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양주별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1번째 줄: 41번째 줄:
 
==='''활동 및 수상'''===
 
==='''활동 및 수상'''===
 
{{글상자|
 
{{글상자|
|내용= 순사를 그만둔 뒤에는 양주구읍에서 소실을 두고, 청요리점을 경영하기도 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496#section-1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ref> 그러나 그는 민족항일기에도 「양주별산대놀이」를 계속하며 전승을 이어가려고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6·25남침으로 마을이 소실된 이후에도, 환도 후 다시 가면을 제작해 탈놀이를 계속하게 했다. 1957년 11월 9일 {{TagGroup|[[한국연극학회]]}} 주최로 이화여자고등학교 노천극장에서 {{TagGroup|[[「양주별산대놀이」]]}}를 공연함으로써 광복 후 처음으로 일반에게 이들의 탈놀음을 선보였고, {{TagPerson|[[박준섭(朴俊燮)]]}} · {{TagPerson|[[박동환(朴東煥)]]}}과 더불어 명연희자로서의 솜씨를 보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496#section-1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ref> 이후 1958년 8월 20일 장충단에서 열린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공로상을 받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2555&cid=40942&categoryId=33385 김성태]",『두산백과』</ref>
+
|내용= 순사를 그만둔 뒤에는 양주구읍에서 소실을 두고, 청요리점을 경영하기도 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496#section-1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ref> 그러나 그는 민족항일기에도 「양주별산대놀이」를 계속하며 전승을 이어가려고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6·25남침으로 마을이 소실된 이후에도, 환도 후 다시 가면을 제작해 탈놀이를 계속하게 했다. 1957년 11월 9일 {{TagGroup|[[한국연극학회]]}} 주최로 이화여자고등학교 노천극장에서「양주별산대놀이」를 공연함으로써 광복 후 처음으로 일반에게 이들의 탈놀음을 선보였고, {{TagPerson|[[박준섭(朴俊燮)]]}} · {{TagPerson|[[박동환(朴東煥)]]}}과 더불어 명연희자로서의 솜씨를 보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496#section-1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ref> 이후 1958년 8월 20일 장충단에서 열린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TagEvent|[[공로상]]}}을 받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2555&cid=40942&categoryId=33385 김성태]",『두산백과』</ref>
 
}}
 
}}
  
52번째 줄: 52번째 줄:
 
==='''양주별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글상자|
 
{{글상자|
|내용=한국전쟁 이후 탈이 소실되고 다수의 연희자가 사망하며 전승되던 양주별산대놀이는 큰 타격을 입었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이후 1950년대에 {{TagPerson|[[김성대(金成大, 1907~1970)]]}}의 후원으로 당시 전 과장에 걸친 연희 능력을 갖추었던 김성태가 탈을 제작하며 남은 소수의 인원과 함께 놀이를 복원하였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그리고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TagGroup|[[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가 결성되면서 당시 8명의 연희자가 보유자로 인정되었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이때 김성태는 양주 별산대놀이가 무형유산으로 선정되자 제1급 보유자로 지정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2555&cid=40942&categoryId=33385 김성태]",『두산백과』</ref>
+
|내용=한국전쟁 이후 탈이 소실되고 다수의 연희자가 사망하며 전승되던 양주별산대놀이는 큰 타격을 입었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이후 1950년대에 {{TagPerson|[[김성대(金成大, 1907~1970)]]}}의 후원으로 당시 전 과장에 걸친 연희 능력을 갖추었던 김성태가 탈을 제작하며 남은 소수의 인원과 함께 놀이를 복원하였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그리고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TagGroup|[[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가 결성되면서 당시 8명의 연희자가 보유자로 인정되었다.<ref>"[https://www.gugak.go.kr/ency/topic/view/121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ref>  이때 김성태는 양주 별산대놀이가 무형유산으로 선정되자 {{TagEvent|[[제1급보유자]]}}로 지정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2555&cid=40942&categoryId=33385 김성태]",『두산백과』</ref>
 
