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

my9univ
My9univ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3일 (화) 03:02 판 (새 문서: <html> <table> <tr> <td>669</td> <td>광주 주먹밥 오백국수</td> <td>* 광주 주먹밥 오백국수는 광주송정역에 위치해 있는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669 광주 주먹밥 오백국수 * [[광주 주먹밥 오백국수]]는 광주송정역에 위치해 있는 국수집이다. 이곳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진행하는 주먹밥 브랜딩 사업의 일환으로 주먹밥 메뉴를 개발하였으며, 주먹밥을 대표 음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670 광주 주먹밥 체험관 * [[광주 주먹밥 체험관]]은 (재)광주디자인진흥원이 운영 중인 체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일빌딩245 4층에 위치한 체험관이다. 주먹밥 만들기 체험은 사전 예약을 통해 주먹밥 만들기 체험을 진행한다. 누구나 무료로 체험 가능하며, 주먹밥 만들기 체험 외에도 주먹밥 나눔 행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671 광주고시학원 * [[광주고시학원]]은 1965년 광주에 최초로 설립된 공인중개사 학원이다. 개원 초창기부터 전국적인 수준의 공인중개사 합격률을 자랑하고 있다. * 현재는 손해평가사반도 따로 운영되고 있다.
672 광주기독병원 제중역사관 * [[광주기독병원 제중역사관]]은 광주 기독병원 1층에 122주년 기념식을 맞아 2017년도에 개관한 역사기념관이다. * 광주 기독교 전파의 역사와 광주 현대 의료 발전의 역사에 대해 전시되어있다. 또한 선교사의 유물과 다양한 옛 의료기기들도 함께 만나 볼 수 있다.
673 광주기독병원 * [[광주기독병원]]은 광주 남구 양림동에 위치한 종합 병원으로 과거 의료 선교병원인 [[광주 제중병원]]에서 명칭이 변경된 병원이다. 기독교 정신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병원이며, 광주에 현대 의료의 역사를 담고 있는 병원이다. * 과거에는 결핵 환자와 한센병 환자를 위한 병원이었지만 현재는 내과를 비롯해 치과, 산부인과, 외과, 소아과 등 광주의 대표 전문 의료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674 광주비엔날레 복덕방 프로젝트 * [[광주비엔날레 복덕방 프로젝트]]는 2008년 광주비엔날레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예술 프로젝트 중 하나로 대인시장의 점포를 예술공간으로 바꾸어 ’예술과 상술’이 만난다는 신선함으로 다가온 프로젝트이다. *복덕방을 말 그대로 복과 덕이 넘치는 방으로 해석하여 지역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대인시장에 인정과 온정이 척도가 되었던 시절을 작품을 통해 풀어 대인시장을 대인예술시장으로 변모시킨 프로젝트이다.
675 다르다김밥주먹밥 * [[다르다김밥주먹밥]]은 상무지구에 위치해 있는 김밥 전문점이다. 지역별로 체인점이 위치해 있지만 특히 상무지구에 위치한 다르다 김밥에서는 광주광역시에서 진행하는 주먹밥 브랜딩 사업의 일환으로 주먹밥 메뉴를 개발하여 주먹밥을 특별 메뉴로 판매하고 있다. 주먹밥뿐만 아니라 김밥과 떡볶이 등 분식 메뉴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676 직녀에게 * [[문병란]] 시인의 작품. 견우와 직녀 설화를 바탕으로 분단의 아픔을 표현한 시인의 대표작이다. 가수 김원중이 노래로 불러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677 희망가 * [[문병란]]시인의 대표작. 야구선수 박찬호가 미국 메이저리그 활동시 이 시를 통해 많은 위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678 시청앞자전거대여소 * [[시청앞자전거대여소]]는 광주의 공유 자전거인 [[타랑께(공유자전거)|타랑께]]를 대여할 수 있는 대여소로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광주광역시청 앞에 위치하고 있다. 시청 버스 정류장 근처에 있다. * 광주 시민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사람들이 잘 몰라서 주로 공무원이나, 인근 주민만 이용 대상이 되고 있다.
679 신성다방 * [[신성다방]]은 제일극장 옆에 위치해 있던 광주의 옛 다방 중 하나로 시인 박용철 선생의 부인인 임정희씨가 운영했던 다방으로 잘 알려져있다.
680 쓰바메 * [[쓰바메]]는 ’제비’라는 뜻으로 1928년 일제강점기 광주에 최초로 들어선 다방의 이름이다. 옛 전남도청에서 서석교로 가는 도로에 위치해 있었으며, 커피, 우유, 코코아, 홍차를 팔았다. 그 중에도 커피와 홍차가 인기가 있었다.
681 피터슨 선교사 사택 * [[아놀드_피터슨]] 선교사가 살던 사택으로 과거 [[옛_신광약품_물류센터]]였고 현재는 [[이이남스튜디오]]가 위치하고 있다
682 아폴로다방 * [[아폴로다방]]은 충장서림과 무등일보 사이에 위치해 있던 다방으로 이해동이라는 작가가 광주 최초로 다방에서 시화전을 열었던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를 시작으로 광주 다방에서문학가나 미술가들이 시화전 또는 미술전시회를 열기 시작하였다.
683 인쇄굿즈데이 * [[인쇄의 거리]]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개관한 전시 및 홍보 공간. 이곳에서 2021년 충장축제와 연계하여 서남동 인쇄의 거리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684 마른모밀 * [[청원모밀]]의 주 메뉴 중 하나인 [[마른모밀]]은 채반 위에 나오는 메밀국수 종류 중 하나로, 장국에 적셔서 먹는다.
685 녹향회 * 1928년 일제강점기에 서울에서 조직된 미술단체이다. 동경미술학교에서 공부한 박광진, 김주경 등이 참여했다. 1931년 [[오지호]] 등이 참여해 더욱 활기를 띄었다. 첫 작품전에서 주목을 받은 것과 달리 현실적 어려움으로 2회만에 해산했다.
686 은성유치원 * 1975년 개원한 이후 50여년 운영된 유치원. 양림동 은성유치원 자리에는 현재 여행자라운지 및 복합문화공간인 [[10년후그라운드]]가 운영중이다.
687 광주향토서점 빅3 * 1980년대 광주 [[충장로]] 일대에 서점이 성행하던 시기에 대표적인 지역 향토 서점으로 알려진 3개의 서점들이다. [[나라서적]], [[삼복서점]], [[충장서림]]이 있다. 현재 [[충장로]]에서 운영 중인 서점은 [[충장서림]]만 남아 있다.
688 빅마트 * 2000년대 초 빅마트는 호남 최대 규모의 토종 유통기업이었다. 향토기업답게 지역 환원을 목적으로 전라도 문화를 다룬 잡지 [[전라도닷컴]]을 창간했다.2007년 경영난으로 현재는 후원을 중단한 상태이다. 빅마트가 남긴 지역 문화 매체로 [[전라도닷컴]]을 비롯해 지역소식지 광주드림이 있다.
689 남신희 * 2022년 현재 [[전라도닷컴]] 편집장을 맡고 있다.
690 함흥냉면 * 감자 전분으로 만든 사리에 육수를 붓거나 양념을 넣어 비빈 국수를 말한다. 함경도 사람들은 ’녹말’의 함경도 말인’농마’라는 이름을 넣어 ’농마국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매우 질기고 가늘기 때문에 메밀가루를 조금 섞어 부드럽게 만들어 먹기도 한다. * 광주 지역의 대부분 냉면맛집은 함흥냉면집이며, 대표 맛집으로는 [[옥천면옥]]이 있다.
691 아놀드 피터슨 * 광주 [[5.18민주화운동]]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하고 이를 국제 사회에 알리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692 금향빌딩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에 위치한 오래된 빌딩이다. 건물 6층에는 1987년부터 자리를 잡은 [[베토벤음악감상실]]이 여전히 운영 중이다.
693 부활의 노래 * 문병란 시인의 작품이다. 1982년 작품으로 [[5.18민주화운동]]으로 희생된 윤상원과 박기순의 영혼결혼식을 위해 지어진 시이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참상을 밝힌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라는 책의 제목은 이 시에서 따온 문구이다.
694 법정스님 * 법정스님(1932~2010)은 전라남도 해남 출신으로 한국 승려이자 무소유의 가치를 널리 전파한 수필가이다. 맑은 기품을 지닌 문장으로 대중 불교 운동에 앞장섰다. 작품으로 &lt;무소유&gt; 등 30여 권에 이르는 저서가 있다. 1956년 전남대학교를 수료한 후 통영 미래사에서 출가했다. * 광주와의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베토벤음악감상실]]에 자주 들려 환경이 어려운 학생들을 상담하거나 그들의 학비를 지원해주기도 했다. 법정 스님 장학금을 받은 학생 중 문현철은 이후 초당대 군사학과 교수로 활동했다.
695 북이오 * 북이오는 전자책을 볼 수 있는 온라인 공간으로 [[전라도닷컴]]도 이곳에서 구매 및 대여하여 볼 수 있다.
696 인상주의 * 서양의 미술 기법으로 빛의 움직임에 따른 색채 변화에 주목하여 자연을 묘사한다. 인상주의를 활용한 한국의 대표적 화가로 [[오지호]] 등이 있다.
697 오지호기념관 * 서양화가 [[오지호]]를 기리기 위해 그의 고향 화순에 건립된 기념관이다. 인상주의 화풍이 두드러지는 화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698 옛 신광약품 물류센터 * 세계적인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이 건립한 [[이이남스튜디오]]가 위치한 곳은 옛 신광약품 물류 센터 자리이다. 신광약품은 광주와 전남 지역의 대표적인 의약품 회사이다.
699 이정옥 * 이정옥은 광주의 근대 역사를 품고 있는 지역 명소 [[베토벤음악감상실]]을 운영하는 인물이다. 원래 손님으로 이곳을 드나들다 직접 인수하여 1987년부터 현재까지 금향빌딩 6층에서 운영하고 있다.
700 전라도몰 * 전라도몰은 전라도 지역 문화 잡지 [[전라도닷컴]]에서 운영하는 전라도 지역 중심 출판사업 사이트이다.
701 황풍년 * 황풍년은 2000년부터 [[전라도닷컴]] 편집장이나 발행인을 맡아왔다. 2022년 현재는 [[광주문화재단]]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702 1913년 *[[1913년]]은 [[1913송정역시장]]이 [[매일송정역전시장]] 이름으로 문을 연 해이다. [[1913년]] 호남선 중 목포와 송정리 구간이 개통된 해이기도 하다. 그런 이유로 다시 붙여진 이름이 ‘[[1913송정역시장]]’이다.
703 4.19민주혁명역사관 *[[4.19민주혁명역사관]]은 4.19혁명 정신 계승을 위해 광주고등학교에 지어진 역사 전시관이다. 2019년 3월 20일 개관했으며, 역사관 내부엔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사진들과 광주 4.19혁명의 전개 과정 등이 상세히 전시돼있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실도 조성돼있다.
704 옛 전남도청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되어 언급되는 [[구 전남도청|구 전남도청]]은 광주시 동구 금남로에 있던 전남도청을 말한다. 현재 그 자리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서 있다. [[구 전남도청]]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항쟁지도부가 끝까지 사수한 곳이며, 밀려오는 계엄군을 보며 시민들이 피눈물을 흘렸다. [[구 전남도청]]과 구 전남도의회 자리 중간에는 5.18민중항쟁 알림탑이 세워져 있으며, 전남도청 건물 일부는 5.18전시관이 되었다.
705 5.18사적지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역사 현장 중 광주광역시에서 지정한 주요 장소를 말한다. 5.18기념재단에서는 ’오월길’이라는 명칭으로 사적지들을 탐방할 수 있는 코스를 만들어 안내하고 있다. 사적지 앞에는 횃불 모양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배치돼있으며, 해당 조형물에는 사적지에 대한 설명이 서술돼있다. 광주 29개소, 전남 25개소가 5.18사적지로 지정돼있다.
706 5.18전야제 *[[5.18전야제|5.18전야제]]는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5.18민주광장]]을 중심으로 광주시 동구 [[금남로]]에서 매년 5월 17일 열린다. 기념행사 중 최대 행사로 가장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며, 외지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전야제를 함께 한다. 민주광장에 거대한 스크린을 세우고 각종 공연이 이루어지는데 10만 명 이상이 운집한 적도 있다.
707 간선버스 *[[간선버스]]는 지역 내에서 중, 장거리를 운행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말하다. 광주광역시에서는 [[간선버스]] 31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다.
708 갈치 *[[갈치]]는 제주특별자치도 연안 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갈치과의 어류로 지역에 따라 도어(刀魚), 칼치, 대어(帶魚)라고 부르기도 한다. *[[갈치]]에는 비타민과 필수 아미노산, 칼슘과 인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갈치를 이용한 요리법은 갈치구이, [[갈치조림]]이 대표적이며, 제주도에서는 갈치국과 갈치회도 즐기고 있다. 갈치속젓은 김치를 담글 때 부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709 감자 *[[감자]]는 탕, 볶음, 조림 등의 요리에 재료로 쓰이며, 고구마와 함께 쪄서 먹는 대표적인 구황작물이다.
710 고구마 줄기 *[[고구마 줄기]]는 여러해살이풀인 고구마의 잎자루이다. *[[고구마 줄기]]는 [[갈치조림]], 병어조림, 고등어조림 등 생선조림과 [[짱뚱어탕]] 등에 넣으면 별미다. 그리고 김치로도 담는다. *삶아서 껍질을 벗긴 후 말려서 오래도록 저장할 수 있다.
711 고봉 *[[고봉|고봉(高峯)]]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인 [[기대승]]의 호이다. 또 다른 호로 ‘존재(存齋)’가 있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712 고봉(高峯) *[[고봉|고봉(高峯)]]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인 [[기대승]]의 호이다. 또다른 호로 ‘존재(存齋)’가 있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713 고봉문집목판 *[[고봉문집목판]]은 조선 중기의 문신 [[고봉]](高峯) [[기대승]]의 시문집 목판이다. 시문집, 강의했던 경전 내용, 동료들의 시문집, 이황과 주고받은 편지글 등 총 474매로 박달나무로 만들었다.
714 고봉집 *[[고봉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시문집이다. [[고봉집]]은 그의 사후 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이 간행한 ≪양선생왕복서≫와 그의 문집인 ≪논사록≫을 선산 부사 조찬한이 1629년에 합쳐서 간행하였다.
