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초기 생애 및 교육)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30번째 줄: 33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이병기는 1891년 3월 5일,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 변호사 이채(李倸)의 12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003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
+
이병기는 1891년 3월 5일,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 변호사 {{TagPerson|이채(李倸)}}의 12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ref>『[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003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16세까지 이병기는 할아버지 {{TagPerson|이동우(李東愚)}}의 뜻에 따라 고향 사숙에서 한학을 공부하며 평범한 학동으로 지냈고, 1906년에 결혼하였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003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즈음에 중국의 근대 사상가인 {{TagPerson|량치차오[梁啓超][1873~1929]}}의  {{TagBook|『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을 우연히 접한 이병기는 신학문에 뜻을 세우고 {{TagInstitution|전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13년에 {{TagInstitution|관립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면서 {{TagPerson|주시경}}의 조선어문법 수업을 받았다 . 이러한 교육은 그의 기초 학문적 소양을 쌓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 </ref>
16세까지 고향 사숙에서 한학을 공부하며 평범한 학동으로 지냈고, 1906년에 결혼하였다 . 이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13년에 관립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면서 주시경의 조선어문법 수업을 받았다 .
 
}}
 
 
 
==='''학문 및 시조 연구 활동'''===
 
{{글상자|
 
|내용= 1921년 권덕규, 임경재 등과 함께 조선어문연구회를 발기하고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22년부터 동광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시조 연구에 매진했다. 1926년 '시조회'를 발기하고, 1928년 이를 '가요연구회'로 개칭하여 시조 혁신을 위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930년 조선어철자법 제정위원으로 활동하고, 조선문학 강의를 하면서 시조와 현대시의 동질성을 주장하며 시조 혁신을 선도했다.
 
 
}}
 
}}
  
==='''시조 혁신 및 학문적 업적'''===
+
==='''교사 생활과 초기 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20년 첫 문학작품 「수레 뒤에서」를 발표한 후, 시조 부흥론이 일기 시작한 1924년 무렵부터 시조에 관심을 보였다. 1926년 무렵부터 시조 혁신에 자각을 가지고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시조는 혁신하자」, 「시조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동아일보』의 시조 모집을 통해 신인들을 발굴하여 시조 중흥의 기틀을 마련했다. 1939년 『가람시조집』을 출간하며 자연 관조와 순수서정의 시조를 발표했다. 6·25 이후에는 사회적 관심을 반영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현대시조의 새로운 일면을 개척했다.
+
|내용= 1913년부터 남양, 여산 등의 공립보통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면서 국어국문학 및 국사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고 시조를 중심으로 시가문학을 연구, 창작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당시 수집한 서책은 뒷날 방대한 장서를 이루었는데, 말년에 서울대학교에 기증하여 중앙도서관에 ‘가람문고’가 설치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21년에는 {{TagPerson|권덕규}}, {{TagPerson|임경재}} 등과 함께 {{TagGroup|조선어문연구회}}를 발기, 조직하여 이병기는 간사로서 여러 곳에 다니며 한글 강의를 펼쳤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22년부터 동광고등보통학교 ·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시조에 뜻을 두고, 1926년 {{TagGroup|시조회(時調會)}}를 발기하였다. 이병기는 시조 부흥과 혁신을 위해 많은 논문을 발표하며 활동하였다. <ref>『[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705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서지학 및 국문학 분야의 업적'''===
+
==='''중년기와 말년 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시조 외에도 서지학과 국문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고전작품 발굴과 소개에 큰 공로를 세웠으며, 주요 발굴 작품으로는 「한중록」, 「인현왕후전」, 「요로원야화기」, 신재효의 판소리 작품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수필과 일기를 남겼으며 주요 저서로는 『가람시조집』, 『국문학개론』, 『국문학전사』, 『가람문선』 등이 있다. 학술원 추천회원을 거쳐 1960년 학술원 임명회원이 되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로 활동하다 1956년 정년퇴임하였다.
+
|내용= 1930년대에는 조선어철자법 제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연희전문학교와 보성전문학교에서 강의를 했고, 1942년에는 {{TagEvent|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 1946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1951년부터는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을 지냈으며, 1956년 정년퇴임 후에도 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 그는 술과 시, 제자를 사랑한 훈훈한 인간미의 소유자였다 . <ref>『[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705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5'''===
+
==='''타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68년 11월 29일 사망하였다. 이병기의 묘소는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TagLocation|가람문학관}} 근처에 있다. 이후, 이병기는 1960년 학술원 공로상을 수상하였고,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포장을 받았다. 1969년 전주 다가공원에 가람시비가 건립되었으며, 작품 「시름」이 새겨져 있다. 1973년 익산시 여산 남초등학교에 시비와 흉상이 건립되었으며, 작품 「별」이 새겨져 있다. 1979년 가람시조문학상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 전북대학교에서 가람청년시문학상을 제정하였다. 2011년 ‘가람이병기탄생120주년기념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2017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575-2에 가람문학관이 개관하였다. <ref>『[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4?brdType=R&thisPage=1&bbIdx=8695&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전통문화포털]』<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ref>
}}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
  
