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재야의 전업 연구자)
(진단학회와 진단학보)
88번째 줄: 88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내용=
 
|내용=
1}}
+
}}
  
 
==='''재야의 전업 연구자'''===
 
==='''재야의 전업 연구자'''===

2023년 11월 27일 (월) 22:55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병도
이병도.jpg
출처 : 위키피디아
 
한글명 이병도 한자명 李丙燾 영문명 Lee Byeong-do 가나명 이칭 두계 斗溪 杜溪
성별 남성 생년 1896년 몰년 1989년 출신지 경기도 용인 전공 한국사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역사학자. 교육행정가. 보성전문학교에서 배운 뒤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사학급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중앙학교 교원,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 등을 지내면서 한국사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1934년 진단학회를 세우고 우리말로 된 학술지 진단학보를 발행했다. 해방 후 서울대 사학과 교수를 지내며 수많은 한국사학자를 길러냈다. 학술원 원장, 문교부 장관 등을 지냈다.


생애


출생과 한학 공부

이하 이병도의 생애에 대해서는 민현구, 두계(斗溪) 이병도(李丙燾)의 수학(修學)과정과 초기 학술활동(學術活動), 진단학보, 116, 2012를 참조했다.

이병도는 1896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났다. 이병도의 집은 상당한 재력을 가진 양반가였다. 부친 이봉구(李봉구)는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낸 전직 무관이었다. 이병도는 6세부터 집안 서당에서 한학을 배웠다. 천자문에서 시작하여 8세에 "통감"을 배우고 한시 습작도 익혀 주위를 놀라게 했다. 이병도의 집은 1907년에 서울로 이사했다. 이병도는 14살인 1910년에 상투 틀고 관을 쓴 모습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한학 수업은 1911년까지 이어졌다. 9년 동안의 수업으로 이병도는 높은 한학 실력을 갖출 수 있었다.

이조판서와 병조판서을 지낸 농재 이익(1629~1690)이 10대조였고, 이익의 손자로 저명한 성리학자인 도암 이재(1680~1746)는 방팔대조였다. 이병도는 10대조의 친필본 "농재일기"와 도암의 유학 관련 저술인 "주형"(10책)을 가장 소중한 애장품으로 소개한 바 있다. 이병도 학문의 가학적 배경을 시사한다.[1]


신식 교육과 보성전문학교

이병도는 서울에 온 해에 어른들 몰래 초등학교 수준의 보광학교에서 1년 남짓 배웠다. 13살 때에는 봉명학교라는 야간 강습소를 역시 어른들 몰래 1년간 다니면서 일어, 한어, 수학 등을 공부했다. 그러다가 15살이 된 결혼 이듬해인 1911년에는 떳떳하게 불교고등학원 예비과에 입학했다. 불교고등학원은 일본인 승려들이 포교 수단을 설치한 사립학교로 영어, 지리, 역사, 수학, 물리, 화학 및 불전을 가르치는 중등학교였다. 이병도는 불교고등학원에서 1년간 배웠는데 교사가 모두 일본인 승려라 일본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1912년 3월에 보성전문학교 법률학교에 입학했다. 이병도는 '딱딱하고 무미건조한 법률'에는 매력을 느낄 수 없었지만 국제법 특히 역사적 케이스가 있는 국제공법에 흥미를 느꼈다고 회고했다. 졸업 1년 전부터 와세다대학 교외강의록을 주문해 입시준비를 했다. 1915년 봄에 보성전문학교 졸업과 동시에 와세다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와세다대학 예과 시절

이병도는 1915년 4월 와세다대학 고등예과 제3부에 입학했다. 집안에 말하지 않고 일본 유학을 결정했지만, 사과의 편지를 올려 용서를 받고 매달 학비를 지원 받았다. 와세다대학 캠퍼스에는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자유의 기운이 넘쳤다. 고등예과 제3부(문학부)는 문학, 사학, 철학을 전공할 예과생 집단이었다. 이병도는 문학개론, 철학개론, 논리학, 영어, 일본 고문, 한문, 서양문화사 등 여러 과목을 수강했다. 영어 공부에 어려움을 느꼈지만, 그 덕분에 인문학의 소양을 높이고 서구의 학술과 문화에 다가설 기초를 다졌다.

