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김주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22번째 줄: 25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제강점기 『산호림』 · 『창변』 · 『별을 쳐다보며』 등을 저술한 시인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내용= 일제강점기 『산호림』 · 『창변』 · 『별을 쳐다보며』 등을 저술한 시인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ref>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29번째 줄: 32번째 줄:
 
==='''출생과 성장'''===
 
==='''출생과 성장'''===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11년 황해도 장연에서 출생했다. 부친 사망 이후 1919년 경성(京城)으로 이사, {{TagInstitution|진명(進明)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 {{TagInstitution|진명여학교}}를 졸업했다. 그해 {{TagInstitution|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에 입학했고 재학 당시 「밤의 찬미」(『신동아(新東亞)』 1932년 6월호)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1933년 조선아동예술연구협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34년 졸업 이후 『{{TagInstitution|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에 입사, 학예부 기자로 근무했다.  
+
|내용= 1911년 황해도 장연에서 출생했다. 부친 사망 이후 1919년 경성(京城)으로 이사, {{TagInstitution|진명(進明)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 {{TagInstitution|진명여학교}}를 졸업했다. 그해 {{TagInstitution|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에 입학했고 재학 당시 「밤의 찬미」(『신동아(新東亞)』 1932년 6월호)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1933년 조선아동예술연구협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34년 졸업 이후 <ref> "조선중앙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8915&cid=46668&categoryId=46668 조선중앙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ref> 『{{TagInstitution|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에 입사, 학예부 기자로 근무했다.  
같은해 부터 1938년까지 극예술연구회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35년 『시원(詩苑)』 동인으로 활동했다. 1937년 조선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잡지 『여성(女性)』(조선일보사 발생)의 편집을 담당했다.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
같은해 부터 1938년까지 극예술연구회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35년 『시원(詩苑)』 동인으로 활동했다. 1937년 조선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잡지 『여성(女性)』(조선일보사 발생)의 편집을 담당했다.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ref>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시 출간 및 활동'''===
 
==='''시 출간 및 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41년 8월 조선문인협회 간사가 되었고, 그해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결전문화대강연회(決戰文化大講演會)에 참가하여 시를 낭독했다. 그해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산하 부인대(婦人隊) 간사를 맡았고, 후방인 '총후(銃後'에서 여성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쟁은 이제부터 본격시작 - 동양의 평화를 지키자」(『매일신보』 1941.12.12)를 기고했다. 1942년 일본군의 무운을 비는 「기원(祈願)」(『조관(朝光)』 1942.2),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당위성을 강조한 「싱가폴 함락」(『매일신보』 1942.2.19)·「노래하자 이 날을」(『춘추(春秋)』 1942.3) 등의 시를 썼고, 5월 조선임전보국단 주최로 '건국의 새 어머니가 될 우리의 감격과 포부'라는 주제로 열린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에 참여했다. 1943년 {{TagInstitution|매일신보사}}에 입사하여 학예부 기자로 활동하면서 조선인 청년들의 적극적인 전쟁 참여를 권유하는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매일신보』 1943.8.5)와 「출정하는 동생에게」(『매일신보』 1943.11.10) 등의 시를 발표했다. 이는 이듬해에 발표한 「병정」(『조광(朝光)』 1944.5) 및 「천인침(千人針)」(『춘추(春秋)』(1944.10)과 같은 시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1944년 12월에는 '가미카제[神風]특공대'로 나가 사망한 조선인들을 추모·미화하는 「신익(神翼) - 마쓰이오장[松井伍長] 영전(靈前)에」(『매일신보』 1944.12.6)와 「군신송(軍神頌)」(『매일신보』(사진판) 1942.12 ) 등의 시들을 썼다. 이외에도 총후 여성의 생산 증대를 강조한 「싸움하는 여성」(『조광(朝光)』 1944.10)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창변(窓邊)』을 출간했다.
+
|내용= 1941년 8월 조선문인협회 간사가 되었고, 그해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결전문화대강연회(決戰文化大講演會)에 참가하여 시를 낭독했다. 그해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산하 부인대(婦人隊) 간사를 맡았고, 후방인 '총후(銃後'에서 여성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쟁은 이제부터 본격시작 - 동양의 평화를 지키자」(<ref>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294&cid=60555&categoryId=60555 매일신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ref>『매일신보』 1941.12.12)를 기고했다. 1942년 일본군의 무운을 비는 「기원(祈願)」(『조관(朝光)』 1942.2),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당위성을 강조한 「싱가폴 함락」(『매일신보』 1942.2.19)·「노래하자 이 날을」(『춘추(春秋)』 1942.3) 등의 시를 썼고, 5월 조선임전보국단 주최로 '건국의 새 어머니가 될 우리의 감격과 포부'라는 주제로 열린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에 참여했다. 1943년 {{TagInstitution|매일신보사}}에 입사하여 학예부 기자로 활동하면서 조선인 청년들의 적극적인 전쟁 참여를 권유하는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매일신보』 1943.8.5)와 「출정하는 동생에게」(『매일신보』 1943.11.10) 등의 시를 발표했다. 이는 이듬해에 발표한 「병정」(『조광(朝光)』 1944.5) 및 「천인침(千人針)」(『춘추(春秋)』(1944.10)과 같은 시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1944년 12월에는 '가미카제[神風]특공대'로 나가 사망한 조선인들을 추모·미화하는 「신익(神翼) - 마쓰이오장[松井伍長] 영전(靈前)에」(『매일신보』 1944.12.6)와 「군신송(軍神頌)」(『매일신보』(사진판) 1942.12 ) 등의 시들을 썼다. 이외에도 총후 여성의 생산 증대를 강조한 「싸움하는 여성」(『조광(朝光)』 1944.10)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창변(窓邊)』을 출간했다.<ref>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해방 이후'''===
 
