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철(SNU2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내용을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br/> {{인물정보 |사진= 후쿠다 도쿠조.png |..."(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3번째 줄: 3번째 줄: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후쿠다 도쿠조.png
+
|사진= 강진철.jpg
|사진출처= 한韓문화타임즈
+
|사진출처= 조선의 오늘 2023년 3월 20일자 기사<ref>https://dprktoday.com/news/63487</ref>
|대표명= 후쿠다 도쿠조 (福田德三)
+
|대표명=강진철(姜晉哲)
|한글명= 후쿠다 도쿠조
+
|한글명=강진철
|한자명= 福田德三
+
|한자명=姜晉哲
|영문명= Fukuda Tokuzo
+
|영문명=Kang Jin-cheol
 
|가나명=
 
|가나명=
|이칭=  
+
|이칭=대량(大良)
|성별= 남성
+
|성별=남성
|생년= 1874년 12월 2일
+
|생년=1917
|몰년= 1930년 5월 8일
+
|몰년=1991
|출신지= 일본 도쿄 간다
+
|출신지=경상남도 함안군
|전공= 경제학
+
|전공=역사학
 
}}
 
}}
 
{{인물항목
 
{{인물항목
|데이터={{FULLPAGENAMEE}}
+
|데이터=강진철
 
}}
 
}}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본의 경제학자이다. 일본의 경제학이 자립하기 시작한 20세기 초에 경제학·경제사·사회정책 등의 분야를 개척하였다. 한국을 여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한국의 경제조직과 경제단위》라는 논문을 통해 한국 사회의 정체성론(停滯性論)을 개진하였으며 이는 이후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대표 저서로는 《일본경제사론(日本經濟史論)》《국민경제강화(國民經濟講話》《후생경제연구(厚生經濟硏究)》이 있다.
+
|내용= 강진철은 한국의 역사학자로, 고려 초기의 군인전과 고려 토지 제도사 연구 등의 저술로 유명하다.
 
}}
 
}}
  
 
=='''생애'''==
 
=='''생애'''==
 
----
 
----
==='''출생과 사망'''===
+
==='''어린 시절 및 교육'''===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본 도쿄 간다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인 도쿄고등상업학교[東京高等商業學敎]를 졸업했으며,<ref>『[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3294a 다음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모교와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경제학·경제사·사회정책 등의 분야를 개척하였다. 1930년 당뇨병으로 게이오병원에 입원, 충수염으로 사망했다.
+
|내용= 강진철은 1917년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41년 게이오의숙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
 
}}
  
==='''독일에서의 유학생활과 마르크스 경제학'''===
+
==='''직업 경력'''===
 
{{글상자|
 
{{글상자|
|내용= 독일에 유학하여 마르크스 경제학을 공부하여 일본에 전파하고 마르크스의 이론을 비판하기도 한 인물이다. 마르크스주의의 소개자이자 날카로운 비판자이기도 한 그는 가와카미 하지메[河上肇]와의 논쟁으로 유명하다. 일본사회과학회(1896~1924)의 대표적 논객인 그는 1916년의 논문 〈생존권의 사회정책 生存權の社會政策〉 으로 특히 유명하다.<ref>『[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3294a 다음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
|내용= 대학 졸업 후 잠시 회사원으로 근무하다가 1946년부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강사 겸 사학과 교수조무원으로 일하였다. 1948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교수로 승진했으나, 한국 전쟁 발발과 일신상의 이유로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
 
 +
1954년 동아대학교 부교수로 취임한 이후 숙명여자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 때 동아대학교 문리과대학장(1959∼1961),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장(1966∼1967), 고려대학교 박물관장(1970∼1976)을 역임하였다.  
 +
 
 +
또한 1962년부터 1969년까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다. 1978년 고려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한 뒤 전주대학교와 아주대학교의 대우교수로서 교편생활을 계속하였다.
 
}}
 
}}
  
==='''일본 복지국가론의 선구자'''===
+
==='''학문 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독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여명회를 조직해 민본주의 계몽을 위해 노력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마르크스주의에 비판적인 입장에서 민본주의, 자유주의에 서서 정부에 의한 사회.노동문제 해결을 주장했다. 일본 복지국가론의 선구자로 꼽힌다.  
+
|내용= 연구에도 남다른 열정을 기울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초기의 학문적 관심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에 관한 것으로, 1948년 『사해』 제1집에 발표한 「고려 초기의 대 거란관계」가 그것이다.
}}
+
 
 +
그러나 한국사의 이해를 위한 보다 중요한 과제는 외세와의 관계가 아니라, 한국사회의 발전을 추진시킨 내재적 요인을 구명하는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토지문제, 특히 고려시대의 토지지배관계 및 이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명하는 작업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후 연구생활도 거의 이 문제로 일관하였다.
  
