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8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P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분류:2024-2 BigData(SNU)|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양서진(P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
 
----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파일이름.확장자
+
|사진= 최재희.jpg
|사진출처=  
+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
|사진출처= 『[http://phil.snu.ac.kr/board/html/menu2/sub02_2_view.html?idx=110 최재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철학과.
|한글명=
+
|대표명= 최재희(崔載喜)
|한자명=
+
|한글명= 최재희
|영문명=
+
|한자명= 崔載喜
 +
|영문명= Choe, Jae Hee
 
|가나명=
 
|가나명=
|이칭=
+
|이칭= 서우(曙宇)
|성별=
+
|성별= 남성
|생년=
+
|생년= 1914
|몰년=
+
|몰년= 1984
|출신지=
+
|출신지= 경상북도 청도군
|전공=
+
|전공= 역사철학,윤리학
 
}}
 
}}
 
{{인물항목
 
{{인물항목
24번째 줄: 25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최재희(崔載喜,1914년~1984년)는 한국의 철학자이자 교수였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호는 서우(曙宇)이며, 1930년대 중반 경성제국대학(이하 경성제대) 법문학부에서 철학을 공부하였고 1940년대 초 경성의학전문학교에서 강사로서, 또 해방 이후에는 고려대와 서울대에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 활동을 펼쳤다.<ref>임종명,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ref> 독일 비판 철학 전공자로서 헤겔(G.W.F), 칸트(I. Kant)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고,<ref>임종명,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ref> 칸트의 주요 저서인 실천 이성 비판과 순수 이성 비판을 번역하여 칸트 연구의 새 길을 열었다는 평을 받으며<ref>『[https://lib003.korea.ac.kr/lib003/about/visit.do 서양철학 70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고려대학교 철학과.</ref> 모든 철학적 탐구가 현실 및 실천의 문제로 귀착된다는 입장에서 휴머니즘 운동에 헌신하였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
+
}}.
  
 
=='''생애'''==
 
=='''생애'''==
 
----
 
----
==='''제목1'''===
+
==='''출생 및 학력'''===
{{글상자|
 
|내용=
 
}}
 
 
 
==='''제목2'''===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1914년 경상북도 영덕 군수와 영천 군수를 지낸 아버지 {{TagPerson|최항묵}}(崔恒默)과 어머니 {{TagPerson|손숙자}}(孫淑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1938년 {{TagInstitution|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법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TagInstitution|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42년 {{TagInstitution|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京城女子醫學專門學校) 강사로서 강단에 서기 시작하여, 1946년 {{TagInstitution|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강사를 거쳐 1947년 {{TagInstitution|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가 된 뒤, 1952년 이후로는 {{TagInstitution|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교수를 역임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제목3'''===
+
==='''활동사항===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TagInstitution|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TagInstitution|서울대학교}}, {{TagInstitution|고려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으며,<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br><소크라테스(Socrates)에 있어서의 선(善)의 규정(規定)>이라는 그의 대학졸업논문처럼, 윤리적인 문제에서부터 철학을 시작하여 퇴직 무렵까지 셸러(M.Scheler)의 가치윤리학을 강의하였다.</ref> 1945년 말부터는 2년여간 {{TagInstitution|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의 공민과에서 교과서 편수관으로 공민(公民) 교과서 편찬업무를 담당하였다.<ref>임종명,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실제 공민 교과서를 집필·출간하기도 하였다.</ref> 1960년 {{TagGroup|한국휴머니스트}} 회장을 맡아 1966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휴머니스트대회에 참석하였고, 1968년에는 {{TagGroup|한국철학회}} 회장을 맡으면서 그간 발간이 중단되고 있던 학회지 {{TagJournal|≪철학 哲學≫}}을 1969년부터 속간시켰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78년 독일 뒤셀도르프 {{TagEvent|세계철학대회}}에 참석하였고, 1979년 {{TagInstitution|서울대학교}}를 정년퇴임한 뒤로도 명예교수로 계속 강단에 섰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1981년에는 {{TagInstitution|학술원}} 회원으로 선임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그러던 1984년 5월 4일, 평소 앓고 있던 지병으로 인해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자택에서 향년 70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ref>「[https://www.mk.co.kr/news/economy/639588 서울대명예교수 최재희씨]」, 『매일경제』, 1994.05.05. <html><online style="color:purple">『매일경제』<sup>online</sup></online></html>, 매일경제.</ref>
 
