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일본생활 이후)
(Visualization)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파일:신사임당 희곡작가 송영.jpg|가운데|섬네일|송영]]
 
|사진=[[파일:신사임당 희곡작가 송영.jpg|가운데|섬네일|송영]]
|사진출처=강원일보<ref>(구정민)「[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58684 신사임당 소재 최초 연극대본 발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강원도민일보』<sup>online</sup></online></html>,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5년 12월 02일.</ref>  
+
|사진출처=「[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58684 신사임당 소재 최초 연극대본 발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강원도민일보』<sup>online</sup></online></html><ref>(구정민)「[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58684 신사임당 소재 최초 연극대본 발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강원도민일보』<sup>online</sup></online></html>,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5년 12월 02일.</ref>  
 
|대표명= 송영(宋影)
 
|대표명= 송영(宋影)
 
|한글명=송영(송무현)
 
|한글명=송영(송무현)
14번째 줄: 14번째 줄:
 
|이칭=송동량(宋東兩), 은구산(殷龜山), 관악산인(冠岳山人), 산천실(山川實) 등
 
|이칭=송동량(宋東兩), 은구산(殷龜山), 관악산인(冠岳山人), 산천실(山川實) 등
 
|성별=남성
 
|성별=남성
|생년=1903년 5월 24일
+
|생년=1903년
|몰년=1977년 1월 3일
+
|몰년=1977년
 
|출신지=서울
 
|출신지=서울
 
|직업=작가(희곡)
 
|직업=작가(희곡)
30번째 줄: 30번째 줄:
 
==='''출생과 성장'''===
 
==='''출생과 성장'''===
 
{{글상자|
 
{{글상자|
|내용=1903년 5월 24일 서울 서대문 오궁골에서 태어났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5세(1917)에 배재중학에 입학하면서 박세영{{TagPerson|}}함께 '소년문예구락부'를 조직했고, '새누리'라는 잡지를 발간하여 습작 소설을 게재했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3·1운동{{TagEvent|}}에 가담하여 동창생들과 '자유신정보'라는 비밀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다시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3년 동안 운송부 잡역으로 일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이 시기 동안 크누트 함순, 도스토옙스키, 고리키, 고골, 체호프, 몰리에르 등의 외국 문학과 레닌과 마르크스의 이념 서적을 접하게 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간 송영은 동경에서 낮에는 공장 노동자 생활을 하고, 저녁에는 예술 강의를 들으며 문학에 대한 열정을 불태운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
|내용=1903년 5월 24일 서울 서대문 오궁골에서 태어났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5세(1917)에 배재중학{{TagInstitution|}}에 입학하면서 박세영과 함께 '소년문예구락부'{{TagGroup|}}를 조직했고, '새누리'라는 잡지를 발간하여 습작 소설을 게재했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3·1운동{{TagEvent|}}에 가담하여 동창생들과 '자유신정보'라는 비밀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다시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3년 동안 운송부 잡역으로 일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이 시기 동안 크누트 함순, 도스토옙스키, 고리키, 고골, 체호프, 몰리에르 등의 외국 문학과 레닌과 마르크스의 이념 서적을 접하게 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간 송영은 동경에서 낮에는 공장 노동자 생활을 하고, 저녁에는 예술 강의를 들으며 문학에 대한 열정을 불태운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
 
