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민속 1966-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새 문서: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권호(Volume) 목록으로 이동하기}} ---- <br/> {{권호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고고민속 19...)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http://dh.aks.ac.kr" 문자열을 "https://dh.aks.ac.kr" 문자열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고고민속 1963-1
+
|대표명=고고민속 1966-2
|한글명=고고민속 1963-1
+
|한글명=고고민속 1966-2
|한자명=考古民俗 1963-1
+
|한자명=考古民俗 1966-2
 
|영문명=  
 
|영문명=  
 
|가나명=
 
|가나명=
|원명칭=고고민속 1963-1
+
|원명칭=고고민속 1966-2
 
|발행처=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
 
|발행처=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
 
|인쇄소=
 
|인쇄소=
|발행연도=1963
+
|발행연도=1966
 
|발행월일=
 
|발행월일=
 
|인쇄월일=
 
|인쇄월일=
22번째 줄: 22번째 줄:
 
}}
 
}}
 
{{권호항목
 
{{권호항목
|데이터=고고민속 1963-1
+
|데이터=고고민속 1966-2
 
}}
 
}}
 
=='''개요'''==
 
=='''개요'''==
29번째 줄: 29번째 줄: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목차'''==
 
=='''목차'''==
37번째 줄: 37번째 줄:
 
!style="width:7%;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순서 !! style="width:6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학술원고 !! style="width:1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수록면 !! style="width:1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범주 !! style="width:13%;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편저역자
 
!style="width:7%;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순서 !! style="width:6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학술원고 !! style="width:1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수록면 !! style="width:10%;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범주 !! style="width:13%; background:#FAEBD7; text-align: center; color:brown"|편저역자
 
|-
 
|-
| 01 || [[민족 문화 유산의 계승 발전과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의 당면 과업]] || 001 || || [[도유호]]
+
| 01 || [[발해 중경 현덕부에 대하여]] || 001 || 논문 || [[주영헌]]
 
|-
 
|-
| 02 || [[민족적 형식의 현대 건축에의 창조적 도입을 위하여]] || 011 || || [[박황식]]
+
| 02 || [[우리나라 원시 시대 메'짐승에 대하여]] || 004 || 논문 || [[김신규]]
 
|-
 
|-
| 03 || [[황해도 탈놀이와 그 인민성]] || 023 ||   || [[김일출]]
+
| 03 || [[과거 우리나라 남자 평상복]] || 008 || 논문 || [[최원희]]
 
|-
 
|-
| 04 ||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1)]] || 041 ||   || [[전주농]]
+
| 04 || [[평양성에 대하여]] || 013 || 토론 || [[정찬영]]
 
|-
 
|-
| 05 || [[함경북도 지방 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1)]] || 072 ||   || [[황기덕]]
+
| 05 || [[인산군 주암리 원시 유적 발굴 간략 보고]] || 021 || 발굴 보고  || [[백룡규]]
 
|-
 
|-
| 06 || [[자강도 전천 출토 명도전(明刀錢)에 대하여]] || 103 ||  || [[유정준]]
+
| 06 || [[북청군 중리 유적]] || 024 || 발굴 보고 || [[안영준]]
 
|-
 
|-
| 07 || [[추사 김정희의 생애와 그의 학술 사상]] || 105 ||  || [[김재효]]
+
| 07 || [[웅기 서포항 원시 유적에서 나온 인골]] || 028 || 자료 || [[백기하]]
 
|-
 
|-
| 08 || [[조선에서의 초기 금속 사용에 관한 토론회]] || 118 ||  ||   
+
| 08 || [[우리나라 돌로 쌓은 성벽 구조에 대한 약간의 기술 자료 - 수원성과 함북 경성성을 중심으로 - ]] || 031 || 자료  ||  [[박황식]]
 +
|-
 +
| 09 || [[설화]] || 036 || 강좌  || [[한룡옥]]
 +
|-
 +
| 10 || [[대현산성 답사기]] || 041 || 답사기  || [[채희국]], [[전제헌]]
 +
|-
 +
| 11 || [[신라의 돌로 쌓은 나무곽 무덤]] || 044 || 유적 유물  || [[고고학 연구실]]
 +
|-
 +
| 12 || [[취군(聚軍)놀이]] || 040 || 용어 || 
 +
|-
 +
| 13 || [[건갈이]] || 047 ||  용어 ||   
 +
|-
 +
| 14 || [[좁은 놋단검]] || 048 || 용어  ||   
 
|-
 
|-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61번째 줄: 73번째 줄:
 
