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Timeline)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서준호(KNU2024)]]가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김사량.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s://munedong.com/7-12/ 김사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태양의 《빛속에》 영생하는 작가<sup>online</sup></online></html>, 在日本朝鮮文学芸術家同盟
 
|대표명= 김사량(金史良)
 
|대표명= 김사량(金史良)
 
|한글명= 김사량
 
|한글명= 김사량
 
|한자명= 金史良
 
|한자명= 金史良
 
|영문명= Kim Saryang
 
|영문명= Kim Saryang
|가나명=
+
|가나명=きむ さりゃん
 
|이칭= 김시창
 
|이칭= 김시창
 
|성별= 남
 
|성별= 남
22번째 줄: 25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 ~ 1950년)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
+
|내용=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 ~ 1950년)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ref>『[https://namu.wiki/w/%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 </ref>
 
}}
 
}}
  
29번째 줄: 32번째 줄:
 
==='''출생'''===
 
==='''출생'''===
 
{{글상자|
 
{{글상자|
|내용= 본명은 김시창(金時昌). 평양 출생. 1931년 평양고등보통학교 5학년 재학 중 졸업을 불과 몇 달 앞두고 일본군 배속장교 배척운동을 벌이다 퇴교, 일본으로 건너가 사가고등학교[佐賀高等學校]를 거쳐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 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
+
|내용= 본명은 김시창(金時昌). 평양 출생. 1931년 {{TagInstitution|평양고등보통학교}} 5학년 재학 중 졸업을 불과 몇 달 앞두고 일본군 배속장교 배척운동을 벌이다 퇴교, 일본으로 건너가 {{TagInstitution|사가고등학교}}를 거쳐 {{TagInstitution|도쿄제국대학}} 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292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1930년대'''===
 
==='''1930년대'''===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36년 동인지 『제방(堤防)』을 발간하여 이 잡지에 일본어로 쓴 그의 처녀작 「토성랑(土城廊)」을 발표하였고,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던 중 사상불온으로 경찰에 검거되었다. 석방 후 『문예수도(文藝首都)』 동인이 되어 「기자림(箕子林)」·「산(山)의 신(神)들」 등의 일문소설(日文小說)을 통하여, 한국 농촌의 하층민생활을 생생히 그렸다.
+
|내용= 1936년 동인지 {{TagBook|『제방(堤防)』}}을 발간하여 이 잡지에 일본어로 쓴 그의 처녀작 {{TagBook|「토성랑(土城廊)」}}을 발표하였고,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던 중 사상불온으로 경찰에 검거되었다. 석방 후 {{TagBook|『문예수도(文藝首都)』}} {{TagBook|동인이 되어 「기자림(箕子林)」}}·{{TagBook|「산(山)의 신(神)들」}} 등의 일문소설(日文小說)을 통하여, 한국 농촌의 하층민생활을 생생히 그렸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292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1940년대 해방 전'''===
 
==='''1940년대 해방 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40년 재일 조선인을 다룬 단편소설 <빛 속에>로 조선인 최초로 아쿠다가와 상 후보에 선정되었다. 여러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1년 12월 9일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날 예방검속법에 의해 구금되었다. 도쿄 제국대학 문학부 독일문학과를 졸업하고 평양 대동공업전문학교 독어교사로 부임했다. 일제 학도병 위문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된 틈을 타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에 입대하여 각종 희곡과 르포를 썼다. 이 때의 경험을 쓴 <노마만리>는 르포문학의 걸작이자 귀중한 사료로 꼽힌다.
+
|내용= 1940년 재일 조선인을 다룬 단편소설 {{TagBook|<빛 속에>}}로 조선인 최초로 아쿠다가와 상 후보에 선정되었다. 여러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1년 12월 9일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날 예방검속법에 의해 구금되었다. {{TagInstitution|도쿄 제국대학기관}} 문학부 독일문학과를 졸업하고 {{TagInstitution|평양 대동공업전문학교기관}} 독어교사로 부임했다. 일제 학도병 위문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된 틈을 타 연안으로 탈출, {{TagGroup|조선의용군기관}}에 입대하여 각종 희곡과 르포를 썼다. 이 때의 경험을 쓴 {{TagBook|<노마만리>}}는 르포문학의 걸작이자 귀중한 사료로 꼽힌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ref>
 