}}
  
 
==='''일본생활 이후'''===
 
==='''일본생활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반년간의 일본 생활을 마감하고 1922년 말 고국으로 돌아온 송영은 '새누리'라는 문학 단체를 조직했으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성과를 내지 못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이후 새누리의 재건을 위해 결성된 1923 최초의 사회주의 예술단체인 염군사(焰群社) {{TagGroup|}}의 구성원으로서 극단‘염군을 조직하고 활동하면서 기관지 『염군』에 소설 <span style="color:#0000FF">「남남대전」</span>과 희곡 <span style="color:#0000FF">「백양화」</span>를 발표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span style="color:#0000FF">'늘어가는 무리'</span>가 '개벽'(1925. 7)의 현상공모에 당선되면서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고, <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1925 <font color="#B22222">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font>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고양군으로 내려가 아동교육에도 힘썼는데, 그곳에서 아동극 공연 단체인 '앵봉회' {{TagGroup|}}를 조직하고, 아동잡지 '별나라'를 편집했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내용= 반년간의 일본 생활을 마감하고 1922년 말 고국으로 돌아온 송영은 '새누리'{{TagGroup|}}라는 문학 단체를 조직했으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성과를 내지 못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이후 새누리의 재건을 위해 결성된 1923 최초의 사회주의 예술단체인 <font color="#B22222">염군사(焰群社)</font> {{TagGroup|}}의 구성원으로서 극단 <font color="#B22222">'염군'</font>을 조직하고 활동하면서 기관지 『염군』에 소설 <span style="color:#0000FF">「남남대전」</span>과 희곡 <span style="color:#0000FF">「백양화」</span>를 발표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span style="color:#0000FF">'늘어가는 무리'</span>가 '개벽'(1925. 7)의 현상공모에 당선되면서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고, <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1925 <font color="#B22222">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font>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고양군으로 내려가 아동교육에도 힘썼는데, 그곳에서 아동극 공연 단체인 <font color="#B22222">'앵봉회'</font> {{TagGroup|}}를 조직하고, 아동잡지 '별나라'를 편집했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카프의 대표적인 극작가·소설가로 활동하면서 평양고무직공 파업을 소재로 한 소설을 발표했고 1927년 카프 조직개편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카프 위원이 된 후 직속극단에서 대본을 집필하면서 1929년 『조선문예』의 인쇄를 책임졌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러나 이후 1934년 7월 전주사건(신건설사){{TagEvent|}}으로 검거되어 수감생활을 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카프의 대표적인 극작가·소설가로 활동하면서 평양고무직공 파업을 소재로 한 소설을 발표했고 1927년 카프 조직개편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카프 위원이 된 후 직속극단에서 대본을 집필하면서 1929년 『조선문예』의 인쇄를 책임졌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러나 이후 1934년 7월 전주사건(신건설사){{TagEvent|}}으로 검거되어 수감생활을 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42번째 줄: 42번째 줄:
 
==='''출소이후'''===
 
==='''출소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35년 12월 17일 출소한 이후에는 소학교 교사를 하다가 1937년 극장에서 대본을 집필하는 극작가로 활동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동양극장에 수십 편의 멜로드라마, 사극의 대본을 제공하였고 같은 해 박영호 등과 함께 극단 중앙무대를 결성하여 양심적이고 진보적인 연극운동을 주도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2년 2월 미국과 서양 기독교를 규탄하는 「삼대」를 상연하는 데 힘을 더했으며 1942년 7월 일제의 관변단체인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로 위촉되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1935년 12월 17일 출소한 이후에는 소학교 교사를 하다가 1937년 극장에서 대본을 집필하는 극작가로 활동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동양극장에 수십 편의 멜로드라마, 사극의 대본을 제공하였고 같은 해 박영호 등과 함께 극단 중앙무대를 결성하여 양심적이고 진보적인 연극운동을 주도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2년 2월 미국과 서양 기독교를 규탄하는 <span style="color:#0000FF">「삼대」</span>를 상연하는 데 힘을 더했으며 1942년 7월 일제의 관변단체인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로 위촉되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해방이후'''===
 
==='''해방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해방 후 한설야 {{TagPerson|}}, 이기영 {{TagPerson|}}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을 결성하여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방 후 첫 작품은 봉건 사회에 기초한 친일파의 몰락을 풍자한 희곡 「황혼」이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6년 임화 주도로 예맹이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자, 1946년 월북하게 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
|내용=해방 후 한설야, 이기영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을 결성하여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방 후 첫 작품은 봉건 사회에 기초한 친일파의 몰락을 풍자한 희곡 <span style="color:#0000FF">「황혼」</span>이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6년 임화 주도로 예맹이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자, 1946년 월북하게 된다.<ref>"[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0192501 송영]", (인물&작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교보문고』<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ref>
 
