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좌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저술 및 상훈)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성좌경.jpg
 
|사진= 성좌경.jpg
|사진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표명= 성좌경(한자명)
+
|대표명= 성좌경(成佐慶)
 
|한글명= 성좌명
 
|한글명= 성좌명
 
|한자명= 成佐慶
 
|한자명= 成佐慶
24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과학기술처장관, 고분자학회장 등을 역임하며 과학기술진흥에 힘쓴 과학자 · 관료.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유기 화학, 원자력,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며, 후학 양성에도 힘쓴 인물이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그는 “우리나라처럼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또 세계경제가 어려울 때의 타개방법은 과학기술밖에 없다.”는 신조 밑에 일해 온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과학기술처장관, 고분자학회장 등을 역임하며 과학기술진흥에 힘쓴 과학자 · 관료.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유기 화학, 원자력,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며, 후학 양성에도 힘쓴 인물이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그는 “우리나라처럼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또 세계경제가 어려울 때의 타개방법은 과학기술밖에 없다.”는 신조 밑에 일해 온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
 
}}
  
36번째 줄: 36번째 줄:
 
==='''대학 재학 시절'''===
 
==='''대학 재학 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42년동경공업대학(東京工業大學) 응용화학과를 졸업하였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45년에 경성 공업 전문학교 교수, 1946년에 국립 공업 연구소 유기 화학과장, 1954년에 국방 과학 연구소 부소장을 지냈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성좌경은 1963년부터 1966년까지 한양 대학교 공과 대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재직 중인 1964년에 서울 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
|내용= 1942년동경공업대학(東京工業大學) 응용화학과를 졸업하였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1945년에 경성 공업 전문학교 교수, 1946년에 국립 공업 연구소 유기 화학과장, 1954년에 국방 과학 연구소 부소장을 지냈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성좌경은 1963년부터 1966년까지 한양 대학교 공과 대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재직 중인 1964년에 서울 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
 
}}
  
42번째 줄: 42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성좌경은 1968년에 인하 대학교에 부임하여 인하 대학교 공과 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인하 대학교가 종합 대학으로 승격된 직후인 1972년에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성좌경은 1973년에 대한 화학회장, 1974년에 과학 기술 진흥 재단 부이사장, 1976년에 화학 연구소장, 1977년에 대한 고분자 학회장 등 연구 단체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
성좌경은 1968년에 인하 대학교에 부임하여 인하 대학교 공과 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인하 대학교가 종합 대학으로 승격된 직후인 1972년에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성좌경은 1973년에 대한 화학회장, 1974년에 과학 기술 진흥 재단 부이사장, 1976년에 화학 연구소장, 1977년에 대한 고분자 학회장 등 연구 단체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ref>
1979년부터 3년 동안 과학기술처장관의 책임을 맡아 과학기술진흥에 힘썼고 1983년에는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으로 일하였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979년부터 3년 동안 과학기술처장관의 책임을 맡아 과학기술진흥에 힘썼고 1983년에는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으로 일하였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
 
}}
  
==='''저술 및 작품'''===
+
==='''저술 및 상훈'''===
 
{{글상자|
 
{{글상자|
|내용= 성좌경은 유기 화학,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주요 저서로 『유기 화학』, 『고분자 화학 개론』이 있으며 40여 편의 논문을 남겼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성좌경은 유기 화학,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주요 저서로 『유기 화학』, 『고분자 화학 개론』이 있으며 40여 편의 논문을 남겼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1960년 녹조근정훈장, 1970년 국민훈장동백장, 1971년 대만화학회 학술상, 1975년 과학기술상·청조근정훈장 등을 받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f>
 
}}
 
}}
 
==='''상훈과 추모'''===
 
{{글상자|
 
|내용=  1960년 녹조근정훈장, 1970년 국민훈장동백장, 1971년 대만화학회 학술상, 1975년 과학기술상·청조근정훈장 등을 받았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_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상단이동
 
{{상단이동
118번째 줄: 112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762&cid=46626&categoryId=46626 성좌경 (成佐慶)]』<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https://www.grandculture.net/michuhol/toc/GC04701020 성좌경]』<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
 
----
  

2024년 11월 27일 (수) 10:11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노보석(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성좌경(成佐慶)
성좌경.jpg
출처 :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글명 성좌명 한자명 成佐慶 영문명 Sung Jwa-kyung 가나명 이칭
성별 남자 생년 1920년 몰년 1986년 출신지 경기도 양평군 전공 응용공학과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과학기술처장관, 고분자학회장 등을 역임하며 과학기술진흥에 힘쓴 과학자 · 관료. [1] 유기 화학, 원자력,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며, 후학 양성에도 힘쓴 인물이다. [2] 그는 “우리나라처럼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또 세계경제가 어려울 때의 타개방법은 과학기술밖에 없다.”는 신조 밑에 일해 온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3]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1920년에 경기도 양평군에서 태어났다.[4]


대학 재학 시절

1942년동경공업대학(東京工業大學) 응용화학과를 졸업하였다. [5] 1945년에 경성 공업 전문학교 교수, 1946년에 국립 공업 연구소 유기 화학과장, 1954년에 국방 과학 연구소 부소장을 지냈다.[6] 성좌경은 1963년부터 1966년까지 한양 대학교 공과 대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재직 중인 1964년에 서울 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7]


졸업 이후

성좌경은 1968년에 인하 대학교에 부임하여 인하 대학교 공과 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인하 대학교가 종합 대학으로 승격된 직후인 1972년에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8] 성좌경은 1973년에 대한 화학회장, 1974년에 과학 기술 진흥 재단 부이사장, 1976년에 화학 연구소장, 1977년에 대한 고분자 학회장 등 연구 단체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9] 1979년부터 3년 동안 과학기술처장관의 책임을 맡아 과학기술진흥에 힘썼고 1983년에는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으로 일하였다. [10]


저술 및 상훈

성좌경은 유기 화학, 고분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11]주요 저서로 『유기 화학』, 『고분자 화학 개론』이 있으며 40여 편의 논문을 남겼다.[12] 1960년 녹조근정훈장, 1970년 국민훈장동백장, 1971년 대만화학회 학술상, 1975년 과학기술상·청조근정훈장 등을 받았다.[13]





연구


제목1


제목2


제목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Person: 홍아무개 A hasSon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Book: ○○○ Person: 홍길동 A creator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주석


  1.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2.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3.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4. 나무위키_성좌경
  5.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6.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7.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8.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9. 성좌경online,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10.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11.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12.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
  13. 성좌경 (成佐慶)online, 한국문화민족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