚板石으로 되어있고 四五層은 四枚板石으로 되어 있으며 三段層級의 「발임」은 各層이 面枚石으로 째여있다. 二層 以上의 屋身을 形成한 石片 數는 不一하나 一間壁을 表示함에 一致되어 있다.
이제 우리가 이 왕궁평탑과 미륵탑을 비교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그 옥개석의 형식과 층단「발임」의 유사에서 양자의 기백이 동일함을 볼 수 있고 다시 그 외양의 유사에서 세대(연대가 아니다)의 동일할 것이 추상된다. 실로 누가 부정하랴 부정할 수 없는 양식 감정의 유사를 본다. 이것이 누구나 이 양탑을 시대적으로 동일시케 하는 가장 큰 특점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이 양탑의 유사함을 우리는 인정할 수 있는 동시에 우리는 다시 이 양탑 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제1로 왕궁평탑은 미륵탑에 없는 기단의 성질에 속할 높은 기대를 가졌고, 제2로 초층옥신이 미륵탑과 같이 목조 탑파의 삼간벽을 충실히 형성한 것이 아니라 한 괴체로 약식적 응결을 보였으되 이간의 구별은 실제 목조 탑파의 구조적 의미를 떠났고, 제3으로 이층 이상의 옥신은 전혀 미륵탑에서와 같은 끝까지 삼간벽을 보이려는 성의를 버리고 일간벽으로써 공약시켰으며, 제4로 옥신의 각 주형이 미륵탑에서와 같이 각개 독립된 별석으로 충실히 목조 건물의 주형에서 볼 수있는 「엔터시스」를 이루지 않고 벽면석의 끝에 간단한 편화적 수법으로 주형의 의태만 보였고, 제5로 옥개석과 옥신과의 연접부면의「괴임」이 미륵탑에서와 같이 별석으로 결구되어 있음이 아니라 다만 편의적인 조출로만 되었고, 제6으로 단형 「발임」이 상층으로 갈수록 하등 그 수효에 변화가 없을 뿐더러 미륵탑에서는 삼단「발임」이 일단과 이단의 구별, 사단「발임」이 이단과 이단의 분리가 있어 아주 통일 의식이 없는데 이 왕궁평탑은 삼단이 일체로 응결되어 형식화의 경향이 있으며, 최종으로 석촌의 이용이 왕궁평탑에선 제법 정제된 질서를 갖고 있다 하겠다.
쪽수▶P65-3이제 우리가 이王宮坪塔과 彌勒塔과를 比較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그 屋蓋石의 形式과 層段「발임」의 類似에서 兩者의 氣魄이 同一함을 볼 수 있고 다시 그 外樣의 類似에서 世代(年代가 아니다)의 同一할 것이 推想된다. 實로 누가 否 ▶P66-1定하랴 否定할 수 없는 樣式 感情의 類似를 본다. 이것이 누구나 이 兩塔을 時代的으로 同一視케 하는 가장 큰 特點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이 兩塔의 類似함을 우리는 認定할 수 있는 同時에 우리는 다시 이 兩塔 間의 差異를 볼 수 있다. 第一로 王宮坪塔은 彌勒塔에 없는 基壇의 性質에 屬할 높은 基臺를 가졌고, 第二로 初層屋身이 彌勒塔과 같이 木造 塔婆의 三間壁을 忠實히 形成한 것이 아니라 한 塊體로 略式的 凝結을 보였으되 二間의 區別은 實際 木造 塔婆의 構造的 意味를 떠났고, 第三으로 二層 以上의 屋身은 全혀 彌勒塔에서와 같은 끝까지 三間壁을 보이려는 誠意를 버리고 一間壁으로써 公約시켰으며, 第四로 屋身의 各 柱形이 彌勒塔에서와 같이 各個 獨立된 別石으로 忠實히 木造 建物의 柱形에서 볼 수 있는 「엔터시스」를 이루지 않고 壁面石의 끝에 簡單한 便化的 手法으로 柱形의 意態만 보였고, 第五로 屋蓋石과 屋身과의 連接部面의「괴임」이 彌勒塔에서와 같이 別石으로 結構되어 있음이 아니라 다만 便宜的인 造出로만 되었고, 第六으로 段形 「발임」이 上層으로 갈수록에 何等 그 數爻에 變化가 없을 뿐더러 彌勒塔에서는 三段「발임」이 一段과 二段의 區別, 四段「발임」이 二段과 二段의 分離가 있어 아주 統一 意識이 없는데 이 王宮坪塔은 三段이 一體로 凝結되어 形式化의 傾向이 있으며, 最終으로 石村의 利用이 王宮坪塔에선 제법 整齊된 秩序를 갖고 있다 하겠다.
