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연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연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
 
----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김승구_프로필_사진.png
+
|사진= 김승구_프로필.png
|사진출처= 『북한영화 이야기 28. 시나리오 작가 김승구』 한상언, 브런치스토리
+
|사진출처= 한상언, "[https://brunch.co.kr/@sangeonhan/217 북한영화 이야기 28. 시나리오 작가 김승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브런치스토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21년 8월 25일.
 
|대표명= 김승구(金相福)
 
|대표명= 김승구(金相福)
 
|한글명= 김승구
 
|한글명= 김승구
17번째 줄: 17번째 줄:
 
|몰년= 1994
 
|몰년= 1994
 
|출신지= 경기도 수원
 
|출신지= 경기도 수원
|전공= 극작과
+
|전공= 문과
 
}}
 
}}
 
{{인물항목
 
{{인물항목
24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제 강점기의 연극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 일본 메이지 대학교 졸업 후, 1938년 동아일봅 신춘문예에 단막 희곡 <유민(流民)>이 당선되며 등단했다. 1939년 친일극단 협동예술좌를 이끌었으며, 1945년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산하유정>을 출품해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해방 후 『문화통신』을 발간하며 좌익연극 운동에 참여했고, 조선프롤레타리아 연극동맹 창립에 기여했다. 월북 후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 고향>(1949) 시나리오를 집필했으며, 평양연극영화대학 교수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희곡 <황금광상곡>, <화전지대>, 시나리오 <춘향곡>, <새벽에 온 사람들> 등이 있다.  
+
|내용= 일제 강점기의 '''연극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A%B9%EA%B5%AC_(%EC%9E%91%EA%B0%80)#cite_ref-4 김승구 (작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23년 9월 4일.</ref> 일본 {{TagInstitution|메이지대학}} 중퇴 후, 193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막 희곡 {{TagArticle|「유민(流民)」}}이 당선되며 등단했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39년 친일극단 {{TagGroup|협동예술좌}}를 이끌었으며, 1945년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TagArticle|「산하유정(山河友情)」}}을 출품해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방 후 {{TagBook|『문화통신』}}을 발간하며 좌익연극 운동에 참여했고, {{TagGroup|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창립에 기여했다. <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월북 후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 고향>(1949) 시나리오를 집필했으며, {{TagInstitution|평양연극영화대학}} 교수로 활동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대표작으로는  「황금광상곡」 · 「로나부인 행장기」 · 「화전지대」 등이 있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31번째 줄: 31번째 줄:
 
==='''출생 및 어린시절'''===
 
==='''출생 및 어린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14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상복(金相福)이다.  
+
|내용= 1914년에 태어났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TagLocation| 경기도 수원}}이 고향이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김승구로 알려져 있으나 본명은 김상복(金相福)이다. <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
 
}}
  
==='''대학 재학 시절 및 졸업 이후'''===
+
==='''대학 중퇴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본 메이지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졸업 후에는 193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삶을 그린 단막 희곡 〈유민(流民)〉�을 출품해 당선되어 등단했다. 1939년 협동예술좌를 창립했고, 1945년 조선총독부가 후원하는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산하유정(山河有情)〉을 출품했다. 안영일이 연출하고 극단 아랑이 공연한 <산하유정>은 이 대회에서 단체상과 작품상, 연출상, 장치상, 연기상을 휩쓸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연극/영화 부문에 선정됐다.
+
|내용= {{TagLocation|일본}} {{TagInstitution|메이지대학[明治大學]}} 문과를 중퇴했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193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삶을 그린 단막 희곡 {{TagArticle|「유민(流民)」}}이 당선돼 등단했다.<ref>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39년 {{TagGroup|협동예술좌}}를 창립했고, 1945년 조선총독부가 후원하는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TagArticle|「산하유정(山河友情)」}}을 출품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TagPerson|안영일}}이 연출하고 극단 아랑이 공연한 <산하유정>은 이 대회에서 단체상과 작품상, 연출상, 장치상, 연기상을 휩쓸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
 
