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y9univ

my9univ
이동: 둘러보기, 검색

테스트

300px

230427

  • 어제 저녁에 PCN에서 연락와서 3D 리스트를 좀더 뽑아줄 수 있겠는지 물어봤는데 조선시대처럼 자료가 많이 남아있는게 아니라서 어려울 것 같다고 함
  • 김지명 선생님네와는 <한국문화유산교육연구원>과 계약하기로 했고
    • 시간이 되면 제안서 자료는 써도 / 안써도 된다고 했는데, 전시하는 디지털컨텐츠의 번역을 어디서 할지 아직 미정이라 혹-시 저희가 하게될까봐 안쓴다고 했음
  • 덱스터스튜디오 내부 문건
  • (시간이 된다면) 신입생 환영회 당시 이야기 드리기.

12.15

  • 광주 랩비 관련 - 김현승(1천), 김은숙(1천), 이한나(5백), 전가람(5백, 박현정 대신) 선생님 // 8.8% 공제된 금액 입금 -> 건강보험료 상승 ->
  • 한양도성 이관? - 네트워크 그래프 이관 ㅇㅇ / 위키는??

11. 25

한양도성

  • 자문 관련 - 문화재청에서 올 수도 / ppt 및 자료 보여드리기
  • 회의비 30만원 정도 남음 -> 다음주 금요일에 다같이 밥을 한번 먹을지, 인원이 너무 많아서 좀 그러면 여기저기 우선 달아둘지

광주 인문플랫폼

  • 기존에 12월 초에 완료보고서 및 완료계를 제출. -> 한중연 행정, 대동이랑 이야기해서 15일에 결과보고서 초안 제출 -> 피드백 및 수정 후 늦어도 19일 오전에 완료계 제출 하는 것으로 수정

KADH

  • 카드 ㅠ ㅠ 회비 통장은 한도제한 + 카드 미발급 (한도제한 풀고 카드 발급 가능)

정례회의

  • 장소: ?


11.18

광주 인문플랫폼

  • 온톨로지 관련 비목의 세부 과업내용서 검토 (행정실 요청)
  • 윤종웅 선생님

한양도성

  • 시맨틱 빅데이터 콘텐츠 제작 : 4,000,000원 남음 (1200만원중 800만원 윤종웅 선생 부인분께 지급하고 받음 -> 컴퓨터 구매) -> 누구에게...?

11.11

한양도성

  • WBS상 시맨틱데이터 링크 마무리는 11월 18일.. -> 모두 언제까지 제출하라고 할지?
    • 완료보고가 12월 05일이므로 12월 01일까지는 제출해야 함 -> 11월 28일 월요일까지 최종데이터 제출
    • -> 공동연구원도 스토리 제출하라고 할지..?

KADH

광주

  • 자문수당(학회 발표자 지급)은 광주에서 나에게 요청한 사항(위키문법, html)들로 자문의견서 만들어서 낼지?

-> 자문의견서는 위키 / 온톨로지로 하고 해서

11.04

2차 자문회의

  • 2차 자문회의 (3D 품질검수) : 11월 28일 월요일 ~ 30일 수요일 중 하루. 장소는 PCN 혜화사무실
    • 교수님 일정은 언제언제 괜찮으신지, 자문위원(내부3+외부2)은 어찌 확정할지 확인할 것
    • 화수가 좋으심

10.28

한양도성 궁궐 촬영

  • 동관왕묘/문묘 추가 신청 완료
  • 종묘와 덕수궁은 대통령 용산 집무실때문에 임시비행금지구역이라 재난상황 아니면 촬영 불가

한양도성 학술대회

  • 커피 케이터링 업체 변경의 건 ~ 858,000원 ~ 바리스타 2인 + 쿠키와 미니머핀
  • 김혁선생님 자료의 PPT 작성은 누가?
  • 관련하여 이소영선생님 등이 학술대회 주제인 무신진찬과 관련된 노드와 링크를 보내줌 -> 제가 SQL로 한꺼번에 올려도 될지
    • 3D대상 노드 및 링크도 SQL로 제가..

한양도성 중간보고

  • 아직 일정은 미정이나 우선 PPT를 다음주 목요일까지 제출해야 함.
    • 다음주 목요일까지 진행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캡쳐해서 사진만 넣을 것이나, 설명은 현재 ppt와 같음.