715 공공성 *[[공공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경제적 이익과 지역사회의 전체 이익을 실현해야 하며, 최대 출자자 1인의 지분이 30% 미만, 특수관계자 지분의 합이 50% 미만이어야 하고, 법인 전체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반드시 실행해야 하며, 특정 정당 또는 후보를 지지해서는 안 되며, 사업계획 및 운영 방침을 민주적 절차에 의해 스스로 결정하고 일자리 및 소득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는 것이다. &lt;ref&gt;공공성,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716 공동체성 *[[공동체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출자자 개인의 이익과 [[마을기업]] 전체의 이익을 실현해야 하며, 모든 회원이 [[마을기업]](법인)에 자발적으로 출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공동체 일원으로 [[마을기업]]의 계획과 운영에 참여해야 하고, 출자자는 5인(10인 이상 권장) 이상이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lt;ref&gt;공동체성,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717 관현장학재단 *[[관현장학재단|관현장학재단(이사장 최영준)]]은 1980년 5월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이었던 박관현 열사의 정신을 계승하는 추모사업과 장학사업을 펼치고 있는 단체다. 1985년 80년 당시 총학생회 간부들로 구성된 박관현 열사 기념사업회를 모태로 1996년 2월 설립됐다. 1996년부터 관현민주대상 제정, 고 조비오 신부, 지선 스님, 정치개혁시민연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등 민주화를 위해 공헌한 인물과 사회단체를 시상하고 있다. 장학사업도 꾸준히 전개해 매년 장학생을 선발, 85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718 광주 대표 먹거리 *[[광주 대표 먹거리]]는 2019년 광주광역시가 선정한 광주만의 독특한 맛이 담긴 대표 음식을 말한다. 선정된 대표 음식 7개는 주먹밥, 상추튀김, 보리밥, 계절한정식, 오리탕, 육전, 떡갈비로 광주 7미(味)라고도 불린다. 광주광역시는 대표 음식을 선정하기 위해 시민 1,100명을 대상으로 광주 음식에 대해 인식도를 조사했고, 이를 기반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광주 음식 공모전을 실시했다. 공모전에는 3,486명이 참여해 다양한 광주 음식을 추천했고 ’광주 대표 음식 선정위원회’에서 7개를 최종 선정했다.
719 광주 향림사 *[[광주 향림사]]는 서구 치평동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존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현재 광주불교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림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조상경은 1595년 담양 용천사에서 판각되어 인쇄된 초간본으로 국내 3권만 발견된 희귀본이다.
720 광주 황솔촌 *[[광주 황솔촌]]은 광주를 대표하는 숯불돼지갈비 맛집으로 ’[[광주_민속촌|광주 민속촌]]’이라는 상호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상호를 변경하여 ’황솔촌’과 ’1989 민속촌’ 둘로 분리 운영되고 있다.
721 광주5미 *[[광주5미|광주5미]]는 맛의 고장인 광주에서도 손꼽히는 맛있고 특색있는 5가지 음식이다. 무등산 [[보리밥]], 광주 [[김치]], [[송정떡갈비]], 유동 [[오리탕]], 입과 눈이 즐거운 [[한정식]] 등이다.
722 광주광역시 남구청 *[[광주광역시 남구청]]은 남구 관내 17개 동을 담당하는 관공서이다. 10년째 공사가 중단돼 있던 화니백화점 건물을 사들여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2012년, 봉선동에 있던 청사를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남구청은 [[백운동 로터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723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는 광주광역시 내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의미한다. 현재 1호인 ‘증심사삼층석탑’을 비롯해 30여 개가 지정돼 있다. [[고봉문집목판]]은 19호이다.
724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광주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통한 지역순환 경제 실현을 위해 광주광역시 사회적경제활동 지원조례(2013.08.01.)에 근거하여 2016년 8월 출범한 민관거버넌스 기관이다. *[[사회적경제]] 당사자인 광주사회적경제연합회, 광주사회적기업협의회, 협동조합협의회, 마을기업연합회, 자활기업협회 등이 연합하여 지원센터를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책 수립 및 사업 전달체계를 마련했다. &lt;ref&gt;센터 소개,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725 광주세계김치축제 *[[광주세계김치축제]]는 광주광역시에서 열리는 세계 김치 축제로 1994년부터 매년 10월에 [[광주김치타운]]에서 진행된다. 광주광역시가 주최하고 광주세계김치문화축제위원회가 주관하고 있다. *축제에서는 학술토론회가 열리고, 팔도 전통김치, 김치로 만든 음식, 외국 김치, 장아찌·젓갈 등을 전시하고 있다. 그 밖에 다양한 문화예술공연도 열리며, 김치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 행사도 마련되어 있다. *3일 동안의 행사 기간에는 다양한 전라도 [[김치]]를 맛볼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도 있다.
726 광주제1순환로 *[[광주제1순환로]]는 광주광역시를 에워싸고 순환하는 도로이다. 광주광역시를 고리 모양으로 잇는 필문대로, 서암대로, 죽봉대로, 대남대로를 연결한 것이 [[광주제1순환로]]이다. *남광주교차로-조선대학교-산수오거리-서방사거리-전남대학교사거리-신안교-동운고가차도-광천사거리(유스퀘어)-농성광장(농성역)-건강관리협회-주월교차로-백운교차로([[백운동 로터리]])-남광주고가차도-남광주교차로(남광주역)로 연결된다.
727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은 민족 독립을 위해 앞장섰던 학생독립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하고 이를 널리 기리고자 설립된 곳으로 광주광역시 서구 학생독립로 30번지(화정동)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사이버 참배실, 독립운동가의 사진 등 학생독립운동 자료를 모은 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에는 높이 39미터의 학생독립운동기념탑이 있다.
728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은 광주광역시 누문동 광주제일고등학교 교정에 세워져 있다. 광주제일고 동창회가 건립을 결의하고 전국적인 모금을 추진, 1954년 6월 10일 제막됐다. 기념탑은 높이 10.9m, 밑넓이는 8.2m이다. 1층 하단은 일제에 항거하는 남녀학생들의 모습이 청동으로 부조돼 부착되어 있으며, 2층에는 ‘우리는 학생이다. 오직 바른 길만이 우리의 생명이다.’는 글귀가 새겨 있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6호이며, 2002년 11월 국가보훈처에서 현충시설로 지정했다. 광주지역에 있는 3개의 학생독립운동 기념탑중 가장 먼저 세워진 것이다.
729 교자상 *[[교자상|교자상(交子床)]]은 명절날이나 생일날 등에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때 차리는 상을 말한다. 반상은 밥을 주식으로 하고 반찬을 부식의 성격으로 구성하나, 교자상은 주식과 부식의 구분이 없이 여러 가지 음식으로 구성된다. 전래의 교자상은 길이 80∼90㎝, 너비 60㎝ 내외에 높이 35㎝이고, 근래에 만들어진 것은 길이 120㎝, 너비 70㎝에 높이 35㎝ 내외이다. 재료로는 은행나무나 피나무 상판에 소나무나 화류나무로 다리를 만들었다. 재래의 교자상은 크기가 작았으므로 필요시에는 2, 3개를 붙여 사용하였다. &lt;ref&gt;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5558&lt;/ref&gt;
730 군공항 이전 *[[군공항 이전]]은 광주광역시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광주공항]]의 경우 군공항과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 1995년 상무지구가 들어서고 송정동이 커지면서 주민들은 소음문제로 지속적인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전부지 선정이 쉽지 않으면서 논의만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731 금봉미술관 *[[금봉미술관]]은 2015년 [[시화문화마을]]에 개관한 [[시화문화관]] 안에 자리하고 있다. 의제 [[허백련]] 화백의 제자인 금봉 [[박행보]] 화백의 작품과 소장품 3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732 기업성 *[[기업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각종 사업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경제조직이어야 하고, 기업으로서 조직형태는 민법에 따른 법인, 상법에 따른 회사,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른 협동조합, 농어업 경영체법에 따른 영농조합 등 법인이어야 하며, 지속가능(순이익의 10% 이상을 손실금 충당을 위해 적립)해야 하고, 순이익의 30% 이상을 재투자를 위한 유보금으로 적립해야 한다.’라는 것이다. &lt;ref&gt;기업성,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733 기진 *[[기진|기진(奇進, 1487~1555)]]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기대승]]의 아버지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물재(勿齋)이다. 1522년에 진사(進士)가 되고 1527년에 경기전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자녀는 [[기대승]] 말고도 기대림(奇大臨, 1526~1565), 기대절(奇大節, 1529~1567), 기소과(奇小過) 등이 있다.&lt;ref&gt;기진,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A7%84, 위키백과.&lt;/ref&gt;
734 기진의 처 진주 강씨 *[[기진의 처 진주 강씨]]는 [[강영수(姜永壽)의 딸]](1501 ~ 1534)로 [[고봉]] [[기대승]]의 어머니이다. [[기대승]]이 8세 때 사망하였다.
735 나비야청산가자 *[[나비야청산가자]]는 무등산 아래 증심사지구에 위치한 이름난 식당이다. 메뉴는 식사류인 보리밥, 냉면, 수제비, 곤드레밥도 있고, 오리구이, 염소탕, 돼지갈비 등 다양하게 있다. 그중 대표적인 메뉴는 황칠과 여러 약재를 넣어 끓인 ‘황칠닭[[백숙]]이다. *영업시간은 오전 11시 30분부터 저녁 9시까지다.
736 나주평야 *[[나주평야|나주평야(羅州平野)]]는 나주시를 중심으로 광주광역시, 함평군, 영암군 등 영산강 중류 지역 평야를 말한다. 지형이 전반적으로 평탄하고 비옥해 우리나라의 식량창고 역할을 해왔다. 서쪽과 남쪽에 바다를 끼고 있어 해양성 기후의 특성을 나타내어 주곡농업과 원예농업이 발달하였다. 나주평야를 배경으로 나주는 오랫동안 전남의 중심지로 군림하였으며, 영산포는 전남의 곡물을 모아 서울로 보내는 수운의 중심지였다.
737 나주학생운동기념관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역사적 산실인 나주역 충돌사건을 기억하기 위해 구 나주역사 옆에 자리하고 있다. 2008년 7월 개관했으며, 전남지역 식민지 상황과 학생독립운동의 전개과정 등을 보여주는 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최근 충돌의 주인공인 고 박준채 선생이 일제 강점기에 쓴 시들이 발굴돼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구 나주역사는 전라남도 기념물 제183호로 지정됐다.
738 담양떡갈비 *[[담양떡갈비]]는 [[송정떡갈비]]와 함께 원조격으로 유명하다. 610여 년 전 담양으로 유배된 노송당(老松堂) 송희경(宋希璟, 1376~1445)이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양 떡갈비는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소고기만을 사용하여 고기를 다진 후 동그랗고 두툼한 모양으로 만들어 소갈빗대에 붙여 만든다. 소고기를 다지는 것을 반복해서 만들다보니 가정집에서 만들어 먹기엔 쉽지 않다.
739 대창운수 *[[대창운수]]주식회사는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1966년 설립해 운영 중이다. 본사는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있고, 여러 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 *[[대창운수]]는 [[광주_버스]] 중 가장 큰 운송업체로 36개 노선에서 300대가 넘는 차량이 운행 중이다.
740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 *[[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대한민국축제콘텐츠대상]]은 전국의 우수축제를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사)한국축제콘텐츠협회가 제정한 상이다. 지난 2013년 시작돼 매년 열리고 있으며, 광주광역시 동구 [[추억의_충장축제|추억의 충장축제]]는 이 시상식에서 6회 연속 콘텐츠 부문 대상을 받았다.
741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광주공항]]에서 국내선을 운행하는 항공사이다. 1962년 설립한 한진그룹 계열의 민간항공사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항공사이다.
742 동네책방 숨 *[[동네책방_숨|동네책방 숨]]은 2015년 12월 개업한 동네책방이다. 광주광역시 수완지구에 위치하여 북카페와 도서관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사회를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을 담은 북큐레이션이 특징으로, [[책_미리내]] 코너는 선물하고 싶은 책을 미리 구입해 책방에 맡겨두면 예쁜 손글씨와 함께 책을 전달해준다. *2022년 10월부터 [[수완에너지전환마을거점센터]]로 활동 중이다. 서점 한 켠에서 [[제로웨이스트샵]] [[이로운_공간|이로운 공간]] 2호점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출판문화사업진흥원 주관 ’2022년 지역서점 문화활동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작가와 시민이 만나 소통할 수 있는 북토크 등의 행사를 하고 있다.
743 동명동 카페거리 *[[동명동 카페거리|동명동 카페거리]]는 광주의 가로수길로 불리는 떠오르는 명소다. 100여 곳의 개성 있는 카페들이 들어서 있으며, 유기농 차를 즐기는 전통카페, 책과 함께하는 북카페, 직접 볶은 커피콩으로 커피를 내리는 카페 등 다양한 먹거리, 즐길거리가 있다. 구도심의 중심지답게 구 금호문화재단, 광주 최초 호텔인 동명호텔 터,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인 서석초등학교 등이 있어 광주의 근현대사도 살짝 들여다볼 수 있다.
744 매일송정역전시장 *[[매일송정역전시장]]은 [[1913년]] 호남선 중 목포와 송정리 구간이 개통되며 문을 열었다. 최근에 103년의 역사를 강조하고, 쇠락해가는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 이름을 ‘[[1913송정역시장]]’으로 바꿨다.
745 멸치젓 *[[멸치젓]]은 멸치를 소금에 절여 삭힌 젓갈이다. 주로 김치를 담글 때 사용하며, 양념을 해 밑반찬으로 먹기도 한다. *전라도에선 김치를 담글 때 주로 [[멸치젓]]을 넣는다. *[[멸치젓]]은 추자도의 특산물이기도 하다.
746 모밀국수 *[[모밀국수]]는 ‘메밀국수’의 방언으로 메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말한다. 국물을 차갑게 하여 만든 냉모밀, 따뜻한 국물로 만들 온모밀, 국물 없이 장국에 적셔 먹는 [[마른모밀]] 등이 있다.
747 *[[무]]는 배추와 함께 대표적인 김장 채소다. 깍두기·무말랭이·단무지뿐만 아니라 조림, 탕, 찌개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이용된다. *[[무]]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아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748 무안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은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2007년 11월에 개항하였으며, [[광주공항]]과 목포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008년 무안광주고속도록가 개통되면서 국제선 노선이 모두 이관하며 국제공항으로써 온전한 위상을 갖게 되었다.
749 묵암정사 *[[묵암정사|묵암정사(墨菴精舍)]]는 맏형격인 [[만귀정]]과 [[습향각]]과 함께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묵암정사]]는 ‘[[만귀]] [[장창우]]’의 후손으로 송정읍장을 지낸 [[장안섭]]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1960년 광산 군민이 성금을 모아 건립했다. *[[묵암정사]] 뒤로 대나무가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조선 시대 문인들이 살아 돌아와 금방이라도 시를 읊을 거 같은 느낌을 선사한다.