==='''해방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매일신보』의 후신인 『서울신문』에서 1946년까지, 이후 부녀신문사의 편집차장으로 근무했고, 1948년 수필집 『산딸기』를 출간했다. 6·25 전쟁 당시 서울에 남았다가 문학가동맹 및 문화인 총궐기대회 등의 참가와 같은 부역활동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9·28 수복 이후 '부역자 처벌 특별법'에 의거, 20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으나 여러 문인들의 구명운동으로 1951년 4월 출감했고 가톨릭에 입교, 영세를 받았다. 이듬해 부역 혐의에 대한 해명의 내용을 담은 「오산이었다」를 발표했고,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1955년 서라벌예술대학에 출강하면서 중앙방송국 촉탁으로 근무했고, 수필집 『여성서간문독분(女性書簡文讀本)』을 출간했다. 1957년 6월 16일 사망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내용= <ref>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294&cid=60555&categoryId=60555 매일신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ref>『매일신보』의 후신인 『서울신문』에서 1946년까지, 이후 부녀신문사의 편집차장으로 근무했고, 1948년 수필집 『산딸기』를 출간했다. 6·25 전쟁 당시 서울에 남았다가 문학가동맹 및 문화인 총궐기대회 등의 참가와 같은 부역활동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9·28 수복 이후 '부역자 처벌 특별법'에 의거, 20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으나 여러 문인들의 구명운동으로 1951년 4월 출감했고 가톨릭에 입교, 영세를 받았다. 이듬해 부역 혐의에 대한 해명의 내용을 담은 「오산이었다」를 발표했고,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1955년 서라벌예술대학에 출강하면서 중앙방송국 촉탁으로 근무했고, 수필집 『여성서간문독분(女性書簡文讀本)』을 출간했다. 1957년 6월 16일 사망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ref>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51번째 줄: 54번째 줄:
 
==='''시집 출간'''===
 
==='''시집 출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TagArticle|『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TagArticle|『창변(窓邊)』}}을 출간했다. 해방 이후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내용=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TagArticle|『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TagArticle|『창변(窓邊)』}}을 출간했다. 해방 이후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ref>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102번째 줄: 105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심재욱,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2918 노천명 (盧天命)]”,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앙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8915&cid=46668&categoryId=46668]",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조선중앙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8915&cid=46668&categoryId=46668 조선중앙일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294&cid=60555&categoryId=60555 매일신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294&cid=60555&categoryId=60555 매일신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120번째 줄: 124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8월 1일 (목) 17:27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김주연(C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노천명(盧天命)
노천명.PNG
출처 : "노천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글명 노천명 한자명 盧天命 영문명 가나명 이칭 기선(基善), 베로니카(Veronica)
성별 여성 생년 1911년 몰년 1957년 출신지 황해도 장연 전공 영문과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일제강점기 『산호림』 · 『창변』 · 『별을 쳐다보며』 등을 저술한 시인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1]