}}
  
 
==='''광복 이후'''===
 
==='''광복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광복 후 조선연극건설본부에 참여했다가 송영, 강호, 나웅 등과 함께 탈퇴,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을 창립하는 등 좌익 계열에서 앞장서 활동했다. 두 단체는 결국 다시 통합해 조선연극동맹이 결성됐는데, 김승구는 연극동맹의 서기장을 맡았다.
+
|내용= 광복 직후 서울에서 문학예술계 소식을 다룬 {{TagBook|『문화통신』}}이라는 20여 쪽 분량의 잡지를 발간, 이를 통해 좌익연극 운동을 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광복 후 1945년 8월 {{TagGroup|조선연극건설본부(朝鮮演劇建設本部)}}에 참여했다가 {{TagPerson|송영}}, {{TagPerson|강호}}, {{TagPerson|나웅}} 등과 함께 탈퇴, 같은 해 9월 {{TagGroup|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을 창립하는 등 좌익 계열에서 앞장서 활동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두 단체는 결국 다시 통합해 조선연극동맹이 결성됐는데, 김승구는 연극동맹의 서기장을 맡았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
 
}}
  
 
==='''월북 이후'''===
 
==='''월북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극영화로 유원준, 문예봉이 주연을 맡은 《내 고향》의 시나리오를 썼다. 평양연극영화대학의 교수를 지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화계의 1세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다. 1994년 부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론에 실렸고, 사망 당시 나이는 80세로 보도됐다.
+
|내용= 1946년에 월북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극영화로 유원준, 문예봉이 주연을 맡은 {{TagArticle|「내 고향」}}의 시나리오를 썼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TagInstitution|평양연극영화대학}}의 교수를 지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화계의 1세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1994년 부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론에 실렸고, 사망 당시 나이는 80세로 보도됐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
 
}}
  
55번째 줄: 55번째 줄:
 
=='''작품'''==
 
=='''작품'''==
 
----
 
----
==='''황금광상곡'''===
+
==='''산하유정(山河有情)'''===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TagArticle|「산하유정(山河友情)」}}은 1945년 제3회 국민극 경연대회에서 아랑극단에 의해 초연되어 단체상, 작품상(김승구), 연출상(안영일)을 수상했다.<ref>"[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61727 산하유정 = 山河有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도메모리』<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도.</ref> 이 작품은 조국의 산하와 따뜻한 정을 주제로 하지만, 출정군인 다나카 부자의 온정을 통해 신체제 국민의식을 고양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ref>"[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61727 산하유정 = 山河有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도메모리』<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도.</ref> 희곡 대본은 2004년 {{TagLocation|하버드 옌친도서관}}에서 발굴되어 {{TagBook|[해방 전 공연희곡집]}}에 수록되었다.<ref>"[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61727 산하유정 = 山河有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도메모리』<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도.</ref>
 +
 
 +
<gallery mode="slideshow" caption="산하유정에 관하여" widths="50px" >
 +
파일:산하유정.png|산하유정
 +
파일:해방전_공연희곡집.png|산하유정이 수록된 책
 +
</gallery>
 
}}
 
}}
  
==='''로나부인 행장기'''===
+
==='''내 고향'''===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TagArticle|「내 고향」}}은 {{TagInstitution|북한 국립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한 첫 극영화로, 소작인 청년 관필이 조선인민혁명군 간부로 성장해 고향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그린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383 내 고향 (My Hometown)]",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해방 전후 조선의 억압적 현실과 혁명군의 투쟁 과정을 교차편집하며 사회주의 이념을 담아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383 내 고향 (My Hometown)]",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유원준이 주연을 맡아 데뷔했으며, 제목은 {{TagPerson|김일성}}의 조언으로 결정되었다. 신상옥 감독이 "북측 영화 중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한 바 있다.<ref>"[http://nks.ac.kr/Word/View.aspx?id=1383 내 고향 (My Hometown)]",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ref>
 +
 
