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김두용.png
 
|사진= 김두용.png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작성일:2024.04.15
+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작성일:2024.04.15<ref>이동현,『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 네이버.</ref>
|대표명= 김두용 (金斗鎔)
+
|대표명= 김두용(金斗鎔)
|한글명= 김두용
+
|한글명= {{TagPerson|김두용(金斗鎔)}}
 
|한자명= 金斗鎔
 
|한자명= 金斗鎔
 
|영문명= Kim-Du-Yong
 
|영문명= Kim-Du-Yong
24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일제강점기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기관지 출판위원, 조선신문사 편집국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 운동가이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생애'''==
 
=='''생애'''==
 
----
 
----
==='''제목1'''===
+
==='''그의 대학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TagPerson|김두용(金斗鎔)}}은 {{TagLocation|함경남도 함흥}} 출신이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동경제국대학 미학과를 중퇴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재학 중 {{TagGroup|신인회}}에 가입했고, {{TagEvent|반제동맹}}에도 참가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2'''===
+
==='''졸업 후의 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27년 제3전선에 가담, 같은 해 10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 결성에 참여하여 {{TagBook|『예술운동』}}을 창간하였다.<ref>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28년 5월경에는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기관지 편집 겸 출판위원이 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29년 5월 동경에서 무산자사를 결성하고, 위원장이 되어 『무산자』를 발행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잡지에 「정치적 시각에서 본 예술투쟁」,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투쟁해야 할 것인가」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3'''===
+
==='''1930년 초반의 삶'''===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0년 4월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31년 11월에는 동지사(同志社)를 결성해 조직을 주도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듬해 출옥한 후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 {{TagGroup|조선협의회 위원장}}, 기관지 『우리동무』 편집장이 되었고, 3월경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 산하 프롤레타리아과학연구소에 식민지반을 조직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2월 동경공소원(東京控訴院)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1934년 4월 출옥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4'''===
+
==='''1930년대 후반의 삶'''===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5년 『生きた新聞』, 『문학평론(文學評論)』 등에 다수의 원고를 집필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같은 해 5월 조선예술좌를 창립하고 위원장이 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36년 2월경 조선신문사 편집국원이 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7월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939년 1월 동경공소원에서 징역 1년 8월을 선고받았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5'''===
+
==='''1940년대의 삶'''===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45년 8월 서울에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에 참여하고, 9월 재일본조선과학기술단을 결성하였다. 또한 정치범석방운동촉진연맹 결성에 참여하여 연맹의 위원장이 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일본공산당 기관지 『전위(前衛)』에 「일본에서 조선인 문제」(창간호), 「조선인운동은 전환해 가고 있다」(제14호), 「조선인운동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제16호) 등을 기고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7년 2월 재일본조선문화단체연합회에 참여했으며, 『일본에서의 반조선민족운동사』(鄕土書房, 1947), 『조선근대사회사화』(鄕土書房, 1947)를 집필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4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60번째 줄: 62번째 줄:
 
=='''연구'''==
 
=='''연구'''==
 
----
 
----
==='''제목1'''===
+
==='''일본 공산당'''===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45년 10월 재일본조선인연맹 결성에 참여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다음 12월 일본공산당 조선인부 부부장으로 선임되었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와 함께 일본공산당 조선인부 부부장, 중앙위원 후보로 활동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이동과 그 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4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북조선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20인 후보위원 중 한 사람이 되었는데, 유일하게 반대표를 받은 것으로도 유명하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16위 후보위원이 되었으나 제3차 대회에서는 전향한 전력이 문제가 되어 후보가 되지 못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그 뒤 역사편찬위원회, 외문출판사 국장, 해주박물관 직원으로 근무했고, 국제무역위원회 기관지 편집을 담당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한동안 청진제관공장에 근무하기도 하였다.<ref>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제목3'''===
 
{{글상자|
 
|내용=  
 
 
}}
 
}}
  
85번째 줄: 83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Person: 홍아무개 || A hasSon B
+
| Person: 김두용 || Location: 함경남도 함흥 || A is from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김두용 || Group: 신인회 || A joined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김두용 || Event: 반제동맹 || A joined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김두용 || Book: 『예술운동』 || A founded B
 
|-
 
|-
| Book: ○○○ || Person: 홍길동 || A creator B
+
| Person: 김두용 || Group: 조선협의회 위원장 || A became B
 
|-
 
|-
 
|}
 
|}
100번째 줄: 98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W4NKUypDMtlNQ3X6lyUl4uHrWvGtFOI3BUxhet3ujtU/edit?gid=0#gid=0=0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W4NKUypDMtlNQ3X6lyUl4uHrWvGtFOI3BUxhet3ujtU&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html>
 