}}
 
}}
  
 
==='''1940년대 해방 후'''===
 
==='''1940년대 해방 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귀국한 다음 북한 문학조직 정치활동 및 대학 강의, 창작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비김일성계파이기에 작품집에 실을 작품이 누락되는 등 부침을 겪는다. 1947년 시인 구상의 데뷔 작품집인 시집 <응향> 검열위원으로 관여했다.
+
|내용=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귀국한 다음 북한 문학조직 정치활동 및 대학 강의, 창작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비김일성계파이기에 작품집에 실을 작품이 누락되는 등 부침을 겪는다. 1947년 시인 구상의 데뷔 작품집인 시집 {{TagBook|<응향>}} 검열위원으로 관여했다. <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ref>
 
}}
 
}}
  
50번째 줄: 53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50년 6.25 종군 작가로 남하하여 종군기를 집필한다. 같은 해 10월경 강원도 원주 문막 부근에서 심장병으로 낙오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1950년 6.25 종군 작가로 남하하여 종군기를 집필한다. 같은 해 10월경 강원도 원주 문막 부근에서 심장병으로 낙오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
<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ref>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
 
}}
  
 
=='''연구'''==
 
=='''연구'''==
 
----
 
----
==='''<빗 >'''===
+
==='''<빗 속에>'''===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1939년 10월 {{TagBook|《문예수도》}}지에 실린 김사량의 일본어 단편소설. 1940년의 제6회 아쿠다가와상(芥川賞) 후보에 올라 일본 잡지{{TagBook|《문예춘추》}}에 수록되었다. 이 작품을 표제작으로 1940년 동경에서 출판된 김사량의 일본어 소설집{{TagBook|『光の中に』}}이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혼혈아 ‘하루오’와 방황하는 지식인 ‘남’선생이다. ‘남’선생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고뇌하는 민족의 지식인들을 대변하면서도, 혼혈아 하루오와 그의 조선인 어머니 그리고 그 주변의 인물들을 통해서 어쩔 수 없이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인들의 고달픈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
 
 +
소설의 이야기 속에는 일본 고또 지방의 공장지대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여 S제국대학을 다니고 있는 ‘남’선생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남’선생은 당시 일본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펼쳐진 빈민구제운동의 일환인 ‘정착운동’에 참가하여 이 지역의 학교에 들어가 지역 빈민 학생들을 가르친다. 이 학교에서 그는 일본인 미나미 선생으로 통하고 있다.
 +
 
 +
조선인인 ‘남’선생은 이 호칭의 문제로 인하여 많은 갈등을 겪지만 교육상의 편리라는 자기 합리화 과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소하고 미나미라는 호칭을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이 학교에서 그가 만난 하루오라는 아이로 인해 그가 조선인 ‘남’선생이라는 것이 학생들에게 알려진다. 하루오는 일본인 아버지와 조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로서 자신의 몸에 조선인의 피가 섞인 것을 부끄러워 하며 자신의 조선인 어머니를 부정하려 한다. 그 결과로 조선인 거주지역에서 하루오는 오히려 주위 사람들에게 소외되고 자신이 조선인임이 밝혀진 ‘남’선생은 이 하루오라는 아이에게 동정심을 느끼고 이 아이를 감싼다. 결국 하루오는 ‘남’선생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조선적인 것에 대한 애정을 느끼고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애정을 되찾는다는 이야기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2606&cid=41708&categoryId=41737 빛속에]』<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문학대사전. </ref>
 +
 
 +
 
 
}}
 
}}
  
 
==='''<노마만리>'''===
 
==='''<노마만리>'''===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김사량이 평양을 떠나 항일 근거지 태항산 남장촌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여행기이다. 단행본 발표 전 김사량은 연안으로의 탈출 과정을 그린 {{TagBook|「연안망명기-산채기」}}와 {{TagBook|「노마만리-연안망명기」}}를 발표한다. {{TagBook|「연안망명기-산채기」}}는 {{TagBook|《민성》}} 1946년 1월호와 2월호에 {{TagBook|「종이 소동」}}과 {{TagBook|‘담배와 불’}}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TagBook|「노마만리-연안망명기」}}는 {{TagBook|《민성》}}에 1946년 3월부터 1947년 7월까지 7회에 걸쳐 연재된 작품으로, ‘나’가 연맹본부로 이동하는 도중 폭격으로 교량이 파괴되어 석가장에 머무는 장면에서 연재가 중단되었다.
 +
 