}}
 
}}
  
 
==='''월북이후'''===
 
==='''월북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북한에서 <font color="#D2691E">북조선문학예술동맹 상무위원,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font>을 역임하면서 희곡 「자매」, 「나란히 선 두 집」과 봉건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한 풍자극 「금산군수」를 썼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한국전쟁 시기에는 종군작가로 활동했으며, 1953년에는 '김일성 항일무장투쟁 전적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를 발표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이후 1958년 이 작품을 <밀림아 이야기하라>로 직접 각색하여 무대에 올렸고, 이로 인하여 1959년 문학인으로는 최초로 '인민상'을 수상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이 작품은 북한 혁명가극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5대 혁명가극 중 하나로 꼽히게 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내용=북한에서 <font color="#D2691E">북조선문학예술동맹 상무위원,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font>을 역임하면서 희곡 <span style="color:#0000FF">「자매」, 「나란히 선 두 집」</span>과 봉건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한 풍자극 <span style="color:#0000FF">「금산군수」</span>를 썼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한국전쟁 시기에는 종군작가로 활동했으며, 1953년에는 '김일성 항일무장투쟁 전적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span style="color:#0000FF"><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span>를 발표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이후 1958년 이 작품을 <span style="color:#0000FF"><밀림아 이야기하라></span>로 직접 각색하여 무대에 올렸고, 이로 인하여 1959년 문학인으로는 최초로 '인민상'을 수상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이 작품은 북한 혁명가극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5대 혁명가극 중 하나로 꼽히게 된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50년대 후반에는  <font color="#D2691E">내각 문화성 부상, 조소친선협회 중앙위원, 대외문화연락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조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상무위원</font> 등을 역임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영은 월북 이후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건설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59년에 북한에서 문인 최초로 ‘인민상’을 받았고, 명확하진 않으나 북한에서의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1977년 1월 3일 사망후 평양 애국열사릉에 묻혔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50년대 후반에는  <font color="#D2691E">내각 문화성 부상, 조소친선협회 중앙위원, 대외문화연락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조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상무위원</font> 등을 역임하였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영은 월북 이후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건설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f>(이은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949 송무현 (宋武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59년에 북한에서 문인 최초로 ‘인민상’을 받았고, 명확하진 않으나 북한에서의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1977년 1월 3일 사망후 평양 애국열사릉에 묻혔다.<ref>"[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1 송영(1903)]"<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63번째 줄: 63번째 줄:
 