즉 이 양탑의 이러한 이동을 양식적 견지에서 비교 평가하자면 미륵탑과 왕궁평탑이 다같이 방형평면의 목조 탑파 양식의 재현 형식이면서 미륵탑은 가구에 치중된 작품이요 왕궁평탑은 응집결정으로의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 작품이라 하겠다. 미륵탑은 순가구적 건축적 계단에 머물러 있고 왕궁평탑은 응집적 조각적 경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미륵탑 구양식(즉 목조 탑파 양식)을 충실히 재현하고 모방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형식상 파단을 보이지 아니한, 즉 구양식의 말단에 가라앉은 무난된 형식이요, 왕궁평탑은 구양식의 기재으로부터 벗어나와 새로운 형식을 보이려다가 아직 보이지 못한─즉 신형식의 시초에 올라서서 아주 그 이상의 달성을 얻지 못하여 많은 파단을 내인 난색의 작품이다.
쪽수▶P66-2即 이 兩塔의 이러한 異同을 樣式的 見地에서 比較 評價하자면 彌勒塔과 王宮坪塔이 다같이 方形平面의 木造 塔婆 樣式의 再現 形式이면서 彌勒塔은 架構에 置重된 作品이요 王宮坪塔은 凝集結晶으로의 傾向을 보이기 시작한 作品이라 하겠다. 彌勒塔은 純架構的 建築的 階段에 머물러 있고 王宮坪塔은 凝集的 彫刻的 傾向으로 기울어져 있다. 彌勒塔 舊樣式(即 木造 塔婆 樣式)을 忠實히 再現하고 模倣하였기 때문에 全體로 形式上 破端을 보이지 아니한, 即 舊樣式의 末端에 가라앉은 無難된 形式이요, 王宮坪塔은 舊樣式의 羈縡으로부터 벗어나와 새로운 形式을 보이려다가 아직 보이지 ▶P67-1못한─即 新形式의 始初에 올라서서 아주 그 理想의 達成을 얻지 못하여 많은 破端을 내인 難色의 作品이다.
이리하여 왕궁평탑과 미륵탑이 서로 같다 하나 같지 아니함을 본다. 같지 않다 하나 그 범주가 또한 아주 다른 것도 아니다. 같지 않은 듯하되 같고, 같은 듯하되 같지 아니함은 결국에 있어 서로 같은 유형의 범주에 속하여, 하나는 양식사적으로 그 상한에 처하여 있고 다른 하나는 그 하한에 처하여 있는 까닭이다. 이 양한의 사이에는 물론 세월의 차란 것도 끼워있는 것이지만 이 세월의 차라는것은 그러나 양식론적으로 이 양탑만의 비교에서는 나오지 아니하니 우리는 다시 제삼의 작품을 끌어올 필요가 있다. 그것은 즉 부여읍 남에 있는 대당평백제탑이란 것이다.
쪽수▶P67-2이리하여 王宮坪塔과 彌勒塔이 서로 같다 하나 같지 아니함을 본다. 같지 않다 하나 그 範疇가 또한 아주 다른 것도 아니다. 같지 않은 듯하되 같고, 같은 듯하되 같지 아니함은 結局에 있어 서로 같은 類型의 範疇에 屬하여, 하나는 樣式史的으로 그 上限에 處하여 있고 다른 하나는 그 下限에 處하여 있는 까닭이다. 이 兩限의 사이에는 勿論 歲月의 差란 것도 끼워있는 것이지만 이 歲月의 差라는것은 그러나 樣式論的으로 이 兩塔만의 比較에서는 나오지 아니하니 우리는 다시 第三의 作品을 끌어올 必要가 있다. 그것은 即 扶餘邑 南에 있는 大唐平百濟塔이란 것이다.