 +
1947년 10월 평양 양서각에서 출간된 단행본 {{TagBook|『노마만리』}}는 {{TagBook|《민성》}} 연재본과 동일하게 평양에서부터 태항산 남장촌까지의 여정을 담았다. 이 단행본은 현재 구할 수 없고 1955년 국립출판사에서 간행된 {{TagBook|『김사량 선집』}}에 실린 {{TagBook|「노마만리」}}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김사량은 1947년 출간된 {{TagBook|『노마만리』}} 서문에서 이 단행본이 {{TagBook|‘탈출노상기’}}, {{TagBook|‘산채생활기’}}, {{TagBook|‘귀국일록’}} 중에서 {{TagBook|‘탈출노상기’}}만을 담고 있다고 밝히면서 출간된 책이 {{TagBook|「노마만리」}} 상편에 해당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5491&cid=60556&categoryId=60556 노마만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ref>
 
}}
 
}}
  
79번째 줄: 87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김사량 || Institution: 도쿄제국대학 || A takesCourseAt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김사량 || Group: 6.25 종군 작가 || A isMemberOf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김사량 || Group: 조선의용대 || A isMemberOf B
 
|-
 
|-
 
|}
 
|}
107번째 줄: 115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  "[https://munedong.com/7-12/ 김사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태양의 《빛속에》 영생하는 작가<sup>online</sup></online></html>, 在日本朝鮮文学芸術家同盟
 +
* 『[https://namu.wiki/w/%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나무위키.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292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2%AC%EB%9F%89 김사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2606&cid=41708&categoryId=41737 빛속에]』<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문학대사전.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5491&cid=60556&categoryId=60556 노마만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
  
 
{{상단이동
 
{{상단이동
123번째 줄: 138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7월 19일 (금) 23:28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서준호(KNU2024)가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김사량(金史良)
김사량.jpg
출처 : "김사량", 태양의 《빛속에》 영생하는 작가online, 在日本朝鮮文学芸術家同盟
 
한글명 김사량 한자명 金史良 영문명 Kim Saryang 가나명 きむ さりゃん 이칭 김시창
성별 생년 1914년 몰년 1950년 출신지 북한 평양 직할시 전공 독일문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김사량(金史良, 1914년 3월 3일 ~ 1950년)은 평양 출생의 소설가, 희곡 작가로 재일 한인 문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작가이다.[1]


생애


출생

본명은 김시창(金時昌). 평양 출생. 1931년 평양고등보통학교기관 5학년 재학 중 졸업을 불과 몇 달 앞두고 일본군 배속장교 배척운동을 벌이다 퇴교, 일본으로 건너가 사가고등학교기관를 거쳐 도쿄제국대학기관 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2]


1930년대

1936년 동인지 『제방(堤防)』서적을 발간하여 이 잡지에 일본어로 쓴 그의 처녀작 「토성랑(土城廊)」서적을 발표하였고,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던 중 사상불온으로 경찰에 검거되었다. 석방 후 『문예수도(文藝首都)』서적 동인이 되어 「기자림(箕子林)」서적·「산(山)의 신(神)들」서적 등의 일문소설(日文小說)을 통하여, 한국 농촌의 하층민생활을 생생히 그렸다.[3]


1940년대 해방 전

1940년 재일 조선인을 다룬 단편소설 <빛 속에>서적로 조선인 최초로 아쿠다가와 상 후보에 선정되었다. 여러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1941년 12월 9일 태평양 전쟁 발발 다음날 예방검속법에 의해 구금되었다. 도쿄 제국대학기관기관 문학부 독일문학과를 졸업하고 평양 대동공업전문학교기관기관 독어교사로 부임했다. 일제 학도병 위문단원으로 중국에 파견된 틈을 타 연안으로 탈출, 조선의용군기관단체에 입대하여 각종 희곡과 르포를 썼다. 이 때의 경험을 쓴 <노마만리>서적는 르포문학의 걸작이자 귀중한 사료로 꼽힌다.[4]


1940년대 해방 후

1945년 8월 해방을 맞아 귀국한 다음 북한 문학조직 정치활동 및 대학 강의, 창작 등 활발한 활동을 벌이지만 비김일성계파이기에 작품집에 실을 작품이 누락되는 등 부침을 겪는다. 1947년 시인 구상의 데뷔 작품집인 시집 <응향>서적 검열위원으로 관여했다. [5]