한양도성 3D 관련

  • 신주 3D 관련 - 영녕전 34+ 정전 49 = 83 개 -> 83개를 모두 하는 건 무리. -> 영녕전 34개만 완성도 있게 진행하는 것으로 이야기 -> 영녕전 34개도 모두 다 하려면 3D업체인 위지윅 작업 스케쥴에 무리가 가서 우선 10개를 먼저 사업기간 내에 만들고, 나머지는 사업 완료 이후에

EM EDITOR

  • 김바로 교수가 필요하다고 함(평생라이센스 38만원 예상,1년구독 6만원 예상) -> 랩비로 사도 될지?
    • 사업비일 경우 1년 밖에 못 삼

==

10.21

포토아카이브

한양도성 중간보고

  • 일정은 11월 초가 될 것 같음 (국장이 바뀔 예정이라 바뀔때까지 일정 확정 어려움)
  • 중간보고는 시연 형식이면 교수님께서 시맨틱데이터 관련하여 시연하시고, 만일 보고 형식이 될 경우는 pcn이 쭉 진행
    • 이는 중간보고 직전에 확정될 예정.
  • 중간보고 ppt 보여드리고 플로우 말씀 드리기

한양도성 학술대회

  • 계획표 보여드리기 -> 다음주 화요일에 발표주제가 취합될 예정
  • 그 이후 한양도성 단톡방에도 학술대회가 있다고 안내하면 될지

광주 인건비

  • 김광우: 500 만원 예정 -> 400만원 지급-> (100만원*7개월 = 700) -> 총 700만원 부족
  • 강혜원: 150만원 예정 -> 130만원 지급-> (20만원*7개월 = 140) -> 총 140만원 부족
  • 이효림: 150만원 예정 -> 80만원 지급-> (70만원*7개월 = 490) -> 총 490만원 부족

광주 예산 관련

분류 예산 쓴 것 남은 예산
출장비 3,000,000 372,900 2,627,100
회의비 1,200,000 672,000 528,000
교육 강사 수당 2,400,000 0 2,400,000
전문가 자문 600,000 0 600,000
  • 온톨로지 플랫폼 구축을 외주용역에서 직접비로 변경하면서 예산변경신청을 하려고 함
  • 출장비중 1,800,000만원을 회의비로 변경하고, 열심히 먹으면 되지 않을까 함.
    • 보통 가면 19만원 정도를 사용함 -> 현재 2번 갔고, 앞으로 김광우 선생은 앞으로 4번 갈 예정이라고 함(최종보고 포함) -> 82만원 가량 남기고 회의비로 180만원 옮김
  • 전문가 자문과 교육강사수당은 어떻게 할지...?
  • 교육 강사 수당 / 전문가 자문은 어떻게 할지?

대동문화재단 결과보고서 관련

  • 대동과 컨소시엄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쪽 모든 돈이 소진되어야 함.
  • 그러려면 늦어도 12월 8일 목요일 오전까지 돈이 받아야 하고(행정실)
  • 대동에서는 12월 5일 월요일 오전까지는 대금지급용 결과보고서를 받아야 돈을 지급할 수 있다고 함.
    • 홈페이지 구축이 12월 16일 ~ 22일경 완료될 예정이라 대금지급용 결과보고서임.
    • 결과보고서 제출하면 회의비, 여비 등은 지출 불가. 교열료 같은 것만 가능.
  • 대동에서는 관련하여 괜찮다고 함. 이렇게 진행할지?

KADH 세금 관련

  • 협회비 통장에는 902,010원 (원 1,061,823원 -> 공인인증서 11만, 소프트웨어사업자신청 5만 제외)
  • 수익금 통장에는 9,230,241원 (8월 말에 입금되었으나 컴퓨터 구매 후 보내려고 아직 안보냄)
    • 20%인 720만원 보내면 2,030,241원이 남을 예정
  • 법인세 + 부가가치세: 180~200만원(100+82만원) 가량 예상됨.
    • 부가가치세는 내년 1월, 법인세는 내년 3월에 확정됨.
  • 현재 매출과 부가가치세는 다음과 같음
    • pcn: 매출 2,000,000 (1,818,182 + 181,818) -> 부가가치세: 171,810 (납부 완료)
    • 윤즈: 매출 9,000,000 (8,181,818 + 818,182) -> 부가가치세: 818,182 (예정 금액)
  • 법인세: 2022년 기준 수익의 10% -> 100만원 예상
    • 법인으로 보는 단체이기 때문에 법인세를 내야 함.