생애


출생과 성장

1911년 황해도 장연에서 출생했다. 부친 사망 이후 1919년 경성(京城)으로 이사, 진명(進明)보통학교기관를 거쳐 1930년 진명여학교기관를 졸업했다. 그해 이화여자전문학교기관 영문과에 입학했고 재학 당시 「밤의 찬미」(『신동아(新東亞)』 1932년 6월호)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1933년 조선아동예술연구협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34년 졸업 이후 [2]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기관』에 입사, 학예부 기자로 근무했다. 같은해 부터 1938년까지 극예술연구회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35년 『시원(詩苑)』 동인으로 활동했다. 1937년 조선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잡지 『여성(女性)』(조선일보사 발생)의 편집을 담당했다.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3]


시 출간 및 활동

1941년 8월 조선문인협회 간사가 되었고, 그해 조선문인협회가 주최한 결전문화대강연회(決戰文化大講演會)에 참가하여 시를 낭독했다. 그해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산하 부인대(婦人隊) 간사를 맡았고, 후방인 '총후(銃後'에서 여성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쟁은 이제부터 본격시작 - 동양의 평화를 지키자」([4]『매일신보』 1941.12.12)를 기고했다. 1942년 일본군의 무운을 비는 「기원(祈願)」(『조관(朝光)』 1942.2),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당위성을 강조한 「싱가폴 함락」(『매일신보』 1942.2.19)·「노래하자 이 날을」(『춘추(春秋)』 1942.3) 등의 시를 썼고, 5월 조선임전보국단 주최로 '건국의 새 어머니가 될 우리의 감격과 포부'라는 주제로 열린 '군국의 어머니 좌담회'에 참여했다. 1943년 매일신보사기관에 입사하여 학예부 기자로 활동하면서 조선인 청년들의 적극적인 전쟁 참여를 권유하는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매일신보』 1943.8.5)와 「출정하는 동생에게」(『매일신보』 1943.11.10) 등의 시를 발표했다. 이는 이듬해에 발표한 「병정」(『조광(朝光)』 1944.5) 및 「천인침(千人針)」(『춘추(春秋)』(1944.10)과 같은 시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1944년 12월에는 '가미카제[神風]특공대'로 나가 사망한 조선인들을 추모·미화하는 「신익(神翼) - 마쓰이오장[松井伍長] 영전(靈前)에」(『매일신보』 1944.12.6)와 「군신송(軍神頌)」(『매일신보』(사진판) 1942.12 ) 등의 시들을 썼다. 이외에도 총후 여성의 생산 증대를 강조한 「싸움하는 여성」(『조광(朝光)』 1944.10)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창변(窓邊)』을 출간했다.[5]


해방 이후

[6]『매일신보』의 후신인 『서울신문』에서 1946년까지, 이후 부녀신문사의 편집차장으로 근무했고, 1948년 수필집 『산딸기』를 출간했다. 6·25 전쟁 당시 서울에 남았다가 문학가동맹 및 문화인 총궐기대회 등의 참가와 같은 부역활동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9·28 수복 이후 '부역자 처벌 특별법'에 의거, 20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으나 여러 문인들의 구명운동으로 1951년 4월 출감했고 가톨릭에 입교, 영세를 받았다. 이듬해 부역 혐의에 대한 해명의 내용을 담은 「오산이었다」를 발표했고,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1955년 서라벌예술대학에 출강하면서 중앙방송국 촉탁으로 근무했고, 수필집 『여성서간문독분(女性書簡文讀本)』을 출간했다. 1957년 6월 16일 사망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7]





연구


시집 출간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산호림(珊瑚林)』원고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1945년 2월, 1944년 10월 이전에 발표된 시들을 모은 두번째 시집 『창변(窓邊)』원고을 출간했다. 해방 이후 1953년 「영어(囹圄)에서」와 같이 옥중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옥중시들을 담은 세번째 시집 『별을 쳐다보며』를 발간했다. 사망 1주기를 맞아, 이듬해 6월에는 미발표 유작시를 포함한 네번째 시집 『사슴의 노래』가, 1960년에는 170여 편의 시를 모은 『노천명 전집 : 시편』이 간행되었고, 2001년 이후 노천명문학상이 제정되었다. [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노천명 Institution: 진명보통학교 A takesCourseAt B
Person: 노천명 Institution: 진명여학교 A gradutes B
Person: 노천명 Institution: 이화여자전문학교 A takesCourseAt B
Person: 노천명 Institution: 조선중앙일보 A worksAt B
Person: 노천명 Institution: 매일신보사 A worksAt B
Person: 노천명 Article: 『산호림』 A isWriterOf B
Person: 노천명 Article: 『창변』 A isWrit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중앙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조선중앙일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매일신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주석


  1.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선중앙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조선중앙일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매일신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온라인 참조: "매일신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7.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심재욱, “노천명 (盧天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