1950년

1950년 6.25 종군 작가로 남하하여 종군기를 집필한다. 같은 해 10월경 강원도 원주 문막 부근에서 심장병으로 낙오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6]


연구


<빗 속에>

1939년 10월 《문예수도》서적지에 실린 김사량의 일본어 단편소설. 1940년의 제6회 아쿠다가와상(芥川賞) 후보에 올라 일본 잡지《문예춘추》서적에 수록되었다. 이 작품을 표제작으로 1940년 동경에서 출판된 김사량의 일본어 소설집『光の中に』서적이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혼혈아 ‘하루오’와 방황하는 지식인 ‘남’선생이다. ‘남’선생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고뇌하는 민족의 지식인들을 대변하면서도, 혼혈아 하루오와 그의 조선인 어머니 그리고 그 주변의 인물들을 통해서 어쩔 수 없이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인들의 고달픈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소설의 이야기 속에는 일본 고또 지방의 공장지대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여 S제국대학을 다니고 있는 ‘남’선생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남’선생은 당시 일본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펼쳐진 빈민구제운동의 일환인 ‘정착운동’에 참가하여 이 지역의 학교에 들어가 지역 빈민 학생들을 가르친다. 이 학교에서 그는 일본인 미나미 선생으로 통하고 있다.

조선인인 ‘남’선생은 이 호칭의 문제로 인하여 많은 갈등을 겪지만 교육상의 편리라는 자기 합리화 과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소하고 미나미라는 호칭을 유지하려 한다. 그러나 이 학교에서 그가 만난 하루오라는 아이로 인해 그가 조선인 ‘남’선생이라는 것이 학생들에게 알려진다. 하루오는 일본인 아버지와 조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로서 자신의 몸에 조선인의 피가 섞인 것을 부끄러워 하며 자신의 조선인 어머니를 부정하려 한다. 그 결과로 조선인 거주지역에서 하루오는 오히려 주위 사람들에게 소외되고 자신이 조선인임이 밝혀진 ‘남’선생은 이 하루오라는 아이에게 동정심을 느끼고 이 아이를 감싼다. 결국 하루오는 ‘남’선생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조선적인 것에 대한 애정을 느끼고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애정을 되찾는다는 이야기이다.[7]


<노마만리>

김사량이 평양을 떠나 항일 근거지 태항산 남장촌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여행기이다. 단행본 발표 전 김사량은 연안으로의 탈출 과정을 그린 「연안망명기-산채기」서적와 「노마만리-연안망명기」서적를 발표한다. 「연안망명기-산채기」서적는 《민성》서적 1946년 1월호와 2월호에 「종이 소동」서적과 ‘담배와 불’서적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노마만리-연안망명기」서적는 《민성》서적에 1946년 3월부터 1947년 7월까지 7회에 걸쳐 연재된 작품으로, ‘나’가 연맹본부로 이동하는 도중 폭격으로 교량이 파괴되어 석가장에 머무는 장면에서 연재가 중단되었다. 1947년 10월 평양 양서각에서 출간된 단행본 『노마만리』서적는 《민성》서적 연재본과 동일하게 평양에서부터 태항산 남장촌까지의 여정을 담았다. 이 단행본은 현재 구할 수 없고 1955년 국립출판사에서 간행된 『김사량 선집』서적에 실린 「노마만리」서적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김사량은 1947년 출간된 『노마만리』서적 서문에서 이 단행본이 ‘탈출노상기’서적, ‘산채생활기’서적, ‘귀국일록’서적 중에서 ‘탈출노상기’서적만을 담고 있다고 밝히면서 출간된 책이 「노마만리」서적 상편에 해당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김사량 Institution: 도쿄제국대학 A takesCourseAt B
Person: 김사량 Group: 6.25 종군 작가 A isMemberOf B
Person: 김사량 Group: 조선의용대 A isMemberOf B



Timeline


[1]



Network Graph






참고자원


  • "김사량", 태양의 《빛속에》 영생하는 작가online, 在日本朝鮮文学芸術家同盟
  • 김사량online, 나무위키.
  • 김사량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사량online, 위키백과.
  • 빛속에online,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노마만리online,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주석


  1. 김사량online, 나무위키.
  2. 김사량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김사량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사량online, 위키백과.
  5. 김사량online, 위키백과.
  6. 김사량online, 위키백과.
  7. 빛속에online,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문학대사전.
  8. 노마만리online, 네이버 지식백과_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