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개요)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유기천_총장_사진.jpg
 
|사진= 유기천_총장_사진.jpg
|사진출처= 『[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나무위키]』<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
|사진출처= 『[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한글명= 유기천
 
|한글명= 유기천
14번째 줄: 14번째 줄:
 
|이칭=
 
|이칭=
 
|성별= 남성
 
|성별= 남성
|생년= 1915년
+
|생년= 1915
|몰년= 1998년
+
|몰년= 1998
 
|출신지= 평안남도 평양부 염점동 33 (현 평양시)
 
|출신지= 평안남도 평양부 염점동 33 (현 평양시)
 
|전공= 법학
 
|전공= 법학
24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대한민국의 형법학자.
+
|내용= 대한민국의 '''형법학자'''이자 '''제9대 서울대 총장''' 역임.<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유기천은 1958년에 예일대학교에서 한국인 최초의 법학박사(SJD) 학위를 취득하였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
서울법대 학장으로 사법대학원을 설립하고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의 후원을 받아 한국 최초의 판례집을 발간하는 등 한국법학교육의 기초를 닦고, 한국형법전을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 출간하여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
 
}}
  
 
=='''생애'''==
 
=='''생애'''==
 
----
 
----
==='''제목1'''===
+
==='''초년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1915년 7월 5일 평양에서 독실한 개신교 가정에서 6남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형제들은 대부분 의학을 전공했지만, 혼자 법학을 공부하여 법학자가 되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유기천은 1933년 3월 평양의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내지로 유학해 1936년 4월 히메지고등학교(現 고베대학)에 입학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3년 간의 대학예과 과정을 마치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유기천은 1939년 4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43년 9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을 졸업하면서 은사인 단도 시게미츠(團藤重光) 교수의 소개로 그의 장인인 도호쿠제국대학 법문학부 민법학강좌 교수 가츠모토 마사아키라(勝本正晃)의 조수가 되어 센다이시에서 생활하던 중 해방을 맞았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제목2'''===
+
==='''서울법대 교수 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귀국 직후인 1946년 4월부터 대학 선배인 고병국 교장의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수가 된 유기천은 1946년 10월 국대안에 의거한 국립서울대학교가 설립되자 경성법전이 개편된 서울법대(초대 학장 고병국)의 조교수로 부임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유기천은 법과대학에서 형법을 가르치면서 진승록 학장이 사임하자 학장서리로서 6.25 당시 전시연합대학 체제하에서 법학교육을 계속하였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52년 하버드 대학교 로스쿨에 교환교수로 갔다. 1953년에 귀국했다가 1954년에 다시 하버드 로스쿨로 가서 미모의 법학자 헬렌 실빙(Helen Silving)을 만나 결혼하였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65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제9대 서울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라이샤워(E. Reischauer) 교수가 유교수를 미국으로 보내라고 김종필 총리에게 편지를 써준 덕분에 겨우 미국으로 망명하였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제목3'''===
+
==='''미국 망명 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71년 미국으로 망명한 후 26년 간을 미국에서 살았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처음에는 플로리다주 푸에르토리코 국민대학에서 객원교수로서 부인과 함께 비교형법을 강의하다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로 옮겨, 샌디에이고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를 지냈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79년 박정희가 시해되고, 1980년 이른바 ‘서울의 봄’이 찾아오자, 국민적 환영을 받으며 귀국하여 서울법대 강단에 다시 섰지만, 5.18 민주화운동 이후 신군부 세력의 집권이 확실해지자,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부인 실빙은 1993년, 유기천은 1998년에 타계하였다. 부부의 시신은 한국으로 옮겨져 포천시의 산정현교회 묘지에 나란히 묻혔다.<ref>『[https://namu.wiki/w/%EC%9C%A0%EA%B8%B0%EC%B2%9C 유기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
  
==='''제목4'''===
 
{{글상자|
 
|내용=
 
}}
 
  
==='''제목5'''===
+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58번째 줄: 54번째 줄:
 
}}
 
}}
  
=='''연구'''==
+
=='''업적'''==
 
----
 
----
==='''제목1'''===
+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1959년 6월에 하와이대학교에서 주최하는 동서철학자대회(East-West Philosophers conference)에 참가하여 ‘문화이해에서의 장의 이론(Field Theory in the Study of Culture)’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44세의 신진학자로 한국의 인문사회과학계를 대표하여 세계 지성인들로부터 주목을 끌었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그후 서울법대 학장으로 사법대학원을 설립하고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의 후원을 받아 한국 최초의 판례집을 발간하는 등 한국법학교육의 기초를 닦고, 한국형법전을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 출간하였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법을 통한 세계평화(World Peace through Law)’ 등 각종 세계학회에서 발표하여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ref>「[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1225 서울대학교총동창회]』<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f>
 +
 
 
}}
 
}}
  
==='''제목2'''===
+
==='''「세계혁명」 출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
 
}}
  
==='''제목3'''===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2024년 11월 28일 (목) 15:25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이의찬(JBNU2024)이 작성했습니다.