 +
1963년 「고려 초기의 군인전」과 1965년 「고려 전기의 공전·사전과 그 차율수조에 대하여」를 발표하였다. 같은 해 『한국문화사대계 II』에 발표된 「한국토지제도사」의 신라와 고려시대 부분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당시까지의 연구를 집성한 최초의 연구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상단이동
+
1980년 『고려 토지제도사연구』라는 저서를 내놓았다. 이는 전시과 제도와 공전·사전의 제유형 및 조세·공부·역역 등을 다룬 것으로, 이후 1991년 개정판이 발간되었다.
|페이지={{FULLPAGENAMEE}}
 
}}
 
  
=='''연구'''==
+
한편, 사망 후인 1992년 생전에 기획했던 시대구분과 정체성의 문제 등 몇몇 과제에 대한 연구물이 『한국사회의 역사상』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이후 2017년 강진철 탄신 100주년을 맞아 강진철의 역사학을 재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대회의 성과는 『강진철 역사학의 이해』로 발간되었다.
----
 
==='''《한국의 경제조직과 경제단위》를 통한 조선정체론의 구체화'''===
 
{{글상자|
 
|내용= 이는 1902년 수일간 조선을 여행하고 나서 쓴 논문이었다. 그는 한국이 근대화에 늦은 원인은, 한국에 봉건제가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이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한국의 사회경제적 발전 단계는 일본의 봉건제가 성립한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보다 뒤진 10세기경의 후지와라시대[藤原時代]에 해당한다고 하여, 이른바 한국 사회의 정체성론(停滯性論)을 개진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7154&cid=40942&categoryId=39945 두산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조선이 식민지화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조선 역사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후쿠다는 한국사회의 부패와 침체성을 경제사적 시각에서 학문적으로 서술하면서 진보한 일본이 이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는 사회경제사학자들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보강되어 종국에는 한국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
 
}}
  
==='''저서'''===
+
==='''수상 및 업적'''===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본경제사론(日本經濟史論)》《국민경제강화(國民經濟講話》《후생경제연구(厚生經濟硏究)》등이 있으며<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7154&cid=40942&categoryId=39945 두산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ref>, 그의 저서를 통해 일본의 경제학이 자립하기 시작한 20세기 초에 경제학·경제사·사회정책 등의 분야를 개척한 일본의 경제학자로서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
|내용= 『고려 토지제도사연구』 저술에 대한 공로로 월봉저작상·아카데미상을 수상하였다. 1989년 『한국중세토지소유연구』를 출간하여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였다.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페이지=도상록
 
}}
 
}}
 +
  
 
=='''데이터'''==
 
=='''데이터'''==
 
----
 
----
 +
 +
 
==='''TripleData'''===
 
==='''TripleData'''===
 
<font face="함초롬돋움">
 
<font face="함초롬돋움">
71번째 줄: 74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후쿠다 도쿠조 || Institution: 도쿄 고등상업학교[東京高等商業學敎] || A graduates B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 Person: 후쿠다 도쿠조 || Article: 《일본경제사론(日本經濟史論)》 || A isWriterOf B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게이오의숙대학]] || A graduates B
 
|-
 
|-
| Person: 후쿠다 도쿠조 || Article: 《한국의 경제조직과 경제단위》 || A isWriterOf B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서울대학교]] || A worksAt B
 
|-
 
|-
| Person: 후쿠다 도쿠조 || Institution: 도쿄 상과대학 (교수) || A worksAt B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동아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숙명여자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고려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전주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강진철]] || Institution: [[아주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강진철]] || group: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A isMemberOf B
 
|-
 
|-
 
|}
 
|}
84번째 줄: 97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_Hs5on3sRIL3ahdUUSW3O0bwbNkcKIBS7PiB0ITrcqw/edit?gid=0#gid=0]
 
 
<html>
 
<html>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_Hs5on3sRIL3ahdUUSW3O0bwbNkcKIBS7PiB0ITrcqw&font=Default&lang=ko&initial_zoom=5&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oLv0eV-2BhdVeBQ20qkQOI7ChaSHSAEMfrOlRAp6_mU&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html>
 
</html>
 
<br/><br/>
 
<br/><br/>
92번째 줄: 104번째 줄:
 
