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새 문서: {{글상자|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위키ID]])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경문(C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
 
----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파일이름.확장자
+
|사진= Lee Sang Eun.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권재현,「[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050706/8206999/1 이상은선생 탄생100주년 학술대회… 9일 고려大서 열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동아일보』<sup>online</sup></online></html>, 동아일보, 작성일: 2009년 10월 01일.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
|대표명= 이상은(李相殷)
|한글명=
+
|한글명= 이상은
|한자명=
+
|한자명= 李相殷
|영문명=
+
|영문명= Lee, Sang Eun
 
|가나명=
 
|가나명=
|이칭=
+
|이칭= 경로(卿輅)
|성별=
+
|성별= 남성
|생년=
+
|생년= 1905
|몰년=
+
|몰년= 1976
|출신지=
+
|출신지= 함경남도 정평군 파춘면 화동리
|전공=
+
|전공= 철학
 
}}
 
}}
 
{{인물항목
 
{{인물항목
23번째 줄: 23번째 줄:
 
}}
 
}}
 
=='''개요'''==
 
=='''개요'''==
{{글상자|
+
{{글상자|  
|내용=  
+
|내용= 대한민국의 '''철학자''','''교육자'''.1931년 중국 베이징대학 철학과를 마치고 1934년 보전(普專) 강사가 되고 해방 후 고려대 철학과 교수(1946~71)로 1952년에 동 문리대 학장ㆍ1956년 중국학회장으로 동년 미국 하버드ㆍ예일 대학에서 연구하고 1960년 학술원(동양철학) 회원이 되었으며 1961년 고려대 아시아문제 연구소장, 1962년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3985&cid=43671&categoryId=43671 이상은]",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1966년 학술원상을 수상하고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1971년 5월 고려대 명예 교수가 되었다.<ref>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3985&cid=43671&categoryId=43671 이상은]",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생애'''==
 
=='''생애'''==
 
----
 
----
==='''제목1'''===
+
==='''유년기 및 청소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05년 7월 19일 함경남도 정평군 파춘면 화동리(현 정평군 화동리)에서 아버지 {{TagPerson|이수영}}(李秀永, 1889년 8월 3일생)과 어머니 청주 한씨 {{TagPerson|한국찬}}(韓國瓚)의 딸 사이의 5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으며, 15세 되던 1919년 청주 한씨 한격순(韓格順, 1903년 11월 21일생)과 혼인하였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17세 되던 1921년 중국 유학을 떠나 1922년 9월 베이징 안휘중학(安徽中學)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이듬해인 1923년 9월 톈진의 난카이중학(南開中學)에 전학하여 다녔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제목2'''===
+
==='''청년기 및 장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25년 9월 고급 1학년 수료자격으로 {{TagInstitution|베이징 대학}}(北京大學) 예과에 응시, 합격하여 다녔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1927년 9월 예과를 수료한 뒤 베이징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1931년 9월 졸업하고 귀국하였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32년 경성외국어학원 강사가 되었다가 다음 해 경성주재 중국총영사관에서 한문비서(韓文秘書)가 되어 1945년까지 재직하기도 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1934년부터 1940년까지 보성전문학교 강사로 위촉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
  
==='''제목3'''===
+
==='''중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45년 한중문화협회(韓中文化協會)를 창설하여 기관지 『한중문화(韓中文化)』를 발간하였으며, 그 해 우익정당조직에 참가하였다가 정치활동에 뜻을 버리고 보성전문학교에 돌아와 1946년부터 퇴임하던 1970년까지 재직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이 기간 중 1952년부터 1960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장을 지냈고, 1956년 중국학회를 조직, 초대회장에 임명되어 1962년까지 재임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1956년 미국 국무부 초청 교환교수로 도미하여 하버드 대학교·예일 대학교 등에서 동서비교철학을 연구하였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그 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부설 아시아문제연구소장에 취임하여 1969년까지 13년간 재직하면서 이 연구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
  
==='''제목4'''===
+
==='''노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60년 4월 23일 {{TagInstitution|대한민국 학술원}} 추천회원에 임명되고, 그 해 {{TagGroup|한국휴머니스트회}} 회장이 되었으며, 58세 되던 1962년 5월 {{TagInstitution|고려대학교}}로부터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1963년에는 한중협회호적장학금관리위원, 갑오혁명기념사업협회 이사와 부회장에 추천되었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1965년 7월에는 한국 유네스코 위원에 위촉되었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1976년 12월 29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갈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ref>『[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
 
}}
 
}}
  
==='''제목5'''===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60번째 줄: 59번째 줄:
 
=='''연구'''==
 
=='''연구'''==
 
----
 
----
==='''제목1'''===
+
==='''퇴계의 생애와 학문'''===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73년 간행된 문고본 철학사상서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0620 퇴계의 생애와 학문]』<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저자는 〈생애와 인간〉편에서 철저한 고증을 통해 오류를 없애고 《도산잡영》 등 문집에 나타난 이황의 문학적 업적과 인간적 면모를 드러내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책의 후반부인〈학문과 사상〉편에서는 퇴계의 사상적 바탕을 이루는 성리학 사상의 핵심에 대해 서술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0620 퇴계의 생애와 학문]』<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특히 퇴계가 중국 송대의 성리학자 주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음을 밝혀 주목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0620 퇴계의 생애와 학문]』<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제목2'''===
 