750 미더덕 *[[미더덕]]은 미더덕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물에 사는 더덕과 닮은 것이라고 해서 [[미더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멍게와 유사하며, 크기는 좀 작다. 우리나라의 삼면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며 식용으로 사용한다. 향이 독특하고 씹히는 소리와 느낌이 좋아 여러 요리에 사용되며, 진해만을 중심으로 남해안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lt;ref&gt;미더덕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
751 미송가 *[[미송가]]는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패밀린랜드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갈치조림]] 맛집이다. 40년 주방 경력의 사장님이 운영하는 곳이다. *당일 공수한 목포 먹갈치에 무와 감자, 그리고 고구마 줄기 한가득은 [[미송가]]의 자랑, 양념이 깊이 밴 고구마 줄기는 없던 입맛도 돌게 한다. 거기에 정갈하게 담아낸 밑반찬까지 집밥 분위기를 오롯이 느끼게 한다.
752 민족민주대성회 *[[민족민주대성회|민족민주대성회]]는 1980년 5월 14일부터 5월 16일까지 [[옛_전남도청|옛 전남도청]] 앞 분수대 일원, 현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범시민대회를 말한다. 박관현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비롯 많은 학생 시민들이 연단에 나와 민주화를 주장했다. 3일째는 날 마지막 행사는 횃불시위로 도청을 출발, 광주 시내를 행진했으며, 경찰과 사전 합의로 충돌없이 마무리되었다. [[민족민주대성회]]는 1980년 5월 14일부터 5월 16일까지 구 전남도청 앞 분수대 일원에서 열린 범시민대회를 말한다. 박관현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비롯 많은 학생 시민들이 연단에 나와 민주화를 주장했다. 3일째는 날 마지막 행사는 횃불시위로 도청을 출발, 광주 시내를 행진했으며, 경찰과 사전 합의로 충돌없이 마무리되었다.
753 백기완 *[[백기완|백기완(白基琓, 1932~2021)]]은 한국의 정치가, 사회운동가, 시인, 소설가이다. 농민, 빈민, 통일, 민주화운동 등 한국 사회운동 전반에 참여했다. 1974년 ‘유신 반대를 위한 1백만인 서명운동’을 주도하다 긴급조치 위반으로 투옥됐으며, 1979년 ‘YWCA 위장결혼 사건’, 1986년 ‘부천 권인숙양 성고문 폭로 대회’를 주도한 혐의로 옥고를 치렀다. 소설 『장산곳매 이야기』를 썼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의 원작인 옥중시 ’묏비나리‘를 지었다.
754 누룽지백숙 *[[백숙]]은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누룽지백숙]]은 누룽지와 닭으로 만드는 백숙이다. [[누룽지백숙]]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솥 바닥에 불린 찹쌀을 깔고 그 위에 닭과 각종 재료를 올려 끓이면 바닥에 깐 찹쌀이 자연스레 눌어붙어 [[백숙]]이 된다. 또다른 방법은 불린 찹쌀을 팬에 올려 약불에 누룽지를 만든 다음, 그 위에 닭과 각종 재료를 올려 끓이 방법이다.
755 백운고가 지하도로 *[[백운고가_지하도로|지하도로]]는 땅속에 사람이나 차가 다닐 수 있도록 굴을 파서 만든 길을 말한다. *[[백운동_로터리]]에 있던 [[백운고가]]가 철거되며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756 도시재생 뉴딜사업 *[[백운동 로터리]] 주변 지역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돼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문재인정부의 국책사업으로 동네를 완전히 철거하는 재건축•재개발의 도시 정비사업과 달리 기존 모습을 유지하며 노후 주거지와 쇠퇴한 구도심을 지역 주도로 활성화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만드는 국가적 도시혁신 사업이다. 사업 유형으로는 면적 규모에 따라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정비지원형,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경제기반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lt;ref&gt;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
757 버스준공영제 *[[버스준공영제]]란 운송업체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버스 운영은 업체가 제공하고, 재원과 관리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2004년 서울에서 처음 시행된 후, 광주광역시는 2006년 12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758 베르나르 츄미 *[[베르나르 츄미]]는 1944년 스위스 로잔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자라고 영국에서 전공 교육을 받은 건축가이다. 현대 [[폴리]] 건축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1983년 프랑스에서 파리 서북부에 있는 라 빌레트 공원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작품을 공모했었다. 이에 전 세계에서 약 400여 작품이 응모했는데 그중에서 [[베르나르 츄미]]가 1등으로 뽑혔다. 드디어 ’폴리’ 컨셉인 그의 설계 작품이 새로운 모습의 공원으로 재탄생하였고, 이때부터 세계 건축가들 사이에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그의 대표작 라 빌레트 공원에는 강렬한 레드를 사용하여 공원 곳곳에 다양한 모양의 여러 조형물, 건축물들이 세워져 있다. 그가 만든 ’폴리’들은 보는 이에 따라서 조금은 무질서하고, 조금은 균형이 맞지 않아 불안정해 보이고, 때로는 왜 저 조형물을 여기에 만들었나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엉뚱하고 낯설었던 ’폴리’들을 거느린 라 빌레트 공원은 차츰 파리에서도 특유의 강렬한 개성을 보여주는 지역 명소가 되어갔다.
759 복날 *[[복날]]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 가장 더울 때를 가리키는데, 초복, 중복, 말복을 말한다. 그래서 삼복(三伏)이라고 한다. *[[복날]]은 한창 더울 때라 보신을 위해 [[백숙]], [[삼계탕]], 보신탕 등 보양식을 찾아 먹는 풍습이 있다.
760 비타민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없으며 음식에서 섭취해야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비타민]]은 생선, 채소, 과일 등 다양한 음식에서 섭취할 수 있으며, 태양빛을 받으면 생성되기도 한다.
761 빙월당 *[[빙월당|빙월당(氷月堂)]]은 [[월봉서원]]의 주강당으로 조선 전기의 문신인 기대승(1527∼1572)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빙월’이라는 이름은 정조가 하사했다고 전해진다. *현재 이곳에는 1980년 새로 세운 사당과 고봉 선생의 저서를 보관하고 있는 장판각, 내·외삼문이 서쪽을 바라보며 서 있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9호로 지정돼 있다.
762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사회적경제(社會的經濟)]]란 공공의 이익을 우선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을 말합니다. 사회적경제가 추구하는 이념은 공동체의 보편적 이익 실현, 사회 및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주적인 의사 결정입니다. ​이 이념을 실현하는 조직이 사회적경제기업인데,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이 이에 속합니다.
763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사회적기업(社會的企業)]]이란 [[사회적경제]] 유형 중 하나로 취약계층에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재화 판매 등의 수익 창출 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사회적인 목적도 추구하면서 수익창출을 위한 다양한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비영리조직과 영리조직의 중간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764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사회적협동조합 살림]]은 ’광주권역 [[사회적경제]]([[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통합지원센터’이다. 2017년 2월, &lt;(사)광주NGO시민재단 사회경제센터&gt;가 &lt;[[사회적협동조합 살림]]&gt;으로 분리해 출범했다. [[사회적협동조합 살림]]은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장을 이끌고, 나눔과 연대, 협동의 공동체를 만드는 ’사람 중심의 경제’를 지원하고 있다.
765 상무대로 *[[상무대로]](광송간도로)는 1980년대 후반 광주시에 편입된 송정동과 도심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도로로 광산구 월전동에 있는 송정1교 삼거리에서 북구 임동오거리까지 이어지는 광주를 동서로 통과하는 약 12km의 왕복 6~8차로 도로이다. 광주와 송정리를 이어주는 도로여서 별칭이 ‘광송간도로’이다. *[[상무대로]] 주변으로 [[광주송정역]], [[광주공항]], 김대중컨벤션센터, 운천저수지, 국군통합병원, 농성역, 양동시장 등 주요 장소와 시설이 위치해 있고, 광주지하철 1호선과 연결되며 광주의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766 서창나루 *[[서창나루]]는 조선 시대의 기록에는 ’극락진’이라 나온다. 서창교 밑에는 조선 시대 곡식을 운반하던 [[서창나루]]가 복원되어 있다.
767 서창동 *[[서창동|서창동(西倉洞)]]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때 이곳에 세곡(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을 수납하는 창고인 서창이 있었던 데서 비롯했다. 법정동 이름은 세하동(細河洞)이다. *[[서창동]]엔 [[서구8경]] 중 하나인 [[서창들녘 낙조]], 가을에는 [[서창들녘 억새축제]], 그리고 옛이야기를 담고 있는 [[서창나루]] 등 자랑스러운 문화자원이 많다.
768 서창들녘 낙조 *[[서창들녘 낙조]]는 [[서구8경]] 중 4경이다. [[서창나루]], 서창향토마을, [[서창나루]] 어디에서 보아도 서창들녘과 영산강을 물들이는 석양은 너무나 아름답다. 전망대가 설치돼 있다.
769 서창들녘 억새축제 *[[서창들녘 억새축제]] 눈부신 하늘 아래 은빛 억새가 하늘거릴 즈음, 영산강 서창들녘에서는 삶에 지친 도시민이 가을 정취를 느끼고 치유할 수 있는 억새축제가 열린다. 벽진나루에서 [[서창나루]]까지 3.5km에 이르는 드넓은 억새밭에서 펼쳐지는 서창들녘 억새축제는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생태환경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이다. 축제 기간 억새길 걷기, 생태 배움터, 전기차 억새여행, 솟대 만들기, 생태환경 사랑자전거 등 체험프로그램과 다양한 공연이 펼쳐진다. 서창들녘 억새축제는 [[서창만드리풍년제]]와 함께 지역의 대표적인 축제이다.
770 서창한옥문화관 *[[서창한옥문화관]]은 전통문화와 농촌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에 대한 의미를 알리는 곳이다. 연중 전통문화강좌, 민속놀이, 예절학당, 한옥스테이, 농촌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7월 말 [[서창만드리풍년제]]가 열리면 한복 입기, 떡메치기, 먹거리장터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리는 곳이기도 한다.
771 선동열 *[[선동열|선동열(1963년생)]]은 [[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으로 한국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로 활동했다. 해태 타이거즈 시절 슬라이더를 주무기로 하는 주전 투수로서 상대를 압도하며, 6차례 우승에 기여했다. 1986년, 1989년~1990년 KBO 정규 시즌 MVP로 선정되었으며, 1986년, 1988년~1991년, 1993년 KBO 골든 글러브 수상 등 화려한 경력을 보였다. 34살의 나이에 일본 프로야구에 진출 세이브 1위를 차지하는 맹활약을 보였다.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와 기아 타이거즈 감독을 지냈으며,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별명은 국보투수, 무등산 폭격기, 나고야의 태양 등이다.
772 소고기와 돼지고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세계 모든 이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식재료이다.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은 구이이며, 조림, 찌개 등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육식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나며 최근엔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773 소통의 오두막 *[[소통의_오두막|소통의 오두막]]은 장동로터리에 설치된 광주 1차 [[광주폴리|폴리]](Folly) 프로젝트의 하나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작품의 작가인 후안 헤레로스는 장동사거리의 교통섬을 작지만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공원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기대하며 이곳을 제안했다. 작품은 나무, 철, 콘크리트가 어우러진 유기적 형태의 조형물로, 낮에는 조형물, 밤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비추어 주는 조명역할을 하기도 한다. 작가는 소쇄원과 한옥의 굴뚝 이미지에서 영감을 얻어 자연과의 공존과 열린 공간에 중점을 두고, 나무 윤곽이 가지는 패턴을 차용했다고 말했다.
774 송정5일장 *[[송정5일장]]은 [[1913_송정역시장]], [[송정매일시장]]과 함께 [[송정삼색시장]] 중 하나이다. [[송정매일시장]]과 인접해 있다. *매월 끝자리가 3일과 5일인 날이 장날이며, 나주, 함평 등지에서 많은 사람이 장을 보러 온다.
775 뼈 국물 *[[송정떡갈비]]를 먹을 때 먼저 제공되는 것이 [[뼈 국물]]이다. 이곳의 [[뼈 국물]]은 돼지 뼈와 다시마, 무 등을 넣고 오랫동안 끓여 담백하면서도 시원한 게 특징이다. *[[뼈 국물]] 일명 ’뼛국’ 때문에 [[송정떡갈비]] 찾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776 송정매일시장 *[[송정매일시장]]은 [[1913 송정역시장]], [[송정5일장]]과 함께 [[송정삼색시장]] 중 하나이다. [[송정5일장]]과 인접해 있다. *국밥이 유명하며, 인근에 [[송정떡갈비거리]]가 있다.
777 송정삼색시장 *[[송정삼색시장]]은 [[송정매일시장]]과 [[송정5일장]], [[1913송정역시장]]이 합쳐진 것으로 3가지 색깔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시장이다. [[광주송정역]] 근처에 자리 잡은 세 시장은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창작요리 공모전’, ‘가요제’, ‘플리마켓’, ‘야시장’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시장 활성화를 꽤하고 있다.
778 숭덕사 *[[숭덕사|숭덕사(崇德詞)]]는 [[고봉]](高峯) [[기대승]]을 배향하는 [[월봉서원]]의 최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사당이다. 매년 3월과 9월에 춘, 추향 사제를 지내고 있다.
779 습향각 *[[습향각|습향각(襲香閣)]]은 만귀 [[장창우]]의 7대 후손인 장창섭이 지은 정자로 [[만귀정]]의 아우 정자라 할 수 있다. 습향의 ’꽃향기가 엄습해 온다.’라는 뜻 그대로 주변의 많은 꽃이 보는 이들을 취하게 한다. 습향각에는 친일 반민족 행위자로 기록된 신철균과 남계룡의 시문이 걸려있고, 이들의 친일행위를 기록한 단죄문도 세워져 있어 묘한 기분을 들게 한다.
780 승효상 *[[승효상|승효상]]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김수근의 공간연구소에서 15년간 근무했다. 1989년 건축사무소 이로재를 설립, 한국 건축의 새로운 담론을 주도했다. 파주 출판도시 프로젝트 코디네이터로 참여했고, 2002년 건축가로는 처음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이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로 선정됐다. 2011년 광주비엔날레 공동감독을 지냈다. 주요 작품으로는 수졸당, 노무현대통령 묘역, 하양 무학로교회, 제정구 케뮤니티 센터, 노무현대통령 기념관 등이 있다.
781 시래기 *[[시래기]]는 푸른 무청을 말린 것을 말한다. 새끼 따위로 엮어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요리에 활용한다.