=='''연구'''==
 
=='''연구'''==
 
----
 
----
==='''용광로'''===
+
==='''카프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카프{{TagGroup|}}는 1925년에 결성되었던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문학가들의 실천 단체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을 의미한다.'''<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19년 3.1운동{{TagEvent|}} 이후 일제의 '문화통치'가 시행되었고, 러시아 혁명 이후 프롤레타리아의 파고를 배경으로 조선에서도 공산주의운동이 발흥하며 소련과 일본의 영향을 받은 문학운동이 전개되었다.<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22년에 조직된 '염군사'{{TagGroup|}}와 문학가 단체 '파스큘라'가 통합되어 결성된 것이 '카프'였다.<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영은 염군사와 파스큘라 합병을 제의하고 직접 설득하기도 하는 등 카프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ref>  "[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 송영(1903)]"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그러나 1926년 말부터 카프 내부에서 '내용 · 형식 논쟁’이 전개되었다.<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카프의 제 1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3차 조선공산당(ML)과 관련된 ≪무산자사 無産者社≫를 통하여 1929년경부터 신진이론가들의 계급문예이론이 KAPF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며 카프가 재조직되었고 제2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졌다.<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러나 카프의 활동은 <지하촌 地下村> 사건{{TagEvent|}}으로 탄압받기 시작했고 조직 내부에서는 조직해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ref> (윤홍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25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영은 당시 카프 해산을 반대하는 비해소파의 핵심인물이었지만 결국 카프는 해산되었고, 이후에도 그는 사회주의적인 경향이 묻어나는 작품들을 창작하였다.<ref>  "[https://namu.wiki/w/%EC%86%A1%EC%98%81(1903) 송영(1903)]" <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호신술'''===
+
==='''전주사건{{TagEvent|}}(신건설(新建設)사 사건)'''===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신건설{{TagGroup|}}이란, 1932년 8월 초에 ‘활발하게 프롤레타리아 연극 건설’을 목표로 삼아 창단된 극단'''으로, 소위 '''좌익 극단들이 가졌던 불성실을 배제하고 좌익연극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겠다는 의지''' 아래 결성된 단체이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615 신건설 (新建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영은 극단 신건설의 문예부에 소속되어 있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615 신건설 (新建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극단은 연극을 통해서 공산주의 사상을 선전하기 위하여 일본의 좌익극단들과도 연결을 가졌으며, 국내에서는 학교와 연계활동을 벌이면서 레마르크 원작「서부전선 이상 없다」와 같은 반전극(反戰劇)을 공연하다가 검열에 걸려 공연정지를 당하기도 하였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615 신건설 (新建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전국순회공연을 하던 중 일제의 좌익탄압에 걸려 1943년 11월 주요인물들이 모두 체포당하였는데 이 중에 송영도 포함되어 있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615 신건설 (新建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신건설사 사건’으로 극단 신건설은 결국 2년도 유지 못하고 해산당하게 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사실상 1930년대 전반기에 활발하였던 좌익극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615 신건설 (新建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밀림아이야기하라』(1958)'''===
+
==='''대표작 : 『밀림아이야기하라』(1958)'''===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72년 평양예술단에서 창작한 5대 혁명가극 중 한 작품으로,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위장활동을 하는 김일성 유격대원의 충성심과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송영 원작의 《애국자》(1956, 원제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가 무대에서 상연되어 좋은 반응을 얻자, 《밀림아 이야기하라》(1958)라는 제목의 가극으로 각색된 뒤 1970년대 혁명가극 제작붐을 타고 김정일의 지도 아래 다시 각색된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80%EB%A6%BC%EC%95%84_%EC%9D%B4%EC%95%BC%EA%B8%B0%ED%95%98%EB%9D%BC 밀림아 이야기하라]",<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 최병훈의 항일정신을 김일성에 대한 찬양과 결부시켜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쳐 싸우면서 충성하는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준 작품이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주인공 최병훈은 항일유격대 대원으로 오로지 김일성으로부터 임무를 띠고 일제의 통치구역에 파견되어 구장으로 위장하여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면서 적정을 수집, 보고하는 첩보활동을 한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하지만 신분을 속이느라 마을 사람들로부터 온갖 멸시와 모욕을 당하다 끝내 버림을 받는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최병훈의 정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를 일본의 ‘개구장’이라고 하면서 사람으로조차 여기지 않았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하지만 마지막에 가서 최병훈의 정체가 알려지고 마을 사람들과의 갈등도 해결된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주제가 <설레이는 밀림아 이야기하라>를 비롯하여 제1장 1경에서 복순이 마을사람들로부터 ‘개구장’의 딸이라는 야유와 멸시를 받고 홀로 남아 방창과 복순의 노래로 불리워지는 <홀로 핀 진달래>, 제5장 1경 아버지와 복순의 이별 장면에서 주인공의 노래와 방창으로 부르는 노래 <혁명하는 길에서는 살아도 죽어도 영광이라네> 등의 작품은 가요로도 많이 불렸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내용= '''1972년 평양예술단에서 창작한 5대 혁명가극 중 한 작품으로,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위장활동을 하는 김일성 유격대원의 충성심과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송영 원작의 《애국자》(1956, 원제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가 무대에서 상연되어 좋은 반응을 얻자, 《밀림아 이야기하라》(1958)라는 제목의 가극으로 각색된 뒤 1970년대 혁명가극 제작붐을 타고 김정일의 지도 아래 다시 각색된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80%EB%A6%BC%EC%95%84_%EC%9D%B4%EC%95%BC%EA%B8%B0%ED%95%98%EB%9D%BC 밀림아 이야기하라]",<html><online style="color:purple">『나무위키』<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 최병훈의 항일정신을 김일성에 대한 찬양과 결부시켜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쳐 싸우면서 충성하는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준 작품이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주인공 최병훈은 항일유격대 대원으로 오로지 김일성으로부터 임무를 띠고 일제의 통치구역에 파견되어 구장으로 위장하여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면서 적정을 수집, 보고하는 첩보활동을 한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하지만 신분을 속이느라 마을 사람들로부터 온갖 멸시와 모욕을 당하다 끝내 버림을 받는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최병훈의 정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를 일본의 ‘개구장’이라고 하면서 사람으로조차 여기지 않았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하지만 마지막에 가서 최병훈의 정체가 알려지고 마을 사람들과의 갈등도 해결된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주제가 <설레이는 밀림아 이야기하라>를 비롯하여 제1장 1경에서 복순이 마을사람들로부터 ‘개구장’의 딸이라는 야유와 멸시를 받고 홀로 남아 방창과 복순의 노래로 불리워지는 <홀로 핀 진달래>, 제5장 1경 아버지와 복순의 이별 장면에서 주인공의 노래와 방창으로 부르는 노래 <혁명하는 길에서는 살아도 죽어도 영광이라네> 등의 작품은 가요로도 많이 불렸다.<ref>(전영선), "[http://www.nks.ac.kr/Word/View.aspx?id=2764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html><online style="color:purple">『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북한대학원대학교.,</ref>
88번째 줄: 89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Person: 홍아무개 || A hasSon B
+
| Person: 송영 || Event: 신건설사 사건 || A isInvolvedIn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송영 || Institution: 배재중학 || A takesCourseAt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송영 || Institution: 염군사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송영 || Group: 카프 || A isMemberOf B
 