10.07

  • 한양도성 사진 아카이브 관련
    • 허호 선생님이 드론 제외 창덕궁 사진 1,000장을 캡션 작업 완료함
      • 사진은 3가지 유형(원본, 웹용, 아이콘)으로 준비하면 될지, 아이콘 사이즈의 규격?
      • 사진 업로드는 올해 한양도성 FTP에 올리면 되는지
    • 1,2차년도 궁궐촬영은 문화재청 이정엽 사무관이 공문을 써주기로 하고 궁궐에 직접 연락해서 촬영 가능한지 확인했는데 경희궁은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라 안된다고 함.
      • 제가 궁금한건, 사진 아카이브는 목요일 수업 수강생들이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각자 궁궐 1개씩 맡아서 진행하는지? (제 생각인데 수강생 7명이나 궁궐 5개를 촬영하는데... 경복궁,창덕궁이 많을 것 같으니 경복궁은 2명, 창덕궁도 많으니 2명이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창덕궁,창경궁,종묘,경복궁,덕수궁)
    • 이주혜 선생님의 역할:
  • 광주 직접비 항목별 쓰임새:

09.23

  • 의례팀 데이터: 의례팀 조교들이 취합하고 검토 후에 목요일 너무 늦지 않게 인문정보편찬연구 단톡방에 올리면 될지 -> O
  • 과년도 고궁 촬영: 문화

09.16

간단한 것 부터.

  • 광주: 정주영 선생님은 외주금액인 3300을 전부 사용 -> ok
  • 드론 보험: 사업비 지출. 3개월(90일) 13만 4400원 (일시납) / 6개월(180일) 23만 400원(일시납) / 12개월(365일) 38만 4천원(일시납) -> 90일로 해도 지금(09.16)~12.16까지.
    • -> 내년에도 출입하려면 필요하므로 들어놓음. 유지보수는 필요하므로 1년으로.
  • 한양도성 궁궐 촬영일자는 아직 문화재청 승인이 안나서 예정이긴 한데, 경복궁 휴관일이 화요일이라 화요일 일정이 4차례 있음
    • -> 화요일 김바로 교수님 수업때도 가도록. 어려우면 그때 가서 청강생들만 보조로 가는 것 이야기.
  • 2020, 2021 메타데이터 통계
    • 전인혁 선생 / 내 업무 -> 이한나 선생 예정
    • 월요일 이후에 교수님이 해당 인원들에게 연락하실 예정
분류 2020 2021 종합
김현승 409 120 529
김해인 185 107 292
전인혁 56 0 56
이소영 0 123 123
합계 650 350 1000
  • pcn에서 3개년도 3d모델을 활용해서 홍보영상을 만들고자 함. 그래서 저희에게 주제를 2개 정하고 그 주제에 해당하는 물품을 알려주면 좋겠다고 함.
    • pcn에서 그래픽?업체를 섭외해서 만들어지지 않은 물품은 그래픽으로 만들 것.
    • 홍보영상에 저희 네트워크그래프도 보여주면 좋겠다고 건의해서 몇개정도 보여주기로 함.
  • 대략적인 주제 2개
    • (큰 스케일로 보여줄 수 있는 것) 정해년진찬 관련: pcn에서 1차년도에 만든 품계석을 넣으면 좋겠다고 하여 정해진찬도병의 근정전진하도에서 시작 -> 그 다음에 만경전진찬에서 상차림 간단히 보여주고 밤으로 넘어가는 시퀀스를 주면서 야진찬의 정재(물품+복식)
    • (실제로 보여줄 수 있는 것) 종묘대제: 행렬 -> 나열된 신실 -> 상차림
      • 정전 앞에 상 모습, 제기 360도 돌려볼 수 있고, 제수 위키 페이지 보여주기
    •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근정전 어좌, 덕수궁 가구, 세면대 배치 가능하므로 대한제국 시절 왕들이 지내던 공간 가능.
    • 숭례문 남지, 남지기로회도, 참석한 인원 네트워크 가능.
  • 온톨로지 플랫폼 김지명선생님네와 계약하기 어려움. 재무회계팀에서 수의계약은 공시에도 올라가고, 감사 시에도 주요하게 보기 때문에 기업명 때문에 관련용역을 증빙해도 계약 어렵다고 합니다.
    • -> 혜원쌤과 이야기해서 혜원쌤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함.