782 시화문화관 *[[시화문화관]]은 2015년 [[시화문화마을]] 안에 개관했다. [[금봉미술관]], 커뮤니티센터, [[시화마을_작은_도서관]], 열린카페 등이 들어서 있다.
783 신촌동 *[[신촌동]]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은 신흥동이다. 농촌지역이 많으며, [[광주공항]]이 있다.
784 아귀 *[[아귀|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한다.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 남부, 남해, 동해 남부에 서식한다. 몸과 머리가 납작하고, 몸 전체의 2/3가 머리 부분이며, 입이 매우 크다. 인천 지역에서는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물텀벙]]’이라 불리고 있다. *아구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있어 피부 미용에 좋고, 지방이 없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소화가 잘 되는 담백한 생선으로 주로 아구탕과 [[아구찜]]은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다.
785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은 [[광주공항]]에서 국내선을 운행하는 항공사이다. 1988년 설립한 금호아시아나그룹 계열의 항공운송업체이다. 1988년 서울항공(주)으로 설립하였고, 1997년 지금의 상호로 변경하였다.*국내외 항공운송뿐만 아니라 항공기 제조 및 정비, 수리 등의 사업도 한다.
786 양동 복개상가 *[[양동 복개상가|복개상가]]는 [[양동시장]]과 골목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자리하고 있는 상가로 1971년 광주천을 복개한 곳에 건물을 짓고 개설한 시장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 중부 이남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했지만 전문 매장들이 곳곳에 들어서면서 위기를 맞고 있지만 제작과 판매를 겸하고 있어서 여전히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의류, 가구, 침구 및 수예, 신발, 가방 등 약 300여 개의 점포가 운영 중이다.
787 어쩌다토종닭 *[[어쩌다토종닭]] 서구 쌍촌동 있는 맛집으로 닭요리만 판매한다. 이곳의 [[백숙]]은 살아 있는 전복과 다양한 버섯을 올려 끓여내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인지 국물맛이 깔끔하다. 남으면 포장도 된다. *영업시간은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이며, 주 5일만 영업한다. 월, 화는 정기휴무다.
788 염주동 *[[염주동]]은 법정도도 아니고, 행정동도 아니다. [[염주동]]의 행정동은 화정2동이다. *[[염주동]]의 유래로 두 가지 정도 전해진다. 하나는 불교와 관련되어 동네 모습이 염주를 닮은 데서 유래한다, 또 하나는 큰 마을을 의미하는 ‘밝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 [[염주동]]으로 인해 생긴 명칭이 [[염주사거리]], [[염주초등학교]], [[염주동성당]], [[염주종합체육관]] 등이다.
789 염주먹자골목 *[[염주먹자골목]]은 [[염주사거리]] 근처에 있는 [[화정4동행정복지센터]] 좌우와 뒤쪽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젊은층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세대가 이용할 수 있는 맛집이 분포되어 있다.
790 온고당 *[[온고당]]은 매월동 아름다운 곳에 위치한 한정식집이다. 돼지불고기, 보리굴비정식, 쌈밥 등이 있는데, 으뜸은 [[갈치조림]]이다. [[온고당]] [[갈치조림]]엔 감자뿐만 아니라, 각종 나물과 파절이도 들어 있다. *[[온고당]]은 어떤 음식을 주문하던지 한상차림이 나온다. 쌈과 젓갈, 튀김, 생선구이, 나물 등 정갈하게 차려진 한상은 그야말로 건강한 밥상이다.
791 용아생가 *[[용아생가]]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46번길 24(소촌동)에 있다. [[1913송정역시장]]과 가까운 곳에 있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돼 있다. *용아 [[박용철]](1904∼1938) 선생은 우리나라 현대 문학의 개척자 중 한 사람으로 초창기 시단을 빛낸 시인이다. 대표작으로 ‘떠나가는 배’가 있다.
792 우시장 *[[우시장]]은 옛날부터 소를 거래했던 시장이다. ’쇠전’이라고도 부른다.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열리고 있고, 외국도 마찬가지다. 주로 주막 거리가 가까운 위치에서 열리며 그곳 주막에 좋은 고기 재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기업형 묵축업이 늘어나면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지만 예전 농부들은 소가 정말 긴요한 재산이었기 때문에, 아주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우시장에 소를 팔러 가지 않았다. 그러나, 자식 학비가 필요할 때, 결혼시킬 때, 집을 장만해줄 때 애지중지 키우던 소를 끌고 더러는 몇 십 리를 걸어서 우시장을 갔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은 가난한 농민들이 그나마 목돈을 만질 수 있는 곳이었고 근처 주막 거리에서 자식 같은 소를 판 헛헛함을 술로 달래는 곳이었다.
793 4.19 혁명의 빛 *[[우제길]] 화백이 4·19혁명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4.19민주혁명역사관]]에 기증한 그림이다. 1960년 4.19혁명 당시 수많은 학생들이 “독재 정권 타도, 부정 선거 규탄”을 외치며 광주 도청 앞 광장으로 운집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794 월드컵4강로 *[[월드컵4강로]]는 [[염주종합체육관]]에서 [[염주사거리]]를 지나 서구 내방동 기아자동차공장 서문이 맞닿는 무진대로까지 이어주는 2.9km의 도로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한국의 4강 진출 신화를 기념하기 위해 붙여진 도로명이다.
795 윤상원 열사 생가 *[[윤상원 열사 생가]]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천동길 46(신룡동)에 있으며,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했던 [[윤상원]] 열사를 기리는 공간이다. *[[1913송정역시장]]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어 쉽게 가볼 수 있는 곳이다.
796 이종범 *[[이종범|이종범(1970년생)]]은 공격, 수비, 주루 3박자를 고루 갖춘 뛰어난 선수로 야구천재로 불렸다. 해태 타이거즈의 93년, 96년~97년 과 기아 인수 후 09년 우승 등 4차례의 우승을 견인했다. 정규시즌 MVP 1회, 한국시리즈 MVP 2회, 골든글러브 6회 수상하며 시대를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과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야구대표팀 주장으로 참가했다. 현역시절 뛰어난 주루 능력으로 ‘바람의 아들’로 불렸으며, 그의 아들 이정후는 ‘바람의 손자’라 불린다. 은퇴 후 한화이글스, LG트윈스 등에서 코치를 지냈으며, 야구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현재는 LG트윈스 2군 감독을 맡고 있다.
797 이황 *[[이황|이황(李滉)]](1502년~157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율곡 이이와 함께 조선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고봉]](高峯) [[기대승]]의 스승 같은 존재이자 문인으로 그와 편지로 주고받은 ‘[[사단칠정논쟁]]’이 유명하다.
798 자활기업 *[[자활기업|자활기업(自活企業)]]이란 [[사회적경제]] 유형 중 하나로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을 통해 습득된 기술을 바탕으로 1인 혹은 2인 이상의 수급자 또는 저소득층 주민들이 생산자협동조합이나 공동사업자 형태로 창업하여 운영하는 기업을 말한다. 자활기업의 종류에는 광역자활기업과 전국자활기업이 있고, 자활기업에 선정되면 창업자금, 자활을 위한 사업자금, 사업개발비, 자활기금을 활용한 전세점포 임대, 국·공유지 우선 임대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799 장재성 *[[장재성|장재성(張載性,1908~1950)]]은 광주고등보통학교(현 광주제일고등학교 전신) 졸업생으로 재학중 독서회의 모태인 성진회에 가입, 주도했다. 일본 유학 중 모교에서 학생동맹휴학 사건이 발생하자 1928년 귀국, 학생운동을 지도했으며, 다음해 11월 대대적인 항일학생시위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이 발생하자 광주학생을 지도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 사건으로 징역 4년을 선고받았고, 이후에도 항일운동을 벌이다 수차례 검거당했다.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전남지부 조직부장 등을 역임했다.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동하며, 3차례 38선 이북을 왕래하다 1948년 검거돼, 광주형무소에서 복역하다 1950년 7월 사살당했다.
800 장창우 *[[장창우]]는 남원 출신으로 광주로 이주해 와 서구 세하동에 자리를 잡고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1750년경 [[만귀정]]을 지었다. *호는 [[만귀]](晩歸)이다.
801 장판각 *[[장판각|장판각(藏板閣)]]은 [[월봉서원]] 내 자료를 보관하는 부속건물로 [[빙월당]] 좌, 우측에 두 동이 있다. 이곳에는 고봉선생 문집 11권의 판각 474매와 충신당, 명성재, 존성재, 유영루 등의 현판이 보관되어 있다.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802 조형물 피어나다 *[[전남대학교]] [[5.18민주공원]]에 설치된 상징조형물이다.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얻은 숭고한 광주정신 ‘민주·인권·평화’의 가치가 3개의 꽃잎으로 피어나는 순간을 조형화했다.
803 관현로 *[[전남대학교]] 정문에서 용봉탑까지 이어지는 메타세콰이어길. [[박관현]] 열사를 잊지 말고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관현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804 전남대학교 민주길 "*[[전남대학교_민주길]]은 [[전남대학교]]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조성한 길이다. 2020년 5월 18일 오전 1시 30분 열림식을 가졌다.
*교내 민주화 운동의 정신, 인물, 장소들의 기념공간을 정비하고, 이들을 하나로 잇는 둘레길 같은 문화공원 개념이다.
*[[전남대학교_민주길]]은 [[전남대학교]]에 산재한 11개의 기념공간을 3개의 노선으로 연결하고, 세 곳의 공간으로 나눠 구성했다."
805 금남로 245 *[[전일빌딩]]에서 245개의 탄흔이 확인되기 수년 전, 건물을 도로명 주소로 재정비할 당시, 지번 주소로 ’광주 동구 금남로 1가 1번지’였던 전일빌딩의 도로명 주소가 ’광주 동구 금남로 245’로 지정되었다. 7년 뒤, 공교롭게도 전일빌딩의 리모델링 과정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현장 조사 결과 발견된 탄흔 또한 245개였다. 발견된 탄흔의 수와 전일빌딩의 도로명 주소인 금남로 245가 일치하면서 [[전일빌딩245]]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름이 확정된 뒤, 탄흔 25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탄 흔적은 모두 270개로 늘어났지만, 최초 발견된 탄흔 숫자로 정한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다.
806 광주콘텐츠허브 *[[전일빌딩245]] 건물 5~7층에 조성된 공간이다. 광주 미래먹거리인 문화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문화콘텐츠 창작기업이 입주해있다.
807 전일마루 *[[전일빌딩245]] 건물 옥상에 조성된 휴게공간이다. 이곳은 [[금남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광주 전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808 5.18기념공간 *[[전일빌딩245]]의 9층, 10층에 조성된 공간으로 [[5.18민주화운동]] 관련 전시와 원형 보존된 총탄 흔적을 볼 수 있다.
809 젓갈 *[[젓갈]]은 그냥 ‘젓’이라고도 하며, 살, 알, 창자 등을 소금 또는 소금기가 있는 양념에 절여 삭힌 저장 식품이다. 우리나라는 젓갈 천국이라고 할 정도로 젓갈의 종류가 다양하다. 지역에 따라, 재료에 따라, 만드는 방법에 따라 그 종류만 수십 가지가 된다.
810 팔로군 행진곡 *[[정율성]]에 의해 창작된 ’팔로군 행진곡’은 1939년 작사가 공목과 함께 중국의 항일 근거지인 연안(延安)에서 당시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는 팔로군들의 기세를 복돋아주기 위하여 창작되었다. ’팔로군 행진곡’은 ’팔로군 대합창’모음곡 중 하나의 속곡으로서 해방 이후, 중국 정부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군가’로 채택될 만큼 영향력 있는 항일 음악 작품으로 간주되었으며, 현재 중국의 초·중학교 음악교과서에도 수록되어 학생들의 역사의식 제고를 위하여 가르치고 있다. ’팔로군 행진곡’은 역사적·사회적·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한·중 양국 간의 문화예술 교류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있어 매우 큰 의미가 있다.
811 연안송 *[[정율성]]의 위대한 걸작으로 불리는 ’연안송’은 중국항일투쟁 당시 전 중국인민들의 대일 항전에 대한 필승의 결심과 믿음을 찬양하는 곡으로 지난 1990년에는 20세기 중국음악의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서정적이면서도 웅장한 느낌으로 감동을 주는 이 노래는 당시 중국 전역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우리의 "아리랑"처럼 널리 애창되었다. 항일과 혁명을 위해 천리 만리 먼 길을 걸어 연안에 모인 젊은이들의 혁명에 대한 열정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는 ’연안송’은 당시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서 악보로 만들어 중국 전역으로 보급했을 만큼 그 영향력이 컸다.
812 제1전투비행단 *[[제1전투비행단]]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공군공중전투사령부 예하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 호남 유일의 대한민국 공군 비행단이다.&lt;ref&gt;제1전투비해안, https://namu.wiki/w/%EC%A0%9C1%EC%A0%84%ED%88%AC%EB%B9%84%ED%96%89%EB%8B%A8.나무위키.&lt;/ref&gt; *[[광주공항]]과 함께 있어 소음 문제로 이전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813 지선버스 *[[지선버스]]는 간선버스와는 달리 원거리를 운행하지 않으며, 간선버스의 역할을 보완하고 특정 지역 내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형태이다.&lt;ref&gt;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
814 지역성 *[[지역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설립·운영되어야 하고, 지역주민이 자발적 참여로 주도하여 지역에 소재하는 자원을 활용하여 사업해야 하며, 출자자(회원)의 70% 이상, 고용인력의 70% 이상은 지역주민이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lt;ref&gt;지역성,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815 지하도로 *[[지하도로]]는 땅속에 사람이나 차가 다닐 수 있도록 굴을 파서 만든 길을 말한다. *[[백운동 로터리]]에 있던 [[백운고가]]가 철거되며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816 진다리 *[[진다리|진다리]]는 백운동의 옛 이름이다. 백운동은 주월동과 봉선동에서 내려오는 시냇물이 모이는 자리로 지대가 낮아 조금만 비가 와도 일대가 질퍽해졌다. 이로 인해 한때 이곳에서는 “부인없이는 살아도 장화없이는 못산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고 한다. 조광철 광주시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질퍽한 들을 말하는 전라도 방언 ‘진들’이 ‘진다리’로 변했다고 말한다.