대당평백제탑은 우리가 오히려 현대문주2-4▶폐정림사탑으로 부름이 나을 듯한 것이므로 해서[a 8] 앞으로는 정림탑이란 칭호로써 지칭하겠지만 이 역 왕궁탑과 같이 외양만은 오중석탑에 속하는 것이나 모든 수법 형식에 있어서는 일견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우선 단층기단도 정연하거니와 기단저대석 아래 대반석이 끼여있음이 오히려 이 탑으로 하여금 시대를 의심케 할 만한 용의주도처라 하겠다. 저평광대한 단층기단은 중간의 「벌임기둥」이 상촉하관의 형식을 이루었을 뿐으로, 좌우 양변의 「벌임기둥」은 변화가 없고, 옥신은 전체로 일간 면벽을 구성하였으나 일면벽을 량매판석이 형성하고 우주는 「엔터시스」가 있는 별제석주로 형성하고 있다. 제이층 이상의 옥신은 고가 극히 단촉되어 우주에 특별한 수축 변화(즉 「엔터시스」)가 없이 처결되었으나 간벽의 처리는 초층옥신과 다름이 없고, 다만 사오층에 올라가서 옥신벽이 일석으로 되었을 뿐이다. 이층 이상의 옥신의 「괴임」은 물론 별석으로 정연히 째워있다. 옥개석도 평박광대한 판석으로 규칙정연하게 째여있으되 사우전각의 첨단리면이 깎여약간 들리는 듯한 감을 내었을 뿐, 전체는 직선적으로 뻗어있고 옥개〿각은 사주우동형식의 돌기가 제법 표현되어있다. 옥개석의 「발임」은 미륵탑이나 왕궁평탑에서와 같이 층단형「발임」이 아니요 장방횡석이 액방겸평판방의 의미로 일단 놓이고 그 위에 사릉형 장석이 포작횡면의 의미로 놓이었으니 이는 다른 탑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수법이다. 옥개석 제사층까지 위형으로 째여있고 제오층만이 전자형이며, 사릉형「발임」도 초층과 이층이 구석, 삼층사층이 사석, 오층이 일석으로 모두 정연히 째워있다. 우리는 이 탑에서 무엇보다도 그 석재 결합에 너무나 정돈됨을 보고 둘째로 그 「발임」의 특수형식을 보고 셋째로 그 기단의 성형적임을 본다. 즉 이 탑은 무엇보다도 먼저 미륵탑과 같이 순전한 목조 탑파의 형식 그대로 충실히 재현한 것이 아니요 왕궁평탑과 같이 벌써 그 양식을 공약시켜 써새로운 양식의 산출을 꾀한 것으로 구식 발전사 상 이것은 미륵탑에 다음 가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세부 수법으로 말하더라도 미륵탑의 순「가구적」 축조 수법과 정림탑의 「정구적」 수법(예컨대 정림탑의 사릉형「발임」하의 장방석이 전체 사매로 되었으되 전평면이 사분파된 전자형이라든지 구자형의 배치가 아니라 회형 배치로 서로 엇물리게 되었으니 전자「가구적」이라 형언한다면 후자는「결구적」이라 할 수 있다) 이 발생사적 차이를 또한 말한다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부분적 형식, 양식적 수법 등에서 량자의 선후를 입증할 요소를 많이 보나, 일일히 거론치 아니하겠고 이하의 서술을 따라 점차 설명될 줄로 믿는다.
쪽수▶P67-3大唐平百濟塔은 우리가 오히려 원문주2-4▶廢定林寺塔으로 부름이 나을 듯한 것이므로 해서[8] 앞으로는 定林塔이란 稱號로써 指稱하겠지만 이 亦 王宮塔과 같이 外樣만은 五重石塔에 屬하는 것이나 모든 手法 形式에 있어서는 一見 特異한 形態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爲先 單層基壇도 整然하거니와 基壇底臺石 아래 臺盤石이 끼여있음이 오히려 이 塔으로 하여금 時代를 疑心케 할 만한 用意周到處라 하겠다. 低平廣大한 單層基壇은 中間의 「벌임기둥」이 上促下寬의 形式을 이루었을 뿐으로, 左右 兩邊의 「벌임기둥」은 變化가 없고, 屋身은 全體로 一間 面壁을 構成하였으나 一面壁을 兩枚板石이 形成하고 隅柱는 「엔터시스」가 있는 別製石柱로 形成하고 있다. 第二層 以上의 屋身은 高가 極히 短促되어 隅柱에 特別한 收縮 變化(即 「엔터시스」)가 없이 處決되었으나 間壁의 處理는 初層屋身과 다름이 없고, 다만 四五層에 올라가서 屋身壁이 一石으로 되었을 뿐이다. 二層 以上의 屋身의 「괴임」은 勿論 別石으로 整然히 째워있다. 