 +
[[파일: 내 고향의 한 장면.png|섬네일|가운데|영화 <내 고향>]]
 +
 
 
}}
 
}}
  
76번째 줄: 84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김승구 || Person: 홍아무개 || A hasSon B
+
| Person: 김승구 || Institution: 평양연극영화대학 || A worksAt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김승구 || Group: 협동예술좌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김승구 || Group: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김승구 || Group: 조선연극건설본부 || A isMemberOf B
 
|-
 
|-
| Book: ○○○ || Person: 홍길동 || A creator B
+
| Article: 내 고향 || Person: 김승구 || A isWriterOf B
 +
|-
 +
| Article: 산하유정 || Person: 김승구 || A isWriterOf B
 +
|-
 +
| Person: 김승구 || Institution: 일본 메이지대학 || A takesCourseAt B
 +
|-
 +
| Article: 산하유정 || Book: 해방 전 공연희곡집 || A isChapterOf B
 
|-
 
|-
 
|}
 
|}
91번째 줄: 105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50voi6B7ZZH2chRidDUdkc3GXEtI2sGZMR-bLp1vhE/edit?gid=0#gid=0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m50voi6B7ZZH2chRidDUdkc3GXEtI2sGZMR-bLp1vhE&font=Default&lang=ko&initial_zoom=5&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html>
 +
 
 
<br/><br/>
 
<br/><br/>
  
 
==='''Network Graph'''===
 
==='''Network Graph'''===
 
----
 
----
 +
 
*[[{{FULLPAGENAMEE}}.lst]]
 
*[[{{FULLPAGENAMEE}}.lst]]
 
{{NetworkGraph | title={{FULLPAGENAMEE}}.lst}}
 
{{NetworkGraph | title={{FULLPAGENAMEE}}.lst}}
107번째 줄: 123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A%B9%EA%B5%AC_(%EC%9E%91%EA%B0%80)#cite_ref-4 김승구 (작가)],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A%B9%EA%B5%AC_(%EC%9E%91%EA%B0%80)#cite_ref-4 김승구 (작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 『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23년 9월 4일.
 +
 
 +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61727 산하유정 = 山河有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도메모리』<sup>online</sup></online></html>, 경기도.
 +
 
 +
*"[http://nks.ac.kr/Word/View.aspx?id=1383 내 고향 (My Hometown)]",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
 +
 
 +
*김희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632 김승구 (金承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nks.ac.kr/Word/View.aspx?id=1710 김승구 (Kim Sungku)]", <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학대학원대학교.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117번째 줄: 143번째 줄:
 
----
 
----
 
<references/>
 
<references/>
 +
 
<br/><br/>
 
<br/><br/>
 
{{상단이동
 
{{상단이동

2025년 1월 1일 (수) 20:45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연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김승구(金相福)
김승구 프로필.png
출처 : 한상언, "북한영화 이야기 28. 시나리오 작가 김승구", 『브런치스토리』online, 작성일: 2021년 8월 25일.
 
한글명 김승구 한자명 金相福 영문명 Kim Sungku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4년 몰년 1994년 출신지 경기도 수원 전공 문과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 강점기의 연극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1] 일본 메이지대학기관 중퇴 후, 193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막 희곡 「유민(流民)」원고이 당선되며 등단했다.[2] 1939년 친일극단 협동예술좌단체를 이끌었으며, 1945년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산하유정(山河友情)」원고을 출품해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3] 해방 후 『문화통신』서적을 발간하며 좌익연극 운동에 참여했고,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단체 창립에 기여했다. [4] 월북 후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 고향>(1949) 시나리오를 집필했으며, 평양연극영화대학기관 교수로 활동했다.[5] 대표작으로는 「황금광상곡」 · 「로나부인 행장기」 · 「화전지대」 등이 있다.[6]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1914년에 태어났다.[7] 경기도 수원공간이 고향이다.[8] 현재 김승구로 알려져 있으나 본명은 김상복(金相福)이다. [9]