817 진웨어 *[[진에어]]는 [[광주공항]]에서 국내선을 운행하는 항공사이다. *[[진에어]](Jin Air)는 2008년, [[대한항공]]이 출자해 설립한 한진그룹 소속 저비용항공사이다. 국내선뿐만 아니라 국외노선도 운항 중이다. *이름에 맞게 승무원들이 청바지를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818 진혼무 이삼헌 *[[진혼무_이삼헌|진혼무]]는 [[이삼헌]]가 시위현장에서 추는, 희생자의 혼을 위로하는 춤이다. 발레와 전통 한국춤이 한민족 특유의 한의 정서와 융합되면서 독특한 창작무의 경지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삼헌]]은 2014년 프랑스에서 열린 세계샤먼축제에 [[진혼무_이삼헌|진혼무]]를 추는 한국 전통무용가로 초대받았다.
819 짱뚱어 *[[짱뚱어]]는 농어목 망둑어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짱뚱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아 ‘갯벌 위의 소고기’라고도 불린다.
820 철목어 *[[철목어]]는 ‘자산어보’에서 [[짱뚱어]]가 빛깔이 검고 눈은 볼록하게 튀어나왔다고 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821 청미장 *[[청미장|청미장(淸美莊)]]은 한국전쟁 직후 광주시 동구 황금동 뒷골목 초가집에서 문을 연 [[한정식]] 식당이다. 술상과 밥상을 겸한 교자상을 가득 채운 풍성한 음식으로 인기를 얻었다. 『광주1백년』 저자 박선홍 선생에 따르면 청미장의 주인은 이옥경으로 호남은행 대표 현준호 누이의 딸이다. 전남 연해안에서 나는 맛좋은 해산물 요리 특히 젓갈이 유명했다.
822 김용현 *[[청원모밀]]은 창업주 [[김용현]] 씨가 1960년 충장로 4가 화니백화점 앞에 ‘[[청원식당]]’을 개업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2년 85세의 나이로 작고했으며 현재는 둘째 며느리 주영희 씨가 전통을 이어받아 운영 중이다. &lt;ref&gt;"광주 맛집을 찾아서!...충장로, 상무지구 직영점을 둔 [[1960백선청원모밀]]", https://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
823 청원식당 *[[청원식당]]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식당인 ’[[1960백선청원모밀]]’의 옛 이름이다.
824 초피가루 *[[초피가루]]는 초피나무 열매의 껍질을 말려 가루를 낸 것이다. 남부지역에서는 ‘제피’, ‘젠피’라고도 한다. *초피나무는 산초나무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향도 비슷하다. *[[초피가루]]는 추어탕, [[짱뚱어탕]] 등에 넣어 잡내를 잡지만, 독특한 향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825 최처자 *[[최처자]] 할머니는 [[송정떡갈비]]를 최초로 개발한 분이다. 1950년대, [[송정5일장]]에서 이가 좋지 않은 시댁 어른들을 위해 탁자와 의자를 놓고 [[송정떡갈비]]를 팔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하나둘 떡갈비 식당이 생겨나더니 지금의 떡갈비거리가 형성됐다.
826 충장 퍼레이드 *[[충장 퍼레이드]]는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다. 전국에서 모인 학교, 기업, 동아리 단위의 팀들이 각자의 개성을 살린 콘셉트로 거리를 행진을 하며 관람객의 이목을 사로잡는다.
827 취석과 성석 *[[취석과_성석|취석과 성석]]은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가는 길 축대 밑에 네모 반듯한 직사각형의 돌로 마치 제단처럼 놓여 있다. 돌 앞면에는 취석(醉石), 반대편에는 성석(醒石)이라 새겨져 있다. 뜻을 헤아려 보자면 다리를 건너갈 때는 꽃 향기에 취해 ’신선의 세계’로 가고 나올 때는 향기에서 깨어나 ’현실의 세계’로 돌아오라는 의미라고 한다.
828 코끼리아구찜 *[[코끼리아구찜]]은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에 있는 [[아구찜]] 맛집이다. [[아구찜]], 꽃게찜, 아구탕, 해물찜 등을 판다.
829 콜박스 접대부 *[[콜박스_접대부]]는 [[콜박스사거리]]라는 이름을 있게 한 시작이다. 과거 [[콜박스사거리]] 주변은 유흥업소가 많았다. 주변을 지나는 취객을 대상으로 호객행위를 한 것에서 ’콜박스’라는 명칭이 유래했다. *[[콜박스_접대부]]들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부상을 입은 시민군들이 피가 부족하자 자발적으로 나서서 헌혈을 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830 조성룡 *[[콜박스사거리]]에 ‘기억의 현재화’라는 작품을 설치한 건축가 [[조성룡]] 씨는 1944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해방 후 귀국해 건축을 공부했다. *주요 작품으로 아시아선수촌아파트, 의재미술관, 올림픽공원 소마미술관, 서울어린이대공원 꿈마루 등이 있으며, 대한건축사협회 작품전 대상, 한국건축가협회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 서울시 올해의 건축가상 등을 수상했다.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폴리’ 프로젝트에 참여해 광주읍성을 되살리는 작업의 일환으로 [[콜박스사거리]]에 ‘기억의 현재화’라는 설치작품을 기획, 설치했다.
831 콩나물 *[[콩나물]]은 콩을 시루 같은 구멍이 있는 그릇에 담아 그늘에 두고 물을 주어 뿌리를 내리게 하여 먹는 식품이다. *국을 끓여 먹거나, 데쳐서 나물을 해 먹고, 특히 [[아구찜]], [[해물찜]] 등에 넣으면 별미를 즐길 수 있다.
832 탱고아구찜 *[[탱고아구찜]]은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에 위치한 유명한 [[아구찜]] 식당이다. 메뉴는 [[아구찜]] 하나로 순한맛과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고, 살과 내장의 양과 들어가는 다른 재료도 선택해서 주문할 수 있다.
833 토란대 *[[토란대]]는 여러해살이풀인 토란의 줄기다. 데쳐서 독성을 뺀 후 요리하기도 하고, 말려서 오래 두고 사용하기도 한다. *주로 나물로 먹으며, 육게장, 오리탕, [[짱뚱어탕]] 등 탕류에 없어서는 안 될 재료이다.
834 티웨이항공 *[[티웨이항공]]은 [[광주공항]]에서 국내선을 운행하는 항공사이다. 2010년 8월 출범해 국내선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국제선에 취항 중인 ‘저비용항공사’이다.
835 평양냉면 *[[평양냉면]]은 메밀가루를 익반죽하여 면을 만들고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꿩고기를 삶아 육수를 만들고 편으로 썰어 고명을 만들어 넣어 동치미 국물을 붓는 평양식 차가운 국수이다. *광주에는 슴슴한 맛 때문에 그동안 평양냉면을 파는 곳이 인기가 없었는데, [[광주옥1947]]이라는 식당이 생기면서 평양냉면 맛집이 되었다.
836 폴리 *[[폴리]](folly)는 프랑스어 ’folie’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뜻은 멍청한 짓, 쓸데없는 짓을 뜻한다. *18~19세기는 유럽에서 귀족들의 거대한 성에 딸린 정원에 주변 환경이 돋보이도록 만든 실용성이 떨어지는 작은 건축물을 칭하는 단어였다. 고대, 중세의 탑이나 신전 모양을 모방하여 빈티지스럽게 만들어서 주변의 자연이 오히려 더 아름다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실용성 보다는 장식적인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미국에서는 부유한 집에서 넓은 정원 한 쪽에 뾰족한 탑을 가진 정자 모양의 건축물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를 [[폴리]]라고 부른다. *현대 건축에서 ’폴리’개념을 먼저 시도한 사람은 스위스 출신 건축가, [[베르나르 츄미]]로 알려져 있다. 그의 폴리 대표작은 1983년에 리뉴얼된 프랑스 파리 라 빌레트 공원이다.
837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동물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체외에서 섭취할 필요가 있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인체에서는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스레오닌,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의 8종이고, 이밖에 동물의 종류나 성장 시기에 따라 히스티딘, 알긴이 가해진다. 생체내에서는 합성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불가결 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 &lt;ref&gt;필수 아미노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
838 허가네짱뚱어전문점 *[[허가네짱뚱어전문점]]은 광주광역서 서구 풍암동에 있는 [[짱뚱어탕]] 맛집이다. *전복짱뚱어탕, 짱뚱어튀김, 짱뚱어전골과 함께 판다.
839 현완단겸 *[[현완단겸]]은 광주를 대표하는 음식인 [[상추튀김]] 프렌차이즈이다. 현재 광주에서만 7개의 매장이 있고 상추튀김의 규모화와 전국화를 위해 매장 운영 시스템과 신메뉴개발, 마케팅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lt;br/&gt; *[[현완단겸]]이라는 상호는 창업주가 세상 어느 곳에 내놔도 부끄럽지 않은 음식을 만들겠다는 취지로 아들들의 이름을 따 만들었다고 한다. 코로나 시기를 맞아 경기침체를 겪으며 매장을 줄여나가고 있지만, 온라인 판매와 전국 배송 서비스를 준비하며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840 협동조합 *[[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 유형 중 하나로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사업조직을 말한다. 또한,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으로 이용자가 소유하고 이용자가 통제하며 이용 규모를 기준으로 이익을 배분하는 사업체이다. &lt;ref&gt;협동조합이란, https://gjsec.kr:452/bbs/board.php?bo_table
841 홍어 *[[홍어]]는 가오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몸은 납작하고 위에서 보면 마름모꼴이다. *[[홍어]]는 전라도를 대표하는 향토 음식으로 꼽히고 있다. 전라도에선 [[홍어]]를 삭혀서 먹는데, 특유의 암모니아 냄새는 많은 마니아를 만들기도 했지만, 그로 인해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제사나 잔칫날 빠지지 않는 [[홍어]]는 전국에서 소비되는 양 중 90%를 [[양동시장]]에서 담당하고 있다.
842 화신모밀 *[[화신모밀]]은 ’[[1960백선청원모밀]]’, ’[[산수옥]]’과 함께 광주에서 모밀국수로 유명한 식당이다. [[청원모밀]]에서 일하다가 나온 셰프가 1982년에 식당을 개업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모밀국수도 인기지만, 메밀면, 양파, 당근, 감자에 춘장 양념을 넣어 볶은 자장면도 별미인 곳이다.
843 황석영 *[[황석영|황석영(黃晳暎)]]은 대한민국 대표 소설가로 주요 작품으로는 『장길산』, 『한씨연대기』, 『삼포 가는 길』, 『무기의 그늘』 등이 있다. 80년대 초반에는 광주 북구 운암동에 살며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작에 참여했으며, 1985년 5.18의 진실을 담은 기록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출판을 주도했다. 1989년 민예총 대변인 자격으로 방북했으나, 바로 귀국하지 않고 일본, 독일 등을 떠돌아다니다 1993년 귀국,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수감되었다 1998년 사면 석방되었다.
844 물텀벙 *[물텀벙]]은 인천지역에서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붙여진 [[아귀]]의 또 다른 이름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는 [[물텀벙거리]]가 조성되어 있어 그곳에 가면 다양한 [[아구찜]]을 맛볼 수 있다.
845 필문대로 *[필문대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필문 이선제를 기리기 위한 도로명이다. 1988년에 지정되었다. [[필문대로]]는 북구 풍향동 서방사거리에서 동구 학동 남광주 교차로까지 총길이 6.3km의 도로이다. *[[필문대로]] 주변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광주지방법원, 농장다리,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병원]], [[남광주시장]] 등이 있다.
846 산수옥 *‘[[산수옥]]면가’는 ’[[1960백선청원모밀]]’, ’[[화신모밀]]’과 함께 광주에서 모밀국수로 유명한 맛집이다. 다른 메밀집과 메뉴는 비슷하다. [[산수옥]]면가 본점은 북구 각화동에 있으며, 금호동, 두암동, 학동, 화정동 등에 프랜차이즈점을 두고 있다.
847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로 시작하는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는 김준태 시인의 작품으로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첫 번째 문학작품이다. 1980년 6월 2일 전남매일신문에는 보안사의 검열로 전체 109행 중 33행만 실렸다. 미게재 부분은 이후 복원돼 전문이 전해진다. 5.18 당시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해주는 작품으로 평가되며, 해외에도 ‘5.18 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김 시인은 당시 전남고 동료 교사의 부인이자 임신부 희생자인 최미애씨의 죽음이 모티브가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시인은 또 격정적인 열정으로 오월 죽은 영혼이 들어와 쓴 듯 불과 45분만에 시를 완성했으며, 토씨 하나도 고치지 않았다고 집필 후기를 밝히고 있다.
848 광주서석초등학교 본관 *1895년 일본의 강압으로 추진된 을미개혁의 하나로 [[소학교령]] 이 내려졌고, 그에 따라 광주에도 최초의 공립 근대 교육 시설인 [[광주서석초등학교]] 가 세워졌다. 서석초등학교 본관 건물은 1935년에 지어진 붉은 벽돌 건축물로서 현재까지 그 모습이 잘 보존되어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당시로서는 가장 질 좋은 수입산 목재와 특수 벽돌로 지어진 건물이다. 서석초등학교 체육관(1930~), 별관(1943~)과 함께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849 우다방 *1970년대 이후 [[충장로]] 는 그야말로 광주 제1의 번화가로서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 당시 [[광주우체국]](현재는 [[광주충장로우체국]]이 위치한다.) 앞은 늘 인파로 붐볐다. 그리고 이 무렵부터 우체국 계단은 ’[[우다방]]’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휴대폰이 없던 시절 ’[[우다방]]’은 광주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만남의 장소였다. 과거에 비할 수는 없지만, 충장로 입구에 인접했다는 위치적 특성 때문인지 스마트폰이 일상화된 요즘에도 만남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어느 정도 하고 있다. *1998년에는 우체국 1층 한 켠, 작은 공간에 자판기와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우다방]]’이 실제로 만들어지기도 했었다.
850 백운고가 *1989년, [[백운동_로터리]]의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고가도로가 건설되었다. 30여 년 동안 자동차의 무게를 견디며 도움을 주었지만, 급경사에 중앙분리대도 없어 크고 작은 사고가 잦아 ‘마의 도로’라는 별명이 붙었다. *2020년 6월, 지하철 2호선 착공과 동시에 철거를 시작해 11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851 경찰 충혼탑 *경찰 충혼탑은 6.25 전쟁 및 여수 순천 10.19 사건 등 나라와 겨레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숭고한 희생을 한 광주·전남 출신 순국경찰관 3,564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곳으로, 1956년 [[구 전남도청]] 앞 상무관 정원에 있던 충혼탑이 붕괴 직전으로 1970년 10월 12일에 충혼탑 이전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1981년 10월23일 이 곳에 재건립하였다.
852 송정떡갈비거리 *광산구청 안쪽으로 200여 미터의 골목 양쪽으로 떡갈비 집이 늘어선 [[송정떡갈비거리]]가 있다. *1950년대, [[최처자]] 할머니가 처음 시작한 [[송정떡갈비]] 1호점을 비롯해 20여 개가 성업 중이다. *각 식당마다 소고기와 돼지고기 그리고 양념의 비율이 달라 개성적인 맛을 자랑하고 있다.