와세다대학에서는 많은 한국인 친구를 사귀었다. 4년 연상의 이광수능 예과 동기동창이었다. 이광수가 철학과로 진학한 후에도 같이 수업을 듣고 방학 때는 함께 귀국하기도 했다. 1년 선배인 현상윤(사학급사회학과), 김여제(영문과), 2년 선배인 최두선(철학과), 신익희(정경과), 3년 선배인 장덕수(정경과) 등을 비롯해 백남훈, 최팔용, 김명식, 송계백, 김종철 등과도 교류가 있었다. 당시 와세다대학에는 20명이 넘은 한국 학생이 동창회를 조직해 매달 모여 친목을 도모했다. 이병도는 1916년 7월에 고등예과를 수료했다.

이병도 와세다.png
와세다대학 시절 이병도와 한국인 유학생
출처 : 이병도, 한 장의 이 사진, 수상 잡필, 376쪽.〕


와세다대학 사학급사회학과 시절

예과를 마친 이병도는 1916년 9월에 사학급사회학과로 진입했다. 본과에서는 서양사를 전공하고 지리학을 부전공으로 할 생각이었다. 다만 동양사의 시미즈 다이지(清水泰次) 강사를 비롯하여 여러 교원이 한국사 연구를 권했다. 특히 일본사의 요시다 도고 교수는 이병도가 한국사 연구를 택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일본지명사전"을 편찬한 역사지리학의 대가였던 요시다 교수는 한국사에도 정통하여 "일한고사단"을 저술하였다. 이병도가 본과 1학년 때 요시다는 최두선, 현상윤, 김여제, 이광수 그리고 이병도 등 한국 학생 5명을 자택으로 초청하여 저녁을 대접하기도 했다. 이병도는 이 자리를 평생 기억했고 "나의 생애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분이 요시다 박사"라고 회고했다.[2]

2학년 때 요시다 교수가 별세했지만, 3학년 때는 쓰다 소키치가 강사로 출강하여 지도를 했다. 쓰다는 고사기와 일본서기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일본 고대사의 대가였는데, 한국사에도 관심이 컸다. 또한 강사 시미즈의 소개로 도쿄대 이케우치 히로시 교수를 알게 되었다. 쓰다와 이케우치는 이병도가 귀국한 후에도 지도와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병도는 와세다대학 졸업논문으로 "고구려의 대 수당 전쟁에 대한 연구"를 제출했다.

서양사 전공 주임교수인 게무야마 센타로(煙山専太郎)도 한국 학생을 각별히 사랑했다. 1919년 9월 이병도가 졸업하자 도쿄의 중학교 교원 자리를 알선했고 이병도가 이를 사양하고 귀국하자 도쿄역까지 전송을 나왔다.[3]


중앙학교 교원 시절

1919년 9월 와세다대학을 졸업한 이병도는 10월에 중앙학교 교원으로 취직했다. 1년 선배인 현상윤이 3.1운동으로 투옥되자 그 후임으로 발탁된 셈이다. 당시 중앙학교의 교주는 김성수, 교장은 최두선이었다. 중앙학교에서는 일본사, 외국사뿐만 아니라 일본지리, 세계지리에 영어까지 담당했다. 1920년에는 퇴근 후 영어강습소에 출강하고 중동학교(야간)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921년 4월에는 경신학교에 지리-역사 강사로 출강하기도 했다.

그 무렵 문예지 "폐허"에도 동인으로 참여했다. 또한 바이올린에 취미를 느껴 교습을 받았다. 1921년경 사진에는 부인과 2남1녀를 둔 단란한 가정의 모습이 나타난다. 중앙학교 교원으로 부임한 후 3, 4년간 안정된 가정생활을 하면서 다른 학교에 출강하여 바쁘게 활동하는 동시에 문예와 취미를 익히는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중앙학교에서는 일본사를 가르치면서 배당된 주 2시간 가운데 1시간은 한국사에 할애했다. 이병도의 한국사 공부와 그 체계화를 위한 노력은 1923년 9월부터 약 6개월에 거쳐 동아일보 지상에 "한국사 개강" 연재로 드러났다. 1923년 경부터 이병도는 본격적으로 한국사 연구에 전념했다. 1922년 조선총독부는 조선반도사 편찬을 위해 조선사편찬위원회를 설치했다. 1923년 조선총독부 후원 아래 조선사학회가 세워졌다. 이러한 움직임이 이병도를 자극하여 한국사 연구에 전념하도록 했다고 보인다.[4]
이병도는 1925년 8월에 중앙학교를 사직했지만, 실제 근무는 1923년 말까지였다. 이병도는 후일 "역사와 지리를 담당하는 교사생활을 계속하는 동안에는 실제로 연구다운 연구를 할 만한 겨를을 갖지 못하였다"고 회고했다.[5]


