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항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참고자원)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한승현([[G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한승현(G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
 
----
43번째 줄: 43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 한국전쟁 중에는 다른 재북 작가들과 함께 종군작가로 활동하였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낙동강까지 남진하는 인민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최후의 피 한방울까지」(1950)를 발표하였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리고 전쟁 체험에 관련된 여러 편의 단편과 중편소설을 내놓았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인민군 정찰조를 도와 미군을 생포하는 내용을 담은 「누가 모르랴」(1951)·「소년통신병」(1954) 등이 이에 속한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한국전쟁 중에는 다른 재북 작가들과 함께 종군작가로 활동하였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낙동강까지 남진하는 인민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최후의 피 한방울까지」(1950)를 발표하였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리고 전쟁 체험에 관련된 여러 편의 단편과 중편소설을 내놓았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인민군 정찰조를 도와 미군을 생포하는 내용을 담은 「누가 모르랴」(1951)·「소년통신병」(1954) 등이 이에 속한다.<ref>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여생'''===
 +
{{글상자|
 +
|내용= 1958년에는 중편소설 <성실성에 관한 이야기>와 <판잣집 마을에서>를 , 1961년에는 장편소설 ≪대오에 서서≫를 각각 발표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AD%EB%A6%BC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ref> 1958년에는 그동안 써온 소설을 모은 ≪유항림 단편집≫이 조선작가동맹 출판사에서 간행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AD%EB%A6%BC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ref> 1980년 11월 5일 6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AD%EB%A6%BC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ref>
 
}}
 
}}
  
66번째 줄: 71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유항림 || Person: 최정익 || A hasColleague B
+
| Book: 단층 || Person: 최정익 || A cocreater B
 +
|-
 +
| Book: 단층 || Person: 구연묵 || A cocreater B
 
|-
 
|-
| Person: 유항림 || Person: 구연묵 || A hasColleague B
+
| Book: 단층 || Person: 김이석 || A cocreater B
 
|-
 
|-
| Person: 유항림 || Person: 김이석 || A hasColleague B
+
| Book: 단층 || Person: 김조규 || A cocreater B
 
|-
 
|-
| Person: 유항림 || Person: 김조규 || A hasColleague B
+
| Book: 단층 || Person: 유항림 || A cocreater B
 
|-
 
|-
 
| Person: 유항림 || Institution: 광성중학교 || A gradutes B
 
| Person: 유항림 || Institution: 광성중학교 || A gradutes B
97번째 줄: 104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AD%EB%A6%BC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
* 이명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973 유항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한식, 「[https://www-riss-kr.libproxy.gnu.ac.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0d26ac46772be04ffe0bdc3ef48d419&keyword=%EC%9C%A0%ED%96%A5%EB%A6%BC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AD%EB%A6%BC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113번째 줄: 122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2 BigData(SNU)]]
+
[[분류:Person]][[분류:2024-2 BigData(SNU)]]

2025년 1월 1일 (수) 19:51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한승현(G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유항림(兪恒林)
출처 :
 
한글명 유항림 한자명 兪恒林 영문명 Yu Hang-rim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4년 몰년 1980년 출신지 평양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북한의 소설가. 1937년 ≪단층≫의 동인으로 활동한 것을 시작으로 해방 후에 평양에서 문단 활동을 하였다. [1] 대표적인 작품으로 <구구(區區)>, <부호(符號)>, <롱담(弄談)> 등이 있다.[2]


생애


출생 및 『단층』 발간

평양 출생. 평양에서 소학교와 광성중학교기관를 마친 후 고서점에서 일하면서 많은 책을 접했다.[3] 그의 작품 활동은 1937년 최정익(崔正翊)인물·구연묵(具然默)인물·김이석(金利錫)인물·김조규(金朝奎)인물 등과 『단층』을 발간하면서 시작되었다.[4] 종합문예지 『단층』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불안과 자의식을 반영한 모더니즘 성향의 소설들이 많이 발표되었다.[5] 이곳에 실린 유항림의 단편소설 「마권(馬券)」과 「구구(九九)」 또한 사회적 의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표출할 수 없었던 당시 인텔리의 고뇌와 자의식이 심리소설의 형식으로 그려지고 있다.[6]


본격적인 작가 활동

이후 「부호(符號)」(1940)를 『인문평론』에, 「농담」(1941)을 『문장』에 발표하였다.[7] 광복 후에는 재북 작가로 평양에서 계속 활동하였다.[8] 「개」(1946)·「와샤」(1948)·「부득이」(1949)·「아들을 만나리」(1949)·「형제」(1949) 등이 이 당시 발표한 단편소설들이다.[9]


한국전쟁 종군작가 활동

한국전쟁 중에는 다른 재북 작가들과 함께 종군작가로 활동하였다.[10] 낙동강까지 남진하는 인민군들과 함께 생활하며 「최후의 피 한방울까지」(1950)를 발표하였다.[11] 그리고 전쟁 체험에 관련된 여러 편의 단편과 중편소설을 내놓았다.[12] 인민군 정찰조를 도와 미군을 생포하는 내용을 담은 「누가 모르랴」(1951)·「소년통신병」(1954) 등이 이에 속한다.[13]


여생

1958년에는 중편소설 <성실성에 관한 이야기>와 <판잣집 마을에서>를 , 1961년에는 장편소설 ≪대오에 서서≫를 각각 발표한다.[14] 1958년에는 그동안 써온 소설을 모은 ≪유항림 단편집≫이 조선작가동맹 출판사에서 간행된다.[15] 1980년 11월 5일 6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16]





연구


30년대 후반 유항림의 소설의 특성

유항림은 30년대 후반의 절망적 상황을 보여주는 작가였을 뿐 아니라, 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여주는 작가이기도 했다.[17] 그의 소설은 사회적 모더니티에 대응하는 미학적 모더니티의 한 반응을 보여준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18] 시대 현실을 작품에 전면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객관적 사실의 묘사를 중심으로 하기보다는 개인의 심리에 중심을 두었으며, 무엇보다 근대를 체험하는 주체의 특수성을 제재로 한 작품을 창작하였다.[19] 문체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패러독스나 모호성, 그리고 불확실성을 드러낸다는 점도 유사하다.[2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Book: 단층 Person: 최정익 A cocreater B
Book: 단층 Person: 구연묵 A cocreater B
Book: 단층 Person: 김이석 A cocreater B
Book: 단층 Person: 김조규 A cocreater B
Book: 단층 Person: 유항림 A cocreater B
Person: 유항림 Institution: 광성중학교 A gradutes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영구원.
  3.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이명재, "유항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4.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online, 위키백과.
  15.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online, 위키백과.
  16. 위키백과_유항림_생애online, 위키백과.
  17.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18.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19.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
  20. 김한식, 「30년대 후반 모더니즘 소설과 질병 : 최명익과 유항림의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128, 국어국문학회, 2001, 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