{{글상자|
 
|내용=
 
 
}}
 
}}
  
==='''제목3'''===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85번째 줄: 78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Person: 홍아무개 || A hasSon B
+
| Person: 이상은 || Person: 한격순 || A hasSpouse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이상은 || Institution: 베이징대학 || A graduates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이상은 || Institution: 고려대학교 || A worksAt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이상은 || Group: 한국철학회 || A isMemberOf B
 
|-
 
|-
| Book: ○○○ || Person: 홍길동 || A creator B
+
| Book: 퇴계의 생애와 학문 || Person: 이상은 || A creator B
 
|-
 
|-
 
|}
 
|}
100번째 줄: 93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vO5UhYNwakFuIYh1Z1Dbvd43PMwNta6Gy6tatr-oulA/edit?gid=0#gid=0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vO5UhYNwakFuIYh1Z1Dbvd43PMwNta6Gy6tatr-oulA&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html>
 
<br/><br/>
 
<br/><br/>
  
116번째 줄: 111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3985&cid=43671&categoryId=43671 이상은]",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br/>
 +
『[https://namu.wiki/w/%EC%9D%B4%EC%83%81%EC%9D%80(%ED%95%99%EC%9E%90)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br/>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04 이상은]』<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br/>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0620 퇴계의 생애와 학문]』<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br/>
  
 
{{상단이동
 
{{상단이동

2025년 1월 1일 (수) 20:43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경문(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이상은(李相殷)
Lee Sang Eun.jpg
출처 : 권재현,「이상은선생 탄생100주년 학술대회… 9일 고려大서 열려」, 『동아일보』online, 동아일보, 작성일: 2009년 10월 01일.
 
한글명 이상은 한자명 李相殷 영문명 Lee, Sang Eun 가나명 이칭 경로(卿輅)
성별 남성 생년 1905년 몰년 1976년 출신지 함경남도 정평군 파춘면 화동리 전공 철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한민국의 철학자,교육자.1931년 중국 베이징대학 철학과를 마치고 1934년 보전(普專) 강사가 되고 해방 후 고려대 철학과 교수(1946~71)로 1952년에 동 문리대 학장ㆍ1956년 중국학회장으로 동년 미국 하버드ㆍ예일 대학에서 연구하고 1960년 학술원(동양철학) 회원이 되었으며 1961년 고려대 아시아문제 연구소장, 1962년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66년 학술원상을 수상하고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1971년 5월 고려대 명예 교수가 되었다.[2]


생애


유년기 및 청소년기

1905년 7월 19일 함경남도 정평군 파춘면 화동리(현 정평군 화동리)에서 아버지 이수영인물(李秀永, 1889년 8월 3일생)과 어머니 청주 한씨 한국찬인물(韓國瓚)의 딸 사이의 5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3].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으며, 15세 되던 1919년 청주 한씨 한격순(韓格順, 1903년 11월 21일생)과 혼인하였다.[4]17세 되던 1921년 중국 유학을 떠나 1922년 9월 베이징 안휘중학(安徽中學)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이듬해인 1923년 9월 톈진의 난카이중학(南開中學)에 전학하여 다녔다.[5]


청년기 및 장년기

1925년 9월 고급 1학년 수료자격으로 베이징 대학기관(北京大學) 예과에 응시, 합격하여 다녔다.[6]1927년 9월 예과를 수료한 뒤 베이징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1931년 9월 졸업하고 귀국하였다.[7] 1932년 경성외국어학원 강사가 되었다가 다음 해 경성주재 중국총영사관에서 한문비서(韓文秘書)가 되어 1945년까지 재직하기도 하였다.[8]1934년부터 1940년까지 보성전문학교 강사로 위촉되었다.[9]


중년기

1945년 한중문화협회(韓中文化協會)를 창설하여 기관지 『한중문화(韓中文化)』를 발간하였으며, 그 해 우익정당조직에 참가하였다가 정치활동에 뜻을 버리고 보성전문학교에 돌아와 1946년부터 퇴임하던 1970년까지 재직하였다.[10]이 기간 중 1952년부터 1960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장을 지냈고, 1956년 중국학회를 조직, 초대회장에 임명되어 1962년까지 재임하였다.[11]1956년 미국 국무부 초청 교환교수로 도미하여 하버드 대학교·예일 대학교 등에서 동서비교철학을 연구하였다.[12]그 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부설 아시아문제연구소장에 취임하여 1969년까지 13년간 재직하면서 이 연구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13]


노년기

1960년 4월 23일 대한민국 학술원기관 추천회원에 임명되고, 그 해 한국휴머니스트회단체 회장이 되었으며, 58세 되던 1962년 5월 고려대학교기관로부터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4]1963년에는 한중협회호적장학금관리위원, 갑오혁명기념사업협회 이사와 부회장에 추천되었다.[15] 1965년 7월에는 한국 유네스코 위원에 위촉되었다.[16]1976년 12월 29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갈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17]





연구


퇴계의 생애와 학문

1973년 간행된 문고본 철학사상서이다.[18]저자는 〈생애와 인간〉편에서 철저한 고증을 통해 오류를 없애고 《도산잡영》 등 문집에 나타난 이황의 문학적 업적과 인간적 면모를 드러내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책의 후반부인〈학문과 사상〉편에서는 퇴계의 사상적 바탕을 이루는 성리학 사상의 핵심에 대해 서술하였다.[19]특히 퇴계가 중국 송대의 성리학자 주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음을 밝혀 주목된다.[2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상은 Person: 한격순 A hasSpouse B
Person: 이상은 Institution: 베이징대학 A graduates B
Person: 이상은 Institution: 고려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상은 Group: 한국철학회 A isMemberOf B
Book: 퇴계의 생애와 학문 Person: 이상은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상은",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퇴계의 생애와 학문online, 두산백과.






주석


  1.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상은",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2.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상은",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4.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5.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6.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7.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8.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13. 이상은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15.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16.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17. 이상은online, 나무위키
  18. 퇴계의 생애와 학문online, 두산백과.
  19. 퇴계의 생애와 학문online, 두산백과.
  20. 퇴계의 생애와 학문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