}}
 
}}
  
==='''제목4'''===
+
==='''상훈과 추모'''===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73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윤리학 부문에서 {{TagEvent|학술원상을 받았으며}}, 국민 훈장 동백장을 수상했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그의 사후인 1985년에는 후학들이 최재희 교수의 글들을 정리하여 『최재희 저작 전집』 6권으로 출간하였다. 제1권은 칸트 철학의 연구, 제2권은 헤겔 철학 연구, 제3권은 철학의 기초 이론, 제4권은 역사 철학과 서양 철학사, 제5권은 진리의 주변, 제6권은 휴머니스트의 인간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지원에서 발행하였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1989년 5월에는 '철학자 최재희'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동료 교수·유족·제자들이 뜻을 모아 서우 철학상<ref> 저술과 번역 두 개의 부문에서 탁월한 철학적 성과를 이룩한 학자를 선정해 매년 6월 초순에 시상한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시상 소식을 찾을 수 없다.『[https://namu.wiki/w/서우철학상 서우철학상]』<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ref>을 제정하였다.<ref>『[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ref>
}}
 
  
==='''제목5'''===
 
{{글상자|
 
|내용=
 
 
}}
 
}}
  
60번째 줄: 52번째 줄:
 
=='''연구'''==
 
=='''연구'''==
 
----
 
----
==='''제목1'''===
+
==='''철학서적 번역과 저술'''===
{{글상자|
 
|내용=
 
}}
 
 
 
==='''제목2'''===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8년 대학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에서 철학 연구실 조교로 일하던 시절부터 이뤄졌던 칸트(I. Kant)의 {{TagBook|『실천이성비판』}}번역을 시작으로<ref>임종명,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ref> 칸트의 또다른 저서인 {{TagBook|『순수이성비판』}} 역시 번역하며 칸트 연구의 새 길을 열었다.<ref>『[https://lib003.korea.ac.kr/lib003/about/visit.do 서양철학 70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고려대학교 철학과. 『실천이성비판』은 1957년에 출판되었으며 『순수이성비판』은 1972년에 출판되었다.</ref> 그 외에도 칸트의 {{TagBook|『프로레고메나』}}, 피히테(J.G. Fichte)의 {{TagBook|『독일국민에게 고한다』}}, 쉘러(M.Scheler)의 {{TagBook|『우주에서 인간의 지위』}}도 번역, 소개하였다.<ref>『[https://lib003.korea.ac.kr/lib003/about/visit.do 서양철학 70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고려대학교 철학과.</ref> 주요 저술로는 윤리학 원론(1958), 사회철학(1963), 휴머니스트의 인간상(1968)<ref>『[http://phil.snu.ac.kr/board/html/menu2/sub02_2_view.html?idx=110 최재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철학과.</ref>, 헤겔의 철학 사상(1972), 칸트 철학 연구(1985), 헤겔 철학 연구(1985), 칸트의 생애와 철학: 칸트 연구 입문(1990) 등이 있다.<ref>『[https://lib003.korea.ac.kr/lib003/about/visit.do 서양철학 70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고려대학교 철학과.</ref>
 
}}
 
}}
  
==='''제목3'''===
+
==='''학문적 사상'''===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TagPerson|칸트(I.Kant)}}에서 {{TagPerson|헤겔(G.W.F)}}로 이어지는 독일 관념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러한 독일 관념철학이 제기하는 비역사적·현대적 가치의 검토를 주장하면서도, 아울러 그것이 생성된 정치적·사회적 배경으로부터 한국 사회의 철학도가 시사받을 수 있는 역사적 의미 역시 강조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이것은 그의 글 속에 자주 보이는 ‘동도서기(東道西器)’·‘한혼서재(韓魂西才)’라는 말들이 뜻하듯이, 서양의 철학사상을 수용하되 우리 것으로의 주체적 수용을 강조하였던 자신의 학문적 자세이기도 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또한 모든 철학적 탐구가 결국 현실 및 실천의 문제로 귀착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에서, 휴머니즘 운동에 헌신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휴머니즘 사상에 기초하여 당대 한국 사회의 봉건성<ref>임종명「[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71쪽.<br> 그는 당대 한국 사회의 봉건성을 '세습적인, 고정불변의, 신분 차별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차별적인 봉건적 신분·계급 제도 하(下)의 인권·인격 문제' 등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었다.</ref> 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반(反)봉건성을 가진 '자유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ref>임종명「[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71쪽.</ref>
 