}}
 
}}
 
[[파일:양주별산대놀이.jpg]]
 
[[파일:양주별산대놀이.jpg]]
77번째 줄: 77번째 줄:
 
| Person: [[김성태]] || Institution: [[소방단장,경방단부단장]] || A worksAt B
 
| Person: [[김성태]] || Institution: [[소방단장,경방단부단장]] || A worksAt B
 
|-
 
|-
| Person: [[김성태]] || Group: [[양주별산대놀이]] || A isMemberOf B
+
| Person: [[김성태]] || Group: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 A isMemberOf B
 
|-
 
|-
 
|}
 
|}

2024년 12월 13일 (금) 00:13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윤정S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성태(金星泰)
출처 :
 
한글명 김성태 한자명 金星泰 영문명 가나명 이칭
성별 생년 1894년 몰년 1962년 출신지 경기도 양주구읍 전공 예술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양주별산대놀이」 해금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이다.[1]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김성운(金盛運)인물의 아들로 경기도 양주구읍(楊州舊邑)에서 출생했다.[2] 아버지는 무부(巫夫)이자 「양주별산대놀이」의 명연희자이며 모가비였고, 어머니 한간난이는 ‘옴팽이 만신’이라는 이름으로 양주군일대에서 이름난 큰무당이었다.[3] 14세 때부터 아버지와 이창유(李昌裕)인물에게서 산대춤을 배웠는데, 특히 왜장녀의 배꼽춤은 이들을 본받아 배웠다고 한다.[4]


학력

김성태는 서당을 다녔다. 서당 이후 30세까지는 헌병보조원기관에서 지냈다. 그 뒤로는 광복 10년 전까지 순사기관를 지냈으며, 광복 때까지 소방단장기관경방단부단장(警防團副團長)기관 등을 지냈다.[5]


활동 및 수상

순사를 그만둔 뒤에는 양주구읍에서 소실을 두고, 청요리점을 경영하기도 했다.[6] 그러나 그는 민족항일기에도 「양주별산대놀이」를 계속하며 전승을 이어가려고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6·25남침으로 마을이 소실된 이후에도, 환도 후 다시 가면을 제작해 탈놀이를 계속하게 했다. 1957년 11월 9일 한국연극학회단체 주최로 이화여자고등학교 노천극장에서「양주별산대놀이」를 공연함으로써 광복 후 처음으로 일반에게 이들의 탈놀음을 선보였고, 박준섭(朴俊燮)인물 · 박동환(朴東煥)인물과 더불어 명연희자로서의 솜씨를 보였다.[7] 이후 1958년 8월 20일 장충단에서 열린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공로상사건을 받았다.[8]





연구


양주별산대놀이

한국전쟁 이후 탈이 소실되고 다수의 연희자가 사망하며 전승되던 양주별산대놀이는 큰 타격을 입었다.[9] 이후 1950년대에 김성대(金成大, 1907~1970)인물의 후원으로 당시 전 과장에 걸친 연희 능력을 갖추었던 김성태가 탈을 제작하며 남은 소수의 인원과 함께 놀이를 복원하였다.[10] 그리고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단체가 결성되면서 당시 8명의 연희자가 보유자로 인정되었다.[11] 이때 김성태는 양주 별산대놀이가 무형유산으로 선정되자 제1급보유자사건로 지정되었다.[12]


양주별산대놀이.jpg
[사진출처=『위키백과online, 위키백과.]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성운 Person: 김성태 A hasSon B
Person: 김성태 Institution: 서당 A graduates B
Person: 김성태 Institution: 헌병보조원 A worksAt B
Person: 김성태 Institution: 순사 A worksAt B
Person: 김성태 Institution: 소방단장,경방단부단장 A worksAt B
Person: 김성태 Group: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A isMemb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2.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3.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4.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5.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6.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7. "김성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8. "김성태",『두산백과』
  9.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
  10.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
  11. "양주별산대놀이",『국악사전』
  12. "김성태",『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