09.02

  • S0-503 스토리 예시의 node Description에 note가 없는데, 없이 진행할지. 아니면 제가 예시에 note를 추가할지.
  • 다른 작업자가 작성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제 스토리와 연관이 있어서 연결하고 싶을때 연결해도 되는지?
  • 상기와 관련해서 기존 에피소드 페이지가 덜 작성된 경우, 해당 작업자에게 완성을 요청해도 될지?
  • 김해인선생이 질문한 것인데, 어떠한 물품이 해당 공간이 있었음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현/옛날 소장처를 확인해서 locatedIn 을 쓰면 되는지, 아니면 isUsedIn이라는 관계어가 현재는 target이 이벤트클래스인데 가져와서 써도 될지?
  • 광주 - 정주영 선생 진행사항 보고: 직접생산증명서를 내려면 4대보험 가입증명서를 내야하는데, 정주영 선생이 4대보험이 다른곳으로 되어있어서 채용을 해야했음. 채용인원 4대보험 신청 완료하고 직접생산증명서 신청완료하여 기다리는 중. 안내에는 14일 이내로 되어있는데 인터넷 찾아보니 3~4일이면 되는 듯 함.
  • 광주 -김지명 선생님 회사 진행 여부 여쭤보기
  • 윤진영 부장님: 구현회 씨만 궁금한 거 여쭤보고 교육을 받고 오면 될지.
  • 3D모델 기계와 소프트웨어는 위프코에서 1회 교육을 무료로 해주는데, 김바로교수님 수업에서 진행할지 아니면 한양도성 회의시간에 할지, 아니면 김바로 교수와 저 등 관련자만 교육을 받을지 확인.
  • 한양도성 3d 소프트웨어 사양 및 동시접속 수 제한 안내
    • 권장사양: CPU i9 이상 메모리 64GB 이상 그래픽카드는 3060 이상 * 2개, SSD 1TB 이상으로 600만원 가량임.


  • 3D 모델: 2020 3D뷰어가 작년꺼와 달라서 확인해보니 작년도 뷰어로도 볼 수 있어서 모두 작년 뷰어로 변경해서 올렸으며, 건축물은 모두 2020, 2021 이미지를 따로 받지 않았어서 PCN에 요청하였으며 현재 감리중이라 다음주 중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2020 3D 건축의 경우, 2020년도와 데이터 설계(?)가 좀 다름. (http://dh.aks.ac.kr/~sandbox/cgi-bin/GuestQuery.py?db=hanyang2020&project=hanyang&account=s_myuniv&pwd=dkssud33!&key=동행각-강녕전): 작년에는 상위 건축물(행각 등이 아닌)과 3D 모델이 연결되어 있는데, 2020년도는 상위건축물과 해당 건축물이 연결되어 있고, 해당 건축물과 3D모델이 연결되어 있는 것들이 있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고 총 75개 행각 중 17개만.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서 그런 것 같기는 한데(어디 사이에 있는 행각인지) 이 데이터를 수정할지..?

0902 이전

  • 정해년진찬 : 샘플 수정 완료 - 조천희 선생에게 15건 샘플 하도록 이야기하기.
  • 외주로 진행하는 2건의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이 필요한지 : 안 필요함!
    • 김지명 선생님꺼는 내가 산출내역서까지 모두 쓰고, 정주영선생님이 사업계획서, 과업지시서 등 필요서류 작성.
  • 1-2차년도 메타데이터 추가 계약 관련
    • 1-2차년도 데이터로 만든 샘플 교수님께 보내드리기.
    • 메타데이터 중 문화유산(=3D 선정한 대상)에 대한 설명 등을 기재하는 부분만 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제출한 고증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 입력 X)
      • 선정대상의 시대 구분, 문화재청의 문화재 구분에 의거한 유형 구분, 선정 대상에 대한 간략한 설명 및 어떤 고증자료를 기반으로 3D를 만들었는지를 기재하면 됨
    • 이 작업은 11월중순까지 완료하면 된다고 하였으며, 계약은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이름 / 혹은 PCN에서 개개인과 인력 계약을 맺어도 된다고 합니다.
    • 저희가 예상작업기간과 총 투입인력 명수를 이야기해주면, PCN에서 예산을 잡겠다고 하였습니다.
    • 제 생각: 2차년도 선정대상은 위키에 대부분 잘 올라와 있고 고증워크시트가 잘 되어있으나 1차년도는 상당수 위키도 없고 고증워크시트도 매우 간략. 이에 김해인, 김현승 등 1차년도 작업자는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2차년도는 위키를 기반으로 초안을 작업하고 2차년도 작업자가 최종적으로 검토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간은 올해 대상선정이 9월초(9월 8일)에 끝날 예정이므로 9월 중순부터 잡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한양도성 2차 감리: 한양도성 2차 감리(8월 31일~9월 8일) 때 구축되어야 하는 노드 개수는 4,000건 / 링크는 6,000건.