|-
 
|-
| Book: ○○○ || Person: 홍길동 || A creator B
+
| Person: 송영 || Group: 새누리 || A isMemeberOf B
 
|-
 
|-
 
|}
 
|}
102번째 줄: 103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1n4hmcXQkif5fvhh4BebL1fHrW4khH4nH6wxFwAwnrk/edit?gid=0#gid=0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ml><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1n4hmcXQkif5fvhh4BebL1fHrW4khH4nH6wxFwAwnrk&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html>
▶Timeline임베딩
+
 
<br/><br/>
+
==='''송영 NetworkGraph'''===
 +
 
 +
==Visualization==
 +
{{NetworkGraph | title=송영.lst}}
  
==='''Network Graph'''===
+
[[분류:Network Graph Script]][[분류:2024-2 BigData(SNU)]]
----
 
*[[{{FULLPAGENAMEE}}.lst]]
 
{{NetworkGraph | title={{FULLPAGENAMEE}}.lst}}
 
  
 
{{상단이동
 
{{상단이동
116번째 줄: 117번째 줄:
 
}}
 
}}
 
<br/><br/>
 
<br/><br/>
 +
<pre>
  
 
=='''참고자원'''==
 
=='''참고자원'''==

2024년 11월 24일 (일) 13:40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조유진(JBUN2024))이 작성했습니다.




송영(宋影)
[[file:
송영
|270px|thumb|center]]
출처 : 신사임당 소재 최초 연극대본 발견」, 『강원도민일보』online[1]
 
한글명 송영(송무현) 한자명 宋影(宋武鉉) 영문명 Song Yong 가나명 山川實 이칭 송동량(宋東兩), 은구산(殷龜山), 관악산인(冠岳山人), 산천실(山川實) 등
성별 남성 생년 1903년년 몰년 1977년년 출신지 서울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북한의 극작가이자 소설가.[2] 최초의 사회주의 예술단체 염군사(焰群社)를 조직하고 활동했으며 이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의 극작가, 소설가로 활동했다.[3] 해방 이후에는 조선문학동맹결성을 계기로 월북하여 북조선예술동맹상무위원,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전쟁 이후 내각문화성 부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상무위원 등을 역임했다.[4] 대표작으로는 단편소설인 <석공조합대표>(1926), <군중정류>(1927), 희곡작품인 <일체 면회를 거절하라>(1929), <신임리사장>(1934), <황금산>(1937), <김삿갓>(1938) 등이 있다. 또한 희곡으로는 <자매>(1949)등이 있다.[5]


생애


출생과 성장

1903년 5월 24일 서울 서대문 오궁골에서 태어났다.[6] 15세(1917)에 배재중학기관에 입학하면서 박세영과 함께 '소년문예구락부'단체를 조직했고, '새누리'라는 잡지를 발간하여 습작 소설을 게재했다.[7] 3·1운동사건에 가담하여 동창생들과 '자유신정보'라는 비밀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다시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3년 동안 운송부 잡역으로 일한다.[8] 이 시기 동안 크누트 함순, 도스토옙스키, 고리키, 고골, 체호프, 몰리에르 등의 외국 문학과 레닌과 마르크스의 이념 서적을 접하게 된다.[9]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간 송영은 동경에서 낮에는 공장 노동자 생활을 하고, 저녁에는 예술 강의를 들으며 문학에 대한 열정을 불태운다.[10]