}}
 
}}
  
85번째 줄: 72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Person: 홍아무개 || A hasSon B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경성제국대학 || A graduates B
 +
|-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서울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고려대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 || A worksAt B
 +
|-
 +
| Person: 최재희 || Institution: 학술원 || A worksAt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최재희 || Group: 한국휴머니스트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최재희 || Group: 한국철학회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최재희 || Book: 「실천이성비판」 || A istranslatorOf B
 
|-
 
|-
| Book: ○○○ || Person: 홍길동 || A creator B
+
| Person: 최재희 || Book: 「순수이성비판」 || A istranslatorOf B
 
|-
 
|-
 
|}
 
|}
100번째 줄: 97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e/2PACX-1vQH-_qBVxmu-VWnVAlO_VLem9lMTdvcrUkfDnPNG2yZitK9IFeVB6pw1A-V_r42nhKWERWAsMZMi0nr/pubhtml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Zphe4gUJXsM8BkNJhELjGa3rCXJL1BAmD96FJ88kzDo&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html>                               
 
<br/><br/>
 
<br/><br/>
  
113번째 줄: 112번째 줄:
 
}}
 
}}
 
<br/><br/>
 
<br/><br/>
 +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 『[https://cheongdo.grandculture.net/cheongdo/toc/GC05501073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향토문화전자대전.
 +
*  임종명,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1764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171쪽.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621 최재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https://lib003.korea.ac.kr/lib003/about/visit.do 서양철학 70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고려대학교 철학과.
 +
* 『[http://phil.snu.ac.kr/board/html/menu2/sub02_2_view.html?idx=110 최재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철학과.
 +
* 『[https://namu.wiki/w/서우철학상 서우철학상]』<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
 +
*「[https://www.mk.co.kr/news/economy/639588 서울대명예교수 최재희씨]」, 『매일경제』, 1994.05.05. <html><online style="color:purple">『매일경제』<sup>online</sup></online></html>, 매일경제.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2025년 1월 1일 (수) 20:44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24-2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양서진(P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최재희(崔載喜)
최재희.jpg
출처 : 최재희online, 서울대학교 철학과.
 
한글명 최재희 한자명 崔載喜 영문명 Choe, Jae Hee 가나명 이칭 서우(曙宇)
성별 남성 생년 1914년 몰년 1984년 출신지 경상북도 청도군 전공 역사철학,윤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최재희(崔載喜,1914년~1984년)는 한국의 철학자이자 교수였다.[1] 호는 서우(曙宇)이며, 1930년대 중반 경성제국대학(이하 경성제대) 법문학부에서 철학을 공부하였고 1940년대 초 경성의학전문학교에서 강사로서, 또 해방 이후에는 고려대와 서울대에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 활동을 펼쳤다.[2] 독일 비판 철학 전공자로서 헤겔(G.W.F), 칸트(I. Kant)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고,[3] 칸트의 주요 저서인 실천 이성 비판과 순수 이성 비판을 번역하여 칸트 연구의 새 길을 열었다는 평을 받으며[4] 모든 철학적 탐구가 현실 및 실천의 문제로 귀착된다는 입장에서 휴머니즘 운동에 헌신하였다.[5]

.

생애


출생 및 학력

1914년 경상북도 영덕 군수와 영천 군수를 지낸 아버지 최항묵인물(崔恒默)과 어머니 손숙자인물(孫淑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6] 1938년 경성제국대학기관(京城帝國大學) 법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서울대학교기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7] 1942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기관(京城女子醫學專門學校) 강사로서 강단에 서기 시작하여, 1946년 서울대학교기관 문리과대학 강사를 거쳐 1947년 고려대학교기관 문과대학 교수가 된 뒤, 1952년 이후로는 서울대학교기관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교수를 역임하였다.[8]


활동사항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기관, 서울대학교기관, 고려대학교기관에서 철학을 가르쳤으며,[9] 1945년 말부터는 2년여간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기관의 공민과에서 교과서 편수관으로 공민(公民) 교과서 편찬업무를 담당하였다.[10] 1960년 한국휴머니스트단체 회장을 맡아 1966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휴머니스트대회에 참석하였고, 1968년에는 한국철학회단체 회장을 맡으면서 그간 발간이 중단되고 있던 학회지 ≪철학 哲學≫학술지을 1969년부터 속간시켰다.[11] 1978년 독일 뒤셀도르프 세계철학대회사건에 참석하였고, 1979년 서울대학교기관를 정년퇴임한 뒤로도 명예교수로 계속 강단에 섰다.[12] 1981년에는 학술원기관 회원으로 선임되었다.[13] 그러던 1984년 5월 4일, 평소 앓고 있던 지병으로 인해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자택에서 향년 70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14]