853 사이시옷 *광주 화정동 주택가에 위치한 ’사이시옷’은 주택을 개조해 만든 북카페 &amp; 책방이다. 1층은 카페와 책방으로 운영 중이고 2층은 북모임 등 대관용으로 활용한다. 판매용과 독서용 책을 따로 구분하여 진열해 두어 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다양한 독서모임들이 찾는 집과 같이 편안한 동네책방이다. [[러브앤프리]], [[예지책방]] 과 함께 춘하추동 계절마다 한 책방이 한 권씩 총 3권을 골라 만드는 블라인드 북 &lt;계절구독-ㅅㅇㄹ&gt; 을 진행하고 있다. 2022년 여름호의 주제는 ’여름휴가와 함께 할 책’이다.
854 광주시민회관 FOREST971 *광주공원 내 광주시민회관은 고 임영배 전남대학교 교수의 설계로 1972년에 건립해 오랫동안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한 해에 600여 쌍의 결혼식이 열리고 사생대회, 각종 콩쿠르, 시민을 대상으로 한 영화 상영이 이뤄지기도 했다.&lt;br/&gt; *세월이 흘러 노후된 시설로 시민들의 외면을 받아오다가 &lt; [[광주시민회관 FOREST971]]&gt;이라는 이름으로, 청년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센터로 변신하여 19팀의 청년 창업가들이 머물고 있으며 오피스와 전시 공간, 카페 등을 갖추고 있다.&lt;br/&gt; *"광주시민회관에 대한 추억을 보존하는 동시에 현재를 살아가는 시민들과도 공감대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는 의미를 담아 건물 안팎의 경계를 없애고 주변 녹지와 연결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 구역을 제외한 대부분을 야외공간으로 규정한 예전의 설계를 최대한 살려 디자인했다.
855 청소년삶디자인센터 *광주광역시 [[청소년삶디자인센터]](삶디)는 옛 학생회관 자리에 새롭게 개관했으며, 광주광역시가 지원하고, 전남대학교와 광주YMCA가 하자센터(서울청소년직업 체험센터)와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는 시립 청소년 특화시설이다. *‘삶디’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학습과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삶디’는 [[광주충장로우체국]]과 [[콜박스사거리]] 사이에 있다.
856 정율성 거리 전시관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광주천 남광교와 연결된 푸른길 공원, 양림 휴먼시아 2차 아파트 입구에 [[정율성]] 음악가 흉상이 세워져 있는데 이곳에서부터 ’정율성로’로 이어진 거리를 따라 ’정율성 거리 전시관’이 조성되어 있다. 2008년 4월 정설송(정율성의 부인)여사의 친필, 이력서, 사진, 영상, 음원자료 등으로 전시관을 구성하였고, 1930년대 중반의 젊은 정율성 선생의 사진과 약력 등 ’정율성 연보’ 와 그의 대표곡인 &lt;연안송&gt; 악보가 설치되어 있는데 버튼을 누르면 노래가 흘러나오기도 한다. &lt;br/&gt; *최근 정율성 거리를 방문한 사람들의 방명록 공간이 새롭게 조성됐으며, 야간에 방문한 관광객들이 정율성 거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주요 시설물마다 차분한 색채의 조명도 설치했다.
857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있는 사립 여자고등학교로 1908년에 개교한 [[수피아여학교]]가 전신이다. 1951년 교육법에 따라 [[수피아여학교]]로부터 분리되었고 1953년 3월 17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했다. 2021년 3월 제22대 백호현 교장이 취임하였고 2021년 12월 70회 졸업식에서 23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858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있는 사립 여자중학교로 1908년에 개교한 [[수피아여학교]]가 전신이다. 1951년 교육법에 따라 [[수피아여학교]]로부터 분리되었다. 2014년~2015년에는 교과교실제 전국 10대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019년 3월 1일 제24대 교장으로 서계상 선생이 취임하였다.
859 문경정짱뚱어탕전문점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있는 ‘[[문경정짱뚱어탕전문점]]’은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으로 재배한 원료 및 부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년 전 개업할 때 주인의 이름을 따 상호를 정했다. *메뉴는 [[짱뚱어탕]] 하나로, [[짱뚱어]]를 뼈째 갈아 들깨와 각종 한약재가 들어간 육수에 우거지를 듬뿍 넣어 걸쭉하게 끓인다. 밑반찬으로 4년 된 묵은지가 나오는데 [[짱뚱어탕]]에 밥을 말아 묵은지를 곁들인 맛이 일품이다. *[[문경정짱뚱어전문점]]은 고유의 사업을 장기간 계승 발전시켜온 것을 인정받아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으로부터 백년가게로 선정되었다.
860 K팝스타의 거리 *광주시는 글로벌 팬들을 유치하기 위하여 2018년부터 [[충장로]]를 중심으로 [[K팝스타의 거리|K팝스타의 거리]]를 조성해왔다. 충장로 우체국에서 [[옛_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뒷편 골목까지 걸쳐서 스타들의 핸드프린팅, 스타들의 애장품 전시관, 스타 벽화 등 도심 한복판에 해당하는 충장로에 K팝 스타들과 관련된 각종 전시물과 조형물을 세워 팬들의 발길을 끌어들이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 중에서 광주 출신인 [[제이홉]]의 팬들이 많이 찾고 있다.
861 마중물 추어탕 *광주시에서 가장 알려진 [[추어탕]] 식당 브랜드이며 2007년에 개업하였다. 서구 쌍촌동에 본점이 있고 시내 여러 지역에 다수의 가맹점들이 성업 중이다. 담백한 추어탕과 돌솥밥에 어리굴젓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이곳의 별미이다. 특히 어리굴젓은 과하게 짜지 않아 포장해서 가는 손님들도 많다. 소량의 국수 면과 부추를 함께 주기 때문에 추어탕에 넣어서 먹을 수 있고, 추어 튀김도 맛 볼 수 있다.
862 박행보 *금봉 [[박행보]] 화백은 1935년 진도 출생으로 남도 문인화의 대가이다. 의제 [[허백련]]의 제자로 본인의 작품 291점을 기증해 [[금봉미술관]]이 개관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금봉미술관]]은 전시뿐만 아니라, 도예와 시화 수업 등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863 남광주밤기차야시장 *남광주시장에서 밤에 여는 이벤트성의 야시장. 1960년대 남광주역에 정차한 밤 기차의 추억을 주제로 주말 오후 6시~12시까지 운영한다. 시장의 테마를 살리기 위해 음식을 판매하는 이동 판매대는 기차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남광주밤기차야시장]]은 [[남광주역]]이 폐역되고 [[남광주시장]]이 쇠락하자, 시장활성화를 위해 [[남광주역]]이 있던 자리에서 2016년부터 운영되었다. *초기에 청년기업인들이 유입되며 활기 있게 운영되다 매출이 줄고 코로나19가 확산되며 중단돼 현재는 운영을 하지 않고 있다.
864 장안섭 *묵암 [[장안섭|장안섭(黙菴 張安燮)]] 선생은 만귀 [[장창우]]의 7세손이다. 일제강점기 때 세월이 흐르며 흔적은 남은 [[만귀정]]을 중건했으며, 1940년 그 옆에 [[습향각]]을 지었다. *1960년, 광산군민은 송정읍장을 지낸 [[장안섭]]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성금을 모아 [[묵암정사]]를 지었다.
865 서구8경 *서구가 품은 아름다운 풍경 중 으뜸가는 여덟 가지 풍경을 가리켜 ’서구 8경’이라 한다. 서구 8경에는 [[만귀정]], 금당산, 풍암호수, [[서창들녘 낙조]], 용두동 지석묘, [[양동시장]], 운천사 마애여래좌상, 5.18 기념공원 등이 속한다.&lt;ref&gt;광주광역시 서구, "[https://www.seogu.gwangju.kr/menu.es?mid
866 천일염 *소금은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精製鹽)으로 분류된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이다. &lt;ref&gt;천일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
867 백수간재미 *양림 파출소에서 통기타 거리로 올라오는 곳에 위치한 계절 음식점으로 대표적인 메뉴인 [[간재미회]]무침은 10월 이후에 맛 볼 수있는 음식으로 미나리와 배를 넣어 새콤달콤하게 무친 후 김에 싸먹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 안주로 나오는 새우 미역국과 화로에 담겨 나오는 간재미 지리탕이 별미이며 계절에 따라 전어, 소라, 쭈꾸미, 새우 등의 메뉴가 있다.
868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세계기록유산]] 또는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 프로그램으로 불린다. 유네스코가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에 대해 자문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사무총장이 승인하는 형식으로 선정된다. 세계기록유산에는 필사본, 도서, 포스터 등 기록 자료 뿐 아니라 그림, 음악 등 비기록 자료도 선정 대상이다. 선정 기준은 △변화의 시기를 반영하는 시간성 △역사 발전에 기여한 장소나 지역관련 정보 △역사 발전에 기여한 개인의 업적 △세계사의 주요 주제 △신빙성 △유일성과 영향력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훈민정음 혜례본,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등이 등재됐다.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 기록은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육군본부, 5·18기념재단, 국회도서관, 미국 국무성, 국방부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 △군사법기관 재판자료 △김대중내란음모사건자료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 △흑백필름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 등이다.
869 소학교령 *일본은 1895년에 [[을미사변]]을 일으켜, 세계 역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만행을 저질렀다. 당시 일본을 견제하고 친러주의 정책을 추진하려던 [[명성황후]]를 시해한 것이다. 충격에 빠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아관파천]])했고, 그 사이에 일본이 조종하는 친일 내각이 앞장서서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 약 6개월간 추진되었고, 이를 통해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화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하려 하였다. 특히 단발령은 을미사변에 격분한 백성들 사이에 저항이 심하였다. 소학교령도 개혁의 일부였는데, 우리나라에 일본을 본 딴 근대식 초등학교를 만들게 하였다. 광주에 세워진 최초의 공립 소학교는 현재의 [[광주서석초등학교]]이다.
870 전일방송 *전일방송은 1971년 4월 24일 개국한 전남지역 최초의 민영 방송이었다. 당시 연주소는 [[전일빌딩]] 건물이었으며, 1980년 언론통폐합 조치 이후 KBS 광주방송총국에 흡수되었다.
871 강영수(姜永壽)의 딸 *진주 강씨 [[강영수(姜永壽)의 딸]](1501 ~ 1534)은 [[고봉]] [[기대승]]의 어머니이다. [[기대승]]이 8세 때 사망하였다.
872 투사회보 [[5.18민주화운동]] 기간에 [[윤상원]] 열사가 [[들불야학]] 동지들과 함께 발간한 저항 언론물이다. 당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들의 폭압으로 고립된 광주의 비극적인 상황을 대내외에 알리고자 하였다. [[광천시민아파트]] 주민들이 모아준 돈으로 종이와 등사기를 구입하여 제작, 배포하였다. 5월 21일에 제 1호를 시작으로, 25일에 제 8호가 만들어졌고, 26일 부터는 ’민주시민회보’로 이름을 바꾸었다.
873 개별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 | 개별 공시지가]]는 시장, 구청장 등 지역 단체장이 그 지역 부동산 평가 심의 위원회를 통하여 단위 면적당 토지의 가격을 결정하고 공시하는 제도를 말한다. 매년 1월 1일을 기준일로 삼고 5월 31일에 결정하는데, 각종 세금과 부담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 해당 토지의 상업적 가치를 대중적으로 평가하게도 한다. 광주시에서는 해마다 광주충장로우체국 또는 그 주변 토지가 가장 비싼 가격으로 공시되고 있어 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874 고교 평준화 [[고교 평준화]]는 1974년부터 도입된 제도이며, 어떤 지역의 전체 학생을 추첨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모든 일반계 고등학교에 나누어 배정하는 방식의 제도이다. 입시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고등학교 사이의 학력 차이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었다. 또한, 대도시에 집중되는 소위 일류 고등학교 현상의 폐단을 없애기 위함이었다.
875 광주 대야제 [[광주_대야제|광주 대야제]]는 두 곳이 있다. 북구 생용동 우치공원 옆에 하나가 있고, 광산구 대산동 대산 아래 하나가 있다. 우치공원 옆 대야제는 교통이 편리해서인지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외래어종인 배스와 불루길이 잘 잡힌다고 한다. 저수량은 285.6천톤으로 저수량이 풍부한 편이며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한다. 봄이면 우치공원과 대야제 경계에 벚꽃이 만발한다.
876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광주시의 소방 업무 전반을 책임지는 관청이다. 1986년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설치되었고, 내방동에 본부가 있었으나, 2004년 신축된 광주광역시청 17층으로 이전하였다. 광주시에 소속되어 있으며 책임자인 본부장은 3급에 해당되는 소방준감이다. 아래에 5개의 소방서(동,서,남,북,광산구)와 1개의 소방학교 그리고 특수구조단이 1개 있다.
877 광주군사 [[광주군사|광주군사]](光州郡史)는 일제강점기에 서석초등학교에서 약 18년 가까이 교장을 지냈던 [[야마모토_데스타로]]가 퇴직 후에도 광주에 계속 머물면서 저술한 책이다. 광주 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광주_태봉산]], [[경양방죽]], [[유림숲]] 등에 대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어서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다.
878 박태규 [[광주극장]] 의 간판 영화 포스터를 1993년부터 그려온 간판 작가이다. 단순한 영화 홍보 수단인 간판 포스터를 하나의 예술적 가치로 승화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현재는 간판 포스터 작업 보다는 ’자운영 아트센터’와 ’영화 간판 시민 학교’(2015~) 운영에 중점을 두고 환경교육, 인권운동과 연계된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879 광주읍성가이드북 [[광주읍성가이드북|광주읍성가이드북]] 은 지역문화호남재단이 광주시의 지원을 받아 광주읍성에 대하여 만든 여행 안내서이다. 2005년에 설립된 지역문화호남재단은 각계의 지역 전문가들과 시민들이 합심하여 [[광주문화수도]] 조성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꾸준히 연구,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재단은 약 1년 간의 자료 조사 및 연구를 통해 지금은 흔적도 찾기 힘든 광주읍성의 이야기를 시민들, 학생들이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가며 알려준다.
880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은 1993년에 경복궁 내 현 위치(서울 종로구)로 이전, 개관하였다. 우리 민족의 생활 풍습과 관련된 자료들을 연구하고 수집하고 알리는 역할을 한다. 3개의 상설 전시실, 1개의 기획 전시실, 야외 전시장, 야생화 단지 등을 갖추고 있다. 장독대, 장승 같은, 우리에게 정겨운 여러가지 풍습 자료들을 볼 수 있으며 수시로 열리는 체험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다. 개화기 이후 만들어진 전통 골무 중에서도 다수의 작품이 이곳에 소장되어 있다.