屋蓋石도 平薄廣大한 板石으로 規則整然하게 째여있으되 四隅轉角의 簷端裏面이 깎여 略干 들리는 듯한 感을 내었을 뿐, 全體는 直線的으로 뻗어 ▶P68-1있고 屋蓋〿角은 四注隅棟形式의 突起가 제법 表現되어있다. 屋蓋石의「발임」은 彌勒塔이나 王宮坪塔에서와 같이 層段形「발임」이 아니요 長方橫石이 額枋兼平板枋의 意味로 一段 놓이고 그 위에 斜菱形長石이 包作橫面의 意味로 놓이었으니 이는 다른 塔에서 볼 수 없는 獨特한 手法이다. 屋蓋石 第四層까지 囲形으로 째여있고 第五層만이 田字形이며, 斜菱形「발임」도 初層과 二層이 九石, 三層四層이 四石, 五層이 一石으로 모두 整然히 째워있다. 우리는 이 塔에서 무엇보다도 그 石材 結合에 너무나 整頓됨을 보고 둘째로 그 「발임」의 特殊形式을 보고 셋째로 그 基壇의 成型的임을 본다. 即 이 塔은 무엇보다도 먼저 彌勒塔과 같이 純全한 木造 塔婆의 形式 그대로 充實히 再現한 것이 아니요 王宮坪塔과 같이 벌써 그 樣式을 公約시켜 써새로운 樣式의 産出을 꾀한 것으로 構式 發展史 上 이것은 彌勒塔에 다음 가는 것으로 設定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細部 手法으로 말하더라도 彌勒塔의 純「架構的」 築造 手法과 定林塔의 「精構的」 手法(例컨댄 定林塔의 斜菱形「발임」下의 長方石이 全體 四枚로 되었으되 全平面이 四分派된 田字形이라든지 口字形의 配置가 아니라 回形 配置로 서로 엇물리게 되었으니 前者「架構的」이라 形言한다면 後者는「結構的」이라 할 수 있다) 이 發生史的 差異를 또한 말한다 할 수 있다. 이 外에도 部分的 形式, 樣式的 手法 等에서 兩者의 先後를 立證할 要素를 많이 보나, 一一히 擧論치 아니하겠고 以下의 叙述을 따라 漸次 說明될 줄로 믿는다.
그러면 우선 정림탑이 양식적으로 미륵탑의 하풍에 든다 하고 다음에 정림탑이 미륵탑에 대한 순차적 거리와 왕궁평탑이 미륵탑에 대한 순차적 거리와의 상호차는 어떠한 것일가─즉 미륵탑, 정림탑, 왕궁평탑, 삼자의 양식사적 순위의 문제이다. 이때 필자는 양식 발전사적으로보아 정림탑이 왕궁평탑보다 앞선 것으로, 따라서 이 삼자의 순차를 정한다면 미륵탑이 제1위, 정림탑이 제2위, 왕궁평탑이 제3위로 나립하게 된다. 이것은 어떠한 이유에서이냐─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에 우리는 정림탑과 왕궁평탑과의 비교를 꾀하지 아니할 수 없다.
쪽수▶P68-2그러면 爲先 定林塔이 樣式的으로 彌勒塔의 下風에 든다 하고 다음에 定林塔이 彌勒塔에 대한 順次的 距離와 王宮坪塔이 彌勒塔에 대한 順次的 距離와의 相互差는 어떠한 것일가─即 彌勒塔, 定林塔, 王宮坪塔, 三者의 樣式史的 順位의 問題이다. 이때 筆者는 樣式 發展史的으로보아 定林塔이 王宮坪塔보다 앞선 것으로, 따라서 이 三者의 順次를 定한다▶P69-1면 彌勒塔이 第一位, 定林塔이 第二位, 王宮坪塔이 第三位로 羅立케 된다. 이것은 어떠한 理由에서이냐─이것을 設明하기 爲하여 다음에 우리는 定林塔과 王宮坪塔과의 比較를 꾀하지 아니할 수 없다.
우리는 이 양자를 비교할제 무엇보다도 먼저 눈 띄는 것은 그 옥판석들의 평박광대한 유사점이지만 그보다도 옥개접식의 결구수법이 양자가 전연 동일한 점이다. 즉 구매판석을 정연히 가구하여 있는 수법의 유사이니 다만 차이가 있다면 정림탑에선 사층까지 동일한 수법으로 되어있는데 왕궁평탑에선 삼층까지로 되어있다. 이 가구의 수법은 번대 미륵탑에서 발생한 것으로 미륵탑의 사수전각석이 그냥 그대로 부여지고 중간의 많은 판석이 공약된 형식이니 왕궁평탑에서의 수법은 정림탑으로 아마 공약된 형식을 다시 더 한층 약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정림탑과 왕궁평탑이 옥개 형식이 전혀 동일하면서 가구에 초약의식가 벌써 왕궁탑에 현저하다. 