조선사편수회 근무

이병도는 1925년 8월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에 임명되었다. 1925년 6월에 설치된 조선사편수회는 13년간 활동하며 편년체 사서인 "조선사"(37권), 사료집인 "조선사료총간"(22권)과 "조선사료집진"(3집)을 편찬 간행했다. 이병도의 조선사편수회 취직인 이케우치 히로시의 권유와 추천에 따른 것이었다.

조선사편수회에서 이병도는 "조선사" 제1편(신라통일 이전), 제2편(통일신라), 제3편(고려시대) 등 앞 쪽을 이마니시 류(1875~1932)를 주임으로 모시고 2인 1조가 되어 담당했다. 이마니시는 교토제국대학 교수로서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겸임하면서 조선사 편수회 촉탁을 맡았다. 이병도는 이마니시로부터 학문적 성장에 큰 도움을 받았다. 그밖에 이병도는, 수석 편수관으로 조선사편수회의 실질적 책임자였던 이나바 이와키치(1876~1940), 도쿄애 교수로서 조선사편수회 고문을 맡은 쿠로이타 가쓰미(1874~1946), 조선사편수회 수사관으로 나중에 경성제국대학 교수가 되는 후지타 료사쿠(1892~1960) 등과 교류할 기회를 얻었다.
한국인으로는 수사관으로 사료 수집 책임을 맡은 홍희가 있었다. 홍희는 전우의 제자인 유학자였다. 총독부 사무관으로 조선사편수회 위원을 맡은 이능화도 있었다. 이능화는 홍희와 마찬가지로 이병도와 나이 차가 꽤 났지만 이병도와 각별하게 지내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병도는 1927년 5월에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 직을 사임했다. 이병도의 사임은 도쿄대 출신 중촌영효, 역시 도쿄대 출신인 스에마쓰 야스히로 등 일본인 후배에게 조직 내 인사에서 뒤로 밀리는 정황 탓이었다고 판단된다.[6] 이병도는 수사관보 직에서 물러났지만 무급 촉탁으로 발령 받아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료 이용의 이점은 누렸다.


재야의 전업 연구자

1927년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를 그만둔 이병도는 무직의 전업연구자가 되었다. 31살의 나이였다. 이변도는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간 다음 해인 1926년부터 논문을 발표했다. 1927년에는 일본의 권위지인 "사학잡지"와 "동양학보"에 각각 논문을 발표했다.
이병도는 조선사편수회 시절부터 선배 격인 한국사 연구자와 동호회 비슷한 모임을 만들어 어울렸다. 이능화, 이중화, 안확, 황의돈, 권덕규, 문일평, 그리고 이병도 일곱 사람이 이른바 7이회를 만들어 어울렸다. 1934년 이병도가 진단학회를 만들었을 때 이들은 모두 찬조회원이 되어 협력했다.


진단학회와 진단학보


재야의 전업 연구자

1927년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를 그만둔 이병도는 무직의 전업연구자가 되었다. 31살의 나이였다. 이변도는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간 다음 해인 1926년부터 논문을 발표했다. 1927년에는 일본의 권위지인 "사학잡지"와 "동양학보"에 각각 논문을 발표했다.
이병도는 조선사편수회 시절부터 선배 격인 한국사 연구자와 동호회 비슷한 모임을 만들어 어울렸다. 이능화, 이중화, 안확, 황의돈, 권덕규, 문일평, 그리고 이병도 일곱 사람이 이른바 7이회를 만들어 어울렸다. 1934년 이병도가 진단학회를 만들었을 때 이들은 모두 찬조회원이 되어 협력했다.


연구


문법론 연구


논저 목록

데이터


TripleData





Map




참고자원




주석




  1. 이병도, 나의 애장품, 수상잡필, 212~213쪽.
  2. 이병도, 화려한 우정 50년, 수상잡필, 382~382쪽.
  3. 이병도, 나의 회고록, 국사와 지도이념, 467쪽.
  4. 민현구, 위 논문, 285쪽.
  5. 이병도, 나의 연구생활의 회고, 국사와 지도이념, 435쪽.
  6. 민현구, 위 논문, 2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