88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립 박물관이며, 2005년 10월 서울시 용산구 현 위치에 신축 이전하였다.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양은 전통적인 건축미와 현대적인 세련미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고대~근대 시대에 걸쳐 약 41만 여 점의 소장품을 가지고 있다. 국내 신석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골무도 이곳에 보관되어 있다.
882 근대학교 [[근대학교|근대학교]]는 대한제국 건국(1897) 전후에 세워진 신식 교육 시설을 말한다. 사립은 원산학사, 공립은 육영공원이 최초였으며 당시 신지식과 외국어 등을 주로 교육하였다. 광주, 전남에서는 1896년에 개교한 서석초등학교가 최초의 근대식 공립 학교였다.
883 금탑소머리국밥 [[금탑소머리국밥 | 금탑소머리국밥]]은 광주 지역을 대표하는 소머리국밥 식당 브랜드이다. 같은 이름을 가진 식당은 시내 곳곳에 있지만 동구 대인동에 본점이 있으며 그곳 가게 입구에 있는 큰 가마솥에서는 쉬지 않고 국밥에 사용할 국물을 우려낸다. 이곳을 자주 찾는 단골 손님들에 의하면 조미료 맛이 느껴지지 않는 담백한 국물 맛과 아삭아삭한 무김치가 매력이라고 한다.
884 남한폭도대토벌작전 [[남한폭도대토벌작전|남한폭도대토벌작전]] 은 190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일제에 의해 추진된 호남 의병 섬멸 작전을 말한다. 1907년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로 해산된 후 군인들이 의병에 합류하면서 의병 규모가 전체적으로 커졌는데, 특히 호남 지역 의병들이 크게 증가하였다. 일제의 주장에 의하면 약 4천여 명의 호남 의병들이 전국 의병 전투의 약 50% 가까이를 담당하고 있었다고 한다. 일제는 호남의 각 마을을 많게는 수십 번이나 수색하였고, 심지어 무인도까지 샅샅이 뒤져 호남 의병과 그 관련자들을 모조리 체포, 처형하였다. 이후 의병들은 만주, 연해주로 이동하여 활동하게 된다.
885 노포 [[노포|노포]] (老鋪)는 말 그대로 수 십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오래된 점포를 말한다. 당연히 몇 대에 걸쳐서 영업을 하고 있는 곳들이다. 상대적으로 일본에는 이렇게 대를 이어 장사하는 가게가 흔하지만 우리나라는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지 않았었다. 내 자식 만큼은 잘 가르쳐서 높은 자리 화이트 칼라를 만드는 것이 한국 부모님들의 보편적인 소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학 나온 자녀들이 부모님의 오래된 가게를 이어받는 모습을 제법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도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886 다큐멘터리 바람의 춤꾼 [[다큐멘터리_바람의_춤꾼|바람의 춤꾼]]은 재야무용가 [[이삼헌]]의 삶과 몸짓을 친구인 최상진 영화감독이 15년 동안 기록하여 만든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는 미선 ‧ 효순 양 추모 현장, 세월호 희생자 추모 현장 등에서 한풀이 춤을 추는 [[이삼헌]]의 모습과 그가 무용을 시작하는 계기, 대학을 중퇴하고 거리의 춤꾼이 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내레이션은 영화배우 배종옥씨가 재능기부로 맡았다.
887 도류식 교차로 [[도류식 교차로]]는 교차점의 중앙에 교통섬을 설치하여 차량이 그 주위를 돌아가면서 교통흐름을 처리하는 교차로이다.
888 독립영화 [[독립영화]](獨立映畵, Independent film)는 영화 제작사나 투자자들의 자본과 지원을 받지 않고 만드는 영화를 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감독이 자기 자본만으로 영화 한 편을 만든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소 규모 미만의 제작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영화들도 [[독립영화]]로 분류되고는 한다. ’워낭소리(2009)’나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처럼 흥행에 성공한 독립영화들도 더러 있다.
889 동의보감 [[동의보감 | 동의보감]]은 조선 시대 임진왜란 중 선조의 명에 따라 허 준 등 여러 의관들이 참여하여 만들기 시작한 의료 서적이다. 정유재란 중에 잠시 중단되었다가 전쟁이 끝난 후 허 준이 혼자 완성하였다. 집필부터 완성까지 17년 정도 소요되었다. 25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질병과 그 치료법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의 자료까지 망라하여 서술하였다. 각종 의술과 약재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뛰어난 의서라고 할 수 있다.
890 박형선 [[들불야학]]의 창시자인 [[박기순]] 열사의 친오빠이다. [[전남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74년 4월에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 약칭 민청학련)사건으로 180명의 학생들과 함께 구속, 기소되었다. 이 사건은 박정희 독재 정권에 의한 대표적인 용공 조작 및 민주 운동 탄압 사건으로 꼽힌다. 동생 [[박기순]]의 역사적 가치관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중년 이후에는 사업에 종사하였다. [[박형선]] 의 아내 윤경자의 제안으로 [[박기순]]과 [[윤상원]]의 영혼결혼식이 성사되었다.
891 미슐랭 가이드북 [[미슐랭 가이드북]](그린) 한국편은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인 미쉐린이 한국관광공사와 협약을 맺고 프랑스 현지에서 5천 부를 펴낸 관광안내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관광지, 문화유적, 숙박 시설, 음식점 등에 대한 정보와 사진이 450페이지 분량으로 담겨 있다. &lt;ref&gt;“‘미쉐린 그린가이드’ 한국편 발간”, https://www.yna.co.kr/view/AKR20110509068700003, 연합뉴스-홍지인 기자.&lt;/ref&gt; 이 책에 [[청원모밀]]이 소개되었다.
892 배초향 [[배초향]]은 한국,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권이 원산지인 식물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전국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어서 한국 토종 허브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특히, [[배초향]]의 잎에는 특유의 강한 향이 있어서 경상도 지역에서는 생선 요리를 할 때 잡내를 없애는 용도로 사용한다.
893 보부상 [[보부상]](褓負商)은 조선 시대에 전국 장터를 떠돌면서 상업 활동을 하였던 장사꾼들을 가리킨다. 조선 후기부터 전국에 시장이 활성화되고 지역마다 장이 열리는 날이 다르다 보니 [[보부상]]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부피가 크고 저렴한 물건을 지게에 실어 등짐을 지는 부상과 부피가 작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물건을 보자기에 싸서 들고 다니는 보상을 함께 칭하는 이름이다.
894 산초 [[산초]](Chinese pepper)는 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지에서 재배되는 식물인, 산초 나무와 초피 나무의 열매 껍질을 칭하는 한약 용어이다. 이 열매 껍질에는 특유의 매운 맛이 있어서 가루로 만든 다음 [[추어탕]]이나 김치를 만들 때 사용한다.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895 선원록 [[선원록|선원록]]은 조선 시대 왕과 친인척들의 계보를 기록한 족보이다. 3대 태종 때 기록이 시작되었으며, 태조 이성계 이전의 조상들을 신성화하고 태종 자신의 아들과 후손들만이 왕위를 계승해야 할 적통임을 과시하고자 함이 목적이었다.
896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는 조선 세종의 명령으로 1424년~1432년에 편찬된 지리서이다. 실록에 속해 있는 지리서여서 조선시대 내내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조선총독부에 의해서 ’교정세종실록지리지’가 만들어지면서 연구자들에게 공개되기 시작하였고, 한글본은 1972년에 나왔다. 총 8권 8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지방의 지리적인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897 야마모토 데스타로 [[야마모토_데스타로|야마모토_데스타로]]는 1911년부터 1929년까지 무려 18년 가까운 시간 동안 [[광주서석초등학교]] 의 교장으로 재직했던 일본인이다. 1919년 3월 [[3.1운동]] 이 일어났을 때, 만세 운동으로 투옥된 주민들과 학생들을 풀어주기 위해 노력하는 등 일본인이지만 교육자로서의 양심을 지켰던 인물로 평가된다. 그가 교장직을 떠날 때는 주민들이 그의 공로를 칭송하기 위해 학교 입구에 동상을 세워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가 태평양전쟁에 쓰기 위해 한국에 있는 모든 쇠붙이를 수거해갈 때 그 동상도 없어졌다. 그는 교단을 떠난 후에도 고국에 돌아가지 않고 연구를 계속하여 광주에 대한 책 ’[[광주군사]]’(光州郡史)를 집필하였고, 이 책은 훗날 광주의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898 약삼계탕 [[약삼계탕|약삼계탕]]은 삼계탕을 기본으로 하고 몸에 좋은 한약재를 선별하여 첨가한 보양식이다. 입맛이 없거나 기운이 없을 때, 더위에 지칠 때 권할만한 음식이며 대체로 10여 가지의 한약재가 사용된다. 생강, 대추, 당귀, 황기, 인삼, 녹각, 감초, 유기자 그리고 마늘, 찹쌀 등이 들어간 약삼계탕은 특히 덥고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 먹으면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
899 양회일 [[양회일|양회일]](1856~1908)은 대한제국 시기 전남 화순 출신의 유생이며,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어 우리나라의 외교권이 일제에 의해 박탈당하자 본인의 재산을 털어 100여 명의 의병을 조직하여 항쟁했던 의병장이다. 1907년 화순을 거쳐 광주까지 진격하려 했으나 [[너릿재]]에서 왜군에 잡혀 지도에 유배당하였다. 1908년 풀려나 재기하려했으나 다시 체포되었고 옥중에서 단식 투쟁 7일만에 숨졌다.
900 예술영화 [[예술영화]](藝術映畵)는 상업영화와 달리 흥행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예술성을 주로 지향하는 영화를 뜻한다. 때문에 상업영화 제작에 중점을 두는 메이저 영화사에서는 거의 만들지 않으며, 대부분 저예산 [[독립영화]]로 제작된다. 국내에서는 [[영화진흥위원회]]가 2007년 이후로 새롭게 명칭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저예산으로 제작되는 [[예술영화]],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를 총칭하여 ’다양성 영화’라고 부르기로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1년에 제작되는 영화의 약 55%가 이에 속한다고 한다.
901 상무관 [[옛 전남도청]] 앞쪽에 위치한 체육시설로 전남경찰청 소속 경찰들의 유도연습장이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의해 사살된 주검들이 임시로 안치되었으며, 실종자 명단이 내걸렸다. 5.18사적지 5-3호이다.
902 오골계 [[오골계|오골계]]는 깃털 뿐만 아니라 살과 뼈가 모두 검은 색인 닭을 말하며, 일반 닭보다 지방이 적고 단백질, 칼슘, 레티놀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옛날부터 허약 체질에 특효가 있다고 전해진다. 특히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의하면 자양강장, 빈혈 예방 등 남녀노소 모두에게 기력을 보충해주는 음식이라고 한다. 맛도 좋고 몸에도 좋아서 옛날 조선의 왕들도 즐겨 찾았다. 서울과 각 지방 양계장에서 소수만 사육되고 있어서 더 귀한 재료로 쓰인다.
903 용성대군 [[용성대군|용성대군]]은 조선 16대 왕인 인조의 넷째 아들 ’이곤’이다. 어머니는 인열왕후 한씨이며 소현세자, 효종, 인평대군의 친동생이다. 1624년, [[이괄의 난]]이 진압된 후 태어났으나 병약하여 궁중의 근심이 많았다. [[인열왕후]]는 대군을 위해 백일기도를 드리던 중 꿈속에서 백발노인의 말을 듣고 대군의 태를 계룡산에서 [[광주_태봉산]]으로 옮겼다. 노인의 말에 의하면 광주 태봉산이 평지에 그릇을 엎어놓은 듯한 여의주 모양이기 때문에 대군을 위해 좋은 땅이라 했다. 이와 같은 전설이 1928년 가뭄으로 인한 파묘 소동으로 인해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태봉산에서 발견된 태지석에는 태의 주인이 용성대군임을 짐잠하게 해주는 설명이 쓰여있었다. 그러나, 용성대군은 안타깝게도 5살때 병사하여 태를 이곳 광주 태봉산까지 옮긴 보람이 없었다.
904 이괄의 난 [[이괄의_난|이괄의_난]] 은 1624년(인조2년)에 이괄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란이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반정을 통해 집권한 [[인조]]와 반정 공신들은 역모, 반역에 대하여 지나칠 정도로 예민하게 대처했는데, 이러한 분위기에서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한 인물들이 꽤 많았다. 마침 몇몇 관료들이 이괄 부자(父子)등을 역모죄로 고변하자, 인조는 그의 아들을 한양으로 불러 사실을 조사하려 하였다. 이에 반발한 이괄이 정예군 약 1만 명을 끌고 평안도에서 서울로 진격, 한양 입성에 성공하였다. 인조와 신하들은 충남 공주까지 피난하였는데, 국내 반란으로 왕이 타 지역으로 몽진까지 하게 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고, 반란군에 의해 한양이 점령당한 것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러나, 이괄은 한양 점령 4일 만에 그사이 지방에서 올라온 수많은 관군들에게 대패하여 경기 광주까지 쫓겨갔고, 거기에서 부하의 배신으로 죽음을 당하였다.
905 임진왜란 [[임진왜란|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은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이다. 엄청난 시련을 겪으면서도 끈질긴 저항으로 이겨내고 각성과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민족의 운명을 새로 개척해나간 계기가 된 전쟁이다. 명의 원조도 있었지만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은 거족적인 저항으로, 이순신에 의한 제해권의 장악과 전국에서 봉기한 의병의 활동은 불리했던 전쟁 국면을 전환시킨 결정적인 힘이었다. &lt;ref&gt;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674 임진왜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lt;/ref&gt; 임진왜란 당시 광주 지역에서는 [[고경명 | 고경명(高敬命)]]·[[김덕령 | 김덕령(金德齡)]] 등의 의병장들이 이 지방 의병을 이끌고 크게 활약하였다.
906 여학도 기념 역사관 [[전남여자고등학교]]에 있는 오래된 시설이며, [[광주학생독립운동]](1929)과 관련하여 유일하게 현존하는 건축물이다. 1928년에 만주 적벽돌을 써서 지었다고 하는데, 2000년 초반 다른 교실 건물이 신축될 때까지 학생들의 교육 시설로 사용되었다. 2011년에 긴 리모델링 사업을 거쳐 [[여학도 기념 역사관]]으로 재탄생하였다. 요즘에는 각종 문화 행사나 전시회 등이 열리고 있다. 학생 독립 운동의 성지이자 지역 여성 교육의 상징 역할을 하고 있다.