 
=='''연구'''==
 
=='''연구'''==
 
----
 
----
==='''제목1'''===
+
==='''시조 연구와 혁신'''===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이병기는 시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1924년 무렵부터 시조 부흥론에 따라 창작 활동을 시작하였다 . 1926년경부터는 시조 혁신에 자각을 가지며 {{TagBook|「시조란 무엇인가」}} 등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 1939년 {{TagBook|『가람시조집』}}을 출간하며 시조의 혁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시조창으로부터의 분리, 시어의 조탁과 관념의 형상화 등을 주장하였다. <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2'''===
+
==='''국문학 연구'''===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이병기는 시조뿐 아니라 서지학과 국문학 분야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 그는 {{TagBook|「한중록」}}, {{TagBook|「인현왕후전」}}, {{TagBook|「춘향가」」}} 등의 고전작품을 발굴, 소개하여 국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 . 또한 많은 수필을 썼고, 평생 동안 극명하게 쓴 일기는 놀라운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ref>『[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705 디지털익산문화대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제목3'''===
+
==='''한글운동과 학문적 기여'''===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21년 {{TagGroup|조선어연구회}}를 발기하면서 한글 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고, 1927년 이병기는 2월에 {{TagPerson|권덕규}}, {{TagPerson|최현배(崔鉉培)[1894~1970]}}, {{TagPerson|정열모(鄭烈模)[1895~1968]}}, {{TagPerson|신명균(申明均)[1889~1941]}} 등과 {{TagBook|동인지 『한글』}}을 창간하고 한글의 보급과 이론 정립에 앞장섰다.1933년에는 {{TagGroup|조선문흥회}} 간사로 활동하며 한글 보급과 이론 정립에 앞장섰다. {{TagEvent|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광복 후에는 {{TagLocation|미군정청 편수관을}}
 +
에서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면서 국문학 연구와 시조 부흥에 큰 기여를 하였다 . <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상단이동
+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
 
}}
85번째 줄: 79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이병기|| Person: 이채 || 이채 hasSon 이병기
 +
|-
 +
| Person: 이병기 || Institution: 전주공립보통학교 ||  이병기 takesCourseAt 전주공립보통학교
 +
|-
 +
| Person: 이병기 || Institution: 관립한성사범학교 ||  이병기 gradutes 관립한성사범학교
 +
|-
 +
| Person: 이병기 || Person: 주시경 ||  이병기 hasMaster 주시경
 +
|-
 +
| Person: 이병기 || Group: 조선어문연구회 ||  이병기 isMemberOf 조선어문연구회
 +
|-
 +
| Person: 이병기 || Group: 시조회 ||  이병기 isMemberOf 시조회
 +
|-
 +
| Person: 이병기 || Event: 조선어학회사건 ||  이병기 isRelatedTo 조선어학회사건
 +
|-
 +
| Person: 이병기 || Book: 「시조란 무엇인가」 ||  이병기 creator 「시조란 무엇인가」
 +
|-
 +
| Person: 이병기 || Book: 『가람시조집』 ||   이병기 creator 『가람시조집』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이병기 || Book: 동인지 『한글』 ||   이병기 cocreator 동인지 『한글』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이병기 || Group: 조선문흥회 ||   이병기 isMemberOf 조선문흥회
 
|-
 
|-
 
|}
 
|}
96번째 줄: 106번째 줄: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7wLWrN1ycAnQMP-eDU4g3lr-vsV619tIA_0YCN9IyPg/edit?gid=0#gid=0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7wLWrN1ycAnQMP-eDU4g3lr-vsV619tIA_0YCN9IyPg&font=Georgia-Helvetica&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html>
 
<br/><br/>
 
<br/><br/>
  
112번째 줄: 122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003 삼복지인 가람 이병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익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br>
 +
"[https://www.grandculture.net/iksan/toc/GC07500003  이병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익산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br>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390  이병기 (李秉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br>
 +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4?brdType=R&thisPage=1&bbIdx=8695&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가람 이병기(嘉藍 李秉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통문화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상단이동
 
{{상단이동
128번째 줄: 145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6월 17일 (월) 17:20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이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병기(李秉岐)
이병기.jpg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글명 이병기 한자명 李秉岐 영문명 Lee Byungki 가나명 이칭 가람(嘉藍)
성별 남성 생년 1891(고종 28)년 몰년 1968년 출신지 전라북도 익산 전공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국문학개론』, 『국문학전사』, 『가람문선』 등을 저술한 학자. 시조시인.