대학 중퇴 이후

일본공간 메이지대학[明治大學]기관 문과를 중퇴했다.[10] 이후 193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삶을 그린 단막 희곡 「유민(流民)」원고이 당선돼 등단했다.[11] 1939년 협동예술좌단체를 창립했고, 1945년 조선총독부가 후원하는 제3회 연극경연대회에 「산하유정(山河友情)」원고을 출품했다.[12] 안영일인물이 연출하고 극단 아랑이 공연한 <산하유정>은 이 대회에서 단체상과 작품상, 연출상, 장치상, 연기상을 휩쓸었다.[13]


광복 이후

광복 직후 서울에서 문학예술계 소식을 다룬 『문화통신』서적이라는 20여 쪽 분량의 잡지를 발간, 이를 통해 좌익연극 운동을 했다.[14] 광복 후 1945년 8월 조선연극건설본부(朝鮮演劇建設本部)단체에 참여했다가 송영인물, 강호인물, 나웅인물 등과 함께 탈퇴, 같은 해 9월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단체을 창립하는 등 좌익 계열에서 앞장서 활동했다.[15] 두 단체는 결국 다시 통합해 조선연극동맹이 결성됐는데, 김승구는 연극동맹의 서기장을 맡았다.[16]


월북 이후

1946년에 월북했다.[17]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극영화로 유원준, 문예봉이 주연을 맡은 「내 고향」원고의 시나리오를 썼다.[18] 평양연극영화대학기관의 교수를 지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화계의 1세대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다.[19] 1994년 부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론에 실렸고, 사망 당시 나이는 80세로 보도됐다.[20]





작품


산하유정(山河有情)

「산하유정(山河友情)」원고은 1945년 제3회 국민극 경연대회에서 아랑극단에 의해 초연되어 단체상, 작품상(김승구), 연출상(안영일)을 수상했다.[21] 이 작품은 조국의 산하와 따뜻한 정을 주제로 하지만, 출정군인 다나카 부자의 온정을 통해 신체제 국민의식을 고양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22] 희곡 대본은 2004년 하버드 옌친도서관공간에서 발굴되어 [해방 전 공연희곡집]서적에 수록되었다.[23]


내 고향

「내 고향」원고은 북한 국립영화촬영소기관에서 제작한 첫 극영화로, 소작인 청년 관필이 조선인민혁명군 간부로 성장해 고향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그린다.[24] 해방 전후 조선의 억압적 현실과 혁명군의 투쟁 과정을 교차편집하며 사회주의 이념을 담아냈다.[25] 유원준이 주연을 맡아 데뷔했으며, 제목은 김일성인물의 조언으로 결정되었다. 신상옥 감독이 "북측 영화 중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한 바 있다.[26]

영화 <내 고향>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승구 Institution: 평양연극영화대학 A worksAt B
Person: 김승구 Group: 협동예술좌 A isMemberOf B
Person: 김승구 Group: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A isMemberOf B
Person: 김승구 Group: 조선연극건설본부 A isMemberOf B
Article: 내 고향 Person: 김승구 A isWriterOf B
Article: 산하유정 Person: 김승구 A isWriterOf B
Person: 김승구 Institution: 일본 메이지대학 A takesCourseAt B
Article: 산하유정 Book: 해방 전 공연희곡집 A isChapt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김승구 (작가)", 『위키백과』online, 작성일: 2023년 9월 4일.
  2.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5.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6.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0.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김희만, "김승구 (金承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3.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4.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5.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6.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7.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8.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19.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20. "김승구 (Kim Sungku)",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21. "산하유정 = 山河有情", 『경기도메모리』online, 경기도.
  22. "산하유정 = 山河有情", 『경기도메모리』online, 경기도.
  23. "산하유정 = 山河有情", 『경기도메모리』online, 경기도.
  24. "내 고향 (My Hometown)",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25. "내 고향 (My Hometown)",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
  26. "내 고향 (My Hometown)",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학대학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