그 뿐 아니라 기단의 이동은 문제할 수 없다고 치더라도 그래도 왕궁평탑에서의 지대의 수고함은 정림탑은 기단의 저평함에 비하여 양식사적 순위에 있어 뒤떨어짐을 암시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옥신구성에있어 정림탑은 최종까지 정연한 가구로 되어 있지만 정돈되어 있지 않고 각층 각면이 불일하여 오직 전체의 외양만을 요약하려는 의사가 농후하다. 말하자면(●●●●) 정림탑은(●●●●) 미륵탑의(●●●●) 가구적(●●●) 특질을(●●●) 최대공약수로(●●●●●●) 간화하려하여(●●●●●●) 그에(●●) 성공하였고(●●●●●) 왕궁평탑은(●●●●●) () 가구형식의(●●●●●) 완결이라기보다(●●●●●●) 어떻게(●●●) 그곳에서(●●●●) 벗어나서(●●●●) 조각적인(●●●●) 응집형식으로(●●●●●) 넘어설까를(●●●●●) 고심한(●●●) 작품이라(●●●●) 하겠으니(●●●●) 이 조각적인 의사의 맹아는 그 탑신의 유주가 공식적으로 조출되어 있는 것과 옥개 상부에 옥신 「괴임」이 조출되어있는 점에서도 넉넉히 읽을 수 있는 점이다. 유주의 양식만해도 정림탑에선 탄력적인 생기를 띄웠고 왕궁평탑에선 편화적인 퇴폐에 떨어졌다. 정림탑의 유주는 미륵탑의 유주를 그대로 이어 받았고 왕궁평두의 유주는 그것을 배반하였다. 정림탑의 유주는 구양식에 젖어있고,
쪽수▶P69-2우리는 이 兩者를 比較할제 무엇보다도 먼저 눈 띄는 것은 그 屋板石들의 平薄廣大한 類似點이지만 그보다도 屋蓋接式의 結構手法이 兩者가 全然 同一한 點이다. 即 九枚板石을 整然히 架構하여 있는 手法의 類似이니 다만 差異가 있다면 定林塔에선 四層까지 同一한 手法으로 되어있는데 王宮坪塔에선 三層까지로 되어있다. 이 架構의 手法은 번대 彌勒塔에서 發生한 것으로 彌勒塔의 四隅轉角石이 그냥 그대로 傅하여지고 中間의 많은 板石이 公約된 形式이니 王宮坪塔에서의 手法은 定林塔으로 아마 公約된 形式을 다시 더 한層 略化시킨 것으로 解釋된다. 定林塔과 王宮坪塔이 屋蓋 形式이 全혀 同一하면서 架構에 草略意思가 벌써 王宮塔에 現著하다. 그뿐 아니라 基壇의 異同은 問題할 수 없다손 치더라도 그래도 王宮坪塔에서의 地臺의 秀高함은 定林塔은 基壇의 低平함에 比하여 樣式史的 順位에 있어 뒤떨어짐을 暗示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屋身構成에있어 定林塔은 最終까지 整然한 架構로 되어 있지만 整頓되어 있지 않고 各層 各面이 不一하여 오직 全體의 外樣만을 要約하려는 意思가 濃厚하다. 말하자면(●●●●) 定林塔은(●●●●) 彌勒塔의(●●●●) 架構的(●●●) 特質을(●●●) 最大公約數로(●●●●●●) 簡化하려하여(●●●●●●) 그에(●●) 成功하였고(●●●●●) 王宮坪塔은(●●●●●) () 架構形式의(●●●●●) 完結이라기보다(●●●●●●) 어떻게(●●●) 그곳에서(●●●●) 벗어나서(●●●●) 彫刻的인(●●●●) 凝集形式으로(●●●●●) 넘어설까를(●●●●●) 苦心한(●●●) 作品이라(●●●●) 하겠으니(●●●●) 이 彫刻的인 意思의 萌芽는 그 塔身의 隅柱가 公式的으로 彫出되어 있는 것과 屋蓋 上部에 屋身 「괴임」이 彫出되어있는 點에서도 넉넉히 읽을 수 있는 點이다. 隅柱의 樣式만해도 定林塔에선 彈力的인 生氣를 띄웠고 王宮坪塔에선 便化的인 頹廢에 떨어졌다. 定林塔의 隅柱는 彌勒塔의 隅柱를 그대로 이어 받았고 王宮坪堵의 隅柱는 그것을 背叛하였다. 定林塔의 隅柱는 舊樣式에 젖어있고, ▶P70-1



