일본생활 이후

반년간의 일본 생활을 마감하고 1922년 말 고국으로 돌아온 송영은 '새누리'단체라는 문학 단체를 조직했으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성과를 내지 못한다.[11] 이후 새누리의 재건을 위해 결성된 1923 최초의 사회주의 예술단체인 염군사(焰群社) 단체의 구성원으로서 극단 '염군'을 조직하고 활동하면서 기관지 『염군』에 소설 「남남대전」과 희곡 「백양화」를 발표했다.[12] '늘어가는 무리'가 '개벽'(1925. 7)의 현상공모에 당선되면서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고, [13] 1925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4] 고양군으로 내려가 아동교육에도 힘썼는데, 그곳에서 아동극 공연 단체인 '앵봉회' 단체를 조직하고, 아동잡지 '별나라'를 편집했다.[15] 카프의 대표적인 극작가·소설가로 활동하면서 평양고무직공 파업을 소재로 한 소설을 발표했고 1927년 카프 조직개편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6] 카프 위원이 된 후 직속극단에서 대본을 집필하면서 1929년 『조선문예』의 인쇄를 책임졌다.[17] 그러나 이후 1934년 7월 전주사건(신건설사)사건으로 검거되어 수감생활을 하였다.[18]


출소이후

1935년 12월 17일 출소한 이후에는 소학교 교사를 하다가 1937년 극장에서 대본을 집필하는 극작가로 활동하였다.[19] 동양극장에 수십 편의 멜로드라마, 사극의 대본을 제공하였고 같은 해 박영호 등과 함께 극단 중앙무대를 결성하여 양심적이고 진보적인 연극운동을 주도하였다.[20] 1942년 2월 미국과 서양 기독교를 규탄하는 「삼대」를 상연하는 데 힘을 더했으며 1942년 7월 일제의 관변단체인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로 위촉되었다.[21]


해방이후

해방 후 한설야, 이기영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을 결성하여 사회주의 노선을 견지하였다.[22] 해방 후 첫 작품은 봉건 사회에 기초한 친일파의 몰락을 풍자한 희곡 「황혼」이었다.[23] 1946년 임화 주도로 예맹이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자, 1946년 월북하게 된다.[24]


월북이후

북한에서 북조선문학예술동맹 상무위원,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희곡 「자매」, 「나란히 선 두 집」과 봉건 사회의 부패상을 폭로한 풍자극 「금산군수」를 썼다.[25] 한국전쟁 시기에는 종군작가로 활동했으며, 1953년에는 '김일성 항일무장투쟁 전적지 조사단'에 참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를 발표한다.[26] 이후 1958년 이 작품을 <밀림아 이야기하라>로 직접 각색하여 무대에 올렸고, 이로 인하여 1959년 문학인으로는 최초로 '인민상'을 수상한다.[27]이 작품은 북한 혁명가극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5대 혁명가극 중 하나로 꼽히게 된다.[28] 1950년대 후반에는 내각 문화성 부상, 조소친선협회 중앙위원, 대외문화연락위원회 위원장, 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조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상무위원 등을 역임하였다.[29] 송영은 월북 이후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건설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0] 1959년에 북한에서 문인 최초로 ‘인민상’을 받았고, 명확하진 않으나 북한에서의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1977년 1월 3일 사망후 평양 애국열사릉에 묻혔다.[31]





연구


카프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cio))

카프단체는 1925년에 결성되었던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문학가들의 실천 단체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을 의미한다.[32] 1919년 3.1운동사건 이후 일제의 '문화통치'가 시행되었고, 러시아 혁명 이후 프롤레타리아의 파고를 배경으로 조선에서도 공산주의운동이 발흥하며 소련과 일본의 영향을 받은 문학운동이 전개되었다.[33] 1922년에 조직된 '염군사'단체와 문학가 단체 '파스큘라'가 통합되어 결성된 것이 '카프'였다.[34] 송영은 염군사와 파스큘라 합병을 제의하고 직접 설득하기도 하는 등 카프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35] 그러나 1926년 말부터 카프 내부에서 '내용 · 형식 논쟁’이 전개되었다.[36] 이후 카프의 제 1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3차 조선공산당(ML)과 관련된 ≪무산자사 無産者社≫를 통하여 1929년경부터 신진이론가들의 계급문예이론이 KAPF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며 카프가 재조직되었고 제2차 방향전환이 이루어졌다.[37] 그러나 카프의 활동은 <지하촌 地下村> 사건사건으로 탄압받기 시작했고 조직 내부에서는 조직해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38] 송영은 당시 카프 해산을 반대하는 비해소파의 핵심인물이었지만 결국 카프는 해산되었고, 이후에도 그는 사회주의적인 경향이 묻어나는 작품들을 창작하였다.[39]


전주사건사건(신건설(新建設)사 사건)