한글명(한자명)
유기천 총장 사진.jpg
출처 :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한글명 유기천 한자명 劉基天 영문명 Yoo Kicheon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5년 몰년 1998년 출신지 평안남도 평양부 염점동 33 (현 평양시) 전공 법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한민국의 형법학자이자 제9대 서울대 총장 역임.[1] 유기천은 1958년에 예일대학교에서 한국인 최초의 법학박사(SJD) 학위를 취득하였다.[2] 서울법대 학장으로 사법대학원을 설립하고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의 후원을 받아 한국 최초의 판례집을 발간하는 등 한국법학교육의 기초를 닦고, 한국형법전을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 출간하여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3]


생애


초년시절

1915년 7월 5일 평양에서 독실한 개신교 가정에서 6남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4] 형제들은 대부분 의학을 전공했지만, 혼자 법학을 공부하여 법학자가 되었다.[5] 유기천은 1933년 3월 평양의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내지로 유학해 1936년 4월 히메지고등학교(現 고베대학)에 입학했다.[6] 3년 간의 대학예과 과정을 마치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유기천은 1939년 4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7] 1943년 9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을 졸업하면서 은사인 단도 시게미츠(團藤重光) 교수의 소개로 그의 장인인 도호쿠제국대학 법문학부 민법학강좌 교수 가츠모토 마사아키라(勝本正晃)의 조수가 되어 센다이시에서 생활하던 중 해방을 맞았다.[8]


서울법대 교수 시절

귀국 직후인 1946년 4월부터 대학 선배인 고병국 교장의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수가 된 유기천은 1946년 10월 국대안에 의거한 국립서울대학교가 설립되자 경성법전이 개편된 서울법대(초대 학장 고병국)의 조교수로 부임했다.[9] 유기천은 법과대학에서 형법을 가르치면서 진승록 학장이 사임하자 학장서리로서 6.25 당시 전시연합대학 체제하에서 법학교육을 계속하였다.[10] 1952년 하버드 대학교 로스쿨에 교환교수로 갔다. 1953년에 귀국했다가 1954년에 다시 하버드 로스쿨로 가서 미모의 법학자 헬렌 실빙(Helen Silving)을 만나 결혼하였다.[11] 1965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제9대 서울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12]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라이샤워(E. Reischauer) 교수가 유교수를 미국으로 보내라고 김종필 총리에게 편지를 써준 덕분에 겨우 미국으로 망명하였다.[13]


미국 망명 시절

1971년 미국으로 망명한 후 26년 간을 미국에서 살았다.[14] 처음에는 플로리다주 푸에르토리코 국민대학에서 객원교수로서 부인과 함께 비교형법을 강의하다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로 옮겨, 샌디에이고 대학교 법학대학 교수를 지냈다.[15] 1979년 박정희가 시해되고, 1980년 이른바 ‘서울의 봄’이 찾아오자, 국민적 환영을 받으며 귀국하여 서울법대 강단에 다시 섰지만, 5.18 민주화운동 이후 신군부 세력의 집권이 확실해지자,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16] 부인 실빙은 1993년, 유기천은 1998년에 타계하였다. 부부의 시신은 한국으로 옮겨져 포천시의 산정현교회 묘지에 나란히 묻혔다.[17]






업적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

1959년 6월에 하와이대학교에서 주최하는 동서철학자대회(East-West Philosophers conference)에 참가하여 ‘문화이해에서의 장의 이론(Field Theory in the Study of Culture)’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18] 44세의 신진학자로 한국의 인문사회과학계를 대표하여 세계 지성인들로부터 주목을 끌었다.[19] 그후 서울법대 학장으로 사법대학원을 설립하고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의 후원을 받아 한국 최초의 판례집을 발간하는 등 한국법학교육의 기초를 닦고, 한국형법전을 영어와 독일어로 번역 출간하였다.[20] ‘법을 통한 세계평화(World Peace through Law)’ 등 각종 세계학회에서 발표하여 한국법학의 세계화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21]


「세계혁명」 출간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Person: 홍아무개 A hasSon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Book: ○○○ Person: 홍길동 A creator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2.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
  3.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
  4.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5.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6.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7.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8.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9.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0.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1.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2.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3.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4.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5.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6.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7. 유기천online, 나무위키.
  18.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
  19.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
  20.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
  21. 유기천 박사, 역대 총장 중 유일하게 재단 설립」, 『서울대학교총동창회 』 『서울대학교총동창회online, 서울대학교총동창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