본문3: 제목@


@
@
@
@
@
@
@
@
@
@



































































































본문4: 제목@


@
@
@
@
@
@
@
@
@
@












































본문5: 제목@


@
@
@
@
@
@
@
@
@
@












































데이터


TripleData




Data Network






주석







원문주


  1. 朝鮮古蹟研究會 發行 昭和 11年 度古蹟調査報告 參照
  2. 造塔功德經 一節에 「爾時 世尊告觀世音菩薩言 善男子 若此現在諸天眾等及未來世一切眾生 隨所在方 未有塔處 能於其中建立之者 其狀高妙 出過三界 乃至至小如菴羅果 所有表刹 上至梵天 乃至至小猶如針等 所有輪蓋覆彼大千 乃至小猶如棗葉 於彼塔內 藏掩如來所有舍利髮牙髭爪 下至一分 或置如來所有法藏十二部經 下至於一四句偈 其人功德 如彼梵天 命終之後生於梵世 於彼壽盡生五淨居 與彼諸天等 無有異」라 하였고 또 毗婆娑論 一節에는「若入起大塔 如來轉法輪處 若人取小石為塔 其福德 等前大塔 所爲尊 故若爲如 來大梵 起大塔 或起小塔 以所爲同 故其福無量」云云이라 있다.
  3. 造塔功德經 序.
  4. 神尾弌春 著 契丹佛教文化史考 第三項.
  5. 원문주석1
  6. 원문주석2
  7. 원문주석3
  8. 원문주석4






현대문주


  1. 조선고적연구회 발행 소화 11년 도고적조사보고 참조
  2. 조탑공덕경 일절에 「爾時 世尊告觀世音菩薩言 善男子 若此現在諸天眾等及未來世一切眾生 隨所在方 未有塔處 能於其中建立之者 其狀高妙 出過三界 乃至至小如菴羅果 所有表刹 上至梵天 乃至至小猶如針等 所有輪蓋覆彼大千 乃至小猶如棗葉 於彼塔內 藏掩如來所有舍利髮牙髭爪 下至一分 或置如來所有法藏十二部經 下至於一四句偈 其人功德 如彼梵天 命終之後生於梵世 於彼壽盡生五淨居 與彼諸天等 無有異」라 하였고 또 毗婆娑論 一節에는「若入起大塔 如來轉法輪處 若人取小石為塔 其福德 等前大塔 所爲尊 故若爲如 來大梵 起大塔 或起小塔 以所爲同 故其福無量」운운이라 있다.
  3. 조탑공덕경 서.
  4. 신미일춘(神尾弌春) 저 계단불교문화사고 제 3항.
  5. 원문주석1
  6. 원문주석2
  7. 해독문주석3
  8. 해독문주석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