<br/><br/>
 
<br/><br/>
  
116번째 줄: 116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김인덕,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5 김두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동현,『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 네이버.
 +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2024년 12월 12일 (목) 23:14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김채은(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두용(金斗鎔)
김두용.png
출처 : 『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작성일:2024.04.15[1]
 
한글명 김두용(金斗鎔)인물 한자명 金斗鎔 영문명 Kim-Du-Yong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03년년 몰년 미상년 출신지 함경남도 함흥 전공 미학과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기관지 출판위원, 조선신문사 편집국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 운동가이다.[2]


생애


그의 대학시절

김두용(金斗鎔)인물은 함경남도 함흥공간 출신이다.[3] 동경제국대학 미학과를 중퇴하였다.[4] 재학 중 신인회단체에 가입했고, 반제동맹사건에도 참가하였다.[5]


졸업 후의 활동

1927년 제3전선에 가담, 같은 해 10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동경지부 결성에 참여하여 『예술운동』서적을 창간하였다.[6] 1928년 5월경에는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기관지 편집 겸 출판위원이 되었다.[7] 1929년 5월 동경에서 무산자사를 결성하고, 위원장이 되어 『무산자』를 발행하였다.[8] 이 잡지에 「정치적 시각에서 본 예술투쟁」,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투쟁해야 할 것인가」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9]


1930년 초반의 삶

1930년 4월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사건’에 연루되어 검거되었다.[10] 1931년 11월에는 동지사(同志社)를 결성해 조직을 주도하였다.[11] 이듬해 출옥한 후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 조선협의회 위원장단체, 기관지 『우리동무』 편집장이 되었고, 3월경 일본프롤레타리아문화연맹 산하 프롤레타리아과학연구소에 식민지반을 조직하였다.[12] 이후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2월 동경공소원(東京控訴院)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1934년 4월 출옥하였다.[13]


1930년대 후반의 삶

1935년 『生きた新聞』, 『문학평론(文學評論)』 등에 다수의 원고를 집필하였다.[14] 같은 해 5월 조선예술좌를 창립하고 위원장이 되었다.[15] 1936년 2월경 조선신문사 편집국원이 되었다.[16] 7월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1939년 1월 동경공소원에서 징역 1년 8월을 선고받았다.[17]


1940년대의 삶

1945년 8월 서울에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에 참여하고, 9월 재일본조선과학기술단을 결성하였다. 또한 정치범석방운동촉진연맹 결성에 참여하여 연맹의 위원장이 되었다.[18]

일본공산당 기관지 『전위(前衛)』에 「일본에서 조선인 문제」(창간호), 「조선인운동은 전환해 가고 있다」(제14호), 「조선인운동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제16호) 등을 기고하였다.[19] 1947년 2월 재일본조선문화단체연합회에 참여했으며, 『일본에서의 반조선민족운동사』(鄕土書房, 1947), 『조선근대사회사화』(鄕土書房, 1947)를 집필하였다.[20]

194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21]





연구


일본 공산당

1945년 10월 재일본조선인연맹 결성에 참여했다.[22] 다음 12월 일본공산당 조선인부 부부장으로 선임되었다.[23] 이와 함께 일본공산당 조선인부 부부장, 중앙위원 후보로 활동하였다.[2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이동과 그 후..

194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25] 북조선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20인 후보위원 중 한 사람이 되었는데, 유일하게 반대표를 받은 것으로도 유명하다.[26] 이후 16위 후보위원이 되었으나 제3차 대회에서는 전향한 전력이 문제가 되어 후보가 되지 못하였다.[27] 그 뒤 역사편찬위원회, 외문출판사 국장, 해주박물관 직원으로 근무했고, 국제무역위원회 기관지 편집을 담당하였다.[28] 이후 한동안 청진제관공장에 근무하기도 하였다.[29]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두용 Location: 함경남도 함흥 A is from B
Person: 김두용 Group: 신인회 A joined B
Person: 김두용 Event: 반제동맹 A joined B
Person: 김두용 Book: 『예술운동』 A founded B
Person: 김두용 Group: 조선협의회 위원장 A became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이동현,『네이버 블로그-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3416185600>, 네이버.
  2.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4.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5.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6.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7.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8.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9.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0.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1.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2.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3.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4.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5.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6.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7.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8.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9. 김인덕, "김두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