이전

시맨틱데이터 DB 관련

  • 2020, 2021 DB를 일괄로 옮기거나 작성자들이 직접 옮긴다고 말씀주셨는데, 일괄로 옮기는 것은 SQL을 이용해서 일괄로 옮기고 중복된 ID 와 relation은 작성자에게 확인하라고 배포하는것일지?
    • 교수님도 미정이심. 서소리 선생과 연락하여 미디어위키를 조작하는 기본적인 library. 위키를 받아서 데이터로 올릴 수는 있는데, 새로 올린 데이터가 분류정보 반영이 안됨. -> 분류정보가 (실록위키 만들면서 해본 적 있음) -> 어떤 도구를 사용하면 될 지 확인할 것. 2020년도 한양위키를 xml로 다운 받아서 제목, 분류정보를 수정해서 수정된 데이터를 2022 위키에 이동. -> 자동적으로 분류정보가 적ㄷ용될 수 있는 도구가 무엇인지 확인할 것.
      • 부분적으로(건물데이터만 한다던지)

시맨틱데이터 note 관련

  • 2020, 2021 DB에만 있는 것: note에 2020: 만 넣으면 되는 것이 맞을지. (예전데이터인데 2022: 넣으면 올해 산출물을 뽑을 수가 없음)
  • 기존 DB에 2020:(빈칸) , 2021:(빈칸) 으로 되어있는 것들은 note에 2020:기존DB 이런식으로 하면 될지?
    • 검토완료한 것은 2022로 되어있음. -> note에 2022로 되어있는 것은 무조건 올해 데이터로 함. -> 수정완료한 데이터.

줌 회의 관련

개요

워크시트 쓰는 법

  • 작년에는 여기에 써서 제출함. 올해는 위키로 작성하고 조교들이 노드, 릴레이션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만약 이것이 잘 되지 않으면 워크시트 제출로 변경한다고 했음.
  • 그러나 쓰는 이유: 보통 쓸 내용을 먼저 찾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노드와 릴레이션을 뽑아냄. 그러다보면 노드가 생성되지 않았는데 릴레이션에서 언급하거나 릴레이션에서 언급되지 않았는데 노드를 만들거나, 이미 만든 릴레이션인데 중복으로 만들거나 하는 것들이 반드시 생김. (나도)
    • 세부 ID 시트는 쓰지 않아도 됨. 작년에는 써서
  • 전체 sheet : 2020, 2021 데이터는 note에 본인이 알아볼 수 있도록 기재하고 써야 함
  • 2020, 2021, 2022 DBA 에서 ID 찾기: 2020 네트워크 그래프는 나중에 2021과 합칠 것임. 근데 그게 언제인지 모름. 그래서 현재는 2020, 2021, 2022 DBA를 다 찾아봐야 함.
    • URL 유의성 안내: 중간에만 변경하면 됨.
    • 내가 쓴 맞는 ID를 남들도 동일하게 썼을 것이라도 생각하지 말 것. 찾을때는 (ex. 몇개 글자를 줄여서도 찾아봐야 함)
  • 워크시트 매뉴얼: 들어가는 법 / 이건 작년에 작성한 것으로 작년 규칙에 맞는 것임. 예를 들어 ID 명명규칙은 올해것을 따라야 함. 그러나 한번 읽어보고 감을 잡는것도 중요하므로 읽어볼 것.
    • ID 규칙: 현재는 교수님이 정리해준 노드 ID 참고에서 보고 할 것. 나중에 ID 명명 규칙이 보다 구체화되면 올해년도 워크시트 매뉴얼을 만들 것임.

위키 쓰는 법

  • 위키문법 정리 사이트
  • 표 쉽게 옮기는 법

당부의 이야기

  • 반드시 헷갈리고 모를 때는 공론화할 것. 2년동안 진행했었지만 아직 규칙이 제정되지 않거나 아니면 올해 규정들에 맞게 변화해야 하는 것들이 있음. 그래서 우선 한양도성 위키 문서들을 살펴보고, 저나 다른 분들한테 물어본 후, 관련 규칙이 없는 것이 맞다! 라고 하면 회의때 공론화 할 것.