상훈과 추모

1973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윤리학 부문에서 학술원상을 받았으며사건, 국민 훈장 동백장을 수상했다.[15] 그의 사후인 1985년에는 후학들이 최재희 교수의 글들을 정리하여 『최재희 저작 전집』 6권으로 출간하였다. 제1권은 칸트 철학의 연구, 제2권은 헤겔 철학 연구, 제3권은 철학의 기초 이론, 제4권은 역사 철학과 서양 철학사, 제5권은 진리의 주변, 제6권은 휴머니스트의 인간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지원에서 발행하였다.[16] 1989년 5월에는 '철학자 최재희'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동료 교수·유족·제자들이 뜻을 모아 서우 철학상[17]을 제정하였다.[18]





연구


철학서적 번역과 저술

1938년 대학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에서 철학 연구실 조교로 일하던 시절부터 이뤄졌던 칸트(I. Kant)의 『실천이성비판』서적번역을 시작으로[19] 칸트의 또다른 저서인 『순수이성비판』서적 역시 번역하며 칸트 연구의 새 길을 열었다.[20] 그 외에도 칸트의 『프로레고메나』서적, 피히테(J.G. Fichte)의 『독일국민에게 고한다』서적, 쉘러(M.Scheler)의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서적도 번역, 소개하였다.[21] 주요 저술로는 윤리학 원론(1958), 사회철학(1963), 휴머니스트의 인간상(1968)[22], 헤겔의 철학 사상(1972), 칸트 철학 연구(1985), 헤겔 철학 연구(1985), 칸트의 생애와 철학: 칸트 연구 입문(1990) 등이 있다.[23]


학문적 사상

칸트(I.Kant)인물에서 헤겔(G.W.F)인물로 이어지는 독일 관념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러한 독일 관념철학이 제기하는 비역사적·현대적 가치의 검토를 주장하면서도, 아울러 그것이 생성된 정치적·사회적 배경으로부터 한국 사회의 철학도가 시사받을 수 있는 역사적 의미 역시 강조하였다.[24] 이것은 그의 글 속에 자주 보이는 ‘동도서기(東道西器)’·‘한혼서재(韓魂西才)’라는 말들이 뜻하듯이, 서양의 철학사상을 수용하되 우리 것으로의 주체적 수용을 강조하였던 자신의 학문적 자세이기도 하였다.[25] 또한 모든 철학적 탐구가 결국 현실 및 실천의 문제로 귀착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에서, 휴머니즘 운동에 헌신하였다.[26] 휴머니즘 사상에 기초하여 당대 한국 사회의 봉건성[27] 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반(反)봉건성을 가진 '자유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2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경성제국대학 A graduates B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서울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고려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A worksAt B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미군정청 문교부 편수국 A worksAt B
Person: 최재희 Institution: 학술원 A worksAt B
Person: 최재희 Group: 한국휴머니스트 A isMemberOf B
Person: 최재희 Group: 한국철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최재희 Book: 「실천이성비판」 A istranslatorOf B
Person: 최재희 Book: 「순수이성비판」 A istranslato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2. 임종명,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
  3. 임종명,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
  4. 서양철학 70년사online, 고려대학교 철학과.
  5.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6.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7.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소크라테스(Socrates)에 있어서의 선(善)의 규정(規定)>이라는 그의 대학졸업논문처럼, 윤리적인 문제에서부터 철학을 시작하여 퇴직 무렵까지 셸러(M.Scheler)의 가치윤리학을 강의하였다.
  10. 임종명,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실제 공민 교과서를 집필·출간하기도 하였다.
  11.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서울대명예교수 최재희씨」, 『매일경제』, 1994.05.05. 『매일경제』online, 매일경제.
  15.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16.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17. 저술과 번역 두 개의 부문에서 탁월한 철학적 성과를 이룩한 학자를 선정해 매년 6월 초순에 시상한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시상 소식을 찾을 수 없다.『서우철학상online, 나무위키.
  18. 최재희online, 향토문화전자대전.
  19. 임종명,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45쪽.
  20. 서양철학 70년사online, 고려대학교 철학과. 『실천이성비판』은 1957년에 출판되었으며 『순수이성비판』은 1972년에 출판되었다.
  21. 서양철학 70년사online, 고려대학교 철학과.
  22. 최재희online, 서울대학교 철학과.
  23. 서양철학 70년사online, 고려대학교 철학과.
  24.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5.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6. 최재희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임종명「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71쪽.
    그는 당대 한국 사회의 봉건성을 '세습적인, 고정불변의, 신분 차별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차별적인 봉건적 신분·계급 제도 하(下)의 인권·인격 문제' 등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었다.
  28. 임종명「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한국사학회』, 2024, 1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