907 전일빌딩 [[전일빌딩|전일빌딩]]은 1960년대에 세워진 10층 건축물로, 완공 당시부터 오랫동안 금남로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자 랜드마크였다. 전일빌딩에 입주했던 대표적인 회사로는 광주일보의 전신인 ’전남일보’와 ’전일방송’ 등이 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엔 헬기 사격이 발생했던 장소이며, 5월 27일 도청 진압 작전 당시 일부 시민군이 저항하던 건물이기도 하다. 당시 전일빌딩 지하에 시민군이 자체적으로 회수한 무기들이 보관돼있었다. 이후 노후화된 전일빌딩을 새롭게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245개의 총탄 자국이 발견되었고 [[전일빌딩245]]라는 이름의 시민복합문화공간으로 2020년 5월 새롭게 개관하였다.
908 정약용 [[정약용|정약용]](1762~1839)은 조선 후기인 영조와 정조 시기를 대표하는 유학자이며 실학자이다. 성호 이익의 학문을 이어받았으며 천주교를 수용하는 등 개혁적인 성향이 강하여 유배 생활을 많이 했다. 주요 저서로는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여유당전서’ 등이 있다. 16세 때 아버지의 임지였던 전남 화순으로 가는 길에 광주 [[경양방죽]]의 풍경을 보고 ’ [[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라는 시를 지었다.
909 조정만 [[조정만|조정만]](1656~1739)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숙종, 경종, 영조 시대에 여러 관직에 올랐으며, 시와 서예에 능했다. 그가 광주 목사로 있을때, 종종 [[유림숲]]에서 꿩이나 호랑이 사냥이 행해졌는데, 특히 1708년 호랑이를 잡기 위해 [[광주읍성]]을 나서서 유림숲으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사냥이 끝난 순간까지를 시로 표현한 작품이 있다. 당시 유림숲이 얼마나 깊었는지 알 수 있는 예이다.
910 진교필방 [[진교필방]]은 [[진다리붓]]의 예전 판매처이다. 현재까지 4대에 걸쳐 [[진다리붓]]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안 씨 가문의 구성원이 만들었다. 1930년대에 안명환 [[필장]]의 조부, [[안재환]]씨가 고향 보성에서 광주 백운동으로 옮겨와 붓을 만들기 시작했고, 1980년대쯤 안 필장 가족의 한 친척이 [[진교필방]]을 만들어 필장이 만든 붓을 납품 받아 판매하였다. 1985년 이후로는 ’진다리붓’ 제작소에서 직접 판매중이다. [[진다리붓]]이라는 이름도 안명환 필장이 ’진교’에서 다리 교(橋)를 한글로 바꾸어 특허를 낸 것이다.
911 최선진 [[최선진]](1891~1945)은 [[광주극장]]의 설립자이며 유은학원(현 동성중고교,동성여중,광주여상,광주상고)을 세운 사람이다. 유은은 그의 호이다. 그는 이 지역 향반이던 아버지 최권삼의 대를 이어 젊은 나이에 상업에 뛰어들어 크게 성공하였다.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광주 토착 재벌이다. 목화, 쌀, 가마니, 여객업, 극장, 은행 등 경제 다방면에서 뛰어난 경제 감각을 발휘하였다.
912 추억의 테마거리 [[추억의 테마거리|추억의 테마거리]]는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이다. 문구사, 만화방 등 70년, 80년대 추억의 테마시설을 그대로 재현해놓았으며, 축제 기간에 퍼포먼스 시간대에 맞춰 이곳에 방문하면 추억의 게임, 마임, 복고댄스 등의 퍼포먼스를 구경할 수 있다.
913 추억이 깃든 경양마을 만들기 사업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은 옛 역사를 살려내는 ’행복한 창조마을 만들기’ 도시재생사업 일환으로 2011년부터 광주광역시와 계림1동이 합작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옛날 [[경양방죽]]이 있던 자리에 그 역사와 정서를 되새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사업을 도모하는 일이다. 우선 경양방죽 터였던 홈플러스 계림점 주변에 빈집이나 폐가를 매입하여 경양마을 사료전시관과 역사전시관을 만들고, 방죽 관련 쉼터, 벽화, 화단 등을 조성하여 정감이 넘치는 골목길을 만들어가고 있다.
914 태봉산 유래비 [[태봉산_유래비|태봉산_유래비]]는 1967년까지 태봉산이 있었던 신안동 121-2번지 위치에 세워진 비석이다. 태봉산의 흙은 [[경양방죽]]을 메우는데 쓰였고 산이 있던 자리에는 광주역이 들어섰다. 현재는 그 주변이 온통 아파트, 주상 복합 건물들로 채워지고 있는 중이다. 비석은 초현대적인 고층 건물들 사이에서 혼자만 두드러지는 독특한 모습으로 그 자리에 있다. 태봉산의 전설, 태실의 발견, 태봉산의 소멸 등이 기록되어 있다.
915 필장 [[필장]](筆匠)은 예전부터 붓을 만드는 기술자를 칭하는 말이었다. 현대에 와서는 전통 기술을 계승하는 사람들이 드물어지면서 필장도 보기 드문 직업이 되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는 붓 만드는 장인들을 더 예우하는 의미도 포함하여 공식적인 ’필장’ 명칭을 수여한다. 그래서 요즘의 ’필장’은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전통을 이어가는 기술을 가진 예술인이라는 뜻까지 의미한다.
916 5.18민주화운동 헬기사격설 [[헬기사격설|헬기사격설]]이 처음 제기된 것은 1989년 2월,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청문회에서 고(故) 조비오 신부가 "5월 21일 오후 2시쯤, 헬기에서 총이 발사되는 것을 두 눈으로 목격했다"고 증언하면서부터다. 이에 대해 전두환 씨는 회고록에서 조비오 신부를 ’가면을 쓴 사탄’,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깎아내렸다. 이에 고(故) 조비오 신부의 조카인 조영대 신부는 전두환을 사자 명예훼손죄로 법정에 세웠다. 특히 [[전일빌딩]] 리모델링 과정에서 발견된 245개의 탄흔은 헬기사격설의 명백한 증거가 되었고, 지난 2020년 11월, 1심에서 5.18 당시 헬기사격이 있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인정되면서 전두환 씨가 유죄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항소심 진행 중 전두환 씨가 사망하면서 헬기사격 사실관계를 놓고 벌어진 형사재판은 공소기각으로 종결되었다.
917 광주 대봉 태실 1624년에 태어난 [[용성대군]]의 태를 담았던 [[태실|태실]]은 1928년 발견될 때까지 [[광주_태봉산]]에 묻혀 있었다. 가뭄의 원인을 태봉산에 누군가가 시신을 암매장했기 때문이라고 믿었던 당시 주민들이 호미를 들고 파묘 소동을 벌였는데, 그곳에서 태실이 발견되었다. 태실안에는 태항아리, 태지석, 금박 조각 등이 들어있었다. 태봉산에 관련된 이야기가 그저 전설이려니 생각했는데, 사실이었음이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태봉산은 시가지개발로 1968년에 없어졌고, 태실은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918 9.28서울수복 1950년 북한의 침략으로 [[6.25전쟁]]이 일어난 후 남한군은 일방적으로 패배하여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미군과의 연합으로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한 직후부터 서울 탈환 작전에 돌입, 9월 16일~9월28일에 서울을 빼앗긴지 석달 만에 수복에 성공하게 된다. 한편 광주, 전남 같은 지방에서는 남한군이 밀릴 때나 반대로 북한군이 밀릴 때, 상대편에 협조한 것으로 의심된다는 주민들을 무조건 학살, 소탕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광주에서도 [[너릿재]] 인근에서 비극적인 학살이 반복되었다.
919 김상윤 1974년, [[전남대학교]] 재학 중에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 약칭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고, 이로 인해 학교에서 제적당하였다. [[윤상원]]으로 하여금 사회 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만든 장본인이며, 1977년에는 계림동에 [[녹두서점]]을 열어 시민들과 학생들을 위한 소통의 장소로 제공하였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시작되기 직전에 이미 사전 검열로 체포되어 [[상무대 영창]]으로 끌려갔다. 현재는 ’윤상원 기념사업회’의 고문을 맡고 있다.
920 광주서석초등학교 담장 벽화 2020년은 [[광주서석초등학교]]가 개교한지 125년이 되는 해였다. 광주 동구청과 서석초등학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학교 담장 옹벽에 125m의 벽화를 조성했다. 학교의 역사와 어린이들의 소원, 꿈을 담은 문구 등의 주제를 밝은 색감으로 표현했으며, 대형 조형물도 함께 설치하였다. 이 벽화는 동구청의 협조하에 서석초 학생들, 학부모들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협업하여 완성시켰다.
921 생명나눔소방혈액보험 광주 동부소방서에서는 2006년부터 [[생명나눔소방혈액보험|생명나눔소방혈액보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임직원들이 정기적으로 헌혈하고, 헌혈증서를 자발적으로 기증하여 형편이 어려운 환자들을 돕는 사업이다.
922 장미의 거리 광주광역시 동구청이 2016년에 지역 상권 살리기의 방법으로 [[조선대 후문]] 상가 지역을 [[장미의 거리]]라 명명하였다. 조선대에서 매년 5월에 열리는 [[장미원]] 개방, 장미 축제와 연결하여 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함이었다. 2018년에는 거리 한 쪽에 ’장미가 피어나는 거리’라는 컨셉으로 플랜트 박스, 조명, 장미 이미지 벽화 등을 설치하였다.
923 광천동성당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에 있는 가톨릭 교회이다. 1978년 [[박기순]] 열사가 [[들불야학]] 을 만들때 가톨릭 농민회와 조비오 신부님의 추천을 받아 교리 학습실을 야학 장소로 빌려주었다. 현재도 그때의 야학 터가 성당에 남아있다. 박기순 열사가 사망했을 때 당시 [[광천동성당]] 의 주임, 오수성 미카엘 신부님이 장례 미사를 집전하였다. [[광천시민아파트]]와 함께 현대 광주의 민주화 운동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의미 있는 곳이다.
924 임동 광주시 북구 [[임동|임동]]은 조선 후기에는 버드나무 등 다양한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진 숲길, [[유림숲]]의 일부였다. [[유동]]과 합쳐서 [[버드리]]라고 불리다가 1935년에 두 지역이 분리되었고, 광복 이후인 1947년부터 임동으로 불리게 되었다. [[광주읍성]]의 북문에서 장성으로 가는 길목이어서 한양으로 오가는 사람들이 반드시 지나갔다고 한다. 광주천과 서방천에 의한 퇴적지형으로 농토가 비옥하여 일제시대부터 농업 관련 시설들이 많았었고, 1935년에는 [[일신방직]], [[전남방직]]이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925 광주읍성 공북문 광주읍성의 북문이며, [[공북문|공북문]]을 나서면 공북루가 있었고, 다시 [[유림숲]]으로 연결되고 그곳을 지나야 장성을 거쳐 한양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공북문은 현재 충장치안센터 위치로 예상되며, 충장로는 광주읍성의 남문(진남문)과 북문(공북문)을 이어주는 도로였다.
926 김방 기록에 의하면 [[김방|김방]]은 조선 전기 세종 때 김제군사를 맡은 적이 있는 인물인데, 1418년 당시 김제 지방의 저수지인 [[벽골제]]를 수리하는 일을 추진했었다. 또 노후에는 전남 낙안 마을에 내려와서 살았다는 기록도 있다. 그래서, 저수지 시설을 증축하고 관리한 경험이 있는 그가 경양방죽을 만든 사람일 것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927 영화진흥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영화에 관한 지원 역할을 위임 받아 한국 영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한국 영화 및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해 설립된 공공 기관이다. 1970년대 부터 비슷한 역할을 하던 기관들이 있었으나 1999년에 [[영화진흥위원회]]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계 분야별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9인의 위원(상임 위원장 1인, 비상임 위원 8인)과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928 제3세계영화 영화 사전에 의하면, [[제3세계영화]]는 선진국(미국, 유럽 등)에 속하지 않는 나라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을 총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와 같이 과거에 식민지 지배를 받았던 국가들의 영화를 말하며 때로는 혁명적이거나 좌파 성향을 띄는 영화를 가리켜서 이렇게 부르는 경우도 있다. [[독립영화]], [[예술영화]]와 같이 비주류 영화로 분류된다.
929 의용소방대 우리나라 소방법에 따르면, 특별시, 광역시, 시,군,읍,면까지 장관의 허가 없이도 [[의용소방대|의용소방대]] 설치가 가능하다. 의용소방대는 평상시에는 본인 직장에서 근무하고, 가끔 실시되는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하는데, 긴급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정규 소방대원들을 돕는 역할에 투입되는 봉사 대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의용소방대에 관한 모든 규정은 시,도에서 제정되는 조례를 따른다. 봉사 활동 중 부상을 당했을 때는 규정에 따라 보상금이 주어지며, 긴급 상황에 투입될 때마다 소정의 수당을 받는다.
930 남종화 의재 [[허백련]]이 지향한 화풍이다. 기술보다 정신을 강조하는 동양화의 한 분파이다.
931 장미원 조선대 [[장미원]]은 [[조선대학교]] 동문들이 2001년부터 모교 사랑의 일환으로 시작한 사업에 의해 만들어졌다. 에버랜드 측에 설계를 의뢰하는 등 세심한 준비 끝에 2003년에 처음 개장하였고 현재까지 수차례 증설 공사를 거쳐 조선대가 자랑하는 장미 장원으로 거듭났다. 해마다 5월~6월 장미가 가장 예쁘게 피는 시기에 이곳을 방문하면 약 2,500평 규모의 대지에 정성껏 가꾼 18,000 그루에 달하는 장미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932 플리마켓 플리(flea)는 벼룩이라는 뜻이다. 즉, [[플리마켓]]은 벼룩이 있을 정도로 오래된 중고 물건을 판매하는 시장이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벼룩시장이라고도 부른다. 많은 관공서나 민간 기관에서 [[플리마켓]] 행사를 추진하여 물자 절약과 주민 화합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조선대 후문]] 상가에서는 광주시 동구청 주관으로 2021년에 처음으로 ’장미빛청춘 플리마켓’이 열렸다. 지역 골목 상권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있다.
933 농업기술학교 해방 이후 국력 신장을 위한 농촌 청소년 교육의 필요성을 깨달아 1947년 의재 [[허백련]]과 [[최흥종]] 목사가 설립한 농업학교이다. 원래 [[삼애학원]]으로 불렀다가 개칭 후 교육기관으로 정식 인가를 받았다. 1975년 폐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