신건설단체이란, 1932년 8월 초에 ‘활발하게 프롤레타리아 연극 건설’을 목표로 삼아 창단된 극단으로, 소위 좌익 극단들이 가졌던 불성실을 배제하고 좌익연극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겠다는 의지 아래 결성된 단체이다.[40] 송영은 극단 신건설의 문예부에 소속되어 있었다.[41] 이 극단은 연극을 통해서 공산주의 사상을 선전하기 위하여 일본의 좌익극단들과도 연결을 가졌으며, 국내에서는 학교와 연계활동을 벌이면서 레마르크 원작「서부전선 이상 없다」와 같은 반전극(反戰劇)을 공연하다가 검열에 걸려 공연정지를 당하기도 하였다.[42] 이후 전국순회공연을 하던 중 일제의 좌익탄압에 걸려 1943년 11월 주요인물들이 모두 체포당하였는데 이 중에 송영도 포함되어 있었다.[43]‘신건설사 사건’으로 극단 신건설은 결국 2년도 유지 못하고 해산당하게 되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사실상 1930년대 전반기에 활발하였던 좌익극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44]


대표작 : 『밀림아이야기하라』(1958)

1972년 평양예술단에서 창작한 5대 혁명가극 중 한 작품으로,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위장활동을 하는 김일성 유격대원의 충성심과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45] 송영 원작의 《애국자》(1956, 원제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가 무대에서 상연되어 좋은 반응을 얻자, 《밀림아 이야기하라》(1958)라는 제목의 가극으로 각색된 뒤 1970년대 혁명가극 제작붐을 타고 김정일의 지도 아래 다시 각색된 것이다.[46]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 최병훈의 항일정신을 김일성에 대한 찬양과 결부시켜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쳐 싸우면서 충성하는 혁명투사의 전형을 보여준 작품이다.[47] 주인공 최병훈은 항일유격대 대원으로 오로지 김일성으로부터 임무를 띠고 일제의 통치구역에 파견되어 구장으로 위장하여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면서 적정을 수집, 보고하는 첩보활동을 한다.[48] 하지만 신분을 속이느라 마을 사람들로부터 온갖 멸시와 모욕을 당하다 끝내 버림을 받는다.[49] 최병훈의 정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를 일본의 ‘개구장’이라고 하면서 사람으로조차 여기지 않았다.[50] 하지만 마지막에 가서 최병훈의 정체가 알려지고 마을 사람들과의 갈등도 해결된다.[51] 주제가 <설레이는 밀림아 이야기하라>를 비롯하여 제1장 1경에서 복순이 마을사람들로부터 ‘개구장’의 딸이라는 야유와 멸시를 받고 홀로 남아 방창과 복순의 노래로 불리워지는 <홀로 핀 진달래>, 제5장 1경 아버지와 복순의 이별 장면에서 주인공의 노래와 방창으로 부르는 노래 <혁명하는 길에서는 살아도 죽어도 영광이라네> 등의 작품은 가요로도 많이 불렸다.[52]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송영 Event: 신건설사 사건 A isInvolvedIn B
Person: 송영 Institution: 배재중학 A takesCourseAt B
Person: 송영 Institution: 염군사 A isMemberOf B
Person: 송영 Group: 카프 A isMemberOf B
Person: 송영 Group: 새누리 A isMemeberOf B



Timeline

송영 NetworkGraph

Visualization






참고자원




주석


  1. (구정민)「신사임당 소재 최초 연극대본 발견」, 『강원도민일보』online,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5년 12월 02일.
  2.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정우) "송영 [Song Yong]"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6.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8.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9.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10.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11.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12.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14.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15.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16.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7.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8.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9.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0.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1.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2.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3.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4. "송영", (인물&작품) 『교보문고』online, 교보문고.
  25.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6.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27.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28.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29.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0. (이은희) "송무현 (宋武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1. "송영(1903)"『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32.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3.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4.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5. "송영(1903)" 『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36.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7.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8. (윤홍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an Artist Proletarian Federatio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9. "송영(1903)" 『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40. "신건설 (新建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1. "신건설 (新建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2. "신건설 (新建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3. "신건설 (新建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4. "신건설 (新建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5.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46. "밀림아 이야기하라",『나무위키』online, 나무위키.,
  47.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48.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49.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50.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51.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
  52. (전영선), "밀림아 이야기하라 [Thick Forest, Talk]",(가극),『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online, 북한대학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