----
 
----
 
==='''TripleData'''===
 
==='''TripleData'''===
<font face="함초롬돋움">
+
{{SemanticNetworkRDF | db=s_jisun | project=NKH2 | key={{FULLPAGENAME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style="width:5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Journal: [[고고민속]] || Volume: [[고고민속 1963-1]] || A includes B
 
|-
 
| Article: [[민족 문화 유산의 계승 발전과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의 당면 과업]] || Volume: [[고고민속 1963-1]] || A isPartOf B
 
|-
 
| Article: [[민족적 형식의 현대 건축에의 창조적 도입을 위하여]]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황해도 탈놀이와 그 인민성]]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1)]]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함경북도 지방 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1)]]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자강도 전천 출토 명도전(明刀錢)에 대하여]]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추사 김정희의 생애와 그의 학술 사상]]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Article: [[조선에서의 초기 금속 사용에 관한 토론회]] || Volume: [[문화유산 1957-1]] || A isPartOf B
 
|-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91번째 줄: 81번째 줄:
 
----
 
----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onthedh/cgi-bin/Story01.py?db=s_onthedh&project=NKH&key=력사과학_1955-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jisun/cgi-bin/Story01.py?db=s_jisun&project=NKH2&key=고고민속_1966-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br/><br/>
 
<br/><br/>
103번째 줄: 93번째 줄:
 
<br/><br/>
 
<br/><br/>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br/><br/>
 
<br/><br/>
112번째 줄: 102번째 줄:
 
<br/><br/>
 
<br/><br/>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고고민속 1963-1
+
|페이지=고고민속 1966-2
 
}}
 
}}
 
<br/><br/>
 
<br/><br/>
  
[[분류:Volume]] [[분류:검토요청]]
+
[[분류:Volume]]

2024년 3월 17일 (일) 18:27 기준 최신판

권호(Volume) 목록으로 이동하기



고고민속 1966-2
출처 :
 
한글명 고고민속 1966-2 한자명 考古民俗 1966-2 영문명
가나명 원명칭 고고민속 1966-2 발행처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 인쇄소
발행연도 1966년 발행월일 인쇄월일
편집책임자 편집위원 가격 인쇄부수



항목

차례


개요 목차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내용 서술)



목차


순서 학술원고 수록면 범주 편저역자
01 발해 중경 현덕부에 대하여 001 논문 주영헌
02 우리나라 원시 시대 메'짐승에 대하여 004 논문 김신규
03 과거 우리나라 남자 평상복 008 논문 최원희
04 평양성에 대하여 013 토론 정찬영
05 인산군 주암리 원시 유적 발굴 간략 보고 021 발굴 보고 백룡규
06 북청군 중리 유적 024 발굴 보고 안영준
07 웅기 서포항 원시 유적에서 나온 인골 028 자료 백기하
08 우리나라 돌로 쌓은 성벽 구조에 대한 약간의 기술 자료 - 수원성과 함북 경성성을 중심으로 - 031 자료 박황식
09 설화 036 강좌 한룡옥
10 대현산성 답사기 041 답사기 채희국, 전제헌
11 신라의 돌로 쌓은 나무곽 무덤 044 유적 유물 고고학 연구실
12 취군(聚軍)놀이 040 용어
13 건갈이 047 용어
14 좁은 놋단검 048 용어



데이터


TripleData




Data Network





참고자원


○ 유관 자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