생애


초기 생애 및 교육

이병기는 1891년 3월 5일,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 변호사 이채(李倸)인물의 12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16세까지 이병기는 할아버지 이동우(李東愚)인물의 뜻에 따라 고향 사숙에서 한학을 공부하며 평범한 학동으로 지냈고, 1906년에 결혼하였다. [2] 그즈음에 중국의 근대 사상가인 량치차오[梁啓超][1873~1929]인물의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서적을 우연히 접한 이병기는 신학문에 뜻을 세우고 전주공립보통학교기관를 거쳐 1913년에 관립한성사범학교기관를 졸업하면서 주시경인물의 조선어문법 수업을 받았다 . 이러한 교육은 그의 기초 학문적 소양을 쌓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


교사 생활과 초기 활동

1913년부터 남양, 여산 등의 공립보통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면서 국어국문학 및 국사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고 시조를 중심으로 시가문학을 연구, 창작하였다.[4] 당시 수집한 서책은 뒷날 방대한 장서를 이루었는데, 말년에 서울대학교에 기증하여 중앙도서관에 ‘가람문고’가 설치되었다.[5] 1921년에는 권덕규인물, 임경재인물 등과 함께 조선어문연구회단체를 발기, 조직하여 이병기는 간사로서 여러 곳에 다니며 한글 강의를 펼쳤다.[6] 1922년부터 동광고등보통학교 ·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시조에 뜻을 두고, 1926년 시조회(時調會)단체를 발기하였다. 이병기는 시조 부흥과 혁신을 위해 많은 논문을 발표하며 활동하였다. [7]


중년기와 말년 활동

1930년대에는 조선어철자법 제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연희전문학교와 보성전문학교에서 강의를 했고,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사건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 1946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1951년부터는 전북대학교 문리대학장을 지냈으며, 1956년 정년퇴임 후에도 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 그는 술과 시, 제자를 사랑한 훈훈한 인간미의 소유자였다 . [8]


타계

1968년 11월 29일 사망하였다. 이병기의 묘소는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가람문학관공간 근처에 있다. 이후, 이병기는 1960년 학술원 공로상을 수상하였고,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포장을 받았다. 1969년 전주 다가공원에 가람시비가 건립되었으며, 작품 「시름」이 새겨져 있다. 1973년 익산시 여산 남초등학교에 시비와 흉상이 건립되었으며, 작품 「별」이 새겨져 있다. 1979년 가람시조문학상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 전북대학교에서 가람청년시문학상을 제정하였다. 2011년 ‘가람이병기탄생120주년기념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2017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575-2에 가람문학관이 개관하였다. [9]


연구


시조 연구와 혁신

이병기는 시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1924년 무렵부터 시조 부흥론에 따라 창작 활동을 시작하였다 . 1926년경부터는 시조 혁신에 자각을 가지며 「시조란 무엇인가」서적 등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다 . 1939년 『가람시조집』서적을 출간하며 시조의 혁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시조창으로부터의 분리, 시어의 조탁과 관념의 형상화 등을 주장하였다. [10]


국문학 연구

이병기는 시조뿐 아니라 서지학과 국문학 분야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 그는 「한중록」서적, 「인현왕후전」서적, 「춘향가」」서적 등의 고전작품을 발굴, 소개하여 국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 . 또한 많은 수필을 썼고, 평생 동안 극명하게 쓴 일기는 놀라운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11]


한글운동과 학문적 기여

1921년 조선어연구회단체를 발기하면서 한글 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고, 1927년 이병기는 2월에 권덕규인물, 최현배(崔鉉培)[1894~1970]인물, 정열모(鄭烈模)[1895~1968]인물, 신명균(申明均)[1889~1941]인물 등과 동인지 『한글』서적을 창간하고 한글의 보급과 이론 정립에 앞장섰다.1933년에는 조선문흥회단체 간사로 활동하며 한글 보급과 이론 정립에 앞장섰다. 조선어학회 사건사건으로 구속되기도 했지만, 광복 후에는 미군정청 편수관을공간 에서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면서 국문학 연구와 시조 부흥에 큰 기여를 하였다 . [12]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병기 Person: 이채 이채 hasSon 이병기
Person: 이병기 Institution: 전주공립보통학교 이병기 takesCourseAt 전주공립보통학교
Person: 이병기 Institution: 관립한성사범학교 이병기 gradutes 관립한성사범학교
Person: 이병기 Person: 주시경 이병기 hasMaster 주시경
Person: 이병기 Group: 조선어문연구회 이병기 isMemberOf 조선어문연구회
Person: 이병기 Group: 시조회 이병기 isMemberOf 시조회
Person: 이병기 Event: 조선어학회사건 이병기 isRelatedTo 조선어학회사건
Person: 이병기 Book: 「시조란 무엇인가」 이병기 creator 「시조란 무엇인가」
Person: 이병기 Book: 『가람시조집』 이병기 creator 『가람시조집』
Person: 이병기 Book: 동인지 『한글』 이병기 cocreator 동인지 『한글』
Person: 이병기 Group: 조선문흥회 이병기 isMemberOf 조선문흥회



Timeline


Timeline Google Spreadsheet

Network Graph






참고자원


"삼복지인 가람 이병기",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병기",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병기 (李秉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람 이병기(嘉藍 李秉岐)", 『전통문화포털』online,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주석


  1.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2.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7.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8.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9. 전통문화포털online,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1. 디지털익산문화대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