==='''Network Graph'''===
 
==='''Network Graph'''===
 
----
 
----
*[[{{FULLPAGENAMEE}}.lst]]
+
[[도상록.lst|도상록 네트워크 그래프 그리기]](※입력된 내용을 수정해보세요)
{{NetworkGraph | title=후쿠다_도쿠조.lst}}
+
----
 +
{{SemanticNetworkRDF | db=s_jisun | project=NKH2 | key={{FULLPAGENAMEE}}}}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페이지=도상록
 
}}
 
}}
 +
 
<br/><br/>
 
<br/><br/>
  
 
=='''참고자원'''==
 
=='''참고자원'''==
 
----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3294a 다음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hn&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hn_042_0050&position=-1 임정혁, 「물리학자 도상록의 생애와 연구활동에 대하여」, 『한국사론』 42, 국사편찬위원회, 2005]
 
+
* 임정혁, 『현대 조선의 과학자들』, 교육과학사, 200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7154&cid=40942&categoryId=39945 두산백과]』<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
* 『조선대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1998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페이지=도상록
 
}}
 
}}
  
119번째 줄: 133번째 줄:
 
<br/><br/>
 
<br/><br/>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페이지=도상록
 
}}
 
}}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
 +
[[분류:2023-1 BigData(SNU)]]

2024년 6월 10일 (월) 17:32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강진철(姜晉哲)
강진철.jpg
출처 : 조선의 오늘 2023년 3월 20일자 기사[1]
 
한글명 강진철 한자명 姜晉哲 영문명 Kang Jin-cheol 가나명 이칭 대량(大良)
성별 남성 생년 1917년 몰년 1991년 출신지 경상남도 함안군 전공 역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강진철은 한국의 역사학자로, 고려 초기의 군인전과 고려 토지 제도사 연구 등의 저술로 유명하다.


생애


어린 시절 및 교육

강진철은 1917년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41년 게이오의숙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직업 경력

대학 졸업 후 잠시 회사원으로 근무하다가 1946년부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강사 겸 사학과 교수조무원으로 일하였다. 1948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교수로 승진했으나, 한국 전쟁 발발과 일신상의 이유로 교수직을 사임하였다.

1954년 동아대학교 부교수로 취임한 이후 숙명여자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 때 동아대학교 문리과대학장(1959∼1961),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장(1966∼1967), 고려대학교 박물관장(1970∼1976)을 역임하였다.

또한 1962년부터 1969년까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다. 1978년 고려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한 뒤 전주대학교와 아주대학교의 대우교수로서 교편생활을 계속하였다.


학문 활동

연구에도 남다른 열정을 기울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초기의 학문적 관심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에 관한 것으로, 1948년 『사해』 제1집에 발표한 「고려 초기의 대 거란관계」가 그것이다.

그러나 한국사의 이해를 위한 보다 중요한 과제는 외세와의 관계가 아니라, 한국사회의 발전을 추진시킨 내재적 요인을 구명하는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토지문제, 특히 고려시대의 토지지배관계 및 이에 관련된 문제들을 해명하는 작업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후 연구생활도 거의 이 문제로 일관하였다.

1963년 「고려 초기의 군인전」과 1965년 「고려 전기의 공전·사전과 그 차율수조에 대하여」를 발표하였다. 같은 해 『한국문화사대계 II』에 발표된 「한국토지제도사」의 신라와 고려시대 부분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당시까지의 연구를 집성한 최초의 연구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980년 『고려 토지제도사연구』라는 저서를 내놓았다. 이는 전시과 제도와 공전·사전의 제유형 및 조세·공부·역역 등을 다룬 것으로, 이후 1991년 개정판이 발간되었다.

한편, 사망 후인 1992년 생전에 기획했던 시대구분과 정체성의 문제 등 몇몇 과제에 대한 연구물이 『한국사회의 역사상』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이후 2017년 강진철 탄신 100주년을 맞아 강진철의 역사학을 재조명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대회의 성과는 『강진철 역사학의 이해』로 발간되었다.


수상 및 업적

『고려 토지제도사연구』 저술에 대한 공로로 월봉저작상·아카데미상을 수상하였다. 1989년 『한국중세토지소유연구』를 출간하여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였다.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게이오의숙대학 A graduates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서울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동아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숙명여자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고려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전주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Institution: 아주대학교 A worksAt B
Person: 강진철 group: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A isMemb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도상록 네트워크 그래프 그리기(※입력된 내용을 수정해보세요)









참고자원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